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6407A - Bidirectional Real-time Studying-Paper Guiding System between Remote Distances Using LAN or Internet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Bidirectional Real-time Studying-Paper Guiding System between Remote Distances Using LAN or Internet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407A
KR20010096407A KR1020000025885A KR20000025885A KR20010096407A KR 20010096407 A KR20010096407 A KR 20010096407A KR 1020000025885 A KR1020000025885 A KR 1020000025885A KR 20000025885 A KR20000025885 A KR 20000025885A KR 20010096407 A KR20010096407 A KR 20010096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ent
teacher
learning
internet
work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8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욱
조성빈
Original Assignee
김욱
주식회사 온소리닷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욱, 주식회사 온소리닷컴 filed Critical 김욱
Publication of KR20010096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407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5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Abstract

PURPOSE: A system and method for bidirectionally guiding a study book is provided to increase the effect of an education by enabling a student and a teacher to bidirectionally share contents of study book in real time using the internet and short-distance communication. CONSTITUTION: A teacher client(10) is used for presenting questions of study book made by the teacher. A student client(11) charges interface of a student who receives a study book service. An EDUCE(Education platform for Distance learning Using Computer Environments) server(16) provides a study book service to the teacher and the student through the teacher client(10) and the student client(11). A LAN(Local Area network,12) connects the teacher client(10) with the student client(11). In addition, the LAN(12) is used as a network of a study book service. A study book shared database server(15) is connected with a system server(16). In addition, the study book shared database server(15) stores and manages data on study books in order to perform a real-time learning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through the internet(13).

Description

근거리 통신망이나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지간의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Bidirectional Real-time Studying-Paper Guiding System between Remote Distances Using LAN or Internet and Method thereof}Bidirectional Real-time Studying-Paper Guiding System between Remote Distances Using LAN or Internet and Method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망이나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지간의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학습지 학습자가 별도의 학습장치 없이 근거리통신망이나 인터넷을 통해 장소와 시간에 구애를 받지 않고 학습지를 학습할 수 있게 하며, 실시간의 방문/첨삭 지도 방식의 대화식 학습진행을 통해 학습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이나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지간의 양방향 학습지 지도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teaching two-way real-time learning papers between remote locations using a local area network or the Internet. In particular, the learning area learners can study the learning papers regardless of place and time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or the Internet without a separate learn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teaching a two-way learning site between remote locations using a local area network or the Internet that can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through interactive learning progress of a real-time visit / adjustment guidance method.

우리나라의 교육 특성상 학습지 성격을 가지는 교육 매체는 세계 어느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교육 형태이다. 따라서, 외국에서의 학습지는 성인 중심의 특정 분야에 집중되어 있고 그렇게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Due to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 educational media tha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learning paper are forms of education that cannot be found anywhere in the world. Thus, workbooks in foreign countries are concentrated in specific areas centered on adults and are not so active.

학습지의 교육 방법은 학생이 학습지를 예습하고 선생님이 학생의 집을 직접 방문하여 약 15분 정도 지도하는 방문 지도 방법과 우편을 통한 학습지를 집에 배달하여 학생이 문제지를 풀이하여 우편으로 발송하고 채점한 결과를 학생이 보는 첨삭 지도 방법의 대표적인 2가지 방법이 있으며, 첨삭 지도 방법은 10-15일 정도의 기간이 소요된다.The teaching method of the workbook is that the student prepares the workbook and the teacher visits the student's home for about 15 minutes and the instructional method is delivered by mail to the student. There are two representative methods of correcting instruction in which students see the results, and the correcting instruction takes about 10-15 days.

현재 인터넷을 이용한 이러한 학습지 교육은 학생과 선생의 실시간 교육을 지원하는 형태의 기술은 찾아 볼 수 없고, 웹(web) 서버에 학습지를 올리고 학습지 교육을 원하는 학생은 다운로드(down-load)하여 문제를 풀이하고 해답을 직접 확인하는 오프라인(off-line) 형태의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의 학습지 교육은 학생이 궁금한 사항을 직접 해결할 수 없어 인터넷 매체를 이용한 즉시성, 시공간을 초월한 서비스 제공에 문제점이 많다.At present, there is no technology in the form of supporting the real-time educa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and the student who wants to upload the workbook on a web server and downloads the workbook education solves the problem. It uses off-line technology to see the answers. In such a situation, the education of the study paper cannot solve the questions directly, and there are many problems in providing services that are immediately and transcend time and space using the Internet media.

현재 학습지를 운영하는 기관의 문제점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problems of the institutions currently operating study papers.

현재 실시되고 있는 학습지 시스템은 우편 배달 및 방문을 통한 한정된 영역에서만 실시되고 있는 점, 학습지 선생님들의 과다한 인건비, 학생과 선생의 수요/공급 불균형, 전국적인 교육망(학습지 대리점) 유지로 인한 과다한 비용 지출, 방문 교육 시 방문지로의 이동으로 인한 시간 낭비, 이로 인한 1일 교육자와 할당시간의 제한, 방문 지도인 경우 짧은 교육 시간으로 인한 내실 있는 교육 미비, 첨삭 지도인 경우 우편 배달 및 많은 학생의 관리로 인한 과다한 시일(10 ∼ 15일) 소요 등의 문제가 있다.Currently, the learning system is implemented only in a limited area through postal delivery and visits, excessive labor costs of the teachers of the study paper, unbalanced demand and supply of students and teachers, and excessive expenses due to maintaining a nationwide education network (workbook agency). Wasting time due to travel to visits during training, limiting daily educators and allotted time, lack of substantial training due to short training time for visiting instruction, postal delivery for corrective instruction, and excessive student management There is a problem such as a need for a seal (10 to 15 days).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학습지의 방문 및/또는 첨삭 지도 등의 교육 체계를 인터넷이나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양방향 실시간 및 비 실시간으로 학생과 선생의 학습지 내용을 공유하여 문제지 풀이를 마치 집에서 선생을 대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통하여 교육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원격지간의 양방향 학습지 지도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learning system for students and teachers in two-way real-time and non-real-time using the Internet or a local area network for an educational system, such as visiting and / or correcting instruc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teaching a new type of interactive learning site between remote sites that can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rough the same effect as treating a teacher at ho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근거리통신망, 전화망 및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학습지의 방문 지도와 첨삭 지도에 의해 적은 비용으로 지역구분 없이 누구나 학습지 교육 혜택과 적은 인원으로서 효과적인 교육을 실시하여 양질의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원격지간의 양방향 학습지 지도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quality education by providing effective learning as a small number of people and the effective education of the study without a small area by the visit and correction instruction of the study based on the local area network, telephone network and the Interne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 system for guiding bidirectional learning sites between remote loc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실시간 원격 학습지 지도 시스템의 개략 블록도,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bidirectional real-time distance learning map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실시간 원격 학습지 지도 시스템의 개략 블록도,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bidirectional real-time distance learning map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실시간 원격 방문 및 첨삭 학습지 지도를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3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two-way real-time remote visit and correction learning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각 클라이언트의 양방향 실시간 원격 방문 및 첨삭 학습지 지도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필요한 EDUCE 플랫폼 구성도,4 is an EDUCE platform configuration required to receive a bidirectional real-time remote visit and additive learning guide map service of each client,

도 5는 시스템 서버에 위치한 데이터 베이스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 구조,5 is a database structure of a database server located in a system server;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서버의 학습지 홈페이지의 화면예,6 is a screen example of the homepage of the learning sheet of the system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학습지 홈페이지의 학습지 교육에서 원하는 과목을 선택할 때 제공되는 화면예,Figure 7a is a screen example provided when selecting a desired subject in the learning paper education of the learning paper homep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b는 도 7a의 종합 제어 아이콘의 확대도,7B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mprehensive control icon of FIG. 7A,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방문지도 방식의 양방향 실시간 원격 학습지 지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EDUCE 화면예,8a to 8d are examples of an EDUCE screen for explaining a two-way real-time distance learning map teaching method of the visit i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내지 도 9j는 본 발명에 따른 첨삭지도 방식의 양방향 실시간 원격 학습지 지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EDUCE 화면예,9A to 9J illustrate an example of an EDUCE screen for explaining a method of teaching a bidirectional real-time remote learning place using an additiv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실시간 원격 학습지 지도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bidirectional real-time distance learning map tea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Explana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

1 ; 제1시스템 2 ; 제2시스템One ; First system 2; Second system

3 ; 선생 4 ; 학생3; Teacher 4; student

10 ; 선생 클라이언트 11 ; 학생 클라이언트10; Teacher client 11; Student client

12 ; LAN 13 ; 인터넷12; LAN 13; Internet

15 ; DB 서버 16 ; 시스템 서버15; DB server 16; System server

20 ; EDUCE 플랫폼 20a ; 선생 EDUCE20; EDUCE platform 20a; Teacher EDUCE

20b ; 학생 EDUCE 30 ; EDUCE 화면20b; Student EDUCE 30; EDUCE screen

41 ; 학습지 160 ; 웹서버41; Worksheet 160; Web server

161 ; DB 서버 162 ; 홈페이지161; DB server 162; home pag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각 인터넷에 연결되며 전자칠판으로서 학습지가 로딩될 작업공간과 설명도구를 구비하고, 화상회의, 인터넷폰및 채팅 기능을 갖는 제1플랫폼을 내장한 다수의 학생 클라이언트와, 상기 인터넷에 연결되며 전자칠판으로서 학습지가 로딩될 작업공간과 설명도구를 구비하고, 화상회의, 인터넷폰 및 채팅 기능을 갖는 제2플랫폼을 내장한 적어도 하나의 선생 클라이언트와, 상기 다수의 학생 및 선생 클라이언트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양방향 실시간 및 비실시간으로 학생과 선생 클라이언트의 학습지 내용을 공유하여 사이버 상에서 학생과 선생이 면대면 방식의 학습지 방문 지도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 학습 지도 시스템(EDUCE) 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platforms, each connected to the Internet, including a workspace and an explanatory tool to be loaded with a learning paper as an electronic blackboard, and having a first platform having video conferencing, Internet phone, and chat functions. At least one teacher client having a student client, a workspace connected to the Internet, a workspace to which a study paper is to be loaded as an electronic blackboard, and a second platform having a video conference, an internet phone, and a chat function; Distance Learning Guidance System (EDUCE) allows students and teachers to conduct face-to-face instructional visits to students and teachers in cyberspace by sharing the contents of student and teacher clients' interactive directions in real time and non-real-time based on the Internet Interactive real-time learning paper using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rver Provide a map system.

상기 시스템 서버는 학습지 지도 선생이 선생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학습지 내용을 업로드할 때 상기 학습지를 선생 ID와 강의 제목으로 저장/관리하며, 선생이 해당 과목을 선택할 때 수강 신청한 학생 클라이언트에 강의시작을 통지함과 동시에 선생 클라이언트의 작업공간에 로딩하도록 학습지 내용을 다운로드시키고, 학생이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과목을 선택할 때 학생 클라이언트의 작업공간에 로딩할 수 있게 학습지 내용을 다운로딩시키며, 선생의 화면과 학생의 화면을 이벤트 공유 방법에 의해 일치시켜서 학생의 질문과 선생의 응답을 상대방 클라이언트에 전달하기 위한 웹서버와, 상기 웹서버를 통하여 업로드되는 학습지 내용과 학습지 지도 관련 선생/학생/과목 정보를 저장/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 구성된다.The system server stores / manages the workbook with the teacher ID and the lecture title when the study guide teacher uploads the contents of the workbook through the teacher client, and notifies the start of the lecture to the student client who applied for the course when the teacher selects the subject. At the same time, it downloads the contents of the workbook to be loaded into the workspace of the teacher's client, downloads the contents of the workbook to be loaded into the workspace of the client's client when the student connects to the server and selects the subject. Web server for matching student's question and teacher's response to other client by matching screen by event sharing method, and storing / managing the contents of study paper uploaded through the web server and teacher / student / subject information related to learning place map It consists of a database server.

또한, 상기 시스템 서버는 학생이 학생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학습지 문제를 풀어서 웹서버로 업로드할 때 학생 ID와 학습지 과목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저장시키고, 선생이 학생 풀이한 학습지를 다운로드한 후, 채점하고, 오답인 경우 정답 및 풀이 과정을 첨삭하여 웹서버로 업로드할 때 학생이 선생의 첨삭 지도 결과를 다운받아 보고 복습을 할 수 있도록 업로드된 첨삭 지도 내용을 저장시킨다.In addition, the system server is stored in the database server according to the student ID and the study subjects when the student uses the student client to upload the questionnaire problem uploaded to the web server, the teacher downloads the workbook that the student solved, and then scores In the case of incorrect answers, upload the correct answer and the solution to the web server, and save the uploaded corrected instruction so that the student can download and review the teacher's corrected instruction.

