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73953A1 - 초근거리를 볼 수 있는 교정렌즈 - Google Patents

초근거리를 볼 수 있는 교정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73953A1
WO2017073953A1 PCT/KR2016/011820 KR2016011820W WO2017073953A1 WO 2017073953 A1 WO2017073953 A1 WO 2017073953A1 KR 2016011820 W KR2016011820 W KR 2016011820W WO 2017073953 A1 WO2017073953 A1 WO 201707395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ens
refractive power
distance
ey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182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김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태 filed Critical 김진태
Priority to US15/529,79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70336599A1/en
Publication of WO201707395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7395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spherical lense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rective lens capable of seeing ultra-short distan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uman eye and an object to be viewed (for example, a display of a head reality display (HM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bject").
  • HMD head reality display
  • Distance between the pupil center of the eye and the object is an ultra-short distance of 10 mm to 100 mm ('ultra-short distance'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distance of 10 mm to 100 mm) It is about.
  • Magnifiers, magnifiers, loupes, microscopes, etc. are used to magnify the closest ones.However, when using IT products that are seen in close proximity (20mm ⁇ 70mm), such as wearable devices, Google Glass, Oculus Lift, and Gear VR, Even users may find it difficult to see the correct image due to missing optical center due to misalignment, strabismus, adjustment and congestion.
  • the display of a wearable IT device a head mounted display (HMD) such as an oculus lift, a gear vr, and the user's eye (ie, the pupil center) and an ultra-short distance of about 70 mm Away.
  • HMD head mounted display
  • HMD virtual reality device
  • the center distance between the pupils is different. Therefore, the image of the retina is different due to the prism occurrence because the center distance between the pupils is different. Headache and diplopia.
  • HMD virtual reality device
  • the lens which is the optical system of the eye, congestion abnormalities, and focus on one place for a long time. It can cause corneal damage, and can cause various symptoms such as eye fatigue, foreign body, and glare. Eye diseases such as dizziness are caused, so in order to solve this,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lens with a very short distance.
  • Table 1 Application field of virtual reality devices entertainment 3D games, movies, hands-on content such as travel or bungee jumping, and first-person sports in a variety of locations Educational Three-dimensional research such as museum or art gallery experience, astronomical location research, architectural design or chemical molecular design Military Flight, combat simulation, drone Medical Virtual surgery, telemedicine, anatomical application such as anatomy, various panic disorders, trauma treatment, endoscopy, etc. Industrial Product virtual experience marketing, manufacturing process utilization through robot remote control, space exploration, etc.
  • the virtual reality device requires a long time use, and the functions of the gyroscope and position tracking and the lens focused on the displa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the user's eye state for the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virtual reality. It is impossible to use for a long time.
  • the image on the retina becomes bleeding, and it is like a diplopia.
  • the binocular monocular defect causes eye fatigue, headaches, diplopia, etc. When you read or skip the same line over and over, you may have symptoms of stiff shoulders or sleepiness.
  • a typical virtual reality device is equipped with a convex lens of + 20D to + 40D (Diopter; D) to distort an image on a super short-distance display to a display image having a viewing angle of 90 ° to 100 °.
  • D convex lens of + 20D to + 40D (Diopter; D) to distort an image on a super short-distance display to a display image having a viewing angle of 90 ° to 100 °.
  • the optical part of the virtual reality device is fixed by a short focal convex lens
  • the user may use PD (Pupillary Distance), myopia / primary / astigmatism / presbyopia (decrease of lens control), and / or strabismus.
  • PD Panpillary Distance
  • myopia / primary / astigmatism / presbyopia decrease of lens control
  • strabismus Refractive, congestion, astigmatism, astigmatism, optics, physiologically different for the right eye (OD; Oculus Dexter) and left eye (OS; Oculus Sinister), respectively.
  • OD Oculus Dexter
  • OS Oculus Sinister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tance between a human eye and an object to be viewed (eg, a display of a head reality display (HMD)).
  • the distance between the pupil center of the eye and the object is to provide a corrective lens that can see the ultra-short distance of 10mm ⁇ 100mm.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corrective le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head mounted display (HMD) to view a display without using vision correction means such as glasses and contact lenses, and corneas.
  • the lens can minimize eye health such as lens, retina and son-in-law, and strabismus, and corrective lenses for ultra-short range of vision to improve synesthesia, binocular vision, and resolution, which are specialized functions of virtual reality (HMD).
  • HMD head mounted display
  • the corrective lens which can see the ultra-short dist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ens for correction of S + 18D ⁇ + 50D and C ⁇ 0.00D Ax 0 ° ⁇ 360 ° to C ⁇ 6.00 D Ax 0 ° ⁇ 360 ° and prism amount 0 ⁇ 8 ⁇ As a super short distance can be seen.
  • the ultra-short distance may be a distance between the object away from the pupil center of the eye in front of 10mm ⁇ 100mm.
  • the correction lens that can see the ultra-short dist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 + 18D ⁇ + 50D and C ⁇ 0.00D Ax 0 ° ⁇ 360 ° to C ⁇ 6.00 D Ax 0 ° ⁇ 360 ° and prism amount 0 ⁇ 8 ⁇
  • the lens may be configured in front of the display of the virtual reality device HMD.
  • the virtual reality and the augmented reality device can be miniaturized, and by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pread to various industrial groups (eg, entertainment, medical, tourism, education, etc.).
  • industrial groups eg, entertainment, medical, tourism, education, etc.
  • all users of eye diseases such as refraction box (eg, hyperopia, myopia, astigmatism, strabismus, etc.) that require vision correction, can be conveniently seen without a device for correction, that is, used by all age groups In particular, low vision, the elderly, etc. can also utilize the state-of-the-art devices.
  • refraction box eg, hyperopia, myopia, astigmatism, strabismus, etc.
  •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convex lens and a corrective lens that can see a super near fie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corrective lens that can see the ultra near fie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spherical refractive power of the spherical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fference in refractive power between the reference line and the other main line of the cylinder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rrective lens device that can see the ultra short dist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rrection lens device that can see the ultra short dist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corrective lens device that can see the ultra short dist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rrective lens device capable of seeing a short dist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in front of a display of a virtual reality device (HMD).
  • HMD virtual reality device
  •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viewing a display, which is an object through a conventional lens, and an example of viewing a display by correcting the correction le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Convex (1) and corrective lens (2) + 20D to + 40D (2) S ⁇ 0.00D to ⁇ 10.00D and C ⁇ 0.00D Ax 0 ° to 360 ° to C ⁇ 6.00D Ax 0 ° to 360 ° and prism amount It is a lens of 0-8 ⁇ , and can see a super short distance of 10 mm to 100 mm.
  • is the shape of the lens on the front of the meniscus type, that is, the first surface has a (+) diopter value, the back surface, that is, the second surface has a (-) diopter refractive power, so the front surface (+) Side, back side (-side).
  • the refractive index of the (-) plane must be larger than the (+) plane, and to do so,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 plane becomes short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 plane. It becomes a concave lens of concave shape in which the center point becomes the thinnest.
  • a lens with positive diopter refractive power becomes the convex lens with the thickest optical center point.
