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150Y1 - 개페막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개페막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150Y1
KR0118150Y1 KR2019950004150U KR19950004150U KR0118150Y1 KR 0118150 Y1 KR0118150 Y1 KR 0118150Y1 KR 2019950004150 U KR2019950004150 U KR 2019950004150U KR 19950004150 U KR19950004150 U KR 19950004150U KR 0118150 Y1 KR0118150 Y1 KR 0118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ensing
closing
cam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4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0002U (ko
Inventor
이해극
Original Assignee
이해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극 filed Critical 이해극
Priority to KR2019950004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150Y1/ko
Publication of KR9600300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00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1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Arrangement of curtain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폐막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개폐막 개폐장치는 개폐막의 개폐종단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는 본체케이스를 분해하여조절한 다음 재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체케이스를 분해하지 않고서도 개폐종단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나 이 또한 온실등의 천정곡부에 설치된 개폐장치의 경우 조절용 공구 삽입공의 위치나 조절상태의 확인이 어려워 그 작업이 곤란하게 되며, 또한 높은 곳에서 사다리에 의존하여 작업을 하는 관계로 낙상 등 안전사고를 일으킬 염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개폐종단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본체케이스의 전면측에서 접근하여 간편,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개방종단위치 감지용 캠기어와 폐쇄종 단위치 감지용 캠기어의 색상을 달리하여 혼동하는 일이 없게 하며 눈금을 표시하여 조절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폐 종단위치의 조절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Description

개폐막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개폐막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종단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종단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개폐장치의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케이스 20 : 권취축
30 : 권취구동수단 31 : 구동모터
32 : 회전축 32 : 권취구동용 웜힐
34 : 권취구동용 윔휠 40 : 감지수단
41 : 감지부케이스 42a,42b : 공구삽입공
42a',42b' : 마개 43 : 감지용 웜
44a,44b : 공구안내관부 45a, 45b : 감지용전동기어
46a,46b : 웜기어부 47a,47b : 베벨기어부
50a,50b : 감지용 캠기어 51a,51b : 공구홈
52a,52b : 베벨기어부 53a,53b : 캠부
53a',53b' :스위칭 돌기 56 : 탄성부재
57a, 57b : 마이크로 스위치 57a',57b' : 작동레버
본 고안은 온실이나 축사의 온,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개폐막을 권취하여 외기의 온도, 습도, 바람등의 기후조건에 따라 개폐막을 자동적으로 개폐, 조절하는 개폐막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개폐하고자 하는 종단을 신속,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온실이나 축사의 온, 습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개폐막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온실이나 가축을 사육하기 위한 축사의 내부 온,습도는 동,식물의 생장환경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조건중의 하나이며 이를 위하여 환기는 필수적인 요건이다.
따라서 온실이나 축사내의 온, 습도와 환기를 제어하기 위하여는 측벽에 비닐이나 천으로 된 개폐막을 설치하고 내부의 온,습도의 조절 또는 환기릉 위하여 개폐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영농관리자나 사유관리자가 경험에 의존하여 단순히 수작업으로 걷어올렸다 내렸다 하는 것에 의하여 이를 수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 식물의 생장에 적합한 조건을 유지하기 어려웠고, 이에 따라 식물의 수확량이 줄어들고 가축의 성장이 늦어지게 되며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날로 심각해지는 농촌의 인력란은 물론 우루과이 라운드 등 국제적인 수입개방에 비추어 볼 때 영농관리자나 사육관리자가 온실이나 축사의 온,습도 등을 수시로 점검하면서 일일이 개폐하여야 하므로 인력소모가 크게 되어 영농비의 증가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수확량과 품질의 저하로 인하여 농축산업의 국제 경쟁력이 저하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유리창으로 된 온실 시스템을 외국으로부터 도입한 바 있으나, 이는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지 않아 효과를 얻지 못하고 외화만 낭비한 채 철거하는 사례가 있었다.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자는 1992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5559호 및 1994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6696호와 같이 개폐막을 자동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개폐장치를 안출한바 있다.
