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645B1 - Apparatus for encoding image signa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ncoding image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645B1
KR930004645B1 KR1019850001850A KR850001850A KR930004645B1 KR 930004645 B1 KR930004645 B1 KR 930004645B1 KR 1019850001850 A KR1019850001850 A KR 1019850001850A KR 850001850 A KR850001850 A KR 850001850A KR 930004645 B1 KR930004645 B1 KR 930004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color
image data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18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50006830A (en
Inventor
고스께 고마쯔
쯔또무 미야우찌
이꾸오 미사오
무쯔미 기무라
다다시 후지와라
요시오 쯔찌다
쥰꼬 구로이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6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8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6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6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r the storage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Details therefor, e.g. coding or decoding means therefor
    • H04N1/642Adapting to different types of images, e.g. characters, graphs, black and white image por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화상의 부호화 처리장치Image coding apparatus

제1a도 내지 1f도는 PDI코드에 의한 도형처리를 각각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1A to 1F are schematic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figure processing by PDI codes, respectively.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화상의 부호화 처리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mage en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3 is a flowchart showing an image processing procedure in this embodiment.

제4도는 마찬가지로 색처리의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챠트.4 is a flowchart similarly showing the procedure of color processing.

제5도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량 삭감처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처리대상 화소의 배열을 도시하는 모식도.FIG.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of processing target pixel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amount reduction process in the embodiment. FIG.

제6도 내지 제10도는 상기 실시예의 코딩처리에 있어서의 색시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각 모식도로써, 제6도는 처리대상 화상영역을 도시, 제7도는 텍스처패턴의 각 예를 도시, 제8도는 상기 제6도에 도시한 화상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7도에 도시한 각 텍스처패턴으로 색지정한 상태를 도시, 제9도는 3레벨의 색데이타를 2레벨의 색 데이타로 변환하는 경우의 색지정의 동작원리를 도시, 제10도는 상기 색지정이 동작원리에 따라서 27색의 색지정을 행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조직 데이타의 일예를 도시.6 to 10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lor correction processing in the coding processing of the above embodiment, wherein FIG. 6 shows an image area to be processed, FIG. 7 shows each example of a texture pattern, and FIG.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color is designated with each of the texture patterns shown in Fig. 7 for the image area shown in Fig. 6, and Fig. 9 shows color specification in the case of converting three-level color data into two-level color data. Fig. 10 show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principle, and Fig. 10 shows an example of the tissue data used when the color specification specifies 27 color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principle.

제11도 내지 제18a도 및 제18b도에서 제11도는 경계검출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12도는 상기 검출회로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임챠트, 제13도는 검출동작을 행하는 대상이 되는 각 화소의 배열을 도시하는 모식도, 제14도는 검출 대상화소에 대하여 화상의 경계가 연속하는 방향 및 각 화소의 화상 데이타의 내용을 도시하는 모식도, 제15도는 경계의 초기검출 동작시에 있어서의 검출방향 결정의 동작원리를 도시하는 모식도, 제16a도 내지 제16h도는 경계가 연속하는 방향을 차례로 결정하는 경우에 각 화소의 화상 데이타의 내용과 검출방향을 각각 도시하는 모식도, 제17도는 상기 제11도에 도시한 경계검출 회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요부블록도, 제18a도 및 18b도는 상기 변형에의 있어서의 방향 ROM에 미리 기입되는 방향데이타를 각각 도시하는 모식도.11 to 18a and 18b to 11 are block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undary detection circuit, FIG. 12 is a time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etection circuit, and FIG. 13 is an object to perform the detection operation.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each pixel, FIG. 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undary of the image is continuous with respect to the pixel to be detected, and the contents of the image data of each pixel, and FIG. 15 is the detection during the initial detection operation of the boundary. 16A to 16H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direction determination, and FIG. 16A to 16H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contents and the detection direction of the image data of each pixel in the case of determin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undary is continuous, and FIG. 18A and 18B show a principal block diagram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boundary detection circuit shown in FIG. 18, and FIG. 18A and FIG. 18B respectively show direction data written in advance in the direction ROM in the above modificatio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41,42,43,44 : 프레임 메모리 51,52,53 : 칼라 테이블 메모리41, 42, 43, 44: frame memory 51, 52, 53: color table memory

90 : 보조 메모리 100 : 마이크로컴퓨터90: auxiliary memory 100: microcomputer

200 : 고속연산 처리회로 210 : 화상 메모리200: high speed operation processing circuit 210: image memory

220 : 시프트 레지스터 230 : 데이타 비교회로220: shift register 230: data comparison circuit

240,240A : 방향 ROM 250,250A : 래치회로240,240A: Direction ROM 250,250A: Latch Circuit

본 발명은 전화회선이나 무선회선을 이용하여 각종 화상정보를 전송하는 소위 비디오텍스나 텔레텍스트 등의 디지탈 화상정보 전송 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는 신호 처리장치, 특히 한장의 화상을 기하학적 도형영역의 집합으로 취급하여 그 화상정보를 기하학 명령 데이타로 변환하기 위한 화상의 부호화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treats a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ed in a digital imag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such as videotex or teletext, which transmits various image information using a telephone line or a wireless line, in particular, a single image as a set of geometric figure areas. An apparatus for encoding an image for converting the image information into geometric command data.

최근들어, 정보화 사회의 발전에 수반하여 각종 화상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소위 뉴미디어로서 비디오텍스나 텔레텍스트 등의 디지탈 화상정보 전송시스템의 개발 및 실용화가 각국에서 진행되고 있다. 예를들면, 영국에서는 프레스텔(PRESTEL)이라 불리우는 시스템이 이미 실용화되어 있고, 또 일본에서는 캡틴 시스템(Captain : character And Pattern Telephone Access Information Network System)이 개발되고, 더우기 프랑스의 텔레텔(Teletel), 캐나다 및 미국의 NAPLP(North American Pressntation Level Protocol)가 실용화되고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ociety, the development and practical use of digital imag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s such as videotex and teletext as so-called new media for transmitting various image information have been carried out in each country. For example, in the UK a system called PRESTEL has already been put into practice, and in Japan, a Captain (Character and Pattern Telephone Access Information Network System) has been developed, and moreover, France's Teletel, North American Pressntation Level Protocol (NAPLP) i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has been put into practical use.

그런데, 상기 텔리돈 시스템이나 NAPLP 시스템에서 채용되고 있는 한장의 화상을 기하학적 도형영역의 집합으로 취급하고 화상정보를 PDI(Picture Description Instruction) 코드에 의한 기하학 명령 데이타로 나타내고 전송하는 방식은 화상정보를 모자이크 화소에 대응시키거나 문자코드로 나타내는 다른 방식과 비교하여 매우 효율이 좋다고 하여 그 고효율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By the way, a single image used in the Tellidone system or the NAPLP system is treated as a set of geometric figure areas, and the image information is represented as geometric command data by PDI (Picture Description Instruction) code and transmitted. Compared with other methods corresponding to pixels or represented by character codes, the efficiency is very high, and the efficiency is highly evaluated.

