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2972Y1 - 안전 우산 - Google Patents

안전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2972Y1
KR0112972Y1 KR2019950033565U KR19950033565U KR0112972Y1 KR 0112972 Y1 KR0112972 Y1 KR 0112972Y1 KR 2019950033565 U KR2019950033565 U KR 2019950033565U KR 19950033565 U KR19950033565 U KR 19950033565U KR 0112972 Y1 KR0112972 Y1 KR 01129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loth
umbrella cloth
tension spring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3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555U (ko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김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민 filed Critical 김성민
Priority to KR2019950033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2972Y1/ko
Publication of KR9700205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5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2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29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현재의 일반 우산이나 양산은 이를 폈을 때 우산살의 제일 끝 가장자리 부분이 우산천 밖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이 돌출 부분에 의해 타인의 눈이나 기타 부분에 상해를 입히는 경우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우산살과 우산천 결합고리 사이에 일정한 길이의 인장스프링을 구성하고, 우산천은 인장스프링 위에 위치하는 부분의 둘레 길이 보다 우산천 결합고리와 결합되는 우산천의 둘레 길이를 짧게 만들어 우산을 폈을 경우 결과적으로 우산천의 제일 가장자리 부분이 인장스프링의 위에 위치하는 우산천의 둘레 부분 보다 좁아지게 되므로 스프링은 완전히 펴지지 못하고 바깥쪽으로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휘어지게 된다. 그리고 우산천 결합고리는 자연히 우산의 안쪽을 향하게 된다
이렇게 됨으로써 우산을 완전히 폈을 때 바깥쪽으로는 완만하게 휘어진 스프링을 감싼 우산천이 위치하게 되고 우산천 결합고리는 우산의 안쪽을 향하게 되어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요소는 사라지게 된다.

Description

안전 우산
제1도는 본 고안인 우산살의 중요 부분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인 우산살과 우산천을 결합했을 때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인 우산을 완전히 폈을 때의 일부 절결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장스프령 2 : 우산살
3 : 우산천 결합 고리 4 : 인장스프링 부분 위의 우산천
5 : 우산천 결합 고리 부분의 우산천 6 : 우산살 지지대
7 : 상부 우산대 8 : 하부 우산대
본 고안은 우산을 형성하는 각각의 우산살의 제일 끝 부분에 인장스프링을 설치하여 우산을 폈을 때 우산살의 제일 끝 부분이 우산의 안쪽으로 휘어지게 함으로써 우산살의 제일 끝 부분이 옆사람의 눈이나 기타 부분을 다치게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일반 소형 우산이나 양산을 주된 대상으로 하나, 대형의 파라솔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2단이나 3단으로 접는 모든 우산에 적용 가능하다.
현재의 일반 우산이나 양산은 이를 폈을 때 우산살의 제일 끝 가장자리 부분이 우산천의 밖으로 약 1-2cm정도 나오게 되어 있어서 비가 오는날에는 이 돌출 부분에 의해 찔리지 않기 위해 거리를 걸을 때 많은 신경을 써야 되고 또 실제로 이로 인해 찔리게 되면 보행자간에 불미스러운 언쟁도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긍극적으로 우산을 폈을 때 우산살의 끝 부분이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처리되는 구조가 요구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우산살(2) 제일 끝 부분에 위치하는 우산천 결합고리(3) 바로 앞부분에 일정한 길이와 굵기의 인장스프링(1)을 형성하고, 우산천을 제작할 때 우산천의 제일 가장자리 부분(5)과 우산천 결합고리가 결합되는 부분의 둘레 길이를 인장스프링(1) 위에 위치하게 되는 우산천 부분(4)의 둘레 길이보다도 일징한 길이 만큼 짧게 제작을 한 다음 각 우산살과 우산천 결합고리에 각각 결합시킨다. 이렇게 되면 손으로 상부 우산대(7)를 위로 밀어 올림에 따라 우산살 지지대(6)가 우산살(2)을 팽팽하게 밀기 시작할 때 인장스프링(l)은 인장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곧게 펴지려고 하지만 인장스프링 부분 위의 우산천(4)의 둘레보다 우산천 결합고리 부분의 우산천의 둘레가 더 좁기 매문에 인장스프링(1)은 완전히 펴지지 못하고 그 휘어지는 기능에 의하여 우산의 바깥쪽으로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휘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우산천 결합고리(3)는 우산의 안쪽을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우산살의 끝에 있는 돌출 부분인 우산천 결합고리(3) 부분이 우산의 안쪽으로 향하게 되고 바깥쪽으로 돌출이 되지 않으므로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한 요소가 제거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효과에 따라서 복잡한 거리나 장소에서 우산을 펼쳤을 때 펴진 우산살에 의해 타인에게 신체적인 피해를 주는 폐단을 막을 수 있다.

Claims (1)

  1. 우산천 결합고리(3)에 결합되는 부분의 우산천(5)의 둘레 길이를 인장스프링(1) 위에 위치하는 우산천 부분(4)의 둘레 길이 보다 일정한 길이 만큼 짧게 우산천을 제작하고, 우산천 결합고리(3)의 바로 앞 부분에 인장스프링(1)을 형성한 우산살과 상기한 우산천과 결합하여 이를 폈을 때 우산살(2)의 스프링 부분(1)이 우산의 바깥 쪽을 향해서 완만한 곡선을 형성하게 됨에 따라 우산천 결합고리(3) 부분이 우산의 안쪽을 향하게 되는 우산.
KR2019950033565U 1995-11-15 1995-11-15 안전 우산 KR01129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3565U KR0112972Y1 (ko) 1995-11-15 1995-11-15 안전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3565U KR0112972Y1 (ko) 1995-11-15 1995-11-15 안전 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555U KR970020555U (ko) 1997-06-18
KR0112972Y1 true KR0112972Y1 (ko) 1998-04-10

Family

ID=19428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3565U KR0112972Y1 (ko) 1995-11-15 1995-11-15 안전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29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498B1 (ko) * 2018-08-07 2019-10-11 이재우 안전 우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498B1 (ko) * 2018-08-07 2019-10-11 이재우 안전 우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555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02984A (en) Umbrella
US7415986B2 (en) Reinforced structure for collapsible and wind resistible umbrella
KR0112972Y1 (ko) 안전 우산
US6293292B1 (en) Sun shade
US3930514A (en) Wind resistant umbrella
KR101866699B1 (ko) 속지 확개용 우산
US2185466A (en) Umbrella
US7448399B2 (en) Umbrella
CN105730204A (zh) 一种公共汽车遮雨棚
US2344379A (en) Article intended for sport
US3785388A (en) Telescopic umbrella
US5894855A (en) Umbrella
KR100643157B1 (ko)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GB2425254A (en) Collapsible umbrella having wind-resisting structure
KR19980024874U (ko) 우산살 끝이 둥근 개량형 우산
JP3215939U (ja) 自動収納可能な折り畳み傘
US3856031A (en) Telescopic umbrella
KR960005350Y1 (ko) 내부천이 있는 천갈이 우산
KR910001094Y1 (ko) 휴대용 절첩식 파라솔
KR100860823B1 (ko) 패션 튜브 우산
KR200175176Y1 (ko) 휴대용 텐트의 차양막 고정구조
KR900004969Y1 (ko) 차량 차양대
JP3039998U (ja) カバー付き傘
KR102031498B1 (ko) 안전 우산
KR101011804B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우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