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535B1 - Automatic cleaner - Google Patents

Automatic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535B1
KR101043535B1 KR1020060038031A KR20060038031A KR101043535B1 KR 101043535 B1 KR101043535 B1 KR 101043535B1 KR 1020060038031 A KR1020060038031 A KR 1020060038031A KR 20060038031 A KR20060038031 A KR 20060038031A KR 101043535 B1 KR101043535 B1 KR 101043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ide brush
main
automatic cleane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0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05635A (en
Inventor
권혁민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8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535B1/en
Publication of KR20070105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6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5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26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condition of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실내의 구석 청소가 가능한 자동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cleaner capable of cleaning corners of a room.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청소기는 중앙부 양측에 메인 바퀴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메인 바퀴의 후방에 형성되어 바닥면의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 전방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어 실내 구석의 이물이 상기 흡입구로 이동되도록 하는 사이드 브러시; 상기 본체 저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바퀴; 및 상기 본체의 저면에 구비되며, 바닥면보다 낮은 부분을 감지하는 복수의 크리프 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크리프 센서 중 일부는 상기 메인 바퀴와 사이드 브러시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utomatic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main wheel on both sides of the center; An inlet formed at a rear of the main wheel to allow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on the bottom surface to be sucked; A side brush provided at at least one side in front of the suction port to allow foreign substances in a corner of the room to move to the suction port; At least one auxiliary wheel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creep sensor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sensing a portion lower than a bottom surface,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creep sensors are provided between the main wheel and the side brush.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저면에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브러시가 구비됨에 따라 청소가 어려운 부분인 실내벽과 바닥면의 사이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되어 실내 구석구석의 청소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side brush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clean between the interior wall and the bottom surface, which are difficult to clean, so that every corner of the room can be cleaned. There is an advantage.

청소기, 사이드 브러시 Cleaner, side brush

Description

자동 청소기{Automatic cleaner}Automatic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자동 청소기의 저면도.1 is a bottom view of an automatic clea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자동 청소기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an automatic clea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상기 자동 청소기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automatic cleane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본체 100 : 베이스부10: main body 100: base portion

110 : 메인 바퀴 120 : 보조 바퀴110: main wheel 120: auxiliary wheel

130 : 흡입구 140 : 주 브러시130: inlet 140: main brush

150 : 크리프 센서 160 : 사이드 브러시150: creep sensor 160: side brush

170 : 배터리170: battery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실내의 구석 청소가 가능한 자동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cleaner capable of cleaning corners of a room.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진공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 부에서 이물을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a cleaner is a device that sucks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and the like by using a vacuum pressure generated by a vacuum motor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n filters the foreign matter in the main body.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조작되는 수동 청소기와 사용자의 조작없이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분류된다. Such cleaners are classified into manual cleaners which are directly operated by the user and automatic cleaners which perform cleaning by themselves without the user's manipulation.

한편, 일반적인 자동 청소기는 충전된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하여, 입력된 프로그램을 따라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의 바닥을 이동하면서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청소 시간을 단축하면서 편리함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생활 욕구에 맞춰 여러 형태로 개발 및 사용되어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eneral automatic cleaner is a device that performs cleaning by moving the floor of the area to be cleaned according to the input program by using a charged battery as a power source, and meets the needs of modern people who seek convenience while reducing the cleaning time. It is developed and used in various forms.

이러한, 자동 청소기는 본체에 설치된 센서를 통하여 벽이나 장애물로 둘러싸인 청소영역의 외곽을 주행하여 청소할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청소 영역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 경로를 계획한다. 그런 다음, 바퀴의 회전수 및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통해 검출된 신호로부터 주행거리 및 현재 위치를 산출하면서 계획된 청소경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바퀴를 구동시킨다. The automatic cleaner determines the area to be cleaned by driving the outside of the cleaning area surrounded by a wall or an obstacle through a senso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plans a cleaning path for cleaning the determined cleaning area. Then, the wheel is driven to travel the planned cleaning path while calculating the mileage and the current position from the detected signal through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and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wheel.

