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4555A - Guidance robot - Google Patents

Guidance rob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4555A
KR20180074555A KR1020170085368A KR20170085368A KR20180074555A KR 20180074555 A KR20180074555 A KR 20180074555A KR 1020170085368 A KR1020170085368 A KR 1020170085368A KR 20170085368 A KR20170085368 A KR 20170085368A KR 20180074555 A KR20180074555 A KR 20180074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ink
guide plate
plat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3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23612B1 (en
Inventor
양선호
최해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9175154.4A priority Critical patent/EP3563981B1/en
Priority to EP17209452.6A priority patent/EP3338962B1/en
Priority to EP19175136.1A priority patent/EP3563979B1/en
Priority to US15/853,409 priority patent/US10759045B2/en
Publication of KR20180074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555A/en
Priority to US16/539,867 priority patent/US1131200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6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66Means or methods for maintaining or repairing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4View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de robot, comprising: a case having a combining hole; and a door type display structur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combining hole, thereby easily approaching a body part having main electric parts. Moreover, the guide robot comprises: a mounting plate combined with a main frame; a slide guide and a guide plate combined with the mounting plate; and a plurality of link type combining device combined with one side of the guide plate and connected with a display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slides and rotates to open and close the combining hole.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disassemble and carry the display unit when the guide robot is repaired.

Description

안내 로봇{GUIDANCE ROBOT}Guide Robot {GUIDANCE ROBOT}

본 발명은 안내 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dance robot.

로봇의 응용분야는 대체로 산업용, 의료용, 우주용, 해저용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면, 자동차 생산과 같은 기계 가공 공업에서는 로봇이 반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람의 팔이 하는 작업을 한 번만 가르쳐 주면 몇 시간이든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산업로봇이 이미 많이 가동되고 있다.The application fields of robots are generally classified into industrial, medical, space, and submarine applications. For example, in the mechanical processing industry such as automobile production, robots can perform repetitive tasks. In other words, if you teach the work of the human arm only once, many industrial robots that repeat the same operation for a few hours are already in operation.

또한, 로봇에 카메라가 장착되는 기술은 이미 종래에 많이 구현되어 있다. 로봇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위치를 확인하거나 장애물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도 충분히 구현되고 있다.In addition, a technique in which a camera is mounted on a robot has already been widely implemented. The robot can recognize the position or recognize the obstacle by using the camera. In addition, displaying the photographed image on the display unit is sufficiently implemented.

한편, 최근 공항 이용객의 폭발적인 증가 추세 및 스마트 공항으로의 도약을 위한 노력으로, 공항 내에서 로봇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이 개발되고 있다. Meanwhile, with the recent explosive increase in airport users and efforts to make a leap to smart airports, plans have been developed to provide services through robots in airports.

공항에 인공지능 로봇을 도입하는 경우, 기존의 컴퓨터 시스템이 대체할 수 없었던 사람의 고유 역할을 로봇이 대신 수행할 수 있어, 제공되는 서비스의 양적 및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When an artificial intelligent robot is introduced to the airport, it can be expected that the robots can perform the unique role of the person who could not replace the existing computer system, thereby contributing to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provided services.

일반적으로 로봇은 사용자에게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부, 즉,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에게 편리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가 로봇의 본체에 장착되어 상하방향으로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다. Generally, the robot is provided with a screen unit, that is, a display unit, for providing service information to a user. The display unit can be moved to a position convenient for the user.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may be mounted on the main body of the robot to adjust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와 관련된 선행문헌 정보는 아래와 같다.The following is a list of prior literature information.

1. 등록번호: 10-1243262 (등록일자: 2013년 03월 07일)1. Registration number: 10-1243262 (Registration date: March 07, 2013)

발명의 명칭: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   Title: Intelligent display device

상기 선행문헌을 참조하면, 본체에 탑재되어 사용자에게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부와 이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시야각에 맞춰 화면각을 자동으로 조절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면부와 구동부는 본체에 승강, 하강이 가능하도록 레일 형태로 결합한다. Referring to the prior art, there is provided a screen unit mounted on the main body for providing service information to a user and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screen unit up or down. The screen angle can be adjust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of the user. The screen unit and the driving unit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rail shape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상기 선행문헌에서, 장치에 수리 등이 필요한 경우, 화면부를 고정하는 구동부로의 접근 또는 구동부와 연결되는 본체로의 접근이, 각각 화면부와 구동부에 의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즉, 화면부의 체결을 풀어 해체하거나, 구동부의 체결을 풀어 본체의 주요 전장부를 개방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when the apparatus is required to be repaired or the like, access to the driving unit for fixing the screen unit or access to the main bod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can not be easily performed by the screen unit and the driving unit, respectively. That is,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main body is opened by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screen portion and releasing the fastening of the driving portion.

또한, 상기 화면부(디스플레이)는 구동부와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화면부를 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다른 화면부로 교체하거나 수리해야 하는 경우, 해체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The display unit (display) is coupled to the driving unit. Therefore, when the screen portion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nd replaced with another screen portion or repaired, disassembly is not easy.

또한, 상기 화면부를 해체하더라도, 본체와 구동부의 수리를 위하여 별도의 공간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그러나, 화면부의 무거운 무게로 인해 화면부의 이동에 대한 불편함이 존재한다. Also, even if the screen unit is disassembled, it is necessary to move the screen unit to a separate space for repairing the main body and the driving unit. However,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the movement of the screen due to the heavy weight of the screen portion.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가 체결되는 안내 로봇 구조에서 주요 전장부품이 구비되는 위치가 폐쇄되어 있어서 수리 등이 필요한 경우 접근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안내 로봇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uide robot which can solve the problem that the position where the main electric components are installed is closed in the guide robot structure to which the display unit is fasten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가 체결되는 안내 로봇 구조에서 수리가 필요할 경우 무게가 무거운 디스플레이를 별도로 운반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안내 로봇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uide robot capable of solving the inconvenience of separately carrying a heavy display when repair is required in a guide robot structure in which a display is fasten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사진 케이스를 따라 기울어져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의 간섭 때문에 본체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어려운 디스플레이부의 구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안내 로봇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uide robot capable of solving the structural problem of the display unit which is difficult to install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display unit which is inclined along the inclined ca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가 체결되는 안내 로봇 구조에서 디스플레이부의 분리 또는 해체가 불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안내 로봇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uide robot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 of inconvenience of separation or disassembly of the display unit in the guide robot structure in which the display is faste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은, 결합홀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결합홀을 개폐 가능한 도어형 디스플레이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주요 전장부품이 구비되는 바디부로의 접근이 용이해질 수 있다.The guid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having a coupling hole and a door-type display structur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coupling hole, so that access to the body part having the main electric component can be facilita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은, 메인프레임에 결합하는 설치플레이트와 설치플레이트에 결합하는 슬라이드가이드 및 가이드플레이트,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일 측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링크방식의 결합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회동하여 결합홀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안내 로봇의 수리 등의 경우에 디스플레이부를 별도로 해체하여 운반할 필요가 없다.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nting plate coupled to a main frame, a slide guide and a guide plate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a plurality of link mechanisms coupled to one side of the guide plate, By providing the apparatus, the display unit can be slidably moved and pivoted to open or close the engagement hole. Therefore, in the case of repairing the guide robot, it is not necessary to disassemble and transport the display unit separate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은, 바디부에 이동가이드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가이드장치에는, 가이드플레이트,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슬라이딩 인출을 위한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결합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장치에는 복수의 링크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구성 간의 간섭이 없이 디스플레이부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의 충분한 회동 각도를 확보할 수 있다.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ovement guide device in a body part, and the movement guide device includes a guide plate, a guide rail for sliding out the guide plate, and a coupling device coupled to the guide plate Since a plurality of links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upling apparatus, the display unit can be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without interference between the configurations. In addition, a sufficient rotation angle of the display unit can be ensur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은, 설치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이동가이드장치에 복수의 링크와, 디스플레이부와 체결되는 장착부가 구비되므로 상기 장착부에 체결부재만을 해체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용이하게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다.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nks and a mounting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display portion in the moving guide device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so that only the fastening member is dismounted from the mounting portion, have.

본 발명에 따르면, 주요 전장부품이 위치하는 바디부로 접근이 용이해지므로 주요 전장부품의 청소, 교체 등이 쉬워지므로 안내 로봇의 관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ccess to the body part where the main electrical parts are located is easy, the main electrical parts can be easily cleaned and replaced, so that the manageability of the guide robot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르면, 무거운 디스플레이부를 별도로 해체하여 운반할 필요가 없으므로 안내 로봇 수리에 대한 난이도가 낮아지며 단순화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 로봇의 수리를 위한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dismantle and transport a heavy display unit, so that difficulty in repairing the guide robot can be reduced and simplified.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ime for repairing the guide robot can be shortened.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 로봇의 수리 시간이 단축되고 수리 난이도가 하락함에 따라 수리에 들어가는 인건비를 감소시킬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pairing time of the guide robot is shortened and the difficulty of repairing is reduced, the labor cost for repairing can be reduced, and the cost is reduced.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 로봇의 관리성이 향상되므로 안내 로봇의 기대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노동 생산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nageability of the guide robot is improved, the life expectancy of the guide robot can be increased, and labor productivity and efficiency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인출이 가능한 가이드플레이트 및 링크와 조인트를 구비하는 결합장치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가 다른 구성과의 간섭없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으므로 안내 로봇을 관리하기 용이해지며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unit can be freely pivoted without interfering with other structures by the guide unit having the guide plate and the link and the joint that can be drawn out through the sliding movement, thereby facilitating the management of the guide robot and improving the convenience .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장치의 부착판에 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는 체결부재를 분리하여 손쉽게 디스플레이부를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고, 다양한 디스플레이부를 손쉽게 결합장치에 체결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의 교체가 용이해 진다. 따라서, 본 발명을 따르는 안내 로봇은, 구성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확장성 및 다양한 구성이 쉽게 결합되는 유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separate the display unit by separating the fastening member connecting the display unit to the attachment plate of the fastening unit, and various display units can be easily fastened to the fastening unit. That is, the display unit can be easily replaced. Therefore,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s of expandability that can continuously upgrade the configuration and flexibility to easily combine various configurations.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 로봇을 통하여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improved in a place where the floating population is large through the guide robot.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가 쉽게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으므로 안내 로봇의 내부 구성에 대한 접근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play unit can be easily separated or combined, the accessibility to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guide robot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외관을 보여주는 전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외관을 보여주는 후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케이스를 제거한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결합장치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이동가이드장치와 슬라이드가이드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개방장치와 삽입부재의 결합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개방장치와 삽입부재가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디스플레이부가 열리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후방사시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디스플레이부가 열리는 과정을 상방에서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분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이동가이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디스플레이부가 분리되는 과정으로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guid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structure of a guid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coupling device of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 guide device of the guide robot and the slide guid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opening device of the guide robot and the insertion membe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device of the guide robot and the insertion memb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p of opening the display unit of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13 to 15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opening the display unit of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xploded view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ement guide device of a guide robo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to 22 are views showing a stepwise process of separating the display part of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안내 로봇은 공항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길 안내 서비스 또는 공항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안내 로봇을 공항에서 사용하는 일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guid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guidance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user who uses the airport, a guidance service or airport information. Hereinafter, the guide robot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an embodiment using the airport for the detailed explan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외관을 보여주는 전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외관을 보여주는 후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케이스를 제거한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guid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 guid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structure of the guide robot with its case removed.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내 로봇(1)은 본체(10)와, 디스플레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guiding robo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10 and a display unit 20.

상기 본체(10)는 상기 안내 로봇(1)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31,32,33,3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case 31, 32, 33, 34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guide robot 1. [

상기 케이스는 상측에 배치되는 탑 커버(31), 상기 탑 커버(31)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1 미들 커버(32), 상기 제 1 미들 커버(32)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미들 커버(33) 및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의 하측에 배치되는 바텀 커버(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includes a top cover 31 disposed on the upper side, a first middle cover 32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top cover 31, a second middle cover 32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middle cover 32, 33 and a bottom cover 34 disposed below the second middle cover 33.

상기 탑 커버(31)는 상기 안내 로봇(1)의 최상단에 위치되며, 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탑 커버(31)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용이하게 입력받기 위하여 성인 어른의 키보다 낮은 높이(예: 142cm)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31)는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p cover 31 is located at the uppermost end of the guide robot 1 and may have a dome shape. The top cover 31 may be located at a lower height (e.g., 142 cm) than the adult adult's key for easy command input from the user. The top cover 31 may be configured to rotate 360 degrees.

상기 탑 커버(31)는 전면 일측에 조작부(41)를 구비할 수 있다.The top cover 31 may include an operation unit 41 on one side of the front cover.

상기 조작부(41)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조작부(41)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한 터치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41 may perform a function of receiving a command from a user. For this purpose, the operation unit 41 may include a touch monitor for receiving a touch input from a user.

상기 조작부(41)는 사물 인식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물 인식 센서는 2D 카메라 및 RGBD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D 카메라는 2차원 영상을 기반으로 사람 또는 사물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GBD 센서(Red, Green, Blue, Distance)는 사람의 위치 또는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The operation unit 41 may further include a subject recognition sensor. The object recognition sensor may include a 2D camera and an RGBD sensor. The 2D camera may be a sensor for recognizing a person or an object based on a two-dimensional image. Also, the RGBD sensor (Red, Green, Blue, Distance) may be a sensor for acquiring a person's position or a face image.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조작부(41)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직접 입력 받기 위한 물리적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operation unit 41 may further include a physical button for directly receiving a command from a user.

