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80593A1 -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for shock protection - Google Patents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for shock prot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80593A1
WO2022080593A1 PCT/KR2021/000451 KR2021000451W WO2022080593A1 WO 2022080593 A1 WO2022080593 A1 WO 2022080593A1 KR 2021000451 W KR2021000451 W KR 2021000451W WO 2022080593 A1 WO2022080593 A1 WO 202208059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mobile terminal
type damper
rod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0451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이재석
Original Assignee
카페24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3331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73503B1/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3331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72176B1/en
Application filed by 카페24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페24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208059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8059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Abstract

Disclos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The mobile terminal device has a polygonal shape, a display un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the outer edge of a body surrounding the display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corners,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rners includes one or more stick-shaped dampers manufactured with an elastic material so as to function as a cushioning material, wherein the stick-shaped dampers have a length in a length direction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rners.

Description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for shock protection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 방지를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device including a structure for preventing impact.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이다. 이러한 단말 장치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It is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equipped with one or more functions for input/output and data storage. As the functions of these terminal devices are diversified, they are equipped with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pictures or moving pictures, playing music files or video files, playing games, receiving broadcasts, wireless Internet, etc. implemented in the form.
모바일 단말 장치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디자인들의 일례로서 바 타입,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위블 타입 등의 구조를 들 수 있다.Mobile terminal devices are being considered as personal items for expressing their individuality, and various designs are required. Examples of such designs include a bar type, a slide type, a folder type, a swivel type, and the like.
이러한 모바일 단말 장치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을 개량하거나 장치의 새로운 구조를 제시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increase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part of the terminal or propose a new structure of the device.
특히, 최근에는 디스플레이부의 광폭을 구현하는 추세에 따라, 이에 상응하여 단말의 바디가 광폭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때, 단말기의 사용중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낙하되는 경우, 단말기의 코너 또는 모서리에 충격이 집중되고,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부 또는 단말 내부 구성요소에 파손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recent trend of realizing the wide width of the display unit, the body of the terminal is formed to have a wide width corresponding thereto. In this case, when the terminal is dropped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while the terminal is in use, the impact is concentrated on a corner or corner of the terminal,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isplay unit or internal components of the terminal are damag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목적은 제작 방법이 간단하고, 모바일 단말 장치의 낙하 시에 디스플레이부 및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충격 방지 가능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s to provide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that has a simple manufacturing method and is capable of preventing an impact that protects a display unit and internal components when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dropp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일 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바디(body)의 테두리는 복수 개의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 하나 이상의 막대형 댐퍼(damper)를 구비하되,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the mobile terminal device has a polygonal shape, a display unit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d a body surrounding the display unit The rim of the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corners,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rners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rod-type damper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serve as a cushioning material, the membrane The large damper may have a constant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orners.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슬라이드(slide) 끼움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The rod-type damper may be fitted to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orners in a slide-fitting manner.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막대형 댐퍼를 슬라이드 끼움 방식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댐퍼홈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orners may further include a damper groove formed in a concave shape to seat the rod-type damper in a slide fitting manner.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바디로부터 외측을 향해 요철(凸) 형상의 돌출된 부분을 가지며, 상기 댐퍼 홈은 상기 요철 형상의 돌출된 부분에 의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rners has a concave-convex protruding portion outwardly from the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amper groove is concave by the concave-convex protruding portion. can be formed.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바디의 내부를 향해 요철(凸) 형상의 오목하게 파인 부분을 가지며, 상기 댐퍼 홈은 상기 요청 형상의 오목하게 파인 부분에 의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rners has a concave recessed portion in a concave-convex shape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amper groove is concave by the concave recessed portion of the request shape. It may be formed in a shape.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요철(凸)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드 끼움 방식에 따라 모서리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착될 수 있다.The rod-type damper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cave-convex shape, and may be slidably se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according to a slide fitting method.
상기 막대형 댐퍼는 나사 방식 및 억지끼움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안착될 수 있다.The rod-type damper may be seated by at least one of a screw method and an interference fit method.
상기 막대형 댐퍼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되기 위해, 상기 막대형 댐퍼에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싸는 형상의 돌출된 암(arm) 부분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for the rod-type damper to be seat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rners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a protruding arm portion having a shape surround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rners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rod-type damper. there is.
상기 막대형 댐퍼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막대형 댐퍼를 감싸는 형상의 돌출된 암 부분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for the rod-type damper to be seat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rners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a protruding arm portion having a shape surrounding the rod-type damper may be further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rners.
상기 막대형 댐퍼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하나 이상의 포인트형 댐퍼를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포인트 형 댐퍼는 완충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 것으로, 일정한 면적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완충재일 수 있다.One or more point-type dampers are additionally provided at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rod-type damper, wherein the point-type damp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serve as a cushioning material, and has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having a certain area may be a cushioning material for
상기 막대형 댐퍼는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모서리들에 끼워질 수 있다.The rod-type damper may be fitted to a pair of corne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상기 막대형 댐퍼가 한 쌍의 모서리에 구비되고,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한 쌍의 모서리의 길이보다 기설정된 마진(margin) 길이만큼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rod-shaped dampers may be provided at a pair of corners, and the rod-shaped dampers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pair of corners by a predetermined margin length.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측면에 배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개구면를 형성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의 입력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rod-type damper may be formed to form an opening corresponding to a user interfac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an input operation to the user interface.
상기 막대형 댐퍼는 실리콘 재질, 고무 재질, 및 연질 플라스틱 중 하나의 재질의 완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od-type damper may be made of a cushioning material made of one of a silicone material, a rubber material, and a soft plastic material.
상기 막대형 댐퍼는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rod-type damper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or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일 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바디(body)의 테두리는 복수 개의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모서리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 하나 이상의 막대형 댐퍼(damper)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댐퍼홈을 구비할 수 있다.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polygonal shape, a display unit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d a rim of a body surrounding the display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corners,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rners has one or more rod-type damper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serve as a cushioning material while having a constant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ners. It may be provided with a damper groove formed in a concave shape to be seat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충격 방지를 위한 막대형 댐퍼(damper)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안착되기 적합하도록, 모서리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od-type damper for preventing impact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suitable to be seated on at least some of a plurality of edges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the edge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serve as a cushioning material while having a constant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일 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바디(body)의 테두리는 복수 개의 꼭지점 및 복수 개의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 하나 이상의 포인트형 댐퍼(damper)를 구비하되,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일정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the mobile terminal device has a polygonal shape, a display unit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d a body surrounding the display unit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es and a plurality of corners, and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vertices and the plurality of corners, one or more point-type damper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serve as a cushioning material (damper), but the point-type damper may have a predetermined area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포인트형 댐퍼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댐퍼홈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amper groove formed in a concave shape to seat the point-type damper at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vertices and the plurality of corners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댐퍼홈과 나사, 너트 또는 억지끼움 방식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The point-type damper may be fixed to the damper groove using a screw, a nut, or an interference fit method.
상기 포인트형 댐퍼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포인트형 댐퍼의 외주까지의 거리는 상기 포인트형 댐퍼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A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point-type damper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point-type damper may be longer than a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point-type damper to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vertices and the plurality of corners.
상기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상면과 상기 상면에 대향하는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상면의 복수 개의 꼭지점들 및 상기 상면의 복수 개의 모서리들, 상기 하면의 복수 개의 꼭지점들 및 상기 하면의 복수 개의 모서리들 중 적어도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includes an upper surface provided with the display unit and a lower surface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point-type damper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es of the upper surface, a plurality of corners of the upp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the lower surface. It may be provided in at least some of the vertices and a plurality of corners of the lower surface.
상기 휴대용 모바일 단말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상면의 네 개의 꼭지점들 및 상기 하면의 네 개의 꼭지점들에 각각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portable mobile terminal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the point-type damper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four vertices of the upper surface and four vertices of the lower surface, respectively.
