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8634A - Buff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uff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8634A
KR20170048634A KR1020150148638A KR20150148638A KR20170048634A KR 20170048634 A KR20170048634 A KR 20170048634A KR 1020150148638 A KR1020150148638 A KR 1020150148638A KR 20150148638 A KR20150148638 A KR 20150148638A KR 20170048634 A KR20170048634 A KR 20170048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rtion
buffer member
supported
display panel
middle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6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65827B1 (en
Inventor
김동훈
최충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8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827B1/en
Publication of KR20170048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6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8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2001/133314
    • G02F2001/1333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Provided are a buffer member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in which the buffer member is coupled to a middle cabinet of the display device to satisfy a selective demand of a user and increase convenience while preventing damage to the exterior.

Description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BUFF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ffer member,

본 발명은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들 캐비넷에 완충부재를 결합하여 외관 불량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ffer member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uffer mem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ffer member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uffer member, which can prevent a defective appearance and breakage by coupling a buffer member to a middle cabinet of a display device .

일반적으로 평판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장점에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In general, a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plasma display device,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and a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oweve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nd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are attracting attention due to the advantages of mass production technology, ease of driving means, and realization of high image quality.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제 1 기판(101), 제 1 기판(101)과 마주하는 제 2 기판(102)으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2 기판(101, 102)은 서로 이격되어 이의 가장자리부를 밀봉부재를 통해 봉지되어 합착되어 OLED패널(110)을 이룬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which includes a first substrate 101 and a second substrate 102 facing the first substrate 101.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101 and 102 And the edges of the OLED panel 110 are sealed together by being sealed together through the sealing member.

이때, OLED패널(110)의 상부면에는 편광판(140)이 부착되는데, 여기서, 편광판(140)은 OLED패널(110)이 외부광의 세기에 따라 콘트라스트가 크게 감소하는 단점이 있어, 외부광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At this time, a polarizer 14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LED panel 110. The polarizer 140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ntrast of the OLED panel 110 is greatly reduc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external light, And is provided to prevent deterioration of contrast.

이러한, OLED패널(110)은 배면이 접착부재(125)로, 수평면(121)과 측면(123)으로 이루어지는 커버버툼(120)과 결합되며, 커버버툼(120)의 측면(123)은 완충부재(130)가 결합되고 이의 외측에 케이스(160)가 OLED패널(110)의 전면 일부를 감싸면서 결합된다.The OLED panel 110 is bonded to the cover bottom 120 having a horizontal surface 121 and a side surface 123 as a bonding member 125. The side surface 123 of the cover bottom 120 is connected to the buffer member 120, And a case 160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OLED panel 110 while surrounding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OLED panel 110.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들에게 미관상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베젤(bezel) 또는 외곽부 테두리 부분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깨지거나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has a problem that a bezel or a rim portion of an outer frame, which acts as a cosmetic important factor to users, is broken or scratches due to external impact.

