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962B1 -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962B1
KR960004962B1 KR1019940003678A KR19940003678A KR960004962B1 KR 960004962 B1 KR960004962 B1 KR 960004962B1 KR 1019940003678 A KR1019940003678 A KR 1019940003678A KR 19940003678 A KR19940003678 A KR 19940003678A KR 960004962 B1 KR960004962 B1 KR 960004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output
signal
contact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3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308A (ko
Inventor
신재성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03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962B1/ko
Publication of KR950026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9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without distortion of the input signal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the control being dependent upon ambient noise level or sound leve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2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in untuned or 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amplifie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
제1도는 종래 일반적인 볼륨자동조절장치의 회로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의 회로구성도.
제3(a)도, 제3(b)도는 본 발명을 헤드폰으로 출력가능하도록 된 오디오출력기기에 적용할 경우 소음검출수단으로 소형 마이크로폰이 부착된 헤드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디오신호처리부 20 : 소음검출수단
22 : 증폭회로부 24 : 정류회로부
26 : 적분회로부 28 : 비교수단
30 : 출력레벨설정수단 32, 34 : 스위칭절환수단
36 : 모드설정수단 38, 40 : 전압제어증폭기
42, 44 : 출력증폭기 46 : 접속부
48 : 청취수단 50 : 전압제어증폭부
60 : 출력증폭부 70 : 스위칭절환부.
본 발명은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폰과 이어폰 및 리시버등과 같은 청취수단으로 출력가능하도록 된 오디오출력기기에 있어서 일단 소정의 출력신호레벨을 설정해 놓으면 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레벨이 주위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자동가변되도록 된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라디오와 무선송수신기, 카세트테이프와 같은 자기테이프를 재생하는 자기테이프재생장치, 콤팩트디스크와 같은 광디스크를 재생하는 광디스크재생장치 등의 오디오출력기기(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오디오출력기기라 함은 헤드폰과 이어폰 및 리시버 등과 같은 청취수단으로 오디오출력가능하도록 된 라디오와 자기테이프재생장치, 광디스크재생장치, 무선송수신기 등을 총칭한다)가 휴대가 용이하도록 소형화됨에 따라 그 휴대용 오디오출력기기를 휴대하고서 출퇴근시간 등에 버스나 전철 등에서 청취수단(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청취수단은 오디오출력기기에 착탈가능하도록 되어 오디오출력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사용자만이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헤드폰과 이어폰 및 리시버 등을 총칭한다)을 이용하여 음악을 듣거나 어학공부를 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청취수단을 이용하여 정보를 청취하는 경우 주위의 환경변화와 관계없이 출력되는 오디오출력레벨은 동일하지만 외부 소음이 심한 경우(특히 버스나 전철의 고속주행시)에는 청취감도가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일반적인 오디오출력기기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자기테이프 및 광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에서 독취한 오디오신호(또는 라디오와 무선송수신기에서 무선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신호처리부(10)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출력증폭부(12)에서 증폭해서 가변저항으로 이루어진 볼륨(14)을 매개로 예컨대 청취수단이 연결되는 출력단자(Out)로 출력한다.
