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462B1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462B1
KR101324462B1 KR1020060041389A KR20060041389A KR101324462B1 KR 101324462 B1 KR101324462 B1 KR 101324462B1 KR 1020060041389 A KR1020060041389 A KR 1020060041389A KR 20060041389 A KR20060041389 A KR 20060041389A KR 101324462 B1 KR101324462 B1 KR 101324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cleaning hair
rotating member
cleaner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3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08995A (en
Inventor
권혁민
강성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1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462B1/en
Publication of KR20070108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89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4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8Combinations or arrangements of several tools, e.g. edg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청소기 측방 부분의 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capable of cleaning the cleaner side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먼지 또는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강제적으로 흡입되는 흡입구가 구비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저면의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되며,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청소모 결합부; 및 상기 청소모 결합부에 결합 되는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청소모가 포함된다.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having a suction port forcibly sucked air containing dust or foreign matter; A rotating member formed on at least one bottom of the base and rotated by a rotating means; At least one bristle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rotating member; And at least two or more types of cleaning caps coupled to the cleaning cap coupling units.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의하여, 바닥과 벽면이 만나는 구석이나 청소기가 진입하기에 곤란한 피 청소영역에서의 청소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종의 청소모가 구비되는 측면청소장치에 의하여 피 청소면이 더욱 깨끗하게 청소되는 효과가 있다.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leaning at the corner where the floor meets the wall and at the cleaning area where the cleaner is difficult to enter.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leaning surface to be cleaned more cleanly by the side clean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variety of cleaning caps.

청소기, 구동 바퀴, 청소모 Cleaner, Drive Wheel, Sweep

Description

진공 청소기{Vacuum cleaner}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청소기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n automatic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청소기의 저면도.2 is a bottom view of an automatic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 청소장치를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부재와 청소모 및 패킹 부재의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ng member and the cleaning cap and pack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청소기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베이스부 31:구동 바퀴30: base 31: drive wheels

33:보조바퀴 40:측면청소장치33: auxiliary wheel 40: side cleaning device

41a:굵은 청소모 41b:가는 청소모41a: thick cleaning hat 41b: thin cleaning hat

42:회전모터 44:회전 부재42: rotating motor 44: rotating member

45:청소모 결합부 45: cleaning coupling uni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청소기 측방 부분의 청소가 가 능한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capable of cleaning the cleaner side portion.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진공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피 청소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흡입된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피 청소면을 깨끗하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피 청소면의 이물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노즐부가 본체와 별도로 구비되는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캐니스터 형 진공 청소기와 노즐부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 형 진공 청소기로 구별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의해 직접 조작하는지 여부에 따라 수동 청소기와 자동 청소기로 분류된다.In general, a vacuum cleaner uses a vacuum pressure generated by a vacuum motor mounted inside a main body to suck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then filter th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sucked inside the main body. It is a device to clean the cleaning surface. Such a cleaner is classified into a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in which a nozzle portion for sucking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connected by a connecting tu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and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in which the nozzle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Then, it is classified into a manual cleaner and an automatic cleaner according to whether or not it is directly operated by the user.

한편, 일반적인 자동 청소기는 충전지를 동력원으로 하여, 기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이동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자동청소기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 없이도 스스로 청소 수행을 하기 때문에 바쁜 현대인들 사이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On the other hand, the general automatic cleaner is a device that performs the cleaning while moving the area to be cleaned by the input program, the rechargeable battery as a power source. Since these automatic cleaners perform their own cleaning without the user's direct manipulation, they are in the spotlight among busy modern people.

이러한 자동 청소기는 본체에 설치된 감지장치를 통하여 벽 등의 주행 방해물로 둘러싸인 피 청소 영역의 외곽을 주행하여 청소할 영역을 정하고, 피 청소 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 경로를 계획한다. 그 다음으로 바퀴의 회전수를 통하여 주행거리와 현재위치를 산출하면서 계획된 청소경로를 주행한다.The automatic cleaner determines an area to be cleaned by driving the outer side of the cleaning area surrounded by a traveling obstacle such as a wall through a sensing device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plans a cleaning path for cleaning the cleaning area. Next, drive the planned cleaning route while calculating the mileage and the current position through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wheel.

