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5314Y1 - 골절환자 운반용 보호대 - Google Patents

골절환자 운반용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5314Y1
KR0115314Y1 KR2019940023205U KR19940023205U KR0115314Y1 KR 0115314 Y1 KR0115314 Y1 KR 0115314Y1 KR 2019940023205 U KR2019940023205 U KR 2019940023205U KR 19940023205 U KR19940023205 U KR 19940023205U KR 0115314 Y1 KR0115314 Y1 KR 01153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racture
space
protection member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32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9983U (ko
Inventor
권효경
Original Assignee
권효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효경 filed Critical 권효경
Priority to KR20199400232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5314Y1/ko
Publication of KR9600099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9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53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53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6Supports for stretchers, e.g. to be placed in or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절환자의 골절부위를 안전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골절환자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골절환자 운반용 보호대를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무게와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도록 함은 물론 사용할 때에는 내부의 공기를 빼냄으로써 임의의 틀이 견고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골절부위를 안전하게 보호토록 하는 것으로, 이의 보호대(100)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갖추어 구성되고 그 일측에 내부의 공간으로 공기를 주입시키거나 또는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기시키도록 하는 밸브부재를 갖춘 튜브형의 기밀보호부재(110)와: 이의 일면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벨크로파스너의 체결판(111) 및 기밀보호부재(110)의 일측면에 각각 구비되고 일변에 벨크로파스너의 체결판을 가지는 한쌍의 체결밴드(112)(113)와: 상기 기밀보호부재(110)내의 공간에 삽입 구비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구획되어 매체(140)를 보호토록 하는 망사형의 보호망체(130)와: 상기 보호망체(130)의 각 구획간내에 다수개로 충진되고 공기의 흡출입에 따라 그 형태변화를 이루도록 하는 스치로폴 재질의 매체(14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골절환자 운반용 보호대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일부절결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구성도.
제3도는 제2도에서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에서 내부의 공기를 뺀 사용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구성도.
제6도는 본 고안의 공기주입밸브를 보인 단면구성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보호대 110 : 기밀보호부재
111.114 : 체결판 112.113 : 체결밴드
120 : 밸브부재 121 : 공기주입구
122 : 공기유통로 123 : 역지변
124 : 스톱퍼 125 : 덮개
126 : 연결밴드 140 : 매체
본 고안은 골절환자의 골절부위를 안전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골절환자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골절환자 운반용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호대를 임의 형태의 튜브형으로 구비하면서도 이를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무게와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도록 함은 물론 사용할 때에는 내부의 주입된 공기를 흡출해냄으로써 임의의 틀로 견고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환자의 골절부위를 안전하게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절환자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신속히 병원으로 후송하여야 하지만, 골절환자를 병원으로 후송하기에 앞서 골절부위의 부상악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골절환자의 골절부위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야 하는 응급조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것이었다.
지금까지도 골절환자의 골절부위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응급조치의 방법이 알려져 실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었다.
즉,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으나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응급조치의 방법은 골절환자의 골절부위에 막대형의 부목이나 기타 기구 등을 대어서 골절부위가 뒤틀리지 않도록 한 다음 압박붕대나 기타 붕대 등을 이용하여 부목과 골절부위가 일체형이 되도록 고정시킨 후 후송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일반적인 종래의 방법은 골절부위에 여러개의 부목을 대고 이를 압박붕대등으로서 고정시키는 방법임으로써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즉, 신체부위에 따라 종류가 각기 다른 여러개의 부목등이 필요하게 되어 이들을 보관 및 운반하는데 따른 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고, 또한 붕대나 기타 끈 등을 이용하여 부목을 골절부위에 묶어서 고정시키는 방법임에 따라 부목의 고정력이 저하되어 기대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지못하는 문제점과 더불어 사용에 따라서는 지나치게 묶음함으로써 혈액순환에 장애를 주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 되었던 것이었다.
특히, 허리나 목등과 같이 부목을 사용하기가 곤란한 골절부위일 경우에는 그 사용성이 저하되어 기대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대부분 환자를 차량으로 후송하게 됨으로써 이동중에 골절부위가 뒤틀려 부상정도를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면서도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골절환자 운반용 보호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골절부위를 완전히 감싸는 식으로 보호토록하여 골절부위의 안전성 및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개선된 골절환자 운반용 보호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즉 보호대내에 공기를 주입시키면 그 형태가 유연성을 가지게되어 최소형태로 접을 수 있도록 됨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아울러 사용할 때에는 내부의 공기를 빼내어 그 형태가 그대로 견고하게 굳어지게 함으로써 골절부위를 안전하게 고정토록 하는 것이며, 또한 그 형태를 어떠한 임의의 형태로도 굳어지게 할 수가 있게 됨으로써 골절부위와 신체굴곡에 맞추어 완전히 밀착되게 고정시킬 수가 있게되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계속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을 상세히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중 부호 100은 본 고안의 보호대의 본체를 나타내고 있다.
