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08732Y1 - 음극선관용 전자총 전극구조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전자총 전극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08732Y1
KR0108732Y1 KR2019910024383U KR910024383U KR0108732Y1 KR 0108732 Y1 KR0108732 Y1 KR 0108732Y1 KR 2019910024383 U KR2019910024383 U KR 2019910024383U KR 910024383 U KR910024383 U KR 910024383U KR 0108732 Y1 KR0108732 Y1 KR 01087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plate
electron gun
central axis
electrode
cylindrical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4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122U (ko
Inventor
김태근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2019910024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08732Y1/ko
Publication of KR9300161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1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087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087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8Schematic arrangements of the electrodes for beam forming; Place and form of the elecrode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In-Line전자총에서 칼라 음극선관의 포커스 특성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G3전극 및 G4전극의 원통상 차폐판에 경사버어링을 위한 금형작업시 하공단부를 경사지게 커팅하므로서 진원도 및 포커스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으로 전자빔의 통로와 중심축이 일치하는 개공을 가지고, 상기 개공의 중심축과 공통의 중심축을 가지는 원통의 일단부는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하는 원통상 차폐판을 가지는 칼라 수상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원통상 차폐판의 프레스 가공성형에 있어서, 경사높이에 따라 판재의 하공경단부를 경사지게 단조하여 되는 구조와 원통상 차폐판의 경사높이가 적을수록 하공경단부의 단조각도를 크게하는 것임.

Description

음극선관용 전자총 전극구조
제1도는 칼라 수상관의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음극선관용 전자총 전극구조의 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음극선관용 전자총 전극에 있어서, 원통상 차폐판 형성을 위한 버링공정도
제4도는 종래의 음극선관용 전자총 전극에 있어서, 원통상 차폐판 형성을 위한 버링공정도의 참고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극 구조의 사시도
제6도는 전극구조에 있어서 진원도가 동일한 원통상 차폐판 형성을 위한 참고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극 구조의 하공경단부의 가공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서,
(가)는 δA부, (나)는 δ B부, (다)는 δC부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펀넬(Funnel)2 : 판넬(Pannel)
4 : 새도우마스크51 : 개공
52 : 원통상차폐판53 : 하공경단부
R, G, B : 중심축G1, G2, G3, G4 : 전극
본 고안의 In-Line전자총에서 칼라 음극선관의 포커스(focus)특성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G3전극 및 G4전극의 원통상 차폐판에 경사버어링을 위한 금형작업시 하공단부를 경사지게 커팅하므로서 진원도 및 포커스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음극선관용 전자총 전극 구조에 관한 것이다.
칼라 수상관은 일반적으로 제1도와 같이 펀넬(1 : Funnel)과 판넬(2 : Pannel)로 이루어진 그라스 벌브(Glass Bulb)로 되고, 네크(neck)부에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과 전자빔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새도우마스크(4 : Shadow mask)가 봉입되어 있으며, 판넬(2)내면에는 형광체(21)가 도포되어 있다.
또한, 전자총은 전자 방사 물질층 캐소드(Dathode)에 히터(Heater)가 삽입되어 있고, 각각 Red Green, Blue3개의 구멍이 뚫려있는 다수의 전극(G : G1, G2, G3, G4)들이 비이드 그라스(Bead Glass)에 일렬로 고정되어 있다.
전자총 전극의 전극(G2)과 전극(G3)사이에 보조렌즈가 형성되고 전극(G3)과 전극(G4)사이에 주렌즈가 형성되고 있다.
주렌즈까지 평행으로 온 3전자 빔을 중심축(R, G, B)에 대해 경사지게하여 각 빔을 형광면상의 1점에 집중시킨다.
종래의 전극(G3, G4)의 구조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빔의 통로와 중심축이 일치하는 개공(51)을 가지고, 상기 개공(51)의 중심축과 공통의 중심축을 가지는 원통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의 일단부는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하는 원통상 차폐판(52)을 프레스에 의해 버링(Burring)가공하여 만들어 있다.
따라서, 전자총의 주렌즈를 구성하는 전극(R3, G4)의 대향면을 중심축으로하여 경사지게 함으로써 주렌즈를 경사시켜서 비축대칭 렌즈를 형성시키는데, 각각 평행하게 입사한 전자빔은 경사의 방향으로 집중력이 작용하여 형광면상의 1점에 집중한다.
이 구조에서는 전극단면의 경사와 주렌즈 경사가 일치하기 때문에 빔의 편향량은 특히, 전극의 원통상 차폐판(52)의 단면경사각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전각단면의 원통상 차폐판(52)경사각도 및 버링시에 버링길이가 중요하며 공경의 형상 변형에 세심한 주위를 기울여야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총 전극(G3, G4)의 원통상 차폐판(52)의 단면을 경사지게 할 때에 금형공정에서 커팅시 버링후의 형상을 고려하여야 하나, 종래에는 그러하지 않고 제3도와 같이 직선으로 커팅함으로 해서, 버링부의 원통상 차폐판(52)의 윗면이 안쪽으로 경사지게 기울게 된다.
제4도에는 종래의 전극(G3, G4)의 원통상 차폐판(52)을 형성하기 위한 버링가공을 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직선으로 커팅(가상선으로 도시)된 개공(51)을 뚫고 있는 판재(두께, t : 4mm)를 버링하게 되면 판재의 내측(r)과 외측(R)과의 경로차에 의해 H1측의 높이와 H1'의 높이의 차 즉, 전극차폐단(52)의 내, 외측높이차(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들어 두께 (t)0.4mm의 판재에 높이 H1를 0.7mm, H2 : 2.5mm의 높이에서 버링의 특성을 만족하는 차폐판(52)를 형성하고자 할 경우 직선으로 커팅된 커팅부가 버링되여 차폐판의 내, 외측 높이차(δ)에 의해 H1'는 0.5mm밖에 안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차폐판(52)의 버링부의 윗면이 안쪽으로 경사지게 기울기를 갖게되므로 버링의 경사각도가 나쁘고, 공경형상의 변경 및 진원도의 변화로 포커스(Focus)특성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원고안은 이와같이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경사버링의 가공에 있어서, 경사버링의 높이에 따라 하공경단부를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단조하여 버링작업후 진원도 및 경사각도가 정확하고, 공경변형을 제거하여 포커스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전극(G3, G4)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전극 구조는 전자빔의 통로와 중심축이 일치하는 개공(51)을 가지고 상기 개공(51)의 중심축과 공통의 중심축을 가지는 원통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의 일단부는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하는 원통상 차폐판(52)을 프레스에 의해 버링 가공하여 만들고 있는 것을 종래의 것과 동일한 것이나 다만, 본 고안에서는 원통상 차폐판(52)을 버링하기 위해 개공(51)을 커팅함에 있어서, 하공경단부의 커팅방법을 달리하고 있는 것이다.
제6, 7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하공경단부 가공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및 선면도로써 판재두께(T)에 버링을 하기 위한 예비구멍인 개공(51)의 직경(Ds)을 뚫고, 경사버링의 높이차에 따라 하공경단부(53)을 일정각도로 단조하여 준다.
즉, 버링 높이가 가장 낮은 쪽일수록 단조각도를 크게(δAδBδC) 하므로써 버링시에 내외측의 높이차가 생기는 것을 보완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개공(51)의 하공경단부(53)의 버링의 높이에 따라 단자각도를 다르게 형성하여 주므로서 전극(G3, G4)의 원통상 차폐판(52)을 형성하기 위한 버링작업을 행하여도 전극차폐판(52)의 내외측 높이차(δ)가 생기지 않으며 경사각도가 정확하여 진원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음극선관용 전자충전극의 버링(Burring) 및 경사 버링 전극에 있어 경사버링부의 경사높이에 따라서 하공경단부(53)는 경사지게 가공하여 주므로서 차폐판(52)을 이루기 위해 버링작업을 실시하여도 전극차폐판이 내측높이차가 생기지 않아서 S. T. C특성을 좋게 할뿐만 아니라 수차를 저감시키므로 포키스 특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판재의 하공경단부(53)를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단조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전극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원통상 차폐판(52)의 경사높이가 적을수록 하공경단부의 단조(δAδBδC)를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전극구조.
KR2019910024383U 1991-12-27 1991-12-27 음극선관용 전자총 전극구조 KR01087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4383U KR0108732Y1 (ko) 1991-12-27 1991-12-27 음극선관용 전자총 전극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4383U KR0108732Y1 (ko) 1991-12-27 1991-12-27 음극선관용 전자총 전극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122U KR930016122U (ko) 1993-07-28
KR0108732Y1 true KR0108732Y1 (ko) 1997-11-12

