KR0119394Y1 - 쌀 정량 토출장치 - Google Patents
쌀 정량 토출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19394Y1 KR0119394Y1 KR2019950019496U KR19950019496U KR0119394Y1 KR 0119394 Y1 KR0119394 Y1 KR 0119394Y1 KR 2019950019496 U KR2019950019496 U KR 2019950019496U KR 19950019496 U KR19950019496 U KR 19950019496U KR 0119394 Y1 KR0119394 Y1 KR 011939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ce
- discharge
- housing
- hole
- inlet ho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쌀통에 장착되는 쌀정량 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쌀저장실과 연통되는 유입공(11a)을 형성하고 그 유입공(11a)의 직하부에 외부로 토출공(11b)이 관통 형성된 하우징(13), 상기 하우징(13) 내에서 회전하면서 쌀저장실의 쌀을 유입공(11a)을 통해 토출공(11b)으로 분배토출하는 토출수단, 설정된 기어비를 갖는 복수개의 기어를 통해 상기 토출수단을 회전시키는 전동모터를 구비한 쌀정량 토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수단은, 원통형의 원주상에 45°로 등분 함몰된 4개의 개량홈(21) 및 하우징(13)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4개의 슬라이딩면(22)이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3)에서 1/4씩 회전할 때마다 토출구(11)를 통해 개량홈(21)에 해당하는 쌀 일정량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롤러(20)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3)의 유입공(11a) 및 토출공(11b)은 원주상에서 1/8에 해당하는 폭만큼 관통 형성되는 특징이 있으며, 전동모터의 회전에 오차가 발생될 경우에도 항상 정량의 쌀이 토출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제 1 도는 종래 쌀토출장치의 요부를 발췌 도시한 측단면도,
제 2 도는 종래 고안에 따른 쌀토출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 3 도는 도 2에 도시된 쌀 정량 토출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쌀 정량 토출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 5 도는 도 4에 도시된 쌀 정량 토출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제 6 도는 도 5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토출구 13 : 하우징
20 : 토출롤러 21 : 계량홈
22 : 슬라이딩면
본 고안은 소정의 쌀을 보관하기 위한 쌀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쌀토출구조가 누름스위치를 통한 자동인출방식으로 이루어져 소망하는 정량의 쌀이 간편용이하게 인출되어지도록 하는 쌀 정량 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소정량의 쌀을 보관한 후, 이 쌀을 필요한량 만큼씩 토출시킬 수 있는 쌀통이 사용되는데, 종래의 통상적인 쌀통구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적정량의 쌀을 저장함은 물론 그 하부로 쌀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구비된 쌀저장실과; 상기 쌀저장실의 토출구와 연결되어 지정된 량만 인출용기로 토출시키는 쌀토출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쌀통에서, 특히 본 고안과 관련된 쌀토출장치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09)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개폐판(105)이 만곡되게 형성되고, 그 개폐판(105)의 일측으로 소정량이 저장될 수 있도록 저장부(103)가 형성된 토출수단(102)과; 그 토출수단(102)의 안내면(104)과 대응하여 슬라이딩되도록 안내돌기(107)가 형성되면서 그 본체에 회동 자재토록 설치되는 푸쉬노브(106); 등으로 구성되어 진다.
즉, 상기 쌀토출장치(101)의 푸쉬노브(106)를 하방으로 누르면 상기 안내돌기(107)가 안내면(104)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토출수단(102)의 개폐판(105)이 토출구(109)를 차단함과 동시에 저장부(103)가 하방으로 기울면서 그속에 저장되어 있던 소정량의 쌀이 그 하방의 인출용기(미도시)에 쏟아지게 되며, 상기 쌀토출장치(101)의 푸쉬노브(106)를 놓으면 압축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푸쉬노브(106)가 원위치 되면서 토출수단(102)의 저장부(103)가 토출구(109)의 직하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개폐판(105)이 토출구(109)로부터 개방된다.
