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442Y1 - 음극선관 정집속 장치용 홀더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정집속 장치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442Y1
KR930006442Y1 KR2019910008196U KR910008196U KR930006442Y1 KR 930006442 Y1 KR930006442 Y1 KR 930006442Y1 KR 2019910008196 U KR2019910008196 U KR 2019910008196U KR 910008196 U KR910008196 U KR 910008196U KR 930006442 Y1 KR930006442 Y1 KR 9300064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ray tube
cathode ray
magne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8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482U (ko
Inventor
김상면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 주식회사
김상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 주식회사, 김상면 filed Critical 자화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8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442Y1/ko
Publication of KR9300014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4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4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2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 H01J29/823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around the neck of the tube
    • H01J29/826Def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극선과 정집속 장치용 홀더
제1도는 음극선과 정집속 장치의 사용상태도.
제2도는 종래의 음극선관 정집속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음극선관 정집속 장치용 홀더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음극선관 정집속 장치용 홀더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참고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음극선관 정집속 장치용 홀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참고사시도.
제6a도 및 b도는 제4도의 평면도 및 측면도.
제7a도 및 b도는 제3도의 평면도 및 측면도.
제8a도 및 b도는 제5도의 평면도 및 측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홀더의 사용상태도.
제10도는 제3도 제4도 및 제5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집속 장치 20 : 홀더
2 : 음극선관 21 : 삽입원통부
22 : 체결부 23 : 탄력절결부
24 : 요홈 25 : 나사부
26 : 절결부 28 : 브라켓
본 고안은 음극선관에 장착하여 적, 녹, 청의 3본의 전자비임을 스크린상의 각점에 집속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음극선관 정집속 장치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컬러 화상을 정확하게 재생하려면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적, 녹, 청의 3본의 전자비임을 스크린상의 각점에 집속시키지 않으면 안되다.
이러한 집속을 위해서는 마그네트를 조정하므로서 행하여지게 되는데 상기한 마그네트는 음극선관에 고정되는 홀더에 배설되게 되어 정집속장치를 구성하여 음극선관에 장착되게 된다.
즉 첨부한 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정집속장치(1)가 음극선관(2)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정집속장치(1)는 일반적으로 홀더(3), 와셔스프링(4), 스페이서 (5), 로크(6), 마그네트(7) 및 금속재의 체결밴드(8)로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첨부한 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홀더(3)를 음극선관(2)에 장착함에 있어 금속재로 이루어진 체결밴드(8)를 이용하게 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홀더(3)에 로크(6), 와셔스프링(4), 마그네트(7) 및 스페이서(5)를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장착한 후에 홀더(3)를 음극선관(2)에 삽입하여 그 하단부에 금속재의 체결밴드(8)를 이용하여 볼트(9)로서 체결함으로서 홀더(3)를 음극선관(2)에 고정하는 방식을 취해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는 자성체로 이루어진 마그네트(7)을 조정하여 적,녹,청의 3본의 전자비임을 스크린상에 조정시킨다 하여도 금속재의 체결밴드(8)를 가공할 때 발생하는 미세한 자력이 체결밴드(8)에 잔존하게 되어 이에 의하여 상기한 조정이 방해를 받게 되게 된다.
또한 마그네트(7), 스페이서(5)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에 있어서도 로크(6)의 하단부에 형성된 경사부(6')를 홀더(3)의 클릭(10)에서 회동시켜주게 됨으로서 고정하는 방법을 취해왔다.
그러나 이는 스페이서(5)와 마그네트(7)를 고정한 후에 상기한 마그네트( 7)를 조정할 때 이를 따라 미세하게 이동되어 그 고정기능이 상실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고, 또한 홀더(3) 상부에 설편(11)을 이용하므로서 홀더(3)에 외삽된 상기한 부품들이 로크(6)로 압압고정할 때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단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홀더를 음극선관에 고정함에 있어 금속밴드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자체의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는 홀더를 제공하고, 또한 마그네트 및 스페이서를 고정하여 주는 로크를 홀더상에 나합시키는 방법에 의하고 또한 홀더의 일끝단에 요홈을 형성하여서 이곳에 로크링을 삽착시켜 주므로서 로크를 회동시켜 상기한 부품들을 외측으로 밀어내도 인출되지 않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 제3도, 제7도 제9도 제10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제4도, 제5도, 제6도, 제8도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변형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의한 홀더(2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재로 성형제조되는 것으로서, 전방에 다수의 탄력절결부(23)를 구성한 삽입원통부(21)와 내주면에 요철부(29)를 형성한 체결부(22)가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원통부(21)의 전방에는 끝단외주연을 따라 요홈(24)을 형성하고 후방에는 외주연을 따라 나사부( 25)를 구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22)는 전방을 양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절결하여 절결부(26)를 형성하도록 하되 그 절결부(26) 양끝단에 각각 나사구멍(27)이 형성된 브라켓(28)이 형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홀더(20)는 첨부한 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종래와 같이 음극선관(2)에 장착되어 사용되어지는바, 먼저 본 고안에 의한 로크(30)는 내주연에 나사를 형성하여서 사용되게 된다.
이와 같은 로크(30)는 첨부한 도면 제9도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홀더(20)에 먼저 외삽하여 상기 홀더(20)의 나사부(25)에 먼저 나합시킨 다음, 다시 마그네트(7) 또는 스페이서(5)를 순차적으로 홀더(20)에 외삽시킨 다음, 홀더(20)를 이루는 삽입원통부(21)에 형성된 요홈(24)에는 고정링(40)를 끼워서 이를 홀더(2 0)에 고정시킨다.
물론 이때에는 탄력절결부(23)에 의해서 외력에 의해 삽입원통부(21)를 안쪽으로 눌러주면 그 지름에 좁아지게 되므로 고정량(40)의 외삽입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의 홀더(20)와, 로크(30) 및 고정링(40)에 의해 일련의 정집속장치를 조립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고안에 의한 홀더(20)를 음극선관(2)에 끼워 이를 고정해야 할 것인바, 이때에는 체결부(22)에 형성된 브라켓(28)의 나사구멍(27)에 볼트(41)를 끼워 죄여주면 된다.
이때 볼트(41)의 죄임에 의해 체결부(22)의 지름이 압축되게 되는데 이는 절결부(26)가 체결부(22)에 절결되어 있으므로 지름에 변위가 발생하여도 볼크(41)의 죄임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없이 음극선관(2)에 고정되게 된다.
한편 체결부(22)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철부(29)는 음극선관(2)에 홀더(2 0)가 체결된 후에도 좌,우로 회동하지 않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정집속장치를 음극선관에 완전히 고정한 후에 마그네트(7)를 조절하여 그 목적한 바에 따라 사용하면 될 것이다.
또한 첨부한 도면 제4도 및 제6도에서와 같이 삽입원통부(21)의 후반에 나사부를 형성치 아니하고 종래와 같이 탄력성의 판스프링을 먼저 외삽입 한 후에 순차적으로 마그네트(7), 스페이서(5)를 외삽입시킨다음 그 전방 끝단에 형성된 요홈(24)에 상기 마그네트(7) 및 스페이서(5)를 압압하는 상태로 고정링을 삽입하여서 상기한 마그네트(7) 및 스페이서(5)를 고정하여 정집속장치를 구성한 후에 홀더(20)를 음극선관(2)에 장착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이를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제5도 및 제8도에서와 같이 상기한 삽입원통부(21)의 전방에 단지 나사부(60)을 형성하여서 마그네트(7) 및 스페이서(5)를 순차적으로 외삽입한 후에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로크(30)를 상기 나사부(60)에 나삽시켜 상기 외삽입된 마그네트(7) 및 스페이서(5)를 압압시켜주는 방법에 의해서 상기한 부품을 조립고정하여 정집속 장치를 구성하여서 음극선관(2)에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고정할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홀더(20) 자체를 엔지니어링 프라스틱재로 성형제로하여 이루되 근본적으로 음극선관(2)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그 자체에 형성된 브라켓(28)에 의해서 죄여지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금속밴드(8)의 제조시에 잔존하는 자력에 의해 방해를 받는 단점을 일소하고, 또한 체결부(22)에 요철(29)을 형성하여 그 고정력을 확실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된다.