상기 휴대용 모바일 단말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상면의 네 개의 모서리들 및 상기 하면의 네 개의 모서리들에 각각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portable mobile terminal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the point-type damper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four corners of the upper surface and four corners of the lower surface, respectively.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상면의 네 개의 꼭지점들, 상기 하면의 네 개의 꼭지점들, 및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의 적어도 한 쌍의 모서리들에 대응하여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point-type damper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four vertices of the upper surface, four vertices of the lower surface, and at least a pair of corners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respectively.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들 중 적어도 일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들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안착될 수 있다.The point-type damper is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vertices and the plurality of corners, and is seated in a shape surrounding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vertices and the plurality of corners. can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들 중 적어도 일부가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때,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라운드진 형상의 곡률 반경에 대응하는 곡률 반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Whe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vertices have a rounded shape, the point-type damper may be formed with a radius of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ounded shape.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적용되기에 적합하도록, 바디 상면, 바디 하면 및 모서리 측면을 포함하는 3개 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point-type damper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surrounds three surfaces inclu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side of the corner so as to be suitable to be applied to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orners.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 중 적어도 일부에 적용되기에 적합하도록, 바디 상면, 바디 하면 및 복수 개의 모서리 측면을 포함하는 4개 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point-type damper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surrounds four surfaces inclu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corners so as to be suitable to be applied to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vertices.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실리콘 재질, 고무 재질, 및 연질 플라스틱 중 하나의 재질의 완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oint-type damper may be made of a cushioning material made of one of a silicone material, a rubber material, and a soft plastic materia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일 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바디(body)의 테두리는 복수 개의 꼭지점 및 복수 개의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 하나 이상의 포인트형 댐퍼(damper)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댐퍼홈을 구비할 수 있다.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polygonal shape, a display unit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d a rim of a body surrounding the display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es and a plurality of corners, and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vertices and the plurality of corners, one or more point-type damper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as to serve as a cushioning material, are seated It may be provided with a damper groove formed in a concave shape so as to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충격 방지를 위한 포인트형 댐퍼(damper)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복수 개의 꼭지점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안착되기 적합하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일정한 면적을 가지면서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A point-type damper for impact prevention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seated on at least some of a plurality of vertices and the plurality of corners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To be suitable,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serve as a cushioning material while having a certain area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에 따르면, 사용중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낙하되는 경우, 단말기의 꼭지점 또는 모서리에 파손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dropped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during use, damage is prevented from being concentrated at the vertex or corner of the terminal.
또한, 꼭지점 또는 모서리에 집중되는 충격력을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통해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resolving the impact force concentrated on the vertex or corner through a buffer that absorbs the impa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for preventing sh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막대형 댐퍼(damper)와 모바일 단말 장치 모서리 부분의 형상 및 둘 간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ape of a rod-type damper and a corner portion of a mobile terminal device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도 3은 도 2의 막대형 댐퍼 및 이를 수용하는 댐퍼 홈을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od-type damper of FIG. 2 and a damper groove accommodating the same;
도 4는 막대형 댐퍼와 모서리 부분과의 길이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length relationship between the rod-type damper and the corner portion;
도 5는 버튼 부분을 위한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orming an opening for a button por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막대형 댐퍼가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모서리 부분에 안착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rod-type damper is seated on a corner portion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안착 방식을 부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additionally explaining the mounting method of FIG. 6;
도 8은 막대형 댐퍼에 포인트형 댐퍼가 부가된 완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ffer member to which a point-type damper is added to a rod-type damper;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for preventing sh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포인트형 댐퍼(damper)와 모바일 단말 장치 바디의 꼭지점 또는 모서리와의 크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1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ize relationship between a point type damper and a vertex or corner of a body of a mobile terminal device;
도 11은 도 10의 포인트형 댐퍼를 수용하기 위한 댐퍼 홈을 나타낸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amper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point-type damper of FIG. 10;
도 12는 포인트형 댐퍼가 댐퍼 홈에 안착되는 방식의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12 is an exemplary view exemplarily showing a method in which the point-type damper is seated in the damper groove;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모서리 부분에 안착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1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being seated on a corner portion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꼭지점 부분에 안착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1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being seated on a vertex portion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포인트형 댐퍼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1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various shapes of a point-type damper.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기기 등이 포함된다.The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nd the like. do.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단말 장치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 단말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bar type terminal device having a front touch scree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mong various types of terminal devices such as a folder type, a bar type, a swing type, and a slider ty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bar typ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for preventing imp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는 일면에 디스플레이부(110)가 배열되고, 단말 장치의 바디는 디스플레이부(110)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사용자가 단말 장치를 놓치는 등의 실수로 인해, 단말 장치가 바닥에 떨어지게 되면, 단말 바디의 테두리에 충격이 가해지면서 디스플레이부(110)가 깨지는 등의 손상을 입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는 외부의 충격에서 단말 바디 내의 구성요소들 및 디스플레이부(110)를 보호하기 위한 막대형 완충부재(100)를 바디의 테두리에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FIG. 1 , in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unit 110 is arranged on one surface, and a body of the terminal device is formed to surround the display unit 110 . At this time, if the terminal device falls to the floor due to a mistake such as the user misses the terminal device, an impact is applied to the edge of the terminal body and the display unit 110 is damaged.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rod-type buffer member 100 for protecting the components and the display unit 110 in the terminal body from external impact is arranged on the rim of the body. do.
일반적으로, 위와 같은 외부 충격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별도의 케이스(case)를 모바일 단말 장치에 끼워서 사용하는데, 케이스를 별도로 사서 끼우는 것은 그 자체로 번거로우며, 부피 및 무게에서도 상당한 부담을 주어 사용자의 단말 사용시 상당한 불편함을 발생시킨다. 또한 미관을 해치는 경우도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prevent damage due to external impact as described above, most users use a separate case by inserting it into the mobile terminal device. It imposes a significant burden, which causes considerable inconvenience when the user uses the terminal. Also, there are cases where it spoils the aesthetic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막대형 완충부재(100)는 단말 장치 자체적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충격 방지용 케이스 없이도 단말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막대형 완충부재(100)는 모바일 단말 장치 모서리의 길이방향으로 세장형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드 끼움 방식으로 모서리 부분에 안착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억지끼움 등 다른 방식에 의해 안착될 수도 있다. 막대형 완충부재(100)는 막대형 댐퍼라고 불릴 수 있다. The rod-shaped buffer member 100 of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the terminal device itself,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terminal device without a separate case for preventing impact. The rod-shaped buffer member 100 is formed in an elongate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d may be seated on the edge in a slide fitting manner. As in the embodiment of FIG. 6 , it may be seated by another method such as interference fitting. The rod-type buffer member 100 may be referred to as a rod-type damper.
막대형 댐퍼(100)는 특히 충격에 취약한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막대형 댐퍼(100)는 적은 면적으로 충격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막대형 댐퍼(100)는 단말 장치의 네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한 쌍 또는 두 쌍의 모서리들에 쌍을 이뤄 안착되는 것이 좋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rod-type damper 100 is formed in a corner portion that is particularly vulnerable to impact. The rod-type damper 100 may exhibit an impact prevention effect with a small area. The rod-type damper 100 may be seated on at least one of the four corners of the terminal device, and preferably, seated in pairs on one or two pairs of corners.
먼저, 이하에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고, 막대형 댐퍼(100)의 구성은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First,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will be described below,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rod-type damper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단말기의 본체는 외관을 이루는 바디와 바디의 내부에 전자부품이 내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 부분은 상면 바디와 하면 바디로 형성된다. 상면 바디와 하면 바디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이때, 단말 바디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 바디는 베젤(vezel)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최근의 추세에 따라 베젤이 없는 베젤리스 바디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body forming an exterior and an electronic component are embedded in the body. Specifically, the body portion is formed of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n this case, the terminal body may be formed by inject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The terminal body may include a bezel. However, according to a recent trend, it may be formed as a bezel-less body without a bezel.
바디의 내부에는 회로기판과 스위치 등이 장착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단말 장치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 내에는 무선 통신 모듈, 메모리 및 프로세서 등이 내장될 수 있다. A circuit board and a switch may be mounted inside the body. The circuit board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terminal de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memory and a processor may be embedded in the circuit board.