그리고, 자동 청소기의 저면에 형성되는 흡입노즐과 브러쉬를 통하여, 피 청소면에 묻어 있는 먼지 등을 털어 올리고, 이렇게 비산한 먼지 등을 흡입하여 피 청소면을 깨끗이 한다.Then, through the suction nozzle and the brush formed on the bottom of the automatic cleaner, the dust or the like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shaken off, and the scattered dust and the like are sucked to clean the surface to be clean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 청소기는 흡입구가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어, 바닥과 벽면이 만나는 구석이나 자동청소기가 진입하기에 곤란한 피 청소영역에는 흡입구와 피청소면 사이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청소가 안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utomatic clean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uction port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he distance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far from the corner where the floor meets the wall or the cleaning area where the vacuum cleaner is difficult to enter. There is no problem.

그리고, 종래의 자동 청소기에 의해 청소가 안 된 피 청소구역을 청소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별도의 청소도구 등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청소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lean the cleaning area that is not cleaned by the conventional automatic cleaner, the user has to perform additional cleaning using a separate cleaning tool or the lik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바닥과 벽면이 만나는 구석이나 청소기가 진입하기에 곤란한 피 청소영역에서의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which i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 as described above, the cleaning in the corner where the floor and the wall meets or the cleaning area that is difficult to enter the cleaner. It is done.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먼지 또는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강제적으로 흡입되는 흡입구가 구비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저면의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되며,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청소모 결합부; 상기 제1 청소모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청소모; 상기 제1청소모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 청소모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청소모; 및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제1청소모 및 상기 제2청소모의 일부를 감싸는 패킹부재를 포함한다.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base portion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forcibly sucked air containing dust or foreign matter; A rotating member formed on at least one bottom of the base and rotated by a rotating means; First and second cleaning hair coupling portions formed on the rotating member; A first cleaning hair coupled to the first cleaning hair coupling portion; A second cleaning hair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cleaning hair and coupled to the second cleaning hair coupling portion; And a packing member surrounding the rotating member and a part of the first cleaning hair and the second cleaning hair.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의하여, 바닥과 벽면이 만나는 구석이나 진공 청소기가 진입하기에 곤란한 피 청소영역에서의 청소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종의 청소모가 구비되는 측면청소장치에 의하여 피청소면이 더욱 깨끗하게 청소되는 효과가 있다.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leaning at the corner where the floor and the wall meet or at the cleaning area where the vacuum cleaner is difficult to enter.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cleaned more cleanly by the side cleaning devic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leaning cap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other inven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other embodiments which are deteriorated by addition, modification, or deletion of other components can be easily proposed. Can b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청소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청소기의 저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n automatic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view of the automatic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청소기(1)는 상측부(20)와 베이스부(30)로 이루어지는 본체(10)와, 상기 베이스부(30)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자동 청소기(1)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동 바퀴(31)와, 상기 베이스부(30)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는 흡입구(32)와, 상기 베이스부(30)의 다수 곳에 형성되는 보조바퀴(33) 및 적어도 상기 본체(10)의 외주보다 길게 돌출되는 청소 모(41a, 41b)가 구비되는 측면청소장치(40)가 포함된다.1 and 2, the automatic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including the upper side 20 and the base 30, and both sides of the base 30. Drive wheel 31 for moving the automatic cleaner 1, suction port 32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30, and auxiliary wheels 33 formed in a plurality of places of the base portion 30 And a side cleaning device 40 provided with cleaning caps 41a and 41b which protrude at least long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0.

상세히,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적어도 흡입모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구동모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필터링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거리 감지센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충격센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및 제어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수용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구동모터는 소정의 동력전달 부재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부(30)의 양측에 형성된 구동 바퀴(31)가 회전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는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 바퀴(31)의 수에 대응되어 두 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두 개의 구동모터는 상기 구동 바퀴(31)가 각각의 회 전방향과 회전수를 가지며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각각의 구동모터를 통하여, 상기 자동청소기(1)는 프로그램된 진행방향과 진행속도로 주행 가능하게 된다. In detail, the main body 10 has at least a suction motor (not shown), a drive motor (not shown), a filtering device (not shown), and a distance sensor (not shown). And a shock sensor (not shown)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are accommodated. In more detail, the drive motor allows the drive wheels 3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30 to rotate through a predetermined power transmission member. And two drive motors are preferably form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drive wheels (31). And two drive motors enable the drive wheels 31 to rotate with their respective rotational directions and rotational speeds. Through each of these drive motors, the automatic cleaner 1 is capable of traveling at the programmed travel direction and travel speed.