이러한 종래의 구성에 따르면, 예컨대 버스나 전철내에서 출력단자(Out)에 청취수단을 연결하고 볼륨(14)을 소정의 출력레벨로 설정하는 오디오신호를 청취할때, 그 볼륨의 설정레벨이 예컨대 버스나 전철의 정차시와 같이 외부 소음이 비교적 낮을 때를 기준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예컨대 버스나 전철의 고속주행시에 외부소음이 높아지게 되어 청취감도가 현저히 떨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볼륨의 설정레벨의 외부소음이 비교적 높은 때를 기준으로 높히면 예컨대 버스나 전철의 고속주행시에는 청취감도를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는 있지만 예컨대 버스나 전철이 다시 저속주행하여 정차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오디오신호출력 레벨이 지나치게 높게 느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때문에 버스나 전철과 같이 주위의 소음변화가 빈번히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볼륨의 설정레벨을 빈번히 재설정하는 것이 불편하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볼륨의 설정레벨을 외부소음이 비교적 높은 때를 기준으로 설정하고서 청취하게 되는 바, 이러한 상태로 장기간으로 또한 주기적으로 청취할 경우에는 청각장래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청취수단으로 출력가능하도록 된 오디오출력기기에 있어서 외부 소음을 검출하는 소음검출수단을 설치하고 이 소음검출수단에서 검출된 검출신호와 출력설정수단에 설정된 기준출력치를 기초로 청취수단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레벨을 주위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자동가변시킬 수 있도록 된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신호처리부와,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사용자만이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청취수단이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춘 오디오신호에 있어서 ; 기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 소음을 검출하는 소음검출수단과 ; 상기 소음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외부 소음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부 ; 상기 증폭회로부에서 증폭된 증폭신호를 정류하는 정류회로부 ; 상기 정류회로부에서 정류된 정류신호를 적분하는 적분회로부 ; 자동볼륨설정모드와 수동볼륨설정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설정수단 ; 상기 모드설정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된 오디오신호를 스위칭절환하는 스위칭절환부 ; 상기 스위칭절환부의 한쪽 스위칭접점에 접속되어 상기 모드설정수단에 자동볼륨설정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에서 그 스위칭접점을 매개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증폭하는 전압제어증폭부 ; 상기 전압제어증폭부에서 전압제어증폭된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해서 상기 접속부를 매개로 상기 청취수단으로 출력하는 출력증폭부 ; 출력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스위칭절환부의 다른쪽 스위칭접점에 접속되어 상기 모드설정수단에 수동볼륨설정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에서 그 스위칭접점을 매개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그 설정된 출력레벨로 상기 출력증폭부로 출력하는 출력레벨설정수단 및 ; 상기 적분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직류 소음신호와 상기 출력레벨설정수단에서 설정된 출력레벨의 비교결과치를 기초로 상기 전압제어증폭부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음검출수단은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이 마이크로폰은 오디오출력기기의 외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청취수단은 이어폰과 헤드폰 및 리시버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소음검출수단은 상기 청취수단의 소정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청취수단의 접속부에는 접지접점과 오디오접점, 마이크로폰신호입력접점, 상기 마이크로폰의 전원전압입력접점이 형성되고, 상기 오디오출력기기의 접속부에는 상기 청취수단의 접속부에 형성된 접지접점과 오디오접점, 마이크로폰신호입력접점, 상기 마이크로폰의 전원전압입력접점에 각각 접속되는 접지접점과 오디오접점, 마이크로폰신호입력접점, 전원접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자동볼륨조절장치에 따르면, 외부 소음을 검출하는 소음검출수단을 설치하고 이 소음검출수단에서 검출된 검출신호와 출력설정수단에 설정된 기준출력치를 기초로 이어폰이나 헤드폰 또는 리시버로 이루어진 청취수단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레벨을 주위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자동가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의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에 있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자기테이프, 광디스크 및 광자기디스크 등과 같은 기록매체에서 독취한 오디오신호(또는 라디오와 무선송수신기 등에서 무선수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오디오신호처리하는 오디오신호처리부(10)와,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사용자만이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컨대 이어폰이나 헤드폰 또는 리시버와 같은 