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6048A - A home personal robot with multi-faculity - Google Patents

A home personal robot with multi-facu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6048A
KR20010016048A KR1020000060689A KR20000060689A KR20010016048A KR 20010016048 A KR20010016048 A KR 20010016048A KR 1020000060689 A KR1020000060689 A KR 1020000060689A KR 20000060689 A KR20000060689 A KR 20000060689A KR 20010016048 A KR20010016048 A KR 20010016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home personal
voice
home
multi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6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기성
정진영
박민규
Original Assignee
장기영
주식회사 아이리스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영, 주식회사 아이리스플러스 filed Critical 장기영
Priority to KR1020000060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6048A/en
Publication of KR20010016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6048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3Home robots, i.e. small robots for domestic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05Manipulators having means for high-level communication with users, e.g. speech generator, face recognition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0Robotics, robotics mapping to robotics vision
    • G05B2219/40174Robot teleoperation through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PURPOSE: A multipurpose home personal robot is provided to enable everybody to easily contact with a computer for convenience by adding the function of the robot to the computer. CONSTITUTION: A multipurpose personal robot(50) comprises an image processor(11) converting image information to simple information; a sound processor(12) recognizing sound from a sound sensor(2) and outputting an answer through a speaker(4); and an obstacle detecting module(6) detecting an obstacle using supersonic waves. Further, the robot contains a main controller(13); a motion processor(14) driving a motor array(8) to move the robot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ler; a display module(5) displaying all information; a storage unit(15); an operating unit(7) controlling the robot; and a wireless communicating module(16) communicating between the main controller and a personal computer or a medical sensor(3). Thus, the robot gives a user the best service by being wirelessly connected to the personal computer.

Description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A home personal robot with multi-faculity }A home personal robot with multi-faculity}

본 발명은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에 로봇의 개념을 추가하여 기존의 컴퓨터가 가지고 있던 입출력상의 제약이나 공간상의 제약으로부터 해방시켜 누구나가 쉽게 컴퓨터를 접할 수 있게 되며, 홈 오토메이션과 인터넷 기술들을 접목하여 사용자 인식기능, 전자우편 전달기능, 음성명령 인식기능, 인터넷 검색기능, 인터넷 전화기능, 인터넷 예약/주문기능, 스케줄 관리기능, 건강 관리기능, 방범기능 등을 수행하는 한편, 온 라인상에 로봇관리 서버를 설치하여 항상 로봇이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robot, and more particularly, by adding the concept of a robot to a computer to free it from input and output constraints and space constraints of a conventional computer, anyone can easily access the computer. It combines automation and internet technologies to perform user recognition, e-mail delivery, voice command recognition, internet search, internet phone, internet reservation / ordering, schedule management, health care, and secur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robot that can maximize the user's satisfaction by installing the robot management server on-line and managing the robot to provide the best service at all times.

일반적으로 퍼스널 컴퓨터(PC:Personal Computer)는 현재 인간의 생활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존재로 인식 될 만큼 컴퓨터의 발전으로 인하여 인간의 생활은 편리하고 윤택해졌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를 낯설게 느끼고 있고, 일부 사람들은 컴퓨터를 전혀 사용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또한 사용한다고 하여도 컴퓨터가 있는 공간에 한정되어 문서 작업이나, 오락, 프로그램개발, 인터넷 검색 등의 국한된 사용에 지나지 않고 있다.In general, personal computers (PCs) are now recognized as indispensable in human life, and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has made human life convenient and profitable, but many people still feel unfamiliar with computers. The reality is that the computer does not even use the computer at all, and even if it is used, it is limited to the space where the computer is located, and is limited to the use of paper work, entertainment, program development, and Internet search.

기존의 컴퓨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살펴보면, 첫째로 현재의 컴퓨터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국한된 입력장치를 통해서 만 조작할 수 있으며, 모니터나 프린터 등의 국한된 주변장치에 의존해서 만 결과를 얻을 수 있음으로 인하여 키보드나 마우스에 익숙하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컴퓨터를 사용하는데 부담을 주며, 컴퓨터와의 의사 소통에도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Looking at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computer, firstly, the current computer can be operated only through localized input devices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and the result can be obtained only by relying on local peripherals such as a monitor or a printer. Because of this, those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keyboard or mouse are burdened with using the computer, and have no choice but to communicate with the computer.

둘째로 컴퓨터는 이동할 수 있는 물체가 아니므로 설치된 장소에서만 조작이 가능하며, 이 것은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할 때 일부러 컴퓨터가 있는 장소로 옮겨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것이다. 셋째로 기존의 컴퓨터는 많은 디자인의 진보로 인하여 수려한 모습으로 변해왔지만 그 기본틀은 사무적이며 딱딱한 모습을 가지고 있어 여전히 가정내의 다른 요소들과 어울리지 못함으로써 익숙하지 못한 사람으로 하여금 위화감을 조성하여 쉽게 접근할 수 없게 한다. 넷째로 컴퓨터가 익숙한 사람도 인터넷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한다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일일이 찾아서 방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되는 것이다.Secondly, because the computer is not a movable object, it can be operated only at the place where it is installed, which means that the user has to move to the place where the computer is intentionally. Third, the existing computer has been transformed into a beautiful shape due to the advancement of many designs, but the basic framework is clerical and rigid, and it still does not fit with other elements in the home, making it easier for people unfamiliar to create discomfort. I can't. Fourth, if a person who is familiar with computers wants to be provided with services using the Internet, there is a hassle of having to find and visit a site that provides services.

그리고 일본국 특개소 61-82777호에서는 퍼스날컴퓨터를 통해서 프로그래밍하고 그 프로그램에 의해서 주행하는 로봇이 개발되고, 일본국 특개평 7-248823호는 음성인식이 가능한 퍼스날 로봇이 개발되어 있으나, 로봇의 기능이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의해 로봇을 제어하여 퍼스널 컴퓨터를 운영하는 등의 기술은 현재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1-82777, a robot that is programmed through a personal computer and driven by the program is develop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7-248823, a personal robot capable of speech recognition has been developed. Not only this limitation but also technology such as operating a personal computer by controlling a robot by a user's voice command has not been developed at pres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 컴퓨터에 로봇의 개념을 추가하여 기존의 컴퓨터가 가지고 있던 입출력상의 제약이나 공간상의 제약으로부터 해방시켜 누구나가 쉽게 컴퓨터를 접할 수 있게 해주고, 홈 오토메이션과 인터넷 기술들을 접목하여 인간에게 보다 편리하고 편안한 생활을 보장해 주며, 사용자 인식기능, 전자우편 전달기능, 음성명령 인식기능, 홈 오토메이션 기능은 물론, 인터넷 서비스를 보다 강화하여 독특한 인터넷 검색기능, 인터넷 전화기능, 인터넷 예약/주문 기능, 스케줄 관리 기능, 건강관리, 능동적인 방범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온 라인상에 로봇관리 서버를 설치하여 항상 로봇이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리하여 사용자의 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by adding the concept of a robot to the computer to free from the input and output constraints and space constraints of the existing computer, anyone can easily access the computer, home The combination of automation and Internet technologies ensures a more convenient and comfortable life for humans. It also provides unique Internet search and Internet functions by strengthening Internet services as well as user recognition, email delivery, voice command recognition, and home automation. It has not only telephone function, internet reservation / order function,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health management, active security function, but also the robot management server installed on-line so that the robot can always provide the best service for users' satisfaction. To help maximize do.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개념도.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기능도.4 is a functional diagram of a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및 도 5b는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5A and 5B are views of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람 인식기능의 동작 흐름도.Operation flow chart of the person recognition function.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음성신호처리부의Figure 6a is a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of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블록도.Block diagram.