상기 흡입모터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흡입팬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흡입팬의 회전에 의하여 흡입력이 발생 되고, 이러한 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흡입구(32)로 이 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된다.The suction motor rotates a suction fan (not shown). The suct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suction fan, and the air containing the substance is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32 by the suction force.

상기 필터링장치는 상기 흡입모터에 의하여 흡입되는 이 물질이 포함된 공기 중의 이 물질만을 거른다. 그리고 이렇게 걸러진 공기는 상기 자동 청소기(1)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기구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기 된다. 한편, 상기 배기구는 배기기에 의하여 피 청소면으로부터 먼지가 비산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상기 자동청소기(1)의 상면에 형성된다.The filtering device filters out only those substances in the air containing the substances sucked by the suction motor. The filtered air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formed on one side of the automatic cleaner (1). On the other hand, the exhaust port is preferab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acuum cleaner 1 in order to prevent dust from scattering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by the exhaust machine.

상기 충격센서는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다수 개가 형성된다. 이러한 충격센서는 상기 자동 청소기(1)가 주행할 때 외부의 장애물과의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충격신호를 송출한다.A plurality of impact sensor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impact sensor detects an impact with an external obstacle when the automatic cleaner 1 runs and transmits a shock signal to the controller.

상기 거리감지 센서는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의 선택된 곳에 다수 개가 형성되어 상기 자동 청소기(1)의 외부에 있는 물체를 감지하고, 물체와 상기 자동청소기(1)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송출한다. 한편, 물체와 상기 자동 청소기(1) 사이의 거리산출은 상기 제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A plurality of distance detecting sensors are formed at selected portion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detect an object outside the automatic cleaner 1, and calculate a distan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vacuum cleaner 1 to control the control unit. Send a signal with. Meanwhile, the distance calculation between the object and the automatic cleaner 1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포함되어 상기 자동 청소기(1)의 주행방법 및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를 한다. 상세히, 거 리감지 센서에서 입력되는 거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주행방법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충격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충격신호를 이용하여 회피주행을 실행한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microprocessor and a memory for storing data to control the driving method and each component of the automatic cleaner 1. In detail, the driving method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is executed by using the distance information input from the distance sensor. Then, the avoidance driving is performed by using the shock signal input from the shock sensor.

또한, 상기 베이스부(30) 전방 한 곳과, 중앙의 두 곳 및 후 방부 한곳에 보조 바퀴(33)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보조 바퀴(33)들은 그 설치방향이 상기 구동 바퀴(31)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자동 청소기(1)의 이동과 함께 회전된다. 상세히, 상기 보조 바퀴(33)는 상기 자동 청소기(1)의 자중의 분산과 상기 자동 청소기(1)의 진행방향이 원활히 바뀌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바퀴(33)는 상기 베이스부(30)와 피 청소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게 한다. 이러한 간격은 후술하는 헤어(35)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wheel 33 is formed in one place in front of the base portion 30, two places in the center and one place in the rear. These auxiliary wheels 33 are install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e wheels 31, and rotates with the movement of the automatic cleaner (1). In detail, the auxiliary wheel 33 serves to smoothly change the self-dispersion of the automatic cleaner 1 an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utomatic cleaner 1. The auxiliary wheel 33 allows a predetermined gap to be formed between the base portion 30 and the surface to be cleaned. This interval prevents excessive pressure from being applied to the hair 35 to be described later to prevent breakage.