  • D is an abbreviation for Diopter and is a unit of a power that changes or diverges an effective light flux, that is, a force that changes a vergence, that is, a refractive power (also called a unit of frequency).
  • S is an abbreviation for Spherical and is read as spherical refractive power and the same degree of total spherical surface is obtained.
  • C is a symbol of a cylinder lens and has a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an image measuring point refractive power of a hard line having a refractive power or a main line that is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hard line.
  • Ax is a symbol of the Axial Meridian of the lens, which means a meridians having no refractive power, that is, a meridians having no power.
  • [Delta] is a unit of prismatic power, and is a unit representing an amount of bending of one of the effective light beams, in particular, a chief ray, at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lens, that is, a size of an angle of deviation.
  • the power of the convex lens 1 is a fixed lens of + 20D to + 40D, and the entire lens has the same refractive power Diopter.
  • the corrected lens (2) is composed of S ⁇ 0.00 D ⁇ ⁇ 10.00 D and C ⁇ 0.00 D Ax 0 ° ⁇ 360 ° to C ⁇ 6.00 D A x 0 ° ⁇ 360 ° and prism amount 0 ⁇ 8 ⁇
  • the above lens can see the object (Q) that is 10mm ⁇ 100mm in front of the distance (L) in front of the human eye (the pupil) (Y).
  • the spherical refractive power (Spherical) S is the same as the whole spherical power as shown as an example in FIG. 3, the cylinder lens (Cylinder Lens) C is the refractive power of the reference line and the other main line as shown as an example in FIG. It is a car.
  • one of the other main lines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line orthogonal to each other has no frequency.
  • Ax is in the range of 0 ° to 360 °
  • the prism refractive power is made to be 0 to 8 ⁇ , such as myopia, astigmatism, hyperopia, Refractions of the eyes, such as son-in-law, strabismus, and presbyopia, are also objects that are 10mm to 100mm away from the eye (the pupil) (Y) without the corrected lens (eyeglass lens or contact lens). You can see (Q).
  • the object Q ie, the display, which is separated from the human eye (the pupil) Y 50 mm in front of the distance L in front of the front, is clearly visible.
  • the right eye is + 60D (diopter) in the refractive system of the eye.
  • the eye state of the user is a mixed astigmatism having focus in front of the retina and behind the retina.
  • Each of the beams hit by the parallel plane beams entering the eye is different, and each beam is like a Toric Lens with a refractive power near + 60D (diopter).
  • the eyes of astigmatism are corrected in the same way as using a spherical lens with a refractive power less than or greater than the normal eye's refractive power + 60D.
  • astigmatism eyes must be corrected for each primary line.
  • the eye of the astigmatism eye with toric plane is located below the normal refractive power of + 60D.
  • the focal length of the + 20D (diopter) convex lens fixed in front of the eye is 50mm.
  • a myopic mixed astigmatism with a non-peripheral (optical refractive error) user can move the 61D (diopter) augmented meridion, that is, a negative lens to push back the focal point in front of the retina.
  • the lens is corrected with a -1.00D lens, and the 59D (diopter) focal point behind the retina is corrected with the + 1.00D lens, which is the (+) lens, to focus the retina.
  • Astigmatism that is, the refractive power of the eye is not the same in all directions, so the parallel rays entering the eye do not focus at one point and have two or more points of focus.
  • the refractive power of the vertical line is 61D (diopter) and the horizontal line is 59D (diopter), it occurs in front of the retina and behind the retina.
  • Such eyes have a mixed astigmatism of 2D (diopter).
  • the object separated from the human eye (the pupil) Y through the corrective lens 2-1 in front of the distance L1 10 mm to 100 mm can be seen.
  • the object Q separated from 10 mm-100 mm in front of the distance L1 from the front can be seen.
  • the spherical refractive power (Spherical) S is the same as the whole spherical power as shown as an example in Figure 3, but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 is made of only a convex lens. And the cylinder lens (Cylinder Lens) C is to form a difference in refractive power between the reference line and the other main line as shown as an example in FIG.
  • one of the other main lines perpendicular to the reference line orthogonal to each other has no frequency.
  • Ax is in the range of 0 ° to 360 °, and the prism refractive power is made to be 0 to 8 ⁇ .
  • refractions of the eyes such as myopia, astigmatism, hyperopia, son-in-law, strabismus, presbyopia, and the like, can also be measured directly from the eye (Y) without the corrected lens (eyeglass or contact lens).
  • the object Q which fell to the front of mm-100mm can be seen.
  • a prism amount of 0 to 8 ⁇ is formed in front of the display of the virtual reality device (HMD).
  • the object Q can be viewed 10 mm to 100 mm forward from the eye (the pupil) Y.
  • the corrective lens is configured in front of the display of the virtual reality device (HMD)
  • HMD virtual reality device
  • the corrective lenses S + 18D to + 50D and C ⁇ 0.00D Ax 0 ° to 360 ° to C ⁇ 6.00D Ax 0 ° to 360 ° and the prism amount 0 to 8 ⁇ are virtual reality. It is configured in front of the display of the device HMD.
  • the object Q can be viewed 10 mm to 100 mm in front of the distance L1 from the eye (the pupil) Y.
  • the corrective lens is configured in front of the display of the virtual reality device (HMD), not only eyes with normal eyesight but also those with refractions of eyes such as myopia, astigmatism, hyperopia, son-in-law, strabismus, presbyopia, etc. Without the glasses or contact lenses), the display image can be clearly seen and resolution.
  • HMD virtual reality device
  • a lens of 0 to 8 ⁇ is inserted into and mounted on a rotation control ring 100 having an adjustment function of focal length, axial direction and devi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adjustment ring 100 is a cylindrical barrel having an adjustment function of monocular PD ( Screwed to 101, the cylindrical barrel 101 is a devic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guide piece 103 and the guide groove 104 in the slice ring (102).
  • the slice ring 102 is fixed to the fixing plate (e).
  • the monocular PD refers to 1/2 of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pupil centers (ie, the binocular PD) in a state where the left and right eyes are parallel when assuming the front infinity, and the binocular PD is defined by the monocular PD. To adjust.
  •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convex lens (1) and a corrective lens (2) S ⁇ 0.00D to ⁇ 10.00D and C ⁇ 0.00D Ax of the rotation adjustment ring 100 to + 20D to + 40D. 0 ° ⁇ 360 ° to C ⁇ 6.00D Ax 0 ° ⁇ 360 ° and prism amount 0 ⁇ 8 ⁇ , so that the distance from front of eye (Y) to front (L1) 10mm ⁇ 100mm
  • the rotation adjustment ring 100 is adjusted by rotating it is coupled to the cylindrical barrel 101 is screwed in a linear direction to adjust the focal length, and also the rotation adjustment ring
  • the axial direction Ax of the cylinder lens C and the axial direction of the user's eye Y may be adjusted to match.
  • the configuration of the prism can als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eye deviation.
  • the binocular PD 200 is controlled by the monocular PD as illustrated in FIG. 8 because the guide piece 103 of the barrel 101 and the guide groove 104 of the slice ring 102 can be adjusted horizontally. Can be adjusted.
