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1825B1 - Teaching toy enabling to explain input image - Google Patents

Teaching toy enabling to explain input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825B1
KR100451825B1 KR10-2001-0074330A KR20010074330A KR100451825B1 KR 100451825 B1 KR100451825 B1 KR 100451825B1 KR 20010074330 A KR20010074330 A KR 20010074330A KR 100451825 B1 KR100451825 B1 KR 100451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emory
voice
data
n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3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43253A (en
Inventor
강문상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4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825B1/en
Publication of KR20030043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2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825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oys (AREA)

Abstract

입력 영상을 설명하는 교육용 완구가 게시된다. 본 발명의 교육용 완구는 거울; 거울에 투영되는 영상을 포획하기 위한 영상 포획수단; 다수의 영상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음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발성수단; 및 영상 포획수단에 의해 포획된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 수단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독출하여 발성수단으로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전술한 교육정보 입력 영상을 설명하는 교육용 완구는 거울에 투영되는 피사체(즉, 사람, 동물, 사물 등)에 대한 의미 및/또는 단어 설명이 인형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므로, 어린이의 언어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어린이의 학습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Educational toys describing the input video are posted. Educational toy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rror; Image capturing means for capturing an image projected on the mirror; A memory for storing a plurality of video data and a plurality of audio 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video data; Speech means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oice data; And control means for retriev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means in the memory means, and reading out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retrieved image data from the memory means and providing it to the utterance means. Educational toys for explaining the above-described educational information input image is a meaning and / or a word description for the subject (that is, people, animals, objects, etc.) projected on the mirror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of the doll, so that the children's language learning It can be interesting and can maximize children's learning efficiency.

Description

입력 영상을 설명하는 교육용 완구{TEACHING TOY ENABLING TO EXPLAIN INPUT IMAGE}Educational toy explaining input video {TEACHING TOY ENABLING TO EXPLAIN INPUT IMAGE}

본 발명은 어린이를 위한 교육용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되는 영상의 의미(또는 용도) 및 호칭을 설명하는 교육용 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ducational toys for children, and more particularly, to educational toys for explaining the meaning (or use) and title of the input image.

일반적으로, 어린이, 특히 언어를 배우기 시작하는 유아기의 어린이용 완구에는 단순한 기구적인 완구에서부터, 어린이에게 사람, 동물 또는 사물에 대한 인지능력 및 언어를 교육시키기 위한 교육용 완구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와 수량이 매우 다양하다. 여기서, 상기 교육용 완구로는 사람, 동물 또는 사물의 특징이 묘사되어 있는 그림(낱말)카드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교육용 완구를 이용하여 어린이를 교육시키는 경우, 통상적으로 부모(또는 선생님)가 어린이를 앉혀 두고, 그림(낱말)카드를 들어 어린이에게 보여 준 다음, 카드내 그림(영상)의 호칭을 발음하고, 그 의미(또는 용도)를 설명한다.In general, children, especially children's toys that are beginning to learn language, vary in type and quantity, from simple mechanical toys to educational toys to educate children about cognition and language about people, animals or things. Very diverse Here, as the educational toy, a picture (word) card depic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person, an animal or an object is mainly used. In the case of educating a child using such educational toys, a parent (or teacher) usually sits the child, shows a picture card to the child, pronounces the title of the picture (video) in the card, , The meaning (or use) will be described.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교육용 완구를 이용하여 어린이를 교육시키는 경우, 어린이는 부모(또는 선생님)가 임의로 선택한 그림(낱말)카드에 묘사된 그림에 대해서만 수동적으로 학습하게 되므로, 학습효율이 저하되며, 특히, 어린이가 학습에 대한 의욕을 상실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However, when the child is educated using the educational toy as described above, the child passively learns only about the picture depicted on the picture (word) card arbitrarily selected by the parent (or teacher), thereby reducing the learning efficiency. In particular, children are very likely to lose their motivation for learning.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영상의 의미 및 호칭을 설명하는 교육용 완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ducational toy for explaining the meaning and title of the input image in order to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영상을 설명하는 교육용 완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educational toy for explaining the input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에 도시한 교육용 완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ducational toy shown in FIG.

