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929Y1 - 금속구 접촉형 지진 감지기 - Google Patents

금속구 접촉형 지진 감지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929Y1
KR0118929Y1 KR2019950002470U KR19950002470U KR0118929Y1 KR 0118929 Y1 KR0118929 Y1 KR 0118929Y1 KR 2019950002470 U KR2019950002470 U KR 2019950002470U KR 19950002470 U KR19950002470 U KR 19950002470U KR 0118929 Y1 KR0118929 Y1 KR 01189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sphere
earthquake
hole
conductor
contact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2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506U (ko
Inventor
우현수
Original Assignee
최훈
삼성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훈, 삼성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훈
Priority to KR2019950002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929Y1/ko
Publication of KR9600295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5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9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929Y1/ko

Links

Landscapes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이나 빌딩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금속구 접촉형 지진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금속구가 삽입된 상태에서, 지진에 의한 진동파가 전달되면, 구멍에 있던 금속구가 주변으로 이동하여 전기적 스위치 역할을 하여 경보 회로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금속구 접촉형 지진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감지기의 구조는, 중앙부에는 하부를 향하여 구멍이 형성되고, 단부를 따라서 서로 이격된 것으로 제 1 도체가 부착된 받침 원반과, 상기 받침 원반의 구멍에 삽입되는 금속구와, 금속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하단부에 제 2 도체가 설치된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도체에는 전선이 연결되어 금속구가 이동하여 도체에 접촉함으로써 전기적 접촉을 달성한다.

