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3629Y1 - 총포용 고압가스통의 보조주입구 - Google Patents

총포용 고압가스통의 보조주입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3629Y1
KR0113629Y1 KR2019950029897U KR19950029897U KR0113629Y1 KR 0113629 Y1 KR0113629 Y1 KR 0113629Y1 KR 2019950029897 U KR2019950029897 U KR 2019950029897U KR 19950029897 U KR19950029897 U KR 19950029897U KR 0113629 Y1 KR0113629 Y1 KR 01136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ylinder
hole
inlet
pressure ga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9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8681U (ko
Inventor
김용전
Original Assignee
김용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전 filed Critical 김용전
Priority to KR2019950029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3629Y1/ko
Publication of KR9700186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86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36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36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6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characterised by the supply of compressed gas
    • F41B11/68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characterised by the supply of compressed gas the gas being pre-compressed before firing
    • F41B11/681Pumping or compressor arrangements therefor
    • F41B11/682Pressure accumulation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70Details not provided for in F41B11/50 or F41B11/60
    • F41B11/72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52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기술분야]
총포용 고압가스통의 보조주입구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압축탱크내의 공기를 총포용 고압가스통으로 공기주입하기 위해 상기 가스통의 착탈넛트를 풀게 될 때 상기 착탈넛트가 잘 풀리지 않아 수공구 등으로 가스통의 착탈넛트에 충격을 가하게 되면 이 때 가스통의 내부압력에 의해 가스통의 이음매부분 등을 파손되어 폭발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임.
[해결방법의 요지]
연통관체와 외부의 안내관체에 나선형 절취공을 연통되게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고, 내부의 연결구와 외부체를 고정볼트로 고정하여 연동시키며, 고압가스통의 착탈넛트 부분에는 연결체를 끼우고, 안내관체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연동관체의 고정설편에 연결구가 고정되도록 외부체를 돌려 상기 착탈넛트의 유입구에 주입체가 밀착되어 공기스를 주입하도록 한 고압가스통 보조주입구
[고안의 중요한 용도]
총포용 고압가스통의 보조주입구

Description

총포용 고압가스통의 보조주입구
본 고안은 총포용 고압가스통의 보조주입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통관체와 외부의 안내관체에 나선형 절취공을 연통되게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고, 내부의 연결구와 외부체를 고정볼트로 고정하여 연동시키며, 고압가스통의 착탈넛트 부분에는 연결체를 끼우고, 안내관체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연동관체의 고정설편에 연결구가 고정되도록 외부체를 돌려 상기 착탈넛트의 유입구에 주입체가 밀착되어 공기를 주입하도록 한 총포용 고압가스통의 보조주입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총포용 고압가스통에 공기를 주입하게 되는 경우 상기 가스통의 상부에 설치된 밸브의 하일측에 나사식으로 끼우게 되는 착탈넛트 부분의 공기유입구를 풀고, 압축탱크에 연결된 호스를 고압가스통에 연결하여 공기를 주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주입된 공기를 공기총에 유입하기 위해서는 공기총의 공기주입구를 고압가스통의 유입구에 부착시켜 상기 가스통의 유입구의 밸브를 밀게 되면 고압가스통내의 공기가 공기총으로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총포용 고압가스통에 공기주입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착탈넛트를 풀게 될 때, 상기 착탈넛트부분이 순수한 금속제로 결합되어 있어 잘 풀리지 않게 된다. 