상기 탑 커버(31)는 상기 조작부(41)의 상부에 배치되는 마이크(42a)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42a)는 사용자로부터 오디오 신호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일례로, 상기 마이크(42a)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을 정확히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탑 커버(31)의 상단부 어느 지점에 4개소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 로봇(1)이 정지해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 중이더라도, 사용자로부터 음성 형태의 길 안내 요청을 정확히 수신할 수 있다.The top cover 31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42a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unit 41. [ The microphone 42a receives a command of an audio signal from a user. For example, the microphone 42a may be formed at four points at any point on the upper end of the top cover 31 in order to correctly receive a voice command from the user. Therefore, even if the guide robot 1 is stopped as well as traveling, it is possible to correctly receive a voice guidance request from the us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 커버(31)는 상기 안내 로봇(1)이 주행중에는 상기 조작부(41)가 주행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 로봇(1)이 주행 중에 사용자로부터 명령(예: 음성 명령 등)을 수신하면, 상기 탑 커버(31)는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을 향하여 회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p cover 31 can be rotated so that the operating portion 41 faces the running direction while the guide robot 1 is running. When the guide robot 1 receives a command (for example, voice command) from the user while driving, the top cover 31 can be rotated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또는, 상기 안내 로봇(1)이 주행 중에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탑 커버(31)는 상기 안내 로봇(1)의 주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탑 커버(3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되는 공항 정보 등을 보면서 상기 조작부(41)를 조작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 guide robot 1 receives an instruction from the user while driving, the top cover 31 can rotat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guide robot 1. [ That is, the top cover 31 may be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unit 20 is viewed. Accordingly, the user can operate the operation unit 41 while viewing the airport information or the lik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

상기 탑 커버(31)는 비상 조작 버튼(4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비상 조작 버튼(47)은 상기 안내 로봇(1)이 정지해 있거나 주행 중에, 상기 안내 로봇(1)의 작동을 즉시 정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top cover 31 may further include an emergency operation button 47. The emergency operation button 47 can perform a function of immediatel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guide robot 1 while the guide robot 1 is stopped or running.

한편, 상기 제 1 미들 커버(32)는 상기 탑 커버(31)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미들 커버(32)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내려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미들 커버(33)의 내부에는 보드를 포함한 각종 전자부품이 수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middle cover 32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top cover 31. The first middle cover 32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arger diameter as it goes down from the upper portion.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including the board can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middle cover 33.

상기 제 1 미들 커버(32)의 상부에는 RGBD 센서(4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RGBD 센서(42b)는 상기 안내 로봇(1)이 주행 중에, 상기 안내 로봇(1)과 장애물 사이의 충돌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RGBD 센서(42b)는 상기 안내 로봇(1)이 주행하는 방향, 즉 상기 제 1 미들 커버(32)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RGBD 센서(42b)는 상기 안내 로봇(1)의 전방에 존재하는 장애물 또는 사람의 키를 고려하여, 상기 제 1 미들 커버(32)의 최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And an RGBD sensor 42b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middle cover 32. [ The RGBD sensor 42b may sense a collision between the guidance robot 1 and an obstacle while the guidance robot 1 is running. For this purpose, the RGBD sensor 42b may be positio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robot 1 travels, that is, in front of the first middle cover 32. [ For example, the RGBD sensor 42b may be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first middle cover 32, taking into account the obstacle or human's key present in front of the guide robot 1. [

상기 제 1 미들 커버(32)는 스피커(4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44)는 사용자에게 공항 관련 정보를 음성으로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middle cover 32 may further include a speaker 44. The speaker 44 may perform a function of informing the user of airport related information by voice.

상기 제 1 미들 커버(3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가 거치되는 안착부(32a, 도4)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는 구멍으로 형성되는 결합홀(32b, 도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iddle cover 32 includes a seating portion 32a in which the display portion 20 is mounted and a coupling hole 32b formed in the opening portion by the display portion 20, ).

상기 안착부(32a) 및 결합홀(32b)은, 디스플레이부(20)가 배치되는 제 1 미들커버(32)의 후방의 일 면에 형성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안착부(32a) 및 결합홀(32b)은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eating portion 32a and the engagement hole 32b may be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middle cover 32 on which the display unit 20 is disposed. In other words, the seat portion 32a and the engagement hole 32b may be located behind the main body 10.

상기 안착부(32a)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가 안착되도록 판(plate)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안착부(32a)는 디스플레이부(20)의 결합부(22)의 하면이 안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지지할 수 있다. The seating part 32a may have a plate shape so that the display part 20 is seated. For example, the seating portion 32a can support the display portion 20 by sea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22 of the display portion 20.

상기 결합홀(32b)은 후술할 결합부(22)의 외 둘레와 일치되는 개구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22)를 통하여 상기 결합홀(32b)가 차폐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The coupling hole 32b may be formed as an opening that coincides with an outer circumference of a coupling portion 22 to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the engaging hole 32b can be shielded or opened through the engaging portion 22.

상기 결합홀(32b)은, 후술할 디스플레이부(20)의 닫힘(close) 동작을 통하여 닫혀지게 되며,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20)와 본체(10)는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홀(32b)은, 후술할 디스플레이부(20)의 열림(open) 동작을 통하여 개방되며,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20)와 본체(10)는 이격된다. The coupling hole 32b is closed through a closing operation of a display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20 and the main body 10 are integrally coupled. The coupling hole 32b is opened through an opening operation of a display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20 and the main body 1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결합홀(32b)은 상기 안내 로봇(1)의 수리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미들 커버(32)의 내부에는 후술할 본체(10)의 바디부(60)가 위치하며, 상기 바디부(60)에는 안내 로봇(1)의 주요 전장부품들이 집중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 로봇(1)에 청소, 수리, 관리 등이 필요할 때, 상기 제 1 미들 커버(32)의 후방 일 면에 형성되는 결합부(32b)를 통하여 주요 전장부품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The coupling hole 32b can facilitate the repair and management of the guide robot 1. [ In detail, the body portion 60 of the main body 10 is located inside the first middle cover 32, and the main electrical components of the guide robot 1 are intensively arranged in the body portion 60 . Therefore, when the guide robot 1 needs to be cleaned, repaired, managed,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easily access the main electrical components through the engaging portion 32b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middle cover 32 have.

상기 제 1 미들 커버(32)는 스테레오 카메라(43)와 연결되는 카메라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홀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스테레오 카메라(43)의 작동을 위한 홀이다. 상기 카메라 홀은 상기 제 1 미들 커버(32)의 전측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43)는 상기 카메라 홀을 통해 상기 안내 로봇(1)의 전방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The first middle cover 32 may form a camera hole connected to the stereo camera 43. The camera hole is a hole for the operation of the stereo camera 43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 The camera hole may be formed at a lower front side of the first middle cover 32. Accordingly, the stereo camera 43 can photograph the forward area of the guide robot 1 through the camera hole.

한편, 상기 제 2 미들 커버(33)는 상기 제 1 미들 커버(32)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미들 커버(33)는 상기 제 1 미들 커버(32)와 마찬가지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내려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middle cover 33 is disposed below the first middle cover 32. Like the first middle cover 32, the second middle cover 33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arger diameter from the upper to the lower side.

상기 제 2 미들 커버(33)는 제 1 절개부(46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절개부(46a)는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절개부(46a)는 전방 라이더(71)가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에서 절개되는 부분이다. The second middle cover 33 may include a first cutout 46a. The first incision 46a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middle cover 33. [ The first incision portion 46a is a portion that is incised in the second middle cover 33 so that the front rider 71 can operate.

상기 전방 라이더(71)는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절개부(46a)는 상기 전방 라이더(71)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서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의 둘레를 따라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 라이더(71)는 상기 제 1 절개부(46a)에 의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front rider (71)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middle cover (33). The first incision 46a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middle cover 33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ront rider 71. [ Accordingly, the front rider 71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first cutout 46a.

또한, 상기 제 2 미들 커버(33)는 제 2 절개부(46b)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iddle cover 33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utout 46b.

상기 제 2 절개부(46b)는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절개부(46b)는 후술될 후방 라이더(72)가 동작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에서 절개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절개부(46b)는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의 후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절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 라이더(72)는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절개부(46b)는 상기 후방 라이더(72)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점에서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의 둘레를 따라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 라이더(72)는 상기 제 2 절개부(46b)에 의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second cutout portion 46b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middle cover 33. [ The second cutout portion 46b is a portion cut from the second middle cover 33 so that a rear rider 7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operable. Specifically, the second cut portion 46b may be cut at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middle cover 33. [ Here, the rear rider 72 is positioned inside the second middle cover 33. The second cut portion 46b may b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econd middle cover 33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ar rider 72. Accordingly, the rear rider 72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second cutout portion 46b.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절개부(46a)는 상기 제 2 절개부(46b)와 연결되지 않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절개부(46a)는 상기 제 2 절개부(46b) 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incision 46a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incision 46b so as not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cision 46b. The first incision 46a may be located above the second incision 46b.

상기 제 2 미들 커버(33)는 초음파 센서(4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센서(45)는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장애물과 상기 안내 로봇(1)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센서(45)는 상기 안내 로봇(1)과 근접한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초음파 센서(45)는 상기 안내 로봇(1)에 근접한 전 방향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하여 다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초음파 센서(45)는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의 하단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middle cover 33 may further include an ultrasonic sensor 45. The ultrasonic sensor 45 may be a sensor for determ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obstacle and the guide robot 1 using ultrasonic signals. The ultrasonic sensor 45 may perform a function of detecting an obstacle in proximity to the guide robot 1. For example, the ultrasonic sensor 45 may include a plurality of ultrasonic sensors 45 for detecting obstacles in all directions close to the guide robot 1. The plurality of ultrasonic sensors 45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middle cover 33.

한편, 상기 바텀 커버(34)는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바텀 커버(34)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내려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34)의 내부에는 메인바퀴 및 보조바퀴 등이 수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bottom cover 34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middle cover 33. The bottom cover 34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hose diameter decreases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Inside the bottom cover 34, a main wheel, a secondary wheel, and the like may be accommodated.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안내 로봇(1)의 본체(10)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10)의 일 방향에 설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안내 로봇(1)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of the guide robot 1 and can be installed in on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2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guide robot 1 and may b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안내 로봇(1)이 사용자에게 탑승구 등의 안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본체(10)의 이동방향과 반대되는 케이스의 일면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곡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현재 제공 중인 서비스와 관련된 시각 정보(예: 공항 게이트 질의 정보, 길 안내 서비스 정보 등)를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guide robot 1 performs a guidance function such as a boarding gate. The display unit 20 may include a curved surface display. Through the curved display, it is possible to display time information (e.g., airport gate inquiry information, route guidance service information, etc.) related to the service currently provided.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커버(21)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1)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1)는 상기 제 1 미들 커버(3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0 further includes a display cover 21 for receiving the curved display. The curved surface display may be received in the display cover 21. The display cover 21 may be positioned behind the first middle cover 32.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본체(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하는 결합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결합부(22)는 상기 본체(10)와 연결되는 케이스 중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결합부(22)는 상기 제 1 미들커버(22)의 일 면에 개구로 형성되는 결합홀(32b)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홀(32b)을 닫아줄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0 may include a coupling unit 22 protruding toward the main body 10. In another aspect, the engaging portion 22 may constitute a part of a cas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In detail, the coupling portion 22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hole 32b formed in one surface of the first middle cover 22, and the coupling hole 32b can be closed.

상기 결합부(22)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21)의 일 면에 돌출되어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결합부(22)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21)에서 본체(10)를 향하는 방향의 일 면에 돌출되어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22)는 상기 제 1 미들커버(3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21)의 일 면에서 돌출되어 형성할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22 may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display cover 21. For example, the engaging portion 22 may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display cover 21 toward the main body 10. That is, the engaging portion 22 may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display cover 21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middle cover 32 is positioned.

상기 결합부(22)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결합부(22)는 상기 결합홀(32b)에 밀착되어 결합되므로 외 둘레가 상기 결합홀(32b)과 일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coupling portion 22 can be variously formed. However, since the engaging portion 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gaging hole 32b,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gaging portion 22 may be coincident with the engaging hole 32b.

상기 결합부(22)를 측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결합부(22)는, 상기 본체(10)와 결합되는 전면부를 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편평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22)의 전면부는 세워진 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When the engaging portion 22 is viewed from the side, the engaging portion 22 may be formed fla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coupled with the main body 10. [ That is, the front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22 can form a standing plate shape.

상기 결합부(22)를 측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결합부(22)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21)와 연결되는 후면부를 오목하게 굴곡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22)의 후면부는 곡면의 디스플레이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커버(21)의 외형과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2)의 하면은 상기 안착부(32a)에 안착될 수 있다.When the engaging portion 22 is viewed from the side, the engaging portion 22 may be formed so that the rear portion connected to the display cover 21 is curved concavely. Accordingly, the rear portion of the engagement portion 22 can correspond to the contour of the display cover 21 that accommodates the display of the curved surface. Further,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22 can be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32a.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리더기(55)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구멍인 리더기 연결홀(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리더기연결홀(25)은 상기 결합부(22)의 전면 상측에 구멍을 내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더기 연결홀(25)은 결합부(22) 및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21)의 상측에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리더기연결홀(25)을 통해 항공권이나 모바일 탑승권을 상기 리더기(55)의 내부공간까지 삽입시킬 수 있다.The display unit 20 may further include a reader connector hole 25, which is a hole connecte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reader 55. In detail, the reader connection hole 25 may be formed by pier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22. In addition, the reader connection hole 25 may be formed as an opening on the upper side of the coupling part 22 and the display cover 21. Accordingly, the user can insert a ticket or a mobile boarding pass to the inner space of the reader 55 through the reader connection hole 25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20.

