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140B1 - Electronic switching maintenance system - Google Patents

Electronic switching maintenan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140B1
KR920007140B1 KR1019900004493A KR900004493A KR920007140B1 KR 920007140 B1 KR920007140 B1 KR 920007140B1 KR 1019900004493 A KR1019900004493 A KR 1019900004493A KR 900004493 A KR900004493 A KR 900004493A KR 920007140 B1 KR920007140 B1 KR 920007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ignal
terminal
bus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44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10019373A (en
Inventor
김도영
이형호
박원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00004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140B1/en
Publication of KR910019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93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1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6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means for applying test signals or for measuring
    • H04M3/28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 H04M3/30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subscriber's lines, for the local loop

Abstract

The circuit checks that the only one terminal control unit sends data utilizing a data transmission bus occupying signal and a down counter so that the maintenance unit detects faults of terminal. The circuit includes a transmission order violation detector (40) for generating interrupt signalwhen the transmission order is violated, a duplicated transmission detector (50) for checking that overlapped data transmission signal is occured, and a long time transmission bus occupation detector (60) for checking the long time transmission bus occupation.

Description

전자교환기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의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Data transmission bus monitoring circuit of electronic switching device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신호단말 그룹 장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of a signal terminal group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2도는 제1도의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 장치내의 프로세서부 구성도.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processor unit in the signal terminal group maintenance device of FIG.

제3도는 제1도의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 장치내의 로직부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logic unit in the signal terminal group maintenance device of FIG.

제4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신호 메시지의 프레임 포맷도.4 is a frame format diagram of a signal messag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타 송신 버스 감시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ata transmission bus monitor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제5도의 송신순서위반 감시부의 일실시예 구성 회로도.Figure 6 is a circuit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transmission sequence violation monitoring unit of Figure 5;

제7도는 송신순서위반 인터럽트 발생부의 입출력 신호타이밍도.7 is an input / output signal timing diagram of a transmission sequence violation interrupt generation uni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프로세서부 2 : 로직부1: Processor 2: Logic

3 :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 4 : 레벨 1 정합장치3: signal terminal network node 4: level 1 matching device

5, 6 : 신호단말 버스 7 : 신호단말 그룹 유보수장치5, 6: Signal terminal bus 7: Signal terminal group maintenance device

8 : 신호단말 20 : 중앙처리장치회로8: signal terminal 20: central processing unit circuit

21 : 자체 이중화 제어회로 22 : 로직부 및 레벨 1 정합장치 정합회로21: Self redundancy control circuit 22: Logic part and level 1 matching device matching circuit

23 : 신호단말버스 정합회로 30 : 입출력 포트회로23: signal terminal bus matching circuit 30: input / output port circuit

31 : 클럭 발생회로 32 : 이중화 제어회로31: clock generation circuit 32: redundancy control circuit

33 : 인터럽트 제어회로 34 :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33: interrupt control circuit 34: data transmission bus monitoring circuit

35 : 데이터 수신버스 감시회로 36 :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35: data receiving bus monitoring circuit 36: triplex signal monitoring circuit

37 : 유지보수 명령 송출 및 신호단말 상태 읽음회로37: maintenance command transmission and signal terminal status reading circuit

38 :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 정합회로38: signal terminal network node matching circuit

39 : 신호단말 버스 정합회로 40 : 송신 순서위반 감시부39: signal terminal bus matching circuit 40: transmission sequence violation monitoring unit

41, 410 : 어드레스 래치회로 42, 420 : 플래그 래치회로41, 410: address latch circuit 42, 420: flag latch circuit

43, 430 : 비교기 44, 440 : 인터럽트 발생회로43, 430: comparator 44, 440: interrupt generation circuit

45, 450 : 다운 카운터 46, 460 : 송출 어드레스 래치회로45, 450: down counter 46, 460: sending address latch circuit

47, 470 : 송출 카운터 래치회로 50 : 중복 동시송출 감시부47, 470: Transmission counter latch circuit 50: Simultaneous simultaneous transmission monitoring unit

51 : 중복 동시 송출 어드레스 래치회로 52 : 중복 동시 송출 검출회로51: Duplicate simultaneous sending address latch circuit 52: Duplicate simultaneous sending address latch circuit

60 : 장시간 송신버스 점유감시부60: long time transmission bus occupancy monitoring unit

61 : 장시간 송신버스 점유 어드레스 래치회로61: long time transmission bus occupied address latch circuit

62 : 장시간 송신버스 점유신호 발생회로62: long time transmission bus occupied signal generating circuit

본 발명은 전자교환기 공통선 신호장치에 구현되는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내의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신호단말 제어장치와 이의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장치를 보유한 신호단말 그룹내에서 송신시 한번에 하나의 신호단말 제어장치만이 데이터를 송출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전자교환기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의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ssion bus monitoring circuit in a signal terminal maintenance device implemented in a common line signaling device of an electronic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nsmission in a signal terminal group having a plurality of signal terminal control devices and a device for performing maintenance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ssion bus monitoring circuit of an electronic switch signal terminal maintenance device that monitors whether only one signal terminal control device transmits data at a time.

하나의 신호단말 그룹내에는 최대 32개의 신호단말 제어장치가 존재하고 송신시에는 한번에 하나의 신호 단말 제어장치만이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유지보수 장치가 신호단말의 고장을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진단하여 신속한 고장처리를 하도록하여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뢰도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실제로 상기한 바와 같이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데이터가 송신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해야 한다.There is a maximum of 32 signal terminal controllers in one signal terminal group, and only one signal terminal controller can transmit data at the time of transmission. The maintenance device detects the failure of the signal terminal in real time. In order to maximize the reliability of the common line signaling device by performing diagnosis and quick troubleshooting, it is necessary to detect whether data is actually transmitted in a round robin manner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상기의 요구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서,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와 다운 카운터를 이용하여 발생한 송신버스 점유 어드레스와 신호단말 제어장치에서 송출하는 메시지의 발신 어드레스부를 통해 추출한 값과 비교하여 이상 발생시 상태정보를 상위레벨에 보고하여 유지보수하도록 하는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의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ccordance with the above-mentioned request, and the state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comparison with the value of the transmission bus occupied address generated by using the data transmission bus occupied signal and the down counter and the value extracted through the originating address of the message sent by the signal terminal control apparatu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transmission bus monitoring circuit of a signal terminal maintenance apparatus for reporting and maintaining information at a higher level.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신호단말 제어장치와 이의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장치를 보유한 신호단말 그룹내에서 데이터 송출상태를 감시하는, 전자교환기 공통선 신호장치의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내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에 있어서 클럭 발생회로, 신호단말 버스 정합회로, 입출력 포트회로, 인터럽트 제어회로, 및 내부 데이터 버스에 연결되어 송신순서 위반시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송신 순서 위반 감시수단과, 다수의 신호단말 제어장치,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내의 이중화된 프로세서부, 인터럽트 제어 회로, 및 내부 데이터 버스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단말 제어장치와 프로세서부 중 2개 이상이 중복해서 데이터 송출 신호을 점유하는지를 감시하는 중복 동시송출 감시수단과, 상기 송신 순서위반 감시수단, 클럭 발생회로, 인터럽트 제어회로, 및 내부 데이터 버스에 연결되어 고정된 시간 이상 송신버스를 점유하는 장치가 있는지 감시하여 존재시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장시간 송신 버스 점유 감시수단으로 구성되어 단말 버스 상에 연결된 신호단말 제어장치 및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가 상위 레벨로 메시지를 송신할 경우에 비정상 상태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gnal terminal maintenance apparatus for an common exchange signaling apparatus of an electronic exchange, which monitors data transmission status within a signal terminal group having a plurality of signal terminal control apparatuses and a device for performing the maintenance thereof. In the data transmission bus monitoring circuit, a transmission sequence violation monitoring means connected to a clock generation circuit, a signal terminal bus matching circuit, an input / output port circuit, an interrupt control circuit, and an internal data bus to generate an interrupt when a transmission sequence violation occurs, and a plurality of signals. Connected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the redundant processor unit in the signal terminal maintenance unit, the interrupt control circuit, and an internal data bus to simultaneously monitor whether two or more of the signal terminal control unit and the processor unit overlap and occupy data transmission signals. Transmission monitoring means, said transmission sequence violation monitoring means, clock generation time A signal terminal connected on the terminal bus is composed of an interrupt control circuit and a long time transmission bus occupancy monitoring means connected to the internal data bus for monitoring a device occupying the transmission bus for a fixed time and generating an interrupt in the presence. The device and the signal terminal maintenance device detect an abnormal condition when sending a message at a higher level.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통선 신호장치내의 신호단말 그룹 구조도로서 본 신호단말 그룹은 다수의 신호단말(8)과 신호단말 버스(5, 6) 및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 장치(7)로 구성되며 상기 신호단말버스는 데이터 전달 버스군(6)과 유지보수 신호군(5)으로 구분되며 상기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 장치는 이중화된 프로세서부(1)와 이중화된 로직부(2)로 구성되어 동작과 대기방식(active/standby)으로 운용된다.1 is a structural diagram of signal terminal groups in a common line signal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signal terminal group includes a plurality of signal terminals 8, signal terminal buses 5 and 6, and a signal terminal group maintenance apparatus 7. The signal terminal bus is divided into a data transfer bus group 6 and a maintenance signal group 5, and the signal terminal group maintenance device includes a redundant processor unit 1 and a redundant logic unit 2. Operation and standby (active / standby).

