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928B1 - 자동판매기용 음료조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용 음료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928B1
KR910004928B1 KR1019850009054A KR850009054A KR910004928B1 KR 910004928 B1 KR910004928 B1 KR 910004928B1 KR 1019850009054 A KR1019850009054 A KR 1019850009054A KR 850009054 A KR850009054 A KR 850009054A KR 910004928 B1 KR910004928 B1 KR 910004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ylinder
combination
cam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9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316A (ko
Inventor
쓰또무 하라다
Original Assignee
산덴 가부시끼가이샤
우시구보 모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덴 가부시끼가이샤, 우시구보 모리지 filed Critical 산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5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09Loose coffee being employed
    • A47J31/3614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판매기용 음료조합장치
제 1 도는 기본구조와 조합사이클을 설명하기 위한 선행기술 조합장치의 개략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조합장치의 부분 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음료조합장치의 부분절취 측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음료조합장치의 평면도.
제 5 도는 제 2 도에서 사용된 실린더 및 피스톤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제 6 도는 하나의 캠요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 7 도는 제 2 도에서 사용된 이탈(offset)방지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제 8a-8c 도는 캠요소 및 이탈방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 9 도는 남아있는 코오피찌끼를 버리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음료조합장치의 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24 : 실린더
3 : 필터부재 4,25 : 피스톤
5 : 캠부재 6,40 : 모우터
9 : 전자기밸브 10,213 : 조합공동
11,51 : 코오피호퍼 12,15,16 : 통
13 : 배출관 20 : 프레임몸체
21 : 기부 22,23 : 가이드 로드
26 : 스냅링 27 : 스프링
28 : 파인 메쉬 스크린(fine mesh screen) 29 : 슈우트
30 : 볼트-너트장치 31,47 : 밀폐요소
32 : 내공 33,37 : 캠종동부
34 : 센터링로울러 35 : 축
36 : 실린더동작브릿지 38 : 캠
39 : 가이드요소 39 : 캠축
50 : 링크부재 51a,51b : 장방형구멍
52a,52b : 볼트 53 : 코일스프링
41 : 피스톤캠 43,44 : 로드
45 깔대기 지지부 46 : 깔대기
100 : 조합장치 201 : 앞벽
202 : 후면벽 202a : 베어링지지부
203,204 : 측벽 211 : 필터지지캐리지
212 : 조합공동캐리지 212a : 핀
215 : 톱니멈추개 241 : 지지부분
244 : 입구포트 361 : 수직아암
362 : 지지축 501 : 플랜지부분
503 : 지주
본 발명은 음료자동판매기에 사용되는 음료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치의 조합작동중 조합 액체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밀폐상태 개선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에서 음료재료로부터 한컵의 음료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음료조합장치는 선행기술에 이미 공지되어 있다. 예를들면, 윌리엄 헤이어(William Heier)의 미국 특허 제3,349,690호에 그와같은 조합장치에 대한 한가지 구조가 나타나 있다.
제 1 도를 보면, 선행기술장치의 기본구조와 조합사이클이 나타나있다. 장치의 프레임(1)은 필터부재(3)로 가려져 있는 하부개방부를 갖고 있는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하부 개방형 실린더(2)를 지지하고 있다.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4)은 실린더(2)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실린더(2)와 피스톤(4)사이의 상대운동은 모우터(6)에 의해 구동하는 캠부재(5)의 동작으로 일어난다. 도관(7)의 한 종단개방부는 전자기밸브(9)를 통해 물탱크(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종단개방부는 뜨거운 물을 실린더(2)로 공급하기 위해 실린더(2)의 상부 개방부 바로위에 위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합위치(이 위치는 제 1 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음)와 정지위치(이 위치는 제 1 도에서 한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음) 사이를 수평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는 조합공동(10)은 실린더(2)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조합위치에서는 실린더(2)의 하부를 밀폐시킨다.
