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621Y1 - 전선결속구 - Google Patents

전선결속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621Y1
KR0117621Y1 KR2019940022838U KR19940022838U KR0117621Y1 KR 0117621 Y1 KR0117621 Y1 KR 0117621Y1 KR 2019940022838 U KR2019940022838 U KR 2019940022838U KR 19940022838 U KR19940022838 U KR 19940022838U KR 0117621 Y1 KR0117621 Y1 KR 01176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band
binding
inner passage
ban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28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9350U (ko
Inventor
안광혁
Original Assignee
노정웅
주식회사키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정웅, 주식회사키프코 filed Critical 노정웅
Priority to KR20199400228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621Y1/ko
Publication of KR9600093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3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6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6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4Installation of lines or cables on walls, ceilings or floors by means of ins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주 가는 전선을 보수개로 묶어서 결속할 수 있는 전선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즉, 내, 외면에 리브(6)와 걸림홈(5)을 각각 형성하여 일단이 자유단으로 되는 띠상의 결속밴드(2)와; 이 결속밴드(2)의 타단에 연결하고 결속밴드(2)의 자유단을 외부로 도출시킬 내부통로(3)를 형성한 머리부(7)와 판넬면에 끼워고정되는 다리부(8)로 구비된 받침부(4)와; 상기 내부통로(3)의 내측에는 상기 결속밴드(2)를 역지적으로 걸리도록 하는 걸림수단이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7)의 내부통로(3) 입구(3a)측에 절취공간(7a)이 형성되게 상부벽을 절취하여 상부벽의 폭(b)을 가는 전선이 결속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로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결속구이다.

