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763B1 -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763B1
KR100210763B1 KR1019960042624A KR19960042624A KR100210763B1 KR 100210763 B1 KR100210763 B1 KR 100210763B1 KR 1019960042624 A KR1019960042624 A KR 1019960042624A KR 19960042624 A KR19960042624 A KR 19960042624A KR 100210763 B1 KR100210763 B1 KR 100210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guide
passive
subscriber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2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184A (ko
Inventor
김영을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42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763B1/ko
Priority to US08/915,634 priority patent/US5930335A/en
Publication of KR19980023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60Semi-automatic systems, i.e. in which the numerical selection of the outgoing line is under the control of an oper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81Call monitoring, e.g. for law enforcement purposes; Call tracing; Detection or prevention of malicious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36Statistical metering, e.g. recording occasions when traffic exceeds capacity of tru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chnology Law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기설정시간을 주기(週期)로 안내대가 수동가입자간의 통화에 대한 감청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안내대가 수동가입자간의 통화종료시 신속하게 수동가입자간의 호(呼)를 해지할 수 있도록 된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가능한 최소한 1이상의 안내대가 접속되어 그 안내대(7)를 매개하여 가입자단말로부터의 서비스요구에 응답하는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수동가입자단말(2)의 통화수행시 소정시간을 카운팅하여 카운팅된 통화시간이 기설정시간이상이면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가 호감청을 요구하는 제 1 단계와, 해당 호감청요구에 반응하여 착신가입자처리부(4)가 특정 안내대(7)를 접속하는 제 2 단계, 접속된 상기 안내대(7)가 상기 수동가입자단말(2)에 대한 감청기능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상기 안내대(7)가 감청기능수행시 상기 수동가입자단말(2)의 통화상태에 대응하여 호해제요구하거나 호감청해제를 요구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안내대(7)로부터의 요구에 반응하여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가 수동가입자간의 호를 해제하거나 호감청을 해제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안내대의 오퍼레이터의 특별한 주의없이도 상기 안내대가 상기 수동가입자간의 통화상태를 효과적으로 감시하여 상기 수동가입자간의 통화종료시 신속하게 상기 수동가입자간의 호를 해지함으로써 전전자 교환기에 접속된 안내대를 이용하는 수동가입자에게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설정시간을 주기로 안내대가 감청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발신 수동가입자의 통화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안내대가 효과적으로 상기 발신 수동가입자의 호를 해지할 수 있도록 된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가입자 단말이 접속된 상태에서 그 가입자단말에서 발생되는 호설정 및 통화요구에 대해 최적화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전자 교환기가 설계되어 국설 교환수단으로서 실용에 적용된 상태이다.
그러한 전전자 교환기에 따르면, 가입자 단말은 가입자선을 매개하여 예컨대 반도체 스위치[즉, 공간분할스위치(SSW;Space Switch)와 시분할스위치(TSW;Time Switch)]를 포함하여 통화로망에 접속되고, 다른 교환국과의 연결은 트렁크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전전자 교환기에는 가입자선과 트렁크에서 발생되는 모든 사건을 감지하여 제어유니트에 통지하는 장치(Scanner)도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는 바, 예컨대 송수화기의 ON-OFF 훅, 다이얼링하는 전화번호, 타국으로부터의 착신신호, 중계선의 상태[공선(空線) 또는 화중(話中)]등을 검출하게 된다.
그와 더불어, 전전자 교환기에는 회선으로 전송되어야 할 신호의 처리를 담당하는 신호장치(signalling equipment)도 포함되는 바, 그 신호장치는 예컨대 제어유니트의 제어하에 발신음, 화중음, 호출음, 호출신호전류, 타국의 교환기에 전송되는 신호 등을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그러한 전전자 교환기에 따르면, 예컨대 자국의 가입자에서 발생되는 호설정 요구의 전송대상인 상대방 가입자 단말을 수용하는 타국 교환기의 형식이 자국의 교환기 형식과 상이한 경우에는 타국교환기의 가입자단말과의 직접적인 호설정처리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그러한 점을 고려하여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 대해서는 상이한 교환방식을 채용한 타국 교환기에 대한 호접속을 실현하거나 또는 자국의 가입자단말에 대한 별도의 과금처리 등을 위해 소위 안내대(OPS;Operator Position System)가 최소한 1이상으로 제공된다.