그리고, 상기 자동 청소기에는 저면에 이물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은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 내측에 구비되어 바닥면의 먼지를 털어올리는 브러시와, 상기 브러쉬를 구동시키는 회전 모터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모터의 구동에 의한 회전력이 상기 브러시로 전달되어 상기 브러쉬가 회전하면서 바닥면의 먼지를 털어올리게 된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cleaner is provided with a suction nozzle for sucking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on the bottom. The suction nozzle includes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is sucked, a brush provided inside the suction port to shake off dust on the bottom surface, and a rotation motor driving the brush. Therefore, the rotational force by the driving of the rotary motor is transmitted to the brush to shake off the dust on the floor while the brush rotate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 청소기는 흡입구가 본체의 저면에 형성됨에 따라 바닥과 벽면이 만나는 실내 구석이나 각종 가구 등이 설치된 구성의 청소 는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automatic cleaner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clea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terior corners and various furniture, such as the floor and the wall meets as the suction port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그리고, 이러한 구석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청소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추가적인 청소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자동 청소기의 청소 효율에 한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lean the corne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 needs to perform additional cleaning using a separate cleaning tool, and a limitation occurs in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automatic cleaner.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바닥과 벽면이 만나는 실내 구석 등의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n automatic cleaner for easily cleaning a corner of an interior where a floor and a wall meet each other.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청소기는 중앙부 양측에 메인 바퀴가 구비되는 본체;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메인 바퀴의 중심을 기준으로 후방에 형성되어 바닥면의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 상기 메인 바퀴의 전방에 구비되어 실내 구석의 이물이 상기 흡입구로 이동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브러시; 상기 본체 저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바퀴; 및 상기 본체의 저면에 구비되어, 바닥면보다 낮은 부분을 감지하는 복수의 크리프 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크리프 센서 중 일부는 상기 보조 바퀴의 전방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보조 바퀴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보조 바퀴의 전후방의 복수의 크리프 센서와 상기 보조 바퀴는 일 직선 상에 위치되고, 상기 사이드 브러시는 구동원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에 제공되어 바닥면의 이물이 흡입구로 이동되도록 하는 청소 부재와, 상기 청소 부재의 소정 부분을 감싸는 홀더 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홀더 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접하거나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청소 부재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utomatic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main wheel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At least a portion formed at a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main wheel to allow the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bottom surface to be sucked; At least one side brush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ain wheel to allow a foreign object in a corner of the room to move to the suction port; At least one auxiliary wheel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creep sensor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to detect a portion lower than a bottom surface, wherein some of the plurality of creep sensors are positioned in front of the auxiliary wheels, and other portions are located behind the auxiliary wheels. And a plurality of creep sensors in front and rear of the auxiliary wheel and the auxiliary wheel are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and the side brush is provided to the rotating member rotated by a driving source, and the foreign material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ction member is provided on the suction member. And a holder member surround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leaning member, the holder member surrounding the cleaning member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rotating memb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자동 청소기는 중앙부 양측에 메인 바퀴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메인 바퀴의 후방에 형성되어 바닥면의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 전방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어 실내 구석의 이물이 상기 흡입구로 이동되도록 하는 사이드 브러시; 상기 본체 저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바퀴; 및 상기 본체의 저면에 구비되며, 바닥면보다 낮은 부분을 감지하는 복수의 크리프 센서가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크리프 센서 중 일부는 상기 메인 바퀴와 사이드 브러시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 브러시는 구동원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에 제공되어 바닥면의 이물이 흡입구로 이동되도록 하는 청소 부재와, 상기 청소 부재의 소정 부분을 감싸는 홀더 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홀더 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접하거나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청소 부재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utomatic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ain wheel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An inlet formed at a rear of the main wheel to allow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on the bottom surface to be sucked; A side brush provided at at least one side in front of the suction port to allow foreign substances in a corner of the room to move to the suction port; At least one auxiliary wheel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creep sensor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sensing a portion lower than a bottom surface,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creep sensors are provided between the main wheel and the side brush, and the side brush is driven by a driving source. A rotating member to be rotated, a cleaning member provided to the rotating member to move a foreign material on the bottom surface to a suction port, and a holder member surround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leaning member, the holder member being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membe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leaning member is wrapped in a spaced position.

삭제delete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저면에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브러시가 구비됨에 따라 청소가 어려운 부분인 실내벽과 바닥면의 사이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되어 실내 구석구석의 청소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t least one side brush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easily clean between the interior wall and the bottom surface, which are difficult to clean, so that the cleaning of every corner of the room can be performed. Will be.

또한, 청소 부재를 감싸는 홀더 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장기간의 청소에도 불구하고 청소 부재가 서로 벌어지지 않고, 모아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holder member surrounding the cleaning member is provided, the cleaning members do not open to each other in spite of long-term cleaning, and thus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llected state.

또한, 상기 청소 부재가 벌어지지 않고, 모아진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사용자의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s aesthetics are improved as the cleaning member does not open and maintains the collected state.

