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6077A - Venting device - Google Patents

Ven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6077A
KR20230136077A KR1020230035138A KR20230035138A KR20230136077A KR 20230136077 A KR20230136077 A KR 20230136077A KR 1020230035138 A KR1020230035138 A KR 1020230035138A KR 20230035138 A KR20230035138 A KR 20230035138A KR 20230136077 A KR20230136077 A KR 20230136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film structure
venting device
flap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51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중 씨. 뤄
마틴 조지 림
젬 웨 량
웬-치엔 첸
Original Assignee
엑스멤스 랩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7/842,810 external-priority patent/US11884535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8/172,346 external-priority patent/US20230209241A1/en
Application filed by 엑스멤스 랩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엑스멤스 랩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36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077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3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2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03Mems transducers or thei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Abstract

벤팅 장치가 웨어러블 소리 장치 내에 배치되거나 웨어러블 소리 장치 내에 배치될 것이다. 이 벤팅 장치는 앵커 구조물, 필름 구조물 및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필름 구조물은 앵커 구조물에 고정되는 앵커 단부 및 자유 단부를 포함하고, 필름 구조물은 벤트(vent)를 형성하거나 벤트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액츄에이터가 필름 구조물에 배치된다. 필름 구조물은 공간을 제1 부피와 제2 부피로 분할하고, 벤트가 형성되면 제1 부피와 제2 부피는 벤트를 통해 연결된다. 벤팅 장치는, 제어기가 벤트를 폐쇄하기로 결정하면 벤트를 밀봉하도록 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The venting device is disposed within or may be disposed within a wearable sound device. This venting device includes an anchor structure, a film structure and an actuator. The film structure includes an anchor end secured to the anchor structure and a free end, and the film structure is configured to form a vent or close a vent. An actuator is placed on the film structure. The film structure divides the space into a first volume and a second volume, and when a vent is formed, the first volume and the second volume are connected through the vent. The venting device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to seal the vent when the controller decides to close the vent.

Description

벤팅 장치{VENTING DEVICE}Venting device {VENTING DEVICE}

본 출원은 2022년 6월 17일에 출원된 미국 출원 번호 17/842,810의 일부 계속 출원이며, 이 출원은 2021년 6월 11일에 출원된 미국 출원 번호 17/344,980의 일부 계속 출원이고, 이 출원은 2020년 7월 11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3/050,763의 이익을 주장하고, 또한 2020년 7월 1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3/051,885의 이익을 주장하며, 또한 2021년 4월 7월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3/171,919의 이익을 주장한다. 게다가, 미국 출원 번호 17/842,810은 2022년 3월 17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3/320,703의 이익을 주장한다. 더욱이, 이 출원은 2022년 5월 16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3/342,161의 이익을 주장한다. 이들 출원의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This application is a continuation-in-part of U.S. Application No. 17/842,810, filed on June 17, 2022, and this application is a continuation-in-part of U.S. Application No. 17/344,980, filed on June 11, 2021, this application Claims the benefit of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3/050,763, filed July 11, 2020, and also claims the benefit of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3/051,885, filed July 14, 2020, also filed April 7, 2021 Claims the benefit of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3/171,919, filed on Jan. Additionally, U.S. Application No. 17/842,810 claims the benefit of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3/320,703, filed March 17, 2022. Moreover, this application claims the benefit of U.S. Provisional Application No. 63/342,161, filed May 16, 2022. The contents of these application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 출원은 벤팅(venting)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색 효과를 제거할 수 있는 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is application relates to a vent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venting device capable of eliminating the occlusion effect.

요즘에는, 인-이어(in-ear)(외이도에 삽입) 이어버드(earbud), 온-이어(on-ear) 또는 오버이어 (over-ear) 이어폰 등과 같은 웨어러블 소리 장치가 소리를 생성하거나 받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자석 및 이동 코일(MMC) 기반 마이크로스피커가 수십 년 동안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많은 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 반도체 제조 공정을 사용하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음향 변환기가 웨어러블 소리 장치에서 소리 생성/수신 부품이 될 수 있다.Nowadays, wearable sound devices such as in-ear (inserted into the ear canal) earbuds, on-ear or over-ear earphones are used to produce or receive sound. It is commonly used for. Magnet and moving coil (MMC) based microspeakers have been in development for decades and are widely used in many such devices. Recently,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acoustic transducers using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es can become sound generating/receiving components in wearable sound devices.

폐색 효과는 외이도의 밀봉된 부피로 인한 것으로, 청취자에 의해 인지되는 큰 음압을 야기한다. 예를 들어, 청취자가 골전도 소리를 발생시키는 특정 움직임 (예컨대, 걷기, 조깅, 말하기, 먹기, 음향 변환기 터치 등)을 수행하고 웨어러블 소리 장치를 사용하고 있을 때(예컨대, 웨어러블 소리 장치가 외이도에 채워져 있을 때), 폐색 효과가 일어난다. 폐색 효과는 가속도 기반 SPL(음압 레벨) 발생(SPL ∝ a = dD2 /dt2 )과 압축 기반 SPL 발생(SPL ∝ D)의 차이로 인해 특히 저음 쪽에서 강하다. 예를 들어, 20Hz에서 단지 1μm의 변위는 폐색된 외이도에서 SPL = 1μm/25mm atm = 106dB을 유발하게 된다(25mm는 성인 외이도의 평균 길이임). 따라서, 폐색 효과가 생기면, 청취자는 폐색 소음을 듣게 되고, 청취자 경험의 질이 나쁘게 된다.The occlusion effect is due to the sealed volume of the ear canal, resulting in a large sound pressure perceived by the listener. For example, when a listener performs a specific movement that generates bone conduction sound (e.g., walking, jogging, talking, eating, touching an acoustic transducer, etc.) and is using a wearable sound device (e.g., the wearable sound device is placed in the ear canal). when filled), an occlusion effect occurs. The occlusion effect produces an acceleration-based sound pressure level (SPL) (SPL ∝ a = dD 2 /dt 2 ) and compression-based SPL generation (SPL ∝ D), it is particularly strong in the bass side. For example, a displacement of just 1 μm at 20 Hz will cause SPL = 1 μm/25 mm atm = 106 dB in an occluded ear canal (25 mm is the average length of the adult ear canal). Therefore, when an occlusion effect occurs, the listener hears occlusion noise and the quality of the listener experience is poor.

전통적인 기술에서, 웨어러블 소리 장치는 외이도와 장치 외부의 주변 사이 에 존재하는 공기흐름 채널을 가지고 있으며, 그래서 폐색 효과로 인한 압력이 이 공기흐름 채널로부터 방출되어 폐색 효과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공기흐름 채널은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진동수 응답에서, 낮은 진동수(예를 들어, 500Hz 이하)에서 SPL이 크게 떨어진다. 예를 들어, 전통적인 웨어러블 소리 장치가 전형적인 115dB 스피커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경우, 20Hz에서의 SPL은 110dB보다 훨씬 낮다. 또한, 공기흐름 채널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고정 벤트의 크기가 더 크면, SPL 강하는 더 커질 것이고, 또한 방수 및 방진 기능이 더 어렵게 될 것이다.In traditional technology, wearable sound devices have an airflow channel that exists between the ear canal and the surroundings outside the device, so that the pressure due to the occlusion effect can be released from this airflow channel to suppress the occlusion effect. However, because the airflow channel is always present, the frequency response shows a significant drop in SPL at low frequencies (e.g., below 500 Hz). For example, if a traditional wearable sound device uses a typical 115dB speaker driver, the SPL at 20Hz is much lower than 110dB. Additionally, the larger the size of the fixed vent configured to form the airflow channel, the greater the SPL drop will be, and also the more difficult the water and dust resistance functions will be.

어떤 경우에는, 전통적인 웨어러블 소리 장치는, 공기흐름 채널의 존재로 인해 낮은 진동수에서의 SPL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전형적인 115dB 스피커 드라이버보다 더 강한 스피커 드라이버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PL의 손실이 20dB라고 가정하면, 공기흐름 채널이 있을 때 동일한 115dB SPL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스피커 드라이버는, 밀봉된 외이도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135dB SPL이 될 것이다. 그러나, 10x 더 강한 저음 출력을 위해서는, 스피커 필름의 이동량이 또한 10 배로 증가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스피커 드라이버의 코일과 자속 틈 모두의 높이가 10배로 증가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강한 스피커 드라이버를 갖는 전통적인 웨어러블 소리 장치가 작은 크기와 가벼운 무게를 갖게 하는 것은 어렵다.In some cases, traditional wearable sound devices may use stronger speaker drivers than a typical 115dB speaker driver to compensate for the loss of SPL at low frequencies due to the presence of airflow channels. For example, assuming a loss of SPL of 20 dB, the speaker driver needed to maintain the same 115 dB SPL with an airflow channel, when used in a sealed ear canal, would be 135 dB SPL. However, for 10x stronger bass output,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speaker film also needs to be increased by a factor of 10, which means that the height of both the coil and the flux gap of the speaker driver needs to be increased by a factor of 10.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make traditional wearable sound devices with strong speaker drivers small in size and light in weight.

따라서, 폐색 효과를 억제하기 위해 종래 기술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prior art to suppress the occlusion effect.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본적인 목적은, 폐색 효과를 억제할 수 있는 벤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basic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ting device that can suppress the occlusion eff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웨어러블 소리 장치 내에 배치되거나 웨어러블 소리 장치 내에 배치될 벤팅 장치를 제공한다. 이 벤팅 장치는 앵커 구조물, 필름 구조물 및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필름 구조물은 앵커 구조물에 고정되는 앵커 단부 및 자유 단부를 포함하고, 필름 구조물은 벤트(vent)를 형성하거나 벤트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액츄에이터가 필름 구조물에 배치된다. 필름 구조물은 공간을 제1 부피와 제2 부피로 분할하고, 벤트가 형성되면 제1 부피와 제2 부피는 벤트를 통해 연결된다. 벤팅 장치는, 제어기가 벤트를 폐쇄하기로 결정하면 벤트를 밀봉하도록 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nting device that is placed within or to be placed within a wearable sound device. This venting device includes an anchor structure, a film structure and an actuator. The film structure includes an anchor end secured to the anchor structure and a free end, and the film structure is configured to form a vent or close a vent. An actuator is placed on the film structure. The film structure divides the space into a first volume and a second volume, and when a vent is formed, the first volume and the second volume are connected through the vent. The venting device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to seal the vent when the controller decides to close the vent.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다양한 도 및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은 후 당업자에게 의심할 바 없이 명백해질 것이다.Thes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 doubt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fter reading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shown in the various figures an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벤팅 장치 및 하우징 구조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벤팅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른 위치에 있는 벤팅 장치의 필름 구조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름 구조물이 다른 위치에 있는 벤팅 장치의 진동수 응답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팅 장치를 갖는 웨어러블 소리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팅 장치를 갖는 웨어러블 소리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모드에 있는 벤팅 장치의 필름 구조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벤팅 장치의 필름 구조물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벤팅 장치의 필름 구조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벤팅 장치의 필름 구조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벤팅 장치의 필름 구조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벤팅 장치의 필름 구조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모드에 있는 벤팅 장치의 필름 구조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벤팅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모드에 있는 벤팅 장치의 필름 구조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벤팅 장치의 필름 구조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nting device and a hous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ven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film structure of the venting device at different positio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requency response of a venting device with the film structure at different position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earable sound device with a ve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earable sound device with a ve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film structure of the venting device in different mode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film structure of the 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lm structure of the 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lm structure of the 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lm structure of the 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to 17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film structure of the 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and 19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film structure of the venting device in different modes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ve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to 23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film structure of the venting device in different modes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lm structure of the 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당업자에게 본 발명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주요 구성 요소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 및 전형적인 재료 또는 범위 파라미터가 이하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달성하고자 하는 내용 및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번호가 매겨진 요소를 갖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은 단순화된 개략도이며, 주요 구성 요소의 재료 및 파라미터 범위는 현재 기술에 근거하는 예시이며 그래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조, 실시 또는 작동 방법에 대한 더 명확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구성 요소 및 조합만을 나타낸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구성 요소는 실제로 더 복잡할 것이며 사용되는 파라미터 또는 재료의 범위는, 미래의 기술 발전에 따라 발전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나타나 있는 구성 요소는 그의 실제 숫자, 형상 및 치수를 나타내지 않을 수 있으며, 세부 사항은 설계 요구 사항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In order to provide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key components and typical material or scope parameters will be detail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is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numbered elements to illustrate in detail the contents and effects to be achieved. The drawings are simplified schematics and the material and parameter ranges of the major components are exemplary based on the current state of the art and thus provide a clearer description of the basic structure, practice or oper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onents and compon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Please note that it only represents combinations. Components will actually become more complex and the range of parameters or materials used may evolve with future technological developments. Additional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not represent their actual numbers, shapes, and dimensions, and details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design requirements.

이하의 설명 및 청구 범위에서, "포괄한다", "포함한다" 및 "갖는다" 라는 용어는 개방형으로 사용되며, 그래서 "∼을 포함하지만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설명에서 "포괄한다", "포함한다" 및/또는 "갖는다" 라는 용어가 사용될 때, 대응하는 특징, 영역, 단계, 작동 및/또는 구성 요소가 존재함을 가리키지만, 그 대응하는 특징, 영역, 단계, 작동 및/또는 구성 요소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그러한 것의 존재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claims, the terms “comprehensive,” “includes,” and “having” are used in an open-ended manner and should therefore be construed to mean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ccordingly, when the terms "comprise", "comprise" and/or "having" are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y indicate the presence of corresponding features, area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It is not limited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f its corresponding features, regions, steps, operations and/or components.

이하의 설명 및 청구 범위에서, "A1 구성 요소는 B1에 의해/으로 형성된다"라고 할 때, A1 구성 요소의 형성에 B1이 존재하거나 A1 구성 요소의 형성에 B1이 사용되며, 다른 특징, 영역, 단계, 작동 및/또는 구성 요소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그러한 것의 존재 및 사용이 A1 구성 요소의 형성에서 배제되지 않는다.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below, when “an A1 component is formed by/of B1,” it means that B1 is present in the formation of the A1 component or that B1 is used in the formation of the A1 component, and other features, regions, or , the presence and use of one or more of the steps, operations and/or components are not excluded from the formation of the A1 component.

이하의 설명 및 청구 범위에서,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작은 편차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평행한" 및 "실질적으로 ∼을 따르는"은, 두 구성 요소 사이의 각도가 특정 임계 각도, 예컨대, 10도, 5도, 3도 또는 1도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이라는 용어는, 두 구성 요소 간의 편차가 특정 임계 차, 예컨대, 2 ㎛ 또는 1 ㎛ 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컨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라는 용어는, 편차가 주어진 값 또는 범위의 예컨대 10% 내에 있거나 또는 주어진 값 또는 범위의 5%, 3%, 2%, 1% 또는 0.5% 내에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claims, the term "substantially" generally means that small deviations may or may not be present. For example, “substantially parallel” and “substantially along” mean that the angle between the two components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a certain critical angle, such as 10 degrees, 5 degrees, 3 degrees, or 1 degree. means. For example, the term “substantially aligned” means that the deviation between two components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a certain threshold difference, such as 2 μm or 1 μm. For example, the term “substantially the same” means that the deviation is within, for example, 10% of a given value or range, or within 5%, 3%, 2%, 1%, or 0.5% of a given value or range.

상세한 설명 및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수평 방향"은 일반적으로 수평면에 평행한 방향을 의미하고, "수평면"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도면에서 X 방향 및 Y 방향에 평행한 표면을 의미하고(즉, 본 발명의 X 방향 및 Y 방향은 수평 방향으로 간주될 수 있음), "수직 방향"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도면에서 Z 방향에 평행하고 또한 수평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의미하며,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은 서로 수직이다. 상세한 설명 및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평면도"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을 따라 본 도를 의미한다. 상세한 설명 및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단면도"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을 따라 수직 방향을 따라 절단하여 구조를 본 도를 의미한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claims below, the term "horizontal direction" means a direction generally parallel to the horizontal plane, the term "horizontal plane" generally means a surface parallel to the X and Y directions in the drawings (i.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d Z direction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claims below, the term “plan view” generally refers to a view seen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claims below, the term “cross-sectional view” refers to a view of a structure cut along a vertical direction, generally along a horizontal direction.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 요소는 그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그 용어는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며, 그 용어는, 명세서에 설명이 없다면, 제조의 순서와는 관계가 없다. 청구 범위는 동일한 용어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고, 대신에 요소가 청구되는 순서와 관련하여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제1 구성 요소는 어떤 청구항에서 제2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thir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 is used in the specification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term has no relation to the order of manufacture unless otherwise stated in the specification. Claims may not use the same terminology, but instead may use terms such as first, second, third, etc. in relation to the order in which elements are claimed. Accordingly, in the description below, a first element may in some claims become a second element.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이한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기 위해 서로 대체되거나 재조합되거나 또는 혼합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different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replaced, recombined, or mixed with each other to form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폐색 효과를 억제할 수 있는 벤팅 장치(또는 MEMS 벤팅 장치) 는 음향 장치에 관련되며 그리고/또는 음향 장치(예컨대, 웨어러블 소리 장치)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팅 장치는 웨어러블 소리 장치(예컨대, 인-이어 장치) 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venting device (or MEMS venting device) capable of suppressing the occlusion effect may be related to an acoustic device and/or disposed within an acoustic device (eg, a wearable sound device). For example, the venting device may be placed within a wearable sound device (eg, an in-ear device), but is not limited to this.

본 발명에서, 음향 장치는 음향 변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음향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고, 음향 변환에 의해, 신호(예컨대, 전기 신호 또는 다른 적절한 유형의 신호)가 음파로 변환되거나 또는 음파가 다른 적절한 유형의 신호(예컨대, 전기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음향 변환기는 전기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기 위한 소리 생성 장치, 스피커, 마이크로 스피커 또는 다른 적절한 장치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음향 변환기는 음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소리 측정 장치, 마이크로폰 또는 다른 적절한 장치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벤팅 장치의 존재로 인해, 폐색 효과가 억제되어, 사용자는 음향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음향 변환에 대해 좋은 경험을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acoustic device may include an acoustic transducer configured to perform acoustic conversion, whereby a signal (e.g., an electrical signal or another suitable type of signal) is converted into a sound wave or a sound wave is converted into another suitable type. It can be converted into a signal (e.g., an electrical signal). In some embodiments, the acoustic transducer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sound generating device, speaker, microspeaker, or other suitable device for converting electrical signals into sound waves. In some embodiments, the acoustic transducer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sound measurement device, microphone, or other suitable device for converting sound waves into electrical signals. Due to the presence of the ve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cclusion effect is suppressed, so that the user can have a good experience of the acoustic transformation provided by the acoustic device.

이하에서, 본 발명의 벤팅 장치는 음파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웨어러블 소리 장치에 관한 것이고 그 안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게 해주도록 구성된다.In the following, the ve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d can be placed within a wearable sound device configured to generate sound wave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design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better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벤팅 장치 및 하우징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벤팅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른 위치에 있는 벤팅 장치의 필름 구조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벤팅 장치(100)는 기부(BS)에 배치될 수 있다. 기부(BS)는 단단하거나 가요적일 수 있으며, 기부(BS)는 실리콘, 게르마늄, 유리, 플라스틱, 석영, 사파이어, 금속, 폴리머(예컨대,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부(BS)는 라미네이트(예를 들어, 구리 클래드 라미네이트, CCL)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랜드 그리드 어레이(LGA) 보드 또는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다른 적절한 보드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부(BS)는 기판일 수 있다.1 to 5,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nting device and a housing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 ven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film structure of the venting device at different positio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venting device 100 may be disposed at the base BS. The base (BS) may be rigid or flexible, and the base (BS) may be made of silicon, germanium, glass, plastic, quartz, sapphire, metal, polymer (e.g., polyimide (PI),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y It may include other suitable materials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the base (BS)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circuit board comprising a laminate (e.g., copper clad laminate, CCL), a land grid array (LGA) board, or another suitable board comprising a conductive material. No. In some embodiments, the base (BS) can be a substrate.