또한, 상기 흡입구(32)는 상기 베이스부(30)의 저면 어느 일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32)의 내측에 이물수거장치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흡입구(32)의 형상을 고려하여 원통형의 이물 수거 회전 부재(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 수거 회전 부재(34)의 외주면에 다수 열의 헤어(35)가 심어지고,상기 헤어(35)의 일단은 피청소면과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물 수거 회전 부재(34)를 관통결합되는 회전축(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일단에는 회전모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모터는 상기 이물 수거 회전 부재(34)를 회전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이물 수거 회전 부재(34)의 외주면에 심어지는 헤어(35)는 피 청소면에 묻어 있는 이 물질을 상방으로 긁어 올리게 된다. In addition, the suction port 32 is formed on any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ortion 30. Then, a foreign matter collecting device is formed inside the suction port 32. In detail, a cylindrical foreign material collection rotating member 34 is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suction port 32. And a plurality of rows of hair 35 is pla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reign material collection rotation member 34, one end of the hair 35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In addition, a rotation motor (not shown) is coupled to one end of a rotating shaft (not shown) through which the foreign material collection rotation member 34 is coupled. This rotary motor causes the foreign matter collection rotating member 34 to rotate. Therefore, the hair 35, which is pla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reign material collection rotating member 34, scrapes upward of this substance buried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또한, 상기 측면청소장치(40)는 상기 베이스부(30)의 전방 일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전방과 후방을 나누는 기준은 상기 자동청소기(1)의 주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한편, 상기 측면청소장치(40)의 형성위치는 상기 베이스부(30)의 전방 일 측에만 제한되지 아니하며, 양측에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측면청소장치(40)는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n addition, the side cleaning device 40 is formed at one front side of the base portion 30. Here, the reference for dividing the front and rear is based on the main direction of travel of the vacuum cleaner (1). On the other hand,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side cleaning device 40 is not limited to only one side of the front of the base portion 30, it turns out that it can be formed on both sides. In addition, it is noted that the number of the side cleaning device 40 can be formed.

이하, 상기 측면청소장치(40)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ide cleaning device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면청소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부재와 청소모 및 패킹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ng member and the cleaning cap and pack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청소장치(40)는 상기 베이스부(30)에 매설되고 회전축(46)을 구비하는 회전 모터(42)와, 상기 회전축(42)에 결합 되는 회전 부재(44)와, 상기 회전 부재(44)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청소모 결합부(45)와, 상기 청소모 결합부(45)에 압입 되는 적어도 두 종류 이상의 청소모(41a 41b) 및 상기 회전 부재(44)와 상기 청소모(41a, 41b)를 감싸는 패킹 부재(46)가 포함된다.3 and 4, the side cleaning device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the base portion 30 and coupled to the rotary motor 42 and the rotary shaft 42 having a rotary shaft 46; A rotating member 44, a bristle coupling portion 45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rotating member 44, at least two or more kinds of bristle caps 41a 41b press-fitted to the bristle coupling portion 45, and A packing member 46 surrounding the rotating member 44 and the cleaning caps 41a and 41b is included.

상세히, 상기 회전모터(42)는 상기 베이스부(30)의 내부에 매설되어 상기 회전축(43)이 회전되게 한다. 이러한 회전모터(42)의 주요작용이 상기 회전축(43)을 회전하는 작용인 것이 고려되어, 상기 회전축(43)을 회전하는 다른 회전수단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다. In detail, the rotary motor 42 is embedded in the base portion 30 so that the rotary shaft 43 is rotated. It is considered that the main action of the rotary motor 42 is the action of rotating the rotary shaft 43, it can be replaced by other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rotary shaft 43.

한편, 상기 회전모터(42)의 상기 회전축(43)의 회전 방향은 상기 측면청소장치(40)의 작용이 고려되어, 상기 자동 청소기(1)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외측에서 내측으로 모으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측면청소장치(40)가 상기 자동청소기(1)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우측에 형성되면, 상기 회전모터(42)의 상기 회전축(43)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회전한다. 즉,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43 of the rotary motor 42 is considered in the action of the side cleaning device 40, and rotates in the direction of gather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utomatic cleaner (1) do. In other words, when the side cleaning device 40 is formed on the front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utomatic cleaner 1, the rotating shaft 43 of the rotary motor 42 rotates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That is, it is rotated counterclockwise.

