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038B1 - 원통형 탄창 - Google Patents

원통형 탄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038B1
KR910003038B1 KR1019870700252A KR870700252A KR910003038B1 KR 910003038 B1 KR910003038 B1 KR 910003038B1 KR 1019870700252 A KR1019870700252 A KR 1019870700252A KR 870700252 A KR870700252 A KR 870700252A KR 910003038 B1 KR910003038 B1 KR 910003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let
drum
ring
magazine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700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0238A (ko
Inventor
설리반 레로이 제임스
Original Assignee
더 베타 컴퍼니
실비아 카이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베타 컴퍼니, 실비아 카이저 filed Critical 더 베타 컴퍼니
Publication of KR880700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0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61Magazines
    • F41A9/64Magazines for unbelted ammunition
    • F41A9/73Drum magaz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37Feeding two or more kinds of ammunition to the same gun; Feeding from two s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Toys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원통형 탄창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2중 원통형 탄창이 자동소총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2중드럼 탄창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2중드럼 탄창에 탈환이 완전하게 채워져 있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탄창에 탄환이 완전하게 채워져 있는 상태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V-V 선에 따른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탄창의 내부부품과 드럼부벽의 일부를 나타내는 분리도.
제7도는 드럼부 내부부품의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단일 원통형 탄창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소총의 탄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소총에 적합한 대용량의 원통형 탄창에 관한 것이다.
원통형 탄창은 예컨대 미국특허 제2,131, 412호와 제4,138,923호, 제4,384,508호 및 제4,487,103호등에서와 같이 공지되어 있는 것이 많은 바, 이러한 원통형 탄창은 종래의 박스형이나 기둥형의 탄창보다 4배이상 많은 탄환을 장전시킬 수 있는 정도로 용량이 크고 이에 따라 화력이 강해진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러한 탄창은 일반적인 소총에는 사용할 수가 없고 각각 그들에 맞는 특수한 총이 있어야 한다는 이유때문에 실용화가 되지 못하였다.
오늘날에도 소총은 여전히 보병의 주력화기로 이용되어지고 있고, 또 현재의 자동소총은 중요한 2가지의 기능을 가지는 바, 그중 하나는 한발씩 정확하게 발사할 수 있는 것이고, 또다른 한가지는 조정보턴을 조절하므로서 기관총과 같이 자동연발로 발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인데, 이러한 소총의 역할에 있어서 후자는 1개의 소총이 단발 및 연발(수동 및 자동)의 2가지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게 하므로서 보조적인 자동무기가 필요치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소총의 기능이 기관총에 미치지 못하는데 이의 가장 큰 이유는 탄창이 작기 때문인 것이다.
따라서 완전한 자동화소총이 요구되는 상황에 있어서는 탄창이 너무작아 탄환이 빨리 소모되게 되기 때문에 사격을 하는 시간보다도 탄창을 교환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되고, 이러한 탄환 보급시간(down time)은 소총의 효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전투시에 적의 공격을 받을 가능성이 많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소총의 탄창용량을 증가시키므로서 해결될 수가 있으나, 실제 탄창에 대한 기술수준은 소총의 기술수준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총의 탄창은 탄약의 저장용기와 탄약의 공급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물론 소총에 있어서는 필요불가결한 요소이지만 다른 부품들과는 달리 소총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지 않고 기계적으로 연결시켜 주므로서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고, 또 이는 소총으로부터 분리되어질 수 있는 별개의 유니트로 되어 있다. 또한 탄창의 구동기구는 소총으로부터 직접적인 도움을 받지 않고도 소통의 발사량에 맞도록 빨리 작동될 수 있어야 하며, M-16소총과 같은 자동소총에 대용량의 탄창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근본적으로 이 소총에 맞도록 설계된 전용 탄창에서 소요되는 시간과 동일한 시간에 다량의 탄환을 이송시킬수가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탄창에 저장되어 있는 탄환의 무게가 무거워지면 무거워질수록 이들을 추진시키는데 더 큰힘이 요구되어지게 되는바, M-16 소총에 이용되는 표준형의 탄창구조에서 100개의 탄환을 추진이동시키는데에는 상당히 큰 힘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잘못하면 탄환이 소총의 장진기구속에 끼이게 되어 탄환을 발사시킬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게 된다.
그러나 100개의 탄환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된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탄창은 종래의 30개 탄환 탄창보다도 더큰 힘을 사용하지 않고도 각각의 탄환을 신속하게 소형의 장진위치로 이송시킬수가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탄창의 구조는 기존의 여러 가지 소총을 변형시키지 않고도 거의 모든 종류의 전투용소총에 그대로 사용할 수가 있고, 또 표준형인 30발들이 탄창이 겸하여 사용할수도 있게 하므로서 2종류의 탄창을 교환하면서 사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화력의 증강은 항상 요구되어지는 것이 아니고 또 바람직한 것은 아니지만, 만일 화력을 증가시키고자 할때에는 기존하는 소총에다 탄창을 결합시키는 기술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결국 특수한 지원무기를 만들거나 군대를 증강시켜주게 되는바, 이와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방법과는 완전히 다른 해결책을 제공하여 필요할 때에 모든 소총수의 직접화력을 3배이상 증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른 탄창은 원통형드럼내에 탄환을 장전시켜주기 위한 개구부를 갖춘 통상의 원통형 드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드럼부 내부에 동심을 이루는 2개의 탄환링을 지지하여 스프링에 의해 구동되도록 한 로우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환링을 로우터의 바깥주변벽과 원통형 드럼부의 내벽사이에 형성되어지는 채널속에서 상기 드럼부의 축과 거의 평행하게 위치하고 있는 한편, 상기 로우터는 안쪽의 탄환링을 지지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채널의 폭은 2개의 탄환의 직경을 합한 것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어서, 안쪽의 탄환링이 바깥쪽탄환링에 있는 이웃하는 2개의 사이에 이루어지는 요흠부안에 안착되어 상기 2개의 탄환링이 서로 엇갈려 있게 된다. 그 결과 로우터가 회전되어짐에 따라 안쪽탄환이 로우터의 주변을 따라 이동하도록 힘을 받게 되고 바깥탄환링에 있는 각각의 탄환은 그 탄환의 바로 뒤에 있는 안쪽탄환링의 탄환과 접촉하여 회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받게 되는 것이다.
