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875B1 -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지정경로 통화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지정경로 통화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875B1
KR960010875B1 KR1019930024525A KR930024525A KR960010875B1 KR 960010875 B1 KR960010875 B1 KR 960010875B1 KR 1019930024525 A KR1019930024525 A KR 1019930024525A KR 930024525 A KR930024525 A KR 930024525A KR 960010875 B1 KR960010875 B1 KR 960010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line
subscriber
control device
call
desig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4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6410A (ko
Inventor
박형준
김동주
김종국
Original Assignee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filed Critical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4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875B1/ko
Publication of KR950016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6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8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지정경로 통화 제공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드웨어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사용하고자 해당 서비스 이용시 입력하는 정보의 예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정경로 통화 제공 방법의 처리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화기 2 : 가입자 접속장치
3 : 중계선 4 : 중계선 접속장치
5 : 스위치 장치 6 : 가입자 제어장치
7 : 중계선 제어장치 8 : 스위치 제어장치
9 : 운용/유지보수 제어장치 10 : 운용자 단말
본 발명은 디지틀 전자 교환시스팀에서 대국과 연결된 임의의 중계선의 고장 여부 및 고장의 정도를 계측기를 사용하지 않은 채로 교환기 운용자가 확인할 수있도록 하기 위해, 임의의 전화기를 통해 원하는 특정 중계선을 선택하여 통화하도록 하는 기능인 지정경로 통화기능 제공과, 전전자 교환 시스팀 내에서 각 구성 장치간에 지정경로 통화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것이다.
기존의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는, 중계선에 고장 발생시 해당 중계선을 선택하여 시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부가장비를 설치하고 시험용으로 고정된 특정회로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있었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간단한 소프트웨어만을 사용하여 어떠한 전화기로도 원하는 중계선을 지적 선택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한 지정경로 통화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화기와, 가입자 접속장치와, 스위치 장치와, 중계선 접속장치를 포함하는 통화로부와 ; 가입자 제어장치와, 스위치 제어장치와, 중계선 제어장치와, 운용/유지보수 제어장치와, 운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전전자 교환기에 적용되는 지정경로 통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운용자 또는 시험요원이 전화기를 사용하여 지정경로 통화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경보 데이타를 입력하면, 가입자 제어장치로 입력한 정보를 전달하여 해당 가입자 회선이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제1단계와, 확인결과, 미등록인 경우는 에러 신호음을 송출하고 종료하며, 등록된 경우에는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지정된 중계선 제어장치로 지정경로 통화요구 신호와 함께 입력된 중계선 번호를 전달하는 제2단계와, 중계선 제어장치가 지정된 중계선을 조사하여 사용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 불가능한 경우는 에러음을 송출하고 종료하며, 사용가능한 경우는 해당 중계선을 점유하고, 스위치 제어장치로 스위치 연결요구 신호를 보냄과 아울러 가입자 제어장치로 중계선 점유완료 신호를 보내는 제3단계와, 가입자 제어장치가 중계선 제어장치로부터 중계선 점유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착신번호를 중계선 제어장치로 송출하며, 중계선 제어장치는 수신한 번호를 점유한 중계선을 통해 착신 대국으로 송신하는 제4단계와, 대국의 가입자가 응답하면 전화기를 통해 대국의 가입자와 통화를 함으로써 해당 경로의 정상여부를 판단한 후 시험을 종료하고 대국의 가입자가 사용중(Busy)이거나 비정상적인 현상이 발생하면, 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여 해당 경로의 정상여부를 판단하고 시험을 종료하는 제5단계를 구비하여 수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구성도로서, 전전자 교환기의 통화로부와 제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로부는 통화의 경로를 구성하는 장치들로서 이루어지는데, 기본적으로 전화기(1)가 접속되는 가입자 접속장치(2)와, 상대 교환기와의 통로 역할을 하는 중계선(3)이 접속되는 중계선 접속장치(4)와, 가입자 전화기(1) 및 중계선(3) 사이의 연결능력을 제공하는 스위치 장치(5)가 있다. 제어부는 통화로부를 제어하며 적절한 경로를 선택하고 교환기를 운용하거나 유지보수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며, 기능적으로 가입자 접속장치(2)를 제어하는 가입자 제어장치(6)와 중계선 접속장치(4)를 제어하는 중계선 제어장치(7) 및 스위치 장치(5)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장치(8)와, 운용 및 유지보수 능력을 제공하는 운용/유지보수 제어장치(9) 및 운용자와 정보를 주고 받는 운용자 단말(10)을 구비한다.