도 6b는 도 5a의 음성검출부의 상세블록도.FIG. 6B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voice detector of FIG. 5A; FIG.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음성인식시의 동작6C is an operation of voice recognition of a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흐름도.Flowchart.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인터넷 모드를7A illustrates an Internet mode of a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실시하기 위한 로봇과 주변시스템과의 연결도.Connection diagram between robot and peripheral system to implement.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인터넷 모드를7B illustrates an Internet mode of a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실시하기 위한 동작흐름도.Flow chart for implementation.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홈 오토메이션8A is a home automation of a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연결도.Connection diagram for running the mode.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홈 오토메이션8B is a home automation of a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동작흐름도.Flowchart for executing the mod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방범모드 실시를9 is a security mode implementation of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위한 동작흐름도.Flowchart for.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환경인식기능을10 is an environmental recognition function of a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나타내는 시스템 블록도.System block diagram showing.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자가진단 모드11 is a self-diagnostic mode of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실시를 위한 동작흐름도.Flowchart for implementa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학습 모드 실시를12 is a learning mode implementation of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위한 동작흐름도.Flowchart for.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건강관리 기능을13 is a health management function of a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수행하기 위한 로봇과 외부시스템과의 연결도.Connection diagram between robot and external system to perform.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엔터테인먼트 기능14 is an entertainment function of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을 수행하기 위한 외부시스템과의 연결도.Connection diagram with external system to perform the task.

도 15a는 로봇 관리서버를 통하여 로봇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15A is a server for providing a service to a robot through a robot management server;

의 연결 개념도.Connection conceptual diagram.

도 15b는 로봇 관리서버를 통하여 로봇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15b is an operation for providing a service to a robot through the robot management server

흐름도.Flowchart.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블록도로서, 크게 주제어부(13), 영상처리부(11), 음성처리부(12), 그리고 모션(Motion)처리부(14)로 구성되어 있다.1 is a front view of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ntrol unit 13, the image processing unit 11, and the audio processing unit 12 are large. And a motion processor 14.

상기 영상처리부(11)에서는 연결된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영상감지센서(1)로부터 들어온 화상정보를 화상처리기법을 사용하여 판단에 필요한 간단한 정보로 변형시켜 주제어부(13)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화자(話者)를 인식할 경우 화자의 얼굴모양 및 홍체의 화상정보를 영상감지센서(1)로부터 받아 특징들을 추출하여 주제어부(13)에 넘기면 상기 주제어부(13)에서는 확립되어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화자의 정체를 인식하게 된다.The image processor 11 converts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image sensor 1, such as a connected video camera, into simple information necessary for determination using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and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main controller 13. For example, when the speaker recognizes the speaker's face and iris image information from the image sensor 1, the features are extracted and passed on to the main controller 13, which is established in the main controller 13.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speaker's identity is recognized.

상기 음성처리부(12)에서는 음성감지센서(2)로부터 들어온 소리를 음성과 비음성으로 구분하여 음성일 경우 음성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특징을 추출하고 비교하여 음성으로 내려진 명령을 인식하고 주제어부(13)로 전달함과 동시에 여러 개의 음성감지센서를 여러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음성이 들어온 방향도 인식할 수 있으며, 주제어부(13)에서 전달된 음성 메시지들을 스피커(4)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The voice processor 12 classifies the sound input from the voice sensor 2 into a voice and a non-voice, and extracts and compares a feature using a voice recognition algorithm to recognize a command given by the voice, using a voice recognition algorithm.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direction in which the voice is received by placing a plurality of voice sensors to face in multiple directions, and emits voice messages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13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4) It has a function.

상기 모션처리부(14)에서는 주제어부(13)에서 내려진 명령을 받아 모터어레이(8)를 제어하여 로봇을 이동시키고 머리를 회전하게 하며, 팔을 사용하여 물건을 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motion processor 14 receives the command from the main control unit 13 to control the motor array 8 to move the robot and rotate the head, and to pick up the object using the arm.

상기 주제어부(13)에서는 영상처리부(11)와 음성처리부(12)에서 들어온 정보와 장애물 검출센서(6)의 정보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처리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대해서 응답을 결정하고 실행하고, 상기 주제어부(13)에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모듈(5)이 연결되어 있어 요구된 정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한편, 상기 주제어부(13)에는 무선통신을 담당하는 무선통신모듈(16)이 내장되어 있어 가정 내에 설치되어 있는 홈 퍼스널 컴퓨터(Home PC)(2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main control unit 13 processes data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1 and the audio processing unit 12 and the information of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6 to determine and execute a response to the user's request. The main control unit 13 is connected to a display module 5 including a monitor so that the requested information can be visually confirmed, while the main control unit 13 is responsib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built in so that it can transmit / receive data wirelessly with the home personal computer (Home PC) 20 installed in the hom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동작 개념도로서, 상기 홈 퍼스널 컴퓨터(20)는 랜모듈(22)을 통하여 공동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으며, 다수의 가전기기(30)들도 무선통신모듈(21)이 장착되어 인터넷 정보 가전기술을 통하여 랜모듈(22)에 연결되어 있고, 관리사무실, 경찰서, 소방서 및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들이 랜모듈(22)에 연결되어 있어 로봇의 요구에 따라 각각의 서비스를 랜모듈(22)을 통하여 공급받을 수 있다.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home personal computer 20 is connected to a common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LAN module 22, and a plurality of home appliances 30 are also wirelessly communicated. The module 21 is mounted and connected to the LAN module 22 through internet information appliances, and management offices, police stations, fire departments, and servers providing various services are connected to the LAN module 22 to meet the needs of the robot. Accordingly, each service can be supplied through the LAN module 22.

또한 로봇관리서버(22)는 로봇의 소프트웨어를 온라인상에서 업그레이드하거나, 로봇이 가지고 있는 서비스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며, 홈 퍼스널 컴퓨터(20)의 무선통신모듈(21)과 로봇(50)의 무선통신모듈(16) 간에 서로 무선으로 통신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robot management server 22 serves to help to smoothly upgrade the software of the robot online or to perform the service function of the robo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 of the home personal computer 20 and the robot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 of 50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wirelessly.

이와 같이 구성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의 기능별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each function of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robot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nfigured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홈 퍼스널 로봇은 주인 뿐만 아니라 가족 및 주인과 관계 있는 사람들을 기억하고 인식할 수 있으며, 홈 퍼스널 로봇은 학습 능력이 부여되어 주인이 기억해 두라는 명령을 내리면 그 사람의 얼굴의 형태 및 홍체의 패턴을 저장 장소에 이름 및 전화번호 등 여러 데이터와 매칭시켜서 저장해 두었다가 다음에 다시 만났을 때는 기억해 낸다.First, the home personal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ember and recognize not only the owner but also the family and the people who are related to the owner, and the home personal robot is given a learning ability to give the owner a command to remember the shape of the face and The pattern of the iris is stored in the storage location by matching data such as name and phone number, and it is remembered the next time it is met again.