Claims (3)

  1. 음극선관에 고정되는 정집속장치에 있어서, 홀더(20)가 전방에 다수의 타력절결부923)를 구성한 삽입원통부(21)와 내주면에 요철부(29)를 형성한 체결부 (22)가 엔지니어링 프라스틱재로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원통부( 21)의 전방에는 끝단외주연을 따라 요흠(24)을 형성하고 후방에는 외주연율 따라 나사부(25)를 구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22)는 전방을 양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절결하여 절결부(26)를 형성하도록 하되 그 절결부(26) 양끝단에 각각 브라켓(28)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정집속 장치용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20)의 삽입원통부(21)의 전방에 그 끝단 외주연을 따라 요홈(24)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정집속장치용 홀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20)의 삽입원통부(21)에 형성된 요홈(24)이 나사부(6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정집속장치 홀더.
KR2019910008196U 1991-06-04 1991-06-04 음극선관 정집속 장치용 홀더 KR9300064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196U KR930006442Y1 (ko) 1991-06-04 1991-06-04 음극선관 정집속 장치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8196U KR930006442Y1 (ko) 1991-06-04 1991-06-04 음극선관 정집속 장치용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482U KR930001482U (ko) 1993-01-21
KR930006442Y1 true KR930006442Y1 (ko) 1993-09-24

Family

ID=19314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8196U KR930006442Y1 (ko) 1991-06-04 1991-06-04 음극선관 정집속 장치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4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482U (ko) 199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442Y1 (ko) 음극선관 정집속 장치용 홀더
EP0793161B1 (en) Adjusting knob assembly with discrete positioning
GB1294941A (ko)
US3781730A (en) Yoke mounting ring with deformable finger members
GB2250631A (en) Mounting a deflection yoke on a cathode ray tube
US3497843A (en) Deflection yoke assembly and mounting
US4758763A (en) Means for aligning a cathode-ray tube and raster with its enclosure
JPH0799678B2 (ja) 陰極線管の偏向ヨーク構体
KR950000245Y1 (ko) 편향요크
US6841925B2 (en) Deflection yoke
KR970004913Y1 (ko) 텔레비전의 음극선관 고정브라켓
US2623095A (en) Suspension arrangement for cathode-ray tubes
JPH057722Y2 (ko)
KR950003476Y1 (ko) 편향요크 고정용 요크클램프
JPH1092342A (ja) 陰極線管装置
KR950002699Y1 (ko) 편향요크 고정장치
KR930008438Y1 (ko) 브라운관의 컨버젼스 조정용 마그네트 고정장치
KR200155626Y1 (ko) 피시엠 고정장치
JP3117879B2 (ja) 締付けバンド
US3176200A (en) Beam centering apparatus for cathode ray tubes
KR910004068Y1 (ko) 편향요크의 유동 방지구 협지홈
KR0155892B1 (ko)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
JPH0722845Y2 (ja) バックロック・スタティックコンバージェンスマグネット・アセンブリ
KR950002698Y1 (ko) 편향요크의 고정장치
KR0123990Y1 (ko) 마그네트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