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945B1 - 직통전화 가입자의 직통전화기능 원격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직통전화 가입자의 직통전화기능 원격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945B1
KR910003945B1 KR1019880008019A KR880008019A KR910003945B1 KR 910003945 B1 KR910003945 B1 KR 910003945B1 KR 1019880008019 A KR1019880008019 A KR 1019880008019A KR 880008019 A KR880008019 A KR 880008019A KR 910003945 B1 KR910003945 B1 KR 910003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digit
checking
direct
dig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8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173A (ko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08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945B1/ko
Publication of KR900001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통전화 가입자의 직통전화기능 원격제어 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시스템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의 (2a)과정의 서브흐름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의 (2b)과정의 서브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망네트워크 20 : 신호기
30,40 : 제1,2망 정합장치 50 : 신호기정합장치
60,70 : 제1,2중앙처리장치 80,90 : 제1,2기록장치.
본 발명은 전자식 교환기에서 직통전화 가입자의 직통전화 기능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통전화 기능을 가진 가입자가 지정된 특정부호와 숫자를 교환기로 송출하여 직통전화 기능에 따른 직통전화 가입자의번호, 변경과 취소를 원격에서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직통전화 가입자의 직통전화 기능 원격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통 전화기능은 전자식 교환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기능 중에 하나로써 직통전화 기능을 가진 가입자가 수화기를 든 후 수초(2-8)후에 지정된 착신 측으로 다이얼링 없이 전화가 직접 연결되도록 하는것이다.
종래의 직통전화 기능을 보유한 가입자가 착신 측을 변경 및 취소 할시, 즉 예를 들면, “ A ”라는 가입자(직통 전화 기능 보유)가 업무상 “ B”라는 사람과 전화를 가장 많이 하게 되어 “B”의 전화번호를 “지정 착신 자”로 등록하여 사용하다가, “B”보다는 “C”와의 통화가 훨씬 많아지게 되어,“C”와의 통화를 자동으로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전화국에 연락하여 교환기의 데이타 베이스 (D B) 상에 “A”의 지정 착신 자로 등록되어 있는 “B”의 전화번호를 변경 “C”의 전화번호로 변경하게 되는 경우를 뜻하고, “취소”라고 하는 것은 직통전화 기능을 보유하고 있으되 , 지정된 착신 측을 당분간 사용하고 싶지 않을 경우에 행하는 것으로써, 데이타 베이스(D B)상에서 지정 착신 자로 등록된 전화번호를 삭제하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이때는 직통 전화 기능을 보유하고 있어도 지정번호가 없으므로 직통 전화 기능이 동작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종래는 착신 측의 변경 및 취소하기 위해서는 전화국에 연락하여 전화국내의 교환기 유지보수담당자의 TTY를 통하여야만 상기 기능이 가능했었다. 