또한, 상기 홀더 부재가 바닥면과 이격되어 위치됨에 따라, 바닥면과의 마찰에 따른 상기 홀더 부재의 마모 또는 손상이 방지된다.In addition, as the holder member is position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wear or damage of the holder member due to friction with the bottom surface is prevented.

또한, 홀더 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된 청소 부재의 전체가 바닥면과 접촉하도 록 구성됨에 따라 청소 면적이 확대되고, 상대적으로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공간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s the entire cleaning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member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he cleaning area is expanded, and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a space where cleaning is not relatively perform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자동 청소기의 저면도이다. 1 is a bottom view of an automatic clea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상기 도 1에서 상측은 상기 자동 청소기의 전방부이고, 하측은 상기 자동 청소기의 후방부이다. Here, in FIG. 1, an upper side is a front portion of the automatic cleaner, and a lower side is a rear portion of the automatic cleaner.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자동 청소기는, 적어도 흡입모터(미도시), 구동 모터(미도시), 필터링 장치(미도시), 제어 장치(미도시)가 내부에 수용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형성되는 베이스부(100)와, 상기 본체(10)의 중앙부 양측에 구비되며,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자동 청소기가 이동되도록 하는 메인 바퀴(110)와, 상기 베이스부(10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바닥면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부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1, an automatic clea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t least a suction motor (not shown), a driving motor (not shown), a filtering device (not shown), and a control device (not shown) are accommodated therein. 10, the base portion 10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main whee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10 and rotated by the received driving force to move the automatic cleaner ( 110 and a suction part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e part 100 to suck air from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자동 청소기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일정 위치에 형성되어 자동 청소기의 무게 중심이 맞추어져 안전하게 청소가 수행되도록 하는 보조 바퀴(120)와, 바닥면보다 낮은 부분을 감지하는 크리프 센서(cliff sensor: 150)와,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구비되어 자동 청소기의 측방 청소가 효과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사이드 브러시(160)와, 상기 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70)가 포함된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cleaner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e portion 100, the auxiliary wheel 120 to ensure that the cleaning is safely performed by adjust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automatic cleaner, and the creep sensor (cliff) for detecting a lower portion than the bottom surface sensor: 150, a side brush 160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to effectively perform side cleaning of the automatic cleaner, and a battery 170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in body.

상세히, 상기 흡입부는 상기 메인 바퀴(110)의 후측에 구비되어, 바닥면의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30)와, 상기 흡입구(130)의 내측에 구비되어 바닥면이 긁히는 동작에 의해서 바닥면이 보다 완전하게 청소되도록 하는 주 브러시(140)와, 상기 주 브러시(140)를 회전시키는 브러시 모터(미도시)가 포함된다.In detail, the suction part is provided at the rear side of the main wheel 110, and the suction port 130 through which the ai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on the bottom surface is sucked, and the inside of the suction port 130 to scratch the bottom surface. It includes a main brush 140 to clean the bottom surface by a more complete, and a brush motor (not shown) for rotating the main brush 140.

또한, 상기 흡입 모터는 진공압이 조성되어 상기 흡입구(130)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강제로 유입되도록 하는 장치이고,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메인 바퀴(110)가 회전되어 자동 청소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In addition, the suction motor is a device that a vacuum pressure is formed so that the outside air is forced to flow through the suction port 130, the drive motor is the main wheel 110 is rotated to allow the automatic cleaner to move Device.

또한, 상기 필터링 장치는 다공성 필터 또는 싸이클론부재에 의해서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이 분리 포집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고, 상기 제어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소정의 데이터 저장 장치가 포함되어 자동 청소기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In addition, the filtering device is a device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sucked by the porous filter or the cyclone member,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 microprocessor and a predetermined data storage device to operate the automatic cleaner It is a device to be performed.

한편, 상기 보조 바퀴(12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전후에 적어도 하나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바퀴(120)의 설치 방향은 자동 청소기의 주행 방향과 나란히 형성되어, 청소기가 주행 중에 바닥면과 마찰에 의해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 바퀴(120)의 수는 자동 청소기의 크기 또는 자중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at least one auxiliary wheel 120 is formed before and after the base portion 100,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auxiliary wheel 120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automatic cleaner, so that the cleaner is rotated by friction with the bottom surface during driving. Here, of course, the number of the auxiliary wheel 120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r the weight of the automatic cleaner.

이 때, 상기 보조 바퀴(120)는 상기 사이드 브러시(160)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사이드 브러시(160)의 회전 반경 외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auxiliary wheel 120 is preferably provided outside the rotation radius of the side brush 160 to enable a smooth rotation of the side brush 160.

