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900Y1 - 텔레비젼 방송방식 절환 회로 - Google Patents

텔레비젼 방송방식 절환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900Y1
KR0116900Y1 KR2019940029907U KR19940029907U KR0116900Y1 KR 0116900 Y1 KR0116900 Y1 KR 0116900Y1 KR 2019940029907 U KR2019940029907 U KR 2019940029907U KR 19940029907 U KR19940029907 U KR 19940029907U KR 0116900 Y1 KR0116900 Y1 KR 01169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constant
switch
emphasis
switch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9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9470U (ko
Inventor
한기동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40029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900Y1/ko
Publication of KR9600194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4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9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9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1/00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11/06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 H04N11/20Conversion of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e.g. conversion of colour televi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NTSC/팔 방송방식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RF변조출력하기 위한 텔레비젼 방송방식 절환회로는 콘덴서(C1)와 제1,2 저항(R1, R2)에 의해 오디오 입력신호의 프리엠파시스 시정수가 선택되는 프리엠파시스부(10)와, 상기 프리엠파시스부(10)의 제 2 저항(R2)을 선택적으로 단락시키는 트랜지스터(Q1)와 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바이어스를 온/오프 제어하는 제1 스위치(SW1)로 구성된 프리엠파시스 시정수 절환부(20)와, 사기 프리엠파시스부(10)를 거친 오디오 신호를 발진기(50)의 발진신호로 FM변조하여 혼합기로 출력하는 FM변조기(40)와, 콘덴서(C2)와 제 1,2 코일(L1, L2)에 의해 탱크 시정수를 결정하게 되며, 상기 제1스위치와 연동하는 제2스위치(SW2)로서 제 1,2 코일을 선택하게 되는 탱크 시정수절환부(6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NTSC/팔 방송 방식 절환 회로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리엠파시부 20 : 프리엠파시스 시정수 절환부
30 : 증폭기 40 : FM변조기
50 : 발진기 60 : 탱크시정수 절환부
[실용신안의 상세한 설명]
본 고안은 멀티화된 RF 모듈레이터의 오디오단 프리엠파시스 및 FM변조 회로의 스위칭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리엠파시스회로와 FM변조회로용 발진 회로의 시정수를 간단히 절환시켜 RF모듈레이터의 멀티화를 가능하게 한 텔레비젼 방송방식(팔/NTSC)절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F 모듈레이터의 오디오단에는 RC 시정수를 이용한 프리엠파시스 회로와 FM변조용 발진회로가 채용되고 있다. FM복조용 발진다의 탱크회로와 프리엠파시스회로의 시정수는 팔방식과 NTSC 방식에서 서로 다른 값을 요구하기 때문에, 팔/NTSC방식을 공용화시킬 때 각각 별도의 시정수 회로가 마련되어야 한다. 예를들어 NTSC 방식에 따른 오디오 입력신호는 제1저항값 및 고정콘덴서 용량값에의한 프리엠파시스 제1시정수회로를 통하여, 팔방식에 따른 오디오 입력신호는 제2 저항값 및 고정콘덴서 용량값에 의한 프리엠파시스 제 2시정수회로를거치게 구성하고 있다.