또한, 상기 회전 부재(44)는 일면이 반구형인 대략 원반형으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회전부재(44)의 평평한 면에는 상기 회전축(43)이 삽입되는 결합홈(47)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44)가 상기 회전축(43)으로부터 회전력을 받는 경우 헛도는 현상 없게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43)의 일측은 D-cut공정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47)은 상기 회전축(43)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otating member 44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disk shape having one surface is hemispherical. In detail, a coupling groove 47 into which the rotating shaft 43 is inserted is formed on a flat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44.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tary member 44 receives a rotational force from the rotary shaft 43, in order to avoid the phenomenon, one side of the rotary shaft 43 is formed by a D-cut process and the coupling groove 47 is It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otary shaft 43.

또한, 상기 회전 부재(44)의 반구형부분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청소모 결합부(45)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네 개의 청소모 결합부(45)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청소모 결합부(45)는, 상기 회전 부재(44)가 상기 회전축(43)에 상기 회전 부재(44)의 평평한 면(49)이 상기 배이스부(30)의 저면과 대면 되어 결합 되는 경우, 상기 청소모 결합부(45)의 중심선이 상기 회전축(43)에 대하여 소정의 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회전축(43)과 상기 청소모 결합부(45)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은 상기 청소모(41a, 41b)와 피청소면과의 접촉 범위가 고려되어 결정된다. 본 실시 예에서 네 개의 청소모 결합부를 제1청소모 결합부 내지 제4청소모 결합부라 이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emispherical portion of the rotating member 44 is formed with at least one bristle coupling portion 45 is extended, preferably four bristle coupling portion 45 is formed. In detail, the bristle coupling portion 45 is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44 to the rotating shaft 43 and the flat surface 49 of the rotating member 44 faces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al portion 30. If so, the center line of the bristle coupling portion 45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43. In more detail, the angle formed by the center line of the rotating shaft 43 and the cleaning cap coupling portion 45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act range between the cleaning caps 41a and 41b and the surface to be cleaned. In the present embodiment, four cleaning hair coupling portions may be referred to as first cleaning hair coupling portions to fourth cleaning hair coupling portions.

그리고, 상기 네 개의 청소모 결합부(45)는 임의의 청소모 결합부(45)에서 다른 청소모 결합부(45) 사이의 거리(D1)와 또 다른 하나의 청소모 결합부(45) 사이의 거리(D2)가 다르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모 결합부(45) 사이의 거리가 작은 두 개의 청소모 결합부(45)는 하나의 청소모 결합부 세트(47)를 이루게 된다. In addition, the four bristle coupling portions 45 may be disposed between any one bristle coupling portion 45 at a distance D1 between another bristle coupling portion 45 and another bristle coupling portion 45. The distance D2 is formed differently. In addition, the two bristle coupling portions 45 having a small distance between the bristle coupling portions 45 form a single bristle coupling portion set 47.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청소모 결합부 세트(47)는 2개가 형성되는 것이 제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3개 이상의 세트가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청소모 결부합부(45)가 2개로서 하나의 청소모 결합부 세트(47)가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3개로서 하나의 청소모 결합부 세트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Here, although it has been suggested that two cleaning bristle coupling sets 4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ree or more sets may be formed. And one of the bristle coupling portion 45 is made of one bristle coupler set 47 as two, but not limited to this, it will be understood that one bristle coupler set of three can be made.

또한, 상기 청소모(41a, 41b)는 나이론 재질로 형성되는 두 종류 이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청소모(41a, 41b)의 분류 기준은 단면적에 의하여 분류된다. 즉, 절단면적이 크면 굵은 청소모(41a)로 분류되고, 절단면적이 작으면 가는 청소모(41b)로 분류된다. 상세히, 상기 청소모(41a, 41b)는 그 일단이 상기 청소모 결합부(45)에 압입의 방법으로 심어진다. 여기서, 상기 청소모(41a, 41b)의 종류는 그 직경에 따라 상기 굵은 청소모(41a)와 가는 청소모(41b)로 분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청소모(41a, 41b)의 종류는 그 재질에 의하여 분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모의 직경이 큰 청소모를 제1청소모라 할 수 있고, 제1청소모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의 청소모를 제2청소모라 할 수 있다. 이 때, 제1청소모 결합부 및 제3청소모 결합부에 제1청소모가 결합되고, 제2청소모 결합부 및 제4청소모 결합부에 제2청소모가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cleaning caps (41a, 41b) is formed of two or more kinds formed of a nylon material.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cleaning caps 41a and 41b are classified by the cross-sectional area. In other words, if the cutting area is large, it is classified into a thick cleaning hat 41a, and if the cutting area is small, it is classified into a thin cleaning hat 41b. In detail, one end of the cleaning caps 41a and 41b is planted by the method of press-fitting into the cleaning cap coupling unit 45. Here, the types of the cleaning caps 41a and 41b may be classified into the thick cleaning cap 41a and the thin cleaning cap 41b according to their diameters. In addition, the types of the cleaning caps 41a and 41b may be classified by their material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leaning cap having a large diameter of the hair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leaning hair, and the cleaning hair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cleaning hair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leaning hair. At this time, the first cleaning hair is coupled to the first cleaning hair coupling portion and the third cleaning hair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leaning hair is coupled to the second cleaning hair coupling portion and the fourth cleaning hair coupling portion.