한편, 상기 사이드 브러시(160)는 상기 메인 바퀴(110)의 전방 또는 후방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브러시(160)는 상기 자동 청소기의 작동시 함께 회전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상기 사이드 브러시(16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모터(미도시)가 더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side brush 16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front or rear of the main wheel 110. In addition, the side brush 16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cleaner. To this end, a rotation motor (not shown) is further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o rotate the side brush 160.

여기서, 상기 자동 청소기가 어느 일측만이 벽면을 따라 주행하도록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이드 브러시(160)는 상기 자동 청소기의 일측에만 구비된다. 반면, 상기 자동 청소기가 양측이 벽면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이드 브러시(160)는 상기 자동 청소기의 양측에 구비된다. Here, when only one side of the automatic cleaner is set to travel along the wall surface, the side brush 160 is provided only on one side of the automatic clean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automatic cleaner is set to allow both sides to travel along the wall surface, the side brushes 160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automatic cleaner.

도 1에는 일 례로 상기 사이드 브러시(160)가 자동 청소기의 전방 일측에 구비된 것이 도시됨을 밝혀둔다.1 shows that the side brush 16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automatic cleaner as an example.

그리고, 상기 사이드 브러시(160)가 상기 메인 바퀴(110)의 후방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사이드 브러시(160)는 구석의 이물이 상기 흡입구(130)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구(130)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side brush 16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ain wheel 110, the side brush 160 is the suction port 130 so that foreign matter in the corner can be easily moved to the suction port 130. It is preferably formed in front of the).

여기서, 본 실시예는 상기 흡입구(130)가 상기 메인 바퀴(110)의 후방에 형성되는 것이 제시되나, 이와 달리 상기 흡입구(130)가 상기 메인 바퀴(110)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사이드 브러시(160)는 상기 흡입구(130)의 전방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메인 바퀴(110)와 흡입구(130) 사이에 상기 사이드 브러시(160)가 위치하게 될 것이다.Here,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hat the inlet 130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main wheel 110, in contrast, the inlet 130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main wheel 110, such In this case, the side brush 160 is preferably provided in front of the suction port 130. In this case, the side brush 160 will be located between the main wheel 110 and the suction port 130.

그러나, 이러한 본원발명의 사상이 상기 사이드 브러시(160)가 상기 흡입구(130)의 후방에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However,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at the side brush 160 is formed behind the suction port 130.

또한, 상기 사이드 브러시(160)는 회전 모터의 모터축과 결합되는 회전 부재(162)와, 상기 회전 부재(162)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청소 부재(164)와, 상 기 청소 부재(164)가 모아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홀더 부재(166)가 포함된다. In addition, the side brush 160 includes a rotating member 162 coupled to the motor shaft of the rotating motor, a cleaning member 164 disposed on the rotating member 162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cleaning member 164. The holder member 166 is included to maintain the collected form.

상세히, 상기 회전 부재(162)는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rotating member 16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shape, it is preferably molded of a plastic material.

또한, 상기 청소 부재(164)는 다수 개의 가는 브러시가 일군(一群)을 이루어 상기 회전 부재(162)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 부재(164)는 바닥면, 특히 구석 부분의 이물이 상기 흡입구(130) 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청소 부재(164)는 나일론 재질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leaning member 164 is coupled to the rotating member 162 in a group of a plurality of thin brushes (一群). In addition, the cleaning member 164 may have a thickness such that a foreign material of a bottom surface, particularly a corner portion, may be easily moved to the suction port 130. For this purpose, the cleaning member 164 may be made of nylon. It is preferred to have

그리고, 상기 청소 부재(164)의 길이는 상기 사이드 브러시(160)의 회전시 실내벽과 접촉할 수 있을 정도임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cleaning member 164 may preferably be in contact with the interior wall when the side brush 160 is rotated.

또한, 상기 홀더 부재(166)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청소 부재(164)를 이루는 다수의 브러시가 청소 과정에서 상호 모아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청소 부재(164)를 감싼다.In addition, the holder member 166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surrounds the cleaning member 164 so that a plurality of brushes constituting the cleaning member 164 maintains a state where they are collected in the cleaning process.