즉, 바깥쪽탄환링이 안쪽탄환링보다 반경이 더크기 때문에 바깥쪽탄환링에 있는 인접한 2개의 탄환사이에 요흠부가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로우터와 탄환출입구 사이에 있는 채널의 출입구는 2개의 탄환링이 서로 엇갈려 있는 상태에서 부터 1줄이 되도록 탄창의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폭의 감소는 안쪽탄환링의 탄환에 힘을 가하도록 된 캠블레이드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에서 모든 탄환은 2개의 탄환링에서부터 1개의 탄환링으로 바뀌어지는 동안에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에 의한 구름마찰은 탄환의 진행과정을 촉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탄환이 이송되는 동안 탄환들은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구동되어 지면서 탄환이 캠블레이드와 만날 때까지 2개의 탄환링을 이루면서 전진하게 되고, 상기 캠블레이드는 탄환을 눌려서 1열을 이루도록 하므로서 로우터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탄환의 속도보다 거의 2배의 속도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로우터가 1바퀴만 회전하게 되면 탄창이 완전히 비워질 수 있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최종의 마지막탄환이 이송되어 출구통로로 들어가게 됨에 따라 이 마지막탄환을 탄창의 바깥으로 계속하여 밀어내기 위한 수단으로서 로우터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아암이 갖추어져 있는데, 이 지지아암은 그 한쪽끝이 로우터에 축선회되도록 부착되어 있고 그 다른쪽끝에는 모의탄과 같은 탄환지지부재가 갖추어져 있다.
또 상기 지지아암은 탄창에 탄환이 장전되어 있을 때에는 안쪽 탄환링의 안쪽으로 접혀져 들어가 있다가 탄창이 비워 있을 때에는 바깥쪽으로 펼쳐져서 출구통로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지지아암은 모든 탄환을 탄창바깥으로 밀어낼수 있도록 적절하게 설계되어져 있지만 실제로는 탄환을 소총안으로 밀어넣기 위하여서는 적절한 부가적인 탄성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적절한 개수의 로우터를 탄창안에 형성시켜 주거나 탄창속에 장진시켜 두므로서 지지아암이 완전히 신장되었을때 상기 모의탄이 탄성수단의 길이를 보충하도록 되어 있다. 탄환의 장전은 송탄과정과는 반대과정으로 손이나 기계로써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탄창의 공급부에다가 탄환을 끼워 넣도록 되어 있고, 탄환이 끼워짐에 따라 먼저 끼워진 탄환은 탄창속으로 들어가면서 자동적으로 서로 동심을 이루면서 원주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있는 2개의 탄환링을 이루게 되고, 그에 따라탄창이 충만될 때까지 로우터가 스프링의 장력에 반하여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2개의 원통형 탄창을 이들의 탄환출입구 부분에서 연결수단으로 서로 연결시킨 것으로서, 상기 연결수단은 탄환을 양쪽의 탄창으로부터 이들 탄창 사이에 있는 송탄박스로 안내하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실시예는 M-16 소총과 같이 2중 컬럼박스형 탄창을 이용하는 소총의 경우에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각각의 드럼부로에서부터 이송되어 나오는 탄환은 중앙에 있는 송탄박스속에서 2줄의 엇갈린 탄환컬럼을 형성시키도록 안내되어지고, 상기 양쪽의 드럼은 중앙의 송탄박스가 소총에 장착될때 드럼부사이에 소총이 끼워질 수 있도록 충분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게 되는데, 이러한 실시예는 동일한 개수의 탄환이 장전될 수 있도록 된 단일 원통형 탄창보다도 더 소형화할 수 있으면서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가 있고, 지면과의 사이에 간격이 커지는 한편,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은 요구된 시간내에서 필요한 만큼의 탄환을 송탄시키는데 필요한 스프링의 장력을 감소시키고 또 주어진 스프링의 장력으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바, 즉 드럼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2개의 탄환링들이 한줄로 만들어져 드럼부에서 배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1개의 탄환을 소총으로 공급시켜 주기 위해 전체의 탄환이 이동되어야 하는 요구거리가 종래의 탄창에 비해 약 절반밖에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므로서 자동소총의 발사사이클에 맞게 탄환을 이동시켜주기 위한 스프링의 장력을 감소시켜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2줄로 된 탄환을 1줄로 변화시켜 주므로서 발생하게 되는 점진적인 이송작용의 효과와, 탄환들의 합성 가속력은 탄창속에 채워져 있는 탄환을 드럼부 밖으로 배출시켜 주기 위해 탄력지지하고 있는 스프링의 장력을 보상해 주게 되므로서 스프링의 장력을 감소시켜줄 수가 있게 되고, 또 이 효과는 반대로 별도의 탄환장전기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많은 양의 탄환을 빠른속도로 송탄시켜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부 박스형 탄창은 단일탄창에 축소된 2줄의 탄환컬럼으로 저장되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이러한 종래의 박스형탄창에서는 탄환과 탄환사이에 2줄로 된 탄환을 1줄로 만들기 위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탄환의 송탄에 구속력이 가해지게되고, 또 탄환을 가속시키는데 방해가 되고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탄창의 내부구조는 간단하면서도 금속의 압력이나 플라스틱의 사출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비를 낮출수가 있고 이러한 탄창은 가벼우면서 사용하기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군사목적으로 특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목적은 많은 개수의 탄환을 장전시킬수 있고, 또 별도의 특수한 소총이 필요한 것이 아니고 기존의 소총에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원통형 탄창을 제공함에 있고,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총이 발사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고도 많은 개수의 탄환을 송탄시킬 수 있는 기관총이나 자동소총등에 사용될 수 있는 탄창을 제공함에 있으며,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서 콤팩트하면서 가볍고 용량이 큰 탄창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따라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제1도에서는 M-16소총과 같은 자동소총(11)에 2중원통 탄창(10)이 부착된 것이 도시되어 있고, 상기 2중 원통형 탄창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부(1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2개의 드럼부(12)와 상기 드럼부(12)에 부착되어 있는 탄환송탄박스(14)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송탄박스(14)는 2줄의 탄환이 장탄되도록 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소총에 설치되어 있는 표준박스형 클립에 적합한 치수와 형태로 되어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2중 원통형 탄창의 상세도로서, 상기, 탄창의 각 드럼부(12)는 서로 완전한 대칭을 이루고, 상기 각각의 드럼부(12)의 중앙축(15)에는 로우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다음에 자세히 설명되겠지만 상기 로우터는 2개의 휘일(16, 17)로서 이루어진다. 제3도에는 전면휘일(16)만이 도시되어 있는 바, 이들 휘일(16, 17)의 원주상의 일부분에는 톱니부(18)가 형성되어 있고 이 톱니부의 잇빨 사이사이에 탄환이 안착되게 되어 있다.