상기 PDI코드에서는 기하학 도형에 의한 작도 명령용의 6종류의 명령[POINT], [LINE], [ARC], [RECTNGLE], [POLYGON], [INCREMENTAL]와 색상이나, 농담상태(gradation) 등을 지정하고 상기 작도명령의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CONTROL] 등이 정의되어 있다. 상기 명령[POINT]에서는 제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화면내의 임의의 좌표위치에 작도 개시점을 설정하거나 혹은 점 P0를 기입한다. 또 상기 명령 [LINE]에서는 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점 P1, P2사이를 연결하는 선분을 그린다. 더우기, 상기 명령 [ARC]에서는 제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점 P1,P2,P3의 좌표에 의거하여 원호를 그리고, 또 도면중 1점쇄선으로 도시하듯이 상기 2점 P1,P2사이를 연결하는 현을 그리고, 그 윤곽안을 모두 칠하는 것이 행해진다.In the above PDI code, six kinds of instructions [POINT], [LINE], [ARC], [RECTNGLE], [POLYGON], [INCREMENTAL], colors, shades, etc. A command [CONTROL] or the like for specifying and controlling the mode of the drawing command is defined. In the above instruction [POINT], as shown in FIG. 1A, a drawing start point is set or a point P 0 is set at an arbitrary coordinate position on the display screen. In addition, the command [LINE] draws a line segment connecting two points P 1 and P 2 as shown in FIG. 1B. Furthermore, in the command [ARC], an arc is drawn based on the coordinates of three points P 1 , P 2 , and P 3 as shown in FIG. 1C, and the two points P 1 ,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the drawing. A string connecting P 2 is drawn and all the outlines are painted.

또, 상기 명령 [RECTNGLE]에서는 제1d도에 도시하듯이 이 2점 P1, P2를 대각선상의 정점으로 하는 직사각형의 윤곽을 그리고, 그 윤곽안을 모두 칠한다. 또한, 상기 명령 [POLYGON]에서는 제1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점 P1, P2, …, P에 의해 정해진 다각형의 윤곽을 그리고, 그 윤곽안을 모두 칠하는 것이 행해진다. 더우기, 상기 명령 [INCREMENTAL]으로는 제1f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점 P0으로부터 임의의 단위길이로서 8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의 방향 데이타 D1, D2, …, D0에 의해 선분이나 다각형의 P7윤곽을 그리고 또한 그 윤곽내를 빈틈없이 모두 칠하는 것이 행해진다.In the instruction [RECTNGLE], as shown in Fig. 1d, a rectangular outline is formed with these two points P 1 and P 2 as diagonal vertices, and both outlines are painted. Further, in the command [POLYGON], as shown in Fig. 1e, vertices P 1 , P 2 ,... , The contour of the polygon determined by P is painted, and all of the contour is painted. Furthermore, as the instruction [INCREMENTAL], as shown in Fig. 1f, the direction data D 1 , D 2 ,..., When traveling in any one of eight directions as an arbitrary unit length from the vertex P 0 . , D 0 is used to draw the P 7 outline of the line segment or polygon, and to paint the inside of the contour seamlessly.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기하학 명령 데이타를 이용한 디지탈 화상정보 전송시스템에서는 실제로 전송하는 화상정보의 정보량을 대량으로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여 고효율의 정보전송을 행할 수가 있지만, 상기 실제로 전송하는 화상정보 즉 한장의 화상을 도시한 기하학 명령 데이타를 작성하기 위한 작업에 많은 수고와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digital imag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geometric command data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information of the image information actually transmitted in a large amount, and to perform highly efficient information transmiss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effort and time are required for the work for creating the geometric command data showing the image.

예를들면, 전송해야 할 화상을 촬영한 비디오 신호를 상기 기하학 명령 데이타로 변환하는 작업은 모니터 텔레비젼 수상기로 목적하는 화상을 보면서 조작자(operator)가 타블렛(tablet)에 의해 윤곽정보나 색상, 농담정보등을 차례로 입력하는 동시에 기하학 명령 데이타로 변환하는 등의 방법이 생각되지만, 원래 화상의 정보를 정확히 표현하기가 어렵고, 각종 정보의 입력에 많은 시간과 수고를 필요로 한다.For example, the operation of converting a video signal of an image to be transmitted into the geometric command data is performed by the operator using a tablet while viewing the target image with a monitor television receiver. While methods such as inputting a sequence and the like and converting them into geometric command data are conceivabl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represent the information of the original image, and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input various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비추어, 한장의 화상을 기하학적 도형영역의 집합으로 취급하여 화상정보를 기하학 명령 데이타로 표현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화상정보의 기하학 명령 데이타로의 변환처리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전송하는 화상의 각 기하학적 영역에 대한 각 기하학 명령 데이타를 정확히 또는 단시간에 자동적으로 형성하는 화상의 부호화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treats a single image as a set of geometric figure areas, and converts the image information into geometric command data when the image information is expressed and transmitted as geometric command data.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encod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orming each geometric command data for each geometric region of an image to be transmitted accurately or automatically in a short time.

본 발명에 관한 화상의 부호화 처리장치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화상을 촬영한 화상 데이타를 기억하는 화상기억 수단과, 상기 화상의 동일화상 데이타로 도시되는 화상영역을 검출하는 영역검출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타속의 용장 데이타(redundant data)를 제거하는 데이타 처리수단과, 상기 화상의 각 화상영역을 기하학 도형으로 표현하는 기하학 명령 데이타를 발생하는 명령 데이타로 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되는 화상 데이타에 대하여 상기 영역검출을 행하여 얻어지는 영역 데이타와 상기 용장 데이타 제거처리를 행하여 얻어지는 화상 데이타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의 화상영역의 기하학 명령 데이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n image encoding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mage storage means for storing image data obtained by photographing an image, area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n image region shown by the same image data of the image, Data processing means for removing redundant data in the image data; and generating means as command data for generating geometric command data representing each image area of the image as a geometric figure; The geometric command data of the image region of the image 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region data obtained by performing the area detection on the image data to be read and the image data obtained by performing the redundant data removal process.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화상의 부호화 처리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image encoding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drawing.

제2도 내지 18도에 도시하는 실시예는 텔리돈(Teledon) 방식의 디지탈 화상정보 전송시스템에 있어서의 입력데이타 처리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으로서, 이 실시예의 장치는 전송하는 칼라화상을 도시하지 않은 칼라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여 얻어지는 RGB 색신호 혹은 표준 텔레비젼 방식(예를들어 NTSC)의 칼라텔레비젼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이 입력으로 도시되는 1프레임분의 칼라화상을 기하학적 도형영역의 집합으로 취급하여, 상기 칼라화상을 도시하는 기하학 명령 데이타로 마이크로 컴퓨터(100)에서 형성하여 데이타 버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다.2 through 18 show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n input data processing apparatus in a teledon digital image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The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does not show a color image to be transmitted. An RGB color signal obtained by shooting with a color video camera or a color television signal of a standard television system (for example, NTSC) is used as an input, and a color image for one frame shown by this input is treated as a set of geometric figure areas. It is formed by the microcomputer 100 with geometric command data showing the color image and output through the data bus.

이 실시예의 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제2도의 블록도에 있어서, 예를들어 NTSC방식의 칼라텔레비젼 신호는 제1신호입력단자(1)를 거쳐서 NTSC/RGB 변환기(5)와 동기분리회로(6)에 공급되고, 또 RGB 색신은 제2신호 입력단자(2)를 거쳐서 입력선택회로(10)에 공급된다.In the block diagram of Fig. 2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for example, the NTSC system color television signal is passed through the first signal input terminal 1 and the NTSC / RGB converter 5 and the synchronous separation circuit ( 6) and the RGB color is supplied to the input selection circuit 10 via the second signal input terminal 2.

상기 입력선택회로(10)는 상기 제1신호입력단자(1)로부터 NTSC/RGB 변환기(5)를 거쳐서 공급되는 상기 칼라텔레비젼 신호를 변환한 RGB 색신호 혹은 상기 제2신호 입력단자(2)로부터 공급되는 RGB 색신호를 선택하여, 한쪽의 RGB 색신호를 아날로그/디지탈(A/D) 변환기(20)에 공급한다.The input selection circuit 10 is supplied from the RGB signal or the second signal input terminal 2 converted from the color television signal supplied from the first signal input terminal 1 through the NTSC / RGB converter 5. The RGB color signal is selected, and one RGB color signal is supplied to the analog / digital (A / D) converter 20.

