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6743A - Optical adhesive tape - Google Patents

Optical adhesive ta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6743A
KR20230136743A KR1020237028862A KR20237028862A KR20230136743A KR 20230136743 A KR20230136743 A KR 20230136743A KR 1020237028862 A KR1020237028862 A KR 1020237028862A KR 20237028862 A KR20237028862 A KR 20237028862A KR 20230136743 A KR20230136743 A KR 20230136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resent
adhesive layer
meth
adhesiv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88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츠코 오키타
겐키 오치
나오키 하시모토
히로미 이케시마
히로시 노로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18151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117422A/en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36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743A/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6Anti-reflectiv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화상 표시 장치를 타일상으로 나열하는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사용 환경 하에서도, 복수의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기 어렵고,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고,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기 위한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10A)는, 제1 면(1a) 및 제2 면(1b)을 갖는 기재(1)와, 기재(1)의 제1 면(1a)에 점착제층(2)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는다. 광학용 점착 테이프(10A)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평균 치수 변화율이 ±0.15% 이내이다. 점착제층(2)의 점착 면적 1㎠를 수지판에 접합하여, 23℃에서 전단 방향으로 인장 속도 0.06mm/min으로 인장한 때의 전단력이 20N/㎠ 이하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ling display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are arranged in a tile shape, in which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is difficult to notice even under the usage environment, transparency can be maintained, and a good appearance is maintain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dhesive tape for optical use. The optical adhesive tape (10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trate (1) having a first side (1a) and a second side (1b), and an adhesive layer (2) on the first side (1a) of the substrate (1). It has a stacked layered structure. The average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chine direction when the optical adhesive tape 10A is heated for 500 hours in an environment of 60°C and 90% relative humidity is within ±0.15%. When an adhesive area of 1 cm 2 of the adhesive layer 2 is bonded to a resin plate and stretched in the shear direction at a tensile speed of 0.06 mm/min at 23° C., the shear force is 20 N/cm 2 or less.

Description

광학용 점착 테이프Optical adhesive tape

본 발명은,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화상 표시 장치를 타일상으로 나열하는 타일링 디스플레이의 제조에 적합한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tape for optics. In detail, it relates to an optical adhesive tape suitable for manufacturing a tiling display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are arranged in a tile form.

4K, 8K 등의 고화질화에 수반하여, 보다 대화면의 화상 표시 장치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옥외, 공공 시설 등에 있어서의 광고 표시나 게시판 등의 사이니지에의 대화면의 화상 표시 장치의 이용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화면의 화상 표시 장치를 제조하면 수율이 저하되고, 제조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화면 화상 표시 장치를 보다 저비용으로 제조하기 위해서, 복수의 화상 표시 장치를 타일상으로 나열하는 타일링 디스플레이가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With the increase in image quality such as 4K and 8K, the demand for image display devices with larger screens is increasing. In addition, the use of large-screen image display devices for advertising displays outdoors, in public facilities, etc., and for signage such as bulletin boards is also progressing. However, when manufacturing a large-screen image display device, problems arise such as lower yields and increased manufacturing costs. In order to manufacture large-screen image display devices at lower cost, a tiling display that arranges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in tiles is being studi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61634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7-161634

타일링 디스플레이에서는, 복수의 화상 표시 장치 사이를 눈에 띄지 않게 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간극을 좁게(예를 들어, 100㎛ 이하) 할 필요가 있지만, 사용 환경 하에서 화상 표시 장치가 수축 또는 팽창하여, 간극이 조금 생기거나, 화상 표시 장치의 근소한 겹침이 발생하여 간극이 눈에 띄고, 또한, 투명성이 저하되어, 외관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광학 부재 사이를 접합하는 점착제층이 화상 표시 장치의 수축·팽창에 추종할 수 없고, 단부에 있어서 들뜸이나 박리가 발생하고, 외관이 나빠진다는 문제도 있었다.In a tiling display, it is necessary to narrow the gap between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e.g., 100 μm or less) in order to make it less conspicuous. However, under the usage environment, the image display devices contract or expand, causing the gap to become small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mall gap or a slight overlap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ccurs, causing a gap to be noticeable, transparency is lowered, and the appearance is poor. Additionall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dhesive layer that bonds the optical members constituting the image display device could not keep up with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causing lifting or peeling at the ends, and deteriorating the appearance.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기초로 생각해 내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화상 표시 장치를 타일상으로 나열하는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사용 환경 하에서도, 복수의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기 어렵고,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고,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기 위한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circumstance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ling display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are arranged in tiles, even under the usage environment, between the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The object is to provide an optical adhesive tape that makes it difficult for gaps to be noticeable, can maintain transparency, and maintains a good appearance.

즉,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제1 면에 점착제층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는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That is,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tical adhesive tape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a substrate hav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and an adhesive layer is laminated on the first side of the substrate.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는,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평균 치수 변화율이 ±0.15% 이내이다. 당해 평균 치수 변화율이 ±0.15% 이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을 억제하고,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하고,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는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다.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하는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평균 치수 변화율은 ±0.1%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이내여도 된다.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verage dimensional change rate of within ±0.15%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chine direction when heated for 500 hours in an environment of 60°C and 90% relative humidity.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average dimensional change rate is within ±0.15% is a tiling display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on which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minated is arranged, and shrinkage under the use environ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s achieved. Alternatively, it is suitable in that expansion is suppressed, gaps between image display devices are suppressed from being noticeable, good appearance is maintained, shrinkage or expansion is small, and transparency can be maintained without change. In order to prevent the gap between image display devices from being noticeable, to reduce shrinkage or expansion, and to maintain transparency without change, the average dimensional change rate is preferably within ±0.1%, and may be within ±0.05%. do.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 면적 1㎠를 수지판에 접합하여, 23℃에서 전단 방향으로 인장 속도 0.06mm/min으로 인장한 때의 전단력은 20N/㎠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전단력」이라고 할 때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점착제층의 점착 면적 1㎠를 수지판에 접합하여, 23℃에서 전단 방향으로 인장 속도 0.06mm/min으로 인장한 때의 전단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I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adhesive area of 1 cm 2 of the adhesive layer is bonded to a resin plate and stretched in the shear direction at a tensile speed of 0.06 mm/min at 23° C., the shear force is 20 N/min. It is less than ㎠. In this specification, “shear force” refers to “the force applied when 1 cm2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adhesive layer is bonded to a resin plate and stretched in the shear direction at a tensile speed of 0.06 mm/min at 23°C,”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shall represent “shear force.”

상기 점착제층의 전단력이 20N/㎠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에 배선 등에 의한 요철 형상의 단차가 있는 경우, 당해 단차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기포 등을 남기는 일 없이, 충전할 수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하고, 단차에 추종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점착제층의 전단력은 15N/㎠ 이하가 바람직하고, 13N/㎠ 이하여도 된다.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hear force of the adhesive layer is 20 N/cm2 or less allows the adhesive layer to sufficiently follow the contraction or expansion under the use environ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n which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minated, and does not float. This is desirable because it can suppress peeling. In addition, when the adherend, such as an image display panel, has uneven steps caused by wiring or the like, it is also desirable because the adhesive layer sufficiently follows the steps and can be filled without leaving bubbles or the like. In order to suppress the lifting or peeling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be able to follow a level difference, the shear force of th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15 N/cm 2 or less, and may be 13 N/cm 2 or less.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평균 치수 변화율을 C[%]로 하고,Let C[%] be the average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chine direction whe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eated for 500 hours in an environment of 60°C and 90% relative humidity,

상기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상기 점착제층을 두께 50㎛의 PET 필름에 접합한 후에 10cm 사방으로 절단한 적층체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하기의 최대 컬양을 D[mm]로 한 때에, 하기 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ximum curl amount shown below when the adhesive layer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is bonded to a PET film with a thickness of 50 μm and then cut into 10 cm squares and heated for 500 hours in an environment of 60°C and 90% relative humidity is calculated as D[ mm], it is desirable to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

|C×D|≤3|C×D|≤3

·최대 컬양: 상기 적층체의 컬의 볼록으로 되어 있는 면이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네 구석의 휨 중 가장 높은 것을 최대 컬양 D[mm]로 한다. 상기 적층체의 상기 PET 필름측을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측정한 최대 컬양을 +, 상기 적층체의 상기 기재측을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측정한 최대 컬양을 -로 한다.· Maximum curl amount: The laminate is placed on a horizontal surface so that the convex curled surface is at the bottom, and the highest curl amount among the four corners is taken as the maximum curl amount D [mm]. The maximum amount of curl measured with the PET film side of the above-mentioned laminate placed on a horizontal plane facing down is +, and the maximum curl amount measured with the base material side of the above-mentioned laminate placed on a horizontal surface facing down is taken as -.

상기 평균 치수 변화율 C[%]와, 상기 최대 컬양 D[mm]의 곱의 절댓값 |C×D|가 3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의 변화를 시인하기 어렵고, 화상 표시 장치를 필름 기판에 고정밀도로 접합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다.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의 변화를 시인하기 어렵고, 화상 표시 장치를 필름 기판에 고정밀도로 접합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C×D|는,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4 이하이고, 2.3 이하, 또는 2.2 이하여도 된다.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absolute value of the product of the average dimensional change rate C [%] and the maximum curl amount D [mm] |C A tiling display in which a plurality of devices are arranged in a row is suitable because it is difficult to visually recognize changes in the gap between the image display devices and the image display devices can be bonded to a film substrate with high precision. Since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changes in the gap between the image display devices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can be bonded to the film substrate with high precision, the |C×D| is preferably 2.5 or less, more preferably 2.4 or less. , may be 2.3 or less, or 2.2 or less.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유리 전이점(Tg)은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의 유리 전이점이 60℃ 이상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사용 환경 하에서의 화상 표시 장치의 기계적 물성이 안정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기계적 물성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상기 기재의 유리 전이점은 63℃ 이상, 또는 65℃ 이상이어도 된다.I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ass transition point (Tg) of the substrate is preferably 60°C or high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glass transition point of the substrate is 60°C or higher is such that, in the tiling display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on which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minated is arrange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under the use environment are It is desirable in that it is stable. From the viewpoint of stability of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glass transition point of the substrate may be 63°C or higher, or 65°C or higher.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점(Tg)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의 Tg가 -10℃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저온 환경 하에서도 상기 점착제층의 응력 완화성이 유지되어,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상기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고, 피착체와의 밀착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하고, 피착체와의 양호한 밀착성의 점에서, 상기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점은 -15℃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하여도 된다.I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ass transition point (Tg) of th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10°C or low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Tg of the adhesive layer is -10°C or lower maintains the stress relaxation property of the adhesive layer even in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and the use environ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n which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minated This is preferable because the adhesive layer sufficiently follows contraction or expansion under pressure, can suppress lifting or peeling, and can sufficiently secure adhesion to the adherend.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lifting or peeling in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providing good adhesion to an adherend, the glass transition point of th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15°C or lower, and may be -20°C or lower.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60℃ 상대 습도 30%에서 60℃ 상대 습도 60%로 가습한 때의 습도 팽창률은 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습도 팽창률이 0.1%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흡습에 의한 팽창을 억제하고,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하는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흡습에 의한 팽창을 억제하는 관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습도 팽창률은 0.08% 이하가 바람직하고, 0.06% 이하여도 된다.Whe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umidified from a relative humidity of 30% at 60°C to a relative humidity of 60% at 60°C, the humidity expansion rate is preferably 0.1% or less.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humidity expansion rate is 0.1% or less suppresses expans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due to moisture absorption in the tiling display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on which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minated is arranged. , it is suitable in that the gap between the image display devices is suppressed from being noticeable, shrinkage or expansion is small, and transparency can be maintained without change.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expans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due to moisture absorption, reducing shrinkage or expansion, and maintaining transparency without change, the humidity expansion rate is preferably 0.08% or less, and may be 0.06% or less.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는 5×10-5/%R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가 5×10-5/%RH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상기 기재의 습도 변화에 있어서의 치수 안정성이 향상되고,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장치의 수축 또는 팽창을 억제하고,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하여,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는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다. 상기 기재의 치수 안정성의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는 3×10-5/%RH 이하가 바람직하고, 2×10-5/%RH 이하여도 된다.I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ty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substrate is preferably 5×10 -5 /%RH or less.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humidity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substrate is 5 In a tiling display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re arranged, shrinkage or expans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s is suppressed under a use environment, gaps between image display devices are suppressed from being noticeable, and a good appearance is maintained. It is suitable in that it has little expansion and transparency can be maintained without change. In terms of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substrate, there is little shrinkage or expansion, and transparency can be maintained without change, the humidity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substrate is preferably 3 × 10 -5 /%RH or less, and 2 × 10 -5 / It may be %RH or less.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제2 면은,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의 제2 면이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되어 있다는 구성은, 상기 화상 표시 장치의 기판 상에 배치된 금속 배선이나 ITO 배선 등에 의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시인되기 어려워지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I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is preferably treated with anti-reflection treatment and/or anti-glare treatmen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is subjected to anti-reflection treatment and/or anti-glare treatment is preferable in that reflection by metal wiring, ITO wiring, etc. disposed on the substrat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can be prevented. Furthermore, in a tiling display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on which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minated is arranged, it is also preferable in that the gap between the image display devices becomes difficult to be recognized.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은, 상기 점착제층의 상기 특성(특히, 전단력)을 조정하는 데에 적합하다.I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an acrylic adhesive layer containing an acrylic polymer. This configuration is suitable for adjusting the properties (particularly, shear force) of the adhesive layer.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와, 화상 표시 패널이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Additionally,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mage display panel are laminated. Additionally,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ling display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of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in a row.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적층 구조 중에 갖기 때문에,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화상 표시 장치가 어느 정도 수축 또는 팽창한 경우에도, 상기 점착제층은, 화상 표시 장치의 수축 또는 팽창에 충분히 추종하여, 들뜸이나 박리가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하여 제작되는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사용 환경 하에서,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기 어렵고, 양호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다.Since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laminated structure, shrinkage or expansion under a use environment can be suppressed. Furthermore, even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acts or expands to some extent, the adhesive layer sufficiently follows the contraction or expans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so that lifting or peeling is unlikely to occur. Therefore, in the tiling display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anufactur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of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between the image display devices is less noticeable under the usage environment and has a good appearance. It can be maintained. Additionally, transparency can be maintained without change.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의 제조에 사용함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기 어렵고, 양호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가 어느 정도 팽창 또는 수축한 경우에도, 점착제층의 들뜸이나 박리가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고성능의 타일링 디스플레이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By using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oduction of a tiling display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are arranged, shrinkage or expans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under the usage environment can be suppress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image display devices is reduced. It is difficult to stand out and maintains a good appearance. Additionally, transparency can be maintained without change. Additionally, even when the image display device expands or contracts to a certain extent, it is difficult for the adhesive layer to float or peel off, making it possible to efficiently manufacture a high-performance tiling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a)는 단면도, (b)는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다른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사시도)이다.
도 5는, 전단 시험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one embodiment of an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b) is a top view.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FIG. 2 is laminated.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tiling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hear test.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제1 면에 점착제층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는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제공한다.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tical adhesive tape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a substrate has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and an adhesive layer is laminated on the first side of the substrate.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구성하는 상기 기재 및 점착제층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각, 「본 발명의 기재」 및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점착 테이프」에는, 「점착 시트」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는, 시트상의 형태를 갖는 점착 시트여도 된다.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first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ferred to as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aid base material and adhesive layer which comprise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is invention may be respectively called "the base material of this invention" and "the adhesive layer of this invention." In addition, “adhesive tape” shall include the meaning of “adhesive sheet”. That is, the adhesive tape for op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dhesive sheet having a sheet-like form.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와, 화상 표시 패널이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의 화상 표시 장치를,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mage display panel are laminated.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ferred to as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또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의 타일링 디스플레이를,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Additionally,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ling display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in a row. The tiling display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ferred to as “the tiling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관련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adhesive tape for op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merely an 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a)는 단면도, (b)는 상면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one embodiment of an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b) is a top view.

도 1의 (a)에 있어서, 광학용 점착 테이프(10A)는, 기재(1)와, 점착제층(2)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는다. 기재(1)는, 제1 면(1a) 및 제2 면(1b)을 갖고, 기재(1)의 제1 면(1a)에 점착제층(2)이 적층되어 있다.In Fig. 1(a), the optical adhesive tape 10A has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a base material 1 and an adhesive layer 2 are laminated. The base material 1 has a first face 1a and a second face 1b, and an adhesive layer 2 is laminated on the first face 1a of the base material 1.

도 1의 (b)에 있어서, 광학용 점착 테이프(10A)의 폭 방향(TD) 및 기계 방향(MD)은, 기재(1)의 폭 방향(TD) 및 기계 방향(MD)과 대응하여 정해지는 것이다.In Figure 1(b), the width direction (TD) and machine direction (MD)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10A are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direction (TD) and machine direction (MD) of the substrate 1. You will lose.

도 2에 있어서, 광학용 점착 테이프(10B)는, 기재(1)와, 점착제층(2)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는다. 기재(1)는, 제1 면(1a) 및 제2 면(1b)을 갖고, 기재(1)의 제1 면(1a)에 점착제층(2)이 적층되어 있다. 기재(1)의 제2 면(1b)은,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3)가 실시되어 있다.In Fig. 2, the optical adhesive tape 10B has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a base material 1 and an adhesive layer 2 are laminated. The base material 1 has a first face 1a and a second face 1b, and an adhesive layer 2 is laminated on the first face 1a of the base material 1. The second surface 1b of the base material 1 is subjected to anti-reflection treatment and/or anti-glare treatment 3.

도 3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일 실시 양태를 도시하는 모식도(단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20)는, 광학용 점착 테이프(10B)의 점착제층(2)에 있어서, 화상 표시 패널(4)이 적층되어 있다.Fig. 3 is a schematic diagram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 in the image display device 20, the image display panel 4 is laminated on the adhesive layer 2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10B.

도 4는,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사시도)이다. 도 4에 있어서, 타일링 디스플레이(30)는, 9매의 화상 표시 장치(20)(적층 구조는 도시 생략)를 3×3의 배열로, 지지 기판(31) 상에 타일상으로 나열하여 형성되어 있고, 화상 표시 장치(20)끼리는 간극(32)으로 접하고 있다.Fig. 4 is a schematic diagram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tiling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the tiling display 30 is formed by arranging nine image display devices 20 (stacked structure not shown) in a 3×3 arrangement on a support substrate 31 in a tile shape. and the image display devices 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a gap 32.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광학용 점착 테이프><Optical adhesive tape>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광학」이란, 광학 용도에 사용되는 것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학 부재가 사용된 제품(광학 제품)의 제조 등에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광학 제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화상 표시 장치,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 등을 들 수 있지만, 액정 화상 표시 장치, 자발광형 화상 표시 장치(예를 들어, 유기 EL(일렉트로루미네센스) 화상 표시 장치, LED 화상 표시 장치) 등의 제조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는, 복수의 화상 표시 장치를 타일상으로 나열하는 타일링 디스플레이의 제조에 적합하다.“Optics” in the adhesive tape for op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used for optical purposes, and more specifically, means used for manufacturing products (optical products) using optical members. Examples of optical products include image display devices and input devices such as touch panels, but also include liquid crystal image display devices and self-luminous image display devices (e.g., organic EL (electroluminescence) image display devices). , LED image display devices), etc. In particular,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manufacturing a tiling display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are arranged in a tile form.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는, 본 발명의 기재의 제1 면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적층되고 있는 한, 그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편면만이 점착면인 편면 점착 테이프여도 되고, 양면이 점착면인 양면 점착 테이프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양면 접착 테이프인 경우,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는, 양쪽의 점착면이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 의해 제공되는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되고, 한쪽의 점착면이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 의해 제공되고, 다른 쪽의 점착면이 본 발명의 점착제층 이외의 점착제층(그 밖의 점착제층)에 의해 제공되는 형태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광학 제품의 최표면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편면 점착 테이프가 바람직하고, 피착체(광학 부재)끼리를 접합하는 경우에는, 양면 점착 테이프가 바람직하다.The form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minated on the first sid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t may be a single-sided adhesive tape in which only one side is an adhesive surface, or it may be a double-sided adhesive tape in which both sides are an adhesive surface. In addition, whe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uble-sided adhesive tape, both adhesive surfaces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form provided by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e adhesive surface may have a shape provided by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provided by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ther adhesive surface may be provided by an adhesive layer other than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adhesive layer). Whe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the outermost surface of an optical product, a single-sided adhesive tape is preferable, and when adherends (optical members) are joined to each other, a double-sided adhesive tape is preferable.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는, 본 발명의 기재, 본 발명의 점착제층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층,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재 이외의 기재, 본 발명의 점착제층 이외의 점착제층, 중간층, 하도층, 대전 방지층, 세퍼레이터, 표면 보호 필름 등을, 표면 또는 임의인 층 사이에 갖고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o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ther layers, for example, a base material other than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An adhesive layer, intermediate layer, undercoat layer, antistatic layer, separator, surface protection film, etc. other than the layer may be included on the surface or between arbitrary layers.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는,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평균 치수 변화율이 ±0.15% 이내이다.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치수 변화율은,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각각의 초기 치수를 100%로 한 때의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 후의 치수의 변화량의 백분율(%)이고, 다음 식으로부터 산출된다.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verage dimensional change rate of within ±0.15%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chine direction when heated for 500 hours in an environment of 60°C and 90% relative humidity. The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chine direction is the percentage (%) of the change in dimension after heating for 500 hours in an environment of 60°C and 90% relative humidity when the initial dimensions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chine direction are set to 100%, It is calculat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치수 변화율(%)=[(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 후의 치수)-(초기 치수)]/(초기 치수)×100Dimensional change rate (%) = [(Dimension after heating for 500 hours in an environment of 60°C and 90% relative humidity) - (initial dimension)]/(initial dimension) × 100

치수 변화율(%)은 「+」는 팽창, 「-」는 수축을 나타낸다.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평균 치수 변화율이란, 폭 방향의 치수 변화율과 기계 방향의 치수 변화율의 평균값이고, 다음 식으로부터 산출된다.As for the dimensional change rate (%), “+” indicates expansion and “-” indicates contraction. The average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machine direction is the average value of the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machine direction, and is calculat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평균 치수 변화율(%)=[(폭 방향의 치수 변화율(%))+(기계 방향의 치수 변화율(%))]/2Average dimensional change rate (%) =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width direction (%)) +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machine direction (%)]/2

또한,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단부의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mensions of the adhesive tape for op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can generally be obtained by measuring the lengths of the ends of the adhesive tape for optics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machine direction.

상기 평균 치수 변화율이 ±0.15% 이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을 억제하고,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하고,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는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다.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하는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평균 치수 변화율은 ±0.1%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이내여도 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average dimensional change rate being within ±0.15% suppresses shrinkage or expansion in the tiling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kes the gap between the image display devices conspicuous. It is suitable in that it suppresses visible appearance, maintains a good appearance, has little shrinkage or expansion, and maintains transparency without change. In order to prevent the gap between image display devices from being noticeable, to reduce shrinkage or expansion, and to maintain transparency without change, the average dimensional change rate is preferably within ±0.1%, and may be within ±0.05%. do.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상기 평균 치수 변화율은, 구체적으로는, 뒤에 게시하는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상기 평균 치수 변화율은,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나 유리 전이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 모노머 조성, 가교도, 탄성률이나 유리 전이점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verage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easured by the method of the examples described later. The average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type and thickness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ty expansion coefficient and glass transition point of the base material, and the type of resin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monomer composition, degree of crosslinking, elastic modulus, glass transition point, etc.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평균 치수 변화율을 C[%]로 하고,The average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chine direction whe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eated for 500 hours in an environment of 60°C and 90% relative humidity is set to C [%],

상기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상기 점착제층을 두께 50㎛의 PET 필름에 접합한 후에 10cm 사방으로 절단한 적층체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하기의 최대 컬양을 D[mm]로 한 때에, 하기 식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ximum curl amount shown below when the adhesive layer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is bonded to a PET film with a thickness of 50 μm and then cut into 10 cm squares and heated for 500 hours in an environment of 60°C and 90% relative humidity is calculated as D[ mm], it is desirable to satisfy the following formula.

|C×D|≤3|C×D|≤3

·최대 컬양: 상기 적층체의 컬의 볼록으로 되어 있는 면이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네 구석의 휨 중 가장 높은 것을 최대 컬양 D[mm]로 한다. 상기 적층체의 상기 PET 필름측을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측정한 최대 컬양을 +, 상기 적층체의 상기 기재측을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측정한 최대 컬양을 -로 한다.· Maximum curl amount: The laminate is placed on a horizontal surface so that the convex curled surface is at the bottom, and the highest curl amount among the four corners is taken as the maximum curl amount D [mm]. The maximum amount of curl measured with the PET film side of the above-mentioned laminate placed on a horizontal plane facing down is +, and the maximum curl amount measured with the base material side of the above-mentioned laminate placed on a horizontal surface facing down is taken as -.

상기 평균 치수 변화율 C[%]와, 상기 최대 컬양 D[mm]의 곱의 절댓값|C×D|이 3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의 변화를 시인하기 어렵고, 화상 표시 장치를 필름 기판에 고정밀도로 접합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다.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의 변화를 시인하기 어렵고, 화상 표시 장치를 필름 기판에 고정밀도로 접합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C×D|는,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4 이하이고, 2.3 이하, 또는 2.2 이하여도 된다.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absolute value of the product of the average dimensional change rate C [%] and the maximum curl amount D [mm] |C This tiling display is suitable in that it is difficult to visually recognize changes in the gap between the image display devices and the image display devices can be bonded to the film substrate with high precision. Since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changes in the gap between the image display devices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can be bonded to the film substrate with high precision, the |C×D| is preferably 2.5 or less, more preferably 2.4 or less. , may be 2.3 or less, or 2.2 or less.

상기 |C×D|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은 없고, 낮을수록 바람직하지만, 0.001 이상이어도 된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lower limit of |C

상기 최대 컬양의 절댓값 |D|[mm]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를 필름 기판에 고정밀도로 접합할 수 있는 점에서, 60mm 이하가 바람직하고, 55m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0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The absolute value | D From the viewpoint of being able to join, 60 mm or less is preferable, 55 mm or less is more preferable, and 50 mm or less is still more preferable.

상기 |D|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은 없고, 낮을수록 바람직하지만, 0.1mm 이상이어도 된다.The lower limit of |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lower the value, the more desirable it is, but may be 0.1 mm or more.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상기 |C×D| 및 |D|는, 구체적으로는, 뒤에 게시하는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상기 |C×D| 및 |D|는,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나 유리 전이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 모노머 조성, 가교도, 탄성률이나 유리 전이점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The above |C×D| i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 can be specifically measured by the method of the examples shown later. The above |C×D| i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 It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transition point, etc.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60℃ 상대 습도 30%에서 60℃ 상대 습도 60%로 가습한 때의 습도 팽창률은 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습도 팽창률이 0.1%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흡습에 의한 팽창을 억제하고,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하는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흡습에 의한 팽창을 억제하는 관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습도 팽창률은 0.08% 이하가 바람직하고, 0.06% 이하여도 된다.The humidity expansion rate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humidified from a relative humidity of 30% at 60°C to a relative humidity of 60% at 60°C is preferably 0.1% or less. The configuration of the humidity expansion rate of 0.1% or less suppresses expans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moisture absorption in the tiling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ppresses the gap between the image display devices from being noticeable, It is suitable in that there is little shrinkage or expansion and transparency can be maintained without change.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expansion due to moisture absorp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ing shrinkage or expansion, and maintaining transparency without change, the humidity expansion rate is preferably 0.08% or less, and may be 0.06% or less.

상기 습도 팽창률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은 없고, 낮을수록 바람직하지만, 0.0001% 이상이어도 된다.The lower limit of the humidity expansion 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lower the value, the more preferable it is, but may be 0.0001% or more.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상기 습도 팽창률은, 구체적으로는, 뒤에 게시하는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상기 습도 팽창률은,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나 유리 전이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 모노머 조성, 가교도, 탄성률이나 유리 전이점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umidity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easured by the method of the examples described later. The humidity expansion coefficient i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type and thickness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ty expansion coefficient and glass transition point of the base material, the type of resin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monomer composition, degree of crosslinking, elastic modulus, glass transition point, etc.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폭 방향의 치수 변화율에 대한 기계 방향의 치수 변화율의 비율(기계 방향의 치수 변화율/폭 방향의 치수 변화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0.5 이상 2.0 이하가 바람직하다. 당해 비율이 이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폭 방향과 기계 방향의 치수 변화율의 차가 작아지고,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하여, 양호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다.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하는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비율은, 0.6 이상 1.8 이하가 바람직하고, 0.7 이상 1.5 이하여도 된다.Ratio of the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machine direction to the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eated for 500 hours in an environment of 60°C and 90% relative humidity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machine direction/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width dire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0.5 or more and 2.0 or less. When the ratio is within this range, in the tiling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in the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machine direction under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ecomes small, and the gap between the image display devices becomes noticeable. It is suitable in that it suppresses visible appearance, maintains a good appearance, reduces shrinkage or expansion, and maintains transparency without change. The above ratio is preferably 0.6 or more and 1.8 or less, and may be 0.7 or more and 1.5 or less in that the gap between the image display devices is suppressed from being noticeable, shrinkage or expansion is small, and transparency can be maintained without change.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상기 비율(기계 방향의 치수 변화율/폭 방향의 치수 변화율)은,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나 유리 전이점, 기재의 제조 조건(예를 들어, 압출 성형의 온도나 속도 등),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 모노머 조성, 가교도, 탄성률이나 유리 전이점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The above ratio (rate of dimensional change in the machine direction/rate of dimensional change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type and thickness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ty expansion coefficient and glass transition point of the base material, It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of the base material (for example, the temperature and speed of extrusion molding, etc.), the type of resin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omer composition, the degree of crosslinking, the elastic modulus, the glass transition point, etc.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헤이즈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5%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헤이즈가 5% 이상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패널의 기판 상에 배치된 금속 배선이나 ITO 배선 등에 의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점,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시인되기 어려워지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상이고, 7%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헤이즈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의 관점에서,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40% 이하, 또는 30% 이하여도 된다.The haze of the adhesive tape for op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5% or more.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haze of 5% or more can prevent reflection by metal wiring, ITO wiring, etc. disposed on the substrate of the image display panel in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the tiling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between image display devices is preferred because it becomes difficult to see, and more preferably it is 6% or more, and may be 7%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haze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50% or less, and may be 40% or less, or 30%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visibility of the tiling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헤이즈는, JIS K 7136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뒤에 게시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헤이즈는,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기재 표면에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를 실시하는 것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The haze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easured based on JIS K 7136, and specifically, can be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examples posted later. The haze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type and thickness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and thickness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nti-reflection treatment and/or anti-glare treatment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It can be adjusted by carrying out .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반사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5%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반사율이 5%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패널의 기판 상에 배치된 금속 배선이나 ITO 배선 등에 의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점,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시인되기 어려워지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고, 1.5%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반사율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0.1% 이상, 또는 0.3% 이상이어도 된다.The reflectance of the adhesive tape for op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5% or less.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reflectance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5% or less can prevent reflection by metal wiring, ITO wiring, etc. disposed on the substrate of the image display panel in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the tiling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between image display devices is preferable because it becomes difficult to see, and more preferably it is 3% or less, and may be 1.5% or less. The lower limit of the reflectance of the adhesive tape for op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0.1% or more, or 0.3% or more.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반사율은, JIS K7361-1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뒤에 게시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반사율은,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기재 표면에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를 실시하는 것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The reflectance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K7361-1, and specifically, can be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Examples posted later. The reflectance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type and thickness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and thickness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nti-reflection treatment and/or anti-glare treatment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It can be adjusted by carrying out .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전광선 투과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85%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전광선 투과율이 85% 이상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우수한 투명성이나 우수한 외관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이상이고, 90%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전광선 투과율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95% 이하여도 된다.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the adhesive tape for op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85% or more. The constitution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85% or more is preferable in that excellent transparency and excellent appearance in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btained, more preferably 88% or more, and 90% or more. It may be %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the adhesive tape for op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95% or less.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전광선 투과율은, JIS K7361-1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전광선 투과율은,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기재 표면에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를 실시하는 것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easured based on JIS K7361-1.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type and thickness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and thickness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nti-reflection treatment and/or anti-glare treatment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It can be adjusted by performing processing, etc.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치수 안정성, 강도,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층성 등의 점을 고려하면, 10 내지 5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의 범위이고, 최적으로는, 30 내지 200㎛의 범위이다.The thickness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considering, for example, dimensional stability, strength, workability such as handleability, thinness, etc., the range is preferably 10 to 500 μm. ,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300 ㎛, and optimally in the range of 30 to 200 ㎛.

<기재><Description>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소재로서는, 유리나 플라스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환상 올레핀계 폴리머(COP)(예를 들어, 상품명 「아톤」(JSR(주)제), 상품명 「제오노아」(닛폰 제온(주)제) 등),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PC),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이미드(PI), 투명 폴리이미드(CPI), 폴리염화비닐,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플라스틱 재료를 들 수 있고,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수축하기 어려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환상 올레핀계 폴리머(COP),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투명 폴리이미드(CPI)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의 플라스틱 재료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는,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화상 표시 패널 등)에 첩부할 때에, 점착제층과 함께 피착체에 첩부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사용 시(첩부 시)에 박리되는 박리 라이너는 「기재」에는 포함하지 않는다.Materials constituting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glass and plastic film. Examples of the plastic film include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and cyclic olefin polymers (COP) (e.g., brand name "Aton" (manufactured by JSR Co., Ltd.) ), brand name “Zeonoa” (manufactured by Nippon Zeon Co., Ltd., etc.), acrylic resins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carbonate (PC), triacetylcellulose (TAC), polysulfone, polya Plastic materials such as polyester, polyetheretherketone (PEEK), polyimide (PI), transparent polyimide (CPI), polyvinyl chloride, polyvinyl acetate,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ethylene-propylene copolymer are included. ,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which have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and are difficult to shrink, cyclic olefin polymers (COP), polycarbonate (PC), and polyether ether ketone. (PEEK), transparent polyimide (CPI) are preferred. Additionally, these plastic material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ion that is attached to the adherend together with the adhesive layer whe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adherend (image display panel, etc.). The “base material” does not include a release liner that peels off whe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ttached).

본 발명의 기재는, 제1 면과 제2 면을 갖는 필름상(기판상)의 형태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재 폭 방향(TD) 및 기계 방향(MD)은, 기재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정해지는 것이고, 예를 들어 원료 수지 재료의 압출 성형 후에 필름상의 압출 성형체가 흐르는 방향이 기계 방향(MD)을 가리키고, 폭 방향(TD)은 기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lm-like (substrate-like) form hav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The substrate width direction (TD) and machine direction (M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termin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ubstrate, and for example,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lm-shaped extruded body flows after extrusion molding of the raw resin material is the machine direction (MD). , and the width direction (TD)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achine direction.

본 발명의 기재는, 상기 광학 제품을 구성하는 광학 부재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커버 부재, 편광판, 위상차판 등의 각종 광학 필름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커버 부재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기재가 커버 부재인 경우에는, 제2 면이, 예를 들어 상기 광학 제품의 최표면이 된다.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 optical member constituting the optical product, and includes various optical films such as a cover member, a polarizing plate, and a retardation plate, and is preferably used as a cover member. When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ver member, the second surface becomes, for example,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optical product.

본 발명의 기재의 유리 전이점(Tg)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재 유리 전이점이 60℃ 이상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사용 환경 하에서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기계적 물성이 안정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기계적 물성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상기 기재의 유리 전이점은 63℃ 이상, 또는 65℃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기재의 유리 전이점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기재의 성형 프로세스를 간편화할 수 있는 점에서, 상기 기재의 유리 전이점은, 350℃ 이하가 바람직하고, 250℃ 이하, 200℃ 이하, 140℃ 이하, 130℃ 이하, 또는 125℃ 이하여도 된다.The glass transition point (Tg)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60°C or high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ubstrate glass transition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60°C or higher is preferable in the tiling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table under a use environment. From the viewpoint of stability of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ass transition point of the substrate may be 63°C or higher, or 65°C or higher. Additionally, the upper limit of the glass transition point of the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rom the viewpoint of simplifying the molding process of the substrate, the glass transition point of the substrate is preferably 350°C or lower, 250°C or lower, and 200°C. Hereinafter, it may be 140°C or lower, 130°C or lower, or 125°C or lower.

본 발명의 기재의 유리 전이점(Tg)은, JIS K 7121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 유리 전이점(Tg)은,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The glass transition point (Tg)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easured based on JIS K 7121. The glass transition point (Tg)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type of resin constituting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기재 습도 팽창 계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5×10-5/%R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가 5×10-5/%RH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기재 습도 변화에 있어서의 치수 안정성이 향상되고,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수축 또는 팽창을 억제하고,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하고, 양호한 외관을 유지하는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적합하다. 본 발명의 기재의 치수 안정성의 점,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는 3×10-5/%RH 이하가 바람직하고, 2×10-5/%RH 이하여도 된다.The humidity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5×10 -5 /%RH or less.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humidity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5 × 10 -5 /%RH or less improves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humidity changes, and in the tiling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 the use environment. Suppresses shrinkage or expans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gaps between image display devices from becoming noticeable, maintains a good appearance, reduces shrinkage or expansion, and maintains transparency without change. It is suitable for In terms of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little shrinkage or expansion, and transparency can be maintained without change, the humidity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3 × 10 -5 /%RH or less, and 2 × It may be 10 -5 /%RH or less.

