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5091Y1 - 냉, 온수기용 수통 뚜껑 - Google Patents

냉, 온수기용 수통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5091Y1
KR0115091Y1 KR2019950010762U KR19950010762U KR0115091Y1 KR 0115091 Y1 KR0115091 Y1 KR 0115091Y1 KR 2019950010762 U KR2019950010762 U KR 2019950010762U KR 19950010762 U KR19950010762 U KR 19950010762U KR 0115091 Y1 KR0115091 Y1 KR 01150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hickness
lid
cold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07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404U (ko
Inventor
박우진
박태진
Original Assignee
박우진
박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진, 박태진 filed Critical 박우진
Priority to KR20199500107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5091Y1/ko
Publication of KR9600374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4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50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50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50Caps or cap-like covers with membranes, e.g. arranged to be pierc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61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선된 냉, 온수기용 수통 뚜껑을 개시한다.
종래에는 수통 뚜껑 상면의 두께가 동일하여 공급파이프의 첨예부에 의해 뚫린 뚜껑의 관통구멍 주위의 파열이 점진되어 공급파이프의 외주와 뚜껑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누수가 다량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수통 뚜껑 상부 하측에 공급파이프의 외주의 지름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고 뚜껑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비교적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파열방지턱을 형성시킴으로써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Description

냉, 온수기용 수통 뚜껑
제1도는 일반적인 냉, 온수기의 외관을 보이는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냉, 온수기를 보이는 부분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수통 뚜껑이 장착된 상태를 보이는 부분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수통 뚜껑을 보이는 부분확대 단면도.
제5도는 그 뚜껑이 장착된 상태를 보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수통)뚜껑 32 : (뚜껑상면의)중앙부
33 : (뚜껑상면의)주변부 34 : 파열방지턱
D : (주변부의)두께 D1 : (중앙부의)두께
D2 : (파열방지턱의)두께
본 고안은 냉, 온수 공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통 뚜껑의 파열의 진전을 차단시켜 누수를 방지하도록 한 냉, 온수기용 수통 뚜껑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 공업화에 따른 환경오염이 점증함에 따라 물의 오염도 사회문제화되어 정수(淨水)의 필요성을 실감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각 사회단체등에서는 맑은물 되살리기 운동을 추진하였고, 각 공공기관과 사무실, 심지어 가정에도 정수기가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이러한 정수기는 주위의 대기온도에 의해 사용자의 필요를 충족시키지 못하였는바, 대기 온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정수기에 의해 정수되어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상승하여 온수로 되고, 겨울철에는 낮은 대기온도에 의해 그 물의 온도가 하강하여 냉수로 공급되므로, 일반적으로 여름에는 시원한 물, 겨울에는 따뜻한 물을 원하는 사용자의 필요를 충족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냉,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냉, 온수기기가 개발되었고 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냉, 온수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body; 1)상에 커버 (cover; 2)가 구비된 구성인바, 본체(1) 정면에는 상측으로 냉수밸브(cold water valve; 3)와 온수밸브(hot water valve; 4)가 구비되고, 그 하측으로 낙수(落水)를 모아 배출시키는 배출구(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2)에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통(水桶; 6)이 거꾸로 결합되어 그 목부분이 저장그릇(7)내에 위치되고 그 하측으로 이 저장그릇(7)의 배수구(8)로 부터 물을 