특히, 최근에는 수요자들에게 보다 어필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 또는 슬림화하는 것 뿐만아니라, 전면에서 노출되는 베젤의 면적을 축소시켜 수요자의 미적 감각에 호소하여 구매를 자극할 수 있는 슬림화 또는 미감이 증진된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점차로 증진됨에 따라서, 베젤(bezel) 또는 외곽부 테두리 부분의 파손과 외관불량이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in order to appeal to consumer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minimize or slim down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but also to reduce the area of the bezel exposed from the front side so as to appeal to the aesthetic sense of the consum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breakage of the bezel or the rim of the outer rim and appearance defects are frequently caused as the demand for the improved design is gradually increased.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사용자들에게 미관상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미들 캐비넷의 외관 불량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view of the forego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ppearance defects and breakage of a display cabinets, particularly, middle cabinets that act as a cosmetic important factor to use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미들 캐비넷에서 완충부재를 손쉽게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적 요구를 만족시키고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shioning member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cushioning member, which can easily detach the cushioning member from the middle cabinet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reby satisfying the user's selective request and increasing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Furth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들 캐비넷에 완충부재를 결합하여 외관 불량과 파손을 방지하면서 사용자의 선택적 요구를 만족시키고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shioning member that can combine a cushioning member with a middle cabinet of a display device to prevent defective appearance and breakag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사용자들에게 미관상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미들 캐비넷의 외관 불량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ppearance defects and breakage of the display cabinets, particularly, the middle cabinets serving as a cosmetic important factor to the user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미들 캐비넷에서 완충부재를 손쉽게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적 요구를 만족시키고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ffer member can easily be detached from the middle cabinet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reby satisfying the user's selective request and increasing convenience.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uffer member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uff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buffer member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uff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uffer member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uff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buffer member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uff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rawings, even if they are shown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compon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intervening "or that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 coupled, "or "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hioning member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FIGS.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buffer member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uff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패널(201),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 측면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부(203a)와, 외측지지부(203a)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후면에 백커버(205)가 결합되는 내측지지부(203b)가 구비되어 있는 미들 캐비넷(203), 미들 캐비넷(203)을 감싸며 결합되는 완충부재(21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201, an outer support portion 203a for supporting an end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01, an outer support portion 203a A middle cabinet 203 having an inner supporting portion 203b extending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iddle cabinet 203 and having an inner supporting portion 203b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cabinet 203 and a cushioning member 210 wrapped around the middle cabinet 203 do.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외곽부 테두리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부위를 이루는 미들 캐비넷(203)에 완충부재(21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사용자들에게 미관상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미들 캐비넷(203)의 외관 불량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First,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a middle cabinet 203 constituting the edge of the outer frame, that is, the bezel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ective appearance and breakage of the middle cabinet 203 serving as an important factor.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거나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201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r a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즉,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 하부 기판에 부착된 하부 편광판, 및 상부 기판의 전면에 부착된 상부 편광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의 구체적인 구성은 액정 패널의 구동모드, 예를 들어,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및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등에 따라,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display panel is constituted by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t may further comprise a backlight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 lower polarizer plate attached to the lower substrate, and an upper polarizer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The 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lower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include a driving mode of a liquid crystal panel, for example, a twisted nematic (TN) mode, a vertical alignment (VA) mode, an in- Mode, and the like,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known in the art.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되는 경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전원(VDD) 라인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을 포함하는 하부 기판 및 하부 기판에 대향 합착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display panel is constituted by a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the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ncludes a lower substrate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formed for each region defined by a gate line, a data line, and a power source (VDD) And an upper substrate joined together.

그리고, 하부 기판에 형성된 복수의 발광 셀 각각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전원(VDD) 라인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트랜지스터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에 따라 제어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소자(예로서, O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기판은 수분 또는 대기 중의 산소로부터 발광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흡습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cells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includes at least one switching transistor connected to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at least one driving transistor connected to the switching transistor and the power supply (VDD) line, (E.g., OLED) that emits light by a current that flows through the upper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includes moisture or a moisture absorbent for protecting the light emitting element from oxygen in the air or the like.

이때, 상부 기판에는 구동 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하부 기판의 발광 소자는 생략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substrate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mitting element connected to the driving transistor.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element of the lower substrate may be omitted.

본 발명에 있어서 미들 캐비넷(203)의 내측지지부(203b) 상측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안착되는데, 도면에서는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례로 도시하였으며 자체적으로 빛을 발산하는 구조상 패널로 빛을 발산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구성되어 있지 않으며, 이하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anel 201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upport portion 203b of the middle cabinet 203. In the drawing, the light-emitting display panel is shown as an example, and the structural panel, which emits light itself, The unit is not constituted,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the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 어레이에 있는 유기 화합물은 수분이나 산소에 노출되면 열화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픽셀 열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봉지부재(encapsulation member)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접합되어 픽셀 어레이를 밀봉할 수 있다. The organic compound in the pixel array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may be deteriorated by exposure to moisture or oxygen so that an encapsulation member may be bond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to seal the pixel array have.

여기서, 봉지부재는 금속 기판이나 유리 기판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전면에는 편광필름(201a)이 접착될 수 있다.Here, the sealing member may be a metal substrate or a glass substrate, and the polarizing film 201a may be adher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01. [

그리고, 픽셀 어레이로부터의 빛이 측면을 통해 방출되어 빛샘을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측면에는 사이드 씰부재(side seal member, 204)가 구비될 수 있다. A side seal member 204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01 in order to prevent light from the pixel array from being emitted through the side surface to generate light leakage.

여기서, 사이드 씰부재(204)는 흑색 안료가 첨가된 고분자 물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이드 씰부재(204)가 픽셀 어레이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흡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측면을 통해 방출되는 빛이 보이지 않게 된다.Here, the side seal member 204 may be made of a polymer material to which a black pigment is added, and the side seal member 204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discharged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01 by absorbing light emitted from the pixel array The light becomes invisible.