로직부(2)는 자체 이중화 제어에 의해, 혹은 동작상태인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 상태 변경을 할 수 있으며 모든 입력신호들은 자신의 상태에 관계없이 수신할 수 있고 모든 출력신호들은 동작상태인 로직부에서만 구동되도록 하며 대기상태인 로직부에서는 트라이 상태(tai state)를 유지하게 구성된다.The logic unit 2 may change its state by its redundancy control or under the control of an operating processor, and all input signals may be received regardless of its own state, and all output signals may be operated in a logic unit. In this case, the logic unit is driven only in the standby state and is configured to maintain a tai state.

데이터 전달 버스군(6)은 최대 32개의 신호단말 제어장치(8)를 수용할 수 있는 직렬버스로서 데이터 송신 버스, 데이터 수신버스, 데이터 송수신 클럭, 동기신호 및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로 구성되는데 각 신호 는 삼중화 방식으로 운용한다.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3)는 신호단말 그룹과 상위 레벨 프로세서 사이의 통신로를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한다. 유지보수 신호군(5)은 데이터 전달 신호군의 정상동작 여부와 감시를 하기 위한 신호 및 각각의 신호단말 제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모든 신호군을 말한다. 레벨 1 정합장치(4)는 최대 32개의 신호단말 제어장치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다중화시켜 타임스위치로 전송하는 기능과 반대로 타임 스위치로부터 데이터를 역다중화시켜 신호단말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data transfer bus group 6 is a serial bus capable of accommodating up to 32 signal terminal control devices 8 and is composed of a data transmission bus, a data reception bus,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lock, a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data transmission bus occupied signal. The signal is operated in triple mode. The signal terminal network node 3 serves to provide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a group of signal terminals and a higher level processor. The maintenance signal group 5 refers to all the signal groups for controlling whether or not the data transmission signal group is normally operated, the signals for monitoring and the respective signal terminal control devices. The level 1 matching device 4 has a function of receiving data from a maximum of 32 signal terminal controllers, multiplexing the data from the time switch, and demultiplexing the data from the time switch to the signal terminal controller.

제2도는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 장치내의 프로세서부 구성도로서, 중앙처리 장치회로(20)과 자체 이중화 회로(21)와 로직부 및 레벨 1 정합장치 정합회로(22)와 신호단말 버스 정합회로(23)로 구성된다. 중앙 처리 장치 회로(20)은 범용의 CPU와 메모리, 프로그램 및 주변회로로 구성하여 신호단말 그룹을 중앙제어 하는 기능과 신호단말 버스를 통하여 레벨 3 기능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로직부 및 레벨 1 정합장치 정합회로(22)는 프로세서부의 시스팀버스인 주소버스와 데이터 버스를 레벨 1 정합장치(4)로 연장하는 기능, 로직부와 레벨 1 정합장치로부터 인터럽트를 접수하고 이에 대한 즉인을 보내는 기능, 로직부 (2)와 레벨 1 정합장치(4)로 리셋 신호를 송출하고 로직부(2)와 레벨 1 정합장치(4)의 이중화 상태의 수집 및 이중화 상태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자체 이중화 제어회로(21)는 초기에 한쪽만 동작상태로 되고 한쪽이 탈장될 경우 실장된 보드가 동작상태가 되며, 동작상태인 보드가 고장이 나면 대기상태인 보드가 동작상태가 된다. 또한 각 보드에 스위치를 두어서 ON시간쪽이 항상 동작상태가 되며 양쪽 보드가 동시에 고장이 발생하면 한쪽이 동작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processor unit in a signal terminal group maintenance unit, which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circuit 20, a self-duplication circuit 21, a logic unit, a level 1 matching device matching circuit 22, and a signal terminal bus matching circuit ( 23).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ircuit 20 is composed of a general-purpose CPU and a memory, a program, and a peripheral circuit to perform a function of centrally controlling a group of signal terminals and a level 3 function and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essage through a signal terminal bus. The logic section and the level 1 matching device 22 have a function of extending the address bus and the data bus, which are the system buses of the processor section, to the level 1 matching device 4, and receive interrupts from the logic section and the level 1 matching device. That is, a function of sending a stamp, a reset signal is sent to the logic unit 2 and the level 1 matching device 4, and the collection state and the redundancy state control function of the logic unit 2 and the level 1 matching device 4 are performed. . The self-redundancy control circuit 21 initially operates only one side, and if one side is dismounted, the mounted board becomes an operating state, and if a board in an operating state fails, the standby board becomes an operating state. In addition, by placing a switch on each board, the ON time is always in operation state, and if both boards fail at the same time, one side maintains the operation state.

