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730B1 - Television receiver tuning device - Google Patents

Television receiver tun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730B1
KR830000730B1 KR7803267A KR780003267A KR830000730B1 KR 830000730 B1 KR830000730 B1 KR 830000730B1 KR 7803267 A KR7803267 A KR 7803267A KR 780003267 A KR780003267 A KR 780003267A KR 830000730 B1 KR830000730 B1 KR 830000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ing
signal
channel
mode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8032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알랜 스텍클러 스티이븐
루벤 발라아반 알빈
Original Assignee
에드워드 제이 노오톤
알. 씨. 에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드워드 제이 노오톤, 알. 씨. 에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에드워드 제이 노오톤
Priority to KR7803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73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7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5/00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Abstract

A receiver is tuned by a memory system which stores programming information to tune to different channels in sequence. Poor reception on a channel causes next choice to be selected. A receiver tuning system comprises a tuning element which responds to a voltage to alter tuning. A binary signal generator generates signals which represent tuning voltages which are then stored in a memory. A selector produced binary signals representing preferred and non preferred conditions which are stored in a second memory. Both memories are addressed by switching to select mode of operation and tuning sequence.

Description

텔레비젼 수상기용 동조장치TV receiver tuning device

제1도는 동조용 정보를 축적하기 위한 기억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동조장치의 프로그래밍 및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누룸단추의 동작순서를 검출하는 순서 검출기의 관련하여 동작하는 누룸단추의 배열을 가진 본 발명이 따른 동조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1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n arrangement of a Nurum button operating in association with a memory device for accumulating tuning information and an order detector for detecting an operation sequence of a Nurum button for controlling the programming and operation of the tu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lock diagram of the tuning device accordingly.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제1도의 장치의 순서 검출기 구성의 논리 다이어그램.2 is a logic diagram of the sequence detector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of FIG. 1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용의 동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동조정보를 축적하기 위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ning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and to an apparatus including a memory for storing tuning information.

동조정보를 대표하는 2진 정보를 축적하기 위한 메모리를 가진 텔레비젼 수상기용의 동조장치는 이미 알려져 있다.Background Art A tuning device for a television receiver having a memory for storing binary information representing tuning information is already known.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장치는 시청자가 선택할 수 있는 각종 채널(channel)에 대응하는 동조 전압을 대표하는 2진 신호를 축적하기 위한 복수의 기억위치를 가진 동조 전압 메모리와, 동조 전압 메모리에 축적된 2진 신호를 바랙터 다이오드(Varactor diode)와 같은 전압 가변형 동조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동조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아나로그(Digital-amalog) 변환기와, 그리고 동조 전압메모리의 기억위치를 어드레스(adress)한 후, 시청자가 예컨대 "상(up)" 누룸단추 "하(Down)" 누룸단추를 눌러 채널을 선택할때에 동조전압 메모리에 축적된 2진신호를 인출해내기 위한 채널 선택회로를 갖고 있다. 도한 이같은 동조장치는 채널이 희망하는 채널인가 그렇지 않은가를 표시하는 채널의 각각에 대한 2진정보를 축적하기위하여, 시청자가 "상(up)" 누룸단추 또는 "하(Down)" 누룸단추의 어느 것인가를 눌렀을때에 어드레스되는 복수의 기억위치를 가진 스킵(skip)채널 메모리를 갖고 있다. 예로서, 만일 수신 특성이나 프로그램의 내용등의 이유에 의해 희망하는 채널이 아닌 경우에는 그 채널은 동조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건너뛰게 된다.In general, such an apparatus includes a tuning voltage memory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positions for accumulating a binary signal representing a tuning voltage corresponding to various channels selectable by a viewer, and two stored in the tuning voltage memory. A digital-analog converter for converting a true signal into a tuning voltage for controlling a voltage-tuned tuning element such as a varactor diode, and an address of a storage location of the tuning voltage memory. Thereafter, the viewer has a channel selection circuit for extracting the binary signal accumulated in the tuning voltage memory when the viewer presses the "up" push button "down" push button to select a channel. Such tuning devices also allow viewers to accumulate binary information for each of the channels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channel is the desired channel, so that the viewer can choose which of the " up " or " down " It has a skip channel memory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positions that are addressed when pressing. For example, if the channel is not the desired channel due to reception characteristics or program contents, the channel is automatically skipped by the tuning device.

메모리내에 축적된 동조정보는 사용자의 주거위치에서의 특정의 동조 조건에 적합하게끔 특별히 프로그램될 수 있으므로, 메모리를 가진 동조장치는 다른 형식의 동조장치보다도 유리한 면을 보인다. 제조업자는 각 사용자의 거주위치에서의 동조 조건을 미리 알 수 없으므로, 사용자 자신이 어느 프로그래밍을 행하지 않으면 안될 경우가 허다하다. 대개의 사용자들은 전자계기의 프로그래밍에는 익숙하지 못하므로, 프로그래밍 장치는 조작이 비교적 간편한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적어도 통상의 회전식 동조 손잡이에의해서 조작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동조전압 축적용 메모리를 구비한 텔레비젼·튜더용 프로그래밍 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프로그래밍 장치는 누룸단추, 스위치 및 표시용 발광 수단등 가능한 적은수의 프로그래밍 수단으로 되며 또한 이들 프로그래밍 수단이 상대적으로 값싼 것이 바람직 하다.Since the tuning beams accumulated in the memory can be specially programmed to suit specific tuning conditions at the user's residential location, a tuning device with a memory is advantageous over other types of tuning devices. Since the manufacturer cannot know in advance the tuning conditions at the location of each user, it is often necessary for the user to perform any programming. Since most users are not familiar with the programming of electronic instruments, it is desirable that the programming device be relatively easy to operate. Furthermore,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operate the programming device for television tuners provided with the memory for tuning voltage accumulation, in such a manner as to be operated at least by the usual rotary tuning knob. Finally, the programming device may be as few programming means as possible, such as push buttons, switches and light emitting means for displays, and it is also desirable that these programming means be relatively inexpensi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상기를 몇개의 동조 위치에 동조시키기 위한 동조장치는 전압가변형 동조소자와, 전압 가변형 동조소자를 제어하기 위하여 동조위치에 대응하는 동조전압을 표시하는 2진 신호를 발생시킨 후 이것을 축적하기 위한 동조전압회로와, 건너뛰어서는 안될 동조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제1형식의 2진 신호와 건너뛰어야할 동조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제2형식의 2진 신호를 발생하는 스킵 동조위치회로와, 시청자가 "상(up)" 누룸단추스위치, "하(Down)" 누룸단추 스위치와 같은 선택 방향 스위치를조작했을때에 발생되는 선택방향 신호에 응동하여 동조전압 회로 및 스킵동조위치 회로중에 축적된 2진신호를 인출해 내기 위한 동조위치 선택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조작에 따라 모드신호를 발생하는 누룸단추 스위치 형식의 바람직한 모드 스위치와 순서검출회로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모드 스위치 및 선택방법 스위치가 조작되는 방식 및 순서에 응동하여 동조 장치의 프로그래밍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순서 검출회로는 제1 및 제2의 순서검출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의 순서검출기는 모드신호가 발생한 후에 종료되기 전에 상기선택방향 신호의 발생에 응동하여 동조 전압프로그래밍 신호를 발생한다. 이동조전압 프로그래밍 신호에 응동하여 동조전압회로가 동작하여 동조전압을 대표하는 2진 신호를 발생한다. 제2의 순서검출기는 주사방향 신호의 일련의 발생과 종료 및 이것에 연이은 모드 신호의 두번째의 일련의 발생과 종료를 수반하는 상기 모드 신호의 일련의 발생과 종료에 응동하여 제1의 동조위치 신호를 발생하며, 또한 상기 제2의 순서검출기는 모드 신호의 두번째의 일단의 발생과 종료를 수반하는 상기모드신호의 첫번째의 일련의 발생과 종료에 응동하여 제2의 동조위치 신호를 발생한다. 제1의 동조 위치 신호에응동하여, 동조 위치 스킵 회로는 제1형태의 2진 신호를 발생한다. 또 제2의 동조위치 신호에 응동하여 동조위치 스킵 회로는 제2형태의 2진 신호를 발생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uning device for tuning a water receiver to several tuning positions generates a voltage variable tuning device and a binary signal indicating a tuning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tuning position for controlling the voltage variable tuning device. A tuned voltage circuit for accumulating and storing it, a second type binary signal for specifying a tuning position that should not be skipped, and a second type generating binary signal for specifying a tuning position to be skipped. The tuning circuit and the skip tuning position in response to the position circuit and the selection direction signal generated when the viewer operates the selection direction switch such as the "up" push button switch and the "down" push button switch. A tuning position selection circuit for extracting the binary signal accumulated in the circuit is included. In addition, a preferred mode switch and a sequence detection circuit of a push button switch type for generating a mode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are provided so tha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programming of the tuning device in response to the mode and the sequence in which the mode switch and the selection method switch are operated is provided. Occurs. Preferably, the order detection circuit includes first and second order detectors. The first sequence detector generates a tuned voltage programming signal in response to the generation of the selection direction signal before it is terminated after the mode signal has occurred. The tuning voltage circuit operates in response to the moving tuning voltage programming signal to generate a binary signal representative of the tuning voltage. The second sequence detector responds to the first synchronizing position signal in response to a series of generation and termination of the scanning direction signal followed by a series of generation and termination of the mode signal subsequent to the second series of generation and termination of the mode signal. And the second sequence detector generates a second tuning position signal in response to a first series of generation and termination of the mode signal followed by the generation and termination of a second end of the mode signal. In response to the first tuning position signal, the tuning position skipping circuit generates a binary signal of the first form. In response to the second tuning position signal, the tuning position skipping circuit generates a binary signal of the second for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에서, 무선주파수 신호는 안테나 12에 의해 수신되어 무선주파수 처리회로 14에 공급된다. 이 무선주파수 처리회로 14에서 상기 무선주파수 신호는 여파되고 증폭되어 처리된다. 처리된 무선주파수 신호는 혼합기 16에 공급되며 국부발진기 18에 의해 발생된 국부발진신호와 혼합되어 중간주파수 신호로 생성된다. 국부발진신호의 주파수는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관련하여 동조장치 20에 의해 발생된 동조전압에 응동하여 제어되며, 이이 따라 중간주파수 신호가 무선주파수 신호와 혼합되면 무선주파수 신호는 소정의 주파수의 변조된 영상 칼라 및 음성 반송파를 갖게 된다.In FIG. 1, the radio frequency signal is received by the antenna 12 and supplied to the radio frequency processing circuit 14. In this radio frequency processing circuit 14, the radio frequency signal is filtered, amplified and processed. The processed radio frequency signal is supplied to the mixer 16 and mixed with the local oscill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local oscillator 18 to generate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The frequency of the local oscillation signal is controlled in response to the tuning voltage generated by the tuning device 20 in relation to the channel selected by the viewer. Accordingly, when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is mixed with the radio frequency signal, the radio frequency signal is modulated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Image color and audio carrier.