Family

ID=19326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4383U KR0108732Y1 (ko) 1991-12-27 1991-12-27 음극선관용 전자총 전극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087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122U (ko) 199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074422A3 (ru) Электронна пушка
KR890003825B1 (ko) 컬러수상관용 전자총
US5208507A (en) In-line type electron gun enabling easy centering between main electrode and auxiliary electrode
KR0173722B1 (ko) 컬러음극선관
JPS62172635A (ja) カラ−表示管
JPH0218540B2 (ko)
US4535266A (en) In-line electron gun structure for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tapered walls and elongated apertures for beam spot-shaping
US4891549A (en) Electron gun system
KR0108732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전극구조
KR900008202B1 (ko) 컬러수상관용 전자총
US4412149A (en) CRT Focusing electrode structure
US4374342A (en) Focusing means in a unitized bi-potential CRT electron gun assembly
US4374341A (en) Beam focusing means in a unitized tri-potential CRT electron gun assembly
KR910001511B1 (ko) 전자총용전극
US4584500A (en) Electron gun integral beam correctors in a color cathode ray tube
JPH05251014A (ja) カラー受像管用電子銃
KR100244177B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KR0123933B1 (ko) 헤일로가 저감된 전자총 및 이를 구비한 컬러음극선관
US5434471A (en) Electron gun having focusing electrode and anode with a plurality of straight line segments
KR0141663B1 (ko) 수상관
JPH0452586B2 (ko)
US4898556A (en) Electron gun integral beam correctors and method
JP2690930B2 (ja)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
KR940006551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구조
CN1043937C (zh) 彩色布劳恩管的电子枪的聚焦电极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