도3은 도2에 도시한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와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showing data and a format stored in the memory shown in FIG.

도4는 도1에 도시한 교육용 완구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educational toy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몸체 20: 거울10: body 20: mirror

30: 카메라 40: 인터페이스30: camera 40: interface

50: 스피커 60: 마이크50: speaker 60: microphone

70: 음성 코덱 80: 메모리70: voice codec 80: memory

90: 제어기90: controller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입력 영상을 설명하는 교육용 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교육용 완구는 영상을 포획하기 위한 영상 포획수단; 다수의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상기 음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발성수단; 및 상기 영상 포획수단에 의해 포획된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발성수단으로 제공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relates to an educational toy for explaining the input image. Educational toy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mage capture means for capturing an image; Memory means for storing a plurality of video data and a plurality of audio 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video data; Speech means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oice data; And control means for retriev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means from the memory means, and reading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retrieved image data from the memory means and providing the same to the voiced means. .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잇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을 설명하는 교육용 완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2는 도1에 도시한 교육용 완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완구는 몸체(10), 거울(20), 카메라(30), 인터페이스(40), 스피커(50), 마이크(60), 음성 코덱(CODEC: Coder-Decoder)(70), 메모리(80) 및 제어기(90)를 구비한다.1 is a view showing the educational toy for explaining the input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ducational toy shown in Figure 1.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Educational toy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10, a mirror 20, a camera 30, an interface 40, a speaker 50, a microphone 60, a voice codec (Coder-Decoder) 70, It has a memory 80 and a controller 90.

상기 몸체(10)는 사람, 동물 등의 형상을 가지는 인형으로서, 도시예에서는, 곰돌이 인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body 10 is a doll having a shape of a person, an animal, or the like,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ear doll in the city example.

상기 거울(20)은 몸체(10)의 외면에 부착되는 반사체로서, 피사체의 영상을 투영한다.The mirror 20 is a reflector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10 and projects an image of a subject.

상기 카메라(30)는 디지탈스틸카메라로서, 렌즈(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거울(20)에 투영되는 영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영상을 포획할 수 있도록 몸체(10) 상에 설치되고, 영상감지센서(32)를 내장하여, 상기 렌즈에 포획되는 영상의 데이터(이하, "신규 영상 데이터"라 함)를 인터페이스(40)로 제공한다.The camera 30 is a digital still camera, which is installed on the body 10 so as to capture an imag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mage projected onto the mirror 20 through a lens (not shown). 32), the data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le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new image data") is provided to the interface 40.

상기 인터페이스(40)는 카메라(30)로부터 제공되는 신규 영상 데이터를 제어기(90)로 전달한다.The interface 40 transmits new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camera 30 to the controller 90.

상기 스피커(50)는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발성수단으로서, 상기 음성 코덱(70)에 의해 변환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피커(50)가 몸체(10), 즉 인형의 입 부분에 설치되어, 어린이가 스피커(5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인형이 말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도록한다.The speaker 50 is a utterance means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which can be confirmed audibly by the user, and receives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converted by the voice codec 70. In this embodiment, the speaker 50 is installed in the body 10, that is, the mouth of the doll, so that the child can feel the voice output from the speaker 50 as if the doll speaks.

상기 마이크(60)는 외부(예를 들어, 부모, 선생님 등)로부터 입력되는 신규 음성신호를 수집하는 음성 수집수단으로서, 상기 신규 음성신호를 음성 코덱(70)을통해 제어기(90)로 제공한다.The microphone 60 is a voice collecting means for collecting a new voice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a parent, a teacher, etc.), and provides the new voice signal to the controller 90 through the voice codec 70. .

