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788Y1 - 식기 세척기의 도어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의 도어 안전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788Y1
KR0118788Y1 KR2019930000334U KR930000334U KR0118788Y1 KR 0118788 Y1 KR0118788 Y1 KR 0118788Y1 KR 2019930000334 U KR2019930000334 U KR 2019930000334U KR 930000334 U KR930000334 U KR 930000334U KR 0118788 Y1 KR0118788 Y1 KR 01187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micro switch
opening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03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8958U (ko
Inventor
한우정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003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788Y1/ko
Publication of KR9400189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89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7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7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2Loading doors, e.g. door latches, inflatable door seal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용 식기세척기에 사용되는 도어 (Door)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핸들을 통해 잠금장치의 해정과 마이크로스위치를 동작시키는 푸쉬-롤(PUSH-PULL)방식의 도어 안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잠금장치만을 해정시키고, 별도의 3개의 링크로 연결된 개폐수단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의 도어(Door) 안전장치
제 1 도(a)는 본 고안 도어 안전장치에 의해 도어의 잠긴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b)는 본 고안 도어 안전장치에 의해 도어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제 2 도(a)(b)는 종래 도어 안전장치의 구성 및 동작관계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20 : 세척기 케이스
30 : 핸들 40 : 잠금장치
50 : 마이크로 스위치 61, 62 : 브라켓
63, 64, 65 : 링크
본 고안은 가정용 식기 세척기에 사용되는 도어(Door)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푸쉬 풀(Push-Pull) 방식으로 도어를 개페하는 도어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의 구조 및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세척기내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펌프와, 적제된 식기에 일정압력으로 노즐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세척펌프와, 세촉조내에 세척수의 배수를 위한 배수펌프와, 식기의 건조를 위한 히터로 구성한다.
상기 세척기 동작 순서를 보면 먼저 세척조 내에 세척수를 채워 놓는 급수행정을 마친 다음 세척 펌프의 작동으로 상,하에 구성된 분사노즐을 통해 식기를 세척하는 세척행정을 행한다.
이때 세척조 안에 일정수위 이상이 되면 모든 작동이 중지되고 배수펌프를 작동시켜 세척수를 배수한다.
세척행정을 끝낸다음 헹굼행정을 거쳐 건조행정을 행한다.
건조행정이 시작되면 히터가 작동에 의해 식기와 세척조 내벽의 물방울이 증발하여 세척조 내부의 공기가 고온 다습해진다.
이 고온다습한 공기는 건조모터에 의해 유입된 차거운 공기와 접촉하여 응축현상이 발생하므로써 세탁조내의 습도가 낮아진다.
이때 세탁조 측벽의 구멍을 통해 일부 습한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켜 모든 행정을 마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행정중 안전장치로 온도 휴즈(FUSE)와 도어 마이크로 스위치가 있다.
온도 휴즈는 히터의 이상과 히터 구동 릴레이의 쇼트(SHORT)는 물론 기타 제품내 회로상에 이상이 발생하였을때 제품의 과열을 방지한다.
상기 도어 마이크로 스위치는 세척기의 동작 중 소비자가 도어를 열 경우를 감안하여 자동으로 동작된다.
이 마이크로 스위치는 세척펌프, 배수펌프, 히터, 급수밸브등의 구동부 전원을 직접 차단하고 마이콤에 도어 개폐신호를 보내어 마이콤의 제어로 동작이 멈추도록 한다.
제 2 도 (a)(b)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가 장착된 도어 안전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어(1)를 열기 위해서는 손잡이 홈(1a)에 손을 집어넣어 핸들(3)을 잡아당긴다.
이때 핸들(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부에 잠금장치(4)를 해정하는 동시에 핸들(3) 일단에 연결된 마이크로 스위치(5)를 동작시킨다.
상기 잠금장치(4)와 마이크로 스위치(5)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동작된다.
제2도의 (b)는 상기 잠금장치(4)가 해정되고 마이크로 스위치(5)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안전도어장치는 도어의 잠금장치(4)가 해정되는 시점과 마이크로스위치(5)를 통한 세척기의 동작정지시점이 거의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세척 행정시 도어(1)를 열게 되면 세척펌프의 동작은 정지되지만 세척펌프를 통과한 세척수는 노즐을 통해 일순간 계속 분사된다.
즉, 상기 안전도어장치는 잠금장치(4)의 해정과 동시에 도어(1)를 급히 열 경우 세척기 본체(3) 내부에서 물이 외부로 분사되어 나와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을 안겨주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의 오픈시 세척수의 분사를 방지하도록 핸들은 잠금장치만을 해정하는 기능을 하고, 이와는 별도로 설치 구성된 개폐수단에 의해 마이크로스위치가 작동됨은 물론 상기 핸들의 작동을 통제하는 잠금기능을 하는 세척기의 도어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핸들(30)의 하측부에 설치되며, 별도의 길이가 다른 3개의 링크(63,64,65)로 연결 구성하되 상기 링크(63)중 하나를 상기 핸들(30)의 하부 전면에 브라켓(61)을 통해 고정하고, 다른 하나를 소정간격을 두고 마이크로 스위치(50)에 전면에 브라켓(62)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50)를 동작시키며, 핸들(30)의 후측단에 걸리어 작동을 통제하도록 하여 도어의 오픈시 상기 핸들의 동작보다 선행되도록 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개폐수단의 상측부에 설치되며, 단순히 상기 잠금장치의 해정기능만을 하는 핸들(30)로 구성되어 상기 핸들은 잠금장치의 해정기능만을 하도록 하며, 별도의 개폐장치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를 작동하여 반드시 도어가 닫혀 감겨진 상태에서만 가동이 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도 (a)(b)는 본 고안의 구성과 동작관계는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핸들(30)은 도어잠금장치(40)에만 연결되고 마이크로 스위치와는 별도의 개폐수단에 의해 동작된다.