Description

금속구 접촉형 지진 감지기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구 접촉형 지진 감지기의 외관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구 접촉형 지진 감지기의 평면도
제 3 도는 정상상태에서 제 2 도의 받침 원반의 중앙 부분을 따라 절취한 잘단면도.
제 4 도는 지진 발생시 금속구의 중심과 제 2도의 받침 원반의 중앙 부분을 따라 절취한 절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경보 발생 회로의 일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커버4 ; 받침 원반
6 : 케이스8 : 발광다이오드
10 : 창12 : 금속구
14 : 구멍16 : 전선
18 : 제 1 도체20 : 제 2 도체
Q1,Q2,Q3 : 트랜지스터C1,C2,C3,C4 : 콘덴서
R1,R2,R3,R4,R5 : 저항D1 :다이오드
SP : 스피커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가정이나 빌딩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금속구 접촉형 지진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금속구가 삽입된 상태에서, 지진에 의한 진동파가 전달되면, 구멍에 있던 금속구가 주변으로 이동하여 전기적 스위치 역할을 하여 경보 회로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금속구 접촉형 지진 감지기에 관한것이다.
[고안의 배경]
지진이 발생하면 그 피해는 막대한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로 직결된다. 이러한 지진의 발생을 미리 감지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막대한 비용을 연구에 투자하며, 지진파에 잘 견딜수 있는 구조를 가진 건물을 짓는데 주력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지진 발생을 연구하는 지진 관측소 등과 같은 국가기관에서 지진의 발생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을 뿐, 일반 대다수의 국민은 지진에 신경을 기울이지 않고 있는 형편이다.
1995년 1월 일본 고베시에서 발생된 진도 7의 강진은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진 대비 노력도 얼마나 무기력한 것인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특히, 지진 관측을 업무로 하는 기관에서 지진 발생에 대한 아무런 경고도 없었으므로, 대부분의 시민이 취침중이던 새벽에 발생된 지진에 의하여 다수의 시민들이 희생되었다. 특히, 시민들은 가정이나 빌딩에 특별한 지진 경보 장치를 설치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미처 경고도 받지 못한 상태에서 수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상의 피해를 당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진 발생을 인지하여 가정이나 빌딩에 설치된 경보 회로를 작동시켜 사람들에게 지진 발생을 통보할수 있는 휴대형의 금속구 접촉형 지진 감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진 발생 즉시 경보를 발생시켜서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를 최소화할수 있는 금속구 접촉형 지진 감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고안의 요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금속구 접촉형 지진 감지기는 , 지진 발생을 감지하여 스위치 동작을 하는 센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진이 발생하면 즉시 작동하여 경고음 도는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지진 경보 회로를 작동시킨다.
상기 감지기의 구조는, 중앙부에는 하부를 향하여 구멍이 형성되고, 단부를 따라서 서로 이격된 것으로 하나의 도체가 부착된 받침 원반과, 상기 받침 원반의 구멍에 삽입되는 금속구와, 금속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하단부에 제 2도체가 설치된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도체에는 전선이 연결되어 금속구가 이동하여 도체에 접촉함으로써 전기적 접촉을 달성한다.
이하 첨부된 제 1도~제 5 도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금속구 접촉형 지진 감지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안의 구체예의 설명]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금속구 접촉형 지진 감지기를 포함하는 외관사시도로서, 원통형 커버(2)의 내부에 원형의 받침 원반(4)이 설치되고, 받침 원반(4)의 하부측에는 경보 발생 회로가 내장되는 케이스(6)가 결합된다. 케이스(6)의 전면에는 발광 다이오드(8), 및 버저음을 외부로 통과시키는 창(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8)는 지진발생을 감지하면 빛을 방사하도록 구동되며, 케이스(6) 내부의 버저가 작동하여 경고음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커버(2)와 받침 원반(4)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로서 특히, 원통형 커버(2)는 투명한 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받침 원반(4)의 중앙부에는 금속구(12)가 위치하고 있으며, 받침 원반(4)의 단부측에는 원주면을 따라서 제 1도체가, 받침 원반(4)과 밀착되는 커버(2)의 단부에 제 2도체(20)가 부착된다. 제 1 도체(18)는 원반(4)의 단부에 약간 이격되어 설치되고, 제 2도체(20)는 커버(2)의 하단부에 부착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 및 제2도체(18,20)에는 경보 발생 회로에 접속되는 전선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금속구(12)는 제 2 도를 참고하면, 정상상태에서는 받침 원반(4)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받침 원반(4)의 중심부에는 상기 금속구(12)가 삽입되도록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14)의 구배는 측정하려는 지진의 강도에 따라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것은 제 3도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본 고안에서 금속구(12)는 제 1도체(18) 및 제 2도체(20)에 접촉하여 회로에 전기를 통하도록 회로를 형성하는 스위치의 역할을 한다. 또한 단부에는 제 1 및 제 2 도체(18,20)가 각각 이격되어 설치된 것을 용이하게 알수 있다.
다시 제 1 도를 참고하면, 받침 원반(4)의 단부와 밀착되어 받침 원반(4)을 고정시키고, 금속구(12)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시각적으로 확인이 용이하도록 상기 커버(2)는 무색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도 및 제 4 도는 제 2 도의 받침 원반의 중심선을 따라서 절취한 절단면도로서, 정상 상태와 지진 발생시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정상 상태에서 금속구(12)는 받침 원반(4)의 중심부에 형성된 구멍(14)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만일 지진이 발생하면, 지진 발생시 생성되는 P파, S파 가 전달된다. 이 지진파에 의하여 지각이 진동하면, 이에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여 구성된 받침 원반(4)의 금속구(12)도 진동력에 의하여 구멍(14)의 외부로 이동하게 된다.
제 4도를 참고하면, 지진의 진동력에 의하여 금속구(12)가 구멍(14) 밖으로 이탈되면, 진동에 의하여 금속구(12)는 받침 원반(4)의 일단부로 이동하여 제 1 및 제 2 도체(18,20)에 걸쳐서 위치하여 전기적 접속을 달성한다.
상기 제 1 및 제 2도체(18,20)에는 각각 전선(16)이 연결되어 있어서, 금속구(12)에 의하여 선로가 연결되어 전기가 흐르게되면, 하부에 설치된 지진 경보 회로가 작동하게 된다.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4도에서 받침 원반(4)은 지진의 진동에 의하여 약간 기울어진 상태이며,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지진 발생전의 수평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제 1도체(18)는 받침 원반(4)의 바닥 단부에 인접하여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 2도체(20)는 원통형 커버(2)의 단부주변을 따라서 역시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금속구(12)가 이동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도체(18,20)에 접촉되면 전기가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도체(18,20)의 설치 상태는 상기와 같은 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금속구(12)가 용이하게 도체에 접촉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받침 원반(4)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14)은 그것의 구배(g)를 변경할 수 있다. 즉, 구배(g)를 많이 줌으로써 강한 진동의 지진만을 측정하거나, 구배(g)를 조금 줌으로써 약한 진동의 지진도 감지하도록 구성할수 있다.이것은 측정하려는 지진의 강도에 따라서 금속구(12)의 이탈을 제한하는 것으로, 구배(g)를 변경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인간이 감지할 수 없거나, 영향이 전혀 없는 정도, 예를 들어 진도 1~3의 약진이 발생하는 경우에 경보음이 울리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경보기는 수평을 유지한 체로 놓거나, 또는 건물의 벽면에 공간을 형성하고, 그안에 취부할 수 있다.
제 5 도는 본고안에 사용된 지진 경보 회로의 일실시예로서, 3개의 트랜지스터(Q1,Q2,Q3)를 사용하여 구성한 저주파 발진기(multi-vibrator)이다. 금속구(12)가 지진에 의하여 구멍(14)을 이탈하여 한 쌍의 도체 (18,20)에 동시에 접촉되면 전원이 공급되어 스위치 작용을 하므로 트랜지스터(Q1,Q2)로 구성된 발진기에서 발진을 시작하여 트랜지스터(Q3)가 작동되어 스피커(SP)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회로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동작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스피커(SP)와 병렬로 발광 다이오드(D)와 같은 소자를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설명된 이러한 저주파 발진기나 발광다이오드는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는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지진 발생을 인지하여 가정이나 빌딩에 있도록 경보 회로를 작동시켜 사람들에게 지진 발생을 통보할 수 있으며, 지진 발생 즉시 경보를 발생시켜서 인명과 재산상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되어져야 한다.