중간주파수 신호는 중간주파수 처리회로 22에 공급되어, 여기서 여파되고 증폭되며 처리된다. 중간주파수 신호의 일부는 자동미세동조(AFT) 변별기 24에 공급되며, 이 자동미세동조 변별기 24는 각 부품의 경년 변화나 주위의 동작 조건으로 인해 발생하는 영상 반송주파수의 공칭값(예컨대 미합중국에서는 45.75 MHz)간의 편이를 표시하는 AFT 신호를 발생한다. 자동미세동조 전압은 국부발진기 18에 공급되어 영상 반송파 주파와 그 공칭값 간의 편이가 감소되도록 동조 전압을 교정한다. 중간주파수 처리 회로22의 출력은 중간주파수 신호의 각 성분을 처리하는 신호처리회로 26에 공급되어, 영상관 28에 의해 가시영상이 생성되며 스피커 30에 의해 음성이 재생된다.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is supplied to the intermediate frequency processing circuit 22 where it is filtered, amplified and processed. Part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is supplied to an AFT discriminator 24, which is a nominal value of the image carrier frequency (e.g., in the United States) caused by aging changes in each part or by ambient operating conditions. Generates an AFT signal indicating a deviation of 45.75 MHz. The automatic fine tuning voltage is supplied to the local oscillator 18 to correct the tuning voltage so that the deviation between the image carrier frequency and its nominal value is reduced. The output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processing circuit 22 is supplied to a signal processing circuit 26 for processing each component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whereby a visual image is generated by the video tube 28, and audio is reproduced by the speaker 30.

동조장치 20은 텔레비젼 대역에 할당된 채널수보다 적은수의 희망 채널을 동조하는데 필요한 동조 정보를 기억할 수 있는 메모리 형식의 동조장치다. 예컨대, 미국에서는 연방통신위원회(FCC)는 텔레비젼대역에 82개의 채널(채널 2내지 83)을 할당하고 있으나 동조 장치 20은 시청자가 희망하는 16개의 채널만에 동조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된다. 이는 채널의 프로그램 내용이나 시청자의 거주구역에서의 각 채널의 상대적인 수신 특성에 따른 것이다. 이 동조 장치 20은 1977년 8윌 29일부로 미국에서 출원된 특허 출원번호 제828,848호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거의 동일한 것으로써, 이와 틀리는 점은 동조장치 20에는 그 정규 동작 및 프로그래밍의 제어를 위한 후술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는 것이다.The tuning device 20 is a memory type tuning device capable of storing tun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tuning fewer desired channels than the number of channels allocated to the television band. For example, in the United States, the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FCC) assigns 82 channels (channels 2 to 83) to television bands, while tuning device 20 is programmed to tune to only 16 channels that the viewer desires. This depends on the program content of the channel or the relative reception characteristics of each channel in the viewer's residence. The tuning device 20 is almost identical to that described in US Patent Application No. 828,848 filed on August 29, 1977, which is different from the tuning device 20 described later for control of its normal operation and programming. A devic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동조장치 20은 시청자가 희망하는 16개의 각각의 채널에 대한 동조전압을 대표하는 2진 신호를 축적하기 위한 16개의 메모리 위치를 가진 동조전압 메모리 112를 갖고 있다.The tuning device 20 has a tuning voltage memory 112 having 16 memory locations for accumulating binary signals representing tuning voltages for each of the 16 channels desired by the viewer.

어드레스 레지스터(register) 114는 "잼(jam)" 입력에 공급되는 2진 신호용으로 설치된 예컨대 RCA코오포레이숀사의 CD 4029형 집적회로와 같은 업(up)/다운(down)카운터로 되어있다. 이 어드레스 레지스터 114는 동조 전압 메모리 112에 결합되어 있어, 이 동조전압 메모리 112의 16개의 위치를 어드레스 하기 위하여 10진수 내지 15를 대표하는 2진 신호를 발생한다. 동조 전압 메모리 112의 기억위치가 어드레스 뒤면, 어드레스된 위치에 축적된 2진 신호는 동조전압 메모리 112에서 읽혀지며, 이 2진 신호를 국부발진기 18용의 대응하는 직류(DC)동조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아나로그 변환기 116이 결합된다.The address register 114 is an up / down counter such as, for example, a CD 4029 integrated circuit from RCA Corporation, which is installed for a binary signal supplied to a “jam” input. This address register 114 is coupled to the tuning voltage memory 112, and generates a binary signal representing decimal to 15 to address 16 positions of the tuning voltage memory 112. If the storage location of the tuning voltage memory 112 is behind an address, the binary signal accumulated at the addressed location is read from the tuning voltage memory 112, and converting this binary signal into a corresponding direct current (DC) tuning voltage for the local oscillator 18. Digital analog converter 116 is coupled.

업/다운 메모리 112에 결합되어 시청자에 의한 제어에 응동하여 동조장치 20이 동조전압 프로그래밍,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동안 동조전압 메모리 112의 제각기의 기억위치에 축적된 2진 신호를 발생한다. 동조 전압프로그램 모드 기간중에 동조 전압 레지스터 118에 의해 발생되는 2진 신호의 선택된 신호는 표시장치 120에 공급되어, 통상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숫자표시에 사용된다. 그 결과 동조 전압에 관련한 숫자가 표시되며, 시청자는 얻어진 화상이 원하는 채널이 대응하게 됨을 확인할 수가 있다.Coupled to the up / down memory 112 and responding to control by the viewer, the tuning device 20 generates binary signals accumulated at respective memory locations of the tuning voltage memory 112 while operating in tuning voltage programming, mode. The selected signal of the binary signal generated by the tuning voltage register 118 during the tuning voltage program mode period is supplied to the display 120 for use in numerical display of a channel normally selected by the viewer. As a result, a number related to the tuning voltage is displayed, and the viewer can confirm that the desired channel corresponds to the obtained image.

2개의 10진수로 표시된 채널번호 즉, 미국의 경우에 채널 02와 03간의 채널번호를 표시하는 2진 신호는 RCA코오포레이숀사의 CD 4029형인 2개의 종속 접속된 업/다운 카운터로 되는 채널 번호 레지스터 122에의해 발생되어, 표시장치 120에 공급된다. 표시장치 120에 사용되는 회로를 적게하기 위하여, 채널 번호의 10단위(tens) 위치를 표시하는 2진 신호와 1단위(units) 위치를 표시하는 2진 신호는 표시 멀티플렉서(MUX) 129에 의해 시간적으로 다중화되고, 또한 연속적으로 처리되어 1단위 표시 장치 130A 및 10단위 표시장치 130B이 공급된다 1단위 및 10단위 표시장치 및 130A는 각각 발광 다이오드 또는 액정 형식의 세븐(7) 세그먼트(segment)표시 장치로 된다.The channel number represented by two decimal digits, that is, the binary signal indicating the channel number between channels 02 and 03 in the United States, is a channel number consisting of two cascaded up / down counters of the CD 4029 type of RCA Corporation. It is generated by the register 122 and supplied to the display device 120. In order to reduce the circuits used in the display 120, the binary signal indicating the ten unit position of the channel number and the binary signal indicating the one unit position are displayed by the display multiplexer (MUX) 129. The unit display unit 130A and unit 10 display unit 130B are supplied by multiplexing and successively processing. The unit display unit 130A and unit 130A are provided with seven (7) segment display units of a light emitting diode or a liquid crystal type, respectively. It becomes

채널번호 레지스터 122에 의해 발생된 2진 신호는 스킵 메모리에 132도 공급되어 이를 어드레스 한다. 스킵 메모리 132는 텔레비젼 대역에 할당된 건체 채널번호의 각각에 대한 기억장치를 갖고 있다. 따라서 스킵 메모리 132의 82개의 기억위치의 어드레스는 02내지 83의 82개의 채널번호에 대응한다. 스킵 메모리132의 각 기억장치는 대응하는 채널이 희망하는 채널이 아니어서 채널 선택중 건너뛰어야 할때는 (스킵되어야 할때는 논리상태 "1"을 또한 대응하는 채널이 희망하는 채널이어서 채널 선택중 건너 뛸 것이 아닐때에는 논리상태 "0"을 축적하기 위한 기억셀(cell)을 갖고 있다. 스킵 메모리 132의 위치에 논리"1"이 존재하는 것에 응동하여 스킵 검출기 134는 "스킵(skip)"신호를 발생한다. 채널의 스킵 정보를 표시하는 "1" 및 "0"의 2진 신호는 채널 프로그램모드 기간중 시청자의 제어에 응동하여 스킵 메모리 132에 공급된다.The binary signal generated by the channel number register 122 is supplied with 132 degrees to the skip memory to address it. The skip memory 132 has a storage device for each of the dry channel numbers assigned to the television band. Therefore, the addresses of 82 storage positions of the skip memory 132 correspond to 82 channel numbers of 02 to 83. Each memory device in skip memory 132 is not a desired channel and must be skipped during channel selection (when skipped, a logical state "1" is also used and the corresponding channel is a desired channel and will not be skipped during channel selection. Has a memory cell for accumulating a logic state of “0.” The skip detector 134 generates a " skip " signal in response to the presence of a logic " 1 " Binary signals " 1 " and " 0 " representing skip information of the channel are supplied to the skip memory 132 in response to the control of the viewer during the channel program mode period.