또한, 선행기술장치에는 코오피를 받아들이기 위해 통(12)과 연결되어 있는 코오피호퍼(11)가 제공되어 있다. 분쇄코오피는 조합동작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정해진 양의 새로운 분쇄코오피를 호퍼(11)로 전달하기에 적합한 공급수단으로 제공되어 있는 통(12)에 가득차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 조합공동(10)은 정지위치로부터 실린더(2)의 아래 하부 개방부까지 조합위치를 향해 수평이동한다. 이 수평이동동안 분쇄코오피는 공급위치(이 위치는 제 1 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음)에서 코오피호퍼(11)를 통해 조합공동(10)으로 공급된다. 조합공동(10)이 실린더(2) 아래쪽에 적당히 정렬되면, 캠부재(5)의 동작으로 실린더(2)는 공동(10)과 단단히 맞물려지도록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것은 도관(7)을 통해 공급된 뜨거운 물이 가득차 있는 격실을 형성한다.
그후, 피스톤(4)은 물을 필터부재(3)를 통해 공동(10)내의 분쇄코오피로 밀어넣고 계속해서 배출관(13)을 통해 분배위치에 놓여져있는 컵(14)으로 밀어넣기 위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컵으로 코오피를 넣기전에, 추출된 코오피는 통(15,16)으로부터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설탕 그리고/또는 크림의 적당량과 혼합될 것이다. 그후, 남은 코오피찌끼를 포함하고 있는 조합공동(10)은 그 정지위치로 이동하여, 조합공동(10)내의 찌끼는 정지위치에 도착하기 바로전 지점에서 버려진다. 조합공동(10)이 그 정지위치로 되돌아오면 한 조합사이클이 끝난다.
조합사이클동안, 특히 추출동작 동안 실린더(2)의 내부표면과 피스톤(4)의 외부주위표면 사이의 시일링이 가장 유리한 추출동작을 이루는데 매우 알맞을 것이다. 피스톤(4)은 실린더내에 미끄러질 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밀폐부재와 함께 제공되어 있으므로 피스톤(4)은 직하강을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피스톤(4)의 운동은 캠부재(5)의 동작에 의해 제어되므로 수평적인 힘성분은 캠부재(5)의 동작으로 피스톤(4)에 작용할 것이다. 그러므로, 피스톤(4)의 축중앙이 실린더(2)의 중앙으로부터 분리되고 이 분리의 결과로 피스톤(4)과 실린더(2) 사이의 시일링상태는 나빠지게 된다.
본 발명의 주요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유리한 조합동작을 제공하는 개선된 음료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러한 부재들 사이의 개선된 밀폐를 위해 조합액체 실린더의 중앙으로부터 피스톤의 축 중앙선이 분리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방지수단이 제공되어 있는 음료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기존장치의 간단한 수정으로 기존장치를 쉽게 대체할 수 있는 음료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조합장치는 프레임과 그 프레임 상에 지지되어 있는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실린더는 상부 개방부와 하부 개방부를 갖고 있다. 피스톤부재는 실린더내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조합액체를 실린더의 상부 개방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위치하고 있다. 방출 개방부를 갖고 있는 조합액체공급수단은 조합액체가 저장되어 있는 액체가열탱크에 연결되어 있다. 조합공동은 조합위치와 정지위치 사이를 수평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게 실린더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 공동은 조합위치에 놓여졌을 때 조합실을 형성하도록 실린더의 하부 개방부와 단단히 맞물려 있다. 모우터에 의해 회전하는 캠부재는 실린더와 피스톤의 상대운동을 제어하며 액체와 음료재료의 공급타이밍을 결정한다. 피스톤부재는 피스톤과 실린더의 하강운동이 일어나는 동안 실린더의 중앙선으로부터 피스톤부재의 축중앙선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메카니즘을 갖고 있다. 이 메카니즘은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조절하기 위해 프레임의 내부표면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안내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가장 낮은 위치의 안내요소는 프레임 상에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안내요소는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요소에 반대하여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에서 제 4 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조합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조합장치(100)는 앞벽(201), 후면벽(202) 그리고 측벽(203,205)에 의해 정해진 프레임몸체(20)를 포함하고 있다(제 4 도). 후면벽(202)은 이후에 설명될 조합공동캐리지(212) 및 필터지지캐리지(211)를 포함하고 있는 기부(21)를 제공한다. 측벽(203,204)은 앞벽(201)과 후면벽(202) 사이의 적당히 간격을 둔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면 안내로드(22)는 앞벽(201)에 고정되어 있으며 후면안내부(23)는 후면벽(202)위에 지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안내로드(22,23)는 프레임몸체(20)내에서 대각선으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후에 설명될 피스톤(25)과 조합실린더(24)를 지지해준다.