상기 음성 코덱(70)은 제어기(90)로부터 음성 데이터 또는 메시지를 제공받아, 음성신호로 변환한 후에, 스피커(50)로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 코덱(70)은 마이크(60)에 의해 수집되는 신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신규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 후에, 제어기(90)로 제공한다.The voice codec 70 receives voice data or a message from the controller 90, converts the voice data or a message into a voice signal, and inputs the same to the speaker 50. The voice codec 70 receives a new voice signal collected by the microphone 60, converts the new voice signal into new voice data,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controller 90.

상기 메모리(80)는, 도3을 참조하면, 제어기(90)에 의해 제어되어 다수의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각각의 음성 데이터는 그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의미(또는 용도) 및 호칭 등에 대한 설명이다. 또한, 상기 메모리(80)는 음성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이하, "입력요청 메시지"라 함)와, 신규 영상 데이터/신규 음성 데이터의 저장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이하, "저장완료 메시지"라 함)와, 신규 영상 데이터/신규 음성 데이터의 저장실패를 나타내는 메시지(이하, "저장실패 메시지"라 함) 등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실패 메시지는 메모리(80)의 용량이 부족하여 신규 영상 데이터/신규 음성 데이터의 저장이 불가능한 경우 등에 출력된다.Referring to FIG. 3, the memory 8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90 to store a plurality of video data and a plurality of audio dat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video data. Each of the audio data is a description of the meaning (or use) and title of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hereto. In addition, the memory 80 is a message for requesting the input of vo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put request message"), and a message indicating the completion of the storage of new video data / new audio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save completion message") And a message indicating storage failure of new video data / new audio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 storage failure message ") and the like. Here, the storage failure message is output when the new video data / new audio data cannot be stored due to insufficient capacity of the memory 80.

상기 제어기(90)는, 소정의 허용오차범위내에서, 카메라(30)로부터 제공되는 신규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메모리(80)에서 검색하고, 메모리(80)에서 검색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80)로부터 독출한 다음, 음성 코덱(70)으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검색결과, 상기 카메라(30)로부터 제공되는 신규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메모리(80)에서 검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기(90)는 메모리(80)로부터 입력요청 메시지를 독출하여스피커(50)로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신규 음성 데이터가 음성 코덱(70)을 통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90)는 인터페이스(40)를 통해 제공되는 신규 영상 데이터와 함께 신규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80)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완료 메시지를 메모리(80)로부터 독출하여, 음성 코덱(70)으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신규 영상 데이터/신규 음성 데이터의 저장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90)는 저장실패 메시지를 메모리(80)로부터 독출하여, 음성 코덱(70)으로 제공한다.The controller 90 retrieve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new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camera 30 from the memory 80 within the predetermined tolerance range, and corresponds to the image data retrieved from the memory 80. Voice data is read from the memory 80 and then provided to the voice codec 70. In addition, when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new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camera 30 is not found in the memory 80, the controller 90 reads an input request message from the memory 80. The speaker 50 is provided. When the new audio data is provided through the audio codec 70, the controller 90 stores the new audio data in the memory 80 together with the new video data provided through the interface 40. The storage completion message is read from the memory 80 and provided to the voice codec 70.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orage of the new video data / new audio data fails, the controller 90 reads the storage failure message from the memory 80 and provides the audio codec 70.