또한, 정보 저장시 주인이 경계해야 할 사람이라고 기억시켜 두면 그 사람이 주인이 없을 때 집을 방문하더라도 문을 열어 주지 않고, 주인이 있을 때 방문하더라도 그 사람을 따라 다니면서 그 사람의 행동을 하나도 빠짐없이 감시한다.Also, if you remember that the owner should be alert when saving the information, the person does not open the door even if he visits the house when he does not have a master. Watch.

이와 같은 사람 인식기능을 첨부된 도 4a 및 도 4b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uch a person recognition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먼저 도 4a에 의해 사람 인식과정을 설명하면, 로봇은 전원이 켜지면 시스템을 초기화(단계 101)하고 대기 모드에서 음성센서를 통하여 명령을 받거나 소리에 반응할 준비를 하고 있으며, 음성감지센서(2)를 통하여 소리가 들려오는 것으로 판단(단계 102)되면 로봇은 소리의 진원지를 밝혀 그 곳을 향한 후(단계 103) 영상감지센서(1)를 가동하여 소리의 원인을 인식(단계 104)한다.First, the human recognition process is described by FIG. 4A.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robot initializes the system (step 101), receives a command through the voice sensor in the standby mode, or prepares to respond to the sou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ound comes through (step 102), the robot discovers the source of the sound and faces the place (step 103), and then operates the image sensor 1 to recognize the cause of the sound (step 104).

이때 영상감지센서(1)로부터 영상을 획득(단계 105)하여 영상처리부(11)로 전송하게 되면 음성 이외의 불필요한 노이즈 등의 잡음을 제거(단계 106)하고, 2진 코드로 변환 및 오프닝/크로우징(Opening/Closing)과정(단계 107, 108)을 거처서 특징만 추출된 영상을 얻고(단계 109), 그 특징들을 계산하여 먼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비교(단계 110)함으로써 사람을 인식(단계 111)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image is acquired from the image sensor 1 (step 105) and transmitted to the image processor 11, the noise such as unnecessary noise other than the voice is removed (step 106), converted into a binary code, and opened / crawled. Recognizing a person by obtaining an image obtained by extracting only a feature based on an opening / closing process (steps 107 and 108) (step 109), calculating the features, and comparing the stored data with the first stored data (step 110). )

상기 단계에서 저장된 데이터가 많거나, 정확히 인식하기 위해서 여러 데이터들을 한번에 비교할 경우 비교 처리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지에이 뉴어럴 알고리즘(GA-Neural Algorithm)을 사용하여 지능적이며 효율적으로 검색하게 된다.When the data stored in the above step is large or when several data are compared at a time in order to accurately recognize the comparison processing time, it uses a GA-Neural Algorithm to search intelligently and efficiently.

상기 도 4a의 과정을 통해 다수 사람의 특징을 추출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인식된 상태에서 로봇의 행동과정을 도 4b에 의해 설명하면, 먼저 영상감지센서(1)로부터 영상을 획득하여 물체가 인식(단계 112)되면 사람의 여부를 판단(단계 113)하고 사람일 경우 얼굴모양 및 동공패턴을 획득(단계 114)하여 특징을 추출(단계 115)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4B, the behavior of the robot in the state of extracting the features of a plurality of people through the process of FIG. 4A is recognized in the database. First, an object is recognized by acquiring an image from the image sensor 1. In step 112, it is determined whether a person is present (step 113), and if it is a person, a face shape and a pupil pattern are acquired (step 114) to extract a feature (step 115).

이 후 상기 추출된 특징부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단계 116)하여 이미 저장되어 있는 사람이면 아는 사람으로 판단(단계 117)하게 되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람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 주인의 명령을 받게(단계 118)되며, 이 명령에 의해 다르게 행동하게 된다.Thereafter, the extracted feature is compared with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step 116), and if it is already stored, it is determined as a known person (step 117),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erson is not stored in the database, the owner Will be ordered (step 118) and behave differently by this order.

즉, 주인이 경계해야 할 사람으로 명령되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 후, 그 사람의 뒤를 따라 다니는 등의 경계(단계 119)를 하게되고, 주인으로부터 특별한 명령이 없을 경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지 않고 경계(단계 120)하며, 주인으로부터 기억하라는 명령이 하달 될 경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단계 121)함으로써 로봇은 경계해야 할 사람과 경계하지 않아야 할 사람 그리고 처음 보는 사람에 대해서 각각의 행동패턴을 주제어부(13)에서 결정하여 수행한다.In other words, if the owner is ordered as a person to be alerted, it is stored in the database, followed by a border (step 119), etc. If there is no special command from the owner, the boundary is not stored in the database. In step 120), if a command is given to remember from the owner, it is stored in a database (step 121) so that the robot displays each behavior pattern for the person who should be alerted, the person who should not be alerted, and the first-time viewer. Determined by).

다음은 음성명령 인식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voice command recognition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홈 퍼스널 로봇(50)은 독립된 음성 인식 처리 부분 및 일상생활에 쓰이는 음성명령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으며, 주인이 음성으로 명령하면 알아듣고 그대로 수행한다. 예를 들면 "거실에 전등을 켜주세요."라고 명령하면 "거실","전등","켜" 등을 알아듣고 수행하며, "음식을 주문하고 싶다"고 명령하면 "음식","주문" 등을 알아듣고 "무엇을 주문하시겠습니까?"하고 물어보게 된다.First, the home personal robot 50 has an independent voice recognition processing part and a voice command database used in daily life, and when the owner commands by voice, it recognizes and performs as it is. For example, if you say "Please turn on the lights in the living room", you get "Living Room", "Light", "Turn on", etc., and you want to order food, "Food", "Order" You will hear the back and ask, "What would you like to order?"

이와 같은 음성 인식과정을 도 6a 내지 도 6c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speech recogni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C.

먼저 음성인식을 위해서 먼저 사람의 음성신호를 마이크로폰(24)을 통해 입력을 받게되며, 상기 마이크로폰(24)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도 6a의 전압검출부(30)에서 전압으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음성신호를 제 1 및 제 2 증폭부(31)(32)를 경유시켜 약 1000배로 증폭한 다음, 상기 증폭된 신호에 존재하는 사람의 음성 이외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10Hz의 고역통과필터(33)와 8kHz의 저역통과필터(34)를 경유함으로써 사람의 음성신호 만을 추출하는 아날로그 신호처리 과정을 거친다.First, for voice recognition, a human voice signal is first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4, and the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microphone 24 is converted into a voltage by the voltage detector 30 of FIG. 6A, and the converted voice signal is converted into a voltage. The audio signal is amplified by about 1000 times via the first and second amplification units 31 and 32, and then a high pass filter of 10 Hz to remove noise other than the human voice existing in the amplified signal. And the low pass filter 34 of 8 kHz through the analog signal processing to extract only the human voice signal.