조합실린더(24)는 외부주위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한쌍의 지지부분(241)을 갖는다. 각각의 로드(22,23)는 수직으로 뻗어 있으며 지지부분(241)중 하나에 고정되어 있다. 로드(23)는 후면벽(202)위의 베어링지지부(202a)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로드(22)는 앞벽(201) 위에 있는 베어링지지부(201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스냅링(26)은 각각의 가이드로드(22,23)위에 끼워져 있으며 지지부분(241)보다 위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스프링(27)은 스냅링(26)보다 위쪽에서 각각의 로드(22,23)를 둘러싸고 있다. 따라서 실린더(24)는 고정되어 있으며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 2 도에서 명백하게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실린더(24)는 상부 개방부와 하부 개방부(243)를 갖고 있으며, 또한 축소된 직경의 하부 개방부(243)까지 뻗어있고 그와 동축인 경사진바닥(242)를 갖고 있다. 하부 개방부(243)는 개방부(243)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는 파인 메쉬 스크린(fine mesh screen, 28)으로 덮혀 있다. 이 스크린(28)은 조합동작이 진행되는 동안 뜨거운 물과 함께 코오피찌끼나 다른 추출재료가 실린더(24)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준다.
실린더(24)에는 그 상부 내면주위에 일련의 주입구(inlet port 244)가 제공되어 있으며(제 5 도), 슈우트(chute, 29)는 주입(244)의 내부와 통해 있는 실린더(24)의 외부주위표면으로부터 뻗어있다. 슈우트(29)는 피스톤(25)이 가장 상부에 있을때 뜨거운 물이 피스톤보다 아래위치에서 슈우트(29)를 통해 유입되도록 주입구(244)와 통해 있는 기울어진 바닥벽(291)을 갖는다.
피스톤(25)은 항상 실린더(24)내에 있으며, 하부 원형판부분(251)과 상부 U형 브릿지부분(252)으로 구성된다. 두 부분(251)과 (252)는 제 5 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볼 트-너트장치(3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시일요소(31)는 실린더(24)와 피스톤(25) 사이의 시일링을 위해 하부부분(251)의 외부주위표면에 위치하고 있다. 피스톤(25)의 상부 U형 브릿지부분(252)은 한쌍의 종단(252a,252b)을 가지며, 브릿지(252)의 각각의 종단(252a,252b)은 로드(22,23)중 하나가 통과하는 내공(32)을 형성하고 있다. 로드(22,23)를 둘러싸기 위해 배치되어 있는 스프링(27)의 상부 종단은 브릿지(252)의 종단(252a,252b) 하부측면과 접촉하고 있다. 스프링(27)은 스냅링(25)과 브릿지(252)의 종단(252a,252b) 사이에 힘을 가하여 피스톤(25)이 위쪽으로 편향되게 한다.
캠종동부(33)와 센터링로울러(34)는 브릿지(252)의 중앙부분을 통해 뻗어있는 축(35)을 통해 브릿지(252)위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브릿지(252)의 종단(252a,252b)은 피스톤(25) 위의 밀폐요소(31)와 관련하여 세지점 지지로서 동작하는 한쌍의 베어링 안내부를 구성한다. 안내요소(39)는 안내요소(39)를 따라 로울러(34)의 구르는 운동을 조장하기 위해 센터링로울러(34)가 접하고 있는 앞벽(201)의 내부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도와 제 7 도에 명백하게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링크부재(50)는 센터링로울러(34)상의 구름면에 방해물로 놓여있는 안내부재(39)의 축부표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상부와 하부에는 장방형구멍(51a,51b)이 제공되어 있다. 앞벽(201)의 내부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볼트(52a,52b)는 개별적으로 구멍(51a,51b)을 통과하고 있다. 따라서, 링크부재의 상,하운동은 구멍(51a,51b)과 볼트(52a,52b)에 의해 안내된다. 또, 링크부재(50)는 로울러(34)의 구름면을 형성하기 위해 안내요소(39)의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고 있는 수직평면(501a)를 포함하고 있는 그 하부에서 플랜지부분(501)을 갖는다. 수평플랜지부분(502)은 링크부재(50)의 하부종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플랜지부분에(502)의 평면부분을 플랜지부분(501)의 수직평면(501a)을 가로지른다. 지주(503)는 링크부재(50)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코일스프링(53)의 한단자 끝은 지주(503)상에 갈고리모양으로 걸려져 있다. 코일스프링(53)의 또다른 단자끝은 링크부재(5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구멍(51a)으로부터 뻗어있는 볼트(52a)의 외부단자 끝에 걸려 있다. 따라서, 링크부재(50)는 코일스프링(53)의 스프링 반동력에 의해 위쪽으로 밀려진다.