더욱이 상기 선생과 학생 클라이언트의 플랫폼은 각각 클라이언트의 전체 제어기로서 학습 제어기와 통신 제어기 및 스트리밍 미디어 제어기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각 클라이언트로부터 통신을 통해 들어오는 여러 가지 데이터를 해석한 후 교육 진행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는 학습제어기에서 처리하여 전자칠판 모듈로 출력하게 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수신에 따라 스트리밍 미디어 제어기에 보내어 데이터를 처리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EDUCE 제어기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캡처와 시간 축에 대한 미디어 재생 순서를 표시하고 각 미디어에 대한 동기화 문제를 해결하는 저작도구와 벌크 데이터의 압축을 이용한 네트웍 트래픽을 줄이는 압축 및 복원 기능을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제어기와, 실시간 학습지 교육 생방송을 전송받아 이를 보여주며 학습지의 특강을 학습지 서비스 신청 학생들에게 방송할 때 사용하는 학습강의 뷰어와, 원격지간의 학생과 선생의 학습지 교육 상황을 보여주도록 웹카메라와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학생 및 선생의 얼굴 영상 및 음성을 캡처하고, 이 캡처한 데이터를 포맷화하여 학습 제어기로 보냄에 의해 원격지간의 학생과 선생의 학습지 교육 상황을 보여주는 화상회의 뷰어와, 학습지 교육에 필요한 학습 교육 시작 및 지각한 학생의 교육 참여, 원활한 학습지 교육을 위하여 질문 신청, 질문 해제 등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학습제어기와, 학습지 교육 시 보충 자료를 CD-ROM이나 미리 준비된 형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운로드를 받아 재생하는 VOD 뷰어와, 학습지 교육시 학생들에게 부연 설명할 수 있는 칠판기능, 인터넷 서핑, 학습지 저작 도구의 공유, 텍스트 채팅 기능을 갖는 전자칠판 모듈과, 현재 학습지 교육을 녹화할 수 있고 재생 가능한 녹취 모듈과, 상위 어플리케이션과의 독립성을 유지하고 상위 어플리케이션의 수정으로 인한 하부 통신 모듈의 변화를 최소할 수 있으며 인터넷 통신의 실질적인 통신 세션으로서,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통신제어기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latform of the teacher and student client is an overall controller of the client, and serves as an interface between the learning controller,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and the streaming media controller, and the control data necessary for the progress of the education after interpreting various data inputted through communication from each client. The EDUCE controller processes the learning controller to output the electronic blackboard module, and sends the multimedia data to the streaming media controller according to the reception to process the data and play the data through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Streaming media with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that displays the order of media playback on the capture and time axis, resolves synchronization issues for each media, and reduces network traffic using compression of bulk data Received through the controller, the viewer of the real-time workbook education live broadcast, and the learning lecture viewer used to broadcast the special lecture of the workbook to the students applying for the workbook service, and through the web camera and the microphone to show the workbook education situa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from remote locations. Video conferencing viewer showing the student's and teacher's learning situation in remote area by capturing the face and voice of students and teacher's face and formatting the captured data and sending it to the learning controller. A learn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requesting questions and releasing questions for the participation of late students in education, the smooth learning of learning papers, and the supplementary materials for the learning of learning papers by downloading CD-ROMs or multimedia data prepared in advance. VOD viewers and additional texts for students during the study A copyboard module with a blackboard function, surfing the Internet, sharing workbook authoring tool, and text chat function, a recording module that can record current workbook education and play, and maintain the independence of the parent application. The change of the lower communication module due to the modification can be minimized, and is a substantial communication session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and is composed of a communication controller in charge of data transmission.

상기 선생과 학생 EDUCE의 플랫폼에 의해 선생과 학생의 클라이언트에 제공되는 화면은 각각 교육 도중 필요한 인터넷 사이트로의 이동이나 교육 자료를 찾기 위한 인터넷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넷 주소 입력란과, 화면의 중앙에 공유할 학습지 내용이 표시되며 전자칠판 모듈에 의해 지원되는 전자칠판 시스템에 의해 전자칠판 기능을 갖는 작업공간과, 상기 화상회의 뷰어에 의해 지원되는 화상회의 시스템의 화면 출력을 형성하는 선생 화면 및 발언권을 가진 학생 화면과, 학습지 교육 도중 학생과 선생의 의사전달 수단으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설명 도구와, 학습지 교육에 참가한 학생들의 명단을 보여주는 참가자 명단창과, 텍스트 채팅을 지원하는 채팅창을 포함한다.The screens provided to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client by the platform of the teacher and the student EDUCE are respectively shar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and an internet address field for inputting an internet address for moving to an internet site required for education or for finding educational materials. Workplace contents to be displayed are displayed and have a workspace having an electronic blackboard function by an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supported by the electronic blackboard module, and a teacher screen and a voice to form a screen output of the video conference system supported by the video conference viewer. It includes a student screen, an explanatory tool that serves as a user interface as a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during the workbook training, a participant roster that shows a list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workbook training, and a chat window that supports text chat.

또한, 상기 화면은 각각 강의를 생성하기 위한 강의 생성 버튼과, PC-to-PC로 음성 교육을 진행 할 수 있는 인터넷폰 구동 버튼과, 학습지 교육 내용을 열 수 있는 강의 교재 열기 버튼과, 학습지 교육 진행 도중 학생인 경우 발언권을 득할수 있고 선생인 경우 발언권을 해제할 수 있는 발언권 제어 버튼과, 교육 도중 학생이 참가할 수 있는 참가, 특정 분야 전문가를 초청할 수 있는 초청, 특정 학생을 퇴실할 수 있는 퇴실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강의 제어 버튼과, 교육 내용을 녹화하고 녹화된 내용을 재생할 수 있는 강의 녹취 버튼과, 화상회의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는 화상회의 구동 버튼을 이루어진 종합 제어 아이콘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creen is a lecture generation button for creating a lecture, an Internet phone driving button for conducting voice training on a PC-to-PC, a lecture text open button for opening a study training content, and a study paper training During the course, if you are a student, you can get a voice, and if you are a teacher, you have a voice control button, you can participate during training, you can invite experts in specific fields, you can leave a student It further includes a comprehensive control icon comprising a lecture control button having functions such as leaving, a lecture recording button for recording the training contents and playing the recorded contents, and a video conference driving button for driving the video conference system. .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는 선생이 개설한 과목 정보를 저장하는 개설 과목 테이블과, 개설된 과목에 대한 학생의 등록 정보를 관리하는 개설과목 등록정보 테이블과, 교육을 시작한 학습지에 대한 강의 정보를 관리하는 강의정보 테이블과, 시작된 교육에 대한 참가자 명단 정보를 관리하는 강의 참가자 명단 테이블과, 해당 학습지를 서비스하는 기관에 등록된 모든 선생 및 학생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테이블을 포함한다.The database server may include: an opened subject table storing subject information opened by a teacher; an open subject registration information table managing student registration information on the opened subject; and a lecture managing lecture information on a learning paper that started education. It includes an information table, a lecture participant list table for managing participant roster information for the started education, and a user information table for managing information about all teachers and students registered in the institution that serves the workbook.

또한, 상기 웹서버의 학습지 홈페이지는 선생이 교육할 학습지를 개설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학습지 개설 메뉴와, 학생이 선생이 개설한 학습지에 등록하기 위한 학습지 등록 메뉴와, 선생이 개설한 학습지의 교육을 시작하는데 사용하는 학습지 교육 메뉴와, 웹서버의 모든 사용자들을 역할에 따라 등록할 수 있는 사용자 등록 메뉴와, 학생들이 등록한 과목에 대하여 총괄적인 성적을 관리할 수 있는 성적 관리 메뉴와, 한 과목이 종료될 때까지 학생의 교육 참여 및 성적에 따른 진도 관리를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학생이 성적과 교육 진행 상황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진행 상황 조회 메뉴와, 홈페이지에 등록된 모든 사용자들에게 교육 일정 및 교육 자료를 올릴 수 있는 게시판 버튼을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homepage of the web server of the web server is a learning menu opening menu having a function for opening a learning paper for the teacher, a learning paper registration menu for the student to register in the learning paper opened by the teacher, the education of the learning paper opened by the teacher There is a workbook education menu used to start the program, a user registration menu to register all users of the web server according to their roles, a grade management menu to manage overall grades for the students enrolled, and a single course. Until the end, students can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and progress management according to their grades. Through this, the education progress inquiry menu, which enables the student to check the grades and the progress of education, and the schedule and It includes a bulletin board button for posting educational materials.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학습지 지도 선생이 선생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학습지 내용을 시스템 서버로 업로드할 때 상기 학습지를 선생 ID와 강의 제목으로 저장/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선생이 해당 과목을 선택할 때 수강 신청한 학생 클라이언트에 강의시작을 통지함과 동시에 학습지 내용을 다운로드하여 선생 클라이언트의 작업공간에 로딩하는 단계와, 학생이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과목을 선택할 때 학습지 내용을 다운로딩하여 학생 클라이언트의 작업공간에 로딩하는 단계와, 상기 선생과 학생 클라이언트의 화면을 이벤트 공유 방법에 의해 일치시켜서 학생의 질문과 선생의 응답을 상대방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arning guide teacher uploads the contents of the workbook to the system server through the teacher client, storing / managing the workbook with the teacher ID and the title of the lecture, and the teacher may manage the subject. At the time of selection, students are notified of the start of the course and download the contents of the workbook to the teacher client's workspace, and download the contents of the workbook when the student connects to the server and selects the subject. Loading in the workspace of the user; and matching the screens of the teacher and the student client by an event sharing method, and transmitting the student's question and the teacher's response to the counterpart client. Provide instructional methods.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생이 선생 클라이언트에서 학습지 문제를 문제 작성 도구를 사용하여 작성하고, 이를 인터넷을 통하여 시스템 서버로 업로드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기억시키는 단계와, 학생이 학생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학습지를 다운로드하고, 학습지를 풀이한 후, 이를 시스템 서버로 업로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선생이 선생 클라이언트에서 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학생이 풀이한 학습지를 다운로드한 후, 학생의 답안을 채점하고 오답인 경우 정답 및 풀이 과정을 첨삭하여 시스템 서버로 업로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학생은 학생 클라이언트에서 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선생의 첨삭 결과를 받아 보고 복습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 방법을 제공한다.Furthermor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p in which a teacher writes a questionnaire problem in a teacher client using a problem creation tool, uploads it to a system server via the Internet, and stores it in a database server. After the client connects to the system server to download the workbook, solves the workbook, uploads and saves the workbook to the system server, and the teacher accesses the system server from the teacher client to download the workbook that the student has solved. , Grades the student's answers, and if the answer is wrong, correct and solve the process of uploading and storing the uploaded to the system server, and the student is connected to the system server from the student client receives the teacher's correction results and review and review The amount using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 real-time effort learning teaching methods.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학습지의 방문 교육, 첨삭지도 등의 교육 체계를 인터넷이나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양방향 실시간 및 비실시간으로 학생과 선생의 학습지 내용을 공유하여 문제지 풀이를 마치 집에서 선생을 대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통하여 교육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aching system such as visiting education and correction instruction of the study paper is shared with the teacher at home by sharing the contents of the study papers of the student and the teacher in both real-time and non-real time using the Internet or local area network. The same effect can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실시예)(Example)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양방향 실시간 원격 학습지 지도 시스템은 원격지간에 학습지를 지도하기 위한 선생과 학생 사이에 근거리통신망, 전화망 및 인터넷을 기반으로, 1:1(개인교습), 1:N(그룹 교습), N:N(그룹간의 교습)의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 방법을 이용하여 시간과 공간을 초월 할 수 있는 근거리통신망, 전화망 및 인터넷을 통한 학습지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해결 할 수 있다.First, the two-way real-time distance learning map guidan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local area network, telephone network and the Internet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to map the work between the remote, 1: 1 (personal lesson), 1: N (group lesson), It is possible to solve this problem by conducting a study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telephone network, and the Internet, which can transcend time and space by using the N: N (Teaching between Groups).

본 발명의 학습지 지도 방법은 크게 2 페이스(phase)로 구성되어 있다.The study paper teach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two phases.

A. 1 페이스 : 학습지를 공부하는 교재 내용 작성과 학습지 공부하기A. 1 Pace: Writing the textbook and studying the workbook

선생님이 학생들과 공부하여 할 교재 내용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성하고 이를 인터넷 상에 위치한 시스템 서버에 업로드한다. 학생이 원하는 시간대에 시스템 서버에 접속한 후 선생님이 제출한 교재를 다운로드(다운로드)하고, 학습지 문제를 풀고 이를 다시 서버에 업로드한다.The teacher writes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to be studied with the students using a computer and uploads it to a system server located on the Internet. After the student connects to the system server at the desired time, he / she downloads (downloads) the text submitted by the teacher, solves the workbook problem, and uploads it back to the server.

B. 2 페이스 : 채점과 학생과의 면대면 학습 지도B. 2 Pace: Grading and face-to-face learning with students

선생님은 원하는 시간대에 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학생이 푼 문제를 다운로드하고, 학생이 풀이한 문제에 대한 상세한 풀이 과정과 오답인 문제에 대한 설명을 하여 다시 시스템 서버에 올리면 학생이 볼 수 있게 하는 첨삭지도 방법과 실시간으로 학생의 문제 풀이 과정을 직접 알 수 있는 방문지도 방법이 제공된다.The teacher connects to the system server at the desired time, downloads the student's problem, explains the detailed solution of the problem the student solved and explains the problem that is incorrect, and adds it to the system server so that the student can see it. Visitor guidance is provided to learn how the student solves the problem in real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격 학습지 지도 시스템에 대한 개략 블록도로서, 본 발명 시스템의 전체 구성은 선생이 작성한 학습지 문제를 제출하는데 이용되는 선생 클라이언트(이하 "선생 PC"라 한다)(10), 학습지 서비스를 받는 학생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학생 클라이언트(이하 "학생 PC"라 한다)(11), 선생 및 학생 PC(10,11)를 통하여 선생과 학생에게 학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환경을 이용한 원격지간의 학습지 시스템(EDUCE : Education platform for Distance learning Using Computer Environments) 서버(16), 상기 선생/학생 PC(10,11)를 상호 연결하여 학습지 서비스의 통신망으로 사용되는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12), 시스템 서버(16)에 연결되어 인터넷(Internet, 13)을 통한 학생과 선생 사이의 학습지 실시간 학습을 가능하게 학습지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학습지 공유 데이터 베이스(DB) 서버(15)로 구성되어 있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distance learning map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ystem is a teacher cli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eacher PC") used to submit a workbook problem created by a teacher. (10), through the student cli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tudent PC") (11), which serves as the interface of the student receiving the workbook service, the teacher and student PC (10,11) to provide the workbook service to teachers and students Local area network (LAN) used as a communication network for learning service by interconnecting the education platform for distance learning using computer environment (EDUCE) server 16 and the teacher / student PC 10,11 using a computer environment. : It is connected to the Local Area Network (12) and the system server (16) to save the workbook data, etc. to enable real-time learning of the workbook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through the Internet (Internet, 13). And learning to manage shared data base (DB) consists of a server (15).