Description

전선결속구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단면으로 표시한 사용 상태의 정면도
제 2 도는 동 결속구의 정면도
제 3 도는 동 측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일부를 단면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결속구2 : 결속밴드
3 : 내부통로4 : 받침구
5 : 걸림홈6 : 리브
9 : 탄성암편10 : 걸림돌기
본 고안은 전선을 복수개로 묶어서 결속할 수 있는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결속밴드에 아주 가는 전선을 결속시키도록 안출한 전선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결속구로서는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들면, 일본 공개 실용신안 공보 소 53-11463호에는 고는 바와같이 수지재로 된 본체의 일단에 차체 장착부를 가지며, 타단에 배관 장착면을 형성하고, 상기 배관 장착면에는 근접하게 배관지지 밴드를 결합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수지재 지지장치와, 그리고 본원 출원인이 선 출원하여 공개된 바 있는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공개번호 실개 소 57-49980호)에서 일단이 자유단으로 된 띠상의 결속밴드와, 이 결속밴드의 타단에 열결하고, 결속밴드를 자유단에 통하여 외부로 도출시킬 내부통로를 구비한 기부로 되며, 상기가 내부 통로 내에는 결속밴드를 역지적(逆止的)으로 걸리도록 하는 걸림수단을 구비한 봉상(棒狀), 관상물(管狀物)의 결속구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결속구에서는 결속밴드에 결속력이 충분하지 못하였다.
즉, 결속밴드의 내면에서 전선등의 주위를 단순히 조여서 결속시키므로서, 전선이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빠지기 쉽다.
또, 결속밴드는 얇은 띠상으로 되어 있어 강하게 조이면 전선에 외향력이 작용하여 절단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러한 결속구로는 아주 가는 전선을 결속할 수 없어 길이방향으로 이완되는 경우가 비일비재 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결속밴드의 내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리브와, 결속밴드가 통과할 머리부의 상부를 절취하여 최소한의 폭으로 형성하여 주므로써, 가는 전선을 견고하게 결속하도록 하는 동시에 양측벽은 결속밴드의 자유단을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안내하여 작업성을 개선하고자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 1 도 내지 제 5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써, (1)은 열가소성수지로 일체 성형된 전선결속구를 표시하고, 이 결속구(1)는 일단이 자유단으로 된 띠상의 결속밴드(2)와, 상기 결속밴드(2)의 타단에 연결하고 결속밴드(2)의 자유단을 통하여 외부로 도출시킬 내부통로(3)를 구비한 받침부(4)로 구성된다.
상기 결속밴드(2)는 가요성이 풍부한 장척의 얇은 띠상으로, 받침부(4)의 상단에 설정된 원호반경으로 굴곡부(2')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결속밴드(2)의 배변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단면이 톱날형의 걸림홈(5)을 복수단으로 연설함과 동시에, 그 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리브(6)를 병설하며, 이때 받심부(4)측 가까이에 굴곡된 굴곡부(2')에는 가는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리브(6a)를 굵게 돌출시키고, 그 리브(6a)와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결속밴드(2)의 끝단까지는 굵은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리브(6a)보다 가는 리브(6b)를 돌출한다.
상기 리브(6)는 결속밴드(2)의 양측에 위치되게 길이방향으로 성형하여 전선을 2곳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 받침부(4)는 내부통로(3)를 갖는 머리부(7)와, 이 머리부(7)를 판넬면에 고정하도록 머리부(7)의 하단에서 수직 설치한 걸림 다리부(8)등으로 된다.
상기 머리부(7)는 양단이 개방한 각 통상으로 되어 결속밴드(2)가 통과할 내부통로(3)를 형성한다.
그리고, 내부통로(3)에는 그 하면에서 내부통로(3)의 출구(3b)를 향하여 경사상태가 상향으로 연장된 탄성암편(9)를 연출하고, 탄성암편(9)에 상기 결속밴드(2)를 걸림홈(5)의 1개에 역지적으로 끼워질 단면이 톱날형의 걸림수단으로서 걸림돌기(10)를 상향으로 돌설하고 있다.
또, 탄성암편(9)의 선단부는 내부통로(3)의 출구(3b)에서 일부돌출하고, 이 돌출단부(9')를 하향으로 압입하므로서 탄성암편(9)를 그 기단에서 하향으로 휘여서 걸림돌기(10)를 걸림홈(5)에서 떼어서 내부통로(3)에서 결속밴드(2)를 빼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상기 머리부(7)의 내부통로(3) 입구 (3a)측에 절취공간(7a)이 형성되게 상부벽을 절취하여 상부벽의 폭(b)을 가는 전선이 결속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머리부(7)의 상부벽의 절취시 제 5 도(가)와 같이 절취공간(7a)이 형성되게 상부벽만 절취할 수도 있고, (나)와 같이 양측벽의 일부로 함께 절취할 수도 있으며, 그 이외에 상부벽의 폭(b)을 최소안의 거리로 유지될 수 있을 정도로 절취공간(7a)을 형성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 절취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걸림 다리부(8)는 머리부(7)를 패널면에 고정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무방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속구(1)는, 상기 구성으로 이 결속구(1)을 이용하여 가는 전선을 결속한 경우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복수개의 가는 전선을 묶어서 그 주위에 결속밴드(2)를 감고 그 자유단을 내부통로(3)의 입구(3a)에서 출구(3b)에 끼운다. ;
이때 결속밴드(2)의 자유단이 머리부(7)의 내부통로(3)로 끼워질 때 절취부(7a)를 통해 내부통로(3)로 끼워지도록 하므로써 결속밴드(2)의 자유단은 머리부(7)의 절취부(7a)와 양측벽의 안내를 받아 자연스럽게 내부통로(3)로 끼워지므로 작업자의 작업이 매우 편리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내부통로(3)로 끼워진 결속밴드(2)의 자유단이 출구(3b)로 돌출되면 결속밴드(2)의 자유단을 당기면서 전선의 주위로 둘러싼 결속밴드(2)의 지름을 줄이고 받침부(4)측 결속밴드(2)의 내면에 돌출한 리브(6a)로 전선의 주면을 조여서 결속한다.
이때, 결속밴드(2)의 걸림홈(5)은 내부통로(3)내에 돌출한 걸림돌기(10)에 걸리고, 걸림돌기(10)를 타고 넘을 때에 탄성암편(9)을 밀어 내부통로(3)를 일방향으로만 진행한다.
그 후, 결속밴드(2)를 당기는 것을 멈추면 탄성암편(9)의 탄성력으로 걸림돌기(10)는 상승되면서, 걸림홈(5)의 1개에 끼워져 그 위치에서 결속밴드(2)를 역지적으로 걸리게 되는 동시에, 굴곡부(2')가 머리부(7)의 절취공간(7a)에 삽입되어 제1도와 같이 상부벽의 일측 주연에 걸리게 되므로 굴곡부(2')는 최대한으로 거리가 짧게 단축되어 전선을 압착하여 주므로 아주 하는 전선도 용이하게 결속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즉, 머리부(7)의 상부벽의 폭(b)이 가는 전선을 결속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로 최소한으로 설계하여 주므로써 결속밴드(2)의 굴곡부(2')의 길이도 최대한으로 잡아당겨 길이를 단축시킬 수가 있으므로 상부벽과 굴곡부(2')사이에 위치하는 아주 가는 전선도 견고하며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 리브(6a)는 전선의 주면에 맞닿고 있고 전선의 외피가 연질재이면, 결속밴드(2)를 조였을 때에 리브(6a)의 선단을 전선의 외피에 먹혀 들어가게 되므로, 전선의 길이방향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리브(6a)는 서로 설정된 거리를 두고 떨어져서 이웃하는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전선의 양측을 동시에 고정 시킬 수가 있으므로 전선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가 없게 되는 것이다.
또 결속밴드(2)의 기단부분에 원호상으로 굴곡한 굴곡부(2')를 형성하고 있어 굴곡부(2')의 내측에 전선을 밀어 주도록 유지될 뿐만 아니라, 결속밴드(2)가 굴곡부(2')에서 내향으로 휘어지므로 묶어진 전선을 견고하게 결속할 수를 있는 것이다.
한편, 결속밴드(2)로 전선을 결속한 뒤 결속구(1)의 걸림다리부(8)를 차체판넬(P)에 형성한 취부공(H)에 맞추어 삽입하면 걸림다리부(8)를 차체판넬(P)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제 1 도 참조)
또, 상기 순서에 한하지 않고 먼저 결속구(1)를 걸림다리부(8)로 패널(P)에 고정하고 결속밴드(2)로 전선을 결속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결속 후 전선을 해체하거나 교환할 때에는 내부통로(3)에서 돌출한 탄성암편(9)의 돌출단부(9')를 하향으로 밀어서 내부통로(3)에서 결속밴드(2)를 잡아 빼면 된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결속밴드(2)의 배면에 걸림홈(5)을 연달아 설치하고, 내부통로(3)에는 걸림홈(5)의 1개에 역지적으로 끼울 걸림돌기(10)를 돌설하였으나, 결속밴드(2)의 걸림수단으로서는 이에 한하지 않고, 서로 끼워맞출 요철을 어느 일방에 형성하여도 되고, 그 형성이나 위치는 도면에 실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결속구(1)의 걸림다리부(8)로서 앵커형의 클립을 이용하였으나, 기타의 후크형의 클립을 이용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결속밴드(2)의 끼움작업이 매우 편리하여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것이며, 내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리브(6a)를 병설하므로서 리브(6a)의 선단이 아주 가는 전선등의 주면에 맞닿게 되고 결속밴드(2)를 조였을 때의 힘을 보강 리브(6a)의 선단에 집중할 수 있어 결속력이 높고, 또 튼튼한 결속구(1)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전선의 외면이 합성수지나 고무통의 연질재이면 리브(6a)의 선단은 전선의 외면에 깊이 먹혀들어가 전선의 길이방향의 이동에 대하여 저항하므로 전선이 빠지거나 벗어지게 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전선은 결속부분에서 이완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내, 외면에 리브(6)와 걸림홈(5)을 각각 형성하여 일단이 자유단으로 되는 띠상의 결속밴드(2)와; 이 결속밴드(2)의 타단에 열결하고 결속밴드(2)의 자유단을 외부로 도추시킬 내부통로(3)를 형성한 머리부(7)와 패널면에 끼워고정되는 다리부(8)로 구비된 받침부(4)와; 상기 내부통로(3)의 내측에는 상기 결속밴드(2)를 역지적으로 걸리도록 하는 걸림수단이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7)의 내부통로(3) 입구(3a)측에 절취공간(7a)이 형성되게 상부벽을 절취하여 상부벽의 폭(b)을 가는 전선이 결속될 수 있을 정도의 거리로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결속구.
KR2019940022838U 1994-08-19 1994-09-05 전선결속구 KR01176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838U KR0117621Y1 (ko) 1994-08-19 1994-09-05 전선결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40020957 1994-08-19
KR94-20957 1994-08-19
KR2019940022838U KR0117621Y1 (ko) 1994-08-19 1994-09-05 전선결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350U KR960009350U (ko) 1996-03-16
KR0117621Y1 true KR0117621Y1 (ko) 1998-07-15