  • the object Q which is 10 mm to 100 mm in front of the distance L1 from the eye (the pupil) Y, is not only normal eyes but also myopia, astigmatism, hyperopia, son-in-law, strabismus, presbyopia, and the like. Refractors can also be seen clearly without the need for an eye corrected lens (eyeglass or contact lens).
  • the display image may be felt with clear resolution and stereoscopic feeling.
  • Corrective Lens (2-1) S + 18D to + 50D and C ⁇ 0.00D Ax 0 ° to 360 ° to C ⁇ 6.00D Ax 0 ° to 360 ° and prism amount 0 to 8 Inserted into the rotation adjustment ring 100 having a direction adjustment function and the rotation adjustment ring 100 is screwed to the cylindrical barrel 101 having a control function of monocular PD and the cylindrical barrel 101 is sliced
  • the guide piece 103 and the guide groove 104 ar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ring 102.
  • the slice ring 102 is fixed to the fixing plate (e).
  •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correction lens (2-1) S + 18D ⁇ + 50D and C ⁇ 0.00D Ax 0 ° ⁇ 360 ° to C ⁇ 6.00 D A 0 0 ⁇ 360
  • the object Q can be seen 10 mm to 100 mm in front of the distance L1 from the eye (the pupil) Y, and the rotation adjustment ring ( 100 is rotated to adjust the focal length by being screwed with the cylindrical barrel 101 is moved in a linear direction, and also by adjus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adjustment ring 100, the axis of the cylinder lens (C)
  • the direction Ax and the axis direction of the user's eye Y may be adjusted to match.
  • the configuration of the prism can als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eye deviation.
  • the object Q which is 10 mm to 100 mm in front of the distance L1 from the eye (the pupil) Y, is not only normal eyes but also myopia, astigmatism, hyperopia, son-in-law, strabismus, presbyopia, and the like. Refractors can also be seen clearly without the need for an eye corrected lens (eyeglass or contact lens).
  • the display image may be felt with clear resolution and stereoscopic feeling.
  • the convex lens 1 and the corrective lens 2 of + 20D to + 40D and S ⁇ 0.00D to ⁇ 10.00D and C ⁇ 0.00D Ax 0 ° ⁇ 360 ° to C ⁇ 6.00D Ax 0 ° ⁇ 360 ° and prism amount 0 ⁇ 8 ⁇ to insert the lens into the rotation control ring (100) which has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focal length, axial direction and deviation direction
  • the rotation adjustment ring 100 is screwed to the cylindrical barrel 101 having a control function of the monocular PD and the cylindrical barrel 101 is guide piece 103 and the guide groove 104 in the slice ring 102 It is configured in front of the display of the virtual reality device (HMD).
  • HMD virtual reality device
  •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he same as the functions, actions and effects of the fif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front of the display of the virtual reality device (HMD).
  • Display image of HMD can be felt with clear resolution and 3D effect.
  • the optics are considered, so that stereoscopic vision, cyanosis, and imaging of both eyes are excellent.
  • Eye protection and refractive error of users of virtual reality devices (HMD) can be used without the aid of vision correction glasses or contact lenses. As a result, consumer demand, which was previously difficult to use, will increase.
  • the corrective lenses (2-1) S + 18D to + 50D and C ⁇ 0.00D Ax 0 ° to 360 ° to C ⁇ 6.00D Ax 0 ° to 360 ° and as shown in Figs.
  • a prism amount of 0 to 8 ⁇ is inserted into and mounted on a rotation control ring 100 having an adjustment function of focal length, axial direction and devi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adjustment ring 100 is a cylindrical having an adjustment function of monocular PD.
  • the cylindrical barrel 101 is screwed to the barrel 101 and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slice ring 102 by the guide piece 103 and the guide groove 104.
  • the front of the display of the virtual reality device HMD It is configured on.
  •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he same as the functions, actions and effects of the six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front of the display of the virtual reality device (HMD).
  • Display image of HMD can be felt with clear resolution and 3D effect.
  • HMD virtual reality devices
  • HMD virtual reality devices
  • the corrective lens that can see the ultra-short distance can be implemented as an image transfer device for delivering an image directly to the eye cells of the retina. That is, the image may be delivered to the retina by using the angle of the cornea or the contact lens at the lowest power of the image transmission device.
  • It can be implemented as a corneal / retinal screen using refractive images of the cornea and contact lens.
  • the virtual reality and the augmented reality device can be miniaturized, and by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pread to various industrial groups (eg, entertainment, medical, tourism, education, etc.).
  • all users of eye diseases such as refraction box (eg, hyperopia, myopia, astigmatism, strabismus, etc.) that require vision correction, can be conveniently seen without a device for correction, that is, used by all age groups In particular, low vision, the elderly, etc. can also utilize the state-of-the-art devices.
  • refraction box eg, hyperopia, myopia, astigmatism, strabismus, etc.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wide range of ultra-short-range lenses including the display of virtual reality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의 눈과 보고자하는 물체[예컨대, 가상현실기기(HMD; Head Mounted Display)의 디스플레이(Display), 이하 "대상물"이라 함] 간의 거리, 즉 눈의 동공중심과 대상물 간의 거리가 10㎜~100㎜의 초근거리(본 발명에서 '초근거리'라 함은 10㎜~100㎜의 거리를 말한다)를 볼 수 있는 교정 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초근거리를 볼 수 있는 교정렌즈는 S+18D ~ +50D 및 C±0.00D Ax 0°~360°내지 C±6.00D Ax 0°~360°및 프리즘 양 0~8△로 된 교정용 렌즈로서 초 근거리를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가상현실기기(HMD)의 디스플레이(Display) 전방에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초근거리를 볼 수 있는 교정렌즈
본 발명은 초근거리를 볼 수 있는 교정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람의 눈과 보고자하는 물체[예컨대, 가상현실기기(HMD; Head Mounted Display)의 디스플레이(Display), 이하 "대상물"이라 함] 간의 거리, 즉 눈의 동공중심과 대상물 간의 거리가 10㎜~100㎜의 초근거리(본 발명에서 '초근거리'라 함은 10㎜~100㎜의 거리를 말한다)를 볼 수 있는 교정 렌즈에 관한 것이다.
정상적인 사람의 눈은 눈 앞 약 6m 이상의 거리에 있는 물체를 망막에 정확하게 상을 맺는다. 하지만 이보다 가까이 있으면 망막 후방에서 상을 맺게 되므로, 수정체를 두껍게 해서 굴절률을 크게 한다.
이를 눈의 조절작용이라 하며, 나이가 들수록 조절능력이 떨어지고 또 사람의 시 건강에 따라 조절능력이 떨어지기도 한다.
가까운 것을 확대해 보기 위해서는 돋보기, 확대경, 루페, 현미경 등이 있지만, 웨어러블 장치, 구글글래스, 오큘러스리프트, 기어VR과 같이 초근거리 눈앞(20mm~70mm)에서 보는 IT제품을 사용함에 있어, 정시인 사용자라 하더라도, 사위, 사시, 조절, 폭주 이상으로 인해 광학중심점이 안 맞아 정확한 상을 보기가 어려울 수 있다.
