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765B1 -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765B1
KR970000765B1 KR1019940001914A KR19940001914A KR970000765B1 KR 970000765 B1 KR970000765 B1 KR 970000765B1 KR 1019940001914 A KR1019940001914 A KR 1019940001914A KR 19940001914 A KR19940001914 A KR 19940001914A KR 970000765 B1 KR970000765 B1 KR 970000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converter
amplifier
broadcasting
identification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248A (ko
Inventor
정관진
Original Assignee
김정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덕 filed Critical 김정덕
Priority to KR1019940001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765B1/ko
Publication of KR950026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7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
    • H04N7/102Circuits therefor, e.g. noise reducers, equalisers,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6Wired systems
    • H04H20/77Wired systems using carrier waves
    • H04H20/78CATV [Community Antenna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21Billing for the use of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22Billing for the use of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per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 및 그 제어방법
제1도는 종래의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의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제어방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0 : 제1이분파기 4,40 : 하향증폭기
6,60,120 : 방향성 분기기 8,80 : 제2이분파기
10 : 스위치 12,100 : 상향증폭기
14 : 방향성 결합기 16,140,141,160 : RF 복조기들
18,180 : 컨트롤러 20,200 : RF 변조기들
CA : 종래의 망증폭장치 PI : 본 발명의 망증폭장치
본 발명은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시청방지 및 상향잡전파신호의 유입을 감소시키는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합유선방송(cable television:CATV)용 분기시스템은 전형적으로 2가지 종류, 즉 가입자시스템과 공공 시설시스템으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가입자시스템에 주로 관계하므로 여기서는 가입자시스템에 대해서만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가입자시스템은 양방향 통신 및 서비스가 가능하다. 양방향 통신은 통상 불균형 배분시스템으로 되어 있어, 하향주파수대역이 50MHz 이상의 넓은 대역에 할당된 반면, 하향주파수대역은 30MHz 이하의 좁은 대역에 할당되어 있다.
상기 가입자시스템은 통상 간선시스템(trunk system)과 지선시스템(feeder system)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간선시스템은 1차 전송시스템이고, 케이블이 포설된 지역에서 나무가지모양으로 분기되어 있다. 상기 지선시스템은 상기 나무가지모양처럼 간선시스템으로부터 분기되고 간선시스템과 말단 사용자(가입자 또는 공공시설) 사이에 연결선로로서 제공된다.
간선시스템은 대직경 동축 케이블, 반복증폭기, 3포트전력분기기(스프릿터들 및 방향성 결합기), 교류전력원 및 교류전력삽입기를 포함한다. 캐스케이드라 불리우는 단일 직렬간선경로는 길이가 수마일될 수 있고 다수의 간섭급의 반복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개별적인 간선증폭기(trunk amplifier)는 고품질, 고신뢰도의 저잡음 비선형 왜곡을 갖는 증폭기들이다. 균일 또는 비균일 손실특성을 갖는 전력분기기는 간선시스템을 분기하는데 사용된다. 스프릿터 또는 균일손실전력분기기는 균등한 길이를 갖는 간선분기들이 요구되는 분기접속에 사용된다. 방향성 결합기 또는 비균일 손실전력분기기는 비균등 간선분기들이 요구되는 분기접속에 사용된다. 간선증폭기스테이션(또는 지선증폭기스테이션)은 라디오주파수(radio frequency; RF)신호를 나르는 동일한 동축 케이블을 통하여 교류전원이 공급된다. 주상 60V 교류전력원은 시스템내에서 소정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위치하고 전력삽입기를 통해 동축 케이블에 접속된다.
지선시스템은 소직경 동축 케이블, 반복증폭기, 3포트전력분기기(스프릿터들 및 방향성 결합기), 방향성 탭, 및 인라인 등화기를 포함한다. 간선시스템과는 달리, 캐스케이드 또는 단일 직렬 간선선로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고 3개 정도의 라인연장기 급의 반복증폭기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개별적인 지선증폭기는 복잡한 레벨제어 및 개별적인 간선증폭기의 주파수응답회로특성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러나, 지선증폭기들은 고품질, 고신뢰성, 저잡음레벨 및 비선형 왜곡을 요한다. 제1지선증폭기는 간선시스템 스테이션 외함안에 실제로 위치하고 분기증폭기로도 불리운다. 이 분기증폭기는 간선으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레벨을 상승시키고 4개까지의 개별 지선을 위하여 신호를 제공한다. 더욱이, 이 분기증폭기는 고품질 간선전송시스템에서 가능한 돌발신호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선과 간선간을 격리시킨다. 간선을 떠나는 지선케이블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방향성 탭으로 탭이 형성되어 있어서 가입자가 분기하는데 사용된다. 인라인 등화기는 동축 케이블의 주파수에 따른 손실변화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신호레벨에서의 축적된 사이를 조절한다. 각 간선시스템은 독립적인 지선시스템을 지지하므로, 케이블분기시스템내의 독립적인 지선시스템은 간선스테이션의 수와 같다.