이때, 수공구 등으로 가스통의 착탈넛트부분에 충격을 가해 풀게 될 때에는 용이하게 풀리게 되는 바, 작업자들이 안전수칙을 준용하지 않고 충격을 가하게 되므로, 이러한 충격으로 가스통의 이음매 부분이 파손 등 가스통의 파손으로 인한 불의의 재난사고가 유발되어 안전성에 대한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연통관체와 외부의 안내관체에 나선형 절취공을 연통되게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고, 내부의 연결구와 외부체를 고정볼트로 고정하여 연동시키며, 고압가스통의 착탈넛트 부분에는 연결체를 끼우고, 안내관체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연동관체의 고정설편에 연결구가 고정되도록 외부체를 돌려 상기 착탈넛트의 유입구에 주입체가 밀착되어 공기를 주입하도록 한 총포용 고압가스통의 보조주입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압가스통의 착탈넛트에 삽입되어 공기주입이 원활하도록 하는 가스통 보조주입구에 있어서, 상기 착탈넛트에 삽탈가능하도록 일측에 볼트공이 형성되고, 타측 내부에 나사부를 갖는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나사부에 나선결합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고, 원주면에 나산형 절취공 및 나사공이 형성된 안내관체와, 상기 연내관체의 나선형 절취공과 연동되도록 원주면에 나선형 절취공 밀 장공이 천공되고, 일측 외주연으로 연장되는 고정설편이 돌설되며, 타측면에 요홈이 형성된 연동관체와, 상기 연동관체의 장공에 결합되도록 원주면에 통공이 형성되어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외부체와, 상기 연동관체내에 삽입되며, 원주면에 나사공이 형성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내부에 삽입되어 와샤에 의해 특정위치에 고정되며, 내부에 공기유입공이 형성되는 주입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징으로 하는 총포용 고압가스통 보조주입구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총포용 고압가스통의 공기주입구의 일부절취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로서,
a도는 주입구를 착탈넛트에 고정하기 전 상태의 단면도.
b도는 주입구를 착탈넛트에 고정한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부분 확대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외부체를 회전하여 주입체가 내입되어 고압가스가 유입되는 상태의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B-B단면도를 발췌한 상태의 측면도로서,
a도는 주입구를 착탈넛트에 연결체를 끼워진 상태의 단면도.
b도는 주입구를 착탈넛트에 연결체를 끼워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고정한 상태의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요부작동상태도로서,
a도는 안내관체를 회전하기 전에 볼트가 장공의 원위치에 있는 상태도.
b도는 안내관체를 회전하여 볼트가 장공의 타측으로 이동된 상태도.
제7도는 제5a도의 상태의 작동표시도.
제8도는 제5b도의 상태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고압가스통 2 : 착탈넛트
3 : 고정설편 4, 12 : 나선형 절취공
5 : 장공 6, 6` : 요홈
7 : 연동관체 8, 13 : 나사공
9 : 연결구 10 : 공기유입공
11 : 주입체 14, 18 : 볼트
15 : 측면공 16 : 볼
17 : 스프링 19 : 안내관체
20, 23 : 나사부 21 : 볼트공
22 : 연결체 24 : 외부체
25 : 통공 26 : 고정볼트
27 : 보조주입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주입구의 일부절취한 분해사시도이다. 도1을 살펴보면, 통상의 고압가스통(1)의 착탈넛트(2)에 삽탈가능하도록 일측이 볼트공(21)이 형성되고, 타측 내부에 나사부(23)를 갖는 연결체(22)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체(22)의 나사부(23)에 나선결합되도록 나사부(20)가 형성된 안내관체(19)가 결합되고, 원주면에 나선형 절취공(12)이 천공되며, 상기 절취공(12)과 연동되도록 동일한 위치에 나선형 절취공(4)과 그 하부에 장공(5)이 천공된 연동관체(7)와, 상기 연동관체(7)는 안내관체(19)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동관체(7)의 일측 외주연으로 연장되는 고정설편(3)이 돌설되며, 타측면에 요홈(6)(6`)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연동관체(7)의 장공(5)은 외부체(24)의 원주면에 형성된 통공(25)에 고정볼트(26)로 고정한다. 또한, 연동관체(7)내에 삽입되는 연결구(9)의 원주면에 형성된 나사공(8)에 볼트(14)로 고정되며, 상기 연결구(9)내부에 와샤(28)에 의해 특정위치에 고정되고, 그 내부에 공기유입구(10)이 형성되어 고정된다.
상기 미설명부호는 29는 미끄럼방지볼이다.
