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795Y1 -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 Google Patents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795Y1
KR930004795Y1 KR2019910003430U KR910003430U KR930004795Y1 KR 930004795 Y1 KR930004795 Y1 KR 930004795Y1 KR 2019910003430 U KR2019910003430 U KR 2019910003430U KR 910003430 U KR910003430 U KR 910003430U KR 930004795 Y1 KR930004795 Y1 KR 9300047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glass
electron gun
shield wire
electrode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3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671U (ko
Inventor
김원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10003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795Y1/ko
Priority to JP1992012402U priority patent/JPH04124744U/ja
Priority to CN92101806A priority patent/CN1064967A/zh
Publication of KR9200186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6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7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7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5Construction of the gun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24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electrodes
    • H01J2229/4831Electrode support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제1도는 일반적인 칼라수상관의 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전자총의 외관도.
제3도는 종래 비드글라스상의 실드와이어 형태도.
제4a도 및 제4b도는 본 고안에 따른 비드글라스 상의 실드와이어 형태를 보인 각기다른 실시예도.
제5도는 본 고안 및 종래의 각전극 부위별 비드글라스표면 전위 분포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소우드 11~14 : 제1~4전극
15 : 실드컵 16 : 비드글라스
17 : 실드와이어 16a : 비드글라스의 요철부
17a : 실드와이어의 요철부
본 고안은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크(NECK)부대의 제2전극, 제1전극, 캐소우드 및 히터의 방전발생을 억제하여 수상관의 내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칼라수상관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인 판넬(Panel)(3)과 펀넬(Funnel)(2)로 이루어진 글라스 벌브(Glass Bulb)내에 새도우 마스크(Shadow Mask)(5) 및 전자총(6)이 내장되어 구성되며, 여기서, 미설명부호 1은 수상관, 4는 형광막, 7은 전자빔, 8은 요크코일(DY)부 이고, 9는 네크부이다.
상기의 전자총(6)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히터가 삽입되어 있는 캐소우드(10)와, 제1전극(11), 제2전극(12), 제3전극(13) 및 제4전극(14)과, 실드컵(Shield Cup)(15)이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일렬로 배열되어 봉상의 전기 절연물인 비드글라스(Bead Glass)(16)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코커스전극인 제3전극(13)은 2개의 캡(Cap)형전극 즉, 캡(13-1)과 보통(Bottom)(13-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실드컵(15)에는 전자총(6)이 네크부(9)내에서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벌브 스페이스 콘텍(B.S.C; 18) 및 제터 스프링(Getter Spring)이 용접되어 있다.
한편, 상기 캐소우드(10) 및 다수의 전극(11-14)과 실드컵(15)을 고정시키는 비드글라스(16)는 표면의 고유저항이 약 1016Ω/m2 이상인 고유저항치가 매우높은 재질로 만들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칼라수상관 및 그에 따른 전자총의 동작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칼라수상관(1)은 제1도에서와 같이 전자총(6)에서 방출되는 전자빔(7)이 수상관(1)내의 새도우 마스크(5) 구멍을 통과하여 선택된 형광막(4)을 발광시킴으로써, 화상을 형성케하는 것으로, 상기 전자총(6)은 히터의 발열에 의하여 캐소우드(10)로 부터 열전자가 방출되어 다수의 전극들(11~14)에 의해 스크린상에 집속되게 된다.
이는, 제2도에서와 같은 비드글라스(16)를 사용하는 전자총(6)은 약 10-7Torr의 고진공중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절연물(Bead Glass; 16) 표면의 고유저항이 매우높고(약 1016Ω/m2 이상) 이로 인하여 표면에 전자가 발생한 경우 전하가 축적되기 쉬운 결점이 있게 된다.
즉, 제3전극(13)내에 내장흑연, Ba입자, 형광체입자 등의 도전성 입자가 부착되면 이 입자들로 인하여 불요전자가 발생하는데, 이들 불요전자의 대부분은 양극(제4전극 : 14)에 도달하여 소멸되나 일부는 양극(14)부근의 비드글라스(16)표면에 충돌하여 2차전자를 방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부분의 비드글라스(16)표면이 점의 전위로 대전되어 이전보다 더많은 전자가 흘러들어오게 되고, 이에 따라 이 부근의 비드글라스(16) 표면도 불요전자가 출돌하여 서서히 그 주이를 정의전위로 대전시켜 최종적으로는 제2전극(12) 및 제1전극(11)부근의 비드글라스(16)표면에까지 비교적 높은 값의 정의 포텐셜이 이동되어 즉, 제4전극(14)부근의 고전위가 제1 및 제2전극(11,12) 부근까지 비드글라스(16)의 표면을 타고 이동되어 궁극적으로는 비교적 저전위인 제2전극(12), 제1전극(11), 캐소우드(10) 및 히터등과 방전(arcing)을 일으키게 되고, 이에따라 직접열전자를 방출하는 캐소우드(10)의 옥사이드층을 박리(손상)시키거나 히터단선의 원인이 되는 등 수평 및 신뢰성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주게된다.
또한, 이러한 방전은 수상관(1)자체에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이 수상관(1)이 사용되고 있는 장치의 전자부품 특히 반도체 부품의 손상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글라스(16)에 실드와이어(Shield Wire)(17)를 사용하고 있으나, 제3도에서와 같이 비드글라스(16)와 실드와이어(17)가 약간의 틈이 있으므로 효과적인 차폐효과를 얻지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비드글라스를 감착하고 있는 실드와이어에 요철부를 두어 비드글라스 표면과 항상 접촉되게 함으로써, 표과적인 방전방지 차폐를 실현하도록한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을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정간격으로 유지하며 일렬로 배열된 캐소우드(10), 제1~4전극(11~14) 및 실드컵(15)을 고정시키는 비드글라스(16)에 실드와이어(17)를 감착시켜 구성된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비드글라스(16)의 표면과 상기 실드와이어(17)가 접촉되게 접촉부를 형성시켜 구성한다.