또, 상기 동기분리회로(6)는 상기 제1신호 입력단자(1)로부터 공급되는 칼라텔레비젼 신호중의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그 동기신호를 동기절환회로(15)에 공급한다. 상기 동기절환회로(15)는 상기 제2신호 입력단자(2)에 공급되는 RGB 색신호에 대응하는 동기신호가 제3신호 입력단자(3)로부터 공급되고 있으며, 상기 입력선택회로(10)와 연등한 선택동작을 행하여 상기 A/D변환기(20)에 공급하는 RGB 색신호에 대응하는 동기신호를 어드레스 데이타 발생블록(30)에 공급한다. 이 어드레스 데이타 발생블록(30)은 PLL발진기(31)와 카운터회로(32)로 구성되며, 상기 PLL발진기(31)의 발진출력 펄스를 상기 카운터회로(32)로 계수하므로써 상기 동기신호에 등기한 어드레스 데이타를 형성하고, 이 어드레스 데이타를 어드레스 선택회로(35)에 공급한다.The synchronization separating circuit 6 separates the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color television signal supplied from the first signal input terminal 1 and supplies the synchronization signal to the synchronization switching circuit 15. In the synchronous switching circuit 15, a synchronous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GB color signal supplied to the second signal input terminal 2 is supplied from the third signal input terminal 3, and is equal to the input selection circuit 10. One sel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to supply a synchroniz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GB color signal supplied to the A / D converter 20 to the address data generation block 30. The address data generation block 30 includes a PLL oscillator 31 and a counter circuit 32. The address data generation block 30 registers the synchronization signal by counting the oscillation output pulse of the PLL oscillator 31 to the counter circuit 32. Address data is formed, and the address data is supplied to the address selection circuit 35.

상기 어드레스 선택회로(35)는 컴퓨터(100)의 어드레스 버스를 거쳐 공급되는 어드레스 데이타와 상기 어드레스 데이타 발생블록(30)으로부터 공급되는 어드레스 데이타를 선택하여, 제1 내지 제4프레임 메모리(41, 42, 43, 44), 커서(cursor) 메모리(45) 및 문자발생기(46)에 상기 어드레스 데이타를 공급한다. 또, 상기 프레임 메모리(41, 42, 43, 44), 커서 메모리(45) 및 문자발생기(46)는 컴퓨터(100)의 데이타 버스를 통해 각종 데이타의 교환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The address selection circuit 35 selects address data supplied via the address bus of the computer 100 and address data supplied from the address data generation block 30 to form first to fourth frame memories 41 and 42. 43, 44, the cursor memory 45 and the character generator 46 are supplied with the address data. The frame memories 41, 42, 43 and 44, the cursor memory 45 and the character generator 46 are configured to exchange various data via the data bus of the computer 100.

상기 제1프레임 메모리(41)는 원래의 화상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이며, 상기 A/D변환기(20)에서 RGB 색신호를 디지탈화하고, 그 입력칼라 화상 데이타가 상기 어드레스 데이타 발생블록(30)으로부터의 어드레스 데이타에 의거하여 RGB의 각 색마다에 기입된다. 이 제1프레임 메모리(41)에 기억된 입력칼라 화상 데이타는 언제든지 임의로 판독하여 디지탈/아날로그(D/A) 변환기(61)에 의해 아날로그 RGB 색신호로 변환하여 제1출력 선택회로(71)를 거쳐 제1RGB 모니터 장치(81)에 공급하여 칼라원래 화상을 모니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first frame memory 41 is a memory for storing original image data, and the A / D converter 20 digitizes an RGB color signal, and the input color image data is transferred from the address data generation block 30. The data is written for each color of RGB based on the address data. The input color image data stored in the first frame memory 41 is arbitrarily read at any time, converted into an analog RGB color signal by a digital / analog (D / A) converter 61, and passed through the first output selection circuit 71. The first RGB monitor device 81 can be supplied to monitor a color original image.

또, 제2 내지 제4프레임 메모리(42, 43, 44)는 상기 제1프레임 메모리(41)에 기억된 원래 화상 데이타에 대하여 색처리나 용장 데이타의 삭감처리등의 각종 데이타 처리용의 범용 메모리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각종 처리과정에 있어서의 각종 화상 데이타가 상기 데이타 버스를 통해 기입/판독된다. 상기 제2프레임 메모리(42)에 기억되는 데이타 처리완료후의 화상 데이타는 칼라 테이블 메모리(51)에서 색 데이타로 변환하고 D/A변환기(62)를 거쳐 아날로그의 RGB 색신호로 되돌아와 제1 및 제2출력 선택회로(71, 72)에 공급되고 있고, 데이타 처리완료후의 칼라화상을 제1 혹은 제2RGB 모니터 장치(81, 82)에서 모니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제3프레임 메모리(43)에 기억되는 데이타 처리완료후의 화상 데이타는 칼라 테이블 메모리(52)에서 색 데이타로 변환하고 D/A변환기(63)를 거쳐 아날로그의 RGB 색신호로 되돌아와 상기 제2출력 선택회로(72)로부터 제2RGB 모니터 장치(82)에 공급하여, 데이타 처리완료후의 칼라화상을 모니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상기 제4프레임 메모리(44)는 상기 제1프레임 메모리(41)에 기억된 원래 화상 데이타를 상기 D/A변환기(61)에서 아날로그의 RGB 색신호로 되돌린 후에 RGB/Y변환기(68)에서 휘고 Y신호로 변환하고, 또 A/D변환기(69)를 거쳐서 디지탈화하므로써 얻어지는 원화의 흑백화상 데이타가 기입된다. 이 흑백화상 데이타에 대하여 용장 데이타의 삭감처리 등을 행한 후의 흑백화상 데이타는 칼라 테이블 메모리(53)와 D/A변환기(64)를 거쳐 아날로그의 RGB 색신호로 되돌아와 신호합성회로(70)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The second to fourth frame memories 42, 43, and 44 are general-purpose memories for processing various data such as color processing and redundancy data reduction processing on the original image data stored in the first frame memory 41. As used herein, various image data in various processes described later are written / read out via the data bus. The image data after completion of the data processing stored in the second frame memory 42 is converted into color data in the color table memory 51 and returned to the analog RGB color signal via the D / A converter 62, and the first and the first It is supplied to the two output selection circuits 71 and 72, and the first or second RGB monitor devices 81 and 82 can monitor the color image after the data processing is completed. The image data after the data processing stored in the third frame memory 43 is converted into color data in the color table memory 52 and returned to the analog RGB color signal through the D / A converter 63 to return to the first color image. The second RGB monitor device 82 is supplied from the two output selection circuits 72 to monitor the color image after completion of data processing. In addition, the fourth frame memory 44 returns the original image data stored in the first frame memory 41 to the analog RGB color signal by the D / A converter 61, and then converts the RGB / Y converter 68. The black-and-white image data of the original image obtained by converting into a Y signal, converting into a Y signal, and digitalizing via the A / D converter 69 is written. The black and white image data after the redundancy data reduction process for the black and white image data is returned to the analog RGB color signal via the color table memory 53 and the D / A converter 64 and supplied to the signal synthesis circuit 70. It is supposed to be.