한편, 상기된 하나의 청소모 결합부 세트(47)에 구성되는 각각의 청소모 결합부(45)는 상기된 각각 다른 종류의 청소모(41a, 41b)가 결합 된다. 상세히, 상기 청소모 결합부 세트(47)의 진행 방향(v)을 기준으로 전방의 상기 청소모 결합부(45)에는 넓은 단면적(s1)을 가지는 굵은 청소모(41a)가 결합 되고, 후방의 청소모 결합부(45)에는 좁은 단면적(s2)를 가지는 가는 청소모(41b)가 결합 된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cleaning cap coupling portion 45 configured in the one cleaning cap coupling portion set 47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the different types of cleaning caps (41a, 41b) described above. In detail, a thick bristle 41a having a wide cross-sectional area s1 is coupled to the bristle coupling 45 at the front side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v of the bristle coupling set 47, and The cleaning head coupling part 45 is coupled with a narrow cleaning head 41b having a narrow cross-sectional area s2.

여기서, 각각의 상기 청소모가 각각의 상기 청소모 결합부에 결합되는 방법은 각각의 청소모의 단면적과 상기 청소모 결합부 세트의 진행방향에 의하여 결정됨을 밝혀둔다. 즉, 다수 개의 청소모 결합부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경우, 상기 청소모 결합부 세트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청소모 결합부의 위치가 전방일수록 굵은 청소모가 결합되고 상기 청소모 결합부의 위치가 후방일수록 가는 청소모가 결합 된다.Her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method by which each of the cleaning caps are coupled to each of the cleaning cap coupling portions is determined by the cross-sectional area of each cleaning cap and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cap coupling set. That is, when a plurality of bristle coupling units form one set, the thicker the bristle is coupled and the position of the bristle coupling is closer to the front of the bristle coupling unit based 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ristle coupling unit set. The rear is more fine bristle.

한편, 상기 청소모(41a, 41b)와 청소모 결합부(45)의 결합방법에 있어서, 상기 굵은 청소모(41a)와 가는 청소모(41b)가 소정의 비율로 섞이어 한곳의 청소모 결합부(45)에 결합 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of coupling the cleaning hair 41a, 41b and the cleaning hair coupling portion 45, the thick cleaning hair 41a and the thin cleaning hair 41b are mixed in a predetermined ratio, thereby combining one cleaning hair. Note that it can be coupled to the portion 45.

또한, 상기 패킹 부재(46)는 상기 청소모(41a, 41b)가 상기 청소모 결합부(45)에 결합된 후에 상기 회전 부재(44)를 감싸며 결합 되고, 상기 청소모 결합부(45)와 상기 청소모(41a, 41b)가 결합 되는 부분에서는 수축 성형 된다. 이러한 상기 패킹 부재(46)은 상기 청소모(41a, 41b)가 상기 청소모 결합부(45)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청소모(41a, 41b)가 고속 회전운동하는 경우 산발 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packing member 46 is coupled to surround the rotating member 44 after the cleaning cap 41a, 41b is coupled to the cleaning cap coupling portion 45, and the cleaning cap coupling portion 45 Shrink-molded at the portion where the cleaning caps 41a and 41b are coupled. The packing member 46 prevents the cleaning caps 41a and 41b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leaning cap coupling portion 45, and prevents the cleaning caps 41a and 41b from being scattered when they are rotated at a high speed. do.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된 측면청소장치(40)는 상기 자동 청소기(1)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시되었지만, 업 라이트형 청소기의 흡입 노즐부 주변의 일측과 캐니스터형 청소기의 흡입 노즐부 주변 일 측에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side cleaning device 40 is proposed to be formed in the automatic cleaner 1, one side around the suction nozzle of the upright cleaner and around the suction nozzle of the canister cleaner Note that it can be formed on one side.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자동청소기의 작용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 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cleaner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청소기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5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clea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상기 자동 청소기(1)의 일 측에 형성되는 조작부에 작동조건을 입력하면, 상기 자동 청소기(1)는 상기 거리감지 센서를 통하여 피 청소구역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른 주행방법을 선택한다.Referring to FIG. 5, first, when a user inputs an operating condition to an operation unit formed on one side of the automatic cleaner 1, the automatic cleaner 1 determines a cleaning area through the distance sensor. A dr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is selected.