Claims (3)

  1. 중앙부에는 하부를 향하여 일정한 구배(g)를 가진 구멍(14)이 형성되고, 단부에 인접한 원주면을 따라서 제 1 도체(18)가 부착된 부도체의 받침원반(4); 상기 받침 원반(4)의 구멍에 삽입되는 금속구(12) ; 및 상기 받침 원반(4)의 단부와 밀착되며 하단부에 제 2도체(20)가 원주를 따라서 부착된 원통형 커버(2)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도체(18,20)에 전선이 연결되어 금속구가 이동하여 도체에 접촉함으로써 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구 접촉형 지진 감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도체(18,20)의 타단부가 경보 회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구 접촉형 지진 감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원반(4)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14)의 구배(g)를 변화시킴으로써 지진의 진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구 접촉형 지진 감지기.
KR2019950002470U 1995-02-16 1995-02-16 금속구 접촉형 지진 감지기 KR01189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470U KR0118929Y1 (ko) 1995-02-16 1995-02-16 금속구 접촉형 지진 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470U KR0118929Y1 (ko) 1995-02-16 1995-02-16 금속구 접촉형 지진 감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506U KR960029506U (ko) 1996-09-17
KR0118929Y1 true KR0118929Y1 (ko) 1998-07-01

Family

ID=6085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2470U KR0118929Y1 (ko) 1995-02-16 1995-02-16 금속구 접촉형 지진 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92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531B1 (ko) * 2020-09-24 2021-12-01 주식회사 주왕산업 함체의 진동감지 및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506U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1417B2 (ja) 地震が生成したp波を検出し、応答制御信号を生成するセンサ装置と方法
CN101069363B (zh) 用于唤醒人的方法和设备
CA2645370C (en) Sensor for detecting leakage of a liquid
KR970049923A (ko) 흰개미 검출장치와, 이 흰개미 검출장치를 사용한 흰개미 경보장치
US20150199919A1 (en) Alarm Monitoring System
US4764762A (en) Earthquake alarm assembly
AU2008101268A4 (en) A compact smoke alarm
US5539387A (en) Earthquake sensor
KR0118929Y1 (ko) 금속구 접촉형 지진 감지기
CN204706148U (zh) 地震监测仪
JP2000048268A (ja) ガラス破壊検出器
AU721303B2 (en) Earthquake sensor
JPH1062234A (ja) 簡易型地震感知警報器
CN213069199U (zh) 地震感应仪
JP3134344U (ja) 地震警報時計
CN2093422U (zh) 带有电子门铃的地震报警装置
EP0322204A2 (en) Detector unit and system
CN110070698A (zh) 具有驱蚊、驱鼠功能的可燃气体报警器
CN203038430U (zh) 地震声光报警仪
RU95880U1 (ru) Сейсмический извещатель
JPH08313336A (ja) 振動検出装置
CN2060556U (zh) 家庭地震报警器
WO1996027865A1 (en) Earthquake sensor
CN87208610U (zh) 防盗报警器
HRP20010231A2 (en) Simple earthquake signal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