상기 결합부(22)는, 후술할 결합장치(240,250)와 결합되는 설치홈(22a,2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홈(22a,22b)에 의하여, 상기 이동가이드장치(20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홈(22a,22b)은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장치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engaging portion 22 may include mounting grooves 22a and 22b which are engaged with the engaging devices 240 and 250 to be described later. The movement guide device 200 and the display unit 20 can be connected by the installation grooves 22a and 22b. Further, the installation grooves 22a and 22b can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coupling device by separate fastening members.

상기 설치홈(22a,22b)은 상기 결합부(22)의 전면부를 함몰시켜 형성할 수 있다. The mounting grooves 22a and 22b may be formed by recessing the front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22. [

또한, 상기 설치홈(22a,22b)은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설치홈(22a,22b)은, 제 1 설치홈(22a) 및 상기 제 1 설치홈(22a)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 2 설치홈(2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the installation grooves 22a and 22b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For example, the installation grooves 22a and 22b may further include a first installation groove 22a and a second installation groove 22b formed below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22a.

상기 제 1 설치홈(22a)은 후술할 상기 제 1 결합장치(240)와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설치홈(22b)은 후술할 상기 제 2 결합장치(250)와 결합할 수 있다.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22a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device 24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econd installation groove 22b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device 25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본체(10)의 개구부인 결합홀(32b)을 개폐하는 열림(open)동작 또는 닫힘(close)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display unit 20 may perform an open operation or a close opera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ngagement hole 32b which is an opening of the main body 10.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내 로봇(1)은 사용자에게 길을 안내하기 위하여 설정된 경로를 따라 먼저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안내 로봇(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안내 로봇(1)의 후방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20)를 볼 수 있다. 즉, 상기 안내 로봇(1)이 길 안내를 위하여 주행 중이더라도, 상기 안내 로봇(1)을 따라다니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된 공항 정보를 용이하게 볼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robot 1 may move along a predetermined path to guide the user to the path. Then, the user can see the display unit 20 installed behind the guide robot 1 while moving along the guide robot 1. That is, even if the guide robot 1 is traveling for guidance, it is possible to easily see the airpor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while following the guide robot 1.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상단은 상기 제 1 미들 커버(32)의 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20)의 하단은 상기 제 2 절개부(46b)까지 연장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디스플레이(20)가 상기 제 2 절개부(46b)를 가리도록 형성되면, 상기 후방 라이더(72)에서 방출된 레이저가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21)의 하단에 부딪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안내 로봇(1)은 후방에 위치된 장애물과의 거리 검출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display unit 20 may exten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middle cover 32 and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20 may extend to the second cutout 46b. If the display 20 is formed to cover the second incision 46b, the laser emitted from the rear rider 72 will strike the bottom of the curved display 21. As a result, the guide robot (1) may be unable to detect the distance to the obstacle located behind.

방향을 정의한다. 상기 도 3을 기준으로 세로 방향을 상하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이름하며, 가로방향을 반경방향이라 이름한다. 상기 축 방향은 상기 주행부(100)의 중심축 방향이며, 상기 헤드부(50)의 중심축 방향과 동일하다. 상기 반경방향은 상기 축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 방향을 중심으로 상기 반경방향의 거리를 회전반경으로 회전할 때 형성되는 가상의 원의 방향을 원주방향으로 이름한다. 또한,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43)가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이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가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이름한다. Define the direction. 3,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alled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axi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is called the radial direction. The axis direction is the center axis direction of the traveling unit 100 and is the same as the center axis direction of the head unit 50. [ The radial direction can be understood a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virtual circle formed when the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is rotated by the turning radius around the axi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ereo camera 43 is directed is referred to as forwar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unit 20 is directed is referred to as rearward.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주행이 가능한 주행부(100), 상기 주행부(100)의 상측에 위치하여 주요 전자장비를 구비하는 바디부(60) 및 상기 바디부(60)의 상측에 위치하는 헤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A main bod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veling part 100 capable of traveling, a body part 60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veling part 100 and having main electronic equipment, And a head portion 50 positioned at the center.

상기 주행부(100)는, 모터와 연결되는 메인 바퀴와 상기 메인바퀴에 종속적인 보조바퀴가 구비되는 주행부, 상기 주행부의 상측에 적층되는 범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veling unit 100 may include a traveling unit having a main wheel connected to the motor, auxiliary wheels depending on the main wheel, and a bumper unit stacked on the traveling unit.

또한, 상기 주행부(100)는, 복수의 프레임(62,63)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20)는 원반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프레임(62,63)을 고정 지지하는 복수의 브라켓과 결합할 수 있다. The traveling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120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frames 62 and 63. The support plate 120 has a disk shape and can be coupled with a plurality of brackets for fixing the plurality of frames 62 and 63.

상기 주행부(100)는, 후방라이더(72)와,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10)는 상기 안내 로봇(1)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110)는 상기 안내 로봇(1)의 전체 무게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본체(10)에서 되도록 하부 지점에 위치되는 것이 좋다.The traveling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rear rider 72 and a battery 110 for providing power. The battery 110 may supply power for driving the guide robot 1. [ Since the battery 110 occupies the largest weight of the entire weight of the guide robot 1, it may be located at a lower position in the main body 10.

상기 배터리(110)는 리튬-이온 배터리(Li-Ion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배터리(110)는 리튬-이온 배터리 이외의 다른 종류의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110 may include a Li-Ion batter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attery 110 may include a battery other than a lithium-ion battery.

상기 후방 라이더(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72)는 레이저 레이더로서, 레이저 빔을 조사하고 에어로졸에 의해 흡수 혹은 산란된 빛 중 후방 산란된 빛을 수집, 분석하여 위치 인식을 수행하는 센서일 수 있다. 상기 후방 라이더(72)는 후술할 제 1 플레이트(310)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후방 라이더(72)는 상기 안내 로봇(1)의 후방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 라이더(72)는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에 형성된 상기 제 2 절개부(46b)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rearward ride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72 may be a laser radar that performs position recognition by irradiating a laser beam and collecting and analyzing backscattered light among light absorbed or scattered by the aerosol . The rear rider 72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plate 3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rear rider 72 may be disposed toward the rear of the guide robot 1. [ The rear rider 7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cut portion 46b formed in the second middle cover 33. [

상기 바디부(60)는 상기 주행부(100)의 상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프레임(62,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프레임(62,63)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20)로부터 고정 지지되며 상방을 향하여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e body part 6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veling part 10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frames 62 and 63. The plurality of frames 62 and 63 may be fixedly supported from the support plate 120 and extended to extend upward.

상기 복수의 프레임(62,63)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20)에서부터 상기 헤드부(50)까지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62,63)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rames 62, 63 may include main frames 62, 63 extending from the support plate 120 to the head portion 50.

상기 메인 프레임(62,63)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0)와 헤드부(5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62,63)은 제 1 메인 프레임(62) 및 제 2 메인 프레임(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메인 프레임(62) 및 상기 제 2 메인 프레임(63)은 기둥 형상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메인 프레임(62) 및 상기 제 2 메임 프레임(63)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The main frames 62 and 63 may support the display unit 20 and the head unit 50. The main frames 62 and 63 may include a first main frame 62 and a second main frame 63. In detail, the first main frame 62 and the second main frame 63 may have a column shape and b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main frame 62 and the second main frame 63 may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20.

상기 제 1 메인 프레임(62) 및 상기 제 2 메인 프레임(63)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의 중심에서 양측으로 동일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 1 메인 프레임(62) 및 상기 제 2 메인 프레임(63)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메인 프레임(62) 및 상기 제 2 메인 프레임(63)의 상단에는 헤드부(50)가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main frame 62 and the second main frame 63 may be equally spaced from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120. In other respects, the first main frame 62 and the second main frame 63 may be later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120. The head portion 5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main frame 62 and the second main frame 63.

상기 바디부(60)는 바디플레이트(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플레이트(61)는 상기 메인 프레임(62,63)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62,63)의 어느 지점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바디플레이트(61)는 상기 메인 프레임(62,63)을 이등분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이등분 선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플레이트(61)는 원반 형상을 가지며, 무게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60 may further include a body plate 61. The body plate 61 is penetrated by the main frames 62 and 63 and can be fitted at any point of the main frames 62 and 63. The body plate 61 may be positioned below a bisector with respect to a point bisecting the main frames 62 and 63. The body plate 61 has a disk shape and a hollow portion may be formed to minimize weight.

상기 바디부(60)는 상기 안내 로봇(1)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보드(기판)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부(60)에는 상기 안내 로봇(1)의 핵심적인 전자 장비가 배치될 수 있다. The body part 60 may include various boards (substrates)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guide robot 1. That is, core electronic equipment of the guide robot 1 may be disposed in the body part 60.

상기 바디부(60)는 AP 보드(Application Processor)(74)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보드는 상기 바디플레이트(6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AP 보드는 상기 안내 로봇(1)의 하드웨어 모듈 전체 시스템을 관리하는 장치, 즉 제어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The body part 60 may include an AP board (Application Processor) 74. The AP board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late 61. The AP board can function as a device for managing the entire system of the hardware module of the guide robot 1, i.e., a control unit.

한편,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은 서브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바디플레이트(61)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플레이트(61)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서브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62,63)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 프레임은 제 1 서브 프레임 및 제 2 서브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rames may further include a sub-frame. The subframe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late 61 to support the body plate 61. The plurality of subframes are form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main frames 62 and 63. Specifically, the subframe may include a first subframe and a second subframe.

상기 제 1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제 2 서브 프레임은 기둥 형상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제 2 서브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sub-frame and the second sub-frame may have a columnar shape and b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sub-frame and the second sub-frame may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20.

상기 제 1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제 2 서브 프레임은 상기 제 1 메인 프레임(62) 및 상기 제 2 메인 프레임(63)에서 각각 후측으로 동일 간격 이격되며, 상기 바디플레이트(61)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제 2 서브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서브 프레임 및 상기 제 2 서브 프레임의 상단에는 상기 바디플레이트(61)가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sub frame and the second sub frame are equally spaced rearward in the first main frame 62 and the second main frame 63 and are formed at positions lower than the body plate 61 . That is, the first sub-frame and the second sub-frame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120. The body plate 61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the first sub-frame and the second sub-frame.

또한, 상기 서브 프레임(134)은 제 3 서브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서브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3 서브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3 서프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의 중심에서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서브 프레임은 상기 제 바디 플레이트(61)의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120)의 전방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서브 프레임의 상단에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61)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frame 134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ub-frame. The third sub-frame may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20. And the third sub-frame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main frame. For example, the third surf frame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from the center of the support plate 120. In other words, the third sub-frame may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support plate 120, consider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dy plate 61. The body plate 61 may b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third subframe.

상기 바디부(60)는 설치플레이트(64,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플레이트(64,65)는 판상 형상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62,63)에 결합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60 may further include mounting plates 64 and 65. The mounting plates 64 and 65 may have a plate-like shape and may be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coupled to the main frames 62 and 63.

상기 설치플레이트(64,65)는 제 1 설치플레이트(64) 및 제 2 설치플레이트(65)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설치플레이트(64)는 상기 제 1 메인 프레임(62)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는 상기 제 2 메인 프레임(63)에 결합될 수 있다. The mounting plates 64 and 65 may include a first mounting plate 64 and a second mounting plate 65. For example, the first mounting plate 64 may be coupled to the first main frame 62, and the second mounting plate 65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main frame 63.

상기 제 1 설치플레이트(64) 및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설치플레이트(64)와 상기 제 3 설치플레이트(65)가 마주보는 면을 각각의 내측면이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설치플레이트(64)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 1 메인 프레임(62)이 결합되며,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 2 메인 프레임(63)이 결합할 수 있다.The first mounting plate 64 and the second mounting plate 65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Here,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mounting plate 64 and the third mounting plate 65 face each other may be referred to as an inner surface. The first main plate 62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plate 64 and the second main frame 63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65 .

상기 제 1 설치플레이트(64)는 상기 제 1 메인 프레임(62)의 상단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는 상기 제 2 메인 프레임(63)의 상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mounting plate 64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main frame 62. The second mounting plate 65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main frame 63.

상기 제 1 설치플레이트(64)의 하부 및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의 하부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61)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설치플레이트(64) 및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는 무게의 경량화를 위해 복수개의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다.A lower portion of the first mounting plate 64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65 may pass through the body plate 61. Also, the first mounting plate 64 and the second mounting plate 65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low portions for weight reduction.

상기 바디부(60)는 MCU(Micro Controller Unit)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CU보드는 상기 제 1 설치 플레이트(64)의 내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MCU 보드는 상기 안내 로봇(1)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안내 로봇(1)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ody unit 60 may further include an MCU (Micro Controller Unit) board. The MCU board may be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plate 64. The MCU board can control the overall driving of the guide robot 1 and may include a memory in which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guide robot 1 are stored.