이때 교환기 유지보수 담당자는 기능의 신규요청, 착신 측 번호변경 및 취소를 처리하기 위해 TTY를 이용하여 기능 및 착신 측과 새로운 착신번호를 입력하거나 기존 착신 측 번호를 삭제한다. 상기 작업에 의해 입력한 작업결과가 맞을 때 가입자에게 연락하여 직통전화가입자가 해당 서비스기능을 받도록 되어 있었다. 즉, 변경 또는 취소할 때마다 연락을 취해야하며, 변경 및 취소가 될 때까지 오랫동안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국의 교환기 유지보수 담당자를 통하지 않고 직통전화기능을 가진 가입자의 전화기만을 통해 직접 지정된 특정 부호 및 숫자를 교환기로 송출하여 번호의 변경 및 취소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통전화 기능 서비스를 가입자가 직접 변경 및 취소할 수 있으므로 해당 서비스를 자유롭고 신속하게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시스템으로서, 직통전화 가입자(ST1)를 망 네트워크(10)의 가입자회로(a)에 연결하고, 상기 망 네트워크(10)에 제1, 2망 정합장치(30,40)와 신호기(20)를 결합하여, 상기 신호기(20)에 신호기 정합장치(50)를 연결하며, 상기 제1, 2망 정합장치(30, 40)와 신호 정합 장치(50)를 제1, 2중앙처리장치(60, 70)에 연결하여 제1,2 기록장치(80,90)로부터 프로그램과 데이타를 받아 처리한 후 상기 제1, 2망 정합장치(30, 40)와 신호기정합장치(50)를 통해 망 네트워크(10)와 신호기(2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망 네트워크 (10)내에는 가입자 회로(a)와 발신 장치(b) 및 신호수신기(c)가 포함되어있고, 그 외 다른 부분은 생략되었음을 밝혀둔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로서 직통기능 가입자의 후크 오프 상태를 인식하고 디지트를 접수하여 접수한 해당 디지트가 소정 갯수에 도달했나를 체킹하는 제1단계(2a-2c)와, 상기 제1단계(2a-2c)에서 입력한 디지트가 소정 갯수가 도달되었을 때 제1명령어( “*33” )인가를 체킹 하여 직통전화기능 보유가입자인가를 체킹하는 제2단계(2d)와, 상기 제2단계(2d)에서 직통전화기능 보유 가입자일 때 다음 디지트를 기다려 접수한 후 상기 접수한 디지트 갯수가 “16”인가를 체킹하며 16이 아닐 때 입력 디지트가 제 2명령어(“*”)이면 유효한 국번인가를 체킹하여 입력된 디지트를 신규번호로 기록하고 확인 음을 송출하는 제 3 단계(2m -2k)와, 상기 제2단계(2d)에서 제1명령어(“*33”)가 아닐시 제3명령어(“#33”)이면 직통전화기능보유 가입자인가를 체킹하여 직통 전화기능 보유 가입자일 때 다음 디지트를 기다려 접수한 후 입력된 디지트가 “*”인가를 체킹하는 제4단계(2e-2i)와, 상기 제 4 단계(2e-2i)에서 “*”가 아닐시 폭주 음을 송출하고, “*”일 때 기 등록 번호를 삭제한 후 확인 음을 송출하는 제5단계(2k,2I)로 이루어진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의 (2a)과정의 서브 흐름도 이고,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도의 (2b)과정의 서브 흐름도 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제1-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직통전화 기능을 지닌 가입자(ST1)가 (2a)과정에서 수화기를 들게되면 제 1 도의 제1, 2 중앙처리장치(60,70)는 제 1 도의 제1,2망 정합장치(30,40)를 통하여 이를 감지한 후 가입자회로(a), 발신정터(b), 신호수신기(c)간을 연결한 다음 제 1 도의 신호기(20), 신호정합장치(50)를 통하여 신호수신기(c)에서 다이얼 톤을 들은 가입자(ST1)는 전화기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디지트 데이타를 교환기로 송출한다.
상기 가입자(ST1)가 보내는 디지트 데이타는 제 1 도의 신호수신기(c)를 통하여 (2b)과정에서 수신하는데, 수신된 디지트를 지정된 제1,2기록자치(80,90)의 버퍼에 기록한 후 (2c)과정에서 접수된 디지트의 갯수가 “3”인가를 판단한다. 3개의 디지트에 도달하지 못하였으면 다음 디지트를 또 다시 기다리고, 3개의 디지트가 도달하였을 시에는 그것을 (2d)과정에서 분석한다.