상기와 같이 본 발명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가지며, 시스템 서버(16)는 학습지 관리, 공유 제어 데이터 관리, 학생과 선생 정보의 관리를 담당하고, 선생/학생 클라이언트(10,11)는 선생/학생이 사용하는 PC로서, 특히 학생 PC(11)는 시스템 서버(16)의 선생 사이트(site)에 로딩되고 실질적인 데이터 발생지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ystem has a client / server structure as a whole, and the system server 16 is responsible for managing a work sheet, managing shared control data, and managing student and teacher information, and the teacher / student client 10, 11 is a teacher / server. As a PC used by a student, in particular, the student PC 11 is loaded at the teacher site of the system server 16 and is a substantial data source.

일반적으로 인터넷(13)은 개방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서비스 대상에 무관한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며, 근거리 통신망(LAN,12)은 폐쇄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 기관 및 개인 학습지 서비스 제공에 적합한 네트웍이다.In general, the Internet 13 has an open structure and is suitable for providing a service irrelevant to a service target, and a local area network (LAN) 12 is a network suitable for providing an institution and a personal study paper service having a closed structure.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학습지 지도 시스템을 지원하는 망 구조 및 지원 네트웍 토포로지(network topology)를 나타내고 있다.FIG. 2 illustrates a network structure and a supporting network topology supporting a learning map guidance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실시예의 학습지 지도 시스템은 인터넷(13)을 통하여 제1시스템 서버(16a)에 접속되는 선생/학생 PC(10a,11a)로 구성된 하나의 오픈형 제1시스템(1)과, 상기 오픈형 시스템(1) 내에 제2시스템 서버(16a)에 LAN(12a)으로 상호 접속되는 선생/학생 PC(10b,11b)로 구성된 하나의 폐쇄형 제2시스템(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폐쇄형 제2시스템(2)은 제2시스템 서버(16a)로부터 인터넷(13)을 통하여 제1시스템(1)의 제1시스템 서버(16a)에 접속함에 의해 상호 연결이 이루어진다.The workbook guidance system of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one open first system 1 composed of teacher / student PCs 10a and 11a connected to the first system server 16a via the Internet 13, and the open system ( 1) one closed second system 2 consisting of teacher / student PCs 10b, 11b interconnected to a second system server 16a by LAN 12a, said closed second system (2) is interconnected by connecting to the first system server 16a of the first system 1 from the second system server 16a via the Internet 13.

상기 제1시스템(1)에 접속하고자 하는 사용자(10a,11a,16b)는 제1시스템 서버(16a)를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이들은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ADSL, STN,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ISDN, PSTN, 광케이블(Optical Cable)(14) 등의 접속 환경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1시스템(1)은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는 중앙 집중식 망 구조이며, 사용자(10a,11a,16a)의 정보 교환 측면에서는 풀 콘넥트 방식(fully connected) 망 구조를 가진다.The users 10a, 11a, and 16b who want to access the first system 1 are provided with the service through the first system server 16a, which is ADSL, STN,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according to the type of service. , Multimedia information may be provided using a connection environment such as an ISDN, a PSTN, or an optical cable 14. The first system 1 has a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in terms of service provision and a fully connected network structure in terms of information exchange of users 10a, 11a, and 16a.

근거리통신망(LAN)(12a)을 사용하는 제2시스템(2), 즉 독립된 기관, 예를들어 각각의 사내 LAN이 구축된 회사 또는 각급 학교는 역시 중앙 집중식 망 구조이며, 각 사용자 클라이언트(10b,11b)와 시스템 서버(16b)는 LAN(12a)을 통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실선, 12b)와 제어 데이터(점선, 12c)에 의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The second system 2 using a local area network (LAN) 12a, i.e. an independent institution, for example a company or a school in which each in-house LAN is built, is also a centralized network structure and each user client 10b, 11b) and the system server 16b ar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the multimedia data (solid line 12b) and control data (dashed line 12c) via the LAN 12a.

이러한 구조는 시스템 서버(16b)의 통신 부담을 줄이는 방법으로서 허브 구조를 취한다. 모든 학습지 데이터는 서버에 있고, 선생(10a,10b)과 학생(11a,11b)들 사이는 제어 데이터를 직접 전달하여 해당 클라이언트가 직접 제어 데이터를 실행한다.This structure takes a hub structure as a method of reducing the communication load of the system server 16b. All the work sheet data is on the server, and the control data is directly transmitted between the teachers 10a and 10b and the students 11a and 11b so that the client directly executes the control data.

도 2와 같이 인터넷(13)과 LAN(12a)을 이용한 원격 학습지 시스템, 즉 제1시스템(1)과의 연동은 LAN(12a)으로 이루어진 어떤 기관, 즉 제2시스템(2)의 서버(16b)는 인터넷(13)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기관 및 교육 기관과 인터넷(13)을 통하여 학습지 데이터를 받을 수 있고, 받은 데이터는 LAN(12a)으로 구축한 기관(2)의 서버(16b)를 통하여 클라이언트들(10b,11b)에게 전달되어 그룹으로 학습지 교육을 받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interworking system of the remote learning site system using the Internet 13 and the LAN 12a, that is, the first system 1, is a server 16b of a certain institution that is composed of the LAN 12a, that is, the second system 2. )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13), so that you can receive the study paper data through other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Internet (13), and the received data is connected to the server (16b) of the institution (2) constructed by the LAN (12a) It can be delivered to the clients (10b, 11b) through the group to receive the training.

또한, LAN(12a)에서의 클라이언트(10b,11b)의 학습지 교육 데이터는 LAN으로 연결된 서버(16b)를 통하여 인터넷(13)으로 해당 교육 사이트로 전달되므로 상호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진다. 하나의 전용선으로 연결된 기관(2)에서 내부는 LAN(12a)으로 구축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 학습지 뿐만 아니라 다른 교육 기관으로부터 서비스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earning paper training data of the clients 10b and 11b in the LAN 12a is transferred to the corresponding training site to the Internet 13 through the server 16b connected to the LAN, mutual data exchange is performed. In the institution 2 connected by one leased line, the inside is constructed by the LAN 12a, so that the service can be provided from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s well as the learning paper at a low cost.

따라서, 사내 교육용으로 LAN으로 구축된 기관(2)에서는 EDUCE 서버(16b) 및 클라이언트(10b,11b)가 설치되면 적은 비용으로 사내 교육용으로, 예를들어 초등학교인 경우는 초등학교용 학습지 교육을 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기존의 학교 선생님을 활용한 학습지 교육을 할 수 있다.Therefore, the institution 2 constructed as a LAN for in-house education can provide the in-house education for a small cost if the EDUCE server 16b and the clients 10b and 11b are installed. Not only that, but also the education of the workbook using existing school teacher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 실시간 원격 방문 및 첨삭 학습지 지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을 각각 하나의 선생/학생 클라이언트(10,11)와 시스템 서버(16)로 간략화하여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FIG. 3 is a simplified system showing the system shown in FIG. 1 as one teacher / student client 10 and 11 and a system server 16 to explain the interactive real-time remote visit and additive learning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본 발명의 시스템 서버(16)는 인터넷/인트라넷(13)을 통하여 선생/학생 클라이언트(PC)(10,11)에 접속되는 웹서버(160)와, 웹서버와 연결되며 클라이언트(10,11)로부터 업로드되는 각종 학습지 데이터, 시스템 서버(16)에 접속하는 선생(3)/학생(4)/개설과목/강의시간/강의 참가자 ID 등을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DB) 서버(161)로 구성되어 있다.The system server 16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web server 160 connected to the teacher / student client (PC) 10, 11 via the Internet / Intranet 13, and is connected to the web server and the client 10, 11. Database (DB) server 161 for storing and managing various study sheet data uploaded from the system, teacher (3) / student (4) / opened subject / lecture time / lecture participant ID connected to system server 16, etc. Consists of

상기한 시스템 서버(16)와 다수의 클라이언트(10,11) 사이의 접속은 PSTN, ISDN, ADSL, ATM, STN, 케이블 네트웍을 이용한 유선방식 이외에도, 셀룰러, PCS, 마이크로웨이브나 위성통신망을 통한 무선 인터넷 접속을 모두 수용할 수 있다. 각각의 클라이언트(10,11)는 상기한 방식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도 가능하다.The connection between the system server 16 and the plurality of clients 10 and 11 is wireless via cellular, PCS, microwave or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o the wired method using PSTN, ISDN, ADSL, ATM, STN, and cable networks. It can accommodate all internet access. Each client 10, 11 can be anything as long as it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using any of the above methods.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클라이언트(10,11)는 예를들어, 신호처리장치로서 펜티엄급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대용량 기억장치로서 하드디스크를 구동하기 위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버(HDD)와, 통신용 모뎀 등을 갖춘 개인용 컴퓨터(PC)에 인터넷 접속을 지원해주는 인터넷 웹 브라우저가 탑재되고, 사용자의 영상/음성 정보를 수신하여 시스템 서버(16)로 올리는데 필요한 웹카메라 및 마이크와 영상/음성 정보를 재생하는데 필요한 모니터 및 스피커를 구비하고 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처리기능을 갖는 것이라면 어떤 기종의 PC 또는 단말기도 사용 가능하다.Preferably, each of the clients 10, 11 is equipped with, for example, a Pentium class microprocessor as a signal processing device, a hard disk driver (HDD) for driving a hard disk as a mass storage device, a communication modem, or the like. A personal computer (PC) is equipped with an internet web browser that supports internet access, a web camera and microphone necessary to receive and upload user's video / audio information to the system server 16, and a monitor necessary for playing video / audio information. Any type of PC or terminal can be used as long as it has a speaker and a multimedia processing function that can support them.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161)의 데이터 베이스(D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선생(3)이 개설한 과목 정보(선생 ID, 개설과목명, 교육 시간)를 저장하는 개설 과목 테이블(161a), 개설된 과목에 대한 학생(4)의 등록 정보(등록한 학생 ID, 개설된 과목에 등록한 등록과목, 개설한 선생의 선생 ID)를 관리하는 개설과목 등록정보 테이블(161b), 교육을 시작한 학습지에 대한 강의 정보(강의 시작한 강의 ID, 강의를 시작하면서 사용하는 부가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명, 현재 강의가 진행중 인지를 나타내는 진행 플래그(flag), 진행중인 강의에서 발언권을 가진 학생의 ID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발언권자 ID)를 관리하는 강의정보 테이블(161c), 시작된 교육에 대한 참가자 명단 정보(교육을 시작한 강의에 대한 강의 ID, 교육에 참가한 학생의 참가자 ID)를 관리하는 강의 참가자 명단 테이블(161e)과 해당 학습지를 서비스하는 기관에 등록된 모든 선생 및 학생에 대한 정보(사용자 ID, 비밀번호, 사용자명, 선생, 학생, 전문가인 지를 구분하여 주는 역할)를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테이블(161d)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database DB of the database server 161 is an outlined subject table 161a which stores subject information (teacher ID, established subject name, education time) opened by the teacher 3. , The course registration information table (161b) that manage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4 registered student IDs, enrolled courses registered in the opened courses, and teacher IDs of the opened teachers) for the opened courses, Information about the class (the ID of the class that started the course, the name of the service for the additional service that you are using to start the class, a progress flag that indicates whether the class is currently in progress, and the ID of the student who has the right to speak in the class). Lecturer information table (161c) that manages the student ID), and lecturer list that manages the list of participants (lecture ID for the class that started the training, participant ID of the student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A user information table that manages the information on the roster table 161e and all the teachers and students registered in the institution that services the workbook (user ID, password, user name, teacher, student, professional). 161d).

도 6은 웹서버(160)에 장착된 학습지 홈페이지(162)의 화면예로서, 홈페이지의 구성은 선생(3)이 교육할 학습지를 개설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학습지 개설 메뉴(162a), 학생(4)이 선생이 개설한 학습지에 등록하기 위한 학습지 등록 메뉴(162b), 선생이 개설한 학습지의 교육을 시작하는데 사용하는 학습지 교육 메뉴(162c)가 있다.상기 학습지 교육 메뉴(162c)는 선생이 학습지 교육 메뉴(162c)를 클릭하면 선생이 담당하는 과목이 나타나고, 여기에서 원하는 과목을 클릭하면 웹서버(160)에서 등록된 모든 학생들에게 해당 과목에 대한 학습지 교육 시작 메시지를 자동으로 보낸다.6 is an example of a screen of the workbook homepage 162 mounted on the web server 160. The homepage is composed of a workbook establishment menu 162a having a function of opening a workbook for the teacher 3 to teach. 4) there is a workbook registration menu 162b for registering in the workbook opened by the teacher, and a workbook education menu 162c used to start the education of the workbook opened by the teacher. Clicking on the workbook education menu (162c) appears a subject in charge of the teacher, click on the desired subject from the web server 160 automatically sends a study paper education start message for the subject to all registered students.

또한 홈페이지(162)에는 웹서버(160)의 모든 사용자들을 역할에 따라 등록할 수 있는 사용자 등록 메뉴(162d), 학생들이 등록한 과목에 대하여 총괄적인 성적을 관리할 수 있는 성적 관리 메뉴(162e), 한 과목이 종료될 때까지 학생의 교육 참여 및 성적에 따른 진도 관리 등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학생이 성적과 교육 진행 상황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진행 상황 조회 메뉴(162f), 홈페이지(162)에 등록된 모든 사용자들에게 교육 일정 및 교육 자료를 올릴 수 있는 게시판 버튼(162g) 등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homepage 162 includes a user registration menu 162d for registering all users of the web server 160 according to a role, a grade management menu 162e for managing overall grades for the courses registered by students, Until the end of a course, students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and progress management according to their grades, and through this, the education progress inquiry menu (162f) and the homepage (162), which allows the student to check the grades and the progress of the education. All registered users have a bulletin board button (162g) for uploading training schedules and training materials.