링크부재(50)가 가장 상부위치에 놓이면, 플랜지부분(501)의 수직평면(501a)은 로울러(34)의 구름면에 형성하도록 안내요소(39)의 측면과 접촉하여, 로울러(34)의 하강구름운동은 수평적인 플랜지부분(502)에 의해 제한받는다.
실린더 동작브릿지(36)는 개별적으로 그 끝이 로드(22,23)의 상단 종단에 확보되어 있다. 장치에는 실린더(24)가 로드(22,23)의 하단종단에 고정되어 있고, 실린더 동작브릿지(36)가 로드(22,23)의 상단 종단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로드(22,23)의 평행과 브릿지(36)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있는 수직아암(361)의 상,하 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위치 고정설치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다. 브릿지(36)의 아암(361)은 아암(361)위의 지지축(362)상의 캠종동부(37)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고 있는 그 하단종단 내의 슬롯이 제공되어 있으며 캠종동부(37)는 캠(38)과 함께 동작한다.
캠축(39a)은 앞벽(201)과 후면벽(202) 사이에 뻗어있다. 후면벽(202)은 캠축(39a)의 한 종단이 통과하는 구멍을 갖고 있다. 이 캠축(39a)의 종단은 모우터장치(40)에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 캠종동부(33)와 함께 동작하며 피스톤캠으로서 동작하는 첫 번째 캠(41), 브릿지 캠종동부(37)와 함께 동작하는 두번째 캠(38), 그리고 세번째 캠(42)은 제 3 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간격을 두고 캠축(39a)에 확보되어 있다.
기부(21)는 제 2 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상부로드(43)와 하부로드(44)를 포함하고 있다. 조합공동(213)을 지지해주는 조합공동캐리지(212)는 로드(43,44)위에 미끄러질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필터(214)가 움직일 수 있게 배치되어 있는 필터지지캐리지(211)는 로드(43,44)위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조합공동(213)은 실린더(24)의 가장 하부표면과 조합공동(213) 사이의 밀폐를 보장해주는 밀폐요소(47)를 유지하기 위해 그 상부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흠을 갖고 있다.
깔대기 지지부(45)는 앞벽(201)과 후면벽(202) 사이에 지지되어 있다. 깔대기(46)는 풀려있으며 깔대기지지부(4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깔대기(46)의 상부는 외향으로 뻗어있는 장방형플랜지를 갖고 있다. 깔대기(46)의 바닥은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해 엘보우관을 형성하고 있는 관부분으로 몰입되어 그것을 통해 흐르는 액제는 최종적으로 그것을 받기위한 컵으로 향하게 될 것이다.