그러나 이 장치는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원가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장치에서는 개폐종단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는 개폐기를 분해하여 그 위치를 조절한 다음 재 조립하여야 하는바, 온실에 설치한 경우 측면의 개폐막을 개폐하는 개폐기는 그 양측으로의 접근이 용이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으나 지붕의 곡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기는 지상 2∼5m의 높은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다
리등에 의지한 채 개폐기를 분해하고 개폐종단위치를 조절한 다음 재 조립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낙상등의 안전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994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3927호와 부품수가 작고 구조가 간단하며 개폐기를 분해하지 않고서도개폐종단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안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개폐종단을 조절하기 위하여는 개폐종단위치 감지부를 구성하는 지지축을 양측에서 눌러서 돌리는 것에 의하여 개폐종단위치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온실이나 축사에 설치하였을 경우 개폐종
단위치 조절이 매우 불편하고 어려우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었다.
즉, 개폐기 케이스의 양측면에는 공구삽입공이 각각 천공되어 있는 바, 일측면은 바깥쪽을 향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접근 및 조절작업이 용이하다고 할 수 있으나 타측면은 안쪽을 향하기 때문에 육안으로 찾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공구의 삽입이 난이하여 지상 2m∼5m의 높은 위치에서 사다리에 의존한 때 조절작업을 하는데에는 어려움과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더욱이 다중 개폐막을 설치한 경우(제5도의 우측 도면 참조) 지붕의 다중 개폐막간의간격은 불과 15∼20cm 정도로서 작업자의 머리가 들어갈 수도 없어 공구삽입공을 찾을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공구를 삽입하는데도 어려움이 있어 개폐작업이 매우 불편하며 또한 작업위치가 지상 2m∼5m 이상의 높은 곳에서 사다리에 의존하여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상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또한 조절과정에서 조절된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락 감각적으로 조절한 다음 개폐기를 작동시켜 실제개폐막의 개폐종단위치를 확인한 다음 재차 수정 조작을 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부품수가 작고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개폐종단의 조절작업을 매우 간편하고 정확하며 안전하게 수행 할 수 있도록 한 개폐막 개폐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측에 지지대 연결관부가 형성된 본체케이스와, 이 본체케이스의 전, 후면에 관통돌출되어 후단부에는 권취봉이 연결되는 권취축과, 상기 본체케이스의 저면에 부착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설치된 권취구동용 웜과 상기 권취축에 고정설치되어 권취구동용 웜에 맞물리는 권취구동용 웜휠로 되는 권취수동수단 및, 상기 본체케이스의 전면에 부착되며 그 전면에 한쌍의 공구삽입공이 천공된 감지부케이스와 상기 권취축의 전단부에형성된 감지용 웜과 상기 감지부 케이스내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감지용 웜에 양측에서 맞물리는 한쌍의 감지용 전동기어와 이 감지용 전동기에 맞물려 회전되는 감지용캠기어와 이 감지용 캠기어를 상시 감지용 전동기어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와 감지용 캠기어에 의하여 작동되는 마이크로 스위치로 되는 감지수단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막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의한 개폐막 개폐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부해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종단 정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횡단면도이고,제4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종단측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부(11)를 가지는 본체케이스(10)와, 이 본체케이스(1)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돌출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축(20)과, 이 권취축(20)을 정역회전시키는 권취구동수단(30)과, 이 권취구동수단(30)에 연동되어 개폐막의 개폐종단위치를 감지하는 개폐종단위치 감지수단(40)으로 구성된다.
