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133Y1 -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 Google Patents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133Y1
KR0117133Y1 KR2019950046300U KR19950046300U KR0117133Y1 KR 0117133 Y1 KR0117133 Y1 KR 0117133Y1 KR 2019950046300 U KR2019950046300 U KR 2019950046300U KR 19950046300 U KR19950046300 U KR 19950046300U KR 0117133 Y1 KR0117133 Y1 KR 0117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drainage
tank
pipe
model reg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6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441U (ko
Inventor
임삼식
Original Assignee
임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삼식 filed Critical 임삼식
Priority to KR2019950046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133Y1/ko
Publication of KR9700394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4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고안은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에 관한 것이며,
가정의 주방이나 욕실, 세탁실 또는 식당의 주방에서 발생되는 각종의 생활오수를 배수조에서 집수시켜 이물질을 수거하고 침전시킨후 배수하는 과정에서 배수조의 오수유입관과 배수관사이에 차단판과 부구로 차단하여 이를 배수조의 이물질의 수거와 침전과정 또는 하수관에서 발생되는 악취와 하수관이나 배수조에서 서식되는 지렁이, 파리, 쥐등의 이동을 차단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종래에는 가정이나 식당등지에서 발생되는 각종의 생활오수를 집수시켜서 이물질을 수거하고 오수를 간이 침전시킬수 있도록 한 배수조가 본원에 의해서 고안되어져
93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5995호
94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8037호
95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36340호로
각 출원된바 있으나 이들의 고안에는 배수조에서 수거되는 이물질과 침전과정에 발생되는 악취와 파리나 쥐등 각종벌레가 서식하여 배수관으로 유통되는 비위생적인 결점이 있었던바 이를 개선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제1도는 본고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고안의 첨전물수집로를 발췌한 사시도
제3도는 본고안의 이물질 수거바구니를 발췌한 사시도
* 도면의 간단한 설명
1 : 배수조
1a : 중앙부단턱
2 : 오수유입관
3 : 배수관
4 : 침전물수집조
4a : 환돌부
5 : 차단판
5a : 통공
5b : 지지환테
6 : 부구
7 : 지지벽판
8 : 이물질 수거바구니
8a : 배수구
본고안은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에 관한 것이며,
가정이나 식당등지에서 발생되는 각종의 생활오수를 배수조에 모아서 이물질을 수거하고 침전시킨후 배수할때 생활오수의 악취 또는 서식되는 파리,쥐등이 주방이나 지상으로 유통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생활오수를 배수조에 집수시켜 이물질을 수거한후에 배수될수 있도록 한 고안은 본원에 의해 고안된 93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5995호
94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8037호
95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36340호로
각 출원되여진바 있으나 이들의 고안은 배수조에서 이물질이 수거되고 침전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와 쥐, 파리등이 오수유입관으로 유입되어져 이와 연결되어진 주방,욕실등의 배수관으로 악취와 파리등이 유통되어지는 결점이 있어
본고안은 배수조의 오수유입관과 배수관사이를 부구를 갖는 차단판으로 상하를 구획차단하여 악취나 벌레가 배수조에서 상하유통되지 않도록 한 고안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수조(1)의 중앙부단턱(1a)의 상부에는 오수유입관(2)을, 하방에는 배수관(3)을 구성하고, 동 단턱(1a)에는 침전물수집조(4)의 환돌부(4a)가 위치되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침전물수집조(4)의 환돌부(4a)위에 하향경사지고, 중앙에는 통공(5a)을, 저부에는 지지환테(5b)를 갖는 차단판(5)을 얹어 통공(5a)위로는 부구(6)를 구성하고, 침전물수집조(4)의 내벽에 지지벽판(7)과 차단판(5)의 지지환테(5b)에 위치될수 있도록 배수구(8a)를 갖는 이물질 수거바구니(8)를 구성하여서 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0은 윗판, 11은 오수관, 12는 정화배수관, 13은 배수공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과 같이 주택의 주방, 욕실, 세탁실등지의 배수관이 연결되어 모아져 실외로 배출되는 오수관(11)의 일정지점이나 식당의 주방에 연결되어져 실외로 배출되는 오수관(11)의 일정지점에 배수조(1)를 설치하고, 배수조(1)상부의 오수유입관(2)에는 오수관(11)을 연결하고, 하방의 배수관(3)에는 정화배수관(12)을 연결하여 시공하게 되면 가정의 주방이나 욕실, 세탁실등지에서 배수되는 각종의 오수는 오수관(11)을 통하여 배수조(1)의 오수유입관(2)으로 유입되어져 하향으로 경사진 차단판(5)의로 이송되어 차단판(5)중앙의 통공(5a)으로 모아지게 되면서 부구(6)는 부상되고 오수는 통공(5a)으로 배수되어져 배수가 이루어지고, 배수가 완료되면 부구(6)는 통공(5a)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배수되여진 오수는 차단판(5)의 통공(5a)하방에 위치한 이물질수거바구니(8)로 낙하되면서 이물질은 모이고, 오수는 배수구(8a)를 통하여 배수가 이루어져 침전물수집조(4)에 모아지게 된다.