상기와 같이 증폭 및 필터링(filtering)된 음성 신호는 도 6b에서와 같이 12비트의 분해능을 갖는 A/D 변환기(26)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며, 특징추출부(27)와 패턴인식부(28)를 통과하여 미리 마련된 데이터베이스(29)의 패턴과 비교된 후 명령어의 의미가 판단되며, 이러한 의미가 판단된 명령어는 캔 버스(CAN BUS)를 통해 주제어부(13)로 전송되어 로봇의 작용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The amplified and filtered voice signal as described above is converted into digital data through an A / D converter 26 having a resolution of 12 bits as shown in FIG. 6B, and the feature extractor 27 and the pattern recognition unit ( The meaning of the command is determined after comparing with the pattern of the database 29 prepared in advance through 28), and the command having the determined meaning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unit 13 through the CAN bus to operate the robot. Will affect.

즉, 상기 주제어부(13)는 도 6c에서와 같이 처리된 음성 데이터로부터 문장을 획득(단계 210) 후 의미 있는 단어를 추출(단계 202)하고, 추출된 단어들을 조합하여 명령을 확인(단계 203)하게 되며, 확인된 명령은 수행 가능여부를 판단(단계 204)하여 수행이 가능할 경우 수행(단계 206)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이유를 설명(단계 205)하고 대기상태로 들어간다. 그림 4.7은 명령인식 프로그램의 플로차트이다.That is, the main control unit 13 obtains a sentence from the processed speech data as shown in FIG. 6C (step 210), extracts a meaningful word (step 202), and confirms the command by combining the extracted words (step 203). If it is possible to execute the confirmed command (step 204), if it is possible to execute (step 206), otherwise, explain the reason (step 205) and enter the standby state. Figure 4.7 is a flowchart of the command recognition program.

다음은 인터넷 모드에 대해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Internet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and 7B.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인터넷 모드를 실시하기 위한 로봇과 주변시스템과의 연결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인터넷 모드를 실시하기 위한 동작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50)은 도 7a에서와 같이 홈 퍼스널 컴퓨터(20)를 통해 네트워크 상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터넷으로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일들을 음성만으로 수행할 수 있다.Figure 7a is a connection diagram between the robot and the peripheral system for implementing the Internet mode of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flow chart for implementing the Internet mode of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robot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network through the home personal computer 20 as shown in FIG. 7A, various things that can be done with the Internet can be performed using only voice.

즉, 주인이 책을 보거나 숙제를 할 때 찾아보고 싶은 부분이 있다면, 홈 퍼스널 로봇(50)의 인터넷 검색 기능을 이용하면 쉽게 찾을 수 있다. 홈 퍼스널 로봇(50)은 기존의 웹지기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도 7b의 검색처리루틴(L1)에서와 같이 검색하고자 하는 대상만 음성 명령을 내리게 되면 홈 퍼스널 컴퓨터(20)의 저장장소에 찾고자 하는 대상의 온라인정보를 찾아서 보관해 두게되며, 주인은 보관된 정보만 정리함으로써 원하는 일을 종료할 수 있게된다.That is, if there is a part that the owner wants to look for when reading a book or doing homework, it can be easily found by using the Internet search function of the home personal robot 50. The home personal robot 50 has a function of the existing web keeper, and when a target to be searched is given only to a target to be searched as shown in the search processing routine L1 of FIG. 7B, the home personal robot 50 is to be searched in a storage location of the home personal computer 20. Will find and keep online information, and the owner will be able to complete the desired work by organizing only the stored information.

그리고 홈 퍼스널 로봇(50)은 주인의 전자우편(E-mail)이 도착하면 도 7b의 전자우편처리루틴(L3)에서와 같이 서버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주인에게 알리고, 음성 및 문서로 주인에게 전달하는 한편, 주인이 전자우편을 음성이나 문서로 작성해서 홈 퍼스널 로봇(50)에게 넘겨주게 주면 로봇은 전자우편을 자동으로 전송한다.When the owner's E-mail arrives, the home personal robot 50 receives a signal from the server and informs the owner, as in the e-mail processing routine L3 of FIG. On the other hand, when the owner writes the e-mail in voice or document and gives it to the home personal robot 50, the robot automatically transmits the e-mail.

또한 홈 퍼스널 로봇(50)은 도 7b의 자동전화처리루틴(L2)에서와 같이 인터넷 전화 서비스 업체에 접속하여 기존의 전화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해주며, 온라인상에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때, 예를 들어 물건을 주문하거나 더 자세한 정보를 알고 싶을 때 인터넷 전화 기능을 사용하여 담당자에게 전화를 자동으로 걸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home personal robot 50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telephone service provider as shown in the automatic telephone processing routine (L2) of FIG. 7b, so that users can make a phone call without using an existing phone, and solve all problems online. When not available, for example, when you order something or want more information, you can use the Internet telephony feature to automatically call a representative.

그 외에도 인터넷으로 영화, 철도, 여행, 상품 등을 음성으로 예약하고 주문하는 인터넷 주문, 예약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로봇(50)에게 예약하고 싶은 항목을 말하면 로봇(50)은 서버로 접근하여 자동으로 예약과정을 수행하며, 홈쇼핑을 수행할 경우 로봇(50)의 디스플레이모듈(5)을 통하여 역동적으로 상품의 정보를 보여 줌으로써 주인이 직접 쇼핑센터에 가서 물건을 고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In addition, it has an internet order and reservation function that makes reservations and orders for movies, railroads, travel, goods, etc. via voice. That is, when the robot 50 tells the item that it wants to reserve, the robot 50 approaches the server and performs the reservation process automatically. When performing the home shopping, the product is dynamically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odule 5 of the robot 50. By displaying the information of the owner, the owner can go directly to the shopping center and choose the effect.

다음은 홈 오토메이션 모드에 대해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home automation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A and 8B.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홈 오토메이션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연결도이며,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홈 오토메이션 모드를 실행하기 위한 동작흐름도로서, 인터넷 정보가전기기 및 무선통신 모듈이 장착된 가전기기들과 연계하여 로봇을 통해 음성으로 조작할 수 있다.8A is a system connection diagram for executing the home automation mode of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B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executing the home automation mode of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can be manipulated by voice through a robot in conjunction with home appliances equipped with electric appliance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즉, 집안에 있는 텔레비젼, 전등,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 세탁기, 에어컨 등을 주인의 음성명령에 따라 켜고 끈다. 예를 들면 주인이 로봇(50)에게 음성으로 텔레비젼을 켜달라고 하면 로봇이 텔레비젼을 켜고, 몇 시간 후에 꺼달라고 하면 시간에 맞춰서 텔레비젼을 꺼준다.That is, the TV, light, video tape recorder (VTR), washing machine and air conditioner in the house are turned on and off according to the owner's voice command. For example, if the owner asks the robot 50 to turn on the television by voice, the robot turns on the television, and if it asks to turn it off a few hours later, the robot turns off the television in time.

그리고, 자동차 진단 기능이 있어서 여행을 하거나 운행하기 전에 자동차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어서 운행 중 자동차의 고장을 미리 예측할 수 있고, 사고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음성으로 자동차의 시동도 걸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diagnosis function can monitor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before traveling or driving, thereby predicting the failure of the vehicle in advance, preventing accidents in advance, and starting the vehicle by voice.