상기 NTSC 방식의 경우 오디오 입력단 프리엠파시스 시정수값은 75.6㎲로 결정되며, 이들 시정수회로에 입력되는 팔/NTSC 오디오 신호는 별도의 스위칭 수단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해당 프리엠파시스 회로를 거치게 된다. 또한 FM변조기에 음성 변조용 발진신호를 제공하는 발진기는 방송방식마다 다르다. 예를들어 NTSC 방시에서의 영상-음성반송파 간격은 4.5㎒이고 팔 방시특히 팔B/G방식에서는 5.5㎒이므로, 이러한 발진 탱크회로의 시정수 변경이 상기 프리엠파 시스절환과 동시에 이루어져야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의 멀티화 RF 모듈레이터 오디오단 프리엠파시스 및 발진탱크 회로는 가각 별도의 회로가 복잡하게 요구되기 때문에 오디오단 사이즈 증가와 NTSC 및 팔 오디오 신호 스위칭회로 추가에 따른 원가상승 문제가 나타나게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멀티화 RF모듈레이터의 오디오단 프리엠파시스회로의 시정수 값과 발진탱크회로의 지정수 값을 간단히 절환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디오단 회로 구성의 간략화 및 방송방식 절환회로의 원가구성을 축소시킬 수 있는 텔레비젼 방송방식 절환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여 본 고안을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구성도로써, 크게 팔/NTSC 오디오 입력 신호에 따라 RC시정수값을 달리하는 프리엠파시스부(10)의 RC 시정수값을 변경시켜 주기 위한 프리엠파시스 시정수 절환부(20), 프리엠파시스된 방송방식 별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30), 상기 증폭기(30)를 거친 오디오 신호를 발진기(50)와 발진주파수로 FM변조하여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혼합기(도시생략)에 제공하는 FM변조기(40), 상기 발진기(50)의 탱크 시정수값을 변경시켜 주기 위한 탱크시정수 절환부(60)로 이루어진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프리엠파시스부(10)는 콘덴서(C1)와 제 1,2 저항(R1, R2)으로 이루어지고, 프리엠파시스 시정수절환부(20)는 Vcc 로베이스바이어스를 형성하는 제1 스위치(SW1)와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의 온에 의해 제2 저항(R2)이 단락되게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스위치(SW1)가 팔에 위치하고 있으면 프리엠파시스부(10)는 콘덴서(C1)와 제1,2 저항(R1, R2)의 직렬 합성저항값으로 결정되는 팔시정수값을 가지게 되고, 상기 제1 스위치(SW1)가 NTSC에 위치하고 있으면 Vcc전압으로 트랜지스터(Q1)가 스위치온되는 조건이므로 이때에는 프리엠파시스부(10)의 시정수값은 콘덴서(C1)와 제 1 저항(R1)으로 결정되게 된다. 이와같이 방송방식별로 프리엠파시스부(10)에서 고역이 강조된 오디오신호는 증폭기(30)를 거쳐 FM변조기(40)에 입력되고, 이어서 발진기(50)의 발진신호로 FM변조되게 된다.
이때 발진기는 방송방식별로 다른 주파수를 출력하여야 한다. 이러한 발진기(50)의 출력주파수 절환는 탱크 시정수 절환부(60)에 의해 이루지게 된다. 이탱크 시정수 절환부(60)는 콘덴서(C2)와 제1,2 코일(L1,L2)과 제 2 스위치(SW2)를 포함하는데 제 2 스위치(SW2)는 앞에서 언급한 프리엠파시스 시정수 절환부(20)내의 제1 스위치(SW1)와 연동하록 설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1, 2스위치(SW1,SW2)는 동시에 NTSC 또는 팔 방송방식 위치에 위치하게되며, 이때 탱크시정수 절환부(60)는 콘덴서(C2)와 제1 코일(L1)로 이루어지는 제1 탱크(4.5㎒)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팔 방송방식의 경우 제2 스위치(SW2)는 제2 코일(L2)과 콘덴서(C2)로 이루어지는 제 2탱크(5.5㎒)를 형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송방식 별로 FM변조기(40)에서 변조된 NTSC 또는 팔방식의 오디오 신호는 후단의 혼합기에서 비디오 신호와 혼합되어 RF신호로써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하나의 RF 모듈레이터를 메이커 또는 유저의 요구에 따라 필요한 어떠한 방송방식에도 적용시킬수 있게 되는 특유의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Claims (1)