상기 탄창에는 로우터의 휘일과 동심을 이루는 통상의 원통형벽(19)이 갖추어져 있고, 상기 로우터와 드럼부의 내면 사이에는 로우터의 주변둘레를 따라 채널을 이루는 공간(20)이 형성되어져 있는데, 이공간(20)은 2개의 탄환이 서로 어긋나게 접촉된 상태로 충분하게 지지되어질수 있는 정도의 폭으로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탄창에 탄환이 완전히 채워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공간(20)에는 2줄의 탄환링들이 동심상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여기서 안쪽의 탄환링에 있는 탄환(12)들은 로우터휘일(16)의 톱니부(18)에 끼워져 있는 반면, 바깥쪽의 탄환링에 있는 탄환(22)들은 상기 안쪽링에 있는 2개의 인접한 탄환(21)사이에 형성되는 요흠부(23)에 안착되어져 있다. 그리고 제3도와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각의 드럼부(12)에는 로우터에 지지되어 서로 어긋나게 접촉되어 있는 2개의 탄환링을 드럼부(12)의 출구(25)에서 1줄이 되도록 채널공간(20)의 폭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도록 된 캠블레이드(2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2개의 드럼부(12) 사이에 있는 연결부(26)는 양쪽의 드럼부(12)에서 부터 나오는 1줄씩 탄환을 하나의 출구(27)로 안내하고, 이 출구(27)는 탄환이 적당한 각도로 서로 엇갈려 통과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폭을 가지며, 또 이 연결부(26)에는 서로 엇갈려 있는 2줄의 탄환을 표준형의 송탄리프(29)로 이송시키기 위한 송탄 박스(28)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탄창밖으로 탄환이 이동되는 것은 각 드럼부(12)의 중앙에 있는 코일스프링(3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코일스프링(30)은 캠블레이드(24)의 한쪽 끝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31)와 로우터휘일(16)의 핀(32)사이에 장력을 받으면서 결러 있어서 탄환이 드럼부 바깥쪽의 캠지역으로 이송되도록 로우터를 회전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일 앞쪽에 있는 탄환(33)이 송탄리프(29)를 빠져 나가게 되면, 로우터에걸려 있는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로우터가 회전하면서 상기 탄환(33)이 있는 줄과 서로 엇갈려 있는 다른줄의 제일 앞쪽에 있는 탄환(34)이 송탄리프(29)에 이르러 멈추게 될때까지 전체의 탄환을 송탄리프(29)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 상기 각각의 로우터에는 지지아암(35)이 선회축(36)을 중심으로 축선회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데, 로우터에 걸려 있는 최종의 탄환(37)이 캠블레이드(24)에 의해 로우터의 톱니부(18)로부터 빠져 나가게 되면, 상기 지지아암(35)이 상기 최종탄환(37)에 계속하여 스프링의 장력을 가하도록 하여 탄환이 송탄리프(29)로부터 소총속으로 장전되어져 들어감에 따라 다음의 탄환을 탄창바깥으로 밀어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아암(35)은 탄창에 탄환이 완전이 채워졌을때 안쪽 탄환링속에 끼워져 들어갈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 지지아암(35)의 바깥쪽에는 모의탄(38)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모의탄(38)은 바깥쪽의 탄환링과 같이 배열되어 있다.
탄창이 완전히 비워지게 되면 상기의 모의탄(38)이 캠블레이드(24)의 영역속으로 들어가 다른 탄환과 마찬가지로 드럼부(12)의 출구통로 쪽으로 이동되어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 지지아암(35)이 바깥쪽으로 벌어져서 출구통로속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지지아암(35)은 연결부(26)와 출구(27)를 통하여 탄환을 드럼부(12) 바깥쪽으로 밀어낼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되어 있지만 송탄박스(28)안으로는 들어가지 않게 되어 있는데, 이 송탄박스(28)속에는 제3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모의탄(39)이 채워져 있고, 상기 모의탄(39)의 개수는 송탄박스(28)의 길이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또 상기 모의탄(39)중의 제일앞쪽에 있는 모의탄과 동일한 줄의 바로 뒤쪽에 있는 모의탄은 링크(40)로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탄창내에 있는 실탄이 완전히 다 사용되고 나면 이 모의탄이 링크(40)로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탄창내에 있는 실탄이 완전히 다사용되고 나면 이 모의탄이 소총으로 장전되어 들어가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실탄이 다 소모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
한편, 상기 탄창에 탄환을 장전시키고자 할 때에는 송탄리프(29)를 통하여 삽입시켜 주게 되는데, 이렇게 탄환이 탄창속에 들어가게 되면 이미 송탄박스(28)속에 들어가 있던 탄환이 밀려내려 가면서 연결부(26)의 분할점(41)에서 2줄로 나누어져 각각의 드럼속으로 안내되어지게 된다. 이렇게 실탄을 탄창속에 장전하는 동안에는 상기 모의탄(38)이 바깥쪽의 탄환링쪽으로 밀려지게 되는데, 이는 모의탄(38)에 작용되는 힘의 각도가 원주상의 바깥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며, 계속하여 드럼속으로 탄환이 삽입되게 되면 먼저 들어가 있는 탄환의 위치에 따라 자연히 바깥쪽의 탄환링과 안쪽의 탄환링쪽으로 교번하여 들어가게 되고, 이와같이 탄환이 드럼속으로 장전되어 들어감에 따라 로우터휘일을 스프링의 탄력에 반하여 회전시키게 되는바, 처음에는 지지아암에 가하여지는 힘에 의해 로우터가 회전되어지게 되고, 다음에는 로우터의 홈내부에 채워지면서 이루어지는 안쪽의 탄환링이 직접 로우터를 회전시키게 된다. 탄환의 장전은 로우터가 완전히 1바퀴 돌때까지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 지지아암의 끝에 있는 모의탄(38)은 캠블레이드(24)의 뒷면에 접촉되게 된다.