상기본체케이스(10)에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양측면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기를 지지하는 지지봉(12)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부(13)(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봉(12)은 개폐기가 일정한 궤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5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신축식이나 굴적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권취축(20)의 한쪽 돌출단에는 권취봉(22)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21)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권취구동수단(30)은 본체케이스(10)의 저면에 고정되어 그 회전축(32)이 본체케이스(10)내부로 돌입되는 구동모터(31)와, 상기 회전축(31)에 일체로 형성된 권취구동용 웜(33)과, 상기 권취축(20)에 고정되어 권취구동용 웜(33)과 맞물리는 권취구동용 웜훨(34)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종단 감지수단(40)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전면에 부착되며 그 전면에 조절용 공구삽입공(42a, 42b)이 천공된 감지부 케이스(41)와, 이 감지부 케이스(41)의 내부에 위치하는 권취축(20)의 다른 한쪽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감지용 웜(43)과, 상기 감지부케이스(41)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감지용 웜(43)의 양측에서 이에 맞물려 회전되는 한쌍의 감지용 전동기어(45a,45b)와, 상기 감지용 케이스(41)의 공구삽임공(42a,42b)와 동축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감지용 전동기어(45a, 45b)에 각각 맞물리며 전면 중심부에 공구홈(51a,51b)이 각각 형성된 감지용 캠기어(50a,50b)와, 상기 감지용 캠기어(50a,50b)를 상시 감지용 전동기어(45a,45b)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56a,56b) 및, 상기감지용캠기어(50a,50B)에
의하여 작동되는 마이크로 스위치(57a, 57b)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부케이스(41)는 전체적으로 투명한 재질의 것을 사용하거나 적어도 감지용 캠기어(50a, 50b)의 전면에 해당되는 부분을 투명한 재질로 함으로써 외부에서 감지용 캠기어(50a,50b)의 조절된 상태 또는 조절과정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내부의 축이나 기어들에 습윤된 윤활유가 태양광선에 의하여 마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태양광선을 어느 정도 차단할 수 있는 갈색 등의 색을 띠우는 반투명 재질의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부 케이스(41)와 본체케이스(10)사이에는 패킹이나 가스킷(도시되지 않음)을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빗물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감지부 케이스(41)의 전면벽 내면에는 상기 공구삽입공(42a, 42b)및 감지용 캠기어(50a, 50b)와 동축상으로 되는 공구안내관부(44a, 44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공구안내관부(44a, 44b)의 후단부는 감지용 캠기어(50ab,50b)의 전면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공구삽입공(42a, 42b)을 통하여 드라이버등의 공구를 삽입하였을 때 공구의 선단이 공구홈(51a, 51b)에 정확히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용 공구삽입공(42a, 42b)에는 고무들로 된 마개(42a',42b')를 끼우는 것에 의하여 빗물이나 먼지등의 이물질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지용 웜(43)과 감지용 전동기어(45a, 45b)의 웜기어부(42a, 46b)의 감속비는 권취구동용 웜(33)과 권취구동용 웜훨(34)에 의하여 회전되는 권취봉(22)이 개폐막(61)을 완전히 풀린 상태에서 완전히 감는 데 필요한 회전수 만큼 회전할 때 감지용 캠기어(50A,50B)가 1회전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 감지용 전동기어(45a,45b)는 상기 감지용 웜(43)에 각각 맞물리는 웜기어부(46a, 46b)와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베벨기어부(47a, 47b)로 구성되며, 감지부 케이스(41)의 내부에 설치된 장착판(48)에 수직으로 고정된 지지축(49a,49b)에 굴대설치되어 수평상태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감지용 캠기어(50a, 50b)는 상기 감지용 전동기어(45a, 45b)의 베벨기어부(47a,47b)에 각각 맞물리는 베벨기어부(52a, 52b)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57a,57b)을 작동시키는 캠부(53a,53b)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용 캠기어(50a, 50b)은 본체케이스(10)의 전면판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된 축(54a,54b)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감지용 캠기어(50a,50b)의 배면중심에는 상기 축(54a,54b)이 끼워지는 축홈(55a, 55b)을 형성하되 이 축홈(55a, 55b)의 후단측 일부의 직경을 크게 확장하여 걸림턱을 형성하고 그 안에 상기 탄성부재(56a, 56b)를 삽입하여 이 걸림턱과 본체케이스(10)의 전면벽과의 사이에 탄성부재(56a,56b)의 양단이 걸리도록 하며, 감지용 캠기어(50a, 50b)가 탄성부재(56a,56b)의 탄성에 의하여 