이와같이 모아진 오수는 침전물수집조(4)에서 침전되어지고 정화되여진 물은 침전물수집조(4)의 배수공(13)을 통하여 배수관(3)을 통해 정화배수관(12)으로 배수가 이루어져 하수관으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사용할때 차단판(5)의 통공(5a)하방에 위치하는 이물질수집바구니(8)는 침전물수집조(4)의 지지벽판(7)에서 지지되어지고, 또 차단판(5)의 통공(5a)저부외곽에 위치하는 지지환테(5b)에서 지지가 이루어지므로 이물질수집바구니(8)는 침전물수집조(4)내에서 유동되는 일이 없어지게 된다.
또한 차단판(5)의 통공(5a)을 통과한 오수가 이물질수집조(8)에서 이물질은 수집되고 물은 배수되어져 침전물수집조(4)에서 부유물질은 침전되고 정화된 물은 배수관(3)으로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같은 과정의 연속반복으로 배수조에서 정화되는 오수가 부패되거나 하수관에서 유입되는 각종의 악취는 차단판(5)에서 차단되어지고 차단판(5)의 통공(5a)에는 부구(6)에 의해서 차단되어져 오수유입관(2)을 통하여 가정이나 식당의 주방배수관이나 욕실배수관 또는 세탁물배수관으로 악취가 배출되지 않게 되고, 또 우수가 유입되는 윗판(10)으로도 배출되지 않게 되므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이와같이 배수조(1)의 오수유입관(2)과 배수관(3)사이에 차단판(5)과 부구(6)가 위치되어 상하구획되어져 차단이 이루어지므로서 이물질수거바구니(8) 또는 침전물 수집조(4)에서 서식하는 지렁이, 파리등 각종의 벌레와 하수관에서 서식되는 쥐등도 차단판(5)을 통과할수가 없게 된다.
또 이와같이 사용하다가 배수조(1)의 오물이나 침전물을 수거처리하고자 할때에는 통상과 같이 윗판(10)과 차단판(5)을 차례로 벗기고 이물질수거바구니(8)와 침전물수집조(4)를 차례로 끄집어 내어 수거처리를 하고 역순으로 수납시키면 간편하게 수거처리를 할수 있게 된다.
이와같은 본고안은 배수조(1)의 오수유입관(2)과 배수관(3)사이에 차단판(5)을 위치시켜 부구(6)로 차단하므로서 생활오수를 배수조(1)하방으로 유입시켜 수거하고 침전시켜 배수하는 과정에서 배수조(1)의 이물질과 오수의 침전과정에서 서식되는 지렁이, 파리등의 벌레나 쥐등이 차단판(5)과 부구(6)를 통과할수 없게 되고, 또 악취는 차단되므로서 위생적으로 사용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고안은 배수조의 오수유입관과 배수관사이에 차단판과 부구를 구성하여 상하를 구획하고 차단하게 되므로서 악취와 벌레등이 유동되지 않아 위생적으로 사용할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배수조(1)의 상부에는 오수유입관(2)을, 하방에는 배수관(3)을 구성하고, 중앙부의 단턱(1a)에는 침전물수집조(4)의 환돌부(4a)가 위치되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침전물수집조(4)의 환돌부(4a)위에 하향경사지고, 중앙에는 통공(5a)을, 저부에는 지지환테(5b)를 갖는 차단판(5)을 얹저 통공(5a)위로는 부구(6)를 구성하고, 침전물수집조(4)의 내벽에 지지벽판(7)과 차단판(5)의 지지환테(5b)에 위치될수 있도록 배수구(8a)를 갖는 이물질 수거바구니(8)를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한 악취차단 기능을 갖는 배수조
KR2019950046300U 1995-12-19 1995-12-19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KR0117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6300U KR0117133Y1 (ko) 1995-12-19 1995-12-19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6300U KR0117133Y1 (ko) 1995-12-19 1995-12-19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441U KR970039441U (ko) 1997-07-29
KR0117133Y1 true KR0117133Y1 (ko) 1998-05-15

Family

ID=1943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6300U KR0117133Y1 (ko) 1995-12-19 1995-12-19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1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365B1 (ko) * 2005-09-01 2007-07-16 박종수 배수트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365B1 (ko) * 2005-09-01 2007-07-16 박종수 배수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441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4701A (en) Pest and odor preventive sanitary drainer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CN108517923A (zh) 卫生间废水利用装置及其废水利用方法
KR0117133Y1 (ko)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KR20020082170A (ko) 공기방취배수구
KR20200133672A (ko) 우수 및 오폐수 받이장치
KR200265933Y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JPS636289Y2 (ko)
KR20090132690A (ko) 하수처리의 위생구조물
US11524250B1 (en) Fluid waste filtration system with grease and garbage traps
CN110436656A (zh) 一种具有油水分离功能的清洗池结构
CN210684937U (zh) 防气体及生物反溢出的窨井盖
KR200266223Y1 (ko) 싱크 배수구 악취 차단구
KR970075138A (ko) 고층건물의 베렌더 하수장치
CN101033620A (zh) 三通式浴缸地漏二合一水封
KR900000794Y1 (ko) 하수도용 조립식 맨호울
KR960005431Y1 (ko) 맨 홀
KR0126381Y1 (ko) 생활오수의 배수조
KR100737270B1 (ko)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200370846Y1 (ko) 싱크대의 배수장치
JPS595109Y2 (ja) 生活廃棄物くみ取り用の受皿
JPS59206537A (ja) 雑排水処理槽
KR200230642Y1 (ko) 하수구 덮개
CN2224227Y (zh) 家庭节水装置
KR200352132Y1 (ko)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