바디 부분 외측에는 영상/음성 입출력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등을 포함한다. An image/audio input/output unit may be disposed outside the body portion. This includes cameras, speakers, microphones, and the like.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면 바디 상에는 디스플레이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에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10)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단말 장치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액정으로 형성되기에, 외부 충격에 취약하고, 특히, 모서리나 꼭지점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더욱 파손되기 쉽다. Also,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unit 11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body. The display unit 11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module, etc. that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1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touch pad is overlapped in a layered structure, so that the display unit 110 operates as a touch screen, so that information can be input by a user's touch. The display unit 110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terminal device. Since the display unit is formed of liquid crystal, it is vulnerable to external impact, and in particular, is more likely to be damaged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a corner or vertex.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부(110) 및 기타 바디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해, 막대형 댐퍼(100)를 단말 장치 바디의 모서리 부분에 부착하여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In the mobi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tect the display unit 110 and other body components, the rod-type damper 100 is attached to the edge of the terminal device body to alleviate the impact. there i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막대형 댐퍼(100)는 충돌로 인하여 인가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완충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충격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내부에 공기나 점성 유체를 포함하는 에어댐퍼(완층 버블 형태 포함)나 오일댐퍼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막대형 댐퍼(100)는 실리콘 레진, 에폭시 레진, 고무 재질 및/또는 연성 플라스틱 등의 재료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막대형 댐퍼(100)의 재료는 접착성 및 점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d-type damper 10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as to serve as a cushioning material for absorbing the impact force applied due to the collision. At this time, in order to increase the shock absorption rate, it may be manufactured as an air damper (including a foam bubble type) or an oil damper containing air or a viscous fluid therein. Preferably, the rod-type damper 100 may be made of at least one of a material such as a silicone resin, an epoxy resin, a rubber material, and/or a soft plastic. In some cases, the material of the rod-type damper 100 may include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dhesiveness and viscosity.
막대형 댐퍼(100)의 형상은 원통형, 반원형 또는 부체꼴형의 원통형, 사각형 형상의 직육면체형, 그 밖의 다른 다각형 형상의 육면체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shape of the rod-type damper 10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a semicircular shape or a floating body type cylinder type, a rectangular shape cuboid type, and other polygonal shape hexahedron.
추가적으로, 막대형 댐퍼(100)는 충격 흡수를 위한 최소한의 두께(또는 폭/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0.5cm 내지 1.5cm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7cm 내지 1cm인 것이 바람직하다. Additionally, the rod-type damper 100 preferably has a minimum thickness (or width/height) for shock absorption. It is preferable that it is 0.5 cm - 1.5 cm, More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hat it is 0.7 cm - 1 cm.
한편, 단말 장치 제조사가 막대형 댐퍼와 막대형 댐퍼를 수용하기 위한 댐퍼 홈을 함께 제조하여 막대형 댐퍼가 구비된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단말 장치 제조사는 단말의 바디에 적합한 막대형 댐퍼 홈만 만들어서, 막대형 댐퍼 홈이 구비된 단말 장치를 제조하고, 단말 장치 제조사가 아닌, 별도의 댐퍼 제조사가 단말 장치에 구비된 막대형 댐퍼 홈에 대응하는 막대형 댐퍼를 제조하여 이원화된 생산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Meanwhile, a terminal device manufacturer may provide a terminal device equipped with a rod-type damper by manufacturing a rod-type damper and a damper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rod-type damper. In another example, a terminal device manufacturer manufactures a terminal device equipped with a rod-type damper groove by making only a rod-type damper groove suitable for the body of the terminal, and a separate damper manufacturer, not a terminal device manufacturer, provides a rod-type damper groove provided in the terminal device A dual production system can be established by manufacturing a rod-type damper corresponding to the damper groove.
도 2는 막대형 댐퍼(damper)와 모바일 단말 장치 모서리 부분의 형상 및 둘 간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막대형 댐퍼 및 이를 수용하는 댐퍼 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ape of a bar-type damper and a corner portion of a mobile terminal device and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bar-type damper of FIG. 2 and a damper groove accommodating the sam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막대형 댐퍼(100)는 슬라이드 끼움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 장치 바디의 모서리 부분(120)에 안착된다. 이때, 막대형 댐퍼(100)의 슬라이드 끼움을 위해, 바디에는 댐퍼 홈(105)이 구비된다. 댐퍼 홈(105)은 슬라이드 끼움 방식으로 막대형 댐퍼(100)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며, 막대형 댐퍼(100)에 대응하는 모양을 갖는다. 2 and 3 , the rod-type damper 100 is seated on the edge portion 120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body in a slide fitting manner. At this time, for slide fitting of the rod-type damper 100, a damper groove 105 is provided in the body. The damper groove 105 has a shape that can accommodate the rod-type damper 100 in a slide-fitting manner,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od-type damper 100 .
도 2 및 도 3의 상단 도면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단말 바디의 모서리 부분(120)에 모서리의 길이방향에 수직항 방향으로 바디로부터 외부를 향해 요철(凸) 형상의 돌출된 부분(130)이 추가되어, 상기 요철 형상의 돌출된 부분(130)에 의해 오목하게 파인 댐퍼 홈(105)이 형성될 수 있다. 막대형 댐퍼(100)는 댐퍼 홈(105) 및 상기 돌출된 부분(1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막대형 댐퍼(100)는 요철(凸) 형상의 빈 공간을 가지며, 이를 감싸는 형상을 가진다. 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the upper drawing of FIGS. 2 and 3 , a protruding portion 130 of a concave-convex shape toward the outside from the bod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on the edge portion 120 of the terminal body. With this addition, a concave damper groove 105 may be formed by the protruding portion 130 having the concave-convex shape. The rod-type damper 10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amper groove 105 and the protruding portion 130 . The rod-type damper 100 has an empty space of an uneven shape, and has a shape surrounding it.
도 2 및 도 3의 하단 도면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단말 바디의 모서리 부분(120)에 요철(凸) 형상의 오목하게 파인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하게 파인 부분이 댐퍼 홈(105)이 된다. 막대형 댐퍼(100)는 댐퍼 홈(10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철(凸) 형상의 돌출된 부분을 갖는다.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the lower drawing of FIGS. 2 and 3 , a concave recessed portion having a concave-convex shape may be formed in the edge portion 120 of the terminal body. The recessed portion becomes the damper groove 105 . The rod-type damper 10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amper groove 105 and has a protruding portion in a concave-convex shape.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딩을 위한 요철 형상은 凸와 같이 각진 형상으로 표현되었지만, 반드시 각진 형상을 가져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원형 또는 그 밖의 라운드진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cavo-convex shape for sliding is expressed as an angular shape such as 凸, but does not necessarily have an angular shape, and may have a circular or other rounded shape.
추가적으로, 막대형 댐퍼(100)의 슬라이딩 후 고정된 위치를 사수하기 위해, 댐퍼 홈(105)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막대형 댐퍼(100) 역시 댐퍼 홈(105)의 연속된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를 구비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댐퍼(1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in order to hold the fixed position after sliding of the rod-type damper 100 , continuous protrusions may be formed in the damper groove 10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od-type damper 100 may also have protrusion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tinuous protrusions of the damper grooves 105 so that the damper 100 can be fixed at a desired position.
또한, 슬라이드 끼움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막대형 댐퍼(100)는 착탈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할 때 끼워서 사용하다가, 원하지 않을 때 또는 오래되서 교체가 필요할 때는 이를 제거하고 사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since it adopts a slide fitting method, the rod-type damper 100 can be detachably used. In other words, it can be used by inserting it when the user wants it, and can be removed and used when the user does not want it or when it needs to be replaced because it is old.
한편, 막대형 댐퍼(100)의 슬라이딩은 모터와 모터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이용하여 자동 이동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 홈(105) 내부에 구동 바퀴를 구비하고, 구동 바퀴에 체인(chain)을 연결하여, 막대형 댐퍼(100)가 댐퍼 홈(105)에 수용될 시, 모터를 통해 체인을 회전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막대형 댐퍼(100)를 자동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체인에는 레일(rail)이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liding of the rod-type damper 100 may be implemented so that automatic movement is possible using a motor and a switch controlling the motor. For example, a driving wheel is provided inside the damper groove 105 and a chain is connected to the driving wheel so that when the rod-type damper 100 is accommodated in the damper groove 105, the chain is driven through a motor.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slide the rod-type damper 100 by using the rotating principle. To this end, a rail may be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chain.
도 4는 막대형 댐퍼와 모서리 부분과의 길이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length relationship between the rod-type damper and the corner portion.
도 4를 참조하면, 막대형 댐퍼(100)는 단말 바디의 모서리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말 바디의 모서리의 길이가 5cm 라면, 그에 약 0.2 내지 0.5cm의 마진(margin)을 두어 5.2cm 내지 5.5cm의 길이를 갖도록 막대형 댐퍼(100)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마진 길이는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길이 관계는 긴 쪽 모서리 쌍 부분에 막대형 댐퍼(100)가 적용될 때뿐만 아니라 짧은 쪽 모서리 쌍 부분에 막대형 댐퍼(100)가 적용될 때도 모두 고려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rod-type damper 100 is preferably formed to be slightly longer than the edge of the terminal body. That is, if the length of the edge of the terminal body is 5 cm,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rod-type damper 100 to have a length of 5.2 cm to 5.5 cm by placing a margin of about 0.2 to 0.5 cm thereon. This margin length may be preset. This length relationship can be considered both when the rod-type damper 100 is applied to the long edge pair portion as well as when the rod-type damper 100 is applied to the short edge pair portion.