그리고 탄창에 장전되어 있던 탄환이 배출되어지는 동안 캠이 있는 부분으로 탄환이 들어가게 되면, 제4도와 제5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2줄로 되어 있던 탄환을 1줄로 만들기 위해 캠블레이드(24)가 탄환을 압착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캠블레이트(24)는 제5도의 오른쪽에 나타낸 바와같이 탄환의 앞뒤끝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면서 지레의 받침점과 같은 역할을 하여 탄환이 회전되어 나오면서 안쪽링에 있던 탄환이 바깥쪽링에 있는 탄환과 탄환사이를 비집고 들어가도록 누르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환은 그 외면이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의 얇은 캠블레이드(24)가 탄환의 어느 곳에 접촉되어도 캠블레이드의 받침점 역할에 의해 바깥링쪽으로 밀려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드럼부(12)는 송탄박스(28)와 함께 앞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어서 탄환의 경사각을 어느정도 보완하여 송탄작용을 원활하게 한다.
캠이 있는 부분에서 2열로 배열되어 있는 상태에서 1열로 바뀌어져가는 도중에 2열로 배열되어 있는 탄환들이 구르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미끄럼마찰이 아니고 그름마찰이 발생하게 되지만, 탄환이 부드럽게 바깥쪽으로 밀려나도록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드럼부(12)의 내면 접선부(42)와 캠블레이드(24)사이가 약 15°의 각도를 이루도록 되어 있는데, 이 각도는 탄환이 부드럽게 밀려날 수 있도록 하는 최대의 각도이다. 또한 캠블레이드의 캠운동(탄환을 바깥으로 밀어내는 운동)을 부드럽게 하기위해서는 바깥쪽의 탄환링에 있는 2개의 인접한 탄환 사이의 간격(43)이 근접되기 시작하기 전에 캠운동이 시작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캠운동은 바깥쪽의 탄환링에 있는 각각의 탄환이 접선부(42)에 도달하게 되면 이루어지게 된다.
또,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바깥쪽 탄환링이나 안쪽 탄환링에 있는 인접한 탄환들이 중앙축(15)에 대해 이루는 각도(44)가 15°가 되므로, 안쪽링에 있는 탄환과 바깥쪽링에 있는 탄환사이에 이루어지는 각도(45)는 7.5°가 된다. 따라서 캠블레이드(24)는 드럼부(12)의 접선부(42)에 이르기 전에 적어도 7.5°각도의 이전지점에서 안쪽링에 있는 탄환을 바깥쪽으로 밀어내게 된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캠블레이드(24)와 드럼부(12)의 접선부(42)사이의 각도는 안쪽링에 있는 서로 인접한 탄환들 사이의 각도(44)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한다.
또한, 로우터의 전후면휘일(16, 17)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부(18)는 안족탄환링의 탄환이 캠블레이드(24)의 작동영역의 앞쪽으로의 이동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뻗어 있어야만 한다.
제5도에는 중앙축(15)위에 설치되어 있는 로우터의 전후면휘일(16, 17)이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는바, 상기 코일스프링(30)은 서로 반대로 감겨진 2개의 코일스프링부(46, 47)로 이루어져 있고, 이 코일스프링부는 중심이 캠블레이드(24)에 걸려 있는 단일 와이어로 형성되어 있다.
제6도는 상기 드럼부(12)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부품들을 분리하여 상세하게 도시한 것으로, 상기한 바와같은 부품들에 스크류(50)와 와셔(51)를 이용하여 중앙축(15)에 드럼부(12)의 전후면판(48, 49)이 결합되어져 있고, 또 상기 코일스프링(30)을 지지하고 전후면휘일(16, 17)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스페이셔(5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캠블레이드(24)는 중앙축(15)에 설치되어서 스크류(53)에 의해 드럼부(12)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아암(35)은 만곡된 U자형으로 구부러져 있으면서 이의 한쪽끝에 피봇구멍(36)안에 끼워지는 원통형의 축선회핀(54)이 갖추어져 있고, 이 지지아암(35)에 끼워져 있는 모의탄(39)은 상기 지지아암의 축선회지지된 반대쪽 끝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58)을 관통하여 삽입되어지는 핀(57)으로 연결된 탄환모양의 헤드(55)와 꼬리부(56)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멍(58)은 핀(57)의 직경보다 약간 크고 양쪽의 개구부로 갈수록 경사져 있어서 모의탄(39)의 캠구역으로 나아감에 따라 회전하고 경사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아암(35)에는 U자형 개구부가 형성되어져 있어서 제4도에서와 같이 탄환이 충전되었을때나 제3도에서와 같이 탄환이 완전히 다 사용되었을때 상기 U자형 개구부속에 캠블레이드(24)가 들어가 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제7도는 지지아암(35)과 캠블레이드(24)의 상호작용을 좀더 명확하게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 지지아암(35)의 앞쪽끝의 탄환지지부분에는 상기 지지아암이 캠블레이드(24)와 겹쳐서 접혀지도록 하므로서 탄창안에 탄환이 충진될때 탄환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여유공간을 형성시켜 주기 위한 요홈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즉 1개의 드럼부로만 이루어진 단일드럼탄창(110)을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의 부품과 작용은 근본적으로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중앙축(115)에 설치되어 안쪽탄환링(121)과 바깥쪽탄환링(122)을 드럼(112)의 둘레를 따라 이동시켜주게 되는 휘일(116)을 구비하고 있고, 제일 앞쪽에 있는 탄환(133)이 빠져 나가고 나면 상기 안쪽 및 바깥쪽링(121, 122)의 2열로 된 탄환은 캠블레이드(124)에 의해 1열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한 바의 2중 드럼으로 된 탄창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최종의 탄환을 바깥으로 밀어내기 위한 지지아암(135)을 갖추고 있으나 상기 연결부(26)와 같은 것이 필요없고, 송탄박스(128)에는 1열의 탄환만이 장전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탄창은 금속이나 합성수지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내구성과 작동의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서 드럼과 연결부를 사출성형에 의하여 다른 부품들과 함께 일체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탄창의 크기는 이속에 장전시킬 탄환에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가변시킬 수가 있다. 더우기 상기한 바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거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한정한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41)