그리고, 상기 홀더 부재(166)는 상기 회전 부재(162)에 상기 청소 부재(164)가 결합된 상태에서 열융착에 의해 상기 청소 부재(164)에 밀착된다. 이 때, 상기 홀더 부재(166)는 상기 회전 부재(162)와 접하는 위치에 구비되거나, 상기 회전 부재(162)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lder member 16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member 164 by heat fusion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ember 164 is coupled to the rotation member 162. In this case, the holder member 166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ntacting the rotating member 162 or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otating member 16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따라서, 상기 청소 부재(164)는 상기 홀더 부재(166)에 의해서 감싸여진 부분의 외측 부분 만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 때, 상기 홀더 부재(166)의 길이는 상기 청소 부재(164)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바닥면과 접촉하는 청소 부재(164)가 본체 측방의 이물을 흡입구(130)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ly, the cleaning member 164 exposes only the outer portion of the portion wrapped by the holder member 166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holder member 166 prevents the cleaning member 164 from spreading and at the same time the cleaning member 164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can move the foreign material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to the suction port 130 sid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bout degree.

여기서, 본 실시예는 상기 회전 부재(162)가 회전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되나, 이와 달리 상기 회전 부재(162)가 별도의 회전 모터 없이, 상기 구동 바퀴(110)의 회전 또는 주 브러시(140)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ng member 162 is configured to be rotated by a rotating motor, whereas the rotating member 162 is rotated or the main brush 140 of the driving wheel 110 without a separate rotating motor. It may be configured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즉, 상기 회전 부재(162)는 상기 메인 바퀴(110)의 구동 모터 또는 주 브러시(140)의 브러시 모터와 다수 개의 기어에 의해서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터 또는 브러시 모터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rotation member 162 may be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of the main wheel 110 or the brush motor of the main brush 140 by a plurality of gears to be rotated together when the drive motor or the brush motor rotates. have.

한편, 상기 크리프 센서(150)는 바닥면보다 낮은 부분 예를 들면, 계단, 홈 등을 감지하여 상기 메인 바퀴(110)가 계단 등에 빠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reep sensor 150 detects a portion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for example, stairs, grooves, etc. to prevent the main wheel 110 from falling into the stairs.

그리고, 상기 크리프 센서(150)는 상기 메인 바퀴(110)를 기준으로 전후방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자동 청소기의 전진 또는 후진시에 상기 메인 바퀴(110)가 바닥면보다 낮은 부분에 빠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일 례로 상기 메인 바퀴(110)의 전방에 구비되는 크리프 센서(150)에 대해서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creep sensor 150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front and rear with respect to the main wheel 110 to prevent the main wheel 110 from falling into a lower portion than the bottom surface when the automatic cleaner moves forward or backward. Be sure to Hereinafter, the creep sensor 150 provided in front of the main wheel 11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세히, 상기 크리프 센서(150)는 상기 자동 청소기의 전진시 전방의 계단 등에 상기 메인 바퀴(110)가 빠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베이스부(100)의 전단부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다. In detail, the creep sensor 15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front end portion of the base portion 100 so that the main wheel 110 is prevented from falling out when the automatic cleaner moves forward.

또한, 상기 크리프 센서(150)는 상기 자동 청소기의 전진시 측방의 계단 등에 상기 메인 바퀴(110)가 빠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메인 바퀴(110) 주위, 상세하게는 상기 사이드 브러시(160)와 메인 바퀴(110)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다. In addition, the creep sensor 150 is located around the main wheel 110, in detail, the side brush 160 and the main wheel so that the main wheel 110 is prevented from falling out on the side stairs and the like when the automatic cleaner moves forward. At least one is provided between the 110.

그리고, 상기 크리프 센서(160)로는 거리에 따라 전압값이 변하는 적외선 센서나, 초음파를 내보내고 반사되는 초음파의 위상을 통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초음파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creep sensor 160, an infrared sensor whose voltage value changes according to the distance, or an ultrasonic sensor which measures the distance through the phase of the ultrasonic wave which is emitted and reflected by the ultrasonic wave may be used.

한편, 상기 배터리(170)는 상기 본체(10)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170)의 충전은 사용자가 외부의 전원에 연결된 충전기를 연결함으로써이루어지거나, 자동으로 충전대(미도시)로 복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ttery 170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n addition, the charging of the battery 170 may be performed by a user connecting a charger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or may be automatically returned to a charging stand (not shown).

이하에서는 상기 자동 청소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cleaner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자동 청소기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상기 자동 청소기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자동 청소기의 저면을 보여준다.2 is a front view of an automatic clea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automatic cleaner, and shows a bottom surface of the automatic cleaner.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자동 청소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자동 청소기의 주행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양측에 형성되는 메인 바퀴(110)가 회전됨에 의해서 달성된다. Referring to Figures 2 and 3,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clean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driving of the automatic cleaner is achieved by the rotation of the main wheel 11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100; do.