상기된 음료조합장치에서, 동전이 분배 메카니즘으로 유입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입력이 개시되면, 모우터(10)는 캠축(39a)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캠축(39a)의 회전결과, 조합공동캐리지(212)는 세번째 캠(42)의 동작을 통해 제 2 도에서 왼쪽으로 수평이동한다. 조합공동(213)이 필터지지캐리지(211)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을 때, 미리 정해진 양의 분쇄코오피는 코오피호퍼(51)를 통해 조합공동(213)으로 공급된다. 조합공동(213)이 분쇄코오피를 받은 후 조합공동(213)은 필터지지캐리지(211)와 함께 왼쪽을 향해 이동을 계속한다. 조합공동(213)이 실린더(24) 아래쪽에 적당히 정렬되면, 공동(213)과 지지캐리지(211)의 운동이 멈추며 실린더(24)는 공동(213)과 단단히 맞추기위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실린더(24)와 조합공동 사이의 단단한 시일링은 조합공동(213)의 상부표면위에 배치되어 있는 시일요소(47)에 의해 확보된다. 캠축(39a)이 회전을 계속하면 미리정해진 양의 뜨거운물이 슈우트(29)를 통해 실린더(24)로 공급된다. 분쇄코오피를 조합공동(213)으로, 뜨거운물을 실린더(24)로 공급하기 위한 타이밍은 앞벽(201)으로부터 뻗어있는 캠축(39a)의 전면 종단에 고정되어 있는 풀리(50)의 회전으로 제어된다. 캠축(39a)은 제 6 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피스톤캠(41)의 드웰부분에 얹혀있는 피스톤 종동부(33)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계속한다.
피스톤캠(41)이 회전할때 피스톤(25)은 아래쪽으로 이동하며, 이 피스톤(25)의 하강운동 동안 U형 브릿지(252)의 종단(252a,252b)은 조합공동(213)의 가장 하부 개방부와 필터(214) 사이에 놓여있는 밀폐요소(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함께 조합공동(213)상에 배치되어 있는 밀폐요소(47)의 밀폐를 위해 안내로드(22,23)를 둘러싸고 있는 스프링(27)을 압축시킨다. 조합동작 동안, 스프링(27)은 실린더(24)와 공동(213)사이, 공동(213)과 필터(214) 사이의 밀폐를 위해 U형 브릿지(252)의 하강운동으로 계속해서 압축된다. 피스톤(25)이 실린더(24)의 상부 내면벽표면상의 물주입구(244)를 통과하고 나면 밀폐된 공기층이 뜨거운 물표면의 상부와 피스톤(25)의 하부면 사이에 걸려 있게 된다.
피스톤(25)의 하강운동 동안, 피스톤캠(41)에 의해 밀려진 피스톤종동부(33)는 하강 및 수평힘성분을 받아서 수평힘성분은 실린더(24)의 중앙선으로부터 피스톤(25)의 중앙선이 이탈되도록 한다. 그러나 U형 브릿지(252)위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는 센터링로울러(34)는 처음에는 안내요소(39)의 한측면을 따라, 나중에는 링크부재(50)의 플랜지부분(501)의 수직평면(501a)을 따라 구른다. 따라서, 피스톤캠(41)의 운동으로 생겨나는 피스톤(24)의 측면수평운동은 센터링로울러(34)와 안내요소(39) 또는 링크부재(50)의 플랜지부분(501)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저지된다.
제 8a 도에서 제 8c 도를 보면, 로울러(34)와 링크부재(50)의 운동이 더욱 완전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피스톤(24)이 조합공정의 시작으로 실린더(25)의 상부에 위치하면(이 위치는 제 8a 도에 도시되어 있음), 센터링로울러(34)는 안내요소(39)의 상부와 접촉되어진다. 그때에, 링크부재(50)는 코일스프링(53)의 스프링 반동력으로 인해 가장 상부위치에 위치하며 실린더(25)의 상부표면은 링크부재(50)의 수평플랜지부분(502)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피스톤캠(41)이 회전하는 동안 (캠(41)의 회전 방향은 제 8 도에 화살표로 지시되어 있다), 로울러(34)는 안내요소(39)의 측면을 따라 굴러서 안내요소(39)의 하부위치에 놓이게 된다. 로울러(34)의 이러한 구름운동은 플랜지부분(501)의 수직평면(501a)위를 구르는 것을 계속하여 종국에는 링크부재의 하부내에서 제한받게 되는데, 이것을 다시말하면, 로울러(34)는 플랜지부분(501)의 수직평면(501a)를 따라 구르며 수평플랜지부분(502)에 걸리게 된다(이 위치는 제 8b 도에 도시되어 있음).