다음은 방범 모드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security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가스 누출센서 및 화재 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있어 가스누출 및 화재 발생시에 관리사무실 및 소방서에 알리고, 주인에게도 휴대폰으로 알리며, 도어 카메라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주인이 없을 때 모르는 사람이나 경계해야 할 사람이 찾아오면 문을 열어주지 않고 찾아온 사람의 얼굴을 저장해 둔다.It is connected to gas leak sensor and fire detection sensor to notify management office and fire department in case of gas leakage and fire, and to owner to mobile phone, and it is connected to door camera. When you come, don't open the door and save the person's face.

또한, 집안에 아무도 없는데 이상한 소리가 나면 그 소리를 추적하여 저장해 두었다가 주인에게 보고하고 도둑이라고 판단되면 경찰서나 경비업체로 연락하며, 주인의 휴대폰으로 알리고, 휴가철에는 시간에 따라 여러 패턴으로 전등을 켰다 껐다 하면서 집에 사람이 있는 것 처럼 보이게 하여 혼자서 집도 지킨다.In addition, if there is nobody in the house, if there is a strange sound, it is tracked and stored and reported to the owner. If it is judged to be a thief, the police department or security company is notified. Turn it off and make it look as if there are people in the house and protect the house by yourself.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방범모드 실시를 위한 동작흐름도로서, 집을 비울 때 주인의 명령에 의하여 로봇은 방범모드로 전환되고, 방범모드로 전환되면 경보기능과 방범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방범기능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위험물 센서로부터 위험신호가 들어오면 로봇은 이상발생을 감지하고 경비실이나 소방서로 연락하고 주인의 휴대폰으로도 보고하며, 사람이 찾아 왔을 때 도어카메라를 통하여 사람을 인증하고 출입을 통제한다.9 is an operation flow chart for implementing a security mode of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 is switched to the crime prevention mode by the owner's command when the house is empty, and when the security mode is switched to perform an alarm function and a crime prevention function Done. Therefore, when the danger signal comes from the dangerous goods sensor in the state of setting the security function, the robot detects an abnormality, contacts the guard room or the fire department, reports it to the owner's mobile phone, and authenticates the person through the door camera when the person comes in. To control.

다음은 환경 인식 기능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environment recognition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환경인식기능을 나타내는 시스템 블록도로서, 로봇(50)은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가지고 있어 더우면 에어컨을 가동시키고 추우면 난방시설을 가동시키며, 또한 장마철에는 습도가 높아지면 습도 제거를 위해 난방시설 및 습기 제거기를 가동시킨다.10 is a system block diagram showing an environmental awareness function of a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 50 has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to operate an air conditioner if it is hot and to operate a heating facility when it is cold, In addition, during the rainy season, when the humidity increases, the heating system and the dehumidifier are operated to remove the humidity.

그리고 학습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집안의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며 집안 구조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주인이 부엌으로 오라고 하면 주저 없이 부엌으로 찾아가며, 거실로 오라고 하면 거실로 찾아간다. 또한 자기가 조작할 수 있는 집안의 가전기기을 자동으로 검색하고 그것 들의 배치 및 활용도를 저장장소에 기억시켜 두었다가 주인의 명령이 내려지면 작동시키게 된다.And because he has the ability to learn, he goes around every corner of the house and saves the structure of the house, so if the owner asks to come to the kitchen, he does not hesitate to go to the kitchen. In addition, it automatically searches for home appliances that can be operated by the home, stores them in a storage location, and uses them when the owner's orders are given.

다음은 자가진단 모드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self-diagnosis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로봇(50)은 자가 진단 기능을 수행하여 로봇에 이상이 있거나 통신상에 이상이 있으면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검사하고 보고하고, 로봇을 수리할 때 로봇 관리 서버에서도 로봇의 자가 진단 모드로의 진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한 부분에 대한 점검 및 교체가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다.The robot 50 performs a self-diagnosis function, and if the robot has an error or a communication error, the robot 50 checks and reports at the request of the user, and when the robot is repaired, the robot management server enters the robot's self-diagnosis mode. If possible, the necessary parts can be checked and replaced smoothly.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자가진단 모드 실시를 위한 동작흐름도로서, 음성 명령이나 로봇 관리 서버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자가 진단을 수행하면 먼저 통신테스트를 수행하여 빠른 진단을 수행하고 상태를 보고하고 상세 진단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게되며, 상세 진단을 수행하면 로봇의 모든 기능들을 테스트하여 로봇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보고한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elf-diagnosis mode of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self-diagnosis is performed by a voice command or a request from the robot management server, a communication test is performed first to perform a quick diagnosis. It reports the status and asks the user for detailed diagnosis. If the detailed diagnosis is performed, all functions of the robot are tested to determine whether the robot is abnormal and report to the user.

다음은 학습 모드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learning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학습 모드 실시를 위한 동작흐름도로서, 로봇(50)은 대기 모드에서 아무 일도 하지 않을 때는 자동 선택 알고리즘에 의해서 주변 정보를 스스로 학습한다. 집안을 돌아다니면서 화상정보 및 거리정보를 획득 일정한 알고리즘을 통하여 스스로 집안의 지도를 제작하고 필요시 사용을 위하여 저장해 둔다.12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implementing a learning mode of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obot 50 does nothing in the standby mode, the robot 50 automatically learns the surrounding information by an automatic selection algorithm. Acquisition of image information and distance information as you walk around the house Creates a map of the house by yourself through a certain algorithm and stores it for use when necessary.

그리고, 가전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제어 가능한 가전기기들의 목록을 생성하고 위치를 확인 저장하며, 음성 명령에 의해서도 학습 기능을 행할 수 있고, 특히 사람 정보를 저장할 때 학습 모드로 전환하여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it communicates with the home appliance to generate a list of controllable home appliances, confirms and stores a location, and can also perform a learning function by a voice command, and in particular, switches to a learning mode to store a person's information. .

다음은 건강관리 기능에 대해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health management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건강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로봇과 외부시스템과의 연결도로서, 로봇(50)이 가지고 있는 의료감지센서(3)를 통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의료 정보서비스 업체와 연계하여 건강상태를 수시로 체크할 수 있으며 만일에 병에 걸렸을 경우 원격 진료를 통해 처방전을 받고 약국에 약을 주문할 수 있으며, 중증의 병일 경우에는 병원과 연결시켜 준다.FIG. 13 is a connection diagram of a robot and an external system for performing a health care function of a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onitoring a state of a user through a medical sensor 3 of the robot 50. You can check your health status from time to time by linking with a medical information service company. If you are sick, you can receive prescriptions through telemedicine and order medicines at pharmacies.

다음은 엔터테인먼트 기능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entertainment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컴퓨터 로봇의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외부시스템과의 연결도로서 로봇(50)은 음성으로 아이들에게 동화를 읽어주기도 하고 영화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모듈(5)을 통하여 보여주기도 할 수 있다.14 is a connection diagram with an external system for performing an entertainment function of a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computer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 50 may read a fairy tale to a child by voice and display a movie or video display module 5. Can also be shown through.

다음은 로봇 관리서버(23)에 의해 온 라인상에서 로봇(50)을 관리하는 과정을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 process of managing the robot 50 on-line by the robot management server 2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A and 15B.