그리고, 한 쌍의 구동 바퀴(110)가 등속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속도로 자동 청소기가 진행하게 된다. 반면, 어느 한쪽 메인 바퀴(110)가 다른 속도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늦은 속도로 회전되는 구동 바퀴(110) 방향으로 자동 청소기의 진행 방향이 바뀌게 된다. When the pair of driving wheels 110 are rotated at constant speed, the automatic cleaner proceeds at the same speed. On the other hand, when either of the main wheel 110 is rotated at a different spee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automatic cleaner in the direction of the drive wheel 110 rotated at a slower speed is changed.

또한, 상기 자동 청소기가 주행 중일 때에, 자동 청소기의 무게 중심이 맞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부(100)의 다수 곳에 보조 바퀴(12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보조 바퀴(120)에 의해서 자동 청소기가 안정되게 주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wheel 120 is formed in a plurality of places of the base portion 100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automatic cleaner when the automatic cleaner is running. That is, the automatic cleaner may be stably driven by the auxiliary wheel 120.

또한, 상기 자동 청소기의 모서리 부분에 장애물 센서가 형성되어, 자동 청소기 주행로에 놓인 장애물과 장벽의 상태가 감지되고, 감지된 장벽이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서 판단되어, 장벽에 의해서 청소가 방해되지 아니하는 다른 제어 방법에 의해서 청소기의 구동 방향등이 조절된다. In addition, an obstacle sensor is formed at the corner of the automatic cleaner, so that the obstacle and the state of the barrier placed on the automatic cleaner driving path are sensed, and the detected barrier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so that cleaning is not hindered by the barrier.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cleaner is controlled by another control method.

또한, 상기 자동 청소기의 베이스부(100)에 크리프 센서(150)가 형성되어, 바닥면보다 낮은 부분이 감지되고,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서 청소기의 구동 방향 조절된다.In addition, the creep sensor 150 is formed in the base portion 100 of the automatic cleaner, a portion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is sensed, and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cleaner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그리고, 상기 자동 청소기의 청소는, 흡입 모터의 진공압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부(10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흡입구(13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소정의 필터링 장치에 의해서 오물이 걸러지고, 본체(10)의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배기구를 통해서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 의해서 수행된다. In the cleaning of the automatic cleaner, the air sucked in from the suction port 130 forme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e portion 100 by the vacuum pressure of the suction motor is filtered by a predetermined filtering device, It is carried out by the process of exhausting air through the exhaust port formed in any one of (10).

이 때, 청소 과정에서 상기 주 브러쉬(140)의 회전에 의해서 바닥면이 긁혀지므로, 실내 청소는 보다 완전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자동 청소기의 동작 중에 상기 주 브러시(140)의 회전과 함께 상기 사이드 브러시(160)가 회전되어 상기 자동 청소기의 측방의 이물이 상기 흡입구(130) 측으로 유입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bottom surface is scratched by the rotation of the main brush 140 in the cleaning process, the indoor cleaning can be performed more completely. In addition, the side brush 160 is rotated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main brush 140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cleaner so that foreign matter on the side of the automatic cleaner flows into the suction port 130.

상세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 청소기가 벽면과 평행하게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동 청소기는 벽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브러시(160)는 도 3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상기 청소 부재(164)는 벽면과 접촉되어 상기 벽면과 자동 청소기 사이의 이물을 털어낸다. 그리고, 털어낸 이물은 상기 사이드 브러시(160)에 의해서 이동되어 상기 흡입구(130) 측으로 이동된다.In detail, as shown in FIG. 3, when the automatic cleaner moves in parallel with the wall surface, the automatic cleaner performs cleaning while driv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ll surface. In addition, the side brush 16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At this time, the cleaning member 164 is in contact with the wall to shake off the foreign material between the wall and the automatic cleaner. The foreign material shaken off is moved by the side brush 160 to the suction port 130.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브러시(160)의 홀더 부재(166)는 바닥면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브러시(160)의 회전시 홀더 부재(166)는 바닥면과 접촉되지 않아 상기 홀더 부재(166)의 손상 또는 마모가 방지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the holder member 166 of the side brush 160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Therefore, the holder member 166 is not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when the side brush 160 is rotated to prevent damage or wear of the holder member 166.

또한, 상기 청소 부재(164)는 소정 부분이 상기 홀더 부재(166)에 의해 감싸지며, 상기 홀더 부재(166)에서부터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로 노출된 청소 부재(164)는 전체가 바닥면에 밀착된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leaning member 164 is wrapped by the holder member 166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holder member 166. In addition, the entire cleaning member 164 exposed to the out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따라서, 바닥면과 접촉되는 청소 부재(164)의 길이가 확대되어 자동 청소기의 측방의 이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입구(13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length of the cleaning member 164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is enlarged to more effectively move the foreign material on the side of the automatic cleaner to the suction port 130 side.