청취수단(48)이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부(46 ; 통상 연결잭 홀더라고도 한다)가 종래와 마찬가지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는, 오디오출력기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 소음을 검출하는 소음검출수단(20)과, 상기 소음검출수단(20)에서 검출된 외부소음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부(22), 상기 증폭회로부(22)에서 증폭된 증폭신호를 정류하는 정류회로부(24), 상기 정류회로부(24)에서 정류된 정류신호를 적분하는 적분회로부(26), 주위의 소음변화에 따라 볼륨이 자동으로 조정되는 자동볼륨설정모드와 주위의 소음변화에 관계없이 볼륨을 수동으로 조정해야 하는 수동볼륨설정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설정수단(36), 상기 모드설정수단(36)의 설정모드에 의해 발생된 상기 모드설정수단(36)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10)에서 출력된 오디오신호를 스위칭절환하는 스위칭절환부(70), 상기 스위칭절환부(70)의 한쪽 스위칭접점에 접속되어 상기 모드설정수단(36)에 자동볼륨설정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10)에서 그 스위칭접점을 매개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증폭하는 전압제어증폭부(50), 상기 전압제어증폭부(50)에서 전압제어증폭된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해서 상기 접속부(46)를 매개로 상기 청취수단(48)으로 출력하는 출력증폭부(60), 상기 청취수단(48)으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의 출력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스위칭절환수단(70)의 다른쪽 스위칭접점에 접속되어 상기 모드설정수단(36)에 수동볼륨설정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10)에서 그 스위칭접점을 매개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그 설정된 출력레벨로 상기 출력증폭부(60)로 출력하는 출력레벨설정수단(30) 및, 상기 적분회로부(26)에서 출력되는 직류 소음신호가 상기 출력레벨설정수단(30)에서 설정된 출력레벨을 비교해서 그 비교치를 기초로 상기 전압제어증폭부(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28)을 더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절환부(70)는 오디오출력기기가 스테레오출력이 가능한 경우 각각 상기 모드설정수단(36)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10)로부터의 오디오 L신호(AL)를 상기 출력레벨 설정수단(30)과 전압제어증폭부(50)중 어느 하나로 스위칭절환하여 출력하는 제1스위칭절환수단(32)와,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10)로부터의 오디오 R신호(AR)를 상기 출력레벨설정수단(30)과 전압제어증폭부(50)중 어느 하나로 스위칭절환하여 출력하는 제1스위칭절환수단(3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압제어증폭부(50)는 상기 제1스위칭절환수단(38)의 한쪽 스위칭접점(b1)에 접속되어 상기 모드설정수단(36)에 자동볼륨설정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10)에서 그 스위칭접점(b1)을 매개로 입력되는 오디오 L신호를 상기 비교수단(28)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증폭되는 제1전압제어증폭기(38)와, 상기 제2스위칭절환수단(34)의 한쪽 스위칭접점(b2)에 접속되어 상기 모드설정수단(36)에 자동볼륨설정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10)에서 그 스위칭접점(b2)을 매개로 입력되는 오디오 R신호를 상기 비교수단(28)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증폭하는 제2전압제어증폭기(4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출력증폭부(60)는 상기 제1전압제어증폭부(38)에서 전압제어증폭된 오디오 L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해서 오디오증폭 L신호(Lout)를 상기 접속부(46)를 매개로 상기 청취수단(48)으로 출력하는 제1출력증폭기(42)와, 상기 제2전압제어증폭기(40)에서 전압제어증폭된 오디오 R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해서 오디오증폭 R신호(Rout)를 상기 접속부(46)를 매개로 상기 청취수단(48)으로 출력하는 제2출력증폭기(4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출력레벨설정수단(30)는 예컨대 DC 5V의 전원전압(Vcc)과 접지사이에 접속되면서 볼륨조절에 의해 설정된 설정치가 상기 비교수단(28)으로 출력되도록된 가변저항(VR1)과, 상기 제1스위칭절환수단(32)의 다른쪽 스위칭단자(a1)와 접지사이에 접속되면서 볼륨조절에 의해 설정된 설정치가 상기 제1출력증폭기(42)로 출력되도록 된 가변저항(VR2) 및, 상기 제2스위칭절환수단(34)의 다른쪽 스위치단자(a2)와 접지사이에 접속되면서 볼륨조절에 의해 설정된 설정치가 상기 제2출력증폭기(44)로 출력되도록 된 가변저항(VR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모드설정수단(36)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접점을 스위칭함에 따라 모드설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도시되지 않은 리모트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스위칭제어됨에 따라 모드설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더욱이 상기 출력레벨설정수단(30)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볼륨스위치를 예컨대 회전시킴에 따라 출력레벨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도시되지 않은 리모트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출력레벨이 설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된다.