도 1에서, 기부(BS)는 X 방향 및 Y 방향에 평행한 상면(SH)을 갖는다(즉, 기부(BS)의 상면(SH)은 수평면임). 도 1에서, 기부(BS)의 상면(SH)의 법선 방향은 Z 방향에 평행하다.In Figure 1, the base BS has a top surface SH parallel to the X and Y directions (i.e., the top surface SH of the base BS is a horizontal plane). In Figure 1, the normal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SH of the base BS is parallel to the Z direction.

벤팅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앵커 구조물(140) 및 이 앵커 구조물(140)에 의해 고정되는 필름 구조물(110)을 포함하고, 앵커 구조물(140)은 필름 구조물(110)의 외부에 배치된다. 필름 구조물(110) 및 앵커 구조물(140)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름 구조물(110) 및 앵커 구조물(140)은 실리콘(예를 들어, 단결정 실리콘 또는 다결정 실리콘), 실리콘 화합물 (예를 들어, 탄화실리콘, 산화실리콘), 게르마늄, 게르마늄 화합물(예컨대, 질화갈륨 또는 비화갈륨), 갈륨, 갈륨 화합물, 스테인레스강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개별적으로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름 구조물(110)과 앵커 구조물(140)은 동일한 재료를 가질 수 있다.The venting device 100 includes at least one anchor structure 140 and a film structure 110 secured by the anchor structure 140, and the anchor structure 140 is disposed outside the film structure 110. . Film structure 110 and anchor structure 140 may include any suitable material(s). In some embodiments, film structure 110 and anchor structure 140 are silicon (e.g., single crystalline silicon or polycrystalline silicon), silicon compounds (e.g., silicon carbide, silicon oxide), germanium, germanium compounds (e.g. , gallium nitride or gallium arsenide), gallium, gallium compounds, stainless steel,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individually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some embodiments, film structure 110 and anchor structure 140 may have the same material.

벤팅 장치(100)의 작동시, 필름 구조물(110)은 움직이도록 작동될 수 있고, 앵커 구조물(140)은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즉, 앵커 구조물(140)은 벤팅 장치(100) 작동 중에 필름 구조물(110)에 대해 고정 단부(또는 고정 가장자리)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름 구조물(110)은 위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움직이도록 작동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위쪽으로 움직인다" 및 "아래쪽으로 움직인다"라는 용어는, 필름 구조물(110)이 실질적으로 Z 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나타낸다.Upon operation of the venting device 100, the film structure 110 may be actuated to move and the anchor structure 140 may be stationary. That is, the anchor structure 140 may be a fixed end (or fixed edge) relative to the film structure 110 during operation of the venting device 100. In some embodiments, film structure 110 may be actuated to move upward and downward, but is not limited to this. As used herein, the terms “moving upward” and “moving downward” indicate that the film structure 110 moves substantially along the Z direction.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벤팅 장치(100)의 필름 구조물( 110)은 적어도 하나의 슬릿(130)을 포함하며, 그래서 필름 구조물(110)은 앵커 구조물(140)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앵커 단부(AE) 및 벤팅 장치(100) 내부의 어떤 구성 요소에도 영구적으로 고정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자유 단부(FE)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름 구조물(110)은 슬릿(들)(130)에 의해 복수의 플랩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필름 구조물(110)은 슬릿(130)에 의해 제1 플랩(112)과 제2 플랩(114)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제1 플랩(112)과 제2 플랩(114)은 서로 분리되어 있고, 제1 플랩(112)은 앵커 구조물(140)에 고정되는 제1 앵커 단부(AE1)(또는 제1 앵커 가장자리) 및 이 제1 앵커 단부(AE1)의 반대편에 있는 제1 자유 단부(FE1)(또는 제1 자유 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고, 제2 플랩(114)은 앵커 구조물(140)에 고정되는 제2 앵커 단부(AE2)(또는 제2 앵커 가장자리) 및 이 제2 앵커 단부(AE2)의 반대편에 있는 제2 자유 단부(FE2)(또는 제2 자유 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으며, 슬릿(130)의 두 대향하는 측벽은 제1 자유 단부(FE1) 및 제2 자유 단부(FE2)에 각각 속한다(즉, 한 측벽은 제1 자유 단부(FE1)에 속하고 다른 측벽은 제2 자유 단부(FE2)에 속함). 예컨대, 슬릿(130)은 필름 구조물(110)의 경계 및/또는 플랩의 경계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1 and 2, the film structure 110 of the venting device 100 includes at least one slit 130, so that the film structure 110 has at least one anchor structure 140 secured to the anchor structure 140. It may have one anchor end (AE) and at least one free end (FE) that is not permanently fixed to any component inside the venting device 100 . In some embodiments, film structure 11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laps by slit(s) 13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ilm structure 11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flap 112 and a second flap 114 by a slit 130, and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lap 114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flap 112 has a first anchor end AE1 (or first anchor edge) fixed to the anchor structure 140 and the first anchor end AE1. ), and the second flap 114 has a second anchor end AE2 (or a second free edge) opposite the anchor structure 140. anchor edge) and a second free end FE2 (or second free edge) opposite this second anchor end AE2, wherein the two opposing side walls of the slit 130 have a first free end ( FE1) and the second free end FE2 respectively (i.e. one side wall belongs to the first free end FE1 and the other side wall belongs to the second free end FE2). For example, the slit 130 may be a boundary of the film structure 110 and/or a boundary of a flap,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필름 구조물(110)에 포함되는 슬릿(들)(130)의 수는 요구 사항(들)에 근거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슬릿(들)(130)은 필름 구조물(110)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임의의 적절한 평면도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릿(130)은 곧은 슬릿, 만곡된 슬릿, 곧은 슬릿들의 조합, 만곡된 슬릿들의 조합 또는 곧은 슬릿(들)과 만곡된 슬릿(들)의 조합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slit(s) 130 included in the film structure 110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requirement(s), and the slit(s) 130 can be selected from any of the film structures 110. It can be placed in an appropriate position, and can also have any suitable floor plan pattern. For example, the slit 130 may be a straight slit, a curved slit, a combination of straight slits, a combination of curved slits, or a combination of straight slit(s) and curved slit(s).

벤팅 장치(100)는, 필름 구조물(110)에 배치되고 그 필름 구조물(110)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액츄에이터(12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액츄에이터(120)는 필름 구조물(110)과 접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20)는 Z 방향으로 필름 구조물(110)과 완전히 겹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venting device 100 includes an actuator 120 disposed on the film structure 110 and configured to actuate the film structure 110 . For example, in Figure 1, actuator 120 may be in contact with film structure 110, but is not limited to this. As shown in FIG. 1, the actuator 120 may not completely overlap the film structure 110 in the Z dir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20)는 필름 구조물(110)의 복수의 플랩에 배치되는 복수의 작동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필름 구조물(110)은 제1 플랩(112)과 제2 플랩(114)을 가지므로, 액츄에이터(120)는 제1 플랩(112)에 배치되는 제1 작동 부분(122) 및 제2 플랩(114)에 배치되는 제2 작동 부분(124)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 actuator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ctuating portions disposed on a plurality of flaps of film structure 11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1), the film structure 110 has a first flap 112 and a second flap 114, so that the actuator 120 has a first flap disposed on the first flap 112. It includes an operating portion 122 and a second operating portion 124 disposed on the second flap 114 .

액츄에이터(120)는, Z 방향을 따르는 필름 구조물(110)의 움직임에 대해 단조적인 전기기계적 변환 기능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120)는 압전 액츄에이터, 정전기적 액츄에이터, 나노스코픽 정전기 구동(NED) 액츄에이터, 전자기 액츄에이터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120)는 압전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압전 액츄에이터는 2개의 전극 및 이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압전 재료 층 (예를 들어, 납 지르코네이트 티타네이트, PZT)을 포함할 수 있고, 압전 재료 층은 전극에 의해 수신된 구동 신호(예컨대, 구동 전압 및/또는 두 전극 사이의 구동 전압 차)에 근거하여 필름 구조물(110)을 작동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120)는 전자기 액츄에이터(예컨대, 평면형 코일)를 포함할 수 있고, 전자기 액츄에이터는 수신된 구동 신호(예를 들어, 구동 전류) 및 자기장에 근거하여 필름 구조물(110)을 작동시킬 수 있으나(즉, 필름 구조물(110)은 전자기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120)는 정전기 액츄에이터(예컨대, 전도판) 또는 NED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전기 액츄에이터 또는 NED 액츄에이터는 수신된 구동 신호(예컨대, 구동 전압) 및 정전기장에 근거하여 필름 구조물(110)을 작동시킬 수 있으나(즉, 필름 구조물(110)은 정전기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액츄에이터(120)는 예를 들어 압전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The actuator 120 has a monotonic electromechanical conversion function for the movement of the film structure 110 along the Z direction. In some embodiments, actuator 12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piezoelectric actuator, electrostatic actuator, nanoscopic electrostatic actuator (NED) actuator, electromagnetic actuator, or any other suitable actuator.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actuator 120 may include a piezoelectric actuator comprising two electrodes and a layer of piezoelectric material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s (e.g., lead zirconate titanate, PZT), wherein the piezoelectric material layer can actuate the film structure 110 based on a drive signal received by the electrode (e.g., a drive voltage and/or a driv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two electrodes); It is not limited. For example, in other embodiments, actuator 120 may include an electromagnetic actuator (e.g., a planar coil) that moves the film structure based on a received drive signal (e.g., drive current) and magnetic field. 110 may be operated (i.e., the film structure 110 may be operated by electromagnetic for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 another embodiment, actuator 120 may include an electrostatic actuator (e.g., a conductive plate) or a NED actuator, wherein the received drive signal (e.g., drive voltage) and the electrostatic The film structure 110 may be operated based on a field (i.e., the film structure 110 may be operated by electrostatic for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Hereinafter, the actuator 120 may be, for example, a piezoelectric actuator.

이 실시예에서, 벤팅 장치(100)는 기부(BS)의 상면(SH)에 배치되는 칩(CP)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칩(CP)은 적어도 필름 구조물(110), 앵커 구조물(140) 및 액츄에이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칩(CP)의 제조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 실시예에서, 칩(CP)은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공정에 의해 MEMS 칩으로 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embodiment, the venting device 100 may optionally include a chip (CP)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SH) of the base (BS), and this chip (CP) includes at least the film structure 110 and the anchor structure. It may include 140 and an actuator 120.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hip (CP) is not limited.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chip CP may be formed into a MEMS chip by at least one semiconductor proces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추가로,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챔버(CB)가 기부(BS)와 필름 구조물(110)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부(BS)는 후방 개구(BVT)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챔버(CB)는 그 후방 개구(BVT)를 통해 벤팅 장치(100) 외부의 후방(즉, 기부(BS) 후방의 공간)에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as shown in FIG. 1 , a chamber CB may exist between the base BS and the film structure 110 . As shown in FIG. 1 , the base BS may further include a rear opening (BVT), and the chamber CB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i.e., the base) outside the venting device 100 through the rear opening (BVT). (BS) can be connected to the rear space).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벤팅 장치(100) 및 기부(BS)는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 내부의 하우징 구조물(HSS) 내에 배치된다. 도 1에서, 하우징 구조물(HSS)은 제1 하우징 개구(HO1) 및 제2 하우징 개구(HO2)를 가질 수 있고, 제1 하우징 개구(HO1)는 웨어러블 소리 장치 사용자의 외이도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하우징 개구(HO2)는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의 주변에 연결될 수 있고, 필름 구조물(110)은 제1 하우징 개구(HO1)와 제2 하우징 개구(HO2) 사이에 있다.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의 주변은 외이도 내부에 있지 않을 수 있음(예를 들어,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의 주변은 귀 외부의 공간에 직접 연결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도 1에서, 챔버(CB)는 기부(BS)와 필름 구조물(110) 사이에 존재할 수 있으므로, 챔버(CB)는 기부(BS)의 후방 개구(BVT) 및 하우징 구조물(HSS)의 제2 하우징 개구(HO2)를 통해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의 주변에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venting device 100 and the base BS are disposed within a housing structure (HSS) inside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In FIG. 1, the housing structure (HSS) may have a first housing opening (HO1) and a second housing opening (HO2), and the first housing opening (HO1)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auditory canal of the user of the wearable sound device, 2 The housing opening (HO2) can be connected to the periphery of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and the film structure 110 is between the first housing opening (HO1) and the second housing opening (HO2).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eriphery of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may not be inside the ear canal (eg, the periphery of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may be connected directly to space outside the ear). Additionally, in FIG. 1, the chamber CB may be present between the base BS and the film structure 110, such that the chamber CB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rear opening BVT of the base BS and the rear opening BVT of the base BS and the first portion of the housing structure HSS. 2 It can be connected to the surroundings of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through the housing opening (HO2).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벤팅 장치(100)의 필름 구조물(110)은 하우징 구조물(HSS)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웨어러블 소리 장치 사용자의 외이도에 연결되는 제1 부피(VL1) 및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의 주변에 연결되는 제2 부피(VL2)로 분할한다. 도 1에서, 제1 부피(VL1)는 하우징 구조물(HSS)의 제1 하우징 개구(HO1)에 연결되고, 제2 부피(VL2)는 하우징 구조물(HSS)의 제2 하우징 개구(HO2)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부피(VL1)는 제1 하우징 개구(HO1)를 통해 웨어러블 소리 장치 사용자의 외이도에 연결되고, 제2 부피(VL2)는 제2 하우징 개구(HO2)를 통해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의 주변에 연결된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챔버(CB)는 제 2 부피(VL2)의 일부분이다.As shown in FIG. 1, the film structure 110 of the venting device 100 divides the space formed inside the housing structure (HSS) into a first volume (VL1) connected to the external auditory canal of the wearable sound device user and a wearable sound device ( It is divided into a second volume (VL2) connected to the periphery of WSD). In Figure 1, the first volume VL1 is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opening HO1 of the housing structure HSS, and the second volume VL2 is connected to the second housing opening HO2 of the housing structure HSS. do. Accordingly, the first volume (VL1)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auditory canal of the user of the wearable sound device through the first housing opening (HO1), and the second volume (VL2) is connected to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through the second housing opening (HO2). connected to the surroundings. As shown in Figure 1, chamber CB is part of second volume VL2.

필름 구조물(110)은 액츄에이터(120)에 의해 위쪽으로 또한 아래쪽으로 움직이도록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는 제1 상하 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는 제2 상하 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요구 사항(들)에 근거하여, 제1 자유 단부(FE1)의 제1 상하 운동의 이동 방향은 제2 자유 단부(FE2)의 제2 상하 운동의 이동 방향과 같거나 반대일 수 있다.The film structure 110 can be actuated by the actuator 120 to move upward and downward. Accordingly, as shown in FIGS. 1 to 5,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a first up and down movement, and the second free end FE1 of the second flap 114 The end FE2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second up and down movement. Based on the requirement(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up and down movement of the first free end FE1 may be the same or opposite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econd up and down movement of the second free end FE2.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필름 구조물(110)은 액츄에이터(120)에 의해 위쪽으로 또한 아래쪽으로 움직이도록 작동될 수 있고, 그래서 슬릿(130)과 관련된 벤트(130T)가 형성되거나 폐쇄되며(즉, 필름 구조물(110)은 벤트(130T)를 형성하거나 벤트(130T)를 폐쇄하도록 구성됨), 벤트(130T)는 슬릿(130)의 두 대향하는 측벽 사이에 형성된다(즉, 벤트(130T)는 슬릿(130) 때문에 형성됨). 벤팅 장치(100)가 벤트(130T)를 일시적으로 폐쇄하는 제1 모드로 있을 때(예를 들어, 도 1 및 도 3), 제1 부피(VL1)는 제2 부피(VL2)로부터 실질적으로 분리되며, 그래서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의 주변 및 웨어러블 소리 장치 사용자의 외이도는 실질적으로 서로 분리(격리) 된다. 반대로, 벤팅 장치(100)가 벤트(130T)가 일시적으로 형성되게 하는 제2 모드로 있을 때(예를 들어, 도 4), 제1 부피(VL1)는 벤트 (130T)를 통해 제2 부피(VL2)에 연결되며, 그래서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의 주변과 웨어러블 소리 장치 사용자의 외이도가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제1 모드에서 벤트(130T)가 일시적으로 폐쇄되고, 제2 모드에서 벤트(130T)가 일시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모드에서 제1 부피(VL1)와 제2 부피(VL2) 사이를 흐르는 공기 흐름은, 제2 모드에서 제1 부피(VL1)와 제2 부피(VL2) 사이를 흐르는 공기 흐름 보다 훨씬 작다.1-5, the film structure 110 can be actuated by the actuator 120 to move upward and downward so that the vent 130T associated with the slit 130 is formed or closed. (i.e., the film structure 110 is configured to form a vent 130T or close the vent 130T), and the vent 130T is formed between two opposing side walls of the slit 130 (i.e., the vent ( 130T) is formed due to the slit 130). When venting device 100 is in a first mode that temporarily closes vent 130T (e.g., FIGS. 1 and 3 ), first volume VL1 is substantially separated from second volume VL2. So, the surroundings of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and the external auditory canal of the user of the wearable sound device are substantially separated (isolated) from each other. Conversely, when venting device 100 is in a second mode that causes vent 130T to be temporarily formed (e.g., FIG. 4 ), first volume VL1 flows through vent 130T to second volume ( VL2), so the surroundings of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and the ear canal of the user of the wearable sound devi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ent 130T is temporarily closed in the first mode and the vent 130T is temporarily formed in the second mode, the first volume VL1 and the second volume VL2 in the first mode The air flow flowing therebetween is much smaller than the air flow flowing between the first volume VL1 and the second volume VL2 in the second mode.

"벤트(130T)가 폐쇄되는" 조건에서, 슬릿(130)의 두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제1 부피(VL1)와 제2 부피(VL2) 사이에서 흐르는 것이 어렵다. "벤트(130T)가 형성/개방되는" 조건에서는, 슬릿(130)의 두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제1 부피(VL1)와 제2 부피(VL2) 사이에서 쉽게 흐른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모드에서(즉, 벤트(130T)는 폐쇄됨) 슬릿(130)의 두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개방 크기는, 제2 모드에서(즉, 벤트(130T)가 형성/개방됨) 슬릿(130)의 두 대향하는 측벽 사이의 개방 크기 보다 훨씬 작다. 예를 들어, 벤트(130T)가 폐쇄된 경우, 필름 구조물(110)은 기부(BS)의 상면(SH)에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슬릿(130)의 두 대향하는 측벽은 수평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서로 겹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벤트(130T)가 형성/개방될 때, 필름 구조물(110)은 기부(BS)의 상면(SH)에 평행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하지 않다.In the vent 130T closed” condition, it is difficult for air to flow between the first volume VL1 and the second volume VL2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two opposing side walls of the slit 130. In the “vent 130T formed/open” condition, air easily flows between the first volume VL1 and the second volume VL2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two opposing side walls of the slit 130. In some embodiments, the size of the opening between two opposing sidewalls of slit 130 in the first mode (i.e., vent 130T is closed) is the same as in the second mode (i.e., vent 130T is formed/open). ) is much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opening between the two opposing side walls of the slit 130. For example, when the vent 130T is closed, the film structure 110 is parallel or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op surface SH of the base BS, and the two opposing side walls of the slit 130 are partially horizontal. or completely overlap each other, but are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when the vent 130T is formed/opened, the film structure 110 is not parallel or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op surface SH of the base BS.