상기 과정에서 받아들인 3개의 디지트(이하“PREFIX”라 한다)를 분석하여 “*33” 또는 “#33”인가를 (2d),(2e)과정에서 판단하여 아닌 경우는 그 해당번호에 따른 처리를 하고, 맞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처리된다. 상기과정에서 “#33”인 경우 먼저 (2m)과정에서 직통 전화기능의 보유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2m)과정에서 직통 전화 기능이 없는 경우는 제 1 도의 발신정터(b)를 통하여 (2I)과정에서 폭주 음을 송출하여 경보를 하고, 직통 전화 기능이 있는 경우는 (2n)-(2p)과정에서 계속 디지트를 접수하여 (2q)과정에서 마지막을 표시하는 “*”가 입력 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디지트를 상기 (2o)과정에서 수신한다. 이러는 도중 접수된 디지트의 갯수가 “16”에 도달하였는가를 (2p)과정에서 판단한다. 여기서 “16”이 되면 제 1 도의 제1,2기록장치(80,90)에 기록할 수가 없기 때문에 상기 (2I)과정에서처럼 폭주 음을 송출하여 재 시도 할 것을 경보한다. (2r)과정에서 번호가 유효한 경우는 그 번호를 새로운 착신 측 번호로 판단하여 제 1 도의 제1,2기록장치(80,90)상의 지정된 장소에 재 기록한다. 기록이 완료되면 발신정터(b)를 통하여 확인 음(도, 미, 솔음)을 가입자 (ST1)에게 송출하여 변경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
상기 (2d)과정에서 접수된 디지트가 “*33” 이 아니고, “#33”인 경우 상기에서와 같이 직통전화기능의 보유여부를 (2f) 과정에서 판단한다. 상기 (2f)과정에서 직통 전화 기능 보유인 경우 (2g)과정에서 다음 디지트를 기다려 (2h)과정에서 디지트를 접수하여 상기 (2h)과정에서 접수된 디지트가 (2i)과정에서 “*”로 판명된 경우는 제 1 도의 제1,2기록 장치(80,90)의 지정된 장소에 이미 기록되어 있던 착신번호를 (2j)과정에서 삭제하게 된다. 착신번호의 삭제가 끝이 나면 제 1 도의 발신정터(b)를 통하여 확인 음을 가입자에게 송출하여 번호 취소요구가 무사히 완료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 상기 제 2도에서 (2a)과정의 가입자 후크 오프 처리를 제 3 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3a)과정에서 라인카드(L I C)의 상태를 제1,2중앙처리장치(60,70)가 제1,2망 정합장치(30,40)를 통해 읽어서, (3b)과정에서 제1,2중앙처리장치(60,70)가 전 상태에서 변화되었는지 체크한다. 상기 (3b)과정에서 전 상태에서 변화가 있었을 시 (3c)과정에서 가입자(ST1)가 후크 오프 되었나를 체크하여 후크 온일 때 (3F)과정에서 후크 온 처리를 하며, 후크오프일 때 (3g)과정에서 후크 오프를 처리한 후 제 2 도의 (2b)과정으로 넘어가고, 상기 (3b)과정에서 전 상태에서 변화되지 않았을 시 모든 라인 카드(L I C)를 체크했냐를 검색한다. 여기서 모든 라인 카드 (LIC)의 체크하지 않았을 시 (3e)과정에서 다음 라인카드(L I C)의 번호를 가져와서 상기 상태를 반복하고, 모든 라인 카드를 처리했을 시 끝낸다.
상기 제 2 도에서 (2b)과정의 디지트 접수 처리를 제 4 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4a)과정에서 푸시 버튼 시그날 수신상태를 제1,2중앙처리장치(60,70)에서 제1,2망 정합장치(30,40)를 통해 읽어 (4b),(4c)과정에서 신호접수 유무 및 유효신호인가를 체크하여 신호를 접수한 것이 유효할 때 (4f)과정에서 디지트 접수 처리를 행한 후 (2c)과정을 실행하며, 신호가 접수되지 않거나 유효한 데이타가 아닐 때 (4d)과정에서 모든 푸시버튼 수신데이타를 처리했는가를 제 1,2중앙처리장치(60,70)에서 체크하여 상기 (4d)과정에서 모두 처리를 못했을 때 (4e)과정에서 다음 푸시버튼 수신 데이타의 번호를 가져와서 상기 과정을 반복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화국내 교환기 유지보수자를 통하지 않고 가입자가 직접 다이얼링 하여 교환기내에서 직통전화기능 가입자의 디지트를 점검하여 자동으로 변경 및 취소가 가능토록 가입자의 착신번호 변경 및 취소가 용이하고 상기 변경 및 취소에 따른 시간이 단축되며 교환기 유지보수자의 작업을 감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교환기에 있어서 직통 전화기능 가입자의 번호 변경 및 취소 방법에 있어서, 직통기능 가입자의 후크 오프 상태를 인식하고 디지트를 접수하여 접수한 해당 디지트가 소정 갯수에 도달했나를 체킹하는 제1단계(2a-2c)와, 상기 제1단계(2a-2c)에서 입력한 디지트가 소정갯수에 도달되었을 때 제1명령어(“*33”)인가를 체킹하여 