상기 바디부(60)는 전원 보드(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보드(75)는 상기 제 1 설치플레이트(64)의 내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보드는 상기 배터리(117)의 전원이 상기 안내 로봇(1)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에 공급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6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board 75. The power board 75 may be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mounting plate 64. The power supply board can control that the power of the battery 117 is supplied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guide robot 1. [

상기 바디부(60)는 유저 인터페이스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보드는 상기 제 1 설치플레이트(64)의 내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보드는 사용자의 입출력을 담당하는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body part 60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terface board. The user interface board may be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plate 64. The user interface board can control an operation of a component responsible for user input and output.

상기 바디부(60)는 메인PCB 또는 스테레오 보드 (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PCB 또는 스테레오 보드 (73)는 상기 바디 플레이트(61)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43)와 제 3 보조프레임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스테레오 보드는 각종 센서 및 카메라로부터 수집되는 센싱 데이터를 처리 및 가공하여 상기 안내 로봇(1)의 위치 인식과 장애물 인식을 위한 데이터 관리를 담당할 수 있다.The body 60 may further include a main PCB or a stereo board 73. The main PCB or the stereo board 73 is located below the body plate 61 and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stereo camera 43 and the third auxiliary frame. The stereo board processes and processes sensed data collected from various sensors and cameras, and can manage data for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guide robot 1 and for recognizing an obstacle.

본 실시예에서 각종 보드(기판)는 상기 개수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개수보다 더 적거나 더 많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드의 종류에 대해서는 일례를 들어 설명한 것이므로, 상술한 보드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various boards (substrates) is not limited to the above number, but may be smaller or larger than the above number. Of course, the types of the board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ypes of boards because they ar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상기 바디부(13)는 전방 라이더(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라이더(137)는 레이저 레이더로서, 레이저 빔을 조사하고 에어로졸에 의해 흡수 혹은 산란된 빛 중 후방 산란된 빛을 수집, 분석하여 위치 인식을 수행하는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전방 라이더(137)는 상기 후방 라이더(118)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전방 라이더(137)는 상기 제 2 지지 플레이트(120)의 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방 라이더(137)는 상기 안내 로봇(1)의 전방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라이더(137)는 상기 제 2 미들 커버(33)에 형성된 상기 제 1 절개부(33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body part 13 may further include a front rider 137. The front rider 137 may be a laser radar, which is a sensor that irradiates a laser beam and collects and analyzes backscattered light among light absorbed or scattered by the aerosol to perform position recognition. The front rider 137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rear rider 118. However, the front rider 137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120. That is, the front rider 137 may be disposed toward the front of the guide robot 1. [ The front rider 137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cut-out portion 331 formed in the second middle cover 33.

상기 바디부(13)는 스테레오 카메라(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137)는 상기 RGBD 센서(321)와 함께 상기 안내 로봇(1)의 전방에 있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body part 13 may further include a stereo camera 137. The stereo camera 137 may perform a function of detecting an obstacle in front of the guide robot 1 together with the RGBD sensor 321.

상기 바디부(60)는 디스플레이부(20)를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가이드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장치(200)는 제 2 설치플레이트(65)에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body part 60 may further include a movement guide device 200 capable of moving the display part 20 forward or backward through sliding movement. The moving guide device 200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65.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헤드부(50)는 상기 바디부(6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50)는 상기 탑 커버(31)와 결합되며, 상기 탑 커버(31)는 상기 헤드부(50)를 통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50)는 회전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모터는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head portion 50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60. The head portion 50 is coupled to the top cover 31 and the top cover 31 can be installed to be rotatable through the head portion 50. In addition, the head unit 50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motor. The rotating motor can provide power for rotating the rotating member.

상기 헤드부(50)는 리더기(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더기(55)는 결합홀(32b)의 상부에 개구부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리더기(55)의 내부공간은 상기 결합홀(32b)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더기(55)는 상기 결합부(22)의 리더기연결홀(25)과 연결될 수 있다. The head unit 50 may further include a reader 55. The reader 55 may have an opening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32b. That is, the inner space of the reader 55 may be located above the coupling hole 32b. Therefore, the reader 55 can be connected to the reader connection hole 25 of the coupling part 22. [

상기 디스플레이부(20)가 닫힘(close)상태가 되어 상기 결합홀(32b)을 폐쇄하면, 상기 리더기연결홀(25)과 상기 리더기(55)의 내부 공간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리더기연결홀(25)을 통하여 상기 리더기(55)로 항공권 등을 삽입할 수 있다. When the display unit 20 is closed and the coupling hole 32b is closed, the reader connection hole 25 and the inner space of the reader 55 can be connected. Accordingly, the user can insert a ticket or the like into the reader 55 through the reader connection hole 25. [

상기 리더기(55)는 사용자의 여권, 항공권, 모바일 바코드 등을 스캔 또는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더기(55)를 통하여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리더기(55)에 모바일 기기를 삽입하여, 모바일 탑승권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모바일 탑승권을 통해 얻은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이동해야 할 탑승구를 표시하고 안내할 수 있다.The reader 55 may scan or recognize the user's passport, ticket, mobile bar code, and the like. Therefore,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0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reader 55. [ For example, when the user inserts the mobile device into the reader 55 and recognizes the barcode of the mobile boarding pass, the display unit 20 displays the boarding gate to which the user should move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mobile boarding pass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결합장치를 보여주는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이동가이드장치와 슬라이드가이드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FIG.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guide device and a slide guide of a guid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coupling device of a guid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 및 도 7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가이드장치(200)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The first embodiment of the moving guide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7. FIG.

상기 이동가이드장치(200)는,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가이드(220,221)와,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20,221)를 삽입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플레이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ving guide device 200 includes slide guides 220 and 221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65 and a guide plate 210 slidably inserted with the slide guides 220 and 221 .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20,221)는,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의 내측면을 따라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프레임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20,221)는 복수 개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20,221)는 가이드플레이트(210)의 상부에 삽입되는 제 1 슬라이드가이드(220) 및 가이드플레이트(210)의 하부에 삽입되는 제 2 슬라이드가이드(22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lide guides 220 and 221 may be formed as a frame extending longitudinally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65. The slide guides 220 and 221 may have a plurality of slides. For example, the slide guides 220 and 221 may include a first slide guide 220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late 210 and a second slide guide 221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plate 210 .

상기 제 1 슬라이드가이드(220)는,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의 내측 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슬라이드가이드(220)는 ‘ㅓ’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slide guide 220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65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protruding end. For example, the first slide guide 220 may have a curved shape.

상기 제 2 슬라이드가이드(221)는, 상기 제 1 슬라이드가이드(22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슬라이드가이드(220)는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의 내측 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슬라이드가이드(220)는 상기 제 1 슬라이드가이드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slide guide 221 may be positioned below the first slide guide 220. The second slide guide 220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65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protruding end. The second slide guide 220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lide guide.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20)의 안내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는, 상기 제 1 설치플레이트(64)와 제 2 설치플레이트(65)가 형성하는 상기 바디부(60)의 내부 공간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The guide plate 210 can be slid forward or backward in the main body 10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slide guide 220. That is, the guide plate 210 can be slid forward or backwar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portion 60 formed by the first mounting plate 64 and the second mounting plate 65.

다른 측면에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는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본체(10)에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guide plate 210 may be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sliding movement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65.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는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plate)로 형성할 수 있다. The guide plate 210 may have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guide plate 210 may be formed of a square plate.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의 일 면에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20,221)가 삽입 또는 연결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연결부(211,212)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의 일 면은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의 내측면을 마주 바라보는 면, 즉,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의 외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의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연결부가 위치할 수 있다. The guide protrusions 211 and 21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plate 210 to insert or connect the slide guides 220 and 221 to slide. One side of the guide plate 210 can be understood as a side facing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installation plate 65, that is,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guide plate 210. Therefore, the guide connection portion can be position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210.

상기 가이드연결부(211,212)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의 외측면에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20,221)와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연결부(211,212)는, 상기 제 1 슬라이드가이드(220)를 삽입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 1 가이드연결(211)부 및 상기 제 2 슬라이드가이드(221)를 삽입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 2 가이드연결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uide connection portions 211 and 212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210 to correspond to the slide guides 220 and 221. For example, the guide connection portions 211 and 212 may include a first guide connection portion 211 that slides by inserting the first slide guide 220 and a second guide connection portion 211 that slides by inserting the second slide guide 221. [ And may include a guide connecting portion 212.

상기 제 1 가이드연결부(211) 및 제 2 가이드연결부(212)는, 상기 제 1 슬라이드가이드(220) 및 제 2 슬라이드가이드(22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가이드연결부(211) 및 제 2 슬라이드가이드(221)는 ‘ㅓ’형상을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의 외측면에서 내부로 ‘ㅓ’ 형상의 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guide connection part 211 and the second guide connection part 21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s of the first slide guide 220 and the second slide guide 221. For example, the first guide connection part 211 and the second slide guide 221 may be formed into a 'groove' shape from the outer side of the guide plate 210 so as to insert a ' can do.

이에 의하면, 상기 제 1 가이드연결부(211) 및 제 2 가이드 연결부(212)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를 안정적으로 상기 제 1 슬라이드가이드(220) 및 제 2 슬라이드가이드의 안내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The first guide connection part 211 and the second guide connection part 212 stably guide the guide plate 210 forward or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guide of the first slide guide 220 and the second slide guide And can be slidingly moved.

상기 이동가이드장치(200)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를 구속할 수 있는 개방장치(300) 및 상기 개방장치(300)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삽입부재(3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guide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device 300 capable of restraining the guide plate 210 and an insertion member 351 drawn or drawn into the opening device 300.

상기 삽입부재(351)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의 전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삽입부재(351)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10)가 상기 본체(10)의 내부, 즉,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10)의 본체(10)를 향하는 일 면에 위치할 수 있다.The insertion member 351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plate 210. The insertion member 351 i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guide plate 310 facing the main body 10 when the guide plate 310 slides inside the main body 10 .

상기 삽입부재(351)는, 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재는(351)는 상기 개방장치(300)의 위치와 대응되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에 설치할 수 있다. The insertion member 351 may have a protrusion shap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sertion protrusions. The insertion member 351 may be installed on the guide plate 210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sition of the opening device 300.

상기 개방장치(300)는 상기 삽입부재(351)를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방장치(300)는 상기 삽입부재(351)가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인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가 구속되어 다시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장치(300)는 상기 삽입부재(351)가 사용자의 2차적 가압에 의해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의 구속은 해제되어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The opening device 300 may be formed to allow the insertion member 351 to be drawn in or drawn out. Therefore, when the insertion member 351 is pulled in by the user's pushing and is engaged, the opening device 300 can be fixed so that the guide plate 210 is constrained and can not move backward. Further, the opening device 300 can be released from the engagement by the insertion pressure of the insertion member 351 by the secondary pressure of the user. At this time, the restraint of the guide plate 210 is released and the sliding movement of the guide plate 210 can be performed backward.

상기 개방장치(300)는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의 내측 면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장치(300)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개방장치(300)는 슬라이드가이드(220,22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부재(351)는 해당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재(351)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가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최대한 인입된 경우, 상기 개방장치(300)에 삽입되어 걸림을 이룰 수 있다. The opening device 300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65. The opening device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s. For example, the opening device 30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slide guides 220 and 221. At this time, the insertion member 351 may be positioned on the guide plate 210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refore, when the guide plate 210 is drawn into the main body 10 as much as possible, the insertion member 351 can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device 300 to engage the opening device.

상기 삽입부재(351) 및 개방장치(300)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Details of the structure of the insertion member 351 and the opening device 30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가이드장치(200)의 다른 실시예(제 2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 2 실시예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 가이드플레이트(210)의 형상, 슬라이드가이드(220) 및 가이드연결부(미도시)의 구성 대한 차이가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의 설명은 상기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Another embodiment (second embodiment) of the moving guide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plate 210, the configuration of the slide guide 220, and the guide connection portion (not show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verlapping with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is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이동가이드장치(200)는 후술할 결합장치(240,250)과 연결되는 가이드플레이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는 무게를 경량화하기 위해 복수개의 중공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는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본체(10)의 내부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다. The moving guide device 200 may include a guide plate 210 connected to coupling devices 240 and 250 to be described later. The guide plate 210 may have a plurality of hollow portions to reduce the weight. The guide plate 2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65 and can be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sliding movement.

상기 이동가이드장치(200)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와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를 연결하는 롤러가이드(225,2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oving guide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roller guides 225 and 226 connecting the guide plate 210 and the second mounting plate 65.

상기 롤러가이드(225,226)는 상부레일(225a,226a) 및 상기 상부레일(225a,226a)과 롤러로 연결되어 이동이 가능한 하부레일(225b,226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가이드(225,226)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The roller guides 225 and 226 may include upper rails 225a and 226a and lower rails 225b and 226b which are connected to the upper rails 225a and 226a by rollers. The plurality of roller guides 225 and 226 may be provided.