이를 통해, 한 쌍의 모서리들에만 막대형 댐퍼(100)가 구비되더라도, 막대형 댐퍼(100)가 구비되지 않은 모서리들로 가해지는 충격을 막대형 댐퍼(100)의 마진 부분을 통해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단말 바디의 4개 꼭지점 부분을 두 개의 막대형 댐퍼(100)만으로 모두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Through this, even if the rod-type damper 100 is provided only in a pair of corners, the shock applied to the corners where the rod-type damper 100 is not provided can be protected through the margin of the rod-type damper 100. there is.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tecting all four vertices of the terminal body with only two rod-type dampers 100 .
도 5는 버튼 부분을 위한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orming an opening for a button portion;
도 5를 참조하면, 단말 바디의 모서리 부분에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음량 조절을 위한 버튼, 장치 기능의 온/오프 입력을 위한 버튼, 슬라이드 방식의 버튼, 마이크, 전원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등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various user interfaces may be provided at the edge of the terminal body. In particular, it may be a button for volume control, a button for on/off input of a device function, a slide-type button, a microphone, an interface for power input, and the like.
막대형 댐퍼(100)는 상기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에 대응하는 개구면(140)을 두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을 가함에 있어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개구면(140)은 하나의 댐퍼(100)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개구면(140)의 형상 및 위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od-type damper 100 may be configur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user's input to the user interface by providing the opening surface 140 corresponding to the user interface portio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opening surfaces 140 may be provided in one damper 100 ,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opening surface 140 correspond to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user interface.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막대형 댐퍼가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모서리 부분에 안착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rod-type damper is seated on a corner portion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막대형 댐퍼(100)는 나사 방식, 억지끼움 방식 및/또는 볼트/너트 방식 등을 통해 단말 장치에 안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접착부직포, 본드, 테이프 등의 접착 가능한 재료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방식을 통해 장치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막대형 단말(100)에 슬라이딩 기능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막대형 댐퍼(100)의 일 영역에 탄성을 갖는 갈고리 형태의 부재를 구비하고, 단말 바디에 그에 대응하여 갈고리 형태의 부재가 안착되는 댐퍼 홈(105)을 구비함에 의해 막대형 댐퍼(100)를 댐퍼 홈(105)에 안착시킬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rod-type damper 100 may be seated in the terminal device through a screw method, an interference fit method, and/or a bolt/nut method. In some cases, it may be secured to the device through an adhesive method using an adhesive material such as an adhesive non-woven fabric, a bond, or a tape. In this case, the sliding function may not be provided to the rod-type terminal 100 . Alternatively, by providing a hook-shaped member having elasticity in an area of the rod-type damper 100, and providing a damper groove 105 in which the hook-shaped member is seated correspondingly to the terminal body, the rod-type damper 100 may be seated in the damper groove 105 .
다양한 형태의 안착 방식에 대해서는, 도 7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Various types of mounting method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
도 7은 도 6의 안착 방식을 부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additionally explaining the seating method of FIG. 6 .
도 7의(a)를 참조하면, 막대형 댐퍼(100)는 나사(150)에 의해 단말 바디의 모서리 부분에 안착될 수 있다. 단말 바디의 모서리 부분에는 내부를 향해 나사 홈(10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댐퍼 홈'에 대응될 수 있다. 막대형 댐퍼(100)에도 상기 나사 홈(105)에 대응하는 위치에 역시 나사 홈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나사(150)가 막대형 댐퍼(100)의 나사 홈을 관통하여 나사 홈(105)에 들어감으로써 막대형 댐퍼(100)가 단말 바디에 안착된다. 이때, 나사 홈의 위치는 단말 바디의 상면, 하면 및 모서리 측면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나사 방식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 및 너트를 위한 홈이 형성되어 나사 방식이 아니라 볼트/너트 방식으로 막대형 댐퍼(100)가 단말 바디에 안착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7A , the rod-type damper 100 may be seated on a corner portion of the terminal body by a screw 150 . A screw groove 105 may be formed in the edge portion of the terminal body toward the inside. This may correspond to the 'damper groove' described above. A screw groove is also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w groove 105 in the rod-type damper 100 . Through this, the screw 150 penetrates the screw groove of the rod-type damper 100 and enters the screw groove 105 , so that the rod-type damper 100 is seated on the terminal body.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screw groove may be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and the edge side of the terminal body. Grooves for bolts and nuts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crew method, so that the rod-type damper 100 may be seated on the terminal body in a bolt/nut method instead of a screw method.
도 7의(b)를 참조하면, 막대형 댐퍼는 억지끼움에 의해 안착될 수 있다. 억지끼움을 위해, 막대형 댐퍼(100)는 모서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모서리 부분을 감쌀 수 있는 암(arm)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억지끼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암 부분의 종단에 대응하는 위치의 단말 바디 부분에 얕은 높이의 댐퍼 홈(105)이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와 같은 억지끼움을 위한 별도의 댐퍼 홈(105) 없이도 막대형 댐퍼(100)의 높이와 모서리 부분의 높이에 약간의 공차를 두고 프레스 공정 등을 통해 막대형 댐퍼(100)를 안착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7B , the rod-type damper may be seated by an interference fit. For the interference fit, the rod-type damper 100 may include an arm portion capable of wrapping the corner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ner. In one exampl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interference fit, a shallow damper groove 105 may be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arm portion. In another example, without a separate damper groove 105 for interference fit as described above, with a slight tolerance in the height of the rod-type damper 100 and the height of the corner portion, the rod-type damper 100 through a press process, etc. can be anchored.
도 7의 (c)를 참조하면, 억지끼움을 위한 암 부분(130)이 막대형 댐퍼(100)가 아닌, 단말 바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모서리 부분에 막대형 댐퍼(100)를 수용하기 위해 돌출된 암 부분이 추가로 구비되어, 막대형 댐퍼(100)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암 부분(130)의 종단은 막대형 댐퍼(100)의 곡률을 따라 약간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막대형 댐퍼(100)를 안정적으로 수용하도록 도울 수 있다. Referring to (c) of FIG. 7 , the arm part 130 for interference fit may be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part instead of the rod-type damper 100 . That is, an arm portion protruding to accommodate the rod-type damper 10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t the corner portion to accommodate the rod-type damper 100 . In this case, the end of the arm part 130 may be formed in a slightly curved shape along the curvature of the rod-type damper 100 to help stably accommodate the rod-type damper 100 .
한편, 도 7의 (b) 및 (c)와 같은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 및 막대형 댐퍼(100)는 막대형 댐퍼(100) 및/또는 단말 바디의 돌출된 형상의 암 부분을 통해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7 (b) and (c), the terminal device and the rod-type damper 100 slide through the protruding arm portion of the rod-type damper 100 and/or the terminal body. This can be made possible.
도 8은 막대형 댐퍼에 포인트형 댐퍼가 부가된 완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ffer member to which a point-type damper is added to a rod-type damper.
도 8을 참조하면, 막대형 댐퍼(100)의 양 종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포인트형 댐퍼(102)가 부착되어 단말 바디의 모서리 부분뿐만 아니라 꼭지점 부분을 추가적으로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포인트형 댐퍼(102)는 적은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다각형, 원형, 반원형, 부채꼴형의 댐퍼로, 막대형 댐퍼(100)와 같이, 완충재 역할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막대형 댐퍼(100)와 포인트형 댐퍼(102)의 부착은 나사, 볼트/너트, 접착 및 억지끼움 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a point-type damper 102 may be attached to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rod-type damper 100 to additionally protect not only the edge portion of the terminal body but also the vertex portion. The point-type damper 102 is a polygonal, circular, semi-circular, or sector-shaped damper having a small constant area, and, like the rod-type damper 100 ,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serving as a cushioning material. The attachment of the rod-type damper 100 and the point-type damper 102 may be made through screws, bolts/nuts, bonding, and interference fit methods.