첨부도면 도2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로서, (a)는 주입구를 착탈넛트에 고정하기 전 상태의 단면도이고, (b)는 주입구를 착탈넛트에 고정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3은 도2의 A부분의 확대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외부체를 회전하여 주입체가 내입되어 고압공기가 유입되는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5는 도2의 B-B단면도를 발췌한 상태의 측면도로서, (a)는 주입구를 착탈넛트에 연결체를 끼워진 상태의 단면도이고, (b)는 주입구를 착탈넛트에 연결체를 끼워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고정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2내지 도5를 살펴보면, 압축공기탱크에 연결된 호스(미도시됨)의 단부에 공기유입공(10)이 형성된 주입체(11)를 나선결합하고, 상기 나선결합된 주입구(27)를 고압가스통(1)의 착탈넛트(2)에 연결체(22)의 볼트공(21)을 끼워 고정한다.
상기 착탈넛트(2)에 고정된 연결체(22)의 나사부(23)에는 안내관체(19)의 일측에 나사부(20)는 타측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볼부(29)부분을 잡고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한다.
상기 안내관체(19)와 연동되는 연동관체(7)는 원주면에 형성된 장공(5)과 안내관체(19)의 나사공(13)이 볼트(14)로 고정되며, 상기 연동관체(7)의 타측에 형성된 요홈(6)(6`)의 간격에 의해 상기 연동체(22)의 볼트공(21)이 회전되어 고정되고, 회전되고, 또한, 상기 연동관체(7)의 일측 외주연으로 연장되어 돌설된 고정설편(3)이 착탈넛트(2)의 일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도5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어 착탈넛트(2)를 지지고정하게 된다.
상기 안내관체(19)를 내입시키는 외부체(24)는 원주면에 형성된 통공(25)과 안내관체(19) 및 연동관체(7)의 나선형 절취공(4,12)과 연결구(9)의 나사공(8)이 고정볼트(26)에 의해 고정되어 연동되고, 상기 연결구(9)는 나선형 절취공(4,12)에 의해 유도되어 이동되며, 상기 연결구(9)가 유도되면 주입체(11)가 내부로 전진하게 되고, 착탈넛트(2)의 유입구에 주입체(11)의 공기주입공(10)이 밀착된 상태로 공기를 주입하게 된다.
상기 고압공기의 내입이 완료되면 압축탱크밸브를 잠그고, 외부체(24)를 원위치시키게 되면 고정볼트(26)에 의해 유도되는 나선형 절취공(4,12)으로 유도되어 주입체(11)를 외부로 밀게되며, 착탈넛트(2)의 유입구에서 떨어지게 된다.
도6은 본 고안의 요부작동상태도로서, (a)는 안내관체를 회전하기 전에 볼트가 장공의 원위치에 있는 상태도이고, (b)는 안내관체를 회전하여 볼트가 장공의 타측으로 이동된 상태도이며, 도7은 도5의 (a)상태의 작동상태도이고, 도8은 도5의 (b)상태의 작동상태도이다. 도6 내지 도8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관체(19)의 나사공(8)에 체결된 볼트(14)는 연동관체(7)의 원주면에 형성된 장공(5)으로 회전된다. 즉, 안내관체(19)가 연동관체(7)에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하기 전 상태이고, 이때 연동관체(7)의 타측에 형성된 요홈(6)에 볼(16)이 위치한 상태이며, 상기 안내관체(19)를 회전하게 되면 연동관체(7)의 요홈(6`)에 볼(16)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연동관체(7)의 요홈(6)에 내입된 볼(16)은 스프링(17)의 탄성력에 의해 요홈(6)(6`)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압축공기탱크에 연결된 호스의 단부를 공기유입공(10)이 형성된 주입체(11)에 결합하고, 착탈넛트(2)부분에 볼트공(21)을 갖는 연결체(22)를 끼워 조절하며, 안내관체(19)의 미끄럼방지볼부(29)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한다.