제3도는 신호단말 그룹 유지보수 장치내의 로직부 구성도로서, 자체 이중화 기능과 프로세서 정합기능, 노드 정합기능 및 유지보수 관련기능을 수행한다. 입출력 포트회로(30)는 프로세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주소 버스와 데이터 버스의 내용에 따라 로직부의 관련회로를 동작시키거나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달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클럭발생회로(31)는 신호단말버스 클럭인 데이터 송수신 클럭과 동일 위상의 노드 클럭을 발생시켜 각 신호단말과 신호단말 네트워크를 공급하며 신호단말 버스의 동기신호도 모든 신호단말에 공급한다. 이중화 제어회로(32)는 동작과 대기방식으로 운용되며 이중화 상태에 변경이 생기면 대기상태에서 동작상태로 천이된 보드가 프로세서로 레벨 1 인터럽트를 보내 알려준다. 인터럽트 제어회로(33)는 8종류의 레벨 1 인터럽트가 있으며 7종류가 로직부(2)에서 발생하며 하나는 레벨 1 정합장치 (4)에서 발생한다. 로직부에서 발생하는 7종류의 인터럽트는 각각의 상태레지터를 두어 발생 원인을 알 수 있도록 했으며, 인터럽트 인에이블 레지스터를 만들어 각 원인별로 인터럽트를 인에이블 혹은 디스에이블 시키도록 구성했다.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34)는 3가지 기능이 있는데 전송순서에 맞지 않는 신호단말이 메시지를 전송하고 있는지를 감시하는 기능과 두개 이상의 신호단말이 동시에 메시지를 송출하는 경우를 감시하는 기능 및 규 정된 시간 이상 데이터 송신버스를 점유하고 있는 신호단말을 구분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며 이 3가지 기능은 각각 프로세서부로 레벨 1 인터럽트에 의해 보내진다. 데이터 수신버스 감시회로(35)는 상위에서 받은 메시지가 데이터 수신버스를 통해 신호단말이 정상적으로 수신하고 있는가를 판정하고 비정상적인 경우 레벨 1 인터럽트를 사용해 착신 어드레스 정보를 프로세서부로 통보해 준다. 신호단말버스는 데이터 송수신 클럭, 동기신호,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신호, 데이터 송수신 버스로 구성되어 삼중화로 운용되는데 3개의 신호선 중 어느 곳에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36)가 이를 감지하여 발생 부위정보를 버퍼에 저장하고 레벨 1 인터럽트로 프로세서부에게 전달한다. 유지보수 명령송출 및 신호단말 상태읽음 회로(37)는 신호단말에서 장애가 발생하여 정상운용하지 못할 경우 제어를 시도하는 회로로서 신호단말 경보상태 지움, 신호단말버스 점유허용, 신호단말버스 점유불허, 신호단말 시험요구 및 신호단말 리셋요구 등이 있다.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 정합회로(38)는 신호단말 버스에서의 데이터와 클럭발생회로에서의 노드 클럭을 차동신호로 변형하여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로 송수신하는 기능인데 이중화로 구성하여 교차접속을 가능하게 하였다. 신호단말버스 정합회로(39)는 삼중화로 운용되는 신호단말 버스와 접속시키기 위한 회로로 수신시 3개의 신호선중 로직 레벨이 같은 2개의 신호선을 받아 들이고 송신시 하나의 신호를 3개의 신호선으로 출력시키는 기능을 가진다.3 is a block diagram of the logic unit in the signal terminal group maintenance apparatus, and performs its own redundancy function, processor matching function, node matching function, and maintenance related function. The input / output port circuit 30 operates the logic related circuit or collects and transfers necessary data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address bus and the data bus input from the processor unit. The clock generation circuit 31 generates a node clock having the same phase as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lock which is a signal terminal bus clock, and supplies each signal terminal and a signal terminal network, and also supplies a synchronization signal of the signal terminal bus to all signal terminals. The redundancy control circuit 32 operates in an operation and standby manner, and when a change is made in the redundancy state, a board transitioned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operation state sends a level 1 interrupt to the processor. The interrupt control circuit 33 has eight types of level 1 interrupts, seven of which occur in the logic unit 2 and one of which occurs in the level 1 matching device 4. Each of the seven types of interrupts generated in the logic section has status registers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interrupt. It is also configured to enable or disable interrupts for each cause by creating an interrupt enable register. The data transmission bus monitoring circuit 34 has three functions: a function of monitoring whether a signal terminal that does not match the transmission sequence is transmitting a message, and a function of monitoring a case where two or more signal terminals simultaneously transmit a message, and There is a function that can distinguish the signal terminals occupying the data transmission bus for more than one time, and these three functions are each sent by the level 1 interrupt to the processor unit. The data reception bus monitoring circuit 35 determines whether a signal terminal is normally received through a data reception bus through a data reception bus, and if not, informs the processor unit of the destination address information using a level 1 interrupt. The signal terminal bus is composed of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lock, a synchronization signal, a data transmission bus occupancy signal,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bus, and is operated as a triple. When a fault occurs in any of the three signal lines, the triple signal monitoring circuit 36 detects this. The generated par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buffer and delivered to the processor unit as a level 1 interrupt. Maintenance command transmission and signal terminal status reading circuit 37 is a circuit that attempts to control when the signal terminal fails and fails to operate normally. Clearing signal terminal alarm status, allowing signal terminal bus occupancy, signal terminal bus occupancy not allowed, signal Terminal test request and signal terminal reset request. The signal terminal network node matching circuit 38 converts the data of the signal terminal bus and the node clock of the clock generation circuit into differential signals and transmits and receives them to the signal terminal network node. The signal terminal bus matching circuit 39 is a circuit for connecting to a signal terminal bus operated in a triple operation. The signal terminal bus matching circuit 39 receives two signal lines having the same logic level among the three signal lines upon reception and outputs one signal as three signal lines upon transmission. Has the function.

제4도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신호 메시지 프레임 포멧을 나타낸다. 개시 플래그(F)는 한 신호 유니트의 시작을 표시하며 종료 플래그(F)는 한 신호 유니트의 끝을 표시한다. 한 신호 유니트의 개시 플래그는 통상 선행 신호 유니트의 종료 플래그이며 각 플래그의 비트 패턴은 '01111110'이다 착신부 주소와 발신부 주소는 각각 16비트로 구성되며 A1은 착신 프로세서 주소, A2는 착신 프로세서 노드 주소, A3는 발신 신호 단말 주소 및 A4는 발신 신호단말 노드 주소를 나타낸다. DATA는 No.7 메시지를 의미하여 최대 291바이트를 초과하지 않는다. FCS(Frame Check Sequence)는 모든 신호 유니트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16비트로 구성되어 있다. 신호 메시지 프레임 전송순서는 제4도와 같이 최하위 비트(L)부터 차례대로 전송된다.4 shows a signal message frame forma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rt flag F marks the start of one signal unit and the end flag F marks the end of one signal unit. The start flag of one signal unit is usually the end flag of the preceding signal unit, and the bit pattern of each flag is '01111110'. The destination address and the source address are each composed of 16 bits, where A1 is the destination processor address and A2 is the destination processor node address. , A3 represents the source signaling terminal address and A4 represents the source signaling terminal node address. DATA stands for No.7 message and does not exceed 291 bytes at maximum. The Frame Check Sequence (FCS) is used to detect errors of all signal units and consists of 16 bits. The signal message frame transmission sequence is transmitted in order from the least significant bit (L) as shown in FIG.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송신순서 위반 감시부(40), 중복 동시 송출 감시부(50) 및 장시간 송신버스 점유 감시부(60)로 크게 구분되며, 송신 순서위반 감시부(40)는 클럭 발생회로(제3도의 31) 및 신호단말 버스 정합회로(제3도의 39)에 연결된 어드레스 래치회로(41), 클럭발생회로(제3도의 31) 및 상기 어드레스 래치회로(41)에 연결된 플래그 래치회로(42), 상기 어드레스 래치회로(41)와 다운카운터(45)에 연결된 비교기 (43), 상기 어드레스 래치회로(41)와 플래그 래치회로(42) 및 비교기(43)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출력단은 인터럽트 제어회로(제3도의 33)에 연결된 인터럽트 발생회로(44), 상기 비교기 (43)와 송출 카운터 래치회로(47)에 연결된 다운 카운터(45), 입출력 포트회로(제3도의 30)와 상기 어드레스 래치회로(41) 및 인터럽트 발생회로(44)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출력단은 내부 데이터 버스(IDB 0-7)를 통해 프로세서부(제1도의 1)에 연결된 송출 어드레스 래치회로(46), 및 입출력 포트회로(제3도의 30)와 상기 인터럽트 발생회로(44) 및 다운 카운터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출력단은 내부 데이터 버스(IDB 0-7)를 통해 프로세서부(제1도의 1)에 연결된 송출 카운터 래치회로(47)로 구성되 며, 중복 동시송출 감시부(50)는 입력단이 최대 32개의 신호단말 제어장치(8)와 이중화된 신호단말 유지보수 프로세서부(1)에 연결되고 출력단은 인터럽트 제어회로(제3도의 33)에 연결되며 PROM으로 구성된 중복 동시송출 검출회로(52)와, 입력단은 상기 32개의 신호단말 제어장치(8)와 이중화된 신호단말 유지보수 프로세서부(1)에 연결되고 출력단은 내부 데이터 버스(IDB 0-7)를 통해 프로세서부에 연결된 중복 동시송출 어드레스 래치회로(51)로 구성되며, 장시간 송신점유 감시부(60)는 입력단이 클럭 발생회로(제3도의 31)에 연결되고 출력단은 인터럽트 제어회로(제3도의 33)에 연결된 장시간 송신 버스 점유신호(62)와, 상기 장시간 송신버스 점유신호 발생회로(62) 및 송신순서위반 감시부(40)의 다운카운터(45)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출력단은 내부 데이터 버스(IDB 0-7)를 통해 프로세서부(제1도의 1)에 연결된 장시간 송신점유 어드레스 래치회로(61)로 구성된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ata transmission bus monitor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largely divided into a transmission sequence violation monitoring unit 40, a redundant simultaneous transmission monitoring unit 50, and a long time transmission bus occupancy monitoring unit 60. The transmission sequence violation monitoring unit 40 includes an address latch circuit 41, a clock generation circuit (31 in FIG. 3) connected to a clock generation circuit (31 in FIG. 3) and a signal terminal bus matching circuit (39 in FIG. 3). The flag latch circuit 42 connected to the address latch circuit 41, the comparator 43 connected to the address latch circuit 41 and the down counter 45, the address latch circuit 41 and the flag latch circuit 42. And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comparator 43 and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an interrupt control circuit (33 of FIG. 3), a down counter 45 connected to the comparator 43 and the output counter latch circuit 47. Input / output port circuit (30 in FIG. 3) and the address latch circuit An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41 and the interrupt generating circuit 44, and an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output address latch circuit 46 connected to the processor unit (1 in FIG. 1) through an internal data bus IDB 0-7, and an input / output port circuit. (30 in FIG. 3), an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nterrupt generating circuit 44 and the down counter, and an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a processor counter (1 in FIG. 1) via an internal data bus IDB 0-7. 47), the redundant simultaneous transmission monitoring unit 50 has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up to 32 signal terminal control devices 8 and a redundant signal terminal maintenance processor unit 1, and the output terminal has an interrupt control circuit (see FIG. 3) is connected to the redundant simultaneous transmission detection circuit 52 consisting of a PROM and the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32 signal terminal control device 8 and the redundant signal terminal maintenance processor unit 1, and the output terminal is internally connected. Processor section via data bus (IDB 0-7) It consists of a connected simultaneous simultaneous address latch circuit 51, and the long-term transmission occupancy monitoring unit 60 has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a clock generation circuit (31 in FIG. 3) and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an interrupt control circuit (33 in FIG. 3). An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long time transmission bus occupancy signal 62, the long time transmission bus occupancy signal generation circuit 62, and the down counter 45 of the transmission sequence violation monitoring unit 40, and the output terminal is an internal data bus IDB 0-. 7) a long time transmission occupancy address latch circuit 61 connected to the processor section (1 in FIG. 1).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는 신호단말 제어장치가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시 발생하는 모든 비정상적인 상태를 수집하여 상위레벨로 보고함으로써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바,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data transmission bus monitoring circu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signal terminal control apparatus to collect and maintain all abnormal conditions occurring when the data transmission bus is occupied and report them to a higher level.