채널번호 레지스터 122에 의해 발생된 2진 신호는 대역선택기 136에도 공급된다. 이 대역선택기 136은 예컨대, 선택된 채널이 존재하는 주파수 대역 채널번호로 결정하고 이것에 응동하여 대역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로 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예컨대, 미국에서는 대역 선택기 136은 채널 2내지 6,7,8,9,13 및 14내지 83에 제각기 대역 선택신호를 발생한다. 대역선택신호는 국부 발진기 18에공급되어, 이 발진기가 발진하는 주파수 범위를 결정한다. 국부 발진기 18은 이 국부발진기 18이 발진하는 주파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각 대역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발진기 구성으로 절환되는 바랙터 다이오드의 배열을 갖고 있다. 국부 발진기 18이 발진하는 특정주파수는 동조 전압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The binary signal generated by the channel number register 122 is also supplied to the band selector 136. The band selector 136 is preferably a read-only memory (ROM) which determines, for example, the frequency band channel number in which the selected channel exists and generates a band selection signal in response thereto. Thus, for example, in the United States, the band selector 136 generates a band select signal on channels 2 through 6, 7, 8, 9, 13, and 14 through 83, respectively. The band select signal is supplied to the local oscillator 18 to determine the frequency range in which the oscillator oscillates. The local oscillator 18 has an array of varactor diodes switched to an oscillator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each band select signal for determining the frequency range in which the local oscillator 18 oscillates. The specific frequency at which local oscillator 18 oscillates is determined by the magnitude of the tuning voltage.

상술한 바와 같은 동조장치 20의 동작의 정규(NORMAL)모드 및 프로그래밍 모드를 개시시킨 후, 그 후 그들의 모드 기간중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는 시청자가 모드(MODE) 누룸단추 스위치 214,"상(UP)" 누룸단추스위치 216, "하(DOWN)" 누룸단추 스위치 218을 조작하는 방식 및 순서에 응동하여 순서검출기 212에 의해 발생된다. 누룸단추 스위치 214,216,218을 누르면 제1의 2진신호, 예컨대, 논리"1"을 발생하고, 해제하면 자동적으로 누르지 않은 상태로 복귀하여 제2의 2진신호, 예컨대, 논리"0"을 발생하도록 사용할 수 있는 형식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 누룸단추 스위치는 미국 특허 제4084071호에 표시되어 있는 것 같은 것이 사용된다.After initiating the NORMAL mode and programming mode of operation of the tuning device 2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during their mode period is then sent to the mode push button switch 214 of the viewer. &Quot; UP " push button switch 216, " DOWN " Pressing the push button 214, 216, 218 generates a first binary signal, e.g., logic "1"; when released, it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unpressed state and generates a second binary signal, e.g., logic "0". It is desirable to be in a form that can be used. This Nurum button switch is used as shown in US Patent No. 4040791.

순서검출기 212는 시청자가 정상적으로 프로그램을 보기위하여 채널을 선택하는 동안은 동조장치 20을 그 정규 동작모드로 하기 위한 "정규(NORMAL)"신호를 발생하고, 시청자가 스킵 메모리 132를 프로그램하는 동안은 동조장치를 채널 프로그램모드로 하기위한 "채널(CHANEL)" 신호를 발생하고, 시청자가 동조 전압메모리 112를 프로그램하는 동안은 동조장치 20을 동조 전압 프로그래밍 모드로 하기 위한 "동조,(TUNE)" 신호를 발생한다. 정규 모드중, 채널번호 레지스터 122의 2진 내용은 "상(UP)" 누룸단추 216및 "하(DOWN)" 누룸단추 218의 조작에 응답하여 변화하고, 정상적으로 프로그램을 보기 위한 채널의 선택을 행한다. 채널 프로그래밍 모드중 "모드(MODE)" 누룸단추 214 "상(UP)"누룸단추 및 "하(DOWN)"누룸단추가 조작되는 순서에 따라 순서검출기 212은 스킵 메모리 132에 논리"1"을 공급하기 위한(정전압원의 +V이 접속하는 것에 의해) "소거(ERASE)" 신호를 발생하여, 정규모드에서 채널 선택중에 건너뛸 희망치 않는 채널을 지정하거나, 또는 스킵 메모리 132에 논리 "0"를 공급하기 위한(신호 접지점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축적(STORE)" 신호를 발생하여, 정규 모드중에서 채널선택중에 건너뛰지 않을 희망채널을 지정한다. 동조 전압 프로그래밍 모드중 동조전압 레지스터 112의 2진 내용은 "상(UP)" 누룸단추 216및 "하(DOWN)" 단추 218의 조작에 응동하여 변화하고 희망 채널의 각각에 대한 동조 전압의 크기를 조정한다.Sequence detector 212 generates a " NORMAL " signal for bringing the tuner 20 into its normal operation mode while the viewer selects a channel for viewing the program normally, and while the viewer programs skip memory 132. Generates a "CHANEL" signal to put the device into the channel program mode, and while the viewer is programming the tuned voltage memory 112, a "TUNE" signal to put the tuner 20 into the tuned voltage programming mode. Occurs. During normal mode, the binary contents of the channel number register 122 change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 UP " push button 216 and the " DOWN " push button 218, and select a channel for viewing the program normally. . "Mode" push button 214 during channel programming mode Sequence detector 212 supplies logic "1" to skip memory 132 in the order in which the "UP" push button and the "DOWN" push button are operated. Generates an "ERASE" signal to specify (by connecting + V of a constant voltage source) to specify an unwanted channel to skip during channel selection in normal mode, or to logic "0" in skip memory 132 Generates a " STORE " signal to supply (by connecting to the signal ground point) to specify the desired channel that will not be skipped during channel selection in normal mode. During the tuning voltage programming mode, the binary contents of the tuning voltage register 112 change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UP" push button 216 and the "DOWN" button 218 to adjust the magnitude of the tuning voltage for each of the desired channels. Adjust

"정규(NORMAL)", 채널(CHANNEL) 및 "동조(TUNE)" 신호는 표시 멀티플렉서(MUX) 129에 공급되어 전술한 미국 특허 출원 제828,848호의 출원명세서중 설명되고 있는 것 같이 1단위(UNITS) 표시장치30A 및 10단위 표시장치 130B에 의해 각 모드를 표시하는 부호가 표시된다. 간단히 설명하면 "정규(NORMAL)" 신호에 응동하는 정규 모드중, 채널번호 레지스터 122에 의해 발생되는 2진 신호는 표시멀티플렉서 129에 의해 처리되며, 선택된 채널번호를 표시하는 2개의 10진수가 표시된다.The "NORMAL", CHANNEL, and "TUNE" signals are supplied to the display multiplexer (MUX) 129 and are one unit (UNITS) as described in the foregoing specification of US Patent Application No. 828,848. A sign indicating each mode is indicated by the display device 30A and the ten unit display device 130B. In brief, in normal mode, which responds to a "NORMAL" signal, the binary signal generated by the channel number register 122 is processed by the display multiplexer 129, and two decimal numbers representing the selected channel number are displayed. .

"채널(CHANNEL)" 신호에 응동하는 채널 프로그래밍 모드중, 문자 "C"를 표시하는 부호화 형식의 2진 신호(+V 또는 접지의 적당한 접속을 표시하는 장치 152에 의해 주어진다), 문자"H"를 표시하는부호화 형식의 2진 신호(+V 또는 접지의 적당한 접속을 표시하는 장치 154에 의해 주어진다)는 합성되고, 또 채널번호 레지스터 122에 의해 발생된 2진 신호는 표시멀티 플렉서 129에 의해 처리되며 채널 프로그램 모드를 표시하기 위하여 부호 "CH"와 현재 선택되어 있는 채널 번호를 서로 번갈아 표시한다. 동조전압 프로그램 모드중, "동조(TUNE)" 신호에응동하여 장치 148에 의해 주어지는 문자 "A"를 대표하는 부호화 형식의 2진 신호, 장치 156에 의해 주어지는 문자 "J"를 대표하는 부호화 형식의 논리 레벨신호, 장치 150에 의해 주어지는 부호 "_"를 표시하는 2진 신호, 그리고 채널번호 레지스터 122에 의해 발생된 2진 신호는 표시 멀티플렉서 129에 의해 처리되어 부호 "AJ"와 "-n"여기서 n은 순시 동조전압의 10진수의 근사치)이 서로 번갈아 표시되어 동조전압 프로그래밍 모드 또는 조정 모드를 지시한다.In the channel programming mode in response to the " CHANNEL " signal, a binary signal of the encoded form indicating the letter " C " (given by the device 152 indicating the proper connection of + V or ground), the letter " H " The binary signal of encoding format (given by the device 154 indicating + V or proper connection of ground) is synthesized, and the binary signal generated by the channel number register 122 is generated by the display multiplexer 129. In order to display the channel program mode, the symbol " CH " and the currently selected channel number are alternately displayed. In the tuning voltage program mode, a binary signal of the encoding format representing the letter "A" given by the device 148 in response to the "TUNE" signal, of the encoding format representing the letter "J" given by the device 156 The logic level signal, the binary signal indicating the sign "_" given by the device 150, and the binary signal generated by the channel number register 122 are processed by the display multiplexer 129 where the signs "AJ" and "-n", where n is an approximation of a decimal number of instantaneous tuning voltages) alternately to indicate a tuning voltage programming mode or an adjustment mode.