이의 본체(100)은 본 고안의 보호대의 본체를 나타내고 있다.
이의 본체(100)는 대략 일측이 좁고 타측이 약간 넓은 형태의 직사각형으로 구비되면서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공간을 갖춘 튜브형태의 기밀보호부재(11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밀보호부재(110)의 일면 소정위치에는 기밀보호부재(110)내의 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또는 주입된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밸브부재(120)가 갖추어져 구성되어 있고, 외면의 일측으로는 길이방향으로 체결밴드가 착탈될 수 있는 밸크로파스너로 이루어지는 체결판(11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체결밴드(112)(113)는 일측 끝단과 중심측에 각각 횡방향으로 한쌍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의 일측면에는 전술한 체결판(111)에 착탈가능토록 되는 벨크로파스너의 체결판(114)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밀보호부재(110)의 내부에는 첨부도면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망사형으로 구비되는 다수개의 보호망체(130)가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있고, 이의 보호망체(130)내에는 발포된 스치로폴을 주원료로하는 원구형의 매체(140)가 다수개로 내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매체(140)는 그 크기가 극히 적은 원구형의 스치로폴로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그 형태가 압력에 따라 변형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의 매체(140)를 보호토록 하는 보호망체(130)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량의 매체(140)를 각각 수납하면서도 등간격으로 구획되게 구비되어 매체(140)가 일측으로 몰리는 현상을 방지토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도면의 제6도는 전술한 밸브부재(120)를 상세히 표시하고 있다.
이의 밸브부재(120)는 기밀보호부재(110)에 고정설치되는 공기주입구(121)에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있고, 그 중심의 공기유통로(122)에는 외부에서 공기가 주입되는 것을 허용치 않으면서도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하는 역지변(123)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의 상부 근접되는 위치에는 역지변(123)의 작동반경을 제한하는 스톱퍼(12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부재(120)에는 상기 공기유통로(122)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기밀의 유지를 보강하도록 하는 덮개(125)가 개폐가능토록 구비되어 있고, 이의 덮개(125)는 연결밴드(126)로서 밸브부재(120)에 일체형으로 체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7은 상기 밸브부재(120)가 공기주입구(121)에 체결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밀폐링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첨부도면의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는 전술한 보호대와 동일한 원리로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들것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전체가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는 들것(200)의 외부측으로는 운반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운반손잡이(210)가 다수개로 구비되어 있고, 그 일측의 소정위치에는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키도록 하는 밸브부재(120)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내부에는 전술한 보호대(100)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구조는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음에 따라 보호대의 크기나 형태 등을 신체의 각 부위에 적합하도록 달리하여 실시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즉, 본 고안의 보호대(100)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 및 운반시에는 기밀보호부재(110)내의 공간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즉 밸브부재(120)를 공기주입구(121)로부터 이탈시켜 공기주입구(121)를 개방하게 되면 외부의 공기 공기 주입구(121)를 통해 기밀보호부재(110) 내부로 유통되어 지는 것이고, 이에 따라 첨부도면의 제1도 및 제3도, 그리고 제4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기밀보호부재(110)내에 증진된 매체(140)는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원형으로 복원되어지면서 보호대(100)는 유연성을 가지게됨으로써 최소의 크기로 접거나 또는 말아서 보관 및 운반을 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호대(100)를 골절환자의 골절부위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하고자 할 시에는 본 고안의 보호대(100)를 첨부도면의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호대(100)의 전체면을 이용하여 환자의 골절부위를 감싼다음 체결밴드(112)(113)로 체결한다.