도 1 및 도 3은 제1 모드로 있는 벤팅 장치(100)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필름 구조물(110)은 벤트(130T)가 폐쇄되도록 하기 위해 기부(BS)의 상면(SH)에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위치로 작동되고 유지된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3에서, 슬릿(130)의 두 대향하는 측벽은 벤트(130T)가 폐쇄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서로 겹친다. 도 1 및 도 3에서, 필름 구조물(110)은 제1 플랩(112)과 제2 플랩(114)을 가지므로, 제1 플랩(112)과 제2 플랩(114)은 벤트(130T)를 폐쇄하기 위해 제1 위치로 작동되고 유지된다.1 and 3 show an example of the venting device 100 in the first mode. 1 and 3, the film structure 110 is actuated and maintained in a first position parallel or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op surface SH of the base BS to cause the vent 130T to be closed. . For example, in Figures 1 and 3, two opposing side walls of slit 130 partially or completely overlap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uch that vent 130T is closed. 1 and 3, the film structure 110 has a first flap 112 and a second flap 114 so that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lap 114 close the vent 130T. It is operated and maintained in the first position in order to do so.

도 1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필름 구조물(110)은 제1 위치로 작동되고 유지되기 때문에, 슬릿(130)의 두 대향하는 측벽 사이에 틈(130P)이 존재한다. 예컨대, 그 틈(130P)은 기부(BS)의 상면(SH)에 평행한 평면에서 슬릿(130)의 두 대향하는 측벽 사이에 존재할 수 있고, 틈(130P)은 슬릿(130)을 따르는 폭방향 공간을 말하며, 틈(130P)의 폭은 슬릿(130)의 폭과 같거나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슬릿(130)의 폭(틈(130P)의 폭)은 요구 사항(들)에 근거하여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릿(130)의 폭은 5㎛ 이하, 3㎛ 이하, 2㎛ 이하, 또는 1㎛ 내지 2㎛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1 and 3, as the film structure 110 is actuated and maintained in the first position, a gap 130P exists between the two opposing side walls of the slit 130. For example, the gap 130P may exist between two opposing side walls of the slit 130 in a plan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SH of the base BS, and the gap 130P may b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along the slit 130. Refers to space, and the width of the gap 130P may be the same or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slit 1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width of the slit 130 (width of gap 130P) may be designed based on requirement(s).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slit 130 may be 5 μm or less, 3 μm or less, 2 μm or less, or 1 μm to 2 μm, but is not limited thereto.

틈(130P)의 폭은 충분히 작아야 하므로, 틈(130P)(즉, 좁은 채널)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은 공기 흐름 경로의 벽을 따르는 점성력/저항으로 인해 크게 감쇠될 수 있다(유체 역학 분야에서 경계층 효과로 알려져 있음). 따라서, 제1 모드에서 틈(130P)을 통해 제1 부피(VL1)와 제2 부피(VL2) 사이를 흐르는 공기 흐름은 상당히 작거나 무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벤팅 장치(100)가 제1 모드로 있을 때, 벤트(130T)가 폐쇄되고 심지어 밀봉된다.The width of the gap 130P must be sufficiently small, so that the air flow through the gap 130P (i.e. a narrow channel) can be significantly attenuated due to the viscous forces/resistance along the walls of the airflow path (boundary layer in fluid dynamics field) known as effect). Accordingly, the air flow flowing between the first volume VL1 and the second volume VL2 through the gap 130P in the first mode may be significantly small or negligible. In other words, when the venting device 100 is in the first mode, the vent 130T is closed and even sealed.

제1 모드에서는, 제1 모드에서 틈(130P)을 통해 제1 부피(VL1)와 제2 부피(VL2) 사이를 흐르는 공기 흐름은 상당히 작거나 무시할 수 있기 때문에, 웨어러블 소리 장치 사용자는 전체 오디오 진동수 범위에서 고성능의 음향 변환(예컨대, 고성능 소리)을 경험할 것이며, 음향 변환은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의 음향 변환기에 의해 제공된다.In the first mode, since the airflow flowing between the first volume (VL1) and the second volume (VL2) through the gap (130P) in the first mode is quite small or negligible, the wearable sound device user can hear the entire audio frequency. A high-performance acoustic conversion (e.g., high-performance sound) will be experienced at the range, where the acoustic conversion is provided by an acoustic transducer of a wearable sound device (WSD).

도 4는 제2 모드로 있는 벤팅 장치(100)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플랩(112)(예컨대, 제1 자유 단부(FE1))은 제1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작동될 수 있고, 제2 플랩(114)(예컨대, 제2 자유 단부(FE2))은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그래서 벤트(130T)는 Z 방향으로 슬릿(130)의 두 대향하는 측벽 사이에 일시적으로 형성된다. 즉,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의 제1 상하 운동의 이동 방향은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의 제2 상하 운동의 이동 방향에 반대이다. 예를 들어,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Z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자유 단부(FE1)와 제2 자유 단부(FE2) 중의 하나는 제1 위치 및 평평한 위치의 위로 움직이며(평평한 위치는 기부(BS)의 상면(SH)에 평행함), 제1 자유 단부(FE1)와 제2 자유 단부(FE2) 중의 다른 하나는 제1 위치 및 평평한 위치의 아래로 움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igure 4 shows an example of the venting device 100 in the second mode. As shown in FIG. 4 , first flap 112 (e.g., first free end FE1) can be actuated to move in a first direction and second flap 114 (e.g., second free end FE1) can be actuated to move in a first direction. (FE2)) may be actuated to move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so that a vent 130T is temporarily formed between two opposing side walls of the slit 130 in the Z direction. That i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up and down movement of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is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up and down movement of the second free end FE2 of the second flap 114. .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may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Z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4), one of the first free end FE1 and the second free end FE2 is moved above the first position and the flat position (the flat position is of the base BS).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SH), the other of the first free end FE1 and the second free end FE2 moves down from the first position and the flat position, but is not limited to this.

벤트(130T)가 일시적으로 개방되면, 필름 구조물(110)의 양측 사이의 압력차로 인해 제1 부피(VL1)와 제2 부피(VL2) 사이에 흐르는 공기 흐름이 형성될 수 있고, 그래서 폐색 효과에 의한 압력이 방출되어(즉, 외이도와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의 주변 사이의 압력차가 벤트(130T)를 통해 흐르는 공기 흐름을 통해 해제될 수 있음), 폐색 효과를 억제할 수 있다.When the vent 130T is temporarily opened, an air flow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volume VL1 and the second volume VL2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ides of the film structure 110, thus creating an occlusion effect. The pressure is released (i.e.,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and the surroundings of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can be released through the air flow flowing through the vent 130T), thereby suppressing the occlusion effect.

본 발명에서, 벤트(130T)의 크기는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와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폐색 효과를 억제하는 효과는 벤트(130T)의 크기를 증가시켜 향상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vent 130T may be determin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ree end FE2 of the second flap 114.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occlusion effect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vent 130T.

이에 따라,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모드에서 슬릿(130)의 두 대향하는 측벽 사이에 틈(130P)이 존재하고, 제2 모드에서는 슬릿(130)의 두 대향하는 측벽 사이에 벤트(130T)가 존재한다. 제1 모드에서 틈(130P)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은 제2 모드에서 벤트(130T)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에 비해 훨씬 작을 수 있다(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 틈(130P)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은 무시할 수 있거나 제2 모드에서 벤트(130T)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 보다 10배 낮을 수 있음). 다시 말해, 틈(130P)의 폭은 충분히 작으며, 그래서 제1 모드에서 틈(130P)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누출은 제2 모드에서 벤트(130T)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에 비해 무시할 수 있다(예컨대, 제2 모드에서의 공기 흐름의 10% 보다 작음).Accordingly, as shown in FIGS. 3 and 4, in the first mode, a gap 130P exists between the two opposing side walls of the slit 130, and in the second mode, the gap 130P exists between the two opposing side walls of the slit 130. There is a vent (130T) between them. The air flow through gap 130P in the first mode may be much smaller than the air flow through vent 130T in the second mode (e.g., the air flow through gap 130P in the first mode The flow may be negligible or 10 times lower than the air flow through vent 130T in the second mode). In other words, the width of the gap 130P is sufficiently small, so that the air flow/leakage through the gap 130P in the first mode is negligible compared to the air flow through the vent 130T in the second mode ( e.g. less than 10% of the air flow in the second mode).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제1 모드로부터 도 4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제2 모드로 전환할 때,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는 위쪽으로 움직일 수 있고,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는 아래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반대로, 도 4에 나타나 있는 제2 모드로부터 다시 도 3에 나타나 있는 제1 모드로 전환될 때,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는 아래쪽으로 움직일 수 있고,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는 위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When switching from the first mode as shown in Figure 3 to the second mode as shown in Figure 4,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is movable upward and the second The second free end FE2 of flap 114 is movable downward. Conversely, when switching from the second mode shown in FIG. 4 back to the first mode shown in FIG. 3,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can move downward, and the second flap ( The second free end FE2 of 114) is movable upward.

추가로, 도 3에 나타나 있는 제1 모드로부터 도 4에 나타나 있는 제2 모드로 전환될 때 또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제2 모드로부터 다시 도 3에 나타나 있는 제1 모드로 전환될 때,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는 제1 방향으로 제1 변위(Uz_a)를 갖도록 작동되고,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는 제2 방향으로 제2 변위(Uz_b)를 갖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전환시에, 제1 변위(Uz_a)와 제2 변위(Uz_b)의 합은 필름 구조물(11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Additionally, when switching from the first mode shown in FIG. 3 to the second mode shown in FIG. 4 or when switching from the second mode shown in FIG. 4 back to the first mode shown in FIG. 3, the first mode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lap 112 is operated to have a first displacement Uz_a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free end FE2 of the second flap 114 is operated to have a second displacement in the second direction. It can be operated to have (Uz_b). When switching from the first mode to the second mode, the sum of the first displacement (Uz_a) and the second displacement (Uz_b)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lm structure 110.

일 실시예에서, 제1 변위(Uz_a) 및 제2 변위(Uz_b)는 거리가 실질적으로 같으나 방향은 반대일 수 있다.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의 제1 변위(Uz_a)와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의 제2 변위(Uz_b)는 (일시적으로) 대칭일 수 있다. 제1 자유 단부(FE1)와 제2 자유 단부(FE2)의 움직임은, 임의의 기간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같지만 방향은 반대이다. 즉, 제1 플랩(112)과 제2 플랩(114)이 제1 모드(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음)가 되도록 제1 위치로 유지되면, 필름 구조물(110)이 제2 모드로 변경되도록 작동되거나,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에서의 전환(예를 들어,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전환)에서, 제1 위치에 대한 제1 플랩(112)의 이동 거리는 제1 위치에 대한 제2 플랩(114)의 이동 거리와 같을 수 있다(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음).In one embodiment, the first displacement (Uz_a) and the second displacement (Uz_b)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distance but opposite directions. The first displacement Uz_a of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displacement Uz_b of the second free end FE2 of the second flap 114 will be (temporarily) symmetrical. You can. The movements of the first free end FE1 and the second free end FE2 are substantially equal in length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but in opposite directions. That is, when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lap 114 are maintained in the first position to be in the first mode (as shown in FIG. 3), the film structure 110 is operated to change to the second mode. Alternatively, in a transition between a first mode and a second mode (e.g., a transition from a first mode to a second mode), the distance of movement of the first flap 112 relative to the first position is It may be equal to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second flap 114 (as shown in FIG. 4).

제1 자유 단부(FE1)와 제2 자유 단부(FE2)의 움직임이 하나의 슬릿(130)에 대하여 일시적으로 대칭일 때, 제1 플랩(112)이 제1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작동되기 때문에 제1 공기 운동이 생성되며, 제1 공기 운동의 방향은 제1 방향과 관련되고, 제2 플랩(114)은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작동되기 때문에 제2 공기 운동이 생성되며, 제2 공기 운동의 방향은 제2 방향과 관련되어 있다. 제1 공기 운동과 제2 공기 운동은 각각 반대 방향에 관련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플랩(112)과 제2 플랩(114)이 벤트(130T)를 개방/폐쇄하도록 동시에 작동될 때, 제1 공기 운동의 적어도 일부와 제2 공기 운동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를 상쇄할 수 있다.When the movement of the first free end FE1 and the second free end FE2 is temporari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one slit 130, the first flap 112 is operated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first flap 112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An air movement is generated, the direction of the first air movement being related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flap (114) is actuated to move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so that a second air movement is generated,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ir movement is related to the second direction. Since the first air movement and the second air movement may each be relat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lap 114 are operated simultaneously to open/close the vent 130T, the first air move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mo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air motion may cancel each other out.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플랩(112)과 제2 플랩(114)이 동시에 작동되어 벤트(130T)를 개폐하는 경우 제1 공기 운동과 제2 공기 운동은 실질적으로 서로를 상쇄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제1 방향으로의 제1 변위(Uz_a)와 제2 방향으로의 제2 변위(Uz_b)는 거리가 같지만 방향은 반대일 수 있음). 즉, 제1 공기 운동과 제2 공기 운동을 포함하는, 벤트(130T)의 개폐로 인해 생성되는 정미(net) 공기 운동은 실질적으로 0이다. 그 결과, 벤트(130T)의 개방 및/또는 폐쇄 작동 동안에 정미 공기 운동은 실질적으로 0이기 때문에, 벤트(130T)의 작동은 벤팅 장치(100)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음향적 교란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벤트(130T)의 개방 및/또는 폐쇄 작동은 "숨겨진다" 라고 한다.In some embodiments, when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lap 114 are operated simultaneously to open and close the vent 130T, the first air movement and the second air movement may substantially cancel each other (e.g. For example, the first displacement (Uz_a)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splacement (Uz_b) in the second direction may have the same distance but opposite directions. That is, the net air movement generated due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nt 130T, including the first air movement and the second air movement, is substantially zero. As a result, operation of vent 130T does not produce an acoustic disturbance perceptible to the user of venting device 100 because net air movement is substantially zero during the opening and/or closing operation of vent 130T. and the opening and/or closing operation of vent 130T is said to be “hidden.”

선택적으로,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벤팅 장치(100)는 제3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필름 구조물(110)은 아래쪽으로 구부러지고 제1 위치 및 평평한 위치의 아래에 있다. 도 5에서, 제3 모드에서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와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는 기부(BS) 쪽으로 움직이고/구부려질 수 있다(즉, 필름 구조물(110)이 아래쪽으로 처짐).Optionally, as shown in FIG. 5 , the venting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mode, where the film structure 110 is bent downward and below the first and flat positions. 5 , in the third mode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ree end FE2 of the second flap 114 can be moved/bent towards the base BS ( That is, the film structure 110 sags downward).

도 5에 나타나 있는 제3 모드에서, 벤트(130T)는 실질적으로 폐쇄되어 있으나, 제3 모드에서 슬릿(130)의 두 대향하는 측벽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의 폭은, 제1 모드(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음)에서 슬릿(130)의 두 대향하는 측벽 사이에 존재하는 틈(130P)의 폭보다 크다. 따라서,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 모드에서 슬릿(130)의 두 대향하는 측벽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은 제2 모드에서 벤트(130T)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에 비해 훨씬 작을 수 있지만, 제3 모드에서 슬릿(130)의 두 대향하는 측벽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은 제1 모드에서 틈(130P)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에 비해 클 수 있다.In the third mode shown in FIG. 5, the vent 130T is substantially closed, but the width of the space existing between the two opposing side walls of the slit 130 in the third mode is the same as in the first mode (see FIG. 3). (as shown)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gap 130P that exists between the two opposing side walls of the slit 130. Accordingly, as shown in FIGS. 3 to 5,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space existing between the two opposing side walls of the slit 130 in the third mode is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vent 130T in the second mode. Although it may be much smaller than that,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space existing between the two opposing side walls of the slit 130 in the third mode may be larger than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gap 130P in the first mode.

더욱이,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모드, 제2 모드, 제3 모드 및 두 모드 사이의 전환에서, 제1 자유 단부(FE1)가 제1 상하 운동을 수행할 때,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는 벤팅 장치(100) 내의 다른 어떤 구성 요소와도 물리적 접촉을 하지 않으며, 또한 제2 자유 단부(FE2)가 제2 상하 운동을 수행할 때,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는 벤팅 장치(100) 내의 다른 어떤 구성 요소와도 물리적 접촉을 하지 않는다.Moreover, as shown in FIGS. 3 to 5, in the first mode, second mode, third mode and transition between the two modes, when the first free end FE1 performs the first up and down movement, 1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lap 112 is not in physical contact with any other component within the venting device 100, and when the second free end FE2 performs the second up and down movement, The second free end FE2 of the second flap 114 is not in physical contact with any other component within the venting device 100 .

도 6은 필름 구조물(110)이 상이한 위치에 있는 벤팅 장치(100)의 진동수 응답을 도시하며, 도 6은 제1 모드(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음), 제2 모드(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음) 및 제3 모드(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음)에서의 벤팅 장치(100)의 진동수 응답을 각각 도시한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모드와 제3 모드에서 벤트(130T)가 폐쇄되므로, 제1 모드와 제3 모드에서 저진동수 롤-오프(LFRO; Low Frequency Roll-Off) 코너 진동수가 낮고, 제1 모드에서 저진동수의 SPL 강하 및 제3 모드에서 저진동수의 SPL 강하는 분명하지 않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 모드에서 벤트(130T)가 개방되므로, 제2 모드에서의 LFRO 코너 진동수는 제1 모드 및 제3 모드에서의 LFRO 코너 진동수보다 상당히 높으며, 제2 모드에서 저진동수의 SPL 강하는 분명하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틈(130P)의 폭은 제1 모드(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음)에서 충분히 작아야 하므로, 제1 모드에서의 SPL의 LFRO 코너 진동수는 35Hz 이하일 수 있고, 제3 모드에서의 SPL의 LFRO 코너 진동수보다 낮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 모드(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음)에서 벤트(130T)가 개방/형성될 때, 제2 모드에서의 LFRO 코너 진동수는 벤트(130T)의 개방 크기에 따라 80 내지 400Hz 사이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IG. 6 shows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venting device 100 with the film structure 110 at different positions, with FIG. 6 showing the first mode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mode (as shown in FIG. 4), and FIG.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venting device 100 in the third mode (as shown in FIG. 5) and the third mode (as shown in FIG. 5) are shown,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6, since the vent 130T is closed in the first and third modes, the low frequency roll-off (LFRO) corner frequency is low in the first and third modes. , the SPL drop of low frequencies in the first mode and the SPL drop of low frequencies in the third mode are not clear. As shown in Figure 6, since the vent 130T is open in the second mode, the LFRO corner frequency in the second mode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FRO corner frequency in the first and third modes, and the low vibration in the second mode The SPL drop in numbers is clear.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6, the width of gap 130P must be sufficiently small in the first mode (as shown in Figure 3), so that the LFRO corner frequency of the SPL in the first mode can be less than 35 Hz. and may be lower than the LFRO corner frequency of the SPL in the third m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6, when vent 130T is opened/formed in the second mode (as shown in Figure 4), the LFRO corner frequency in the second mode is that of vent 130T. Depending on the opening size, it may be between 80 and 400 Hz, but is not limited to this.