본 발명의 기재 습도 팽창 계수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은 없고, 낮을수록 바람직하지만, 0.001×10-5/%RH 이상이어도 된다.The lower limit of the humidity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lower the value, the more preferable, but may be 0.001 x 10 -5 /%RH or more.

본 발명의 기재 습도 팽창 계수는, 구체적으로는, 뒤에 게시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는,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기재 제조 시의 조건(온도, 압출 속도 등)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The humidity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examples below. The humidity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type of resin constituting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ditions (temperature, extrusion speed, etc.)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base material.

본 발명의 기재 헤이즈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5%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재 헤이즈가 5% 이상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패널의 기판 상에 배치된 금속 배선이나 ITO 배선 등에 의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점,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시인되기 어려워지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 이상이고, 7%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기재 헤이즈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의 관점에서,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40% 이하, 또는 30% 이하여도 된다.The base material haz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5% or more.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base material haz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5% or more can prevent reflection by metal wiring or ITO wiring, etc. disposed on the substrate of the image display panel in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iling display, it is preferable because the gap between image display devices becomes difficult to see, more preferably 6% or more, and may be 7%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haz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50% or less, and may be 40% or less, or 30%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visibility of the tiling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기재 헤이즈는, JIS K 7136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의 헤이즈는,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기재 표면에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를 실시하는 것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The base material haz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easured based on JIS K 7136. The haz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by the type and thickness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ying anti-reflection treatment and/or anti-glare treatment to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etc.

본 발명의 기재의 반사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5%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재의 반사율이 5%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패널의 기판 상에 배치된 금속 배선이나 ITO 배선 등에 의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점,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시인되기 어려워지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고, 1.5%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기재 반사율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0.1% 이상, 또는 0.3% 이상이어도 된다.The reflectanc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5% or less.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reflectanc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5% or less can prevent reflection by metal wiring, ITO wiring, etc. disposed on the substrate of the image display panel in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n a tiling display, the gap between image display devices is preferred because it becomes difficult to see, and is more preferably 3% or less, and may be 1.5% or less. The lower limit of the reflectance of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0.1% or more, or 0.3% or more.

본 발명의 기재의 반사율은, JIS K7361-1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재의 반사율은, 본 발명의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나 두께, 기재 표면에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를 실시하는 것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The reflectanc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easured based on JIS K7361-1. The reflectanc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by the type and thickness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ying anti-reflection treatment and/or anti-glare treatment to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etc.

본 발명의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치수 안정성, 강도,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층성 등의 점을 고려하면, 10 내지 5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0㎛의 범위이고, 최적으로는 30 내지 200㎛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기재 굴절률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1.30 내지 1.80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70의 범위이다.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considering, for example, dimensional stability, strength, workability such as handleability, thinness, etc., the range is preferably 10 to 500 μm, and more preferably. Typically, it is in the range of 20 to 300 μm, and optimally, it is in the range of 30 to 200 μm. The refractive index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30 to 1.80, and preferably in the range of 1.40 to 1.70.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은, 반사 표면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에 반사 표면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기판 상에 배치된 금속 배선이나 ITO 배선 등에 의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시인되기 어려워지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subjected to reflective surface treatment and/or anti-glare treatm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cond side of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jected to reflective surface treatment and/or anti-glare treatment can prevent reflection by metal wiring, ITO wiring, etc. disposed on the substrat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irable in that it exists. Additionally, in the tiling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referable in that gaps between image display devices become difficult to be recognized.

상기 반사 방지 처리로서는, 공지된 반사 방지 처리를 특별히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안티 리플렉션(AR) 처리를 들 수 있다.As the anti-reflection treatment, any known anti-reflection treatment can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nd examples include anti-reflection (AR) treatment.

상기 안티 리플렉션(AR) 처리로서는, 공지의 AR 처리를 특별히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기재 제2 면 상에 두께 및 굴절률을 엄밀하게 제어한 광학 박막 혹은 상기 광학 박막을 2층 이상 적층한 반사 방지층(AR층)을 형성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상기 AR층은, 광의 간섭 효과를 이용하여 입사광과 반사광이 역전한 위상을 서로 없앰으로써 반사 방지 기능을 발현한다. 반사 방지 기능을 발현시키는 가시광선의 파장 영역은, 예를 들어 380 내지 780nm이고, 특히 시감도가 높은 파장 영역은 450 내지 650nm의 범위이고, 그 중심 파장인 550nm의 반사율을 최소로 하도록 AR층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anti-reflection (AR) treatment, known AR processing can be appli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nd specifically, an optical thin film or the optical thin film whose thickness and refractive index are strictly controlled is appli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can be carried out by forming an anti-reflection layer (AR layer) of two or more layers. The AR layer exhibits an anti-reflection function by eliminating the reversed phases of incident light and reflected light using the interference effect of light. The wavelength range of visible light that develops the anti-reflection function is, for example, 380 to 780 nm, and the wavelength range with particularly high visibility is in the range of 450 to 650 nm, and the AR layer is designed to minimize the reflectance of 550 nm, which is the central wavelength. It is desirable.

상기 AR층으로서는, 일반적으로, 2 내지 5층의 광학 박층(두께 및 굴절률을 엄밀하게 제어한 박막)을 적층한 구조의 다층 반사 방지층을 들 수 있고, 굴절률이 다른 성분을 소정의 두께만큼 복수층 형성함으로써, AR층의 광학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보다 반사 방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분광 반사 특성도 가시광 영역에서 균일(플랫)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광학 박막에 있어서, 높은 두께 정밀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각 층의 형성은, 드라이 방식인 진공 증착, 스퍼터링, CVD 등에서 실시된다.The AR layer generally includes a multilayer anti-reflection lay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2 to 5 optical thin layers (thin films with strictly controlled thickness and refractive index) are laminated, and a plurality of layers of components with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re form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By forming, the degree of freedom in optical design of the AR layer increases, the anti-reflection effect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spectral reflection characteristics can be made uniform (flat) in the visible light region. Since high thickness precision is required for the optical thin film, the formation of each layer is generally performed by dry methods such as vacuum evaporation, sputtering, and CVD.

또한, 상기 AR층은,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은, 예를 들어 수지, 불소 원소 함유 첨가제, 중공 입자, 중실 입자 및 희석 용매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이들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R layer can also be formed using a coating liquid for forming an anti-reflection layer. The coating liquid for forming the anti-reflection layer may contain, for example, a resin, a fluorine element-containing additive, hollow particles, solid particles, and a diluting solvent, and can be prepared by mixing them, for example.

상기 수지는, 예를 들어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이나 광에서 경화하는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수지로서, 시판하고 있는 열경화형 수지나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Examples of the resin include thermosetting resin and ionizing radiation curing resin that cures with ultraviolet rays or light. As the resi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commercially available thermosetting resin or ultraviolet curing resin.

상기 열경화형 수지나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열, 광(자외선 등) 또는 전자선 등에 의해 경화하는 아크릴레이트기 및 메타크릴레이트기의 적어도 한쪽의 기를 갖는 경화형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다가 알코올 등의 다관능 화합물의 아크릴레이트나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올리고머 또는 프리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As the thermosetting resin or ultraviolet curing resin, for example, a curable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of an acrylate group and a methacrylate group that cures by heat, light (ultraviolet rays, etc.) or electron beams can be used, for example Acrylates and methacrylates of polyfunctional compounds such as silicone resins, polyester resins, polyether resins, epoxy resins, urethane resins, alkyd resins, spiroacetal resins, polybutadiene resins, polythiolpolyene resins, and polyhydric alcohols. Oligomers or prepolymers may be mentioned. These may be used individually as one type, or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 수지에는,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기 및 메타크릴레이트기의 적어도 한쪽의 기를 갖는 반응성 희석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반응성 희석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88309호 공보에 기재된 반응성 희석제를 사용할 수 있어, 예를 들어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다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상기 반응성 희석제로서는, 3관능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3관능 이상의 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본 발명의 기재 제2 면의 경도를,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반응성 희석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탄디올글리세린에테르디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의 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의 메타크릴레이트 등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수지는, 경화 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예를 들어 100 이상, 300 이상, 500 이상, 1,000 이상 또는 2,000 이상이어도 되고, 100,000 이하, 70,000 이하, 50,000 이하, 30,000 이하 또는 10,000 이하여도 된다. 상기 경화 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높으면, 경도는 저하되지만, 굴곡시킨 때에 균열이 일어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상기 경화 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낮으면, 분자 사이 가교 밀도가 향상되고, 경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For the above resin, for example, a reactive diluent having at least one of an acrylate group and a methacrylate group can also be used. The reactive diluent may be, for example, a reactive diluent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88309, for example, monofunctional acrylate, monofunctional methacrylate, polyfunctional acrylate, polyfunctional methacrylate. Includes etc. As the reactive diluent, acrylate with three or more functions and methacrylate with three or more functions are preferable. This is because the hardness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excellent. Examples of the reactive diluent include butanediol glycerin ether diacrylate, acrylate of isocyanuric acid, and methacrylate of isocyanuric acid. These may be used individually as one type, or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resin before curing may be, for example, 100 or more, 300 or more, 500 or more, 1,000 or more, or 2,000 or more, and may be 100,000 or less, 70,000 or less, 50,000 or less, 30,000 or less, or 10,000 or less.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before curing is high, hardness decreases, but cracks tend to be less likely to occur when be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before curing is low, the crosslinking density between molecules improves and the hardness tends to increase.

상기 수지로서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예를 들어, 펜타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sin preferably contains a polyfunctional acrylate (for example, pentatritol triacrylate).

상기 경화형 수지의 경화를 위해서, 예를 들어 경화제를 첨가해도 된다. 상기 경화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공지된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열중합 개시제, 광중합 개시제 등)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 중의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0.5중량부 이상, 1.0중량부 이상, 1.5중량부 이상, 2.0중량부 이상, 또는 2.5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5중량부 이하, 13중량부 이하, 10중량부 이하, 7중량부 이하 또는 5중량부 이하여도 된다.To cure the curable resin, for example, a curing agent may be added. The cur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known polymerization initiators (eg,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s,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etc.) can be appropriately used. The addition amount of the cur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for example, 0.5 parts by weight or more, 1.0 parts by weight or more, 1.5 parts by weight or more, 2.0 parts by weight or mor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in the coating liquid for forming the anti-reflection layer. Alternatively, it may be 2.5 parts by weight or more, 15 parts by weight or less, 13 parts by weight or less, 10 parts by weight or less, 7 parts by weight or less, or 5 parts by weight or less.

상기 불소 원소 함유 첨가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분자 중에 불소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 또는 무기 화합물이어도 된다. 상기 유기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불소 함유 방오 코팅제, 불소 함유 아크릴 화합물, 불소 및 규소 함유 아크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화합물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신에쯔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상품명 「KY-1203」, DIC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상품명 「메가팍」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화합물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불소 원소 함유 첨가제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 중의 고형분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상기 고형분 중의 불소 원소의 중량이, 예를 들어 0.05중량% 이상, 0.1중량% 이상, 0.15중량% 이상, 0.20중량% 이상 또는 0.2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20중량% 이하, 15중량% 이하, 10중량% 이하, 5중량% 이하 또는 3중량% 이하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 중의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불소 원소 함유 첨가제의 중량이, 예를 들어 0.05중량% 이상, 0.1중량% 이상, 0.15중량% 이상, 0.20중량% 이상 또는 0.25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20중량% 이하, 15중량% 이하, 10중량% 이하, 5중량% 이하 또는 3중량% 이하여도 된다.The fluorine element-containing addit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an organic compound or an inorganic compound containing fluorine in the molecule. The organic compou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examples include a fluorine-containing antifouling coating agent, a fluorine-containing acrylic compound, and a fluorine- and silicon-containing acrylic compound. Specifically, the organic compound includes, for example, the brand name "KY-1203"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and the brand name "Megapac"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The above inorganic compounds are also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amount of the fluorine element-containing additive add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the weight of the fluorine element in the solid content is, for example, 0.05% by weight or more,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of the solid content in the coating liquid for forming the anti-reflection layer. It may be 0.1 weight% or more, 0.15 weight% or more, 0.20 weight% or more, or 0.25 weight% or more, and may be 20 weight% or less, 15 weight% or less, 10 weight% or less, 5 weight% or less, or 3 weight% or less. In addition, for example, the weight of the fluorine element-containing additive is, for example, 0.05% by weight or more, 0.1% by weight or more, 0.15% by weight or more, or 0.20%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in the coating solution for forming the anti-reflection layer. It may be % or more or 0.25% by weight or more, and may be 20% by weight or less, 15% by weight or less, 10% by weight or less, 5% by weight or less, or 3% by weight or less.

상기 중공 입자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실리카 입자, 아크릴 입자, 아크릴-스티렌 공중합 입자 등이어도 된다. 상기 실리카 입자는, 예를 들어 닛키 쇼쿠바이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상품명 「스룰리아 5320」, 「스룰리아 432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공 입자의 중량 평균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30nm 이상, 40nm 이상, 50nm 이상, 60nm 이상 또는 70nm 이상이어도 되고, 150nm 이하, 140nm 이하, 130nm 이하, 120nm 이하, 또는 110nm 이하여도 된다. 상기 중공 입자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비즈 상의 대략 구형이어도 되고, 분말 등의 부정형의 것이어도 되지만, 대략 구형의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애스펙트비가 1.5 이하의 대략 구형의 입자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구형의 입자이다. 상기 중공 입자를 첨가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반사 방지층의 저굴절률, 양호한 반사 방지 특성 등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중공 입자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 중의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30중량부 이상, 50중량부 이상, 70중량부 이상, 90중량부 이상 또는 100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300중량부 이하, 270중량부 이하, 250중량부 이하, 200중량부 이하 또는 180중량부 이하여도 된다. 반사 방지층의 저굴절률화의 관점에서는, 상기 중공 입자의 첨가량이 너무 적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고, 반사 방지층의 기계 특성 확보의 관점에서는, 상기 중공 입자의 첨가량이 너무 많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hollow particle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silica particles, acrylic particles, acrylic-styrene copolymer particles, etc. Examples of the silica particles include "Thrulia 5320" and "Thrulia 4320" manufactured by Nikki Shokubai Kasei Kogyo Co., Ltd.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hollow partic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30 nm or more, 40 nm or more, 50 nm or more, 60 nm or more, or 70 nm or more, and may be 150 nm or less, 140 nm or less, 130 nm or less, 120 nm or less, or 110 nm or less. It's okay. The shape of the hollow partic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y may be roughly spherical in the form of beads, or may be of an irregular shape such as powder, but are preferably roughly spherical, and more preferably have an aspect ratio of 1.5 or less. It is a spherical particle, and most preferably it is a spherical particle. By adding the hollow particles, for example, a low refractive index and good anti-reflection propertie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can be achieved. The addition amount of the hollow partic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for example, 30 parts by weight or more, 50 parts by weight or more, 70 parts by weight or more, or 90 parts by weight or mor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in the coating liquid for forming the anti-reflection layer. Alternatively, it may be 100 parts by weight or more, 300 parts by weight or less, 270 parts by weight or less, 250 parts by weight or less, 200 parts by weight or less, or 180 parts by weight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lowering the refractive index of the anti-reflection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amount of the hollow particles added is not too small, and from the viewpoint of secur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amount of the hollow particles added is not too large.

상기 중실 입자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실리카 입자, 산화지르코늄 입자, 티타늄 함유 입자(예를 들어, 산화티타늄 입자) 등이어도 된다. 상기 실리카 입자는, 예를 들어 닛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의 상품명 「MEK-2140Z-AC」, 「MIBK-ST」, 「IPA-ST」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실 입자의 중량 평균 입자경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5nm 이상, 10nm 이상, 15nm 이상, 20nm 이상 또는 25nm 이상이어도 되고, 300nm 이하, 250nm 이하, 200nm 이하, 150nm 이하, 또는 100nm 이하여도 된다. 상기 중실 입자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비즈상의 대략 구형이어도 되고, 분말 등의 부정형의 것이어도 되지만, 대략 구형의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애스펙트비가 1.5 이하의 대략 구형의 입자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구형의 입자이다. 상기 중실 입자를 첨가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불소 원소 함유 첨가제가, 도공한 상기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의 표면에 편재되기 쉬워지고, 반사 방지층의 내찰상성이 우수하고, 저굴절률, 양호한 반사 방지 특성 등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중실 입자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 중의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5중량부 이상, 10중량부 이상, 15중량부 이상, 20중량부 이상 또는 25중량부 이상이어도 되고, 150중량부 이하, 120중량부 이하, 100중량부 이하 또는 80중량부 이하여도 된다.The solid particle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silica particles, zirconium oxide particles, or titanium-containing particles (eg, titanium oxide particles). Examples of the silica particles include brand names "MEK-2140Z-AC", "MIBK-ST", and "IPA-ST" manufactured by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solid partic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5 nm or more, 10 nm or more, 15 nm or more, 20 nm or more, or 25 nm or more, and 300 nm or less, 250 nm or less, 200 nm or less, 150 nm or less, or 100 nm or less. It's okay. The shape of the solid partic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y may be roughly spherical in the form of beads, or may be of an irregular shape such as powder, but are preferably roughly spherical, and more preferably have an aspect ratio of 1.5 or less. It is a spherical particle, and most preferably it is a spherical particle. By adding the solid particles, for example, the fluorine element-containing additive becomes easy to be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liquid for forming the anti-reflection layer,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has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low refractive index, and good anti-reflection properties. etc. can be realized. The addition amount of the solid partic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for example, 5 parts by weight or more, 10 parts by weight or more, 15 parts by weight or more, or 20 parts by weight or mor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in the coating solution for forming the antireflection layer. Alternatively, it may be 25 parts by weight or more, 150 parts by weight or less, 120 parts by weight or less, 100 parts by weight or less, or 80 parts by weight or less.

상기 희석 용매는, 예를 들어 MIBK(메틸이소부틸케톤) 및 PMA(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혼합 용매여도 된다. 이 경우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MIBK의 중량을 100중량%로 한 경우, PMA의 중량이, 예를 들어 20중량% 이상, 50중량% 이상, 100중량% 이상, 150중량% 이상, 또는 20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400중량% 이하, 350중량% 이하, 300중량% 이하, 또는 250중량% 이하여도 된다.The diluting solvent may be, for example, a mixed solvent containing MIBK (methyl isobutyl ketone) and PMA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The mixing ratio in this cas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when the weight of MIBK is 100% by weight, the weight of PMA is, for example, 20% by weight or more, 50% by weight or more, 100% by weight or more, or 150% by weight or more. , or it may be 200% by weight or more, and may be 400% by weight or less, 350% by weight or less, 300% by weight or less, or 250% by weight or less.

상기 희석 용매는, 예를 들어 MIBK 및 PMA에 추가하여, 또한 TBA(tert-터셔리부틸알코올)를 포함하는 혼합 용매여도 된다. 이 경우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MIBK의 중량을 100중량%로 한 경우, PMA의 중량이, 예를 들어 10중량% 이상, 30중량% 이상, 50중량% 이상, 80중량% 이상, 또는 10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200중량% 이하, 180중량% 이하, 150중량% 이하, 130중량% 이하, 또는 110중량% 이하여도 된다. 또한, MIBK의 중량을 100중량%로 한 경우, TBA의 중량이, 예를 들어 10중량% 이상, 30중량% 이상, 50중량% 이상, 80중량% 이상, 또는 100중량% 이상이어도 되고, 200중량% 이하, 180중량% 이하, 150중량% 이하, 130중량% 이하, 또는 110중량% 이하여도 된다.The diluting solvent may be, for example, a mixed solvent containing TBA (tert-tert-butyl alcohol) in addition to MIBK and PMA. The mixing ratio in this cas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when the weight of MIBK is 100% by weight, the weight of PMA is, for example, 10% by weight or more, 30% by weight or more, 50% by weight or more, or 80% by weight or more. , or it may be 100% by weight or more, 200% by weight or less, 180% by weight or less, 150% by weight or less, 130% by weight or less, or 110% by weight or less. In addition, when the weight of MIBK is 100% by weight, the weight of TBA may be, for example, 10% by weight or more, 30% by weight or more, 50% by weight or more, 80% by weight or more, or 100% by weight or more. It may be % by weight or less, 180 weight% or less, 150 weight% or less, 130 weight% or less, or 110 weight% or less.

상기 희석 용매의 첨가량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 전체의 중량에 대한 고형분의 중량이, 예를 들어 0.1중량% 이상, 0.3중량% 이상, 0.5중량% 이상, 1.0중량% 이상, 또는 1.5중량% 이상이 되도록 해도 되고, 20중량% 이하, 15중량% 이하, 10중량% 이하, 5중량% 이하, 또는 3중량% 이하가 되도록 해도 된다. 도공성 확보(습윤, 레벨링)의 관점에서는, 상기 고형분의 함유율이 너무 높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고, 풍건 불균일, 백화 등 건조 기인의 외관 불량 방지의 관점에서는, 상기 고형분의 함유율이 너무 낮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addition amount of the diluting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the weight of solid conten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ating liquid for forming an anti-reflection layer is, for example, 0.1% by weight or more, 0.3% by weight or more, 0.5% by weight or more, 1.0% by weight or more. It may be % by weight or more, or 1.5 weight% or more, and may be 20 weight% or less, 15 weight% or less, 10 weight% or less, 5 weight% or less, or 3 weight%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ensuring coatability (wetting, level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solid content is not too high, and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appearance defects caused by drying, such as air drying unevenness and whiten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solid content is not too low. .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 상에, 상기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을 도공한다(상기 도공 공정). 도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파운틴 코팅법, 다이 코팅법, 스핀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팅법, 바 코팅법 등의 공지된 도공 방법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의 도공량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형성되는 상기 반사 방지층의 두께가, 예를 들어 0.1㎛ 이상, 0.3㎛ 이상, 0.5㎛ 이상, 1.0㎛ 이상, 또는 2.0㎛ 이상이 되도록 해도 되고, 50㎛ 이하, 40㎛ 이하, 30㎛ 이하, 20㎛ 이하, 또는 10㎛ 이하가 되도록 해도 된다.Next, the coating liquid for forming an anti-reflection layer is applied onto the second sid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ating step). The coat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known coating methods such as fountain coating, die coating, spin coating, spray coating, gravure coating, roll coating, and bar coating can be used as appropriate. . The coating amount of the coating solution for forming the anti-reflection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thickness of the anti-reflection layer formed is, for example, 0.1 μm or more, 0.3 μm or more, 0.5 μm or more, 1.0 μm or more, or 2.0 μm or more. It may be as large as possible, and may be 50 μm or less, 40 μm or less, 30 μm or less, 20 μm or less, or 10 μm or less.

다음으로, 도공한 상기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을 건조시켜서 도막을 형성한다(상기 도막 형성 공정). 건조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30 내지 200℃의 범위여도 된다. 상기 건조 온도는, 예를 들어 40℃ 이상,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90℃ 이상, 또는 100℃ 이상이어도 되고, 190℃ 이하, 180℃ 이하, 170℃ 이하, 160℃ 이하, 150℃ 이하, 140℃ 이하, 135℃ 이하, 130℃ 이하, 120℃ 이하, 또는 110℃ 이하여도 된다. 건조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30초 이상, 40초 이상, 50초 이상, 또는 60초 이상이어도 되고, 150초 이하, 130초 이하, 110초 이하, 또는 90초 이하여도 된다.Next, the coating liquid for forming the antireflection layer is dried to form a coating film (the coating film forming step). The drying temper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in the range of 30 to 200°C, for example. The drying temperature may be, for example, 40°C or higher, 50°C or higher, 60°C or higher, 70°C or higher, 80°C or higher, 90°C or higher, or 100°C or higher, and may be 190°C or lower, 180°C or lower, or 170°C or lower. , 160°C or lower, 150°C or lower, 140°C or lower, 135°C or lower, 130°C or lower, 120°C or lower, or 110°C or lower. The drying tim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30 seconds or more, 40 seconds or more, 50 seconds or more, or 60 seconds or more, and may be 150 seconds or less, 130 seconds or less, 110 seconds or less, or 90 seconds or less.

또한, 상기 도막을 경화시켜도 된다(경화 공정). 상기 경화는, 예를 들어 가열, 광 조사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 광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자외선 등이어도 된다. 상기 광 조사의 광원도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고압 수은 램프 등이어도 된다. 상기 자외선 경화에 있어서의 에너지선원의 조사량은, 자외선 파장 365nm에서의 적산 노광량으로서, 50 내지 500mJ/㎠가 바람직하다. 조사량이 50mJ/㎠ 이상이면, 경화가 충분히 진행되기 쉽고, 형성되는 반사 방지층의 경도가 높아지기 쉽다. 또한, 500mJ/㎠ 이하이면, 형성되는 반사 방지층의 착색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ating film may be cured (curing process). The curing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by heating, light irradiation, etc. The ligh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ultraviolet rays. The light source for the above light irradiation is also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a high-pressure mercury lamp. The irradiation amount of the energy ray source in the above ultraviolet curing is preferably 50 to 500 mJ/cm 2 as the integrated exposure amount at an ultraviolet ray wavelength of 365 nm. When the irradiation amount is 50 mJ/cm2 or more, curing is likely to proceed sufficiently, and the hardness of the formed anti-reflection layer is likely to increase. In addition, if it is 500 mJ/cm 2 or less, coloring of the formed anti-reflection layer can be prevented.

상기 안티글레어(AG) 처리로서는, 공지의 AG 처리를 특별히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 상에 안티글레어층을 형성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으로서는, 공지된 것을 제한 없이 채용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수지 중에 안티글레어제로서 무기 또는 유기의 입자를 분산한 층으로서 형성된다.As the anti-glare (AG) treatment, known AG treatments can be applied without particular restrictions, and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by forming an anti-glare layer on the second sid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anti-glare layer, any known layer can be employed without limitation, and is generally formed as a layer in which inorganic or organic particles as an anti-glare agent are dispersed in a resin.

상기 안티글레어층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수지, 입자 및 틱소트로피 부여제를 포함하는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자 및 상기 틱소트로피 부여제가 응집함으로써,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표면에 볼록상부가 형성된다. 당해 구성에 의해, 안티글레어층은, 안티글레어성과, 백색 흐려짐의 방지를 양립한 우수한 표시 특성을 가짐과 함께, 입자의 응집을 이용하여 안티글레어층을 형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관 결점이 되는 안티글레어층 표면의 돌기상물의 발생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anti-glar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formed using, for example, an anti-glare layer forming material containing a resin, particles, and a thixotropy-imparting agent, and the particles and the thixotropy-imparting agent agglomerate to form the above-described anti-glare layer. A convex por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nti-glare layer. With this configuration, the anti-glare layer has excellent display characteristics that combine anti-glare properties and prevention of white blur, and, despite forming the anti-glare layer using particle aggregation, it has anti-glare properties that cause appearance defects. Product yield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protrusions on the surface of the glare layer.

상기 수지는, 예를 들어 열경화성 수지, 자외선이나 광으로 경화하는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수지로서, 시판하고 있는 열경화형 수지나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Examples of the resin include thermosetting resin and ionizing radiation curing resin that is cured with ultraviolet rays or light. As the resi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commercially available thermosetting resin or ultraviolet curing resin.

상기 열경화형 수지나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열, 광(자외선 등) 또는 전자선 등에 의해 경화하는 아크릴레이트기 및 메타크릴레이트기의 적어도 한쪽의 기를 갖는 경화형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다가 알코올 등의 다관능 화합물의 아크릴레이트나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올리고머 또는 프리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As the thermosetting resin or ultraviolet curing resin, for example, a curable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of an acrylate group and a methacrylate group that cures by heat, light (ultraviolet rays, etc.) or electron beams can be used, for example Acrylates and methacrylates of polyfunctional compounds such as silicone resins, polyester resins, polyether resins, epoxy resins, urethane resins, alkyd resins, spiroacetal resins, polybutadiene resins, polythiolpolyene resins, and polyhydric alcohols. Oligomers or prepolymers may be mentioned. These may be used individually as one type, or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 수지에는, 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기 및 메타크릴레이트기의 적어도 한쪽의 기를 갖는 반응성 희석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반응성 희석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88309호 공보에 기재된 반응성 희석제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단관능 아크릴레이트, 단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다관능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상기 반응성 희석제로서는, 3관능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3관능 이상의 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경도를,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반응성 희석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탄디올글리세린에테르디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의 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의 메타크릴레이트 등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For the above resin, for example, a reactive diluent having at least one of an acrylate group and a methacrylate group can also be used. The reactive diluent may be, for example, a reactive diluent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88309, for example, monofunctional acrylate, monofunctional methacrylate, polyfunctional acrylate, polyfunctional methacrylate. Includes etc. As the reactive diluent, acrylate with three or more functions and methacrylate with three or more functions are preferable. This is because the hardness of the anti-glare layer can be made excellent. Examples of the reactive diluent include butanediol glycerin ether diacrylate, acrylate of isocyanuric acid, and methacrylate of isocyanuric acid. These may be used individually as one type, or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 수지로서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화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예를 들어, 펜타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resin preferably contains a urethane acrylate resin, and is more preferably a copolymer of a curable urethane acrylate resin and a multifunctional acrylate (for example, pentatritol triacrylate).

상기 안티글레어층을 형성하기 위한 입자는, 형성되는 안티글레어층의 표면을 요철 형상으로 하여 안티글레어성을 부여하고, 또한, 안티글레어층의 헤이즈값을 제어하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 한다. 안티글레어층의 헤이즈값은, 상기 입자와 상기 수지의 굴절률의 차를 제어함으로써,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무기 입자와 유기 입자가 있다. 상기 무기 입자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산화규소 입자, 산화티타늄 입자, 산화알루미늄 입자, 산화아연 입자, 산화주석 입자, 산화지르코늄 입자, 탄산칼슘 입자, 황산바륨 입자, 탈크 입자, 카올린 입자, 황산칼슘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입자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분말(PMMA 미립자), 실리콘 수지 분말, 폴리스티렌 수지 분말,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분말, 아크릴 스티렌 수지 분말, 벤조구아나민 수지 분말, 멜라민 수지 분말, 폴리올레핀 수지 분말, 폴리에스테르 수지 분말, 폴리아미드 수지 분말, 폴리이미드 수지 분말, 폴리불화에틸렌 수지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무기 입자 및 유기 입자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The main function of the particles for forming the anti-glare layer is to provide anti-glare properties by giving the surface of the formed anti-glare layer an uneven shape and to control the haze value of the anti-glare layer. The haze value of the anti-glare layer can be designed by controlling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particles and the resin. Examples of the particles include inorganic particles and organic particles. The inorganic particle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 for example, silicon oxide particles, titanium oxide particles, aluminum oxide particles, zinc oxide particles, tin oxide particles, zirconium oxide particles, calcium carbonate particles, barium sulfate particles, talc particles, kaolin. Particles, calcium sulfate particles, etc. can be mentioned. In addition, the organic particle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 for example,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owder (PMMA fine particles), silicone resin powder, polystyrene resin powder, polycarbonate resin powder, acrylic styrene resin powder, and benzogua. Examples include amine resin powder, melamine resin powder, polyolefin resin powder, polyester resin powder, polyamide resin powder, polyimide resin powder, and polyethylene fluoride resin powder. These inorganic particles and organic particles may be used individually as one type, or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 입자의 중량 평균 입경(D)은, 2.5 내지 1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자의 중량 평균 입경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보다 안티글레어성이 우수하고, 또한 백색 흐려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입자의 중량 평균 입경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의 범위 내이다. 또한, 상기 입자의 중량 평균 입경은, 예를 들어 콜터 카운트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공 전기 저항법을 이용한 입도 분포 측정 장치(상품명: 코울터 멀티사이저, 베크만·콜터사제)를 사용하여, 입자가 상기 세공을 통과할 때의 입자 체적에 상당하는 전해액의 전기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입자의 수와 체적을 측정하고, 중량 평균 입경을 산출한다.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D) of the particles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2.5 to 10 μm. By setting the weight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articles within the above range, for example, anti-glare properties can be improved and white clouding can be prevented.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articles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3 to 7 μm. In addition,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articles can be measured, for example, by the Coulter count method. For example, using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ing device using the pore electrical resistance method (product name: Coulter Multisizer, manufactured by Beckman Coulter),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electrolyte solution is equivalent to the particle volume when the particles pass through the pores. By measuring, the number and volume of the particles are measured and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calculated.

상기 입자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비즈상의 대략 구형이어도 되고, 분말 등의 부정형의 것이어도 되지만, 대략 구형의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애스펙트비가 1.5 이하의 대략 구형의 입자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구형의 입자이다.The shape of the partic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y may be roughly spherical in the form of beads, or may be of an irregular shape such as powder, but are preferably roughly spherical, and more preferably are substantially spherical with an aspect ratio of 1.5 or less. particles, and most preferably are spherical particles.

상기 안티글레어층에 있어서의 상기 입자의 비율은,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12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2중량부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중량부의 범위이다.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보다 안티글레어성이 우수하고, 또한 백색 흐려짐을 방지할 수 있다.The ratio of the particles in the anti-glare lay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2 to 12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 to 12 parts by weight, and even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7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This is the range of parts by weight. By setting it within the above range, for example, anti-glare properties can be improved and white fading can be prevented.

상기 안티글레어층은, 틱소트로피 부여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틱소트로피 부여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입자의 응집 상태의 제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을 형성하기 위한 틱소트로피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어 유기 점토, 산화 폴리올레핀, 변성 우레아 등을 들 수 있다.The anti-glare layer may contain a thixotropy imparting agent. By including the thixotropy imparting agent, the aggregation state of the particles can be easily controlled. Examples of thixotropy imparting agents for forming the anti-glare layer include organic clay, oxidized polyolefin, and modified urea.

상기 유기 점토는, 상기 수지와의 친화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유기화 처리한 점토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점토로서는, 예를 들어 층상 유기 점토를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점토는, 자가 조제해도 되고, 시판품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루센타이트 SAN, 루센타이트 STN, 루센타이트 SEN, 루센타이트 SPN, 소마시프 ME-100, 소마시프 MAE, 소마시프 MTE, 소마시프 MEE, 소마시프 MPE(상품명, 모두 코프 케미컬(주)제); 에스벤, 에스벤 C, 에스벤 E, 에스벤 W, 에스벤 P, 에스벤 WX, 에스벤 N-400, 에스벤 NX, 에스벤 NX80, 에스벤 NO12S, 에스벤 NEZ, 에스벤 NO12, 에스벤 NE, 에스벤 NZ, 에스벤 NZ70, 올가나이트, 올가나이트 D, 올가나이트 T(상품명, 모두 (주)호준제); 구니피아 F, 구니피아 G, 구니피아 G4(상품명, 모두 쿠니미네 고교(주)제); 틱소겔 VZ, 크레이톤 HT, 크레이톤 40(상품명, 모두 로크우드 어디티브즈사제) 등을 들 수 있다.The organic clay is preferably a clay that has been organically treated to improve compatibility with the resin. Examples of organic clay include layered organic clay. The organic clay may be self-prepared or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may be used. Examples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include Lucentite SAN, Lucentite STN, Lucentite SEN, Lucentite SPN, Somasif ME-100, Somasif MAE, Somasif MTE, Somasif MEE, Somasif MPE (brand names, all Cope Chemicals) (subject); ESBEN, ESBEN C, ESBEN E, ESBEN W, ESBEN P, ESBEN WX, ESBEN N-400, ESBEN NX, ESBEN NX80, ESBEN NO12S, ESBEN NEZ, ESBEN NO12, S Ben NE, Esben NZ, Esben NZ70, Organite, Organite D, Organite T (brand names, all manufactured by Hojun Co., Ltd.); Gunipia F, Gunipia G, Gunipia G4 (brand names, all manufactured by Kunimine High School Co., Ltd.); Thixogel VZ, Creighton HT, Creighton 40 (brand name, all manufactured by Lockwood Additives), etc.

상기 산화 폴리올레핀은, 자가 조제해도 되고, 시판품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디스팔론 4200-20(상품명, 구스모토 가세이(주)제), 플로논 SA300(상품명, 교에샤 가가꾸(주)제) 등을 들 수 있다.The oxidized polyolefin may be self-prepared or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may be used. Examples of the above-mentioned commercial products include Dispalon 4200-20 (brand name, manufactured by Kusumoto Kasei Co., Ltd.), Flonon SA300 (brand name, manufactured by Kyoesha Chemical Co., Ltd.), and the like.

상기 변성 우레아는,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혹은 그 어덕트체와 유기 아민의 반응물이다. 상기 변성 우레아는, 자가 조제해도 되고, 시판품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BYK410(빅 케미사제) 등을 들 수 있다.The modified urea is a reaction product of an isocyanate monomer or an adduct thereof and an organic amine. The above-mentioned modified urea may be self-prepared or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may be used. Examples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include BYK410 (manufactured by Big Chemistry).

상기 틱소트로피 부여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The thixotropy imparting agent may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 볼록상부의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조도 평균 선에서의 높이가, 안티글레어층의 두께의 0.4배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배 이상 0.4배 미만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배 이상 0.3배 미만의 범위이다. 이 범위라면, 상기 볼록상부에 외관 결점이 되는 돌기물이 형성되는 것을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은, 이러한 높이의 볼록형부를 가짐으로써, 외관 결점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균 선에서의 높이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38620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convex portion from the illuminance average line of the anti-glare layer is less than 0.4 times the thickness of the anti-glare layer. More preferably, it is in the range of 0.01 times to less than 0.4 times, and even more preferably, it is in the range of 0.01 times to less than 0.3 times. Within this range,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prevent the formation of projections that cause appearance defects on the convex portion. By having convex portions of this height, the anti-glare layer can make it difficult to generate appearance defects. Here, the height at the average line can be measured, for example, by the method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7-138620.