직통전화기능 보유가입자인가를 체킹하는 제2단계(2d)와, 상기 제2단계(2d)에서 직통전화기능 보유 가입자일 때 다음 디지트를 기다려 접수한 후 상기 접수한 디지트 갯수가 “16”인가를 체킹하며 16이 아닐 때 입력 디지트가 제2명령어(“*”) 이면 유효한 국번인가를 체킹하여 입력된 디지트를 신규번호로 기록하고 확인음을 송출하는 제3단계(2m-2k)와, 상기 제2단계(2d)에서 제1명령어(“*33”)가 아닐시 제3명령어(“#33”)이면 직통전화 기능 보유 가입자인가를 체킹하여 직통 전화기능 보유가입자일 때 다음 디지트를 기다려 접수한 후 입력된 디지트가 “*”인가를 체킹하는 제4단계(2e-2i)와, 상기 제4단계(2e-2i)에서 “*”가 아닐시 폭주음을 송출하고, “*”일 때 기등록번호를 삭제한후 확인음을 송출하는 제5단계(2j, 2l)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직통전화 가입자의 직통전화 기능 원격제어방법.
KR1019880008019A 1988-06-30 1988-06-30 직통전화 가입자의 직통전화기능 원격제어방법 KR910003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8019A KR910003945B1 (ko) 1988-06-30 1988-06-30 직통전화 가입자의 직통전화기능 원격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8019A KR910003945B1 (ko) 1988-06-30 1988-06-30 직통전화 가입자의 직통전화기능 원격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173A KR900001173A (ko) 1990-01-31
KR910003945B1 true KR910003945B1 (ko) 1991-06-17

Family

ID=1927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019A KR910003945B1 (ko) 1988-06-30 1988-06-30 직통전화 가입자의 직통전화기능 원격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9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173A (ko) 1990-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8852A (en) Automatic caller-associat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improvement and method for paging system
JPH0522445A (ja) 無線呼出し方式
KR100193824B1 (ko) 교환기의 착신 서비스 방법
KR910003945B1 (ko) 직통전화 가입자의 직통전화기능 원격제어방법
JP2625460B2 (ja) 電話交換システムにおける通話ルート指定方法
KR100321880B1 (ko) 부가 번호를 서비스하는 이동 전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H06133044A (ja) 交換機システム
KR910003494B1 (ko) 키폰시스템에서의 부재중 메세지 표시방법
KR940005527B1 (ko) 자동 응답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번호 음성확인 방법
KR920001886B1 (ko) 전전자 교환시스템의 호 제한기능 원격 제어방법
JPS6031349A (ja) キ−番号照合接続方式
KR100506277B1 (ko) 사설교환기에서착신호전환상태통보방법
KR930003152B1 (ko) 멀티번호 등록 및 호출방법
KR960013258B1 (ko) 키폰시스템에 있어서 음성인식 장치를 이용한 내선호출 및 국선발신 방법 및 장치
KR930005595B1 (ko) 사설교환기에서 국선 예약시 국선 시저 및 다이얼링 방법
KR910003943B1 (ko) 사설 자동교환기의 개인 호출번호 등록 및 그 호출과 등록 삭제방법
JP3131864B2 (ja) 伝言応答接続方式
KR100539909B1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디사 라인을 통한 음성 다이얼링 방법
JP3024842B2 (ja) 構内交換機の交換制御方法
KR100463849B1 (ko) 교환 시스템에서 지정시간에 대한 착신 전환 서비스 방법
GB2303276A (en) Office line incomming call service method
JPH0998231A (ja) 料金着信払通話システム及びセンタ及び専用カード
KR960012903A (ko) 국제통신 콜링(calling)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698011A (ja) 加入者識別電話方式
JPH0239661A (ja) 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