액츄에이터(120)는 필름 구조물(110)을 작동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적절한 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필름 구조물(110)이 그의 위치를 유지하거나 변경하게 함으로써 벤팅 장치(100)의 모드가 유지되거나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벤팅 장치(100)는 액츄에이터(120)에 의해 수신되는 구동 신호(들)에 근거하여 제1 모드, 제2 모드 또는 제3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필름 구조물(110)이 복수의 플랩으로 분할되는 경우(예컨대, 도 3 내지 도 5 참조), 액츄에이터(120)의 작동 부분은 동일한 구동 신호 또는 상이한 구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120)가 압전 액츄에이터인 경우, 구동 신호(들)는 구동 전압(들) 및/또는 두 전극 사이의 구동 전압 차(들)일 수 있고, 필름 구조물(110)의 변위(자유 단부(FE)의 변위)와 구동 신호는 선형 관계를 가질 수 있다.The actuator 120 may receive at least one suitable drive signal to actuate the film structure 110 to cause the film structure 110 to maintain or change its position, thereby causing the mode of the venting device 100 to be maintained or changed. You can. As shown in FIGS. 3 to 5 , the venting device 100 may be switched to a first mode, a second mode, or a third mode based on the driving signal(s) received by the actuator 120. When the film structure 11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laps (eg, see FIGS. 3-5), the actuating portion of the actuator 120 may receive the same drive signal or a different drive signal. For example, if the actuator 120 is a piezoelectric actuator, the drive signal(s) may be the drive voltage(s) and/or the drive voltag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lectrodes, and the displacement of the film structure 110 ( The displacement of the free end (FE) and the drive signal may have a linear relationship.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모드에서, 제1 플랩(112)에 배치되는 제1 작동 부분(122)은 구동 신호(DV1_1)를 수신하고, 제2 플랩(114)에 배치되는 제2 작동 부분(124)은 구동 신호(DV2_1)를 수신한다. 제1 플랩(112) 및 제2 플랩(114)은 구동 신호(DV1_1) 및 구동 신호(DV2_1)에 따라 제1 위치로 움직이거나 제1 위치로 유지되어 벤트(130T)를 폐쇄한다. 구동 신호(DV1_1) 및 구동 신호(DV2_1)는 요구 사항(들)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동 신호(DV1_1)는 제1 임계값을 갖는 정전압일 수 있고, 구동 신호(DV2_1)는 제2 임계값을 갖는 정전압일 수 있으며, 구동 신호(DV1_1)와 구동 신호(DV2_1)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지만(즉, 제1 임계값은 제2 임계값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함),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동 신호(DV1_1) 및 구동 신호(DV2_1)는 15V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 벤팅 장치(10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은 0.16mW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3, in the first mode,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22 disposed on the first flap 112 receives the drive signal DV1_1, and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22 disposed on the second flap 114 The operating part 124 receives the driving signal DV2_1.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lap 114 are moved to the first position or maintained in the first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e signal DV1_1 and DV2_1 to close the vent 130T. The driving signal (DV1_1) and driving signal (DV2_1) can be designed according to requirement(s). In some embodiments, the driving signal DV1_1 may be a constant voltage with a first threshold, the driving signal DV2_1 may be a constant voltage with a second threshold, and the driving signal DV1_1 and the driving signal DV2_1 may be the same or substantially the same (i.e., the first threshold is the same or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econd threshold),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driving signal DV1_1 and DV2_1 may be 15V,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ower consumed by the venting device 100 in the first mode may be 0.16 mW,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 모드에서, 제1 플랩(112)에 배치되는 제1 작동 부분(122)은 구동 신호(DV1_2)를 수신하고, 제2 플랩(114)에 배치되는 제2 작동 부분(124)은 구동 신호(DV2_2)를 수신한다. 구동 신호(DV1_2) 및 구동 신호(DV2_2)에 따라, 제1 자유 단부(FE1) 및 제2 자유 단부(FE2) 중의 하나(예를 들어, 도 4의 제1 자유 단부(FE1))는 제1 위치 및 평평한 위치의 위로 움직이고, 제1 자유 단부(FE1)와 제2 자유 단부(FE2) 중의 다른 하나(예를 들어, 도 4의 제2 자유 단부(FE2))는 제1 위치 및 평평한 위치의 아래로 움직여 벤트(130T)를 형성한다. 구동 신호(DV1_2) 및 구동 신호(DV2_2)는 요구 사항(들)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동 신호(DV1_2)는 제1 임계값보다 높은(또는 낮은) 정전압일 수 있고, 구동 신호(DV2_2)는 제2 임계값보다 낮은(또는 높은) 정전압일 수 있으며, 구동 신호(DV1_2) 및 구동 신호(DV2_2)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신호(DV1_2)는 30V일 수 있고, 구동 신호(DV2_2)는 0V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모드에서 벤팅 장치(10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은 0.2mW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4, in the second mode, the first actuating portion 122 disposed on the first flap 112 receives the drive signal DV1_2, and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22 disposed on the second flap 114 The operating part 124 receives the driving signal DV2_2.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DV1_2 and the driving signal DV2_2, one of the first free end FE1 and the second free end FE2 (e.g., the first free end FE1 in FIG. 4) is the first free end FE1. The other one of the first free end FE1 and the second free end FE2 (e.g., second free end FE2 in FIG. 4) is moved up from the first and flat position. Move down to form a vent (130T). The driving signal (DV1_2) and driving signal (DV2_2) can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In some embodiments, the driving signal DV1_2 may be a constant voltage higher (or lower) than the first threshold, the driving signal DV2_2 may be a constant voltage lower (or higher) than the second threshold, and the driving signal ( DV1_2) and driving signal (DV2_2)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the driving signal DV1_2 may be 30V, and the driving signal DV2_2 may be 0V,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ower consumed by the venting device 100 in the second mode may be 0.2 mW,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벤트(130T)의 크기는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와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므로, 벤트(130T)의 크기는 요구 사항(들)에 근거하여 구동 신호(들)에 의해 변경되고 제어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of the vent 130T may be determin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ree end FE2 of the second flap 114, so that the vent 130T The size of (130T) can be changed and controlled by drive signal(s) based on requirement(s).

추가로, 구동 신호(DV1_2) 및 구동 신호(DV2_2)의 설계로 인해, 제1 자유 단부(FE1)와 제2 자유 단부(FE2)의 움직임은 제1 위치 및 평평한 위치에 대해 일시적으로 대칭적이다. 예를 들어, 구동 신호(DV1_2)와 제1 임계값의 차는 구동 신호(DV2_2)와 제2 임계값 사이의 차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dditionally, due to the design of the drive signal DV1_2 and DV2_2, the movement of the first free end FE1 and the second free end FE2 is tempor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flat position. . For examp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signal DV1_2 and the first threshold may be the same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signal DV2_2 and the second threshold, but is not limited to this.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 모드에서, 제1 플랩(112)에 배치되는 제1 작동 부분(122)은 구동 신호(DV1_3)를 수신하고, 제2 플랩(114)에 배치되는 제2 작동 부분(124)은 구동 신호(DV2_3)를 수신한다. 구동 신호(DV1_3) 및 구동 신호(DV2_3)에 따라, 제1 자유 단부(FE1) 및 제2 자유 단부(FE2)는 제1 위치 및 평평한 위치의 아래로 움직여(즉, 필름 구조물(110)이 아래쪽으로 처짐) 벤트(130T)를 폐쇄한다. 구동 신호(DV1_3) 및 구동 신호(DV2_3)는 요구 사항(들)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동 신호(DV1_3)는 제1 임계값보다 낮은 정전압일 수 있고, 구동 신호(DV2_3)는 제2 임계값보다 낮은 정전압일 수 있으며, 구동 신호(DV1_3)와 구동 신호(DV2_3)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동 신호(DV1_3) 및 구동 신호(DV2_3)는 0V 또는 접지 전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작동 부분(122) 및 제2 작동 부분(124)은 부유적(floating)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3 모드에서 벤팅 장치(10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은 0.3μW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5, in the third mode,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22 disposed on the first flap 112 receives the drive signal DV1_3, and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22 disposed on the second flap 114 The operating part 124 receives the driving signal DV2_3. According to the drive signal DV1_3 and the drive signal DV2_3, the first free end FE1 and the second free end FE2 are moved downward from the first position and the flat position (i.e., the film structure 110 is moved downward). sagging) Close the vent (130T). The driving signal (DV1_3) and driving signal (DV2_3) can be designed according to requirement(s). In some embodiments, the driving signal DV1_3 may be a constant voltage lower than the first threshold, and the driving signal DV2_3 may be a constant voltage lower than the second threshold, and the driving signal DV1_3 and the driving signal DV2_3 may be the same or substantially the sa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driving signal DV1_3 and DV2_3 may be 0V or ground voltag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operative portion 122 and the second operative portion 124 may be floating, but are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power consumed by the venting device 100 in the third mode may be 0.3 μW,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들 모드에서의 구동 신호에 따라, 벤팅 장치(100)는 제3 모드에서 최저의 전력 소비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모드에서는 액츄에이터(12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즉, 액츄에이터(12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는 0V이거나 접지 전압이며 또는 액츄에이터(120)는 부유적임). 따라서, 벤팅 장치(100)의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벤팅 장치(100)는 평상시에는 제3 모드로 있을 수 있으며(즉, 벤트(130T)가 닫혀 있음), 벤팅 장치(100)는 필요하다면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변경될 수 있지만(예를 들어, 벤팅 장치(100)는 고성능의 음향 변환을 위해 제1 모드로 변경될 수 있고, 폐색 효과를 억제하기 위해 벤팅 장치(100)는 제2 모드로 변경될 수 있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Depending on the drive signals in these modes, the venting device 100 has the lowest power consumption in the third mode. In some embodiments,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actuator 120 in the third mode (i.e., the drive signal applied to the actuator 120 is 0V or a ground voltage or the actuator 120 is floating). Accordingly,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venting device 100, venting device 100 may normally be in the third mode (i.e., vent 130T is closed), and venting device 100 may be in third mode when necessary. It may be changed to mode 1 or mode 2 (for example, the venting device 100 may be changed to the first mode for high-performance acoustic conversion, and the venting device 100 may be changed to the first mode to suppress the occlusion effect). 2 m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작동 부분(122)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와 제2 작동 부분(124)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는 접지 전압에 대해 단극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에서 언급한 구동 신호(DV1_1, DV1_2, DV1_3, DV2_1, DV2_2, DV2_3)에 따르면, 제1 작동 부분(122)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 및 제2 작동 부분(124)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는 0V 내지 30V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some embodiments,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22 and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24 may be unipolar with respect to the ground voltage.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driving signals (DV1_1, DV1_2, DV1_3, DV2_1, DV2_2, DV2_3),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first operating part 122 and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second operating part 124 may be from 0V to 30V,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액츄에이터(12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는 액츄에이터(120)의 항복 전압을 초과하지 않아, 벤팅 장치(100)의 작동이 안정적이거나 벤팅 장치(100)는 덜 왜곡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액츄에이터(12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가 0V보다 크면, 그 구동 신호는 제어기(예컨대, 구동 회로)에서 출력되는 최대 전압보다 작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actuator 120 does not exceed the breakdown voltage of the actuator 120,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venting device 100 is stable or the venting device 100 is less distor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For example, if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actuator 120 is greater than 0V, the driving signal may be less than the maximum voltage output from the controller (eg, driving circuit), but is not limited to this.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슬릿(130)은 벤팅 장치(100)의 동적 전방 벤트로서 역할하도록 구동될 수 있고, 그 동적 전방 벤트가 개방/형성될 때 하우징 구조물(HSS) 내의 제1 부피(VL1)와 제2 부피(VL2)가 연결되며, 동적 전방 벤트가 폐쇄될 때 하우징 구조물(HSS) 내의 제1 부피(VL1)와 제2 부피(VL2)는 서로 분리된다.According to the foregoing, the sli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tuated to serve as a dynamic front vent of the venting device 100, and when the dynamic front vent is opened/formed, the first volume within the housing structure (HSS) ( VL1) and the second volume (VL2) are connected, and when the dynamic front vent is closed, the first volume (VL1) and the second volume (VL2) in the housing structure (HS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더욱이, 본 발명의 벤팅 장치(100)는 동적 전방 벤트로 인해 더 양호한 방수 및 더 양호한 방진을 가질 수 있다.Moreover, the ven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better water resistance and better dust protection due to the dynamic front vent.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팅 장치를 갖는 웨어러블 소리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는 감지 장치(150)와 이 감지 장치(150), 음향 변환기 및 벤팅 장치(100)(예를 들어, 벤팅 장치(100)의 액츄에이터(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 구성 요소(SED)는 음향 변환기와 벤팅 장치(100)를 포함하여, 도 7을 간단 명료하게 만든다.Referring to Figure 7.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earable sound device with a ve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includes a sensing device 150, an acoustic transducer, and a venting device 100 (e.g., an actuator 120 of the venting device 100). ))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16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 Figure 7, the components (SED) include an acoustic transducer and a venting device 100, making Figure 7 simple and clear.

감지 장치(150)는,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의 외부에 있고 감지 결과를 발생시키도록 대응하는 요구되는 인자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장치(150)는 적외선(IR) 감지 방법, 광학적 감지 방법, 음향적 감지 방법, 초음파 감지 방법, 용량적 감지 방법 또는 다른 적절한 감지 방법을 사용하여 임의의 요구되는 인자를 감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ensing device 150 may be external to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and configured to sense a corresponding required factor to generate a sensing result. For example, sensing device 150 may detect any desired factor using an infrared (IR) sensing method, an optical sensing method, an acoustic sensing method, an ultrasonic sensing method, a capacitive sensing method, or other suitable sensing metho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일부 실시예에서, 벤트(130T)의 형성 여부는 감지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감지 결과로 표시되는 감지된 양이 제1 극성으로 특정 임계값과 교차하면 벤트(130T)는 개방(형성)되고, 감지된 양이 제1 극성에 반대인 제2 극성으로 특정 임계값과 교차하면 벤트(130T)가 폐쇄된다. 예를 들어, 제1 극성은 로우(low)에서 하이(high)일 수 있고, 제2 극성은 하이에서 로우일 수 있으며, 그래서 감지된 양이 특정 임계값 미만으로부터 특정 임계값 이상으로 변할 때 벤트(130T)가 개방되며, 그리고 감지된 양이 특정 임계값 이상으로부터 특정 임계값 미만으로 변할 때는 벤트(130T)가 폐쇄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some embodiments, whether or not the vent 130T is formed is determined based on detection results. Vent 130T is opened (formed) when the detected quantity indicated by the detection result crosses a certain threshold with the first polarity, and when the sensed quantity with the second polarity opposite to the first polarity crosses the certain threshold. The vent (130T) is closed. For example, the first polarity could be low to high and the second polarity could be high to low, so that a vent occurs when the sensed quantity changes from below a certain threshold to above a certain threshold. Vent 130T is opened, and vent 130T is closed when the sensed quantity changes from above, but not limited to, a certain threshold to below a certain threshold.

더욱이, 일부 실시예에서, 벤트(130T)의 개방도는 감지 결과로 표시되는 감지된 양에 단조롭게 관련될 수 있다. 즉, 벤트(130T)의 개방도는 감지된 양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된다.Moreover, in some embodiments, the opening of vent 130T may be monotonically related to the sensed quantity indicated by the sensing result. That is, the opening of the vent 130T increases or decreases depending on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sensed amount.

일부 실시예에서, 감지 장치(150)는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 및/또는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움직임 센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장치(150)는, 걷기, 조깅, 말하기, 먹기 등과 같이 폐색 효과를 일으키는 신체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감지 결과로 표시되는 감지된 양은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 및/또는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의 움직임을 나타내고, 벤트(130T)의 개방도는 감지된 움직임과 상관 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벤트(130T)의 개방도는 움직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In some embodiments, sensing device 150 may optionally include a motion sensor configured to detect body movement of a user and/or movement of a wearable sound device (WSD). For example, the sensing device 150 may detect body movements that cause an occlusion effect, such as walking, jogging, talking, eating, etc. In some embodiments, the sensed quantity displayed as a result of the sensing is indicative of the user's body movement and/or the movement of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and the opening of the vent 130T is correlated with the sensed movement. For example, the opening of vent 130T increases as movement increases.

일부 실시예에서, 감지 장치(150)는 근접 센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 근접 센서는 대상물과 근접 센서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감지 결과로 표시되는 감지된 양은 대상물과 근접 센서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며, 벤트(130T)의 개방도는 감지된 거리와 상관 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이 거리가 미리 결정된 거리보다 작으면 벤트(130T)가 개방(또는 형성)되고, 이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벤트(130T)의 개방도는 증가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벤트(130T)를 개방(또는 형성)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임의의 적합한 대상물(예를 들어, 손)을 사용하여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에 접근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근접 센서가 이 대상물을 감지하도록 하여 대응적으로 감지 결과를 발생시켜 벤트(130T)를 개방/형성한다.In some embodiments, sensing device 150 may optionally include a proximity sensor, which is configured to sense a distance between an object and the proximity sensor. In some embodiments, the sensed amount displayed as a sensing result represents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proximity sensor, and the opening of vent 130T is correlated to the sensed distance. For example, if this distanc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vent 130T is opened (or formed), and as this distance decreases, the openness of the vent 130T increases. For example, if a user wishes to open (or form) vent 130T, the user may use any suitable object (e.g., a hand) to approach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and Accordingly,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this object and generates a detection result correspondingly to open/form the vent 130T.

추가로, 근접 센서는 벤팅 장치(100)를 갖는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를 사용자가 (예상 가능하게) 두드리거나 터치하는 것을 감지하는 기능을 더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움직임이 또한 폐색 효과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Additionally, the proximity sensor may further have the ability to detect when the user (predictably) taps or touches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with venting device 100, as such movements may also cause an occlusion effect. Because there is.

일부 실시예에서, 감지 장치(150)는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의 힘 센서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힘 센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감지 결과로 표시되는 감지된 양은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를 누르는 힘을 나타내고, 벤트(130T)의 개방도는 감지된 힘과 상관 관계가 있다.In some embodiments, sensing device 150 may optionally include a force sensor configured to sense a force applied to a force sensor of a wearable sound device (WSD), wherein the sensed quantity indicated as a result of the sensing is a force sensor of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WSD), and the opening of the vent 130T is correlated with the sensed force.

일부 실시예에서, 감지 장치(150)는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의 주변 광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광 센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감지 결과로 표시되는 감지된 양은 그 광 센서에 의해 감지된 주변 광의 휘도를 나타내고, 벤트(130T)의 개방도는 감지된 주변 광의 휘도와 상관 관계가 있다.In some embodiments, sensing device 150 may optionally include an optical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mbient light of a wearable sound device (WSD), wherein the sensed quantity displayed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is the ambient light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It represents the luminance of light,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vent 130T is correlated with the luminance of the sensed ambient light.

일부 실시예에서, 감지 장치(150)는 폐색 이벤트를 검출하기 위해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 외부의 소리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마이크와 같은 음향 센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결과로 표시되는 감지된 양은 음향 센서에 의해 감지된 소리의 SPL을 나타내며, 벤트(130T)의 개방도는 그 음향 센서에 의해 감지된 소리와 상관 관계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벤팅 장치(100)는, 폐색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음향 센서가 검출할 때 벤트(130T)를 개방하도록 작동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some embodiments, sensing device 150 may optionally include an acoustic sensor, such as a microphone, configured to detect sound external to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to detect occlusion events. For example, the sensed quantity displayed as a detection result represents the SPL of the sound detected by the acoustic sensor, and the opening degree of the vent 130T is correlated with the sound detected by the acoustic sensor, but is not limited to this. .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o, venting device 100 is operative to open vent 130T when an acoustic sensor detects that an occlusion event has occurred.

제어기(160)는 음향 변환기 및 벤팅 장치(10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발생시켜 음향 변환기를 제어하여 음향 변환을 수행하고 벤팅 장치(100)의 모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ler 160 is configured to generate a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acoustic transducer and the venting device 100 to control the acoustic transducer to perform acoustic conversion and control the mode of the venting device 100.

제어기(160)는 요구 사항(들)에 근거하여 설계될 수 있고, 제어기(160)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제어기(16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analog-to-digital converter)(162), 디지털 신호 처리(DSP) 유닛(164),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66),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성 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60)는 집적 회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Controller 160 may be designed based on the requirement(s), and controller 160 may include any suitable components. For example, in Figure 7, controller 160 includes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162, a 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unit 164, and a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 166), and may include any other suitable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For example, controller 160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n integrated circuit.