상기 안티글레어층에 있어서의 상기 틱소트로피 부여제의 비율은,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4중량부의 범위이다.The ratio of the thixotropy imparting agent in the anti-glare lay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1 to 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2 to 4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두께(d)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3 내지 12㎛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티글레어층의 두께(d)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컬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반송성 불량 등의 생산성의 저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께(d)가 이 상기 범위에 있는 경우, 상기 입자의 중량 평균 입경(D)은 전술한 바와 같이, 2.5 내지 1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두께(d)와, 상기 입자의 중량 평균 입경(D)이 전술한 조합임으로써, 안티글레어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두께(d)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의 범위 내이다.The thickness (d) of the anti-glar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3 to 12 μm. By setting the thickness (d) of the anti-glare layer within the above range, for example, curling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vented, and problems of reduced productivity such as poor transportability can be avoided. 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d) is within this range,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D) of the particles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2.5 to 10 μm, as described above. By combining the thickness (d) of the anti-glare layer and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D) of the particles described above, the anti-glare properties can be improved. The thickness (d) of the anti-glare layer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3 to 8 μm.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두께(d)와 상기 입자의 중량 평균 입경(D)의 관계는, 0.3≤D/d≤0.9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계에 있음으로써, 보다 안티글레어성이 우수하고, 또한 백색 흐려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외관 결점이 없는 안티글레어층으로 할 수 있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ickness (d) of the anti-glare layer and the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D) of the particles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0.3≤D/d≤0.9. By having this relationship, an anti-glare layer with excellent anti-glare properties, white fading can be prevented, and no defects in appearance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티글레어층은, 상기 입자 및 상기 틱소트로피 부여제가 응집함으로써,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표면에 볼록상부를 형성한다. 상기 볼록상부를 형성하는 응집부에 있어서는, 상기 입자가,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면 방향으로, 복수 모인 상태에서 존재한다. 이에 의해, 상기 볼록상부가, 완만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은, 이러한 형상의 볼록상부를 가짐으로써, 안티글레어성을 유지하면서, 또한, 백색 흐려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외관 결점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I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nti-glare layer forms a convex portion on the surface of the anti-glare layer by agglomerating the particles and the thixotropy imparting agent. In the agglomerated portion forming the convex portion, the particles exist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is gathered in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anti-glare layer. As a result, the convex portion has a gentle shape. By having the convex portion of this shape, the anti-glare layer can prevent white fading while maintaining anti-glare properties, and can also make it difficult for appearance defects to occur.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표면 형상은,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에 포함되는 입자의 응집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임의로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입자의 응집 상태는, 예를 들어 상기 입자의 재질(예를 들어, 입자 표면의 화학적 수식 상태, 용매나 수지에 대한 친화성 등), 수지(바인더) 또는 용매의 종류, 조합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에 포함되는 틱소트로피 부여제에 의해, 상기 입자의 응집 상태를 컨트롤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입자의 응집 상태를 전술한 바와 같이 할 수 있고, 상기 볼록상부를, 완만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The surface shape of the anti-glare layer can be designed arbitrarily by controlling the aggregation state of particles contained in the anti-glare layer forming material. The aggregation state of the particles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by the material of the particles (e.g., chemical modification state of the particle surface, affinity for solvent or resin, etc.), type and combination of resin (binder) or solvent, etc. You can. Here, the aggregation state of the particles can be controlled by the thixotropy imparting agent included in the anti-glare layer forming material. As a result, the agglomeration state of the particles can be made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nvex portion can be given a gentle shape.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재가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기재와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계면에 있어서, 침투층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투층은,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형성 재료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이, 본 발명의 기재에 침투하여 형성된다. 침투층이 형성되면, 본 발명의 기재와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침투층은, 두께가 0.2 내지 3㎛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의 범위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재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고, 상기 안티글레어층에 포함되는 수지가 아크릴 수지인 경우에는, 상기 침투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침투층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단면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으로 관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고,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I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resin or the like, it is preferable to have a permeable layer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nti-glare layer. The permeable layer is formed by the resin component contained in the forming material of the anti-glare layer permeating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ermeable layer is formed, the adhesion between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nti-glare layer can be improved, which is preferable. The thickness of the penetration lay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2 to 3 ㎛,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 to 2 ㎛. For example, when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ester resin and the resin included in the anti-glare layer is an acrylic resin, the penetration layer can be formed. The penetration layer can be confirmed, and its thickness can be measured, for example, by observing a cross section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이러한 침투층을 갖는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적용한 경우에도, 안티글레어성과, 백색 흐려짐의 방지를 양립한 원하는 완만한 표면 요철 형상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침투층은, 상기 안티글레어층과의 밀착성이 모자란 기재일수록, 밀착성의 향상을 위하여,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Even when applied to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penetrating layer, a desired gentle surface uneven shape that achieves both anti-glare properties and prevention of white blur can be easily formed. The penetration layer is preferably formed thicker in order to improve adhesion to the substrate with poor adhesion to the anti-glare layer.

상기 안티글레어층에 있어서, 최대 직경이 200㎛ 이상의 외관 결점이 안티글레어층의 1㎡당 1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관 결점이 없는 것이다.In the anti-glare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re be no more than one appearance defect per 1 m 2 of the anti-glare layer with a maximum diameter of 200 μm or more. More preferably, it does not have the above-mentioned appearance defects.

상기 안티글레어층 표면의 요철 형상에 있어서, 평균 경사각 θa(°)가 0.1 내지 5.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내지 4.5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내지 4.0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6 내지 4.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평균 경사각 θa는, 하기 수식 (1)로 정의되는 값이다. 상기 평균 경사각 θa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38620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값이다.In the uneven shape of the surface of the anti-glare layer,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θa (°)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1 to 5.0,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3 to 4.5, and even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to 4.0, It is particularly preferred that it is 1.6 to 4.0. Here,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θa is a value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θa is a value measured by, for example, the method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7-138620.

평균 경사각 θa=tan-1Δa (1)Average inclination angle θa=tan-1Δa (1)

상기 수식 (1)에 있어서, Δa는, 하기 수식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JIS B 0601(1994년도 판)에 규정되는 조도 곡선의 기준 길이 L에 있어서, 인접하는 산의 정점과 골짜기의 최하점의 차(높이 h)의 합계(h1+h2+h3…+hn)를 상기 기준 길이 L로 나눈 값이다. 상기 조도 곡선은, 단면 곡선으로부터, 소정의 파장보다 긴 표면 굴곡 성분을 위상차 보상형 고역 필터로 제거한 곡선이다. 또한, 상기 단면 곡선이란, 대상면에 직각인 평면에서 대상면을 절단한 때에, 그 절취부에 나타나는 윤곽이다.In the above equation (1), Δa is the peak of the adjacent mountain and the lowest point of the valley in the reference length L of the roughness curve specified in JIS B 0601 (1994 edition),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It is the sum of the differences (height h) (h1+h2+h3...+hn) divided by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length L. The roughness curve is a curve obtained by removing a surface waviness component longer than a predetermined wavelength from a cross-sectional curve using a phase difference compensation high-pass filter. Additionally, the cross-sectional curve is a contour that appears at the cut portion when the target surface is cut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target surface.

Δa=(h1+h2+h3…+hn)/L (2)Δa=(h1+h2+h3…+hn)/L (2)

θa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보다 안티글레어성이 우수하고, 또한 백색 흐려짐을 방지할 수 있다.If θa is within the above range, anti-glare properties are excellent and white blur can be prevented.

상기 안티글레어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조제한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도공액)이 틱소트로픽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기에서 규정되는 Ti값이, 1.3 내지 3.5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2.8의 범위이다.In forming the anti-glare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pared anti-glare layer forming material (coating liquid) exhibits thixotropic properties, and the Ti value specified below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3 to 3.5. Preferably it is in the range of 1.3 to 2.8.

Ti값=β1/β2Ti value=β1/β2

여기서, β1은 HAAKE사제 레오스트레스 6000을 사용하여 전단 속도 20(1/s)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점도, β2는 HAAKE사제 레오스트레스 6000을 사용하여 전단 속도 200(1/s)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점도이다.Here, β1 is the viscosity measured under the condition of a shear rate of 20 (1/s) using Rheostress 6000 manufactured by HAAKE, and β2 is the viscosity measured under the condition of a shear rate of 200 (1/s) using Rheostress 6000 manufactured by HAAKE. It is viscosity.

Ti값이 1.3 미만이면, 외관 결점이 발생하기 쉬워져, 안티글레어성, 백색 흐려짐에 관한 특성이 악화된다. 또한, Ti값이 3.5를 초과하면, 상기 입자가 응집하기 어렵게 분산 상태로 되기 쉬워진다.If the Ti value is less than 1.3, defects in appearance are likely to occur, and the characteristics regarding anti-glare properties and white clouding deteriorate. Additionally, when the Ti value exceeds 3.5, the particles become difficult to aggregate and tend to be in a dispersed state.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어떠한 방법으로 제조되어도 되지만, 예를 들어 상기 수지, 상기 입자, 상기 틱소트로피 부여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도공액)를 준비하고, 상기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도공액)를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에 도공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막을 경화시켜서 안티글레어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금형에 의한 전사 방식이나, 샌드블라스트, 엠보스 롤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요철 형상을 부여하는 방법 등을, 아울러 사용할 수도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anti-glar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manufactured by any method, for example, an anti-glare layer forming material (coating solution) containing the resin, the particles, the thixotropy imparting agent, and the solvent. It can be manufactured by preparing, applying the anti-glare layer forming material (coating liquid) to the second side of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coating film, and curing the coating film to form an anti-glare layer. A transfer method using a mold, a method of imparting an uneven shape by an appropriate method such as sandblasting, emboss roll, etc. can also be used.

상기 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여러 가지의 용매를 사용 가능하고,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수지의 조성, 상기 입자 및 상기 틱소트로피 부여제의 종류, 함유량 등에 따라서 최적의 용매 종류나 용매 비율이 존재한다. 용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2-메톡시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펜타논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류; 헥산, 헵탄, 옥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등을 들 수 있다.The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various solvents can be used. One type may be used individually, or two or more typ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There is an optimal solvent type or solvent ratio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resin, the type and content of the particles and the thixotropy imparting agent, etc. The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examples include alcohols such as methanol, ethanol, isopropyl alcohol, butanol, and 2-methoxyethanol; Ketones such as acetone,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and cyclopentanone; esters such as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and butyl acetate; ethers such as diisopropyl ether and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Glycols such as ethylene glycol and propylene glycol; Cellosolves such as ethyl cellosolve and butyl cellosolve; Aliphatic hydrocarbons such as hexane, heptane, and octane;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benzene, toluene, and xylene can be mentioned.

본 발명의 기재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채용하여 침투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대한 양용매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펜타논 등을 들 수 있다.As a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en a polyester resin is employed to form a permeable layer, a good solvent for the polyester resin can be suitably used. 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ethyl acetate, methyl ethyl ketone, and cyclopentanone.

상기 용매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틱소트로피 부여제에 의한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도공액)에 대한 틱소트로픽성을 양호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점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톨루엔 및 크실렌을 적합하게, 단독 사용 또는 병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산화폴리올레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메틸에틸케톤, 아세트산에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를 적합하게, 단독 사용 또는 병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변성 우레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아세트산부틸 및 메틸이소부틸케톤을 적합하게, 단독 사용 또는 병용할 수 있다.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solvent, thixotropic properties of the anti-glare layer forming material (coating solution) by the thixotropy imparting agent can be expressed satisfactorily. For example, when using organic clay, toluene and xylene can be suitably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and when using oxidized polyolefin, for example, methyl ethyl ketone, ethyl acetate, and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can be suitably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For example, when using denatured urea, butyl acetate and methyl isobutyl ketone can be suitably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에는, 각종 레벨링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레벨링제로서는, 도공 불균일 방지(도공면의 균일화)를 목적으로, 예를 들어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의 레벨링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표면에 방오성이 요구되는 경우, 또는, 반사 방지층(저굴절률층)이나 층간 충전제를 포함하는 층이 안티글레어층 상에 형성되는 경우 등에 따라 적절히 레벨링제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틱소트로피 부여제를 포함시킴으로써 도공액에 틱소트로픽성을 발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공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상기 레벨링제의 선택지를 확장할 수 있다고 하는 우위점을 갖고 있다.Various leveling agents can be added to the anti-glare layer forming material. As the leveling agent,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coating unevenness (uniforming the coating surface), for example, a fluorine-based or silicon-based leveling agent can be used. A leveling agent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case where anti-fouling properties are required on the surface of the anti-glare layer, or when a layer containing an anti-reflection layer (low refractive index layer) or an interlayer filler is formed on the anti-glare layer. For example, by including the thixotropy imparting agent, thixotropic properties can be expressed in the coating solution, so coating unevenness is unlikely to occur. For this reas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xpand the options of the leveling agent, for example.

상기 레벨링제의 배합량은, 상기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5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부의 범위이다.The blending amount of the leveling agent is, for example, 5 parts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0.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상기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에는, 필요에 따라,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안료, 충전제, 분산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계면 활성제, 방오제, 산화 방지제 등이 첨가되어도 된다. 이들의 첨가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류 이상 병용해도 된다.If necessary, pigments, fillers, dispersants, plasticizers, ultraviolet absorbers, surfactants, anti-fouling agents, antioxidants, etc. may be added to the anti-glare layer forming material to the extent that performance is not impaired. These additives may be used individually, or two or more types may be used together.

상기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에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88309호 공보에 기재되는 것과 같은, 종래 공지된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For the anti-glare layer forming material, for example, a conventionally known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such as that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88309 can be used.

상기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를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 상에 도공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파운틴 코팅법, 다이 코팅법, 스핀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롤 코팅법, 바 코팅법 등의 도공법을 사용할 수 있다.Methods for coating the anti-glare layer forming material on the second side of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for example, fountain coating, die coating, spin coating, spray coating, gravure coating, roll coating, and bar coating. Coating methods such as coating can be used.

상기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를 도공하여 본 발명의 기재 상에 도막을 형성하고, 상기 도막을 경화시킨다. 상기 경화에 앞서, 상기 도막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는, 예를 들어 자연 건조여도 되고, 바람을 분사한 풍건이어도 되고, 가열 건조여도 되고, 이들을 조합한 방법이어도 된다.The anti-glare layer forming material is applied to form a coating film on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ating film is cured. Prior to curing, it is preferable to dry the coating film. The drying may be, for example, natural drying, air drying, heat drying, or a combination of these.

상기 안티글레어층 형성 재료의 도막의 경화 수단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자외선 경화가 바람직하다. 에너지선원의 조사량은, 자외선 파장 365nm에서의 적산 노광량으로서, 50 내지 500mJ/㎠가 바람직하다. 조사량이 50mJ/㎠ 이상이면, 경화가 보다 충분해지고, 형성되는 안티글레어층의 경도도 보다 충분한 것이 된다. 또한, 500mJ/㎠ 이하이면, 형성되는 안티글레어층의 착색을 방지할 수 있다.The means for curing the coating film of the anti-glare layer forming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ultraviolet curing is preferable. The irradiation amount of the energy ray source is preferably 50 to 500 mJ/cm 2 as the integrated exposure amount at an ultraviolet ray wavelength of 365 nm. If the irradiation amount is 50 mJ/cm2 or more, curing becomes more sufficient and the hardness of the anti-glare layer formed becomes more sufficient. Additionally, if it is 500 mJ/cm2 or less, coloring of the formed anti-glare layer can be prevented.

이상과 같이 하여,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에, 상기 안티글레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방법 이외의 제조 방법으로 안티글레어층을 형성해도 된다.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경도는, 연필 경도에 있어서, 층의 두께에도 영향받지만, 2H 이상의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anti-glare layer can be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the anti-glare layer may be formed by a manufacturing method other than the method described above. The hardness of the anti-glare layer, in terms of pencil hardness, is also affected by the thickness of the layer, bu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ardness of 2H or more.

상기 안티글레어층은, 2층 이상이 적층된 복수층 구조여도 된다.The anti-glare layer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layers are stacked.

상기 안티글레어층 상에, 상술한 AR층(저굴절률층)을 배치해도 된다. 예를 들어 화상 표시 장치에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장착한 경우, 화상의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의 하나로 공기와 안티글레어층 계면에서의 광의 반사를 들 수 있다. AR층은, 그 표면 반사를 저감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티글레어층 및 반사 방지층은, 각각, 2층 이상이 적층된 복수층 구조여도 된다.On the anti-glare layer, the AR layer (low refractive index layer) described above may be disposed. For example, when an optical adhesive tape is attach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one of the factors that reduces image visibility is reflection of light at the interface between air and the anti-glare layer. The AR layer reduces surface reflection. In addition, the anti-glare layer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may each have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layers are stacked.

또한, 오염물의 부착 방지 및 부착된 오염물의 제거 용이성의 향상을 위하여, 불소기 함유의 실란계 화합물 혹은 불소기 함유의 유기 화합물 등으로 형성되는 오염 방지층을 상기 반사 방지층 및/또는 안티글레어층 상에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adhesion of contaminants and improve the ease of removal of the attached contaminants, an anti-contamination layer formed of a silane-based compound containing a fluorine group or an organic compound containing a fluorine group is placed on the anti-reflection layer and/or the anti-glare layer. Lamination is preferred.

본 발명의 기재 및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표면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재 표면을 표면 처리하면, 상기 안티글레어층과의 밀착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표면을 표면 처리하면, 상기 AR층과의 밀착성이 더욱 향상된다.It is preferable to perform surface treatment on at least on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nti-glare layer. Whe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rface treated, adhesion to the anti-glare layer is further improved. Additionally, when the surface of the anti-glare layer is surface treated, adhesion to the AR layer is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의 기재의 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다른 쪽의 면에 대하여 용제 처리를 행해도 된다. 또한, 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안티글레어층의 다른 쪽의 면에 투명 수지층을 형성해도 된다.In order to prevent curling of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solvent treatment may be per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anti-glare layer. Additionally, in order to prevent curling, a transparent resin layer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anti-glare layer.

<점착제층><Adhesive layer>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기재(基材)(기재층)를 갖지 않는 점착제층이어도 되고, 기재를 갖는 타입의 점착제층이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재(기재층)를 갖지 않는 점착제층을 「무(無)기재 점착제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고, 기재를 갖는 타입의 점착제층을 「기재를 구비한 점착제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무기재 점착제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점착제층만을 포함하는 단층의 점착제층이나, 본 발명의 점착제층과 그 밖의 점착제층(본 발명의 점착제층 이외의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점착제층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를 구비한 점착제층으로서는, 기재의 양면측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제층이나, 기재의 한쪽 면측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갖고, 다른 쪽의 면측에 그 밖의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제층 등을 들 수 있다. 「기재를 구비한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기재(기재층)」로서는, 본 발명의 기재와 마찬가지의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dhesive layer without a base material (base layer), or may be a type of adhesive layer with a base material.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out a base material (base layer) may be referred to as a “base-fre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 type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a base material may be referred to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a base material.” There are cases where it is called. As the inorganic adhesive layer, for example, a single-layer adhesive layer containing only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 adhesive layer contain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other adhesive layer (an adhesive layer other than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etc. can be mentioned. 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provided with the above substrate includes an adhesive layer hav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on both sides of the substrate, or an adhesive layer hav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and another adhesive layer on the other sid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tc. can be mentioned. As the “base material (base layer)” constitu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a base material,” a plastic film similar to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본 발명의 점착제층 전단력(점착 면적 1㎠를 수지판에 접합하여, 23℃에서 전단 방향으로 인장 속도 0.06mm/min으로 인장한 때의 전단력)은 20N/㎠ 이하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전단력이 20N/㎠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에 배선 등에 의한 요철 형상의 단차가 있는 경우, 당해 단차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기포 등을 남기는 일 없이, 충전할 수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하고, 단차에 추종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점착제층 전단력은 15N/㎠ 이하가 바람직하고, 13N/㎠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전단력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보관 시에 단부로부터 점착제층이 비어져 나오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등의 가공성의 관점에서, 5N/㎠ 이상이 바람직하고, 7N/㎠ 이상이어도 된다.The shear force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ear force when 1 cm 2 of adhesive area is bonded to a resin plate and stretched in the shear direction at a tensile speed of 0.06 mm/min at 23°C) is 20 N/cm 2 or less.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adhesive layer shear for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20 N/cm2 or less ensures that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sufficiently follows the contraction or expansion under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suppress lifting or peeling. It is desirable in that respect. In addition, when the adherend, such as an image display panel, has uneven steps caused by wiring or the like, it is also desirable because the adhesive layer sufficiently follows the steps and can be filled without leaving bubbles or the like. From the point of suppressing the lifting or peeling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being able to follow a level difference, the shear force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15 N/cm 2 or less, and may be 13 N/cm 2 or less. The lower limit of the shear force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5 N/cm2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processability, such as the problem of the adhesive layer protruding from the end during storage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preferable and may be 7 N/cm2 or more.

본 발명의 점착제층 전단력은, 뒤에 게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단력 측정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전단력은,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예를 들어,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나 분자량, 사용량, 모노머 조성, 관능기의 종류 및 양, 가교제의 종류 및 양)이나 경화 조건(가열 조건, 방사선 조사 조건)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The shear force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asured by shear force measurement in the examples described later. The shear force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omposition of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e.g., type and molecular weight of base polymer, amount used, monomer composition, type and amount of functional group, type and amount of crosslinking agent) It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curing conditions (heating conditions, radiation conditions), etc.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점(Tg)은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Tg가 -10℃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저온 환경 하에서도 상기 점착제층의 응력 완화성이 유지되어,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상기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고, 피착체와의 밀착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하고, 피착체와의 양호한 밀착성의 점에서, 본 발명의 점착제층 유리 전이점은 -15℃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Tg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보관 시에 단부로부터 점착제층이 비어져 나오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등의 가공성의 관점에서, -50℃ 이상이 바람직하고, -40℃ 이상이어도 된다.The glass transition point (Tg)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10°C or low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0°C or lower maintains the stress relaxation properti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ven in a low-temperature environment,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resistant to shrinkage or expansion under the use environ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desirable because it sufficiently follows the pattern, can suppress lifting and peeling, and can sufficiently secure adhesion to the adherend.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lifting and peeling in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viding good adhesion to the adherend, the glass transition point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15°C or lower, and may be -20°C or lower. The lower limit of the Tg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50° C. or higher from the viewpoint of processability, such as the problem of the adhesive layer protruding from the edge during storage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preferable, and may be -40°C or higher.

본 발명의 점착제층 유리 전이점(Tg)은, 뒤에 게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유리 전이점(Tg)은,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예를 들어,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나 분자량, 사용량, 모노머 조성, 관능기의 종류 및 양, 가교제의 종류 및 양)이나 경화 조건(가열 조건, 방사선 조사 조건)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The glass transition point (Tg)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asured by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ement in the examples described later. The glass transition point (Tg)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composition of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e.g., type and molecular weight of base polymer, amount used, monomer composition, type and amount of functional group, crosslinker) type and amount) or curing conditions (heating conditions, radiation conditions), etc.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70℃, 1Hz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80k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70℃, 1Hz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80kPa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에 배선 등에 의한 요철 형상의 단차가 있는 경우, 당해 단차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기포 등을 남기는 일 없이, 충전할 수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하고, 단차에 추종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70℃, 1Hz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70kPa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60kPa 이하, 또는 50kPa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70℃, 1Hz에서의 저장 탄성률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보관 시에 단부로부터 점착제층이 비어져 나오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등의 가공성의 관점에서, 1kPa 이상이 바람직하고, 5kPa 이상이어도 된다.The storage modulus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t 70°C and 1 Hz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80 kPa or less.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torage modulus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80 kPa or less at 70°C and 1 Hz means that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sufficiently follows the contraction or expansion under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float or float. This is preferable because peeling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when the adherend, such as an image display panel, has uneven steps caused by wiring or the like, it is also desirable because the adhesive layer sufficiently follows the steps and can be filled without leaving bubbles or the like. In order to suppress the lifting and peeling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be able to follow a level difference, the storage modulus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t 70°C and 1 Hz is more preferably 70 kPa or less, or 60 kPa or less. It may be less than 50kPa. The lower limit of the storage elastic modulus at 70°C and 1 Hz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processability such as the problem of the adhesive layer protruding from the end during storage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likely to occur. From the viewpoint, 1 kPa or more is preferable, and 5 kPa or more may be sufficient.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70℃, 1Hz에서의 손실 정접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0.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70℃, 1Hz에서의 손실 정접이 0.15 이상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에 배선 등에 의한 요철 형상의 단차가 있는 경우, 당해 단차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기포 등을 남기는 일 없이, 충전할 수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하고, 단차에 추종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70℃, 1Hz에서의 손실 정접은 0.2 이상이 바람직하고, 0.25 이상, 또는 0.3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70℃, 1Hz에서의 손실 정접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보관 시에 단부로부터 점착제층이 비어져 나오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등의 가공성의 관점에서, 1 이하가 바람직하고, 0.8 이하여도 된다.The loss tangent at 70°C and 1 Hz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0.15 or more.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loss tangent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15 or more at 70°C and 1 Hz means that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sufficiently follows the shrinkage or expansion under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ing lifting or peeling. It is desirable in that it can suppress. In addition, when the adherend, such as an image display panel, has uneven steps caused by wiring or the like, it is also desirable because the adhesive layer sufficiently follows the steps and can be filled without leaving bubbles or the like. In order to suppress lifting and peeling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be able to follow a level difference, the loss tangent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t 70°C and 1 Hz is preferably 0.2 or more, 0.25 or more, or 0.3. It can be more than that. The upper limit of the loss tangent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t 70°C and 1 Hz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processability, such as the problem of the adhesive layer protruding from the end during storage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likely to occur. From the viewpoint, 1 or less is preferable and may be 0.8 or less.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70℃, 1Hz에서의 저장 탄성률, 손실 정접은, 뒤에 게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70℃, 1Hz에서의 저장 탄성률, 손실 정접은,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예를 들어,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나 분자량, 사용량, 모노머 조성, 관능기의 종류 및 양, 가교제의 종류 및 양)이나 경화 조건(가열 조건, 방사선 조사 조건)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The storage modulus and loss tangent at 70°C and 1 Hz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asured by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ement in the examples described later. The storage modulus and loss tangent at 70°C and 1 Hz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composition of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e.g., type, molecular weight, amount of base polymer, monomer composition, functional group) It can be adjusted by the type and amount of crosslinking agent) or curing conditions (heating conditions, radiation conditions), etc.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300% 인장 잔존 응력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0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300% 인장 잔존 응력값이 10N/㎠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에 배선 등에 의한 요철 형상의 단차가 있는 경우, 당해 단차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기포 등을 남기는 일 없이, 충전할 수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하고, 단차에 추종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300% 인장 잔존 응력값은 7N/㎠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5N/㎠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300% 인장 잔존 응력값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보관 시에 단부로부터 점착제층이 비어져 나오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등의 가공성의 관점에서, 1N/㎠ 이상이 바람직하고, 1.5N/㎠ 이상이어도 된다.The 300% tensile residual stress value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0 N/cm2 or less.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300% tensile residual stress value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0 N/cm2 or less ensures that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sufficiently follows the contraction or expansion under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float or float. This is preferable because peeling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when the adherend, such as an image display panel, has uneven steps caused by wiring or the like, it is also desirable because the adhesive layer sufficiently follows the steps and can be filled without leaving bubbles or the like. In order to suppress the lifting or peeling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be able to follow the difference in level, the 300% tensile residual stress value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preferably 7 N/cm2 or less, and 5 N/cm2 or less. It's okay. The lower limit of the 300% tensile residual stress value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from the viewpoint of processability, such as the problem of the adhesive layer protruding from the end during storage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N/cm2 or more is preferable, and may be 1.5N/cm2 or more.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300% 인장 잔존 응력값은, 뒤에 게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300% 인장 잔존 응력값 측정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300% 인장 잔존 응력값은,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예를 들어,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나 분자량, 사용량, 모노머 조성, 관능기의 종류 및 양, 가교제의 종류 및 양)이나 경화 조건(가열 조건, 방사선 조사 조건)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The 300% tensile residual stress value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300% tensile residual stress value in the examples shown later. The 300% tensile residual stress value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omposition of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e.g., type and molecular weight of base polymer, amount used, monomer composition, type and amount of functional group, It can be adjusted by the type and amount of crosslinking agent) or curing conditions (heating conditions, radiation conditions), etc.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하기의 전단 시험에 있어서 구해지는 복원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recovery rate determined in the following shear test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95% or less.

<전단 시험><Shear test>

두께 2mm, 직경 7.9mm의 원반상의 점착제층의 상하로부터 60℃에서 비틀림 방향의 전단력 500Pa를 600초간 가한 때의 변형량 A(%)와, 그 후 전단력 0Pa로 1800초간 유지한 때의 변형량 B(%)를 측정하고, 하기 식으로부터 복원율(%)을 산출한다.The amount of deformation A (%) when a shear force of 500 Pa in the torsional direction was applied for 600 seconds at 60°C from the top and bottom of a disc-shaped adhesive layer with a thickness of 2 mm and a diameter of 7.9 mm, and the amount of deformation B (%) when the shear force was then maintained at 0 Pa for 1800 seconds. ) is measured, and the restoration rate (%) is calculated from the following formula.

복원율(%)=(변형량 A-변형량 B)/변형량 A×100Restoration rate (%) = (deformation amount A - deformation amount B) / deformation amount A × 100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변형량 A」, 「변형량 B」, 「복원율」이라고 할 때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상기의 전단 시험에 있어서 구해지는 「변형량 A」, 「변형량 B」, 「복원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referring to “strain amount A”, “strain amount B”, and “recovery rate”, unless otherwise specified, “strain amount A”, “strain amount B”, and “recovery rate” obtained in the shear test above are referred to. It should be indicated.

상기 「전단 시험」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전단 시험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40은 점착제층, 41 및 42는 패럴렐 플레이트를 나타낸다.The above “shear test”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shear test, where 40 indicates an adhesive layer and 41 and 42 indicate parallel plates.

점착제층(40)은, 두께 2mm, 직경 7.9mm의 원반상의 점착제층이고,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고, 패럴렐 플레이트(41 및 42)는, 각각 직경 7.9mm의 상면 및 저면을 갖고,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도 5의 (a)). 패럴렐 플레이트(41)의 상면 및 패럴렐 플레이트(42)의 저면을, 각각 점착제층(40)의 저면 및 상면에 위치를 맞춰서 맞닿게 한다(도 5의 (b)). 다음으로, 주변 온도를 60℃로 하고, 점착제층(40)에, 500Pa의 비틀림 방향의 전단력 F를 600초간 건다(도 5의 (c)). 이어서, 패럴렐 플레이트(41 및 42)의 전단력을 개방하고, 전단력 0Pa로 1800초간 방치한다(도 5의 (d)). 「변형량 A」는, 초기(도 5의 (b))의 점착제층(40)의 외주(100%)에 대한 전단력 F를 600초간 건 시점(도 5의 (c))의 비틀림 방향의 변화량의 백분율(%)이다. 「변형량 B」는, 초기(도 5의 (b))의 점착제층(40)의 외주(100%)에 대한, 전단력 F를 600초간 건 후에 전단력 0Pa로 1800초간 방치한 시점(도 5의 (d))의 비틀림 방향의 변화량의 백분율(%)이다. 복원율(%)은, 하기 식으로부터 산출한다.The adhesive layer 40 is a disc-shaped adhesive layer with a thickness of 2 mm and a diameter of 7.9 mm, and is composed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arallel plates 41 and 42 each have a top and bottom surface with a diameter of 7.9 mm. , for example, made of stainless steel, etc. (Figure 5(a)). The top surface of the parallel plate 4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allel plate 42 are positioned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top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40, respectively (FIG. 5(b)). Next, the ambient temperature is set to 60°C, and a shear force F in the twist direction of 500 Pa is applied to the adhesive layer 40 for 600 seconds (FIG. 5(c)). Next, the shear force of the parallel plates 41 and 42 is released, and the shear force is left at 0 Pa for 1800 seconds (Figure 5(d)). “Deformation amount A” i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twist direction at the time (Figure 5(c)) when shear force F was applied for 600 seconds to the outer circumference (100%) of the adhesive layer 40 at the initial stage (Figure 5(b)). It is a percentage (%). “Deformation amount B” is the shear force F appli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100%) of the adhesive layer 40 at the initial stage ((b) in FIG. 5) for 600 seconds and then left for 1800 seconds at a shear force of 0 Pa (FIG. 5 (b) It is the percentage (%) of the change in the twist direction of d)). The restoration rate (%) is calculated from the following formula.

복원율(%)=(변형량 A-변형량 B)/변형량 A×100Restoration rate (%) = (deformation amount A - deformation amount B) / deformation amount A × 100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복원율이 95%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에 배선 등에 의한 요철 형상의 단차가 있는 경우, 당해 단차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기포 등을 남기는 일 없이, 충전할 수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하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고, 단차에 추종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점착제층 복원율은 9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93.5% 이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복원율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보관 시에 단부로부터 점착제층이 비어져 나오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등의 가공성의 관점에서, 70% 이상이 바람직하고, 80% 이상, 또는 85% 이상이어도 된다.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recovery rate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95% or less allows the adhesive layer to sufficiently follow the contraction or expansion under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suppress lifting or peeling, transparency. It is desirable in that it can be maintained without change. In addition, when the adherend, such as an image display panel, has uneven steps caused by wiring or the like, it is also desirable because the adhesive layer sufficiently follows the steps and can be filled without leaving bubbles or the like. Since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ppressed from lifting or peeling, transparency can be maintained without change, and can follow steps, the recovery rate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preferably 94% or less, and 93.5% or less. It's okay. The lower limit of the recovery rate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70%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processability such that problems of the adhesive layer protruding from the ends are unlikely to occur whe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t is preferable and may be 80% or more, or 85% or more.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변형량 A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변형량 A가 3% 이상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에 배선 등에 의한 요철 형상의 단차가 있는 경우, 당해 단차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기포 등을 남기는 일 없이, 충전할 수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하고, 단차에 추종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변형량 A는 4%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변형량 A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보관 시에 단부로부터 점착제층이 비어져 나오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등의 가공성의 관점,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25%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하, 또는 15% 이하여도 된다.The amount of deformation A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3% or more.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deformation amount A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3% or more is that the adhesive layer sufficiently follows the contraction or expansion under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suppress lifting or peeling. desirable. In addition, when the adherend, such as an image display panel, has uneven steps caused by wiring or the like, it is also desirable because the adhesive layer sufficiently follows the steps and can be filled without leaving bubbles or the like. Since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ppressed from lifting or peeling and can follow a level difference, the amount of deformation A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preferably 4% or more, and may be 5%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amount of deformation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transparency can be maintained without change from the viewpoint of processability, such as the problem of the adhesive layer protruding from the end during storage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sense, 25% or less is preferable, and may be 20% or less, or 15% or less.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변형량 B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변형량 B가 0.1% 이상이라고 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에 배선 등에 의한 요철 형상의 단차가 있는 경우, 당해 단차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기포 등을 남기는 일 없이, 충전할 수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하고, 단차에 추종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변형량 B는 0.2% 이상이 바람직하고, 0.3% 이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변형량 B의 상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보관 시에 단부로부터 점착제층이 비어져 나오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운 등의 가공성의 관점,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8% 이하, 또는 5% 이하여도 된다.The amount of deformation B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0.1% or more.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deformation amount B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1% or more is that the adhesive layer sufficiently follows the contraction or expansion under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suppress lifting or peeling. desirable. In addition, when the adherend, such as an image display panel, has uneven steps caused by wiring or the like, it is also desirable because the adhesive layer sufficiently follows the steps and can be filled without leaving bubbles or the like. From the point of suppressing the lifting and peeling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being able to follow the level difference, the amount of deformation B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0.2% or more, and may be 0.3%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amount of deformation 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transparency without change from the viewpoint of processability, such as the problem of the adhesive layer protruding from the end during storage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of this, 10% or less is preferable, and may be 8% or less, or 5% or less.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변형량 A, 변형량 B, 복원율은, 구체적으로는, 뒤에 게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변형량 A, 변형량 B, 복원율의 측정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변형량 A, 변형량 B, 복원율은,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 조성물의 조성(예를 들어, 베이스 폴리머의 종류나 분자량, 사용량, 모노머 조성, 관능기의 종류 및 양, 가교제의 종류 및 양)이나 경화 조건(가열 조건, 방사선 조사 조건)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mount of deformation A, amount B, and recovery rate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asur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deformation A, amount B, and recovery rate in the examples described later. The amount of deformation A, amount of deformation B, and recovery rate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composition of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e.g., type and molecular weight of base polymer, amount used, monomer composition, type and amount of functional group) , type and amount of crosslinking agent) or curing conditions (heating conditions, radiation conditions), etc.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폴리아미드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불소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투명성, 점착성, 내후성, 비용, 점착제의 설계의 용이함의 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점착제로 구성된 아크릴계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adhesive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cludes, for example, an acrylic adhesive, a rubber adhesive, a vinyl alkyl ether adhesive, a silicone adhesive, a polyester adhesive, a polyamide adhesive, a urethane adhesive, and a fluorine adhesive. , epoxy-based adhesives, etc. Among them, as the adhesive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an acrylic adhesive is preferable in terms of transparency, adhesiveness, weather resistance, cost, and ease of designing the adhesive.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rylic adhesive layer composed of an acrylic adhesive. The above adhesive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은, 베이스 폴리머로서 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한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아크릴계 모노머(분자 중에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폴리머이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폴리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acrylic adhesive layer contains an acrylic polymer as a base polymer. The acrylic polymer is a polymer containing an acrylic monomer (a monomer having a (meth)acryloyl group in the molecule) as a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mer. The acrylic polymer is preferably a polymer containing a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as a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mer. Additionally, acrylic polymer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어느 형태여도 된다. 예를 들어, 점착제 조성물은 에멀션형, 용제형(용액형),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열 용융형(핫 멜트형) 등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생산성의 점, 광학 특성이나 외관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얻기 쉬운 점에서, 용제형,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특히, 점착제층의 상기의 각종 특성(특히, 전단력, 유리 전이점 등)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이 바람직하다.The adhesive composition form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any form. For example,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n emulsion type, a solvent type (solution type), an active energy ray curing type, or a heat melt type (hot melt type). Among them, solvent-based and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s are preferred because it is easy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excellent productivity, optical properties, and appearance. In particular,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asy control of the various properties of the adhesive layer (particularly, shear force, glass transition point, etc.)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즉,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서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이고,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ing an acrylic polymer as a base polymer, and is preferably formed from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상기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α선, β선, γ선, 중성자선, 전자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active energy rays include ionizing radiation such as α-rays, β-rays, γ-rays, neutron rays, and electron beams, and ultraviolet rays, and ultraviolet rays are particularly preferable. That is,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preferably an ultraviolet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또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단량체(모노머)의 혼합물(「모노머 혼합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혹은 그 부분 중합물을 필수 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전자로서는, 예를 들어 소위 용제형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후자로서는, 예를 들어 소위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모노머 혼합물」이란,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부분 중합물」이란, 「프리폴리머」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고, 상기 모노머 혼합물 중의 모노머 성분 중의 1 또는 2 이상의 모노머 성분이 부분적으로 중합하고 있는 조성물을 의미한다.As the adhesive composition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forming the acrylic adhesive layer, for example, an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n acrylic polymer as an essential component, or a mixture of monomers (monomers)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referred to as a “monomer mixture”) in some cases) or an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the partially polymerized product as an essential ingredient. Examples of the former include so-called solvent-type acrylic adhesive compositions. also. Examples of the latter include so-called active energy ray-curable acrylic adhesive compositions. The above-mentioned “monomer mixture” means a mixture containing the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olymer.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partially polymerized produc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prepolymer” and means a composition in which one or two or more monomer components in the monomer mixture are partially polymerized.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필수적인 모노머 성분(단량체 성분)으로서 구성(형성)된 중합체이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필수적인 모노머 성분으로서 구성(형성)된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구성 단위로서,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아크릴」 및 「메타크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나타내고, 기타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모노머 성분에 의해 구성된다.The acrylic polymer is a polymer composed (formed) of an acrylic monomer as an essential monomer component (monomer component). The acrylic polymer is preferably a polymer composed of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as an essential monomer component. That is, the acrylic polymer preferably contains an alkyl (meth)acrylate ester as a structural unit. In this specification, “(meth)acryl” refers to “acryl” and/or “methacryl” (either or both of “acryl” and “methacryl”), and the same applies to others. Additionally, the acrylic polymer is composed of one or two or more monomer components.

