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538Y1 - 자동차의 도어로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로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538Y1
KR0118538Y1 KR2019940032866U KR19940032866U KR0118538Y1 KR 0118538 Y1 KR0118538 Y1 KR 0118538Y1 KR 2019940032866 U KR2019940032866 U KR 2019940032866U KR 19940032866 U KR19940032866 U KR 19940032866U KR 0118538 Y1 KR0118538 Y1 KR 0118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iece
pin
driving pie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28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990U (ko
Inventor
이재규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328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538Y1/ko
Publication of KR9600229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9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5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로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핸들이나 외부핸들과 직결되는 링크체와 래치측 링크체와의 사이에 다수의 중간링크체를 연결 설치하여 각각의 중간링크제가 갖는 상호 보완적인 연동구조를 통한 효율적인 전동경로가 갖추어지게 하고, 안전노브나 키 측의 각 와이어를 각각 별개의 링크체에 연결 설치하여 각 링크체를 단속하는 구속력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게 함으로서, 도어 개폐시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개폐조작을 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도어 로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로크장치
도면은 본 고안의 도어로크장치에 대한 구성도로서
(a)는 열림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b)는 잠김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플레이트 12a,12b,12c,12d:핀
14:제1링크 14a:제1작동구멍부
16:제1구동편 17:제2구동편
17a:제2작동구멍부 18:제1연결편
18a:제3작동구멍부 20:제2링크
22:제3구동편 22a,22a':제4작동구멍부
24:제3링크 30:제1작동핀
32:제2작동핀 40,42:오목부
44:제4링크 45,46:접촉면
48:제5링크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로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폐조작력에 대한 전동효율을 극대화하여 도어 개폐시 소요되는 힘을 최대한 저감시킬 수 있게 한 도어 로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대부분의 도어 로크장치는 개폐 시동요소 예컨대, 내측핸들이나 외측핸들과 직결되는 링크체가 복원스프링에 의한 탄성지지를 받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이러한 링크체는 하나 정도의 중간링크체를 매개로 하여 곧바로 래치측 링크체와 접동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개폐작동을 단속하는 안전노브, 키, 액추에이터측의 각각의 와이어가 하나의 링크체상에 편중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도어를 개폐할 때 상당한 개폐 조작력을 필요로 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내부핸들이나 외부핸들과 직결되는 링크체와 래치측 링크체와의 사이에 다수의 중간링크체를 연결 설치하여 각각의 중간링크체가 갖는 상호 보완적인 연동구조를 통한 효율적인 전동경로가 갖추어지게 하고, 안전노브나 키 측의 각 와이어를 각각 별개의 링크체에 연결 설치하여 각 링크체를 단속하는 구속력이 한 곳에 집중되지 않게 함으로서, 도어 개폐시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개폐조작을 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도어 로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어 안쪽에 설치된 고정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에 고정된 다수개의 핀과, 이 핀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개의 링크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승합차의 도어를 로크/언로크하도록 하는 도어로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0)에 고정된 핀(12a),(12b),(12c),(12d)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링크(14)와, 제1 및 제2구동편(16),(17)과, 제1연결편(18)과, 내부 안전노브에 연결되는 제2링크(20)와, 제3구동편(22) 및 외부 핸들레버에 연결된 제3링크(24)와, 상기 제1링크(14)의 끝단은 폐쇄된 제1작동구멍부(14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1작동구멍부(14a)에 교차 위치하는 제2구동편(17)의 제2작동구멍부(17a)와, 상기 양 구멍부(14a),(17a)내에서 자유운동을 하는 제1작동핀(30)과, 상기 제1연결편(18)은 내부 안전노브에 연결된 제2링크(20)와 링크연결되는 상단부와, 폐쇄된 제3작동구멍부(18a)가 