  1. 소총에 탄환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된 원통형 탄창에 있어서, 탄환을 방출하기 위해 한쪽측방향으로 뻗어 있는 출구를 갖춘 드럼부와, 상기 드럼부의 내부에 동심상으로 배열되어 서로 어긋나 있는 2줄의 탄환링을 지지하여 이송시키되, 안쪽탄환링에 있는 바깥쪽탄환링에 있는 서로 근접한 2개의 탄환사이에 이루어지는 요홈속에 안착되어서, 바깥쪽탄환링에 있는 탄환을 이 탄환 바로뒤에 있는 안쪽탄환링의 탄환에 의해 드럼부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도록 밀어 부치고, 안쪽탄환링에 있는 각각의 탄환위치를 결정해 주는 한편, 이 안쪽탄환링에 있는 각각의 탄환을 드럼부의 둘레를 따라 회전시키는 수단을 갖춘 탄환이송수단 및, 탄환이 탄창 바깥으로 빠져나갈때 2줄의 탄환링을 서로 교차시켜 1줄로 만들기 위해 상기 드럼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탄환이 채워지는 내부공간에서부터 드럼부의 출구까지 형성되어지는 통로와 드럼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2. 제1항에 있어서, 원통형 탄창이 상기 드럼부의 출구에 연통되어 있으면서 탄환이송 채널을 이루는 송탄수단과, 상기 드럼부안에서 캠수단과 드럼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통로안으로 탄환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탄환이송수단에 탄성을 가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3. 제1항에 있어서, 안쪽탄환링에 있는 각각의 탄환위치를 결정해 주고 상기 안쪽탄환링에 있는 각각의 탄환을 드럼부의 둘레를 따라 회전시키도록 된 수단은 상기 탄환 이송수단의 바깥원주면에 형성된 톱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휘일로 이루어지는 드럼부와 탄환이송수단은 드럼부의 전후면판에 부착되어 이 드럼부의 중심에 위치되어 있는 축과, 상기 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전후면휘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는 전후면휘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캠수단은 드럼부와 함께 통로를 이루는 가장자리부를 갖추고 이 드럼부에 연결되어 있는 캠블레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캠블레이드는 드럼부의 전후면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캠블레이드의 한쪽끝이 탄환의 양쪽끝에서부터 충분하게 떨어진 지점에서 안쪽탄환링으로부터 빠져 나온 탄환과 접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7. 제6항에 있어서, 안쪽탄환링에 있는 각각의 탄환위치를 결정해 주고 상기 안쪽 탄환링에 있는 각각의 탄환을 드럼부의 둘레를 따라 회전시키도록 된 수단은 상기 탄환이송수단의 바깥원주면에 형성된 톱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환이송수단은 상기 드럼부의 전후면단에 부착되어 이 드럼부의 중심에 위치되어 있는 축과, 상기 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전후면휘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9. 제8항에 있어서, 탄환이송수단은 드럼부속에 있는 탄환을 캠수단과, 드럼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속으로 밀어넣기 위해 상기 탄환이송수단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10. 제9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은 탄창에서 탄환을 송탄하는 동안 최종탄환이 탄환이송장치를 떠난 후 이 최종탄환을 탄창밖으로 밀어내기 위해 상기 탄환이송장치에 부착된 지지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이 지지수단이 펼쳐져 있지 않을때 바깥쪽탄환링에 위치하여 있고 탄환의 외경과 거의 유사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 돌기와, 한쪽이 상기 원통형 돌기에 부착되고 다른쪽탄환링의 한지점에서 탄환이송수단에 부착되며, 탄창속에 탄환이 완전히 장전되어 있을때는 내부탄환링 안으로 들어가고 탄창이 완전히 비워져 있을때는 탄환의 출구통로속으로 뻗어져 들어가도록 만곡져 있는 아암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캠블레이드는 전후면휘일 사이에 위치하면서 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코일 스프링은 이중 비틀림스프링으로 이루어져서 그 중심이 U형상으로 되어 캠블레이드와 결속되고 상기 스프링의 앞쪽반이 상기 전면휘일을 구동시키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뒤쪽반이 후면휘일을 구동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이의 뒤쪽끝이 전·후면휘일에 연결되어 상기 휘일의 운동에 따라 작동하게 되고, 또 돌출선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U자형의 개구부가 형성되어서 휘일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블레이드를 수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이의 뒤쪽끝이 전·후면휘일에 연결되어 상기 휘일의 운동에 따라 작동하게 되고, 또 돌출선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U자형의 개구부가 형성되어서 휘일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블레이드가 개구부속에 수용되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캠수단의 캠블레이드는 출구통로의 한쪽 측면에 대한 각도가 15°이하로 된 출구통로의 다른쪽 측면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캠수단의 캠블레이드는 출구통로의 한쪽측면에 대한 각도가 안쪽탄환링에 있는 서로 이웃하는 탄환들 사이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갖는 출구통로의 다른쪽 측면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캠수단의 캠블레이드는 안쪽탄환링의 안쪽원주면에 접하여 있고, 드럼부의 내면이 상기 출구통로에서 바깥쪽탄환링의 바깥원주면에 접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캠수단의 캠블레이드는 드럼부 내면인 접선부에 위치하여 바깥쪽탄환링의 서로 인접된 각각의 탄환이 앞서서 안쪽탄환링의 탄환이 캠수단에 먼저 도달되어지도록 하므로서, 바깥쪽탄환링의 서로 근접된 탄환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 좁혀지기 시작하기 전에 안쪽 탄환링에 있는 각각의 탄환이 상기 바깥쪽탄환링에 형성되는 간격사이로 밀고 들어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통형 탄창.