제어기(160)는 벤팅 장치(100)의 액츄에이터(12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발생시켜 그 벤팅 장치(100)의 모드를 제어한다. 따라서, 제어기(160)는 벤팅 장치(100)를 제어하여, 폐색 효과를 억제하기 위해 벤트(130T)를 형성하거나 또는 웨어러블 소리 장치 사용자가 전체 오디오 진동수 범위에서 고성능의 음향 변환을 경험할 수 있도록 벤트(130T)를 폐쇄한다.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mode of the venting device 100 by generating a drive signal applied to the actuator 120 of the venting device 100. Accordingly,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venting device 100 to form the vent 130T to suppress the occlusion effect or to form the vent 130T so that the wearable sound device user can experience high-performance acoustic conversion over the entire audio frequency range. 130T) is closed.

도 3 및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어기(160)가 벤트(130T)를 폐쇄하기로 결정하면, 벤팅 장치(100)는 벤트(130T)를 폐쇄/밀봉하도록 제어기(160)에 의해 제어된다(벤팅 장치(100)는 제1 모드 또는 제3 모드에 있음). 따라서, 도 3에서, 구동 신호(DV1_1) 및 구동 신호(DV2_1)는 각각 제1 작동 부분(122) 및 제2 작동 부분(124)에 인가되어 제1 플랩(112) 및 제2 플랩(114)을 제1 위치로 움직이게 하고, 또는 제1 위치로 유지되어 벤트(130T)를 폐쇄/밀봉한다. 도 5에서, 구동 신호(DV1_3) 및 구동 신호(DV2_3)는 각각 제1 작동 부분(122) 및 제2 작동 부분(124)에 인가되어 제1 플랩(112) 및 제2 플랩(114)을 제1 위치 및 평평한 위치 아래의 위치로 움직이게 하여(또는 그 위치로 유지시켜) 벤트(130T)를 폐쇄한다.3 and 5, when controller 160 determines to close vent 130T, venting device 100 is controlled by controller 160 to close/seal vent 130T. (Venting device 100 is in the first mode or the third mode). Accordingly, in FIG. 3, the driving signal DV1_1 and the driving signal DV2_1 are applied to the first operating part 122 and the second operating part 124, respectively, to operate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lap 114. is moved to the first position, or remains in the first position to close/seal the vent 130T. In Figure 5, the driving signal (DV1_3) and the driving signal (DV2_3) are applied to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22 and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24, respectively, to operate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lap 114. Close vent 130T by moving it to a position below (or holding it in) the 1 position and the flat position.

특히, 도 5에 나타나 있는 제3 모드에서, 구동 신호(DV1_3) 및 구동 신호(DV2_3)는 0V 또는 접지 전압일 수 있고, 제1 작동 부분(122) 및 제2 작동 부분(124)은 부유적일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기(160)가 벤트(130T)를 폐쇄하기로 결정하고 또한 벤팅 장치(100)를 제3 모드로 있게 하기로 결정하면, 액츄에이터(12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즉, 제1 작동 부분(122) 및 제2 작동 부분(124)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음), 벤트(130T)가 폐쇄된다.In particular, in the third mode shown in FIG. 5, the driving signal DV1_3 and the driving signal DV2_3 may be 0V or ground voltage, and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22 and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24 may be floating. You can. 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if controller 160 decides to close vent 130T and also places venting device 100 in the third mode, no voltage is applied to actuator 120 ( That is,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operating part 122 and the second operating part 124), and the vent 130T is closed.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벤팅 장치(100)는, 제어기(160)가 벤트(130T)를 폐쇄하기로 결정하지 않으면(예를 들어, 제어기(160)가 벤트(130T)를 형성하기로 결정하면) 벤트(130T)를 형성하기 위해 제어기(160)에 의해 제어된다(벤팅 장치(100)는 제2 모드로 있음). 따라서, 도 3에서, 구동 신호(DV1_2) 및 구동 신호(DV2_2)는 각각 제1 작동 부분(122) 및 제2 작동 부분(124)에 인가되어 제1플랩(112) 및 제2 플랩(114)을 제어하여 벤트(130T)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1 플랩(112)(예컨대, 제1 자유 단부(FE1))은 제1 위치 위의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제1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작동되고, 제2 플랩(114)(예컨대, 제2 자유 단부(FE2))은 제1 위치 아래의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작동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venting device 100 may operate unless the controller 160 decides to close the vent 130T (e.g., if the controller 160 decides to form the vent 130T) lower surface) is controlled by controller 160 to form vent 130T (venting device 100 is in second mode). Therefore, in FIG. 3, the driving signal DV1_2 and the driving signal DV2_2 are applied to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22 and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24, respectively, to operate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lap 114. is controlled to form a vent (130T). For example, the first flap 112 (e.g., first free end FE1) is actuated to move in a first direction to reach a position above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flap 114 (e.g., The second free end FE2) is operable to move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o reach a position below the first position.

일부 실시예에서, 벤팅 장치(100)의 액츄에이터(12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는 감지 결과에 따라 발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벤트(130T)의 개방도는 감지 결과로 표시되는 감지된 양에 단조롭게 관계될 수 있으므로, 액츄에이터(12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는 감지 결과로 표시되는 감지된 양과 단조로운 관계를 가질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actuator 120 of the venting device 100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 detection result, but is not limited to this. In some embodiments, the opening of vent 130T may be monotonically related to the sensed quantity indicated by the sensing result, so that the drive signal applied to actuator 120 may have a monotonic relationship with the sensed quantity indicated by the sensing result. You can.

감지 장치(150)가 움직임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액츄에이터(12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크기는 움직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또는 감소)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감지 장치(150)가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액츄에이터(12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크기는 거리가 감소하거나 임계값 아래로 감소함에 따라 증가(또는 감소)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감지 장치(150)가 힘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액츄에이터(12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크기는 힘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또는 감소)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감지 장치(150)가 광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액츄에이터(12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의 크기는 주변 광의 휘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또는 감소)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When the sensing device 150 includes a motion sensor, the size of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actuator 120 may increase (or decrease) as the movement increases, but is not limited to this. Similarly, if sensing device 150 includes a proximity sensor, the magnitude of the drive signal applied to actuator 120 may increase (or decrease) as the distance decreases or decreases below a threshold, but is limited thereto. It doesn't work. Similarly, when the sensing device 150 includes a force sensor, the magnitude of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actuator 120 may increase (or decrease) as the force increases, but is not limited to this. Similarly, when the sensing device 150 includes an optical sensor, the size of the driving signal applied to the actuator 120 may increase (or decrease) as the luminance of ambient light decreases, but is not limited to this.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팅 장치를 갖는 웨어러블 소리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는 음향 변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음향 변환기(예를 들어, 음향 변환기(SPK1 및 SPK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음파는 음향 변환기(SPK1, SPK2)에 의해 생성되고, 벤팅 장치(100)는 폐색 효과를 억제하기 위해 벤트(130T)를 개폐하기 위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음향 변환기(SPK1, SPK2)에 의해 생성되는 음파는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의 전방 챔버(FBC)로부터 웨어러블 소리 장치 사용자의 외이도로 전파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8. 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earable sound device with a ve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shown in FIG. 8 may include a plurality of sound transducers (eg, sound transducers SPK1 and SPK2) configured to perform sound conversion. That is, sound waves are generated by the sound transducers (SPK1, SPK2), and the venting device 100 is configured to operate to open and close the vent 130T to suppress the occlusion effect. As shown in FIG. 8, sound waves generated by the sound transducers (SPK1, SPK2) may propagate from the front chamber (FBC) of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to the external auditory canal of the user of the wearable sound device.

각 음향 변환기에 의해 생성되는 음파의 진동수 범위는 요구 사항(들)에 근거하여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변환기의 일 실시예는 인간의 가청 진동수 범위(예를 들어, 20Hz 내지 20kHz)를 커버하는 진동수 범위를 갖는 음파를 생성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음향 변환기의 다른 실시예는 특정 진동수보다 높은 진동수의 음파를 생성시킬 수 있으며, 그래서 이 음향 변환기는 고진동수 소리 유닛(트위터(tweete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음향 변환기의 다른 실시예는 특정 진동수보다 낮은 진동수의 음파를 생성할 수 있으며, 그래서 이러한 음향 변환기는 저진동수 소리 유닛(우퍼(woofe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특정 진동수는 800Hz 내지 4kHz(예를 들어, 1.44kHz) 범위의 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고진동수 소리 유닛과 저진동수 소리 유닛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미국 출원 번호 17/153,849를 참조할 수 있으며, 이는 간결함을 위해 여기서는 설명되지 않는다.The frequency range of the sound waves produced by each acoustic transducer can be designed based on requirement(s). For example, one embodiment of an acoustic transducer may generate sound waves having a frequency range that covers the human hearing frequency range (eg, 20 Hz to 20 kHz), bu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nother embodiment of an acoustic transducer may produce sound waves of a higher frequency than a specific frequency, so the acoustic transducer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high frequency sound unit (tweeter). For example, other embodiments of an acoustic transducer may produce sound waves of a lower frequency than a certain frequency, so such an acoustic transducer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low frequency sound unit (woof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pecific frequency may be a value in the range of 800 Hz to 4 kHz (e.g., 1.44 kHz),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further details of high frequency sound units and low frequency sound units, reference may be made to US Application No. 17/153,849 filed by the applicant, which is not described here for brevity.

음향 변환기(SPK1 및 SPK2)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변환기(SPK1)는 고진동수 소리 유닛(트위터)일 수 있고, 음향 변환기(SPK2)는 저진동수 소리 유닛(우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acoustic transducers (SPK1 and SPK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or example, the sound transducer SPK1 may be a high-frequency sound unit (tweeter), and the sound transducer SPK2 may be a low-frequency sound unit (woof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8에 나타나 있는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의 전방 챔버(FBC)는, 벤팅 장치(100)가 배치되는 하우징 구조물(HSS) 내의 제1 부피(VL1)(도 1에 나타나 있음)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의 전방 챔버(FBC)는 하우징 구조물(HSS) 내의 제1 부피(VL1)에 직접 연결되거나, 웨어러블 소리 장치 사용자의 외이도를 통해 하우징 구조물(HSS) 내의 제1 부피(VL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나 있는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의 후방 챔버(BBC)는, 벤팅 장치(100)가 배치되는 하우징 구조물(HSS) 내의 제2 부피(VL2)(도 1에 나타나 있음)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의 후방 챔버(BBC)는 하우징 구조물(HSS) 내의 제2 부피(VL2)에 직접 연결되거나,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의 주변을 통해 하우징 구조물(HSS)의 제2 부피(VL2)에 연결될 수 있다.The front chamber (FBC) of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shown in Figure 8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volume (VL1) (shown in Figure 1) within the housing structure (HSS) in which the venting device 100 is disposed. . For example, the front chamber (FBC) of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may be connected directly to the first volume (VL1) within the housing structure (HSS), or via the external auditory canal of the wearable sound device user to the first volume (VL1) within the housing structure (HSS). It can be connected to the volume (VL1). Additionally, the rear chamber (BBC) of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shown in FIG. 8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volume (VL2) (shown in FIG. 1) within the housing structure (HSS) in which the venting device 100 is disposed. You can. For example, the rear chamber (BBC) of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may be connected directly to the second volume (VL2) within the housing structure (HSS) or through the periphery of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of the housing structure (HSS). I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volume (VL2).

음향 센서(들)(예를 들어, 마이크(들))를 포함할 수 있는 감지 장치(150)는 웨어러블 소리 장치(WSD)의 전방 챔버(FBC) 및/또는 후방 챔버(BBC)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감지 장치(150)는 폐색 이벤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Sensing device 150, which may include acoustic sensor(s) (e.g., microphone(s)), may be placed in the front chamber (FBC) and/or back chamber (BBC) of the wearable sound device (WSD). and the sensing device 150 is configured to detect an occlusion event.

벤팅 장치(100), 음향 변환기(SPK1, SPK2) 및 감지 장치(150)는 제어기(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기(160)는 음향 변환기(SPK1, SPK2)에 음향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으며, 그래서 음향 변환기(SPK1, SPK2)에 의해 생성되는 음파는 음향 구동 신호에 대응될 수 있다. 제어기(160)는 감지 장치(150)의 감지 결과에 근거한 구동 신호를 벤팅 장치(100)에 인가하여, 폐색 효과를 억제하기 위해 벤트(130T)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60)는 장치 제어기(168a) 및 장치 구동기(168b)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장치 제어기(168a)는 감지 장치(150)에 의해 발생되는 감지 결과에 따라 액츄에이터(120)의 작동 부분에 인가되는 또는 인가될 전압을 결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venting device 100, the acoustic transducers (SPK1, SPK2), and the sensing device 1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60. The controller 160 may apply an acoustic drive signal to the acoustic transducers SPK1 and SPK2, so that the sound waves generated by the acoustic transducers SPK1 and SPK2 may correspond to the acoustic drive signal. The controller 160 may apply a driving signal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ing device 150 to the venting device 100 to open or close the vent 130T to suppress the occlusion effect. For example, controller 16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device controller 168a and device driver 168b.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o, the device controller 168a may determine the voltage applied or to be applied to the actuating portion of the actuator 120 depending on the sensing results generated by the sensing device 150.

본 발명의 벤팅 장치는 위의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아래에서 설명된다.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이하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기호로 표시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은 각 실시예들 간의 차이점에 관한 것이며, 반복되는 부분은 중복적으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The ve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For easy comparison, identical components will hereinafter be denoted by identical symbols. 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differences between each embodiment, and repeated parts will not be explained redundantly.

이하의 실시예에서, 벤팅 장치는 벤트(130T)가 저전력 소비 조건 하에서 형성/개방되도록 설계된다. 벤팅 장치는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venting device is designed so that the vent 130T is formed/opened under low power consumption condition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venting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below.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모드로 있는 벤팅 장치의 필름 구조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9에 나타나 있는 벤팅 장치(200)는 제1 모드로 있고, 도 10에 나타나 있는 벤팅 장치(200)는 제2 모드로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벤팅 장치(200)는, 기부(BS)에 배치되고 필름 구조물(110)에 인접하는 고정 구조물(210)을 더 포함한다(예를 들어, 챔버(CB)는 또한 고정 구조물(210)과 기부(BS) 사이에 있음). 도 9 및 도 10에서, 고정 구조물(210)은 수평 방향(예컨대, X 방향)으로 제1 플랩(112)과 제2 플랩(1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 고정 구조물(210)은 벤팅 장치(200)의 작동시에 움직이지 않을 수 있으며, 그래서 고정 구조물(210)은 움직이도록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9 and 10, FIGS. 9 and 10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film structure of the venting device in another mod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enting device 200 shown in FIG. ) is in the first mode, and the venting device 200 shown in FIG. 10 is in the second mode. 9 and 10, the venting device 200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structure 210 disposed at the base BS and adjacent the film structure 110 (e.g., chamber CB ) is also between the fixed structure 210 and the base (BS)). 9 and 10, the fixation structure 2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lap 114 in a horizontal direction (eg, X direction). 9 and 10, the stationary structure 210 may not move during operation of the venting device 200, so the stationary structure 210 may not be actuated to move.

고정 구조물(210)은 요구 사항(들)에 근거하여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구조물(210)은 기부(BS)(예를 들어, 기부(BS)의 상면(SH))에 평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릿(130)은 제1 플랩(112)과 제2 플랩(114) 사이, 제1 플랩(112)과 고정 구조물(210) 사이 및/또는 제2 플랩(114)과 고정 구조물(2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Anchoring structure 210 may be designed based on requirement(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fixation structure 210 may be parallel to the base BS (e.g., the top surface SH of the base B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9 and 10, the slit 130 is between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lap 114, between the first flap 112 and the fastening structure 210, and/or the second flap. It may be formed between 114 and the fixed structure 210.

일부 실시예에서, 평면도에서, 고정 구조물(210)은 수평 방향(예컨대, X 방향)으로 제1 플랩(112)의 전체 제1 자유 단부(FE1)(즉, 제1 자유 가장자리) 및 제2 플랩(114)의 전체 제2 자유 단부(FE2)(즉, 제2 자유 가장자리)에 대응할 수 있다. 슬릿(130) 중의 하나는 제1 플랩(112)과 고정 구조물(210) 사이에 형성되고(즉, 이 슬릿(130)의 두 대향하는 측벽은 각각 제1 플랩(112)과 고정 구조물(210)에 속함), 슬릿(130) 중의 다른 하나는 제2 플랩(114)과 고정 구조물(210) 사이에 형성된다(즉, 이 슬릿(130)의 두 대향하는 측벽은 각각 제2 플랩(114)과 고정 구조물(210)에 속함). 따라서 수평 방향(예를 들어, X 방향)으로, 이 경우의 벤팅 장치(200)(도 9 및 도 10)에서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와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 사이의 거리는, 제1 실시예의 벤팅 장치(100)(도 1 내지 도 5)에서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와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 사이의 거리 보다 크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벤팅 장치(200)가 제1 모드로 있을 때, 틈(130P) 중의 하나가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와 고정 구조물(210) 사이에 존재하고, 틈(130P) 중의 다른 하나는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와 고정 구조물(210) 사이에 존재한다(즉, 틈(130P)은 슬릿(130) 때문에 형성됨).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벤팅 장치(200)가 제2 모드로 있을 때, 벤트(130T) 중의 하나가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와 고정 구조물(210) 사이에 형성되고, 벤트(130T) 중의 다른 하나는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와 고정 구조물(210) 사이에 형성된다(즉, 벤트(130T)는 슬릿(130) 때문에 형성됨).In some embodiments, in a top view, the anchoring structure 210 is positioned along the entire first free end FE1 (i.e., first free edge) of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lap in a horizontal direction (e.g., in the It may correspond to the entire second free end FE2 (i.e., second free edge) of 114 . One of the slits 13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lap 112 and the fastening structure 210 (i.e., the two opposing side walls of the slit 130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flap 112 and the fastening structure 210, respectively). (belonging to belonging to fixed structures 210). According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g. in th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lap 114 in the venting device 100 of the first embodiment (FIGS. 1 to 5) is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free ends (FE2) of 9 , when the venting device 200 is in the first mode, one of the gaps 130P is between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and the fastening structure 210. exists, and the other one of the gaps 130P exists between the second free end FE2 of the second flap 114 and the fastening structure 210 (i.e., the gap 130P is formed due to the slit 130). . 10 , when the venting device 200 is in the second mode, one of the vents 130T is between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and the fastening structure 210. is formed, and the other of the vents 130T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free end FE2 of the second flap 114 and the fastening structure 210 (i.e., the vent 130T is formed due to the slit 130). .