그리고,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어느 한쪽 단부의 배면에는 IC가 실장된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설치된다.A plurality of flexible circuit films, on which ICs are mounte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201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display panel 201, A circuit board (not shown) is provided.

그리고,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은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에 의해 패드부(미도시)와 인쇄회로기판에 부착되는 것으로,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lexible Board 또는 Chip On Film)로 이루어질 수 있다. A plurality of flexible circuit films are attached to a pad portion (not shown) and a printed circuit board by a TAB (Tape Automated Bonding) process. The flexible circuit films are formed of a tape carrier package (TCP) or a chip on flexible board ).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01)은 복수개의 가요성 회로필름을 통해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 내지는 연결되며, 인쇄회로기판은 복수의 가요성 회로필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각종 신호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display panel 201 is electrical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rough the plurality of flexible circuit films,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lexible circuit films, As shown in FIG.

미들 캐비넷(203)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 측면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부(203a)와, 외측지지부(203a)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내측지지부(203b)가 구비되며, 내측지지부(203b)의 후면에는 백커버(205)가 결합된다.The middle cabinet 203 is provided with an outer support portion 203a for supporting an end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01 and an inner support portion 203b extending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portion 203a, And the back cover 205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cover 203b.

이러한 미들 캐비넷(203)은 서로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는 외측지지부(203a)와 내측지지부(203b)로 이루어지는데, 종래의 케이스 역할을 하는 외측지지부(203a)는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 측면을 감싸면서 전면으로 노출되어 있어서, 외측지지부(203a)의 끝단부와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끝단부 사이의 거리 즉, 베젤이 종래에 비해 대폭 줄어들게 되어 있고, 내측지지부(203b)는 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201)이 안착되고 후면에 백 커버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The middle cabinet 203 includes an outer supporting portion 203a and an inner supporting portion 203b ver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outer supporting portion 203a serving as a conventional case encloses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01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outer support 203a and the end of the display panel 201, that is, the bezel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and the inner support 203b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 201 are seated and the back cover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여기서, 미들 캐비넷(203)을 감싸며 결합되는 완충부재(210)는 미들 캐비넷(203)의 측면에 지지되는 제1지지부(210a)와, 제1지지부(210a)의 상단부에서 벤딩되어 미들 캐비넷(203)의 상면에 지지되는 제2지지부(210b), 제1지지부(210a)의 하단부에서 벤딩되어 백커버(205)의 하면에 지지되는 제3지지부(210c)가 구비되어 있다.The cushioning member 210 which surrounds the middle cabinet 203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210a supported on a side surface of the middle cabinet 203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210b bending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a, And a third support portion 210c which is bent at a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a and is support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back cover 205. The second support portion 210b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ck cover 205,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전가될때 측면으로부터의 충격은 제1지지부(210a)가 지지하고, 상부와 하부로부터의 충격은 제2지지부(210b)와 제3지지부(210c)가 지지하여 미들 캐비넷(203)의 스크래치로 의한 외관 불량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when the impact from the outside is transferred, the impact from the side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art 210a, and the impact from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part 210b and the third support part 210c, It is possible to prevent appearance defects and breakage due to scratche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3. [

이러한 완충부재(210)는 제1지지부(210a)와 제2지지부(210b), 제3지지부(210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수개의 돌기부(211)가 돌출되어 있고, 이 돌기부(211)는 서로 완충부재(21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며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cushioning member 210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1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a, the second support portion 210b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210c. The protrusions 2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shioning member 210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즉,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210)의 내주면 전체에 돌기부(211)가 형성되게 하거나, 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지지부(210a)와 제2지지부(210b), 제3지지부(210c) 중 어느 하나의 내주면에 돌기부(211)가 형성될 수도 있고, 제1지지부(210a)와 제2지지부(210b), 또는 제1지지부(210a)와 제3지지부(210c), 또는 제2지지부(210b)와 제3지지부(210c)에만 돌기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2 to 6, the protrusions 211 may be formed on the entir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ffer member 210 or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210a and 210b may be formed,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10a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210b or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10a and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210c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210c or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210c, Or the second support portion 210b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210c may be formed.

따라서, 외부로부터 완충부재(210)에 충격이 전가될 때 돌기부(211)가 먼저 탄성 변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길이방향의 일렬로 배치된 돌기부(211)들이 충격 하중을 균일하게 배분하면서 충격이 미들 캐비넷(203)에 바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hock is transferred from the outside to the shock absorber 210, the protrusion 211 absorbs the shock while elastically deforming first, and the protrusions 211 arranged in a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istribute the impact load uniformly, So that it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iddle cabinet 203.