순서검출기 212 및 누룸단추 214,216,218외에 동조 장치 20의 제어부분은 수상기의 전원회로(도시않음)에 결합된 파우워업(PUP)(POWER UP) 검출기 142를 갖고 있으며, 수상기의 스위치가 넣어졌을 때에 "파우워업(PUP)" 신호를 발생한다. 이 "파우워업(PUP)" 신호는 순서 검출기 212 및 동조장치 20의 각 부분에 공급되어 그들의 동작을 제어한다.게다가 동조장치 20의 제어부분은 교차 결합된 NAND 게이트 222및 224 NAND 게이트 222,224의 각 출력에 따라 결합된 2개의 반전기 226,228, NAND게이트 224의 입력에 결합된 OR 게이트 230으로 되는 셋트-리셋트(S-R) 플립플롭 220을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o the sequence detector 212 and the Nurum buttons 214, 216, 218, the control section of the tuning device 20 has a PUP (POWER UP) detector 142 coupled to the power supply circuit (not shown) of the receiver, when the receiver is switched on. Generates a "PUP" signal. This "power-up" signal is supplied to the sequence detector 212 and the respective parts of the tuning device 20 to control their operation. In addition, the control section of the tuning device 2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cross-coupled NAND gates 222 and 224 NAND gates 222,224. It includes a set-reset (SR) flip-flop 220 consisting of two inverters 226,228 coupled to the output, and an OR gate 230 coupled to the input of the NAND gate 224.

"하(DOWN)" 누룸단추를 눌렸을때에 발생하여 NAND게이트 222의 한 입력에 공급되는 누룸단추 "하"상태 표시신호(PBDN)에 응동하여 반전기 226의 출력에 "하(DOWN)"신호가 발생한다. "상(UP)"누룸단추216을 눌렀을때에 발생하는 누룸단추"상" 상태표시 신호(PBUP) 신호 "파우워업(PUP)" 신호 또는 "소거(ERASE)" 신호의 어느 것인가에 응동하여 OR 게이트230은 "상" 상태의 출력(OUP)을 발생하여 반전기 228의 출력에 "상(UP)" 신호를 발생한다. "상(UP)" 및 "하(DN)" 신호는 어드레스 레지스터 114동조전압 레지스터 118 및 채널번호 레지스터 122에 공급되어 이들이 계수하는 방향을 제어한다.Generated when the "DOWN" push button is pressed and responds to the push button "Down" status indication signal (PBDN) supplied to one input of the NAND gate 222 to "DOWN" at the output of the inverter 226. Signal is generated. Pressing the "UP" push button 216 Presses the push button "Phase" status display signal (PBUP) signal "PUP" signal or "ERASE" signal in response to OR Gate 230 generates an output (OUP) in a "phase" state to generate a "phase (UP)" signal at the output of inverter 228. The "UP" and "DN" signals are supplied to the address register 114 tuning voltage register 118 and the channel number register 122 to control the direction in which they count.

다음,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조장치는 프로그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파우워업(PUP)" 신호의 발생에 응동하여 최저 채널번호, 예컨대, 미국의 경우는 채널 02를 표현하는 2진 신호가 장치 123에서 채널번호 레지스터 122의 "잼" 입력 J에 공급되고 번호 15를 대표하는 2진 신호가 장치15에서 어드레스 레지스터 114의 J 입력이 공급되며, 순서검출기 212는 동조장치 20을 정규 모드에 리셋트하며, "상(UP)" 신호가 R-S 플립플롭 222에 의해 발생되어 증가식의 계수 가능상태로 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Assume that the tuning device is programmed as described later. In response to the generation of a "power up" signal, a binary signal representing the lowest channel number, e.g., channel 02 in the United States, is supplied to the "jam" input J of the channel number register 122 in device 123 and number 15 A binary signal representing is supplied to the J input of the address register 114 from the device 15, the sequence detector 212 resets the tuning device 20 to the normal mode, and a "UP" signal is generated by the RS flip-flop 222. To be the incremental countable state.

이점에서 채널번호 02에 대응하는 스킵 메모리 132의 기억 위치의 내용은 스킵 검출기 134에 의해 검사된다. 만약 논리 "1"이 검출하면 채널 2는 희망채널이 아니고 건너뛸 것을 표시하는 스킵(skip) 신호가 발생한다. 만약 논리 "0"이 검출되면 채널 2는 희망채널이며 건너뛸 것이 아님을 표시하는 스킵(sikp)가 발생 한다.In this regard, the contents of the storage position of the skip memory 132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number 02 are checked by the skip detector 134. If logic " 1 " detects channel 2 is not a desired channel and a skip signal is generated indicating that it is to be skipped. If logic " 0 " is detected, a skip occurs indicating that channel 2 is the desired channel and will not be skipped.

skip 신호에 등동하여 채널번호 레지스터 122의 "클록(CK)" 입력에 AND 게이트 231 및 OR 게이트232에서 클록신호가 공급되어 채널번호 레지스터 122의 내용은 "계수 1 만큼"만 증가되어 다음의 채널에 상당하는 스킵 메모리 132의 기억장치의 내용이 검사된다. 이런 과정은 "스킵(skip)" 신호가 발생할때까지 계속된다. "스킵(skip)" 신호에 응동하여 어드레스 레지스터 114의 "클록(CK)" 입력이 반전기 234 및AND 게이트 236에서 클록 신호가 공급되어 어드레스 레지스터 114의 내용을 계수 1만큼 증가시킨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는 채널번호 122의 내용은 그 이상으로 증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는 채널번호 레지스터 122의 내용(이것은 논리"0")검출된 스킵 메모리 132의 최초의 어드레스)은 채널 번호 표시장치 120에 의해 표시되어 동조전압 메모리 112의 제1의 위치의 내용은 읽혀지며, 대응하는 동조전압으로 변화된다.Equivalent to the skip signal, a clock signal is supplied from the AND gate 231 and the OR gate 232 to the "CK" input of the channel number register 122. The contents of the channel number register 122 are increased by "coefficient 1" only to the next channel. The contents of the storage device of the corresponding skip memory 132 are checked. This process continues until a "skip" signal occurs. In response to the " skip " signal, a " clock " input of address register 114 is supplied with a clock signal at inverter 234 and AND gate 236 to increase the contents of address register 114 by a factor of one. However, at this point, the content of channel number 122 does not increase further. Therefore, at this point, the contents of the channel number register 122 (this is logical " 0 ") are detected by the channel number display device 120 and the contents of the first position of the tuning voltage memory 112 are read. And change to the corresponding tuning voltage.

정규모드에서 시청자가 채널을 변경하려할때는 "상(UP)" 누룸단추 216 또는 "하(DOWN)" 누룸단추218의 어느것인가를 누르면 된다. "상(UP)" 누룸단추 216을 눌렀을때에는 누룸단추 "상" 상태표시신호(PBUP) 발생한다. OR게이트 출력(OUP) 신호가 OR게이트 230에 의해 발생되는것에 응동하여 "상(U)" 신호가 앞서 발생한 "파우워업(UP)"신호 또는 누룸단추 "상" 상태 표시신호(PUP) 신호에 응동하여 발생하지 않으면 이 "상(UP)" 신호가 리셋트-셋트 플립플롭 220에 의해 발생된다. "상(OP)"신호에 응동하여 채널번호 레지스터 122 및 어드레스 레지스터 114는 증기식의 계수 가능상태로 된다. 게다가 채널번호 레지스터 122의 내용은 OR 게이트 238에서 "클록(CK)" 입력에 공급되는 OR 게이트 출력(OUP) 신호에 응동하여 계수 1만큼 증가한다. 그 후 채널번호 레지스터 122의 내용은 "스킵(SKIP)" 신호가 발생될때까지 연속하여 발생하는 "스킵(SKIP)" 신호에 응동하여 연속적으로 증가된다. "스킵(SKIP)" 신호가 발생되면 어드레스 레지스터 114의 내용은 계수 1만큼 증가되나 채널 번호 레지스터 122의 내용은 그 이상 증가되지 않는다. 이 시점에서 제2의 희망 채널 번호가 표시되어 대응하는 동조 전압이 발생된다. 채널을 바꾸기 위하여 "하(DOWN)" 누룸단추 218을 눌렀을때의 동조장치 20의 동작은 "상(UP)" 누룸단추216을 눌렀을 때의 동조장치 20의 동작과 유사하다. 이 경우는 채널 번호 레지스터 122 및 어드레스 레지스터 114는 증가식이 아닌 감소식의 계수를 행한다.When the viewer wants to change the channel in the normal mode, he presses either the "UP" push button 216 or the "DOWN" push button 218. When the "up" push button 216 is pressed, a push button "up" status indication signal (PBUP) i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OR gate output (OUP) signal being generated by the OR gate 230, a "phase (U)" signal is applied to the previously generated "power up" signal or the push button "phase" status indication signal (PUP) signal. This "up" signal is generated by the reset-set flip-flop 220 if it does not occur in response. In response to the " phase (OP) " signal, the channel number register 122 and the address register 114 are brought into a steam type countable state.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channel number register 122 increase by a factor of 1 in response to the OR gate output (OUP) signal supplied to the "clock (CK)" input at the OR gate 238. Thereafter, the contents of the channel number register 122 are continuously increased in response to the " SKIP " signal which is generated continuously until the " SKIP "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 skip " signal is generated, the contents of the address register 114 are increased by a factor of 1, but the contents of the channel number register 122 are not increased further. At this point, the second desired channel number is displayed to generate a corresponding tuning voltage. The operation of the tuning device 20 when the "DOWN" push button 218 is pressed to change the channel is similar to that of the tuning device 20 when the "UP" push button 216 is pressed. In this case, the channel number register 122 and the address register 114 perform a decrement coefficient rather than an increment expression.