일부 실시예에서, 평면도에서, 고정 구조물(210)은 수평 방향(예컨대, X 방향)으로 제1 자유 단부(FE1)(즉, 제1 자유 가장자리)의 대응 부분에 대응하고 제1 자유 단부(FE1)(즉, 제1 자유 가장자리)의 비대응 부분에 대응하지 않을 수 있고, 고정 구조물(210)은 수평 방향(예컨대, X 방향)으로 제2 자유 단부(FE2)(즉, 제2 자유 가장자리)의 대응 부분에 대응하고 제2 자유 단부(FE2)(즉, 제2 자유 가장자리)의 비대응 부분에 대응하지 않을 수 있다. 슬릿(130)은 제1 플랩(112)과 제2 플랩(114) 사이, 제1 플랩(112)과 고정 구조물(210) 사이, 그리고 제2 플랩(114)과 고정 구조물(2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즉, 슬릿(130)의 일부 측벽이 고정 구조물(210)에 속함). 그러므로, 수평 방향(예를 들어, X 방향)으로, 이 경우의 벤팅 장치(200)(도 9 및 도 10)에서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의 대응 부분과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의 대응 부분 사이의 거리는, 제1 실시예의 벤팅 장치(100)(도 1 내지 도 5)에서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와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 사이의 거리 보다 크다. 이 경우, 수평 방향(예컨대, X 방향)으로,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의 대응 부분과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의 대응 부분 사이의 거리는,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의 비대응 부분과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의 비대응 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크다. 이 경우, 벤팅 장치(200)가 제1 모드로 있을 때, 틈(130P)이 제1 자유 단부(FE1)의 대응 부분과 고정 구조물(210) 사이, 제2 자유 단부(FE2)의 대응 부분과 고정 구조물(210) 사이 및 제1 자유 단부(FE1)의 비대응 부분과 제2 자유 단부(FE2)의 비대응 부분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즉, 틈(130P)은 슬릿(130) 때문에 형성됨). 이 경우, 벤팅 장치(200)가 제2 모드로 있을 때, 벤트(130T)가 제1 자유 단부(FE1)의 대응 부분과 고정 구조물(210) 사이, 제2 자유 단부(FE2)의 대응 부분과 고정 구조물(210) 사이 및 제1 자유 단부(FE1)의 비대응 부분과 제2 자유 단부(FE2)의 비대응 부분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즉, 벤트(130T)는 슬릿(130) 때문에 형성됨).In some embodiments, in a top view, the fastening structure 210 corresponds to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irst free end FE1 (i.e., the first free edge) in a horizontal direction (e.g., the X direction) and the first free end FE1 ) (i.e., the first free edge) may not correspond to a non-corresponding portion of the second free end FE2 (i.e., the second free ed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g., the X direction). corresponds to a corresponding portion of and may not correspond to a non-corresponding portion of the second free end FE2 (i.e., the second free edge). The slit 13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lap 114, between the first flap 112 and the fixing structure 210, and between the second flap 114 and the fixing structure 210. (i.e., some sidewalls of the slit 130 belong to the anchoring structure 210). Therefor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g. in the The distance between the corresponding parts of the second free end FE2 of the flap 114 is equal to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in the venting device 100 of the first embodiment ( FIGS. 1 to 5 ). and the second free end FE2 of the second flap 114. In this cas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g. in the The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non-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and the non-corresponding portion of the second free end FE2 of the second flap 114 . In this case, when the venting device 200 is in the first mode, the gap 130P is formed between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first free end FE1 and the fixed structure 210 and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second free end FE2. may exist between the fastening structures 210 and between the non-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first free end FE1 and the non-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second free end FE2 (i.e., the gap 130P is formed due to the slit 130). . In this case, when the venting device 200 is in the second mode, the vent 130T is positioned between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first free end FE1 and the fixed structure 210 and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second free end FE2. may exist between the fastening structures 210 and between non-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first free end FE1 and non-corresponding portions of the second free end FE2 (i.e., the vent 130T is formed due to the slit 130). .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어기(160)가 벤트(130T)를 폐쇄하기로 결정하면 벤팅 장치(200)는 벤트(130T)를 폐쇄/밀봉하도록 제어기(160)에 의해 제어된다(즉, 벤팅 장치(200)는 제1 모드로 있음). 따라서, 도 9에서, 구동 신호(DV1_1)와 구동 신호(DV2_1)가 제1 작동 부분(122) 및 제2 작동 부분(124)에 각각 인가되어, 제1 플랩(112)과 제2 플랩(114)을 제1 위치로 움직이게 하거나 제1 위치로 유지되게 하여, 벤트(130T)를 폐쇄/밀봉한다. 예를 들어, 구동 신호(DV1_1) 및 구동 신호(DV2_1)는 15V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 벤팅 장치(20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은 0.16mW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9 , when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to close the vent 130T, the venting device 20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60 to close/seal the vent 130T (i.e., venting Device 200 is in first mode). Therefore, in FIG. 9, the driving signal DV1_1 and the driving signal DV2_1 are applied to the first operating part 122 and the second operating part 124,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lap 114 ) is moved to the first position or maintained in the first position to close/seal the vent 130T. For example, the driving signal DV1_1 and DV2_1 may be 15V,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ower consumed by the venting device 200 in the first mode may be 0.16 mW,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어기(160)가 벤트(130T)를 폐쇄하기로 결정하지 않으면(예컨대, 제어기(160)가 벤트(130T)를 형성하도록 결정하면) 벤팅 장치(200)는 벤트(130T)를 형성하도록 제어기(160)에 의해 제어된다(즉, 벤팅 장치(200)는 제2 모드로 있음). 따라서, 도 10에서, 구동 신호(DV1_2)와 구동 신호(DV2_2)가 제1 작동 부분(122) 및 제2 작동 부분(124)에 각각 인가되어 제1 플랩(112)과 제2 플랩(114)을 제어하여 벤트(130T)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 10 , if controller 160 does not decide to close vent 130T (e.g., if controller 160 decides to form vent 130T), then venting device 200 closes vent ( 130T) (i.e., the venting device 200 is in the second mode). Accordingly, in FIG. 10, the driving signal DV1_2 and the driving signal DV2_2 are applied to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22 and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24, respectively, to operate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lap 114. is controlled to form a vent (130T).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어기(160)가 벤트(130T)를 폐쇄하기로 결정하지 않으면(예를 들어, 제어기(160)가 벤트(130T)를 형성하기로 결정하면), 벤팅 장치(200)는 제2 모드로 있고, 제1 플랩(112) 및 제2 플랩(114)(즉, 필름 구조물(110))은 아래쪽으로 구부려지고 처지며 평평한 위치의 아래에 있게 되며, 그래서 벤트(130T)가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모드에서, 구동 신호(DV1_2) 및 구동 신호(DV2_2)는 0V 또는 접지 전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모드에서, 제1 작동 부분(122) 및 제2 작동 부분(124)(즉, 액츄에이터(120))는 부유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작동 부분(122) 및 제2 작동 부분(124)(즉, 액츄에이터(12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모드에서 벤팅 장치(20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은 0.3μW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10 , if controller 160 does not decide to close vent 130T (e.g., if controller 160 decides to form vent 130T), venting device 200 ) is in the second mode, and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lap 114 (i.e., the film structure 110) are bent downward and sagging and below the flat position, so that the vent 130T is formed. In some embodiments, in the second mode, the driving signal DV1_2 and DV2_2 may be 0V or ground voltag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some embodiments, in the second mode, first actuated portion 122 and second actuated portion 124 (i.e., actuator 120) may be floating, but is not limited to this. In some embodiments, no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first actuating portion 122 and the second actuating portion 124 (i.e., the actuator 1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ower consumed by the venting device 200 in the second mode may be 0.3 μW,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2 모드에서, 제1 플랩(112)과 제2 플랩(114) 사이에 고정 구조물(210)이 존재하므로,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와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 사이의 거리가 확대되어, 제1 플랩(112) 및 제2 플랩(114)이 아래쪽으로 처져 평평한 위치의 아래에 있을 때 벤트(130T)가 형성된다.In the second mode, the fastening structure 210 is present between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lap 114, so that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lap 114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free ends FE2 of is enlarged to form a vent 130T when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lap 114 droop downward and are below a flat position.

이들 모드에서의 구동 신호에 따라, 벤팅 장치(200)는 제2 모드에서 최저의 전력 소비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모드에서는 액츄에이터(12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즉, 액츄에이터(12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는 0V이거나 접지 전압이거나 액츄에이터(120)는 부유적임). 그러므로, 벤팅 장치(200)의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벤팅 장치(200)는 평상시에는 제2 모드로 있고(즉, 벤트(130T)가 형성됨), 벤팅 장치(200)는 필요하면 제1 모드로 변경될 수 있지만(예를 들어, 벤팅 장치(200)는 고성능의 음향 변환을 위해 제1 모드로 변경될 수 있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Depending on the drive signals in these modes, the venting device 200 has the lowest power consumption in the second mode. In some embodiments,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actuator 120 in the second mode (i.e., the drive signal applied to the actuator 120 is 0V or a ground voltage or the actuator 120 is floating).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venting device 200, the venting device 200 is normally in the second mode (i.e., the vent 130T is formed), and the venting device 200 is in the first mode when necessary. This may change (for example, the venting device 200 may change to a first mode for high-performance acoustic convers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벤팅 장치의 필름 구조물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벤팅 장치의 필름 구조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2에 나타나 있는 벤팅 장치(300)는 제2 모드로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필름 구조물(110)이 벤트(들)(130T)를 형성하기 위해 아래쪽으로 구부러지고 처져 평평한 위치의 아래에 있는 상태에서(즉, 벤팅 장치(300)는 제2 모드로 있음), 필름 구조물(110)은, 제어기(160)가 벤트(130T)를 형성하기로 결정하면(즉, 제어기(160)가 벤팅 장치(300)를 제2 모드로 있게 하기로 결정하면) 필름 구조물(110)의 변형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클램프 구조물(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서, 제1 플랩(112)과 제2 플랩(114)이 아래쪽으로 구부려지고 처져 평평한 위치의 아래에 있는 상태에서, Z 방향을 따르는 제1 플랩(112)(예컨대, 제1 자유 단부(FE1))의 이동 거리 및 Z 방향을 따르는 제2 플랩(114)(예컨대, 제2 자유 단부(FE2))의 이동 거리가 거리 임계값 보다 크면 클램프 구조물(310)은 제1 플랩(112)과 제2 플랩(114)을 잠글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1 and 12. FIG. 1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film structure of the 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lm structure of the 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d the venting device 300 shown in FIG. 12 is in the second mode. 11 and 12, with the film structure 110 bent and sagging downward to form the vent(s) 130T and below in a flat position (i.e., the venting device 300 is is in the second mode), the film structure 1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to form the vent 130T (i.e., the controller 160 decides to place the venting device 300 in the second mode). If determined), a clamp structure 310 configured to suppress deformation of the film structure 110 may be further included. For example, in Figure 12, with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lap 114 bent downward and sagging down in a flat position, the first flap 112 along the Z direction (e.g., 1 If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free end FE1) and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second flap 114 (e.g., the second free end FE2) along the Z direction are greater than the distance threshold, the clamp structure 310 (112) and the second flap 114 can be locked.

이 실시예에서, 클램프 구조물(310)과 고정 구조물(210)은 벤팅 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클램프 구조물(310)과 고정 구조물(210)은 수평 방향(예컨대, X 방향)으로 각각 제1 자유 단부(FE1)의 다른 부분(예를 들어, 전술한 대응 부분 및 비대응 부분) 및 제2 자유 단부(FE2)의 다른 부분(예를 들어, 전술한 대응 부분 및 비대응 부분)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단면도의 단면선이 X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 클램프 구조물(310)과 고정 구조물(210)은 서로 다른 단면도로 나타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0은 제2 모드로 있는 벤팅 장치(300)의 제1 부분을 나타내고, 도 12는 제2 모드로 있는 벤팅 장치(300)의 제2 부분을 나타내며, 도 10에 나타나 있는 제1 부분은 고정 구조물(210), 제1 플랩(112) 및 제2 플랩(114)을 포함하고, 도 12에 나타나 있는 제2 부분은 클램프 구조물(310), 제1 플랩(112) 및 제2 플랩(114)을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lamp structure 310 and the fixing structure 210 may be included in the venting device 300, and the clamp structure 310 and the fixing structure 210 are each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g., X direction). 1 on different parts of the free end FE1 (e.g., the corresponding and non-corresponding parts described above) and on different parts of the second free end FE2 (e.g., the corresponding and non-corresponding parts described above), respectively. We can respond. Accordingly, if the cross-sectional line of the cross-sectional view extends along the X direction, the clamp structure 310 and the fixing structure 210 will be shown in different cross-sectional views. For example, Figure 10 shows a first portion of the venting device 300 in a second mode and Figure 12 shows a second portion of the venting device 300 in the second mode, with the first portion shown in Figure 10 The first part includes a fastening structure 210, a first flap 112 and a second flap 114, and the second part, shown in FIG. 12, includes a clamp structure 310, a first flap 112 and a second flap. Includes flap 114.

클램프 구조물(310)은 요구 사항(들)에 근거하여 임의의 적합한 설계를 가질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 구조물(310)은 슬릿(들)(130) 때문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에서, 슬릿(130)은 차례로 서로 연결되는 제1 슬릿 세그먼트(130a), 제2 슬릿 세그먼트(130b), 제3 슬릿 세그먼트(130c), 제4 슬릿 세그먼트(130d) 및 제5 슬릿 세그먼트(130e)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슬릿 세그먼트(130a), 제3 슬릿 세그먼트(130c) 및 제5 슬릿 세그먼트(130e)는 한 수평 방향(예컨대, Y 방향)에 평행할 수 있고, 제2 슬릿 세그먼트(130b) 및 제4 슬릿 세그먼트(130d)는 다른 수평 방향(예컨대, X 방향)에 평행할 수 있다.Clamp structure 310 may have any suitable design based on the requirement(s). As shown in FIG. 11 , clamp structure 310 may be formed due to slit(s) 130 . For example, in FIG. 11, the slits 130 include a first slit segment 130a, a second slit segment 130b, a third slit segment 130c, a fourth slit segment 130d, and a fifth slit that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t may include a segment 130e, and the first slit segment 130a, the third slit segment 130c, and the fifth slit segment 130e may be parallel to one horizontal direction (eg, Y direction), and The second slit segment 130b and the fourth slit segment 130d may be parallel to another horizontal direction (eg, X direction).

도 11에서, 클램프 구조물(310)은 제1 클램프 요소(312) 및 제2 클램프 요소(314)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클램프 요소(312)는 제1 플랩(112)의 일부분일 수 있으며(동등하게, 제1 클램프 요소(312)는 제1 플랩(112)에 속할 수 있음), 제2 클램프 요소(314)는 제2 플랩(114)의 일부분일 수 있다(동등하게, 제2 클램프 요소(314)는 제2 플랩(114)에 속할 수 있음). 도 11에서, 제1 클램프 요소(312)는 제2 플랩(114)의 제2 클램프 요소(314)와 제2 플랩(114)의 다른 부분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클램프 요소(314)는 제1 플랩(112)의 제1 클램프 요소(312)와 제1 플랩(112)의 다른 부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에서, 제1 클램프 요소(312)의 길이 방향 및 제2 클램프 요소(314)의 길이 방향은 Y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클램프 구조(310)는 랫치(latch) 구조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11 , clamp structure 310 may include a first clamp element 312 and a second clamp element 314, where first clamp element 312 may be part of first flap 112; (Equivalently, the first clamp element 312 may belong to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clamp element 314 may be part of the second flap 114 (Equivalently, the second clamp Element 314 may belong to second flap 114). 11 , the first clamp element 31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lamp element 314 of the second flap 114 and the other part of the second flap 114, and the second clamp element 31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lamp element 312 of the first flap 112 and another part of the first flap 112 . For example, in FIG. 11 ,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lamp element 312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lamp element 314 may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Y directi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lamp structure 310 may be a latch struc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플랩(112)(예를 들어, 제1 자유 단부(FE1))과 제2 플랩(114)(예를 들어, 제2 자유 단부(FE2))이 거리 임계값보다 큰 변위로 Z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제1 클램프 요소(312)는 및 제2 클램프 요소(314)는, 제1 플랩(112) 및 제2 플랩(114)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그 두 플랩을 잠그도록 서로 좌굴된다(buckled). 슬릿(130)의 폭과 클램프 요소의 크기는 클램프 구조물(310)의 좌굴 효과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11 and 12, a first flap 112 (e.g., first free end FE1) and a second flap 114 (e.g., second free end FE2) When moving along the Z direction with a displacement greater than this distance threshold, the first clamp element 312 and the second clamp element 314 suppress deformation of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lap 114. To do this, the two flaps are buckled together to lock them. It should be noted that the width of the slit 130 and the size of the clamp element are related to the buckling effect of the clamp structure 310.

이 실시예에서, 필름 구조물(110)이 클램프 구조물(310)에 의해 구속되더라도, 벤팅 장치(300)가 제2 모드로 있을 때, 벤트(130T)가 여전히 형성된다(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벤트(130T)는 플랩과 고정 구조물(210) 사이에 형성됨). 클램프 구조물(310)의 설계는 벤트(130T)의 크기에 관련되어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In this embodiment, even though the film structure 110 is constrained by the clamp structure 310, the vent 130T is still formed when the venting device 300 is in the second mode (e.g., in FIG. 10 As shown, a vent 130T is formed between the flap and the securing structure 210).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ign of the clamp structure 310 is related to the size of the vent 130T.

클램프 구조물(310)의 존재로 인해, 상이한 벤팅 장치(300)의 벤트(130T)의 개방 크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Due to the presence of clamp structure 310, the opening sizes of vents 130T of different venting devices 30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벤팅 장치의 필름구조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3에 나타나 있는 벤팅 장치(400)는 제1 모드로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나 있는 벤팅 장치(200)와 비교하여, 도 13에 나타나 있는 벤팅 장치(400)는, 제어기(160)가 벤트(130T)를 폐쇄하기로 결정하면(즉, 제어기(160)가 벤팅 장치(400)를 제1 모드로 있게 하기로 결정하면) 필름 구조물(110)을 제1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구성된 클램프(47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클램프(470)는 필름 구조물(110)의 자유 단부(FE)(플랩)가 아래쪽으로 또는 위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FIG. 1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lm structure of a venting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enting device 400 shown in FIG. 13 is in the first mode. Compared with the venting device 200 shown in FIGS. 9 and 10, the venting device 400 shown in FIG. ) further comprises a clamp 470 configured to hold the film structure 110 in the first position if it is determined to place the venting device 400 in the first mode. Accordingly, the clamp 470 can prevent the free end FE (flap) of the film structure 110 from moving downward or upward.

클램프(470)는 요구 사항(들)에 근거하여 임의의 적절한 설계를 가질 수 있고, 클램프(470)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움직이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램프(470)의 작동은 전기 신호(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프(470)의 움직임은 열적 작동, 정전기적 작동, 자기적 작동, 압전 작동 또는 다른 적절한 작동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램프(470)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그 클램프(470)가 움직이게 되며, 클팸프(470)의 움직임을 중단시키기 위해 클램프(470)는 전기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Clamp 470 may have any suitable design based on the requirement(s), and clamp 470 may be actuated into motion by any suitable method. In some embodiments, operation of clamp 470 may be controlled by electrical signal(s). For example, movement of clamp 470 may occur by thermal actuation, electrostatic actuation, magnetic actuation, piezoelectric actuation, or other suitable actuation. In some embodiments, the clamp 470 will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to cause the clamp 470 to move, and the clamp 470 will not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to stop the movement of the clamp 470, but this is not limited thereto. It doesn't work.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470)는 평면도에서 볼 때 필름 구조물(110)에 의해 측방에 배치될 수 있고, 클램프(470)는 필름 구조물(110)을 유지하거나 필름 구조물(110)을 해제하기 위해 움직이도록 작동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3에서, 클램프(470)는 고정 구조물(2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클램프(470)가 작동될 때 클램프(470)는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3에서, 클램프(470)는 필름 구조물(110)을 유지하기 위해 필름 구조물(110)의 자유 단부(FE) 쪽으로 수평 방향(예를 들어, X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클램프(470)는 필름 구조물(110)을 해제하기 위해 필름 구조물(110)의 자유 단부(FE)로부터 멀어지게 수평 방향(예컨대, X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에서, 클램프(470)가 필름 구조물(110)을 유지할 때, 그 클램프(470)는 필름 구조물(110)이 아래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As shown in FIG. 13 , clamp 470 may be disposed laterally by film structure 110 when viewed in plan view, and clamp 470 may hold film structure 110 or secure film structure 110. It can be actuated to move to release. For example, in FIG. 13 , the clamp 470 may be placed on the fixed structure 210 and the clamp 470 may move horizontally when the clamp 470 is ope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 Figure 13, clamp 470 can be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e.g., in the 470 may, but is not limited to, m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e.g., opposite to the X direction) away from the free end FE of film structure 110 to release film structure 110. 13, when clamp 470 holds film structure 110, the clamp 470 prevents film structure 110 from moving downward.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전환시에, 액츄에이터(120)(예를 들어, 제1 작동 부분(122) 및 제2 작동 부분(124))에 모드 변경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필름 구조물(110)의 자유 단부(FE)(예를 들어,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 및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는 위쪽으로 움직여 제1 위치의 위에 있을 수 있고, 그런 다음에, 클램프(470)는 필름 구조물(110)의 자유 단부(FE)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일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액츄에이터(120)(예를 들어, 제1 작동 부분(122) 및 제2 작동 부분(124))에 제2 모드 구동 신호(예를 들어, 구동 신호(DV1_2) 및 구동 신호(DV2_2))를 인가하여, 필름 구조물(110)의 자유 단부(FE)(예를 들어,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 및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가 아래쪽으로 처져 제1 위치 및 평평한 위치의 아래에 있을 수 있다.Upon switching from the first mode to the second mode, the film structure ( The free end FE of 110 (e.g., the first free end FE1 of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ree end FE2 of second flap 114) is moved upward to a first position. The clamp 470 can then be moved away from the free end FE of the film structure 110 and finally the actuator 120 (e.g., the first actuated portion ( 122) and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24) by applying a second mode driving signal (e.g., a driving signal DV1_2 and a driving signal DV2_2) to the free end FE of the film structure 110 ( For example,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ree end FE2 of the second flap 114 may droop downward and be below the first and flat positions. .

