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004Y1 - 텔레비젼의 외부 입출력 절환장치 - Google Patents

텔레비젼의 외부 입출력 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004Y1
KR0116004Y1 KR2019940017118U KR19940017118U KR0116004Y1 KR 0116004 Y1 KR0116004 Y1 KR 0116004Y1 KR 2019940017118 U KR2019940017118 U KR 2019940017118U KR 19940017118 U KR19940017118 U KR 19940017118U KR 0116004 Y1 KR0116004 Y1 KR 01160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signal
external
inpu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71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591U (ko
Inventor
이동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400171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004Y1/ko
Publication of KR9600065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5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0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0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8Signal distribution or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텔레비젼의 외부 입출력 모드 절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영상 검파 회로에서 검파된 신호를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하여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텔레비젼에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여 외부 비디오 신호를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텔레비젼의 절환 회로로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로부터 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신호 분리 수단과; 상기 동기 신호 분리 수단의 검파된 동기 신호의 유무에따라 모드의 절환 기능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 신호를 받아 TV/비디오 모드를 절환하는 제 1 스위칭 수단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 신호를 받아 외부 입출력 신호의 모드를 절환하되, 외부 비디오 신호가 있을 경우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과 접속되고, 외부 비디오 신호가 없을 경우 상기 영상 검파 회로에 접속되는 제 2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여 외부 기기의 입출력 단자를 간단히 한 것이다.

Description

텔레비젼의 외부 입출력 절환장치
도면은 본 고안에 따른 외부 입출력 절환 장치의 블럭 구성도.
본 고안은 텔레비젼(TV)의 외부 입출력 절환 장치에 관한것으로, 특히, TV의 비디오 입력/출력 단자의 두 기능을 하나의 단자로 구성하여 비디오 입출력의 두 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한 절환 TV의 외부 입출력 절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TV의 경우 비디오 입력/비디오 출력 단자는 외부 기기(예를들면, VCR, LDP등)의 비디오 입력/비디오 출력 단자와 서로 부합되게 접속하여야만 상호간의 인터 페이스가 가능하였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입출력 단자를 확인하여 접속 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별도의 입출력 단자를 구성함으로 인해 기기가 복잡해 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와같은 종래 기술은 본 기능을 가진 기기와 타 기기와의 접속상태가 부합되지 않을경우, 신호원의 디스플레이 또는 레코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TV의 외부 입출력 단자의 두 기능을 하나의 단자로 구성함으로써 비디오 입출력의 두기능을 동시에 갖는 텔레비젼의 외부 입출력 절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영상 검파 회로에서 검파된 신호를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하여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텔레비젼에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여 외부 비디오 신호의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텔레비젼의 절환 회로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로부터 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신호 분리 수단과; 상기 동기 신호 분리 수단의 검파된 동기 신호의 유무에 따라 모드의 절환 기능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 신호를 받아 TV/비디오 모드를 절환하는 제 1 스위칭 수단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 신호를 받아 외부 입출력 신호의 모드를 절환하되, 외부 비디오 신호가 있을 경우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과 접속 되고, 외부 비디오 신호가 없을 경우 상기 영상 검파 회로에 접속되는 제 2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발명에 따른 TV의 외부 입출력 절환회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은 TV/비디오 자동 절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로서, 외부 기기(90)에 구비된 외부 접속 단자(80)와, 외부 접속 단자(8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서 동기 신호를 검출하는 동기 신호 분리 회로(70)와, 상기 동기 신호 분리 회로에서의 동기 신호 검출 유무에 따라 모드 절환을 제어하는 마이컴(10)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 신호에 따라 TV/비디오 모드를 절환하는 제 1 스위칭부(50)와, 비디오 입출력 모드를 절환하는 제 2 스위칭부(60)를 포함한다.
동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제 1 스위칭부(50)에서는 설정 모드가 TV모드일 경우에는 영상 검파 회로(20)와 영상 처리부(30)가 접속(A'-B')되어 TV 신호가 모니터(40)에 디스플레이 되고, 비디오 모드일 경우에는 영상 처리부(30)와 제 2 스위칭부(60)가 접속(A'-C')되어 외부 비디오 신호를 모니터(40)상에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이때, 제 2 스위칭부(60)에서는 설정 모드가 TV모드일 경우에는 외부 비디오 신호의 유무에 관계없이 A-D가 접속되고, 비디오 모드일 경우에는 다시 외부 비디오 신호가 검출될 경우 외부 접속 단자(80)와 제 1 스위칭부(50)가 접속(A-C)되어 외부 비디오 신호가 TV로 입력되는 입력 모드가 되고, 외부 비디오 신호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외부 접속 단자(80)와 영상 검파 회로(20)가 접속(A-B)되어 비디오 출력 모드가 된다. 이와 같은 외부 비디오 신호의 유무는 동기 신호 분리 회로(70)에서 검출된 신호를 받아 마이컴(10)에서 제 2 스위칭부(60)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정 모드를 판단할 경우의 스위칭 순서는 다음과 같다.
즉, 3-2-1의 순서로 설정 모드를 판단하여 스위칭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부 단자와의 접속시 입출력 기능을 하나의 단자에서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접속시 실수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하고 기기의 간결성을 제공하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영상 검파 회로에서 검파된 신호를 영상 처리부에서 처리하여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텔레비젼에 외부 접속단자를 구비하여 외부 비디오 신호의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텔레비젼의 절환 회로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로부터 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신호 분리 수단과; 상기 동기 신호 분리 수단에 의해 검파된 동기 신호를 검색한후, 상기 동기 신호의 유,무에 따라 모드의 절환 기능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 신호를 받아 TV/비디오 모드를 절환하는 제 1 스위칭 수단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 신호를 받아 외부 입출력 신호의 모드를 절환하되, 외부 비디오 신호가 있을 경우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과 접속 되고, 외부 비디오 신호가 없을 경우 상기 영상 검파 회로에 접속되는 제 2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텔레비젼의 외부 입출력 절환 장치.
KR2019940017118U 1994-07-11 1994-07-11 텔레비젼의 외부 입출력 절환장치 KR01160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118U KR0116004Y1 (ko) 1994-07-11 1994-07-11 텔레비젼의 외부 입출력 절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118U KR0116004Y1 (ko) 1994-07-11 1994-07-11 텔레비젼의 외부 입출력 절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591U KR960006591U (ko) 1996-02-17
KR0116004Y1 true KR0116004Y1 (ko) 1998-04-20