필수적인 모노머 성분으로서의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the above-mentioned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as an essential monomer component,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having a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 group is preferably used. In addition,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프로필, (메트)아크릴산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s-부틸, (메트)아크릴산t-부틸, (메트)아크릴산펜틸, (메트)아크릴산이소펜틸, (메트)아크릴산헥실, (메트)아크릴산헵틸, (메트)아크릴산옥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노닐, (메트)아크릴산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데실, (메트)아크릴산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운데실, (메트)아크릴산도데실, (메트)아크릴산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옥타데실(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노나데실, (메트)아크릴산에이코실 등의 탄소수가 1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탄소수가 4 내지 18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2-에틸헥실(2EHA), 이소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ISTA), 라우릴아크릴레이트(LA), 부틸아크릴레이트(BA)이다. 또한, 상기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having a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 grou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examples includ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propyl (meth)acrylate, isopropyl (meth)acrylate, n-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s-butyl (meth)acrylate, t-butyl (meth)acrylate, pentyl (meth)acrylate, isopentyl (meth)acrylate, hexyl (meth)acrylate, Heptyl (meth)acrylate, oct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isooctyl (meth)acrylate, nonyl (meth)acrylate, isononyl (meth)acrylate, decyl (meth)acrylate, (meth)acrylate ) Isodecyl acrylate, undecyl (meth)acrylate, dodecyl (meth)acrylate, tridecyl (meth)acrylate, tetradecyl (meth)acrylate, pentadecyl (meth)acrylate, hexadecyl (meth)acrylate, (meth)acrylate Heptadecyl acrylate, octadecyl (meth)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isostearyl (meth)acrylate, nonadecyl (meth)acrylate, eicosyl (meth)acrylate, etc. with a carbon number of 1 to 20 Examples include (meth)acrylic acid alkyl esters having a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 group. Among them, the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having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is preferably a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having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having 4 to 18 carbon atoms, and more preferably acrylic acid 2. -Ethylhexyl (2EHA), isostearyl acrylate (ISTA), lauryl acrylate (LA), and butylacrylate (BA). In addition, the (meth)acrylic acid alkyl esters having the above-mentioned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100중량%) 중의,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50중량% 이상(예를 들어, 50 내지 1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3 내지 9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85중량%이다.The proportion of the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in the total monomer components (100% by weight)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50% by weight or more (for example, 50 to 100% by weight). It is preferable, more preferably 53 to 90% by weight, and even more preferably 55 to 85% by weight.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에 추가하여,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아크릴계 폴리머에 추가하여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경우, 해당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배합량)은, 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이상(예를 들어, 10 내지 10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중량부이다.Additionally, the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may contain the alkyl (meth)acrylate ester in addition to the acrylic polymer. When the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contains an alkyl (meth)acrylate in addition to the acrylic polymer, the content (mixing amount) of the alkyl (meth)acrylate is 10 parts by weight or more (e.g.,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polymer). For example, it is preferably 10 to 10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0 to 90 parts by weight, and even more preferably 30 to 80 parts by weight.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함께, 공중합성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즉,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구성 단위로서, 공중합성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공중합성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acrylic polymer may contain a copolymerizable monomer together with the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as a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mer. That is, the acrylic polymer may contain a copolymerizable monomer as a structural unit. Additionally, copolymerizable monomer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점착제층의 상기의 각종 특성(특히, 전단력, 유리 전이점 등)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관점, 고습 환경 하에서의 백탁화의 억제와 내구성 향상, 접착 신뢰성, 자외선 흡수제 등의 각종 첨가제와의 상용성, 투명성의 점에서, 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갖는 모노머, 분자 내에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즉,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구성 단위로서, 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구성 단위로서, 분자 내에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 are no particular limitations on the copolymerizable monomer, but from the viewpoint of easy control of the various properties (especially shear force, glass transition point, etc.)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suppression of clouding in a high-humidity environment and improvement of durability, In terms of adhesion reliability, compatibility with various additives such as ultraviolet absorbers, and transparency, monomers having a nitrogen atom in the molecule and monomers having a hydroxyl group in the molecule are preferably used. That is, the acrylic polymer preferably contains a monomer having a nitrogen atom in the molecule as a structural unit. Additionally, the acrylic polymer preferably contains a monomer having a hydroxyl group in the molecule as a structural unit.

상기 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갖는 모노머는, 분자 내(1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적어도 하나 갖는 모노머(단량체)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분자 내에 질소 원자를 갖는 모노머」를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환상 질소 함유 모노머, (메트)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monomer having a nitrogen atom in the molecule is a monomer (monomer) having at least one nitrogen atom in the molecule (within one molecule). In this specification, the above-mentioned “monomer having a nitrogen atom in the molecule” may be referred to as “monomer containing a nitrogen atom.” The nitrogen atom-containing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preferred examples include cyclic nitrogen-containing monomers and (meth)acrylamides. In addition, nitrogen atom-containing monomer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 환상 질소 함유 모노머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의 관능기를 갖고, 또한 환상 질소 구조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환상 질소 구조는, 환상 구조 내에 질소 원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yclic nitrogen-containing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having an unsaturated double bond, such as a (meth)acryloyl group or a vinyl group, and also has a cyclic nitrogen structure. The cyclic nitrogen structure preferably has a nitrogen atom in the cyclic structure.

상기 환상 질소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N-비닐 환상 아미드(락탐계 비닐 모노머),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갖는 비닐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yclic nitrogen-containing monomer include N-vinyl cyclic amide (lactam-based vinyl monomer) and a vinyl-based monomer having a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e.

상기 N-비닐 환상 아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N-비닐 환상 아미드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N-vinyl cyclic amide include N-vinyl cyclic amid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식 (1) 중, R1은 2가의 유기기를 나타냄)(In formula (1), R 1 represents a divalent organic group)

상기 식 (1)에 있어서의 R1은 2가의 유기기이고, 바람직하게는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 또는 불포화 탄화수소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가의 포화 탄화수소기(예를 들어, 탄소수 3 내지 5의 알킬렌기 등)이다.R 1 in the formula (1) is a divalent organic group, preferably a divalent saturated hydrocarbon group or an unsaturated hydrocarbon group, and more preferably a divalent saturated hydrocarbon group (for example, alkylene group, etc.).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N-비닐 환상 아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N-비닐-2-피롤리돈, N-비닐-2-피페리돈, N-비닐-3-모르폴리논, N-비닐-2-카프로락탐, N-비닐-1,3-옥사진-2-온, N-비닐-3,5-모르폴린디온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N-vinyl cyclic amides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include N-vinyl-2-pyrrolidone, N-vinyl-2-piperidone, N-vinyl-3-morpholinone, and N-vinyl-2-pyrrolidone. -2-caprolactam, N-vinyl-1,3-oxazin-2-one, N-vinyl-3,5-morpholinedione, etc. are mentioned.

상기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갖는 비닐계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모르폴린환, 피페리딘환, 피롤리딘환, 피페라진환 등의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vinyl monomer having the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e include acrylic monomer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es such as morpholine ring, piperidine ring, pyrrolidine ring, and piperazine ring.

상기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갖는 비닐계 모노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N-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N-비닐피라진, N-비닐모르폴린, N-비닐피라졸, 비닐피리딘, 비닐피리미딘, 비닐옥사졸, 비닐이소옥사졸, 비닐티아졸, 비닐이소티아졸, 비닐피리다진, (메트)아크릴로일피롤리돈, (메트)아크릴로일피롤리딘, (메트)아크릴로일피페리딘 등을 들 수 있다.The vinyl monomer having the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examples include (meth)acryloylmorpholine, N-vinylpiperazine, N-vinylpyrrole, N-vinylimidazole, N- Vinylpyrazine, N-vinylmorpholine, N-vinylpyrazole, vinylpyridine, vinylpyrimidine, vinyloxazole, vinylisoxazole, vinylthiazole, vinylisothiazole, vinylpyridazine, (meth)acryloylpyrroli Money, (meth)acryloylpyrrolidine, (meth)acryloylpiperidine, etc. are mentioned.

상기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갖는 비닐계 모노머로서는, 그 중에서도, 질소 함유 복소환을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메트)아크릴로일피롤리딘, (메트)아크릴로일피페리딘이다.As the vinyl monomer having a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e, an acrylic monomer having a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e is preferable, and more preferably (meth)acryloylmorpholine, (meth)acryloylpyrrolidine, ( It is meth)acryloylpiperidine.

상기 (메트)아크릴아미드류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아미드, N-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N-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N-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옥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N-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에는,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와 같은 아미노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아미드도 포함된다. 상기 N,N-디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t-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eth)acrylamides include (meth)acrylamide, N-alkyl (meth)acrylamide, and N,N-dialkyl (meth)acrylamide. Examples of the N-alkyl (meth)acrylamide include N-ethyl (meth)acrylamide, N-isopropyl (meth)acrylamide, N-n-butyl (meth)acrylamide, and N-octyl (meth)acrylamide. etc. can be mentioned. In addition, the N-alkyl (meth)acrylamide includes (meth)acrylamide having an amino group such as dimethylaminoethyl (meth)acrylamide, diethylaminoethyl (meth)acrylamide, and dimethylaminopropyl (meth)acrylamide. Also included. Examples of the N,N-dialkyl (meth)acrylamide include N,N-dimethyl (meth)acrylamide, N,N-diethyl (meth)acrylamide, and N,N-dipropyl (meth)acrylamide. Amide, N,N-diisopropyl(meth)acrylamide, N,N-di(n-butyl)(meth)acrylamide, N,N-di(t-butyl)(meth)acrylamide, etc. there is.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아미드류에는, 예를 들어 각종의 N-히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도 포함된다. 상기 N-히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1-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3-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N-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meth)acrylamides also include various N-hydroxyalkyl (meth)acrylamides, for example. Examples of the N-hydroxyalkyl (meth)acrylamide include N-methylol (meth)acrylamide, N-(2-hydroxyethyl)(meth)acrylamide, and N-(2-hydroxypropyl). (meth)acrylamide, N-(1-hydroxypropyl)(meth)acrylamide, N-(3-hydroxypropyl)(meth)acrylamide, N-(2-hydroxybutyl)(meth)acrylamide , N-(3-hydroxybutyl)(meth)acrylamide, N-(4-hydroxybutyl)(meth)acrylamide, N-methyl-N-2-hydroxyethyl(meth)acrylamide, etc. You can.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아미드류에는, 예를 들어 각종 N-알콕시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도 포함된다. 상기 N-알콕시알킬(메트)아크릴아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meth)acrylamides also include various N-alkoxyalkyl (meth)acrylamides, for example. Examples of the N-alkoxyalkyl (meth)acrylamide include N-methoxymethyl (meth)acrylamide, N-butoxymethyl (meth)acrylamide, and the like.

또한, 상기 환상 질소 함유 모노머, 상기 (메트)아크릴아미드류 이외의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시아노기 함유 모노머, 이미드기 함유 모노머,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산t-부틸아미노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시아노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미드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말레이미드계 모노머(예를 들어,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N-라우릴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등), 이타콘이미드계 모노머(예를 들어, N-메틸이타콘이미드, N-에틸이타콘이미드, N-부틸이타콘이미드, N-옥틸이타콘이미드, N-2-에틸헥실이타콘이미드, N-라우릴이타콘이미드, N-시클로헥실이타콘이미드 등), 숙신이미드계 모노머(예를 들어, N-(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6-옥시헥사메틸렌숙신이미드, N-(메트)아크릴로일-8-옥시옥타메틸렌숙신이미드 등) 등 들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examples of nitrogen atom-containing monomers other than the cyclic nitrogen-containing monomers and (meth)acrylamides include amino group-containing monomers, cyano group-containing monomers, imide group-containing monomers, and isocyanate group-containing monomers. Examples of the amino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aminoethyl (meth)acrylate, 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dimethylaminopropyl (meth)acrylate, and t-butylaminoethyl (meth)acrylate. Examples of the cyano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acrylonitrile and methacrylonitrile. Examples of the imide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maleimide-based monomers (e.g., N-cyclohexylmaleimide, N-isopropylmaleimide, N-laurylmaleimide, N-phenylmaleimide, etc.) and itaconimide-based monomers. Monomers (e.g., N-methylitaconimide, N-ethylitaconimide, N-butylitaconimide, N-octylitaconimide, N-2-ethylhexylitaconimide, N -lauryl itaconimide, N-cyclohexyl itaconimide, etc.), succinimide monomers (e.g., N-(meth)acryloyloxymethylene succinimide, N-(meth)acrylo 1-6-oxyhexamethylene succinimide, N-(meth)acryloyl-8-oxyoctamethylene succinimide, etc.) can be mentioned. Examples of the isocyanate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2-(meth)acryloyloxyethyl isocyanate.

그 중에서도,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로서는, 환상 질소 함유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N-비닐 환상 아미드가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N-비닐-2-피롤리돈(NVP)이 특히 바람직하다.Among them, as the nitrogen atom-containing monomer, cyclic nitrogen-containing monomer is preferable, and N-vinyl cyclic amide is more preferable. More specifically, N-vinyl-2-pyrrolidone (NVP) is particularly preferred.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가,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100중량%) 중의,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중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이다. 상기 비율이 1중량% 이상이면, 고습 환경 하에서의 백탁화의 억제와 내구성이 보다 향상되고, 높은 접착 신뢰성을 얻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의 비율의 상한은,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얻는 점, 투명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얻는 점, 점착제층의 상기의 각종 특성(특히, 전단력, 유리 전이점 등)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3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이다.When the acrylic polymer contains the nitrogen atom-containing monomer as a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mer, the proportion of the nitrogen atom-containing monomer in the total monomer components (100% by weight)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it is preferably 1%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3% by weight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5% by weight or more. When the above ratio is 1% by weight or more, suppression of clouding and durability in a high-humidity environment are further improved, and high adhesion reliability can be obtained, so it is preferable. In addition, the upper limit of the ratio of the nitrogen atom-containing monomer is determined by obtain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appropriate flexibility, obtain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excellent transparency, 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specially shear force, glass transition point, etc.). From the viewpoint of easy control to a predetermined range, 30% by weight or less is preferable, more preferably 25% by weight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20% by weight or less.

상기 분자 내에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는, 분자 내(1분자 내)에 수산기(히드록실기)를 적어도 하나 갖는 모노머이고,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의 관능기를 갖고, 또한 히드록실기를 갖는 것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단, 상기 분자 내에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에는,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는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즉,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분자 내에 질소 원자와 수산기를 모두 갖는 모노머는,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상기 「분자 내에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를 「수산기 함유 모노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산기 함유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monomer having a hydroxyl group within the molecule is a monomer having at least one hydroxyl group (hydroxyl group) within the molecule (within one molecule) and a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having an unsaturated double bond such as a (meth)acryloyl group or vinyl group. and those having a hydroxyl group are preferably mentioned. However, the monomer having a hydroxyl group in the molecule does not include the nitrogen atom-containing monomer. That is, in this specification, a monomer having both a nitrogen atom and a hydroxyl group in the molecule is included in the above-mentioned “nitrogen atom-containing monomer.” In this specification, the above-mentioned “monomer having a hydroxyl group in the molecule” may be referred to as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n addition,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6-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라우릴, (메트)아크릴산(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 등의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비닐알코올; 알릴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2-hydroxyethyl (meth)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3-hydroxypropyl (meth)acrylate, 4-hydroxybutyl (meth)acrylate, ( Hydroxyl groups such as 6-hydroxyhexyl (meth)acrylate, hydroxyoctyl (meth)acrylate, hydroxydecyl (meth)acrylate, hydroxylauryl (meth)acrylate, and (4-hydroxymethylcyclohexyl) (meth)acrylate. Contains (meth)acrylic acid ester; vinyl alcohol; Allyl alcohol, etc. can be mentioned.

그 중에서도,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HEA), 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4HBA)이다.Among them,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s preferably a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and more preferably 2-hydroxyethyl acrylate (HEA) and 4-hydroxybutyl acrylate (4HBA).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가,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100중량%) 중의,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고습 환경 하에서의 백탁화의 억제와 내구성 향상, 높은 접착 신뢰성을 얻는 점에서, 0.5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중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이다. 또한,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비율의 상한은, 점착제층의 상기의 각종 특성(특히, 전단력, 유리 전이점 등)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3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이다.When the acrylic polymer contains the hydroxyl-containing monomer as a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mer, the proportion of the hydroxyl-containing monomer in the total monomer components (100% by weight)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clouding in a high-humidity environment, improving durability, and obtaining high adhesive reliability, it is preferably 0.5%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0.8% by weight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1% by weight or more. In addition, the upper limit of the ratio of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s preferably 30%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30% by weight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easy control of the various properties (especially shear force, glass transition point, etc.)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t is preferably 25% by weight or less, and more preferably 20% by weight or less.

또한, 수산기 함유 모노머에 의한 상기 효과를 더 강화하는 목적으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에 추가하여,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아크릴계 폴리머에 추가하여 수산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해당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배합량)은, 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상이다. 상기 함유량이 5중량부 이상이면, 고습 환경 하에서의 백탁화의 억제와 내구성이 보다 향상되고, 보다 높은 접착 신뢰성을 얻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함유량(배합량)의 상한은, 응집력의 점, 접착성, 접착 신뢰성의 얻기 쉬움의 점, 점착제층의 상기의 각종 특성(특히, 전단력, 유리 전이점 등)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30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7중량부 이하이다.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further enhancing the effect of the hydroxyl-containing monomer, the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may contain a hydroxyl-containing monomer in addition to the acrylic polymer. When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s a hydroxyl-containing monomer in addition to the acrylic polymer, the content (mixing amount) of the hydroxyl-containing monomer is preferably 1 part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polymer. It is at least 5 parts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at least 5 parts by weight. When the above content is 5 parts by weight or more, suppression of clouding and durability in a high-humidity environment are further improved, and higher adhesion reliability can be obtained, so it is preferable. In addition, the upper limit of the content (mixing amount) of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s determined by predetermined values for cohesion, adhesiveness, ease of obtaining adhesive reliability, and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adhesive layer (especially shear force, glass transition point, etc.). From the viewpoint of easy control, 30 parts by weight or less is preferable, more preferably 25 parts by weight or less, further preferably 20 parts by weight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7 parts by weight or less.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100중량%) 중의, 상기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 및 상기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비율의 합계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고습 환경 하에서의 백탁화의 억제와 내구성 향상, 높은 접착 신뢰성을 얻는 점에서, 5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상이다. 또한, 상기 비율의 합계의 상한은,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얻는 점, 투명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얻는 점, 점착제층의 상기의 각종 특성(특히, 전단력, 유리 전이점 등)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5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중량% 이하이다.The total ratio of the nitrogen atom-containing monomer and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n the total monomer components (100% by weight)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can be used to suppress whitening in a high-humidity environment, improve durability, and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dhesion reliability, it is preferably 5%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10% by weight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15% by weight or more. In addition, the upper limit of the sum of the above ratios is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appropriate flexibility,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excellent transparency, and to maintain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specially shear force, glass transition point, etc.)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viewpoint of easy control, it is preferably 50%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40% by weight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35% by weight or less.

질소 원자 함유 모노머 및 수산기 함유 모노머 이외의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또한,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상기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는, (메트)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의 관능기를 갖고, 또한 지환 구조를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시클로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상기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에 포함된다. 또한,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Copolymerizable monomers other than nitrogen atom-containing monomers and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also include alicyclic structure-containing monomers. The alicyclic structure-containing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having an unsaturated double bond, such as a (meth)acryloyl group or a vinyl group, and also has an alicyclic structure. For example, alkyl (meth)acrylate having a cycloalkyl group is included in the alicyclic structure-containing monomer. In addition, the alicyclic structure-containing monomer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에 있어서의 지환 구조는, 환상의 탄화수소 구조이고, 탄소수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6 내지 24가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6 내지 15가 더욱 바람직하고, 탄소수 6 내지 10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alicyclic structure in the alicyclic structure-containing monomer is a cyclic hydrocarbon structure, preferably having 5 or more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6 to 24 carbon atoms, further preferably 6 to 15 carbon atoms, and especially preferably 6 to 10 carbon atoms. do.

상기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HPMPA,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TMA-2, 하기 식 (4)로 표시되는 HCPA 등의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또한, 하기 식 (4)에 있어서, 선으로 연결한 시클로헥실환과 괄호 내의 구조식의 결합 장소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들 중에서도,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alicyclic structure-containing monomer include cyclopropyl (meth)acrylate, cyclobutyl (meth)acrylate, cyclopentyl (meth)acrylate, cyclohexyl (meth)acrylate, cycloheptyl (meth)acrylate, Cyclooctyl (meth)acrylate, isobornyl (meth)acrylate, dicyclofentanyl (meth)acrylate, HPMPA represented by formula (2) below, TMA-2 represented by formula (3) below, formula below (meth)acrylic monomers such as HCPA represented by (4) can be mentioned.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formula (4), the bonding site between the cyclohexyl ring connected by a line and the structural formula in parenthes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mong these, cyclohexyl (meth)acrylate and isobornyl (meth)acrylate are preferable.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가,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상기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100중량%) 중의, 상기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내구성 향상, 높은 접착 신뢰성을 얻는 점에서, 1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환 구조 함유 모노머의 비율의 상한은, 적당한 유연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얻는 점, 점착제층의 상기의 각종 특성(특히, 전단력, 유리 전이점 등)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5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이다.When the acrylic polymer contains the alicyclic structure-containing monomer as a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mer, the proportion of the alicyclic structure-containing monomer in the total monomer components (100% by weight)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durability and obtaining high adhesive reliability,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0% by weight or more. In addition, the upper limit of the ratio of the alicyclic structure-containing monomer is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appropriate flexibility and from the viewpoint of making it easy to control the various properti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specially shear force, glass transition point, etc.) to a predetermined range. , 50% by weight or less is preferable, more preferably 40% by weight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30% by weight or less.

또한,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다관능성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관능성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examples of copolymerizable monomers include polyfunctional monomers. Examples of the multifunctional monomer include hexanediol di(meth)acrylate, butanediol di(meth)acrylate,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poly)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Neopentyl glycol d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d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tri(meth)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meth)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 tetramethylolmethane tri(meth)acrylate, allyl(meth)acrylate, vinyl(meth)acrylate, divinylbenzene, epoxy acrylate, polyester acrylate, urethane acrylate, etc. In addition, polyfunctional monomer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가,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100중량%) 중의,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점착제층의 상기의 각종 특성(특히, 전단력, 유리 전이점 등)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0.5중량% 이하(예를 들어, 0중량%를 초과하고 0.5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하(예를 들어, 0중량%를 초과하고 0.2중량% 이하)이다.When the acrylic polymer contains the polyfunctional monomer as a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mer, the proportion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 in the total monomer components (100% by weight)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from the viewpoint of easy control of the above-described various properties of the adhesive layer (especially shear force, glass transition point, etc.) to a predetermined range, 0.5% by weight or less (for example, exceeding 0% by weight and less than or equal to 0.5% by weight). It is preferable, and more preferably, it is 0.2% by weight or less (for example, exceeding 0% by weight and not more than 0.2% by weight).

또한, 상기 다관능성 모노머는,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에 추가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배합해도 된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아크릴계 폴리머에 추가하여 다관능성 모노머를 함유하는 경우, 해당 다관능성 모노머의 함유량(배합량)은, 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점착제층의 상기의 각종 특성(특히, 전단력, 유리 전이점 등)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0.5중량부 이하(예를 들어, 0중량부를 초과하고 0.5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부 이하(예를 들어, 0중량부를 초과하고 0.2중량부 이하)이다.Additionally, the multifunctional monomer may be blended into the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in addition to the acrylic polymer. When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s a polyfunctional monomer in addition to the acrylic polymer, the content (mixing amount)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 is determined by the above-described various propertie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particular, shear force and gla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polymer. From the viewpoint of easy control of the transition point, etc.)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amount is preferably 0.5 parts by weight or less (e.g., more than 0 part by weight and less than or equal to 0.5 parts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0.2 parts by weight or less (e.g., , exceeding 0 parts by weight and less than or equal to 0.2 parts by weight).

또한,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에스테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2-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3-메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3-에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4-메톡시부틸, (메트)아크릴산4-에톡시부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는, 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2-메톡시에틸(MEA)이다.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examples of the copolymerizable monomer include (meth)acrylic acid alkoxyalkyl ester. The (meth)acrylic acid alkoxyalkyl est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examples include 2-methoxyethyl (meth)acrylate, 2-ethoxyethyl (meth)acrylate, methoxytriethylene glycol (meth)acrylate, ( Examples include 3-methoxypropyl (meth)acrylic acid, 3-ethoxypropyl (meth)acrylic acid, 4-methoxybutyl (meth)acrylic acid, and 4-ethoxybutyl (meth)acrylic acid. Among them, the (meth)acrylic acid alkoxyalkyl ester is preferably acrylic acid alkoxyalkyl ester, and more preferably 2-methoxyethyl acrylate (MEA).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meth)acrylic acid alkoxyalkyl ester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가,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상기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상기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전자:후자](중량비)로, 100:0을 초과하고 25:75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을 초과하고 50:50 이하이다.When the acrylic polymer contains the (meth)acrylic acid alkoxyalkyl ester as a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mer, the ratio of the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to the (meth)acrylic acid alkoxyalkyl est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the [former:latter] (weight ratio) is preferably greater than 100:0 and 25:75 or less, and more preferably greater than 100:0 and 50:50 or less.

그 밖에도,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인산기 함유 모노머,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비닐에스테르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올레핀류 또는 디엔류, 비닐에테르류, 염화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에는, 예를 들어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 무수물기 함유 모노머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 (메트)아크릴산메틸글리시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비닐술폰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인산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페닐, (메트)아크릴산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산벤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닐에스테르류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올레핀류 또는 디엔류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이소프렌, 이소부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닐에테르류로서는, 예를 들어 비닐알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copolymerizable monomers include, for exampl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epoxy group-containing monomers, sulfon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s, phosphor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s, (meth)acrylic acid esters having an aromatic hydrocarbon group, vinyl esters, aromatic vinyl compounds, olefins, or Dienes, vinyl ethers, vinyl chloride, etc. can be mentioned. Examples of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meth)acrylic acid, itacon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crotonic acid, and isocrotonic acid, and examples of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maleic anhydride and anhydride. Monomers containing acid anhydride groups such as itaconic acid are also included. Examples of the epoxy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glycidyl (meth)acrylate, methyl glycidyl (meth)acrylat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sulfon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sodium vinyl sulfonate. Examples of the phosphor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2-hydroxyethyl acryloyl phosphate. Examples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having the aromatic hydrocarbon group include phenyl (meth)acrylate, phenoxyethyl (meth)acrylate, and benzyl (meth)acrylate. Examples of the vinyl esters include vinyl acetate and vinyl propionate. Examples of the aromatic vinyl compound include styrene, vinyl toluen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olefins or dienes include ethylene, propylene, butadiene, isoprene, and isobutylene. Examples of the vinyl ethers include vinyl alkyl ethers.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는, 우수한 내부식성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을 얻는 점에서,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으로서 산성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는 또는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는 또는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성기 함유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인산기 함유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100중량%) 중의, 산성기 함유 모노머의 비율이, 0.05중량% 이하(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하)인 것은,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n acrylic adhesive layer with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the acrylic polymer preferably does not contain or substantially does not contain an acidic group-containing monomer as a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polymer, and in particular does not contain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t is preferable that it does not contain or substantially does not contain it. Examples of acidic group-containing monomers includ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sulfon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s, and phosphor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s. Specifically, the proportion of acidic group-containing monomers in the total monomer components (100% by weight)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is 0.05%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0.01% by weight or less). You can.

본 발명의 점착제층 중의 베이스 폴리머(특히 아크릴계 폴리머)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총 중량 100중량%에 대하여, 50중량% 이상(예를 들어, 50 내지 100중량%)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예를 들어, 80 내지 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예를 들어, 90 내지 100중량%)이다.The content of the base polymer (especially acrylic polymer) in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50% by weight or more (for example, 50 to 100% by weight) based on 100%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 is preferable, more preferably 80% by weight or more (for example, 80 to 100% by weight), and even more preferably 90% by weight or more (for example, 90 to 100% by weight).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00000 내지 5000000이고, 바람직하게는 500000 내지 4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750000 내지 3000000이다.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 이상이라고 하는 구성은, 점착력이 향상되고, 내발포 박리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5000000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점착력을 높게 하기 쉽고, 내발포 박리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acrylic polymer is 100,000 to 5,000,000, preferably 500,000 to 4,000,000, and more preferably 750,000 to 3,000,000.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polymer is 100,000 or more is preferable because the adhesive strength is improved and the foaming and peeling resistance is improved. On the other hand,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polymer is 5,000,000 or less is preferable because it is easy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and improves foaming and peeling resistance.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GPC법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하여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의 고속 GPC 장치 「HPLC-8120GPC」를 사용하여, 하기의 조건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acrylic polymer can be calculated in terms of polystyrene by GPC method. For example, it can be measur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using a high-speed GPC device "HPLC-8120GPC"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칼럼: TSKgel SuperHZM-H/HZ4000/HZ3000/HZ2000Column: TSKgel SuperHZM-H/HZ4000/HZ3000/HZ2000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Solvent: Tetrahydrofuran

유속: 0.6ml/분Flow rate: 0.6ml/min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70 내지 -1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20℃이다. 아크릴계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를 -70℃ 이상이면, 응집력이 향상되고, 내발포 박리성이 향상되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가 -10℃ 이하라고 하는 구성은, 저온 환경 하에서도 상기 점착제층의 응력 완화성이 유지되어,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상기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고, 피착체와의 밀착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acrylic 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70 to -10°C, more preferably -65 to -15°C, and even more preferably -60 to -20°C. . It is preferable tha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crylic polymer is -70°C or higher because the cohesion is improved and the foaming and peeling resistance is easily improved.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crylic polymer is -10°C or lower maintains the stress relaxation property of the adhesive layer even in a low temperature environment, and prevents shrinkage or expansion under the use environ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preferable because the adhesive layer follows sufficiently, can suppress lifting and peeling, and can sufficiently secure adhesion to the adherend.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하기 FOX의 식으로 표시되는 유리 전이 온도(이론값)이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acrylic polymer i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eoretical value)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X formula.

1/Tg=W1/Tg1+W2/Tg2+…+Wn/Tgn 1/Tg=W 1 /Tg 1 +W 2 /Tg 2 +… + Wn / Tgn

상기 식 중, Tg는 아크릴계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단위: K), Tgi는 모노머 i가 호모 폴리머를 형성한 때의 유리 전이 온도(단위: K), Wi는 모노머 i의 모노머 성분 전량 중의 중량 분율을 나타낸다(i=1, 2, ····n).In the above formula, Tg i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crylic polymer (unit: K), Tg i i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when monomer i forms a homopolymer (unit: K), and W i is the total amount of monomer components of monomer i. Indicates the weight fraction (i=1, 2, ····n).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호모 폴리머 Tg로서는, 하기의 값을 채용할 수 있다.As the homopolymer Tg of the monomer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the following value can be adopted.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0℃2-Ethylhexyl acrylate -70℃

n-헥실아크릴레이트 -65℃n-hexyl acrylate -65℃

n-옥틸아크릴레이트 -65℃n-octylacrylate -65℃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60℃Isononyl acrylate -60℃

n-노닐아크릴레이트 -58℃n-nonyl acrylate -58℃

n-부틸아크릴레이트 -55℃n-butylacrylate -55℃

에틸아크릴레이트 -20℃Ethyl acrylate -20℃

라우릴아크릴레이트 0℃Lauryl acrylate 0℃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10℃2-Ethylhexyl methacrylate -10℃

메틸아크릴레이트 8℃Methyl acrylate 8℃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20℃n-butyl methacrylate 20℃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5℃Methyl methacrylate 105℃

아크릴산 106℃Acrylic acid 106℃

메타크릴산 228℃Methacrylic acid 228℃

아세트산비닐 32℃Vinyl acetate 32℃

스티렌 100℃Styrene 100℃

또한, 상기에 기재가 없는 모노머의 호모 폴리머 Tg로서는, 「Polymer Handbook」(제3판, John Wiley & Sons, Inc, 1989년)에 기재된 수치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헌에도 기재되어 있지 않은 모노머의 호모 폴리머 Tg로서는, 상술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점탄성 시험에 의한 tanδ의 피크 톱 온도)을 채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as the homopolymer Tg of monomers not described above, the values described in “Polymer Handbook” (3r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1989) can be adopted. In addition, as the homopolymer Tg of a monomer that is not described in the above literature, the value obtained by the measurement method described above (peak top temperature of tan δ by viscoelasticity test) can be adopted.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함유하는,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등의 베이스 폴리머는, 모노머 성분을 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중합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방법, 유화 중합 방법, 괴상 중합 방법,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중합 방법(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점착제층의 투명성, 비용 등의 점에서, 용액 중합 방법, 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이 바람직하고, 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Base polymers such as the acrylic polymers contained in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btained by polymerizing monomer components. This polymerization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cludes, for example, a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an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a bulk polymerization method, and a polymerization method by irradiating active energy rays (active energy ray polymerization method). Among them, from the viewpoint of transparency of the adhesive layer, cost, etc., the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and the active energy ray polymerization method are preferable, and the active energy ray polymerization method is more preferable.