케이블 TV 산업의 가입자시스템에 양방향 광대역 RF 분기장치가 사용되어 왔다. 이에 따라서 초기에 발견되었던 결점들은 제거되었으나, 여전히 불균형 배분 가입자상향시스템속으로 돌발신호가 유입되는 것이 문제로 남아 있다. 이 문제는 2가지 요인 때분에 해결하기 어렵다. 그 하나의 요인은 상향주파수대역에 여러 가지 신호들이 항상 주변속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다른 한 요인은 시스템내의 많은 가입자접속점들에서의 완전차폐의 손실에 기인하여 가입자시스템 및 잠재적인 문제들에 관련되어 있다.
양방향 CATV 선로망은 통상 30MHz 이하의 하부 주파수대역이 상향정보를 나르는 상향 RF 신호에 할당되고, 50MHz 이상의 상부 주파수대역은 하향정보를 하향 RF 신호에 할당된다. 상향정보는 망점의 어드레스가능 컨버터 또는 상태조정 증폭기로부터 유래하여, 이 상향정보는 망점의 상향증폭기를 통하여 방송국(head end;헤드엔드)의 컨버터제어기(converter control unit;CCU) 및 선로망제어기(network control unit;NCU)에 공급된다. 이 상향 RF 신호는 주파수분할, 즉 정보원에 종속되어 상이한 반송주파수들을 사용함으로써 다중송신된다. 이 불균형배분 상향시스템은 상기 상향정보를 전송, 증폭, 수신 및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일컫는다.
컨버터의 상향정보를 나르는 상향 RF 신호는 선로망점의 상향증폭기에서 증폭되어, 선로망을 통한 감쇄를 보상한다. 컨버터로부터의 정보는 컨버터인식번호(converter indentification number;CID)를 사용하여, 방송국에서 컨버터를 인식한다. 선로망점의 증폭기는 보통 상태감시모듈(status monitoring module;SMM)을 가지고 있어 선로망제어기(network control unit;NCU)로부터의 명령에 응답한다.
상술한 기존의 불균형배분 상향시스템은 다음의 문제점들을 갖는다.
1) 컨버터의 상향정보에서, 방송국은 상향정보가 상향선로망으로 그대로 공급되기 때문에 그 정보가 어느 선로망점을 통해 전송되는지를 추적할 수 없다. 그러한 상향 시스템에서 방송국은 그 상향정보가 원래 설치된 위치의 컨버터로부터 오는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없다. 이점이 CATV의 보안산의 한 문제점이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불법사용자가 전체 선로망에 걸쳐서 급증될 것이다. 즉, 불법사용자가 장착된 디스크램블러를 갖는 컨버터를 모방하고 유효 가입자의 사용번호(access code) 또는 비밀번호(password)를 도용할 때, 불법적인 사용은 급증할 것이다. 또한, 데이타의 암호화 및 복호화와 같은 매우 복잡한 시스템이 불법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나 비용을 증가시킬 것이다.
2) 많은 수의 컨버터들로부터 방송국으로 유입되는 상향잡전파신호의 유입문제는 여전히 존재하고, 잡전파신호로 통신장애가 발생하나, 단지 진단만을 위하여 선로망점의 증폭기내에 매입스위치 모듈을 설치하여 해결하고 있다. CATV 선로망은 방송국으로 연결된 주간선으로 많은 수의 돌발 상향신호들을 모들 수 있는 나무가지구조이다. 그러므로, 각 컨버터분기에서 소량씩 유입되어 방송국으로 들어가는 상향신호들은 주 간선에서 합쳐져서 큰 신호가 되므로 상향유입되는 주파수성분에 대응하는 RF 대역은 사용불가능하게 된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기존의 양방향 증폭기는 매입스위치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며, 잡전파를 유입하고 있는 선로망점을 찾는데 사용될 수 있다.