이렇게, 고정된 보조주입구(27)의 외부체(24)를 회전시키게 되면 나선형 절취공(4,12)에 의해 유동되어 이동되며, 상기 착탈넛트(2)의 유입구와 주입체(11)의 공기주입공(10)이 밀착되고, 밀착된 상태로 공기를 주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총포용 고압가스통의 보조주입구로서, 연동관체와 오부의 안내관체에 나선형 절취공을 연통되게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고, 내부의 연결구와 외부체를 고정볼트로 고정하여 연동시키며, 고압가스통의 착탈넛트 부분에는 연결체를 끼우고, 안내관체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연동관체의 고정설편이 고정에 연결구가 고정되도록 외부체를 돌려 상기 착탈넛트의 유입구에 주입체가 전진 밀착되어 공기를 주입하게 되므로, 총포용 고압가스통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수공구를 이용하여 착탈넛트를 풀기 위해서 수공구로 충격을 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착탈넛트를 풀지 아니하고서도 공기주입하게 될 때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Claims (1)

  1. 고압가스통의 착탈넛트에 삽입되어 공기주입이 원할하도록 하는 가스통 보조주입구에 있어서, 상기 착탈넛트(2)에 삽탈가능하도록 일측이 볼트공(21)이 형성되고, 타측 내부에 나사부(23)를 갖는 연결체(22)와, 상기 연결체(22)의 나사부(23)에 나선결합되도록 나사부(20)가 형성되고, 원주면에 나산형 절취공(12) 및 나사공(13)이 형성된 안내관체(19)와, 상기 연내관체(19)의 나선형 절취공(12)과 연동되도록 원주면에 나선형 절취공(4) 및 장공(5)이 천공되고, 일측 외주연으로 연장되는 고정설편(3)이 돌설되며, 타측면에 요홈(6,6`)이 형성된 연동관체(7)와, 상기연동관체(7)의 장공(5)에 결합되도록 원주면에 통공(25)이 형성되어 고정볼트(26)에 의해 고정되는 외부체(24)와, 상기 연동관체(7)내에 삽입되며, 원주면에 나사공(8)이 형성된 연결구(9)와, 상기 연결구(9)의 내부에 삽입되어 와샤(28)에 의해 특정위치에 고정되며, 내부에 가스유입공(10)이 형성되는 주입체(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포용 고압가스통의 보조주입구.
KR2019950029897U 1995-10-20 1995-10-20 총포용 고압가스통의 보조주입구 KR01136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9897U KR0113629Y1 (ko) 1995-10-20 1995-10-20 총포용 고압가스통의 보조주입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9897U KR0113629Y1 (ko) 1995-10-20 1995-10-20 총포용 고압가스통의 보조주입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681U KR970018681U (ko) 1997-05-26
KR0113629Y1 true KR0113629Y1 (ko) 1998-04-14

Family

ID=19426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9897U KR0113629Y1 (ko) 1995-10-20 1995-10-20 총포용 고압가스통의 보조주입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36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681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6382B1 (en) Spray gun air volume adjustment knob
US6260572B1 (en) Valve-coupling device for an inflation device
DE20211347U1 (de) Anschlussarmatur
KR0113629Y1 (ko) 총포용 고압가스통의 보조주입구
KR20170002509U (ko) 풀림방지 구조를 갖는 배관밸브용 결합체
US6030003A (en) Gas supply device
US7320484B2 (en) Plug-in safety coupling
CN209705022U (zh) 一种防脱出膨胀螺栓
KR200239086Y1 (ko) 에어커플러
KR200231636Y1 (ko) 관연결구
CN209688307U (zh) 园艺水管连接器
CN219923334U (zh) 一种便于组装的水压可调式喷水枪
KR100360908B1 (ko) 엘피지 충전밸브 연결장치
KR200290416Y1 (ko) 소방호스 연결밸브
KR200158795Y1 (ko) 중압 천공기용 t형 분기관
KR950009399Y1 (ko) 연결밸브의 이중잠금장치
KR0121050Y1 (ko) 수지 주입용 패카
JP3986068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空隙箇所に補修材を注入するための注入器具
KR100191635B1 (ko) 고압 호우스의 이음구
KR940007335A (ko) 2방향 전환밸브
KR200238720Y1 (ko) 멀티 커플러
KR20130001539U (ko) 인젝터 탈거장치
KR200205380Y1 (ko) 워터제트직기용 분사노즐
KR200173416Y1 (ko) 가스관용 분기관
KR20120002457U (ko) 인젝터 탈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