송신순서 위반 감시부(40)는 신호단말 버스상의 모든 데이터를 신호단말 네트워크노드(제1도의 3)로 송출하기전 단계에서 클럭 발생회로(제3도의 31)로부터의 신호단말 버스 클럭(NCLK1*)을 이용하여 플래그 래치회로(42)와 어드레스 래치회로(41)에 각각 래치시킨다. 플래그 래치회로에는 플래그(F)를 래치시키며 어드레스 래치회로에는 착신 어드레스(A1), 착신 노드 어드레스(A2) 및 발신 어드레스(A3)순으로 각각 래치된다. 물론 첫번째 시프트 레지스터를 통해 신호단말 송신 데이터는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 정합회로(제3도의 38)를 거쳐 상위로 송출되며 모든 메시지 프레임마다 어드레스부는 상기와 같이 추출된다. 4바이트의 정보가 래치된 순간에 인터럽트 발생회로(44)에서는 반전된 신호단말 버스클럭(NCLK1)을 이용하여 플래그(F)와 착신 어드레스(A1)부를 조합한 입력 데이터를 래치시켜 발신 어드레스(A3)를 읽고 감시회로 내부의 송출 어드레스 버스상에 출력시킨다.The transmission sequence violation monitoring unit 40 receives the signal terminal bus clock NCLK1 * from the clock generating circuit (31 in FIG. 3) before transmitting all data on the signal terminal bus to the signal terminal network node (3 in FIG. 1). ) Is latched to the flag latch circuit 42 and the address latch circuit 41 respectively. The flag latch circuit latches the flag F, and the address latch circuit latches the destination address A1, the destination node address A2, and the source address A3, respectively. Of course, the signal terminal transmission data is transmitted upward through the signal terminal network node matching circuit (38 in FIG. 3) through the first shift register, and the address portion is extracted as described above for every message frame. At the moment when 4 bytes of information are latched, the interrupt generating circuit 44 latches the input data combining the flag F and the destination address A1 using the inverted signal terminal bus clock NCLK1 to send the source address A3. ) Is read and output on the sending address bus inside the monitoring circuit.

위와 같이 송신 데이터 버스상에서 메시지의 주소부를 추출함과 동시에 신호단말 버스상의 데이터 송출 점유신호(TXAST*), 동기신호(MSYNC*) 및 신호단말 버스클럭(NCLK1*)을 이용하여 초기값 0으로 입력된 다운 카운터(45)에서는 다운 카운팅을 시작한다. 이 다운 카운터는 신호단말(8)의 송신중재 회로와 같은 방식으로 운용되며 특정 신호단말이 데이터를 송신중에 있을때 카운터는 중지하고 그 외에는 계속 카 운팅을 하도록 동작하고 있다. 데이터 송신버스로 전송중인 메시지의 발신 어드레스(어드레스 래치회로(41)의 출력)와 다운 카운터(45)의 출력 어드레스는 비교기(43)의 입력 데이터가 되며 두개의 어드레스가 서로 다를 경우에는 출력신호(MATCHTX*)를 니게이트(negate)시켜 인터럽트 발생회로에 보내고 인터럽트 발생회로(44)는 송출 데이터 에러 인터럽트 신호(INTTXERR*)를 인터럽트 제어회로(제3도의 33)에 신청한다. 인터럽트 제어회로(33)는 8가지 인터럽트중 해당 항목이 인에이블 되어 있으면 프로세서부(제1도의 1)로 레벨 1 인터럽트를 보내고 인터럽트 루틴에서는 입출력 포트회로(제 3도의 30)를 이용하여 송출 어드레스 읽기신호(TXDRRD*)와 송출 카운터 읽기 신호(TXCNTRD*)를 발생시켜 송출 어드레스 래치(46)와 송출 카운터 래치(47)를 각각 액세스하여 그 값을 읽고 내부 데이터 버스(IDB 0-7)를 이용하여 프로세서부(제1도의 1)로 전달한다. 프로세서부(1)는 인터럽트 확인신호를 인터럽트 발생회로(44)에 보내 해당 메시지에 대한 인터럽트 상태를 초기 상태로 클리어시킨다.As above, the address of the message is extracted from the transmitting data bus and the initial value 0 is input by using the data transmission occupancy signal (TXAST *), synchronization signal (MSYNC *) and signal terminal bus clock (NCLK1 *) on the signal terminal bus. The down counter 45 starts counting down. This down counter is oper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transmission mediation circuit of the signal terminal 8, and when the specific signal terminal is transmitting data, the counter stops and the counting is continued. The originating address (output of the address latch circuit 41) and the output address of the down counter 45 are the input data of the comparator 43 and the output signal (if the two address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MATCHTX * is negated and sent to the interrupt generating circuit, and the interrupt generating circuit 44 requests the outgoing data error interrupt signal INTTXERR * to the interrupt control circuit (33 in FIG. 3). The interrupt control circuit 33 sends a level 1 interrupt to the processor unit (1 in FIG. 1) when the corresponding item among the eight interrupts is enabled, and reads the transmission address using the input / output port circuit (30 in FIG. 3) in the interrupt routine. Generates a signal TXDRRD * and a send counter read signal TXCNTRD * to access the feed address latch 46 and the feed counter latch 47, respectively, and read their values using the internal data bus IDB 0-7. Transfer to processor section (1 in FIG. 1). The processor unit 1 sends an interrupt acknowledgment signal to the interrupt generation circuit 44 to clear the interrupt state for the corresponding message to the initial state.