물론, 비정시 즉, 굴절이상안을 가진 사용자는 굴절교정이 되지 않고서는 초근거리를 선명하게 보기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눈으로 보는 웨어러블 IT장치나 오큘러스리프트, 기어vr과 같은 가상현실기기(HMD; Head Mounted Display)의 디스플레이(Display)는 사용자의 눈(즉, 동공중심)과 약 70㎜의 초근거리로 떨어져 있다.
이러한 가상현실기기(HMD; Head Mounted Display)의 디스플레이(Display)를 보기 위해서 하나의 단 초점 볼록렌즈를 사용했다.
그러나 이러한 단 초점 볼록렌즈는 사용자 눈에 교정된 렌즈가 아닌 지극히 정상적인 시 건강을 가진 사용자의 눈으로만 볼 수가 있는 것이고, 근시, 난시, 원시, 사위, 사시, 노안 등 눈의 굴절이상자 들은 별도로 눈에 교정된 렌즈가 없이는 볼 수가 없다.
시력이 나쁜 사용자는 안경 없이 가상현실장치(HMD)를 착용했을 때 동공 간 중심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설치되어있는 렌즈의 광학중심점(OC)에 맞춰지지 않아 프리즘 발생 현상으로 인해 망막의 상이 다르게 보여 멀미와 두통 그리고 복시 증상을 호소하게 된다.
시력이 정상적인 정시(1.0 시력) 사용자도 프리즘 현상을 갖게 되어 가상현실기기(HMD)의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
또한, 컴퓨터, TV, 스마트폰 등의 근거리를 보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눈의 광학계인 수정체의 조절과, 폭주의 이상, 시선을 한곳에 오랫동안 집중하기 때문에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 적어져 건성안(건성안은 각막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눈 피로감, 이물감, 눈부심 등 여러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외안근 이상으로 사위와 사시의 발생 등의 요인으로서 눈으로 들어오는 빛이 정확하게 망막에 맺히지 못하여 복시, 흐림 현상, 두통, 어지럼증과 같은 안질환이 유발되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초근거리에 맞는 렌즈를 장착하여 교정해주어야 한다.
현재, 페이스북의 오큘러스리프트, 삼성의 기어VR, 소니사의 프로젝트 모피우스 등과 같은 가상현실기기(HMD)의 하드웨어는 급속히 성능이 개선되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늘어나는 추세이다.
표 1 가상현실 기기의 적용분야
엔터테인먼트 3D게임, 영화, 여행이나 번지점프와 같은 체험형 콘텐츠, 다양한 위치에서의 1인칭 스포츠 관람
교육용 박물관이나 미술관 체험, 천체위치연구, 건축 설계나 화학분자설계와 같은 입체 연구
군사용 비행, 전투 모의 훈련, 드론
의료용 가상 수술, 원격진료, 해부학 등 입체영상응용, 각종 공황장애와 트라우마 치료, 내시경 등
산업용 제품 가상 체험형 마케팅, 로봇 원격조정을 통한 제조 공정 활용, 우주탐사 등
상기 표 1의 적용예시와 같이 가상현실기기(HMD)는 장시간 사용을 필요로 하는데 가상현실의 입체감을 위해서 자이로스코프, 포지셔널트래킹과 같은 기능과 디스플레이에 포커싱된 렌즈는 사용자의 눈 상태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이 불가능하다.
사용자의 눈 상태에 따른 굴절 교정이 안 될 경우 망막에 맺히는 상은 번저 보이게 되고, 복시 현상과 같이 되며, 양안 단일시 불량으로 눈의 피로와 전두부 쪽의 두통, 복시 등이 생기며, 그 외에 책을 읽을 때 같은 줄을 몇 번이고 읽거나 건너뛰어 읽는 증세 또는 어깨가 결리거나 졸리는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인 가상현실기기(HMD)에는 초근거리에 있는 디스플레이에 왜곡시켜놓은 영상을 +20D ~ +40D(Diopter; D)의 볼록렌즈가 장착되어 90°~100°의 시야 각을 가진 디스플레이 영상을 렌즈로 하여금 공간감(Imaging)과 입체감을 느끼도록 만들어 고정된 단 초점 볼록렌즈와 가상현실기기(HMD)의 경통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확대배율 및 초점거리를 맞추게 된다.
즉, 가상현실기기(HMD)의 광학부는 단 초점 볼록렌즈로 고정되어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P.D(Pupillary Distance; 동공중심 간 거리), 근시/원시/난시/노안(수정체 조절력의 약화), 사위/사시, 조절과 폭주, 난시의 축등 모든 안굴절력계와 안광학, 시기생리학적으로 오른쪽 눈(O.D; Oculus Dexter), 왼쪽 눈(O.S; Oculus Sinister) 각각 모두 달라 초근거리 눈 앞(촛점거리) 30㎜~70㎜ 앞에 있는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 있어도 사용자의 눈 상태에 따라서 O.C(Optic Center; 광학중심점)가 잘 맞지 않고, 상이 흐리거나 어른거리며, 뚜렷한 해상력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의 눈과 보고자하는 대상물[예컨대, 가상현실기기(HMD; Head Mounted Display)의 디스플레이(Display)] 간의 거리, 즉 눈의 동공중심과 대상물 간의 거리가 10㎜~100㎜의 초근거리를 볼 수 있는 교정렌즈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교정 렌즈를 가상현실기기(HMD; Head Mounted Display)에 구성 사용할 경우 안경과 콘텍트 렌즈와 같은 시력교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Display)를 볼 수 있고, 각막, 수정체, 망막 그리고 사위, 사시와 같은 안질환과 시 건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기기(HMD)의 특화된 기능인 공감각과 양안 입체시, 해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초근거리를 볼 수 있는 교정 렌즈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근거리를 볼 수 있는 교정렌즈는 S+18D ~ +50D 및 C±0.00D Ax 0°~360°내지 C±6.00D Ax 0°~360°및 프리즘 양 0~8△로 된 교정용 렌즈로서 초 근거리를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초근거리는 눈의 동공중심으로부터 전방에 떨어진 대상물 간의 거리가 10㎜~100㎜인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초근거리를 볼 수 있는 교정렌즈는 S+18D ~ +50D 및 C±0.00D Ax 0°~360°내지 C±6.00D Ax 0°~360°및 프리즘 양 0~8△로 된 교정용 렌즈로서 가상현실기기(HMD)의 디스플레이(Display) 전방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디바이스가 소형화될 수 있으며, 사물 인터넷 등을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산업군(예컨대, 엔터테인먼트, 의료, 관광, 교육 등)에 보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력교정이 필요한 굴절이상자(예컨대, 원시, 근시, 난시, 사시 등)등의 안질환의 모든 사용자는 교정용 장치가 없어도 편리하게 볼 수 있으며, 즉, 전 연령층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저시력자, 고령자 등도 최첨단 디바이스를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 근거리를 볼 수 있는 볼록렌즈와 교정렌즈의 결합관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 근거리를 볼 수 있는 교정렌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면렌즈(Spherical Lens)의 구면굴절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렌즈(Cylinder Lens)의 기준경선과 다른 주경선과의 굴절력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 근거리를 볼 수 있는 교정렌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초 근거리를 볼 수 있는 교정렌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초 근거리를 볼 수 있는 또 다른 교정렌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초 근거리를 볼 수 있는 교정렌즈 장치를 가상현실기기(HMD)의 디스플레이(Display) 전방에 구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렌즈를 통해 대상물인 디스플레이를 보는 것과 본 발명의 교정렌즈에 의해 교정하여 디스플레이를 보는 일 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분해된 상태의 실물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조립된 상태의 실물 사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이나 형태 등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도 1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20D ~ +40D의 볼록렌즈(1)와 교정렌즈(2)S±0.00D ~ ±10.00D 및 C±0.00D Ax 0°~360°내지 C±6.00D Ax 0°~360°및 프리즘 양 0~8△로 된 렌즈로서 10㎜~100㎜의 초 근거리를 볼 수 있는 렌즈이다.