이러한 돌기부(211)는 완충부재(210)의 내측면에서 끝단부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서 충격량이 커지더라도 돌기부(211)의 끝단부부터 점진적으로 두꺼운 부위까지 순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큰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The protrusions 211 are formed so as to be tapered from the inner side to the end of the buffer member 210. Even if the amount of the impact increases, the protrusions 211 can be sequentially absorbed from the end of the protrusions 211 to the thicker portion So that a larger impact can be absorbed.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210)는 제2지지부(210b)의 끝단부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모서리 부위에 위치되는 제4지지부(210d)가 구비될 수 있다.4 to 6, the cushioning member 210 may extend in parallel with the display panel 201 at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210b and may extend in parallel to the display panel 201, 4 support portions 210d may be provided.

이러한 제4지지부(210d)는 미들 캐비넷(203)의 외측 뿐만아니라 미들 캐비넷(203)의 내측 즉,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쪽과 대향되는 내측면과 디스플레이 패널(201)의 단부 모서리 부위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스크래치와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fourth support portion 210d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middle cabinet 203, that is, the inner side opposite to the end side of the display panel 201, and the end edge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201,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scratches and breakage due to external impact.

또한, 완충부재(210)는 제4지지부(210d)의 끝단부에 미들 캐비넷(203)의 외측지지부(203a) 내측면과 평행하게 돌출되어 미들 캐비넷(203)의 외측지지부(203a) 내측면에 지지되는 이탈방지부(210e)가 구비될 수 있다.The cushioning member 210 protrudes in parallel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portion 203a of the middle cabinet 203 at the end of the fourth support portion 210d and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portion 203a of the middle cabinet 203 A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210e to be supported can be provided.

즉, 제4지지부(210d)의 끝단부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게 이탈방지부(210e)가 형성되어 외측지지부(203a)의 내측면에 지지되며 결합됨으로써, 미들 캐비넷(203)에 완충부재(210)를 결합한 후 외부로부터 충격이 전가되더라도 완충부재(210)가 이탈되지 않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detachment preventing portion 210e protrudes in the lower vertic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fourth support portion 210d and is supported by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portion 203a and coupled to the middle cabinet 203, The shock absorbing member 210 can absorb the impact without detaching the shock absorbing member 210 even if the impact is transferred from the outside.

또한, 완충부재(210)의 제3지지부(210c)는 제3지지부(210c)와 제1지지부(210a)의 연결부위에서 제2지지부(210b)와 평행한 가상의 평면과 이루는 각도(A)가 제2지지부(210b)쪽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The third supporting portion 210c of the buffer member 210 has an angle A between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210c and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210a and a virtual plane parallel to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210b And is formed at an acute angle towar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10b.

즉, 완충부재(210)에 외부에서 하중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2지지부(210b)와 제3지지부(210c)가 예각(대략 5°~ 60°)을 이루도록 형성된다.That is, the second support portion 210b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210c are formed to have an acute angle (approximately 5 ° to 60 °) in a state where no external load is applied to the buffer member 210.

따라서, 미들 캐비넷(203)에 완충부재(210)를 결합할 때, 제2지지부(210b)와 제3지지부(210c)가 미들 캐비넷(203)의 제1지지부(210a) 높이만큼 벌어진 후 결합됨으로써 제2지지부(210b)와 제3지지부(210c)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지지부(210a)의 상측과 하측을 누르면서 결합된 위치에서의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When the cushioning member 210 is coupled to the middle cabinet 203, the second support portion 210b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210c are bent by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a of the middle cabinet 203, The second support portion 210b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210c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press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210a by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210b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210c.