그리고, 상기 자동 청소기(1)는 구동모터를 회전하여 선택된 주행방법에 따라 결정된 피 청소구역을 주행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자동 청소기(1)가 주행하면서 상기 흡입모터와 수거모터가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30) 일 측에 형성되는 흡입구를 통하여, 피 청소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 긁어짐과 동시에 흡입된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cleaner 1 rotates the driving motor to drive the cleaning area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lected driving method. Then, the suction motor and the collection motor are rotated while the automatic cleaner 1 runs. Therefore, a foreign material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30 and is sucked at the same time.

마지막으로, 상기 흡입구(32)를 통하여 흡입된 이물질은 상기 필터링 장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 장치에 설치되는 필터에 의하여 이물질이 걸러진 깨끗한 공기는 상기 자동 청소기(1)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기구를 통하여 배기 된다.Finally, the foreign matte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32 is moved to the filtering device. Then, the clean air filtered by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by the filter installed in the filtering device is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ort formed on one side of the automatic cleaner (1).

한편, 상기 자동 청소기(1)가 실내의 벽면(60)을 따라 주행하는 경우, 상기 자동청소기(1)의 상기 배이스부(30) 전방 일 측에 형성된 상기 측면청소장치(40)가 작동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굵은 청소모(41a)와 가는 청소모(41b)의 회전방향(v)은 상기 자동청소기(1)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좌우측은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측임을 밝혀둔다. 따라서, 벽면에 근접한 다소 큰 먼지(m)나 이물질은 일차적으로 상기 굵은 청소모(41a)에 의하여 상기 자동청소기(1)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다소 작은 먼지(n)나 이물질은 이차적으로 상기 가는 청소모(41b)에 의하여 상기 자동청소기(1)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상기 자동 청소기(1)의 전방에 이동된 먼지(m, n)나 이물질은 상기 흡입구(32)로 흡입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작용은 청소모(41a,41b)의 단면적의 차이에 의한 작용이 제시되었지만, 상기 청소모(41a,41b)의 재질의 차이에 의한 작용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용을 함을 밝혀둔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utomatic cleaner 1 runs along the wall surface 60 of the room, the side cleaner 40 formed on one side in front of the bass unit 30 of the automatic cleaner 1 is operated. . In other words, the rotation direction v of the thick cleaning hair 41a and the thin cleaning hair 41b is rotated from left to right based o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acuum cleaner 1. Here,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found to be left and right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refore, a somewhat large dust m or foreign matter close to the wall surface is first moved to the front of the vacuum cleaner 1 by the coarse cleaning cap 41a. And somewhat small dust (n) or foreign matter is moved to the front of the automatic cleaner (1) by the thin cleaning head 41b secondary. The dust (m, n) or foreign matter moved in front of the automatic cleaner 1 is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32). Here, the above action is proposed by the differenc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leaning caps (41a, 41b), but the action by the difference in the material of the cleaning hair (41a, 41b) is also foun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action. .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의하여, 바닥과 벽면이 만나는 구석이나 진공 청소기가 진입하기에 곤란한 피 청소영역에서의 청소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종의 청소모가 구비되는 측면청소장치에 의하여 피청소면이 더욱 깨끗하게 청소되는 효과가 있다.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cleaning at the corner where the floor meets the wall or at the cleaning area where the vacuum cleaner is difficult to enter.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urface to be cleaned is cleaned more cleanly by the side clean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variety of cleaning caps.