  19. 소총에 탄환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된 탄창에 있어서, 탄환을 방출하기 위해 한쪽측방으로 뻗어있는 출구를 갖추고서 원통형으로 되어 있는 2개의 드럼부와, 상기 드럼부의 각 출구를 이루는 개구부에서 양쪽의 드럼부를 연결시키고, 상기 양쪽의 드럼부에서 각각 1줄씩으로 방출되어 나오는 탄환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를 갖추고 있는 한편, 상기 1줄씩으로 된 탄환들이 통로를 빠져 나감에 따라 서로 엇갈린 2개의 탄환줄로 만들도록 도니 연결수단, 상기 연결수단으로부터 탄환을 소총으로 공급하고, 탄환의 공급개구부를 갖추고 있는 한편, 상기 연결수단으로부터 탄환을 공급개구부까지 2개의 탄환줄이 서로 엇갈려지게 통과하도록 된 통로를 갖춘 송탄상자, 상기 드럼부안에 설치되고, 드럼부의 내벽과의 사이에 동심을 이루면서 서로 엇갈려 있는 2개의 탄환링을 수용하는 공간을 이루도록 되어 있으면서 안쪽탄환링에 있는 탄환이 바깥쪽탄환링에 있는 서로 근접한 2개의 탄환사이에 이루어지는 요홈속에 안착되어서 바깥쪽탄환링에 있는 탄환을 이 탄환 바로 뒤에 있는 안쪽탄환링의 탄환에 의해 드럼부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도록 밀어 부치고, 안쪽탄환링에 있는 각각의 탄환위치를 결정해 주는 한편, 이 안쪽탄환링에 있는 각각의 탄환을 드럼부의 둘레를 따라 회전시키는 수단을 갖춘 탄환이송수단 및, 상기 드럼부속에 위치하면서 이 드럼부와 함께 상기 탄환수용공간에서부터 출구의 개구부까지 동심을 이루면서 서로 엇갈려 있는 2개의 탄환줄이 탄창의 바깥으로 이동되어 갈 때 2개의 탄환줄을 서로 밀어부쳐 1줄로 만들기 위한 통로를 이루도록 된 캠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20. 제19항에 있어서, 안쪽탄환링에 있는 각각의 탄환위치를 결정해 주고, 상기 안쪽탄환링에 있는 각각의 탄환을 드럼부의 둘레를 따라 회전시키도록 된 수단은 상기 탄환이송수단의 바깥원주면에 형성된 톱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휘일로 이루어지는 드럼부와 탄환이송수단은 상기 드럼부의 전후면단에 부착되어 이 드럼부의 중심에 위치되어 있는 축과, 상기 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전후면휘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22. 제21항에 있어서, 탄환이송수단은 드럼부속에 있는 탄환을 캠수단과 드럼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속으로 밀어넣기 위해 상기 탄환이송수단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부는 전후면휘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캠수단은 드럼부와 함께 통로를 이루는 가장자리부를 갖추고 이 드럼부에 연결되어 있는 캠블레이드는 드럼부의 전후면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캠블레이드의 한쪽끝이 탄환의 양쪽끝에서부터 충분하게 떨어진 지점에서 안쪽탄환링으로부터 빠져나온 탄환과 접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24. 제23항에 있어서, 안쪽탄환링에 있는 각각의 탄환위치를 결정해주고, 상기안쪽탄환링에 있는 각각의 탄환을 드럼부의 둘레를 따라 회전시키도록 된 수단은 상기 탄환이송수단의 바깥원주면에 형성된 톱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탄환이송수단은 상기 드럼부의 전후면판에 부착되어 이 드럼부의 중심에 위치되어 있는 축과, 상기 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전후면휘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26. 제25항에 있어서, 탄환이송수단은 드럼부속에 있는 탄환을 캠수단과 드럼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속으로 밀어넣기 위해 상기 탄환이송수단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27. 제26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은 탄창에서 탄환을 송탄하는 동안 최종탄환이 탄환이송장치를 떠난 후 이최종탄환을 밀어내기 위해 상기 탄환이송장치에 부착된 지지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이 지지수단이 펼쳐져 있지 않을때 바깥쪽탄환링에 위치하여 있고 탄환의 외경과 거의 유사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 돌기와, 한쪽이 상기 원통형 돌기에 부착되고 다른쪽탄환링의 한 지점에서 탄환이송수단에 부착되며, 탄창속에 탄환이 완전히 장전되어 있을때는 안쪽탄환링 안으로 들어가고 탄창이 완전히 비워져 있을 때는 탄환의 출구통로속으로 뻗혀져 나오도록 만곡져 있는 아암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캠블레이드는 전후면휘일 사이에 위치하면서 축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코일 스프링은 이중 비틀림스프링으로 이루어져서 그 중심이 U형상으로 되어 캠블레이드와 결속되고 상기 스프링의 앞쪽반이 상기 전면휘일을 구동시키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뒤쪽반이 후면휘일을 구동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이의 뒤쪽끝이 전·후면휘일에 연결되어 상기 휘일의 운동에 따라 작동하게 되고, 돌출선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U자형의 개구부가 형성되어서 휘일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블레이드를 수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이의 뒤쪽끝이 전·후면휘일에 연결되어 상기 휘일의 운동에 따라 작동하게 되고, 돌출선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U 자형의 개구부가 형성되어서 휘일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블레이드를 수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32.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캠수단의 캠블레이드는 출구통로의 한쪽 측면에 대한 각도가 15°이하로 된 출구통로의 다른쪽 측면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33.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캠수단의 캠블레이드는 출구통로의 한쪽 측면에 대한 각도가 안쪽탄환링에 있는 서로 이웃하는 탄환들 사이에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출구통로의 다른쪽 측면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3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캠수단의 캠블레이드는 안쪽탄환링의 안쪽원주면에 접하여 있고, 드럼부의 내면이 상기 출구통로에서 바깥쪽 탄환링의 바깥원주면에 접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캠수단의 캠블레이드는 드럼부 내면의 접선부에 위치하여 바깥쪽탄환링의 서로 인접된 각각의 탄환이 상기 드럼부 내면의 접선부에 도달하기에 앞서서 안쪽탄환링이 탄환이 먼저 도달되어지도록 하므로서 바깥쪽 탄환링의 서로 근접된 탄환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 좁혀지기 전에 안쪽탄환링에 있는 각각의 탄환이 상기 바깥쪽탄환링에 형성되는 간격 사이로 밀로 들어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3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드럼부와 연결수단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탄창.
  37. 탄환을 서로 엇갈린 2개의 링형태로 보관을 하되, 상기 탄환링이 원통의 드럼속에서 동심을 이루면서 한쪽의 탄환링에 있는 탄환이 다른쪽의 탄환링에 있는 인접한 2개의 탄환사이에 이루어지는 요홈속에 안착되도록 저장하고, 안쪽탄환링에 있는 각각의 탄환을 밀어 엇갈려 있는 탄환들이 함께 원통드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탄환링의 제일앞쪽에 있는 탄환을 원통드럼의 출구쪽으로 유도하며, 상기 탄환이 원통드럼을 빠져나가기 전에 서로 엇갈린 2개의 탄환링을 서로 밀어부쳐 1개의 탄환줄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의 저장 및 이송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엇갈린 2개의 탄환링을 서로 밀어 부치는 단계는 바깥쪽탄환링에 있는 서로 인접한 탄환들이 바깥쪽 탄환링에 의해 형성되는 원호상을 떠나기 직전의 지점에서 안쪽탄환링에 있는 각각의 탄환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안쪽탄환링에 있는 각각의 탄환이 바깥쪽탄환링에 있는 서로 인접한 탄환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 좁혀지기 전에 상기 간격속으로 밀고 들어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의 저장 및 이송방법.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탄환을 유도하는 단계는 원통드럼을 빠져나가는 탄환이 소총속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는 탄환저장 및 이송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탄환을 유도하는 단계는 양쪽의 원통드럼으로부터 나오는 탄환을 각각 1줄이 되도록 유도시켜 이 탄환이 소총으로 공급되기 이전에 서로 엇갈린 2줄이 되도록 하고, 상기 엇갈린 2줄의 탄환을 소총속으로 공급하며, 상기 2개의 탄환줄에 있는 다음이 탄환이 소총속으로 반복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저장 및 이송방법.