이때 상기 양 체결밴드(112)(113)에는 벨크로파스너의 체결판(114)이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와 대향되는 보호부재(110)의 후면 소정위치에도 벨크로파스너의 체결판(111)이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보호부재(110)를 골절부위에 완전하게 감싸는 식으로 고정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밀보호부재(110)를 골절부위에 완전히 감싼 상태에서 밸크부재(120)의 공기유통로(122)를 통해 미도시된 흡기펌프를 이용하여 기밀보호부재(110) 내부의 공기를 강제 배출시키게 되면, 기밀보호부재(110)내는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밸브부재(120)내의 공기유통로(122)에는 역지변(123)이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허용하면서도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밀보호부재(110)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짐에 따라 그 내부에 보호망체(130)에 의해 충진되어 있는 매체(140)는 도면의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공압력으로 그 형태가 변형되면서 서로 엉겨붙게 되어 지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골절부위를 감싼 보호대(100)는 그대로 견고하게 굳어지게 됨으로써 골절부위와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지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는 기밀보호부재(110) 내부가 안전한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외부에서 공기를 주입하지 않는 한 그 형태가 변형되지 않게 되어 골절환자의 골절부위를 전혀 유동없이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골절환자를 병원으로 후송한 후 보호대(100)를 풀고자 할 경우에는 기밀보호부재(110)의 공기주입구(121)에 나사식으로 체결된 밸브부재(120)를 해체하게되면, 상기 공기주입구(121)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저절로 주입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보호대(100)의 기밀보호부재(110)내는 진공압력이 해소되어지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내부에 충진된 매체(140)는 상호 엉겨붙는 현상이 해소되면서 자체의 탄성력으로 원위치로 복원되어 짐으로써 보호대(100)는 원위치 상태로 유연성을 가지게 되어 상기 보호대(100)를 환자의 골절부위로 부터 분리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골절환자 운반용 보호대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면, 유연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비사용시에는 이를 최소의 부피로 접거나 감아서 용이하게 보관 및 운반을 할 수가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고, 또한 이와는 반대로 사용할 때에는 공기를 배출시켜 진공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면 내부에 충진된 매체들이 엉겨붙게 되어 그 형태가 견고하게 굳어지게 됨으로써 골절환자 골절부위를 완전히 감싼 상태로 고정시킬 수가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효과는 골절환자의 골절부위를 전혀 유동없이 안전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환자를 후송할 수가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골절환자의 골절부위를 감싸아 보호토록 하는 골절환자용 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100)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구비되면서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갖추어 구성되고, 그 일측의 공기주입구(121)에는 내부의 공간으로 공기를 주입시키거나 또는 공기를 강제적으로 흡기시키도록 하는 밸브부재(120)가 갖추어진 튜브형의 기밀보호부재(100)와: 상기 기밀보호부재(110)의 일면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벨크로파스너의 체결판(111) 및 기밀보호부재(110)의 일측면에 각각 구비되고 일면에 벨크로파스너의 체결판(114)을 가지는 한쌍의 체결밴드(112)(113)와: 상기 기밀보호부재(110)내의 공간에 삽입구비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구획되어 매체(140)를 보호토록 하는 망사형의 보호망체(130)와:
    상기 보호망체(130)의 각 구획간내에 일정량의 개수로 충진되고 공기의 흡출입에 따라 그 형태변화를 이루도록 하는 발포된 스치로풀 재질의 원구형 매체(1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환자 운반용 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120)는 공기주입구(121)에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이를 개폐토록 구비되고, 그 중심의 공기유통로(122)에 구비되어 외부에서 공기가 주입되는 것을 허용치 않으면서도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하는 역지변(123)과, 이의 상부 근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역지변(123)의 작동반경을 제한하도록 하는 스톱퍼(124)과, 상기 밸브부재(120)의 몸체에 연결밴드(126)로 연결되어 공기유통로(122)를 개폐토록 구비되고 기밀의 유지를 보강하도록 하는 덮개(12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절환자 운반용 보호대.
KR2019940023205U 1994-09-08 1994-09-08 골절환자 운반용 보호대 KR01153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205U KR0115314Y1 (ko) 1994-09-08 1994-09-08 골절환자 운반용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205U KR0115314Y1 (ko) 1994-09-08 1994-09-08 골절환자 운반용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983U KR960009983U (ko) 1996-04-14
KR0115314Y1 true KR0115314Y1 (ko) 1998-04-15

Family

ID=19392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3205U KR0115314Y1 (ko) 1994-09-08 1994-09-08 골절환자 운반용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531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983U (ko) 1996-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3169A (en) Medical strap for treating injured patient
US5385538A (en) Knee brace having an inflatable bladder support
US5137508A (en) Disposable protective bandage for animals
US4971041A (en) Splint apparatus
US5695453A (en) Limb immobilizer having reinforcing wire members embedded therin
US6575925B1 (en) Finger splint
US5121514A (en) Emergency support device with flexible polyethylene sheet
US5728053A (en) Catheter cast
US4204529A (en) Cervical collar apparatus
CA1303927C (en) Soft-goods type, formable orthopaedic cast
US4111194A (en) Posterior knee immobilizing brace
KR102079505B1 (ko) 환자 맞춤식 경추 보호대
US4390014A (en) Self-retaining rib belt
US9763838B2 (en) Spine board with interior channels
KR102286668B1 (ko) 환자용 보호대
US5891069A (en) Cervical extraction collar and method of immobilizing a cervical injury
US20060135898A1 (en) Pelvic brace
US2766751A (en) Body restrainers
US3678936A (en) Ice bag for treating athletes
US6257240B1 (en) Combination protective medical guard with self-contained support
KR0115314Y1 (ko) 골절환자 운반용 보호대
US20190380865A1 (en) Deformable thermal pack
KR102355286B1 (ko) 환자용 보호대
US6912747B2 (en) Enveloping patient carrier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he transport and treatment of patients
KR20180103432A (ko) 휴대용 응급처치 부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