반대로, 제2 모드로부터 다시 제1 모드로의 전환시에, 액츄에이터(120)(예를 들어, 제1 작동 부분(122) 및 제2 작동 부분(124))에 모드 변경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필름 구조물(110)의 자유 단부(FE)(예를 들어,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 및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가 위쪽으로 움직여 제1 위치의 위에 있을 수 있고, 그런 다음에, 클램프(470)는 필름 구조물(110)의 자유 단부(FE) 쪽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액츄에이터(120)(예를 들어, 제1 작동 부분(122) 및 제2 작동 부분(124))에 제1 모드 구동 신호(예를 들어, 구동 신호(DV1_1) 및 구동 신호(DV2_1))를 인가하여, 필름 구조물(110)의 자유 단부(FE)(예를 들어,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 및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가 아래쪽으로 제1 위치로 움직일 수 있고, 그래서 클램프(470)는 필름 구조물(110)을 제1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Conversely, when switching from the second mode back to the first mode, by applying a mode change drive signal to the actuator 120 (e.g., the first actuating portion 122 and the second actuating portion 124), The free end FE of the film structure 110 (e.g.,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ree end FE2 of the second flap 114) moves upwardly. may be in a first position, and then the clamp 470 may be moved towards the free end FE of the film structure 110 and finally the actuator 120 (e.g., the first actuated portion By applying a first mode drive signal (e.g., drive signal DV1_1 and DV2_1) to (122) and second operating portion 124), the free end (FE) of film structure 110 (e.g.,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ree end FE2 of the second flap 114) can be moved downward to a first position, so that the clamp 470 ) may maintain the film structure 110 in the first position.

일부 실시예에서, 클램프(470)가 필름 구조물(110)을 제1 위치에 유지시키기 때문에, 제1 모드 구동 신호(예를 들어, 구동 신호(DV1_1) 및 구동 신호(DV2_1)는 제1 위치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 구동 신호(예를 들어, 구동 신호(DV1_1) 및 구동 신호(DV2_1)는 0V 또는 접지 전압일 수 있거나, 제1 모드에서 액츄에이터(120)는 부유적이며, 그래서 제1 모드에서의 벤팅 장치(400)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지만(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 벤팅 장치(40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은 0.3μW일 수 있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클램프(470)가 필름 구조물(110)을 제1 위치에 유지시킨 후에, 액츄에이터(12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고 벤트(130T)가 폐쇄된다(벤팅 장치(400)는 제1 모드로 있음).In some embodiments, because the clamp 470 holds the film structure 110 in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mode drive signal (e.g., drive signal DV1_1 and DV2_1) is held in the first position. It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corresponding drive signal. For example, the first mode drive signal (e.g., drive signal DV1_1 and DV2_1 may be 0V or ground voltage, or the actuator in the first mode 120 is floating, thus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venting device 400 in the first mode (e.g., the power consumed by the venting device 400 in the first mode may be 0.3 μW) ),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fter the clamp 470 holds the film structure 110 in the first position,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actuator 120 and the vent 130T is closed (venting device 400 ) is in the first mode).

이 경우, 제1 모드 구동 신호(예를 들어, 구동 신호(DV1_1) 및 구동 신호 (DV2_1) 및 제2 모드 구동 신호(예를 들어, 구동 신호(DV1_2) 및 구동 신호(DV2_2)는 0V 또는 접지 전압이거나, 액츄에이터(120)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에서 부유적이어서, 벤팅 장치(400)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In this case, the first mode driving signal (e.g., driving signal DV1_1 and DV2_1) and the second mode driving signal (e.g., driving signal DV1_2 and DV2_2) are 0V or ground. Either voltage or actuator 120 floats in the first and second modes,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venting device 400.

더욱이, 어떤 실시예에서, 클램프(470)가 필름 구조물(110)을 제1 위치에 유지시킨 후에, 클램프(47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고 벤트(130T)가 폐쇄되어, 벤팅 장치(400)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램프(470)가 필름 구조물(110)을 해제한 후에는 클램프(47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벤팅 장치(400)의 전력 소비가 감소된다.Moreover, in some embodiments, after clamp 470 holds film structure 110 in the first position, clamp 470 is not energized and vent 130T is closed, causing the venting device 400 to close. Reduces power consumption. In some embodiments,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clamp 470 after the clamp 470 releases the film structure 110,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venting device 400.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벤팅 장치의 필름구조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4에 나타나 있는 벤팅 장치(500)는 제1 모드로 있다. 도 13에 나타나 있는 벤팅 장치(400)와 비교하면, 클램프(470)의 설계가 상이하다. 도 14에서, 클램프(470)가 필름 구조물(110)을 유지시킬 때, 클램프(470)는 제1 모드에서 필름 구조물(110)이 제1 위치의 위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예를 들어, 이 움직임은 잔류 응력에 의해 야기될 수 있음) 틈(130P)의 크기를 제어한다.Referring to Figure 14. FIG. 1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lm structure of the 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enting device 500 shown in FIG. 14 is in the first mode. Compared to the venting device 400 shown in FIG. 13, the design of the clamp 470 is different. 14 , when the clamp 470 holds the film structure 110, the clamp 470 prevents the film structure 110 from moving above the first position in the first mode (e.g., preventing this movement). controls the size of the gap 130P (which may be caused by residual stress).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벤팅 장치의 필름 구조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5는 벤팅 장치(600)의 제1 모드를 나타내고, 도 16 및 도 17은 벤팅 장치(600)의 제2 모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나 있는 벤팅 장치(100)와 비교하여, 도 15 내지 도 17에 나타나 있는 벤팅 장치(600)의 필름 구조물(110)은 단지 하나의 플랩(즉, 제1 플랩(112))을 가지며, 슬릿(130)은 필름 구조물(110)의 경계이다. 즉, 슬릿(130)의 두 대향하는 측벽은 제1 플랩(112) 및 다른 구성 요소(예컨대, 도 15 내지 도 17에 나타나 있는 우측 앵커 구조물(140))에 각각 속하며, 그래서 슬릿(130)의 한 측벽은 벤팅 장치(600)의 작동 중에 고정된다/움직이지 않는다.Referring to FIGS. 15 to 17, FIGS. 15 to 17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film structure of the 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shows the first mode of the venting device 600. 16 and 17 show the second mode of the venting device 600. Compared to the venting device 100 shown in FIGS. 1 to 5, the film structure 110 of the venting device 600 shown in FIGS. 15 to 17 has only one flap (i.e., the first flap 112). ), and the slit 130 is a boundary of the film structure 110. That is, the two opposing side walls of the slit 130 belong to the first flap 112 and other components (e.g., the right anchor structure 140 shown in FIGS. 15-17), respectively, and thus the One side wall is fixed/movable during operation of the venting device 600.

도 15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 모드에서, 제1 플랩(112)에 배치되는 제1 작동 부분(122)은 구동 신호(DV3_1)를 수신한다. 제1 플랩(112)은 구동 신호(DV3_1)에 따라 제1 위치로 움직이거나 제1 위치로 유지되어, 벤트(130T)를 폐쇄한다. 구동 신호(DV3_1)는 요구 사항(들)에 근거하여 설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동 신호(DV3_1)는 제3 임계값을 갖는 정전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ure 15, in the first mode, the first actuating part 122 disposed on the first flap 112 receives the drive signal DV3_1. The first flap 112 moves to the first position or remains in the first position according to the drive signal DV3_1 to close the vent 130T. The driving signal (DV3_1) can be designed based on requirement(s). In some embodiments, the driving signal DV3_1 may be a constant voltage having a third threshol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 모드에서, 제1 플랩(112)에 배치되는 제1 작동 부분(122)은 구동 신호(DV3_2)를 수신한다. 구동 신호(DV3_2)에 따라, 제1 자유 단부(FE1)는 제1 위치 및 평평한 위치의 아래로 움직여 벤트(130T)를 형성한다. 구동 신호(DV3_2)는 요구 사항(들)에 근거하여 설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동 신호(DV3_2)는 제3 임계값보다 낮은 정전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자유 단부(FE1)의 Z 방향 변위는, 구동 신호(DV3_2)가 0V일 때 제1 위치(또는 평평한 위치)에 비해 -18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름 구조물(110)의 두께가 5 μm라고 가정하면, 구동 신호(DV3_2)가 0V일 때 벤트(130T)는 13 μm(18 μm - 5 μm)의 개방 크기로 "개방" 된다.As shown in Figure 16, in the second mode, the first actuating part 122 disposed on the first flap 112 receives the drive signal DV3_2. According to the drive signal DV3_2, the first free end FE1 moves down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flat position to form the vent 130T. The driving signal (DV3_2) can be designed based on requirement(s). In some embodiments, the driving signal DV3_2 may be a constant voltage lower than the third threshold. For example, the Z-direction displacement of the first free end FE1 may be -18 ㎛ compared to the first position (or flat position) when the driving signal DV3_2 is 0V. For example, assuming the thickness of the film structure 110 is 5 μm, when the drive signal DV3_2 is 0V, the vent 130T is “opened” with an opening size of 13 μm (18 μm - 5 μm).

도 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유형의 제2 모드에서, 제1 플랩(112) 에 배치되는 제1 작동 부분(122)은 구동 신호(DV3_3)를 수신한다. 구동 신호(DV3_3)에 따라, 제1 자유 단부(FE1)는 제1 위치 및 평평한 위치의 위로 움직여 벤트(130T)를 형성한다. 구동 신호(DV3_3)는 요구 사항(들)에 근거하여 설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동 신호(DV3_3)는 제3 임계값보다 높은 정전압일 일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7, in another type of second mode, the first actuating part 122 disposed on the first flap 112 receives the drive signal DV3_3. According to the drive signal DV3_3, the first free end FE1 moves above the first position and the flat position to form the vent 130T. The driving signal (DV3_3) can be designed based on requirement(s). In some embodiments, the driving signal DV3_3 may be a constant voltage higher than the third threshold.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모드로 있는 벤팅 장치의 필름 구조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8은 벤팅 장치(700)의 제1 모드를 나타내고, 도 19는 벤팅 장치(700)의 제2 모드를 나타낸다. 도 15 내지 도 17에 나타나 있는 벤팅 장치(600)와 비교하여, 도 18 내지 도 19에 나타나 있는 벤팅 장치(700)는, 수평 방향(예컨대, X 방향)으로 필름 구조물(110)의 일 측(즉, 제1 플랩(112))에 배치되고 필름 구조물(110)에 인접하는 고정 구조물(210)을 더 포함한다. 도 18 및 도 19에서, 고정 구조물(210)은 벤팅 장치(700)의 작동시에 움직이지 않을 수 있고, 그래서 고정 구조물(210)은 움직이도록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18 and 19, FIGS. 18 and 19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film structure of the venting device in another mod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nting device 700. The first mode is shown, and FIG. 19 shows the second mode of the venting device 700. Compared to the venting device 600 shown in FIGS. 15 to 17, the venting device 700 shown in FIGS. 18 to 19 has one side (e.g., X direction) of the film structure 1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e.g., That is, it further includes a fixing structure 210 disposed on the first flap 112 and adjacent to the film structure 110. 18 and 19, the stationary structure 210 may not move during operation of the venting device 700, so the stationary structure 210 may not be actuated to move.

고정 구조물(210)은 요구 사항(들)에 근거하여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구조물(210)은 기부(BS)(예를 들어, 기부(BS)의 상면(SH))에 평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릿(130)은 제1 플랩(112)과 고정 구조물(2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Anchoring structure 210 may be designed based on requirement(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8 and 19, the fixation structure 210 may be parallel to the base BS (e.g., the top surface SH of the base B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s shown in FIGS. 18 and 19 , a slit 13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uring structure 210 .

일부 실시예에서, 평면도에서, 고정 구조물(210)은 수평 방향(예컨대, X 방향)으로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 전체(즉, 제1 자유 가장자리) 또는 제1 자유 단부(FE1)의 일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벤팅 장치(700)가 제1 모드로 있을 때, 틈(130P)은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와 고정 구조물(210) 사이에 존재한다(즉, 틈(130P)은 슬릿(130) 때문에 형성됨). 도 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벤팅 장치(700)가 제2 모드일 때, 벤트(130T)가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와 고정 구조물(210) 사이에 형성된다(즉, 벤트(130T)가 슬릿(130) 때문에 형성됨).In some embodiments, in a top view, the anchoring structure 210 extends across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i.e., the first free edge) or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in a horizontal direction (e.g., the X direction). It may correspond to a portion of the end portion FE1. 18 , when the venting device 700 is in the first mode, a gap 130P exists between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and the fastening structure 210. (That is, the gap 130P is formed because of the slit 130). 19 , when the venting device 700 is in the second mode, a vent 130T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and the fastening structure 210 ( That is, the vent 130T is formed because of the slit 130).

제2 모드(도 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에서, 고정 구조물(210)의 존재로 인해,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와 좌측 앵커 구조물(140) 사이의 거리가 확대되어 있다. 따라서, 벤트(130T)의 효과가 향상될 수 있어, 폐색 효과를 억제하는 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In the second mode (as shown in Figure 19),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and the left anchor structure 140 increases due to the presence of the anchoring structure 210. It is done. Accordingly, the effect of the vent 130T can be improved, and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occlusion effect can be increased.

도 20을 참조하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벤팅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20은 벤팅 장치(800)의 제1 모드를 나타낸다. 도 18 및 19에 나타나 있는 벤팅 장치(700)와 비교하여, 도 20에 나타나 있는 벤팅 장치(800)는, 제어기(160)가 벤트(130T)를 폐쇄하기로 결정하면(즉, 제어기(160)가 벤팅 장치(800)를 제1 모드로 있게 하기로 결정하면) 필름 구조물(110)을 제1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구성된 클램프(47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도 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470)는 필름 구조물(110)의 자유 단부(FE)(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가 아래쪽으로 또는 위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클램프(470)의 상세 설계는 위에서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부분은 중복적으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20, FIG. 20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venting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0 shows the first mode of the venting device 800. Compared to the venting device 700 shown in FIGS. 18 and 19, the venting device 800 shown in FIG. 20 has a further comprising a clamp 470 configured to hold the film structure 110 in the first position (if the device decides to place the venting device 800 in the first mode).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0, clamp 470 prevents the free end FE of film structure 110 (first free end FE1 of first flap 112) from moving downward or upward. It can be prevented. The detailed design of the clamp 470 can be referred to above, and repeated parts will not be described redundantly.

도 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볼 때 클램프(470)는 필름 구조물(110)에 의해 측방에 배치될 수 있고, 클램프(470)는 필름 구조물(110)을 유지시키거나 필름 구조물(110)을 해제하기 위해 움직이도록 작동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0에서, 클램프(470)는 제1 플랩(112)의 측면 가장자리(110S)(즉, 필름 구조물(110)의 측면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기부(BS)에 배치될 수 있고, 측면 가장자리(110S)는 제1 자유 단부(FE1)(즉, 제1 자유 가장자리)에 직접 연결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0에서, 클램프(470)의 작동시에 이 클램프(470)는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0에서, 클램프(470)는 제1 플랩(112)의 측면 가장자리(110S) 쪽으로 수평 방향(예를 들어, Y 방향)으로 움직여 제1 플랩(112)을 유지시킬 수 있고, 또한 클램프(470)는 제1 플랩(112)의 측면 가장자리(110S)로부터 멀어지게 수평 방향(예를 들어, Y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제1 플랩(112)을 해제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0에서, 벤팅 장치(800)는, 제1 플랩(112)이 아래쪽으로 또는 위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두 대향하는 측면 가장자리(110S)에서 제1 플랩(112)을 잡는 2개의 클램프(470)를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20 , when viewed in plan view, the clamp 470 may be disposed laterally by the film structure 110, and the clamp 470 may hold the film structure 110 or hold the film structure 110. It can be operated to move to release. For example, in FIG. 20 , clamp 470 may be disposed at base BS adjacent lateral edge 110S of first flap 112 (i.e., lateral edge of film structure 110), and (110S) may be connected directly to the first free end FE1 (ie, the first free edge), bu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in Figure 20, when the clamp 470 is operated, the clamp 470 may move horizontall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in Figure 20, the clamp 470 may m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e.g., Y direction) toward the side edge 110S of the first flap 112 to maintain the first flap 112, In addition, the clamp 470 may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Y direction) away from the side edge 110S of the first flap 112 to release the first flap 112, but is limited to this. It doesn't work. 20, the venting device 800 includes two clamps 470 that grip the first flap 112 at two opposing side edges 110S to prevent the first flap 112 from moving downward or upward. ) can have.

제1 모드로부터 제2 모드로의 전환시에, 클램프(470)는 필름 구조물(110)(즉, 제1 플랩(112))의 측면 가장자리(110S)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여 필름 구조물(110)을 해제시키며(도 20에서, 벤팅 장치(800)는 상태(TU1)로부터 상태(TU2)로 변함), 그런 다음에, 액츄에이터(120)(예를 들어, 제1 작동 부분(122))에 제2 모드 구동 신호(예를 들어, 구동 신호(DV3_2)를 인가하여, 필름 구조물(110)의 자유 단부(FE)(예를 들어,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가 움직여 아래쪽으로 처져 제1 위치 및 평평한 위치의 아래에 있게 된다.Upon transition from the first mode to the second mode, the clamp 470 moves away from the side edge 110S of the film structure 110 (i.e., the first flap 112) to release the film structure 110. (in FIG. 20 , venting device 800 changes from state TU1 to state TU2) and then causes actuator 120 (e.g., first actuated portion 122) to enter the second mode. By applying a drive signal (e.g., a drive signal DV3_2), the free end (FE) of the film structure 110 (e.g.,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moves downward. , so that it is below the first position and the flat position.