상기 신호합성회로(70)에는 상기 커서 메모리(45)로부터 커서표시 신호가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문자 발생기(46)로부터 시스템의 각종 제어명령 표시용의 문자 데이타가 칼라 테이블 메모리(54)에서 아날로그의 RGB 색신호로 변환하여 공급되고 있으며, 상기 제4프레임 메모리(44)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타에 의한 화상과 상기 커서 메모리(45)로부터의 신호에 의한 커서 화상과 상기 문자발생기(46)로부터의 문자 데이타에 의한 화상과를 겹쳐 합친 RGB 색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한다. 이 신호합성 회로(70)에서 얻어진 RGB 색신호에 의한 화상은 상기 제2RGB 모니터 장치(82)에서 모니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RGB 색신호를 RGB/Y변환기(80)에서 휘도 Y신호로 변환하여 흑백 모니터 장치(83)로서 모니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cursor synthesizing signal is supplied from the cursor memory 45 to the signal synthesizing circuit 70, and the character data for displaying various control commands of the system is supplied from the character generator 46 to the analog RGB in the color table memory 54. The image is converted into a color signal and is supplied. The image is stored in the fourth frame memory 44, the cursor image is generated by the signal from the cursor memory 45, and the character data is output from the character generator 46. Combines and outputs the RGB color signals superimposed and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image obtained by the RGB color signal obtained by the signal synthesizing circuit 70 can be monitored by the second RGB monitor device 82, and the RGB color signal is converted into the luminance Y signal by the RGB / Y converter 80 to convert the image into a monochrome Y signal. It is possible to monitor as the monitor apparatus 83.

게다가, 이 실시예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00)는 이 장치 전체의 동작제어를 행하는 제어기로서 작용하는 것으로서, 그 데이타 버스 및 어드레스 버스에는 ROM이나 RAM 등의 보조메모리(90)나 플로피 디스크 제어기(91), 또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93) 및 고속연산 처리회로(200) 등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회로(93)에는 매뉴얼 편집처리시에 각종 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한 타블렛(94) 및 그 모니터 장치(95)가 접속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microcomputer 100 acts a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ntire apparatus, and the data bus and the address bus have an auxiliary memory 90 or a floppy disk controller (ROM or RAM). 91, the input / output interface circuit 93, the high speed operation processing circuit 200, and the like are connected. 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interface circuit 93 is connected to a tablet 94 and a monitor device 95 for inputting various data during manual editing processing.

그리고, 이 실시예의 장치는 제3도의 플로우챠트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순으로 화상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A/D변환기(20)을 거쳐서 제1프레임 메모리(41)에 공급되는 입력칼라 화상 데이타를 기하학 명령 데이타로 변환하여 데이타 버스를 통해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The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performs image processing in the order shown in the flowchart of Fig. 3, and inputs the input color image data supplied to the first frame memory 41 via the A / D converter 20. It is converted to geometry command data and output through the data bus.

즉, 입력칼라 화상 데이타는 먼저 제1프레임 메모리(41)에 기입되어 원래 화상 데이타로서 기억된다. 여기서, 상기 입력칼라 화상 데이타는 입력선택회로(10) 및 동기절환회로(150를 절환하는 것에 의해, NTSC칼라텔레비전 신호 혹은 RGB 색신호로서 어느 쪽으로부터 선택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제1프레임 메모리(41)에 기억된 원래 화상의 데이타는 RGB/Y변환기(68)에 의해 흑백화상 데이타로 변환하여 제4프레임메모리(44)에도 기억된다.That is, the input color image data is first written into the first frame memory 41 and stored as original image data. The input color image data can be selected as either an NTSC color television signal or an RGB color signal by switching between the input selection circuit 10 and the synchronous switching circuit 150. The first frame memory 41 can also be selected. The original image data stored in ") is converted into black and white image data by the RGB / Y converter 68, and stored in the fourth frame memory 44 as well.

다음에, 상기 제1 및 제4프레임 메모리(41, 44)에 기억된 화상 데이타에 의거하여 입력칼라 화상 데이타의 색처리를 행하고, 또 용장 데이타의 삭감처리를 행하여 원래 화상의 특징을 잃지 않고 최종적으로 기하학 명령 데이타로 변환하기에 적합한 화상 데이타로 자동적으로 형성한다.Then, the color processing of the input color image data is performed based on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first and fourth frame memories 41 and 44, and the redundancy data is processed to reduce the final image without lo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image. Automatically forms image data suitable for converting into geometric command data.

그리고, 상기 각각의 처리를 행한 후에, 화상 데이타를 기하학 명령 데이타로 변환하는 변환처리를 자동적으로 행한다. 또한, 원래 화상을 인위적으로 수정하여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하학 명령 데이타 변환 처리를 하기 전에 매뉴얼 편집처리를 수행한다.After each of the above processes, a conversion process of converting image data into geometric command data is automatically perform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rtificially modifying and transmitting the original image, manual editing processing is performed before the geometric command data conversion processing.

상기 색처리에서는 상기 제1프레임 메모리(41)에 기억되는 입력칼라 화상 데이타에 도시되는 원래 칼라 화상중에서 빈도가 높은 상위 n색을 자동적으로 선택하고, 각 화소에 상기 n색중의 어느 것인가를 할당하는 처리를 제4도에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의 수순으로 수행한다.In the color processing, the high frequency n high frequency is automatically selected from the original color images shown in the input color image data stored in the first frame memory 41, and each pixel is assigned one of the n colors. The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the flowchart shown in FIG.

이 색처리는, 상기 고속연산 처리회로(200)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 메모리(41)에 기억되어 있는 입력칼라 화상 데이타에 대하여 우선 각 색 데이타의 히스토그램을 작성하고 이 히스토그램의 상위 n개의 색 데이타를 선택한다.In the color processing, the histogram of each color data is first created by the high-speed operation processing circuit 200 with respect to the input color image data stored in the first frame memory 41, and the top n colors of the histogram are generated. Select the data.

다음에, 상기 제4프레임 메모리(44)에 기억되어 있는 흑백화상 데이타에 표시되는 흑백화상과 동일한 휘도로 표시되는 각 화상영역에 대하여 상기 원래칼라 화상의 색에 가장 가까은 n개의 색을 할당하여 휘도순의 칼라 테이블 데이타를 형성하고 또 각 화소마다 편차가 최소로 되도록 상기 칼라 테이블 테이타를 정정한다. 이와같이 상기 고속연산 처리회로(200)에서 형성된 칼라 테이블 데이타는 각 칼라 테이블 메모리(51, 52, 53)에 기억된다. 또, 상기 각 화상영역에 상기 n개의 색이 할당된 색처리 완료후의 화상 데이타가 상기 제2프레임 메모리(42)에 기입된다.Next, for each image area displayed at the same brightness as the black and white image displayed in the black and white image data stored in the fourth frame memory 44, n colors closest to the color of the original color image are allocated to the luminance. Color table data is formed in order, and the color table data is corrected so that the deviation is minimized for each pixel. In this way, the color table data formed by the high speed computation processing circuit 200 is stored in each color table memory 51, 52, 53. The second frame memory 42 writes image data after completion of color processing in which the n colors are assigned to the respective image areas.

상기 색처리를 한 칼라 화상은 상기 제2프레임 메모리(4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타를 어드레스 데이타로 하여, 상기 제1칼라 테이블 메모리(51)로부터 각 색 데이타를 판독함으로써 제1혹은 제2RGB 모니터 장치(81, 82)에 모니터된다.The color image subjected to the color processing is the first or second RGB monitor by reading each color data from the first color table memory 51 using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second frame memory 42 as address data. Monitored on devices 81 and 82.

또, 상기 용장 데이타를 삭감하는 처리에서는, 상기 제2 및 제4프레임 메모리(42, 44)에 기억되어 있는 각 화상 데이타에 대하여 잡음제거처리, 중간조제거처리, 소영역 삭제처리등을 행하여 다음 기하학 명령 데이타 변환처리에 용장 데이타를 제거하여 정보량을 적게한다.In the processing for reducing redundant data, noise reduction processing, halftone removal processing, small area deletion processing, and the like are performed for each image data stored in the second and fourth frame memories 42, 44, and the like. The amount of information is reduced by removing redundant data in the geometry command data conversion process.