피스톤캠(41)의 다음 회전으로, 센터링로울러(34)는 피스톤이 가장 하부위치(이 위치는 제 8c 도에 도시되어 있음)에 놓일때까지 링크부재(50)의 하강운동과 함께 아래로 밀려진다. 링크부재(50)가 앞벽(201)위에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플랜지부분(501)과 수평플랜지부분(502) 사이에 정해져있는 공간위에 배치되어 있는 로울러(34)는 운동없이 아래로 잡아당겨진다. 따라서, 실린더의 중앙선으로부터의 피스톤 이탈(offset)운동은 쉽게 방지된다.
모든 뜨거운 물이 조합공동(213)안에 있는 분쇄코오피를 통과하여 밀려지는 하부위치에 피스톤(25)이 도착하면, 피스톤(25)은 뜨거운 공기가 남아있는 분쇄코오피를 통과하도록 약간 증가된 속도로 아래쪽으로 이동을 계속한다. 그 하강 행정이 끝나기 바로전에, 피스톤(25)은 하강속도 0에 접근한다. 남아있는 분쇄코오피를 통과한 뜨거운 공기는 분쇄코오피를 건조시켜서 쉽게 방출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건조된 상태로 남아있게 해준다. 추출된 음료는 깔대기(46)를 통해 컵(도시되어 있지 않음)으로 공급된다.
피스톤(25)이 그 하강 행정의 끝에 도달하면, 실린더(24)와 피스톤(25)은 조합공동(213)위에 있는 상부플랜지를 깨끗이하기 위해 약간 위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조합공동(213)은 조합위치로부터 쉽게 벗어날 수 있도록 자유로우며 제 2 도 상에서 오른쪽을 향해 이동한다.
필터지지캐리지(211)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면, 필터지지캐리지(211)의 운동은 끝나면 조합공동캐리지(212)는 그 오른쪽 운동을 계속한다.
제 9 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조합공동캐리지(212)가 필터지지캐리지(211)로부터 분리된후, 조합공동(213)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핀(212a)은 기부(21)에 고정되어 있는 톱니멈추개(215)와 같은 스프링과 접촉된다. 이 핀(212a)과 톱니멈추개(215) 사이의 접촉은 조합공동(213)의 계속되는 수평운동으로 인해 공동(213)이 올라가도록 해준다. 따라서, 조합공동(213)은 조합공동(213)의 계속되는 수평운동으로 인해 X지점에서 Y지점으로 상승 이동하며, 조합공동(213)이 최고로 높은 위치 Y에 도착하면 핀(212a)은 공동(213)을 Z지점으로 떨어뜨리는 톱니멈추개(215)의 종단에 놓이게 된다. Z지점에서의 조합공동(213)의 하강운동 및 급정지는 건조되어 남아있던 분쇄코오피가 공동(213)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수 있게 해준다. 남아있던 분쇄코오피가 조합공동(213)으로부터 버려지고 나면 한 조합사이클이 끝나게 된다.
상기된 것처럼, 피스톤부재 그리고/또는 피스톤 이동장치에는 측면수평운동을 저지하여 피스톤과 실린더의 축 중앙선의 정렬이 유지되도록 해주는 메카니즘이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추출동작의 특징을 쉽게 얻어질 것이다. 또한, 측면수평운동을 저지하기 위한 메카니즘의 가이드표면은 복수개의 요소로 구성되며, 가장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요소는 피스톤의 운동을 따라 측면수평운동없이 가장하부에 위치할때까지 피스톤의 수직운동을 보장해주기 위해 기계의 프레임상에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더욱이, 피스톤의 직하강운동은 고정가이드표면과 이동성 가이드표면의 짧은 길이로 인해 보장되며, 피스톤의 왕복운동은 이탈방지 메카니즘에 의해 방해받지 않으며, 결국에는 기계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으나, 이것은 그러한 실시예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누구나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화가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음료조합장치가 프레임 및 그 프레임상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부 개방부와 하부 개방부를 갖고 있는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실린더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실린더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부재와 상기 피스톤의 높이보다 아래에 있는 실린더로 뜨거운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실린더부재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조합위치와 방출위치 사이에서 수평이동할 수 있고 조합위치에서 상기 실린더부재와 밀폐되도록 고정되어 있는 조합공동을 포함하고 있는 기부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캠축을 구동시키는 모우터와 캠축위의 복수개의 캠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피스톤부재 위의 첫번째 캠종동부와 상기 실린더부재 위의 두번째 캠종동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각각의 캠종동부는 상기 캠중 하나에 접촉되어 피스톤부재 및 실린더부재와 운동은 상기 캠종동부를 통한 캠의 동작에 의해 결정되고, 피스톤부재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동안 피스톤부재가 측면 수평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메카니즘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개선은 프레임상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조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안내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수평운동 방지를 위한 메카니즘을 포함하고 있으며, 가장 하부의 안내요소가 프레임상에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고 보통 위쪽으로 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조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메카니즘이 피스톤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전도요소를 포함하며 가장하부에 위치한 안내요소는 피스톤부재의 상기 전도요소를 받기 위한 수직표면과 수평표면을 갖고 있는 L형 링크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조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장방형구멍은 L형 링크요소의 상부 및 하부에 꿰뚫어져 있으며, 핀은 개별적으로 수직이동할 수 있게끔 걸려져있는 링크부재에 대해 프레임으로부터 반대편구멍까지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조합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L형 링크요소가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 반동력에 의해 위쪽으로 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조합장치.