그런데, 상기 쌀토출장치(101)의 구성은 푸쉬노브(106)의 안내돌기(107)와 힌지축(108)의 거리가 너무 먼 동시에 상기 힌지축(108)에 강한 탄성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푸쉬노브(106)를 누르는데 많은 힘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전동으로 쌀을 토출하는 쌀 정량 토출장치가 개발되었는 바, 이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토출구(111)의 하부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쌀저장실과 연통되는 유입공(111a)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유입공(111a)의 작하부에 외부로 토출공(111b)이 관통 형성된 하우징(113)이 설치되어 있고, 그 하우징(113)에는 회전하면서 쌀 저장실의 쌀을 유입공(111a)을 통해 토출공(111b)으로 분배하는 십자형 계량판(1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그 십자형 계량판(120)의 일측에는 설정된 기어비를 갖는 구동기어(141) 및 종속기어(131)를 통해 그 십자형 계량판(120)을 회전시키는 전동모터(140)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전동모터(140)는 사용자의 키입력을 통한 마이컴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쌀정량 토출장치는 전동모터(140)에 의해 구동기어(141)가 1회전할 때 종속기어(131)가 1/4 회전하게 되고, 그 종속기어(131)와 연결된 십자형 계량판(120)이 1/4(90°)회전하면서 십자형 개량판(25)은 1/4(90°)회전하면서 쌀의 정량 기본 단위인 두 분배날개(121) 사이의 공간이 유입공(111a)에 위치하고 그 직하부에 위치된 두 분배날개(121)의 공간이 토출공(111b)에 위치하게 되어 기본 단위로 저장된 쌀이 토출공(111b)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쌀정량 토출장치는 전동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한 이점이 있지만, 제어 오차범위가 큰 전동모터(140)를 사용함에 따라 십자형 계량판(120)을 정확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십자형 계량판(120)의 회전제어 오차는 분배날개(121)를 유입공(111a) 및 토출공(111b)에 항상 정확히 위치시킬 수 없게 되며, 이렇게 십자형 계량판(120)의 분배날개(121)가 유입공(111a) 및 토출공(111b)위 소정위치에서 약간이라도 벗어날 경우 즉, 분배날개(121) 간의 두 개량부가 토출공(111b)에 동시 개방될 경우 쌀의 정량 토출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동모터의 회전에 오차가 발생될 경우에도 항상 정량의 쌀이 토출되도록 하는 쌀정량 토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쌀정량 토출장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쌀저장실과 연통되는 유입공을 형성하고 그 유입공의 직하부에 외부로 토출공이 관통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서 회전하면서 쌀 저장실의 쌀을 유입공을 통해 토출공으로 분배 토출하는 토출수단, 설정된 기어비를 갖는 복수개의 기어를 통해 상기 토출수단을 회전시키는 전동모터를 구비한 쌀정량 토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수단은, 원통형의 원주상에 45°로 등분 함몰된 4개의 개량홈 및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4개의 슬라이딩면이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에서 1/4씩 회전할 때마다 토출구를 통해 개량홈에 해당하는 쌀 일정량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유입공 및 토출공은 원주상에서 1/8에 해당하는 폭만큼 관통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근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쌀정량 토출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제 5도는 같은 실시예에 따른 결합상태의 측단면도이며, 제 6도는 제 5도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부호 10은 쌀정량토출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쌀정량토출장치(10)는 쌀저장실 하부의 형성된 토출구(11)에 원통형으로 형성된 하우징(13)이 설치된다. 그 하우징(13)의 상부에는 원주상에서 1/8에 해당하는 폭만큼 토출구(11)와 연통된 유입공(11a)이 형성되고, 그 유입공(11a)의 직하부에는 역시 원주상에서 1/8에 해당하는 폭만큼 연통된 토출공(11b)이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3)의 양측단부에는 수개의 체결공(12a)이 천공되어진 플랜지(12)가 형성된다.
한편, 그 하우징(13)의 내부에는 회전하면서 쌀저장실의 쌀을 유입공(11b)을 통해 토출공(11b)으로 분배 토출하는 토출롤러(20)가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며, 그 토출롤러(20)는 원통형의 원주상에 45°로 등분 함몰된 4개의 개량홈(21) 및 하우징(13)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4개의 슬라이딩면(22)이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3)에서 1/4씩 회전할 때마다 토출구(11)를 통해 개량홈(21)에 해당하는 쌀 일정량을 외부로 토출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그 토출롤러(20)의 중심에는 종속기어(31)가 구비되는 샤프트(30)가 고정핀(50)을 통하여 끼워지고, 그 샤프트(30)의 종속기어(31)에는 전동모터와 연동되는 구동기어(41)가 치합되며, 종속기어와 구동기어의 기어비는 4 : 1을 가진다. 즉, 구동기어가 1회전할 경우 종속기어는 1/4(90°)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동모터(40)는 쌀통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진 누름스위치(미도시)의 사용자 조작에 따른 마이콤(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쌀통의 소정위치상으로 설치되어진 누름스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량을 인분수에 따라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누르게 되는데, 예르 들어 토출롤러(20)의 개량홈(21)이 1인분에 해당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누름스위치를 통해 1인분을 선택한 경우 마이콤은 1회전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전동모터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전동모터는 1회전하게 되면서 구동기어를 1회전시키게 되며, 이 구동기어와 맞물린 종속기어는 1/4(90°)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종속기어가 1/4회전하게 됨에 따라 토출롤러(20)는 동기 회전하면서 쌀의 정량 기본 단위인 1개의 개량홈(21)이 유입공(11a)에 위치하고 그 직하부의 개량홈(21)이 토출공(11b )에 위치하게 되어 기본 단위로 저장된 쌀이 토출공(11b)으로 배출된다.