이 삭감처리는 상기 고속연산 처리장치(200)에서 행해진다. 예를들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3×3의 9개 화소[A][B][C][D][E][F][G][H][I]에 대하여 그 중심화소[E]에 대해 4개의 근접화소[B][D][F][H]중 3개의 이상의 데이타가 같을 때는 그 값에 상기 중심화소[E]의 데이타를 치환함으로써 상기 잡음 제거처리가 행해진다. 상기 중심화소[E]에 대하여 각 화소열[A.E.I][B.E.H][C.E.G][C.E.G][D.E.F]중 2개 이상이 단조증가 혹은 단조감소이면 상기 중간화소[E]를 중간조의 화소로서 8근처의 가장 많은 값으로 상기 중심화소[E]의 데이타를 치화함으로써 상기 중간조 제거처리가 행해진다. 또, 상기 소영역 삭제처리는 지정된 면적이하의 소영역을 인접하는 영역에 결합함으로써 행해진다. 그리고 이와같이 상기 고속연산 처리회로(200)에서 용장 데이타의 제거처리가 실시된 화상 데이타는 상기 제3프레임 메모리(43)에 읽어 넣어지며, 상기 제3칼라 테이블 메모리(52)를 거쳐 제2RGB 모니터 장치(82)에서 모니터된다.This reduction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high speed computation processing apparatus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center of the 3x3 9 pixels [A] [B] [C] [D] [E] [F] [G] [H] [I] When three or more pieces of data of four adjacent pixels [B] [D] [F] [H] are the same for the pixel [E], the noise removing process is performed by replacing the data of the center pixel [E] with the value. All. When two or more of each pixel column [AEI] [BEH] [CEG] [CEG] [DEF] is monotonically increased or monotonically reduc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pixel [E], the intermediate pixel [E] is approximated as an intermediate tone pixel. The halftone removal process is performed by digitizing the data of the central pixel [E] with the most value of. The small area deletion processing is performed by combining a small area of less than or equal to the designated area with an adjacent area. The image data subjected to the redundancy data removal process by the high speed computation processing circuit 200 is read into the third frame memory 43, and passes through the third color table memory 52 to the second RGB monitor device. Is monitored at 82.

또, 상기 매뉴얼 편집처리에서는 상술한 색처리 및 삭감처리를 자동적으로 행하여 얻어지는 화상 데이타에서 표시되는 칼라화상에 대하여 새로운 모티브의 가입 또는 삭제, 색의 정정 등을 인위적으로 가하는 처리를 행한다.In the manual editing process, a process of artificially adding or deleting a new motif, correcting a color, etc., to a color image displayed in the image data obtained by automaticall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color processing and reduction processing is performed.

이 매뉴얼 편집처리는 상기 제4프레임 메모리(44)에 기억되어 있는 흑백 화상 데이타에 의한 화상을 모니터하는 흑백 모니터 장치(83)의 화면상에 설치된 투명 타블렛(94)을 사용하여 행해진다.This manual editing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transparent tablet 94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monochrome monitor apparatus 83 for monitoring the image by the monochrome image data stored in the fourth frame memory 44.

상기 흑백 모니터 장치(83)의 화면에는 매뉴얼 편집에 필요한 각종 제어 명령표시용 문자정보 화상이 상기 문자발생기(46)에 의해 부여됨과 동시에 상기 타블렛(94)으로부터 발생하는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커서표시용 커서화상이 상기 커서 메모리(45)에서 부여되고 있으며, 조작자가 상기 타블렛(94)에 부속되어 있는 펜을 사용하여 화상의 수정을 행하면 실시간에 결과가 표시된다.On the screen of the black-and-white monitor device 83, a cursor display cursor that displays various positional control command display character information images necessary for manual editing by the character generator 46 and position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tablet 94. An image is provided in the cursor memory 45, and when an operator corrects an image using a pen attached to the tablet 94, the result is displayed in real time.

그래서, 상기 기하학 명령 데이타 변환처리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각종 처리완료 후의 칼라화상 데이타에서 표시되는 화상에 대하여 각 화상영역의 하나하나 기하학 명령에서 표현하는 명령 데이타를 다음 수순에 의해 형성한다.Thus, in the geometric command data conversion process, the command data expressed by the geometric command of each image area is formed for the image displayed in the color image data after the various processing as described above in the following procedure.

우선, 각 화상영역의 경계를 추적하여 각 정점의 위치좌표를 검출한다. 다음에, 검출한 위치좌표를 기하학 도형(다각형)의 정점 위치라고 보아서 상술한 PDI코드에 의한 기하학 명령 데이타 예를들면 [POLYGON]으로 변환한다. 또 상기 각 정점을 연결한 기하학 도형으로 표시되는 각 화상영역마다 상술한 색처리로 결정한 색에 대응하는 명령 데이타[CONTROL]를 부여한다.First, the position coordinates of each vertex are detected by tracing the boundary of each image area. Next, the detected position coordinate is regarded as the vertex position of the geometric figure (polygon), and converted into the geometric command data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DI code, for example, [POLYGON]. In addition, command data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color determined by the above-described color processing is given to each image region displayed by the geometric figure connecting the vertices.

예를들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정점 P0, P1, …, P4를 연결한 화상영역 AR에 대해서 PDI 코드에 의한 명령 데이타로 변환하는 경우에는 이 화상영역 AR 색상지정을 텍스처패턴 TXP와 상기 텍스처패턴 TXP의 색상의 조합으로 행해지며 우선 각 정점 P0, P1, …, P4의 각 위치좌표[X0, Y0], [X1, Y1], …, [X4, Y4]와 배경색(backyround color)을 코딩하여 다음에 텍스처패턴 TXP를 지정하고 그 전경칼라(foreground color)와 상기 각 위치좌표[X0, Y0], [X1, Y1], , …, [X4, Y4]를 다시 코딩함으로써 상기 화상영역 AR에 대한 코딩을 종료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each vertex P 0 , P 1 ,... , When converting to the command data according to the PDI code for the image area AR is connected to P 4, the said done for specifying the image area AR color as texture pattern TXP and combination of colors of the texture pattern TXP First, each vertex P 0, P 1 ,.. , Each position coordinate [X 0 , Y 0 ] of P 4 , [X 1 , Y 1 ],. , [X 4 , Y 4 ] and a background color, then specify the texture pattern TXP and its foreground color and the position coordinates [X 0 , Y 0 ], [X 1 , Y 1 ],,… , Coding of the [X 4 , Y 4 ] again ends the coding for the picture region AR.

상기 텍스처패턴 TXP로서 예를들면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종류의 패턴 TXP1, TXP2, TXP3를 선택적으로 지정하고, 그 전경칼라를 흑백 2색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지정하면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화상영역 AR에 대하여 5가지의 색지정을 행할 수 있다. 즉, 2종류의 색간 텍스처패턴 TXP를 mp 종류, 또, 색을 np 종류로 하면,As the texture pattern TXP, for example, three types of patterns TXP 1 , TXP 2 , and TXP 3 are selectively designated as shown in FIG. 7, and the foreground color is selectively designated from two colors of black and white. As shown in the figure, five color specifications can be made for the image area AR. In other words, if two kinds of color texture patterns TXP are mp type and np is np type,

Np=np+np(np-1)/2×mpNp = np + np (np-1) / 2 x mp

인 Np종류의 색을 개략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The color of the Np type can be represented schematically.