Family

ID=70730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2838U KR0117621Y1 (ko) 1994-08-19 1994-09-05 전선결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6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350U (ko) 199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7288B2 (ja) 長尺部材用クランプ
US4591658A (en) Cable clamp attachment for electrical outlet boxes or the like
JPH034806Y2 (ko)
US6956172B2 (en) Adjustable electrical outlet box assembly
US5135188A (en) Attachable bundling strap
US5533696A (en) Conduit clip
JP2625304B2 (ja) 取付けクラン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10025B2 (ko)
SK285760B6 (sk) Hadicová svorka
US4978091A (en) Bundling strap
KR0117621Y1 (ko) 전선결속구
JP4530600B2 (ja) ケーブル束のような対象物を結束する装置
US3220679A (en) Assemblies for mounting mouldings on utility poles
JP2004204376A (ja) 紐状ないしは帯状物の端部カバー
KR930000982Y1 (ko) 봉상, 관상물의 결속구
JPH0315893Y2 (ko)
JP3491799B2 (ja) バンドクランプ
KR100845579B1 (ko) 케이블 타이
JP4304060B2 (ja) 配線、配管などの取付具
JP2001177958A (ja) 形鋼取付け用長尺物支持具
JP2758969B2 (ja) クランプ用具
JPH09178047A (ja) ハーネスクリップ
JP3084254B2 (ja) 固定用バンド
KR0127045Y1 (ko) 클립
RU215011U1 (ru) Хомут для крепления кабел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O062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