제4a도 및 제4b도는 본 고안에 따른 비드글라스상의 실드와이어 형상을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a도는 비드글라스(16)에 감착되는 실드와이어(17)에 요철부(17a)를 형성하여 그 요철부(17a)가 상기 비드글라스(16)와 항상 접촉되게 한것이고,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4a도는 비드글라스(16)에 요철부(16a)를 형성시켜 그 요철부(16a)가 실드와이어(17)와 항상 접촉되게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전자총(6)은 제4a도와 같이 비드글라스(16)의 표면과 실드와이어(17)가 그 실드와이어(17)에 형성되는 요철부(17a)에 의해 항상 접촉되어 있으므로, 제3전극(13)내에 내장흑연등의 도전성 입자에 의하여 비드글라스(16)의 표면에 전하가 축적(정의대전)되더라도 실드와이어(7)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폐되어 제2, 제1전극(12,11) 및 캐소우드(10), 히터부근까지 내려오지 못하게 되므로 이들 전극 부근에서의 방전을 막을수가 있게된다.
제5도 본 고안 및 종래의 각전극 부위별 비드글라스의 표면전위 분포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컵(15) 및 제4전극(14)측의 높은 전위는 제3, 2, 1전극(13,12,11) 및 캐소우드(10)측으로 갈수록 비드글라스(16)의 표면전위는 감소하는데, 종래의 실드와이어(17)를 적용했을 경우에는 캐소우드(10)측에서의 전위가 본 고안에 비해 훨씬 높다.
즉, 본 고안에 따라 제4a도와 같이 실드와이어(17)에 요철부(17a)를 두거나, 제4b도와 같이 비드글라스(16)에 요철부(16a)를 형성시켜 비드글라스(16) 표면과 실드와이어(17)가 항상 접촉되게 하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소우드(10)측에서의 비드글라스(16) 표면전위는 거의 차폐되어 방전방지의 목적을 훌륭히 실현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비드글라스의 실드와이어를 항상 접촉되게 함으로써, 비드글라스 표면에 발생되는 표면전위를 효과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어서, 방전으로 인한 캐소우드의 박리 또는 히터의 단선등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칼라수상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일정간격으로 유지하며 일렬로 배열된 캐소우드(10), 제1~4전극(11~14) 및 실드컵(15)을 고정시키는 비드글라스(16)에 실드와이어(17)를 감착시켜 구성된 칼라수상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비드글라스(16)의 표면과 상기 실드와이어(17)가 접촉되게 접촉부를 형성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실드와이어(17)에 요철부(17a)를 형성시켜 상기 비드글라스(16)의 표면에 항상 접촉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비드글라스(16)에 요철부(16a)를 형성시켜 상기 실드와이어(17)에 항상 접촉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KR2019910003430U 1991-03-14 1991-03-14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KR9300047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3430U KR930004795Y1 (ko) 1991-03-14 1991-03-14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JP1992012402U JPH04124744U (ja) 1991-03-14 1992-03-13 カラー受像管用電子銃
CN92101806A CN1064967A (zh) 1991-03-14 1992-03-14 彩色显象管电子枪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3430U KR930004795Y1 (ko) 1991-03-14 1991-03-14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671U KR920018671U (ko) 1992-10-19
KR930004795Y1 true KR930004795Y1 (ko) 1993-07-23

Family

ID=19311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3430U KR930004795Y1 (ko) 1991-03-14 1991-03-14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4124744U (ko)
KR (1) KR930004795Y1 (ko)
CN (1) CN10649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122A (ko) * 2002-04-02 2003-10-10 손영필 복합 보온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122A (ko) * 2002-04-02 2003-10-10 손영필 복합 보온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967A (zh) 1992-09-30
JPH04124744U (ja) 1992-11-13
KR920018671U (ko) 199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29292A (en) Cathode-ray tubes
US4185223A (en) Electron gun structure
US2545120A (en) Cathode-ray tube arc-over preventive
US4220893A (en) Electrically resistive arc suppressor shadowing getter flash
US2508001A (en) High-voltage cathode-ray tube corona ring
US4403170A (en) Color picture tubes
KR930004795Y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US4471264A (en) Cathode ray tube
US5202606A (en) Cathode-ray tube with focussing structure and getter means
KR950001225Y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구체
KR19980033409A (ko) 칼라음극선관
US3771003A (en) Shielded cathode ray tube electron gun
KR970004311B1 (ko) 전자총의 비드글라스 구조
US3639797A (en) Cathode-ray tube having a plated inner metal layer of high-tensile strength
US4196369A (en) Television camera tube with conductive or secondary emissive region between window seal and mesh
US3892992A (en) Colour picture tubes
KR200151012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00008162Y1 (ko) 음극 선관
US4600859A (en) Cathode ray tube protection systems
KR860003170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JPS6035957Y2 (ja) 陰極線管
US3491232A (en) High vacuum discharge tube for high voltages
KR950003459B1 (ko) 네크부 내면으로의 전류흐름이 방지된 음극선관
KR200239818Y1 (ko) 칼라수상관의전자총
KR950000200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구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