공급받아 이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냉, 온수밸브(3)(4)로 유입되는 냉수시스템(cold water system; 10)과 온수시스템( hot water system; 9)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의 종래 냉, 온수기는 수통(6)에 외부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저장그릇(7)으로 물이 유출되고 저장그릇(7)의 물이 배수구(8)를 통해 냉, 온수시스템(10)(9)을 거치는 동안 냉각, 가열되어 냉, 온수밸브(3)(4)로 유입되고 사용자가 이를 작동시켜 필요에 따라 냉, 온수기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 온수기에 사용되는 수통(6)을 냉, 온수기에 장착할시 뚜껑을 열고 목부분을 손으로 막은후 거꾸로 들어서 장착시키므로 손에 의해 물이 오염되었으며, 유통과정에서 수통(6) 외부가 오염되어 이를 거꾸로 장착할시 오염된 수통(6)의 목부분이 저장그릇(7)의 물에 잠기게 되므로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책으로 본 출원인은 수통(6)의 뚜껑을 열지 않은 상태에서 거꾸로 장착하여서, 수통(6)내의 물을 저장그릇에 직접 유입되도록 한 냉, 온수기를 1995년 5월 13일자로 선출원한 바 있는바, 이에 대해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1)와 커버(12)내에는 하측에 냉, 온수를 배수시키는 관들과 상수 일측에 공기유입구(13)를 구비하고 그 중앙에 원통형 지지대(14)를 구비한 저장그릇(15)이 구비되고, 저장그릇(15)의 지지대(14)에는 배수구(16)를 구비한 누수받이그릇(17), 패킹(18)이 순차적으로 위치되며, 이들을 관통하도록 공급파이프(19)가 설치되어 있는바, 이 공급파이프(19)는 상측의 첨예부(20)가 누수받이그릇(17)내에 위치되고 그 하단이 저장그릇(17)내에 진입되도록 설치되므로 이에 수통(6)을 거꾸로 장착시킬시 공급파이프(19)의 첨예부(20)가 뚜껑(21)을 뚫고 수통(6)의 목부분에 진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물의 유입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유입구(13)를 통해 저장그릇(15)내에 공기가 유입되면 공급파이프(19)의 관통구멍을 따라 수통(6)내에 유입되고 그 유입된 공기량만큼 수통(6)내의 물은 저장그릇(15)내에 유출되며, 유출량이 저장그릇(15)내에서 소정수위 이상되면 공급파이프(19)의 공기출입구멍을 막게 되어 물의 유출을 차단시켜 저장그릇(15)내에는 항상 적정량의 물이 유지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냉, 온수기에 장착되는 종래의 수통(6) 뚜껑(21)은 공급파이프(19)의 첨예부(20)에 의해 파열되는 면의 두께와 원통부분의 측면 두께가 균일한 두께로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통(6)을 거꾸로 장착시 뚜껑(21)이 쉽게 파열되지 않게 되고, 장시간 장착하여 사용함에 따라 공급파이프(19) 외부에 맞닿은 뚜껑(21)의 관통구멍부분의 파열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공급파이프(19)의 외주가 뚜껑(21)의 관통구멍에 밀착되지 못하여 그 틈새로 물이 다량 누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공급파이프의 첨예부에 의해 형성된 수통 뚜껑의 관통구멍부분의 파열이 진전되지 않아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냉, 온수기용 수통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냉, 온수기용 수통 뚜껑은, 수통의 개구에 결합되어 냉, 온수기에 장착시 공급파이프에 의해 상면이 파열되는 냉, 온수기용 수통 뚜껑에 있어서, 상면에 소정두께와 다른 두께를 가지는 중앙부와, 상기 주변부와 중앙부간에 상기 공급파이프의 지름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고 상기 두께들보다 비교적 두꺼운 두계를 가지는 파열방지턱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 온수기용 수통 뚜껑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제4도에서, 본 고안의 수통(6) 뚜껑(31)은 원통형에 상면이 막힌 형상으로, 상면은 그 특징에 따라 비교적 얇은 두께(D1)의 중앙부(32)와 이 중앙부(32) 보다 두꺼운 두께(D)를 가지는 주변부(33), 그리고 이들간에 주변부(33)의 두께(D) 보다 더 두꺼운 두께(D2)를 가지고 공급파이프(19)의 지름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원형 파열방지턱(34)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뚜껑 상면 각 부분의 두께 관계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주변부(33)의 두께(D)는 종래 뚜껑(21)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시키고, 중앙부(32)의 두께(D1)는 그 두께(D)의 1/2정도로 형성시키며, 파열방지턱(34)의 두께(D2)는 주변부(33)의 두께(D)의 2배 정도로 형성시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뚜껑(31)으로 수통(6)이 개구를 닫은 다음, 거꾸로 들어 냉, 온수기에 장착시키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파이프(19)의 첨예부(20)에 의해 뚜껑(31)의 중앙부(32)가 파열되면서 수통(6)의 목부분에 그 일단이 진입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비교적 얇은 두께(D1)의 뚜껑(31) 중앙부(32)가 쉽게 파열되어 공급파이프(19) 외주가 뚜껑(31)의 파열방지턱(34)내주에 접촉된 상태로써, 공급파이프(19)의 외주와 파열방지턱(34)의 내경이 동일하므로 이들은 상호 밀착지지된 상태이다.