또한, 상기의 모노머 성분의 중합 시에는, 각종의 일반적인 용제가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톨루엔, 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헥산, n-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의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polymerizing the above monomer component, various general solvents may be used. 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esters such as ethyl acetate and n-butyl acetate;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toluene and benzene; Aliphatic hydrocarbons such as n-hexane and n-heptane; Alicyclic hydrocarbons such as cyclohexane and methylcyclohexane; Organic solvents such as ketones such as methyl ethyl ketone and methyl isobutyl ketone can be mentioned. In addition, solvent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의 모노머 성분의 중합 시에는, 중합 반응의 종류에 따라,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광 개시제) 등의 중합 개시제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When polymerizing the above monomer component, a polymerization initiator such as a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or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photoinitiator)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type of polymerization reaction. In addition,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 열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아조계 중합 개시제,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디벤조일퍼옥시드, tert-부틸퍼말레에이트 등), 산화 환원계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일본 특허 공개 제2002-69411호 공보에 개시된 아조계 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아조계 중합 개시제로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이하, 「AIBN」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이하, 「AMBN」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산)디메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열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cludes, for example, an azo-based polymerization initiator, peroxide-based polymerization initiator (e.g., dibenzoyl peroxide, tert-butyl permaleate, etc.), redox-based polymerization initiator, etc. I can hear it. Among them, the azo-based polymerization initiator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69411 is preferable. Examples of the azo 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2,2'-azobisisobutyronitrile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AIBN"), 2,2'-azobis-2-methylbutyronitri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MBN") 」), 2,2'-azobis(2-methylpropionic acid)dimethyl, 4,4'-azobis-4-cyanovaleric acid, etc. Additionally, the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합 시에 상기 아조계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아조계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이상이고, 또한, 0.5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중량부 이하이다.When using the azo-based polymerization initiator when polymerizing the acrylic polymer, the amount of the azo-based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all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It is preferably 0.05 parts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0.1 parts by weight or more, and also preferably 0.5 parts by weight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3 parts by weight or less.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광 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티타노센계 광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 상기 벤조인에테르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아니솔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세토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4-페녹시디클로로아세토페논, 4-(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α-케톨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메틸-2-히드록시프로피오페논, 1-[4-(2-히드록시에틸)페닐]-2-메틸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나프탈렌술포닐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 활성 옥심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1-페닐-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인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질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벤조일벤조산,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폴리비닐벤조페논, α-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케탈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질디메틸케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티오크산톤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도데실티오크산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티타노센계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비스(η5-2,4-시클로펜타디엔-1-일)-비스(2,6-디플루오로-3-(1H-피롤-1-일)-페닐)티타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examples include benzoin ether-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cetophen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α-ketol-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romatic sulfonyl chlorid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photoactive oxim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benzoate. A phosphorus-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 benzyl-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 benzophen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 ketal-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thioxanth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 addition, acylphosphine oxid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and titanoce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can be mentioned. Examples of the benzoin ether-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enzoin methyl ether, benzoin ethyl ether, benzoin propyl ether, benzoin isopropyl ether, benzoin isobutyl ether, 2,2-dimethoxy-1,2- Diphenylethan-1-one, anisole methyl ether, etc. are mentioned. Examples of the acetophen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2,2-diethoxyacetophenone, 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1-hydroxycyclohexylphenyl ketone, 4-phenoxydichloroacetophenone, 4-(t-butyl)dichloroacetophenone, etc. can be mentioned. Examples of the α-ketol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2-methyl-2-hydroxypropiophenone, 1-[4-(2-hydroxyethyl)phenyl]-2-methylpropan-1-one, etc. You can. Examples of the aromatic sulfonyl chlorid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2-naphthalenesulfonyl chloride. Examples of the photoactive oxim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1-phenyl-1,1-propanedione-2-(O-ethoxycarbonyl)-oxime. Examples of the benzoin-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enzoin. Examples of the benzyl-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enzyl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benzophen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enzophenone, benzoylbenzoic acid, 3,3'-dimethyl-4-methoxybenzophenone, polyvinylbenzophenone, and α-hydroxycyclohexylphenyl ketone. Examples of the ketal-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enzyldimethyl ketal. Examples of the thioxantho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thioxanthone, 2-chlorothioxanthone, 2-methylthioxanthone, 2,4-dimethylthioxanthone, isopropylthioxanthone, and 2,4-dioxanthone. Isopropyl thioxanthone, dodecyl thioxanthone, etc. can be mentioned. Examples of the acylphosphine oxid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bis(2,4,6-trimethylbenzoyl)-phenylphosphine oxide, etc. . Examples of the titanocene-based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is(η 5 -2,4-cyclopentadien-1-yl)-bis(2,6-difluoro-3-(1H-pyrrol-1-yl)- Phenyl) titanium, etc. may be mentioned. In addition,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합 시에 상기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이상이고, 또한, 3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하이다.When using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when polymerizing the acrylic polymer, the amount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for example, 0.01 parts by weight or mor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ll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crylic polymer. It is preferable, more preferably 0.1 part by weight or more, further preferably 3 parts by weight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5 parts by weight or less.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와 함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0인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함유하고 있으면,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의 계면에 있어서의 피착체에 대한 접착성이 향상되므로, 강접착성을 얻기 쉬워지고, 또한 우수한 내발포 박리성을 얻기 쉬워진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0인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단순히 「아크릴계 올리고머」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The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preferably contains an acrylic oligo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 to 30,000 together with the acrylic polymer. Containing an acrylic oligomer improves the adhesion to the adherend at the interface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king it easy to obtain strong adhesion and excellent anti-foaming peeling properties.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crylic oligomers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 to 30,000” may simply be referred to as “acrylic oligomers.”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로서는, 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필수적인 모노머 성분으로서 구성된 아크릴계 폴리머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필수적인 모노머 성분으로서 구성된 아크릴계 폴리머를 보다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즉,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로서는, 모노머 단위로서 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모노머 단위로서 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보다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The acrylic oligomer preferably includes an acrylic polymer composed of (meth)acrylic acid ester having a cyclic structure in the molecule as an essential monomer component, and (meth)acrylic acid ester having a cyclic structure in the molecule and a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 group. A more preferable example is an acrylic polymer composed of an alkyl (meth)acrylate ester as an essential monomer component. That is, the acrylic oligomer preferably includes an acrylic polymer 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having a cyclic structure in the molecule as a monomer unit, and (meth)acrylic acid ester having a cyclic structure in the molecule as a monomer unit and a straight-chain or A more preferable example is an acrylic polymer containing an alkyl (meth)acrylate ester having a branched alkyl group.

상기 분자 내(1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이하,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환상 구조(환)는, 방향족성 환, 비방향족성 환의 어느 것이어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방향족성 환으로서는, 예를 들어 방향족성 탄소환[예를 들어, 벤젠환 등의 단환 탄소환이나, 나프탈렌환 등의 축합 탄소환 등], 각종 방향족성 복소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방향족성 환으로서는, 예를 들어 비방향족성 지방족 환(비방향족성 지환식 환)[예를 들어, 시클로펜탄환, 시클로헥산환, 시클로헵탄환, 시클로옥탄환 등의 시클로알칸환; 시클로헥센환 등의 시클로알켄환 등], 비방향족성 가교환[예를 들어, 피난, 피넨, 보르난, 노르보르난, 노르보르넨 등에 있어서의 2환식 탄화수소환; 아다만탄 등에 있어서의 3환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환(가교식 탄화수소환) 등], 비방향족성 복소환[예를 들어, 에폭시환, 옥솔란환, 옥세탄환 등] 등을 들 수 있다.The cyclic structure (ring) of the (meth)acrylic acid ester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ring-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having a cyclic structure within the molecule (within 1 molecule) is an aromatic ring or a non-aromatic ring. It may be of any gender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Examples of the aromatic ring include aromatic carbocycles (for example, monocyclic carbocycles such as benzene rings, condensed carbocycles such as naphthalene rings, etc.), and various aromatic heterocycles. Examples of the non-aromatic ring include non-aromatic aliphatic rings (non-aromatic alicyclic rings) [for example, cycloalkane rings such as cyclopentane ring, cyclohexane ring, cycloheptane ring, and cyclooctane ring; cycloalkene rings such as cyclohexene rings, etc.], non-aromatic cross-linked rings [e.g., bicyclic hydrocarbon rings such as pinane, pinene, bornane, norbornane, norbornene, etc.; aliphatic hydrocarbon rings (cross-linked hydrocarbon rings) of three or more rings in adamantane, etc.], non-aromatic heterocycles (for example, epoxy rings, oxolane rings, oxetane rings, etc.), etc.

상기 3환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환(3환 이상의 가교식 탄화수소환)으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5a)로 표시되는 디시클로펜타닐기, 하기 식 (5b)로 표시되는 디시클로펜테닐기, 하기 식 (5c)로 표시되는 아다만틸기, 하기 식 (5d)로 표시되는 트리시클로펜타닐기, 하기 식 (5e)로 표시되는 트리시클로펜테닐기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liphatic hydrocarbon ring having three or more rings (crosslinked hydrocarbon ring having three or more rings) include, for example, a dicyclopentanyl group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5a), a dicyclopentenyl group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5b), and the following formula ( Examples include an adamantyl group represented by 5c), a tricyclopentanyl group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5d), and a tricyclopentenyl group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5e).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5

즉, 상기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시클로펜틸,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헵틸, (메트)아크릴산시클로옥틸 등의 (메트)아크릴산시클로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이소보르닐 등의 2환식의 지방족 탄화수소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1-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틸-2-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2-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3환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페닐 등의 (메트)아크릴산아릴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페녹시에틸 등의 (메트)아크릴산아릴옥시알킬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벤질 등의 (메트)아크릴산아릴알킬에스테르 등의 방향족성 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특히 비방향족성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시클로헥실(CHA),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CHMA), 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DCPA),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DCPMA)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DCPA),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DCPMA)이다. 또한,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That is, examples of the ring-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include cycloalkyl (meth)acrylate such as cyclopentyl (meth)acrylate, cyclohexyl (meth)acrylate, cycloheptyl (meth)acrylate, and cyclooctyl (meth)acrylate. ester; (meth)acrylic acid esters having a bicyclic aliphatic hydrocarbon ring such as isobornyl (meth)acrylate; Dicyclofentanyl (meth)acrylate, dicyclopentanyloxyethyl (meth)acrylate, tricyclofentanyl (meth)acrylate, 1-adamantyl (meth)acrylate, 2-methyl-2-adamantyl ( (meth)acrylic acid esters having three or more aliphatic hydrocarbon rings, such as meth)acrylate and 2-ethyl-2-adamantyl (meth)acrylate; Aromatics such as (meth)acrylic acid aryl esters such as phenyl (meth)acrylate, (meth)acrylic acid aryloxyalkyl esters such as phenoxyethyl (meth)acrylate, and (meth)acrylic acid arylalkyl esters such as benzyl (meth)acrylate. and (meth)acrylic acid ester having a ring. Among them, as the ring-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non-aromatic ring-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is particularly preferable, and more preferably cyclohexyl acrylate (CHA), cyclohexyl methacrylate (CHMA), and acrylic acid disi. Clofentanyl (DCPA) and dicyclofentanyl methacrylate (DCPMA), and more preferably dicyclofentanyl acrylate (DCPA) and dicyclofentanyl methacrylate (DCPMA). In addition, ring-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may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 비방향족성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중에서도, 3환 이상의 지방족 탄화수소환(특히, 3환 이상의 가교식 탄화수소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사용한 경우, 특히 중합 저해를 일으키기 어려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불포화 결합을 갖지 않는 상기 식 (5a)로 표시되는 디시클로펜타닐기, 상기 식 (5c)로 표시되는 아다만틸기, 상기 식 (5d)로 표시되는 트리시클로펜타닐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사용한 경우에는, 내발포 박리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또한,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저극성의 피착체에 대한 접착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Among the non-aromatic ring-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s, the use of (meth)acrylic acid ester having an aliphatic hydrocarbon ring of three or more rings (especially a bridged hydrocarbon ring of three or more rings) is particularly preferable because it is less likely to cause polymerization inhibition. do. In addition, (meth)acrylic acid ester having a dicyclofentanyl group represented by the formula (5a), an adamantyl group represented by the formula (5c), and a tricyclofentanyl group represented by the formula (5d) without an unsaturated bond. When used, foaming and peeling resistance can be further improved, and adhesion to low-polar adherends such as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에 있어서의 상기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함유량(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9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중량부이다. 상기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함유량이 10중량부 이상이면, 내발포 박리성이 향상되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또한, 함유량이 90중량부 이하이면, 점착제층이 적당한 유연성을 갖고, 점착력이나 단차 흡수성 등이 향상되기 쉬워져, 바람직하다.The content (ratio) of the ring-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in the total monomer units of the acrylic oligomer (the total amount of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crylic olig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total amount of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crylic oligomer (100 Parts by weight), 10 to 90 parts by weight is preferable, and more preferably 20 to 80 parts by weight. If the content of the ring-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is 10 parts by weight or more, the foaming and peeling resistance is likely to improve, so it is preferable. In addition, if the content is 90 parts by weight or less, the adhesive layer has appropriate flexibility, and adhesive strength, step absorption, etc. are likely to be improved, so it is preferable.

또한,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모노머 단위로서의 상기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프로필, (메트)아크릴산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이소부틸, (메트)아크릴산s-부틸, (메트)아크릴산t-부틸, (메트)아크릴산펜틸, (메트)아크릴산이소펜틸, (메트)아크릴산헥실, (메트)아크릴산헵틸, (메트)아크릴산옥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노닐, (메트)아크릴산이소노닐, (메트)아크릴산데실, (메트)아크릴산이소데실, (메트)아크릴산운데실, (메트)아크릴산도데실, (메트)아크릴산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헥사데실, (메트)아크릴산헵타데실, (메트)아크릴산옥타데실, (메트)아크릴산노나데실, (메트)아크릴산에이코실 등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20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폴리머와의 상용성이 양호해지는 점에서, 메타크릴산메틸(MMA)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In addition, as the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having the above-mentioned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as a monomer unit of the acrylic oligomer, for exampl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propyl (meth)acrylate, and (meth)acrylic acid. Isopropyl,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s-butyl (meth)acrylate, t-butyl (meth)acrylate, pentyl (meth)acrylate, isopentyl (meth)acrylate, hexyl (meth)acrylate , heptyl (meth)acrylate, oct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isooctyl (meth)acrylate, nonyl (meth)acrylate, isononyl (meth)acrylate, decyl (meth)acrylate, ( Isodecyl (meth)acrylate, undecyl (meth)acrylate, dodecyl (meth)acrylate, tridecyl (meth)acrylate, tetradecyl (meth)acrylate, pentadecyl (meth)acrylate, hexadecyl (meth)acrylate, (meth)acrylate ) (meth)acrylic acid alkyl esters where the alkyl group has 1 to 20 carbon atoms, such as heptadecyl acrylate, octadecyl (meth)acrylate, nonadecyl (meth)acrylate, and eicosyl (meth)acrylate. Among them, methyl methacrylate (MMA) is preferable because it has good compatibility with acrylic polymers.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meth)acrylic acid alkyl esters may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에 있어서의 상기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내발포 박리성의 점에서,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9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중량부이다. 함유량이 10중량부 이상이면, 특히, 아크릴 수지나 폴리카르보네이트제의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이 향상되기 쉬워져, 바람직하다.The content (ratio) of the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having the above-mentioned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 group in the total monomer units of the acrylic oligomer (the total amount of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crylic olig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aming-resistant peeling In terms of performance, the amount is preferably 10 to 9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0 to 80 parts by weight, and even more preferably 20 to 6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component constituting the acrylic oligomer. When the content is 10 parts by weight or more, the adhesion to the adherend made of acrylic resin or polycarbonate is likely to be improved, and is therefore preferable.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모노머 단위로서는, 상기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이외에도, 이들의 모노머와 공중합이 가능한 모노머(공중합성 모노머)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에 있어서의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의 함유량(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부)에 대하여, 49.9중량부 이하(예를 들어, 0 내지 49.9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하이다. 또한, 공중합성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The monomer unit of the acrylic oligomer may include,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ring-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and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having a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 group, a monomer (copolymerizable monomer) that can be copolymerized with these monomers. . In addition, the content (ratio) of the above-mentioned copolymerizable monomer in the total monomer units of the acrylic oligomer (the total amount of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crylic olig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total amount of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crylic oligomer (100 parts by weight) ), it is preferably 49.9 parts by weight or less (for example, 0 to 49.9 parts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30 parts by weight or less. In addition, the copolymerizable monomer may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모노머 단위로서의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상기 공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알콕시알킬에스테르[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메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2-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산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 (메트)아크릴산3-메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3-에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4-메톡시부틸, (메트)아크릴산4-에톡시부틸 등]; 히드록실기(수산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6-히드록시헥실 등의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 비닐알코올, 알릴알코올 등];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산t-부틸아미노에틸 등]; 시아노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비닐술폰산나트륨 등]; 인산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모노머[예를 들어,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등], 이미드기 함유 모노머[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등]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opolymerizable monomer (the copolymerizable monomer constituting the acrylic oligomer) as a monomer unit of the acrylic oligomer include (meth)acrylic acid alkoxyalkyl ester [e.g., (meth)acrylic acid 2-methoxyethyl, (meth)acrylic acid. ) 2-ethoxyethyl acrylate, (meth)acrylic acid methoxytriethylene glycol, (meth)acrylic acid 3-methoxypropyl, (meth)acrylic acid 3-ethoxypropyl, (meth)acrylic acid 4-methoxybutyl, (meth)acrylic acid ) 4-ethoxybutyl acrylic acid, etc.]; Hydroxyl group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s [e.g., 2-hydroxyethyl (meth)acrylic acid, 2-hydroxypropyl (meth)acrylic acid, 2-hydroxybutyl (meth)acrylic acid, 3-hydroxy (meth)acrylic acid hydroxyalkyl (meth)acrylates such as oxypropyl, 4-hydroxybutyl (meth)acrylate, 6-hydroxyhexyl (meth)acrylate, vinyl alcohol, allyl alcohol, etc.]; Amide group-containing monomers [e.g., (meth)acrylamide, N,N-dimethyl (meth)acrylamide, N-methylol (meth)acrylamide, N-methoxymethyl (meth)acrylamide, N-part Toxymethyl (meth)acrylamide, N-hydroxyethyl (meth)acrylamide, etc.]; Amino group-containing monomers [for example, aminoethyl (meth)acrylate, 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t-butylaminoethyl (meth)acrylate, etc.]; cyano group-containing monomers [eg,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etc.]; Monomers containing sulfonic acid groups (for example, sodium vinylsulfonate, etc.); phosphor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s [for example, 2-hydroxyethyl acryloyl phosphate, etc.]; Isocyanate group-containing monomers (for example, 2-methacryloyloxyethyl isocyanate, etc.), imide group-containing monomers (cyclohexyl maleimide, isopropyl maleimide, etc.), etc. can be mentioned.

상기한 바와 같이,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모노머 단위로서 분자 내에 환상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모노머 단위로서,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상기의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모노머 단위로서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및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에 있어서,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부)에 대한 환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0 내지 9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중량부이다. 또한, 직쇄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10 내지 9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중량부이다.As described above, the acrylic oligomer is preferably an acrylic polymer containing, as monomer units, (meth)acrylic acid ester having a cyclic structure in the molecule and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having a straight or branched alkyl group. Among them, an acrylic polymer containing a ring-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and an alkyl (meth)acrylic acid ester having a linear or branched alkyl group a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e as the monomer unit. In the acrylic polymer containing ring-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and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having a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 group as the above monomer units, the total amount of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crylic oligomer (100 parts by weight) The amount of ring-containing (meth)acrylic acid est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0 to 9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0 to 80 parts by weight. 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meth)acrylic acid alkyl ester having a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 grou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0 to 9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0 to 80 parts by weight, and even more preferably 20 to 20 parts by weight. It is 60 parts by weight.

또한,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적 구성으로서는, 모노머 단위로서 (1) 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아크릴산시클로헥실 및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모노머, 그리고 (2) 메타크릴산메틸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상기의 특히 바람직한 구체적 구성의 아크릴계 올리고머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전체 모노머 단위 중의, (1) 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아크릴산시클로헥실 및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의 함유량(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들의 합계량)은,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100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70중량부, (2) 메타크릴산메틸의 함유량은 30 내지 7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상기 구체적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s a particularly preferable specific composition of the acrylic oligomer, as a monomer unit, (1)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cyclopentanyl acrylate, dicyclopentanyl methacrylate, cyclohexyl acrylate, and cyclohexyl methacrylate, and ( 2) An acrylic polymer containing methyl methacrylate can be mentioned. In the acrylic oligomer having the above-mentioned particularly preferred specific structure, the content of (1) dicyclopentanyl acrylate, dicyclopentanyl methacrylate, cyclohexyl acrylate, and cyclohexyl methacrylate (two or more types) in all monomer units of the acrylic oligomer (if included, the total amount thereof) is preferably 30 to 70 parts by weight, (2) the content of methyl methacrylate is preferably 30 to 7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100 parts by weight) of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crylic oligomer. do. However, the acrylic oligomer is not limited to the above specific structure.

아크릴계 올리고머는, 상기 모노머 성분을 공지 내지 관용의 중합 방법에 의해 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액 중합 방법, 유화 중합 방법, 괴상 중합 방법,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중합 방법(활성 에너지선 중합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괴상 중합 방법, 용액 중합 방법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용액 중합 방법이다.The acrylic oligomer can be obtained by polymerizing the above monomer component using a known or common polymerization method. Examples of the polymerization method of the acrylic oligomer include a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an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a bulk polymerization method, and a polymerization method using active energy ray irradiation (active energy ray polymerization method). Among them, the bulk polymerization method and the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are preferable, and the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is more preferable.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합 시에는, 각종의 일반적인 용제가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톨루엔, 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헥산, n-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의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When polymerizing an acrylic oligomer, various general solvents may be used. 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esters such as ethyl acetate and n-butyl acetate;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toluene and benzene; Aliphatic hydrocarbons such as n-hexane and n-heptane; Alicyclic hydrocarbons such as cyclohexane and methylcyclohexane; Organic solvents such as ketones such as methyl ethyl ketone and methyl isobutyl ketone can be mentioned. In addition, these solvents may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또한,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합 시에는, 공지 내지 관용의 중합 개시제(예를 들어,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 등)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In addition, when polymerizing an acrylic oligomer, a known or customary polymerization initiator (for example, a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etc.) may be used. In addition,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열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AMBN),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산)디메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4-트리메틸펜탄) 등의 아조계 개시제; 벤조일퍼옥사이드, t-부틸히드로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디쿠밀퍼옥사이드,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도데칸 등의 과산화물계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용액 중합을 행하는 경우에는, 유용성의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As a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for example, 2,2'-azobisisobutyronitrile (AIBN), 2,2'-azobis-2-methylbutyronitrile (AMBN), 2,2'-azobis(2 -methylpropionic acid) dimethyl, 4,4'-azobis-4-cyanovaleric acid, 2,2'-azobis(4-methoxy-2,4-dimethylvaleronitrile), 2,2'-azo Azo-based products such as bis(2,4-dimethylvaleronitrile), 1,1'-azobis(cyclohexane-1-carbonitrile), and 2,2'-azobis(2,4,4-trimethylpentane) initiator; Benzoyl peroxide, t-butyl hydroperoxide, di-t-butyl peroxide, t-butyl peroxybenzoate, dicumyl peroxide, 1,1-bis(t-butyl peroxy)-3,3,5- and peroxide-based initiators such as trimethylcyclohexane and 1,1-bis(t-butylperoxy)cyclododecane. Additionally, when performing solution polymeriza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n oil-soluble polymerization initiator. In addition, the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 열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부이다.The amount of the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for example, 0.1 to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 units of the acrylic oligomer (the total amount of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crylic oligomer).

또한,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에서 예를 든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합 시에 사용되는 광중합 개시제와 동일한 광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적절히 선택된다.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examples include the sam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s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in the polymerization of the acrylic polymer mentioned above. The amount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selected appropriately.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합 시에는, 분자량을 조정하기 위해서(구체적으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을 1000 내지 30000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연쇄 이동제가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연쇄 이동제로서는, 예를 들어 2-머캅토에탄올, α-티오글리세롤, 2,3-디머캅토-1-프로판올, 옥틸머캅탄, t-노닐머캅탄, 도데실머캅탄(라우릴머캅탄), t-도데실머캅탄, 글리시딜머캅탄, 티오글리콜산, 티오글리콜산메틸, 티오글리콜산에틸, 티오글리콜산프로필, 티오글리콜산부틸, 티오글리콜산t-부틸, 티오글리콜산2-에틸헥실, 티오글리콜산옥틸, 티오글리콜산이소옥틸, 티오글리콜산데실, 티오글리콜산도데실, 에틸렌글리콜의 티오글리콜산에스테르, 네오펜틸글리콜의 티오글리콜산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의 티오글리콜산에스테르, α-메틸스티렌 다이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습에 의한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백화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α-티오글리세롤, 티오글리콜산메틸이 바람직하고, α-티오글리세롤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연쇄 이동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When polymerizing the acrylic oligomer, a chain transfer agent may be used to adjust the molecular weight (specifically, to adjust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to 1,000 to 30,000). Examples of the chain transfer agent include 2-mercaptoethanol, α-thioglycerol, 2,3-dimercapto-1-propanol, octyl mercaptan, t-nonyl mercaptan, dodecyl mercaptan (lauryl mercaptan), t-dodecyl mercaptan, glycidyl mercaptan, thioglycolic acid, methyl thioglycolic acid, ethyl thioglycolic acid, propyl thioglycolic acid, butyl thioglycolic acid, t-butyl thioglycolic acid, 2-ethylhexyl thioglycolic acid, Octyl thioglycolic acid, isooctyl thioglycolic acid, decyl thioglycolic acid, dodecyl thioglycolic acid, thioglycolic acid ester of ethylene glycol, thioglycolic acid ester of neopentyl glycol, thioglycolic acid ester of pentaerythritol, α-methyl Styrene dimer, etc. can be mentioned. Among them,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whitening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humidification, α-thioglycerol and methyl thioglycolate are preferable, and α-thioglycerol is particularly preferable. In addition, chain transfer agents may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 연쇄 이동제의 함유량(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전체 모노머 단위(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 전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5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중량부이다. 연쇄 이동제의 함유량(사용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30000으로 제어된 아크릴계 폴리머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The content (amount used) of the chain transfer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0.1 to 2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1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ll monomer units of the acrylic oligomer (total amount of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crylic oligomer). 0.2 to 1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3 to 10 parts by weight. By keeping the content (amount used) of the chain transfer agent within the above range, an acrylic polymer with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controlled to 1,000 to 30,000 can be easily obtained.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000 내지 30000이고,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1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8000이다.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이상이므로, 점착력이나 보유 지지 특성이 향상되고, 내발포 박리성이 향상된다. 한편,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0000 이하이므로, 점착력을 높게 하기 쉽고, 내발포 박리성이 향상된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acrylic oligomer is 1000 to 30000, preferably 1000 to 20000, more preferably 1500 to 10000, and even more preferably 2000 to 8000. Sinc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oligomer is 1000 or more, the adhesive force and holding properties are improved, and the foaming and peeling resistance is improv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oligomer is 30,000 or less, it is easy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and improve the foaming and peeling resistance.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GPC법에 의해 폴리스티렌 환산하여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소 가부시키가이샤제의 고속 GPC 장치 「HPLC-8120GPC」를 사용하여, 하기의 조건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acrylic oligomer can be calculated in terms of polystyrene by GPC method. For example, it can be measur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using a high-speed GPC device "HPLC-8120GPC"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칼럼: TSKgel SuperHZM-H/HZ4000/HZ3000/HZ2000Column: TSKgel SuperHZM-H/HZ4000/HZ3000/HZ2000

용매: 테트라히드로푸란Solvent: Tetrahydrofuran

유속: 0.6ml/분Flow rate: 0.6ml/min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20 내지 3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0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300℃이다.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유리 전이 온도를 20℃ 이상이면, 내발포 박리성이 향상되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유리 전이 온도가 300℃ 이하이면, 점착제층이 적당한 유연성을 갖고, 양호한 점착력이나 양호한 단차 흡수성이 얻기 쉬워지고, 우수한 접착 신뢰성을 얻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acrylic olig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0 to 300°C, more preferably 30 to 300°C, and still more preferably 40 to 300°C. I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crylic oligomer is 20°C or higher, the foaming and peeling resistance tends to improve, so it is preferable. Additionally, i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crylic oligomer is 300°C or lower, the adhesive layer has appropriate flexibility, it is easy to obtain good adhesive strength and good step absorption, and it is easy to obtain excellent adhesive reliability, so it is preferable.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상기 FOX의 식으로 표시되는 유리 전이 온도(이론값)이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acrylic oligomer i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heoretical value) expressed by the FOX formula.

상기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호모 폴리머 Tg로서는,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값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표 1에 기재가 없는 모노머의 호모 폴리머 Tg로서는, 「Polymer Handbook」(제3판, John Wiley & Sons, Inc, 1989년)에 기재된 수치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헌에도 기재되어 있지 않은 모노머의 호모 폴리머 Tg로서는, 상술한 측정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값(점탄성 시험에 의한 tanδ의 피크 톱 온도)을 채용할 수 있다.As the homopolymer Tg of the monomer constituting the acrylic oligomer, the values shown in Table 1 below can be adopted. Additionally, as the homopolymer Tg of monomers not listed in Table 1, the values described in “Polymer Handbook” (3r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1989) can be adopted. In addition, as the homopolymer Tg of a monomer that is not described in the above literature, the value obtained by the measurement method described above (peak top temperature of tan δ by viscoelasticity test) can be adopted.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6

또한, 표 1에 있어서의 「DCPMA/MMA=60/40」의 코폴리머는, DCPMA 60중량부와 MMA 40중량부의 코폴리머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copolymer of "DCPMA/MMA=60/40" in Table 1 means a copolymer of 60 parts by weight of DCPMA and 40 parts by weight of MMA.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아크릴계 폴리머 및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경우의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중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중량부이다. 즉,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전체 모노머 단위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중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중량부이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모노머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중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중량부이다.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함유량이 1중량부 이상이면, 우수한 접착성 및 우수한 내발포 박리성이 얻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함유량이 30중량부 이하이면, 우수한 투명성과 접착 신뢰성이 얻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의 상기의 각종 특성(특히, 전단력, 유리 전이점 등)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함유량은 10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8중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When the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contains an acrylic polymer and an acrylic oligomer, the content of the acrylic olig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 to 3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polymer. It is 2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 to 10 parts by weight. That is, the content of the acrylic oligomer in the adhesive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 to 3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ll monomer units of the acrylic polymer. and more preferably 2 to 10 parts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acrylic oligomer in the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is preferably 1 to 3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onomer mixture. More preferably, it is 2 to 10 parts by weight. When the content of the acrylic oligomer is 1 part by weight or more, excellent adhesiveness and excellent anti-foaming peeling properties are easily obtained, so it is preferable. Furthermore, if the content of the acrylic oligomer is 30 parts by weight or less, excellent transparency and adhesion reliability are easily obtained, so it is preferable.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easy control of the various properties of the adhesive layer (especially shear force, glass transition point, etc.)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content of the acrylic oligomer is preferably 10 parts by weight or less, and more preferably 8 parts by weight or less. do.

아크릴계 폴리머 및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제작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혼합물 또는 아크릴계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의 혼합물의 부분 중합물(아크릴계 폴리머를 형성하는 모노머 혼합물 또는 그 부분 중합물)에, 아크릴계 올리고머, 첨가제 등을 필요에 따라서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을 거쳐서, 제작된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n acrylic polymer and an acrylic oligomer. For example, acrylic oligomers, additives, etc. may be added to a mixture of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an acrylic polymer or a partial polymerization of a mixture of monomer components constituting an acrylic polymer (monomer mixture forming an acrylic polymer or a partial polymer thereof) as necessary. It is produced by adding and mixing.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자외선 흡수제(UVA)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면, 자외선에 의한 화상 표시 패널의 대미지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preferably contains an ultraviolet absorber (UVA).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n ultraviolet absorber because damage to the image display panel due to ultraviolet rays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ultraviolet absorber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옥시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The ultraviolet absor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examples include benzotriazole-based ultraviolet absorbers, hydroxyphenyltriazine-based ultraviolet absorbers, benzophenone-based ultraviolet absorbers, salicylic acid ester-based ultraviolet absorbers, cyanoacrylate-based ultraviolet absorbers, and oxybenzo. Phenone-based ultraviolet absorbers, etc. can be mentioned.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2-(2-히드록시-5-tert-부틸페닐)-2H-벤조트리아졸(상품명 「TINUVIN PS」, BASF사제), 벤젠프로판산 및 3-(2H-벤조트리아졸-2-일)-5-(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C7-9 측쇄 및 직쇄 알킬)의 에스테르 화합물(상품명 「TINUVIN 384-2」, BASF사제), 옥틸3-[3-tert-부틸-4-히드록시-5-(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프로피오네이트 및 2-에틸헥실-3-[3-tert-부틸-4-히드록시-5-(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프로피오네이트의 혼합물(상품명 「TINUVIN 109」, BASF사제),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상품명 「TINUVIN 900」, BASF사제), 2-(2H-벤조트리아졸-2-일)-6-(1-메틸-1-페닐에틸)-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상품명 「TINUVIN 928」, BASF제), 메틸3-(3-(2H-벤조트리아졸-2-일)-5-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 300의 반응 생성물(상품명 「TINUVIN 1130」, BASF사제), 2-(2H-벤조트리아졸-2-일)-p-크레졸(상품명 「TINUVIN P」, BASF사제),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상품명 「TINUVIN 234」, BASF사제),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페놀(상품명 「TINUVIN 326」, BASF사제), 2-(2H-벤조트리아졸-2-일)-4,6-디-tert-펜틸페놀(상품명 「TINUVIN 328」, BASF사제), 2-(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상품명 「TINUVIN 329」, BASF사제),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상품명 「TINUVIN 360」, BASF사제), 메틸3-(3-(2H-벤조트리아졸-2-일)-5-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와 폴리에틸렌글리콜 300의 반응 생성물(상품명 「TINUVIN 213」, BASF사제), 2-(2H-벤조트리아졸-2-일)-6-도데실-4-메틸페놀(상품명 「TINUVIN 571」, BASF사제), 2-[2-히드록시-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메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상품명 「Sumisorb 250」, 스미토모 가가꾸(주)제),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tert-옥틸페놀](상품명 「아데카스탭 LA-31」, (주)ADEKA제)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benzotriazole-based ultraviolet absorbers (benzotriazole-based compounds) include 2-(2-hydroxy-5-tert-butylphenyl)-2H-benzotriazole (brand name “TINUVIN PS”, manufactured by BASF), and benzenepropane. An ester compound of acid and 3-(2H-benzotriazol-2-yl)-5-(1,1-dimethylethyl)-4-hydroxy (C7-9 branched and straight chain alkyl) (product name “TINUVIN 384-2” ", manufactured by BASF), octyl 3-[3-tert-butyl-4-hydroxy-5-(5-chloro-2H-benzotriazol-2-yl)phenyl]propionate and 2-ethylhexyl-3 -[3-tert-butyl-4-hydroxy-5-(5-chloro-2H-benzotriazol-2yl)phenyl]propionate mixture (trade name “TINUVIN 109”, manufactured by BASF), 2-( 2H-benzotriazol-2-yl)-4,6-bis(1-methyl-1-phenylethyl)phenol (brand name “TINUVIN 900”, manufactured by BASF), 2-(2H-benzotriazol-2-yl )-6-(1-methyl-1-phenylethyl)-4-(1,1,3,3-tetramethylbutyl)phenol (brand name “TINUVIN 928”, manufactured by BASF), methyl 3-(3-(2H) -benzotriazol-2-yl)-5-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polyethylene glycol 300 reaction product (trade name “TINUVIN 1130”, manufactured by BASF), 2-(2H-benzotria) Zol-2-yl)-p-cresol (brand name “TINUVIN P”, manufactured by BASF), 2-(2H-benzotriazol-2-yl)-4,6-bis(1-methyl-1-phenylethyl) Phenol (brand name “TINUVIN 234”, manufactured by BASF), 2-[5-chloro-2H-benzotriazol-2-yl]-4-methyl-6-(tert-butyl)phenol (brand name “TINUVIN 326”, BASF) manufactured by BASF), 2-(2H-benzotriazol-2-yl)-4,6-di-tert-pentylphenol (brand name “TINUVIN 328”, manufactured by BASF), 2-(2H-benzotriazol-2-yl) )-4-(1,1,3,3-tetramethylbutyl)phenol (brand name "TINUVIN 329", manufactured by BASF), 2,2'-methylenebis[6-(2H-benzotriazol-2-yl) -4-(1,1,3,3-tetramethylbutyl)phenol] (brand name “TINUVIN 360”, manufactured by BASF), methyl 3-(3-(2H-benzotriazol-2-yl)-5-tert -Butyl-4-hydroxyphenyl) Reaction product of propionate and polyethylene glycol 300 (trade name “TINUVIN 213”, manufactured by BASF), 2-(2H-benzotriazol-2-yl)-6-dodecyl-4 -Methylphenol (brand name “TINUVIN 571”, manufactured by BASF), 2-[2-hydroxy-3-(3,4,5,6-tetrahydrophthalimide-methyl)-5-methylphenyl]benzotriazole ( Product name "Sumisorb 250", manufactured by Sumitomo Chemical Co., Ltd., 2,2'-methylenebis[6-(2H-benzotriazol-2-yl)-4-tert-octylphenol] (product name "Adeka Step" LA-31", manufactured by ADEKA Co., Ltd.), etc. can be mentioned.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히드록시페닐과 [(C10-C16(주로 C12-C13)알킬옥시)메틸]옥시란의 반응 생성물(상품명 「TINUVIN 400」, BASF사제),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3-(도데실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놀),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과 (2-에틸헥실)-글리시드산에스테르의 반응 생성물(상품명 「TINUVIN 405」, BASF사제), 2,4-비스(2-히드록시-4-부톡시페닐)-6-(2,4-디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상품명 「TINUVIN 460」, BASF사제),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상품명 「TINUVIN 1577」, BASF사제),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2-(2-에틸헥사노일옥시)에톡시]-페놀(상품명 「아데카스탭 LA-46」, (주)ADEKA제), 2-(2-히드록시-4-[1-옥틸옥시카르보닐에톡시]페닐)-4,6-비스(4-페닐페닐)-1,3,5-트리아진(상품명 「TINUVIN 479」, BASF사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하기 식 (6)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상품명 「TINUVIN 477」, BASF사제)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hydroxyphenyltriazine-based ultraviolet absorber (hydroxyphenyltriazine-based compound) include 2-(4,6-bis(2,4-dimethylphenyl)-1,3,5-triazin-2-yl) -5-Hydroxyphenyl and [(C10-C16 (mainly C12-C13) alkyloxy) methyl] oxirane reaction product (trade name “TINUVIN 400”, manufactured by BASF), 2-[4,6-bis(2, 4-dimethylphenyl)-1,3,5-triazin-2-yl]-5-[3-(dodecyloxy)-2-hydroxypropoxy]phenol), 2-(2,4-dihyde Reaction product of oxyphenyl)-4,6-bis-(2,4-dimethylphenyl)-1,3,5-triazine and (2-ethylhexyl)-glycidic acid ester (trade name “TINUVIN 405”, manufactured by BASF) ), 2,4-bis(2-hydroxy-4-butoxyphenyl)-6-(2,4-dibutoxyphenyl)-1,3,5-triazine (trade name “TINUVIN 460”, manufactured by BASF) , 2-(4,6-diphenyl-1,3,5-triazin-2-yl)-5-[(hexyl)oxy]-phenol (trade name “TINUVIN 1577”, manufactured by BASF), 2-(4 ,6-diphenyl-1,3,5-triazin-2-yl)-5-[2-(2-ethylhexanoyloxy)ethoxy]-phenol (brand name “Adekastab LA-46”, ( (made by ADEKA Co., Ltd.), 2-(2-hydroxy-4-[1-octyloxycarbonylethoxy]phenyl)-4,6-bis(4-phenylphenyl)-1,3,5-triazine ( Product name "TINUVIN 479", manufactured by BASF Corporation), etc. are mentioned. In addition,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6) (brand name “TINUVIN 477”, manufactured by BASF) can be mentioned.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7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벤조페논계 화합물), 옥시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옥시벤조페논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무수 및 삼수염), 2-히드록시-4-옥틸옥시벤조페논, 4-도데실옥시-2-히드록시벤조페논, 4-벤질옥시-2-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상품명 「KEMISORB 111」, 케미프로 가세이(주)제),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상품명 「SEESORB 106」, 시프로 가세이(주)제),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benzophenone-based ultraviolet absorbers (benzophenone-based compounds) and oxybenzophenone-based ultraviolet absorbers (oxybenzophenone-based compounds) include 2,4-dihydroxybenzophenone and 2-hydroxy-4-methoxybenzo. Phenone, 2-hydroxy-4-methoxybenzophenone-5-sulfonic acid (anhydrous and trihydrate), 2-hydroxy-4-octyloxybenzophenone, 4-dodecyloxy-2-hydroxybenzophenone, 4 -Benzyloxy-2-hydroxybenzophenone, 2,2'-dihydroxy-4-methoxybenzophenone (brand name "KEMISORB 111", manufactured by Chemipro Kasei Co., Ltd.), 2,2',4,4 '-Tetrahydroxybenzophenone (brand name "SEESORB 106", manufactured by Cipro Chemical Co., Ltd.), 2,2'-dihydroxy-4,4'-dimethoxybenzophenone, etc.

