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386Y1 - 전자관용 전자총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자관용 전자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386Y1
KR960002386Y1 KR2019900003566U KR900003566U KR960002386Y1 KR 960002386 Y1 KR960002386 Y1 KR 960002386Y1 KR 2019900003566 U KR2019900003566 U KR 2019900003566U KR 900003566 U KR900003566 U KR 900003566U KR 960002386 Y1 KR960002386 Y1 KR 9600023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 gun
shield
shielding
electrode
elect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3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359U (ko
Inventor
이경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3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2386Y1/ko
Publication of KR9100173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3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3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3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00Details of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or of ion trap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3/02Electron guns
    • H01J3/026Eliminating deleterious effects due to thermal effects, electric or magnetic field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관용 전자총 조립체
제1도는 종래의 전자총조립체의 구조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총조립체의 구조도.
제3도는 제2도의 측면구조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차폐판 설치 상태를 보인 일부 사시도.
제5도의 (a)(b)(c)는 본 고안의 차폐구조의 각 실시예를 나타낸 차폐판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넥크부 3 : 히터
4 : 음극 5, 6, 7 : 제 1, 2, 3 격자전극
8 : 양극 9 : 비드그라스
17, 27, 37 : 차폐판 17-1 : 차폐부
17-2 : 용접고정부 17-3 : 비드그라스 차폐부
17-4 파형돌기부 17-5 : 평면돌기부
본 고안은 전자관용 전자총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3전극에 연면방전을 방지하는 차폐수단을 설치하여 전자총의 내전압특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총조립체는 제1도에서와 같이 스템(2)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전자관의 넥크(neck)부(1)내에 스템(STEM)(2)측으로부터 히터(3), 음극(4), 제1격자전극(5), 제2격자전극(6), 제3격자전극(7), 양극(8)이 순차적으로 비드그라스(9)에 의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양극(8)에는 실드컵(10)이 용접되고 스페이서(11)에 의해 내부도전체(12)에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각격자 전극(5,6,7)은 스템핀(14a,14b)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전자총을 사용하는 전자관의 동작시에는 양극(8)에 약 24kV, 제3격자전극(7)에는 약 4kV, 제2격자전극(6)에 약 600V, 제1격자전극(5)에는 약 -100V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양극(8)에 대향하고 있는 제3격자전극(7)의 면에 내부도전체(12)에 의한 전도성 입자가 부착되면, 그의 입자 선단에 전계 집중이 일어나 불요전자가 발생한다.
이것을 제1불요전자원이라 부르고 이 제1불요전자원으로 부터 발생한 불요전자는 대부분 양극(8)에 도달하지만 일부는 양극(8)부근의 넥크부(1)내벽에 도달하여 2차전자를 방출하고 그곳을 서서히 정전상태로 대전시킨다.
넥크부(1)내벽이 정전상태로 대전되면 다시 많은 전자가 흘러들어가고, 그 주위까지 정전상태로 되어 제1불요전자원부근까지 대전부분이 확산된다.
따라서 그 대전부분의 전위가 높게 되어 제1불요전자원부근의 전극과의 사이에는 절연파괴 전압을 초월하게 되면 양자 사이에 방전을 일으키지만, 초월하지 않을 경우는 방전되지 않는다.
이때의 제1불요전자원 부근의 전위는 일정치에 도달하고, 음극(4) 전극상에 돌기물이 있으면 상기 제1불요전자원부근의 넥크부(1)내벽에 대전되어 있는 전하로부터의 전계에 의해 불요전자가 발생하게 되며, 이를 제2불요전자원이라 부른다.
이 제2불요전자원으로부터 불요전자는 상기 넥크부(1)내벽의 정전상태의 대전부분에 유입되고 그 부근의 넥크부(1)내벽을 정전상태로 대전시켜 서서히 이동하여 제2불요전자원의 부근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때 제2불요전자원 부근의 넥크부(1) 내벽의 전위가 높아지면 음극(4)과 양극(8) 사이의 넥크부(1) 내벽 사이에서 연면 방전이 일어나 음극(4)과 히터(3)을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전자총조립체를 구성하는 제3격자전극의 측면 주위에 도전성 금속재의 차폐수단을 설치하여 연면 방전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을 제2도∼제3도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본 고안에서 종래의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를 부여하였는데 제1도와 같은 기존의 구성에 있어서, 제3격자전극(7) 주위에 차폐판(17)을 설치하되, 상기 차폐판(17)은 차폐부(17-1)와 용접고정부(17-2)가 구비되도록 대략 90°각도로 절곡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차폐판(17)은 제3격자전극(7)의 이음부에 용접고정부(17-2)가 용접고정되고, 타측의 차폐부(17-1)는 제2격자전극(6)측에 접근된 상태로 비드그라스(9)측면에 위치되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3도의 측면구조에서와 같이 상기 차폐판(17)은 넥크부(1)와의 소정의 간격을 두어 접촉되지 않게 설치하여 차폐수단을 구성하였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전술한 제1불요전자원으로부터 발생한 전자에 의해 대향된 넥크부(1)내벽에 정전상태의 대전부분이 이동할 때 그의 전하로부터 전기력선이 전도체인 차폐수단에 의해 차단되어져 제2의 불요전자원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2불요전자원으로 부터의 전자유입이 되지 않으므로 정전상태의 대전부분은 음극(4)부분까지 이동되지 않으며 음극(4)과 히터(3)의 연면방전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불요전자원 부근의 넥크부(1) 내벽부분으로부터의 전기력선이 제2불요전자원에 침투하여 정전상태의 대전부분이 음극(4)측으로 이동확산하여도 그 이동로에 차폐수단이 있기 때문에 대전된 전하는 도전성 차폐판(17)과 방전되어 지므로, 음극(4)과 히터(3)의 연면방전은 발생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음극(4)과 히터(3)의 손상이 방지된다.
제2도 내지 제4도에서는 차폐판(17)은 인너리드(13)부분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비드그라스(9)측면이면 4곳 모두 가능하다.
제5도는 본 고안 차폐수단에 대한 각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5도의 (a)는 일반적인 차폐판(17)을 나타내고 있는데, 차폐부(17-1)와 용접고정부(17-2)로 절곡성형하여 구성된 것이며, 제5도의 (b)는 차폐판(17)의 용접고정부(17-2)와 연접되도록 넥크부차폐부(17-1)과 비드그라스부 차폐부(17-3)로 구분 설치하여 내전압특성을 높이도록 되어 있으며, 제5도의 (c)의 차폐판(17)은 차폐부(17-1)의 일측변에 파형돌기부(17-4)와 평면돌기부(17-5)를 형성시켜, 넥크부(1)내벽에 대전된 전하와 쉽게 방전되도록 하여 음극(4)과 히터(3)와의 연면방전을 방지하는 것으로, 측변의 파형돌기부(17-4)는 비드그라스(9)측 방향으로 설치하고, 평면의 돌기부(17-5)는 넥크부(1)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면 그 효과가 증대된다.
이와 같은 상기 실시예의 차폐판(17)설치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고정부(17-2)가 제3격자전극(17)의 이음부 일면에 용접 고정되며, 타측의 차폐부(17-1, 17-3)는 제2격자전극(6)측을 향하여 비드그라스(9)와 평행되게 설치구성되며, 특히 상기 제5도(b)에 예시된 차폐판(17)은 비드그라스(9)측으로 네크부 차폐부(17-1)가 위치되도록 설치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도전성 차폐판(17)이 프레스에 의해 성형되고 이를 제3격자전극(7)에 용접하는 설치방법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제3격자전극(7)의 성형이 이와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조가 용이해짐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자총 조립체내의 제3격자전극에 차폐수단을 설치하여 제1, 2불요전자원에 의한 음극과 히터의 파손을 방지하게 하여 전자총 조립체의 수명을 길게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스템(2)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전자관의 네크(NECK)부내에 스템(2)측으로 부터 히터(3), 음극(4), 제1격자전극(5), 제2격자전극(6), 제3격자전극(7)이 순차적으로 양극(8)을 향해 비드그라스(9)에 의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전자관용 전자총 조립체에 있어서, 전기력선을 차폐하는 차폐부(17-1)와, 이 차폐부(17-1)를 격자전극에 용접고정하기 위한 용접고정부(17-2)로 되는 도전성 금속의 차폐판(17)을 구비하여, 상기 차폐부(17-1)가 제2격자전극(6)방향으로 구비되도록 상기 용접 고정부(17-2)를 제3격자전극(7)에 용접 고정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관용 전자총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17)이 제3격자전극(7)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관용 전자총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17)이 용접고정부(17-2)와 차폐부(17-1)에 연접된 비드그라스부 차폐부(17-3)를 더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관용 전자총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17)이, 그 차폐부(17-1)의 일측과 외면에 각각 파형돌기부(17-4)와 평면돌기부(17-5)를 더 갖추어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관용 전자총 조립체.
KR2019900003566U 1990-03-27 1990-03-27 전자관용 전자총 조립체 KR9600023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3566U KR960002386Y1 (ko) 1990-03-27 1990-03-27 전자관용 전자총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3566U KR960002386Y1 (ko) 1990-03-27 1990-03-27 전자관용 전자총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359U KR910017359U (ko) 1991-10-28
KR960002386Y1 true KR960002386Y1 (ko) 1996-03-21