동시 중복 송출 감시부(50)는 최대 32개의 신호단말 제어장치(제14도의 8)와 이중화된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중 2개 이상이 중복해서 데이터 송출신호를 점유하고 있는 경유를 감시하는 회로로 각 장치에서 별도의 데이터 송출 점유신호(TXEN*)를 연장시셔 중복 동시송출 검출회로(52)에 입력시킨다. 중복 동시송출 검출회로는 5개의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으로 구성되어 34개의 데이터 송출 점유신호(TXEN*)중 2개 이상이 어서트(assert)되면 인터럽트를 발생시킨다. PROM은 2단계로 구성되어, 1단계에서 4개의 PROM을 사용해 각각 최대 9개의 데이터 송출 점유신호(TXEN*)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며 출력 데이터 2비트는 2단계에서 하나의 PROM에서 최종 취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단계는 각 PROM 에서 입력 데이터에 따라 데이터 송출 점유신호(TXEN*)가 모두 어서트(assert)되지 않을때, 하나만 어서 트(assert)일때 및 2개 이상 어서트(assert)일때로 구분하여 출력 데이터를 2단계 입력 데이터로 입력시킨다. 2단계는 PROM이 인에이블되어 있고 4개 PROM중 데이터 송출 점유(TXEN*) 입력 신호가 모두 어서트(assert)되지 않을때 및 4개 PROM중 하나만 데이터 송출 점유신호(TXEN*)가 어서트(assert)일때에 1단계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할때만 인터럽트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그 외에는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도록 설계 (fusing)하였다.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입출력 포트회로(제3도의 30)의 해당 번지를 액세스하여 데이터 송출 점유신호를 보내고 있는 장치를 중복 동시송출 어드레스 래치 (51)에서 읽어 상위로 보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Simultaneous redundancy transmission monitoring unit 50 is a circuit that monitors the passage of up to 32 signal terminal control devices (8 in FIG. 14) and two or more of redundant signal terminal maintenance devices occupying data transmission signals. In each device, a separate data transmission occupancy signal TXEN * is extended to be input to the redundant simultaneous transmission detection circuit 52. The redundant simultaneous transmission detection circuit is composed of five PROMs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to generate an interrupt when two or more of the 34 data transmission occupancy signals TXEN * are asserted. The PROM is composed of two stages, allowing up to nine data transmission occupancy signals (TXEN *) to be input using four PROMs in the first stage, and two output data bits are finally collected from one PROM in two stages. It is. The first stage outputs when the data transmission occupancy signal (TXEN *) is not asserted according to the input data in each PROM, when only one is asserted, and when there are two or more asserts. Input data as two levels of input data. Step 2 is when the PROM is enabled and the data transmission occupancy (TXEN *) input signals of the four PROMs are not all asserted, and only one of the four PROM data assertion signals (TXEN *) is asserted ( In the case of assert, it does not generate an interrupt only when inputting the data outputted in step 1, but otherwise it is designed to generate an interrupt. When an interrupt occurs, the corresponding address of the input / output port circuit (30 in FIG. 3) is accessed to read the device sending the data transmission occupancy signal from the duplicate simultaneous transmission address latch 51 and report to the upper level.

장시간 송신버스 점유 감시부(60)는 전기한 바와 같이 장시간 송신버스 점유신호 발생회로(62)와 장시간 송신점유 어드레스 래치(31)로 구성된다. 장시간 송신버스 점유신호 발생회로(62)는 카운터를 이용하며 클럭 발생회로(제3도의 31)에서 장시간 점유클럭(LASTCLK)을 공급받아 시간을 카운트한다. 이 시간은 신호단말 버스상에 연결된 각 장치가 규정된 최대의 메시지를 송출할 경우 소요되는 시간보다 크게 계산해야 한다. 고정된 시간 이상 송신버스를 점유하고 있으면 카운터와 럽을 통해 장시간 송신버스 감시신호(LASTDT)가 발생되어 장시간 송신버스 점유 인터럽트(INTLAST*)가 발생하며, 이때 프로세서부(제1도의 1)는 다운 카운터(45) 출력에 연결된 장시간 송신점유 어드레스 래치(61)를 읽어봄으로써 송신 버스 점유 어드레스를 확인하여 해당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ong time transmission bus occupancy monitoring unit 60 includes a long time transmission bus occupancy signal generation circuit 62 and a long time transmission occupancy address latch 31. The long time transmission bus occupancy signal generation circuit 62 uses a counter and counts the time by receiving the long time occupancy clock LASTCLK from the clock generation circuit (31 in FIG. 3). This time shall be calculated to be greater than the time required for each device connected on the signaling bus to send the maximum number of messages specified. If the transmission bus is occupied for a fixed time or more, the transmission bus monitoring signal (LASTDT) is generated through the counter and the loop for a long time and the transmission bus occupancy interrupt (INTLAST *) is generated. By reading the long time transmission occupancy address latch 61 connected to the counter 45 output, the transmission bus occupancy address can be identified to identify the device.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타 송신버스 감시회로의 송신 순서위반 감시부(40)의 일실시예 상세 회로도로서, 410은 어드레스 래치회로, 420은 플래그 래치회로, 430은 비교기, 440은 인터럽트 발생회로, 450은 다운 카운터, 460은 송출 어드레스 래치회로, 470은 송출 카운터 래치회로를 각각 나타내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드레스 래치회로(410)는 클럭 발생회로(제3도의 31) 및 신호단말 버스 정합회로(제3도의 39)에 연결된 제 1시프트 레지스터(411), 클럭 발생회로 및 상기 제 1시프트 레지스터에 연결된 제 2시프트 레지스터(412), 클럭 발생회로 및 상기 제 2시프트 레지스터에 연결된 제 3시프트 레지스너(413), 및 상기 제 1시프트 레지스터(411)에 연결된 D플립플롭 회로(414)로 구성되어 제 1시프트 레지스터(411)에는 발신 어드레스(제4도의 A3)를 래치시키고 제 2시프트 레지스터(412)에는 착신노드 어드레서(제4도의 A2)를 래치시키며, 제 3시프트 레지스터(413)에는 착신 어드레스(제4도의 A1)를 래치시킨다. 또한 제 1시프트 레지스터 (411)를 통해 신호단말 송신 데이터가 신호단말 네트워크 노드 정합회로로 송출되며, 상기 D 플립플롭회로(414)를 통해 발신 어드레스(A3)를 감시회로 내부의 송출 어드레스 버스상에 출력시킨다.6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transmission sequence violation monitoring unit 40 of the data transmission bus monitoring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 410 is an address latch circuit, 420 is a flag latch circuit, 430 is a comparator, and 440 is an interrupt generation circuit. , 450 is a down counter, 460 is a sending address latch circuit, 470 is a sending counter latch circuit,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address latch circuit 410 is a clock generating circuit (31 in FIG. 3) and a signal terminal bus matching circuit. A first shift register 411 connected to (39 in FIG. 3), a clock generation circuit and a second shift register 412 connected to the first shift register, a clock generation circuit and a third shift register connected to the second shift register. And a D flip-flop circuit 414 connected to the first shift register 411. The first shift register 411 latches a source address (A3 in FIG. Soft register 412 latches the incoming sikimyeo addressable node (degrees A2. 4), in the third shift register 413, thereby latching the destination address (the fourth-degree A1). In addition, signal terminal transmission data is sent to the signal terminal network node matching circuit through the first shift register 411, and the source address A3 is transferred to the address address bus inside the supervisory circuit through the D flip-flop circuit 414. Output

플래그 래치회로(420)는 1개의 시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되는데 플래그 래치용 시프트 레지스터(421)는 클럭 발생회로 및 어드레스 래치회로의 제 3시프트 레지스터 (413)에 연결되어 있고 플래그(제4도의 F : '01111110')를 래치시킨다.The flag latch circuit 420 is composed of one shift register. The flag latch shift register 421 is connected to the third shift register 413 of the clock generation circuit and the address latch circuit, and the flag (F: 'in FIG. 01111110 ').