도4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영상을 설명하는 교육용 완구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완구에 의하면, 먼저, 거울(20)에 피사체의 영상이 투영되는 경우, 카메라(30)가 거울(20)에 투영된 영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영상을 포획한다(S410). 이때, 상기 카메라(30)의 영상감지센서(32)는 포획되는 영상에 상응하는 신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S420), 상기 생성되는 신규 영상 데이터를 인터페이스(40)를 통해 제어기(90)로 제공한다.Figure 4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ducational toy for explaining the input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Figure 4,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t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when the image of the subject is projected on the mirror 20, the camera 30 captures an imag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mage projected on the mirror 20 (S410). In this case, the image sensor 32 of the camera 30 generates new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image (S420), and provides the generated new image data to the controller 90 through the interface 40. do.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기(90)는 카메라(30)로부터 제공되는 신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모리(80)에 저장된 다수의 영상 데이터들을 순차적으로 검색하고(S430), 상기 소정의 허용오차범위내에서, 상기 신규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메모리(80)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440). 오차범위내에서 신규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메모리(80)에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일 예로 MPEG에서 사용되는 Motion Estimation 기법을 통하여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구체적인 종래기술에 관한 논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1] B.Liu, A.Zaccarin : "New Fast Algorithms for the Estimation of Block Motion Vectors", IEEE Trans. on Circuits and Systems for Video Technology", Vol.3, No. 2, April 1993, pp148-157[2] unju Baek, Hwang-Soek Oh and Heung-Kyu Lee : "Block-matching criterion for effiecient VLSI implementation for motion estimation", IEE Electronics Letters, 20th June 1996, vol. 32, no. 13, jun 1996, pp 1184-1185"그 후 상기 확인단계(S440)에서, 상기 신규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메모리(80)에서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90)는 검출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80)로부터 독출하여(S450), 음성 코덱(70)으로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음성 코덱(70)은 제어기(90)로부터 제공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S460), 스피커(50)로 입력하며, 상기 스피커(50)는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한다(S470). 이때, 상기 스피커(5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거울(20)에 투영된 영상의 의미(또는 용도) 및/또는 호칭에 대한 설명이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90 sequentially searches for a plurality of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80 based on the new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camera 30 (S430), and within the predetermined tolerance range, It is checked whether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new image data exists in the memory 80 (S440). There are various ways to check whether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new image data exists in the memory 80 within the error range, for example, it can be done through the Motion Estimation technique used in MPEG, which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s one thing. Specific papers related to the prior art are as follows. [1] B. Liu, A. Zaccarin: "New Fast Algorithms for the Estimation of Block Motion Vectors", IEEE Trans. on Circuits and Systems for Video Technology ", Vol. 3, No. 2, April 1993, pp148-157 [2] unju Baek, Hwang-Soek Oh and Heung-Kyu Lee:" Block-matching criterion for effiecient VLSI implementation for motion estimation ", IEE Electronics Letters, 20th June 1996, vol. 32, no. 13, jun 1996, pp 1184-1185" Then, in the checking step (S440),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new image data is stored in memory 80 In the case of the detection, the controller 90 reads th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image data from the memory 80 (S450) and provides it to the audio codec 70. Then, the voice codec 70 converts the voice data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90 into a voice signal (S460), inputs it to the speaker 50, and the speaker 50 outputs the input voice signal (S470). ). In this case,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speaker 50 is a description of the meaning (or use) and / or title of the image projected on the mirror 20.

한편, 상기 확인단계(S440)에서, 상기 신규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메모리(80)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어기(90)는 메모리(80)로부터 입력요청 메시지를 독출하여, 상기 음성 코덱(70)으로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음성 코덱(70)은 입력요청 메시지를 음성신호로 변환한 후에, 스피커(50)로 입력하며, 상기 스피커(50)는 입력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음성신호를 출력한다(S480). 이어, 부모( 또는 선생님)가 마이크(60)에 상기 신규 영상 데이터의 의미(또는 용도) 및/또는 호칭을 설명하면, 상기 마이크(60)는 신규 음성신호를 수집하여(S482), 음성 코덱(70)으로 입력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hecking step (S440),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new image data does not exist in the memory 80, the controller 90 reads an input request message from the memory 80 The voice codec 70 is provided. Then, the voice codec 70 converts an input request message into a voice signal and then inputs it to the speaker 50, and the speaker 50 outputs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request message (S480). Subsequently, when the parent (or teacher) explains the meaning (or use) and / or title of the new video data to the microphone 60, the microphone 60 collects a new audio signal (S482) and the audio codec ( 70).