형성되어 있는 중단부와, 키구멍부의 와이어(W)에 연결되는 하단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3작동구멍부(18a)에 교차위치하며 제3구동편(22)의 일측부에 역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4작동구멍부(22a)와, 상기 양 구멍부(18a),(22a)내에서 자유운동을 하는 제2작동핀(32)과, 상기 제1구동편(16) 및 제3링크(24)는 상기 제1작동핀(30) 및 제2작동핀(32)과 대응하는 부위에 오목부(40),(42)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제2구동편(17)과 제3구동편(22)을 링크연결하는 제4링크(44)로 구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도로서, 상기 설치판(10)상의 측단에 고정되어 있는 핀(12a)에는 어린이 보호용 안전노브측과 연동되는 제1링크(14)가 일정각도 좌,우 요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제1작동구멍부(14a)가 형성되어 있는 일측 끝단부는 이 제1작동구멍부(14a)를 이용하여 제1작동핀(30)을 감싸면서 후술하는 제1구동편(16)과 제2구동편(17)사이에 위치되어져 제1작동핀(30)과 함께 유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설치판(10)상의 하단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핀(12c)에는 순차적으로 중첩된 제2구동편(17),제1구동편(16),제1연결편(18)이 동시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의 상기 제2구동편(17)과 제1구동편(16)은 하단부가 결합되며, 각각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링크(14)의 회전궤적을 따라 경사진 자세를 취하면서 제1작동핀(30)을 포함하는 제2작동구멍부(17a)와, 내부 핸들측의 와이어(W)에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내부 핸들조작에 의한 제1구동편(16)의 회동에 따라 제1작동핀(30)을 매개로 한 제2구동편(17)의 연계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구동편(17)의 상단 일측면부는 제1작동핀(30)이 정상적인 위치상태 예컨대, 제1링크(14)에 의한 단속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맞접촉이 가능한 제1접촉면(45)을 갖고 있으며, 이와는 달리 제1작동핀(30)이 비정상적인 위치 상태 예컨대, 제1링크(14)에 의한 단속작용이 이루어진 상태에 있을 때 즉, 제1작동핀(30)이 제2구동편(17)의 제2작동구멍부(17a)내에서 위치이동하여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을 때 이때의 핀과의 접동관계가 불가능한 오목부(4)가 상기 접촉면(45)과 연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2구동편(17) 상단부의 수평 연장편은 제4링크(44)를 사이에 두고 후술하는 제3구동편(22)과 연결되어 있어서, 상술한 운동력이 이때의 제3구동편(22)으로 전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편(18)은 중심부가 결합되며, 각각의 상단부, 중단부 및 하단부는 설치판(10)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는 핀(12b)에 의해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도록 그 중심이 결합된 제2링크(20)와, 후술하는 제3구동편(22) 및 래치측의 제5링크(48)가 일체 동작될 수 있도록 결속지어주는 제2작동핀(32)과, 키구멍부에 연결된 와이어(W)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구조를 갖는 제1연결편(18)은 내부 안전노브의 조작이나 키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어느 한 방향 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의 작동방향을 가지면서 중단부의 제3작동구멍부(18a)내에 위치되어 있는 제2작동핀(32)을 아래쪽으로 위치 이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래치의 잠금해제를 결정해주는 제5링크(48)로의 전동이 차단되게 된다.
또한, 설치판(10)상의 하단 다른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핀(12d)에는 저부에서부터 차례로 중첩된 제5링크(48), 제3구동편(22), 제3링크(24)가 동시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5링브(48)와 제3구동편(22)는 하단부가 결합되며, 각각의 상단부에는 래치측의 와이어(W)에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구와, 상기 제1연결편(18)의 회전궤적과 자체 회전궤적을 따라 경사진 자세를 취하면서 상호 연통되는 2축방향의 제4작동구멍(2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때의 제3구동편(22)과 제5링크(48)는 상기한 제4작동구멍(22a)내의 제2작동핀(32)를 통해 선택적으로 일체 동작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즉, 상기 제2작동핀(32)이 제1연결편(18)의 회전궤적과 동일한 제4작동구멍부(22a)상에 위치되면 제3구동편(22)의 작동에 의한 제5링크(48)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제3구동편(22)의 회전궤적과 동일한 제4작동구멍부(22a')상에 위치되면 제3구동편(22)의 작동에 의한 제5링크(48)의 작동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3구동편(22) 상단부의 수평연장편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구동편(17)에 일단 연결되어 있는 제4링크(44)의 다른 일단과 연결되어 있어서, 제2구동편(17)과 제3구동편(22) 사이에 전동관계가 성립된다.