살리실산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살리실산에스테르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페닐2-아크릴로일옥시벤조에이트, 페닐2-아크릴로일옥시-3-메틸벤조에이트, 페닐2-아크릴로일옥시-4-메틸벤조에이트, 페닐2-아크릴로일옥시-5-메틸벤조에이트, 페닐2-아크릴로일옥시-3-메톡시벤조에이트, 페닐2-히드록시벤조에이트, 페닐2-히드록시-3-메틸벤조에이트, 페닐2-히드록시-4-메틸벤조에이트, 페닐2-히드록시-5-메틸벤조에이트, 페닐2-히드록시-3-메톡시벤조에이트, 2,4-디-tert-부틸페닐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상품명 「TINUVIN 120」, BASF사제)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salicylic acid ester-based ultraviolet absorbers (salicylic acid ester-based compounds) include phenyl 2-acryloyloxybenzoate, phenyl 2-acryloyloxy-3-methylbenzoate, and phenyl 2-acryloyloxy-4-. Methylbenzoate, phenyl2-acryloyloxy-5-methylbenzoate, phenyl2-acryloyloxy-3-methoxybenzoate, phenyl2-hydroxybenzoate, phenyl2-hydroxy-3-methyl Benzoate, phenyl2-hydroxy-4-methylbenzoate, phenyl2-hydroxy-5-methylbenzoate, phenyl2-hydroxy-3-methoxybenzoate, 2,4-di-tert-butylphenyl 3,5-di-tert-butyl-4-hydroxybenzoate (brand name "TINUVIN 120", manufactured by BASF), etc.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시클로알킬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알콕시알킬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알케닐2-시아노아크릴레이트, 알키닐2-시아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Cyanoacrylate-based ultraviolet absorbers (cyanoacrylate-based compounds) include, for example, alkyl 2-cyanoacrylate, cycloalkyl 2-cyanoacrylate, alkoxyalkyl 2-cyanoacrylate, and alkenyl 2-cyanoacrylate. Cyanoacrylate, alkynyl 2-cyanoacrylate, etc. can be mentioned.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높은 자외선 흡수성을 가지면서, 내부식성(특히, 내UV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점, 우수한 광학 특성, 높은 투명성을 갖는 점착제층의 얻기 쉬움의 점, 우수한 광안정성을 갖는 점에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및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고,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탄소수가 6 이상의 기 및 수산기를 치환기로서 갖는 페닐기가 벤조트리아졸환을 구성하는 질소 원자에 결합하고 있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다.As the above-mentioned ultraviolet absorber, it has high ultraviolet absorption, further improves corrosion resistance (particularly UV resistance), has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is easy to obtain a highly transparent adhesive layer, and has excellent photostability. , at least one type of ultraviolet absor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nzotriazole-based ultraviolet absorbers, benzophenone-based ultraviolet absorbers, and hydroxyphenyltriazine-based ultraviolet absorbers is preferred, and benzotriazole-based ultraviolet absorbers and benzophenone-based ultraviolet absorbers are more preferred. do. In particular, a benzotriazole-based ultraviolet absorber in which a group having 6 or more carbon atoms and a phenyl group having a hydroxyl group as a substituent is bonded to the nitrogen atom constituting the benzotriazole ring is preferable.

또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보다 높은 자외선 흡수성을 얻고, 내부식성(특히, 내UV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점에서, 하기에서 구해지는 흡광도 A가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ultraviolet absorber preferably has an absorbance A of 0.5 or less, as determined below,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higher ultraviolet absorbing properties and further improving corrosion resistance (particularly UV resistance).

흡광도 A: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0.08% 톨루엔 용액에 대하여 파장 400nm의 광을 쐬어, 측정되는 흡광도Absorbance A: Absorbance measured by irradiating light with a wavelength of 400 nm to a 0.08% toluene solution of the above ultraviolet absorber.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점착제층(특히 아크릴계 점착제층) 중의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내부식성(특히, 내UV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점에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중량부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 이상이다. 또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의 상한은,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에 수반하는 점착제의 황색화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고, 우수한 광학 특성, 높은 투명성 및 우수한 외관 특성을 얻는 점에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중량부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중량부 이하이다.When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n ultraviolet absorber, the content of the ultraviolet absorber in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especially an acrylic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corrosion resistance (particularly UV resistance) is further improved.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preferably 0.01 parts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0.0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0.1 parts by weight or mor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polymer. In addition, the upper limit of the content of the ultraviolet absorber is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polymer in order to suppress the yellowing phenomenon of the adhesive accompanying the addition of the ultraviolet absorber and to obtain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high transparency, and excellent appearance properties. Relative to this, it is preferably 10 parts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9 parts by weight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8 parts by weight or less.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광안정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특히 상기 자외선 흡수제와 함께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안정제는, 광산화에서 생성되는 라디칼을 포착할 수 있으므로, 점착제층의 광(특히 자외선)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안정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light stabilizer.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light stabilizer,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contain the light stabilizer together with the ultraviolet ray absorber. Since the light stabilizer can capture radicals generated from photo-oxidation, it can improve the resistance of the adhesive layer to light (especially ultraviolet rays). Additionally, light stabilizer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 광안정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페놀계 광안정제(페놀계 화합물), 인계 광안정제(인계 화합물), 티오에테르계 광안정제(티오에테르계 화합물), 아민계 광안정제(아민계 화합물)(특히 힌더드 아민계 안정제(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The light stabiliz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examples include phenolic light stabilizers (phenol-based compounds), phosphorus-based light stabilizers (phosphorus-based compounds), thioether-based light stabilizers (thioether-based compounds), and amine-based light stabilizers (amines). type compounds) (particularly hindered amine type stabilizers (hindered amine type compounds)), etc. are mentioned.

상기 페놀계 광안정제(페놀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2,6-디-제3급 부틸-4-메틸페놀, 4-히드록시메틸-2,6-디-제3급 부틸페놀, 2,6-디-제3급 부틸-4-에틸페놀, 부틸화히드록시아니솔, n-옥타데실3-(4-히드록시-3,5-디-제3급 부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4-히드록시-3-메틸-5-제3급 부틸)벤질말로네이트, 토코페롤, 2,2'-메틸렌비스(4-메틸-6-제3급 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제3급 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2,6-디-제3급 부틸페놀), 4,4'-부틸리덴 비스(6-제3급 부틸-m-크레졸), 4,4'-티오비스(6-제3급 부틸-m-크레졸), 스티렌화페놀, N,N'-헥사메틸렌비스(3,5-디-제3급 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미드, 비스(3,5-디-제3급 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폰산에틸에스테르)칼슘,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제3급 부틸페닐)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제3급 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테트라키스[3-(3,5-디-제3급 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메틸]메탄, 1,6-헥산디올-비스[3-(3,5-디-제3급 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6-(1-메틸시클로헥실)-p-크레졸], 1,3,5-트리스(4-제3급 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르산, 1,3,5-트리스(3,5-디-제3급 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르산,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제3급 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옥사미드비스[에틸3-(3,5-디-제3급 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6-(4-히드록시-3,5-디-제3급 부틸아닐리노)-2,4-디옥틸티오-1,3,5-트리아진, 비스[2-제3급 부틸-4-메틸-6-(2-히드록시-3-제3급 부틸-5-메틸벤질)페닐]테레프탈레이트, 3,9-비스{2-[3-(3-제3급 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3,9-비스{2-[3-(3,5-디-제3급 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phenol-based light stabilizer (phenol-based compound) include 2,6-di-tertiary butyl-4-methylphenol, 4-hydroxymethyl-2,6-di-tertiary butylphenol, 2 ,6-di-tertiary butyl-4-ethylphenol, butylated hydroxyanisole, n-octadecyl 3-(4-hydroxy-3,5-di-tertiary butylphenyl)propionate, Distearyl (4-hydroxy-3-methyl-5-tertiary butyl)benzylmalonate, tocopherol, 2,2'-methylenebis(4-methyl-6-tertiary butylphenol), 2,2 '-Methylenebis(4-ethyl-6-tertiary butylphenol), 4,4'-methylenebis(2,6-di-tertiary butylphenol), 4,4'-butylidene bis(6 -tertiary butyl-m-cresol), 4,4'-thiobis (6-tertiary butyl-m-cresol), styrenated phenol, N,N'-hexamethylenebis (3,5-di- Tertiary butyl-4-hydroxyhydrocinamide, bis(3,5-di-tertiary butyl-4-hydroxybenzylphosphonate ethyl ester) calcium, 1,1,3-tris(2-methyl- 4-hydroxy-5-tertiary butylphenyl)butane, 1,3,5-trimethyl-2,4,6-tris(3,5-di-tertiary butyl-4-hydroxybenzyl)benzene, Tetrakis[3-(3,5-di-tertiary butyl-4-hydroxyphenyl)propionyloxymethyl]methane, 1,6-hexanediol-bis[3-(3,5-di-tertiary) Quaternary 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2,2'-methylenebis(4-methyl-6-cyclohexylphenol), 2,2'-methylenebis[6-(1-methylcyclohexyl) -p-cresol], 1,3,5-tris(4-tertiary butyl-3-hydroxy-2,6-dimethylbenzyl)isocyanuric acid, 1,3,5-tris(3,5- di-tertiary butyl-4-hydroxybenzyl)isocyanuric acid, triethylene glycol-bis[3-(3-tertiary butyl-4-hydroxy-5-methylphenyl)propionate], 2, 2'-oxamide bis[ethyl 3-(3,5-di-tertiary 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6-(4-hydroxy-3,5-di-tertiary) Butylanilino)-2,4-dioctylthio-1,3,5-triazine, bis[2-tertiary butyl-4-methyl-6-(2-hydroxy-3-tertiary butyl- 5-methylbenzyl)phenyl]terephthalate, 3,9-bis{2-[3-(3-tertiary butyl-4-hydroxy-5-methylphenyl)propionyloxy]-1,1-dimethylethyl} -2,4,8,10-tetraoxaspiro[5.5]undecane, 3,9-bis{2-[3-(3,5-di-tertiary butyl-4-hydroxyphenyl)propionyloxy ]-1,1-dimethylethyl}-2,4,8,10-tetraoxaspiro[5.5]undecane, etc.

인계 광안정제(인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제3급 부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제3급 부틸-4-(3-제3급 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티오)-5-메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데실포스파이트, 옥틸디페닐포스파이트, 디(데실)모노페닐포스파이트, 디(트리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디(노닐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제3급 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제3급 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4,6-트리-제3급 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테트라(트리데실)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디포스파이트, 테트라(트리데실)-4,4'-n-부틸리덴비스(2-제3급 부틸-5-메틸페놀)디포스파이트, 헥사(트리데실)-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제3급 부틸페닐)부탄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제3급 부틸페닐)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9,10-디하이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사이드, 트리스(2-[(2,4,8,10-테트라키스-제3급 부틸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6-일)옥시]에틸)아민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phosphorus-based light stabilizer (phosphorus-based compound) include trisnonylphenyl phosphite, tris(2,4-di-tertiary butylphenyl)phosphite, and tris[2-tertiary butyl-4-(3- Tertiary butyl-4-hydroxy-5-methylphenylthio)-5-methylphenyl]phosphite, tridecyl phosphite, octyldiphenyl phosphite, di(decyl)monophenylphosphite, di(tridecyl)pentaerythite Ritol diphosphite, distearyl pentaerythritol diphosphite, di(nonylphenyl)pentaerythritol diphosphite, bis(2,4-di-tertiary butylphenyl)pentaerythritol diphosphite, bis(2,6- Di-tertiary butyl-4-methylphenyl) pentaerythritol diphosphite, bis(2,4,6-tri-tertiary butylphenyl) pentaerythritol diphosphite, tetra(tridecyl)isopropylidenediphenol diphosphite Spite, tetra(tridecyl)-4,4'-n-butylidenebis(2-tertiary butyl-5-methylphenol)diphosphite, hexa(tridecyl)-1,1,3-tris(2 -methyl-4-hydroxy-5-tertiary butylphenyl)butanetriphosphite, tetrakis(2,4-di-tertiary butylphenyl)biphenylenediphosphonite, 9,10-dihydro- 9-oxa-10-phosphaphenanthrene-10-oxide, tris(2-[(2,4,8,10-tetrakis-tertiary butyldibenzo[d,f][1,3,2] Dioxaphosphepin-6-yl)oxy]ethyl)amine, etc. can be mentioned.

티오에테르계 광안정제(티오에테르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티오디프로피온산디라우릴, 디미리스틸, 디스테아릴 등의 디알킬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화합물; 테트라키스[메틸렌(3-도데실티오)프로피오네이트]메탄 등의 폴리올의 β-알킬머캅토프로피온산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thioether-based light stabilizer (thioether-based compound) include dialkylthiodipropionate compounds such as dilauryl thiodipropionate, dimyristyl, and distearyl; and β-alkylmercaptopropionic acid ester compounds of polyols such as tetrakis[methylene(3-dodecylthio)propionate]methane.

아민계 광안정제(아민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숙신산디메틸 및 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에탄올의 중합물(상품명 「TINUVIN 622」, BASF사제), 숙신산디메틸 및 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딘에탄올의 중합물과 N,N',N'',N'''- 테트라키스-(4,6-비스-(부틸-(N-메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트리아진-2-일)-4,7-디아자데칸-1,10-디아민의 일대일의 반응 생성물(상품명 「TINUVIN 119」, BASF사제), 디부틸아민·1,3-트리아진·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6-헥사메틸렌디아민과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부틸아민의 중축합물(상품명 「TINUVIN 2020」, BASF사제),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상품명 「TINUVIN 944」, BASF사제),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및 메틸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의 혼합물(상품명 「TINUVIN 765」, BASF사제),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상품명 「TINUVIN 770」, BASF사제), 데칸이산비스(2,2,6,6-테트라메틸-1-(옥틸옥시)-4-피페리디닐)에스테르, 1,1-디메틸에틸히드로퍼옥시드와 옥탄의 반응 생성물(상품명 「TINUVIN 123」, BASF사제),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3,5-비스(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페닐]메틸]부틸말로네이트(상품명 「TINUVIN 144」, BASF사제), 시클로헥산 및 과산화N-부틸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아민-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의 반응 생성물과 2-아미노에탄올의 반응 생성물(상품명 「TINUVIN 152」, BASF사제),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및 메틸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의 혼합물(상품명 「TINUVIN 292」, BASF사제),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과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딘올 및 3,9-비스(2-히드록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의 혼합 에스테르화물(상품명 「아데카스탭 LA-63P」, (주)ADEKA제) 등을 들 수 있다. 아민계 안정제로서는, 특히 힌더드 아민계 안정제가 바람직하다.As the amine-based light stabilizer (amine-based compound), for example, a polymer of dimethyl succinate and 4-hydroxy-2,2,6,6-tetramethyl-1-piperidineethanol (trade name “TINUVIN 622”, manufactured by BASF) ), polymer of dimethyl succinate and 4-hydroxy-2,2,6,6-tetramethyl-1-piperidineethanol and N,N',N'',N'''-tetrakis-(4, 6-bis-(butyl-(N-methyl-2,2,6,6-tetramethylpiperidin-4-yl)amino)-triazin-2-yl)-4,7-diazadecane-1 , One-to-one reaction product of 10-diamine (trade name "TINUVIN 119", manufactured by BASF), dibutylamine, 1,3-triazine, N, N'-bis(2,2,6,6-tetramethyl-4) - Polycondensate of piperidyl-1,6-hexamethylenediamine and N-(2,2,6,6-tetramethyl-4-piperidyl)butylamine (brand name “TINUVIN 2020”, manufactured by BASF), poly [{6-(1,1,3,3-tetramethylbutyl)amino-1,3,5-triazine-2-4-diyl}{2,2,6,6-tetramethyl-4-piperi Diyl} imino] hexamethylene {(2,2,6,6-tetramethyl-4-piperidyl)imino} (brand name “TINUVIN 944”, manufactured by BASF), bis (1,2,2,6, A mixture of 6-pentamethyl-4-piperidyl)sebacate and methyl 1,2,2,6,6-pentamethyl-4-piperidylsebacate (trade name “TINUVIN 765”, manufactured by BASF), bis( 2,2,6,6-tetramethyl-4-piperidyl)sebacate (brand name “TINUVIN 770”, manufactured by BASF), decane bisate (2,2,6,6-tetramethyl-1-(octyloxy) )-4-piperidinyl) ester, reaction product of 1,1-dimethylethylhydroperoxide and octane (trade name “TINUVIN 123”, manufactured by BASF), bis(1,2,2,6,6-pentamethyl- 4-piperidyl)[[3,5-bis(1,1-dimethylethyl)-4-hydroxyphenyl]methyl]butylmalonate (trade name “TINUVIN 144”, manufactured by BASF), cyclohexane and N- peroxide. Reaction product of butyl 2,2,6,6-tetramethyl-4-piperidineamine-2,4,6-trichloro-1,3,5-triazine and 2-aminoethanol (product name: TINUVIN 152", manufactured by BASF), bis(1,2,2,6,6-pentamethyl-4-piperidyl)sebacate and methyl1,2,2,6,6-pentamethyl-4-piperi A mixture of dilsebacate (trade name “TINUVIN 292”, manufactured by BASF), 1,2,3,4-butanetetracarboxylic acid, 1,2,2,6,6-pentamethyl-4-piperidinol, and 3, Mixed ester of 9-bis(2-hydroxy-1,1-dimethylethyl)-2,4,8,10-tetraoxaspiro[5.5]undecane (trade name “Adekastab LA-63P”, Co., Ltd. )made by ADEKA), etc. can be mentioned. As the amine-based stabilizer, a hindered amine-based stabilizer is particularly preferable.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점착제층(특히, 아크릴계 점착제층) 중의, 광안정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광에 대한 내성을 발현하기 쉽게 하는 점에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부 이상이다. 또한, 상기 함유량의 상한은, 광안정제 자체에 의한 착색이 발생되기 어려워져, 높은 투명성을 얻기 쉬운 점, 광학 특성의 점에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 이하이다.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light stabilizer, the content of the light stabilizer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in the sense that it facilitates the development of resistance to light. , it is preferably 0.1 part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0.2 part by weight or mor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polymer. In addition, the upper limit of the above content is preferably 5 parts by weight or less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polymer from the viewpoint of making it difficult to cause coloring due to the light stabilizer itself, making it easy to obtain high transparency, and in terms of optical properties. Preferably it is 3 parts by weight or less.

본 발명의 점착제층 형성에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가교제가 사용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폴리머를 가교하고, 겔 분율을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가교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Although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form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linking agent may be used. For example, the acrylic polymer in the acrylic adhesive layer can be crosslinked and the gel fraction can be controlled. In addition, the crosslinking agent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 가교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과산화물계 가교제, 요소계 가교제, 금속 알콕시드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금속염계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이다.The crosslink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cludes, for example,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an epoxy crosslinking agent, a melamine crosslinking agent, a peroxide crosslinking agent, a urea crosslinking agent, a metal alkoxide crosslinking agent, a metal chelate crosslinking agent, a metal salt crosslinking agent, and carbodiimide. Examples include cross-linking agents, oxazoline-based cross-linking agents, aziridine-based cross-linking agents, and amine-based cross-linking agents. Among them,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s and epoxy-based crosslinking agents are preferable, and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s are more preferable.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1,2-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4-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저급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시클로펜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상품명 「코로네이트 L」, 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주)제), 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상품명 「코로네이트 HL」, 닛본 폴리우레탄 고교(주)제), 트리메틸올프로판/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상품명 「타케네이트 D-110N」, 미쓰이 가가꾸(주)제) 등의 시판품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polyfunctional isocyanate compound) include lower aliphatic polyisocyanates such as 1,2-ethylene diisocyanate, 1,4-butylene diisocyanate, and 1,6-hexamethylene diisocyanate; Alicyclic polyisocyanates such as cyclopentylene diisocyanate, cyclohexylene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hydrogenated tolylene diisocyanate, and hydrogenated xylene diisocyanate; and aromatic polyisocyanates such as 2,4-tolylene diisocyanate, 2,6-tolylene diisocyanate,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and xylylene diisocyanate. In addition, as the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for example, trimethylolpropane/tolylene diisocyanate adduct (trade name “Coronate L”, manufactured by Nippon Polyurethane Kogyo Co., Ltd.), trimethylolpropane/hexamethylene diisocyanate adduct (trade nam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such as “Coronate HL”, manufactured by Nippon Polyurethane Kogyo Co., Ltd., and trimethylolpropane/xylylene diisocyanate adduct (brand name “Takenate D-110N”,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s Co., Ltd.) can also be mentioned. there is.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다관능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 디글리시딜아닐린,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소르비탄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 아디프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o-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트리글리시딜-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레조르신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S-디글리시딜에테르 외에, 분자 내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갖는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상품명 「테트래드 C」(미쯔비시 가스 가가꾸(주)제) 등의 시판품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epoxy-based crosslinking agent (multifunctional epoxy compound) include N,N,N',N'-tetraglycidyl-m-xylenediamine, diglycidylaniline, 1,3-bis(N,N -diglycidylaminomethyl)cyclohexane, 1,6-hexanediol diglycidyl ether, neopentyl glycol diglycidyl ether,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poly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sorbitol polyglycidyl ether, glycerol polyglycidyl ether, pentaerythritol polyglycidyl ether, polyglycerol polyglycidyl ether, sorbitan polyglycidyl ether. Cydyl ether, trimethylolpropane polyglycidyl ether, adipic acid diglycidyl ester, o-phthalic acid diglycidyl ester, triglycidyl-tris(2-hydroxyethyl)isocyanurate, resorcindi In addition to glycidyl ether and bisphenol-S-diglycidyl ether, epoxy resins having two or more epoxy groups in the molecule can be mentioned. In addition, examples of the epoxy-based crosslinking agent includ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such as “Tetrad C” (manufactured by Mitsubishi Gas Chemical Co., Ltd.).

본 발명의 점착제층 형성에 가교제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가교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충분한 접착 신뢰성을 얻는 점에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중량부 이상이다. 또한, 상기 사용량의 상한은, 점착제층에 있어서 적당한 유연성을 얻고, 점착력을 향상시키는 점, 점착제층의 상기의 각종 특성(특히, 전단력, 유리 전이점 등)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10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하이다.When a crosslinking agent is used to for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0.001 parts by weight or mor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polymer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sufficient adhesive reliability. Preferably it is 0.01 parts by weight or more. In addition, the upper limit of the above usage amount is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ppropriate flexibility in the adhesive layer and improving adhesive strength, and from the viewpoint of making it easy to control the various properties of the adhesive layer (especially shear force, glass transition point, etc.) to a predetermined range. , it is preferably 10 parts by weight or less, and more preferably 5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polymer.

본 발명의 점착제층(특히, 아크릴계 점착제층)은, 가습 조건 하에서의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점, 특히 유리에 대한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실란 커플링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이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면, 가습 조건 하에서의 접착성, 특히 유리에 대한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particularly, the acrylic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silane coupling agent to improve adhesive reliability under humidified conditions, particularly to improve adhesive reliability to glass. In addition, silane coupling agent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When the adhesive layer contains a silane coupling agent, adhesion under humidified conditions can be improved, especially adhesion to glass.

상기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페닐-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예를 들어 상품명 「KBM-403」(신에쯔 가가꾸 고교(주)제) 등의 시판품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바람직하다.The silane coupl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examples include γ-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γ-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γ-aminopropyltrimethoxysilane, and N-phenyl- Aminopropyltrimethoxysilane, etc. can be mentioned. Additionally, examples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includ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such as brand name "KBM-403"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Among them, γ-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is preferable as the silane coupling agent.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실란 커플링제를 함유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점착제층(특히, 아크릴계 점착제층) 중의,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중량부 이상이다. 또한,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함유량의 상한은, 상기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부 이하이다.When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silane coupling agent, the content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in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an acrylic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about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polymer. , It is preferable that it is 0.01 part by weight or more, and more preferably, it is 0.02 part by weight or more. Additionally, the upper limit of the content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is preferably 1 part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0.5 part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polymer.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대전 방지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이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면,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n antistatic agent. Additionally, antistatic agent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If the adhesive layer contains an antistatic agent, damage to adherends such as image display panels can be prevented.

상기 대전 방지제로서는, 제4급 암모늄염, 피리디늄염, 제1, 제2, 제3 아미노기 등의 양이온성 관능기를 갖는 양이온형 대전 방지제, 술폰산염이나 황산에스테르염, 포스폰산염, 인산에스테르염 등의 음이온성 관능기를 갖는 음이온형 대전 방지제, 알킬베타인 및 그의 유도체, 이미다졸린 및 그의 유도체, 알라닌 및 그의 유도체 등의 양성형 대전 방지제, 아미노알코올 및 그의 유도체, 글리세린 및 그의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그의 유도체 등의 비이온형 대전 방지제, 나아가, 상기 양이온형, 음이온형, 양성 이온형의 이온 도전성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하여 얻어진 이온 도전성 중합체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ntistatic agents include quaternary ammonium salts, pyridinium salts, cationic antistatic agents having cationic functional groups such as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amino groups, sulfonates, sulfuric acid esters, phosphonates, and phosphoric acid esters. anionic antistatic agents having an anionic functional group, alkyl betaine and its derivatives, imidazoline and its derivatives, amphoteric antistatic agents such as alanine and its derivatives, amino alcohol and its derivatives, glycerin and its derivatives, polyethylene glycol and its derivatives. Nonionic antistatic agents such as derivatives, and furthermore, ionic conductive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zing or copolymerizing monomers having the above-mentioned cationic, anionic, or zwitterionic ionic conductive groups.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점착제층 중의, 상기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상기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중량부 이상이다. 또한, 상기 대전 방지제의 함유량의 상한은, 상기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부 이하이다.When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n antistatic agent, the content of the antistatic agent in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0.01 part by weight or mor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polymer, More preferably, it is 0.02 parts by weight or more. Additionally, the upper limit of the content of the antistatic agent is preferably 1 part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0.5 part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polymer.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착색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착색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이 착색제를 함유하면,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기판 상에 배치된 금속 배선이나 ITO 배선 등에 의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colorant. Additionally, the colorant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layer contains a colorant because reflection by metal wiring, ITO wiring, etc. disposed on the substrat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vented.

상기 착색제는,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 용해 또는 분산 가능한 것이면, 염료여도 안료여도 된다. 소량의 첨가로도 낮은 헤이즈를 달성할 수 있고, 안료와 같이 침강성이 없이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쉬운 점에서, 염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소량의 첨가로도 색 발현성이 높은 점에서, 안료도 바람직하다. 착색제로서 안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전성이 낮거나,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염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광안정제 등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lorant may be a dye or a pigment as long as it can be dissolved or dispersed in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Dye is preferable because low haze can be achieved even with a small amount of addition, and it is easy to distribute uniformly without settling like a pigment. In addition, pigments are also preferable because color expression is high even when added in a small amount. When using a pigment as a colorant, it is preferable that it has low or no electrical conductivity. In addition, when using dye, it is preferable to use it together with the above-mentioned light stabilizer.

상기 착색제로서는, 가시광(파장 400 내지 700nm)을 흡수하는 한, 자외선(파장 330 내지 400nm)에 대하여 투과성을 나타내는 것, 혹은, 자외선에 대하여 흡수성을 나타내는 것을 한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지만, 가시광을 흡수하고, 또한 자외선 투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착색제는, 파장 330 내지 400nm의 투과율의 최댓값이, 파장 400 내지 700nm의 투과율의 최댓값보다도 큰 착색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색제는, 파장 330 내지 400nm의 평균 투과율이, 파장 400 내지 700nm의 평균 투과율보다도 큰 것도 바람직하다. 착색제의 투과율은, 파장 400nm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50 내지 60% 정도가 되도록,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등의 적절한 용매 또는 분산매(파장 330 내지 700nm의 범위의 흡수가 작은 유기 용매)에 의해 희석한 용액 또는 분산액을 사용하여 측정한다.The colorant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absorbs visible light (wavelength 400 to 700 nm), is transparent to ultraviolet rays (wavelength 330 to 400 nm), or absorbs ultraviolet rays. , It is also desirable to have ultraviolet ray transparency. That is, the colorant is preferably a colorant whose maximum transmittance at a wavelength of 330 to 400 nm is larger than the maximum transmittance at a wavelength of 400 to 700 nm. In addition, the colorant preferably has an average transmittance of 330 to 400 nm with a wavelength greater than that of the coloring agent with a wavelength of 400 to 700 nm. The transmittance of the colorant is diluted with an appropriate solvent or dispersion medium (organic solvent with low absorption in the wavelength range of 330 to 700 nm) such as tetrahydrofuran (THF) so that the transmittance at a wavelength of 400 nm is approximately 50 to 60%. Measurements are made using solutions or dispersions.

흑색 착색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카본 블랙이나 티타늄 블랙은, 가시광의 흡수보다도 자외선의 흡수가 크다(가시광 투과율보다도 자외선 투과율이 작다). 그 때문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카본 블랙 등의 착색제를 첨가하면, 광경화를 위하여 조사한 자외선의 다수가 착색제에 의해 흡수되어, 광중합 개시제가 흡수하는 광량이 작고, 광경화에 시간을 요한다(적산 조사광량이 많아진다). 또한, 점착제층의 두께가 큰 경우에는, 광 조사면의 반대 측의 면에 도달하는 자외선이 적기 때문에, 장시간의 광 조사를 행해도, 광경화가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비해, 가시광에 비하여 자외선의 투과율이 큰 착색제를 사용함으로써, 착색제에 기인하는 경화 저해를 억제할 수 있다.Carbon black and titanium black, which are commonly used as black colorants, absorb ultraviolet rays more than they absorb visible light (their ultraviolet ray transmittance is smaller than th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Therefore, when a colorant such as carbon black is added to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many of the ultraviolet rays irradiated for photocuring are absorbed by the colorant, the amount of light absorbed by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small, and photocuring takes time. (the accumulated amount of irradiated light increases). 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large, there is a tendency for photocuring to become insufficient even if light irradiation is performed for a long period of time because there is little ultraviolet rays reaching the surface opposite to the light irradiation surface. In contrast, by using a colorant that has a higher transmittance of ultraviolet rays compared to visible light, curing inhibition due to the colorant can be suppressed.

자외선 투과성의 흑색 안료로서는, 도쿠시키제의 「9050BLACK」, 「UVBK-0001」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성의 흑색 염료로서는, 오리엔트 가가꾸 고교제의 「VALIFAST BLACK 3810」, 「NUBIAN Black PA-2802」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성의 흑색 안료로서는, 카본 블랙, 티타늄 블랙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ultraviolet-transmitting black pigments include Tokushiki's "9050BLACK" and "UVBK-0001." Examples of ultraviolet-absorbing black dyes include "VALIFAST BLACK 3810" and "NUBIAN Black PA-2802" manufactured by Orient Chemical Co., Ltd. Examples of ultraviolet-absorbing black pigments include carbon black and titanium black.

본 발명의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함유량은,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0중량부 정도이고, 착색제의 종류나, 점착제층의 색조 및 광투과율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착색제는, 적당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서, 조성물에 첨가해도 된다.The content of the colorant in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about 0.01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e polymer, and is appropriately set depending on the type of colorant, the color tone and light transmittance of the adhesive layer, etc. do. The colorant may be added to the composition as a solution or dispersion dissolved or dispersed in an appropriate solvent.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필요에 따라, 또한, 가교 촉진제, 점착 부여 수지(로진 유도체, 폴리테르펜 수지, 석유 수지, 유용성 페놀 등), 노화 방지제, 충전제, 산화 방지제, 연쇄 이동제, 가소제, 연화제, 계면 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첨가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a crosslinking accelerator, tackifying resin (rosin derivative, polyterpene resin, petroleum resin, oil-soluble phenol, etc.), anti-aging agent, filler, antioxidant, chain transfer agent, plasticizer, softener, and interface as necessary. Additives such as activators may be contain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se additive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헤이즈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외관 특성, 투명성, 광학 특성의 점에서, 5%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헤이즈는, 예를 들어 헤이즈 미터를 사용하여, JIS K 7136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The haze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5% or less, more preferably 3%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1%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appearance characteristics, transparency, and optical properties. .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haze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JIS K 7136, for example, using a haze meter.

본 발명의 점착제층의 전광선 투과율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외관 특성, 투명성, 광학 특성의 점에서, 85%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2% 이상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점착제층의 전광선 투과율은, 예를 들어 헤이즈 미터를 사용하여, JIS K 7361-1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광선 투과율은, 파장 400 내지 780nm의 광(가시광)의 투과율이다.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85% or more, more preferably 90%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92%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appearance characteristics, transparency, and optical properties. am.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JIS K 7361-1, for example, using a haze meter. In addition,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is the transmittance of light (visible light) with a wavelength of 400 to 780 nm.

본 발명의 점착제층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충분한 접착 신뢰성을 얻는 점에서, 12㎛ 이상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다. 상기 두께가 12㎛ 이상이면,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에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두께는, 광학 특성의 점에서, 500㎛ 이하가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이다.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2 μm or more, preferably 15 μm or more, more preferably 20 μm or more, especially preferably 70 μm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sufficient adhesive reliability. It is more than ㎛. The thickness of 12 μm or more is preferable because the adhesive layer can sufficiently follow the contraction or expansion under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suppress lifting or peeling. Additionally, from the viewpoint of optical properties, the thickness is preferably 500 μm or less, preferably 300 μ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200 μm or less.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제조><Manufacture of optical adhesive tape>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는, 본 발명의 기재의 제1 면 상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적층시킴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The adhesive tape for op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laminating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first sid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기재의 제1 면 상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적층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세퍼레이터 상에 도포(도공)하고,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층을 건조 경화시키는 것이나,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세퍼레이터 상에 도포(도공)하고,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세퍼레이터 상에 시트상의 점착제층에 성형하고, 본 발명의 기재의 제1 면 상에 상기 점착제층을 접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또한, 가열 건조해도 된다.The method of lamina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first side of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applied (coated) on a separator, and the obtain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layer is dried and cured. Alternativel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applied (coated) on a separator, the result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layer is cured by irradiating active energy rays, thereby forming a sheet-lik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the separator,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layer is formed on the first sid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can be done by bonding the adhesive layer to the. Additionally, if necessary, it may be further heated and dried.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를 행할 때는, 도막의 표면에 또한 세퍼레이터를 부설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2매의 세퍼레이터 사이에 끼워서 지지한 상태에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산소에 의한 중합 저해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curing by irradiation of active energy rays, a separator is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film,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is supported between two separators while irradiating active energy rays to prevent polymerization inhibition by oxygen. It is desirable.