계속하여, 상기 음성 코덱(70)은 입력되는 신규 음성신호를 변환하여 신규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고(S484), 상기 생성되는 신규 음성 데이터를 제어기(9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어기(90)는 음성 코덱(70)으로부터 제공되는 신규 음성 데이터를 카메라(30)로부터 제공된 신규 영상 데이터와 함께 조합하여 메모리(80)에 저장한다(S486).Subsequently, the voice codec 70 converts an input new voice signal to generate new voice data (S484), and provides the generated new voice data to the controller 9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90 combines the new voice data provided from the voice codec 70 together with the new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camera 30 and stores the new voice data in the memory 80 (S486).

그리고, 상기 제어기(90)는 신규 영상 데이터/신규 음성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되었는지를 검사한다(S488). 상기 검사단계(S488)에서, 상기 신규 영상 데이터/신규 음성 데이터의 저장이 무사히 완료된 경우, 상기 제어기(90)는 저장완료 메시지를 메모리(80)로부터 독출하고, 음성 코덱(70)을 통해, 스피커(5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스피커(50)는 저장완료를 나타내는 음성을 출력하여(S490), 새로운 설명을 입력한 부모(또는 선생님)에게 신규 영상 데이터/신규 음성 데이터의 저장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준다. 즉, 메모리(80)가 업데이트되었음을 알려준다. 반면에, 상기 검사단계(S488)에서, 상기 신규 영상 데이터/신규 음성 데이터의 저장이 실패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기(90)는 저장실패 메시지를 메모리(80)로부터 독출하고, 음성 코덱(70)을 통해, 스피커(5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스피커(50)는 저장실패를 나타내는 음성을 출력하여(S492), 부모(또는 선생님)에게 신규 영상 데이터/신규 음성 데이터의 저장이 실패하였음을 알려준다.Then, the controller 90 checks whether the storage of the new video data / new audio data is completed (S488). In the checking step (S488), when the storage of the new video data / new audio data is completed safely, the controller 90 reads a storage completion message from the memory 80, and through the audio codec 70, a speaker Provided by 50. At this time, the speaker 50 outputs a sound indicating the completion of storage (S490), and informs the parent (or teacher) who input the new description that the storage of the new image data / new audio data is completed. In other words, the memory 80 is updated. On the other hand, if it is confirmed in the inspection step (S488) that the storage of the new video data / new audio data has failed, the controller 90 reads the storage failure message from the memory 80, and the voice codec 70 Through, to provide to the speaker 50. At this time, the speaker 50 outputs a voice indicating a storage failure (S492), and informs the parent (or teacher) that the storage of the new image data / new audio data has fail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영상을 설명하는 교육용 완구에 의하면, 그림(낱말)카드, 가족, 기타 사물 등을 거울(20)에 비출 때마다, 거울(20)에 투영된 영상에 대응하는 설명이 출력되므로, 어린이의 언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ducational toy for explaining the input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very time a picture (word) card, family, other objects, etc. are projected on the mirror 20, descrip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projected on the mirror 20 Since it is output, it can induce children's interest in language learning.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echnical spirit.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입력 영상을 설명하는 교육용 완구는, 거울에 투영되는 피사체(즉, 사람, 동물, 사물 등)에 대한 의미 및/또는 단어 설명이 인형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므로, 어린이의 언어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어린이의 학습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Educational toys for explaining the input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eaning and / or word description of the subject (ie, person, animal, object, etc.) projected on the mirror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of the doll, It can induce interest in language learning, which can maximize the learning efficiency of children.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교육용 완구는 메모리를 업데이트시킬 수 있으므로, 어린이에게 새로운 언어들을 지속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educational toy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pdate the memory, thereby having the effect of continuously learning new languages for children.