상기 ±는 렌즈의 모양이 메니스커스형을 기준으로 앞면, 즉 제1면은(+)디옵터의 값을 가지며, 뒷면, 즉 제2면은(-)디옵터 굴절력을 가지므로 앞면을 (+)면, 뒷면을 (-면)을 뜻한다.
예컨대, (-)디옵터의 굴절력을 가진 렌즈가 되려면 (+)면보다 (-)면의 면굴절력이 커야 되는 것이고, 그렇게 되려면 (-)면의 곡률반경이 (+)면의 곡률반경보다 짧게 되어 광학중심점이 가장 얇게 되는 오목한 형태의 오목렌즈가 된다.
같은 설명으로 (+)디옵터의 굴절력을 가진 렌즈는 광학중심점이 가장 두꺼운 볼록렌즈가 된다.
상기 D는 Diopter의 약어로서 렌즈가 유효광선속을 모이거나 퍼지게 하는 정도 즉, 버전스(Vergence)를 변화시키는 힘 즉, 굴절력(屈折力; Refractive Power)의 단위이다(도수의 단위라고도 함).
상기 S는 Spherical의 약어로서 구면굴절력으로 읽히고 구면전체의 도수가 같다.
상기 C는 Cylinder Lens의 기호로서 굴절력이 있는 경선의 상측정점굴절력 또는 기준경선과 다른 주경선과의 굴절력차를 가진 렌즈이다.
상기 Ax는 렌즈의 축경선(軸經線; Axial Meridian)의 기호로서 굴절력이 없는 경선(經線) 즉, 도수가 없는 경선을 뜻한다.
상기 △는 프리즘굴절력(Prismatic Power)의 단위로서 유효광선속 중 한 개의 광선, 특히 주광선(Chief Ray)이 렌즈의 임의의 위치에서 꺽이는 양, 즉 편위각(Angular Deviation)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교정렌즈를 통해 사람의 눈(동공)(Y)으로부터 직전방 거리(L) 10㎜~100㎜ 전방에 떨어진 대상물(Q)을 볼 수 있다.
즉, 볼록렌즈(1)의 도수가 +20D ~ +40D의 고정렌즈로 렌즈 전체가 고르게 같은 굴절력(Diopter)을 갖는다.
또한 이와 결합 된 교정렌즈(2)는 S±0.00D ~ ±10.00D 및 C±0.00D Ax 0°~360°내지 C±6.00D Ax 0°~360°및 프리즘 양 0~8△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위와 같은 렌즈는 사람의 눈(동공)(Y)으로부터 직전방 거리(L) 10㎜~100㎜ 전방에 떨어진 대상물(Q)을 볼 수 있다.
상기 구면굴절력(Spherical) S는 도 3에서 일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면전체의 도수가 동일한 것이고, 실린더 렌즈(Cylinder Lens) C는 도 4에서 일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경선과 다른 주경선과의 굴절력차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즉, 기준경선과 직각으로 직교되는 다른 주경선 중 어느 한 경선에는 도수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렌즈(Cylinder Lens) C에서 Ax는 0°~360°의 범위로 하고, 프리즘굴절력(Prismatic Power)을 0~8△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정상 시력의 눈은 물론이고 근시, 난시, 원시, 사위, 사시, 노안 등 눈의 굴절이상자 들도 별도로 눈에 교정된 렌즈(안경렌즈 또는 콘텍트 렌즈)가 없이도 눈(동공)(Y)으로부터 직전방 거리(L) 10㎜~100㎜ 전방에 떨어진 대상물(Q)을 볼 수가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서 사람의 눈(동공)(Y)으로부터 직전방 거리(L) 50㎜ 전방에 떨어진 대상물(Q) 즉, 디스플레이를 선명하게 볼 수 있는 예를 설명한다.
예컨대, 도 9에서와 같이, 안구의 굴절력계에서 정시를 +60D(디옵터)라고 가정한다.
도 9의 그림과 같이 사용자의 눈 상태는 망막 앞, 망막 뒤에 초점을 갖는 혼합난시인 상태이다.
눈에 들어오는 평행평면광선속들이 부딪치는 각 경선의 굴절력이 모두 다르면서 각 경선이 +60D(디옵터) 근처의 굴절력을 가진 토릭렌즈(Toric Lens)와 같다고 할 수 있다.
구면렌즈로 근시 및 원시의 눈을 교정할 때, 정상 눈의 굴절력 +60D보다 모자라거나 많은 차이만큼의 굴절력을 지닌 구면렌즈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난시의 눈을 교정한다.
단, 난시 눈에서는 경선별로 따로 교정하여야 한다. 그림과 같이 사용자의 눈은 토릭면을 가진 난시눈의 각 경선을 대상으로 정상굴절력 +60D보다 모자라는 눈의 경선에는 부족분만큼의 굴절력을 가진 원용 토릭렌즈의 경선을 위치시키고, +60D보다 강한 굴절력을 가진 경선에는 +60D보다 많은 만큼의 (-)굴절력을 가진 경선의 토릭렌즈를 일치시켜, 난시 눈의 모든 경선을 +60D로 만들어 디스플레이를 볼 때 정상적 광학 상태로 교정되는 것이다.
예와 같이 눈앞에 고정되어 있는 +20D(디옵터)의 볼록렌즈의 초점거리거리는 50mm이다.
고정되어 있는 거리 앞에 디스플레이를 보기 위해서는 비정시(굴절이상안)를 가지고 있는 근시성 혼합난시인 사용자는 61D(디옵터)의 강주경선 즉, 망막 앞에 맺혀있는 초점을 뒤로 밀어주기 위해서는 (-)렌즈인 -1.00D의 렌즈로 교정하고, 망막 뒤에 있는 59D(디옵터)의 초점을 (+)렌즈인 +1.00D의 렌즈로 초점을 망막에 위치하도록 교정해주게 된다.
난시 즉, 눈의 굴절력이 모든 방향에 걸쳐 동일하지 않아 눈으로 들어온 평행광선이 한 점에서 초점을 맺지 못하고 두 점 또는 그 이상의 초점을 갖는다.
예를 들면 수직경선의 굴절력이 61D(디옵터), 수평경선의 굴절력이 59D(디옵터) 일 때 망막의 앞과 망막의 뒤에 생기기 때문에 이러한 눈을 2D(디옵터)의 혼합난시가 있다고 말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도시된 도 2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정렌즈S+18D ~ +50D 및 C±0.00D Ax 0°~360°내지 C±6.00D Ax 0°~360°및 프리즘 양 0~8△로 된 렌즈로서 10㎜~100㎜의 초 근거리를 볼 수 있는 교정렌즈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교정렌즈(2-1)를 통해 사람의 눈(동공)(Y)으로부터 직전방 거리(L1) 10㎜~100㎜ 전방에 떨어진 대상물을 볼 수 있다.