3) 상향 RF 신호의 통신시스템은 접속된 컨버터내의 RF 변조기가 연속적으로 RF 반송파를 보내고 있을 때 불통될 수 잇다. 이것은 발생확률이 낮기는 하지만, 동일 주파수대역의 모든 상향전송이 불통되는 심각한 영향을 고려하여 이러한 상황은 피해져야 한다. 즉, 컨버터내 RF 변조기의 오동작으로 인하여 계속해서 반송파를 송신하는 경우 상향통신이 불통된다.
4) 인터럽트방식의 유료방송신청시 동시다발신청으로 인한 송신층들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견고하게 도시청을 방지할 수 있는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향잡전파신호의 유입을 절감하고, 분배증폭기에 매입 스위치 모듈의 설치가 불필요한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버터내의 RF 변조기의 오동작으로 인한 통신불통지역을 제한하는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많은 가입자측에서 유료방송신청시 통신층들 확률을 감소시키고 광과 동축 혼합형(fiber-to-feeder)에 적용가능한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상술한 목적들에 부합되는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종합유선방송 가입자가 컨버터를 이용하여 유료방송시청을 신청할 때, 시청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종류와 함께 컨버터인식번호를 상향정보로써 방송국으로 보내면, 방송국은 수신된 상향정보에 포함된 컨버터인식번호에 해당하는 가입자에게 요금을 징수하고 그 신청된 프로그램의 시청을 허락하게 하는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망점의 망증폭기에 연결되어진 가입자 컨버터로부터의 상향정보에 분기망점인식번호(node identifi cation number;NID)를 함께 실어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함으로써, 방송국으로 하여금 상기 컨버터가 합법적으로 설치된 지역에서 사용되는지를 확인케하는 분기망점인식번호 부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분기망점인식번호 부가수단은 상기 컨버터로부터 보내온 신호를 증폭하는 상향증폭수단과, 상기 증폭된 신호에 분기망점인식번호를 추가하고 반송주파수로 변조하여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의 제어방법은 종합유선방송 가입자가 컨버터를 이용하여 유료방송시청을 신청할 때, 시청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종류와 함께 컨버터인식번호를 상향정보로써 방송국으로 보내면, 방송국은 수신된 상향정보에 포함된 컨버터인식번호에 해당하는 가입자에게 요금을 징수하고 그 신청된 프로그램의 시청을 허락하게 하는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로부터의 상향정보를 증폭하는 단계; 상기 증폭된 상향정보에 분기망점 인식번호를 부가하는 단계; 및 상기 분기망점인식번호를 함께 실은 상향정보를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함으로써 방송국으로 하여금 상기 컨버터인식번호와 상기 분기망점인식번호를 대조하여 상기 컨버터가 합법적으로 설치된 지역에서 사용되는지를 확인케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은 첨부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제1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서, 가입자가 컨버터를 이용하여 유료방송시청을 신청하면 컨버터는 신청된 프로그램과 함께 컨버터인식번호를 상향증폭기(12)에 공급한다. 이때 제2이분파기(8)는 컨버터로부터 온 상향전파신호를 30MHz 이하의 저주파수만을 선택하여 통상 매입스위치(10)을 통하여 상향증폭기(12)에 공급한다. 상기 상향증폭기(12)는 전송된 신호를 내용변경없이 증폭한 후 방향성결합기(14)로 보낸다. 한편, 방송국에서는 망증폭기의 상태를 보고하도록 요구하고, 상태감시모듈의 변수를 설정 또는 변경하고, 망증폭기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등의 명령을 하향증폭기(4)로 전송한다. 이렇게 방송국에서 보내어진 망감시 명령어가 실려있는 RF 신호는 RF 복조기(16)에서 기저대역의 디지탈신호로 변환된다. 이 변환된 신호를 컨트롤러(18)가 독출하여 소정의 제어프로그램에 따라서 명령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명령상의 요구 또는 필요시에 방송국으로 보고할 내용을 RF 변조기(20)를 통해 RF 변조신호로 변경하여 방향성 결합기(14)에 공급한다. 방향성 결합기(14)는 상향증폭기(12)로부터 온 신호와 상기 RF 변조기(20)로부터 온 신호를 함께 섞어서 방송국쪽의 제1이분파기(2)로 전송한다.