희망상태 또는 희망 않는 상태를 각 채널에 할당하기 위해 동조장치 20을 채널 프로그램모드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시청자는 모든 누룸단추 214를 누르고 또 해제한다. 이에 응동하여 "모드(MODE) 신호가 순간적으로 발생된 후 정지된다.The viewer presses and releases all push buttons 214 to place the tuning device 20 in channel program mode to assign the desired or undesired state to each channel. In response, the " MODE " signal is generated momentarily and then stopped.

이 모드누 룸단추 241의 조작순서에 따라 순서검출기 212가 "채널(CHANNAL)"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모드 누룸단추 214의 조작에 앞서 선택되어 있는 채널은 표시장치 120에 의해 부호 "CH"와 번갈아 표시된다. 만약 시청자가 채널이 희망상태를 할당하려할때에는, 채널번호 레지스터 122의 내용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서 희망상태에 할당되는 채널이 나타날때까지 "상(UP)" 누룸단추 216 또는 "하(DOWN)" 누룸단추 218의 어느것인가를 연속적으로 누른다. 소망의 채널 번호가 표시장치 120에 의해 표시되면 시청자는 모드(MODE) 신호의 이 발생 및 종료에 응동하여 "축적(STORE)" 신호가 순서 검출기 212에 의해 발생되므로써, 그 결과 표시된 채널번호에 의해 어드레스된 스킵 메모리 132의 기억위치에 논리"0"이 도입되며 또한 채널신호의 종료에 의해 동조장치 20이 또다시 정규 모드에 설정된다. 채널 프로그램모드에서 희망하지 않는 상태가 미리 할당된 채널을 회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스킵(SKIP)" 및 스킵(SKIP)" 신호는 채널번호 레지스터 122 및 어드레스 레지스터 114의 "클록(CK)" 입력에 공급되는 것이 저지되므로써, 그 결과 정규 모드중에서 채널선택중에 건너뛰게 되는 채널은 채널 모드중에는 동조장치가 정규모드에 있을때를 제외하고 순서 검출기 212에 의해 발생되는 "정규(NORMAL)" 신호(즉(NORMAL)신호의 보수관계 신호)의 존재에 응동하여 AND 게이트 231 및 236의 각 동작에 의해 건너뛰지지 않는다.The sequence detector 212 generates a " CHANNAL "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mode button room button 241. At this time, the channel selected prior to the operation of the mode push button 214 is alternately displayed with the symbol "CH" by the display device 120. If the viewer wants to assign the desired state to the channel, increase or decrease the contents of the channel number register 122 so that the "UP" pushbutton 216 or "DOWN" until the channel assigned to the desired state appears. Press any of the Nurum buttons 218 in succession. When the desired channel number is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120, the viewer responds to this occurrence and end of the MODE signal so that a "STORE" signal is generated by the sequence detector 212, resulting in the displayed channel number. A logic " 0 " is introduced at the storage position of the addressed skip memory 132, and the tuning device 20 is set again to the normal mode by the end of the channel signal. In the channel program mode, it is preferable that an undesired state recovers a pre-allocated channel, so the "SKIP" and skip (SKIP) signals are input to the "clock (CK)" input of the channel number register 122 and the address register 114. As a result, the channels that are skipped during channel selection in normal mode are prevented from being supplied by the " NORMAL " signal generated by sequence detector 212 except when the tuner is in normal mode during channel mode. In response to the presence of the NORMAL signal), the operation of the AND gates 231 and 236 is not skipped.

시청자가 채널에 희망않는 상태를 할당하려 할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방법으로 희망 않는 상태에 할당될 채널을 선택하고, 이어서 모드 누룸단추 214를 누르고 또 해제하는 것에 의해 동조장치 20을 채널 프로그래밍 모드에 설정한다. 이때 모드 누룸단추 214의 조작에 앞서 선택된 채널은 부호 "CH"와 서로 번갈아 표시된다. 여기서 시청자는 또다시 모드 누룸단추 214를 누르고 또 해제한다. 이 두번째의 모드(MODE) 신호의 연속발생과 정지에 응동하여 순서검출기 212는 "소거(ERASE)" 신호를 발생하여 표시 채널번호에 의해 어드레스된 스킵 메모리 132의 기억위치에 논리 "1"이 도입된다. "소거" 신호의 발생에 응동하여 순서검출기 212는 "정규(NORMAL)" 신호를 발생하고 동조장치 20을 정규 동작모드로 하여, OR 게이트 230은 채널번호 레지스터 122의 "클록(CK)" 입력에 공급되는 OR 게이트 출력(OUP)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채널번호 레지스터 122의 내용을 1만큼 증가시킨다. 이 시점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음의 희망 채널이 통상의 방법으로 동조된다.When a viewer wants to assign an unwanted state to a channel, select the channel to be assigned to the unwanted state in the usual manner as described above, and then press and release the mode pushbutton 214 to release the tuner 20 in the channel programming mode. Set to. At this time, the channel selected prior to the operation of the mode push button 214 is alternately displayed with the symbol "CH". Here the viewer presses and releases the mode push button 214 again. In response to the continuous generation and stop of the second mode signal, the sequence detector 212 generates an "ERASE" signal, and logic "1" is introduced into the storage location of the skip memory 132 addressed by the display channel number. do. In response to the generation of the " clear " signal, the sequence detector 212 generates a " NORMAL " signal and sets the tuning device 20 to the normal operating mode, so that the OR gate 230 is connected to the " clock " input of the channel number register 122. The OR gate output (OUP) signal is supplied to increase the contents of the channel number register 122 by one. At this point, as described above, the next desired channel is tuned in a conventional manner.

시청자가 희망채널중의 하나의 채널에 대한 프로그램 또는 재프로그램(즉, 미세동조) 시키려 할때에는 시청자는 표시장치 120에의해 희망채널의 번호가 표시될때까지 "상(UP)"누룸단추 216 또는"하(DOWN)" 누룸단추 128의 어느것인가를 연속적으로 눌음으로써 동조전압이 프로그램될 채널을 선택한다. 이어서 "상(UP)" 누룸단추 216 또는 "하(DOWN)" 누룸단추 218의 어느 것인가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 모드 누룸단추 214를 누른다. "모드(MODE)" 신호의 존재중에 누룸단추 "상" 상태표시신호 (PBUP) 또는 누룸단추 "하" 상태표시신호(PBDN)의 어느 것인가의 발생에 응동하여 순서검출기 212는 동조장치 20을 동조전압 프로그래밍 또는 동조 모드로 하기 위한 "동조(TUNE)" 신호를 발생한다. 동조 전압은 종료치않고, 동조 장치 20은 앞에 눌러진 누룸단추 214,218의 어느 것가가 해제될때까지 동조전압 프로그램 모드릍 유지한다. 동조신호 및 누룸단추 "상" 상태표시신호(PBUP) 또는 누룸단추 "하" 상태표시 신호(PBDN)(OR 게이트 240의 OR 출력)어 어느 것인가에 응동하여 클륵 242에 의해 발생된 클록신호는 AND게이트 244를 거쳐동조전압 레지스터 118의 "클록(CK)" 입력에 공급된다. 이이 응동하여 동조전압 레지스터 118의 내용 및 동조전압은 변화된다. 게다가 동조신호에 응동하여 동조전압을 표시하는 1개의 10진수는 표시장치 120에 의해 부호"AJ"와 서로 번갈아 표시되며, 이것에 의해 시청자는 1개의 10진수에 의한 동조전압수와 제조제에 의해 제공되어 있는 동조전압 채널을 비교하여, 동조전압이 거의 올바른 값으로 되었을때를 결정할 수가 있다. 시청자는 표시화면에 만족한 상태를 확인한 후 앞서 누룬 모든 누룸단추 214,216 및 218를 해제한다. 순서 검출기 212는 "모드(MODE)", 누룸단추 "상" 상태표시 신호(PBUP)"누룸단추"하" 상태표시신호(PBDN)"의 종료 누룸단추"하" 상태 표시신호(PBDN)"의 종료를 검출하고 "축적(STORE)" 신호를 발생하여 동조 전압레지스터 118의 내용이 동조 전압 메모리 112의 현재 어드레스되어 있는 위치에 있도록 하고 또 동조신호의 종료를 검출하여 동조장치 20을 정규 모드에 복귀시킨다. 모드 누룸단추 212가 눌려져 있는 동안, "상(UP)" 누룸단추 216 또는 "하(DOWN)" 누룸단추 218의 어느 것인가의 조작에 의해 동조장치 20이 일단 동조전압 프로그램모드로 되면, 동조신호를 종료시키기 위해서는 3개의 누룸단추를 해제시키는 것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시청자는 눌려진 모드 누룸단추 214를 계속 유지할 필요도 없으며 동시에 "상(UP)" 누룸단추 216 또는 "하(DOWN)"누룸단추 218을 계속 조작할 필요도없다.When a viewer wants to program or reprogram (i.e. fine tune) one of the desired channels, he or she may "up" the button 216 or "until the display 120 displays the desired channel number." By continuously pressing any of the " DOWN " push button 128, the channel to be programmed for tuning voltage is selected. The mode push button 214 is then pressed while pressing either the “UP” push button 216 or the “DOWN” push button 218.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either the push button "up" status display signal (PBUP) or the push button "bottom" status display signal (PBDN) in the presence of a "MODE" signal, the sequence detector 212 tunes the tuning device 20. Generate a "TUNE" signal to put into voltage programming or tuning mode. The tuning voltage does not end, and the tuning device 20 remains in the tuning voltage program mode until any of the push buttons 214,218 pressed before is released. The clock signal generated by clock 242 in response to the tuning signal and the push button "up" status display signal (PBUP) or the push button "bottom" status display signal (PBDN) (OR output of OR gate 240) is ANDed. It is supplied to the " clock " input of the tuning voltage register 118 via gate 244. This causes the contents of the tuning voltage register 118 and the tuning voltage to change. In addition, one decimal number corresponding to the tuning signal and displaying the tuning voltage is displayed alternately with the symbol "AJ" by the display device 120, whereby the viewer can adjust the tuning voltage by one decimal number and the manufacturer. By comparing the provided tuning voltage channel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n the tuning voltage is almost correct. The viewer releases all the Nurum buttons 214, 216, and 218 that were previously enjoyed after confirming the satisfied state of the display screen. The sequence detector 212 is the end of the "MODE", the push button "up" status display signal (PBUP), the "press button" "low" status display signal (PBDN), the push button "down" status display signal (PBDN). An end is detected and a "STORE" signal is generated so that the contents of the tuning voltage register 118 are in the current addressed position of the tuning voltage memory 112, and the end of the tuning signal is detected to return the tuning device 20 to the normal mode. While the mode push button 212 is depressed, the tuning device 20 enters the tuning voltage program mode by operating either the "up" push button 216 or the "down" push button 218. Since it is necessary to release the three push buttons to terminate the signal, the viewer does not have to keep pressing the pressed mode push button 214 and at the same time the "up" push button 216 or the "down" push button 218 Continue to manipulate There is no need.