제1도에 도시한 하드웨어와 본 발명인 제어 프로그램이 연동하여 교환 시스팀을 운용하는 운용자 또는 시험요원에게 임의의 전화기(1)를 사용하도록 하여 원하는 중계선(3)을 시험할 수 있도록 중계선을 지정해 통화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사용하고자 해당 서비스 이용시 입력하는 정보의 예시도이다.
운용자 또는 시험요원이 기능이 등록된 전화기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기능 이용시, 먼저 시작부호로서 서비스 시작부호(*), 서비스 부호, 착신 가입자 번호, 해당 중계선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번호, 중계선 번호, 서비스 종료부호(*)를 차례로 입력하도록 실시하였으며, 교환기로 하여금 자동으로 지정된 중계선을 통해 착신 가입자를 호출하도록 한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정경로 통화 제공 방법의 처리 흐름도이다.
운용자 또는 시험요원이 전화기(1)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정보 데이타를 입력하면(11), 가입자 제어장치(6)로 입력한 정보로 전달하여 해당 가입자 회선이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12). 확인결과 미등록인 경우는 에러 신호음을 송출하고(13) 종료하며, 등록된 경우에는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지정된 중계선 제어장치(7)로 지정경로 통화요구 신호와 함께 입력된 중계선 번호를 전달한다(14). 중계선 제어장치(7)는 지정된 중계선을 조사하여 사용가능 여부를 판단하는데(15), 사용 불가능한 경우는 에러음을 송출하고(13) 종료하며, 사용가능한 경우는 해당 중계선을 점유하고(16), 스위치 제어장치(8)로 스위치 연결요구 신호를 보냄과 아울러 가입자 제어장치(6)로 중계선 점유완료 신호를 보낸다(17,18).
가입자 제어장치(6)는 중계선 제어장치(7)로부터 중계선 점유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착신번호를 중계선 제어장치(7)로 송출하며(19), 중계선 제어장치(7)는 수신한 번호를 점유한 중계선을 통해 착신 대국으로 송신한다(20). 대국의 가입자가 응답하면 전화기(1)를 통해 대국의 가입자와 통화를 함으로써 해당경로의 정상여부를 판단한 후 시험을 종료하고(21,22) 대국의 가입자가 사용중(Busy)이거나 비정상 현상이 발생하면 원인을 분석하여 해당 경로의 정상여부를 판단하고(23) 시험을 종료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처리절차에 의해 수행되는 본 발명은, 어떠한 전화기로도 원하는 중계선을 직접 선택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전전자 교환기에 구현된 중계선 시험기능이 가지고 있는 부가장비의 필요성 및 시험용으로 고정된 특정회로를 사용해야 하는 제한성을 극복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울러 대국의 교환기에 따라 시험능력에 제한을 받는 취약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디지틀 교환 시스팀이 기계식 교환기인 대국과 접속할 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각 중계선별 선택 시험능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화기(1)와, 가입자 접속장치(2)와, 스위치 장치(5)와, 중계선 접속장치(4)를 포함하는 통화로부와 ; 고가입자 제어장치(6)와, 스위칭 제어장치(8)와, 중계선 제어장치(7)와, 운용/유지보수 제어장치(9)와, 운용자 단말(10)을 포함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전전자 교환기에 적용되는 지정경로 통화 제공 방법에 있어서, 운용자 또는 시험요원이 전화기(1)를 사용하여 지정경로 통화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정보 데이타를 입력하면, 가입자 제어장치(6)로 입력한 정보를 전달하여 해당 가입자 회선이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제1단계와 ; 상기 제1단계에서의 확인결과, 미등록인 경우는 에러 신호음을 송출하고 종료하며, 등록된 경우에는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지정된 중계선 제어장치(7)로 지정경로 통화요구 신호와 함께 입력된 중계선 번호를 전달하는 제2단계와 ; 상기 제2단계 수행후, 중계선 제어장치(7)가 지정된 중계선을 조사하여 사용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 불가능한 경우는 에러음을 송출하고 종료하며, 사용가능한 경우는 해당 중계선을 점유하고, 스위치 제어장치(8)로 스위치 연결 요구 신호를 보냄과 아울러 가입자 제어장치(6)로 중계선 점유 완료 신호를 보내는 제3단계와 ; 상기 제3단계 수행 후, 가입자 제어장치(6)가 중계선 제어장치(7)로부터 중계선 점유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착신번홀ㄹ 중계선 제어장치(7)로 송출하며, 중계선 제어장치(7)로부터 중계선 점유한 중계선을 통해 착신 대국으로 송신하는 제4단계와 ; 상기 제4단계 수행후, 대국의 가입자가 응답하면 전화기(1)를 통해 대국의 가입자와 통화를 하여 지정경로를 통한 통화를 통해 시험을 수행하고 종료하며, 대국의 가입자가 사용중(Busy)이거나 비정상현상이 발생하면 원인 분석을 통해 해당경로를 시험하고 종료하는 제5단계를 구비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지정경로 통화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의 운용자 또는 시험요원이 전화기(1)를 사용하여 지정경로 통화제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입력하는 정보 데이타는, 시작부호로서 서비스 시작부호(*), 서비스 부호, 착신 가입자 번호, 해당 중계선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번호, 중계선 번호, 서비스 종료부호(*)를 차례로 입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지정경로 통화 제공 방법.