  4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드럼을 빠져 나간 탄환이 원통드럼속에 있는 탄환이 이동되는 거리보다 약 2배의 거리만큼 이동되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저장 및 이송방법.
KR1019870700252A 1985-07-24 1986-03-17 원통형 탄창 KR910003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759,058 US4658700A (en) 1985-07-24 1985-07-24 Drum magazine
US759058 1985-07-24
PCT/US1986/000515 WO1987000614A1 (en) 1985-07-24 1986-03-17 Drum magaz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0238A KR880700238A (ko) 1988-02-20
KR910003038B1 true KR910003038B1 (ko) 1991-05-17

Family

ID=2505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700252A KR910003038B1 (ko) 1985-07-24 1986-03-17 원통형 탄창

Country Status (34)

Country Link
US (1) US4658700A (ko)
EP (1) EP0210713B1 (ko)
JP (1) JPS62501579A (ko)
KR (1) KR910003038B1 (ko)
CN (1) CN1005045B (ko)
AT (1) ATE39570T1 (ko)
AU (1) AU568788B2 (ko)
BR (1) BR8606808A (ko)
CA (1) CA1234006A (ko)
CU (1) CU21942A3 (ko)
DD (1) DD248646A5 (ko)
DE (2) DE3661577D1 (ko)
DK (1) DK147387A (ko)
EG (1) EG17729A (ko)
ES (1) ES2000732A6 (ko)
FI (1) FI91322C (ko)
GB (1) GB2187269B (ko)
GR (1) GR861928B (ko)
HK (1) HK83792A (ko)
HU (1) HUT44330A (ko)
IE (1) IE57249B1 (ko)
IL (1) IL78211A0 (ko)
MW (1) MW1687A1 (ko)
MX (1) MX162988B (ko)
MY (1) MY100643A (ko)
NO (1) NO171654C (ko)
OA (1) OA08578A (ko)
PH (1) PH22511A (ko)
SG (1) SG792G (ko)
SU (1) SU1662358A3 (ko)
TR (1) TR23112A (ko)
WO (1) WO1987000614A1 (ko)
ZA (1) ZA865457B (ko)
ZW (1) ZW139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650B1 (ko) * 2012-08-31 2013-06-11 노태종 드럼식 탄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9979A (en) * 1986-11-12 1990-07-10 Ross Capawana Machinegun ammunition container relationship to other applications
US4903575A (en) * 1988-02-29 1990-02-27 Ross Capawana Machinegun ammunition container
US5456153A (en) * 1994-11-21 1995-10-10 Bentley; James K. Magazine for pump action shotgun
US5600083A (en) * 1994-11-21 1997-02-04 Bentley; James K. Magazine for pump action shotgun
US5905224A (en) * 1998-06-18 1999-05-18 Paul William Jordan Pulley belt magazine
DE102004024302B4 (de) * 2004-05-15 2008-04-10 Kraus-Maffei Wegmann Gmbh & Co. Kg Gurtkasten für eine lafettierte Granatmaschinenwaffe
US7441491B2 (en) * 2005-11-14 2008-10-28 Annatac Industries, Incorporated Drum magazine for firearm
US7806036B2 (en) * 2006-01-03 2010-10-05 Browning Magazine apparatuses, firearms including same, and method of introducing an ammunition cartridge into a firearm
US8156675B2 (en) 2007-03-08 2012-04-17 Browning Firearm magazine
US7942091B2 (en) * 2007-05-08 2011-05-17 Winge Michael L Shotgun drum magazine
US7762174B1 (en) * 2007-06-01 2010-07-27 General Dynamics Armament And Technical Products Ammunition container and feed system
BE1018257A4 (fr) * 2007-06-05 2010-08-03 Otero Y Alonso Gabriel Chargeur camembert a haute capacite pour riotgun fait pour le systeme cats et tous les autres fusils.
US20100083818A1 (en) * 2008-10-02 2010-04-08 David Joe Harris Firearm adapter for am180 .22 caliber cartridge drums
US8196327B2 (en) * 2009-10-07 2012-06-12 Kevin Wayne Rich Modular magazine assembly
US8347774B2 (en) * 2009-10-07 2013-01-08 Kevin Wayne Rich Magazine with cartridge gear
US8220377B2 (en) * 2009-11-09 2012-07-17 Meninas Inc. Ammunition feed system for firearm
US8448558B2 (en) * 2009-11-09 2013-05-28 Meninas Inc. Ammunition feed system for firearm
WO2011155971A1 (en) 2010-05-24 2011-12-15 Meninas Inc. Ammunition feed system for firearm
US8485083B1 (en) * 2011-08-03 2013-07-16 Mahlon Duane Care Single-feed magazine adapter for firearms
KR101220503B1 (ko) * 2012-03-13 2013-01-10 노태종 드럼식 탄창
US8839706B1 (en) * 2013-03-05 2014-09-23 Real Action Paintball (RAPY) Drum magazine for projectiles
US9528784B2 (en) * 2014-10-14 2016-12-27 Magpul Industries Corp. Drum magazine assembly and methods
USD765813S1 (en) 2014-12-31 2016-09-06 Magpul Industries Corporation Drum magazine for a firearm
BE1023730B1 (fr) 2015-12-17 2017-06-30 Cockerill Maintenance & Ingenierie S.A. Dispositif d'alimentation en munitions de moyen calibre à plateau tournant
US9772153B1 (en) 2016-07-01 2017-09-26 Smith & Wesson Corp. Rotary ammunition magazine and follower
US9927194B2 (en) 2016-07-01 2018-03-27 Smith & Wesson Corp. Rotary ammunition magazine and follower
US10371475B2 (en) 2016-09-21 2019-08-06 Browning Firearm magazine
US10393474B2 (en) 2017-01-16 2019-08-27 United Tactical Systems, Llc High capacity projectile loader
KR101942183B1 (ko) 2017-05-24 2019-01-24 배교환 쌍통형 탄창조립체
KR101942186B1 (ko) 2017-05-31 2019-03-18 배교환 원통형 탄창
US10082353B1 (en) * 2017-10-09 2018-09-25 Pro Mag Mfg., Inc. Drum magazine
CN108088305B (zh) * 2017-12-11 2019-08-16 康郦 中大口径自动火炮快速自动选弹方法
US10612871B2 (en) * 2017-12-22 2020-04-07 Michael J. Davidson Drum ammunition magazine for rimmed cartridges