그 안내대의 제공에 의하면, 자국 교환기의 가입자 단말에서 발생되는 호설정요구에 응답하여 그 안내대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의 작업에 의해 상이한 교환방식의 타국 교환기에 접속된 상대방 가입자 단말과의 호환적인 호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특정 지역의 특성상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 수동가입자가 수용되어지면 그 수동가입자에 대한 호설정(呼設定)이나 호해지(呼解止)에 대한 상태가 상기 수동가입자의 송수화기를 통해 설정될 수 없기 때문에 해당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 설치된 안내대를 통해서 발신 수동가입자와 착신 수동가입자간의 호가 연결되거나 그 수동가입자간의 호가 해지되었다.
이때, 상기 안내대는 수동가입자간의 호를 연결한 다음 휴지상태를 유지하면서 오퍼레이터에 조작에 의해 해당 수동가입자간의 통화내용을 감청하여 그 수동가입자간의 통화상태를 감시하는 바, 그 감시결과 해당 수동가입자간 통화종료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안내대는 해당 수동가입자간의 호를 해지시킨다.
그러나, 이런 경우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감청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항시 주의하여 감청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수동가입자간의 통화종료상태를 감시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오퍼레이터의 주의부족으로 장시간동안 감청기능을 수행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수동가입자간의 통화가 종료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동안 호설정상태가 방치되어지면 호설정상태가 방치된 동안에도 통화시간이 카운팅되기 때문에 이는 발신 수동가입자에게 청구되어질 통화요금이 부당하게 산정(算定)되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되어진 것으로, 기설정시간을 주기(週期)로 안내대가 수동가입자간의 통화에 대한 감청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안내대가 수동가입자간의 통화종료시 신속하게 수동가입자간의 호(呼)를 해지할 수 있도록 된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가능한 최소한 1이상의 안내대가 접속되어 그 안내대를 매개하여 가입자단말로부터의 서비스요구에 응답하는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수동가입자의 통화수행시 안내대에 의한 감청수행을 요구하는 수동가입자처리부와,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로부터의 감청수행요구에 반응하여 안내대에 대한 번호번역을 수행한 다음 해당 안내대의 착호를 요구하는 번호번역부, 상기 번호번역부의 요구에 반응하여 해당 안내대를 호출하는 착신가입자처리부 및,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와 상기 안내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와 상기 안내대의 신호적인 접속을 수행하는 매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착신가입자부는 상기 번호번역부로부터의 안내대착호요구시 통화가능안내대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여 통화가능안내대가 존재하면 해당 안내대를 호출하고 통화가능안내대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로 안내대통화중메시지를 송출하는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는 상기 안내대에 의한 감청수행을 기설정시간을 주기로 요구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안내대는 감청기능수행시 상기 수동가입자가 통화종료상태이면 상기 수동가입자간의 호를 해지함과 더불어 상기 수동가입자와 상기 안내대간의 호를 해지하는 반면, 상기 수동가입자가 통화중이면 호감청을 해지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가능한 최소한 1이상의 안내대가 접속되어 그 안내대를 매개하여 가입자단말로부터의 서비스요구에 응답하는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수동가입자의 통화수행시 소정시간을 카운팅하여 카운팅된 통화시간이 기설정시간이상이면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가 호감청을 요구하는 제 1 단계와, 해당 호감청요구에 반응하여 착신가입자처리부가 특정 안내대를 접속하는 제 2 단계, 접속된 상기 안내대가 상기 수동가입자에 대한 감청기능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 상기 안내대가 감청기능수행시 상기 수동가입자단말의 통화상태에 대응하여 호해제요구하거나 호감청해제를 요구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안내대로부터의 요구에 반응하여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가 수동가입자간의 호를 해제하거나 호감청을 해제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제 1 단계는 수동가입자간의 통화시간이 기설정시간에 도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그 판단결과 통화시간이 기설정시간에 도달하면 수동가입자처리부가 번호번역부로 호감청 안내대에 대한 번호번역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번호번역부가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로 안내대의 착호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는 통화가능안내대의 유무를 판단하여 통화가능안내대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안내대를 접속하는 반면, 통화가능안내대가 없는 경우에는 호감청요구를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에서 통화가능안내대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동가입자처리부로 안내대통화중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통화가능안내대가 발생하는가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단계 및, 통화가능안내대발생시 해당 안내대를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에서 통화가능안내대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동가입자처리부로 안내대통화중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통화시간을 재카운팅하는 단계 및, 재카운팅된 통화시간이 기설정시간이상이면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가 호감청을 요구하는 단계로 이루어 진다.