KR1019850009054A 1984-12-04 1985-12-03 자동판매기용 음료조합장치 KR910004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3140 1984-12-04
JP1984183140U JPS6327262Y2 (ko) 1984-12-04 1984-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316A KR860005316A (ko) 1986-07-21
KR910004928B1 true KR910004928B1 (ko) 1991-07-18

Family

ID=16130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054A KR910004928B1 (ko) 1984-12-04 1985-12-03 자동판매기용 음료조합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669372A (ko)
JP (1) JPS6327262Y2 (ko)
KR (1) KR910004928B1 (ko)
GB (1) GB21679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4511A (en) * 1988-11-25 1991-01-15 Sanden Corporation Beverage brewing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s
US4998462A (en) * 1988-11-28 1991-03-12 Sanden Corporation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s
CN205575600U (zh) * 2015-09-21 2016-09-14 上海巨昂实业有限公司 一种包括自动门板的榨汁机自动包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9690A (en) * 1964-10-15 1967-10-31 Melikian Inc Rudd Beverage brewing apparatus
US3292526A (en) * 1965-10-15 1966-12-20 Melikian Inc Rudd Brewing apparatus
US3660117A (en) * 1970-12-04 1972-05-02 Pennstar Co Beverage brewing appartus
US4271753A (en) * 1979-11-23 1981-06-09 Refreshment Machinery Incorporated Brewing mechanism
JPS58171584U (ja) * 1982-05-13 1983-11-16 東芝機器株式会社 飲料抽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67944B (en) 1987-04-08
JPS6327262Y2 (ko) 1988-07-22
KR860005316A (ko) 1986-07-21
GB8529197D0 (en) 1986-01-02
GB2167944A (en) 1986-06-11
JPS6199288U (ko) 1986-06-25
US4669372A (en) 1987-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1752A (en) Coffee making assembly
US4967647A (en) Air supply for a coffee maker
US3369478A (en) Single cup, dry waste coffee brewing and dispensing mechanism
US3565641A (en) Coffee brewing machine
US7210507B2 (en) Capsule filling machine
US4612850A (en) Brewing apparatus
GB1341976A (en) Recirculation coffee brewer
EP0296478B1 (en) Automatic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coffee or the like
CN105592757B (zh) 制备饮料的装置
JPH01170430A (ja) 自動コーヒー・メーカー
US4715270A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for vending machines
CN1666697A (zh) 尤其用于蒸馏咖啡的饮料机咖啡分配组
US4633771A (en) Coffee percolator
US3771937A (en) Apparatus for forming shaped potato pieces from potato dough
KR910004928B1 (ko) 자동판매기용 음료조합장치
US3478670A (en) Air operated single cup coffee brewer
US3203340A (en) Beverage brewing and dispensing mechanism
JPH0145672B2 (ko)
US3292526A (en) Brewing apparatus
US4648313A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US3890453A (en) Forming shaped potato pieces from potato dough
KR910004929B1 (ko) 자동판매기용 음료조합장치
GB2162419A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US3662675A (en) Filtering device for preparing drinks
DK163792B (da) Dejdele- og aeltemask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