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892B1 -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892B1
KR0155892B1 KR1019950034004A KR19950034004A KR0155892B1 KR 0155892 B1 KR0155892 B1 KR 0155892B1 KR 1019950034004 A KR1019950034004 A KR 1019950034004A KR 19950034004 A KR19950034004 A KR 19950034004A KR 0155892 B1 KR0155892 B1 KR 0155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aussing coil
ray tube
cathode ray
fixture
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4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7886A (ko
Inventor
신광철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34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5892B1/ko
Priority to US08/694,115 priority patent/US5828279A/en
Priority to CN96111154A priority patent/CN1108701C/zh
Publication of KR970017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8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배면에 디가우징 코일(degaussing coil)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는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를 사용하면, 디가우징 코일이 음극선관의 배면에 고정되도록 그 디가우징 코일을 지지하여 음극선관의 러그에 걸어두는 작업이 용이하게 행하여질 수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
제1도는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을 나타내 보이는 텔레비젼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고정구에 의해 디가우징 코일이 고정된 상태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를 나타내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에 의해 디가우징 코일이 고정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의 개략적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음극선관 21 : 러그
60 : 디가우징 코일 90 :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
91 : 러그삽입공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배면에 디가우징 코일(degaussing coil)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가우징 코일의 고정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개선된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텔레비젼이나 모니터 내부에 설치되는 음극선관에는, 그 음극선관을 자화시키는 불필요한 자기장을 제거하기 위한 디가우징 코일이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디가우징 코일의 설치구조를 제1도 및 제2도에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음극선관(20)은, 그 각 모서리부에 마련된 러그(21)를 관통하여 텔레비젼 케이스(10)에 체결되는 나사(50)들에 의해, 텔레비젼 케이스(10)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디가우징 코일(60)은, 음극선관(20)이 케이스(10)에 고정되기 전에 그 음극선관(20)의 각 러그(21)에 끼워지는 고정구(40)들에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음극선관(20)의 배면에 고정되게 된다. 한편,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상기 고정구(40)는 디가우징 코일(60)이 걸어 맞추어지는 부위에 그 디가우징 코일(60)이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변형되는 탄성지지부(41)와, 상기 음극선관(20)의 러그(21)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공(42)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40)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되게 되므로 그에 따르는 금형비나 부품비 등이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 고정구(40)를 사용하여 디가우징 코일(60)을 고정하게 되면, 그 몸체와 상기 탄성지지부(41) 사이에 디가우징 코일(60)을 끼워 넣어야 하는데 그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가우징 코일의 고정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는, 디가우징 코일을 지지한 상태로 음극선관의 러그에 끼워져 그 디가우징 코일을 음극선관의 배면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그 몸체는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질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가지며 그 양단부에는 러그삽입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디가우징 코일의 외주를 감싼 상태로 그 양 단부가 겹쳐지고 겹쳐진 양단부는 상기 러그삽입공들을 통해 상기 음극선관의 러그에 끼워지도록 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 도시되어 있는데, 제3도는 고정구가 음극선관의 러그에 걸어 맞추어지기 전의 상태를 보이며, 제4도는 고정구가 디가우징 코일을 지지한 상태로 음극선관의 러그에 걸어 맞추어진 상태를 보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90)는, 제3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지는 상태로 될 수 있도록, 가요성의 필름형 몸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고정구(90)의 몸체 양 단부에는 음극선관(20)의 러그(21)에 끼워질 수 있도록 각각 러그삽입공(9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고정구(90)는 가요성의 시트를 사용하여 간단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되어야 하는 종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40)에 비하여, 금형비나 재료비가 절감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90)를 이용하여 디가우징 코일(60)을 음극선관(20)에 고정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3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구(90)의 몸체중앙부에 디가우징 코일(60)이 위치하도록 한 후,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고정구(90)를 접어서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디가우징 코일(60)은 접혀진 고정구(90)의 몸체에 의해 그 외주가 감싸이게 된다. 그 후,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가우징 코일(60)의 외주를 감싼 고정구(90)의 양 단부에 형성된 러그삽입공(91)들에 음극선관(20)의 러그(21)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디가우징 코일(60)은 음극선관(20)의 러그(21)에 끼워져 걸린 고정구에 의해 고정 지지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90)를 사용하게 되면, 고정구(90)로 디가우징 코일(60)을 감싸고 그 양 단부의 러그삽입공(91)들을 통해 음극선관(20)의 러그(21)에 걸어두는 작업 만으로 디가우징 코일(60)을 고정 지지된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 고정구(40)를 사용할 때 그 몸체와 탄성지지부(41) 사이로 디가우징 코일(60)을 끼워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디가우징 코일(60)의 고정 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고정구(90)에 있어서는 각 러그삽입공(91)이 음극선관의 러그(21) 형상에 맞추어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러그삽입공(9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여러 가지 형태의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 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삽입공(91)에 러그(21)가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러그삽입공(91)의 중앙부로부터 그 러그삽입공(91)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보조 삽입공(91a)을 갖춘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는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를 사용하면, 디가우징 코일이 음극선관의 배면에 고정되도록 그 디가우징 코일을 지지하여 음극선관의 러그에 걸어두는 작업이 용이하게 행하여질 수 있다.