도 8의 하단의 실시예에서, 막대형 댐퍼(100) 내부로 나사홈(155)이 뚫려 있고, 포인트형 댐퍼(102)가 나사(150)에 의해 막대형 댐퍼(10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8의 하단의 실시예에는, 포인트형 댐퍼(102)는 막대형 댐퍼(100)의 길이방향으로 부착되었지만, 다른 방향으로 부착되어도 무방하다. 즉, 나사홈(155)은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포인트형 댐퍼(102)는 막대형 댐퍼(1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은 단말 바디의 상면 및 하면에 대응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인트형 댐퍼(100)는 상면 및 하면 중 하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부착될 수도 있고, 상면 및 하면 모두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하나의 막대형 댐퍼(100)에 두 개의 포인트형 댐퍼(102)가 위아래로 부착될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 at the bottom of FIG. 8 , a screw groove 155 is drilled into the rod-type damper 100 , and the point-type damper 102 may be attached to the rod-type damper 100 by a screw 150 . . In the embodiment at the bottom of FIG. 8 , the point-type damper 102 is atta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type damper 100 , but may be attached in other directions. That is, the screw grooves 155 may be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In another example, the point-type damper 102 may be attach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type damper 100 . In this case,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erminal body. Accordingly, the point-type damper 100 may be attach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two point-type dampers 102 to one rod-type damper 100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 may be attached up and down.
포인트형 댐퍼(100)는 꼭지점 부분의 사면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사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꼭지점 부분의 3개 면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삼면체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point-type damper 100 may be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tetrahedron with a shape surrounding the slopes of the vertex portion, or may be configured in a trihedral shape with a shape surrounding three surfaces of the vertex por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방지를 위한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for preventing imp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도 9의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는 도 1의 그것과 같이, 단말기 본체와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하며, 바디 구성 및 내부 구성요소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갖거나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9 ,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of FIG. 9 includes a terminal body and a display unit 110 as in FIG. 1 , and the body and internal components are the same or similar to those of FIG. 1 . has or performs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완충부재(100)는 단말 장치 자체적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충격 방지용 케이스 없이도 단말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100)는 포인트형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면적을 갖는다. 완충부재(100)는 아주 적은 면적으로 충격 방지 효과를 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트형 댐퍼(100)는 충격에 취약한 모서리 및/또는 꼭지점(코너(corner)라 부를 수 있음) 부분과 같이, 충격에 특히 취약한 부분에 이산적으로 분포되어 적은 수로도 단말 장치가 외부 충격에 강인하도록 만든다. On the other hand, the buffer member 100 of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the terminal device itself, it can protect the terminal device without a separate case for preventing impact. The buffer member 100 is formed in a point shape and has a certain area. The cushioning member 100 may have an impact preventing effect with a very small area. In particular, the point-type damper 100 is discretely distributed in parts particularly vulnerable to shock, such as corners and/or vertices (which may be referred to as corners) parts that are vulnerable to shock, so that even a small number of terminal devices are external make it resistant to imp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부(110) 및 기타 바디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해, 포인트형 댐퍼(100)를 단말 장치 바디의 모서리 및/또는 꼭지점 부분에 부착하여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때, 바디 상면과 바디 하면의 2개 면의 모서리 및/또는 꼭지점 부분에 각각 포인트형 댐퍼(100)가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바디 상면에 4개의 모서리와 바디 상면의 4개의 꼭지점에 모두 포인트형 댐퍼(100)가 배열될 수 있고, 바디 하면의 4개의 모서리와 바디 하면의 4개의 꼭지점 부분에 모두 포인트형 댐퍼(100)가 배열될 수 있다. 총 16개의 댐퍼(100)가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보다 적은 수로 효율적으로 충격방지 효과를 내기 위해, 16개의 포인트들 중 일부에만 포인트형 댐퍼(100)가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모서리 쌍 중 짧은 길이의 모서리 쌍에는 포인트형 댐퍼(100)를 배열하지 않을 수 있다. 보통 송수화기 기능을 위해, 바디 상면의 짧은 길이의 모서리 쌍 부근에 마이크 및 스피커가 배열된다. 이에, 포인트형 댐퍼(100)에 의해 마이크 및 스피커의 기능을 방해할 수 있기에, 짧은 길이의 모서리 쌍에는 포인트형 댐퍼(100)를 배열하지 않고, 긴 길이의 모서리 쌍에만 포인트형 댐퍼(100)를 배열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면에 6개의 댐퍼(100)가 배열되고, 양 면에 6개씩 배열되는 것을 고려하면, 총 12개의 댐퍼(100)가 배열된다. 경우에 따라, 꼭지점에만 포인트형 댐퍼(100)를 배열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 때는, 8개의 댐퍼(100)만이 필요할 수 있다. In the mobi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tect the display unit 110 and other components inside the body, the point-type damper 100 is attached to the corners and/or vertices of the terminal device body. can alleviate In this case, the point-type damper 100 may be arranged at the corners and/or vertices of the two surfac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point-type dampers 100 may be arranged on all four corner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four vertic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point-type dampers ( 100) can be arranged. A total of 16 dampers 100 may be arranged. In another example,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impact with a smaller number, the point-type damper 100 may be arranged only in some of the 16 points. In particular, the point-type damper 100 may not be arranged in the pair of corners having a shorter length among the pair of corners. Usually for handset function, a microphone and speaker are arranged near a pair of short-length corners on the top of the body. Accordingly, since the function of the microphone and the speaker may be disturbed by the point-type damper 100, the point-type damper 100 is not arranged on the short-length edge pair, only the long-length edge pair of the point-type damper 100. may be considered to be arranged. In this case, considering that six dampers 100 are arranged on one surface and six are arranged on both surfaces, a total of 12 dampers 100 are arranged. In some cases, arranging the point-type damper 100 only at the vertices may be considered. In this case, only eight dampers 100 may be requir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인트형 댐퍼(100)는 충돌로 인하여 인가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완충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충격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내부에 공기나 점성 유체를 포함하는 에어댐퍼(완층 버블 형태 포함)나 오일댐퍼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인트형 댐퍼(100)는 실리콘 레진, 에폭시 레진, 고무 재질 및/또는 연성 플라스틱 등의 재료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포인트형 댐퍼(100)의 재료는 접착성 및 점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int-type damper 10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as to serve as a cushioning material for absorbing the impact force applied due to the collision. At this time, in order to increase the shock absorption rate, it may be manufactured as an air damper (including a foam bubble type) or an oil damper containing air or a viscous fluid therein. Preferably, the point-type damper 100 may be made of at least one of a material such as a silicone resin, an epoxy resin, a rubber material, and/or a soft plastic. In some cases, the material of the point-type damper 100 may include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dhesiveness and viscosity.
추가적으로, 포인트형 댐퍼(100)는 충격 흡수를 위한 최소한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0.5cm 내지 1.5cm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7cm 내지 1cm인 것이 좋다. Additionally, the point-type damper 100 preferably has a minimum thickness for shock absorption. It is preferably 0.5 cm to 1.5 cm, and more preferably, 0.7 cm to 1 cm.
또한, 포인트형 댐퍼(100)의 크기 역시 충격 흡수를 위한 최소한의 크기를 갖는 것이 좋다. 동전 크기만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0.8㎠ 내지 3㎠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의 면적을 갖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the point-type damper 100 also has a minimum size for shock absorption. A coin the size of a coin is desirable.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o have an area of 0.8 cm 2 to 3 cm 2, more preferably, an area of 1 cm 2 to 2 cm 2 .
한편, 단말 장치 제조사가 포인트형 댐퍼와 포인트형 댐퍼를 수용하기 위한 댐퍼 홈을 함께 제조하여 포인트형 댐퍼가 구비된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단말 장치 제조사는 단말의 바디에 적합한 포인트형 댐퍼 홈만 만들어서, 포인트형 댐퍼 홈이 구비된 단말 장치를 제조하고, 단말 장치 제조사가 아닌, 별도의 댐퍼 제조사가 단말 장치에 구비된 포임트형 댐퍼 홈에 대응하는 포인트형 댐퍼를 제조하여 이원화된 생산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Meanwhile, a terminal device manufacturer may provide a terminal device equipped with a point-type damper by manufacturing a point-type damper and a damper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point-type damper together. In another example, the terminal device manufacturer makes only a point-type damper groove suitable for the body of the terminal, and manufactures a terminal device equipped with a point-type damper groove, and a separate damper manufacturer, not the terminal device manufacturer, is provided in the terminal device. A dual production system can be established by manufacturing a point type damper corresponding to the damper groove.