일례로, 상기 롤러가이드(225,226)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의 외측면 상부에 연결되는 제 1 롤러가이드(225) 및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의 외측면 하부에 연결되는 제 2 롤러가이드(22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롤러가이드(225) 및 제 2 롤러가이드(226)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는 전후방으로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이룰 수 있다. The roller guides 225 and 226 may include a first roller guide 225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210 and a second roller guide 226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210. [ ).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roller guides 225 and 226 allow the guide plate 210 to perform stable sliding movement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이 경우, 상기 제 1 롤러가이드(225)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의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레일(225a) 및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에 연결되는 하부레일(225b)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롤러가이드(226)는, 상기 제 1 롤러가이드(225)와 달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1)의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레일(226b) 및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에 연결되는 상부레일(226a)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roller guide 225 may include an upper rail 225a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late 210 and a lower rail 225b connected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65 . Unlike the first roller guide 225, the second roller guide 226 includes a lower rail 226b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plate 211 and a lower rail 226b connected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65 And may include an upper rail 226a.

이에 의하면,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에 연결되는 상기 제 1 롤러가이드(225)의 하부레일(225b) 및 제 2 롤러가이드(226)의 상부레일(226a)은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에 연결되는 상기 제 1 롤러가이드(225)의 상부레일(225a) 및 제 2 롤러가이드(226)의 하부레일(226b)은 롤러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lower rail 225b of the first roller guide 225 connected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65 and the upper rail 226a of the second roller guide 226 are fixed and the guide plate The upper rail 225a of the first roller guide 225 and the lower rail 226b of the second roller guide 226 which are connected to the first roller guide 210 can be moved back and forth by the rollers.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와 연결되는 결합장치(240,25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The coupling devices 240 and 250 connected to the guide plate 2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가이드 장치(200)는 결합장치(240,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결합장치(240,250)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의 내측면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장치(240,250)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가 상기 전원보드(75)를 바라보는 일 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장치(240,250)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의 내측면의 후방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장치(240,250)는 본체(10)의 후방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20)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moving guide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coupling devices 240 and 250. In detail, the coupling devices 240 and 250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210. That is, the coupling devices 240 and 250 may be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guide plate 210 facing the power supply board 75. In addition, the coupling devices 240 and 250 may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210. Therefore, the coupling devices 240 and 250 can easily connect the display unit 20 located behind the main body 10.

상기 결합장치(240,250)는 복수 개의 결합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결합장치(240,250)는, 제 1 결합장치(240) 및 상기 제 1 결합장치(24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결합장치(2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devices 240 and 2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upling devices. In one example, the coupling devices 240 and 250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device 240 and a second coupling device 250 positioned below the first coupling device 240.

상기 제 1 결합장치(240)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에 결합되는 제 1 지지판(241), 상기 제 1 지지판(24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링크(242), 상기 제 1 링크(242)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243) 및 상기 제 2 링크(243)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제 1 설치홈(21a)과 체결되는 제 1 부착판(24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device 240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241 coupled to the guide plate 210, a first link 242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241, A second link 243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242 and a first attachment plate 246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243 and coupled to the first attachment groove 21a of the display unit 20, . ≪ / RTI >

상기 제 1 지지판(241)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의 내측면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판(241)은 상기 제 1 링크(242) 및 제 3 링크(244)와 힌지결합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지지판(241)은 상기 제 1 링크(242) 및 제 3 링크(244)와 핀 조인트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링크(242) 및 제 3 링크(244)는 상기 지지판(241)을 중심으로 약 180도 회동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late 241 may be positioned above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210. The first support plate 241 may be hinged to the first link 242 and the third link 244. That is, the first support plate 241 may form a pin joint with the first link 242 and the third link 244. Therefore, the first link 242 and the third link 244 can be rotated about 180 degrees about the support plate 241. [

상기 제 1 링크(242)는, 가운데가 개방되는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링크(242)의 일 모서리부는 상기 제 1 지지판(241)과 힌지결합을 이루며, 대칭되는 위치의 타 모서리부는 중심에 제 2 링크(243)와 힌지결합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링크(243)는 상기 제 1 링크(242)의 타 모서리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The first link 242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with an open center. At this time, one corner of the first link 242 is hing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241, and the other corner of the symmetric position is hinged to the second link 243 at the center. Accordingly, the second link 243 is rotatable about the other corner of the first link 242 as a central axis.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 1 링크(242)는 상기 제 1 지지판(24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링크(243)는 상기 제 1 링크(242)를 중심 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first link 242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241 about the center axis. The second link 243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242 about a central axis.

상기 제 2 링크(243)는, 직사각형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링크(243)의 일단은 상기 제 1 링크(242)의 일 측단부와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링크(243)의 타단은 제 1 부착판(246)과 연결할 수 있다. The second link 243 may have a rectangular rod shape. One end of the second link 243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link 242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24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ttachment plate 246.

상기 제 1 부착판(246)은 상기 결합부(22)의 제 1 설치홈(22a)과 체결을 이루어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부착판(246)의 일 면은 상기 제 2 링크(243)와 연결하며, 타 면은 상기 제 1 설치홈(22a)과 연결할 수 있다. The first attachment plate 246 can be fastened to the first attachment groove 22a of the coupling part 22 by fastening. That is, one side of the first attachment plate 246 is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243,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22a.

상기 제 1 부착판(245)은 상기 제 1 설치홈(22a)에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하여 체결을 이루어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안내 로봇(1)에서 분리하고자 하면, 상기 제 1 부착판(245)과 제 1 설치홈(22a)에 체결된 체결부재를 해체함으로써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The first attachment plate 245 may be fastened to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22a through a separate fastening member. Therefore, if the user desires to separate the display unit 20 from the guide robot 1, the first attachment plate 245 and the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22a can be easily dismounted have.

상기 제 1 결합장치(240)는. 상기 제 1 링크(242)와 이격되어 상기 지지판(24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 링크(244), 상기 제 3 링크(244)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4 링크(2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device (240) A third link 244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ink 242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241 and a fourth link 245 pivotally connected to the third link 244 can do.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 3 링크(244)는 상기 제 1 지지판(24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4 링크(245)는 상기 제 3 링크(244)를 중심 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third link 244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241 about the center axis. The fourth link 245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third link 244 as a center axis.

상기 제 3 링크(244)는 상기 제 1 링크(242) 보다 후방으로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링크(244)는 상기 제 1 링크(242)와 동일하게 가운데가 개방되는 사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3 링크(244)의 길이는 상기 제 1 링크(24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제 2 링크(243)는 상기 제 4 링크(245)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제 3 링크(244)의 개방된 가운데 공간에 위치하므로 일정 각도 범위에서의 이동이 가능하다.The third link 244 may be positioned rearward of the first link 242. The third link 244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that is opened at the center as the first link 242. However, the length of the third link 244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link 242. Accordingly, since the second link 243 is located in the open middle space of the third link 244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fourth link 245, the second link 243 can be moved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상기 제 3 링크(244)는 일 모서리부는 상기 지지판(241)과 힌지결합을 이루며, 상기 일 모서리부에 대칭되는 위치의 타 모서리부는 중심에 제 4 링크(245)와 힌지결합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제 4 링크(245)는 상기 제 3 링크(244)의 타 모서리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One corner of the third link 244 is hinged to the support plate 241, and the other corner of the third link 244 is symmetrical to the one edge of the third link 244. Accordingly, the fourth link 245 is rotatable about the other corner of the third link 244 as a central axis.

상기 제 4 링크(245)는 상기 제 2 링크(243)와 동일한 직사각형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4 링크(245)의 길이는 상기 제 2 링크(243)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링크(243)는 상기 제 4 링크(245)보다 전방의 위치에서 상기 제 1 링크(242)와 결합을 이루므로, 상기 제 2 링크(243)의 길이가 상기 제 4 링크(245)의 길이보다 길어야 상기 제 1 부착판(246)의 일 평면에 수직하게 연결할 수 있다. The fourth link 245 may have the same rectangular bar shape as the second link 243. However, the length of the fourth link 245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link 243. In detail, the second link 243 engages with the first link 242 at a position ahead of the fourth link 245, so that the length of the second link 243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ourth link 242 245 to be perpendicular to one plane of the first attachment plate 246.

상기 제 4 링크(245)의 일단은 상기 제 3 링크(244)의 일 측단부와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제 4 링크(245)의 타단은 제 1 부착판(246)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4 링크(245)는 상기 제 2 링크(243)와 이격되어 제 1 부착판(246)에 연결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fourth link 245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ird link 244 and the other end of the fourth link 245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ttachment plate 246. Here, the fourth link 245 may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link 243 and connected to the first attachment plate 246.

정리하면, 상기 제 1 링크(242)의 길이는 상기 제 3 링크(244)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링크(243)의 길이는 상기 제 4 링크(245)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length of the first link 242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third link 244,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link 243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fourth link 245 .

이에 의하면, 상기 제 1 링크(242)에 연결되는 제 2 링크(243)는, 상기 제 3 링크(244)의 개방된 가운데 공간에서 회동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제 4 링크(245)와 함께 수직 평면인 제 1 부착판(246)의 일 면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링크(242) 내지 제 4 링크(245)는, 각각 일정 각도의 범위 안에서 회전이동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부착판(246)의 타 면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20)가 다른 구성과의 간섭을 고려할 필요가 없이 일정 범위내의 각도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 6 에서 화살표 실선은 상기 제 1 링크(242) 내지 제 4 링크(245)가 회동하는 방형을 나타낸 것이다. The second link 243 connected to the first link 242 can rotate in the open center space of the third link 244 and at the same time, And can be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mounting plate 246 which is flat. Therefore, since the first link 242 to the fourth link 245 can rotate in a range of a predetermined angle, the display unit 20 connect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late 246 has a different configur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rotate at an angle within a certain range. In FIG. 6, the arrow solid line indicates a square in which the first link 242 to the fourth link 245 are rotated.

상기 제 2 결합장치(250)는, 상기 제 1 지지판(241)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에 결합되는 제 2 지지판(251), 상기 제 2 지지판(25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링크(252), 상기 제 1 링크(252)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 2 지지판(25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 링크(254), 상기 제 1 링크(252)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253), 상기 제 3 링크(254)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4 링크(255), 및 상기 제 2 링크(253)와 제 4 링크(255)가 이격된 위치에서 결합되는 제 2 부착판(256)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device 250 includes a second support plate 251 positioned below the first support plate 241 and coupled to the guide plate 210 and a second support plate 251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251 A third link 254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late 251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ink 252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the first link 252, A second link 253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252 about a central axis thereof, a fourth link 255 rotatably connected to the third link 254 about a center axis thereof, And a second attachment plate 256 coupled to the link 253 and the fourth link 255 at spaced apart locations.

상기 제 2 결합장치(250)의 구성 및 구성간의 연결관계는 상기 제 1 결합장치(240)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제 2 결합장치(250)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상기 제 1 결합장치(240)의 설명을 원용한다.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igura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upling device 25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coupling device 240. Thus, the redundant description of the second coupling device 250 is ba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coupling device 24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이동가이드장치와 슬라이드가이드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개방장치와 삽입부재의 결합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개방장치와 삽입부재가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 between the guide unit and the slide guide of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opening unit and the insertion member of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device of the guide robot and the insertion memb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가이드장치(200)는 개방장치(300) 및 삽입부재(3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개방장치(300)와 삽입부재(351)의 결합 및 해제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guide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device 300 and an insertion member 351. Hereinafter,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opening device 300 and the insertion member 35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가이드장치(200)는,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의 내측 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의 내측 면 일 지점에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개방 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 장치(300)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20,22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7 to 9, the movement guide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installation plate 65, a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installation plate 65 And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device 300 extending from one point to the rear. The opening device 30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slide guides 220 and 221.

상기 개방 장치(300)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의 일 면에 위치하는 삽입 부재(351)가 삽입되는 개구부인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pening device 300 may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an insertion member 351 positioned on one surface of the guide plate 210 is inserted.

상기 개방 장치(300)는, 상기 삽입 부재(351)의 인출입 과정에서 상기 삽입 부재(351)에 선택적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 부재(31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pening device 300 may include an engaging member 315 that selectively engages the insertion member 351 during the insertion and extraction of the insertion member 351.

상기 삽입 부재(351)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의 본체(10)를 향하는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개방 장치(200)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The insertion member 351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guide plate 210 facing the main body 10 and can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opening device 200.

상기 삽입 부재(351)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돌기부(351a) 및 상기 돌기부(351a)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에 연결되도록 하는 레일 연결부(351b)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 부재(351)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의 일 부분으로 규정될 수 있다.The insertion member 351 includes a protrusion 351a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and a rail connection portion 351b connecting the protrusion 351a to the guide plate 210. [ Here, the insertion member 351 may be defined as a part of the guide plate 210.

상기 레일 연결부(351b)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돌기부(351a)는 상기 레일 연결부(351b)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돌기부(351a)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의 전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The rail connecting portion 351b has a shape extending forward from the guide plate 210 and the protruding portion 351a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rail connecting portion 351b. The protrusion 351a is spaced apart from the guide plate 2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돌기부(351a)는, 전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상기 걸림 부재(315)가 수용되는 개구 단부(351c)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 부재(315)는, 상기 돌기부(351a)의 내측면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단(316)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 부재(315)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The protruding portion 351a forms an opening end portion 351c which is open toward the front and in which the engaging member 315 is received. The latching member 315 forms a latching end 316 for latching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51a. The latching members 315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걸림 부재(315)는, 상기 돌기부(351a)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복수의 걸림 부재(315)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The latching member 315 may be de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latching members 315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being received in the protrusion 351a.