US10634449B2 (en) 2018-01-19 2020-04-28 United Tactical Systems, Llc Air actuated magazine for projectile loader
US10495405B1 (en) * 2018-08-02 2019-12-03 Buzz Bee Toys (HK) Co., Limited Magazine for a toy gun
US10495406B1 (en) * 2018-08-02 2019-12-03 Buzz Bee Toys (HK) Co., Limited Magazine for a toy gun
WO2020264274A1 (en) * 2019-06-28 2020-12-30 Magpul Industries Corp. Slide lock-back follower assembly
DE102020113534B3 (de) * 2020-05-19 2021-09-09 Carl Walther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Magazin-Vorrichtung für Schusswaffen mit optimierter Raumnutzung
USD1013085S1 (en) * 2020-10-15 2024-01-30 Doug Hepler Loading device for firearms magazine
CN113267087B (zh) * 2021-05-13 2023-11-17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齿轮机构传动的外置拨片双供料装置
USD984557S1 (en) * 2022-07-14 2023-04-25 Guangdong Changding Supply Chain Co. LTD. Double-tubed gel blaster
USD1013088S1 (en) * 2022-12-22 2024-01-30 Doug Hepler Air gun magazin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17737A (ko) * 1935-10-02
BE418563A (ko) * 1935-11-26
BE439966A (ko) * 1939-03-27
GB628734A (en) * 1945-11-15 1949-09-05 Hydran Product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agazines for rounds of ammunition
US3239959A (en) * 1964-03-24 1966-03-15 Sturm Ruger & Co Removable magazine for repeating gun
DE1553877A1 (de) * 1967-07-25 1971-08-12 Heckler & Koch Gmbh Trommelmagazin fuer automatische Handfeuerwaffen
US4127954A (en) * 1977-04-07 1978-12-05 Erich Hausmann Extended capacity cartridge magazine structure
US4138923A (en) * 1977-06-29 1979-02-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Drum cartridge - magazine
US4384508A (en) * 1980-12-11 1983-05-24 Chartered Industries Of Singapore Private Ltd. Drum magazine for a gun
US4413546A (en) * 1980-12-17 1983-11-08 Taylor Jr William J Drum magazine for carbines or the like
US4487103A (en) * 1982-06-24 1984-12-11 Atchisson Maxwell G Drum magaz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650B1 (ko) * 2012-08-31 2013-06-11 노태종 드럼식 탄창
WO2014035032A1 (ko) * 2012-08-31 2014-03-06 No Tae Jong 드럼식 탄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501579A (ja) 1987-06-25
AU568788B2 (en) 1988-01-07
CA1234006A (en) 1988-03-15
EG17729A (en) 1991-06-30
IL78211A0 (en) 1986-07-31
GR861928B (en) 1986-11-25
FI91322B (fi) 1994-02-28
DK147387D0 (da) 1987-03-23
ES2000732A6 (es) 1988-03-16
SU1662358A3 (ru) 1991-07-07
NO871191D0 (no) 1987-03-23
JPH0481719B2 (ko) 1992-12-24
EP0210713A1 (en) 1987-02-04
PH22511A (en) 1988-09-12
GB8703955D0 (en) 1987-03-25
MY100643A (en) 1990-12-29
OA08578A (en) 1988-09-30
ATE39570T1 (de) 1989-01-15
MW1687A1 (en) 1988-08-10
DD248646A5 (de) 1987-08-12
NO171654C (no) 1993-04-14
BR8606808A (pt) 1987-10-13
US4658700A (en) 1987-04-21
AU5690586A (en) 1987-02-10
GB2187269B (en) 1989-01-05
ZW13986A1 (en) 1986-12-17
GB2187269A (en) 1987-09-03
DE3661577D1 (en) 1989-02-02
CN1005045B (zh) 1989-08-23
MX162988B (es) 1991-07-30
ZA865457B (en) 1987-03-25
TR23112A (tr) 1989-01-01
FI871092A0 (fi) 1987-03-12
DE210713T1 (de) 1987-11-05
KR880700238A (ko) 1988-02-20
WO1987000614A1 (en) 1987-01-29
DK147387A (da) 1987-03-23
HK83792A (en) 1992-11-06
NO171654B (no) 1993-01-04
FI91322C (fi) 1994-06-10
CU21942A3 (ko) 1996-10-05
SG792G (en) 1992-03-20
HUT44330A (en) 1988-02-29
IE57249B1 (en) 1992-06-17
FI871092A (fi) 1987-03-12
CN86105123A (zh) 1987-06-17
IE861950L (en) 1987-01-24
EP0210713B1 (en) 198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3038B1 (ko) 원통형 탄창
US5335579A (en) Indexing helical feed magazine
US8037800B2 (en) Drum magazine for firearm
US4332097A (en) Drum magazine for automatic pistol or the like
US4676137A (en) Weapon firearm with magazine
US4905395A (en) Increased capacity magazine for firearm
US7806036B2 (en) Magazine apparatuses, firearms including same, and method of introducing an ammunition cartridge into a firearm
US8813630B2 (en) Helical ammunition magazine
US8117956B2 (en) Magazine for a hand gun
US4905394A (en) Top mounted longitudinal magazine
US5544642A (en) Multiple projectile blow gun magazine assembly
US6272967B1 (en) Modular ammunitio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JPH02133800A (ja) 送弾装置
USH164H (en) High capacity magazine for weapons
US5170006A (en) Propellant magazine for field artillery piece
US6520169B1 (en) Weapon for centrifugal propulsion of projectiles
CA2056489A1 (en) Propellant magazine for field artillery piece
CA1191373A (en) Dual shell feeding apparatus, with shell accumulators, for automatic guns
US4831914A (en) Multiple tier ammunition magazine
JPS61143700A (ja) 外力駆動火砲のための遅延点火の監視装置
JPH0325299A (ja) 弾倉及び弾薬筒供給装置
UA43808C2 (uk) Пристрій для забезпечення плавного регулювання темпу стрільби автоматичних гармат
JPH07139895A (ja) 機関砲の弾薬給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1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