방송국에서는 상기한 방법으로 수신된 상향정보에 포함된 컨버터인식번호에 해당하는 가입자에게 요금을 징수하고 해당 컨버터에 가입자가 신청한 프로그램의 시청을 허가해 주는 신호를 제1이분파기(2), 하향증폭기(4), 방향성 분기기(6) 및 제2이분파기(8)를 통하여 가입자의 컨버터에 공급한다. 이 경우, 상향증폭기(12)의 전단에는 매입스위치 모듈(10)을 설치하여 방송국에서 필요시 스위치모듈을 개방함으로써 컨버터로부터 상향전파되는 신호가 방송국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이 종래의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는 전술한 종래의 단점외에도, 종합유선방송 선로망에 설치된 다수의 스위치모듈을 순차적으로 개방시켜 봄으로써 방송국에 유입되는 잡전파신호의 크기를 측정하여 잡전파신호의 유입 지점을 파악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장치의 유사하나, 제1도의 장치에다 다만 망점인식번호를 부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통상 컨버터로부터 보내어진 상향정보에 NID 신호를 부가하는 것은 간선증폭기, 분기증폭기(bridger amplifier) 및 연장증폭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분기증폭기는 한 지역에 상당한 수의 컨버터 분기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분기증폭기에서 컨버터의 상향정보에 NID 번호를 부가하는 것으로 하였다.
컨버터의 상향정보에 NID 번호를 부가하기 위하여, 상향정보를 전달하는 상향 RF 신호는 인터셉트되고 독취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제1도의 장치에서 상향증폭의 전단의 매입스위치 모듈(10)을 제거하고, 2개의 RF 복조기들(140,141)을 방향성 분기기(120)의 후단에 부가하고 있다. 또한 제1도에서처럼 제1이분파기(2)가 방향성 결합기(14)로부터 상향정보를 공급받는 대신에, 제2도에서는 제1이분파기(20)가 RF 변조기(200)를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공급받도록 하였다. 컨트롤러(160)는 3가지 종류의 RF 신호들을 복조기들(140,141,160)로부터 받아서, RF 변조기(200)를 거쳐서 제1이분파기(20)로 공급한다. 이때, 제2도의 장치를 만들기 위하여, RF 복조기들(140,141,160)은 상기 3가지 서로 다른 RF 신호들의 반송주파수들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고, 컨트롤러(18))내의 제어프로그램은 변경된다.
즉, 제2도에서, 제2이분파기(80)는 망증폭장치의 하류측 망증폭기들로부터 방송국으로 전송되는 제1상향 RF 신호 및 상기 컨버터로부터 방송국으로 전송되는 제2상향 RF 신호 모두의 저주파수대역만을 선택하여 상향증폭기(100)로 전송한다. 상향증폭기(100)는 상기 제1 및 제2상향 RF 신호들을 증폭하여 방향성 분기기(120)에 공급한다. 상기 망증폭장치의 하류측 망증폭기들로부터 방송국으로 전송되는 제1상향 RF 신호는 제2 RF 복조기(140)에서, 상기 컨버터로부터 방송국으로 전송되는 제2상향 RF 신호는 제3 RF 복조기(141)에서 복조된다. 또한, 하향증폭기(40)와 방향성 분기기(60)를 통하여 들어온 망감시명령어가 실려있는 RF 신호는 제1 RF 복조기(160)에 복조된다.