한편, 도 6의 홈페이지(162) 화면에서 학습지 교육 메뉴(162c)를 선택하고 선생이 담당하는 과목, 예를들어 초등학교 3학년 영어 유닛1(unit 1)부터 초등학교 6학년 영어 유닛2(unit 2) 중에서 원하는 하나의 과목을 클릭하면 선생뿐만 아니라 과목에 등록한 모든 학생들의 PC(10,11)에 도 7a의 화면이 자동으로 구동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homepage 162 of FIG. 6, the workbook education menu 162c is selected, and a subject in charge of the teacher, for example, English unit 1 (unit 1) of 3rd grade elementary school English unit 2 (unit 2) of elementary school Clicking on a desired subject from among the screens of FIG. 7A is automatically driven on the PCs 10 and 11 of not only the teacher but also all the students enrolled in the subject.

도 7a는 선생과 학생이 각 클라이언트(10,11)에서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필요한 EDUCE 화면(30)의 예로서, 화면의 상단부에 교육 도중 필요한 인터넷 사이트로의 이동이나 교육 자료를 찾기 위한 인터넷 주소 입력란(31)과 화면의 중앙에 공유할 학습지 내용이 나타나는 작업공간(3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작업공간(32)은 후술하는 EDUCE 플랫폼(20)의 전자칠판 모듈(26)에 의해 구성되는 전자칠판 시스템에 의해 전자칠판 기능을 갖는다.FIG. 7A is an example of an EDUCE screen 30 required for a teacher and a student to receive a bidirectional real-time learning paper instruction service from each client 10, 11.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en, a user may move to an Internet site or find an educational material. Internet address input box 31 for the work space 32 is shown in the middle of the screen and the contents of the worksheet to be shared. The workspace 32 has an electronic blackboard function by an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constituted by the electronic blackboard module 26 of the EDUCE platform 20 described later.

또한 EDUCE 화면(30)에는 후술하는 화상회의 뷰어(24)에 의해 구성되는 화상회의 시스템의 화면 출력으로서 선생 화면(33)과 발언권을 가진 학생 화면(34) 공간이 우측 상단에 배치되어 있다. 학생 화면(34)의 하부에는 학습지 교육 도중 학생과 선생의 의사전달 수단으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펜, 지우개, 텍스트 입력과 선 굵기, 색상 등의 기타 질문 도구와 설명 도구(35)가 배치되어 있고, 화면(30)의 하부에는 학습지 교육에 참가한 학생들의 명단을 보여주는 참가자 명단창(36), 텍스트 채팅 결과를 보여주는 채팅창(37) 및 채팅 입력 창(38)이 배치되어 있다.In the EDUCE screen 30, a teacher screen 33 and a student screen 34 having a voice are arranged on the upper right side as a screen output of a videoconferencing system constituted by a videoconferencing viewer 24 described late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udent screen 34, other question and description tools 35, such as a pen, an eraser, text input and line thickness, and color, which serve as a user interface as a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re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student screen 34.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en 30, a participant list window 36 showing a list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paper training, a chat window 37 showing a text chat result, and a chat input window 38 are disposed.

화면(30)의 하단에는 도 7b와 같이 EDUCE의 종합 제어 아이콘(39)으로서 강의 생성 버튼(39a), PC-to-PC로 교육을 진행 할 수 있는 인터넷폰 구동 버튼(39b), 학습지 교육 내용을 열 수 있는 강의 교재 열기 버튼(39c), 학습지 교육 진행 도중 학생이 발언권을 득할 수 있고 발언권을 해제할 수 있는 발언권 제어 버튼(39d), 교육 도중 학생이 참가할 수 있는 참가, 특정 분야 전문가를 초청할 수 있는 초청, 특정 학생을 퇴실할 수 있는 퇴실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강의 제어 버튼(39e), 교육 내용을 녹화하고 녹화된 내용을 재생할 수 있는 강의 녹취 버튼(39f), 화상회의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는 화상회의 구동 버튼(39g)으로 구성된 제어 패널이 배치되어 있다.At the bottom of the screen 30, as shown in FIG. 7B, as a comprehensive control icon 39 of the EDUCE, a lecture generation button 39a, an Internet phone driving button 39b for training by PC-to-PC, and a study paper training content Open course book button 39c to open a book, a talk control button 39d to allow a student to speak and release a voice during a workbook training, a participant to participate in a training course, or invite an expert in a particular field Lecture control button (39e) with functions such as invitation to be able to leave, exit to specific student, lecture recording button (39f) to record the training contents and play the recorded contents, and drive the video conference system. The control panel which consists of 39 g of video conference drive buttons is arrange | positioned.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각 클라이언트(10,11)의 양방향 실시간 원격 방문 및 첨삭 학습지 지도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필요한 EDUCE 플랫폼 구성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the EDUCE platform required to receive a two-way real-time remote visit and additive learning guide service of each client (10,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클라이언트(10,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은 원격 학습 지도에 필요한제어를 수행하는 EDUCE 플랫폼(20)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EDUCE 플랫폼(20)은 CD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10,11)의 하드 디스크에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시스템 서버(16)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아서 구성할 수 있다.The client (10, 11) has an EDUCE platform 20 for performing the control necessary for the distance learning map as shown in Figure 4, the EDUCE platform 20 using the CD (10, 11) It can be installed and used on a hard disk or a system server 16 can be downloaded and configured.

상기 EDUCE 플랫폼(20)은 EDUCE 제어기(21), 스트리밍 미디어(Streaming Media) 제어기(22), 학습강의 뷰어(23), 화상회의 뷰어(viewer)(24), VOD(Video On Demand) 뷰어(25), 전자칠판(White Board) 모듈(26), 녹취모듈(27), 학습제어기(28) 및 통신제어기(29)로 구성되어 있다.The EDUCE platform 20 includes an EDUCE controller 21, a streaming media controller 22, a learning lecture viewer 23, a video conferencing viewer 24, and a video on demand viewer 25. ), A white board module 26, a recording module 27, a learning controller 28 and a communication controller 29.

먼저, EDUCE 제어기(21)는 전체 시스템의 제어기로서 학습제어기(28)와 통신제어기(29) 및 미디어 제어기(22)의 인터페이스(interface) 역할을 하며, 각 사용자들로부터 통신을 통해 들어오는 여러 가지 데이터(후술하는 설명도구(35)에서 사용하는 제어 테이터, VOD에 필요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화상회의에서 사용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 인터넷 방송 강의에서 사용하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를 해석한다.First, the EDUCE controller 21 serves as an interface between the learning controller 28,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29, and the media controller 22 as a controller of the entire system, and various data coming from each user through communication. (Control data used in the explanatory tool 35 to be described later, multimedia data required for VOD, video and audio data used in video conferencing, real-time multimedia data used in internet broadcasting lectures, etc.) are analyzed.

상기 데이터를 해석한 후 설명도구(35)에서 사용하는 제어 데이터는 학습제어기(28)로 직접 보내어 학습제어기(28)에서 처리하여 전자칠판 모듈(26)에 출력하게 한다. 제어 데이터 이외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모두 다운로드하여 재생하면 실시간으로 처리가 어려우므로 이러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수신에 따라 처리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제어기(22)에 보내어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재생한다.After interpreting the data, the control data used in the explanation tool 35 is directly sent to the learning controller 28 and processed by the learning controller 28 to be output to the electronic blackboard module 26. If all the multimedia data other than the control data is downloaded and reproduced, it is difficult to process in real time. Therefore, the multimedia data is sent to the streaming media controller 22 for processing according to the reception, and the data is processed and reproduced through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교육 진행에 필요한 데이터인 경우에는 학습 제어기(28)를 통해 발언권 부여, 발언권 해제, 참여, 초청, 퇴실 등의 작업이 이루어진다. 먼저 전자칠판 및 화상회의에 대한 발언권 부여인 경우는 전자칠판에 입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화상 회의인 경우 스트리밍 미디어 제어기(22)를 통한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캡쳐와 엔코딩(Encoding)이 가능하게 한다. 발언권 해제인 경우 전자칠판에는 입력할 수 없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화상회의인 경우는 엔코딩을 할 수 없게 한다. 참여 및 초청의 경우는 현재 진행 중인 화상회의, 전자칠판을 사용할 수 있게 통신 세션을 연결하며 진행 중인 현재 상황을 보내어 동일한 화면을 유지할 수 있데 한다. 퇴실인 경우는 현재 활성화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네트워크 환경을 초기화한다.In the case of the data necessary for the progress of the education, the operation of granting the speaking right, releasing the speaking right, participating, inviting, leaving, etc. is performed through the learning controller 28. First, in the case of granting the right to speak to the copyboard and video conferencing, it creates an environment that can be input to the copyboard, and in the case of video conferencing, the capturing and encoding of video and audio data through the streaming media controller 22 is possible. do. In the case of release of voice, the electronic board makes an environment that cannot be input, and in the case of video conferencing, encoding cannot be performed. In the case of participation and invitation,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communication session to use the current video conference and the electronic blackboard, and send the current situation in progress to maintain the same screen. In case of leaving, all currently active applications are terminated and the network environment is initialized.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제어기(22)는 미디어 생성에 따라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캡처하거나 레코딩하는 캡쳐(capture) 모듈(22a)과 영상, 음성 및 텍스트 데이터들을 시간축에 맞게 미디어들을 동기화하기 위하여 저작하는 편집/저작(Editor/Auther) 모듈(22b)로 구성되어 있다.The streaming media controller 22 edits / authors a capture module 22a for capturing or recording video and audio data in accordance with media generation, and for synchronizing video, audio and text data on a time axis. It consists of the (Editor / Auther) module 22b.

또한, 스트리밍 미디어 제어기(22)는 동기화에 맞게 생성한 동기화 자료와 미디어 데이터들을 전송 프로토콜에 맞게 압축하여 데이터 량을 줄여주고, 반대로 전송되어 온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을 재생에 맞게 풀어 해석하는 엔코더/디코더(Encoder/Decoder)(22c)를 더 포함하며, 이러한 데이터 포맷은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4에 기준하고 있다.In addition, the streaming media controller 22 compresses the synchronization data and media data generated for synchronization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protocol to reduce the amount of data, and on the contrary, an encoder / decoder for decoding and interpreting the transmitted multimedia data for playback. / Decoder) 22c, which data format is based on Moving Picture Expert Group (MPEG) 4.

따라서, 스트리밍 미디어 제어기(22)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은 상태에서 미디어들을 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실시간으로 미디어 데이터가 전송되는대로 재생하는 방식으로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캡처와, 시간 축에 대한 미디어 재생 순서를 표시함으로써 각 미디어에 대한 동기화 문제를 해결하는 편집/저작과, 벌크(bulk) 데이터의 압축을 이용한 네트웍 트래픽을 줄이는 압축 및 복원 기능을 하는 엔코더/디코더(Encoder/Decoder) 기능을 수행한다.Therefore, the streaming media controller 22 displays the capture of video and audio data and displays the media playback order on the time axis in such a manner that the media data is played in real time as the media data is transmitted instead of the media data downloaded. By performing editing / writing to solve the synchronization problem for each media, and encoder / decoder function to compress and decompress network traffic using bulk data compression.

학습 강의 뷰어(23)는 인터넷 방송의 경우 카메라를 통하여 실제 강의하는 현장을 생방송으로 전국에 있는 모든 학생들에게 보여주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단방향의 실시간 멀티미디어 처리 기술인 미디어 스트림 방식을 이용한다. 즉, 학습 강의 뷰어(23)는 실시간 학습지 교육 생방송을 전송받아 이를 보여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학습지의 특강을 학습지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방송할 때 사용한다.In the case of internet broadcasting, the learning lecture viewer 23 has a function of showing the actual lecture scene through the camera to all the students in the whole country, and uses the media stream method, which is a unidirectional real-time multimedia processing technology. That is, the learning lecture viewer 23 has a function of receiving and displaying a real-time learning paper education live broadcast, and is used to broadcast a special lecture of the learning paper to the learning paper service providers.

화상회의 뷰어(24)는 학습지 교육 및 강의 시에 사용자가 화상회의 구동 버튼(39g)을 구동할 때 웹카메라와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학생 및 선생의 얼굴 영상 및 음성을 캡처하는 캡쳐모듈(22a)을 이용하여 캡처하고, 이 캡처한 데이터는 엔코더(22c)를 이용하여 포맷화하여 학습 제어기(28)로 보냄에 의해 원격지간의 학생과 선생의 학습지 교육 상황을 보여준다.The video conferencing viewer 24 is a capture module 22a for capturing face images and voices of students and teachers, which are received through a web camera and a microphone when the user drives the video conferencing driving button 39g at the time of learning and teaching a work sheet. The captured data is formatted using the encoder 22c and sent to the learning controller 28 to show the learning paper education situa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distance.

학습 제어기(28)는 학습지 교육에 필요한 학습 교육 시작 및 지각한 학생의 교육 참여, 원활한 학습지 교육을 위하여 질문 신청, 질문 해제 등의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학습지에 참여한 학생들의 정보들을 이용하며 실질적인 통신이 통신 제어기(29)에서 이루어지게 하는 관로 역할을 한다.The learning controller 28 controls the functions of starting the learning education required for the education of the workbook and participating in the perceived student's education, requesting questions, and releasing questions for smooth learning of the workbook, and using the information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workbook. It serves as a conduit for substantial communication to take place in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29.

VOD 뷰어(25)는 학습지 교육시 참조할 교육 자료를 볼 수 있는 모듈로서 학습지 교육 시 보충 자료를 CD-ROM이나 미리 준비된 형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운로드를 받아 재생함에 의해 사용자에게 보여진다.The VOD viewer 25 is a module for viewing educational materials to be referred to when learning a learning paper, and is shown to a user by downloading and playing supplementary materials for a learning paper education by downloading a multimedia data of a CD-ROM or a prepared form.

또한, 녹취 모듈(27)은 사용자로부터 강의 녹취 버튼(39f)이 눌려질 때 통신 매체를 통하여 통신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PC(10,11)에서 학습지를 교육하는 장면 및 음성을 녹화할 수 있게 해주며, EDUCE 제어기(21)로부터 통제를 받아 HDD의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게 되고 추후에 저장한 하드 디스크에서 재생할 수 있게 해준다.In addition, the recording module 27 makes it possible to record scenes and voices for teaching the learning paper in the user PCs 10 and 11, rather than communicating through a communication medium when the lecture recording button 39f is pressed by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EDUCE controller 21, it is stored in the hard disk of the HDD and can be played back in the stored hard disk later.