도 10은 포인트형 댐퍼(damper)와 모바일 단말 장치 바디의 꼭지점 또는 모서리와의 크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1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ize relationship between a point type damper and a vertex or corner of a body of a mobile terminal device.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 바디의 테두리는 모서리 및 꼭지점 부분을 포함한다. 특히, 도 10의 실시예와 같이, 포인트형 댐퍼(100)가 꼭지점 부분(120)에 배치될 때, 포인트형 댐퍼(100)는 꼭지점 부분(120)에 대응되게 라운드지게(rounded)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봤을 때, 포인트형 댐퍼(100)의 반경(d 1)은 상기 포인트형 댐퍼(100)의 중심점(C)으로부터 꼭지점 부분(120)까지의 거리(d 2)보다 길게 형성되어 꼭지점 부분(120)이 바닥에 닿기 전에 포인트형 댐퍼(100)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디의 꼭지점 부분(120)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때에, 포인트형 댐퍼(100)의 중심점(C)으로부터의 거리가 아니라, 포인트형 댐퍼(100)의 곡률반경 역시 꼭지점 부분(120)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꼭지점 부분(120)의 곡선 부분을 전체적으로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10 , the edge of the terminal device body includes corners and vertices. In particular, as in the embodiment of FIG. 10 , when the point-type damper 100 is disposed on the vertex portion 120 , the point-type damper 100 may be formed to be rounded to correspond to the vertex portion 120 . there is. At this time, when the terminal device is viewed from the top, the radius d 1 of the point-type damper 100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d 2 from the center point C of the point-type damper 100 to the vertex portion 120 . It is preferably formed to be long so that the point-type damper 100 can absorb the shock before the vertex portion 120 touches the floor. In addition, when the vertex portion 120 of the body is formed to be rounded, not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C of the point-type damper 100, bu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point-type damper 100 is also the curvature radius of the vertex portion 120 It is preferable to form a larger shape to protect the curved portion of the vertex portion 120 as a whole.
다른 예에서, 꼭지점 부분(120)이 라운드지지 않고, 사각형과 같은 형상인 경우에도, 포인트형 댐퍼(100)의 중심점(C)부터 단말의 꼭지점(120)까지의 거리는 포인트형 댐퍼(100)의 반경(d 1)보다 작게 형성되어, 포인트형 댐퍼(100)에 의해 꼭지점 부분(120)이 완벽히 커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서리 부분과의 관계에서도 모서리 부분이 포인트형 댐퍼(100)에 의해 완벽히 커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nother example, even if the vertex portion 120 is not rounded and has a rectangular shape,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C of the point-type damper 100 to the vertex 120 of the terminal is that of the point-type damper 100. It is preferably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radius d 1 , so that the vertex portion 120 is completely covered by the point-type damper 100 . In relation to the corner portion, it is preferable to completely cover the corner portion by the point-type damper 100 .
도 11은 도 10의 포인트형 댐퍼를 수용하기 위한 댐퍼 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amper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point-type damper of FIG. 10 .
도 11을 참조하면, 포인트형 댐퍼(100)는 댐퍼 홈(105)에 수용된다. 댐퍼 홈(105)은 포인트형 댐퍼(100)를 안착시키기 위해 모서리 및/또는 꼭지점에 배열되는 오목한 부분으로, 단말 장치 내에 하나 또는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 홈(105)은 포인트형 댐퍼(1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나사 홈이나, 볼트/너트 홈과 같이 얇고 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the point-type damper 100 is accommodated in the damper groove 105 . The damper grooves 105 are concave portions arranged at corners and/or vertices to seat the point-type damper 100, and may be formed in one or a plurality of pieces in the terminal device. The damper groove 105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int-type damper 100 . It may have a thin and long shape such as a screw groove or a bolt/nut groove.
댐퍼 홈(105)은 포인트형 댐퍼(100)가 배열되는 위치마다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서리 부분에 배열될 때와 꼭지점 부분에 배열될 때, 댐퍼 홈의 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모서리 부분에서도 바디 상면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댐퍼 홈의 형상과 바디 하면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댐퍼 홈의 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댐퍼 홈과 포인트형 댐퍼(100)의 안착 방식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damper grooves 105 may be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positions where the point-type dampers 100 are arranged.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damper groove may be different from when it is arranged at the corner part and when it is arranged at the vertex part. Also, in the corner portion, the shape of the damper groove for the corn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shape of the damper groove for the corn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damper groove and the seating method of the point-type damper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12는 포인트형 댐퍼가 댐퍼 홈에 안착되는 방식의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12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a point-type damper is seated in a damper groove.
도 12를 참조하면, 포인트형 댐퍼(100)는 나사 방식, 억지끼움 방식 및/또는 볼트/너트 방식 등을 통해 장치에 안착될 수 있다. 또는, 포인트형 댐퍼(100)가 탄성을 갖는 갈고리 형태의 부재를 구비하고, 단말 바디에 그에 대응하여 갈고리 형태의 부재가 안착되는 댐퍼 홈(105)을 구비함에 의해 포인트형 댐퍼(100)를 댐퍼 홈(105)에 안착시킬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 point-type damper 100 may be seated in the device through a screw method, an interference fit method, and/or a bolt/nut method. Alternatively, the point-type damper 100 is provided with a member in the form of a hook having elasticity, and a damper groove 105 in which the member in the shape of a hook is seated correspondingly to the terminal body is provided. It may be seated in the groove 105 .
먼저, 도 12의 (a)를 참조하면, 포인트형 댐퍼(100)의 폭보다 약간 적은 폭의 댐퍼 홈(105)을 형성하여, 소폭의 공차에 의해 포인트형 댐퍼(100)가 댐퍼 홈(105)에 안착될 수 있도록 포인트형 댐퍼(100)와 댐퍼 홈(105)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확실한 압착을 위해 프레스 공정이 가해질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12A , a damper groove 105 having a width slightly smaller than that of the point-type damper 100 is formed, and the point-type damper 100 is connected to the damper groove 105 by a narrow tolerance. ), the point-type damper 100 and the damper groove 105 may be formed to be seated in the . At this time, a pressing process may be applied for reliable compression.
도 12의 (b)를 참조하면, 포인트형 댐퍼(100)는 나사 홈 형상의 댐퍼 홈(105)에 나사 방식으로 안착될 수 있다. 즉, 단말 장치에는 바디 내부로 나사 홈(105)이 뚫려 있고, 포인트형 댐퍼(100)에도 나사 홈이 뚫려 있어, 나사(130)가 포인트형 댐퍼(100)를 통과하여 댐퍼 홈(105)에 끼워짐에 의해 포인트형 댐퍼(100)를 나사 홈(105)에 안착시킬 수 있다. 나사(130)도 충격 흡수 가능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B , the point-type damper 100 may be screwed onto the damper groove 105 having a screw groove shape. That is, the terminal device has a screw groove 105 inside the body, and a screw groove is also formed in the point-type damper 100, so that the screw 130 passes through the point-type damper 100 to the damper groove 105. By fitting, the point-type damper 100 may be seated in the screw groove 105 . The screw 130 may also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shock.
도 12의 (c)를 참조하면, 포인트형 댐퍼(100)의 하부에 억지끼움을 위한 부재를 별도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포인트형 댐퍼(100)의 하부에 얇은 세장형 부재(102)를 두어 세장형 부재(102)가 그에 대응하는 형상의 댐퍼 홈(105)에 안착되는 형태로 포인트형 댐퍼(100)가 배열될 수 있다. 이때도 프레스 공정 등의 별도의 억지끼움 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C , a member for interference fitting may be separately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oint-type damper 100 . For example, by placing a thin elongated member 102 under the point-type damper 100, the point-type damper 100 is seated in a damper groove 105 of a corresponding shape. can be arranged. Also at this time, a separate press-fitting process such as a press process may be added.