또, 상기 소음검출수단(20)은 외부 소음을 전기적인 소음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이 마이크로폰은 오디오출력기기의 외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청취수단(48)은 이어폰이나 헤드폰 또는 리시버로 이루어지고, 예컨대 마이크로폰과 같은 소음검출수단(20)은 상기 청취수단(48)의 소정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청취수단(48)의 접속부(100)에는 제3도(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접점(130)과 오디오접점[132 또는/ 및 134 ; 오디오 접점으로서는 모노인 경우에 하나의 접점만 필요하고, 스테레오인 경우 상기 제1출력증폭기(42)의 출력신호(Lout)가 인가되는 오디오 L접점(132)과 상기 제2출력증폭기(44)의 출력신호(Rout)가 인가되는 오디오 R접점(134)이 필요하다], 상기 마이크로폰(120)에서 검출된 소음신호가 출력되는 마이크로폰신호입력접점(136), 상기 마이크로폰(120)에 예컨대 DC 5V의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전압입력접점(138)를 형성하고, 이들 각 접점(130, 132, 134, 136, 138)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해 각 접점들 사이에 절연부재(140, 142, 144)를 형성한다.
제3도(B)에 있어서 상기 청취수단(48)의 접속부(100)는 접점(130, 132, 134, 136)이 원기둥형으로 서로 전기적 절연상태로서 일체로 형성되고 이 접점 원기둥을 중심으로 하여 원통형의 전원전압입력접점(138)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성 뿐만 아니라 다른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도 되는 바, 예컨대 접점(130, 132, 134, 136, 139)이 원기둥형으로 서로 전기적 절연상태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오디오출력기기의 접속부(46)에는 상기 청취수단(48)의 접속부(100)에 형성된 접지점점(130)과 오디오접점(132, 134), 마이크로폰신호입력접점(36) 및 상기 마이크로폰(120)의 전원전압입력접점(138)에 각각 접속되는 접지접점(130A)과 오디오접점(132A, 134B), 마이크로폰신호입력점점(134A) 및 전원접점(138A)을 형성한다. 제3도(B)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출력기기의 접속부(46)는 접점(130A, 132A, 134A, 136A)이 원통형의 절연부재(46A)의 내측벽에 서로 전기적절연상태로서 탄성고정 설치되고 전원접점(138A)이 원통형 절연부재(46A)의 단차부에 탄성고정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성 뿐만 아니라 다른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도 되는 바, 예컨대 접점(130A, 132A, 134A, 136A, 138A)이 단차가 형성되지 않은 원통형 절연부재의 내측벽에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상태로서 탄성고정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먼저 상기 모드설정수단(36)에 수동볼륨설정모드가 설정되면[즉, 예컨대 제2도에서 모드설정수단(36)의 접점(A, B)이 접속되는 경우], 스위칭절환수단(32, 34)의 접점(a1, c1 ; a2, c2)이 접속되어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10)로부터의 오디오 L신호(AL)가 출력레벨설정수단(30)의 가변저항(VR2)을 매개로 출력증폭부(60)의 출력증폭기(42)로 출력됨과 더불어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10)로부터의 오디오 R신호(AR)가 출력레벨설정수단(30)의 가변저항(VR3)을 매개로 출력증폭부(60)의 출력증폭기(44)로 출력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취양에 따라 상기 출력레벨설정수단(30)에 출력레벨을 적절히 설명하면 된다.