Claims (1)

  1. 디가우징 코일을 지지한 상태로 음극선관의 러그에 끼워져 그 디가우징 코일을 음극선관의 배면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그 몸체는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질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가지며 그 양단부에는 러그삽입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디가우징 코일의 외주를 감싼 상태로 그 양 단부가 겹쳐지고 겹쳐진 양단부는 상기 러그삽입공들을 통해 상기 음극선관의 러그에 끼워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
KR1019950034004A 1995-09-30 1995-09-30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 KR0155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4004A KR0155892B1 (ko) 1995-09-30 1995-09-30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
US08/694,115 US5828279A (en) 1995-09-30 1996-08-08 Degaussing coil holder for cathode ray tube
CN96111154A CN1108701C (zh) 1995-09-30 1996-08-20 用于阴极射线管的消磁线圈夹持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4004A KR0155892B1 (ko) 1995-09-30 1995-09-30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886A KR970017886A (ko) 1997-04-30
KR0155892B1 true KR0155892B1 (ko) 1998-10-15

Family

ID=19429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4004A KR0155892B1 (ko) 1995-09-30 1995-09-30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28279A (ko)
KR (1) KR0155892B1 (ko)
CN (1) CN1108701C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270A (en) * 1899-03-10 1900-05-08 Harry S Collins Pipe-hanger.
US706903A (en) * 1901-09-20 1902-08-12 James Crawford Pipe-hanger.
US1362244A (en) * 1919-08-08 1920-12-14 John W Farley Pipe-hanger
US2397279A (en) * 1944-05-23 1946-03-26 Adel Prec Products Corp Snap lock harness clip
US3224054A (en) * 1963-02-13 1965-12-21 Frederick O Lige Wire ties
FR2605169B1 (fr) * 1986-10-10 1988-12-09 Radiotechnique Ind & Comm Dispositif de demagnetisation et de mise a la masse pour un tube-image, et machine pour le fabriquer
US4862560A (en) * 1989-01-23 1989-09-05 Designs By Master Markets, Inc. Irreversible tie strap with specialized clasp to permit the strap to be inserted through the clasp twice
DE69207227T2 (de) * 1991-02-20 1996-09-05 Nanao Corp Gerät zur Unterdrückung der Strahlung einer Anzeige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886A (ko) 1997-04-30
CN1108701C (zh) 2003-05-14
US5828279A (en) 1998-10-27
CN1147182A (zh) 1997-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872Y1 (ko) 편향요크용 세퍼레이터
KR0155892B1 (ko) 음극선관의 디가우징 코일 고정구
JPH09232771A (ja) 電子部品用筐体
US6325340B1 (en) Spacer and mounting structure for lead wire employing the same
US6018375A (en) Cathode ray tube holding device
JP2572710Y2 (ja) シールドクランプ
JP3291355B2 (ja) ケーブルホルダー
US6034327A (en) Grommet and structure for taking out electric power from electric connection box by using grommet
US6624563B1 (en) Video shield for monitor comprising a bracket in combination with an absorber and a connector
KR970004913Y1 (ko) 텔레비전의 음극선관 고정브라켓
KR200165106Y1 (ko) 음극선관(crt) 고정용 프레임
US20020163293A1 (en) Cathode-ray tube mounting apparatus
JPS584382Y2 (ja) 陰極線管取付装置
JPS584383Y2 (ja) 陰極線管取付装置
KR200144642Y1 (ko) 편향 요크용 코일 세퍼레이터의 보정편 삽입구조
KR0133706Y1 (ko) 텔레비젼의 샤시 고정구조
KR970006012Y1 (ko) 디가우징 코일 고정장치
KR0116655Y1 (ko) 텔레비젼 케이싱 틈새 방지장치
KR200154324Y1 (ko) 음극선관의 세퍼레이터 네크밴드 결합구조
KR0133707Y1 (ko) 스피커의 메탈그릴 취부장치
KR100221406B1 (ko) 개선된 피씨비 프레임을 구비하는 티브이씨알 결합 구조물
KR950003744Y1 (ko) 전자레인지의 콘덴서 취부구조
JPH1092341A (ja) 偏向ヨーク
JPH11205716A (ja) 画像表示装置
JPS5824477Y2 (ja) コ−ド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