이것은 동조전압 조정중에 시청자는 모드 누룸단추 214를 무의식증에 해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바람직한 것이다. 동조장치 20을(채널이 정규모드에 선택된 후) 정규 모드나 또는 (상술함과 같이 채널이 희망상태에 할당된 후) 채널 모드의 어느 것으로부터 동조전압 프로그램모드로 할 수가 있다This is desirable because the viewer may unconsciously release the mode Nurum button 214 during tuning voltage adjustment. The tuning device 20 can be set to the tuning voltage program mode from either the normal mode (after the channel has been selected for normal mode) or the channel mode (after the channel has been assigned to the desired state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동조장치 20의 제어는 불과 3개의 누룸단추 형식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행하여진다. 여기서 2개의 누룸단추 스위치는 정규의 채널선택 모드의 조작용으로 이용되며 나머지 1개의 누룸단추 스위치는 최초의 2개의 누룸단추 스위치의 조작과 함께 소정의 순서로 조작되어 채널 및 동조 전압 프로그래밍 모드의 개시와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최소수의 제어소자를 사용하고 있을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회전식 형태 또는 다른 수많은 절환위치를 가진 스위치와 같은 다른 형식의 제어소자에 비교하여 비교적 값싼 제어소자, 예컨대, 계산기의 키이보드로 사용되고 있는 것 같은 누룸단추 스위치 형식의 제어소자를 사용하고 있다. 게다가 제어순서는 동상의 시청자에 있어서 비교적 간단하며 다음과 같이 행하여진다.Therefore, the control of the tuning device 20 is performed by operation of only three push-button type switches. Here, the two push button switches are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regular channel selection mode, and the other push button switches are operated in a predetermined order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first two push button switches to start the channel and tuning voltage programming modes. And control is perform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minimum number of control elements are used, but also relatively inexpensive control elements, for example, a key of a calculator, in comparison with other types of control elements such as a rotary type or a switch having a large number of switching positions, which are generally used. It uses a control device of a Nurum button switch type that is used as a board. In addition, the control procedure is relatively simple for the viewer of the frostbite and is performed as follows.

채널의 선택······소망의 채널이 얻어질 수 있도록 "상(UP)" 누룸단추 216 또는 "하(DOWN)" 누룸단추" 218의 어느 것인가를 조작한다.Selection of the channel ... Either the "UP" push button 216 or the "DOWN" push button 218 is operated so that a desired channel can be obtained.

채널의 추가······모드 누룸단추 214를 누르고 또 해제한다. 추가할 채널이 얻어지도록 "상(UP)" 누룸단추 216 또는 "하(DOWN)" 단추 218의 어느 것인가를 조작한다. 모드 누룸단추 214를 누르고 또 해제한 채널의 제거······제거할 채널을 얻기위하여 "상(UP)" 누룸단추 216 또는 "하(DOWN)" 단추 218의 어느 것인가를 조작한다. 모드 누룸단추 214를 계속하여 두번 누르고 또 해제한다.To add a channel: Press and release the mode pushbutton 214. Manipulate either the "UP" push button 216 or the "DOWN" button 218 to obtain the channel to be added. Pressing mode pushbutton 214 and removing the released channel ... operates either of the "UP" pushbutton 216 or the "DOWN" button 218 to obtain the channel to be removed. Press and hold mode push button 214 twice to release it.

동조전압조정······동조 전압이 조정될 채널을 얻기위하여 "상(UP)"누룸단추 216 또는 "하(POWN)" 누룸단추 218의 어느것인가를 조작한다. 모드 누룸단추 214를 홀드(hold)하여 표시가만족할만한 상태로 될때까지 "상(UP)" 누룸단추 216 또는 "하(DOWN)"누룸단추 218을 조작한다.Adjusting the tuning voltage ... Either the "up" push button 216 or the "pown" push button 218 is operated to obtain a channel to which the tuning voltage is to be adjusted. Hold the mode push button 214 and operate the "UP" push button 216 or the "DOWN" push button 218 until the display is satisfactory.

더우기, 각 프로그래밍의 제어순서가 완결된 후 동조장치 20은 자동적으로 정규모드로 되돌아 오므로 프로그래밍, 모드의 표시(즉"CH"또는 "AJ")없이 통상의 시청자에게 혼란을 줄수 있는 상태에 동조장치20이 부주의하게 머물러 있게 되지 않는다. 그에 관련하여서 비순시형의 다수절환 위치를 가진 스위치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혼란이 생기는 수가 있다. 또 "상(UP)" 누룸단추 216 또는 "하(DOWN)" 누룸단추 218의 어느것인가가 조작되어 있는 동안에 모드 누룸단추 214가 눌린상태 에서 유지되어있을 때의 동조전압 프로그래밍 처리는 미동조용으로 눌려진 상태에서 회전되는 회전채널 선택 스위치를 가진 타렛트형의 튜너를 구비한 통상의 기계적인 동조장치가 조작되는 형태와 다소 유사하다.Moreover, after the control sequence of each programming is completed, the tuning device 20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normal mode, so that the tuning is performed in a state that may confuse the average viewer without programming, mode indication (ie, "CH" or "AJ"). Device 20 does not stay inadvertently. In this connection, the above confusion may arise when a switch having a non-Instantaneous multiple switching position is used. The tuning voltage programming process when the mode push button 214 is held down while either the "UP" push button 216 or the "DOWN" push button 218 is operated is deactivated. It is somewhat similar to the type in which a conventional mechanical tuning device having a tart-shaped tuner with a rotary channel selector that is rotated in a state is operated.

여기서 제2도에 도시하는 순서 검출기 212의 논리의 실행에 대하여 검토한다. 트리거 플립플롭(Trigger Flip Flop) 312 OR 게이트 314, 데이타(pata) 플립플롭 316, 캐패시터 318과 저항기 319에 의해 구성된 미분회로, OR 게이트 320, AND 게이트 322 및 324, 반전기 326 및 328, OR 게이트 330을 포함한 제1논리 구성은 채널 프로그래밍 모드를 개시하고 계속하여 그 제어를 행하기 위하여 모드 누룸단추 스위치214 상(UP) 누룸단추 216 "하(POWN)" 누룸단추 스위치 218의 동작순서를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트리거 플립플롭 312은 그 클록(CK) 입력에 공급되는 부방향 펄스의 연속적인 인가에 응동하여 Q출력에 논리 "1"이

Figure kpo00001
출력에 논리 "0" 이 발생하는 셋트 상태와, 그 Q 출력에 논리 이 "0",
Figure kpo00002
출력에 논리 "1"이 발생하는 리셋트 상태와에 서로 번갈아 절환된다. "채널(CHANNEL)" 신호는 트리거 플립플롭312의 Q 출력에 발생한다.데이타 플립플롭 316은 그 D 입력에 공급되는 신호가 논리 "1"인 경우에는그 CK 입력에 정방향 펄스가 공급되는 것에 응동하여 셋트되어, 그 D 입력에 공급되는 신호가 논리 "0"인 경우에는 CK 입력에 정방향 펄스가 공급되는 것에 응동하여 리셋트된다. "축적(STORE)" 신호는 OR게이트 330의 출력에 발생한다. "소거(ERASE)" 신호는 AND 게이트 324의 출력에 발생한다.Here, the execution of the logic of the sequence detector 212 shown in FIG. 2 is considered. Trigger Flip Flop 312 OR gate 314, data flip-flop 316, differential circuit composed of capacitor 318 and resistor 319, OR gate 320, AND gates 322 and 324, inverters 326 and 328, OR gate The first logic configuration, including 330, detects the operating sequence of the mode push button switch 214 UP push button 216 "POWN" push button switch 218 to initiate and continue to control the channel programming mode. It is used for. Trigger flip-flop 312 responds to the continuous application of a negative pulse supplied to its clock (CK) input, causing a logic " 1 "
Figure kpo00001
Set state where logic "0" occurs at the output, and logic "0" at its Q output,
Figure kpo00002
The output alternates between reset state and logic "1" occurring. The "CHANNEL" signal is generated at the Q output of the trigger flip-flop 312. The data flip-flop 316 responds to the forward pulse supplied to its CK input when the signal supplied to its D input is a logic "1". When the signal supplied to the D input is a logic " 0 ", it is reset in response to the forward pulse supplied to the CK input. A "STORE" signal occurs at the output of OR gate 330. An "ERASE" signal is generated at the output of AND gate 324.