한편, 상기 모드설정수단(36)에 자동볼륨설정모드가 설정되면[즉, 예컨대 제2도에서 모드설정수단(36)의 접점(B, C)이 접속되는 경우], 스위칭절환수단(32, 34)의 접점(b1, c1 ; b2, c2)이 접속되어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10)로부터의 오디오 L신호(AL)가 전압제어증폭부(50)의 전압제어증폭기(38)를 매개로 출력증폭부(60)의 출력증폭기(42)로 출력됨과 더불어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10)로부터의 오디오 R신호(AR)가 전압제어증폭부(50)의 전압제어증폭기(40)를 매개로 출력증폭부(60)의 출력증폭기(44)로 출력된다. 이때 비교수단(28)은 예컨대 마이크로폰과 같은 소음검출수단(20)에서 검출된 외부 소음신호가 증폭회로부(22)에서 증폭된 다음에 정류회로부(24)에서 정류되고 나서 적분회로부(26)에서 적분되어 출력되는 직류 소음신호와 상기 출력레벨설정수단(30)에서 설정된 출력레벨을 비교해서, 예컨대 외부로부터의 직류소음신호의 크기정도에 따라 전압제어증폭기(38, 40)의 증폭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전압제어증폭기(38, 40)는 외부로부터의 직류소음신호의 크기정도에 따라 각각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10)로부터의 오디오 L신호(AL)와 오디오 R신호(AR)를 적절한 증폭도로 증폭출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를 설치한 오디오출력기기에 있어서는, 예컨대 버스나 전철내에서 접속부(46)에 에컨대 제3(A), (B)와 같이 소음검출수단(20)으로서 마이크로폰(120)에 설치된 이어폰과 같은 청취수단(48)을 연결하고 출력레벨설정수단(30)을 조정하여 출력레벨을 예컨대 버스나 전철의 정차시와 같이 외부 소음이 비교적 낮은 때를 기준으로 설정하고서 모드설정수단(36)에 자동볼륨설정모드를 설정하고 오디오신호를 청취할 경우, 예컨대 버스나 전철의 고속주행시에 외부 소음이 높아지게 되어도 소음검출수단(20)으로서 마이크로폰(120)에서 검출된 비교적 높은 소음신호와 상기출력레벨설정수단(30)에 설정된 출력레벨을 기초로 전압제어증폭부(50)의 증폭도가 비교적 높아지게 제어되므로 청취수단(48)으로서의 예컨대 이어폰을 매개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청취감도는 열화되지 않고, 그후 예컨대 버스나 전철의 정차시에 외부 소음이 낮아지게 되어도 소음검출수단(20)으로서의 마이크로폰(120)에서 검출된 비교적 낮은 소음신호와 상기 출력레벨설정수단(30)에 설정된 출력레벨을 기초로 전압제어증폭부(50)의 증폭도가 낮아지게 제어되므로 청취수단(48)으로서의 예컨대 이어폰을 매개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청취감도는 열화되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을 사용하면 주위의 소음환경에 관계없이 거의 균일한 청취감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양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 및 수정해서 실시할 수 있는 것인바, 상기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오디오출력기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휴대용이 아닌 오디오출력기능이 있는 모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즉, 예컨대 일반가정에서 한 사람은 텔레비젼장치를 시청하고자 하고 다른 사람은 오디오 장치를 청취하고자 하는 경우에 텔레비젼장치와 오디오장치중 어느 하나에 헤드폰을 연결하면 되는데, 이러한 때에 헤드폰을 사용하는 장치의 청취감도는 다른 장치의 오디오스피커로 출력되는 소리의 세기에 따라 변동하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면 헤드폰을 사용하는 장치의 청취감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소음검출수단(20)으로서의 마이크로폰(120)이 상기 청취수단(48)에서의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마이크로스피커가 설치된 부분의 외관부(110A 또는 110B)에 설치되어 있지만 마이크로폰은 그 이외의 부분, 예컨대 상기 청취수단(48)의 신호케이블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소음을 검출하는 소음검출수단을 설치하고 이 소음검출수단에서 검출된 검출신호와 출력설정수단에 설정된 기준출력치를 기초로 이어폰이나 헤드폰 또는 리시버로 이루어진 청취수단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레벨을 주위환경의 소음정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자동가변할 수 있으므로, 주위환경의 소음정도에 관계없이 거의 균일한 청취감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신호처리부(10)와,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사용자만이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청취수단(48)이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접속부(46)를 갖춘 오디오출력기기에 있어서 ; 기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 소음을 검출하는 소음검출수단(20)과 ; 상기 소음검출수단(20)에서 검출된 외부 소음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부(22) ; 상기 증폭회로부(22)에서 증폭된 증폭신호를 정류하는 정류회로부(24) ; 상기 정류회로부(24)에서 정류된 정류신호를 적분하는 적분회로부(26) ; 자동볼륨설정모드와 수동볼륨설정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설정수단(36) ; 상기 모드설정수단(36)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10)에서 출력된 오디오신호를 스위칭절환하는 스위칭절환부(70) ; 상기 스위칭절환부(70)의 한쪽 스위칭접점에 접속되어 상기 모드설정수단(36)에 자동볼륨설정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10)에서 그 스위칭접점을 매개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증폭하는 