상기 개폐수단은 3개의 링크(63,64,65) 연결하고 브라켓(61,62)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링크 63은 상기 브라켓 61에 연결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핸들(30)하부에 위치시킨다.
따라서, 상기 핸들(30)은 상기 링크(63)를 밀어 넣지 않으면 동작되지 않는다.
상기 링크 65는 링크 64에 의해 링크 63과 연결되며 소정간격을 두고 브라켓(62)에 의해 고정되어 링크 63의 동작에 따라 마이크로 스위치(50)를 작동시킨다.
상기 브라켓(61)은 링크(63)와 스프링(66)을 연결하여 링크의 탄성 회복력을 갖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도어(10)를 열기 위해서는 손잡이부분(10a)에 손을 집어 넣은후 링크(63)를 밀어 넣고 핸들(30)을 잡아당긴다.
이때 상기 링크(63,64,65)의 연계되는 동작으로 마이크로스위치(50)를 작동시키고 상기 핸들(30)에 의해 잠금장치(4)를 해제시킨다.
이와같은 동작은 언제나 링크의 작동으로 세척펌프와 마이콤의 동작중지가 선행되기 때문에 도어(10)가 열리는 시점과 마이크로 스위치(50)에 의해 시간적 차이를 두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어를 열더라도 세척수가 세척기 본체(20) 외부로 분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전자렌지나 오븐의 도어 안전장치에 응용되어 사용할 수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도어와 본체가 잠금장치에 의해 잠금 및 해제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잠금장치의 작동을 위한 핸들과 상기 본체내의 전기부품에 대한 전기 공급 및 차단을 위한 마이크로스위치가 설치된 푸시-풀(PUSH-PULL)방식의 식기세척기 도어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과 별도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를 조작하는 개페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수단은 3개의 링크로 구성되되, 상기 링크들중 하나는 상기 도어의 열림동작시 상기 핸들보다 먼저 조작되도록 상기 핸들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다른 링크들중 하나는 먼저 조작된 상기 링크와 연계하여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를 조작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열 경우에 먼저 상기 개폐수단이 작동되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를 조작시킨 상태에서 상기 핸들이 작동되어 상기 잠금장치를 조작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도어 안전장치.
KR2019930000334U 1993-01-12 1993-01-12 식기 세척기의 도어 안전장치 KR01187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334U KR0118788Y1 (ko) 1993-01-12 1993-01-12 식기 세척기의 도어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334U KR0118788Y1 (ko) 1993-01-12 1993-01-12 식기 세척기의 도어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958U KR940018958U (ko) 1994-08-16
KR0118788Y1 true KR0118788Y1 (ko) 1998-07-15

Family

ID=19349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0334U KR0118788Y1 (ko) 1993-01-12 1993-01-12 식기 세척기의 도어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78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958U (ko) 1994-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07961A (en) Dishwasher
KR20090123936A (ko) 구성 요소, 특히 응축기 장치의 증발기를 세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건조기 또는 회전식 건조기
US4149657A (en) Dishwasher additive dispensing apparatus
KR20040046941A (ko) 식기세척기의 증기 배출장치
KR20070084898A (ko) 식기세척기의 도어힌지어셈블리
US7552738B2 (en) Dishwasher and door locking device for the same
KR0118788Y1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안전장치
US7628162B2 (en) Dish washer and blower cover thereof
KR20070078131A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폐 장치
JP2003088488A (ja) 食器洗い機
KR100519324B1 (ko) 식기세척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KR20100086892A (ko) 식기세척기의 도어개방방지를 위한 운전방법
KR19980057010U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개방장치
KR100198398B1 (ko) 마이크로 버블 방식의 세탁기
JP2910168B2 (ja) 食器洗い機
JP3284975B2 (ja) 食器洗い機
JPH03207329A (ja) 食器洗浄機
KR200154938Y1 (ko) 세탁기의 급수노즐 체결장치
KR100946855B1 (ko) 식기 세정기
JPH0223924A (ja) 食器洗浄機
JPH0852103A (ja) 食器洗浄機
KR19990010253U (ko) 식기세척기의 안전장치
KR890003639Y1 (ko) 식기세척기의 물분사 및 배수장치
KR19980045339U (ko) 식기 세척기의 안전 장치
KR20050114376A (ko) 드럼세탁기의 배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