상기 걸림단(316)은, 상기 걸림 부재(315)가 상기 개구 단부(351c)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진 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단(316)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상기 돌기부(351a)의 내측면은 상기 걸림단(316)에 대응하여 경사진 면을 가진다.The latching end 316 may include a sloped surface so that the latching member 315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opening end 351c. The inner surface of the projection 351a, which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end 316, has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engagement end 316.

상기 삽입 부재(351)가 상기 개방 장치(30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단(316)은 상기 개구 단부(351c)를 따라 가이드 되면서 상기 돌기부(351a)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걸림 부재(315)는 서로 좁혀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insertion member 351 into the opening device 300, the latching end 316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351a while being guided along the opening end 351c.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315 can be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are narrowed to each other.

상기 걸림 부재(315)가 상기 돌기부(351a)의 내측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복수의 걸림 부재는 원래 방향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돌기부(351a)의 내측면에 걸림이 이루어진다.When the latching member 315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351a, the plurality of latching members are restored to the original direction and engag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51a.

상기 개방 장치(300)는, 상기 삽입 부재(351)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삽입 부재(351)에 의하여 가압되는 가압부(321) 및 상기 가압부(321)의 탄성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1 탄성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 device 3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ressing member 321 pressed by the insertion member 351 and the pressing member 321 are elastically move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insertion member 351 backward The first elastic member 330 may include a first elastic member.

상기 가압부(321) 및 제 1 탄성부재(330)는 상기 개방 장치(300)의 내부 양측에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The pressing portion 321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33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device 300 at a plurality of positions.

상기 가압부(321)는, 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 대응부(321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 부재(315)는, 상기 걸림 부재(315)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 대응부(321a)에 대응되는 경사면(325) 및 상기 걸림 부재(315)가 후방으로 탄성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2 탄성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탄성부재(340)의 탄성 계수는 상기 제 1 탄성부재(330)의 탄성 계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pressing portion 321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portion 321a which is inclined in one direction. The engaging member 315 forms at least a part of the engaging member 315 and the inclined surface 325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portion 321a and the engaging member 315 can be elastically moved backward The second elastic member 340 may be provided. Here, the elastic modulus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340 may be smaller than the elastic modulus of the first elastic member 330.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삽입 부재(351) 및 개방 장치(300)의 작용을 간단하게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insertion member 351 and the open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결합부(22)를 상기 결합구(32b)에 인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전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20,221)을 따라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삽입 부재(351)는 상기 개방 장치(3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When the display unit 20 is pushed forward to urge the engaging portion 22 of the display unit 20 into the engaging hole 32b, the guide plate 210 is moved along the slide guides 220 and 221 The insertion member 351 may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opening device 300. In this case,

상기 걸림 부재(351)는 상기 돌기부(351a)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걸림단(316)은 상기 돌기부(351a)의 내측면에 걸림이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20,221)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제 2 설치플레이트(65)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결합부(22)는 상기 결합구(32b)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The latching member 351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351a and the latching end 316 is engag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51a. As a result, the guide plate 210 can be coupled to the slide guides 220 and 221, thereby fixing the guide plate 210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65. Therefore, the engaging portion 22 of the display unit 20 can be retained in the inside of the coupling opening 32b.

물론, 상기 결합구(32b)의 일 측에는, 일례로, 도어캐치, 자석래치 등의 결합부 연결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 연결장치는 상기 결합부(22)와 결합구(32b)를 자석, 래치 등으로 결합시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0)와 본체(10)를 안정적으로 결합시켜 유지할 수 있다. Of course,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 32b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unit such as a door catch, a magnetic latch, or the like. The coupling unit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display unit 20 and the main body 10 by coupling the coupling unit 22 and the coupling unit 32b with a magnet or a latch.

한편, 상기 삽입 부재(351)가 상기 개방 장치(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누르면 상기 삽입 부재(351)는 후방으로, 즉 상기 디스플레이가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insertion member 351 is coupled to the opening device 300, when the display unit 20 is pushed, the insertion member 351 can move backward, that i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is directed.

상기 삽입 부재(351)는 이동되면서 상기 가압부(321)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가압부(321)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제 1 탄성부재(330)는 압축된다.The insertion member 351 is moved while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321, and the pressing portion 321 is moved backward. At this time, the first elastic member 330 is compressed.

그리고, 상기 가압부(321)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경사면 대응부(321a)는 상기 경사면(325)을 가압하게 된다.As the pressing portion 321 is moved backward, the slope-corresponding portion 321a presses the slope 325.

이 과정에서 상기 경사면(325)에는 후방으로 가해지는 힘 및 상기 복수의 걸림 부재(315)를 내리 누르는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작용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걸림 부재(315)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In this process, a force applied to the inclined surface 325 in a rearward direction and a force applied in a direction to push down the plurality of engaging members 315 are applied. Therefore, the plurality of latching members 315 can be moved rearward while being deform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each other.

그리고, 상기 걸림단(316)은 상기 돌기부(351a)와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상기 돌기부(351a)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제 2 탄성부재(340)는 압축된다. 그리소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누름 동작을 멈추면, 상기 제 1 탄성부재(330)는 원래 방향으로 복원되며, 상기 가압부(321)는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돌기부(351a)를 전방으로 밀어낸다.The engaging end 316 is moved outwardly of the protrusion 351a while releasing the engagement with the protrusion 351a. At this time, the second elastic member 340 is compressed. When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20 is stopped, the first elastic member 330 is restored to the original direction, and the pressing unit 321 pushes the protrusion 351a forward while being moved forward .

상기 돌기부(351a)는 상기 가압부(321)의 작용력에 의하여 상기 개방 장치(300)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개방 장치(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소정 거리만큼 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The protrusion 351a can be moved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device 300 by the action of the pressing part 321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opening device 300. [ As a result, the display unit 20 can be pulled back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당기면, 상기 결합부(22)가 결합구(32b)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결합부(22)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와 함께 상기 본체(10)의 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When the display unit 20 is pulled, the engaging part 22 is separated from the engaging part 32b and the engaging part 22 is mov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together with the guide plate 210 Can be withdrawn.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가압하는 횟수에 따라, 상기 삽입부재(351)와 상기 개방장치(300)의 결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결합부(22)는 1차 가압되는 작용에 의하여, 상기 본체(10)에 인입될 수 있으며, 2차 가압되는 작용에 의하여 인출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That is, depending on the number of times the display unit 20 is pressed, the insertion member 351 and the opening device 300 can be selectively engaged. For example, the engaging portion 22 of the display unit 20 can be pulled into the main body 10 by a primary pressing action, and can be easily pulled out due to a secondary pressing action.

결국, 디스플레이부(20)를 인출입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많은 힘을 들여야 하는 어려움이 해소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difficulty that the user has to apply a lot of force to draw out the display unit 20.

도 10은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디스플레이부가 열리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후방사시도이고,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디스플레이부가 열리는 과정을 상방에서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FIGS. 10 to 12 are rear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ep of opening the display unit of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3 to 15 show a process of opening the display unit of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showing stepwise from above.

보다 상세히, 도 1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0)가 상기 본체(10)와 일체로 결합된 닫힘상태를 보여주며, 도 11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0)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에 의해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당김상태를 보여주고, 도 1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가 상기 제 1 결합장치(240) 및 제 2 결합장치(250)에 의하여 회동되어 상기 본체(10)를 완전히 개방시키는 개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0 shows a closed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2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and FIG. 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20 is slid rearward by the guide plate 210. FIG. 12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20 is rotated by the first coupling device 240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250 to open the main body 10 completely Fig.

도 13은 도 10의 닫힘상태를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4은 도 11의 당김상태를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15는 도 12의 회동상태를 상방에서 바라본 그림이다. FIG. 13 is a top view of the closed state of FIG. 10, FIG. 14 is a top view of the pulled state of FIG. 11, and FIG. 15 is a top view of the pivoting state of FIG.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열림(open)동작 또는 닫힘(close)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본체(10)의 개구부인 결합홀(32b)를 개폐하는 열림(open)동작 또는 닫힘(close)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10 to 15, an open operation or a clos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unit 20 may perform an opening operation or a closing opera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engagement hole 32b, which is an opening of the main body 10.

상기 열림(open)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0)와 본체(10)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결합홀(32b)를 개방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The open operation means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display unit 20 and the main body 10 to open the engagement hole 32b.

상기 열림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0)가 상기 본체(10)의 결합홀(32b)를 폐쇄한 닫힘 상태에서 시작한다. The opening operation is started when the display unit 20 closes the engagement hole 32b of the main body 10.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상기 본체(10)의 결합홀(32b)에서 밀어낼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전방으로 가압을 가하면, 상기 개방장치(300)에서의 삽입부재(351)는 잠금이 풀릴 수 있다. 그리고 탄성력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후방으로, 즉, 결합홀(32b)의 외측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빠져 나올 수 있다. The user can push the display unit 20 out of the engagement hole 32b of the main body 10. [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display unit 20 forward, the insertion member 351 in the opening device 300 can be unlocked. The display unit 20 can be pulled backward, that is, outwardly of the coupling hole 32b by a certain distance due to the elastic force.

이후,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후방으로 당길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0)에 당기는 힘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20)의 결합부(22)와 상기 이동가이드장치(200)의 가이드플레이트(210)를 연결하는 결합장치(240,250)에도 상기 당기는 힘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가 슬라이드가이드(220)의 안내에 따라 결합홀(32b)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user can pull the display unit 20 backward. The coupling device 240 or 250 connecting the coupling part 22 of the display 20 and the guide plate 210 of the moving guide device 200 may be provided with the pulling force to the display part 20, Pulling force can be transmitted. Therefore, the guide plate 210 can slide rearward. That is, the guide plate 210 can be drawn out from the coupling hole 32b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slide guide 220. [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가 상기 결합홀(32b)로부터 후방으로 최대한 인출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20)도 최후방으로 인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때를 디스플레이부(20)의 당김 상태라고 이름할 수 있다. When the guide plate 210 is pulled out from the coupling hole 32b to the maximum extent, the display unit 20 may be pulled out to the last room. This time may be called the pulled state of the display unit 20. [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결합장치(240,250)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장치(240,250)에 구비되는 복수의 링크(242.243,244,245,252,253,254,255)의 회동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0)가 일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상기 결합홀(32b)는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이를 개방 상태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열림동작은 종료한다. Thereafter, the display unit 20 may be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the coupling devices 240 and 250. That is, the display unit 20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rough the rotation of the plurality of links 242.243, 244, 245, 252, 253, 254, and 255 provided in the coupling devices 240 and 250. Accordingly, the engagement hole 32b of the main body 10 can be completely open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isplay unit 20. [ It can be called an open state. In the open state, the open operation is terminated.

상기 닫힘(close)동작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0)와 본체(10)가 일체로 결합하여 상기 결합홀(32b)을 폐쇄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The closing operation means that the display unit 20 and the main body 10 are integrally coupled to close the coupling hole 32b.

상기 닫힘동작은 상기 열림동작의 역순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닫힘동작은 상기 개방 상태에서 시작한다. 사용자는 역순으로 다시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결합부(22)가 상기 결합홀(32b)에 대응되는 위치로 오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를 디스플레이부(20)의 정위치 복귀 상태라도 이름할 수 있다. The closing operation can be understoo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opening operation. Therefore, the closing operation starts in the open state. The user can rotate the coupling part 22 of the display part 20 in a reverse order so as to come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32b.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20 may be called a return to the normal position.

이후,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전방으로 밀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0)에 미는 힘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20)와 연결되는 가이드플레이트(210)는 전방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가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20)의 안내에 따라 상기 결합홀(32b)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user can push the display unit 20 forward. The guide plate 210 connected to the display 20 can slide forward toward the front by providing the user with a pushing force to the display unit 20. [ That is, the guide plate 210 can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32b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slide guide 220. [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가 상기 결합홀(32b) 내측으로 최대한 인입되고, 상기 결합부(22)의 하면이 안착부(32a)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본체(10)와 디스플레이부(20)는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닫힘 상태를 이루게 된다. The main body 10 and the display unit 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guide plate 210 is fully drawn into the engaging hole 32b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22 is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32a. So as to form the closed state.

이때, 상기 이동가이드장치(200)의 삽입부재(351)는 상기 개방장치(300)에 인입하여 결합을 이루게 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닫힘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로써 닫힘동작은 종료된다.At this time, the insertion member 351 of the moving guide device 200 is pulled into the opening device 300 to be engaged. According to this, the display unit 200 can be stably fixed in the closed state. Then, the closing operation is ended.

한편, 상기 열림동작 및 닫힘동작으로 상기 본체(10)의 결합홀(32b)를 개폐하는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본체(10)에 대한 도어(door)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도어부”, “도어 디스플레이부” 또는 “도어형 디스플레이부”라 이름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0 that opens and closes the coupling hole 32b of the main body 10 b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performs a function of a door to the main body 10, Quot; door display unit " or " door-type display unit ".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분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이동가이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n exploded view of FIG. 16, and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ing guide device of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 3 실시예는 이동가이드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부(20)를 용이하게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는 점에서 앞선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구성과 차이가 있다. 16 to 19,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thir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n that the display unit 20 can be easily detached or coupled from the moving guide device 200.