교정렌즈S+18D ~ +50D 및 C±0.00D Ax 0°~360°내지 C±6.00D Ax 0°~360°및 프리즘 양 0~8△로 이루어짐으로써 위와 같은 렌즈는 사람의 눈(동공)(Y)으로부터 직전방 거리(L1) 10㎜~100㎜ 전방에 떨어진 대상물(Q)을 볼 수 있다.
상기 구면굴절력(Spherical) S는 도 3에서 일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면전체의 도수가 동일한 것이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S가 볼록렌즈로만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실린더 렌즈(Cylinder Lens) C는 도 4에서 일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경선과 다른 주경선과의 굴절력차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즉, 기준경선과 직각으로 직교되는 다른 주경선 중 어느 한 경선에는 도수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렌즈(Cylinder Lens) C에서 Ax는 0°~360°의 범위로 하고, 프리즘굴절력(Prismatic Power)을 0~8△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또한 정상 시력의 눈은 물론이고 근시, 난시, 원시, 사위, 사시, 노안 등 눈의 굴절이상자 들도 별도로 눈에 교정된 렌즈(안경렌즈 또는 콘텍트 렌즈)가 없이도 눈(동공)(Y)으로부터 직전방 거리(L1) 10㎜~100㎜ 전방에 떨어진 대상물(Q)을 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 +20D ~ +40D의 볼록렌즈와 교정렌즈S±0.00D ~ ±10.00D 및 C±0.00D Ax 0°~360°내지 C±6.00D Ax 0°~360°및 프리즘 양 0~8△로 된 렌즈가 가상현실기기(HMD)의 디스플레이(Display) 전방에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눈(동공)(Y)으로부터 직전방 거리(L1) 10㎜~100㎜ 전방에 떨어진 대상물(Q)을 볼 수가 있는 교정렌즈로서 가상현실기기(HMD)의 디스플레이(Display) 전방에 구성함으로써 정상 시력의 눈은 물론이고 근시, 난시, 원시, 사위, 사시, 노안 등 눈의 굴절이상자들도 별도로 눈에 교정된 렌즈(안경렌즈 또는 콘텍트 렌즈)가 없이도 디스플레이 영상을 선명한 해상력과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로서, 교정렌즈S+18D ~ +50D 및 C±0.00D Ax 0°~360°내지 C±6.00D Ax 0°~360°및 프리즘 양 0~8△로 된 교정렌즈가 가상현실기기(HMD)의 디스플레이(Display) 전방에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상기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눈(동공)(Y)으로부터 직전방 거리(L1) 10㎜~100㎜ 전방에 떨어진 대상물(Q)을 볼 수가 있는 교정렌즈로서 가상현실기기(HMD)의 디스플레이(Display) 전방에 구성함으로써 정상 시력의 눈은 물론이고 근시, 난시, 원시, 사위, 사시, 노안 등 눈의 굴절이상자 들도 별도로 눈에 교정된 렌즈(안경렌즈 또는 콘텍트 렌즈)가 없이도 디스플레이 영상을 선명한 해상력과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로서, 도 5 내지 도 6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20D ~ +40D의 볼록렌즈(1)와 교정렌즈(2)S±0.00D ~ ±10.00D 및 C±0.00D Ax 0°~360°내지 C±6.00D Ax 0°~360°및 프리즘 양 0~8△로 된 렌즈를 초점거리와 축 방향 및 편위방향의 조절기능을 갖는 회전 조절링(100)에 삽입 장착하고 상기 회전 조절링(100)은 단안 P.D의 조절기능을 갖는 원통형의 경통(101)에 나사 결합하며 상기 원통형의 경통(101)은 슬라이스 링(102)에 가이드 편(103)과 가이드 홈(104)으로 결합 구성한 장치이다.
상기 슬라이스 링(102)은 고정판(e)에 고정한다.
상기 단안 P.D는 직전방 무한대를 보고 있을 때를 가정한 좌우의 시선이 평행한 상태에서 좌우 동공중심간 수평거리(즉, 양안 P.D)의 1/2을 뜻하는 것으로 상기 단안 P.D에 의해 양안 P.D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회전 조절링(100)에 +20D ~ +40D의 볼록렌즈(1)와 교정렌즈(2)S±0.00D ~ ±10.00D 및 C±0.00D Ax 0°~360°내지 C±6.00D Ax 0°~360°및 프리즘 양 0~8△로 된 렌즈를 구성함에 따라 눈(동공)(Y)으로부터 직전방 거리(L1) 10㎜~100㎜ 전방에 떨어진 대상물(Q)을 볼 수가 있고 상기 회전 조절링(100)을 회전시켜 조절하면 원통형의 경통(101)과 나사결합되어 있어 직선방향으로 이동 조절됨으로 초점거리를 조절하게 되고, 또한 회전 조절링(100)의 회전 조절에 의해 실린더 렌즈(C)의 축방향(Ax)과 사용자 눈(Y)의 축 방향이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아울러 프리즘의 구성으로 안구의 편위방향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경통(101)의 가이드 편(103)과 슬라이스 링(102)의 가이드 홈(104)에 의해 좌우 수평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함으로 도 8의 예시와 같이 단안 P.D의 조절에 의해 양안 P.D(200)를 조절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눈(동공)(Y)으로부터 직전방 거리(L1) 10㎜~100㎜ 전방에 떨어진 대상물(Q)을 정상 시력의 눈은 물론이고 근시, 난시, 원시, 사위, 사시, 노안 등 눈의 굴절이상자 들도 별도로 눈에 교정된 렌즈(안경렌즈 또는 콘텍트 렌즈)가 없이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특히, 상기 대상물(Q)이 가상현실기기(HMD)의 디스플레이(Display)라면 디스플레이 영상을 선명한 해상력과 입체감으로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로서, 도 7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정렌즈(2-1)S+18D ~ +50D 및 C±0.00D Ax 0°~360°내지 C±6.00D Ax 0°~360°및 프리즘 양 0~8△로 된 렌즈를 초점거리와 축 방향 및 편위방향의 조절기능을 갖는 회전 조절링(100)에 삽입 장착하고 상기 회전 조절링(100)은 단안 P.D의 조절기능을 갖는 원통형의 경통(101)에 나사 결합하며 상기 원통형의 경통(101)은 슬라이스 링(102)에 가이드 편(103)과 가이드 홈(104)으로 결합 구성한다.