또한, 상기 제3링크(24)는 중심부가 핀(12d)결합되어 이 핀결합부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요동될 수 있게 되며, 수평연장된 하단부는 외부핸들레버측과, 수직연장된 상단부는 상기한 제5링크(48), 제3구동편(22), 제1연결편(18)상에 동시 결착된 제2작동핀(32)과 각각 접동되면서, 외부핸들레버의 조작력을 상기 제3구동편(22)과 제5링크(48)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3링크(24)의 상단 일측면부는 위,아래로 연접 형성된 접촉면(47)과 오목부(42)를 갖고 있으며, 제2작동핀(32)의 위치 선정에 따라 전동이 이루어지거나 그렇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제2작동핀(32)이 접촉면(47)의 회전경로 상에 위치하게 되면 접촉면(46)과의 접동에 의한 제3구동편(22) 및 제5링크(48)로의 전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제2작동핀(32)이 오목부(42)의 회전경로상에 위치하게 되면 이때의 제2작동핀(32)과 오목부(42)가 갖는 깊이만큼의 회전행정을 갖는 제3링크(24)와는 접동되지 않게 되므로 제5링크(48)는 물론 제3구동편(22)으로의 전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도어 로크장치에 대한 작동과정을 첨부도면의 (a)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핸들 조작을 통하여 래치가 해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차외부에서 탑승자가 외부핸들을 잡아당기게 되면 여기에 연동되는 외부 핸들레버는 상기 제3링크(24)의 수평연장된 하단부 윗면을 하방으로 누르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3링크(24)는 핀(12d)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단부의 제2접촉면(46)을 이용하여 제2작동핀(32)과 이에 결속된 제3구동편(22) 및 그 저부의 제4링크(48)를 동시에 우측으로 밀게 되므로서, 상기 제5링크(48)의 회전에 의한 래치의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이때의 상기 제2작동핀(32)은 상기 제1연결편(18)의 중단부에 형성된 제3작동구멍부(18a)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되므로서, 제1연결편(18)에는 작동상의 어떠한 간섭이나 영향을 주지 않게 되는 한편, 제3구동편(22)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는 제4링크(44) 및 제2구동편(17)도 이 제2구동편(17)이 갖고 있는 제1작동구멍부(14a)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제1작동핀(30)이 유동되므로서, 이와 상호 연동관계에 있는 제1구동편(16)에는 작동상의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또한, 내부핸들 조작을 통하여 래치가 해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차 내부에서 탑승자가 내부핸들을 잡아당기게 되면, 여기에 연결된 와이어(W)가 당겨지면서 상기 제1구동편(16)은 핀(12c)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때 제1구동편(16) 상단 측면부의 제1접촉편(45)은 그 진행경로상의 앞쪽으로 위치한 제1작동핀(30)을 우측으로 밀게 되며, 이와 같은 제1작동핀(30)의 유동에 의해서 제2구동편(17)과, 제4링크(44)를 통한 제3구동편(22)과, 제2작동핀(32)을 통한 제5링크(48)로 순차적인 전동이 이루어져 래치의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첨부도면의 (b)에서는 내부 안전노브, 어린이 보호용 안전노브, 키의 조작에 따라 각각의 링크(14,20)와 연결편(18)이 작동되어 내,외부 핸들을 조작해도 래치의 해제가 이루어지지않게 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상기 어린이 보호용 안전노브의 조작에 따라 제1링크(14)가 핀(12a)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작동구멍부(14a)내의 제1작동핀(30)을 제2구동편(17)에 형성되어 있는 제2작동구멍부(17a)의 윗쪽에서 아랫쪽으로 위치 이동시키게 되면, 이때의 제1작동편(30)은 내부 핸들레버의 조작에 따라 회동되는 제1구동편(16)의 오목부(40)가 갖는 회전 궤적상에 위치하게 되므로서, 제2구동편(17)으로의 전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 안전노브나 키의 조작에 따라 제1연결편(18)이 핀(12c)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3작동구멍부(18a)내의 제2작동핀(32)을 상기 제3구동편(22)의 제4작동구멍부(22a) 아래쪽으로 위치 이동시키게 되면, 이때의 제2작동핀(32)도 외부 핸들레버의 조작에 따라 회동되는 제3링크(24)의 오목부(42)가 갖는 회전 궤적상에 위치하게 되므로서, 제3구동편(22)으로의 전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때, 제1링크(14)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내부핸들 조작에 따라 제1구동편(16), 제1작동핀(30)을 통한 제2구동편(17), 제4링크(44)를 통한 제3구동편(22)으로 연동되는 전동경로가 이루어져 상기 제3구동편(2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이때의 제2작동핀(32)은 제3구동편(22)의 회전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4작동구멍부(22a')내에서 상대적으로 위치 이동되므로서, 제5링크(48)로의 전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내,외부핸들의 조작에 따라 직결 연동되는 구동체 및 링크체와 래치를 직접적으로 해제시켜 주는 최종 