상기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0)의 열림 동작은 디스플레이부(20)의 회동 각도가 작기 때문에 결합홀(32b)의 일부만이 개방되어 작업자가 안내 로봇 내부의 주요 구성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성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상기 제 3 실시예를 따르면, 회동시킨 디스플레이부(20)를 쉽게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내부의 주요 구성에 대한 떨어지는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since the opening angle of the display unit 20 is small, only a part of the coupling hole 32b is opened, There is a problem that accessibility to access is somewhat low. Howev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ince the rotated display portion 20 can be easily separated or combined, it is possible to improve a poor accessibility to the main structure of the interior.

상기 제 3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의 설명은 상기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contemplates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1)의 이동가이드장치(200)는 제 2 설치플레이트(65a)에 결합되는 슬라이드가이드(220a,221a),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20a,221a)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271,272), 상기 슬라이더(271,272)와 결합되는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 상기 제 1 가이플레이트(210a)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70) 및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와 디스플레이부(20)를 연결하는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ving guide device 200 of the guide robot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lide guides 220a and 221a coupled to the second mounting plate 65a, A first guide plate 210a coupled with the sliders 271 and 272, a stopper 270 restricting movement of the first guide plate 210a, and a second guide plate 210a And a second guide plate 210b connecting the display unit 20 and the second guide plate 210b.

제 3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a)는 메인프레임(62,63)의 일 측에 연결되며, 가이드플레이트(210a,210b)의 상하 길이와 대응되는 상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0a,210b)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second mounting plate 65a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frames 62 and 63 and may have a vertical length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length of the guide plates 210a and 210b have. That is, the guide plates 210a and 210b may be formed to have a compact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s of the guide plates 210a and 210b.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20a,221a)는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a)의 내측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20a,221a)는 슬라이더(271,272)의 이동을 통하여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의 인출과 인입을 가이드하므로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의 인출 또는 인입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인출 또는 인입 방향은 전후방향으로 이해할 수 있다.The slide guides 220a and 221a may be coupled inward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65a. The slide guides 220a and 221a guide the first guide plate 210a through the movement of the sliders 271 and 272 so that the first guide plate 210a is extended can do. Here, the pull-out or pull-in direction can be understood as a back-and-forth direction.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20a,221a)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슬라이드가이드(220a,221a)는 각각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a)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결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20a,221a)는,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a)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 1 슬라이드가이드(220a) 및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a)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 2 슬라이드 가이드(221a)를 포함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e slide guides 220a and 221a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slide guides 220a and 221a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econd mounting plate 65a. More specifically, the slide guides 220a and 221a include a first slide guide 220a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installation plate 65a and a second slide guide 220b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installation plate 65a. (Not shown).

상기 슬라이더(271,272)는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20a,221a)를 삽입하여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20a,221a)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271,27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슬라이더(271,272)는 상기 제 1 슬라이드가이드(220a)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부슬라이더(271) 및 상기 제 2 슬라이드가이드(220b)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하부슬라이더(27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슬라이더(271) 및 하부슬라이더(272)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The sliders 271 and 272 may slid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lide guides 220a and 221a by inserting the slide guides 220a and 221a. The plurality of sliders 271 and 272 may be provided. More specifically, the sliders 271 and 272 include an upper slider 271 that slide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slide guide 220a, and a lower slider 272 that slide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slide guide 220b ). A plurality of the upper sliders 271 and the lower sliders 272 may be provided.

상기 슬라이더(271,272)는, 일 측면에서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20a,221a)를 삽입하고, 타 측면에서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와 결합되어 고정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271,272)는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a)를 바라보는 방향에서 상기 슬라이드가이드(220a,221a)를 삽입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The sliders 271 and 272 may be inserted into the slide guides 220a and 221a at one side and fixedly coupled with the first guide plate 210a at the other side. Here, the sliders 271 and 272 may be slidably inserted by inserting the slide guides 220a and 221a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liders 271 and 272 face the second mounting plate 65a.

상기 슬라이더(271,272) 및 슬라이드가이드(220a,221a)는 직선운동베어링(LM가이드,Linear Motion Guide)를 포함할 수 있다.The sliders 271 and 272 and the slide guides 220a and 221a may include a linear motion guide (LM guide).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는,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a)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상부슬라이더(271)와 결합되는 상부슬라이더결합홈(273) 및 하부슬라이더(272)와 결합되는 하부슬라이더결합홈(27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guide plate 210a includes an upper slider coupling groove 273 coupled to the upper slider 271 in the direction of looking at the second mounting plate 65a and a lower slider coupled to the lower slider 272. [ Groove 274 as shown in FIG.

상기 상부슬라이더결합홈(273)은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부슬라이더(271)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슬라이더결합홈(274)는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하부슬라이더(272)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e upper slider coupling groove 273 may be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guide plate 210 and may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upper sliders 271. The lower slider coupling groove 274 may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guide plate 210 and may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lower sliders 272.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는 상기 상부슬라이더결합홈(273) 및 하부슬라이더결합홈(274)에 결합되는 슬라이더(271,272)의 전후방향 직선 운동에 의하여 결합홀(32b)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 plate 210a is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hole 32b by the linear movement of the sliders 271 and 272 coupled to the upper slider coupling groove 273 and the lower slider coupling groove 274, Lt; / RTI >

그리고, 상기 제 2 가이드플레이트(65a)는 중심부에 걸림홀(66)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홀(66)은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와 연결된 스토퍼(270)가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의 인출 또는 인입에 따라 이동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plate 65a may have a locking hole 66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he latching hole 66 can be understood as a space in which the stopper 270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late 210a moves according to the drawing or drawing of the first guide plate 210a.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는 경량화를 위하여 ‘ㄷ’ 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로 함몰된 위치에 스토퍼(270)가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plate 210a may be formed in a 'C' shape to reduce weight. And the stopper 270 may be coupled to the recessed position.

상기 스토퍼(270)는, 상기 제 2 설치플레이트(65a)의 걸림홀(66) 공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의 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270)는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의 전후방향 직선 이동에 따라 종속되어 상기 걸림홀(66)을 이동할 수 있다. The stopper 270 may be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first guide plate 210a so as to move through the space of the latching hole 66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65a. The stopper 270 may be moved depending on the linear movement of the first guide plate 210a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move the latching hole 66.

상기 스토퍼(270)는,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의 최대인출거리에서 상기 걸림홀(66)의 후단부와 접촉을 이루도록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의 전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270)의 접촉을 통해서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의 인출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The stopper 270 may be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guide plate 210a so as to make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locking hole 66 at a maximum drawing distance of the first guide plate 210a. Therefore, the pull-out distance of the first guide plate 210a can be limited through the contact of the stopper 270.

이에 의하면,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와 제 2 설치플레이트(65a)를 연결하는 슬라이더(271,272)가 슬라이더가이드(220a,221a)로부터의 탈거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This prevents the sliders 271 and 272 connecting the first guide plate 210a and the second mounting plate 65a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lider guides 220a and 221a.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는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와 접촉을 이루는 컷오프부(275), 제 1 조립부(276) 및 삽입홈(276a)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guide plate 210a may include a cut-off portion 275, a first assembly portion 276, and an insertion groove 276a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second guide plate 210b.

상기 컷오프부(275), 제 1 조립부(276) 및 삽입홈(276a)은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가 조립되어 상호 일체를 이루도록 상기 제 1 가이플레이트(210a)에 형성할 수 있다.The cut-off portion 275, the first assembly portion 276 and the insertion groove 276a may be formed in the first guide plate 210a such that the second guide plate 210b is assembled and integrated with each other.

상기 컷오프부(275)는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의 상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컷오프부(275)는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의 상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의 상부의 일 부분을 ‘ㄴ’자 형상으로 잘라내어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컷오프부(275)는 사각형상의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의 후단부와 상단부가 이루는 꼭지점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수직하게 함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컷오프부(275)는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의 상단을 하방에서 지지해줄 수 있다. The cut-off portion 275 may be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guide plate 210a. In detail, the cut-off portion 275 may be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guide plate 210a into an 'a' shape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guide plate 210b is seated. For example, the cut-off portion 275 may be recessed vertically inward with respect to a vertex formed by a rear end portion and an upper end portion of the rectangular first guide plate 210a. The cut-off portion 275 may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plate 210b from below.

상기 제 1 조립부(276)는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의 일 측면을 함몰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조립부(276)는 상기 컷오프부(275)에서부터 하방을 향하여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의 후단부 일 지점까지 함몰된 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assembly part 276 may be formed by recessing one side of the first guide plate 210a. In detail, the first assembly portion 276 may be formed as a depressed surface downward from the cut-off portion 275 to a point of the rear end of the first guide plate 210a.

즉,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는, 인출 방향에 위치한 후단부가 상기 제 1 조립부(276)로 인하여 인입방향인 전단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단차있는 면을 가질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의 단차를 형성하는 상기 제 1 조립부(276)의 일 면을 제 1 단차면이라 이름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guide plate 210a may have a stepped surface such that the rear end located in the pull-out direction has a lower height than the front end which is the pull-in direction due to the first assembly portion 276. [ One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portion 276 forming the step of the first guide plate 210a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step surface.

상기 제 1 조립부(276)는 후술할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의 제 2 조립부(277)와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조립부(276)와 제 2 조립부(277)는 형합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assembly portion 276 may correspond to a second assembly portion 277 of a second guide plate 210b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first assembly portion 276 and the second assembly portion 277 may be formed so as to cooperate.

상기 제 1 조립부(276)는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의 제 2 조립부(277)와 맞닿아 접촉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조립부(276)와 제 2 조립부(277)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의 일 측면은 단차없이 편평한 면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assembly portion 276 may abut and contact the second assembly portion 277 of the second guide plate 210b.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first guide plate 210a may have a flat surface without a step by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assembly portion 276 and the second assembly portion 277.

그리고 상기 제 1 조립부(276) 및 제 2 조립부(277)는 고정부재(280)에 의한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와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는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assembly part 276 and the second assembly part 277 may be coupled by a fixing member 280. The first guide plate 210a and the second guide plate 210b ) Can be combined.

상기 삽입홈(276a)은 상기 제 1 조립부(276)로부터 하방으로 단차면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76a)의 단차면은 제 1 조립부(275)의 단차면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질 수 있다. The insertion groove 276a may be formed so as to extend downward from the first assembly portion 276 at a stepped surface. The stepped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276a may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tepped surface of the first assembly portion 275. [

그리고, 상기 삽입홈(276a)은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단차가 이루어 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는 후단부에 외측 돌기(276b)를 형성할 수 있다.The insertion groove 276a may be formed to be stepped at a position spaced fo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guide plate 210a. Accordingly, the first guide plate 210a may have an outer protrusion 276b at the rear end thereof.

상기 삽입홈(276a)은 후술할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의 돌출부(277a)와 형합을 이루도록 대응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홈(276a)은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의 돌출부(277a)가 끼워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e insertion groove 276a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a protrusion 277a of a second guide plate 210b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insertion groove 276a may be formed so as to fit the projection 277a of the second guide plate 210b.

한편, 상기 이동가이드장치(200)는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와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를 결합시키는 고정부재(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oving guide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280 coupling the first guide plate 210a and the second guide plate 210b.

상기 제 1 조립부(276)는 제 1 고정구(278)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구(278)는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를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부재(280)가 삽입되는 위치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구(278)는 복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구(278)는 제 2 조립부(277)의 제 2 고정구(279)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assembly portion 276 may form a first fixture 278. The first fixture 278 can be understood as a position where the fixture member 280 for engaging the second guide plate 210b is inserted. The first fixtures 278 may be formed in plural numbers. The first fixing part 278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ixing part 279 of the second assembly part 277.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8)는 상기 제 1 고정부(278) 및 제 2 고정구(279)에 삽입되어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와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를 결합시킬 수 있다.The fixing member 28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part 278 and the second fixing part 279 to couple the first guide plate 210a and the second guide plate 210b.

상기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는 상기 제 1 조립부(276)와 접촉을 이루도록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The second guide plate 210b may be seated and support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assembly portion 276.

상기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는 상기 제 1 조립부(276)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제 2 조립부(277), 돌출부(277a)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plate 210b may include a second assembly portion 277 and a protrusion 277a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assembly portion 276.

상기 제 2 조립부(277)는 상기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의 일 면을 전단부에서부터 후단부를 향하여 일 지점까지 함몰시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플레이트(210b)의 일 면은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의 일 면은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와 접촉을 이루는 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second assembly portion 277 may be formed by recessing one surface of the second guide plate 210b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to one point. That is, one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10b may have a step. Here, one surface of the second guide plate 210b may be understood as a surface contacting the first guide plate 210a.

또한, 상기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의 단차를 형성하는 상기 제 2 조립부(277)의 일 면을 제 2 단차면이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단차면은 상기 제 1 단차면과 형합을 이루도록 조립될 수 잇다. One side of the second assembly portion 277 forming the step of the second guide plate 210b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stepped surface. And the second stepped surface may be assembled to cooperate with the first stepped surface.

즉, 상기 제 2 조립부(277)는 상기 제 1 조립부(276)와 맞닿아 형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second assembly portion 277 may be formed to abut against the first assembly portion 276 and be formed to be formed.