그 베벨기어부(52a, 52b)가 감지용 전동기어(45a,45b)의 베벨기어부(47a, 47b)에 맞물린 상태에서 축(54a,54b)의 선단이 축홈(55a,55b)의 전단부에 이격되어 공구를 이용하여 감지용켐기어(50a,50b)를 밀었을 때 그 베벨기어부(52a,52b)가 감지용 전동기어(45a, 45b)의 베벨기어부(47a, 47b)로 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감지용 캠기어(50a,50b)의 배면과 본체케이스(10)의 전면벽 사이에는 감지용 캠기어(50a,50b)의 베벨기어부(52a,52b)가 감지용 전동기어(45a,45b)의 베벨기어부(47a, 47b)에서 완전히 이탈될 수 있는 최소한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감지용 캠기어(50a,50b)는 개방종단 감지용과 폐쇄종단 감지용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예컨대 개방종단 감지용 캠기어(50a)는 적색으로, 폐쇄종단 감지용 캠기어(50b)는 청색으로 하는 등 그 색상을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본체케이스(10)의 전면판에는 감지용 캠기어(50a, 50b)의 외곽부위에 눈금(S1,S2)을 표시하는 것에 의하여 조절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면에서 감지용 캠기어(50a)(50b)의 캠부(53a,53b)에는 스위칭돌기(53a', 53b')를 형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스위칭돌기 대신 스위칭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단 스위칭홈을 형성한 경우에는 마이크로 스위치(57a,57b)의 작동레버(58a, 58b)가 항상 감지용 캠기어(50a,50b)의 외주면에 눌리게 되므로 마이크로 스위치(57a, 57b)의 복원력이 저하될 염려가 있으므로 스위칭돌기를 형성하는 섯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57a,57b)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대각선 방향후 모서리부분에 고정공(59a,59b)이 천공되어 있는바, 이 고정공(59a, 59b)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 즉 본체케이스(10)의 전면벽 내면에 고정용 보스(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하고 고정공(59a,59b)을 통해 고정나사(도시되지 않음)을 고정용 보스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설치하는 것이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60은 본체케이스(10)에 감지부 케이스(4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이고, 61은 권취봉(22)에 권취되어 온실이나 축사를 개폐하는 개폐막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온실이나 축사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감지부 케이스(41)의 전면이 온실이나 축사의 전면을 향하도록 하여 권취축(20)에 권취봉(22)을 연결하고, 제5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0)의 양측에 형성된 연결관부(13,14)중 어느 하나, 즉 온실이나 축사의 좌측에 위치하는 개폐기는 우측 연결관부(14), 우측에 위치하는 개폐기는 우측 연결관부(13)에 지지봉(12)의 일단을 연결고정하고 지지봉(12)의 타단을 온실이나 축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때 온실이나 축사의 양측벽과 지붕곡부는 각각 별도로 설치하며 측벽에 대하여는 하나의 걔폐기를 설치하는 것만으로서 충분하며, 지붕곡부의 경우에는 두개씩의 개폐기를 설치하여 지붕의 양측 하단의 정상부에 이르는 대략 4분의 1원에 해당하는 부분을 개폐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붕곡부가 다중(통상 2중 또는 3중임)으로 설치된 경우에는 각 지붕곡부마다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한다.
이와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개폐막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콘트롤러(도시되지 않음)의 지령에 의하여 구동모터(31)가 정회전하면 그 회전축(32)에 일체로 형성된 권취구동용 웜(33)과 이에 맞물린 권취구동용 웜휠(34)에 의하여 권취축(20)이 감속회전하게 되고, 이 권취축(20)에 고정된 권취봉(22)이 회전하면서 개폐막을 감아 개방하기 시작한다.
권취축(20)이 회전함에 따라 그 한쪽 단부에 형성된 감지용 웜(43)이일체로 회전하면 감지용 전동기어(45a,45b)는 그 웜기어부(46a,46b)가 감지용 웜(43)에 맞물려 있으므로 감지용 전동기어(45a, 45b)가 서로 반대방향, 즉 개방종단 감지용 전동기어(45a)는 반시계방향으로 폐쇄종단 감지용 전동기어(45b)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감지용 전동기어(45a,45b)의 베벨기어부(47a,47b)에 베벨기어부(52a,52b)가 맞물려 있는 감지용 캠기어(50a,50b)가 서로 반대방향, 즉 개방종단 감지용 캠기어(50a)는 시계방향으로, 폐쇄종단 감지용 캠기어(50b)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감지용 캠기어(50a, 50b)가 회전함에 따라 그 캠부(53a, 53b)에 형성된 스위칭돌기(53a', 53b')가 원주상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폐쇄종단 감지용 캠기어(50b)의 스위칭돌기(53b')는 개방 초기로부터 마이크로스위치(57b)의 작동레버(57b')에서 벗어나 있으며 개방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점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개방종단 감지용 캠기어(50a)의 스위칭돌기(53a')는 개방동작 초기에는 마이크로 스위치(57a)의 작동레버(57a')로 부터 멀리 이격된 상태에서 개방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마이크로 스위치(57a)의 작동레버(57a')에 접근해가는 것이다.