본 발명의 기재의 제1 면 상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적층시키는 다른 방법은,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본 발명의 기재의 제1 면 상에 도포(도공)하고,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층을 건조 경화시키는 것이나,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본 발명의 기재 제1 면 상에 도포(도공)하고,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행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더 가열 건조해도 된다.Another method of lamina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first sid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applying (coating) the above-describ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nto the first sid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pplying the obtain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layer. Dry curing may be performed, or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pplied (coated) on the first sid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tained adhesive composition layer may be cured by irradiating active energy rays. Additionally, if necessary, it may be further heated and dried.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를 행할 때는, 도막의 표면에 세퍼레이터를 부설하고, 점착제 조성물을 본 발명의 기재와 세퍼레이터 사이에 끼워서 지지한 상태에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산소에 의한 중합 저해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curing is performed by irradiation of active energy rays, a separator is laid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film,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is irradiated with active energy rays while sandwiched and supported between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parator to prevent polymerization inhibition by oxygen. It is desirable to do so.

활성 에너지선 조사 전에, 용매의 제거 등을 목적으로 하여, 시트상의 도막을 가열해도 된다. 가열에 의한 용매 등의 제거를 행하는 경우에는, 세퍼레이터를 부설하기 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Before irradiation with active energy rays, the sheet-like coating film may be heated for the purpose of removing the solvent, etc. When removing solvents, etc. by heating,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the removal before laying the separator.

상기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α선, β선, γ선, 중성자선, 전자선 등의 전리성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에너지, 조사 시간, 조사 방법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Examples of the active energy rays include ionizing radiation such as α-rays, β-rays, γ-rays, neutron rays, and electron beams, and ultraviolet rays, and ultraviolet rays are particularly preferable. Additionally, the irradiation energy, irradiation time, irradiation method, etc. of the active energy ray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공지 내지 관용의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제형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용액에, 필요에 따라, 첨가제(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등)를 혼합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의 혼합물 또는 그 부분 중합물에, 필요에 따라, 첨가제(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등)를 혼합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The adhesive composition can be produced by known or common methods. For example, a solvent-type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can be produced by mixing additives (for example, ultraviolet absorbers, etc.) into a solution containing the acrylic polymer as needed. For example,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be produced by mixing additives (for example, ultraviolet absorbers, etc.) with the mixture of the above-described acrylic monomers or a partial polymerization thereof, if necessary.

또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도공)에는, 공지된 코팅법을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콤마 코터, 다이렉트 코터 등의 코터가 사용되어도 된다.Additionally, a known coating method may be used to apply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example, coaters such as a gravure roll coater, reverse roll coater, kiss roll coater, dip roll coater, bar coater, knife coater, spray coater, comma coater, and direct coater may be used.

특히,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경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점착제 조성물이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광중합 개시제로서, 넓은 파장 범위에서 흡광 특성을 갖는 광중합 개시제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자외광에 추가하여, 가시광에서도 흡광 특성을 갖는 광중합 개시제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자외선 흡수제의 작용에 의해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경화의 저해가 염려되는 바, 넓은 파장 범위에서 흡광 특성을 갖는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고 있으면,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높은 광경화성을 얻기 쉬워지기 때문이다.In particular, when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using an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 addition, when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s an ultraviolet absorb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t least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having light absorption characteristics in a wide wavelength range as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t least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that has light absorption properties not only in ultraviolet light but also in visible light. This is because there is a concern that curing by active energy rays may be inhibited by the action of the ultraviolet absorber, and it is easy to obtain high photocurability in the adhesive composition if it contain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with light absorption characteristics in a wide wavelength range.

<대전 방지층><Anti-static layer>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표면 또는 임의의 층간에 대전 방지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가 대전 방지층을 가짐으로써,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층은, 본 발명의 기재와 본 발명의 점착제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antistatic layer on the surface or between arbitrary layers. Because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ntistatic layer, damage to adherends such as image display panels can be prevented. The antistatic layer is preferably formed between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대전 방지층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도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도전 코팅액을 세퍼레이터 상에 코팅하여 형성되는 대전 방지층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도전 코팅액을 본 발명의 기재의 제1 면에 코팅하여 형성되는 대전 방지층이다. 구체적인 코팅의 방법으로서는, 롤 코팅법, 바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The antistatic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for example, an antistatic layer formed by coating a conductive coating liquid containing a conductive polymer on a separator. Specifically, it is an antistatic layer formed by coating, for example, a conductive coating liquid containing a conductive polymer on the first sid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coating methods include roll coating, bar coating, and gravure coating.

상기 도전성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어 π 공액계 도전성 폴리머에 폴리 음이온이 도핑된 도전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π 공액계 도전성 폴리머로서는,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폴리아세틸렌 등의 쇄상 도전성 폴리머를 들 수 있다. 폴리 음이온으로서는, 폴리스티렌술폰산, 폴리이소프렌술폰산, 폴리비닐술폰산, 폴리알릴술폰산, 폴리아크릴산에틸술폰산, 폴리메타크릴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onductive polymer include a conductive polymer in which a π-conjugated conductive polymer is doped with a polyanion. Examples of the π-conjugated conductive polymer include chain-shaped conductive polymers such as polythiophene, polypyrrole, polyaniline, and polyacetylene. Examples of polyanions include polystyrene sulfonic acid, polyisoprene sulfonic acid, polyvinyl sulfonic acid, polyallyl sulfonic acid, polyethyl sulfonic acid, and polymethacryl carboxylic acid.

상기 대전 방지층의 두께로서는, 바람직하게는 1nm 내지 1000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nm 내지 900nm이다. 상기 대전 방지층은, 1층만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이어도 된다.The thickness of the antistatic layer is preferably 1 nm to 1000 nm, and more preferably 5 nm to 900 nm. The antistatic layer may have only one layer or two or more layers.

<세퍼레이터><Separator>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점착제층 표면(본 발명의 점착제층 점착면)은, 사용 시까지는 세퍼레이터에 의해 보호되어 있어도 된다. 세퍼레이터는 점착제층의 보호재로서 사용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에 첩부할 때에 박리된다.I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tected by a separator until use. The separator is used as a protective material for the adhesive layer, and is peeled off when sticking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adherend.

상기 세퍼레이터로서는, 관용의 박리지 등을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박리 처리제에 의한 박리 처리층을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갖는 기재 외에, 불소계 폴리머(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 등)를 포함하는 저접착성 기재나, 무극성 폴리머(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등)를 포함하는 저접착성 기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separator, common release papers, etc. can be used. Specifically, for example, in addition to a base material having a release treatment layer with a release treatment agent on at least one surface, a fluorine-based polymer (e.g., polytetrafluoroethylene) , polychlorotrifluoroethylene, polyvinyl fluoride, polyvinylidene fluoride, tetrafluoroethylen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chlorofluoroethylene-vinylidene fluoride copolymer, etc.), A low-adhesion substrate containing a non-polar polymer (e.g., olefin resin such as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can be used.

상기 세퍼레이터로서는, 예를 들어 세퍼레이터용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박리 처리층이 형성되어 있는 세퍼레이터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세퍼레이터용 기재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 올레핀계 수지 필름(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나일론 필름), 레이온 필름 등의 플라스틱계 기재 필름(합성 수지 필름)이나 종이류(상질지, 일본 종이, 크라프트지, 글라신지, 합성지, 톱 코팅지 등) 외에, 이들을 라미네이트나 공압출 등에 의해, 복층화한 것(2 내지 3층의 복합체) 등을 들 수 있다.As the separator, for example, a separator in which a release treatment layer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eparator base material can be suitably used. Examples of such separator substrates include polyester films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s, etc.), olefin resin films (polyethylene films, polypropylene films, etc.), polyvinyl chloride films, polyimide films, polyamide films (nylon films), and rayon films. In addition to plastic base films (synthetic resin films) and papers (fine paper, Japanese paper, kraft paper, glassine paper, synthetic paper, top coated paper, etc.), these are multi-layered (2 to 3 layers) by lamination or co-extrusion, etc. complex), etc.

상기 박리 처리층을 구성하는 박리 처리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실리콘계 박리 처리제, 불소계 박리 처리제, 장쇄 알킬계 박리 처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박리 처리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peeling agent constituting the peeling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a silicone-based peeling agent, a fluorine-based peeling agent, a long-chain alkyl-based peeling agent, etc. can be used. The peeling treatment agent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상기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5 내지 100㎛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the range of 5 to 100 μm.

상기 세퍼레이터는, 화상 표시 패널 등의 피착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세퍼레이터용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대전 방지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대전 방지층은 세퍼레이터의 한쪽 면(박리 처리면 또는 미처리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세퍼레이터의 양면(박리 처리면 및 미처리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The separator may have an antistatic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eparator base material to prevent damage to adherends such as image display panels. The antistatic layer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parator (the peeled surface or the untreated side), or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parator (the peeled surface and the untreated side).

상기 대전 방지층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도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도전 코팅액을 세퍼레이터 상에 코팅하여 형성되는 대전 방지층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전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도전 코팅액을 세퍼레이터 상(박리 처리면 및/또는 미처리면)에 코팅하여 형성되는 대전 방지층이다. 구체적인 코팅의 방법으로서는, 롤 코팅법, 바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The antistatic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for example, an antistatic layer formed by coating a conductive coating liquid containing a conductive polymer on a separator. Specifically, it is an antistatic layer formed by coating, for example, a conductive coating liquid containing a conductive polymer on a separator (released surface and/or untreated surface). Specific coating methods include roll coating, bar coating, and gravure coating.

상기 도전성 폴리머로서는, 상기의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구성하는 대전 방지층을 구성하는 도전성 폴리머와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As the conductive polymer, one similar to the conductive polymer constituting the antistatic layer constituting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상기 대전 방지층의 두께로서는, 바람직하게는 1nm 내지 1000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nm 내지 900nm이다. 상기 대전 방지층은, 1층만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이어도 된다.The thickness of the antistatic layer is preferably 1 nm to 1000 nm, and more preferably 5 nm to 900 nm. The antistatic layer may have only one layer or two or more layers.

<표면 보호 필름><Surface protection film>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은, 표면 보호 필름에 의해 보호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은,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나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의 제조 시나 반송 시에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의 보호재로서 사용되는 것이다.I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tected by a surface protection film. The surface protection film is used as a protective material for the second sid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production or transportation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tiling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형성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의 에스테르계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계 수지(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이다.As forming materials for the surface protection film, 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s, cycloolefin resins such as norbornene resins, olefin resins such as polypropylene, polyamide resins, and polycarbonate resins. , their copolymer resins, etc. Preferably, it is an ester-based resin (especially polyethylene terephthalate-based resin).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두께는, 대표적으로는 20㎛ 내지 250㎛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이다.The thickness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is typically 20 μm to 250 μm, and preferably 30 μm to 150 μm.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은,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를 통해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에 박리 가능하게 접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을 형성하고, 이것을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에 접합한다.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적층에 사용되는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베이스 수지로 하고, 이 베이스 수지에,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등에서 선택되는 가교제, 나아가 실란 커플링제 등이 배합된 점착제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1㎛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이다. 점착제층이 너무 얇으면 점착성이 저하되는, 기포가 혼입되기 쉬워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너무 두꺼우면 점착제가 비어져 나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내약품성, 밀착성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The surface protection film is bonded in a peelable manner to the second side of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via any suitable adhesive. Preferably, a surface protection film with an adhesive layer is formed, and this is bonded to the second sid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used for lamination of the surface protection film includes, for example, an acrylic resin, a styrene resin, a silicone resin, etc. as a base resin, and a crosslinking agent selected from isocyanate compounds, epoxy compounds, aziridine compounds, etc. to this base resin. Furthermore,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silane coupling agent or the like can be mentione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usually 1 μm to 60 μm, preferably 3 μm to 30 μm. If the adhesive layer is too thin, there is a risk that problems such as lowered adhesiveness and air bubbles become more likely to occur, and if it is too thick, there is a risk that problems such as the adhesive protruding out may occur. From the viewpoint of chemical resistance, adhesion, etc., an acrylic adhesive is preferably used.

<화상 표시 장치><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와, 화상 표시 패널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는다. 도 3에 있어서, 화상 표시 장치(20)는, 광학용 점착 테이프(10B)의 점착제층(1)에 있어서, 화상 표시 패널(4)이 적층되어 있다.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mage display panel are laminated. In Fig. 3, in the image display device 20, the image display panel 4 is laminated on the adhesive layer 1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10B.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적층 구조 중에 갖기 때문에,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을 억제할 수 있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화상 표시 장치의 수축 또는 팽창에 충분히 추종하여, 들뜸이나 박리가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화상 표시 패널에 배선 등에 의한 요철 형상의 단차가 있는 경우, 당해 단차에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충분히 추종하고, 기포 등을 남기는 일 없이, 충전할 수 있다.Since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laminated structure, shrinkage or expansion under a use environment can be suppressed, and transparency can be maintained without change. Additionall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sufficiently follows the contraction or expans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so that lifting or peeling is unlikely to occur. Additionally, when the image display panel has uneven steps due to wiring or the like,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sufficiently follows the steps and can be filled without leaving bubbles or the like.

상기 화상 표시 패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액정 화상 표시 패널, 자발광형 화상 표시 패널(예를 들어, 유기 EL(일렉트로루미네센스) 화상 표시 패널, LED 화상 표시 패널) 등을 들 수 있다.The image display pane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image display panel, a self-luminous image display panel (e.g., an organic EL (electroluminescence) image display panel, an LED image display panel), etc. I can hear it.

상기 화상 표시 패널은, RGB의 소자가 교호로 배열되어서 형성되어 있고,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RGB의 소자 사이는, 블랙 매트릭스(BM)로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mage display panel is formed by alternating RGB elements, and in order to improve contrast,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es between the RGB elements are filled with a black matrix (BM).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 및 상기 화상 표시 패널 이외의 광학 부재를, 표면 또는 임의의 층간에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광학 부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편광판, 위상차판, 반사 방지 필름, 시야각 조정 필름, 광학 보상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부재에는, 화상 표시 장치나 입력 장치의 시인성을 유지하면서 장식이나 보호의 역할을 담당하는 부재(의장 필름, 장식 필름이나 표면 보호판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optical members other than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mage display panel on the surface or between arbitrary layers. The optical me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cludes a polarizing plate, a retardation plate, an anti-reflection film, a viewing angle adjustment film, and an optical compensation film. In addition, the optical member shall also include members (design film, decorative film, surface protection plate, etc.) that play a role of decoration or protection while maintaining visibility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r input device.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화상 표시 패널과,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을 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bonding the image display panel and the adhesive layer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는, 화상 표시 패널과 본 발명의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첩부는, 가열 및/또는 가압 하에서 적층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가열 및/또는 가압 하에서 적층시킨 후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를 행해도 된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는, 본 발명의 점착제층 형성과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ttachment of the image display panel and the optical adhesive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by laminating them under heating and/or pressure. After laminating under heating and/or pressure, curing may be performed by irradiating active energy rays. Irradiation of active energy rays can be performed similarly to the formation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타일링 디스플레이><Tiling display>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는,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도 4에 있어서, 타일링 디스플레이(30)는, 9매의 화상 표시 장치(20)(적층 구조는 도시 생략)를 3×3의 배열로, 지지 기판(31) 상에 타일상으로 나열하여 형성되어 있고, 화상 표시 장치(20)끼리는 간극(32)에서 접하고 있다. 상기 지지 기판으로서는, 본 발명의 기재와 마찬가지의 유리판이나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The tiling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the tiling display 30 is formed by arranging nine image display devices 20 (stacked structure not shown) in a 3×3 arrangement on a support substrate 31 in a tile shape. and the image display devices 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gap 32. As the support substrate, a glass plate or plastic film similar to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의 수축 또는 팽창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복수의 화상 표시 장치 사이에 틈새나 겹침이 발생하기 어렵고, 간극이 눈에 띄기 어렵고, 양호한 외관이 유지된다. 또한, 수축 또는 팽창이 적고, 투명성을 변화 없이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은, 화상 표시 장치의 수축 또는 팽창에 충분히 추종하고, 들뜸이나 박리가 발생하는 것에 의한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ressed from shrinking or expanding under the usage environment, gaps or overlaps are unlikely to occur between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in the tiling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gaps are less likely to be noticeable. It is difficult and a good appearance is maintained. Additionally, there is little shrinkage or expansion, and transparency can be maintained without change. Additionally,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sufficiently follows the contraction or expans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nd can prevent problems caused by lifting or peeling.

또한,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재의 제2 면에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기판 상에 배치된 금속 배선이나 ITO 배선 등에 의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타일링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 사이의 간극이 시인되기 어려워지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Additionally, in the tiling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ti-reflection treatment and/or anti-glare treatment is applied to the second side of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wiring or ITO disposed on the substrat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desirable because it can prevent reflection due to wiring, etc. Additionally, in a tiling display, it is also preferable in that gaps between the image display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become difficult to be recognized.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는,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 및 상기 지지 기판 이외의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부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백라이트, 터치 센서 등을 들 수 있다.The tiling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members other than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upport substrate. Such members include, bu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o, backlights, touch sensors, and the like.

본 발명의 타일링 디스플레이는, 상기 지지 기판 상에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복수매를 간극 없이 배열하고, 최표면을 유리로 밀봉하는 것 등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The tiling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sheet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support substrate without gaps and fixing the outermost surface by sealing with glass or the like.

실시예Example

이하에,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elow,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제조예 1Manufacturing Example 1

(방현성 필름 1의 조제)(Preparation of anti-glare film 1)

〔방현층 1 형성용 도공액의 조제〕[Preparation of coating solution for forming anti-glare layer 1]

방현층 형성 재료에 포함되는 수지로서, 자외선 경화형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신나카무라 가가쿠사제, 상품명 「NK 올리고 UA-53H-80BK」) 40중량부와,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오사까 유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비스코트 #300」) 57.5중량부와, 지르코니아 입자와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광학 조정층용 조성물의 희석액(「옵스터 Z7540」, JSR사제) 2.5중량부와, 실리콘 입자(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재팬 고도 가이샤제, 상품명 「토스펄 130ND」) 2.8중량부와, 틱소트로피 부여제로서 유기 점토인 합성 스멕타이트(구니미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스메쿠톤 SAN」) 2.5중량부와, 광중합 개시제(BASF사제, 상품명 「OMNIRAD907」) 3중량부와, 가교 아크릴 스티렌 공중합 수지의 미립자(세키스이 가세힝 고교사제 상품명 「SSX-103DXE」) 6.5중량부와, 레벨링제(교에샤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LE-303」) 0.1중량부를 혼합하였다. 또한, 상기 유기 점토는, 톨루엔으로 고형분이 6중량%가 되도록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이 혼합물을, 고형분 농도가 38중량%가 되도록, 톨루엔/시클로펜타논(CPN) 혼합 용매(중량비 64/36)로 희석하고, 초음파 분산기를 사용하여, 방현층 형성 재료(도공액)를 조제하였다.The resin contained in the anti-glare layer forming material contains 40 parts by weight of ultraviolet curable urethane acrylate resin (manufactured by Shinnakamura Chemical Company, brand name "NK Oligo UA-53H-80BK") and pentaerythritol triacrylate as main components. 57.5 parts by weight of functional acrylate (manufactured by Osaka Yuki Chemical Co., Ltd., brand name "Viscott #300") and a diluent of a composition for an optical adjustment layer containing zirconia particles and ultraviolet curable resin ("Obster Z7540", JSR 2.5 parts by weight of silicon particles (made by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Japan Godo Kaisha, brand name “Tospearl 130ND”), 2.8 parts by weight of synthetic smectite, an organic clay as a thixotropy imparting agent (Kunimine High School Gabbu) 2.5 parts by weight of Shiki Kaisha, brand name “Smekuton SAN”), 3 parts by weight of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manufactured by BASF, brand name “OMNIRAD907”), and fine particles of cross-linked acrylic styrene copolymer resin (product name “SSX-, manufactured by Sekisui Chemical Industries, Ltd.) 6.5 parts by weight of “103DXE”) and 0.1 part by weight of leveling agent (manufactured by Kyoesha Chemical Co., Ltd., brand name “LE-303”) were mixed. In addition, the organic clay was diluted with toluene so that the solid content was 6% by weight. This mixture was diluted with a toluene/cyclopentanone (CPN) mixed solvent (weight ratio 64/36) so that the solid concentration was 38% by weight, and an anti-glare layer forming material (coating liquid) was prepared using an ultrasonic disperser. .

〔방현층 1의 형성〕[Formation of anti-glare layer 1]

기재로서,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PET 필름,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38U413」, 두께: 38㎛)를 준비하였다. 상기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편면에, 상기 방현층 형성 재료(도공액)를, 와이어 바를 사용하여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도공 공정). 계속해서, 95℃에서 1분간 가열함으로써 상기 도막을 건조시켰다(건조 공정). 그 후, 고압 수은 램프로 적산 광량 3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고, 상기 도막을 경화 처리하여 두께 6.5㎛의 방현층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광투과성 기재와 상기 방현층 1의 적층체를 얻었다.As a substrate, a transparent plastic film substrate (PET film, Toray Co., Ltd. product name “38U413”, thickness: 38 μm) was prepared. The anti-glare layer forming material (coating solution) was applied to one side of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substrate using a wire bar to form a coating film (coating process). Subsequently, the coating film was dried by heating at 95°C for 1 minute (drying process). Afterwards, ultraviolet rays with a cumulative amount of 300 mJ/cm2 were irradiated with a high-pressure mercury lamp, and the coating film was cured to form an anti-glare layer with a thickness of 6.5 μm. In this way, a laminate of the light-transmitting substrate and the anti-glare layer 1 was obtained.

〔반사 방지층 1 형성용 도공액의 조제〕[Preparation of coating liquid for forming anti-reflection layer 1]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오사까 유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비스코트 #300」) 100중량부와, 중공 나노실리카 입자(닛키 쇼쿠바이 가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스룰리아 5320」) 100중량부와, 중실 나노실리카 입자(닛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상품명 「MIBK-ST」, 고형분 30중량%, 중량 평균 입자경 10nm) 40중량부와, 불소 원소 함유 첨가제(신에쯔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상품명 「KY-1203」) 12중량부와, 광중합 개시제(BASF사제, 상품명 「OMNIRAD907」) 5중량부와, 광중합 개시제(BASF사제, 상품명 「OMNIRAD2959」) 5중량부를 혼합하였다. 그의 혼합물에, 희석 용매로서 MIBK(메틸이소부틸케톤) 및 PMA(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70:30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를 첨가하여 전체의 고형분이 1.5중량%가 되도록 하고, 교반하여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을 조제하였다.100 parts by weight of a multifunctional acrylate containing pentaerythritol triacrylate as a main component (manufactured by Osaka Yuki Chemical Industries, Ltd., brand name "Viscott #300"), and hollow nanosilica particles (Nikki Shokubai Kasei Industries, Ltd.) 100 parts by weight of solid nanosilica particles (manufactured by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brand name "MIBK-ST", solid content 30% by weight,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10nm), 100 parts by weight, , 12 parts by weight of a fluorine element-containing additive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brand name “KY-1203”), 5 parts by weight of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manufactured by BASF, brand name “OMNIRAD907”), and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manufactured by BASF). , brand name “OMNIRAD2959”) were mixed. To this mixture, a mixed solvent of MIBK (methyl isobutyl ketone) and PMA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in a 70:30 weight ratio was added as a diluting solvent, so that the total solid content was 1.5% by weight, and stirred. A coating liquid for forming an antireflection layer was prepared.

〔반사 방지층 1의 형성〕[Formation of anti-reflection layer 1]

상기 광투과성 기재와 상기 방현층 1의 적층체의 방현층 면에, 상기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을 와이어 바로 도공하였다(도공 공정). 상기 도공한 도공액을 80℃에서 1분간 가열하고, 건조시켜서 도막을 형성하였다(건조 공정). 건조 후의 상기 도막에, 고압 수은 램프로 적산 광량 3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 처리하였다(경화 공정). 이에 의해, 상기 도막을 경화시켜, 두께 0.1㎛의 반사 방지층 1을 형성하였다(반사 방지층 형성 공정).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제조예 1의 방현성 필름 1을 제조하였다.The coating liquid for forming an anti-reflection layer was applied to the anti-glare layer surface of the laminate of the light-transmitting substrate and the anti-glare layer 1 using a wire bar (coating process). The above-described coating liquid was heated at 80°C for 1 minute and dried to form a coating film (drying process). The dried coating film was cur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with an accumulated light amount of 300 mJ/cm2 using a high-pressure mercury lamp (curing process). As a result, the coating film was cured to form an anti-reflection layer 1 with a thickness of 0.1 μm (anti-reflection layer forming step). As described above, anti-glare film 1 of this Production Example 1 was manufactured.

제조예 2Production example 2

(방현성 필름 2의 조제)(Preparation of anti-glare film 2)

〔방현층 2의 형성〕[Formation of anti-glare layer 2]

방현층 형성용 도공액의 조제에 있어서, 상기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의 배합량을 60중량부로 변경한 것과, 실리콘 입자의 배합량을 0.9중량부로 변경한 것과, 틱소트로피 부여제로서 유기 점토인 합성 스멕타이트를 1.5중량부로 변경한 것과, 지르코니아 입자와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광학 조정층용 조성물의 희석액과, 가교 아크릴 스티렌 공중합 수지의 미립자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상기 광투과성 기재와 방현층 2의 적층체를 제조하였다.In the preparation of a coating solution for forming an anti-glare layer, the blending amount of the polyfunctional acrylate containing pentaerythritol triacrylate as a main component was changed to 60 parts by weight, the blending amount of silicon particles was changed to 0.9 parts by weight, and thixotropy Production Example 1, except that 1.5 parts by weight of synthetic smectite, an organic clay, was changed as an imparting agent, a diluent of the composition for an optical adjustment layer containing zirconia particles and an ultraviolet curable resin, and fine particles of a crosslinked acrylic styrene copolymer resin were not used. A laminate of the light-transmitting substrate and anti-glare layer 2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반사 방지층 2의 형성〕[Formation of anti-reflection layer 2]

반사 방지층 형성용 도공액의 조제에 있어서, 상기 중공 나노실리카 입자의 배합량을 240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반사 방지층 2를 형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제조예 2의 방현성 필름 2를 제조하였다.In preparing the coating solution for forming an anti-reflection layer, anti-reflection layer 2 wa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mixing amount of the hollow nano-silica particles was changed to 240 parts by weight. As described above, anti-glare film 2 of Production Example 2 was manufactured.

제조예 3Production example 3

(방현성 필름 3의 조제)(Preparation of anti-glare film 3)

방현층의 형성에 있어서, 기재로서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COP 필름, 닛폰 제온(주)제, 상품명 「ZF14」, 두께: 50㎛)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본 제조예 3의 방현성 필름 3을 제조하였다.In the formation of the anti-glare layer, this production example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production example 1, except that a transparent plastic film substrate (COP film, manufactured by Nippon Zeon Co., Ltd., brand name “ZF14”, thickness: 50 μm) was used as the substrate. Anti-glare film 3 of 3 was prepared.

제조예 4Production example 4

(방현성 필름 4의 조제)(Preparation of anti-glare film 4)

방현층의 형성에 있어서, 기재로서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PEN 필름, 도요보(주)제, 상품명 「Q51」, 두께: 25㎛)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본 제조예 4의 방현성 필름 4를 제조하였다.In the formation of the anti-glare layer, this production example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production example 1, except that a transparent plastic film substrate (PEN film, manufactured by Toyobo Co., Ltd., brand name “Q51”, thickness: 25 μm) was used as the substrate. Anti-glare film 4 of 4 was prepared.

제조예 5Production example 5

(방현성 필름 5의 조제)(Preparation of anti-glare film 5)

방현층의 형성에 있어서, 기재로서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PEEK 필름, 구라보(주)제, 상품명 「EXPEEK」, 두께: 50㎛)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본 제조예 5의 방현성 필름 5를 제조하였다.In the formation of the anti-glare layer, this production example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production example 1, except that a transparent plastic film substrate (PEEK film, manufactured by Kurabo Co., Ltd., brand name “EXPEEK”, thickness: 50 μm) was used as the substrate. Anti-glare film 5 of 5 was prepared.

제조예 6Production example 6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의 제조)(Manufacture of transparent plastic film substrate)

이소소르비드(이하 「ISB」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 81.98질량부에 대하여,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이하 「TCDDM」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 47.19질량부, 디페닐카르보네이트(이하 「DPC」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 175.1질량부 및 촉매로서, 탄산세슘 0.2질량% 수용액 0.979질량부를 반응 용기에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반응의 제1 단째의 공정으로서, 가열 조 온도를 150℃로 가열하고, 필요에 따라 교반하면서, 원료를 용해시켰다(약 15분). 이어서, 압력을 상압으로부터 13.3kPa로 하고, 가열 조 온도를 190℃까지 1시간으로 상승시키면서, 발생하는 페놀을 반응 용기 외로 발출하였다. 반응 용기 전체를 190℃에서 15분 유지한 후, 제2 단째의 공정으로서, 반응 용기 내의 압력을 6.67kPa로 하고, 가열 조 온도를 230℃까지, 15분으로 상승시켜서, 발생하는 페놀을 반응 용기 외로 발출하였다. 교반기의 교반 토크가 상승해 오므로, 8분에 250℃까지 승온하고, 또한 발생하는 페놀을 제거하기 위해서, 반응 용기 내의 압력을 0.200kPa 이하에 도달시켰다. 소정의 교반 토크에 도달 후, 반응을 종료하고, 생성된 반응물을 수중에 압출하여,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의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를 80℃에서 5시간 진공 건조를 한 후, 단축 압출기(시바우라 기카이(주)제, 실린더 설정 온도: 250℃), T 다이(폭 300mm, 설정 온도: 250℃), 냉각 롤(설정 온도: 120 내지 130℃) 및 권취기를 구비한 필름 제막 장치를 사용하여, 두께 40㎛의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로 구성되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를 제작하였다.For 81.98 parts by mass of isosorbide (hereinafter sometimes abbreviated as “ISB”), 47.19 parts by mass of tricyclodecane dimethanol (hereinafter sometimes abbreviated as “TCDDM”), diphenyl carbonate (hereinafter as “TCDDM”) 175.1 parts by mass and 0.979 parts by mass of a 0.2 mass% aqueous solution of cesium carbonate as a catalyst are charged into a reaction vessel, and in a nitrogen atmosphere, as the first step of the reaction, the heating tank temperature is set to 150°C. While heating and stirring as necessary, the raw materials were dissolved (about 15 minutes). Next, the pressure was set to 13.3 kPa from normal pressure, and the heating tank temperature was raised to 190°C for 1 hour, while the generated phenol was discharged outside the reaction vessel. After maintaining the entire reaction vessel at 190°C for 15 minutes, as a second stage process, the pressure inside the reaction vessel is set to 6.67 kPa, the heating bath temperature is raised to 230°C for 15 minutes, and the generated phenol is transferred to the reaction vessel. It was released outside. As the stirring torque of the stirrer increased,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250°C in 8 minutes, and in order to remove the generated phenol, the pressure in the reaction vessel was brought to 0.200 kPa or less. After reaching a predetermined stirring torque, the reaction was terminated, and the resulting reaction product was extruded into water to obtain polycarbonate resin pellets. After vacuum drying the obtained polycarbonate resin at 80°C for 5 hours, it was extruded into a single screw extruder (manufactured by Shibaura Kikai Co., Ltd., cylinder set temperature: 250°C) and T die (width 300 mm, set temperature: 250°C). , a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composed of polycarbonate resin with a thickness of 40 μm was produced using a film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cooling roll (set temperature: 120 to 130° C.) and a winder.

(방현성 필름 6의 조제)(Preparation of anti-glare film 6)

방현층의 형성에 있어서, 기재로서 상기에서 얻어진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로 구성되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본 제조예 6의 방현성 필름 6을 제조하였다.In forming the anti-glare layer, anti-glare film 6 of Production Example 6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Produc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made of the polycarbonate resin obtained above was used as the base material.

제조예 7Production example 7

(방현성 필름 7의 조제)(Preparation of anti-glare film 7)

방현층의 형성에 있어서, 기재로서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CPI 필름, KOLON사제, 상품명 「C_50_D」, 두께: 50㎛)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본 제조예 7의 방현성 필름 7을 제조하였다.In the formation of the anti-glare layer, the anti-glare properties of Preparation Example 7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a transparent plastic film base material (CPI film, manufactured by KOLON, brand name "C_50_D", thickness: 50 μm) was used as the base material. Film 7 was prepared.

제조예 8Production example 8

(방현성 필름 8의 조제)(Preparation of anti-glare film 8)

방현층의 형성에 있어서, 기재로서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TAC 필름, 후지 필름(주)제, 상품명 「TD80UL」, 두께: 80㎛)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본 제조예 8의 방현성 필름 8을 제조하였다.In the formation of the anti-glare layer, this production example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production example 1, except that a transparent plastic film substrate (TAC film, manufactured by Fujifilm Co., Ltd., brand name “TD80UL”, thickness: 80 μm) was used as the substrate. Anti-glare film 8 was prepared.

제조예 9Production example 9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의 조제)(Preparation of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1)

〔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조제〕[Preparation of acrylic oligomer]

모노머 성분으로서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DCPMA) 60중량부 및 메타크릴산메틸(MMA) 40중량부, 연쇄 이동제로서 α-티오글리세롤 3.5중량부 및 중합 용매로서 톨루엔 100중량부를 혼합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70℃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이어서, 열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2중량부를 투입하고, 70℃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80℃로 승온해서 2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반응액을 130℃로 가열하여, 톨루엔, 연쇄 이동제 및 미반응 모노머를 건조 제거하고, 고형상의 아크릴계 올리고머(아크릴계 올리고머 A)를 얻었다. 아크릴계 올리고머 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100, 유리 전이 온도(Tg)는 130℃였다.60 parts by weight of dicyclopentanyl methacrylate (DCPMA) and 40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MMA) as monomer components, 3.5 parts by weight of α-thioglycerol as a chain transfer agent, and 100 parts by weight of toluene as a polymerization solvent were mixed under a nitrogen atmosphere. It was stirred at 70°C for 1 hour. Next, 0.2 parts by weight of 2,2'-azobisisobutyronitrile (AIBN) was added as a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reaction was performed at 70°C for 2 hours, then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80°C and reaction was performed for 2 hours. Thereafter, the reaction solution was heated to 130°C, toluene, chain transfer agent, and unreacted monomer were removed by drying, and a solid acrylic oligomer (acrylic oligomer A) was obtaine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crylic oligomer A was 5100,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was 130°C.

〔프리폴리머 및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의 조제〕[Preparation of prepolymer and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1]

프리폴리머 형성용 모노머 성분으로서, 라우릴아크릴레이트(LA) 60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22중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8중량부 및 N-비닐-2-피롤리돈(NVP) 10중량부, 그리고 광중합 개시제로서 BASF제 「Omnirad184」 0.1중량부, BASF제 「Omnirad651」 0.1중량부를 배합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중합을 행하고,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의 프리폴리머 조성물 100중량부에, 후첨가 성분으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37중량부,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상품명 「A-HD-N」, 신나카무라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0.08중량부, 상기의 아크릴계 올리고머 A 6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신에쓰 가가꾸제 「KBM403」) 0.3중량부를 첨가한 후,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을 조제하였다.As a monomer component for forming a prepolymer, 60 parts by weight of lauryl acrylate (LA), 22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2EHA), 8 parts by weight of 4-hydroxybutylacrylate (4HBA), and N-vinyl-2 - 10 parts by weight of pyrrolidone (NVP) and 0.1 part by weight of “Omnirad184” manufactured by BASF and 0.1 part by weight of “Omnirad651” manufactured by BASF as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were mixed, polymerization was performed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and a prepolymer composition was obtain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above prepolymer composition, as post-addition components, 37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2EHA) and 1,6-hexanediol diacrylate (product name "A-HD-N", Shinnakamura Chemical) After adding 0.08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oligomer A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6 parts by weight of the above-described acrylic oligomer A, and 0.3 parts by weight of a silane coupling agent (“KBM403”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they were mixed uniformly to prepare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1. did.