여기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화상영역의 색지정에 대하여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우선 설명은 간단히 하기 위해 입력 칼라 화상 데이타는 R,G,B의 각 색상을 3레벨로서 33=27색의 색 데이타로 원화상의 색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들면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R,G,B의 각 레벨이 [0, 1, 2]로 표시되는 색상 Co를 R, G, B가 2레벨 즉 23=8색으로 합성하는데는 R, G, B의 레벨이 [0, 2, 2]의 도면중 파선으로 표시된 색상 CB와 [0, 2, 2]의 도면 중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색상 CF를 1 : 1의 비율로 혼합하면 좋다. 즉, 전경칼라를 CF[0, 0, 2] 배경색을 CB[0, 2, 2]로 하여, 체크무늬 텍스처패턴을 이용하면 좋다. 따라서 원래 화상의 각 색상을 표시하는 입력칼라 화상 데이타의 색 데이타 DC[R, G, B]를 판독하여 어드레스로 하고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직 데이타를 조직 메모리로부터 판독함으로써 27색의 색지정을 행할 수 있다.Here, a specific example will be described for color specification of each image area in this embodiment. First of all, for the sake of simplicity, the input color image data is to display the colors of the original image by using the color data of 3 3 = 27 colors, with each color of R, G, and B as three level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the color C o , where each level of R, G, and B is represented by [0, 1, 2], is synthesized into two levels, that is, 2 3 = 8 colors by R, G, and B. to the R, G, to a level of B [0, 2, 2] the color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in the figure of C B, [0, 2, 2] the color represented by the one-dot chain line in the figure of the C F 1: 1 Mix in proportions. In other words, the foreground color may be C F [0, 0, 2] and the background color may be C B [0, 2, 2]. Therefore, the color data D C [R, G, B] of the input color image data representing each color of the original image is read and addressed, and the tissue data is read from the tissue memory as shown in FIG. Color specification can be performed.

한편, 조직 데이타는 전경칼라 지정 데이타 DCF[R, G, B]와 배경색 지정 데이타 DCB[R, G, B]와 조직 지정 데이타 DTX로 이루어지며 DTX=0은 전경칼라만으로 색을 지정하는 것을 나타내고, DTX=1은 체크무늬 텍스처패턴을 지정하는 것을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the tissue data consists of the foreground color designation data D CF [R, G, B] and the background color designation data D CB [R, G, B] and the tissue designation data D TX , where D TX = 0 is the foreground color only. Designation is indicated, and D TX = 1 designates a checkered texture pattern.

또, 상술한 각 화상영역의 결정은, 상기 고속연산 처리회로(200)에 실제 설치되는 예를들면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의 경계 검출회로를 사용하면 좋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determination of each image area may use a boundary detection circuit having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1, which is actually provided in the high speed computation processing circuit 200, for example.

제11도에 있어서, 화상 메모리(210)에는 이 장치에서 처리를 행하는 화상의 1화소당 n비트의 1프레임분 화상 데이타가 미리 기입되어 있다. 상기 화상 메모리(210)는 임의 크기의 랜덤액세스 가능한 RAM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화상 메모리(210)의 어드레스 라인에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00)로부터 공급되는 클럭펄스를 계수하는 타이밍 카운터(201)의 계수출력으로 어드레싱 되는 오프셋 ROM(202)에서 판독되는 오프셋 데이타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00)로부터 공급되는 센타 어드레스 데이타를 가산기(203)에서 가산한 어드레스 데이타가 공급하고 있다. 또 상기 화상 메모리(201)의 기입/판독 제어 라인에는 상기 타이밍 카운터(201)의 출력을 타이밍 게이트(204)로써 해독하여 얻어지는 R/

Figure kpo00002
신호가 공급되고 있다.In FIG. 11, the image memory 210 is pre-written with image data for one frame of n bits per pixel of an image to be processed by this apparatus. The image memory 210 is composed of randomly accessible RAM of any size. In addition, in the address line of the image memory 210, the offset data read from the offset ROM 202 addressed by the count output of the timing counter 201, which counts the clock pulses supplied from the microcomputer 100, and the microcomputer. The address data added by the adder 203 is supplied with the center address data supplied from the computer 100. The write / read control line of the image memory 201 is obtained by decoding the output of the timing counter 201 with the timing gate 204.
Figure kpo00002
The signal is being supplied.

여기서, 상기 타이밍 카운터(201)는 제12도의 타임챠트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럭펄스를 계수하여 10진 계수출력[0], [1]…[9]을 상기 오프셋 ROM(202)과 타이밍게이트(204)에 공급한다. 또, 상기 오프셋 ROM(202)에는 상기 계수출력[0], [1]…[9]로 지정되는 어드레스에 오프셋 데이타[

Figure kpo00003
], [①]…[⑦], [⑧], [
Figure kpo00004
]이 기입되어 있다. 상기 오프셋 데이타[
Figure kpo00005
], [①], [②]…[⑦], [⑧], [
Figure kpo00006
]은 제13도에 도시한 3행 3열의 9화소
Figure kpo00007
, ①, ②…⑦, ⑧에 대응하고 있다.Here, the timing counter 201 counts the clock pulses as shown in the time chart of FIG. 12 to output decimal counts [0], [1]. [9] is supplied to the offset ROM 202 and the timing gate 204. The offset ROM 202 further includes the count output [0], [1]. Offset data [at address specified by [9]
Figure kpo00003
], [①]… [⑦], [⑧], [
Figure kpo00004
] Is written. The offset data [
Figure kpo00005
], [①], [②]…. [⑦], [⑧], [
Figure kpo00006
] Is 9 pixels in 3 rows and 3 columns shown in FIG.
Figure kpo00007
, ①, ②… Corresponds to ⑦ and ⑧.

또, 상기 타이밍 게이트(204)는 상기 계수출력[0], [1]…[9]를 디코드함으로써 계수출력[0]으로부터 계수출력[8]까지의 기간중에는 논리 1로 기입시간 TR을 표시하고 계수출력[9]의 기간중에는 논리 0으로 판독기간 TWR을 표시하는 R/WR신호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가산기(203)는 상기 센타 어드레스 데이타와 상기 오프셋 데이타를 가산함으로써 상기 센타 어드레스 데이타로 지정되는 검출 대상화소를 중심화소 ⑧로하여,그 8근방화소

Figure kpo00008
, ①…⑦ 및 상기 중심화소 ⑧의 각 화상 데이타를 1사이클 기간중에 순차로 지정하는 어드레스 데이타를 형성한다.The timing gate 204 is provided with the coefficient outputs [0], [1]. R decodes [9] to indicate write time T R as logic 1 during the period from count output [0] to count output [8], and R to indicate read period T WR as logic 0 during period of count output [9]. / WR signal is formed. Then, the adder 203 adds the center address data and the offset data to make the detection target pixel designated as the center address data as the center pixel (8).
Figure kpo00008
, ①… And address data for sequentially specifying each image data of? And the center pixel? In one cycle period.

상기 화상 메모리(210)로부터 순차로 판독되는 화상 데이타는 데이타 라인을 통하여 n비트 9단의 시프트 레지스터(220)에 공급되고 있다. 이 시프트 레지스터(220)는 상기 화상 데이타를 상기 클럭펄스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3행 3열의 9화소

Figure kpo00009
, ①…⑧의 각 화상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The image data sequentially read from the image memory 210 is supplied to the n-bit 9-stage shift register 220 through the data line. The shift register 220 sequentially transfers the image data in accordance with the clock pulse, and executes 9 pixels of the 3 rows and 3 columns.
Figure kpo00009
, ①… Each image data of (8) is temporarily stored.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220)에 일시 기억된 각 화상 데이타는 데이타 비교회로(230)에 공급되어 상기 중심화소 ⑧ 즉 검출대상 화소의 화상 데이타와 8근방화소

Figure kpo00010
, ①…⑦의 각 화상 데이타가 비교된다. 상기 데이타 비교회로(230)는 각각 n비트의 8개의 비교기(231, 232…238)로 이루어지며, 각 화상 데이타의 일치출력데이타를 방향 ROM(240)에 판독 어드레스 데이타로서 공급한다.Each image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shift register 220 is supplied to the data comparison circuit 230 to supply the center pixel, i.e., the image data of the pixel to be detected and the eight neighboring pixels.
Figure kpo00010
, ①… Each image data of? Is compared. The data comparison circuit 230 is composed of eight comparators 231, 232, ..., 238, n bits each, and supplies the coincidence output data of each image data to the direction ROM 240 as read address data.