다운 카운터(450)는 4비트 업/다운(Up/Down) 카운터(451, 452)로 구성되는데, 상기 각각의 4비트 카운터는 입력단이 클럭 발생회로 및 신호단말 버스 정합회로에 연결되고 출력단은 비교기(430) 및 송출 카운터 래치회로(470)에 연결되어 있다. 어드레스 래치회로가 송신데이터 버스상에서 메시지의 주소부를 추출함과 동시에 다운 카운터는 신호단말 버스 정합회로로부터의 데이터 송출 점유신호(TXAST*) 및 동기신호 (NSYNC*)와 클럭 발생회로로부터의 신호단말 버스클럭 (NCLKI*)을 이용하여 송신버스 점유장치의 어드레스를 출력하며, 초기 값은 "0"이 입력되어 다운 카운팅을 시작하고, 특정 신호단말이 데이터를 송신중일때는 카운팅을 중지하며 그외에는 계속 카운팅을 한다.The down counter 450 is composed of four bit up / down counters 451 and 452, each of which has an input terminal coupled to a clock generation circuit and a signal terminal bus matching circuit and an output stage comparator. 430 and the output counter latch circuit 470. As the address latch circuit extracts the address portion of the message on the transmit data bus, the down counter is used for the data transmission occupancy signal TXAST * 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 NSYNC * from the signal terminal bus matching circuit and the signal terminal bus from the clock generation circuit. Outputs the address of the transmission bus occupied device using the clock (NCLKI *). The initial value is "0" to start counting down, and stop counting when a specific signal terminal is transmitting data. Do it.

비교기(430)는 감시회로 내부의 송출 어드레스 버스 및 상기 다운 카운터(450)의 출력단에 연결된 8비트 어드레스 컴퍼레이터(451)로 구성되며, 데이터 송신버스로 전송중인 메시지의 발신 어드레스(A3 : D플립플롭회로(414)의 출력)와 다운 카운터(450)의 출력 어드레스를 입력하여 상기 두 어드레스가 서로 다를 경우 송출 매치 신호(MATCHTX*)를 니케이트(negate)시켜 출력한다.The comparator 430 is composed of a sending address bus inside the supervisory circuit and an 8-bit address comparator 451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down counter 450. The comparator 430 is an originating address (A3: D flip) of a message being transmitted to the data transmitting bus. The output address of the flop circuit 414) and the output address of the down counter 450 are inputted, and when the two address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transmission match signal MATCHTX * is negated and output.

인터런트 발생회로(440)는 상기 어드레스 래치회로(410)의 제 3시프트 레지스터 (413) 출력단에 연결된 제 1NAND 게이트(441), 상기 플래그 래치회로(420)의 시프트 레지스터(421) 출력단에 연결된 제 2NAND 게이트(442), 상기 제 1NAND 게이트(441)의 출력단에 연결된 인버터(443a), 상기 인버터 및 제 2NAND 게이트(442)의 출력단에 연결된 OR 게이트(414), 상기 OR 게이트의 출력단에 데이터 입력단(D)을 연결하고 클럭 발생회로에 연결된 인버터 (443d)를 클럭 입력단(CK)에 연결하며 부출력단

Figure kpo00001
를 어드레스 래치회로의 D플립플롭회로(414의 CK)에 연결한 제 1D플립플롭(445), 상기 비교기(431)의 출력단에 데이터 입력단(D)을 연결하고 상기 제 1D플립플롭의 정출력단(Q)에 클럭 입력단(CK)을 연결한 제 2D플립플롭(446), 5V 전원에 데이터 입력단(D)을 연결하고 상기 제 2D플립플롭(446)의 정출력단(Q)에 클럭 입력단(CK)을 연결하며 정출력단(Q)은 송출 어드레스 래치(461) 및 송출 카운터 래치회로(471)의 클럭 입력단(CK)에 연결하고 부출력단
Figure kpo00002
은 인터럽트 제어회로(33)에 연결한 제 3D플립플롭(417), 및 인터럽트 제어회로로부터의 송출 에러신호(TXERR*)와 리셋트 신호(RESET*)를 논리합(AND)하여 상기 제 2D플립플롭(446)의 리셋트 입력단(R)으로 출력하는 AND 게이트(448)로 구성되어 있고, 반전된 신호단말 버스 클럭(NCLK1*)을 이용하여 플래그(F) 및 착신 어드레스(A1)를 조합한 입력 데이터를 래치시켜 발신 어드레스(A3)를 송출하도록 하며 비교기(431)로부터의 송출 매치 신호(MATCHTX*)를 이용하여 송출 데이터 래치신호(THIATCH)를 송출 어드레스 래치신호(460) 및 송출 카운터 래치회로(470)로 출력하고 송출 데이터 에러 인터럽트 신호(INTTXERR*)를 인터럽트 제어회로(제3도의 33)로 출력한다. 미설명 부호 443b 및 443c는 인버터이다.The interrupt generator 440 may include a first NAND gate 441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shift register 413 of the address latch circuit 410, and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hift register 421 of the flag latch circuit 420. 2NAND gate 442, an inverter 443a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NAND gate 441, an OR gate 414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and the second NAND gate 442, and a data input terminal at an output terminal of the OR gate D) and the inverter 443d connected to the clock generator circuit to the clock input terminal (CK) and to the negative output terminal.
Figure kpo00001
Is connected to the first flip-flop 445 connected to the D flip-flop circuit 414 of the address latch circuit, and the data input terminal D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431, and the positiv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D flip-flop ( 2D flip-flop 446 with a clock input terminal CK connected to Q), and a data input terminal D with a 5V power supply, and a clock input terminal CK with a positive output terminal Q of the 2D flip-flop 446. The output terminal Q is connected to the clock input terminal CK of the output address latch 461 and the output counter latch circuit 471, and the negative output terminal
Figure kpo00002
Is AND of the 3D flip-flop 417 connected to the interrupt control circuit 33 and the transmission error signal TXERR * and the reset signal RESET * from the interrupt control circuit, and the second D flip-flop And an input gate (448) outputted to the reset input terminal (R) of (446). The input is a combination of the flag (F) and the destination address (A1) using the inverted signal terminal bus clock (NCLK1 *). The data is latched so that the originating address A3 is transmitted and the outgoing data latch signal THIATCH is sent out using the outgoing match signal MATCHTX * from the comparator 431. 470), and output data error interrupt signal INTTXERR * to the interrupt control circuit (33 in FIG. 3). Reference numerals 443b and 443c are inverters.

송출 어드레스 래치회로(460)는 감시회로 내부의 송출 어드레스 버스에 입력단(D1-D8)이 연결되고 내부 데이터 버스(IDB 0-7)에 출력단(Q1-Q8)이 연결된 8비트 래치회로(461 : 74LS374)로 구성되며 어드레스 래치회로의 D플립플롭회로(414)를 통해 출력된 발신 어드레스(A3)를 래치시킨다.The sending address latch circuit 460 is an 8-bit latch circuit 461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D1-D8 to a sending address bus inside the monitoring circuit and an output terminal Q1-Q8 connected to an internal data bus IDB 0-7. 74LS374) to latch the originating address A3 output through the D flip-flop circuit 414 of the address latch circuit.

송출 카운터 래치회로(470)는 다운 카운터 (450)에 입력단(D1-D8)이 연결되고 내부 데이터 버스(IDB 0-7)에 출력단(Q1-Q8)이 연결된 8비트 래치회로(471 : 74LS374)로 구성되며 상기 다운 카운터(450)로부터 송출된 송신 어드레스를 래치시킨다.The output counter latch circuit 470 is an 8-bit latch circuit 471: 74LS374 having an input terminal D1-D8 connected to the down counter 450 and an output terminal Q1-Q8 connected to the internal data bus IDB 0-7. It latches the transmission address sent from the down counter 450.