개방동작이 진행되어 설정된 개방종단위치에 이르면 온실이나 축사는 설정된 개방폭만큼 개방됨과 아울러 개방종단 감지용 캠기어(50a)의 스위칭돌기(53a')는 마이크로 스위치(57a) 작동레버(57a')를 누르게 되며 마이크로 스위치(57a)가 작동하여 콘크롤러에 개방종단 감지신호를 알리게 되고, 콘트롤러는 구동모터(31)를 정지시키는 지령을 내려 개방작동을 중단시키게 된다.
이때 폐쇄종단 감지용 캠기어(50b)의 스위칭돌기(53b')는 마이크로 스위치(57b)의 작동레버(57b')로부터 멀리 이격된 상태에 있게 된다.
온실이나 축사의 온, 습도등의 조건에 의하여 콘트롤러가 개폐막(61)을 폐쇄하는 지령을 내리게 되면 구동모터(31)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감지용 전동기어(45a,45b)와 감지용 캠기어(50a,50b)는 상술한 개방동작시와 역방향으로 작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폐쇄종단 감지용 캠기어(50b)의 스위칭돌기(53b')는 마이크로 스위치(57b)의 작동레버(57b')에 접근하기 시작하며, 개방종단 감지용 캠기어(50a)의 스위칭돌기(53a')는 마이크로 스위치(57a)의 작동레버(57a')로 부터 이격되기 시작한다.
폐쇄작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권취봉(22)에 권취된 개폐(61)막이 풀리면서 온실이나 축사를 폐쇄하게 됨과 아울러 폐쇄종단 감지용 캠기어(50b)의 스위칭돌기(53b')가 마이크로 스위치(57b)의 작동레버(57b')를 누르면 마이크로 스위치(57b)가 작동하여 컨트롤러에 폐쇄종단 감지신호를 보내게 되고 컨트롤러는 구동모터(31)를 정지시키는 것에 의하여 폐쇄동작을 중단시키게 된다. 이하, 개폐종단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개방종단위치를 조절함에 있어서는 감지부케이스(41)의 전면에 천공된 조절용 공수삽입공(42a,42b)을 막고 있는 마개(42a',42b')를 제거하고 조절용 공구삽입공(42a,42b)을 통해 드라이버등의 공구를 삽입하여 감지용 캠기어(50a, 50b)의 전면 중앙에 형성된 공구홈(51a, 51b)에 끼운다.
이때, 상기 감지부 케이스(41)의 전면벽 내면에는 안내관부(44a,44b)가 조절용 공구삽입공(452a,42b)및 감지용 캠기어(50a,50b)와 동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후단부가 캠기어(50a, 50b)의 공구홈(51a, 51b)에 근접되게 연장되어 있으므로드라이버 등의 조절용 공구의 선단을 공구홈(51a,51b)에 정확히 끼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조절용 공구의 선단을 공구홈(51a, 51b)에 끼운 상태에서 힘을 가하여 누르면 감지용 캠기어(50a,50b)는 탄성부재(56a,56b)에 대항하여 밀려들어가면서 그 베벨기어부(52a,52b)가 감지용 전동기어(45a,45b)의 베벨기어부(47a,47b)에서 이탈되어 헛도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공구를 이용하여 감지용 캠기어(50a,50b)를 좌우로 돌리면 감지용 캠기어(50a,50b)의 스위칭돌기(53a', 53b')가 이동되면서 마이크로 위치(57a, 57b)의 작동레버(57a',57b')에 대한 상대위치가 변경되며, 이에 따라 초기상태에서 감지용 캠기어(50a,50b)의 스위칭돌기(53a',53b')가 마이크로 스위치(57a,57b)의 작동레버(57a',57b')를 동작시키게 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가변되어개폐종단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개방작동시에는 개방종단 감지용 캠기어(50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스위칭돌기(53a')가 마이크로스위치(57a)의 작동레버(57a')에 접근하는 것이므로 개방종단 감지용 캠기어(50a)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그 스위칭돌기(53a')가 마이크로 스위치(57a)의 작동레버(57a')를 작동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어 개방폭이 좁아지고, 그 반대로 개방종단 감지용 캠기어(50b)를 반시계방향으로돌리면 그 스위칭돌기(53b')가 마이크로 스위치(57b)의 작동레버(57b')를 작동시키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서 개방폭이 크게 되는 것이며, 폐쇄동작시는 폐쇄종단 감지용 캠기어(50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스위칭돌기(53b')가 마이크로 스위치(57b)의 작동레버(57b')에 접근하는 것이므로 폐쇄종단 감지용 캠기어(50b)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스위칭돌기(53b')가 마이크로 스위치(57b)의 작동레버(57b')를 작동시키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어 폐쇄종단이 단축되고 그 반대로 폐쇄종단 감지용 캠기어(50b)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그 스위칭돌기(53b')가 마이크로 스위치(57b)의 작동레버(57b')를 작동시키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서 폐쇄종단이 멀어지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하여 개방종단 감지용 캠기어(50a)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개방폭이 점차 