도 12의 (d)를 참조하면, 포인트형 댐퍼(100)는 볼트(132)와 너트(13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바디 내부로 볼트(132)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댐퍼 홈(10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볼트(132)와 너트(134)도 충격 흡수 가능하도록 점탄성을 갖는 부재로 제조될 수 있다. Referring to (d) of FIG. 12 , the point-type damper 100 may be fixed by a bolt 132 and a nut 134 . In the terminal device, a damper groove 105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bolt 132 into the body. At this time, the bolt 132 and the nut 134 may also be made of a member having viscoelasticity to absorb shock.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한 방식에 의해 포인트형 댐퍼(100)는 댐퍼 홈(105)에 착탈식으로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트형 댐퍼(100)가 오랜 사용으로 인해, 변형이 많이 일어난 경우, 이를 교환하기 위해 포인트형 댐퍼(100)를 댐퍼 홈(105)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새로운 포인트형 댐퍼(100)를 상기 댐퍼 홈(105)에 부착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int-type damper 100 may be detachably seated in the damper groove 105 by the above method. For example, when the point-type damper 100 is deformed a lot due to long-term use, the point-type damper 100 can be removed from the damper groove 105 to replace it, and a new point-type damper 100 ) may be attached to the damper groove 105 .
한편, 다른 예에서, 점성 또는 접착성을 이용하여 포인트형 댐퍼(100)가 장치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부직포를 이용하여 포인트형 댐퍼(100)를 부착할 수도 있고, 본드나 테이프 등의 접착 수단을 통해 부착할 수도 있다. Meanwhile, in another example, the point-type damper 100 may be attached to the device using viscosity or adhesiveness. For example, the point-type damper 100 may be attached using an adhesive non-woven fabric, or may be attached through an adhesive means such as a bond or a tape.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모서리 부분에 안착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1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being seated on a corner portion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포인트형 댐퍼(100)는 바디 상면과 바디 하면에 별도의 포인트형 댐퍼(100)를 사용하여 2개의 댐퍼(100)로 충격 방지 효과를 낼 수도 있지만, 바디 상면과 바디 하면을 함께 보호할 수 있도록 일체형 포인트형 댐퍼(100)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면을 보호하기 위해 일정 면적을 갖는 제 1 완충부(100-1)와 하면을 보호하기 위해 일정 면적을 갖는 제 2 완충부(100-2)가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 the point-type damper 100 uses separate point-type dampers 10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to produce an impact prevention effect with two dampers 100 , but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It may also be formed as an integrated point-type damper 100 to protect them together. That is, the first buffer unit 100-1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o protect the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buffer unit 100-2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o protect the lower surface may be formed in a connected form.
도 13의 실시예에서, 모서리 부분(122)에 안착되는 포인트형 댐퍼(100)는 상면 보호를 위한 제 1 완충부(100-1)와 하면 보호를 위한 제 2 완충부(100-2)를 포함하고, 이 둘은 연결부(100-3)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100-3) 역시 완충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완충부(100-1)는 바디 상면 상에, 제 2 완충부(100-2)는 바디 하면 상에, 그리고 연결부(100-3)는 모서리 부분(122)의 측면 상에 배열된다. 이를 통해 모서리 부분(122)을 완벽하게 둘러쌀 수 있고, 이를 통해 모서리 부분(122)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즉, 모서리 부분(122)의 삼면에 완충 효과를 제공한다. In the embodiment of FIG. 13 , the point-type damper 100 seated on the edge portion 122 includes a first buffer part 100-1 for protecting the upper surface and a second buffer part 100-2 for protecting the lower surface. Including, the two ar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100-3).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art 100-3 is also formed of a buffer member. The first buffer unit 100-1 is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he second buffer unit 100-2 is arrang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connection part 100-3 is arrang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orner portion 122.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surround the corner portion 122 , thereby reducing the impact of the corner portion 122 . That is, it provides a cushioning effect on three surfaces of the corner portion 122 .
모서리 부분(122)에 이러한 포인트형 댐퍼(100)를 고정하기 위해, 억지끼움, 나사 및/또는 볼트/너트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포인트형 댐퍼(100)의 제 1 완충부(100-1)와 제 2 완충부(100-2)의 종단에 갈고리 형태의 부재를 포함하고, 바디 상면 및 바디 하면에 그에 대응하는 댐퍼 홈(120)이 형성되어, 고정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프레스 공정 등을 통한 억지끼움 방식이 도입될 수 있다. In order to fix the point type damper 100 to the corner portion 122, an interference fit, a screw and/or a bolt/nut method may be used. In one example, including a hook-shaped member at the ends of the first buffer 100-1 and the second buffer 100-2 of the point-type damper 100,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and lower body of the body The damper groove 120 is formed, and a method of fixing it may be used. At this time, an interference fit method through a press process or the like may be introduced.
또는, 연결부(100-3)에 나사 홈을 형성하고, 단말 장치 내부에도 이와 대응하는 나사 홈(105)을 형성하여 나사(130)에 의해 포인트형 댐퍼(10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나사 홈은 반드시 연결부(100-3)에 배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제 1 완충부(100-1) 및 제 2 완충부(100-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열되어도 무방하다. Alternatively, a screw groove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100 - 3 , and a corresponding screw groove 105 may also be formed inside the terminal device so that the point-type damper 100 is fixed by the screw 130 . At this time, the screw groove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rranged in the connection part 100-3, and may be arrang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buffer part 100-1 and the second buffer part 100-2.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꼭지점 부분에 안착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1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being seated on a vertex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꼭지점 부분(120)에 안착되는 포인트형 댐퍼(100)는 바디 상면 보호를 위한 제 1 완충부(100-1)와 바디 하면 보호를 위한 제 2 완충부(100-2)를 포함하고, 이 둘은 연결부(100-3)를 통해 연결되며, 이때, 연결부(100-3)는 두 개의 모서리에 걸쳐 있어, 수직으로 꺽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100-3) 역시 완충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완충부(100-1)는 바디 상면 상에, 제 2 완충부(100-2)는 바디 하면 상에, 그리고 연결부(100-3)는 제 1 모서리 부분과 제 2 모서리 부분의 측면 상에 배열된다. 이를 통해 꼭지점 부분(120)의 사면을 완벽하게 둘러쌀 수 있고, 사면을 통해 가해지는 어떠한 형태의 충격에도 충격 완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the point-type damper 100 seated on the vertex part 120 includes a first buffer part 100-1 for prote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a second buffer part 100-2 for prote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Including, these two ar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100-3,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ortion 100-3 spans two corners, may have a vertically bent shape. The connection part 100-3 may also be formed of a buffer member. The first buffering part 100-1 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he second buffering part 100-2 i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connecting part 100-3 is on the side of the first corner portion and the second corner portion. are arranged i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surround the slope of the vertex portion 120 , and it is possible to exert a shock mitigating effect in any form of impact applied through the slope.
도 13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꼭지점 부분(120)에 도입되는 포인트형 댐퍼(100)도 억지끼움, 나사 및/또는 볼트/너트 방식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부(100-3)에 나사 홈을 형성하고, 단말 장치 내부에도 이와 대응하는 나사 홈(105)을 형성하여 나사(130)에 의해 포인트형 댐퍼(10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나사 홈은 반드시 연결부(100-3)에 배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제 1 완충부(100-1) 및 제 2 완충부(100-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열되어도 무방하다.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FIG. 13 , the point-type damper 100 introduced into the vertex portion 120 may also be fixed through an interference fit, a screw and/or a bolt/nut method. For example, a screw groove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100 - 3 , and a corresponding screw groove 105 may be formed inside the terminal device so that the point-type damper 100 is fixed by the screw 130 . At this time, the screw groove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rranged in the connection part 100-3, and may be arrang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buffer part 100-1 and the second buffer part 100-2.
도 15는 포인트형 댐퍼의 다양한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1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various shapes of a point-type damper.
도 15를 참조하면, 포인트형 댐퍼(100)는 다각형(사각형,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을 포함함), 원형, 반원형, 부채꼴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포인트형 댐퍼(100)는 꼭지점 부분(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꼭지점 부분(120)이 사각형상이면, 포인트형 댐퍼(100)의 형상도 사각형 또는 원형의 형상을 갖는 것이 좋고, 꼭지점 부분(120)이 라운드진 형상이면, 원형, 또는, 상기 라운드진 형상의 곡률 반경에 대응하는 곡률 반경을 갖는 반원형 또는 부채꼴형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15 , the point-type damper 10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polygons (including squares, triangles, pentagons, hexagons, etc.), circular, semicircular, and sectoral shapes. In particular, the point-type damper 100 preferably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vertex portion 120 . If the vertex portion 120 is rectangular, the shape of the point-type damper 100 may also have a rectangular or circular shape. It is preferable to have a semicircular or sectoral shape having a radius of curvature corresponding to .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examples, it does not mean tha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drawings or exampl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1.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에 있어서,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comprising: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고,The mobile terminal device has a polygonal shape,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일 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A display unit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바디(body)의 테두리는 복수 개의 모서리를 포함하고,The rim of the body surrounding the display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corners,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 하나 이상의 막대형 댐퍼(damper)를 구비하되,One or more rod-type damper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serve as a cushioning material are provided o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orners,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The rod-type damper has a constant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orners,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2.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슬라이드(slide) 끼움 방식으로 끼워지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The rod-type damper is fitted to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orners in a slide-fitting manner.