제7도는 송신 순서위반 인터럽트 발생부의 입출력 신호에 대한 타이밍도로서, 제6도의 주요 부분에 도시된 기호(a-e) 순으로 도시하였다.FIG. 7 is a timing diagram of input / output signals of the transmission sequence violation interrupt generation unit, and is shown in the order of symbols (a-e) shown in the main part of FIG.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기(430)의 입력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을때 송출 매치 신호(MATCHTX *)는 "1"로 출력되며, 초기상태 "0"으로 유지되던 제 2D플립플롭 출력신호(e)는 상기 송출 매치 신호(MATCHTX*)의 상태에 따라 상승 에지에서 인터럽트를 발생시킨다. 도면에서 점선은 정상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input data of the comparator 430 does not match, the transmission match signal MATCHTX * is output as “1” and the second D flip-flop output signal e which is maintained at the initial state “0”. Generates an interrupt on the rising edg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outgoing match signal MATCHTX *. The dashed line in the figure shows a normal operating stat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의 신호단말 제어장치와 이중화된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가 존재하는 신호단말 그룹내에서 송신시 중재회로에 의해 한번에 하나의 장치만이 데이터를 송출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여 비정상시 균등하게 송신할 수 없는 상황의 상태정보를 상위 레벨로 보고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 장치가 신호단말의 고장을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신속한 고장처리를 하도록하여 공통선 신 호장치의 신뢰도를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whether only one device transmits data at a time by an arbitration circuit when transmitting in a signal terminal group in which a plurality of signal terminal control devices and a redundant signal terminal maintenance device exist. By report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situation that cannot be transmitted evenly in case of abnormality at the high level, the maintenance device can detect the failure of the signal terminal in real time and promptly troubleshoot the reliability of the common line signal device.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Claims (8)

다수의 신호단말 제어장치와 이의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장치를 보유한 신호단말 그룹내에서 데이터 송출상태를 감시하는, 전자교환기 공통선신호 장치의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내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에 있어서 ; 클럭 발생회로(31), 신호단말 버스 정합회로(39), 입출력 포트회로(30), 인터럽트 제어회로(33), 및 내부 데이타 버으(IDB 0-7)에 연결되어 송신순서 위반시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송신순서위반 감시수단(40)과, 다수의 신호단말 제어장치(8),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내의 이중화된 프로세서부(1), 인터럽트 제어회로(33), 및 내부 데이터 버스(IDB 0-7)에 연결되어 상기 신호단말 제어장치와 프로세서부중 2개 이상이 중복해서 데이터 송출 신호를 점유하는지를 감시하는 중복 동시송출 감시수단(50)과, 상기 송신 순서위반 감시수단(40), 클럭 발생회로(31), 인터럽트 제어회로(33), 및 내부 데이터 버스(IDB 0-7)에 연결되어 고정된 시간 이상 송신버스를 점유하는 장치가 있는지 감시하여 존재시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장시간 송신버스 점유 감시수단(60)으로 구성되어 단말 버스상에 연결된 신호단말 제어장치(8) 및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7)가 상위 레벨로 메시지를 송신할 경우에 비정상 상태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의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A data transmission bus monitoring circuit in a signal terminal maintenance device of a common line signaling device of an electronic exchange, which monitors data transmission status in a signal terminal group having a plurality of signal terminal control devices and a device for performing the maintenance thereof; It is connected to the clock generation circuit 31, the signal terminal bus matching circuit 39, the input / output port circuit 30, the interrupt control circuit 33, and the internal data burr (IDB 0-7) to generate an interrupt in case of transmission sequence violation. Transmission sequence violation monitoring means 40, a plurality of signal terminal control devices 8, a redundant processor unit 1 in the signal terminal maintenance device, an interrupt control circuit 33, and an internal data bus IDB 0-. 7) redundant simultaneous transmission monitoring means 50 for monitoring whether two or more of the signal terminal control device and the processor unit occupy a data transmission signal in duplicate, the transmission sequence violation monitoring means 40, and the clock generation circuit. (31), an interrupt control circuit 33 and a long time transmission bus occupancy monitoring means connected to the internal data bus (IDB 0-7) to monitor whether there is a device occupying the transmission bus for a fixed time or more and generate an interrupt in existence The terminal consists of 60 Monitoring of data transmission buses of the signal exchange maintenance device of the electronic exchange characterized in that an abnormal state is detected when the signal terminal control device 8 and the signal terminal maintenance device 7 connected to the switch transmit a message to a higher level. Circ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순서위반 감시수단(40)은 클럭 발생회로(31) 및 신호단말 버스 정합회로(39)에 연결된 어드레스 래치회로(41), 클럭 발생회로(31) 및 상기 어드레스 래치회로(41)에 연결된 플래그 래치회로(42), 상기 어드레스 래치회로(44)와 다운 카운터(45)에 연결된 비교기(43), 상기 어드레스 래치회 로(41)와 플래그 래치회로(42) 및 비교기 (43)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출력단은 인터럽트 제어회로(33)에 연결된 인터럽트 발생회로(44), 상기 비교기(43)와 송출 카운터 래치회로(47)에 연결된 다운 카운터(45), 입출력 포트회로(30)와 상기 어드레스 래치회로(41) 및 인터럽트 발생회로(44)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출력단은 내부 데이터 버스(IDB 0-7)에 연결된 송출 어드레스 래치회로(46), 및 입출력 포트회로(30)와 상기 인터럽트 발생회로(44) 및 다운 카운터(45)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출력단은 내부 데이터 버스(IDB 0-7)에 연결된 송출 카운터 래치회로(4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의 데이터 송신 버스 감시회로.2. The transmission sequence violation monitoring means (4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mission order violation monitoring means (40) includes an address latch circuit (41), a clock generator circuit (31), and the address latch connected to a clock generation circuit (31) and a signal terminal bus matching circuit (39). The flag latch circuit 42 connected to the circuit 41, the comparator 43 connected to the address latch circuit 44 and the down counter 45, the address latch circuit 41 and the flag latch circuit 42, and the comparator An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43 and an output terminal is an interrupt generating circuit 44 connected to an interrupt control circuit 33, a down counter 45 connected to the comparator 43 and a sending counter latch circuit 47, and an input / output port circuit ( 30 is connected to the address latch circuit 41 and the interrupt generating circuit 44, and an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an output address latch circuit 46 connected to the internal data bus IDB 0-7, and an input / output port circuit 30. And the interrupt generator 44 and the down counter 45. Stage is connected and the output is the internal data bus (IDB 0-7) sent counter latch signal terminal electronic switching device maintaining the data transmission bus monitoring circuit,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circuit 47 connected to th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래치회로(41)는 클럭 발생회로(31) 및 신호단말 버스 정합회로(39)에 연결되어 있고 발신 어드레스(A3)를 래치시키는 제 1시프트 레지스터(411), 클럭 발생회로(31) 및 상기 제 1시프트 레지스터(411)에 연결되어 있고 착신노스 어드레스(A2)를 래치시키는 제 2시프트 레지스터(412), 클럭 발생회로(31) 및 상기 제 2시프트 레지스터(412)에 연결되어 있고 착신 어드레스(A1)를 래치시키는 제 3시프트 레지스터(413), 및 상기 제 1시프트 레지스터 (411)에 연결되어 있고 발신 어드레스(A3)를 감시회로 내부의 송출 어드레스 버스로 출력하는 D플립플롭회로(41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의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The first shift register (411) of claim 2, wherein the address latch circuit (41) is connected to the clock generation circuit (31) and the signal terminal bus matching circuit (39) and latches the source address (A3). A second shift register 412, a clock generation circuit 31, and the second shift register 412, coupled to the generation circuit 31 and the first shift register 411, for latching the called destination address A2. A third shift register 413 connected to the first shift register 413 and a first shift register 411 connected to the first shift register 411 and outputting a source address A3 to a transmission address bus inside the supervisory circuit. A data transmission bus monitoring circuit of an electronic exchange signal terminal mainten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ip-flop circuit (4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카운터(45)는 신호단말 버스상의 데이터 송출 점유신호(TXAST), 데이터 클럭신호(NCLK1*), 및 데이터 동기신호(NSYNC*)를 이용하여 송신버스 점유장치의 어드레스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의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3. The address of the transmission bus occupanc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own counter (45) uses the data transmission occupancy signal (TXAST), the data clock signal (NCLK1 *), and the data synchronization signal (NSYNC *) on the signal terminal bus. Data transmission bus monitoring circuit of the electronic switch signal terminal mainten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43)는 상기 어드레스 래치회로(410)의 D플립플롭회로(414)로부터 출력된 발신 어드레스(A3)와 상기 다운 카운터 (45)로부터 출력된 송신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서로 다를 경우 송출 매치 신호(MATCHTX*)를 출력하여 인터럽트가 발생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 신호단말장치의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The comparator 43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comparator 43 outputs a source address A3 output from the D flip-flop circuit 414 of the address latch circuit 410 and a transmission output from the down counter 45. A data transmission bus monitoring circuit of an electronic switch signal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 interrupt is generated by outputting a match signal (MATCHTX *) when the address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comparing addres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 발생회로(440)는 상기 어드레스 래치회로(410)의 제 3시프트 레지스터(413) 출력단에 연결된 제 1 NAND 게이트(441), 상기 플래그 래치회로(420)의 시프트 레지스터(421) 출력단에 연결된 제 2NAND 게이트(442), 상기 제 1 NAND 게이트(441)의 출력단에 연결된 인버터 (443a), 상기 인버터 및 제 2 NAND게이트(442)의 출력단에 연결된 OR게이트(444), 상기 OR 게이트의 출력단에 데이터 입력단(D)을 연결하고 클럭 발생회로에 연결된 인버터(443d)를 클럭 입력단(CK)에 연결하며 부출력단
Figure kpo00003
을 어드레스 래치회로의 D플립플롭(414의 CK단자)에 연결된 제 1D플립플롭(445), 상기 비교기(43)의 출력단에 데이터 입력단(D)을 연결하고 상기 제 1D플립플롭의 정출력단(Q)에 클럭 입력단(CK)을 연결한 제 2D플립플롭(446), 전원단에 데이터 입력단(D)을 연결하고 상기 제 2D플립플롭(446)의 정출력단(Q)에 클럭 입력단(CK)을 연결하며 정출력단(Q)은 송출 어드레스 래치회로(461) 및 송출 카운터 래치회로(471)의 클럭 입력단(CK)에 연결하고 부출력단
Figure kpo00004
은 인터럽트 제어회로(33)에 연결한 제 3D플립플롭(417), 및 인터럽트 제어회로로부터의 송출 에러 신호(TXERR*)와 리셋트 신호(RESET*)를 논리합하여 상기 제 2D슬립플롭(446)의 리셋트 입력단(R)으로 출력하는 AND 게이트(448)로 구성되어 송출 어드레스가 추출되도록하고, 송출 데이터 래치신호(TXLATCH), 및 송출 데이터 에러 인터럽트 신호(INTTXERR *)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의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
3. The shift register of claim 2, wherein the interrupt generation circuit 440 includes a first NAND gate 441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a third shift register 413 of the address latch circuit 410, and a shift register of the flag latch circuit 420. A second NAND gate 442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an inverter 443a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NAND gate 441; an OR gate 444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er and the second NAND gate 442; The data input terminal D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OR gate, the inverter 443d connected to the clock generation circuit is connected to the clock input terminal CK, and the sub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lock input circuit CK.
Figure kpo00003
Is connected to the D flip-flop 445 of the address latch circuit (CK terminal of 414), the data input terminal D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mparator 43, and the positive output terminal Q of the first D flip-flop is connected. 2D flip-flop 446 connected to the clock input terminal CK, a data input terminal 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a clock input terminal CK to the positive output terminal Q of the 2D flip-flop 446. The positive output terminal Q is connected to the clock input terminal CK of the feed address latch circuit 461 and the feed counter latch circuit 471, and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output terminal.
Figure kpo00004
Is the third D flip-flop 417 connected to the interrupt control circuit 33, and the second error signal RESET * and the reset signal RESET * from the interrupt control circuit are OR'ed together. An AND gate 448 for outputting to the reset input terminal R of the control unit so that a transmission address is extracted, and a transmission data latch signal TXLATCH and a transmission data error interrupt signal INTTXERR * are output. Data transmission bus monitoring circuit for the maintenance device of the signal exchange terminal of the electronic exch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송출 감시수단(50)는 입력단이 최대 32개의 신호단말 제어장치(8) 및 이중화된 신호단말 유지보수 프로세서부(1)에 연결되고 출력단은 인터럽트 제어회로(33)에 연결되며 5개의 PROM으로 구성되는 중복 동시송출 검출회로(52)와, 입력단이 상기 신호 단말 제어장치(8) 및 이중화된 신호단말 유지보수 프로세서부(1)에 연결되고 출력단은 내부 데이타 버스(IDB 0-7)에 연결된 중복 동시송출 어드레스 래치회로(51)로 구성되어 각 신호단말 제어장치와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의 데이터 송신버스 점유를 알 수 있게 는 별도의 연장된 신호(34개의 TXEN*)를 모아서 두개 이상의 장치가 동시에 데이터 송신 버스를 점유하면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버스 점유 상태를 읽을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의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2. The simultaneous transmission monitoring unit (5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a maximum of 32 signal terminal control devices (8) and a redundant signal terminal maintenance processor (1) and an output terminal is an interrupt control circuit (33). A redundant simultaneous transmission detection circuit 52, which is composed of five PROMs, and an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ignal terminal controller 8 and a redundant signal terminal maintenance processor unit 1, and an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an internal data bus ( It is composed of redundant simultaneous sending address latch circuits 51 connected to IDB 0-7) so that the signal transmission bus occupied by each signal terminal control device and signal terminal maintenance device can be separately extended (34 TXEN * Data from the electronic exchange signal terminal mainten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wo or more devices occupy the data transmission bus at the same time, it generates an interrupt to read the bus occupied state. Transmit bus monitoring circu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시간 송신버스 점유 감시수단(60)은 입력단이 클럭 발생회로(31)에 연결되고 출력단은 인터럽트 제어회로(33)에 연결된 장시간 송신버스 점유신호 발생회로(62)와, 상기 장시간 송신버스 점유신호 발생회로(62) 및 송신 순서위반 감시수단(40)의 다운 카운터(45)에 입력단이 연결되고 출력단은 내부 데이터 버스(IDB 0-7)에 연결되어 카운터를 이용해 신호단말 버스상에 연결된 각 장치가 송신시 점유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규정된 시간이상 송신버스를 점유하고 있으면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해당 송신 장치의 어드레스를 읽어 식별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의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The long time transmission bus occupancy signal generating circuit (62)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ng time transmission bus occupancy monitoring means (60) is connected to a clock generation circuit (31) and an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an interrupt control circuit (33). The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down counter 45 of the long time transmission bus occupied signal generation circuit 62 and the transmission sequence violation monitoring means 40, and the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data bus IDB 0-7. Maintaining an electronic exchange signal terminal which counts the time occupied by each device connected on the bus and occupies the transmission bus for more than a specified time, and generates an interrupt to read and identify the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transmission device. Data transmission bus monitoring circuit for maintenance equipment.
KR1019900004493A 1990-04-02 1990-04-02 Electronic switching maintenance system KR9200071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4493A KR920007140B1 (en) 1990-04-02 1990-04-02 Electronic switching maintenan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4493A KR920007140B1 (en) 1990-04-02 1990-04-02 Electronic switching maintenanc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373A KR910019373A (en) 1991-11-30
KR920007140B1 true KR920007140B1 (en) 1992-08-27