이와 같은 완충부재(210)는 탄성력과 함께 내후성과 신축성 등을 구비하도록 NR(Natural Rubber), NBR(Nitrile Butadiene Rubber), CR(Chloroprene Rubber), EPDM(Ethylene Propylene Terpolymer), FPM(Fluoro Rubber), SBR(Styrene Butadine Rubber), CSM(Chlorosulphonated Polyethylene),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댐핑 역할을 하게 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미들 캐비넷(203)에서 완충부재(210)를 손쉽게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cushioning member 21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NR (Natural Rubber), NBR (Nitrile Butadiene Rubber), CR (Chloroprene Rubber), EPDM (Ethylene Propylene Terpolymer), FPM (Fluoro Rubber) The cushioning member 210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BR (Styrene Butadine Rubber), CSM (Chlorosulphonated Polyethylene), urethane, silicone, etc., And is detachable.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201)과 내측지지부(203b)의 전면 사이와 백커버(205)와 내측지지부(203b)의 전면 사이에는 씰링접착부재(209, 207)가 각각 결합되는데, 여기서 씰링접착부재(209, 207)는 점도가 높은 경화성 레진일 수 있고, 여기서 경화성 레진은 아크릴 레진이나, 에폭시 레진, 무발포 우레탄 레진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자연 경화 또는 자외선 경화, 열 경화될 수 있으며, 씰링접착부재 대신 접착 패드 또는 양면 테이프 등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Sealing adhesive members 209 and 207 are respectively coupl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201 and the inner supporting portion 203b an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 cover 205 and the inner supporting portion 203b, 209, and 207 may be highly viscous curable resins. The curable resin may be acrylic resin, epoxy resin, or non-foamed urethane resin. The curable resin may be natural cured, ultraviolet curable, thermoset, But may be bonded with an adhesive pad or a double-sided tape or the like.

그리고,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01)에서 나오는 열을 미들 캐비넷(203)쪽으로 잘 방출시킬 수 있도록, 접착 패드 또는 양면 테이프는 접착성 열전도 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an adhesive thermally conductive tape may be used as the adhesive pad or the double-sided tape so that the heat from the display panel 201 can be well discharged toward the middle cabinet 203.

또한, 미들 캐비넷(203)은 성형성과 재료비 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소정의 강도와 더불어 방열성도 고려하여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아연도금강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middle cabinet 203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plastic or a metal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e moldability and the material cost. However, the middle cabinet 203 may be made of aluminum, aluminum alloy, stainless steel or galvanized steel sheet .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완충부재(210)는 디스플레이 장치 뿐만아니라 완충이 필요한 그 어떠한 물건에도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ffer member 210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onded not only to a display device but also to any object requiring buffering.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처럼 상면과 측면 및 하면을 구비하는 테두리를 갖는 그 어떠한 물건에도 결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지지부(210a)는 테두리의 측면에 지지되고 제2지지부(210b)는 테두리의 상면에 지지되며 제3지지부(210c)는 테두리의 하면에 지지되며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완충부재(210)의 구조와 형상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first supporting part 210a is supported on the side of the rim and the second supporting part 210b is connected to the rim of the rim,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210c may be supported and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im.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buffer member 21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사용자들에게 미관상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미들 캐비넷의 외관 불량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ppearance defects and breakage of the display cabinets, particularly, the middle cabinets serving as a cosmetic important factor to the user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미들 캐비넷에서 완충부재를 손쉽게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적 요구를 만족시키고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ffer member can easily be detached from the middle cabinet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reby satisfying the user's selective request and increasing convenience.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 Separation, substitution, and alteration of the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0: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
201: 디스플레이 패널 203: 미들 캐비넷
203a: 외측지지부 203b: 내측지지부
205: 백커버 210: 완충부재
210a: 제1지지부 210b: 제2지지부
210c: 제3지지부 210d: 제4지지부
210e: 이탈방지부
200: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01: display panel 203: middle cabinet
203a: outer supporting portion 203b: inner supporting portion
205: back cover 210: buffer member
210a: first support portion 210b: second support portion
210c: third supporting portion 210d: fourth supporting portion
210e:

Claims (15)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 측면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부와, 상기 외측지지부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후면에 백커버가 결합되는 내측지지부가 구비되어 있는 미들 캐비넷;
상기 미들 캐비넷을 감싸며 결합되는 완충부재;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panel;
A middle cabinet having an outer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an end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nd an inner supporting portion extending inward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supporting portion and having a back cover coupled to the back surface;
A buffer member wrapped around the middle cabinet;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미들 캐비넷의 측면에 지지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의 상단부에서 벤딩되어 상기 미들 캐비넷의 상면에 지지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의 하단부에서 벤딩되어 상기 백커버의 하면에 지지되는 제3지지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shioning member,
A first support portion supported on a side surface of the middle cabinet;
A second support portion bent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iddle cabinet;
A third support portion bent at a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supported at a lower surface of the back cover;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제3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수개의 돌기부가 돌출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uffer member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upporter, the second supporter, and the third support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서로 상기 완충부재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며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uffer member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완충부재의 내측면에서 끝단부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is tapered from the inner side to the end side of the buffer memb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2지지부의 끝단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모서리 부위에 위치되는 제4지지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uffer member includes a fourth support portion extending parallel to the display panel at an end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positioned at a corner of the display pane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4지지부의 끝단부에 상기 미들 캐비넷의 외측지지부 내측면과 평행하게 돌출되어 상기 미들 캐비넷의 외측지지부 내측면에 지지되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ushioning member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fourth support portion and protrudes in parallel with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portion of the middle cabinet to be support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portion of the middle cabine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지부는 상기 제3지지부와 제1지지부의 연결부위에서 상기 제2지지부와 평행한 가상의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상기 제2지지부쪽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 angle formed by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on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and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an imaginary plane parallel to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is formed at an acute angle to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상면과 측면 및 하면을 구비하는 테두리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테두리의 측면에 지지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의 상단부에서 벤딩되어 상기 테두리의 상면에 지지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의 하단부에서 벤딩되어 상기 테두리의 하면에 지지되는 제3지지부;
를 포함하는 완충부재.
And is coupled to a rim having an upper surface, a side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 first support portion supported on a side surface of the rim;
A second support portion bent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im;
A third support portion bent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supported at a lower surface of the rim;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제3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수개의 돌기부가 돌출되어 있는 완충부재.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third support por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서로 상기 완충부재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며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완충부재.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rotrus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uffer member and each elong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완충부재의 내측면에서 끝단부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완충부재.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protruding portion is tapered from the inner side to the end side of the buffer memb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의 끝단부에서 상기 상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상면의 모서리 내측에 위치되는 제4지지부가 구비되는 완충부재.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fourth support portion extending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at an end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positioned inside an edge of the upper surfac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지지부의 끝단부에 상기 하면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면의 모서리 내측면에 지지되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완충부재.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a release preventing part protruding from the bottom end of the fourth supporting part to be support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지부는 상기 제3지지부와 제1지지부의 연결부위에서 상기 제2지지부와 평행한 가상의 평면과 이루는 각도가 상기 제2지지부쪽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완충부재.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hird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have an angle formed by an imaginary plane parallel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o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to an acute angle toward the second support portion.
KR1020150148638A 2015-10-26 2015-10-26 Buff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3658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638A KR102365827B1 (en) 2015-10-26 2015-10-26 Buff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638A KR102365827B1 (en) 2015-10-26 2015-10-26 Buff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634A true KR20170048634A (en) 2017-05-10
KR102365827B1 KR102365827B1 (en) 2022-02-23

Family

ID=58743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638A KR102365827B1 (en) 2015-10-26 2015-10-26 Buff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82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636A1 (en) * 2017-07-20 2019-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2273503B1 (en) * 2020-10-15 2021-07-06 카페24 주식회사 Portable mobile terminal apparatus for shock prevention
WO2022080593A1 (en) * 2020-10-15 2022-04-21 카페24 주식회사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for shock prote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3835A (en) * 2007-10-22 2009-05-14 Hitachi Displays Ltd Display device
KR20120000625A (en) * 2010-06-28 2012-01-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76543Y1 (en) * 2014-08-21 2015-03-09 마승홍 a hold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3835A (en) * 2007-10-22 2009-05-14 Hitachi Displays Ltd Display device
KR20120000625A (en) * 2010-06-28 2012-01-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76543Y1 (en) * 2014-08-21 2015-03-09 마승홍 a holding apparatus for mobile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7636A1 (en) * 2017-07-20 2019-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US10602625B2 (en) 2017-07-20 2020-03-24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273503B1 (en) * 2020-10-15 2021-07-06 카페24 주식회사 Portable mobile terminal apparatus for shock prevention
WO2022080593A1 (en) * 2020-10-15 2022-04-21 카페24 주식회사 Portable mobile terminal device for shock pro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5827B1 (en)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9318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408844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552047B1 (en) Display device
KR102279021B1 (en) Display device
EP3226070B1 (en) Liquid crystal module and display device
KR102357930B1 (en) Display device
US9736950B2 (en) Display device
US847725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664938B2 (en) Display device
KR20170014226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567375B1 (en) Display device
CN103376571A (en) Display unit, electronic device and assembling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US20150277182A1 (en) Display device
KR20170048634A (en) Buff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367212B1 (en) Display device
KR102436180B1 (en) Display device
KR102339062B1 (en) Display device
KR20200079946A (en) Display device
TW201426094A (en) Display device
KR102377974B1 (en) Display device
KR102371277B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