Claims (3)

교육용 완구에 있어서,In educational toys, 영상을 포획하는 영상 포획수단;Image capturing means for capturing an image;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수집수단;Voice collecting means for receiving a voice; 다수의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다수의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Memory means for storing a plurality of video data and a plurality of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video data; 상기 음성 데이터에 상응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발성수단; 및Speech means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oice data; And 상기 영상 포획수단에 의해 포획된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서 검색하여 영상 데이터가 검색되는 경우 상기 검색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 독출하여 상기 발성수단으로 제공하며, 영상 데이터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음성 수집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을 포함하는 음성 데이터와 상기 영상 포획수단으로부터 포획된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것When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means is retrieved from the memory means and the image data is retrieved,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retrieved image data is read to the memory means and provided to the speech means. Storing the audio data including the audio provided from the audio collecting means and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captured from the image capturing means in the memory means when the image data is not retrieved. 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완구.Educational toys,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메모리 수단은The memory means 음성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더 저장하고,Store more messages that ask for voice input, 상기 제어수단은The control means 상기 포획된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음성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독출하기 상기 발성수단에 제공하는 것Reading out a message for requesting the audio input from the memory means when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image is not found and providing the spoken means to the voiced means; 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완구.Educational toys,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영상 포획수단에 의해 포획되는 영상을 투영시키는 반사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완구.Educational toy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flector for project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e means.
KR10-2001-0074330A 2001-11-27 2001-11-27 Teaching toy enabling to explain input image KR1004518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330A KR100451825B1 (en) 2001-11-27 2001-11-27 Teaching toy enabling to explain input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330A KR100451825B1 (en) 2001-11-27 2001-11-27 Teaching toy enabling to explain input i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253A KR20030043253A (en) 2003-06-02
KR100451825B1 true KR100451825B1 (en) 2004-10-08

Family

ID=29571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330A KR100451825B1 (en) 2001-11-27 2001-11-27 Teaching toy enabling to explain input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182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3753A (en) * 1994-02-02 1995-08-15 Hitachi Ltd Personal robot device
JPH09185488A (en) * 1995-12-27 1997-07-15 Tetsuya Fuchiguchi Multimedia doll system
KR20010017811A (en) * 1999-08-14 2001-03-05 김상철 Robot operating in response to image and voice through internet homepage
KR20010016048A (en) * 2000-10-16 2001-03-05 장기영 A home personal robot with multi-facul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3753A (en) * 1994-02-02 1995-08-15 Hitachi Ltd Personal robot device
JPH09185488A (en) * 1995-12-27 1997-07-15 Tetsuya Fuchiguchi Multimedia doll system
KR20010017811A (en) * 1999-08-14 2001-03-05 김상철 Robot operating in response to image and voice through internet homepage
KR20010016048A (en) * 2000-10-16 2001-03-05 장기영 A home personal robot with multi-facu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253A (en)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31070B (en) Voice conversation device, voice conversation method, recording medium, and robot
Tao et al. End-to-end audiovisual speech recognition system with multitask learning
JP6719739B2 (en) Dialogue method, dialogue system, dialogue device, and program
US11151997B2 (en) Dialog system, dialog method, dialog apparatus and program
US8645121B2 (en) Language translation of visual and audio input
US75241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instruction
US20200019370A1 (en) Collaborative ai storytelling
US20090177321A1 (en) Robot for participating in a joint performance with a human partner
López-Robertson Their eyes sparkled: Building classroom community through multicultural literature
Efthymiou et al. Childbot: Multi-robot perception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Hameed et al. Robots that can mix serious with fun
JP2008096884A (en) Communication system for learning foreign language
US11734520B2 (en) Dialo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the same
CN110364164B (en) Dialogue control device, dialogue system, dialogu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070050518A (en) Ubiquitous multi-purpose home-school studio system
KR100451825B1 (en) Teaching toy enabling to explain input image
JP6308608B2 (en) Foreign language conversation learning system based on direct method
KR20180012192A (en) Infant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Lartz et al. Jamie: One child's journey from oral to written language
JP7096626B2 (en) Information extraction device
JP6972526B2 (en) Content providing device,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JP6647636B2 (en) Dialogue method, dialogue system, dialogue device, and program
JP2022075661A (en) Information extraction apparatus
Cicourel et al. The acquisition of manual sign language and generative semantics
KR102346158B1 (en)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AI Speak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