상기 슬라이스 링(102)은 고정판(e)에 고정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회전 조절링(100)에 교정렌즈(2-1)S+18D ~ +50D 및 C±0.00D Ax 0°~360°내지 C±6.00D Ax 0°~360°및 프리즘 양 0~8△로 된 렌즈를 구성함에 따라 눈(동공)(Y)으로부터 직전방 거리(L1) 10㎜~100㎜ 전방에 떨어진 대상물(Q)을 볼 수가 있고 상기 회전 조절링(100)을 회전시켜 조절하면 원통형의 경통(101)과 나사결합되어 있어 직선방향으로 이동 조절됨으로 초점거리를 조절하게 되고, 또한 회전 조절링(100)의 회전 조절에 의해 실린더 렌즈(C)의 축방향(Ax)과 사용자 눈(Y)의 축 방향이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아울러 프리즘의 구성으로 안구의 편위방향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경통(101)의 가이드 편(103)과 슬라이스 링(102)의 가이드 홈(104)에 의해 좌우 수평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함으로 도 8의 예시와 같이 단안 P.D에 의해 양안 P.D(200)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눈(동공)(Y)으로부터 직전방 거리(L1) 10㎜~100㎜ 전방에 떨어진 대상물(Q)을 정상 시력의 눈은 물론이고 근시, 난시, 원시, 사위, 사시, 노안 등 눈의 굴절이상자 들도 별도로 눈에 교정된 렌즈(안경렌즈 또는 콘텍트 렌즈)가 없이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특히, 상기 대상물(Q)이 가상현실기기(HMD)의 디스플레이(Display)라면 디스플레이 영상을 선명한 해상력과 입체감으로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로서, 도 5, 도 6 및 도 8에서와 같이 +20D ~ +40D의 볼록렌즈(1)와 교정렌즈(2)S±0.00D ~ ±10.00D 및 C±0.00D Ax 0°~360°내지 C±6.00D Ax 0°~360°및 프리즘 양 0~8△로 된 렌즈를 초점거리와 축 방향 및 편위방향의 조절기능을 갖는 회전 조절링(100)에 삽입 장착하고 상기 회전 조절링(100)은 단안 P.D의 조절기능을 갖는 원통형의 경통(101)에 나사 결합하며 상기 원통형의 경통(101)은 슬라이스 링(102)에 가이드 편(103)과 가이드 홈(104)으로 결합 구성한 장치로서 가상현실기기(HMD)의 디스플레이(Display) 전방에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5 실시예의 기능과 작용 및 효과와 같고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는 가상현실기기(HMD)의 디스플레이(Display) 전방에 구성함으로써 가상현실기기(HMD)의 디스플레이(Display) 영상을 선명한 해상력과 입체감으로 느낄 수 있다.
즉, 정상적인 시력의 눈은 물론 근시, 난시, 원시, 사위, 사시, 노안 등 눈의 굴절이상자 들도 별도로 눈에 교정된 렌즈(안경렌즈 또는 콘텍트 렌즈)가 없이도 선명한 해상력과 입체감으로 느낄 수 있으며, 각막, 수정체, 망막 그리고 사위, 사시와 같은 안질환과 시 건강에 최소화할 수 있고, 가상현실기기(HMD)의 특화된 기능인 공간감(Imaging)과 양안 입체시, 시안성, 해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부연하면 안광학이 고려되어 양안의 입체시, 시안성, 공간감(Imaging)이 뛰어나고, 가상현실기기(HMD) 사용자의 눈 보호와 굴절이상자는 시력 교정용 안경이나 콘텍트 렌즈의 도움없이 사용하게 되어 기존에 사용이 어려웠던 소비자 수요층이 늘어나게 된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로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교정렌즈(2-1)S+18D ~ +50D 및 C±0.00D Ax 0°~360°내지 C±6.00D Ax 0°~360°및 프리즘 양 0~8△로 된 렌즈를 초점거리와 축 방향 및 편위방향의 조절기능을 갖는 회전 조절링(100)에 삽입 장착하고 상기 회전 조절링(100)은 단안 P.D의 조절기능을 갖는 원통형의 경통(101)에 나사 결합하며 상기 원통형의 경통(101)은 슬라이스 링(102)에 가이드 편(103)과 가이드 홈(104)으로 결합 구성한 장치로서 가상현실기기(HMD)의 디스플레이(Display) 전방에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6 실시예의 기능과 작용 및 효과와 같고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는 가상현실기기(HMD)의 디스플레이(Display) 전방에 구성함으로써 가상현실기기(HMD)의 디스플레이(Display) 영상을 선명한 해상력과 입체감으로 느낄 수 있다.
즉, 정상적인 시력의 눈은 물론 근시, 난시, 원시, 사위, 사시, 노안 등 눈의 굴절이상자 들도 별도로 눈에 교정된 렌즈(안경렌즈 또는 콘텍트 렌즈)가 없이도 선명한 해상력과 입체감으로 느낄 수 있어 기존에 사용이 어려웠던 소비자들에게도 IT기기의 하나로서 가상현실기기(HMD)의 편리함을 누릴 수 있다.
또한, 각막, 수정체, 망막 그리고 사위, 사시와 같은 안질환과 시 건강에 최소화할 수 있고, 가상현실기기(HMD)의 특화된 기능인 공간감(Imaging)과 양안 입체시, 시안성, 해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초근거리를 볼 수 있는 교정렌즈는 망막의 시세포에 직접적으로 영상을 전달하는 영상전달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전달장치의 저전력 최저의 조도로 각막 또는 콘텍트렌즈의 각을 이용하여 망막에 영상을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사람의 시세포로 직접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만들며, 다른 매질을 통한 영상효과가 아니라 직접적인 선명상과, 현실적인 공간에 가상의 공간을 만들어줌으로써, 디바이스를 간편하게 만들뿐만 아니라 가상현실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각막과 콘텍트렌즈의 굴절 상을 이용한 각막/망막 스크린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디바이스가 소형화될 수 있으며, 사물 인터넷 등을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산업군(예컨대, 엔터테인먼트, 의료, 관광, 교육 등)에 보급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력교정이 필요한 굴절이상자(예컨대, 원시, 근시, 난시, 사시 등)등의 안질환의 모든 사용자는 교정용 장치가 없어도 편리하게 볼 수 있으며, 즉, 전 연령층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저시력자, 고령자 등도 최첨단 디바이스를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상현실기기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초근거리용 렌즈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S+18D ~ +50D 및 C±0.00D Ax 0°~360°내지 C±6.00D Ax 0°~360°및 프리즘 양 0~8△로 된 교정용 렌즈로서 초 근거리를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렌즈.
    상기 D, S, ±, C, Ax, △는 각각 아래의 내용으로 정의됨.
    D : Diopter의 약어로서 렌즈가 유효광선속을 모이거나 퍼지게 하는 정도 즉, 버전스(Vergence)를 변화시키는 힘. 굴절력(屈折力: Refractive Power)의 단위임(도수의 단위라고도 함)
    S : Spherical의 약어로서, 구면굴절력으로 읽히고 구면전체의 도수가 같다.
    ± : 렌즈의 모양이 메니스커스형인 것을 기준으로 앞면, 즉 제1면은 (+)디옵터의 값을 가지고, 뒷면, 즉 제2면은 (-)디옵터 굴절력을 가지므로 앞면(제1면)은 (+)면, 뒷면(제2면)은 (-)면을 뜻한다.
    C : Cylinder Lens의 기로로서 굴절력이 있는 경선의 상측정점굴절력 또는 기준경선과 다른 주경선과의 굴절력차를 가진 렌즈.
    Ax : 렌즈의 축경선(軸經線: Axial Meridian)의 기호로서 굴절력이 없는 경선(經線) 즉, 도수가 없는 경선을 뜻함.