다음에 제2도의 회로 동작을 설명한다. "동조(TUNE)" 신호 또는 "파우워업(PUP)" 신호가 발생하고 있을때 OR 게이트 314에 따른 정방향 리셋트 펄스의 발생이 응동하여 트리거 플립플롭 312는 리셋트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모드 누룸단추 스위치 214가 눌려진 후 해제되면, 그 결과 발생하는 "모드(MODE)" 신호의 부방향 연부에서 트리거 플립플롭 312를 셋트하고, "채널(CHANNEL)" 신호가 발생한다. 캐패시터318을 거쳐 데이타 플립플롭 316의 R(리셋트) 입력에 공급되는 "채널(CHA NNEL)" 신호의 정방향연부에 응동하여 데이터 플립플롭 316은 리셋트된다.Next, the circuit operation of FIG. 2 will be described. It is assumed that the trigger flip-flop 312 is reset because the generation of the forward reset pulse according to the OR gate 314 responds when the "TUNE" signal or the "PUP" signal is occurring. When the mode push button switch 214 is pressed and released, the trigger flip-flop 312 is set at the negative edge of the resulting "MODE" signal, and a "CHANNEL" signal is generated. The data flip-flop 316 is reset in response to the forward edge of the "CHA NNEL" signal supplied via the capacitor 318 to the R (reset) input of the data flip-flop 316.

트리거 플립플롭 312가 셋트 상태에 있는한 논리"1"이 데이타 플립플롭 316의 D 입력에 공급된다. 따라서 "상(UP)"누룸단추 216 또는 "하(DOWN)" 누룸단추 218의 어느 것인가가 눌려 있을때에 모드 누룸 단추 스위치 214가 해제되었다고 가정하면 누룸단추 "상" 상태표시 신호(PBUP) 또는 누룸단추 "하" 상태표시신호(PBDN)의 어느 것인가에 응동하여 OR 게이트 320에 의해 발생된 정방향 펄스가 데이타 플립플롭 316을 셋트할때 이 그 D 입력이 논리 "1"이 공급된다. "상(UP)" 누룸단추 스위치 216 또는 "하(DOWN)" 누룸단추 스위치 218이 눌려 있을 때에 모드 누룸단추 스위치 214가 해제되어 있지 않으면 뒤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동조(TUNE)" 신호가 발생하여 트리거 플립플롭 312가 리셋트된다. "상(UP)" 누룸단추 스위치 216 또는 "하(DOWN)" 누룸단추 스위치 218의 어느것인가의 조작후 모드 누룸단추가 재차 눌려지고 또 해제되면 제2의 "모드(MODE)" 신호의 부방향 연부에 응동하여 트리거 플립플롭 312가 리셋트되나 데이타플립플롭 316은 리셋트 되지 않는다.Logic " 1 " is supplied to the D input of data flip-flop 316 as long as trigger flip-flop 312 is in the set state. Thus, assuming the mode push button switch 214 is released when either of the "UP" push button 216 or the "DOWN" push button 218 is pressed, the push button "up" status signal (PBUP) or push This D input is supplied with a logic "1" when the forward pulse generated by the OR gate 320 in response to any of the button "bottom" status indication signals PBDN sets the data flip-flop 316. If the mode push button switch 214 is not released when the "UP" push button switch 216 or the "DOWN" push button switch 218 is depressed, the "TUNE" signal is generated as described below. Trigger flip-flop 312 is reset. The negative direction of the second "MODE" signal when the mode push button is pressed again and released after the operation of either the "UP" push button switch 216 or the "DOWN" push button button 218 In response to the edge, trigger flip-flop 312 is reset, but data flip-flop 316 is not reset.

이때 데이타 플립플롭 316의 Q 출력은 논리 "1"이 된다. 따라서 제2의 "모드(MODE)" 신호에 응동하여 데이타 플립플롭 312의 Q 출력이 저하되면 "채널(CHANNEL)" 신호의 부방향 연부가 캐패시터 318을 거쳐 반전기 326에 공급되고, 반전되어서 정방향 펄스가 생성된다. 이 정방향 펄스에 응동하여 테이타 플립플롭 316의 Q 출력에서 논리 "1"에 의해서 활성화 되어 있는 AND 게이트 322는 정방향 펄스를 발생하여 이 정방향 펄스는 OR 게이트330를 거쳐서 "축적(STOR)" 신호로서 공급된다.At this time, the Q output of the data flip-flop 316 becomes logic "1". Therefore, when the Q output of the data flip-flop 312 decreases in response to the second "MODE" signal, the negative edge of the "CHANNEL" signal is supplied to the inverter 326 through the capacitor 318 and inverted to the positive direction. The pulse is generated. In response to this forward pulse, the AND gate 322, activated by logic "1" at the Q output of the data flip-flop 316, generates a forward pulse, which is supplied as an "STOR" signal through the OR gate 330. do.

모드 누룸단추 스위치 214가 눌려지고 또 해제된 후 "상(UP)" 누룸단추 스위치 216 또는 "하(DOWN)"누룸단추 스위치 218이 조작되지 않으면 상술함과 같이 트리거 플립플롭 312는 리셋트되지 않는다. 그러나 데이타 플립플롭316은 OR게이트320에서 정방향 클록 펄스의 공급이 없음으로 해서 셋트되지 않으며, 그

Figure kpo00003
출력은 논리"1"로 된다. 따라서 만약 모드 누룸단추 214가 계속해서 두번 눌려지고 해제되면, 두번째의 "모드(MODE)" 신호에 응동하여 발생하는 "채널(CHANNEL)" 신호의 부방향 연부는 반전기328에 의해 반전되어 데이타 플립플롭 316의
Figure kpo00004
출력에서 논리 "1"에 따라서 활성화된 AND 게이트 324는 "소거(ERASE) 신호"를 발생한다.Trigger flip-flop 312 does not reset as described above unless "up" pushbutton switch 216 or "down" pushbutton switch 218 is operated after mode pushbutton switch 214 is pressed and released. . However, data flip-flop 316 is not set due to the absence of a forward clock pulse at OR gate 320, and
Figure kpo00003
The output is logical "1". Thus, if mode pushbutton 214 is repeatedly pressed and released twice, the negative edge of the "CHANNEL" signal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second "MODE" signal is inverted by inverter 328 to flip the data. Flop 316
Figure kpo00004
AND gate 324 activated according to logic " 1 " at the output generates an " ERASE signal ".

데이타 플립플롭 412, 반전기 414, 캐패시터 416과 저항기 417에 의해 형성된 미분회로 캐패시터 424와 저항기425에 의해서 형성된 미분회로, OR게이트 426, AND게이트428, 반전기430,432,434, 및 별개의 OR 게이트 320을 포함하는 순서검출기 212의 제2의 논리구성은 동조장치 20의 동조전압 프로그램모드를 개시하여 제어하기 위한 모드 누룸단추 214, "상 (UP)" 누룸단추 216, "하(DOWN)" 누룸단추 218의 조작방식 및 순서를 검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Data flip-flop 412, inverter 414, differential circuit formed by capacitor 416 and resistor 417 differential circuit formed by capacitor 424 and resistor 425, OR gate 426, AND gate 428, inverter 430, 432, 434, and separate OR gate 320 The second logic configuration of the sequence detector 212 includes the mode push button 214, the "UP" push button 216, and the "DOWN" push button 218 for starting and controlling the tuning voltage program mode of the tuning device 20. It is used to detect the operation method and the order.

데이타 플립플롭 412는 "파우워업(PUP)" 신호에 응동하여 리셋트된다. 만약 모드 누룸단추 214가 눌리면 논리"1"이 데타플립플롭 412의 D 입력이 공급된다. 모드 누룸단추 214가 눌린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동안에 "상(UP)" 누룸단추 216 또는 "하(DOWN)" 누룸단추 218의 어느 것인가가 조작되면 정 클록 펄스가 OR 게이트 320 및 426 및 캐패시터 424를 거쳐서 데이타 플립플롭 412의 클록(CK) 입력에 공급되어,이 데이타 플립플롭 412를 셋트하고 그 출력에 "동조(TUNE)" 신호를 발생시킨다. "동조(TUNE)" 신호의 상승연부는 OR 게이트 314를 거쳐서 트리거 플립플롭 312의 R 입력에 공급되어 상술함과 같이 이를 리셋트한다. 만약 "상(UP)" 누룸단추 216, "하(DOWN)" 누룸단추 218의 쌍방이 해제되면, 논리 "1"이 반전기 432 및 434를 거쳐서 AND 게이트 428의 두 개의 입력에 공급된다.The data flip-flop 412 is reset in response to a "power up" signal. If mode push button 214 is pressed, logic " 1 " is supplied to D input of deta flip-flop 412. While either mode UP button 214 is held depressed, either “UP” push button 216 or “DOWN” push button 218 is manipulated and a positive clock pulse causes OR gate 320 and 426 and capacitor 424 to It is supplied via a clock (CK) input of the data flip-flop 412 to set the data flip-flop 412 and generate a "TUNE" signal at its output. The rising edge of the " TUNE " signal is supplied to the R input of the trigger flip-flop 312 via the OR gate 314 to reset it as described above. If both the " UP " nurum button 216 and the " DOWN " nurum button 218 are released, a logic " 1 " is supplied to the two inputs of the AND gate 428 via inverters 432 and 434.