그리고, 상기 바닥면과 접촉되는 청소 부재(164)의 길이가 확대됨으로써, 상기 사이드 브러시(160)의 청소 면적이 확대되고, 상대적으로 상기 자동 청소기에 의해서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부분이 최소화되게 된다.In addition, as the length of the cleaning member 164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is enlarged, the cleaning area of the side brush 160 is enlarged, and a portion where cleaning is not relatively performed by the automatic cleaner is minimized.

이상에서는 상기 사이드 브러시(160)가 적용되는 청소기로서 자동 청소기를 대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수동 청소기에도 적용됨을 밝혀둔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ide brush 160 is applied to a vacuum cleaner as a cleaner to which the side brush 160 is applied.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is also applied to a manual cleaner.

이 때, 캐니스터 방식의 청소기에 사이드 브러시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사이 드 브러시는, 본체와 연장관에 의해서 연결되는 흡입 노즐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고, 업라이트 방식의 청소기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본체의 하측에 구비되는 흡입 노즐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side brush is applied to the canister cleaner, the side brush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ction nozzle connected by the main body and the extension tube, and when the side brush is applied to the upright cleaner, It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ction nozzle provided.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저면에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브러시가 구비됨에 따라 청소가 어려운 부분인 실내벽과 바닥면의 사이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되어 실내 구석구석의 청소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t least one side brush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easily clean between the interior wall and the bottom surface, which are difficult to clean, so that the cleaning of every corner of the room can be performed. Will be.

또한, 청소 부재를 감싸는 홀더 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장기간의 청소에도 불구하고 청소 부재가 서로 벌어지지 않고, 모아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holder member surrounding the cleaning member is provided, the cleaning members do not open to each other in spite of long-term cleaning, and thus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collected state.

또한, 상기 청소 부재가 벌어지지 않고, 모아진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사용자의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s aesthetics are improved as the cleaning member does not open and maintains the collected state.

또한, 상기 홀더 부재가 바닥면과 이격되어 위치됨에 따라, 바닥면과의 마찰에 따른 상기 홀더 부재의 마모 또는 손상이 방지된다.In addition, as the holder member is position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wear or damage of the holder member due to friction with the bottom surface is prevented.

또한, 홀더 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된 청소 부재의 전체가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청소 면적이 확대되고, 상대적으로 청소가 이루어지지 않는 공간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s the entire cleaning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member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he cleaning area is expanded, and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space where the cleaning is not performed relatively.

Claims (7)