따라서, 녹취 모듈(27)을 사용하면 현재 진행중인 학습지 교육을 녹화/재생할 수 있고, 또한 학습지 선생은 자리 이석 시 미리 학습할 내용을 녹화하여 서버에 업로드하면 학생은 실제 선생이 없더라도 마치 선생이 학습하는 것과 같은 효과로 학습 효과를 높일 수 도 있다.Therefore, using the recording module 27 can record / play back the current workbook education, and also, when the workbook teacher records the contents to be learned in advance at the time of seating, and uploads it to the server, the student can learn as if the teacher does not have a real teacher. The same effect can enhance learning.

전자칠판 모듈(26)은 학습지 교육시 학생들에게 부연 설명할 수 있는 칠판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인터넷 서핑(Internet surfing), 학습지 저작 도구를 공유 할 수 있는 기능, 텍스트 채팅 기능을 갖는다. 전자칠판 모듈(26)에서의 데이터 전송은 선생이 설명 도구(35)를 이용하므로 아주 작은 량의 데이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기반의 통신을 사용하고 있다. 이의 데이터는 학생측에서는 중요한 데이터므로 송수신 시에 보내고 받았다는 확답이 필요하다.The electronic blackboard module 26 provides a blackboard function that can be explained to the students during the teaching of the workbook, and has internet surfing, a function of sharing the workbook writing tool, and a text chat function. Data transfer in the copyboard module 26 uses a TCP / 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based communication because a small amount of data is required because the teacher uses the explanation tool 35. Its data is important data on the student's side, so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at it was sent and received when sending and receiving.

통신 제어기(29)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실질적인 송수신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UDP(User Datagram Protocol), TCP/IP 기반의 통신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으며, 상위 어플리케이션과의 독립성을 유지하고 상위 어플리케이션의 수정으로 인한 하부 통신 모듈의 변화를 최소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인터넷 및 근거리 통신의 실질적인 통신 세션, 데이터 전송 등을 담당하는 모듈로서 하부에 인터넷(13) 및 근거리 통신 네트웍(LAN)(12)에 대한 통신 프로토콜(13a,12a) 계층이 있다.Since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29 is responsible for the actu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real-time multimedia data, it has a UDP (User Datagram Protocol) and a TCP / IP-based communication program, and maintains independence from the upper application and lower communication due to modification of the upper application. It is a module that can minimize the change of the module and is responsible for the actual communication session, data transmission, etc. of the Internet and local area communication, and a communication protocol for the Internet 13 and local area network (LAN) 12 at the bottom. There are (13a, 12a) layers.

이하에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EDUCE 시스템의 방문 교육 학습의 예를 도 8a 내지 도 8f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An example of the visiting education learning of the EDU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8F.

먼저, 선생은 선생 EDUCE(20a)에서 학생들이 공부할 학습지(41)를 도 8b와 같이 html 에디터(42), 한글(43), 엑셀(MS Excel)(44), 파워 포인트(MS Power Point)(45), 워드(MS Word)(46) 등과 같이 웹 에디터나 일반 워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교육할 학습지(41)를 제작하여(S1), 본 발명 시스템의 웹서버(160)에 업로드(upload)한다(S2). 이에 따라 웹서버(160)는 업로드한 선생 ID와 담당 학습지를 관리하여 해당 선생이 업로드한 학습지(41)를 DB 서버(161)의 해당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First, the teacher selects the workbook 41 for the students to study in the teacher EDUCE 20a as shown in FIG. 8B, as shown in FIG. 8B, as shown in FIG. 8B, as well as the html editor 42, the Hangul 43, the MS Excel 44, and the MS PowerPoint. 45), a learning paper 41 to be educated using a web editor or a general word processor such as MS Word 46 is produced (S1), and uploaded to the web server 160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2). Accordingly, the web server 160 manages the uploaded teacher ID and the assigned workbook and stores the workbook 41 uploaded by the teacher in the corresponding database of the DB server 161.

그후 설정된 교육 시간에 선생은 선생 EDUCE(20a)에서 웹서버(160)에 접속한 후 학습지 교육 메뉴(162c)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설 과목중 하나를 클릭하면(S3), 웹서버(160)는 학생들에게 E-메일 등에 의해 교육 시작을 알리고 이와 동시에 해당 과목에 대한 학습지 내용을 다운로드(download)하여 선생 EDUCE(20a)에 로딩(loading)함에 따라 도 8c와 같이 선생 EDUCE 화면(30a)의 작업공간(32)에 표시된다(S4).Then, at the set training time, the teacher accesses the web server 160 in the teacher EDUCE 20a, and then clicks one of the opened courses as shown in FIG. 6 in the workbook education menu 162c (S3), and the web server ( 160 notifies students of the start of education by e-mail and at the same time downloads the contents of the workbook for the subject and downloads them to the teacher EDUCE 20a as shown in FIG. 8C, as shown in FIG. 8C. It is displayed in the workspace 32 of (S4).

선생으로부터 교육 시작을 받은 학생은 학생 EDUCE(20b)를 통하여웹서버(160)에 접속하여 해당 과목을 클릭하면(S5), 도 8c와 동일한 해당 학습지(41)의 내용을 다운로드 받아 학생 EDUCE(20b)에 로딩한다(S6). 이때 학생이 웹서버(160)에 접속하여 해당 과목을 선택하였으므로 선생 EDUCE 화면(30a)의 참가자 명단창(36)에는 참가한 학생의 이름 또는 ID(36a)가 추가되어 선생은 참가한 학생 명단을 볼 수 있게 된다.After receiving the education from the teacher, the student accesses the web server 160 through the student EDUCE 20b and clicks the corresponding subject (S5). Then, the student EDUCE 20b is downloaded by downloading the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study paper 41 as shown in FIG. 8C. In step S6). At this time, since the student accesses the web server 160 and selects the corresponding subject, the participant's name or ID 36a is added to the participant list window 36 of the teacher EDUCE screen 30a so that the teacher can view the list of participating students. Will be.

그후 학습지 교육이 시작되어 선생은 전자칠판 기능을 갖는 선생 EDUCE 화면(30a)의 작업공간(32)에서 도 8d와 같이 학습지(41)의 내용에 따라 학생들에게 예를들어, 설명 도구(35)의 프리드로우(35a)를 이용하여 문제, 예를들어 영어 단어 퍼즐문제(41a)를 풀이하면(S7), 이러한 내용(35b)이 인터넷(13) 또는 LAN(12) 통신망을 통하여 학생 EDUCE(20b)에 전달되고(S8), 학생 EDUCE(20b)는 선생 EDUCE(20a)의 설명에 필요한 명령어를 받고, 이를 해석하여 도 8d와 동일한 내용(35b)을 학생 EDUCE 화면(30b)에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메카니즘을 이용하면 선생과 학생의 화면 일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After that, the learning sheet education is started, and the teacher in the workspace 32 of the teacher EDUCE screen 30a having the electronic blackboard function,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sheet 41 as shown in FIG. When the problem is solved using the free throw 35a, for example, the English word puzzle problem 41a (S7), the content 35b is the student EDUCE 20b through the Internet 13 or LAN 12 communication network. In step S8, the student EDUCE 20b receives a command necessary for the description of the teacher EDUCE 20a, interprets the same, and outputs the same content 35b as that of FIG. 8D on the student EDUCE screen 30b. Using this mechanism,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creen consistency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또한 학습지 교육 중에 궁금한 점이 있는 학생은 학생 EDUCE(20b)를 이용하여 학생 EDUCE 화면(30b)에서 궁금한 사항을 설명 도구(선, 직선, 폐곡선, 텍스트 등)(35) 및 채팅창(37,38)을 이용하여 선생에게 질문하면 이 역시 통신망을 통하여 선생 EDUCE(20a)에 전달되며, 선생 EDUCE(20a)는 이를 해석하여 선생 EDUCE 화면(30a)에 동일하게 표시해준다.In addition, students who have questions during the education of the study sheet, using the student EDUCE (20b) to explain the questions on the student EDUCE screen (30b) tools (line, straight line, closed curve, text, etc.) (35) and chat window (37, 38) If the question is asked using the teacher, this is also transmitted to the teacher EDUCE 20a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teacher EDUCE 20a interprets the same and displays the same on the teacher EDUCE screen 30a.

선생은 학습지 교육 도중 보충 자료가 필요할 때 전자칠판(26)의 인터넷 서핑 기능을 이용하여 다른 사이트의 정보를 검색하여 보충 자료를 가져 올 수 있고이러한 보충 자료 및 인터넷 서핑 과정 또한 실시간으로 학생들에게 보여준다.Teachers can retrieve information from other sites by using the Internet surfing function of the copyboard 26 when supplementary materials are needed during the workbook education. The supplementary materials and internet surfing courses are also shown to students in real time.

또한, 학생과 선생은 종합 제어 아이콘의 인터넷폰 구동 버튼(39b) 및 화상회의 구동버튼(39g)을 이용하여 학습지 교육 시 생기는 의문사항을 선생 화면(33)과 학생 화면(34)에 표시된 서로의 화상을 보면서 음성으로 질문하게 된다. 이러한 각 미디어에 대한 전달은 EDUCE 서버(16)를 통하여 해당 학습지 교육자들에게 원활하게 전달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tudent and the teacher use the Internet phone driving button 39b and the video conferencing driving button 39g of the comprehensive control icon to answer questions generated during the education of the study paper on the teacher screen 33 and the student screen 34. As you watch, you will ask questions. Delivery of each of these media is smoothly delivered to the corresponding educator through the EDUCE server 16.

더욱이, 학습지 교육 시에 학생은 교육 실제 상황을 학생 EDUCE(20b)의 강의 녹취 버튼(39f)을 클릭하여 녹취 모듈(27)을 구동함에 의해 녹화를 하고 후에 재생하여 복습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또한 선생은 상기와 유사하게 학습지의 교육 과정을 강의 녹취 기능을 이용하여 교육 시간대가 여의치 않을 경우 교육을 녹화하여 시스템 서버(16)에 올려놓으면 학생은 이를 선생이 없더라도 이를 시청하여 교육받을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the learning of the learning paper, the student can record the actual situation of education by clicking the lecture recording button 39f of the student EDUCE 20b to drive the recording module 27, and then play back the video to expect a review effect. In addition, similar to the above, if a training time is not sufficient by using the lecture recording function, the teacher can record the training and put the training course on the system server 16 so that the student can watch the training even if there is no teacher.

도 9a 내지 도 9j는 본 발명에 따른 첨삭지도 방식의 양방향 실시간 원격 학습지 지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EDUCE 화면예로서, 첨삭지도 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9A to 9J illustrate an example of an EDUCE screen for explaining an interactive real-time remote learning place teaching method using an additive tea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html 에디터(42)나 파워 포인트(45) 등을 사용하여 첨삭지도할 학습지(41) 교재를 도 9b와 같이 작성하고(S11), 웹서버(160)에 접속한 후 도 9c의 학습지 관리 사이트에서 선생님 버튼(42a)을 클릭하고 학습지 업로드 메뉴(42c)를 선택하면(S12), 도 9d와 같이 웹서버(160)에 올릴 학습지 선택화면(43)이 제공된다. 도 9d에서 선생은 자신의 PC(10)에서 미리 작성한 파일을 찾아서 선택하고, 전송버튼(44)을 클릭하면 학습지 내용이 웹서버(160)에 업로드된다(S13).First, using the html editor 42, the PowerPoint 45, etc., create a learning paper 41 textbook to be corrected as shown in FIG. 9B (S11), and access the web server 160, and then the learning paper management site of FIG. 9C. If the teacher button 42a is clicked on and the learning paper upload menu 42c is selected (S12), the learning paper selection screen 43 to be uploaded to the web server 160 is provided as shown in FIG. 9D. In FIG. 9D, the teacher finds and selects a file prepared in advance on his PC 10, and clicks the transfer button 44 to upload the contents of the work sheet to the web server 160 (S13).

그후, 학생이 학습지 공부를 위해서 웹서버(160)에 접속하여 도 9c의 학습지 관리 사이트에서 학생 버튼(42b)을 클릭하고 제공되는 도 9e의 화면에서 문제 다운로드 메뉴(42d)를 선택하면(S14), 도 9f와 같이 선생이 미리 작성한 학습지(41) 내용이 학생 EDUCE 화면(30b)의 작업공간(32)에 출력하게 된다(S15). 화면(30b)을 보면서 학생은 학습지(41)의 문제 1 및 문제 2를 풀이하게 되고, 다 풀이한 학습지를 웹서버(160)에 업로드한다. 풀이한 학습지는 시스템 서버(16)에서 학생 ID와 담당 학습지 과목에 대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161)에 의해 저장하고 관리된다.Thereafter, when the student accesses the web server 160 to study the workbook, clicks the student button 42b on the workbook management site of FIG. 9C and selects the problem download menu 42d on the screen of FIG. 9E provided (S14). As shown in FIG. 9F, the contents of the work sheet 41 prepared by the teacher are output to the workspace 32 of the student EDUCE screen 30b (S15). While viewing the screen 30b, the student solves the problem 1 and the problem 2 of the work sheet 41, and uploads the solved work sheet to the web server 160. The solved work sheet is stored and managed by the database server 161 for the student ID and the corresponding work sheet subject in the system server 16.

그후 선생은 학생의 풀이가 끝난 학습지(41c)에 대해서 선생 EDUCE(20a)를 통하여 웹서버(160)에 접속하여 학생이 올린 문제 풀이 학습지 내용을 다운로드 받게 되면 도 9g 및 도 9h와 같이 학습지와 특정 학생이 풀이한 내용이 선생 EDUCE 화면(30a)에 나오게 된다(S16).Thereafter, the teacher connects to the web server 160 through the teacher EDUCE 20a for the student's completed workbook 41c, and downloads the contents of the student's problem pool. The contents solved by the student appear on the teacher EDUCE screen 30a (S16).