마지막으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안내대는 수동가입자단말이 통화중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수동가입자단말이 통화중이면 호감청해제를 요구하는 반면, 상기 수동가입자단말이 통화종료상태이면 수동가입자간의 호해지를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상기한 구성과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동가입자간의 통화개시시점으로부터 기설정시간간격으로 안내대에 의한 감청이 수행되어짐으로써 상기 안내대가 상기 수동가입자간의 통화상태를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동가입자간의 통화종료시 신속하게 상기 수동가입자간의 호를 해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장치의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수동가입자처리부, 2:수동가입자,
3:번호번역부, 4:착신가입자처리부,
5:Q.931 프로토콜부, 6:Q.921 링크부,
7:안내대(OPS;Operator Position System).
이하, 첨부되어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국설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 감청제어장치의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국설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 제어장치는 수동가입자처리부(1)와, 수동가입자단말(2), 번호번역부(3), 착신가입자처리부(4), Q.931 프로토콜부(5), Q.921 링크부(6) 및, 안내대(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는 수동가입자단말(2)로부터의 호설정에 응답하여 번호번역을 요구함과 더불어 안내대(7)에 의한 서비스기능의 응답메시지를 수동가입자단말(2)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블럭으로서, 본 발명에 상정하여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는 통화개시시점을 기준으로 계시(計時)동작을 수행하여 통화시간이 기설정시간에 도달되면 안내대에 의한 감청기능수행을 위한 호감청번역을 요구한다.
그리고, 상기 수동가입자단말(2)은 자국의 전전자 교환기에 접속된 다수의 수동가입자단말중 대표적인 가입자단말이다.
상기 번호번역부(3)는 상기 수동가입자부(1)로부터의 번호번역요구에 응답하여 호설정을 요구함과 더불어 호감청을 위한 안내대로의 호설정을 요구하는 번호번역부(3)이다.
상기 착신가입부(4)는 상기 번호번역부(3)로부터 인가되는 호설정요구에 응답하여 안내대(7)측으로 착신측 가입자단말(도시 생략)로의 호설정을 요구함과 더불어 안내대(7)에 의한 착신측 가입자단말에 대한 호설정결과나 안내대(7)에 대한 호설정결과를 상기 수동가입자부(1)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블럭이다. 또, 상기 착신가입자부(4)는 해당 전전자 교환기에 접속된 다수의 안내대의 통화상태를 상기 안내대로부터 보고받아 해당 안내대의 통화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번호번역부(3)로부터 호감청에 따른 안내대의 착호요구시 통화가능한 상태(즉, idle)의 안내대가 존재하면 해당 안내대(7)로의 호가 설정되도록 하는 반면, 통화가능 상태의 안내대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로 안내대통화중 메시지를 인가하고 감청요구를 무시한다.
또한, 상기 Q.931 프로토콜부(5)는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를 통해 전달되는 호설정요구를 상기 안내대(7)측으로 전송하거나 그 안내대(7)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응답신호를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로 전송하도록 하는 Q.931 프로토콜을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블럭이다.
상기 Q.921 링크부(6)는 상기 Q.931 프로토콜부(5)와 상기 안내대(7)의 사이에 개재되어 그 Q.931 프로토콜부(5)와 상기 안내대(7)의 신호적인 접속기능을 수행하는 블럭이다.
그리고, 상기 안내대(7)는 상기 수동가입자단말(2)에 의해 요구되는 특수한 서비스기능에 기초하여 특수한 서비스기능을 착신측 가입자단말에 전달하여 호접속이 실행되도록 해당 전전자 교환기에 대해 최소한 1이상으로 제공되는 안내대중 대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안내대(7)는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로부터의 호설정요구에 응답하여 감청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감청기능수행시 통화중이던 수동가입자간의 통화가 종료된 상태이면 수동가입자간의 호를 해지하는 반면, 해당 수동가입자간의 통화가 진행중이면 호감청기능이 해제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되어진 도 2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수동가입자단말(2)에 접속된 발신 수동가입자가 착신가입자처리부(4)에 접속된 착신가입자와의 통화를 소망하여 상기 수동가입자단말(2)를 통해 안내대(7)와의 접속을 요청하면,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는 번호번역부(3)로 상기 수동가입자단말(2)로부터의 안내대접속요청에 따른 번호번역을 요구한다.