여기서, 수통(6)을 장시간 장착시켜 사용함에 따라 뚜껑(31) 중앙부(32)의 파열된 부분은 계속 진전되려 하나, 비교적 얇은 중앙부(32)의 파열력은 두꺼운 파열방지턱(34)의 내주를 만나 그 힘이 상쇄되어 파열이 진전되지 못하고 방지되므로 공급파이프(19)의 외주와 뚜껑(31)의 관통구멍간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누수가 차단된다.
이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 온수기용 수통 뚜껑에 의하면 누수가 확실히 차단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수통의 개구에 결합되어 냉, 온수기에 장착시 공급파이프에 의해 상면이 파열되는 냉, 온수기용 수통 뚜껑에 있어서, 상면 둘레에 측면 둘레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D)를 가지는 주변부(33)와, 상면 중앙에 상기 주변부(33) 두께(D) 보다 얇은 두께(D1)를 가지는 중앙부(32)와, 상기 주변부(33)와 중앙부(32) 사이에 상기 공급파이프(19)의 지름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고 상기 주변부(33)의 두께(D)보다 두꺼운 두께(D2)를 가지는 파열방지턱(34)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 온수기용 수통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32)의 두께(D1)가 상기 주변부(33) 두께(D)의 1/2 이하인 거냉, 온수기용 수통 뚜껑.
KR2019950010762U 1995-05-19 1995-05-19 냉, 온수기용 수통 뚜껑 KR01150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762U KR0115091Y1 (ko) 1995-05-19 1995-05-19 냉, 온수기용 수통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762U KR0115091Y1 (ko) 1995-05-19 1995-05-19 냉, 온수기용 수통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404U KR960037404U (ko) 1996-12-16
KR0115091Y1 true KR0115091Y1 (ko) 1998-04-16

Family

ID=19413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0762U KR0115091Y1 (ko) 1995-05-19 1995-05-19 냉, 온수기용 수통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50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404U (ko) 199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55045A (en) Insulated beverage server
US5979709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of liquids, in particular of drinks
KR102053784B1 (ko) 정수기용 냉수 탱크
KR0115091Y1 (ko) 냉, 온수기용 수통 뚜껑
CA2276433C (en) Bottom pad/foam dam apparatus for water heaters
US5870024A (en) Hot water heater leak protection system
CN220735143U (zh) 一种净水器出水嘴
CN217907347U (zh) 一种带快速加热功能的直饮机
KR950007245B1 (ko) 생수통과 냉온수기의 접속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생수통용 이중캡 구조
KR0118339Y1 (ko) 냉, 온수기
KR19980024183A (ko) 마개 달린 액체 용기
JPS6038429Y2 (ja) コ−ヒ−液抽出装置
KR200223228Y1 (ko) 생수유출 방지용 위생마개
JP3648842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の温水タンク
JPH0433075Y2 (ko)
KR100795961B1 (ko) 생수통이 결합되는 냉온수기
KR200336240Y1 (ko) 생수통 결합장치
CN2377965Y (zh) 一种饮水机专用换气及防溢水装置
JPS5932849Y2 (ja) 風呂釜の排気熱利用給湯装置
CN2517923Y (zh) 自动排气控液阀
KR910003243Y1 (ko) 이온 냉온수 음료장치
KR900009110Y1 (ko) 냉. 온수기용 생수용기
JPH0345081Y2 (ko)
JPH06284971A (ja) コーヒーメーカー
KR900001836Y1 (ko) 씽크대 샤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