선생은 학생이 풀이한 학습지의 답안 내용를 보면서 "○", "×" 기호를 사용하여 채점하게 되고, 도 9h의 문제 2와 같이 학생의 답안(②)이 오답인 경우 오답을 설명 도구(35)를 사용하여 정답(④)에 밑줄(45)을 긋거나 부연설명을 첨가하여 풀이하고, 이러한 첨삭 지도 내용을 웹서버(160)에 업로드하게 된다(S17).The teacher is graded using the symbols "○" and "×" while looking at the contents of the workbook that the student has solved, and when the student's answer (②) is incorrect as shown in question 2 of FIG. 9H, the explanation tool 35 is used. By using the underscore (45) in the correct answer (④) or by adding an additional explanation, the solution is uploaded to the web server 160 (S17).

그후 학생은 임의의 시간에 웹서버(160)에 접속하여 선생이 풀이한 학습지의 첨삭 지도 내용을 다운로드 하면, 학생 EDUCE 화면(30b)에 도 9g 및 도 9h와 동일한 도 9i 및 도 9j와 같이 표시되므로 학생은 첨삭 지도된 내용을 통해 학습지 교육을 받게 된다(S18).After that, when the student accesses the web server 160 at any time and downloads the corrected instructional content of the workbook that the teacher has solved, the student EDUCE screen 30b is displayed as shown in FIGS. 9I and 9J as shown in FIGS. 9G and 9H. Therefore, the student is trained in the worksheet through the correction instruction (S18).

더욱이 학습지의 오답인 문제를 공부할 때 선생의 경우 학습지 풀이 과정을 학생과 온라인(on-line) 상태에서 학생과 인터넷폰 구동버튼(39b)을 선택하여 인터넷폰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채점 가능하며 오답에 대하여 상호 대화식으로 전자칠판(26)의 설명 기능을 사용하여 직접 첨삭 지도할 수 있고 학생은 실시간으로 첨삭 공부를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studying a problem that is the wrong answer of the workbook, the teacher can grade the workbook solving process in real time using the internet phone by selecting the student and the internet phone driving button (39b) while on-line with the student. Interactively, using the explanation function of the copyboard 26 can be directly added to the correction instruction and the student can study the correction in real time.

그리고 원할 경우 화상회의 뷰어(24)를 사용한 화상회의 시스템을 통하여 면대면으로 교육을 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강의과정을 녹취 모듈(27)을 이용한 녹취 기능을 이용하여 학습 과정을 녹화해 두었다가 학습 끝난 후 임의의 시간에 복습을 할 수 도 있다.If desired, the learning effect can be improved by training face-to-face through a videoconferencing system using the videoconferencing viewer 24. In addition, the lecture process may be recorded by using the recording function using the recording module 27, and then reviewed at any time after the learning is completed.

이러한 학습지의 첨삭 지도 방법은 실질적으로 선생이 해당 학생의 집을 일정한 시간에 방문하여 교육하는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method of teaching correction is expected to have the same effect as the teacher visiting the student's home at a certain time.

이하에 도 10의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실시간 원격 학습지 지도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the flowchart of FIG. 10, a bidirectional real-time distance learning map tea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학습지 실시간 교육 및 비실시간 교육인 학습지 첨삭 교육을 지원하는 교육 체계 지원 방법으로서, 선생은 먼저 학습지 문제를 문제 작성 도구인 html 에디터(42), 한글(43), 엑셀(MS Excel)(44), 파워 포인트(MS Power Point)(45), 워드(MS Word)(46) 등과 같이 웹 에디터나 일반 워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교육할 학습지(41)를 제작하고(S300), 이를 학생들에게 인터넷(13)을 통하여 시스템 서버(16)로 제출한다(S301).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supporting an education system for supporting real-time learning and non-real-time learning, which is an education system support method. The teacher first solves the problem of the workbook by html editors 42, Hangul 43, and Excel (MS Excel). 44), such as PowerPoint (MS Power Point) (45), Word (MS Word) 46, etc. by using a web editor or a general word processor to produce a learning paper (41) to be trained (S300), the Internet to students Submitted to the system server 16 through 13 (S301).

그후 학습지 실시간 교육의 경우 학생은 학습지(41)를 다운로드하고(S302),학습지를 푸는 과정에서 선생과 학생은 온라인으로 질문(S304) 및 응답(S305)의 과정을 거쳐서 문제 풀이를 한다(S303).Then, in the case of the real-time learning of the learning paper, the student downloads the learning paper 41 (S302), and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learning paper, the teacher and the student solve the problem through the process of questions (S304) and online (S305) (S303). .

즉, 학생의 질문은 학생 EDUCE 화면(30b)에서 발언권 제어 버튼(39d)을 클릭하여 발언권을 신청하고 선생이 발언권을 승락하면 학생은 설명 도구(35)를 이용하여 전자칠판 기능을 갖는 작업공간(32)에 질문할 문제와 질문 사항을 텍스트와 여러 가지 펜 속성을 이용하여 질문 사항을 기록한다.That is, the student's question is to apply for a voice by clicking the voice control button (39d) in the student EDUCE screen (30b), and if the teacher accepts the voice, the student uses the description board 35 to have a workspace (electronic board function) 32) Record the questions and questions to be asked using text and various pen attributes.

이에따라 학생 EDUCE(20b)는 학생의 질문의 이벤트를 캡처하고, 이벤트를 객체화하여(예; 학생이 자유곡선으로 "?"를 썼다면, 학생 EDUCE(20b)는 프리드로우(freedraw)(35a)로 표시한 선의 시작점, 끝점, 색, 굵기의 형태로 캡처한다) 인터넷(13)과 시스템 서버(16)를 통하여 선생 EDUCE(20a)로 전송한다. 전송 받은 선생 EDUCE(20a)는 이벤트를 해석하고 이를 자기 전자칠판에서 수행한다. 이런 형태로 학생의 질문과 선생의 응답이 이루어지면 화면 일치성을 보장할 수 있는데 이를 이벤트 공유 방법이라 한다.Accordingly, student EDUCE 20b captures the event of the student's question, objectizes the event (e.g., if the student wrote "?" In the freehand curve, student EDUCE 20b moves to freedraw 35a). It captures in the form of the starting point, the end point, the color, and the thickness of the displayed line.)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teacher EDUCE 20a through the Internet 13 and the system server 16. The received teacher EDUCE 20a interprets the event and performs it on his electronic blackboard. In this form, when the student's question and the teacher's response are made, the screen consistency can be guaranteed. This is called an event sharing method.

반대로 선생은 학생의 질문에 응답하려면 학생이 질문한 문제에 펜의 속성을 결정하여 설명하면 선생 EDUCE(20a)는 이를 캡처한다. 예를 들어 캡처한 이벤트가 "가"라면 이벤트는 프리드로우(지작점, 끝점, 색, 굵기) 형태로 학생 EDUCE(20b)로 전송된다. 이를 학생 EDUCE(20b)는 해석하여 실행하면 학생의 전자칠판(32)에 "가"라는 선생이 쓴 자유곡선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학생은 선생이 방문하여 마치 얼굴을 마주보고 지도하는 것과 같은 느낌으로 학습지 지도를 받을 수 있게 된다.Conversely, if the teacher wants to respond to the student's question, the teacher's EDUCE 20a captures the problem by determining the property of the pen. For example, if the captured event is "A", the event is sent to the student EDUCE 20b in the form of a free throw (point, end, color, thickness). When the student EDUCE 20b interprets and executes it, a free curve written by the teacher "ga" appears on the student's electronic blackboard 32. Therefore, the student can receive the instruction of the study sheet as if the teacher visited and face-to-face.

한편, 첨삭 교육인 경우 학생은 학습지를 다운로드하고(S306), 학습지를 풀이한 후(S307), 이를 인터넷(13)을 통하여 웹서버(160)로 업로드하여 학생 ID와 학습지 과목에 따라 DB에 저장시키면(S308), 선생은 학생이 풀이한 학습지를 다운로드한 후(S309), 채점하고(S319), 오답인 경우 정답 및 풀이 과정을 첨삭하여 웹서버(160)로 업로드하여 학생에게 전달한다(S310). 학생은 선생의 첨삭 지도 결과를 다운받아 보고 복습한다(S311).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dditive education, the student downloads the workbook (S306), solves the workbook (S307), uploads it to the web server 160 through the Internet 13, and stores it in the DB according to the student ID and the workbook subject. If (S308), the teacher downloads the workbook that the student has solved (S309), scores (S319), and if the answer is incorrect, upload the correct answer and solving process to the web server 160 to deliver to the student (S310) ). The student downloads and reports the teacher's correction instruction (S311).

상기한 방문지도 및 첨삭지도 과정에서 화상회의 구동버튼(39g) 및 녹취 버튼(39f)을 사용하게 된다. 화상회의 구동버튼(39g)이 작동된 경우 선생의 강의 학습지 교육 과정을 카메라를 통하여 캡처하고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을 녹음(엔코딩)하여(S312, S318), 송수신기를 통하여 자기 자신을 제외한 모든 학습지 참가자들에게 전달된다(S313). 전달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는 영상 및 음성 재생(디코딩) 모듈을 통하여 수신된 영상 데이터가 학생 것인지 선생의 것인 지를 구분하여 EDUCE(20a,20b)의 영상 회의 시스템의 선생 화면(33)과 학생 화면(34) 각 부분에 출력하게 된다.The videoconferencing driving button 39g and the recording button 39f are used in the above-mentioned visiting and correcting guidance process. When the video conference driving button (39g) is operated, the teacher's lecture learning paper training course is captured through the camera and the voice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is recorded (encoded) (S312, S318), and all the learning papers except the self through the transceiver are provided. It is delivered to the participants (S313). The transferred video and audio data are classified into whether the video data received through the video and audio playback (decoding) module is a student or a teacher, and the teacher screen 33 and the student screen of the video conferencing system of the EDUCE 20a, 20b. (34) Output to each part.

시스템의 처리 성능상 화상회의 시스템은 선생 영상과 발언권을 가진 학생 영상만이 출력하도록 설계하였으며 나머지 학생들은 선생과 발언권을 가진 학생의 영상과 음성만을 보고 듣도록 구현하였다.Due to the processing performance of the system, the video conferencing system was designed to output only the teacher's video and the student's voice, and the rest of the students watched and listened to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voice.

현재 학습지에서는 1:1일 경우에는 발언권의 의미가 없으므로 학생과 학습지 교육자의 음성과 영상 모두 출력하게 되었다. 1:N의 학습지 교육일 때는 이러한 시스템의 제약사항에 의거하여 작동하게 되어 있다. 학생은 학습 도중 질문이 있는 경우 발원권 제어버튼(39d)의 클릭으로 발언권을 요구하고, 이를 승락한 경우 학생의 음성 및 얼굴을 캡처하여 선생 및 학습자 PC 모두에게 전달하게 되고 각 PC에서 받아 재생하게 된다(S314).In the current study, 1: 1 voice means no voice, so both voice and video of students and study educators are printed. In the case of 1: N workbook training, it is intended to operate under the constraints of these systems. When a student asks a question during learning, the student requests a voice by clicking the control button 39d. When the student approves it, the student captures the voice and face of the student and delivers it to both the teacher and the learner's PC. (S314).

이러한 과정을 학습이 끝날 때까지 되풀이한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학생이나 선생은 현재 진행하고 있는 학습 과정을 녹화하게 되고 학습이 끝난 후에 원하는 시간에 재생하여 복습하게 된다(S316).Repeat this process until the end of the lesson. And if necessary, the student or teacher will record the current learning process, and after the end of the learning to play at the desired time to review (S316).

따라서, 본 발명은 학습지 학습자가 별도의 학습장치 없이 근거리통신망이나 인터넷을 통해 장소와 시간에 구애를 받지 않고 학습지를 학습할 수 있게 하며, 대화식 학습진행을 통해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learner learner to study the study paper regardless of the place and time through the local area network or the Internet without a separate learning devic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through the interactive learning process.

즉, 본 발명에서는 창의적 사고력을 갖춘 교육 서비스, 교육 정보 전달의 다양화 및 가상 교육 서비스를 통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교육 환경을 제공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conomical and efficient educational environment through education services with creative thinking,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delivery, and virtual education services.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학습지의 방문 교육, 첨삭지도 등의 교육 체계를 인터넷이나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양방향 실시간 및 비실시간으로 학생과 선생의 학습지 내용을 공유하여 문제지 풀이를 마치 집에서 선생을 대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통하여 교육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aching system such as visiting education and correction instruction of the study paper is shared with the teacher at home by sharing the contents of the study papers of the student and the teacher in both real-time and non-real time using the Internet or local area network. The same effect can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또한, 본 발명은 근거리통신망, 전화망 및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학습지의 방문 지도와 첨삭 지도에 의해 적은 비용으로 지역구분 없이 누구나 학습지 교육 혜택과 적은 인원으로서 효과적인 교육을 실시하여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igh-quality education service by providing the learning education and effective training as a small number of people without any regional division by the visit and correction guidance of the learning paper based on the local area network, telephone network and the Internet. .