이에, 상기 번호번역부(3)는 착신가입자처리부(4)로 번호번역된 안내대(7)로의 착호를 요구하고, 그 착신가입자처리부(4)는 Q.931 프로토콜부(5)와 Q.921 링크부(6)를 매개하여 안내대(7)로 호설정을 요구하는 바, 그 안내대(7)가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로부터 호설정요구에 응답하여 호설정OK신호를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로 인가하면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가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로 상기 안내대(7)의 응답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수동가입자단말(2)과 상기 안내대(7)간의 통화경로가 연결된다.
그런 상태에서, 상기 수동가입자단말(2)에 접속된 발신 수동가입자가 상기 안내대(7)로 상기 착신 수동가입자와의 접속을 요청하면 상기 안내대(7)는 그 착신 수동가입자를 호출하여 상기 발신 수동가입자와 상기 착신 수동가입자간의 통화경로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한 과정을 거쳐 상기 발신 수동가입자와 상기 착신 수동가입자간의 호가 설정되어 수동가입자간의 통화가 개시되면(단계 10),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는 통화개시시간(t)을 카운팅하여(단계 12), 그 카운팅된 통화시간(t)이 기설정시간(t1)에 도달하는가를 판단한다(단계 14).
그 판단결과 상기 단계 12에서 카운팅된 통화시간(t)이 기설정시간(t1)에 도달되지 않으면 즉, t〈t1이면 (단계 14에서 NO)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는 상기 단계 12로 진행하여 해당 통화시간(t)에 대한 카운팅동작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이에 반하여, 상기 단계 12에서 카운팅된 통화시간(t)이 기설정시간(t1)에 도달되면 (단계 14에서 YES)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는 안내대감청기능을 요구하기 위하여 번호번역부(3)로 호감청에 수행하기 위한 안내대(7)에 대한 번호번역을 요구하고, 상기 번호번역부(3)는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로 번호번역된 안내대(7)에 대한 착호를 요구한다(단계 16).
이어, 안내대착호요구를 받은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는 해당 전전자 교환기에 접속된 다수의 안내대의 통화상태를 감시하여 통화가능한 상태 즉,idle 상태의 안내대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단계 18).
그 판단결과 해당 전전자 교환기에 접속된 다수의 안내대 중 통화가능상태의 안내대가 존재하지 않으면 즉, 모든 안내대가 통화중이면 (단계 18에서 NO)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는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로 안내대통화중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단계 16에서의 안내대감청요구를 무시하고 종료한다(단계 20).
그러나, 해당 전전자 교환기에 접속된 다수의 안내대 중 통화가능상태의 안내대(7)가 존재하면 (단계 18에서 YES)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는 상기 Q.931 프로토콜부(5)와 Q.921 링크부(6)를 매개하여 해당 안내대(7)로 호설정요구를 한다. 여기서 호설정요구를 받은 상기 안내대(7)에서는 링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안내대(7)가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로 호설정OK신호를 통보하며, 해당 호설정OK신호를 통보받은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는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로 안내대(7)로의 호가 설정된 상태를 통보한다.
한편, 오퍼레이터가 상기 안내대(7)로부터 출력되는 링신호에 응답하여 감청가능상태를 설정하면 그에 따른 안내대응답신호가 상기 안내대(7)로부터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로 통보되며, 해당 안내대응답신호를 통보받은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가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로 안내대응답신호를 통보함으로써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와 상기 안내대(7)간의 통화경로가 연결된다(단계 22).
그 통화경로를 통해 상기 안내대(7)는 수동가입자간의 통화내용에 대한 감청기능을 수행하게 된다(단계 24).
한편, 감청기능을 수행하는 도중에 상기 안내대(7)는 상기 발신 수동가입자가 통화중인가를 판단하여(단계 26) 그 판단결과 상기 발신 수동가입자가 통화종료된 상태이면 (단계 26에서 NO) 상기 안내대(7)가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로 수동가입자간의 호해제를 요구한다(단계 28).
이어, 안내대(7)로부터 호해제요구를 받은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는 발신 수동가입자와 착신 수동가입자간의 호를 해제한 다음(단계 30),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와 안내대(7)간에 설정된 호를 해제한 후에(단계 32)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발신 수동가입자가 통화진행상태이면(상기 단계 26에서 YES) 상기 안내대(7)는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로 호감청해제를 요구한다(단계 34).