상기 방향 ROM(240)은 화상의 경계가 연속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데이타가 미리 기입되어 있으며, 이 방향 데이타가 랫치회로(250)를 거쳐 경계 검출출력으로서 판도되도록 되어 있다.In the direction ROM 240, direction data indicating a direction in which the boundary of the image is continuous is written in advance, and the direction data is written as the boundary detection output via the latch circuit 250.

상기 랫치회로(250)는 상기 타이밍 게이트(204)로 부터 R/

Figure kpo00011
신호가 랫치클럭으로서 공급되고 있으며, 이 R/
Figure kpo00012
신호의 하강 타이밍 즉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220)에 각 화소
Figure kpo00013
, ①…⑧ 모두의 화상 데이타를 일시 기억한 상태의 타이밍에서 상기 방향 데이타를 랫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랫치회로(250)를 거쳐 출력되는 경계 검출출력, 즉 방향 데이타는 상기 방향 ROM(240)에 어드레스 데이타로서 공급되고 있다.The latch circuit 250 is connected to R / from the timing gate 204.
Figure kpo00011
The signal is supplied as a latch clock, and this R /
Figure kpo00012
The timing of the signal falling, i.e. each pixel in the shift register 220
Figure kpo00013
, ①… (8) The direction data is latched at the timing of temporarily storing all the image data. The boundary detection output, i.e., direction data, output through the latch circuit 250 is supplied to the direction ROM 240 as address data.

여기서, 중심화소 ⑧과 그 8근방화소

Figure kpo00014
, ①…⑦로 표시되는 화상 경계가 연속하는 방향은 상기 중심화소 8를 검출 대상 화소로 한 경우에 제14도에 도시한 8종류의 방향 데이타 D0[→], D1[↗], D2[↑]…D7[↘]로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중심화소 ⑧에 대해 화상의 경계가 연속하고 있음을 예를들면 그대로 근방화소
Figure kpo00015
, ①…⑦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검출을 행한다고 하면, 상기 각 방향 데이타 D0, D1…D7은 각 요소
Figure kpo00016
, ①…⑧의 화소의 화상 데이타가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 있음을 조건으로, 다른 4개의 화소의 화상 데이타에 의하여 결정된다. 환언하면, 각 방향 데이타 D0, D1…D7에 대하여 4개의 화소 데이타는 일률적으로 결정된다. 한편, 제14도에 있어서 0표는 황상 데이타가 일치되고 있음을 가리키며 X표는 화상 데이타가 불일치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Here, the center pixel ⑧ and its eight neighboring pixels
Figure kpo00014
, ①…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age boundary indicated by ⑦ is continuous includes the eight kinds of direction data D 0 [→], D 1 [↗], D 2 [↑ when the center pixel 8 is used as the detection target pixel. ]… D 7 [결정할] can be determined uniformly. In addition, for example, the neighboring pixel is intact as the image boundary is continuous with respect to the center pixel ⑧.
Figure kpo00015
, ①… If detection is perform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spective direction data D 0 , D 1 . D 7 is each element
Figure kpo00016
, ①… On the condition that the image data of the pixel of (8) is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14, it is determined by the image data of the other four pixels. In other words, each direction data D 0 , D 1 . Four pixel data are uniformly determined for D 7 . In FIG. 14, the 0 mark indicates that the yellow image data is in agreement, and the X mark indicates that the image data is inconsistent.

그리고, 화상의 연속하는 경계를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로 추적한다고 하면, 전번 검출동작으로 얻어진 방향 데이타와, 현시점에 있어서의 검출대상 화소 즉 중심화소 ⑧에 대한 8근방화소

Figure kpo00017
, ①…⑦의 각 화소 데이타의 일치, 불일치 상태로부터 방향 데이타를 일의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If successive boundaries of the image are tracked sequentially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eight neighborhood pixels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data obtained by the previous detection operation and the detection target pixel at the present time, i.e., the center pixel?
Figure kpo00017
, ①… Direction data can be uniquely determined from the coincidence and inconsistency of the pixel data of?.

즉, 우선, 경계 검출을 행하는 화상영역의 최초 검출 대상화소를 결정하는데는 예를들면 화상의 좌측 하방으로부터 화상 데이타를 서치(search)하여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8근방화소 중 4개의 화소 ④, ⑤, ⑥, ⑦이 모두 중심화소 ⑧에 대하여 불일치 상태로 되어 있는 검출 대상화소를 검출하면 다음과 같다.That is, first, in order to determine the first detection target pixel of the image area for performing boundary detection, for example, by searching the image data from the lower left side of the image, as shown in FIG. If pixels (4), (5), (6) and (7) detect a detection target pixel that is in an inconsistent stat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ixel (8) as follows.

그리고, 이 최초의 검출 대상화소에 대한 방향 검출출력은, D0[→], D1[↗], D2[↑] 3 종류의 어느 것으로 되며, 각 화소

Figure kpo00018
, ①, ②의 화상 데이타 △의 내용에 의해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의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direction detection output for the first detection target pixel is any one of three types of D 0 [→], D 1 [↗], and D 2 [↑], and each pixel
Figure kpo00018
Can be determined uniquely as shown in FIG. 15 by the contents of the image data?

또, 경계를 추적하여 방향 검출을 행하는 상태에서는 전번의 검출동작에 의해 결정된 중심화소 ⑧에 대하여 8근처화소 중 3개의 화소의 일치, 불일치가 이미 행해지고 있고 다른 5개 화소의 화상 데이타 △에 의하여 제16a도 내지 16h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번의 검출 대상화소의 위치에 따라서 방향 검출출력이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한편, 제16도에 있어서

Figure kpo00019
표는 전번 검출 동작시의 검출 대상화소를 표시하고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boundary is traced and the direction is detected, the matching and inconsistency of three pixels among the eight neighboring pixels has already been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pixel (8) determined by the previous detection operation, and the image data? As shown in Figs. 16A to 16H, the direction detection output is uniqu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revious detection target pixel. On the other hand, in FIG.
Figure kpo00019
The table shows the pixels to be detected in the previous detection operation.

상기 방향 ROM(240)에는 중심화소⑧에 대한 8근방화소

Figure kpo00020
, ①…⑦의 각 화상 데이타의 일치 검출 데이타와 전번 경계 검출출력, 즉 방향 데이타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결정된 방향 데이타 D0, D1…D7이 미리 기입되어 있으며, 상기 일치 검출출력 데이타와 방향 데이타를 판독 어드레스하여 상기 방향 데이타 D0, D1…D7이 경계 검출출력으로서 판독된다.The direction ROM 240 has eight neighboring pixels for the center pixel ⑧.
Figure kpo00020
, ①… The direction detection data D 0 , D 1 ... Temporarily determined by the coincidence detection data and previous edge detection output of each image data in? D 7 is written in advance, and the coincidence detection output data and the direction data are read-addressed and the direction data D 0 , D 1 . D 7 is read as the boundary detection output.

이 실시예와 같이, 방향 ROM(240)에 미리 기입된 방향 데이타를 비교회로(230)의 출력 데이타로 판독함으로써 경계 검출출력을 얻도록 하면, 종래 16비트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수십 μS 정도의 처리기간을 요하던 화상 경계 검출처리를 1 내지 3μS 정도의 극히 짧은 시간에 행할 수 있다.As in this embodiment, when the boundary detection output is obtained by reading the direction data previously written in the direction ROM 240 into the output data of the comparison circuit 230, a processing period of about several tens of microseconds is achieved in a conventional 16-bit microcomputer. The required image boundary detec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in an extremely short time of about 1 to 3 mu S.