상기 돌출부(277a)는 상기 제 2 조립부(277)의 하단부에서 하방을 향하여 단차면이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77a)의 단차면은 제 2 조립부(277)의 단차면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질 수 있다.The projecting portion 277a may be formed so that the stepped surface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assembly portion 277. [ The stepped surface of the projecting portion 277a may have a width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stepped surface of the second assembly portion 277. [

그리고, 상기 돌출부(277a)에 의해 연장되는 단차면은 상기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의 내측에 홈(277b)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의 전단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The stepped surface extended by the protrusion 277a may extend along the front end of the second guide plate 210b such that a groove 277b is formed inside the second guide plate 210b.

상기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의 내측 홈(277b)은,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의 외측 돌기(276b)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inner groove 277b of the second guide plate 210b can be understood as a space into which the outer projection 276b of the first guide plate 210a is inserted.

정리하면,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와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는 서로 조립되어 연결되는 제 1 조립부(276)와 제 2 조립부(277)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는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의 컷 오프부(275)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rst guide plate 210a and the second guide plate 210b have a first assembly part 276 and a second assembly part 277 which are assembl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econd guide plate 210b may be mounted on the cut-off portion 275 of the first guide plate 210a.

또한,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 와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의 상호간에는 안정적인 조립이 이루어지기 위해 각각 대응되는 형상으로 삽입홈(276a)과 돌출부(277a)를 구비하고, 그리고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의 외측 돌기(276b)와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의 내측 홈(277b)을 구비한다.The first guide plate 210a and the second guide plate 210b are provided with insertion grooves 276a and protrusions 277a in a corresponding shape in order to stably assemble the first guide plate 210a and the second guide plate 210b, An outer protrusion 276b of the second guide plate 210a and an inner groove 277b of the second guide plate 210b.

이에 의하면,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와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는 상호 끼워지도록 조립이 이루어지며, 상기 디스플레이부(20)와 결합되는 상기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다. The first guide plate 210a and the second guide plate 210b are assembled together so that the second guide plate 210b coupled to the display unit 20 can be stably fixed and supported .

특히, 상기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는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의 상측에서 안착되며, 제 1 조립부(276)로 삽입되어 조립을 이루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분해 또는 조립 작업시 작업자는 디스플레이가(20)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분해 또는 조립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해 또는 조립 작업시 고정부재(280)의 제거 후 하방으로 디스플레이가(20) 떨어질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second guide plate 210b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guide plate 210a and inserted into the first assembly portion 276 to be assembled, The operator has the advantage that the display 20 can be stably supported and disassembled or assembled without applying a large force. 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play 20 from dropping downward after the fixing member 280 is removed during the disassembling or assembling work.

한편, 상기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는 제 1 결합장치(240) 및 제 2 결합장치(25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장치(240) 및 제 2 결합장치(250)는 상기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의 일 측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결합장치(240)는 상기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의 상단에 외측을 향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결합장치(250)는 상기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의 하단에 외측을 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plate 210b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device 240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250. The first coupling device 240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250 may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second guide plate 210b. For example, the first coupling device 240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guide plate 210b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250 may be positioned 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guide plate 210b As shown in Fig.

상기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는 상기 제 1 결합장치(240) 및 제 2 결합장치(250)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장치(240) 및 제 2 결합장치(260)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제 1,2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원용한다. The second guide plate 210b may be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20 by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devices 240 and 250.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coupling device 240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260 is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안내 로봇의 디스플레이부가 분리되는 과정으로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분리 단계를 설명한다.20 to 22 are diagrams showing a step of separating the display unit of the guide robo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step of the display unit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2. FIG.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이드플레이트(210a,210b)를 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하고, 디스플레이부(20)를 제 1 결합장치(240) 및 제 2 결합장치(250)를 통해 회동시켜 결합홀(32b)을 개방시킬 수 있다.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guide plates 210a and 210b are slid rearward and the display unit 20 is moved to the first coupling device 240 and the second coupling device 240 2 coupling device 250 to open the coupling hole 32b.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20)가 최대거리로 인출된 경우 스토퍼(270)가 제 2 설치플레이트(65a)의 걸림홀(66)의 후단부에 접촉되어 더 이상의 인출을 방지한다. At this time, when the display unit 20 is drawn out to the maximum distance, the stopper 27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latching hole 66 of the second mounting plate 65a to prevent further drawing out.

작업자는 개방된 결합홀(32b)을 통하여, 내부 구성에 접근할 수 있으나, 내부 구성 중 크기가 큰 구성을 관리해야 하거나, 관리에 별도의 장비가 필요한 경우 등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회동으로 개방된 결합홀(32b)만으로는 작업이 어려울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The operator can access the internal configuration through the open coupling hole 32b. However, if the user needs to manage a large-sized configuration of the internal configuration or requires additional equipment for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display portion 20 when the operation is difficult with only the open coupling hole 32b.

이때, 작업자는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 및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를 결합하는 고정부재(280)를 손으로 돌려 체결을 해제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perator can manually unfasten the fastening member 280 that engages the first guide plate 210a and the second guide plate 210b.

상기 고정부재(280)가 체결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와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의 구속은 사라지며, 상기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는 상기 제 1 가이플레이트(210a)에 삽입 안착된 상태가 된다.The restraint of the first guide plate 210a and the second guide plate 210b disappears due to the disengagement of the fixing member 280 and the second guide plate 210b is disengaged from the first guide plate 210a As shown in Fig.

그리고 작업자는 디스플레이부(2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상기 제 2 조립부(277)가 제 1 조립부(276)를 따라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210a)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20), 제 1,2 결합장치(240,250) 및 제 2 가이드플레이트(210b)가 분리될 수 있다. When the operator lifts the display unit 20 upward, the second assembly unit 277 can slide upward along the first assembly unit 276. The display unit 20,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units 240 and 250, and the second guide plate 210b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guide plate 210a.

또한, 작업이 완료된 후 분리된 디스플레이부(20)는 상술한 분리 순서의 역순으로 조립하여 다시 결합홀(32b)을 폐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operation is completed, the separated display unit 20 can be assembl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order, and then the engagement hole 32b can be closed again.

이에 의하면, 작업자는 용이하게 디스플레이부(20)를 분리 또는 조립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안내 로봇(1)의 관리가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since the operator can easily separate or assemble the display unit 20,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can be improved. That 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nagement of the guide robot 1 becomes convenient.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쉬운 분리를 통하여 결합홀(32b)을 통한 내부 구성에 대한 접근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ccessibility to the internal structure through the coupling hole 32b can be further improved through easy separation of the display unit 20. [

10 : 본체 20 : 디스플레이부
50 : 헤드부 60 : 바디부
100 : 주행부 200 : 이동가이드장치
10: main body 20: display portion
50: head part 60:
100: traveling part 200: moving guide device

Claims (20)

결합홀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상기 결합홀을 개폐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복수개의 바퀴와 지지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주행부;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과 복수의 보드를 구비하는 바디부;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안내 로봇.
A case in which a coupling hole is formed;
A body located inside the case; And
And a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opening and closing the coupling hole,
The main body includes:
A running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nd a support plate;
A body having a main frame and a plurality of boards extending upward from the support plate; And
And a head portion supported by the main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후면부에 상기 디스플레이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커버;
상기 디스플레이커버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안내 로봇.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unit includes:
display;
A display cover for receiving the display at a rear portion thereof;
And a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a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cov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곡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커버는 상기 곡면 디스플레이에 대응되도록 후면부를 오목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로봇.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splay comprises a curved display,
Wherein the display cover is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curved surface displa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은 상기 결합부에 의해 개폐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로봇.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coupling hole is opened and closed by the coupling por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결합홀의 하측에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의 하면은 상기 안착부에 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로봇.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ase includes a seating portion formed below the coupling hol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하는 설치플레이트;
상기 설치플레이트에 위치하는 슬라이드가이드;
상기 슬라이드가이드와 연결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일 측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결합되는 결합장치를 더 포함하는 안내 로봇.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art
A mounting plate coupled to the main frame;
A slide guide disposed on the mounting plate;
A guide plate connected to the slide guide and slidingly moved; And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device located at one side of the guide plate and engaged with the display uni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일 면에 위치하는 삽입부재; 및
상기 설치플레이트에 위치하며, 상기 삽입부재와 결합을 이루는 개방장치를 더 포함하는 안내 로봇.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body part
An insertion member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guide plate; And
Further comprising an opening device located on the mounting plate and engaging with the insertion memb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가압하는 횟수에 따라, 상기 삽입부재와 상기 개방장치의 결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로봇.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sertion member and the opening device are selectively enga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display unit is press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제 1 지지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링크;
상기 제 1 링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체결되는 부착판을 포함하는 안내 로봇.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coupling device includes:
A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guide plate;
A first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A second link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And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지지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1 링크과 이격 배치되는 제 3 링크; 및
상기 제 3 링크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4 링크를 더 포함하는 안내 로봇.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upling device includes:
A third link pivotally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ink; And
And a fourth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third link.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 및 제 3 링크는, 가운데가 개방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링크의 길이는 상기 제 3 링크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며,
상기 제 2 링크의 길이는 상기 제 4 링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로봇.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link and the third link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n open center,
Wherein a length of the first link is shorter than a length of the third link,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link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ourth link.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결합장치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결합홀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로봇.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display unit includes:
Wherein the guiding plate slides forward and backward by the guide plate and rotates about the guide plate by the engaging device to open and close the engaging hole.
다수의 바퀴가 구비되는 주행부;
상기 주행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가이드장치를 구비하는 바디부;
내부가 노출되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를 커버하는 케이스; 및
상기 이동가이드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결합홀을 개방 또는 차폐하는 도어부를 포함하는 안내 로봇.
A driving unit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A body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veling portion and having a movement guide device sliding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A case formed with a coupling hole through which the body is exposed to cover the body part; And
And a door portion connected to the movement guide device and opening or closing the engagement hol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수용하는 디스플레이커버; 및
상기 디스플레이커버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을 개폐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안내 로봇.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door portion
display;
A display cover for receiving the display; And
And a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display cover to open and close the coupling hol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이동가이드장치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로봇.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door un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ovement guide unit.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이동가이드장치의 인출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홀이 형성되는 설치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안내 로봇.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body further comprises a mounting plate on which a latching hole is formed for restricting the drawing of the movement guide devic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장치는,
상기 설치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슬라이드가이드;
상기 슬라이드가이드를 삽입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전후방 이동 가능한 가이드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안내 로봇.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moving guide device includes:
A slide guide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A slider which slides by inserting the slide guide; And
And a guide plate connected to the slider and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이드장치는 상기 걸림홀에 접촉을 이루어 인출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안내 로봇.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movement guide device further includes a stopper that contacts the engagement hole to restrict a pull-out distance.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되는 제 1 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에 삽입 안착되어 연결되는 제 2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안내 로봇.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guide plate comprises:
A first guide plate coupled to the slider; And
And a second guide plate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late.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도어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로봇.

20. The method of claim 19,
And the second guide plate is connected to the door portion.

KR1020170085368A 2016-12-23 2017-07-05 Guidance robot KR1020236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75154.4A EP3563981B1 (en) 2016-12-23 2017-12-21 Guide robot
EP17209452.6A EP3338962B1 (en) 2016-12-23 2017-12-21 Guide robot
EP19175136.1A EP3563979B1 (en) 2016-12-23 2017-12-21 Guide robot
US15/853,409 US10759045B2 (en) 2016-12-23 2017-12-22 Robot
US16/539,867 US11312004B2 (en) 2016-12-23 2019-08-13 Guide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78425 2016-12-23
KR1020160178425 2016-1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555A true KR20180074555A (en) 2018-07-03
KR102023612B1 KR102023612B1 (en) 2019-11-04

Family

ID=62918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368A KR102023612B1 (en) 2016-12-23 2017-07-05 Guidance rob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61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1519A (en) * 2011-04-01 2012-10-10 (주)미니로봇 Robot having retreatable wheel
KR200481042Y1 (en) * 2014-02-14 2016-08-05 (주) 퓨처로봇 Service robot having exchangable plural batteri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1519A (en) * 2011-04-01 2012-10-10 (주)미니로봇 Robot having retreatable wheel
KR200481042Y1 (en) * 2014-02-14 2016-08-05 (주) 퓨처로봇 Service robot having exchangable plural batter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612B1 (en)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8962B1 (en) Guide robot
KR102041435B1 (en) Guidance robot
EP3338964B1 (en) Guide robot
KR20190004958A (en) Guidance robot
KR20190142061A (en) Guidance robot
US20160064875A1 (en) Connector
KR102250447B1 (en) Electronic device with electronic component
US110144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KR20180074555A (en) Guidance robot
KR20180074486A (en) Guidance robot
JP2009043728A (en) Display device having backlight unit
US9098251B2 (en) Server mechanism and disk drive module thereof
US6813156B2 (en) Computer system and a combining structure for a power supplying unit for a computer system
KR20190004959A (en) Guidance robot
US20200213698A1 (en) Loudspeaker cabinet frame comprising a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to another loudspeaker cabinet and a loudspeaker cabinet comprising such a frame
KR20190004986A (en) Guidance robot
US20190353990A1 (en) Optical accessories clip for mobile devices
KR102021948B1 (en) Guidance robot
CN213063056U (en) Personal information acquisition device
KR102648105B1 (en) Guidance robot
CN214336190U (en) Display screen assembly
CN111746314B (en) Power supply device
CN219201871U (en) Lamp panel automatic detection equipment
CN212904545U (en) Joint inspection chip identification and reading instrument
KR100835797B1 (en) Display device for ca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