더욱이, 본 발명은 영상 강의, 음성강의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활용으로최첨단 교육 정보화 추진, 인터넷과 LAN을 통한 교육기관 간의 신뢰성 있는 교육 자원 공유, 다양한 수익사업 창출, 교육 업무 범위의 확대, 열린 평생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며, 원격지간의 교육 환경 구축으로 도시와 벽지간의 교육적인 차이를 최소화하고, 수요자의 교육비용 절감, 다양한 요구를 수용 할 수 있는 교육 과정 선택의 용이성,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교육으로 강의 내용의 흥미 유발, 온라인 자율학습 교육 시스템을 통한 자유로운 교육 시간 선택이 가능하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video lectures and voice lectures to promote cutting-edge educational informatization, share reliable educational resources between educational institutions via the Internet and LAN, create various profitable businesses, expand the scope of educational work, and open lifelong education services. Minimize the educational gap between the city and the wallpaper by establishing a remote educational environment, reduce the educational cost of the consumer, ease the selection of the curriculum to accommodate various needs, and induce the interest of the lecture contents by the education using multimedia, Free time selection is available through the online self-study system.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who have

Claims (15)

각각 인터넷에 연결되며 전자칠판으로서 학습지가 로딩될 작업공간과 설명도구를 구비하고, 화상회의, 인터넷폰 및 채팅 기능을 갖는 제1플랫폼을 내장한 다수의 학생 클라이언트와,A plurality of student clients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equipped with a workspace and an explanatory tool on which the workbook is to be loaded as an electronic blackboard; 상기 인터넷에 연결되며 전자칠판으로서 학습지가 로딩될 작업공간과 설명도구를 구비하고, 화상회의, 인터넷폰 및 채팅 기능을 갖는 제2플랫폼을 내장한 적어도 하나의 선생 클라이언트와,At least one teacher client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equipped with a workspace and an explanatory tool for loading a study paper as an electronic blackboard, and having a second platform having video conferencing, an Internet phone, and a chat function; 상기 다수의 학생 및 선생 클라이언트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양방향 실시간 및 비실시간으로 학생과 선생 클라이언트의 학습지 내용을 공유하여 사이버 상에서 학생과 선생이 면대면 방식의 학습지 방문 지도를 수행할 수 있는 원격 학습 지도 시스템(EDUCE) 서버로 구성되며,Remote learning guidance system that allows a plurality of student and teacher clients to share the study paper contents of students and teacher clients in two-way real-time and non-real time based on the Internet, so that students and teachers can conduct face-to-face visits of the study papers on the cyber. EDUCE) server, 상기 시스템 서버는The system server 학습지 지도 선생이 선생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학습지 내용을 업로드할 때 상기 학습지를 선생 ID와 강의 제목으로 저장/관리하며, 선생이 해당 과목을 선택할 때 수강 신청한 학생 클라이언트에 강의시작을 통지함과 동시에 선생 클라이언트의 작업공간에 로딩하도록 학습지 내용을 다운로드시키고, 학생이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과목을 선택할 때 학생 클라이언트의 작업공간에 로딩할 수 있게 학습지 내용을 다운로딩시키며, 선생의 화면과 학생의 화면을 이벤트 공유 방법에 의해 일치시켜서 학생의 질문과 선생의 응답을 상대방 클라이언트에 전달하기 위한 웹서버와,Worksheet guidance When a teacher uploads the contents of the workbook through the teacher's client, the workbook is saved / managed by the teacher ID and the title of the lecture. Download the workbook content to load into the workspace of the student, download the workbook content to load into the student client's workspace when the student connects to the server and selects the subject, and shares the teacher's screen with the student's screen. Web server for matching student's question and teacher's response to other client 상기 웹서버를 통하여 업로드되는 학습지 내용과 학습지 지도 관련 선생/학생/과목 정보를 저장/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 시스템.Interactive real-time learning paper map system using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database server for storing / managing the content of the learning paper and the teacher / student / subject information uploaded through the web ser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서버는 학생이 학생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학습지 문제를 풀어서 웹서버로 업로드할 때 학생 ID와 학습지 과목에 따라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저장시키고, 선생이 학생 풀이한 학습지를 다운로드한 후, 채점하고, 오답인 경우 정답 및 풀이 과정을 첨삭하여 웹서버로 업로드할 때 학생이 선생의 첨삭 지도 결과를 다운받아 보고 복습을 할 수 있도록 업로드된 첨삭 지도 내용을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 시스템.The system server of claim 1, wherein the system server stores the workbook problem using a student client and uploads it to a web server in a database server according to the student ID and the workbook subject. After the scoring, if the correct answer and the answer is corrected and uploaded to the web server when uploaded to the web server, the student uploads the teacher's correction results and save the uploaded correction contents so that you can review and review Two-way real-time learning map guidanc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생과 학생 클라이언트의 플랫폼은 각각The platform of claim 1, wherein the platform of the teacher and student client is respectively 클라이언트의 전체 제어기로서 학습 제어기와 통신 제어기 및 스트리밍 미디어 제어기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각 클라이언트로부터 통신을 통해 들어오는 여러 가지 데이터를 해석한 후 교육 진행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는 학습제어기에서 처리하여 전자칠판 모듈로 출력하게 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수신에 따라 스트리밍 미디어 제어기에 보내어 데이터를 처리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EDUCE 제어기와,It acts as an interface between the learning controller,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and the streaming media controller as a whole controller of the client, and after analyzing various data coming from each client through communication, the control data necessary for the progress of the training is processed by the learning controller to the copyboard module. An EDUCE controller which outputs the multimedia data to the streaming media controller according to the reception, and processes the data to be reproduced through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캡처와 시간 축에 대한 미디어 재생 순서를 표시하고 각 미디어에 대한 동기화 문제를 해결하는 저작도구와 벌크 데이터의 압축을 이용한 네트웍 트래픽을 줄이는 압축 및 복원 기능을 하는 스트리밍 미디어 제어기와,Streaming that captures the video and audio data of the multimedia data and displays the media playback order on the time axis, and solves the synchronization problem for each media, and compresses and restores the network traffic using the compression of bulk data. With a media controller, 실시간 학습지 교육 생방송을 전송받아 이를 보여주며 학습지의 특강을 학습지 서비스 신청 학생들에게 방송할 때 사용하는 학습강의 뷰어와,Real-time learning papers receive live broadcasts and show them, and learner viewers used to broadcast the specialty of the workbooks to students who apply for the service. 원격지간의 학생과 선생의 학습지 교육 상황을 보여주도록 웹카메라와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학생 및 선생의 얼굴 영상 및 음성을 캡처하고, 이 캡처한 데이터를 포맷화하여 학습 제어기로 보냄에 의해 원격지간의 학생과 선생의 학습지 교육 상황을 보여주는 화상회의 뷰어와,Capture the face and voice of students and teachers received through the web camera and microphone to show the learning situa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distance, and format the captured data and send it to the learning controller. A videoconference viewer showing the workbook training situation, 학습지 교육에 필요한 학습 교육 시작 및 지각한 학생의 교육 참여, 원활한 학습지 교육을 위하여 질문 신청, 질문 해제 등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학습제어기와,A learn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unctions such as starting a learning education required for the education of a learning paper, participating in the late students' education, requesting questions, and releasing questions for smooth learning of the learning paper; 학습지 교육 시 보충 자료를 CD-ROM이나 미리 준비된 형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운로드를 받아 재생하는 VOD 뷰어와,A VOD viewer that downloads and plays supplementary materials in the form of CD-ROM or multimedia data prepared in advance. 학습지 교육시 학생들에게 부연 설명할 수 있는 칠판기능, 인터넷 서핑, 학습지 저작 도구의 공유, 텍스트 채팅 기능을 갖는 전자칠판 모듈과,An electronic blackboard module with a blackboard function, surfing the Internet, sharing of the workbook authoring tool, and text chat function, which can be explained to the students when teaching the workbook, 현재 학습지 교육을 녹화할 수 있고 재생 가능한 녹취 모듈과,A recording module that can record and play current training lessons, 상위 어플리케이션과의 독립성을 유지하고 상위 어플리케이션의 수정으로 인한 하부 통신 모듈의 변화를 최소할 수 있으며 인터넷 통신의 실질적인 통신 세션으로서,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통신제어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 시스템.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independence of the upper application and to minimize the change of the lower communication module due to the modification of the upper application. As a practical communication session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it is composed of a communication controller that is responsible for data transmission. Real Time Worksheet Map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EDUCE 제어기는 상기 교육 진행에 필요한 데이터가 전자칠판 및 화상회의에 대한 발언권 부여인 경우 전자칠판에 입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화상 회의인 경우 스트리밍 미디어 제어기를 통한 영상 및 음성 데이터의 캡쳐와 엔코딩이 가능하게 하며, 발언권 해제인 경우 전자칠판에는 입력할 수 없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화상회의인 경우는 엔코딩을 할 수 없게 하며, 참여 및 초청의 경우는 현재 진행 중인 화상회의와 전자칠판을 사용할 수 있게 통신 세션을 연결하여 진행 중인 현재 상황을 보내어 동일한 화면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퇴실인 경우는 현재 활성화된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네트워크 환경을 초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 시스템.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EDUCE controller creates an environment that can be input to the electronic blackboard when the data required for the training process is provided for the electronic blackboard and the video conference. And capture and encode audio data,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not be entered on the copyboard in the case of release of speech, disable encoding in the case of video conferencing, and video in progress in the case of participation and invitation. Connect the communication session to use the meeting and the copyboard to send the current situation in progress to maintain the same screen, and in case of leaving, the Internet, which terminates all currently active applications and initializes the network environment. Interactive real-time learning map guidance system u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미디어 제어기는 미디어 생성에 따라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캡처하거나 레코딩하는 캡쳐 모듈과,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streaming media controller comprises: a capture module for capturing or recording video and audio data according to media generation; 영상, 음성 및 텍스트 데이터들을 시간축에 맞게 미디어들을 동기화하기 위하여 저작하는 편집/저작(Editor/Auther) 모듈과,An Editor / Auther module for authoring video, audio and text data to synchronize media on a time base; 동기화에 맞게 생성한 동기화 자료와 미디어 데이터들을 전송 프로토콜에 맞게 압축하여 데이터 량을 줄여주고, 반대로 전송되어 온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을 재생에 맞게 풀어 해석하는 엔코더/디코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이용한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 시스템.Two-way using the Internet, which consists of an encoder / decoder that compresses the synchronization data and media data created for synchronization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protocol to reduce the amount of data and conversely interprets the transmitted multimedia data for playback. Real Time Worksheet Map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생과 학생 EDUCE의 플랫폼에 의해 선생과 학생의 클라이언트에 제공되는 화면은 각각 교육 도중 필요한 인터넷 사이트로의 이동이나 교육 자료를 찾기 위한 인터넷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넷 주소 입력란과, 화면의 중앙에 공유할 학습지 내용이 표시되며 전자칠판 모듈에 의해 지원되는 전자칠판 시스템에 의해 전자칠판 기능을 갖는 작업공간과, 상기 화상회의 뷰어에 의해 지원되는 화상회의 시스템의 화면 출력을 형성하는 선생 화면 및 발언권을 가진 학생 화면과, 학습지 교육 도중 학생과 선생의 의사전달 수단으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설명 도구와, 학습지 교육에 참가한 학생들의 명단을 보여주는 참가자 명단창과, 텍스트 채팅을 지원하는 채팅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 시스템.According to claim 3, The screen provided to the teacher and the client of the client by the platform of the teacher and the student EDUCE, respectively, the Internet address input field for inputting an Internet address for moving to the Internet site required for education or to find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center of the screen, the content of the workbook to be shared is displayed and forms a workspace having an electronic blackboard function by the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supported by the electronic blackboard module, and a screen output of the video conference system supported by the video conference viewer. A teacher screen and a student screen with voice, an explanatory tool that acts as a user interface as a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during the study, a list of participants showing the list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a chat window to support text chat. Interactive using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Real Time Worksheet Map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생과 학생의 클라이언트에 제공되는 화면은 각각 강의를 생성하기 위한 강의 생성 버튼과, PC-to-PC로 음성 교육을 진행 할 수 있는 인터넷폰 구동 버튼과, 학습지 교육 내용을 열 수 있는 강의 교재 열기 버튼과, 학습지 교육 진행 도중 학생인 경우 발언권을 득할 수 있고 선생인 경우 발언권을 해제할 수 있는 발언권 제어 버튼과, 교육 도중 학생이 참가할 수 있는 참가, 특정 분야 전문가를 초청할 수 있는 초청, 특정 학생을 퇴실할 수 있는 퇴실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는 강의 제어 버튼과, 교육 내용을 녹화하고 녹화된 내용을 재생할 수있는 강의 녹취 버튼과, 화상회의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는 화상회의 구동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 시스템.According to claim 6, The screen provided to the teacher and the client of the student is a lecture generation button for creating a lecture, Internet-phone-driven button for conducting voice training by PC-to-PC, and learning paper education content Open the course materials button, open the control book for the student to receive the right to speak while the student is in progress, and release the voice control button for the teacher to release the voice; Lecture control button with functions such as invitation to attend, leave to leave a specific student, lecture recording button to record educational contents and play recorded contents, and video conferencing to drive video conferencing system. The interactive real-time learning paper map system using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rive button. 제1항에 있어서, LAN으로 상호 접속된 제2 선생 및 학생 클라이언트와,A second teacher and student client interconnected via a LAN;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시스템 서버에 접속 가능하고 제2 선생과 학생 클라이언트에 LAN으로 연결되어 제2 선생과 학생 사이의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를 지원하는 제2시스템 서버로 구성된 폐쇄형 제2EDUCE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 시스템.It further comprises a closed second EDUCE system consisting of a second system server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ystem server via the Internet and connected to the second teacher and student client by LAN to support the interactive real-time learning site map between the second teacher and the student. Interactive real-time learning paper map system using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는 선생이 개설한 과목 정보를 저장하는 개설 과목 테이블과, 개설된 과목에 대한 학생의 등록 정보를 관리하는 개설과목 등록정보 테이블과, 교육을 시작한 학습지에 대한 강의 정보를 관리하는 강의정보 테이블과, 시작된 교육에 대한 참가자 명단 정보를 관리하는 강의 참가자 명단 테이블과, 해당 학습지를 서비스하는 기관에 등록된 모든 선생 및 학생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tabase server includes: an opened subject table storing subject information opened by a teacher; an opened subject registration information table managing student registration information on the opened subject; It includes a lecture information table that manages lecture information, a lecture participant list table that manages participant roster information for the started education, and a user information table that manages information about all teachers and students registered in the institution that services the study paper. Two-way real-time learning paper map system using the Inter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의 학습지 홈페이지는 선생이 교육할 학습지를 개설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학습지 개설 메뉴와, 학생이 선생이 개설한 학습지에등록하기 위한 학습지 등록 메뉴와, 선생이 개설한 학습지의 교육을 시작하는데 사용하는 학습지 교육 메뉴와, 웹서버의 모든 사용자들을 역할에 따라 등록할 수 있는 사용자 등록 메뉴와, 학생들이 등록한 과목에 대하여 총괄적인 성적을 관리할 수 있는 성적 관리 메뉴와, 한 과목이 종료될 때까지 학생의 교육 참여 및 성적에 따른 진도 관리를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학생이 성적과 교육 진행 상황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진행 상황 조회 메뉴와, 홈페이지에 등록된 모든 사용자들에게 교육 일정 및 교육 자료를 올릴 수 있는 게시판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mepage of the web server of the web server has a learning menu opening menu having a function of opening a learning paper for the teacher, a learning paper registration menu for the student to register in the learning paper opened by the teacher, and the teacher opening. The Worksheet Education menu, which is used to start education of a workbook, a user registration menu for registering all users of the web server according to their roles, a grade management menu for managing overall grades for students' registered courses, In addition, the educational progress inquiry menu enables the student to check the grades and the progress of the education and all the users registered on the homepage. Internet using a butt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ulletin board button to upload the training schedule and training materials to Real-time map directions tutoring system. 학생/선생 클라이언트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양방향 실시간 및 비실시간으로 학생과 선생 클라이언트의 학습지 내용을 공유하여 사이버 상에서 학생과 선생이 면대면 방식의 학습지 방문 지도를 수행하기 위한 원격 학습 지도 시스템(EDUCE) 서버로 구성되는 EDUCE 시스템의 원격 학습 지도 방법에 있어서,As a remote learning guidance system (EDUCE) server for student / teachers to conduct face-to-face instructional visits of students and teachers in cyberspace by sharing the contents of student and teacher client's work sheets in real time and non-real time interactively based on the Internet In the distance learning teaching method of the configured EDUCE system, 학습지 지도 선생이 선생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학습지 내용을 시스템 서버로 업로드할 때 상기 학습지를 선생 ID와 강의 제목으로 저장/관리하는 단계와,When the workbook instruction teacher uploads the workbook contents to the system server through the teacher client, storing and managing the workbook with the teacher ID and the lecture title, 상기 선생이 해당 과목을 선택할 때 수강 신청한 학생 클라이언트에 강의시작을 통지함과 동시에 학습지 내용을 다운로드하여 선생 클라이언트의 작업공간에 로딩하는 단계와,When the teacher selects a corresponding subject, notifies the student client of the class registration to start the lecture, and downloads the contents of the workbook and loads it into the workspace of the teacher client; 학생이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과목을 선택할 때 학습지 내용을 다운로딩하여 학생 클라이언트의 작업공간에 로딩하는 단계와,Downloading the contents of the workbook and loading it into the workspace of the student client when the student connects to the server and selects the subject; 상기 선생과 학생 클라이언트의 화면을 이벤트 공유 방법에 의해 일치시켜서 학생의 질문과 선생의 응답을 상대방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 방법.And matching the screens of the teacher and the student client by the event sharing method, and transmitting the student's question and the teacher's response to the counterpart client. 선생이 선생 클라이언트에서 학습지 문제를 문제 작성 도구를 사용하여 작성하고, 이를 인터넷을 통하여 시스템 서버로 업로드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기억시키는 단계와,The teacher writes the problem in the teacher client using the problem-creation tool, uploads it to the system server via the Internet,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server; 학생이 학생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학습지를 다운로드하고, 학습지를 풀이한 후, 이를 시스템 서버로 업로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A student accessing the system server from a student client to download a workbook, decompressing the workbook, and uploading and storing the workbook to the system server; 상기 선생이 선생 클라이언트에서 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학생이 풀이한 학습지를 다운로드한 후, 학생의 답안을 채점하고 오답인 경우 정답 및 풀이 과정을 첨삭하여 시스템 서버로 업로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The teacher accesses the system server from the teacher client, downloads the workbooks that the student has solved, scores the student's answers, adds the correct answer and the solution process, and uploads and stores them in the system server if the answer is incorrect; 상기 학생은 학생 클라이언트에서 시스템 서버에 접속하여 선생의 첨삭 결과를 받아 보고 복습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 방법.The student is connected to the system server from the student client receives the teacher's correction result and comprises a step of reviewing the real-time learning site using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제12항에 있어서, 학생은 학습지 문제를 학생 클라이언트로 다운로드하고, 학습지를 푸는 과정에서 선생과 온라인에서 질문 및 응답의 과정을 거쳐 문제를 풀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 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the student downloading the workbook problem to the student client and solving the question through a process of questions and answers online with the teacher in solving the workbook. How to teach live worksheets.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학습지 교육 및 강의 시에 사용자가 화상회의 구동 버튼을 구동하는 것에 응답하여 웹카메라와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학생 및 선생의 얼굴 영상 및 음성을 캡쳐모듈에 의해 캡처하는 단계와,The apparatus of claim 11 or 12, wherein the capture module captures face and voice images of students and teachers, which are received through a web camera and a microphone in response to the user driving a video conference driving button in a workbook education and lecture. To do that, 상기 캡처한 데이터를 엔코더에 의해 포맷화하여 학습 제어기와 통신제어기에 의해 시스템 서버를 통하여 선생과 다수의 학생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와,Formatting the captured data by an encoder and transmitting the captured data to a teacher and a plurality of student clients through a system server by a learning controller and a communication controller; 상기 전송 데이터를 스트리밍 미디어제어기를 통하여 수신하는 데로 디코더에 의해 재생하여 각 클라이언트의 선생과 학생 화면 난에 각각 얼굴 영상을 표시해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원격지간의 학생과 선생이 면대면 상태에서 학습지 교육을 지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 방법.Reproducing the transmission data through the streaming media controller to display the face image on the teacher screen and the teacher screen of each client, respectively, by the decoder to direct the teaching of the learning site in the face-to-face state of the student Two-way real-time learning paper teaching method using the Internet.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지를 풀 때 선생은 온라인 상태에서 인터넷폰 구동버튼을 선택하여 인터넷폰에 의해 특정 학생과 실시간으로 학습지 답안을 채점하고, 오답인 경우 전자칠판의 설명 기능을 사용하여 직접 첨삭 지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양방향 실시간 학습지 지도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wherein the teacher selects the Internet phone driving button in the online state when grading the workbook, and scores the workbook answer in real time with a specific student by the Internet phone, and if the answer is incorrect, the explanation function of the electronic board. Interactive method using the Interne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irect correction using the Internet.
KR1020000025885A 2000-04-14 2000-05-15 Bidirectional Real-time Studying-Paper Guiding System between Remote Distances Using LAN or Internet and Method thereof KR2001009640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719 2000-04-14
KR20000019719 2000-04-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407A true KR20010096407A (en) 2001-11-07