따라서, 제3 RF 복조기(141)에 수신된 컨버터들로부터의 상향정보에는 각 컨버터의 고유번호인 CID 번호가 포함되어 있고, 컨트롤러(180)에서 소정의 제어프로그램에 따라서 이 상향정보에 분기망점 고유번호인 NID 번호를 부가하여 새로운 정보를 만든다. 그 다음, RF 변조기(200)에서 RF 신호로 변조하여 제1이분파기(20)를 거쳐 방송국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방송국에 전송되는 상향정보는 컨버터 및 망점의 인식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이 경우, RF 변조기(200)에서 망점에 대한 정보는 컨버터로부터 공급된 상향정보와는 다른 반송주파수로 변조된다. 따라서, RF 변조기(200)의 반송주파수를 컨버터 및 망점의 상향정보들 사이에서 적당한 반송주파수로 절환되도록, 컨트롤러(200)의 제어프로그램은 프로그램되어야 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CATV 분배시스템에서는 처음에 가입자가 한 컨버터에서 유료방송시청(PPV)을 신청하는 경우(단계 100), 컨버터에서는 가입자 CID번호와 함께 PPV 시청신청신호를 상향전송한다(단계 200). 다음, 본 발명의 특징부인 망점인식번호부가수단에서 상기 CID 번호와 함께 상향전송된 PPV 신청번호에 NID 번호를 부가하여 RF 변조하여 방송국으로 상향전송한다(단계 300). 그 다음, 방송국에서 CID 번호와 NID 번호와의 상관관계를 대조하여(단계 400), 그 컨버터가 NID 번호를 가지는 망점에 의해 분배되는 영역에 속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만일 단계 400에서, CID 번호가 NID 번호와 상관관계가 있는 지역에 있다고 판단되면, 방송국은 상기 가입자의 PPV 시청을 허가한다(단계 500). 만일 단계 400에서 CID 신호가 NID신호와 상관관계가 없는 지역에 있다고 판단되면, 방송국은 상기 PPV시청을 거절하고, 불법적인 도시청행위가 있는지를 추적한다(단계 6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CATV 분배망이 분기망점인 분기증폭기를 기준으로 지역적 분리가 되므로, 예를들어 가와 나지역이 각기 다른 분기 증폭기의 영역에 있을 때, 가지역에 설치된 CID 번호를 사용하여 나지역에서 PPV 시청을 신청하면 CID 번호는 등록이 된 것이지만 분기증폭기가 부가한 NID 번호에 의한 지역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PPV 시청을 허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불법도시청행위를 각 지역내로 한정할 수 있으며, 전체 선로망에 걸쳐 불법도시청이 급증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증폭기 하단부에서 전송된 RF 신호가 상향증폭기에서 증폭되어 곧바로 방송국으로 전달되므로, 상향잡전파가 방송국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가 없었다. 이 경우 스위치(10)를 열어서 상향잡전파신호의 유입을 막을 수 있으나 스위치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상향통신자체가 불통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증폭기 하단부로부터 전송된 RF 신호를 상향증폭기(100)에서 증폭한 후, 방송국으로 곧바로 전송하지 않고 일단 RF 복조기들(140,141)로 수신을 하므로 상향잡전파신호의 유입을 절감시킬 수 있다.
송신측의 RF 변조기로부터 수신측의 RF 복조기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교신이 통신이라 할 경우, 종래기술의 1차 수신측이 방송국이었으나, 본 발명에서의 1차 수신측은 분기증폭기인 망점증폭장치이고 2차 수신측이 방송국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방송국에서 통신불통 또는 PPV 시청신청정보의 충돌이 발생하므로 전지역에 영향을 주지만, 본 발명에서는 1차로 분기망점에서 통신불통 또는 PPV 시청신청정보의 충돌이 발생하므로 분기증폭기의 해당 지역에만 영향을 주게된다. 따라서, 통신불통지역 및 PPV 시청신청정보의 충돌지역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방송국에서 분기증폭기까지는 광케이블로 하고, 분기증폭기에서 가입자까지의 동축케이블로 할 수 있다. 이리하여, 분기증폭기에 수신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동축 케이블을 통하여 가입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광신호가 분기증폭기 이후까지 송되는 경우에도 광케이블이 동축 케이블로 바뀌는 최종 망증폭기에 NID 번호부가기능을 갖도록 하면, 광과 동축 혼합형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종합유선방송 가입자가 컨버터를 이용하여 유료방송시청을 신청할 때, 시청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종류와 함께 컨버터인식번호를 상향정보로써 방송망점의 망증폭기에서 증폭한 후 방송국으로 보내면, 방송국은 수신된 상향정보에 포함된 컨버터인식번호에 해당하는 가입자에게 요금을 징수하고 그 신청된 프로그램의 시청을 허락하게 하는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망점의 망증폭기에 연결되어진 상기 가입자 컨버터로부터의 상향정보에 분기망점인식번호를 함께 실어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함으로써 방송국으로 하여금 상기 컨버터가 합법적으로 설치된 지역에서 사용되는지를 확인케하는 분기망점인식번호 부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망점인식번호 부가수단은 상기 방송망점의 망증폭기의 하류측 망증폭기 및 상기 컨버터로부터 보내온 신호를 증폭하는 상향증폭수단과 상기 증폭된 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는 방향성 분기기와, 상기 분기된 신호들을 복조하여, 그 중 상기 컨버터로부터 보내온 신호의 복조된 신호에 분기망점인식번호를 추가하고 반송주파수로 변조하여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신호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하향전송된 망감시정보를 복조하는 제1복조기, 상기 방향성 분기기로부터 공급되는 가입자 하류측 망증폭기로부터 공급되는 제1상향정보를 복조하는 제2복조기, 상기 방향성 분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컨버터의 제2상향정보를 복조하는 제3복조기, 및 상기 제1 내지 제3복조기들로부터 공급되는 복조된 신호들을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처리하여 상기 복조된 제2상향정보에 부기망점인식번호를 부가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출력신호를 변조하여 방송국으로 전송하는 RF 변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