    △ : 프리즘굴절력(Prismatic Power)의 단위로서 유효광선속 중 한 개의 광선, 특히 주광선(Chief Ray)이 렌즈의 임의의 위치에서 꺽이는 양, 즉 편위각(Angular Deviation)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 근거리는 눈의 동공중심으로부터 전방에 떨어진 대상물 간의 거리가 1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렌즈.
  3. S+18D ~ +50D 및 C±0.00D Ax 0°~360°내지 C±6.00D Ax 0°~360°및 프리즘 양 0~8△로 된 교정용 렌즈로서 가상현실기기(HMD)의 디스플레이(Display) 전방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렌즈.
    상기 D, S, ±, C, Ax, △는 각각 아래의 내용으로 정의됨.
    D : Diopter의 약어로서 렌즈가 유효광선속을 모이거나 퍼지게 하는 정도 즉, 버전스(Vergence)를 변화시키는 힘. 굴절력(屈折力: Refractive Power)의 단위임(도수의 단위라고도 함)
    S : Spherical의 약어로서, 구면굴절력으로 읽히고 구면전체의 도수가 같다.
    ± : 렌즈의 모양이 메니스커스형인 것을 기준으로 앞면, 즉 제1면은 (+)디옵터의 값을 가지고, 뒷면, 즉 제2면은 (-)디옵터 굴절력을 가지므로 앞면(제1면)은 (+)면, 뒷면(제2면)은 (-)면을 뜻한다.
    C : Cylinder Lens의 기로로서 굴절력이 있는 경선의 상측정점굴절력 또는 기준경선과 다른 주경선과의 굴절력차를 가진 렌즈.
    Ax : 렌즈의 축경선(軸經線: Axial Meridian)의 기호로서 굴절력이 없는 경선(經線) 즉, 도수가 없는 경선을 뜻함.
    △ : 프리즘굴절력(Prismatic Power)의 단위로서 유효광선속 중 한 개의 광선, 특히 주광선(Chief Ray)이 렌즈의 임의의 위치에서 꺽이는 양, 즉 편위각(Angular Deviation)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
PCT/KR2016/011820 2015-10-27 2016-10-20 초근거리를 볼 수 있는 교정렌즈 WO2017073953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29,797 US20170336599A1 (en) 2015-10-27 2016-10-20 Corrective lens for viewing target located at extremely short dist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237 2015-10-27
KR1020150149237A KR101632156B1 (ko) 2015-10-27 2015-10-27 초근거리를 볼 수 있는 교정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73953A1 true WO2017073953A1 (ko) 2017-05-04

Family

ID=55789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1820 WO2017073953A1 (ko) 2015-10-27 2016-10-20 초근거리를 볼 수 있는 교정렌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336599A1 (ko)
KR (1) KR101632156B1 (ko)
WO (1) WO20170739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4141B (en) * 2017-07-05 2022-04-13 Moviemask As Imaging optic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02171A (zh) 2016-04-19 2016-06-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方法
CN106791792B (zh) * 2016-12-16 2019-05-1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调节vr设备显示影像的方法及系统
WO2019009733A1 (en) * 2017-07-05 2019-01-10 Moviemask As NEAR FIELD VISUALIZATION SYSTEM AND METHOD
CN110017825B (zh) * 2019-04-03 2023-11-24 北京城建勘测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双面觇牌
US10981507B1 (en) 2019-11-07 2021-04-20 Focused Technology Solutions, Inc. Interactive safety system for vehicl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9729A (en) * 1988-08-19 1990-11-13 501 Opticast International Corporation Composite plastic lens having a positioned optical axi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1991004508A2 (en) * 1989-09-14 1991-04-04 General Electric Company Helmet mounted display
WO2014197338A2 (en) * 2013-06-08 2014-12-1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ing optical representation of views provided by a head mounted display based on optical prescription of a user
US20140361956A1 (en) * 2013-06-09 2014-12-1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Head Mounted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8543A1 (en) * 2001-02-21 2003-03-27 Sheedy James B. Optically corrective lenses for a head-mounted computer display
KR20040007211A (ko) 2002-08-07 2004-01-24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높은 굴절률을 갖는 안과용 단편
WO2015120456A1 (en) * 2014-02-10 2015-08-13 Shamir Optical Industry Ltd. Quasi progressive lenses for eyewea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9729A (en) * 1988-08-19 1990-11-13 501 Opticast International Corporation Composite plastic lens having a positioned optical axi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1991004508A2 (en) * 1989-09-14 1991-04-04 General Electric Company Helmet mounted display
WO2014197338A2 (en) * 2013-06-08 2014-12-1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ing optical representation of views provided by a head mounted display based on optical prescription of a user
US20140361956A1 (en) * 2013-06-09 2014-12-11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Head Mounted Displa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EATHER KELLY, CNN: "Google Glass Adds Style, Prescription Lenses", 29 January 2014 (2014-01-29),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edition.cm.com/2014/01/28/tech/innovation/google-glass-lenses>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4141B (en) * 2017-07-05 2022-04-13 Moviemask As Imaging op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156B1 (ko) 2016-06-21
KR20160038876A (ko) 2016-04-07
US20170336599A1 (en) 2017-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73953A1 (ko) 초근거리를 볼 수 있는 교정렌즈
CN107209381B (zh) 用于可头戴显示器的混合透镜系统
US10146067B2 (en) Eye-protective shade for augmented reality smart glasses
Rushton et al. Binocular vision in a bi-ocular world: new-generation head-mounted displays avoid causing visual deficit
Howarth Oculomotor changes within virtual environments
EP3413116A1 (en) Eye-protective shade for augmented reality smart glasses
WO2010087450A1 (ja) 眼鏡レンズの評価方法、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及び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WO2015196965A1 (zh) 一种无色差的头戴设备用广角镜头及头戴设备
CN104808342A (zh) 呈现三维场景的可穿戴虚拟现实头盔的光学镜片结构
US20150049301A1 (en) Methods and lenses for alleviating asthenopia
CN103781400A (zh) 用于治疗视力损害的方法和系统
JP7385198B2 (ja) 立体画像の観察方法
JP6026637B2 (ja) 3次元画像の可視化システム
Stevens et al. Varifocal technologies providing prescription and VAC mitigation in HMDs using Alvarez lenses
Morse et al. Oculomotor function after virtual reality use differentiates symptomatic from asymptomatic individuals
JPH02168225A (ja) デイスプレイ等の画像面を見るための疲労防止用眼鏡
WO2021103271A1 (zh) 一种ar显示设备
KR101490778B1 (ko) 초 근거리를 볼 수 있는 교정 렌즈 및 그 장치
WO2017007191A1 (ko) 다기능 다초점 멀티 포컬 안경
KR101511010B1 (ko) 초근거리 시야 확보를 위한 교정용 렌즈 장치
CN204600876U (zh) 一种光学斜视矫正仪
CN107065182A (zh) 一种虚拟现实光学透镜及虚拟现实设备
RU18121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здания стереоскопическ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KR20120126978A (ko) 사시 환자용 입체안경
KR101632140B1 (ko) 초근거리를 볼 수 있는 교정 렌즈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601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601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