전압제어증폭부(50) ; 상기 전압제어증폭부(50)에서 전압제어증폭된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해서 상기 접속부(46)를 매개로 상기 청취수단(48)으로 출력하는 출력증폭부(60) ; 출력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스위칭절환부(70)의 다른쪽 스위칭접점에 접속되어 상기 모드설정수단(36)에 수동볼륨설정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10)에서 그 스위칭접점을 매개로 입력되는 오디오신호를 그 설정된 출력레벨로 상기 출력증폭부(60)로 출력하는 출력레벨설정수단(30) 및 ; 상기 적분회로부(26)에서 출력되는 직류 소음신호와 상기 출력레벨설정수단(30)에서 설정된 출력레벨의 비교결과치를 기초로 상기 전압제어증폭부(50)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28)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검출수단(20)은 마이크로폰(1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오디오출력기기의 외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검출수단(20)은 상기 청취수단(48)에 있어서의 소정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검출수단(20)이 설치되는 소정부분은 음성신호출력용 마이크로스피커가 설치된 부분의 외관부(110A, 110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수단(48)의 접속부(100)에는 접지접점(130)과 오디오접점(132, 132), 마이크로폰신호입력접점(136), 상기 마이크로폰(120)의 전원전압입력접점(13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수단(48)의 접속부(100)는 상기 접점(130, 132, 134, 136, 138)이 서로 전기적 절연상태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출력기기의 접속부(46)에는 상기 청취수단(48)의 접속부(100)에 형성된 접지접점(130)과 오디오접점(132, 134), 마이크로폰신호입력접점(136), 상기 마이크로폰(120)의 전원전압입력접점(138)에 각각 접속되는 접지접점(130A)과 오디오접점(132A, 134A), 마이크로폰신호입력접점(136A), 전원접점(138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출력기기의 접속부(46)는 접점(130A, 132A, 134A, 136A, 138A)이 원통형 절연부재(46A)의 내측벽에 서로 전기적 절연상태로서 탄성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
KR1019940003678A 1994-02-28 1994-02-28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 KR960004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3678A KR960004962B1 (ko) 1994-02-28 1994-02-28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3678A KR960004962B1 (ko) 1994-02-28 1994-02-28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308A KR950026308A (ko) 1995-09-18
KR960004962B1 true KR960004962B1 (ko) 1996-04-18

Family

ID=1937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3678A KR960004962B1 (ko) 1994-02-28 1994-02-28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9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308A (ko) 199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7458A (en) Sound surge detector for alerting headphone users
US9232322B2 (en) Hearing aid devices with reduced background and feedback noises
US20060233413A1 (en) Automatic control earphone system using capacitance sensor
JPH1075221A (ja) 携帯用ステレオ音楽等聴取装置
KR960004962B1 (ko) 오디오출력기기의 적응적 볼륨자동조절장치
EP1579455B1 (en) Method and circuit for operating a storage device
JPH11196488A (ja) 再生装置および方法
US66247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the dynamic range of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KR0114190Y1 (ko) 휴대용 음향기기의 자동음량보정회로
JPH0847079A (ja) 音響装置
JPH03247098A (ja) 再生装置及びヘッドフォーン装置
KR200279855Y1 (ko) 음악데이터와 음성데이터를 무선출력하기 위한 송신장치
KR20020065404A (ko) 자동 부하 검출기능을 이용한 오디오 기기의 앰프 출력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60016672B1 (ko) 음향기기의 음성개별조절장치
KR200168787Y1 (ko) 오디오 기기의 복수 음원 처리 동시 출력 장치
KR200304500Y1 (ko) 휴대용 음성 증폭기
JP2502086Y2 (ja) 音響再生装置
KR20040037892A (ko) 다채널 앰프를 구비한 오디오 시스템의 스피커 음량조정방법 및 그 장치
KR100252587B1 (ko) 음성 출력 레벨 제어 시스템
JPH0897654A (ja) 音声信号制御装置
RU2125773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юдей с дефектами слуха
JPS6240881B2 (ko)
JPH0715768A (ja) 無線式遠隔操作装置
KR20020092641A (ko) 다기능 음성신호 제어장치
KR19980067863U (ko) 시디(cd)플레이어의 오디오 무선 송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