이때, 모드누름단추 214가 해제되면 논리 "0"이 데이타 플립플롭 412의 D 입력에 공급되어 논리 "1"이 반전기 430를 거쳐서 AND 게이트 428의 다른 입력에 공급된다. 이것에 응동하여 정방향 펄스가 AND 게이트 428, OR 게이트 426 및 캐패시터 424를 거쳐 데이타 플립플롭 412의 클록(CK) 입력에 공급된다. 그결과, 데이타 플립플롭 412는 리셋트되어 "동조(TUNE)신호"는 정지한다. 이 동조(TUNE)" 신호의 부방향 연부에 응동하여 부방향 펄스가 반전기 414에 공급되고 반전되어서 정방향 펄스가 생성된다. 이 정방향 펄스는 캐패시터 416 및 OR 게이트 330을 거쳐 "축적(STORE)" 신호로서 공급된다. 최초 모드누름단추 214를 해제하고, 이어서 "상(UP)" 누룸단추 216 및 "하(DOWN)"누룸단추 218의 쌍방을 해제하면, "동조(TUNE)" 신호가 종료되고 "축적(STORE)" 신호가 발생한다.At this time, when the mode push button 214 is released, logic "0" is supplied to the D input of the data flip-flop 412, and logic "1" is supplied to the other input of the AND gate 428 via the inverter 430. In response, a forward pulse is supplied to the clock CK input of the data flip-flop 412 via the AND gate 428, the OR gate 426, and the capacitor 424. As a result, data flip-flop 412 is reset and the " TUNE signal " stops. In response to the negative edge of this TUNE " signal, a negative pulse is supplied to inverter 414 and inverted to produce a forward pulse. This forward pulse is “stored” via capacitor 416 and OR gate 330. When the initial mode pushbutton 214 is released and then both the "UP" pushbutton 216 and the "DOWN" pushbutton 218 are released, the "TUNE" signal is terminated. The "STORE" signal is generated.

순서검출기 212의 반전기 418,422 및 AND 게이트 420은 "정규(NORMAL)"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트리거 플립플롭 312 및 데이타 플립플롭 412의 쌍방이 리셋트 되어 논리 "1"이 반전기 418 및422를 거쳐 AND 게이트 420의 입력에 공급되면 그것에 응동하여 "정규(NORMAL)" 신호가 발생된다.Inverters 418,422 and AND gate 420 of sequence detector 212 are used to generate a " NORMAL " signal. Both trigger flip-flop 312 and data flip-flop 412 are reset so that logic " 1 " is supplied to inputs of AND gate 420 via inverters 418 and 422 to react with it to generate a " NORMAL " signal.

순서검출기 212를 논리의 실행형으로 설명하였으나, 모드 누룸단추 214, "상(UP)" 누룸단추 216, "하(DOWN)" 누룸단추 218의 조작방식 및 순서의 검출은 적당히 프로그램된 서브루틴(subroutine)을 가진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서도 실행된다. 이와 같은 형태 및 다른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은 말할필요 조차 없다.While the sequence detector 212 has been described as an executable of logic, the detection of the mode of operation and the sequence of the mode push button 214, the "up" push button 216, and the "down" push button 218 can be performed using a properly programmed subroutine ( It is also executed by a microprocessor with subroutine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uch forms and other variation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1)

수상기를 시청자가 선택할 수가 있는 각종의 동조 위치에 동조시키기 위한 전압 가변 동조소자 (18)를 포함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동조장치에서, 상기 전압 가변 동조소자(18)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동조위치에 대응하는 동조전압을 표시하는 2진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동조전압장치(118)와; 상기 동조전압 장치(118)에 의해 발생된 2진 신호를 축적하기 위한 복수의 기억위치를 구비한 제1의 기억장치(112)와; 상기 동조위치의 희망상태 및 비희망상태의 각각을 대표하는 제1의 2진 신호("0") 및 제2의 2진 신호("1")를 발생하고 이 발생된 2진 신호를 축적하기 위한 복수의 기억위치를 구비한 스킵장치(132,134)와; 상기 스킵장치의 기억위치를 어드레스하기 위한 적어도 방향 스위치장치(216;218)을 포함한 동조위치 선택장치(216,218,220)와; 모드 스위치장치(214)를 구비한 장치에 있어서,In a television receiver tuning device including a voltage variable tuning device 18 for tuning a receiver to various tuning positions that can be selected by a viewer, the tun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tuning position for controlling the voltage variable tuning device 18 is provided. A tuning voltage device 118 for generating a binary signal indicating the tuning voltage; A first storage device (112)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locations for accumulating binary signals generated by said tuning voltage device (118); Generating a first binary signal " 0 " and a second binary signal " 1 " representing each of the desired and undesired states of the tuning position and accumulating the generated binary signals; A skipping device (132, 134)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locations for the same; A tuning position selection device (216, 218, 220) including at least a direction switch device (216; 218) for addressing a storage position of the skip device; In the device provided with the mode switch device 214, 입력단자들이 상기 방향스위치 (216,218) 및 상기 모드스위치(214)에 결합되고 제1출력 단자가 상기 동조전압장치(118)에 결합되어, 상기 방향스위치(216,218) 및 상기 모드 스위치(214)의 제1의 일련의 동작에 응동하여 상기 동조전압장치(118)의 동작을 가능상태로 되게하는 동조전압프로 그램밍 신호를 발생하는 제1 논리게이트(320,426,412)와, 입력단자들이 상기 방향스위치(216,218) 및 모드스위치(214)에 결합되고 제2 및 3 출력단자는이 상기 스킵장치(132,134)의 입력단자들에 결합되어 상기 방향스위치(216,218)및 모드스위치(214)의 제2 및 제3의 일련의 동작에 각각 응동하여 상기 스킵장치(132,134)로 부터 제 1 및 제2형식의 2진 신호가 발생되게끔 제1 및 제2동조위치 프로그래밍 신호를 발생하는 제2 논리게이트(320,312,316,322,326,328,324,330)로 구성된 순서검출장치(212)를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용 동조장치.Input terminals are coupled to the directional switches 216 and 218 and the mode switch 214, and a first output terminal is coupled to the tuning voltage device 118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witches of the directional switches 216 and 218 and the mode switch 214 are connected. First logic gates 320, 426, 412 for generating a tuning voltage programming signal for enabling the operation of the tuning voltage device 118 in response to a series of operations, and input terminals of the direction switches 216, 218; And a second and third output terminals coupled to the input terminals of the skip device 132 and 134, the second and third output terminals of the direction switch 216 and 218 and the mode switch 214. A sequence detection device comprising second logic gates 320, 312, 316, 322, 326, 328, 324 and 330 for generating first and second tuning position programming signals to generate first and second types of binary signals from the skip devices 132 and 134 respectively in response to an operation. Scoop 212 Water appointed television tuning apparatus as.
KR7803267A 1978-10-30 1978-10-30 Television receiver tuning device KR8300007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267A KR830000730B1 (en) 1978-10-30 1978-10-30 Television receiver tu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803267A KR830000730B1 (en) 1978-10-30 1978-10-30 Television receiver tun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730B1 true KR830000730B1 (en) 1983-04-06

Family

ID=1920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803267A KR830000730B1 (en) 1978-10-30 1978-10-30 Television receiver tun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730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45394A (en) Broadcast receiver
US4870492A (en) Television receiver having automatically programmable skip channel list
US4156850A (en) Display system for facilitating the setup of a tuning system
US3940702A (en) Automatically presetting channel selecting system
US4914517A (en) Tuner control apparatus having tune-by-label capability and using alphabetical label storage
US4837627A (en) Programmable operating-parameter control appat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US3882400A (en) Broadcast receiver
US4123724A (en) Communication equipment
GB2063600A (en) Receiver with a channel swapping apparatus
US5193005A (en) Channel selecting apparatus having a channel skip function
US4164711A (en) Tuning system including a memory for storing tuning information with user controls arranged to facilitate its programming
US4398193A (en) Control apparatus
US4139865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video changeover switch responsive to channel selector
US4151557A (en) Television receiver operating mode selector
US5438377A (en) Channel select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GB1521898A (en) Broadcast receiver channel selection system
JPS5810015B2 (en) Senkiyokusouchi
US4259690A (en) Multi-picture tuning scheme of television receiver
US4325023A (en) Device for inspecting an individual high frequency signal selected according to frequency from a broad frequency band
JPS5826693B2 (en) Senkiyokusouchi
KR830000730B1 (en) Television receiver tuning device
US4516170A (en) Dual mode UHF tuning system
US4127821A (en) Channel selecting apparatus with automatic rewriting of channel identifying codes in a memory
US4158816A (en) Memory type tuning system with provisions for skipping nonpreferred tuning positions
JPS6017271B2 (en) Channel selection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