Claims (6)

먼지 또는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강제적으로 흡입되는 흡입구가 구비되는 베이스부;A base part having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or foreign matter is forcibly sucked; 상기 베이스부 저면의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되며,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부재;A rotating member formed on at least one bottom of the base and rotated by a rotating means; 상기 회전 부재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청소모 결합부; First and second cleaning hair coupling portions formed on the rotating member; 상기 제1 청소모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청소모; A first cleaning hair coupled to the first cleaning hair coupling portion; 상기 제1청소모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 청소모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청소모; 및 A second cleaning hair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cleaning hair and coupled to the second cleaning hair coupling portion; And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제1청소모 및 상기 제2청소모의 일부를 감싸는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And a packing member surrounding the rotating member and a part of the first cleaning hair and the second cleaning hair. 삭제delete 삭제delete 먼지 또는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강제적으로 흡입되는 흡입구가 구비되는 베이스부;A base part having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or foreign matter is forcibly sucked; 상기 베이스부 저면의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되며,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부재;A rotating member formed on at least one bottom of the base and rotated by a rotating means; 상기 회전 부재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청소모 결합부; First and second cleaning hair coupling portions formed on the rotating member; 상기 제1청소모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청소모; A first cleaning hair coupled to the first cleaning hair coupling portion; 상기 제1청소모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2청소모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청소모; 및 A second cleaning hair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cleaning hair and coupled to the second cleaning hair coupling portion; And 상기 회전 부재에 형성되는 제3 및 제4청소모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Further comprising a third and fourth cleaning hair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rotating member, 상기 제3청소모 결합부에 제1청소모가 결합되고, A first cleaning hair is coupled to the third cleaning hair coupling portion, 상기 제4청소모 결합부에 제2청소모가 결합되며, A second cleaning hair is coupled to the fourth cleaning hair coupling portion, 상기 제1청소모 결합부에서 상기 제2청소모 결합부까지의 거리는 The distance from the first cleaning coupling unit to the second cleaning coupling unit is 상기 제1청소모 결합부에서 상기 제3청소모 결합부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진공 청소기.And a vacuum cleaner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first cleaning hair coupling part to the third cleaning hair coupling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60041389A 2006-05-09 2006-05-09 Vacuum cleaner KR1013244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389A KR101324462B1 (en) 2006-05-09 2006-05-09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389A KR101324462B1 (en) 2006-05-09 2006-05-09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995A KR20070108995A (en) 2007-11-15
KR101324462B1 true KR101324462B1 (en) 2013-10-31

Family

ID=39063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389A KR101324462B1 (en) 2006-05-09 2006-05-09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46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7249A1 (en) 2002-01-03 2004-09-30 Jones Joseph L. Autonomous floor-cleaning robo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7249A1 (en) 2002-01-03 2004-09-30 Jones Joseph L. Autonomous floor-cleaning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995A (en)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2970B2 (en) Cleaning device and sweeping assembly thereof
CN106659344B (en) Robotic vacuum cleaner
EP2721987B1 (en) Method of controlling automatic cleaner
JP4097264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5707243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US20050166356A1 (en)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KR101667716B1 (en) Robot cleaner
JP2007330567A (en) Self-traveling type vacuum cleaner
US11013390B2 (en) Autonomous traveler
JP2017213009A (en) Autonomous travel type cleaner
KR101052182B1 (en) Corner cleaning device and cleaner having same
KR102155002B1 (en) Robot cleaner
JP2018057615A (en) Autonomous travel-type vacuum cleaner
KR101012943B1 (en) Suction apparatus capable of corner cleaning
KR101324462B1 (en) Vacuum cleaner
KR20070105124A (en) Automatic cleaner
CN103892774A (en) Automatic vacuum cleaner
JP6247521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043535B1 (en) Automatic cleaner
JP2004275304A (en) Self-traveling type cleaner
KR20070109355A (en) Automatic cleaner
JP2018061531A (en) Vacuum cleaner
KR100988687B1 (en) Automatic cleaner
JP2018061533A (en) Vacuum cleaner
JP2018057616A (en)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