Family

ID=1929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3566U KR960002386Y1 (ko) 1990-03-27 1990-03-27 전자관용 전자총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23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359U (ko) 199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386Y1 (ko) 전자관용 전자총 조립체
KR100599702B1 (ko)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JPH0526292B2 (ko)
JP2766243B2 (ja) 真空用絶縁スペーサ
JPS6125168Y2 (ko)
KR200239818Y1 (ko) 칼라수상관의전자총
JPS6116596Y2 (ko)
KR950003459B1 (ko) 네크부 내면으로의 전류흐름이 방지된 음극선관
KR920007087B1 (ko) 전자관용 전자총 구조체
JPH0121470Y2 (ko)
KR0113620Y1 (ko) 음극선관의 전자총 전극 구조체
KR930004795Y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KR200271013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26583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JP2854642B2 (ja) 陰極線管装置
US2529134A (en) Support for electron guns
KR950004391B1 (ko) 브라운관의 전자총용 벌브스페이서
KR830001725B1 (ko) 컬러 수상관
JPS6035957Y2 (ja) 陰極線管
JPH02103850A (ja) カラー陰極線管
JPS6241375B2 (ko)
KR100394033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71929Y1 (ko) 음극선관용전자총
JPH0247551Y2 (ko)
KR940000383B1 (ko) 음극선관의 스트레이 에미션 방지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1

Year of fee payment: 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