제조예 10Production example 10

(프리폴리머 및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2의 조제)(Preparation of prepolymer and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2)

프리폴리머 형성용 모노머 성분으로서, 부틸아크릴레이트(BA) 67중량부,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오사까 유끼 가가꾸 고교사제 「비스코트 #155」) 14중량부 및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19중량부, 그리고 광중합 개시제로서 BASF제 「Omnirad184」 0.09중량부, BASF제 「Omnirad651」 0.09중량부를 배합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중합을 행하고,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의 프리폴리머 조성물 100중량부에, 후첨가 성분으로서, 히드록실에틸아크릴레이트(HEA) 9중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8중량부,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PHA) 0.02중량부, 광중합 개시제(BASF제 「Omnirad651」) 0.3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신에쓰 가가꾸제 「KBM403」) 0.35중량부를 첨가한 후,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2를 조제하였다.As the monomer component for forming the prepolymer, 67 parts by weight of butylacrylate (BA), 14 parts by weight of cyclohexyl acrylate (“Viscott #155” manufactured by Osaka Yuki Chemical Co., Ltd.), and 19 parts by weight of 4-hydroxybutylacrylate (4HBA) parts by weight, and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0.09 parts by weight of "Omnirad184" manufactured by BASF and 0.09 parts by weight of "Omnirad651" manufactured by BASF were mixed, polymerization was performed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and a prepolymer composition was obtained.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bove prepolymer composition, post-addition components include 9 parts by weight of hydroxylethyl acrylate (HEA), 8 parts by weight of 4-hydroxybutylacrylate (4HBA), and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DPHA). After adding 0.02 parts by weight, 0.3 parts by weight of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Omnirad651” manufactured by BASF), and 0.35 parts by weight of a silane coupling agent (“KBM403”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they were mixed uniformly to prepare an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2. .

제조예 11Production example 11

(프리폴리머 및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3의 조제)(Preparation of prepolymer and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3)

프리폴리머 형성용 모노머 성분으로서,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78중량부, 히드록실에틸아크릴레이트(HEA) 4중량부 및 N-비닐-2-피롤리돈(NVP) 18중량부, 그리고 광중합 개시제로서 BASF제 「Omnirad184」 0.035중량부, BASF제 「Omnirad651」 0.035중량부를 배합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중합을 행하고, 프리폴리머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의 프리폴리머 조성물 100중량부에, 후첨가 성분으로서, 히드록실에틸아크릴레이트(HEA) 17.6중량부,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상품명 「A-HD-N」, 신나카무라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0.294중량부, 상기의 아크릴계 올리고머 A 11.8중량부 및 실란 커플링제(신에쓰 가가꾸제 「KBM403」) 0.35중량부를 첨가한 후, 이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3을 조제하였다.As a monomer component for forming a prepolymer, 78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2EHA), 4 parts by weight of hydroxylethyl acrylate (HEA), and 18 parts by weight of N-vinyl-2-pyrrolidone (NVP), and photopolymerization. As an initiator, 0.035 parts by weight of "Omnirad184" manufactured by BASF and 0.035 parts by weight of "Omnirad651" manufactured by BASF were blended, polymerization was performed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and a prepolymer composition was obtained. 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bove prepolymer composition, as post-addition components, 17.6 parts by weight of hydroxylethyl acrylate (HEA) and 1,6-hexanediol diacrylate (product name "A-HD-N", Shinnakamura Chemical Co., Ltd. After adding 0.294 parts by weight of Shikigai Co., Ltd., 11.8 parts by weight of the above-described acrylic oligomer A, and 0.35 parts by weight of a silane coupling agent (“KBM403”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they were mixed uniformly to prepare an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3. .

실시예 1Example 1

(무기재 점착제층 1의 조제)(Preparation of inorganic adhesive layer 1)

표면에 실리콘계 이형층이 마련된 두께 7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미쓰비시 케미컬제 「다이어포일 MRF75」)을 기재(겸중 박리 필름)로서, 기재의 이형층 상에 상기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을 두께 25㎛가 되도록 도포하여 도포층을 형성하였다. 이 도포층 상에, 커버 시트(겸경 박리 필름)로서 편면이 실리콘 박리 처리된 두께 75㎛의 PET 필름(미쓰비시 케미컬제 「다이어포일 MRE75」)의 이형층을 접합하였다. 이 적층체에, 커버 시트측으로부터, 램프 바로 아래의 조사면에 있어서의 조사 강도가 5mW/㎠가 되도록 위치 조절한 블랙 라이트에 의해,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경화를 행하고, 두께 25㎛의 무기재 점착제층 1을 얻었다.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Diafoil MRF75”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with a thickness of 75 μm provided with a silicone-based release layer on the surface was used as a substrate (double-release film), and the above-mentioned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1 was applied on the release layer of the substrate. It was applied to a thickness of 25㎛ to form an application layer. On this application layer, a release layer of PET film (“Diafoil MRE75”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mpany) with a thickness of 75 μm, one side of which had been treated with silicone peeling, was bonded as a cover sheet (combined peeling film). This laminate was photocur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from the cover sheet side with a black light whose position was adjusted so that the irradiation intensity on the irradiation surface immediately below the lamp was 5 mW/cm2, and an inorganic material with a thickness of 25 μm was formed. Adhesive layer 1 was obtained.

(점착 테이프 1의 조제)(Preparation of adhesive tape 1)

상기에서 얻어진 무기재 점착제층 1로부터 한쪽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여 노출시킨 점착면을, 제조예 1에서 나타낸 방현성 필름 1의 비방현층 면에 첩부함으로써, 방현성 필름 1/점착제층 1/박리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1을 얻었다.By peeling off one side of the release film from the inorganic adhesive layer 1 obtained above and attaching the exposed adhesive side to the non-glare layer side of the anti-glare film 1 shown in Production Example 1, anti-glare film 1/adhesive layer 1/release film is obtained. Adhesive tape 1 containing was obtained.

실시예 2Example 2

(점착 테이프 2의 조제)(Preparation of adhesive tape 2)

상기에 기재한 방현성 필름 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성 필름 2/점착제층 1/박리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2를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nti-glare film 2 described above was used, adhesive tape 2 comprising anti-glare film 2/adhesive layer 1/release film was obtained.

실시예 3Example 3

(무기재 점착제층 2의 조제)(Preparation of inorganic adhesive layer 2)

상기에 기재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25㎛의 무기재 점착제층 2를 얻었다.Except for using the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2 described above,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performed to obtain an inorganic adhesive layer 2 with a thickness of 25 μm.

(점착 테이프 3의 조제)(Preparation of adhesive tape 3)

상기에서 얻어진 무기재 점착제층 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성 필름 1/점착제층 2/박리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3을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inorganic adhesive layer 2 obtained above was used, adhesive tape 3 comprising anti-glare film 1/adhesive layer 2/release film was obtained.

실시예 4Example 4

(점착 테이프 4의 조제)(Preparation of adhesive tape 4)

상기에 기재한 방현성 필름 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성 필름 3/점착제층 1/박리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4를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nti-glare film 3 described above was used, adhesive tape 4 comprising anti-glare film 3/adhesive layer 1/release film was obtained.

실시예 5Example 5

(점착 테이프 5의 조제)(Preparation of adhesive tape 5)

상기에 기재한 방현성 필름 4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성 필름 4/점착제층 1/박리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5를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nti-glare film 4 described above was used, adhesive tape 5 comprising anti-glare film 4/adhesive layer 1/release film was obtained.

실시예 6Example 6

(점착 테이프 6의 조제)(Preparation of adhesive tape 6)

상기에 기재한 방현성 필름 5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성 필름 5/점착제층 1/박리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6을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nti-glare film 5 described above was used, adhesive tape 6 comprising anti-glare film 5/adhesive layer 1/release film was obtained.

실시예 7Example 7

(점착 테이프 7의 조제)(Preparation of adhesive tape 7)

상기에 기재한 방현성 필름 6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성 필름 6/점착제층 1/박리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7를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nti-glare film 6 described above was used, adhesive tape 7 comprising anti-glare film 6/adhesive layer 1/release film was obtained.

실시예 8Example 8

(점착 테이프 8의 조제)(Preparation of adhesive tape 8)

상기에 기재한 방현성 필름 7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성 필름 7/점착제층 1/박리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8을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nti-glare film 7 described above was used, adhesive tape 8 comprising anti-glare film 7/adhesive layer 1/release film was obtained.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점착 테이프 9의 조제)(Preparation of adhesive tape 9)

상기에 기재한 방현성 필름 8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성 필름 8/점착제층 1/박리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9를 얻었다.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nti-glare film 8 described above was used, adhesive tape 9 comprising anti-glare film 8/adhesive layer 1/release film was obtained.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무기재 점착제층 3의 조제)(Preparation of inorganic adhesive layer 3)

상기에 기재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25㎛의 무기재 점착제층 3을 얻었다.Except for using the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3 described above,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performed to obtain an inorganic adhesive layer 3 with a thickness of 25 μm.

(점착 테이프 10의 조제)(Preparation of adhesive tape 10)

상기에 기재한 방현성 필름 8 및 무기재 점착제층 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방현 필름 8/점착제층 3/박리 필름을 포함하는 점착 테이프 10을 얻었다.Except for using the anti-glare film 8 and the inorganic adhesive layer 3 described above,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performed to obtain adhesive tape 10 including anti-glare film 8/adhesive layer 3/release film.

(평가)(evaluation)

상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이하의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The following evaluations were performed using the adhesive tapes obtained in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evaluation method is shown below.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1) 평균 치수 변화율(1) Average dimensional change rate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 준비한 점착 테이프를, MD 방향 100mm×TD 방향 100mm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정사각 형상으로 절단하고, 그 네 구석의 각각에 크로스 패턴의 흠집을 발생시켜, 시험편을 제작하였다.The adhesive tape prepared in each example and each comparative example was cut into a roughly square shape when viewed from the plane of 100 mm in the MD direction x 100 mm in the TD direction, and scratches in a cross pattern were created at each of the four corners to produce a test piece.

가열 전의 시험편(25℃)에 있어서, 흠집(크로스 패턴 중심)의 MD 방향 사이의 거리(길이) 및 그 TD 방향 사이의 거리(길이)를, CNC 3차원 측정기(미츠토요사제, 「LEGEX774」)를 사용하여 실온(25℃)에서 측정하였다. 이에 의해, MD 방향 및 TD 방향 각각에 있어서, 가열 전의 길이를 얻었다.In the test piece before heating (25°C), the distance (length) between the MD direction of the scratch (cross pattern center) and the distance (length) between the TD direction were measured using a CNC three-dimensional measuring machine (Mittoyo Corporation, “LEGEX774”). It was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25°C) using . As a result, the length before heating was obtained in each of the MD and TD directions.

이어서, 시험편을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 500시간 가열한 후, 실온(25℃)에서 1시간 방랭하였다. 그 후, 흠집의 MD 방향 사이의 거리 및 TD 방향 사이의 거리를, CNC 3차원 측정기를 측정하였다. 이에 의해, MD 방향 및 TD 방향의 각각에 있어서, 가열 후의 길이를 얻었다. 이어서, 하기의 식에 의해, MD 방향 및 TD 방향 각각에 있어서, 치수 변화율 A1, A2를 산출하고, 그 평균값을 평균 치수 변화율(%)로 하였다. 또한, TD 방향의 치수 변화율에 대한 MD 방향의 치수 변화율의 비율(A1/A2)을 구하였다.Next, the test piece was heated for 500 hours in an environment of 60°C and 90% relative humidity, and then allowed to cool at room temperature (25°C) for 1 hour. After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MD and TD directions of the scratches was measured using a CNC three-dimensional measuring machine. As a result, the length after heating was obtained in each of the MD and TD directions. Next, the dimensional change rates A1 and A2 were calculated in each of the MD and TD directions using the following formula, and the average value was taken as the average dimensional change rate (%). Additionally, the ratio (A1/A2) of the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MD direction to the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TD direction was obtained.

치수 변화율(%)=[가열 후의 길이(mm)-가열 전의 길이(mm)]/가열 전의 길이(mm)×100Dimensional change rate (%) = [Length after heating (mm) - Length before heating (mm)] / Length before heating (mm) × 100

평균 치수 변화율(%)=[MD 방향의 치수 변화율+TD 방향의 치수 변화율]/2Average dimensional change rate (%) = [dimensional change rate in MD direction + dimensional change rate in TD direction]/2

(2) 최대 컬양(2) Maximum curl amount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 준비한 점착 테이프의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PET 필름(미쓰비시 케미컬(주)제, 상품명 「다이어포일 T100E50」, 두께: 50㎛)을 첩부하여, 얻어진 적층체를 100mm×100mm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정사각 형상으로 절단하고, 시험편을 제작하였다.The release film of the adhesive tape prepared in each example and each comparative example was peeled off, a PET film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 Ltd., brand name “Diafoil T100E50”, thickness: 50 μm) was attached, and the obtained laminate was formed into a 100 mm It was cut into a roughly square shape when viewed from a 100 mm plane, and a test piece was produced.

이어서, 시험편을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 500시간 가열한 후, 실온(25℃)에서 1시간 방랭하였다. 그 후, 컬이 볼록으로 되어 있는 면이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각의 4점의 수평면으로부터 거리를 측정하고, 수평면으로부터 가장 긴 점의 거리를 최대 컬양(mm)으로 하였다.Next, the test piece was heated for 500 hours in an environment of 60°C and 90% relative humidity, and then allowed to cool at room temperature (25°C) for 1 hour. After that, it was placed on a horizontal surface so that the surface where the curl was convex was at the bottom, the distance from the horizontal surface at each of the four points was measured, and the distance of the longest point from the horizontal surface was taken as the maximum amount of curl (mm).

또한, 상기 적층체의 상기 PET 필름측을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측정한 최대 컬양을 +, 상기 적층체의 상기 기재측(상기 PET 필름의 반대 측)을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측정한 최대 컬양을 -로 하였다.In addition, the maximum curl amount measured with the PET film side of the laminate placed on a horizontal plane is +, and the maximum curl amount measured with the substrate side of the laminate (opposite side of the PET film) placed on a horizontal plane is placed on the bottom side. The maximum curl amount was set to -.

(3) 반사율(3) Reflectance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을, 흑색의 아크릴판에 첩부하고, 시험편으로 하였다. 얻어진 시험편을, 분광 광도계 U4100(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사제)에 점착 테이프측을 광원측에 설치하고, 5° 정반사의 가시광 영역의 반사율(%)을 측정하였다.The 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tape obtained in each example and each comparative example was affixed to a black acrylic board to serve as a test piece. The obtained test piece was placed on a spectrophotometer U4100 (manufactured by Hitachi High-Technologies) with the adhesive tape side facing the light source, and the reflectance (%) in the visible light region at 5° regular reflection was measured.

(4) 헤이즈(4) Haze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테이프를, 헤이즈 측정 장치(무라까미 시끼사이 겡뀨쇼제 HR-100)를 사용하여, 실온(23℃)에서 측정하였다. 반복 횟수 3회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하였다.The adhesive tapes obtained in each example and each comparative example were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23°C) using a haze measuring device (HR-100 manufactured by Murakami Shikisai Kensho Co., Ltd.). Measurements were repeated three times, and the average value was taken as the measured value.

(5) 점착제층의 전단력(5) Shear force of adhesive layer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테이프를 폭 10mm, 길이 100mm의 사이즈로 커트하고,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후, 상기 점착 테이프의 점착제층의 점착(접착) 면적이, 1㎠가 되도록, 아크릴 수지판(아크릴라이트 미쓰비시 케미컬제)에 접합하여, 23℃에서 박리 속도 0.06mm/min으로 전단 방향으로 인장하고, 그때의 최대 하중(N/㎠)을 전단력으로 하였다.The adhesive tapes obtained in each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were cut to a size of 10 mm in width and 100 mm in length, and after peeling off the separator, an acrylic resin plate was placed so that the adhesion (adhesion) area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adhesive tape was 1 cm2. It was bonded to Acrylite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and pulled in the shear direction at a peeling speed of 0.06 mm/min at 23°C, and the maximum load (N/cm2) at that time was used as the shear force.

(6)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 손실 정접 및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6) Storage modulus, loss tangent,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dhesive layer.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으로부터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복수의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두께 약 2mm의 시험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 시험 샘플을 직경 7.9mm의 원반상으로 펀칭하여, 패럴렐 플레이트에 끼워 넣고, Rheometric Scientific사제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ARES)」을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에 의해,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하고, 측정 결과로부터, 각 온도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 G' 및 손실 정접 tanδ를 읽어내었다. 또한, tanδ가 극대가 되는 온도를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 온도로 하였다.The separator was peeled from the adhesive layer obtained in each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and a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were laminated to produce a test sample with a thickness of about 2 mm. This test sample was punched into a disk shape with a diameter of 7.9 mm, inserted into a parallel plate, and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ement was performed using the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 (ARES)” manufactured by Rheometric Scientific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and the measurement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is, the storage elastic modulus G' and loss tangent tanδ at each temperature were read. In addition, the temperature at which tan δ reached its maximum was set a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adhesive layer.

(측정 조건)(Measuring conditions)

변형 모드: 비틀림Deformation Mode: Torsion

측정 주파수: 1HzMeasurement frequency: 1Hz

측정 온도: -70℃ 내지 150℃Measurement temperature: -70℃ to 150℃

(7) 점착제층의 300% 인장 잔존 응력값(7) 300% tensile residual stress value of adhesive layer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을 40mm×40mm의 사이즈로 커트하고, 한쪽의 면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후, 점착제면끼리가 접합되도록 1회 접고, 편면의 세퍼레이터를 다시 박리하여 다시 점착제면끼리를 접합하여, 약 10mm×40mm의 사이즈, 두께가 약 400㎛인 점착제층 샘플을 제작하였다. 척간 거리를 20mm로 설정한 인장 시험기에 상기 점착제층 샘플을 세트하고, 인장 속도 200mm/분으로 60mm(300%) 인장하였다(인장 후의 척간 거리는 80mm). 60mm 인장한 위치에서 300초간 고정 유지하고, 그 후의 응력값을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해 「300% 인장 잔존 응력값」을 산출하였다.The adhesive layer obtained in each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was cut to a size of 40 mm By bonding them together, an adhesive layer sample with a size of about 10 mm x 40 mm and a thickness of about 400 μm was produced. The adhesive layer sample was set in a tensile tester with the distance between chucks set to 20 mm, and stretched by 60 mm (300%) at a tensile speed of 200 mm/min (the distance between chucks after tensioning was 80 mm). The 60 mm tensioned position was held fixed for 300 seconds, the subsequent stress value was measured, and the “300% tensile residual stress value” wa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formula.

300% 인장 잔존 응력값(N/㎠)=300초간 고정 유지 후의 응력값(N)/(4×점착 시트 두께(mm)/10)300% tensile residual stress value (N/cm2) = Stress value after holding fixed for 300 seconds (N)/(4×Adhesive sheet thickness (mm)/10)

(8) 변형량 A, 변형량 B 및 복원율(8) Deformation A, Deformation B, and Restoration Rate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으로부터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복수의 점착제층을 적층하여, 두께 약 2mm의 시험 샘플을 제작하고, 이 시험 샘플을 직경 7.9mm의 원반상으로 펀칭하고, 시료로 하였다. 「변형량 A」, 「변형량 B」, 「복원율」을 구하기 위한 전단 시험은, 도 5에 도시하는 형태에서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직경 7.9mm의 패럴렐 플레이트(41 및 42)를 갖는 Rheometric Scientific사제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ARES)」을 사용하여, 패럴렐 플레이트(41)의 상면 및 패럴렐 플레이트(42)의 저면을, 각각 시료의 점착제층의 저면 및 상면에 위치를 맞춰서 맞닿게 하였다(도 5의 (b)). 다음으로, 이하의 측정 조건에 의해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하고, 500Pa, 600초 시점(도 5의 (c))의 변형량 A, 그 후 0Pa, 1800초 유지한 시점(도 5의 (d))의 변형량 B를 읽어내고, 하기 식에 의해 복원율을 산출하였다.The separator was peeled from the adhesive layer obtained in each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and a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were laminated to produce a test sample with a thickness of about 2 mm. This test sample was punched into a disk shape with a diameter of 7.9 mm and used as a sample. did. The shear test to determine “strain amount A”, “strain amount B”, and “recovery rate” was conducted in the form shown in FIG. 5. Specifically, using the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 (ARES)" manufactured by Rheometric Scientific, which has parallel plates 41 and 42 with a diameter of 7.9 mm, the upper surface of the parallel plate 4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allel plate 42 are, Each sample was aligned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and top surfaces of the adhesive layer (Figure 5(b)). Next, dynamic viscoelasticity was measured under the following measurement conditions, and the deformation amount A was measured at 500 Pa and 600 seconds (Figure 5(c)), and then maintained at 0 Pa and 1800 seconds (Figure 5(d)). The amount of deformation B was read, and the restoration rate wa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측정 조건)(Measuring conditions)

변형 모드: 비틀림Deformation Mode: Torsion

측정 프로그램: 500Pa, 600초 유지한 후, 0Pa, 1800초 유지.Measurement program: 500Pa, hold for 600 seconds, then 0Pa, hold for 1800 seconds.

측정 온도: 60℃Measurement temperature: 60℃

Axial Force: 0.2NAxial Force: 0.2N

복원율: (변형량 A-변형량 B)/변형량 A×100Restoration rate: (strain amount A-strain amount B)/strain amount A×100

(9) 습도 팽창률(9) Humidity expansion rate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테이프를, TD 방향으로 폭 2mm×MD 방향으로 길이 20mm로 절단하고, Bruker AXS 가부시키가이샤제 HC-TMA4000SA형을 사용하여, 하기 조건에 의해 측정을 행하였다.The adhesive tapes obtained in each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were cut to a width of 2 mm in the TD direction and a length of 20 mm in the MD direction, and measurement was perform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using a HC-TMA4000SA type manufactured by Bruker AXS Co., Ltd.

(측정 조건)(Measuring conditions)

변형 모드: 인장Deformation Mode: Tensile

하중: 2gLoad: 2g

유지 시간: 5시간Holding time: 5 hours

승온 속도: 5% RH/minTemperature increase rate: 5% RH/min

측정 분위기: 60℃ 상대 습도 30%에 있어서 포화될 때까지 유지하고, 60℃ 상대 습도 60%로 제어Measurement atmosphere: Maintained at 60°C with 30% relative humidity until saturated, controlled at 60°C with 60% relative humidity.

(10)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10) Humidity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substrate

습도 팽창 계수는, Bruker AXS사제 HC-TMA4000SA형을 사용하여, 60℃에서 습도를 30% RH로부터 60% RH까지 변화시킨 때의 각 필름의 신장을 측정함으로써 구하였다(단위:/RH%).The humidity expansion coefficient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elongation of each film when the humidity was changed from 30% RH to 60% RH at 60°C using type HC-TMA4000SA manufactured by Bruker AXS (unit: /RH%).

습도 팽창 계수(α)는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The humidity expansion coefficient (α) wa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α=ΔL/{(T2-T1)×L}α=ΔL/{(T2-T1)×L}

T1: 습도 팽창 계수를 구하는 저습도측 습도(%RH)T1: Low humidity side humidity (%RH) to calculate humidity expansion coefficient

T2: 습도 팽창 계수를 구하는 고습도측 습도(%RH)T2: Humidity on the high humidity side (%RH) to determine the humidity expansion coefficient

ΔL: 시험편에 관한 T1일 때의 길이와 T2일 때의 길이 차(㎛)ΔL: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at T1 and the length at T2 regarding the test piece (㎛)

L: 실온(60℃)에서의 시험편의 길이(㎛)L: Length of test piece at room temperature (60℃) (㎛)

(11) 기재의 유리 전이점(Tg)(11) Glass transition point (Tg) of the substrate

시료를 약 8mg 채취하고, 알루미늄제 용기에 넣어, DSC 측정을 행하였다.Approximately 8 mg of sample was collected, placed in an aluminum container, and DSC measurement was performed.

장치: TA Instruments제 Q-2000Device: Q-2000 from TA Instruments

용기: 알루미늄제 용기Container: Aluminum container

온도 프로그램: -30℃→300℃Temperature program: -30℃→300℃

승온 속도: 10℃/minTemperature increase rate: 10℃/min

분위기 가스: N2(50ml/min)Atmospheric gas: N 2 (50ml/min)

(12) 점착 테이프 사이의 간극 확인(12) Check the gap between adhesive tapes

유리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 테이프를 5cm×5cm로 절단하여 4매 간극 없이 붙이고, 60℃ 상대 습도 90% 환경 하에 500시간 가열한 후, 실온(25℃)에서 1시간 방랭하였다. 그 후, 백라이트 상에 유리를 배치하고, 백라이트의 광을 조사한 때의, 점착 테이프 사이의 간극을 눈으로 보아,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Four adhesive tapes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cut into 5 cm x 5 cm pieces and attached to glass without gaps, heated for 500 hours in an environment of 60°C and 90% relative humidity, and then allowed to cool at room temperature (25°C) for 1 hour. Thereafter, the glass was placed on the backlight, and the gap between the adhesive tapes when irradiated with light from the backlight was visually observ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점착 테이프 사이의 간극은 확인되지 않았다.○… Gaps between the adhesive tapes were not confirmed.

×…점착 테이프 사이의 간극이 확인되었다.×… Gaps between the adhesive tapes were confirmed.

(13) 점착제의 박리 확인(13) Confirmation of peeling of adhesive

상기 점착 테이프 사이의 간극 확인에서 사용한, 60℃ 상대 습도 90% 500시간 가열한 샘플의 점착 테이프 단부를 광학 현미경으로 확인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The end of the adhesive tape of the sample heated at 60°C and 90% relative humidity for 500 hours, used to confirm the gap between the adhesive tapes, was confirmed under an optical microscope and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점착 테이프에 박리가 확인되지 않았다.○… No peeling was observed in the adhesive tape.

×…점착 테이프에 박리가 확인되었다.×… Peeling was confirmed in the adhesive tape.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8

이하에, 본 발명의 베리에이션을 부기한다.Below,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dded.

〔부기 1〕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제1 면에 점착제층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는 광학용 점착 테이프이며,[Appendix 1] An optical adhesive tape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a substrate hav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and an adhesive layer is laminated on the first side of the substrate,

상기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평균 치수 변화율이 ±0.15% 이내이고,When the optical adhesive tape is heated for 500 hours in an environment of 60°C and 90% relative humidity, the average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chine direction is within ±0.15%,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 면적 1㎠를 수지판에 접합하여, 23℃에서 전단 방향으로 인장 속도 0.06mm/min으로 인장한 때의 전단력이 20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점착 테이프.An optical adhesive tape, characterized in that 1 cm 2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adhesive layer is bonded to a resin plate and the shear force is 20 N/cm 2 or less when stretched in the shear direction at 23°C at a tensile speed of 0.06 mm/min.

〔부기 2〕 상기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평균 치수 변화율을 C[%]로 하고,[Appendix 2] The average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chine direction when the optical adhesive tape is heated for 500 hours in an environment of 60°C and 90% relative humidity is set to C [%],

상기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상기 점착제층을 두께 50㎛의 PET 필름에 접합한 후에 10cm 사방으로 절단한 적층체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하기의 최대 컬양을 D[mm]로 한 때에, 하기 식을 만족시키는, 부기 1에 기재된 광학용 점착 테이프.The maximum curl amount shown below when the adhesive layer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is bonded to a PET film with a thickness of 50 μm and then cut into 10 cm squares and heated for 500 hours in an environment of 60°C and 90% relative humidity is calculated as D[ mm], the optical adhesive tape described in Appendix 1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C×D|≤3|C×D|≤3

·최대 컬양: 상기 적층체의 컬의 볼록으로 되어 있는 면이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네 구석의 휨 중 가장 높은 것을 최대 컬양 D[mm]로 한다. 상기 적층체의 상기 PET 필름측을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측정한 최대 컬양을 +, 상기 적층체의 상기 기재측을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측정한 최대 컬양을 -로 한다.· Maximum curl amount: The laminate is placed on a horizontal surface so that the convex curled surface is at the bottom, and the highest curl amount among the four corners is taken as the maximum curl amount D [mm]. The maximum amount of curl measured with the PET film side of the above-mentioned laminate placed on a horizontal plane facing down is +, and the maximum curl amount measured with the base material side of the above-mentioned laminate placed on a horizontal surface facing down is taken as -.

〔부기 3〕 상기 기재의 유리 전이점(Tg)이 60℃ 이상인, 부기 1 또는 2에 기재된 광학용 점착 테이프.[Appendix 3] The optical adhesive tape according to Supplementary Note 1 or 2, wherein the glass transition point (Tg) of the above description is 60°C or higher.

〔부기 4〕 상기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점(Tg)이 -10℃ 이하인, 부기 1 내지 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용 점착 테이프.[Appendix 4] The optical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y one of Appendices 1 to 3, wherein the adhesive layer has a glass transition point (Tg) of -10°C or lower.

〔부기 5〕 상기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60℃ 상대 습도 30%에서 60℃ 상대 습도 60%로 가습한 때의 습도 팽창률이 0.1% 이하인, 부기 1 내지 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용 점착 테이프.[Appendix 5] The optical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y one of Appendices 1 to 4, wherein the optical adhesive tape has a humidity expansion rate of 0.1% or less when the optical adhesive tape is humidified from a relative humidity of 30% at 60°C to a relative humidity of 60% at 60°C.

〔부기 6〕 상기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가 5×10-5/%RH 이하인, 부기 1 내지 5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용 점착 테이프.[Appendix 6] The optical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y one of Appendices 1 to 5, wherein the humidity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above description is 5×10 -5 /%RH or less.

〔부기 7〕 상기 기재의 제2 면은,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되어 있는, 부기 1 내지 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용 점착 테이프.[Supplementary Note 7] The optical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y one of Supplementary Notes 1 to 6, wherein the second side of the substrate is subjected to anti-reflection treatment and/or anti-glare treatment.

〔부기 8〕 상기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인, 부기 1 내지 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용 점착 테이프.[Appendix 8] The optical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y one of Appendices 1 to 7,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an acrylic adhesive layer containing an acrylic polymer.

〔부기 9〕 부기 1 내지 8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용 점착 테이프와, 화상 표시 패널이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Appendix 9] An imag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optical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y one of Appendices 1 to 8 and an image display panel are laminated.

〔부기 10〕 부기 9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Supplementary Note 10] A tiling display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described in Supplementary Note 9 are arranged.

10A, 10B: 광학용 점착 테이프
1: 기재
1a: 기재의 제1 면
1b: 기재의 제2 면
2: 점착제층
3: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
20: 화상 표시 장치
4: 화상 표시 패널
30: 타일링 디스플레이
31: 지지 기판
40: 점착제층
41, 42: 패럴렐 플레이트
10A, 10B: Optical adhesive tape
1: Description
1a: first side of substrate
1b: Second side of substrate
2: Adhesive layer
3: Anti-reflective and/or anti-glare treatment
20: Image display device
4: Image display panel
30: Tiling display
31: support substrate
40: Adhesive layer
41, 42: Parallel plate

Claims (10)

제1 면 및 제2 면을 갖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제1 면에 점착제층이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는 광학용 점착 테이프이며,
상기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평균 치수 변화율이 ±0.15% 이내이고,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 면적 1㎠를 수지판에 접합하여, 23℃에서 전단 방향으로 인장 속도 0.06mm/min으로 인장한 때의 전단력이 20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점착 테이프.
An optical adhesive tape having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a substrate hav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and an adhesive layer is laminated on the first side of the substrate,
When the optical adhesive tape is heated for 500 hours in an environment of 60°C and 90% relative humidity, the average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chine direction is within ±0.15%,
An optical adhesive tape, characterized in that 1 cm 2 of the adhesive layer of the adhesive layer is bonded to a resin plate and the shear force is 20 N/cm 2 or less when stretched in the shear direction at 23°C at a tensile speed of 0.06 mm/m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폭 방향 및 기계 방향의 평균 치수 변화율을 C[%]로 하고,
상기 광학용 점착 테이프의 상기 점착제층을 두께 50㎛의 PET 필름에 접합한 후에 10cm 사방으로 절단한 적층체를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가열한 때의 하기의 최대 컬양을 D[mm]로 한 때에, 하기 식을 만족시키는, 광학용 점착 테이프.
|C×D|≤3
·최대 컬양: 상기 적층체의 컬의 볼록으로 되어 있는 면이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네 구석의 휨 중 가장 높은 것을 최대 컬양 D[mm]로 한다. 상기 적층체의 상기 PET 필름측을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측정한 최대 컬양을 +, 상기 적층체의 상기 기재측을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 상에 두고 측정한 최대 컬양을 -로 한다.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verage dimensional change r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chine direction when the optical adhesive tape is heated for 500 hours in an environment of 60° C. and 90% relative humidity is set to C [%],
The maximum curl amount shown below when the adhesive layer of the optical adhesive tape is bonded to a PET film with a thickness of 50 μm and then cut into 10 cm squares and heated for 500 hours in an environment of 60°C and 90% relative humidity is calculated as D[ mm], an optical adhesive tape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C×D|≤3
· Maximum curl amount: The laminate is placed on a horizontal surface so that the convex curled surface is at the bottom, and the highest curl amount among the four corners is taken as the maximum curl amount D [mm]. The maximum amount of curl measured with the PET film side of the above-mentioned laminate placed on a horizontal plane facing down is +, and the maximum curl amount measured with the base material side of the above-mentioned laminate placed on a horizontal surface facing down is taken as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유리 전이점(Tg)이 60℃ 이상인, 광학용 점착 테이프.The optical adhesive tap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ubstrate has a glass transition point (Tg) of 60°C or high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유리 전이점(Tg)이 -10℃ 이하인, 광학용 점착 테이프.The optical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adhesive layer has a glass transition point (Tg) of -10°C or lower.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용 점착 테이프를 60℃ 상대 습도 30%에서 60℃ 상대 습도 60%로 가습한 때의 습도 팽창률이 0.1% 이하인, 광학용 점착 테이프.The optical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optical adhesive tape has a humidity expansion rate of 0.1% or less when the optical adhesive tape is humidified from a relative humidity of 30% at 60°C to a relative humidity of 60% at 60°C.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습도 팽창 계수가 5×10-5/%RH 이하인, 광학용 점착 테이프.The optical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substrate has a humidity expansion coefficient of 5×10 -5 /%RH or less.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의 제2 면은, 반사 방지 처리 및/또는 안티글레어 처리되어 있는, 광학용 점착 테이프.The optical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second surface of the substrate is treated with anti-reflection treatment and/or anti-glare treatment.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층인, 광학용 점착 테이프.The optical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an acrylic adhesive layer containing an acrylic polymer.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용 점착 테이프와, 화상 표시 패널이 적층된 화상 표시 장치.An imag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optical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nd an image display panel are laminated. 제9항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를 복수매 나열한 타일링 디스플레이.A tiling display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claim 9 are arranged in a row.
KR1020237028862A 2021-01-29 2022-01-26 Optical adhesive tape KR2023013674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13730 2021-01-29
JP2021013730 2021-01-29
JPJP-P-2021-181518 2021-11-05
JP2021181518A JP2022117422A (en) 2021-01-29 2021-11-05 optical adhesive tape
PCT/JP2022/002890 WO2022163700A1 (en) 2021-01-29 2022-01-26 Adhesive tape for optical applic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743A true KR20230136743A (en) 2023-09-26

Family

ID=82653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8862A KR20230136743A (en) 2021-01-29 2022-01-26 Optical adhesive tap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136743A (en)
TW (1) TW202239917A (en)
WO (1) WO2022163700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1634A (en) 2016-03-08 2017-09-14 ソニー株式会社 Display member device an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5710B2 (en) * 2010-03-10 2015-02-03 Nitto Denko Corporation Optic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2012040709A (en) * 2010-08-17 2012-03-01 Mitsubishi Paper Mills Ltd Easy adhesion film and laminate using the same
JP5860297B2 (en) * 2012-02-06 2016-02-16 日東電工株式会社 Acrylic adhesive tape
JP2017197622A (en) * 2016-04-26 2017-11-0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Double-sided adhesive sheet with decorative layer and laminate
JP2018077355A (en) * 2016-11-09 2018-05-17 日東電工株式会社 Multilayer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CN113286702B (en) * 2019-01-08 2024-03-22 日东电工株式会社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7224972B2 (en) * 2019-03-08 2023-02-20 日東電工株式会社 Adhesive layer and adhesive shee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1634A (en) 2016-03-08 2017-09-14 ソニー株式会社 Display member device an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39917A (en) 2022-10-16
WO2022163700A1 (en)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147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ptical component and touch panel
JP5945393B2 (en) Adhesive sheet
JP6538332B2 (en) Optical double-sided adhesive sheet
JP6762079B2 (en) Adhesive sheet for optics
JP6508869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ptical member, and touch panel
JP2019070150A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layer, adhesive sheet, optical member, and touch panel
JP6726789B2 (en) Optical adhesive sheet
JP5860297B2 (en) Acrylic adhesive tape
JP7064533B2 (en) Optical adhesive sheet
JP2022179400A (en) Adhesive sheet for optical use, optical laminate and image display unit
WO2022163705A1 (en) Optical adhesive tape
WO2022163703A1 (en) Optical adhesive tape
KR20230136743A (en) Optical adhesive tape
KR20230136746A (en) Optical adhesive tape
JP2022117423A (en) optical adhesive tape
JP2022117424A (en) optical adhesive tape
JP2022117421A (en) optical adhesive tape
JP2022117422A (en) optical adhesive tape
WO2023190079A1 (en) Adhesive sheet for optical applications
WO2023190078A1 (en) Adhesive sheet for optical applications
JP7064532B2 (en) Optical adhesive sheet
CN116806246A (en) Optical adhesive tape
CN116802247A (en) Optical adhesive tape
CN116761863A (en) Optical adhesive tape
CN116761864A (en) Optical adhesive ta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