로봇 관리서버(23)는 로봇(50)과 온 라인상으로 연결되어 로봇(50)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및 서비스 기능의 보조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음성인식이나 화상인식 등에 필요한 데이터를 온 라인을 통해 로봇에게 전달하며, 온 라인에 연결된 여러 서비스 업체들 중에 사용자에게 편리한 업체를 선정하여 로봇(50)에게 전달하면 로봇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온 라인상에서 검색하지 않더라도 선정된 업체에 바로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The robot management server 23 is connected to the robot 50 on-line and plays a secondary role of software upgrade and service function of the robot 50. Data required for voice recognition or image recognition is delivered to the robot through on-line, and a company convenient to the user is selected from several service companies connected to the on-line and transmitted to the robot 50, and the robot is on-line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Even if you do not search on the top of the selected company will be able to access the service.

도 15a는 로봇 관리서버를 통하여 로봇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 의 연결 개념도이며, 도 15b는 로봇 관리서버를 통하여 로봇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흐름도로서, 로봇 관리서버(23)에서는 로봇(50)이 최고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항상 프로그램이 개발되자마자 업그레이드를 시켜주며, 로봇 관리서버(23)에서는 인터넷 검색을 담당하는 서버를 통하여 로봇(50)의 요청이 들어오면 자료를 검색하여 로봇의 저장 장소에 저장시켜 주고, 메일서버와 연결하여 사용자의 메일이 도착하면 로봇에 신호를 보내고 메일의 내용을 로봇에게 전송하고 사용자가 로봇을 통하여 메일을 보내면 그 메일을 목적지 서버로 전송한다.15A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nection to a server for providing a service to a robot through the robot management server, and FIG. 15B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providing a service to the robot through the robot management server. In the robot management server 23, a robot ( 50) always upgrades as soon as the program is developed so that the best performance can be achieved, and the robot management server 23 retrieves the data when the request of the robot 50 is received through the server in charge of Internet search and stores the robot. Store it in a place, connect with a mail server, send a signal to the robot when the user's mail arrives, send the contents of the mail to the robot, and send the mail to the destination server when the user sends the mail through the robot.

그리고, 홈쇼핑업체, 음식점, 여행사, 철도청, 항공사, 극장 등과 제휴 및 연계하여 로봇을 통하여 사용자가 쉽게 주문 및 예약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며, 온라인 의료서비스를 행하는 업체나 병원/약국과 연계하여 사용자의 건강관리 서비스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은행, 전화국 등과 연계하여 공과금 납부 일정 및 금액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뉴스나 생활정보 등 간단한 정보 및 책이나 영화에 대한 내용들을 DB에 저장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언제나 로봇을 통하여 열람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련 서버로 바로 연결할 수 있는 서비스도 제공한다.In cooperation with home shopping companies, restaurants, travel agencies, railway agencies, airlines, theaters, and so on, users can easily order and make reservations through robots and connect with companies or hospitals / pharmacies that perform online medical services. In addition to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s, banks and telephone companies can search for billing schedules and amounts, and inform users of the payment schedule and amount. It provides a service for viewing through a robot, and provides a service tha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a related server.

또한, 로봇 자가 진단 기능을 수행 할 수 있어서 로봇(50)의 상태를 항상 감시하고 고장이나 이상이 있을 때는 바로 애프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며, 로봇 관리서버(23)는 자체에 서비스 정보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확립하여 항상 최신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obot can perform a self-diagnostic function to always monitor the status of the robot 50 and to immediately perform the after-sales service when there is a failure or abnormality, the robot management server 23 itself to the service information By establishing a database, the best information is always provided to users with the latest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은 전술한 기능외에도, 주인이 음성 또는 홈 퍼스널 컴퓨터(20), 전자달력을 통하여 스케줄을 기억시켜 두면 그 시간에 맞춰서 로봇이 알려주며, 기념일이나 중요한 날도 기억만 시켜두면 잊어버리지 않고 주인에게 상기시켜 주는 스케줄링 모드와, 설정된 시각이 서로 달라도 지정된 시간이 되면 로봇이 일일이 찾아서 아침 출근 시간이나 등교시간에 늦지 않도록 자명종처럼 잠을 깨워주는 알람 기능을 갖고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owner remembers the schedule through voice or home personal computer 20, electronic calendar, the robot informs you according to the time, and only memorizing anniversaries or important days It has a scheduling mode that reminds the owner without forgetting it, and an alarm function that wakes up like an alarm clock so that the robot can find it one by one at a specified time even if the set time is different, so as not to be late for morning work or school time.

또한, 공과금 납부일을 많은 사람들이 잊어버리고 연체료를 부담하는 경우가 많은데 공과금 납부일을 알려줘서 늦게 납부하지 않도록 해주는 공과금 납부 일정 알림기능과, 로봇(50)은 화상 및 음성 저장 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주인이 외출할 때 전달하고자 하는 사람과 메시지를 저장해 두면 로봇이 전달하고자 하는 사람을 만났을 때 메시지를 화상 정보와 함께 전달하는 한편, 집이 비었을 때 전화가 오면 공손히 전화를 받고 메시지를 기억해 놓았다가 주인이 들어오면 알려주는 메시지 전달기능과, 인터넷을 통해 수집된 날씨나 뉴스 등을 알려주며 식사메뉴도 선정해 주고, 사용자가 원한다면 금융정보 및 시세정보 제공 및 운세도 바로 알아볼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조언해 주는 파트너의 역할을 수행하는 조언기능을 갖고 있다.In addition, many people forget the bill payment date and pay the late fee, but the bill payment schedule reminder to remind you of the bill payment date so as not to pay late, and the robot 50 has video and audio storage capability, so the owner goes out. When you store a message with the person you want to forward, the robot sends the message along with the video information when the robot meets the person you want to forward, while you receive a polite call when the phone is empty and you remember the message It provides a message delivery function that notifies you when it comes, and informs you of the weather or news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and selects a meal menu, and provides financial and quote information and fortune telling if you want, so that you can advise the information you want. Has the advice function of acting as a partner.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은 컴퓨터에 로봇의 개념을 추가하여기존의 컴퓨터가 가지고 있던 입출력상의 제약이나 공간상의 제약으로부터 해방시켜 누구나가 쉽게 컴퓨터를 접할 수 있게 해주게 되며, 홈 오토메이션과 인터넷 기술들을 접목하여 인간에게 보다 편리하고 편안한 생활을 보장해 주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ds the concept of a robot to the computer, thereby releasing the input / output constraints and the space constraints of the existing computer so that anyone can easily access the computer. And internet technologies are combined to ensure a more convenient and comfortable life for humans.

또한 사용자 인식기능, 전자우편 전달기능, 음성명령 인식기능들을 채용하고 있음은 물론, 홈 오토메이션과 인터넷 서비스를 보다 강화하여 독특한 인터넷 검색기능, 인터넷 전화기능, 인터넷 예약/주문 기능들을 가지고 있으며, 스케줄 관리 기능을 가지고 있어 가족의 비서역할을 충분히 해낼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o adopting user recognition function, email delivery function, voice command recognition function, it also has unique internet search function, internet phone function, internet reservation / order function by strengthening home automation and internet service, and schedule management. It has the function to be able to fulfill the role of family secretary.

그리고 건강관리 기능을 가지고 있어 가족들의 주치의 역할을 족히 수행해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능동적인 방범기능에 의해 휴가 및 외출을 안심하고 떠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온 라인상에 로봇관리 서버를 설치하여 항상 로봇이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리하여 사용자의 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has a health management function, and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able to fulfill the role of the family doctor.The active security function not only makes it possible to leave the vacation and going out in peace, but also installs a robot management server online. By managing the robot to provide the best service, the user's satisfaction can be maximized.