  1. 멀티화된 RF 모듈레이터의 오디오단 프리엠프시스회로의시정수 및 FM변조용 발진회로의 시정수를 절환하여 팔(PAL) 또는 엔티에스시(NTSC)방식의 텔레비젼 방송방식을 절환하는 회로에 있어서, 적렬연결된 제1,2 저항(R1,R2)과, 상기 제1,2(R1,R2)과 병렬로 연결된 제1 콘덴서(C1)로 구성되어 상기 제1,2 저항(R1,R2) 및 제 1 콘덴서(C1)에 의하여 결정되는 제1 시정수를 출력하는 프리엠프시스부(10)와, 상기 제1 시정수에 따라 오디오 입력신호의 고주파영역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30)와, 상기 제2저항(R2)의 양단에 콜렉터와 에미터가 각각 연결되는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바이어스 전원(Vcc) 사이에 연결되어 팔(PAL) 또는 엔티에스시(NTSC)방식의 텔레비젼 방송방식을 선택하는 제 1 스위치(SW1)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스위치(SW1)의 온 오프에 따라 상기 제1 시정수를 절환하는 프리엠프시스 시정수 절환부(20)와, FM변조를 위한 발진신호를 출력하는 발진기(50)와, 상기 발진신호에 따라 상기 증폭기(30)를 거친 오디오신호를 FM변조하여 출력하는 FM변조기(40)와, 제2콘덴서(C2)와, 2접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스위치(SW1)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스위치(SW2)와, 상기 제2스위치(SW2)의 2접점중 하나의 접점을 통하여 상기 콘덴서(C2)와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코일(L1)과, 상기 제2 스위치(SW2)의 2접점중 나머지 하나의 접점을 통하여 상기 제2콘덴서(C2)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코일(L2)로 구성되어 상기 제2 콘덴서(C2)와 제1 코일(L1) 또는 제2 코일(L2)에 의하여 결정되는 제 2 시정수를 상기 발진기(50)에 출력하며 상기 제2 스위치(SW2)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2 시정수를 절환하는 탱크 시정수 절환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방송방식 절환회로
KR2019940029907U 1994-11-11 1994-11-11 텔레비젼 방송방식 절환 회로 KR01169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9907U KR0116900Y1 (ko) 1994-11-11 1994-11-11 텔레비젼 방송방식 절환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9907U KR0116900Y1 (ko) 1994-11-11 1994-11-11 텔레비젼 방송방식 절환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470U KR960019470U (ko) 1996-06-19
KR0116900Y1 true KR0116900Y1 (ko) 1998-04-23

Family

ID=19397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9907U KR0116900Y1 (ko) 1994-11-11 1994-11-11 텔레비젼 방송방식 절환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90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209B1 (ko) * 2006-06-28 2007-06-19 한국과학기술원 수동 프리엠퍼시스부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및 신호 송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470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89983A (en) Video record player system
KR0116900Y1 (ko) 텔레비젼 방송방식 절환 회로
JPS6121882Y2 (ko)
US5506547A (en) Frequency modulator having LC oscillator with switchable frequencies
US4620226A (en) Apparatus for producing audio and visual signals for modulating a television system carrier signal
JPH0227628Y2 (ko)
JPS60136408A (ja) 高周波信号切換装置
KR960008728B1 (en) High frequency switching circuit of vcr
US4631502A (en) Transistor modulator for converting video game signals into antenna input signals for a television receiver
EP0154318B1 (en) High frequency modulation circuit
KR100262483B1 (ko) 입력선택 스위칭회로
KR100240318B1 (ko) 비데오 카세트 레코오더의 색신호 처리회로
JP3565739B2 (ja)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JP3765974B2 (ja)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KR930006182Y1 (ko) Rf 변조단 스위칭 회로
JP3350800B2 (ja) 複合型電子チューナ
JPH0514618Y2 (ko)
JP3309455B2 (ja) Rfモジュレータ
KR960011414B1 (ko) 프리엠파시스 시정수 변경회로
KR950002559Y1 (ko) 고주파변조기의 부우스터단 출력신호 스위칭회로
KR0177666B1 (ko) 팔 방식용 고주파 변조회로
KR900003111Y1 (ko) 음성 인터캐리어 주파수 변환장치를 가진 rf 변조기
KR910001643Y1 (ko) 다방식의 동조가변부가 구비된 고주파 변조기
KR890009422Y1 (ko) 자동 의사 스테레오 회로
KR870000435Y1 (ko) 자기 기록재생장치의 rf신호 출력필터절환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