작아지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개방폭이 넓어지게 되는 것이며, 폐쇄종단 감지용 캠기어(50b)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개방종단에서의 폐쇄종단위치가 가까워지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개방종단에서 폐쇄종단 위치가 멀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개방종단 감지용 캠기어(50a)를 시계방향으로 돌려서 그 스위칭돌기(53a')가 마이크로 스위치(57a)의 작동레버(57a')를 작동시키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가장 길게 하였을 때 개폐막(61)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되도록 함과 아울러 폐쇄종단 감지용 캠기어(50b)를 시계방향으로 돌려서 그 스위칭돌기(53b)가 마이크로 스위치(57b)의 작동레버(57b')를 작동시키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가장 길게 하였을때 개폐막(61)이 완전히 폐쇄된 상태로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개폐종단위치를 조절한 후 감지용 캠기어(50a,50b)를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감지용 캠기어(50a, 50b)는 탄성부재(50a,50b)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복귀되면서 그 베벨기어부(52a,52b)가 감지용 전동기어(45a,45b)의 베벨기어부(47a,47b)에 맞물리게 된다.
이때 감지용 캠기어(50a, 50b)와 감지용 전동기어(45a,45b)는 그 베벨기어부(52a, 52b), (47a,47b)끼리 맞물리는 것이므로 서로 이탈된 상태에서 다소 엇갈린 상태로 되더라도 복귀과정에서 정상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온실이나 축사에 설치한 상태에서 감지부 케이스(41)의 전면이 온실이나 축사의 전면을 향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개폐기가 어떠한 위치에 있더라도 온실이나 축사의 전면으로부터 감지용 캠기어(50a,50b)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종단위치를 조절함에 있어서도 조절용 공구삽입공(42a,42b)에 공구를 쉽게 삽입할 수 있으므로 2중 또는 3중막으로 설치된 개폐막(61)의 경우에도 관리 및 조작이 매우 간편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개방종단 감지용 캠기어(50a)는 적색으로, 폐쇄종단 감지용 캠기어(50b)는 청색으로 하는 등 그 색상을 달리하였으므로 관리자가 개폐종단위치 조절시 혼동을 일으키는 일이 없게 될 뿐만아니라 또 본체케이스(10)의 전면판에는 감지용 캠기어(50a,50b)의 외과부위에 조절눈금(S1,S2)을 새겼으므로 조절량을 쉽게 확인하면서 정확히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개폐종단위치의 조절이 매우 간편하게 될 뿐만 아니라 그 조절작업이 간편 용이하게 되는 만큼 종래 자주 발생하였던 낙상 등 안전사고를 배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례로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투시창의 내부에 전원인가 및 개폐장치 위치 알림용 청색램프(또는 발광다이오드)와 개방작동상태 표시용 적색램프(또는 발광다이오드) 및 폐쇄작동상태 표시용 청색 램프(또는 발광다이오드)를 설치하여 전원인가 및 개폐장치 위치 알림용 청색 램프는 항시 발광하면서 개폐장치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Claims (9)

  1. 양측에 지지대 연결관부(13,14)가 형성된 본체케이스(10)와 이 본체케이스의 전,후면에 관통돌출되어 후단부에는 권취봉(22)이 연결되는 권취축(20)과, 상기 본체케이스의 저면에 부착된 구동모터(31)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설치된 권취구동용 웜(33)과 상기 권취축에 고정설치되어 권취구동용 웜에 맞물리는 권취구동용 웜휠(34)로 되는 권취구동수단(30) 및 , 상기 본체케이스의 전면에 부착되며 그 전면에 한쌍의 공구삽입공(42a,42b)이 천공된 감지부 케이스(41)와 상기 권취축의 전단부에 형성된 감지용 웜(43)과 상기 감지부 케이스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감지용 웜에 양측에서 맞물이는 한쌍의 감지용 전동기어(45a, 45b)와 이 감지용 전동기어에 맞물려 회전되는 감지용 캠기어(50a,50b)와 이 감지용 캠기어를 상시 감지용 전동기어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56a,56b)와 감지용 캠기어에 의하여 작동되는 마이크로 스위치(57a,57b)로 되는 감지수단(40)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막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 케이스(41)는 적어도 감지용 캠기어(50a, 50b)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막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 케이스(41)에 천공된 공구삽입공(42a,42b)에는 마개(42a', 42b')가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막 개폐장치.