Claims (7)

홈 퍼스널 로봇(50)의 얼굴부분에 설치된 영상감지센서(1)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정보를 화상처리기법을 사용하여 판단에 필요한 간단한 정보로 변형시켜 출력하는 영상처리부(11)와,An image processing unit 11 for converting image information input from the image sensing sensor 1 installed on the face portion of the home personal robot 50 into simple information necessary for determination using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and outputting it; 상기 홈 퍼스널 로봇(50)의 귀부분에 설치된 음성감지센서(2)로부터 들어온 소리를 음성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특징을 추출 및 비교하여 음성으로 내려진 명령을 인식하고, 명령에 대한 답을 스피커(4)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처리부(12)와,The sound received from the voice sensor 2 installed at the ear of the home personal robot 50 is extracted and compared using a voice recognition algorithm to recognize a command given by the voice, and the speaker answers the answer to the command. And a voice processing unit 12 output through 초음파로서 전방의 장애물을 검출하여 장애물 신호를 출력하는 장애물 검출모듈(6)과,An obstacle detection module 6 which detects an obstacle in front of the ultrasonic wave and outputs an obstacle signal; 상기 장애물 검출모듈(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인식하여 로봇(50)의 이동방향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영상감지센서(1)로부터 들어온 화상정보를 인식하여 확립되어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화자의 정체를 인식하고, 음성감지센서(2)로부터 들어온 소리를 음성을 인식하여 화자(話者)를 인식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주제어부(13)와,Recogniz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obstacle detection module 6,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of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robot 50, and recognizes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image detection sensor 1 based on the information established A main control unit 13 for recognizing the congestion, recognizing the sound from the voice sensor 2, recognizing the speaker,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상기 주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의해 로봇(50)의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어레이(8)를 구동하기 위한 모션처리부(14)와,A motion processor 14 for driving the motor array 8 for moving the robot 50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ler 13; 상기 주제어부(13)의 제어신호에 의해 모든 상황 및 화상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5)과,A display module 5 for displaying all situations and image information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ler 13; 상기 주제어부(13)와 송수신하며 음성 및 화상정보,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5)와,A storage unit 15 which transmits / receives data to / from the main control unit 13 and stores voice and image information and various data; 상기 홈 퍼스널 로봇(50)의 각종 제어를 위해 조작하는 조작부(7)와,An operation unit 7 operating for various control of the home personal robot 50, 상기 주제어부(13)의 제어신호를 홈 퍼스널 컴퓨터(20) 및 의료감지센서(3)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 unit (13) consisting of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home personal computer (20) and the medical sensor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처리부(12), 디스플레이모듈(5), 장애물 검출모듈(6), 모션처리부(14)는 주제어부(13)와 캔(CAN)방식에 의해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oice processing unit 12, the display module 5, the obstacle detection module 6, the motion processing unit 14 is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control unit 13 by the CAN (CAN) method Featured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robot.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의 제어방법에 있어서,In the control method of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robot, 전원 공급시 시스템을 초기화하고 소리의 진원지를 밝히기 위해 그 곳을 향한 후 소리의 원인을 인식하는 과정과,The process of initializing the system and turning it on to identify the source of the sound when power is supplied, and recognizing the cause of the sound, 상기 과정에서 인식된 음성 이외의 불필요한 노이즈 등의 잡음을 제거하고 특징만 추출된 영상을 획득하고, 그 특징들을 계산하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와 비교하는 과정과,Removing noise such as unnecessary noise other than the recognized voice in the above process, obtaining an image extracted only from features, calculating the features, and comparing the stored data with the stored data; 상기 과정에서 물체가 사람일 경우 얼굴모양 및 동공패턴을 획득하여 특징을 추출하는 과정과,Extracting features by acquiring a face shape and a pupil pattern when the object is a human in the above process; 상기 과정에서 추출된 특징부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저장되어 있는 경우 아는 사람으로 판단하고,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주인의 명령에 의해 경계 및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의 제어방법.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feature is extracted in the process compared to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is stored as a known person, and if not stored by the owner's command bound and stored Control method.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의 제어방법에 있어서,In the control method of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robot, 홈 퍼스널 컴퓨터와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이 무선으로 연결되어 음성을 통해 인터넷 검색기능, 전자우편 송수신기능, 인터넷 자동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의 제어방법.A method of controlling a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home personal computer and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robot are wirelessly connected to perform an internet search function, an e-mail transmission function, and an internet auto dialing function through voice.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의 제어방법에 있어서,In the control method of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robot, 무선통신 모듈이 장착된 가전기기와 로봇이 무선으로 통신하여 음성을 통해 로봇으로 가전기기를 제어하여 홈 오토메이션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의 제어방법.A control method of a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home appliance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robot communicate wirelessly to control the home appliance by a robot through voice.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의 제어방법에 있어서,In the control method of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robot, 인체의 혈압, 체온, 맥박수 등을 감지하는 의료감지센서와 로봇이 무선으로 통신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인터넷 연계 기능에 의해 원격진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의 제어방법.The control method of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robot that enables the medical sensor and robot to detect the blood pressure, body temperature, and pulse rate of the human body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user to monitor the user's health status and perform remote medical care through the Internet connection function. .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의 제어방법에 있어서,In the control method of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robot, 인터넷 상에서 연결되는 로봇 관리서버에 의해 로봇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져 온 라인을 통해 로봇을 관리하도록 한 것을 다기능 홈 퍼스널 로봇의 제어방법.The control method of the multi-functional home personal robot that the software management of the robot is made by the robot management server connected on the Internet to manage the robot through online.
KR1020000060689A 2000-10-16 2000-10-16 A home personal robot with multi-faculity KR2001001604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689A KR20010016048A (en) 2000-10-16 2000-10-16 A home personal robot with multi-facu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689A KR20010016048A (en) 2000-10-16 2000-10-16 A home personal robot with multi-facu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6048A true KR20010016048A (en) 2001-03-05