링크체와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체 및 링크체를 통한 전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도어 개폐시 소요되는 핸들 조작력이 최대한 저감될 수 있게 함으로써, 승,하차시 간편하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도어 안쪽에 설치된 고정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에 고정된 다수개의 핀과, 이 핀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개의 링크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승합차의 도어를 로크/언로크하도록 도어 로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0)에 고정된 핀(12a),(12b),(12c),(12d)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링크(14)와, 제1 및 제2구동편(16),(17)과, 제1연결편(18)과, 내부 안전노브에 연결되는 제2링크(20)와, 제3구동편(22) 및 외부 핸들레버에 연결된 제3링크(24)와, 상기 제1링크(14)의 끝단은 폐쇄된 제1작동구멍부(14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1작동구멍부(14a)에 교차 위치하는 제2구동편(17)의 제2작동구멍부(17a)와, 상기 양 구멍부(14a),(17a)내에서 자유운동을 하는 제1작동핀(30)과, 상기 제1연결편(18)은 내부 안전노브에 연결된 제2링크(20)와 링크연결되는 상단부와, 폐쇄된 제3작동구멍부(18a)가 형성되어 있는 중단부와, 키구멍부의 와이어(W)에 연결되는 하단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3작동구멍부(18a)에 교차 위치하며 제3구동편(22)의 일측부에 역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4작동구멍부(22a)와, 상기 양 구멍부(18a),(22a)내에서 자유운동을 하는 제2작동핀(32)과, 상기 제1구동편(16) 및 제3링크(24)는 상기 제1작동핀(30) 및 제2작동핀(32)과 대응하는 부위에 오목부(40),(42)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제2구동편(17)과 제3구동편(22)을 링크연결하는 제4링크(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로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구멍부(14a)와 제3작동구멍부(18a)는 각각 제1구동편(16)의 상단 접촉면(45)과 제3링크(24)의 상단접촉면(46)이 갖는 회전경로선상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로크장치.
KR2019940032866U 1994-12-05 1994-12-05 자동차의 도어로크장치 KR01185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866U KR0118538Y1 (ko) 1994-12-05 1994-12-05 자동차의 도어로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866U KR0118538Y1 (ko) 1994-12-05 1994-12-05 자동차의 도어로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990U KR960022990U (ko) 1996-07-20
KR0118538Y1 true KR0118538Y1 (ko) 1998-08-01

Family

ID=19400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2866U KR0118538Y1 (ko) 1994-12-05 1994-12-05 자동차의 도어로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53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990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2613A (en) Motor vehicle door lock or the like
US10890018B2 (en) Double pull hood latch with interlock device
EP1119676B1 (en) Vehicle door latch
US7621571B2 (en) Door lock system
US5667260A (en) Motor vehicle door lock with a rotary central interlock
US5117665A (en) Vehicle door lock system
RU2413825C2 (ru) Автомобиль и дверной замок для двери автомобиля
JPH09511290A (ja) 車両のドアロック・アクチュエータ
CN101158257B (zh) 门锁装置
US6045168A (en) Door latch with improved double lock
EP1097283B1 (en) Vehicle door latch
JPH04261983A (ja) 補助モータを備えた錠装置
KR20060048346A (ko) 자동차의 잠금 장치
JPS6252885B2 (ko)
WO2000079079A1 (en) Vehicle door latch assembly
US20160251877A1 (en) Locking unit for a motor vehicle
US6655179B2 (en) Automotive door lock assembly
US7086257B2 (en) Lock system with a function controlling mechanism
JP3921043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WO1990005822A1 (en) Door locking systems for motor vehicles
EP1121503B1 (en) Door latch
CN104100155B (zh) 车门锁系统
KR0118538Y1 (ko) 자동차의 도어로크장치
JP2021095832A (ja) トランクラッチ非常時開放構造
JP2021055493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