  4. 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 케이스(41)의 전면 내측에는 공구삽입공 및 감지용 캠기어와동축상으로 되는 공구안내관부(44a, 44b)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막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40)을 구성하는 감지용 전동기어(45a, 45b)는 각각 감지용 웜(43)에맞물리는 웜기어부(46a, 46b)와 그 상측 가장 자리에 형성되는 베벨기어부(47a, 47b)로 구성되며, 감지용 캠로 스위치(57a,57b)를 작동시키는 캠부(53a, 53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막 개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용 캠기어(50a, 50b)의 캠부(53a, 53b)에는 스위칭 돌기(53a', 53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막 개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용 캠기어(50a, 50b)에는 배면측으축홈(55a,55b)을 형성하여 본체케이스(10)의 전면벽에 고정되어 전면을 향해 설치된 고정축에 끼워 지지하고 본체케이스의 전면벽과의 상이에 상기 탄성부재(56a, 56b)를 끼우는 것에 의하여 그 베벨기어부(52a, 52b)가 항시 감지용 전동기어(45a, 45의베벨기어부(47a, 47b)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막 개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전면판에은 감지용 캠기어(50a, 50b)의 외곽측에 조절눈금(S1,S2)을 표시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막 개폐장치.
  9. 제5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종단 감지용 전동기어(45a) 및 캠기어(50a)와, 폐쇄종단 감지용 전동기어(45b) 및 캠기어(50b)의 색깔을 달리하여 육안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막 개폐장치.
KR2019950004150U 1995-03-10 1995-03-10 개페막 개폐장치 KR0118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4150U KR0118150Y1 (ko) 1995-03-10 1995-03-10 개페막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4150U KR0118150Y1 (ko) 1995-03-10 1995-03-10 개페막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002U KR960030002U (ko) 1996-10-22
KR0118150Y1 true KR0118150Y1 (ko) 1998-04-23

Family

ID=19409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4150U KR0118150Y1 (ko) 1995-03-10 1995-03-10 개페막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1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002U (ko)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706B1 (ko) 비닐하우스 환경 조절시스템
KR100780271B1 (ko) 갤러리 창호
US11708718B2 (en) Multifunctional window
KR0118150Y1 (ko) 개페막 개폐장치
JP4077765B2 (ja) 通気や遮光・採光等に用いる回転型案内装置
KR102236387B1 (ko) 공동주택용 자동개폐형 복도 창문
KR102003444B1 (ko) 전동식 루버 개폐장치
KR100938698B1 (ko) 환기창
KR100509343B1 (ko) 전동식 루버개폐장치
KR0118151Y1 (ko) 개폐막 개폐장치
KR20050008302A (ko) 건축물용 환기장치
KR100424970B1 (ko) 환기창의 자동 개폐장치
KR200397916Y1 (ko) 커튼 승 하강 구동장치
KR20120068457A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EP0490948B1 (en) Member for venting buildings such as winter gardens, sun lounges and greenhouses
KR101567642B1 (ko) 비닐 하우스의 비닐 개폐기용 리미트 스위치 장치
DE9418875U1 (de) Motorbetriebene, klappenförmige Vorrichtung zum Verschließen von Öffnungen, insbesondere von Fenstern oder Türen von außen
KR200340249Y1 (ko) 전동식 루버개폐장치
KR20210067397A (ko) 비닐하우스 개폐장치
KR0130405Y1 (ko) 농업용 개폐기의 개폐 폭 제어장치
KR970004677Y1 (ko) 온실 및 축사용 개폐막 개폐장치
KR200307142Y1 (ko) 다중연동식 회전창호
KR100424971B1 (ko) 환기창의 자동 개폐장치
KR200176436Y1 (ko) 수직형 커텐의 자동 개폐장치
KR0119877Y1 (ko) 건물의 환기구용 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