KR1019930024525A 1993-11-17 1993-11-17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지정경로 통화 제공 방법 KR960010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525A KR960010875B1 (ko) 1993-11-17 1993-11-17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지정경로 통화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525A KR960010875B1 (ko) 1993-11-17 1993-11-17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지정경로 통화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410A KR950016410A (ko) 1995-06-17
KR960010875B1 true KR960010875B1 (ko) 1996-08-10

Family

ID=1936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4525A KR960010875B1 (ko) 1993-11-17 1993-11-17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지정경로 통화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8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410A (ko) 199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875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지정경로 통화 제공 방법
KR100282407B1 (ko) 스위칭 시스템 및 스위칭 시스템에서의 안내방송 운용 방법
KR100210763B1 (ko)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장치및 방법
KR20070079417A (ko) 통화호의 점유중인 trk 확인 방법
KR100194772B1 (ko) 지능망서비스 고장신고 처리방법
KR100256886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수동가입자 호접속제어장치와 그 방법
JP3016457B2 (ja) 通信システム
KR950005991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선 시험 수행 방법
KR960016667B1 (ko)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용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부재중 안내서비스 처리 방법
KR100225734B1 (ko) 전전자교환기 안내대의 호접속제어방법
KR10023748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 야간서비스 비활성화방법
KR10024741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국간 선로 시험을 위한 패스 연결 방법
KR100250668B1 (ko) 안내대를 이용한 스피드콜 서비스 방법
KR10023747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 야간서비스 활성화방법
KR100328437B1 (ko) 이동통신 교환기의 가입자 라인 및 신호 장비 경로테스트장치 및 그 방법
KR100235114B1 (ko)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 중계호 자국 안내대 착신처리장치 및 방법
KR100226324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타임스위치 호경로교환방법
KR100225528B1 (ko) 단축 메시지 발신 기능을 갖는 지에스엠(gsm) 이동 통신 교환기
KR100221841B1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아날로그가입자 다중접속장치
KR100322027B1 (ko) 운용자 명령어에 의한 베어러 채널 감사방법
KR10021076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호전환제어방법
KR20030057047A (ko) 사설교환기의 착신호 자동 분배방법
JPH09322255A (ja) ボタン電話装置
KR19980023183A (ko)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 중계호 자국 안내대 착신처리방법
KR19980014152A (ko) 국설 전전자교환기의 안내대운영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