이어,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가 해당 호감청해제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와 안내대(36)간에 설정된 호를 해제하고(단계 36)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에 카운팅된 통화시간(t)를 '0'으로 세팅한 다음(단계 38) 상기 단계 12로 진행하여 상술되어진 일련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단계 18에서 통화가능안내대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18에서 NO)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는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로 안내대통화중메시지를 전송한 다음(단계 20) 상기 단계 18로 진행하여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가 지속적으로 통화가능한 안내대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한 다음 상기 단계 18에서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술되어진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단계 18에서 통화가능안내대가 존재하지 않으면 (단계 18에서 NO)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는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로 안내대통화중메시지를 전송한 다음(단계 20)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에 카운팅된 통화시간(t)를 '0'으로 세팅한 다음 상기 단계 12로 진행하여 상술되어진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수동가입자간의 통화개시시점으로부터 기설정시간 간격으로 안내대를 자동호출하여 수동가입자처리부와의 통화경로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기설정시간을 주기로 안내대에 의한 감청이 수행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안내대의 오퍼레이터의 특별한 주의없이도 상기 안내대가 상기 수동가입자간의 통화상태를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수동가입자간의 통화종료시 신속하게 상기 수동가입자간의 호를 해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대는 그 안내대를 이용하는 수동가입자에게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가능한 최소한 1이상의 안내대가 접속되어 그 안내대(7)를 매개하여 가입자단말로부터의 서비스요구에 응답하는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수동가입자단말(2)의 통화수행시 안내대(7)에 의한 감청수행을 요구하는 수동가입자처리부(1)와,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로부터의 감청수행요구에 반응하여 호감청 안내대(7)에 대한 번호번역을 수행한 다음 해당 안내대(7)의 착호를 요구하는 번호번역부(3),
    상기 번호번역부(3)의 요구에 반응하여 해당 안내대(7)를 호출하는 착신가입자처리부(4) 및,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와 상기 안내대(7)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와 상기 안내대(7)의 신호적인 접속을 수행하는 매개수단(5,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착신가입자부(4)는 상기 번호번역부(3)로부터의 안내대착호요구시 통화가능안내대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여 통화가능안내대가 존재하면 해당 안내대(7)를 호출하고 통화가능안내대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로 안내대통화중메시지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는 상기 안내대(7)에 의한 감청수행을 기설정시간을 주기로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대(7)는 감청기능수행시 상기 수동가입자단말(2)이 통화종료상태이면 상기 수동가입자간의 호를 해지함과 더불어 상기 수동가입자단말(2)와 상기 안내대(7)간의 호를 해지하는 반면, 상기 수동가입자단말(2)이 통화중이면 호감청을 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장치.
  4.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가능한 최소한 1이상의 안내대가 접속되어 그 안내대(7)를 매개하여 가입자단말로부터의 서비스요구에 응답하는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수동가입자단말(2)의 통화수행시 소정시간을 카운팅하여 카운팅된 통화시간이 기설정시간이상이면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가 호감청을 요구하는 제 1 단계와,
    해당 호감청요구에 반응하여 착신가입자처리부(4)가 특정 안내대(7)를 접속하는 제 2 단계,
    접속된 상기 안내대(7)가 상기 수동가입자단말(2)에 대한 감청기능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상기 안내대(7)가 감청기능수행시 상기 수동가입자단말(2)의 통화상태에 대응하여 호해제요구하거나 호감청해제를 요구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안내대(7)로부터의 요구에 반응하여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가 수동가입자간의 호를 해제하거나 호감청을 해제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수동가입자간의 통화시간이 기설정시간에 도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그 판단결과 통화시간이 기설정시간에 도달하면 수동가입자처리부(4)가 번호번역부(3)로 호감청 안내대(7)에 대한 번호번역을 요구하는 단계, 상기 번호번역부(3)가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로 안내대(7)의 착호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는 통화가능안내대의 유무를 판단하여 통화가능안내대가 없는 경우에는 해당 안내대를 접속하는 반면, 통화가능안내대가 없는 경우에는 호감청요구를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에서 통화가능안내대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동가입자처리부(1)로 안내대통화중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통화가능안내대가 발생하는가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단계 및, 통화가능안내대발생시 해당 안내대(7)를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착신가입자처리부(4)에서 통화가능안내대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동가입자처리부(1)로 안내대통화중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통화시간을 재카운팅하는 단계 및, 재카운팅된 통화시간이 기설정시간이상이면 상기 수동가입자처리부(1)가 호감청을 요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안내대(7)는 수동가입자단말(2)이 통화중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수동가입자단말(2)이 통화중이면 호감청해제를 요구하는 반면, 상기 수동가입자단말(2)이 통화종료상태이면 수동가입자간의 호해지를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방법.