Family

ID=19388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7118U KR0116004Y1 (ko) 1994-07-11 1994-07-11 텔레비젼의 외부 입출력 절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0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591U (ko) 199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30374A3 (en) Television receiver
KR970071230A (ko) 모니터의 비엔씨(BNC), 디서브(D-Sub)신호 자동 절환회로
US4954880A (en) Color display apparatus
KR940008442A (ko) 여러가지 언어들로 메뉴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CS277542B6 (en) Circuit arrangement for image-in-image precessing with variable signal pointing
KR0116004Y1 (ko) 텔레비젼의 외부 입출력 절환장치
JP2000041196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5949497A (en) Optional op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moni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H08223493A (ja) オーディオ/ビデオの記録/再生システムでのオーディオ/ビデオ入力信号自動スイッチング装置
KR970025012A (ko) 텔레비젼의 외부기기 연결상태 자동안내장치
JPH077679A (ja) 映像信号切換装置
US4766493A (en) Device for verifying operational conditions of monitor
KR100716161B1 (ko) 텔레비전의 범용 에이/브이 입력 장치
KR0166697B1 (ko) 다단 연결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
KR950005696Y1 (ko) 영상신호 순차 절환을 이용한 시큐리티 시스템
JPS58213569A (ja) 映像入力切換装置
JP2583928B2 (ja) 入力信号選択の設定誤り検出装置
KR100197831B1 (ko) 신호 입,출력 절환장치
JPH10336538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0146115B1 (ko) 복합 티브이 회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206784B1 (ko) 영상기기의 수퍼임포즈 장치 및 방법
KR0170737B1 (ko) 비디오 뮤트시에 복합 동기 신호 출력회로
JPH11119756A (ja) 表示制御装置
JP2004194208A (ja) 入力切替装置
KR200151799Y1 (ko) 영상 신호의 판별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