  4. 종합유선방송 가입자가 컨버터를 이용하여 유료방송시청을 신청할 때, 시청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종류와 함께 컨버터인식번호를 상향정보로써 방송망점 증폭기에서 증폭한 후 방송국으로 보내면, 방송국은 수신된 상향정보에 포함된 컨버터인식번호에 해당하는 가입자에게 요금을 징수하고 그 신청된 프로그램의 시청을 허락하도록 하는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망점증폭기의 하류측 망증폭기 및 상기 가입자컨버터로부터의 상향정보를 증폭하는 단계; 상기 증폭된 상향정보에 분기망점인식번호를 부가하는 단계; 및 상기 분기망점인식번호를 함께 실은 상향정보를 상기 방송국으로 전송함으로써 방송국으로 하여금 상기 컨버터인식번호와 상기 분기망점인식번호를 대조하여 상기 컨버터가 합법적으로 설치된 지역에서 사용되는지를 확인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망인식번호 부가단계는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하향전송된 망감시정보를 복조하는 단계, 상기 방향성 분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방송망점망증폭기의 하류측 망증폭기의 제1상향정보를 복조하는 단계, 상기 방향성 분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컨버터의 제2상향정보를 복조하는 단계, 및 상기 복조된 신호들을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처리하여 상기 복조된 제2상향정보에 분기망점인식번호를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의 제어방법.
KR1019940001914A 1994-02-02 1994-02-02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70000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1914A KR970000765B1 (ko) 1994-02-02 1994-02-02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1914A KR970000765B1 (ko) 1994-02-02 1994-02-02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248A KR950026248A (ko) 1995-09-18
KR970000765B1 true KR970000765B1 (ko) 1997-01-18

Family

ID=19376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1914A KR970000765B1 (ko) 1994-02-02 1994-02-02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7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974B1 (ko) * 2000-06-30 2002-10-11 주식회사 두루테크럴러지 알에프 릴레이를 내장하여 알에프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탭오프 및 분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974B1 (ko) * 2000-06-30 2002-10-11 주식회사 두루테크럴러지 알에프 릴레이를 내장하여 알에프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탭오프 및 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248A (ko) 199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21471C (en) Settop terminal controlled return path filter for minimizing noise ingress on bidirectional cable systems
US5812665A (en) Switched channel system
KR100452389B1 (ko) 케이블 tv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로컬 네트워크
HRP20010151A2 (en) Audio/video signal redistribution system
GB2377111A (en) Secure operation of multiple set top boxes for braodcast data receivers
SK10872000A3 (sk) Univerzálny systém distribúcie signálov
EP1121804B1 (en) Enhanced security communications system
KR970000765B1 (ko) 종합유선방송용 상향시스템의 망증폭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52310B1 (ko) 전송단자함의 선로증폭장치
JPH11355738A (ja) 双方向catvシステム用周波数変換器及び集合住宅の棟内伝送システム
EP0181863B1 (en) Tamper-resistant, expandable communications system
JPH10174084A (ja) 双方向catvシステム
JP2002016898A (ja) 双方向catvシステム、伝送路機器、センタ装置
US4427995A (en) Fail-safe CATV system center facility
US68888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noise leakage from a cable modem
KR100938956B1 (ko) 다수의 컴퓨터 터미널들을 광대역 케이블에 접속시키기 위한 방법
JPH09233451A (ja) 双方向通信機能を有したディジタルサービス受信装置ならびにディジタルサービスシステム
JP4347001B2 (ja) Catv監視システムおよびcatv監視方法
US20010015967A1 (en) Wireless LAN system
KR20020012586A (ko) 데이터 전송 방식 및 데이터 전송 장치
KR0158588B1 (ko) 쌍방향 케이블 텔레비젼용 상호정보교환 시스템
KR20020032456A (ko) 증폭 기능을 구비하는 전송 경로 제어용 분기 시스템
Evans et al. An intercity broadband network for rural Manitoba
KR200181048Y1 (ko) Catv 동축분배망에서 상향채널의 가변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CA2217338C (en) Hybrid return gate system in a bidirectional cable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