Family

ID=19664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885A KR20010096407A (en) 2000-04-14 2000-05-15 Bidirectional Real-time Studying-Paper Guiding System between Remote Distances Using LAN or Internet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6407A (en)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461A (en) * 2000-05-29 2000-10-05 김태오 System for English education on the internet
KR20010106954A (en) * 2000-05-24 2001-12-07 김종명 Internet edu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touch-up ability
KR20010107279A (en) * 2000-05-26 2001-12-07 구광시 A method of online education accompanied with data
KR20010112542A (en) * 2000-06-08 2001-12-20 김기대 Manufacture method of self teaching material linking on-line
KR20010111862A (en) * 2000-06-14 2001-12-20 이태호 Internet remote edu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KR20020039792A (en) * 2000-11-22 2002-05-30 유길종 System for synchronization of image and text data used on educational service via network
KR20030088546A (en) * 2002-05-11 2003-11-20 김대성 Multi-media system of making VOD (Video On Demand) using Word-processor(Powerpoint and etc.) with Voice and Music, which can be shown through internet
KR100424664B1 (en) * 2000-12-13 2004-03-2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Method and system for e-learning by using distributed network system
KR100748700B1 (en) * 2006-01-18 2007-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Video conference system and method using white board
KR100756180B1 (en) * 2006-02-09 2007-09-05 이재천 The franchise system using company working process of the internet remote control to the personal computer
WO2011119362A3 (en) * 2010-03-25 2012-04-19 T-Mobile Usa, Inc. Shared book reading
US8483738B2 (en) 2010-03-25 2013-07-09 T-Mobile Usa, Inc. Chore and rewards tracker
US8654952B2 (en) 2009-08-20 2014-02-18 T-Mobile Usa, Inc. Shareable applications on telecommunications devices
US8750854B2 (en) 2010-03-25 2014-06-10 T-Mobile Usa, Inc. Parent-controlled episodic content on a child telecommunication device
US8751329B2 (en) 2009-08-20 2014-06-10 T-Mobile Usa, Inc. Licensed content purchasing and delivering
US8825036B2 (en) 2009-08-20 2014-09-02 T-Mobile Usa, Inc. Parent telecommunication device configuration of activity-based child telecommunication device
KR20160132702A (en) * 2015-05-11 2016-11-21 주식회사 인스에듀테인먼트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r mission accomplishment type learning service system using smart device based on messenger
KR101683536B1 (en) * 2015-06-01 2016-12-07 주식회사 아이오시스 Creation System of Personal Variable Teaching Materials Based on Learning Level and Method thereof
KR20180096858A (en) * 2017-02-20 2018-08-3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knowledge
KR20190103120A (en) 2019-08-26 2019-09-04 송현종 Method for remote lecture controlling using communication protocol
CN111985364A (en) * 2020-08-06 2020-11-24 深圳拔越软件有限公司 Remote internet education student behavior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954A (en) * 2000-05-24 2001-12-07 김종명 Internet edu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touch-up ability
KR20010107279A (en) * 2000-05-26 2001-12-07 구광시 A method of online education accompanied with data
KR20000058461A (en) * 2000-05-29 2000-10-05 김태오 System for English education on the internet
KR20010112542A (en) * 2000-06-08 2001-12-20 김기대 Manufacture method of self teaching material linking on-line
KR20010111862A (en) * 2000-06-14 2001-12-20 이태호 Internet remote edu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KR20020039792A (en) * 2000-11-22 2002-05-30 유길종 System for synchronization of image and text data used on educational service via network
KR100424664B1 (en) * 2000-12-13 2004-03-2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Method and system for e-learning by using distributed network system
KR20030088546A (en) * 2002-05-11 2003-11-20 김대성 Multi-media system of making VOD (Video On Demand) using Word-processor(Powerpoint and etc.) with Voice and Music, which can be shown through internet
US8635274B2 (en) 2006-01-18 2014-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conferencing using white board
KR100748700B1 (en) * 2006-01-18 2007-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Video conference system and method using white board
KR100756180B1 (en) * 2006-02-09 2007-09-05 이재천 The franchise system using company working process of the internet remote control to the personal computer
US8929887B2 (en) 2009-08-20 2015-01-06 T-Mobile Usa, Inc. Shared book reading
US9077820B2 (en) 2009-08-20 2015-07-07 T-Mobile Usa, Inc. Shareable applications on telecommunications devices
US8654952B2 (en) 2009-08-20 2014-02-18 T-Mobile Usa, Inc. Shareable applications on telecommunications devices
US9986045B2 (en) 2009-08-20 2018-05-29 T-Mobile Usa, Inc. Shareable applications on telecommunications devices
US8751329B2 (en) 2009-08-20 2014-06-10 T-Mobile Usa, Inc. Licensed content purchasing and delivering
US8825036B2 (en) 2009-08-20 2014-09-02 T-Mobile Usa, Inc. Parent telecommunication device configuration of activity-based child telecommunication device
WO2011119362A3 (en) * 2010-03-25 2012-04-19 T-Mobile Usa, Inc. Shared book reading
US8483738B2 (en) 2010-03-25 2013-07-09 T-Mobile Usa, Inc. Chore and rewards tracker
US8750854B2 (en) 2010-03-25 2014-06-10 T-Mobile Usa, Inc. Parent-controlled episodic content on a child telecommunication device
KR20160132702A (en) * 2015-05-11 2016-11-21 주식회사 인스에듀테인먼트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r mission accomplishment type learning service system using smart device based on messenger
KR101683536B1 (en) * 2015-06-01 2016-12-07 주식회사 아이오시스 Creation System of Personal Variable Teaching Materials Based on Learning Level and Method thereof
KR20180096858A (en) * 2017-02-20 2018-08-3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knowledge
KR20190103120A (en) 2019-08-26 2019-09-04 송현종 Method for remote lecture controlling using communication protocol
CN111985364A (en) * 2020-08-06 2020-11-24 深圳拔越软件有限公司 Remote internet education student behavior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96407A (en) Bidirectional Real-time Studying-Paper Guiding System between Remote Distances Using LAN or Internet and Method thereof
Latchman et al. Information technology enhanced learning in distance and conventional education
KR102382385B1 (en) Integrated online education platform system and integrated online education method
Fowler et al. Applying telepresence to education
Bloom et al. Cybercounseling & Cyberlearning: An Encore.
Klobas et al. Selecting software and services for web-based teaching and learning
JP2004333525A (e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server, electronic lecture method, and program
Schnepf et al. Closing the gap in distance learning: Computer-supported, participative, media-rich education
Natarajan Use of online technology for multimedia education
Barker Reforming Teacher Education through the Integration of Advanced Technologies: Case Study Report of a College Model.
Pival et al. Innovative methods for providing instruction to distance students using technology
Gramoll Teaching statics online with only electronic media on laptop computers
Cofield An Assessment of Streaming Video In Web-based Instruction.
Hecht et al. The Evolution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Classes when Delivered via Distance Education.
KR20020064456A (en) system and method of education throygh internet
Weiser et al. Using video streaming on the Internet for a graduate IT course: A case study
Hiple et al. Models for distance education in critical languages
Nkechinyer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 veritable instrument for distance education
KR20190018353A (en) Interactive learning system and method among multiple users using moving images
Kno et al. Overcoming challenges of distance education: Instructional technologies
Latchman et al. A new approach in the use of multimedia for technology enhanced learning
KR20010111862A (en) Internet remote edu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Schnurr et al. Video conferencing in education: Meeting teachers and learners support and training needs
Cofield The effectiveness of streaming video in web-based instruction
KR20000054727A (en) Mutually communicable video-audio real-time educational system and it's business model via inter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