Family

ID=1929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4493A KR920007140B1 (en) 1990-04-02 1990-04-02 Electronic switching maintenanc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140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9373A (en) 199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1599B1 (en) Fault tolerant switching architecture
US60354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e dual modular redundancy
JPH04242463A (en) State-change informing mechanism and method in data processing input/output system
US60029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e dual modular redundancy
CN111628944B (en) Switch and switch system
KR10029395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ault using peripheral components interconnect bus monitor
US6697966B1 (en) Data bus for a plurality of nodes
KR920007140B1 (en) Electronic switching maintenance system
CN114615106B (en) Ring data processing system, method and network equipment
KR0174406B1 (en) Alarm Collecting Device of Asynchronous Transfer Mode Electronic Switch and Its Operation Method
KR930006862B1 (en) Triple modular redundency method
KR20000040686A (en) Dual system of lan line
KR0152229B1 (en) Low price duplication node
KR920009097B1 (en) Maintenance apparatus for signal terminal group of common line signal device
KR930006863B1 (en) Supervising circuit for a receiving bus
KR930011202B1 (en) Control operations sending and receiving circuit
KR100499908B1 (en) Device for detecting errors of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930006894B1 (en) Signal terminal group matching circuit
KR0116474Y1 (en) Data test circuit in an exchanger
CN210666747U (en) Fault self-recovery homologous clock system of server
KR100305870B1 (en) Bus monitor in common bus structure
JPH1065696A (en) Communication network and failure notification method
KR920000082B1 (en) Apparatus of signal ter-minal group
KR0131950B1 (en) Method for reporting state of common bus on initializing
KR200204972Y1 (en) Apparatus for hardware error detection using idle high-way channel in data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