삭제delete 중앙부 양측에 메인 바퀴가 구비되는 본체;Main body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메인 바퀴의 중심을 기준으로 후방에 형성되어 바닥면의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 At least a portion formed at a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main wheel to allow the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bottom surface to be sucked; 상기 메인 바퀴의 전방에 구비되어 실내 구석의 이물이 상기 흡입구로 이동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브러시;At least one side brush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ain wheel to allow a foreign object in a corner of the room to move to the suction port; 상기 본체 저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바퀴; 및 At least one auxiliary wheel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상기 본체의 저면에 구비되어, 바닥면보다 낮은 부분을 감지하는 복수의 크리프 센서가 포함되고,It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creep sensor for detecting a portion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is included, 상기 복수의 크리프 센서 중 일부는 상기 보조 바퀴의 전방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보조 바퀴의 후방에 위치되며, Some of the plurality of creep sensors are located in front of the auxiliary wheel, others are located behind the auxiliary wheel, 상기 보조 바퀴의 전후방의 복수의 크리프 센서와 상기 보조 바퀴는 일 직선 상에 위치되고, A plurality of creep sensors in front and rear of the auxiliary wheel and the auxiliary wheel is located on one straight line, 상기 사이드 브러시는 구동원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 부재와, The side brush is a rotating member rotated by a drive source, 상기 회전 부재에 제공되어 바닥면의 이물이 흡입구로 이동되도록 하는 청소 부재와, A cleaning member provided to the rotating member to allow foreign substances on the bottom surface to be moved to the suction port; 상기 청소 부재의 소정 부분을 감싸는 홀더 부재가 포함되고, A holder member surround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leaning member is included, 상기 홀더 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접하거나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청소 부재를 감싸는 자동 청소기.The holder member is an automatic cleaner for wrapping the cleaning member in a position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rotating member. 중앙부 양측에 메인 바퀴가 구비되는 본체;Main body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상기 메인 바퀴의 후방에 형성되어 바닥면의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 An inlet formed at a rear of the main wheel to allow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on the bottom surface to be sucked; 상기 흡입구 전방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어 실내 구석의 이물이 상기 흡입구로 이동되도록 하는 사이드 브러시; A side brush provided at at least one side in front of the suction port to allow foreign substances in a corner of the room to move to the suction port; 상기 본체 저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바퀴; 및 At least one auxiliary wheel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nd 상기 본체의 저면에 구비되며, 바닥면보다 낮은 부분을 감지하는 복수의 크리프 센서가 포함되고,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creep sensors for detecting a lower portion than the bottom surface is included, 상기 복수의 크리프 센서 중 일부는 상기 메인 바퀴와 사이드 브러시 사이에 구비되고, Some of the plurality of creep sensors are provided between the main wheel and the side brush, 상기 사이드 브러시는 구동원에 의해서 회전되는 회전 부재와, The side brush is a rotating member rotated by a drive source, 상기 회전 부재에 제공되어 바닥면의 이물이 흡입구로 이동되도록 하는 청소 부재와, A cleaning member provided to the rotating member to allow foreign substances on the bottom surface to be moved to the suction port; 상기 청소 부재의 소정 부분을 감싸는 홀더 부재가 포함되고, A holder member surround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leaning member is included, 상기 홀더 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접하거나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청소 부재를 감싸는 자동 청소기.The holder member is an automatic cleaner for wrapping the cleaning member in a position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rotating member. 삭제delete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본체의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더 포함되는 자동 청소기.And a battery detachably provided at a bottom of the main body to supply power to the main body.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상기 흡입구의 내측에는 바닥면의 이물을 털어올리는 주 브러시가 더 포함되며, The inside of the suction port further includes a main brush to shake off the foreign material on the bottom surface, 상기 사이드 브러시는 상기 메인 바퀴 또는 주 브러시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청소기.The side brush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main wheel or the main brush, the automatic cleaner. 삭제delete
KR1020060038031A 2006-04-27 2006-04-27 Automatic cleaner KR1010435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031A KR101043535B1 (en) 2006-04-27 2006-04-27 Automatic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031A KR101043535B1 (en) 2006-04-27 2006-04-27 Automatic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635A KR20070105635A (en) 2007-10-31
KR101043535B1 true KR101043535B1 (en) 2011-06-23

Family

ID=3881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031A KR101043535B1 (en) 2006-04-27 2006-04-27 Automatic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53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1533B2 (en) * 2012-03-26 2016-06-08 株式会社東芝 Electric vacuum clea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4156U (en) * 1990-03-08 1991-11-22
WO2001006905A1 (en) * 1999-07-24 2001-02-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obotic system
US20040049877A1 (en) 2002-01-03 2004-03-18 Jones Joseph L. Autonomous floor-cleaning robot
US20040187249A1 (en) * 2002-01-03 2004-09-30 Jones Joseph L. Autonomous floor-cleaning robo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4156U (en) * 1990-03-08 1991-11-22
WO2001006905A1 (en) * 1999-07-24 2001-02-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obotic system
US20040049877A1 (en) 2002-01-03 2004-03-18 Jones Joseph L. Autonomous floor-cleaning robot
US20040187249A1 (en) * 2002-01-03 2004-09-30 Jones Joseph L. Autonomous floor-cleaning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635A (en) 200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5334B1 (en)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5707243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5931533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5400966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13052238A (en) Robot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5211368A (en) Self-propelled cleaner
WO2016100878A1 (en) Autonomous vacuum
KR20070107956A (en) Robot cleaner
JP2003038402A (en) Cleaner
JP6757575B2 (en)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KR20130025309A (en) Autonomous clea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RU2552763C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052182B1 (en) Corner cleaning device and cleaner having same
KR101012943B1 (en) Suction apparatus capable of corner cleaning
KR20070105124A (en) Automatic cleaner
JPH02241423A (en) Self-running cleaner
KR101043535B1 (en) Automatic cleaner
JP6105886B2 (en) Suction port and vacuum cleaner
KR100848964B1 (en) Suction Assembly of Robot Cleaner
JP6509479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070109355A (en) Automatic cleaner
KR101052108B1 (en) Vacuum cleaner
JP5933096B2 (en) Dust collector and self-propelle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KR100988687B1 (en) Automatic cleaner
JP2004275304A (en) Self-traveling type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