  3.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막대형 댐퍼를 슬라이드 끼움 방식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댐퍼홈을 추가로 구비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orners further include a damper groove formed in a concave shape to seat the rod-type damper in a slide fitting manner.
  4. 제 3 항에 있어서,4.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바디로부터 외측을 향해 요철(凸) 형상의 돌출된 부분을 가지며,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edges has a protruding portion of a concave-convex shape outwardly from the bod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댐퍼 홈은 상기 요철 형상의 돌출된 부분에 의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The damper groove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by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concave-convex shape,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5. 제 3 항에 있어서,4.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바디의 내부를 향해 요철(凸) 형상의 오목하게 파인 부분을 가지며,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rners has a concave portion of a concave-convex shape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댐퍼 홈은 상기 요청 형상의 오목하게 파인 부분에 의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The damper groove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by the concave recessed portion of the requested shape.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요철(凸)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드 끼움 방식에 따라 모서리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착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The rod-type damper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cave-convex shape and is seated to be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according to a slide fitting method.
  7.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막대형 댐퍼는 나사 방식 및 억지끼움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안착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The rod-type damper is seated by at least one of a screw method and an interference fit method,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8. 제 7 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막대형 댐퍼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되기 위해, 상기 막대형 댐퍼에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싸는 형상의 돌출된 암(arm) 부분이 추가로 형성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In order for the rod-type damper to be seat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rners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a protruding arm portion having a shape surround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rners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rod-type damper.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9. 제 7 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막대형 댐퍼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안착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막대형 댐퍼를 감싸는 형상의 돌출된 암 부분이 추가로 형성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In order for the rod-type damper to be seat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rners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a protruding arm portion of a shape surrounding the rod-type damper is additionally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rners. Device.
  10.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막대형 댐퍼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하나 이상의 포인트형 댐퍼를 추가로 구비하되,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rod-type damper, one or more point-type dampers are additionally provided,
    상기 포인트 형 댐퍼는 완충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 것으로, 일정한 면적을 갖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완충재인,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The point-type damper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act as a cushioning material, and is a cushioning material of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having a certain area,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11.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막대형 댐퍼는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모서리들에 끼워지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wherein the rod-type damper is fitted to a pair of corne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12.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막대형 댐퍼가 한 쌍의 모서리에 구비되고,The rod-type damper is provided at a pair of corners,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한 쌍의 모서리의 길이보다 기설정된 마진(margin) 길이만큼 길게 형성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The rod-type damper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pair of corners by a predetermined margin length,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13.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측면에 배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개구면를 형성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의 입력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wherein the rod-type damper forms an opening corresponding to a user interfac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an input operation to the user interface.
  14.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막대형 댐퍼는 실리콘 재질, 고무 재질, 및 연질 플라스틱 중 하나의 재질의 완충재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The rod-type damper is made of a cushioning material of one of a silicone material, a rubber material, and a soft plastic,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15.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막대형 댐퍼는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The rod-type damper is formed in a cylindrical or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16.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에 있어서,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comprising: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고,The mobile terminal device has a polygonal shape,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일 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A display unit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바디(body)의 테두리는 복수 개의 모서리를 포함하고,The rim of the body surrounding the display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corners,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모서리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 하나 이상의 막대형 댐퍼(damper)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댐퍼홈을 구비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Concave shape so that one or more rod-type damper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serve as a cushioning material while having a constant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rners can be seated o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orners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having a damper groove formed thereon.
  17.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충격 방지를 위한 막대형 댐퍼(damper)에 있어서,A rod-type damper for preventing impact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comprising:
    상기 막대형 댐퍼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안착되기 적합하도록, 모서리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충격 방지를 위한 막대형 댐퍼.The rod-type damper has a constant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dge so as to be suitable to be seated o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edges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and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serve as a cushioning material, a portable mobile terminal Rod dampers to protect the device from impact.
  18.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에 있어서,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comprising: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고,The mobile terminal device has a polygonal shape,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일 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A display unit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바디(body)의 테두리는 복수 개의 꼭지점 및 복수 개의 모서리를 포함하고,The border of the body surrounding the display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es and a plurality of corners,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 하나 이상의 포인트형 댐퍼(damper)를 구비하되,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vertices and the plurality of corners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point-type damper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serve as a cushioning material,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일정한 면적을 갖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The point-type damper has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d has a constant area,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19.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에 있어서,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comprising: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고,The mobile terminal device has a polygonal shape,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일 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A display unit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둘러싸는 바디(body)의 테두리는 복수 개의 꼭지점 및 복수 개의 모서리를 포함하고,The border of the body surrounding the display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es and a plurality of corners,
    상기 복수 개의 꼭지점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작된 하나 이상의 포인트형 댐퍼(damper)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댐퍼홈을 구비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A damper groove formed in a concave shape to seat one or more point-type damper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serve as a cushioning material i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vertices and the plurality of corners; ,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s.
  20.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충격 방지를 위한 포인트형 댐퍼(damper)에 있어서,In the point-type damper (damper) for preventing the impact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상기 포인트형 댐퍼는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복수 개의 꼭지점 및 상기 복수 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에 안착되기 적합하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일정한 면적을 가지면서 완충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는, 휴대용 모바일 단말 장치의 충격 방지를 위한 포인트형 댐퍼.The point-type damper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serve as a cushioning material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so as to be suitable to be seated o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vertices and the plurality of corners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A point-type damper for preventing the impact of a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PCT/KR2021/000451 2020-10-15 2021-01-13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for shock protection WO2022080593A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318 2020-10-15
KR1020200133318A KR102273503B1 (en) 2020-10-15 2020-10-15 Portable mobile terminal apparatus for shock prevention
KR1020200133319A KR102272176B1 (en) 2020-10-15 2020-10-15 Portable mobile terminal apparatus for shock prevention
KR10-2020-0133319 2020-10-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0593A1 true WO2022080593A1 (en) 2022-04-21

Family

ID=8120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0451 WO2022080593A1 (en) 2020-10-15 2021-01-13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for shock prot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2080593A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2938A (en) * 2002-01-09 2003-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ortable information processor
JP2010067730A (en) * 2008-09-10 2010-03-25 Canon Electronics Inc Shock absorbing structure
KR20130086432A (en) * 2012-01-25 2013-08-02 이진영 Mobile case
JP3206197U (en) * 2016-06-23 2016-09-01 株式会社ワールド・クリエイト Protective cover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20170048634A (en) * 2015-10-26 2017-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Buff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2938A (en) * 2002-01-09 2003-07-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ortable information processor
JP2010067730A (en) * 2008-09-10 2010-03-25 Canon Electronics Inc Shock absorbing structure
KR20130086432A (en) * 2012-01-25 2013-08-02 이진영 Mobile case
KR20170048634A (en) * 2015-10-26 2017-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Buff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3206197U (en) * 2016-06-23 2016-09-01 株式会社ワールド・クリエイト Protective cover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68748A1 (en) Flexible display cover pl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WO2017078394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waterproof structure
WO2016125947A1 (en) Mobile terminal
WO2020171519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aterproof structure of sensor key assembly
WO2016068476A1 (en) Mobile terminal
WO2014142470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US10820438B2 (en) Electronic device and stopping structure thereof
WO2011074866A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tection case having a shock absorbing function
WO2019194449A1 (en) Protective film attachable to electronic device, and protective film package including same
WO2020116773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eaker module
WO2017034108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EP3874347A1 (en) Electronic device with bonding structure
CN203482537U (en) Electronic equipment
WO2019240551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2080593A1 (en)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for shock protection
EP3808059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ealing structure
CN210351250U (en) Anti-falling mobile phone display screen
WO2021045480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photosensor module
WO2021020685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peaker assembly
CN203435264U (en) An electronic device
CN110312019B (en)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273503B1 (en) Portable mobile terminal apparatus for shock prevention
WO2021157912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upport member
CN108650350B (en) Display terminal and display screen thereof
CN112510074B (en) Display screen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802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8024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