한편, 토출롤러(20)의 회전이 90°에서 벗어날 경우, 각 개량홈(21) 간에 위치된 슬라딩면(22)에 의해 한 개량홈(21)만이 유입공(11a) 및 토출공(11b)에 위치됨으로써, 두개의 개량홈(21)이 유입공(11a) 및 토출공(11b)에 동시 개방됨에 따라 토출량이 부정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회전오차가 계속적으로 누적된다하여도 역시 슬라이딩면(22)에 위해 항상 한 개량홈(21)만이 유입공(11a) 및 토출공(11b)에 개방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제어 오차범위가 큰 DC모터를 사용함에 따라 쌀 토출롤러의 회전에 오차가 발생될 경우에도 항상 쌀이 정량만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토출롤러에 개량홈과 슬라이딩면을 등분하여 교번적으로 둠으로써, 전동모터의 회전에 오차가 발생될 경우에도 항상 정량의 쌀이 토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쌀저장실과 연통되는 유입공(11a)을 형성하고 그 유입공(11a)의 직하부에 외부로 토출공(11b)이 관통 형성된 하우징(13), 상기 하우징(13) 내에서 회전하면서 쌀저장실의 쌀을 유입공(11b)을 통해 토출공(11b)으로 분배 토출하는 토출수단, 설정된 기어비를 갖는 복수개의 기어를 통해 상기 쌀 토출수단을 회전시키는 전동모터(40)를 구비한 쌀정량 토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수단은, 원통형의 원주상에 45°로 등분 함몰된 4개의 개량홈(21) 및 하우징(13)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4개의 슬라이딩면(22)이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3)에서 1/4씩 회전할 때마다 토출구(11)를 통해 개량홈(21)에 해당하는 쌀 일정량을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롤러(20)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3)의 유입공(11a) 및 토출공(11b)은 원주상에서 1/8에 해당하는 폭만큼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정량 토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19496U KR0119394Y1 (ko) | 1995-07-31 | 1995-07-31 | 쌀 정량 토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19496U KR0119394Y1 (ko) | 1995-07-31 | 1995-07-31 | 쌀 정량 토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4193U KR970004193U (ko) | 1997-02-19 |
KR0119394Y1 true KR0119394Y1 (ko) | 1998-06-15 |
Family
ID=19419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19496U KR0119394Y1 (ko) | 1995-07-31 | 1995-07-31 | 쌀 정량 토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19394Y1 (ko) |
-
1995
- 1995-07-31 KR KR2019950019496U patent/KR011939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4193U (ko) | 1997-0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877937A (en) | Measuring dispenser | |
US4832235A (en) | Self-measuring condiment cap | |
US5375744A (en) | Device for dispensing granular material | |
US20100288790A1 (en) | Dispensing appliance for a multiple cartridge | |
US4738826A (en) | Reagent metering and delivery device | |
US3327905A (en) | Measuring and dispensing container | |
US4201320A (en) | Measuring dispenser | |
KR0119394Y1 (ko) | 쌀 정량 토출장치 | |
WO1993011057A1 (en) | Tablet dispenser | |
US4227626A (en) | Soda straw dispenser | |
EP1607664A1 (en) | Valve actuating apparatus | |
US2610767A (en) | Soap paste dispensing apparatus | |
KR200235884Y1 (ko) |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 |
US7559442B1 (en) | Laundry soap dispensing apparatus | |
US4158374A (en) | Measuring dispenser | |
KR200141598Y1 (ko) | 쌀통의 계량토출장치 | |
GB2353741A (en) | Dosing dispenser | |
JPS6130594Y2 (ko) | ||
US5238151A (en) | Push up codispensing container | |
CN216256821U (zh) | 一种防误触结构及旋转出粮装置 | |
US20230152137A1 (en) | Automatic Dispenser for Mixed Measurement of Grain | |
KR20030060595A (ko) | 정용량 토출장치를 갖는 분말용기 | |
US4232801A (en) | Portion control dressing and food dispenser | |
JP3120041B2 (ja) | 米びつ | |
KR970007114Y1 (ko) | 쌀통의 정량배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