한편, 이 경계 검출회로에서는, 상기 3상 인터페이스 회로(205)를 거쳐 검출 레벨 데이타를 데이타 라인에 입력하고 상기 R/

Figure kpo00021
신호가 논리 0 즉 기입시간 TWR중에 상기 3상 인터페이스 회로(205)를 가동상태로 제어함으로써 경계 검출레벨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방향 ROM(240)으로부터 랫치회로(250)를 거쳐 판독되는 방향 데이타의 모든 비트를 상기 방향 ROM(240)의 어드레스 데이타로서 사용되었지만 제17도에 요부만을 도시한 바와 같이, 방향 ROM(240)으로부터 판독되는 방향 데이타 D의 최상위 비트 데이타[B2]만을 랫치회로(250A)를 거쳐 상기 방향 ROM(240A)에 어드레스 데이타로서 귀환하게 해도 좋다.On the other hand, in this boundary detection circuit, detection level data is input to a data line via the three-phase interface circuit 205 and the R /
Figure kpo00021
The boundary detection level can be arbitrarily changed by controlling the three-phase interface circuit 205 in the operation state during the logic 0, that is, the write time T WR . Further, all bits of the direction data read out from the direction ROM 240 via the latch circuit 250 are used as address data of the direction ROM 240, but only the main part is shown in FIG. 17, the direction ROM 240 Only the most significant bit data [B 2 ] of the direction data D to be read from) may be returned to the direction ROM 240A as address data via the latch circuit 250A.

즉, 상기와 같은 화상 경계의 연속되는 방향을 순차적으로 검출하는 경우에는 전번 검출동작의 결과에 의해 현시점의 중심화소 ⑧에 대한 8근방화소 중 3개의 화소의 일치불일치 상태는 이미 결정되어 있으며, 상기 비교회로(230)의 출력 데이타도 3비트분의 제1표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정되어 있다.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continuous direction of the image boundary as described above is sequentially detected, the mismatch state of three pixels among the eight neighboring pixels with respect to the center pixel ⑧ of the current point of view is already determined by the result of the previous detection operation. The output data of the comparison circuit 230 is also determined as shown in the first table for three bits.

[표 1]TABLE 1

비교회로의 출력을 표시한 표Table showing the output of the comparison circuit

Figure kpo00022
Figure kpo00022

0 : 불일치, 1 : 일치0: mismatch, 1: match

그리고, 상기 제1표중에 굵은선으로 표시한 각 틀내의 각 비트 데이타는 서로 다른 내용을 가리키고 있으므로, 전번 검출 동작으로 얻어진 방향 데이타 D의 최상위 비트[B2]의 데이타에서 전번 검출대상 화소 위치가 현시점에서 있어서의 중심화소 8에 대하여

Figure kpo00023
, ①, ②, ③의 각 화소위치에 있는가 ④, ⑤, ⑥, ⑦의 각 화소위치에 있는가를 지정하면, 상기 비교회로(230)의 출력 데이타 A0, A1…A7에서 모든 방향 데이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방향 ROM(204A)에는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향 데이타를 미리 기입해 두면 좋다.Since each bit data in each frame indicated by a thick line in the first table indicates a different content, the previous detection target pixel position is changed from the data of the most significant bit [B 2 ] of the direction data D obtained by the previous detection operation. About center pixel 8 at present
Figure kpo00023
,?,?,?,?, Or?,?,?,?,?, Specify whether the output data A 0 , A 1 ... From A 7 all direction data can be determined. In this case, the direction data as shown in FIG. 18 may be written in advance in the direction ROM 204A.

이와같이, 1비트의 방향 데이타 D[B2]만을 어드레스 데이타로서 귀환하여 방향 데이타의 판독을 행하게 하면, 상기 방향 ROM(140A)의 기억용량 삭감 및 상기 랫치회로(250A)이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this way, if only one bit of direction data D [B 2 ] is returned as address data to read direction data, the storage capacity of the direction ROM 140A can be reduced and the latch circuit 250A can be simplified. .

상기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 부호화 처리장치에서는 화상기억수단에 기억한 입력화상 데이타로 표시되는 원 화상의 각 화상영역을 기하학 도형이 집합으로서 취급하여 각 화상 데이타로부터 적절하고도 단시간내에 자동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소기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As can be clearly seen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embodiment, in the image encoding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image region of the original image represented by the input image data stored in the image storage means is treated as a set of geometrical figures, and the image data is processed from each image data. It can be formed automatically in a suitable and short time, and the desired purpose can be sufficiently achieved.

Claims (1)

화상을 촬영한 화상 데이타를 기억하는 화상 기억수단(41)과, 상기 화상 기억수단(41)에 기억된 화상 데이타에 대해 동일한 화상 데이타로 나타내어져 있는 화상영역을 검출하고, 각 화상영역의 색을 색처리 수단(200), (44)과, 상기 화상 기억수단에 기억된 화상 데이타에 대해 기하학 명령 데이타로의 변환에 사용하는 화상 데이타를 검출하고 기타의 용장(redun dent) 데이타를 제거하는 데이타 처리수단(200), (42), (44)과, 상기 용장 데이타가 제거된 화상 데이타에 대해 동일 화상 데이타로 나타내어진 화상영역을 검출하고, 각 화상영역을 기하학 도형으로서 표현하는 기하학 명령 데이타와 상기 색처리 수단으로부터 분활된 색에 대응하는 명령 데이타를 각 화상영역 각각에 발생하는 명령 데이타 발생수단(200)을 구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부호화 처리 장치.The image storage means 41 which stores the image data which image | photographed the image, and the image area | region represented by the same image data with respect to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said image storage means 41 are detected, and the color of each image area is detected. Data processing for detecting the color data means 200 and 44 and the image data used for converting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image storage means into geometric command data and removing other redundant data. Means 200, 42 and 44, and image command represented by the same image data with respect to the image data from which the redundant data has been removed, and geometric command data for representing each image area as a geometric figure; And a command data generating means 200 for generating command data corresponding to the color separated from the color processing means in each image area. Screen processor.
KR1019850001850A 1984-03-21 1985-03-21 Apparatus for encoding image signal KR93000464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053961A JPS60197084A (en) 1984-03-21 1984-03-21 Coding and processing unit of picture
JP?59-53961 1984-03-21
JP53961 1984-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830A KR850006830A (en) 1985-10-16
KR930004645B1 true KR930004645B1 (en) 1993-06-02

Family

ID=1295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850A KR930004645B1 (en) 1984-03-21 1985-03-21 Apparatus for encoding image signa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197084A (en)
KR (1) KR930004645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197084A (en) 1985-10-05
KR850006830A (en) 198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64825B1 (en) Apparatus for encoding image data
US6492992B2 (en) Graphic pattern processing apparatus
US4903145A (en) Image quality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density-correcting plural areas of different types
EP0597555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5680486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EP0369702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5179642A (en) Image synthesizing apparatus for superposing a second image on a first image
US6181353B1 (en) On-screen display device using horizontal scan line memories
EP0232081B1 (en) Image processing system with capability of enlarging and reducing operations
GB2174278A (en) Area-fill graphic image processing system
JPS61131990A (en) Videotex image producing system
JPS6255137B2 (en)
US4607340A (en) Line smoothing circuit for graphic display units
KR930004645B1 (en) Apparatus for encoding image signal
JPH04328956A (en) Picture data read method
KR930008177B1 (en) Picture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930004642B1 (en) Apparatus for encoding image signal
KR930008176B1 (en) Apparatus for encoding image signal
JPS60197073A (en) Color designation processing unit of color picture
JP2511966B2 (en) Graphic processing device
JP2974596B2 (en) Color image processing equipment
JPH0546757B2 (en)
JPH0659105B2 (en) Color correction method in video plate making apparatus
JPS63184474A (en) Picture processing unit
JPH0546758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