KR1019960042624A 1996-09-25 1996-09-25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장치및 방법 KR100210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624A KR100210763B1 (ko) 1996-09-25 1996-09-25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장치및 방법
US08/915,634 US5930335A (en) 1996-09-25 1997-08-21 Method and apparatus for tapping control in an electronic switch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624A KR100210763B1 (ko) 1996-09-25 1996-09-25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184A KR19980023184A (ko) 1998-07-06
KR100210763B1 true KR100210763B1 (ko) 1999-07-15

Family

ID=1947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2624A KR100210763B1 (ko) 1996-09-25 1996-09-25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930335A (ko)
KR (1) KR1002107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517B1 (ko) * 1997-06-18 1999-11-01 서평원 교환기에서 호 감시 시스템 및 방법
US6574309B1 (en) * 2000-03-01 2003-06-03 Turnstone Systems, Inc. Remotely actuated splittler bypass system and method
CN113271371B (zh) * 2021-07-15 2021-10-08 上海豪承信息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3290A (en) * 1982-04-19 1985-03-05 Amtel Communications, Inc. Automatic line supervisor for use with a call concentrator
US4937862A (en) * 1988-10-14 1990-06-26 Enforcement Support Incorporated Remote monitoring device
EP0644510B1 (en) * 1993-09-22 1999-08-18 Teknekron Infoswitch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s system monitoring
US5438570A (en) * 1993-12-29 1995-08-01 Tekno Industries, Inc. Service observing equipment for signalling System Seven telephone network
DE19535958C2 (de) * 1995-09-27 1998-05-14 Siemens Ag Verfahren zur Ermittlung von freien Agenten-Kommunikationsendgeräten in Kommunikationsnetzen mit einer automatischen Anrufverteilung
US5818909A (en) * 1996-09-27 1998-10-06 Van Berkum; Paul E. Agent speech detector system and method for use with a telephonic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184A (ko) 1998-07-06
US5930335A (en) 1999-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0763B1 (ko)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감청제어장치및 방법
KR100215971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 타지역간 가입자의 감청서비스방법
KR20030027466A (ko) 인터넷 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설교환시스템에서 호 전환장치 및 방법
GB2251359A (en) Telephone system with subscriber paging
KR100215967B1 (ko) 자국안내대의 타국가입자에 대한 중계호처리방법
KR10021076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호전환제어방법
KR100285716B1 (ko) 교환기에서아날로그가입자를위한발신번전송방법
KR100256886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수동가입자 호접속제어장치와 그 방법
KR960028637A (ko) 교환기 시스템의 유무선 서어비스 장치 및 방법
USH1885H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al state of an echo canceller
KR100250668B1 (ko) 안내대를 이용한 스피드콜 서비스 방법
KR100215969B1 (ko) 자국안내대의 타국가입자에 대한 호전환서비스방법
KR0173970B1 (ko) 국설 전전자교환기의 안내대 착호대기 처리방법
KR100225734B1 (ko) 전전자교환기 안내대의 호접속제어방법
KR100194772B1 (ko) 지능망서비스 고장신고 처리방법
KR20000004109A (ko) 전전자 교환기의 호 절단 제어 방법
KR20010035929A (ko) 발신 가입자 전화번호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255319B1 (ko) 키폰시스템에서 국선착신호 처리방법
KR100235114B1 (ko)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 중계호 자국 안내대 착신처리장치 및 방법
KR20000066026A (ko) Pri를 이용한 회선 모드 데이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960009550A (ko) 발신번호 자동송출 무선호출시스템 및 무선호출 발신번호 자동송출방법
JP2788319B2 (ja) 回線接続処理装置
KR100225733B1 (ko) 전전자교환기의 안내대 호접속제어방법
KR20000004114A (ko) 전전자 교환기의 통화 확인 방법
JPH0568095A (ja) 加入者識別番号受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