Family

ID=19693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689A KR20010016048A (en) 2000-10-16 2000-10-16 A home personal robot with multi-facu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6048A (en)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723A (en) * 2001-08-25 2001-09-28 장희남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BOT
KR20020037618A (en) * 2000-11-15 2002-05-22 윤종용 Digital companion robot and system thereof
KR20020088880A (en) * 2001-05-22 2002-11-29 안현기 Multi Functional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030013769A (en) * 2001-08-09 2003-02-15 주식회사 네이트시스템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a robot take care of one's pet
KR20030026025A (en) * 2001-09-24 2003-03-31 제너시스정보통신(주)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on of robot toy with voiced recognition function
KR20040011010A (en) * 2002-07-26 2004-02-05 모스트아이텍 주식회사 Home secreting/home networking system by using robo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451825B1 (en) * 2001-11-27 2004-10-08 엠텍비젼 주식회사 Teaching toy enabling to explain input image
KR100469957B1 (en) * 2001-03-15 2005-02-02 (주)로보옵틱스 A system for messenger and security using internet and the method
KR100469960B1 (en) * 2002-02-18 2005-02-02 (주)로보옵틱스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movement of mobile robot
KR100474340B1 (en) * 2002-08-02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Voice controlled vacuum cleaner and method thereof
KR100542340B1 (en) * 2002-11-18 2006-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system
KR100699108B1 (en) * 2002-07-26 2007-03-21 모스트아이텍 주식회사 Home robot having various functions
KR100706974B1 (en) * 2005-01-24 2007-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obile robot apparatus and its morning call service method
KR100738890B1 (en) * 2005-07-22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Home networking system for using a moving robot
KR100776690B1 (en) * 2004-01-09 2007-11-16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ace image acquisition method and face image acquisition system
KR100864607B1 (en) * 2007-05-31 2008-10-22 한국과학기술원 Device and method for inertia measurement using the slope sensor and the angular speed sensor for a humanoid biped walking robot
KR100935879B1 (en) * 2009-05-07 2010-01-07 포텍마이크로시스템(주) Health care and danger diagnosis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using friendly life intellectual robot
KR101016381B1 (en) * 2009-01-19 2011-02-21 한국과학기술원 The emotion expression robot which can interact with human
KR101053703B1 (en) * 2005-07-25 2011-08-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urpose safety management service
CN103176473A (en) * 2013-02-22 2013-06-26 福建师范大学 Wheeled mobile robot motor driving circuit based on multiple sensors
KR101309563B1 (en) * 2006-10-31 2013-09-1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erceiving a fire using robot
KR20180022385A (en) * 2016-08-24 2018-03-0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Robot apparatus for life record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5282A (en) * 1985-11-26 1987-06-05 이경훈 Voice recognition robot control
KR19990076066A (en) * 1998-03-27 1999-10-15 손욱 Wireless input / output device for voice recognition computer
JPH11283152A (en) * 1998-03-27 1999-10-15 Sharp Corp Remote control system
KR20000026846A (en) * 1998-10-23 2000-05-15 윤종용 Product upgrade supporting system utilizing internet and method therefor
JP2000222576A (en) * 1999-01-29 2000-08-11 Nec Corp Person identification method, device therefor, recording medium recording person identification program, and robot system
KR200217788Y1 (en) * 2000-04-11 2001-03-15 김성헌 Toy system which have medical function by remote control
KR20010106845A (en) * 2000-05-23 2001-12-07 이정철 home use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5282A (en) * 1985-11-26 1987-06-05 이경훈 Voice recognition robot control
KR19990076066A (en) * 1998-03-27 1999-10-15 손욱 Wireless input / output device for voice recognition computer
JPH11283152A (en) * 1998-03-27 1999-10-15 Sharp Corp Remote control system
KR20000026846A (en) * 1998-10-23 2000-05-15 윤종용 Product upgrade supporting system utilizing internet and method therefor
JP2000222576A (en) * 1999-01-29 2000-08-11 Nec Corp Person identification method, device therefor, recording medium recording person identification program, and robot system
KR200217788Y1 (en) * 2000-04-11 2001-03-15 김성헌 Toy system which have medical function by remote control
KR20010106845A (en) * 2000-05-23 2001-12-07 이정철 home use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618A (en) * 2000-11-15 2002-05-22 윤종용 Digital companion robot and system thereof
KR100469957B1 (en) * 2001-03-15 2005-02-02 (주)로보옵틱스 A system for messenger and security using internet and the method
KR20020088880A (en) * 2001-05-22 2002-11-29 안현기 Multi Functional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030013769A (en) * 2001-08-09 2003-02-15 주식회사 네이트시스템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a robot take care of one's pet
KR20010088723A (en) * 2001-08-25 2001-09-28 장희남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BOT
KR20030026025A (en) * 2001-09-24 2003-03-31 제너시스정보통신(주)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on of robot toy with voiced recognition function
KR100451825B1 (en) * 2001-11-27 2004-10-08 엠텍비젼 주식회사 Teaching toy enabling to explain input image
KR100469960B1 (en) * 2002-02-18 2005-02-02 (주)로보옵틱스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movement of mobile robot
KR100699108B1 (en) * 2002-07-26 2007-03-21 모스트아이텍 주식회사 Home robot having various functions
KR20040011010A (en) * 2002-07-26 2004-02-05 모스트아이텍 주식회사 Home secreting/home networking system by using robo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474340B1 (en) * 2002-08-02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Voice controlled vacuum cleaner and method thereof
KR100542340B1 (en) * 2002-11-18 2006-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system
KR100776690B1 (en) * 2004-01-09 2007-11-16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ace image acquisition method and face image acquisition system
KR100706974B1 (en) * 2005-01-24 2007-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obile robot apparatus and its morning call service method
KR100738890B1 (en) * 2005-07-22 200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Home networking system for using a moving robot
KR101053703B1 (en) * 2005-07-25 2011-08-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urpose safety management service
KR101309563B1 (en) * 2006-10-31 2013-09-1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erceiving a fire using robot
KR100864607B1 (en) * 2007-05-31 2008-10-22 한국과학기술원 Device and method for inertia measurement using the slope sensor and the angular speed sensor for a humanoid biped walking robot
KR101016381B1 (en) * 2009-01-19 2011-02-21 한국과학기술원 The emotion expression robot which can interact with human
KR100935879B1 (en) * 2009-05-07 2010-01-07 포텍마이크로시스템(주) Health care and danger diagnosis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using friendly life intellectual robot
CN103176473A (en) * 2013-02-22 2013-06-26 福建师范大学 Wheeled mobile robot motor driving circuit based on multiple sensors
KR20180022385A (en) * 2016-08-24 2018-03-0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Robot apparatus for life record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6048A (en) A home personal robot with multi-faculity
Cook et al. Ambient intelligence: Technologies, applications, and opportunities
Perry et al. Multimodal and ubiquitous computing systems: Supporting independent-living older users
Augusto et al. Ambient intelligence: Concepts and applications
US20130150686A1 (en) Human Care Sentry System
EP1743307B1 (en) Situation monitoring device and situation monitoring system
US20050096790A1 (en) Robot apparatus for executing a monitoring operation
EP1967923A2 (en) Utility control device anticipating users' needs
US20050101250A1 (en) Mobile care-giving and intelligent assistance device
CN101427553A (en) System and method for requesting remote care using mobile devices
US20210373919A1 (en) Dynamic user interface
EP18078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including supplemental information in reminder messages
Leake et al. Cases, context, and comfort: Opportunities for case-based reasoning in smart homes
Augusto et al. A smart environments architecture (search)
Mao et al. Review of cross-device interaction for facilitating digital transformation in smart home context: A user-centric perspective
US20240073656A1 (en) Property communication and access control
JP2017016610A (en) Integrated watching and security liaison device for dwellers and the like and equipment and the like of collective residential facilities
JP2003502734A (en) Famil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ojciechowski et al. A user interface level context model for ambient assisted living
Haigh et al. Agents for recognizing and responding to the behaviour of an elder
Shen et al. A service-oriented system integration framework for community-based independent living spaces
CN100559410C (en) Situation monitoring device and situation monitoring system
López-de-Ipiña et al. Infrastructural support for ambient assisted living
Bagüés et al. Using ontologies in the development of an innovating system for elderly people tele-assistance
US20220385767A1 (en) Targeted visitor notif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