반대로, 제2 모드로부터 다시 제1 모드로의 전환시에, 액츄에이터(120)(예컨대, 제1 작동 부분(122))에 모드 변경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필름 구조물(110)의 자유 단부(FE)(예를 들어,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 및 제2 플랩(114)의 제2 자유 단부(FE2))가 위쪽으로 제1 위치로 움직이며, 그런 다음에, 클램프(470)가 필름 구조물(110)의 측면 가장자리(110S) 쪽으로 움직여 필름 구조물(110)을 제1 위치에 유지시킨다(도 20에서, 벤팅 장치(800)는 상태(TU2)로부터 상태(TU1)로 변함).Conversely, when switching from the second mode back to the first mode, a mode change drive signal is applied to the actuator 120 (e.g., the first actuating portion 122), so that the free end (FE) of the film structure 110 ) (e.g.,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and the second free end FE2 of the second flap 114) are moved upward to a first position, and then: Clamp 470 moves toward side edge 110S of film structure 110 to hold film structure 110 in the first position (in FIG. 20, venting device 800 moves from state TU2 to state TU1). changes to).

일부 실시예에서, 클램프(470)는 필름 구조물(110)을 제1 위치에 유지시키기 때문에, 제1 모드 구동 신호(예를 들어, 구동 신호(DV3_1)는 제1 위치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 구동 신호(예를 들어, 구동 신호(DV3_1)는 0V 또는 접지 전압일 수 있거나, 제1 모드에서 액츄에이터(120)는 부유적이어서, 제1 모드에서 벤팅 장치(800)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 벤팅 장치(800)에 의해 소비하는 전력은 0.3 μW일 수 있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클램프(470)가 필름 구조물(110)을 제1 위치에 유지시킨 후에, 액츄에이터(12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고 벤트(130T)는 폐쇄된다(벤팅 장치(800)는 제1 모드로 있음).In some embodiments, the clamp 470 maintains the film structure 110 in the first position so that the first mode drive signal (e.g., drive signal DV3_1) is smaller than the driv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sition. For example, the first mode driving signal (e.g., driving signal DV3_1) may be 0V or ground voltage, or the actuator 120 may be floating in the first mode, so that in the first mode, the actuator 120 may be float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venting device 800 may be reduced (e.g., the power consumed by the venting device 800 in the first mode may be 0.3 μW),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clamp 470 ) maintains the film structure 110 in the first position, the actuator 120 is deenergized and the vent 130T is closed (the venting device 800 is in the first mode).

이 경우, 제1 모드 구동 신호(예컨대, 구동 신호(DV3_1) 및 제2 모드 구동 신호(예컨대, 구동 신호(DV3_2)는 0V 또는 접지 전압이거나, 액츄에이터(120)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부유적이어서, 벤팅 장치(800)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In this case, the first mode driving signal (e.g., driving signal DV3_1) and the second mode driving signal (e.g., driving signal DV3_2) are 0V or ground voltage, or the actuator 120 operates in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By being floating, it reduce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venting device 800.

더욱이, 일부 실시예에서, 클램프(470)가 필름 구조물(110)을 제1 위치에 유지시킨 후에, 그 클램프(47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고 벤트(130T)가 폐쇄되어, 벤팅 장치(800)의 전력 소비를 줄이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램프(470)가 필름 구조물(110)을 해제한 후에는, 그 클램프(47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벤팅 장치(800)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Moreover, in some embodiments, after clamp 470 holds film structure 110 in the first position, voltage is not applied to clamp 470 and vent 130T is closed, causing venting device 800 to open. reduces power consumption. In some embodiments, after clamp 470 releases film structure 110, no voltage is applied to clamp 470,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venting device 800.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모드로 있는 벤팅 장치의 필름 구조물(110)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21은 벤팅 장치(900)의 제2 모드를 나타내고. 도 23은 벤팅 장치(900)의 제1 모드를 나타내며, 그리고 도 22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의 천이를 나타낸다. 도 18 내지 도 19에 나타나 있는 벤팅 장치(700)와 비교하면, 도 21 내지 도 23에 나타나 있는 벤팅 장치(900)는, 제어기(160)가 벤트(130T)를 폐쇄하기로 결정하면(즉, 제어기(160)가 벤팅 장치(900)를 제1 모드로 있게 하기로 결정하면) 필름 구조물(110)을 제1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구성되는 클램프(47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도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470)는 필름 구조물(110)의 자유 단부(FE)(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가 아래쪽으로 또는 위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클램프(470)의 상세 설계는 위에서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부분은 중복적으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21 to 23, FIGS. 21 to 23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film structure 110 of the venting device in another mode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 is a venting device ( 900) and represents the second mode. Figure 23 shows the first mode of the venting device 900, and Figure 22 shows the transi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des. Compared to the venting device 700 shown in FIGS. 18-19 , the venting device 900 shown in FIGS. 21-23 is configured to close the vent 130T when the controller 160 decides to close the vent 130T (i.e. and a clamp 470 configured to maintain the film structure 110 in the first position (if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to place the venting device 900 in the first mode).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3, clamp 470 prevents the free end FE of film structure 110 (first free end FE1 of first flap 112) from moving downward or upward. It can be prevented. The detailed design of the clamp 470 can be referred to above, and repeated parts will not be described redundantly.

도 21 내지 도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볼 때 클램프(470)는 필름 구조물(110)에 의해 측방에 배치될 수 있고, 클램프(470)는 필름 구조물(110)을 유지시키거나 필름 구조물(110)을 해제하기 위해 움직이도록 작동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1 내지 도 23에서, 클램프(470)는 필름 구조물(110)의 자유 단부(FE)(즉,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에 인접하여 고정 구조물(2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 내지 도 23에서, 클램프(470)의 작동시에 이 클램프(470)는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0에서, 클램프(470)는 필름 구조물(110)의 자유 단부(FE) 쪽으로 수평 방향(예를 들어, X 방향)으로 움직여 필름 구조물(110)을 유지시킬 수 있고, 또한 클램프(470)는 필름 구조물(110)의 자유 단부(FE)로부터 멀어지게 수평 방향(예를 들어, X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 필름 구조물(110)을 해제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3에서, 클램프(470)가 필름 구조물(110)을 유지시킬 때, 그 클램프(470)는 필름 구조물(110)이 아래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21 to 23, when viewed in plan view, the clamp 470 may be disposed laterally by the film structure 110, and the clamp 470 may hold the film structure 110 or support the film structure. It can be operated to move to release 110. For example, in FIGS. 21-23 , the clamp 470 is adjacent the free end FE of the film structure 110 (i.e.,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to secure the fastening structure 210. ) can be placed in. For example, in FIGS. 21 to 23, when the clamp 470 is operated, the clamp 470 may move horizontall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 Figure 20, clamp 470 can m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e.g., 470 may be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e.g., opposite to the X direction) away from the free end FE of the film structure 110 to release the film structure 110, but is not limited to this. 23, when clamp 470 holds film structure 110, the clamp 470 prevents film structure 110 from moving downward.

제2 모드(도 21)로부터 제1 모드(도 23)로의 전환시에, 도 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드 변경 구동 신호(DV3_C)를 액츄에이터(120)(예를 들어, 제1 작동 부분(122))에 인가하여, 필름 구조물(110)의 자유 단부(FE)(예를 들어,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는 위쪽으로 움직여 제1 위치의 위에 있을 수 있다. 그런 다음에, 도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클램프(470)는 필름 구조물(110)의 자유 단부(FE) 쪽으로 움직일 수 있고, 제1 모드 구동 신호(예를 들어, 구동 신호(DV3_1))를 액츄에이터(120)에 인가하여 필름 구조물(110)의 자유 단부(FE)는 아래쪽으로 제1 위치로 움직일 수 있으며, 그래서 클램프(470)는 필름 구조물(110)을 제1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When switching from the second mode (FIG. 21) to the first mode (FIG. 23), as shown in FIG. 22, the mode change drive signal DV3_C is transmitted to the actuator 120 (e.g., the first operation part ( 122), the free end FE of the film structure 110 (e.g.,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may be moved upward and above the first position. . Then, as shown in FIG. 23 , clamp 470 can be moved toward free end FE of film structure 110 and apply a first mode drive signal (e.g., drive signal DV3_1). Upon application of the actuator 120 the free end FE of the film structure 110 may be moved downward to a first position so that the clamp 470 may maintain the film structure 110 in the first position.

반대로, 제1 모드(도 23)로부타 제2 모드(도 21)로의 전환시에, 모드 변경 구동 신호(DV3_C)를 액츄에이터(120)(예컨대, 제1 작동 부분(122))에 인가하여 필름 구조물(110)의 자유 단부(FE)(예를 들어, 제1 플랩(112)의 제1 자유 단부(FE1))는 위쪽으로 움직여 제1 위치의 위에 있을 수 있다. 그런 다음에, 클램프(470)는 필름 구조물(110)의 자유 단부(FE)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일 수 있고, 제2 모드 구동 신호(예를 들어, 구동 신호(DV3_2))를 액츄에이터(120)에 가하면 필름 구조물(110)의 자유 단부(FE)는 아래로 처져 제1 위치 및 평평한 위치의 아래에 있을 수 있다.Conversely, when switching from the first mode (FIG. 23) to the second mode (FIG. 21), the mode change drive signal DV3_C is applied to the actuator 120 (e.g., the first actuating portion 122) to The free end FE of the structure 110 (eg, the first free end FE1 of the first flap 112) may be moved upward and above the first position. Clamp 470 can then be moved away from free end FE of film structure 110 and applying a second mode drive signal (e.g., drive signal DV3_2) to actuator 120 The free end FE of the film structure 110 may droop down and be below the first and flat position.

예를 들어, 클램프(470)가 필름 구조물(110)을 제1 위치에 유지시키기 때문에, 제1 모드 구동 신호(예를 들어, 구동 신호(DV3_1)는 0V 또는 접지 전압일 수 있거나, 액츄에이터(120)는 제1 모드에서 부유적이어서, 제1 모드에서 벤팅 장치(900)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예를 들어, 제1 모드에서 벤팅 장치(90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은 0.3μW일 수 있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클램프(470)가 필름 구조물(110)을 제1 위치에 유지시킨 후에, 액츄에이터(12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고 벤트(130T)가 폐쇄된다(벤팅 장치(900)는 제1 모드로 있음).For example, because the clamp 470 holds the film structure 110 in the first position, the first mode drive signal (e.g., drive signal DV3_1 can be 0V or ground voltage, or the actuator 120 ) may be floating in the first mode, there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venting device 900 in the first mode (e.g., the power consumed by the venting device 900 in the first mode is 0.3 μW).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fter the clamp 470 holds the film structure 110 in the first position,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actuator 120 and the vent 130T is closed (venting device (900) is in the first mode).

이 경우, 제1 모드 구동 신호(예컨대, 구동 신호(DV3_1) 및 제2 모드 구동 신호(예컨대, 구동 신호(DV3_2)는 0V 또는 접지 전압이거나, 액츄에이터(120)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부유적이어서, 벤팅 장치(900)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mode driving signal (e.g., driving signal DV3_1) and the second mode driving signal (e.g., driving signal DV3_2) are 0V or ground voltage, or the actuator 120 operates in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By being floating, power consumption of the venting device 900 can be reduced.

더욱이, 일부 실시예에서, 클램프(470)가 필름 구조물(110)을 제1 위치에 유지시킨 후에, 클램프(47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고 벤트(130T)가 폐쇄되어, 벤팅 장치(900)의 전력 소비가 줄어든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램프(470)가 필름 구조물(110)을 해제시킨 후에, 그 클램프(47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벤팅 장치(900)의 전력 소비가 줄어든다.Moreover, in some embodiments, after clamp 470 holds film structure 110 in the first position, clamp 470 is not energized and vent 130T is closed, causing the venting device 900 to clos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In some embodiments, after clamp 470 releases film structure 110, no voltage is applied to clamp 470,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venting device 900.

도 24를 참조하면, 도 24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벤팅 장치의 필름 구조물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1은 벤팅 장치(100)의 제2 모드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나 있는 벤팅 장치(100)와 비교하면, 도 24에 나타나 있는 벤팅 장치(1000)는 동일한 앵커 구조물(140) 또는 상이한 앵커 구조물(140)에 의해 고정되는 복수의 필름 구조물(110)을 갖는다. 제1 모드에서, 필름 구조물(110)은 제1 위치로 움직이고 이 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필름 구조물(110)은 아래쪽으로 구부러져 제1 위치 및 평평한 위치의 아래에 있을 수 있다. 필름 구조물(110)은 동일한 칩(CP)에 통합되거나 다른 칩(CP)에 속할 수 있음(예를 들어, 도 24에서 필름 구조물(110)은 다른 칩(CP)에 속함)을 유의해야 한다.Referring to FIG. 24, FIG. 2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lm structure of the 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 shows the second mode of the venting device 100. Compared to the venting device 100 shown in FIGS. 1 to 5, the venting device 1000 shown in FIG. 24 has a plurality of film structures ( 110). In the first mode, the film structure 110 may be moved to a first position and maintained in this position. In the second mode, the film structure 110 may be bent downward and below the first and flat position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ilm structure 110 may be integrated into the same chip (CP) or may belong to a different chip (CP) (e.g., in FIG. 24, the film structure 110 belongs to a different chip (CP)).

도 24에 나타나 있는 제2 모드에서, 복수의 작은 벤트(130TS)가 필름 구조물(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슬릿(130)의 두 대향하는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작은 벤트(130TS)의 폭은, 제1 모드에서 슬릿(130)의 두 대향하는 측벽 사이에 존재하는 틈(130P)의 폭 보다 크다. 벤팅 장치(1000)는 복수의 작은 벤트(130TS)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필름 구조물(110)을 갖기 때문에, 도 24에 나타나 있는 복수의 작은 벤트(130TS)의 효과는 다른 실시예의 한 벤트(130T)의 효과와 같다. 따라서, 폐색 효과는 도 24에 나타나 있는 제2 모드에서 벤팅 장치(1000)에 의해 억제될 것이다.In the second mode shown in FIG. 24 , a plurality of small vents 130TS may be formed by the film structure 110 . The width of the small vent 130TS formed between two opposing side walls of the slit 130 in the second mode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gap 130P existing between the two opposing side walls of the slit 130 in the first mode. big. Since the venting device 1000 has a plurality of film structures 110 to form a plurality of small vents 130TS, the effect of the plurality of small vents 130TS shown in FIG. 24 is similar to that of one vent 130T in another embodiment. ) is the same as the effect of Accordingly, the occlusion effect will be suppressed by the venting device 1000 in the second mode shown in FIG. 24.

더욱이, 필름 구조물(110)이 아래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구동 신호(DV1_2) 및 구동 신호(DV2_2)는 0V 또는 접지 전압이거나, 제1 작동 부분(122) 및 제2 작동 부분(124)은 부유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래서, 제2 모드에서 벤팅 장치(1000)의 전력 소비가 감소된다.Moreover, the film structure 110 can be bent downward, so that the driving signal DV1_2 and DV2_2 are 0V or ground voltage, or the first operating portion 122 and the second operating portion 124 are floating. It may be an enemy,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So,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venting device 1000 in the second mode is reduced.

요컨대, 슬릿의 존재로 인해, 벤트 장치는 폐색 효과를 억제하기 위해 벤트를 형성하거나, 음향 변환기가 고성능의 음향 변환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벤트를 폐쇄할 수 있다. 즉, 슬릿은 벤팅 장치의 동적 전방 벤트로서의 역할을 한다.In short, due to the presence of the slit, the vent device can either form a vent to suppress the occlusion effect or close the vent to enable the acoustic transducer to perform high-performance acoustic transduction. That is, the slit serves as a dynamic front vent of the venting device.

당업자는 본 발명의 교시를 유지하면서 장치 및 방법의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쉽게 알 것이다. 따라서, 위의 개시 내용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apparatus and methods may be made while retaining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above disclosure should be construed as limited only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20)

웨어러블 소리 장치 내에 배치되거나 웨어러블 소리 장치 내에 배치될 벤팅(venting) 장치로서,
앵커 구조물;
상기 앵커 구조물에 고정되는 앵커 단부 및 자유 단부를 포함하고, 벤트(vent)를 형성하거나 벤트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필름 구조물; 및
상기 필름 구조물에 배치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 구조물은 공간을 제1 부피와 제2 부피로 분할하고,
상기 벤트가 형성되면 상기 제1 부피와 제2 부피는 상기 벤트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벤팅 장치는, 상기 제어기가 벤트를 폐쇄하기로 결정하면 상기 벤트를 밀봉하도록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벤팅 장치.
A venting device disposed within or to be disposed within a wearable sound device, comprising:
anchor structures;
a film structure comprising an anchor end secured to the anchor structure and a free end, the film structure configured to form a vent or close a vent; and
Comprising an actuator disposed on the film structure,
the film structure divides the space into a first volume and a second volume,
When the vent is formed, the first volume and the second volume are connected through the vent,
The venting device is controlled by a controller to seal the vent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o close the v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벤트를 폐쇄하기로 결정하면, 상기 필름 구조물은 제어기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에 따라 작동되고 제1 위치로 유지되며,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벤팅 장치가 배치되는 기부에 평행한, 벤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o close the vent, the film structure is actuated and maintained in a first position in accordance with a voltage generated by the controller,
The first position is parallel to the base on which the venting device is dis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벤트를 폐쇄하기로 결정하면 상기 필름 구조물을 제1 위치에유지시키도록 구성된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벤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ven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lamp configured to maintain the film structure in a first position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o close the v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가 필름 구조물을 제1 위치에 유지시킨 후에, 상기 액츄에이터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고 상기 벤트가 폐쇄되는, 벤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fter the clamp holds the film structure in the first position, the actuator is deenergized and the vent is clos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필름 구조물의 자유 단부가 아래쪽으로 또는 위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벤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clamp prevents the free end of the film structure from moving downward or upward.
제3항에 있어서,
평면도에서 볼 때 상기 클램프는 상기 필름 구조물에 의해 측방에 배치되는, 벤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Venting device, wherein the clamp is laterally disposed by the film structure when viewed in plan view.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가 작동될 때 그 클램프는 수평으로 움직이는, 벤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 venting device, wherein the clamp moves horizontally when the clamp is actua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가 필름 구조물을 제1 위치에 유지시킨 후에, 그 클램프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고 벤트가 폐쇄되는, 벤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fter the clamp holds the film structure in the first position,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clamp and the vent is cl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벤트를 폐쇄하기로 결정하지 않으면, 상기 필름 구조물은 아래쪽으로 구부려져 평평한 위치의 아래에 있게 되어, 상기 벤트가 형성되며,
상기 평평한 위치는 상기 벤팅 장치가 배치되는 기부에 평행한, 벤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f the controller does not decide to close the vent, the film structure is bent downward and below a flat position, forming the vent;
The venting device wherein the flat position is parallel to the base on which the venting device is dis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상기 벤트를 폐쇄하기로 결정하지 않으면, 상기 액츄에이터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고, 그래서 상기 필름 구조물이 아래쪽으로 처져 평평한 위치의 아래에 있게 되고, 상기 벤트가 형성되며,
상기 평평한 위치는 상기 벤팅 장치가 배치되는 기부에 평행한, 벤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f the controller does not decide to close the vent,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actuator, so that the film structure droops down and is below a flat position, forming the vent, and
The venting device wherein the flat position is parallel to the base on which the venting device is dis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구조물은 제1 플랩 및 제2 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1 플랩에 배치되는 제1 작동 부분 및 제2 플랩에 배치되는 제2 작동 부분을 포함하는, 벤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lm structure includes a first flap and a second flap,
The actuator includes a first actuating portion disposed on the first flap and a second actuating portion disposed on the second flap.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벤트를 폐쇄하기로 결정하면, 상기 제1 플랩 및 제2 플랩이 작동되고 제1 위치로 유지되어 상기 벤트를 폐쇄하는, 벤팅 장치.
According to clause 11,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o close the vent, the first and second flaps are actuated and held in a first position to close the ven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벤팅 장치는 상기 제1 플랩과 제2 플랩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가 상기 벤트를 폐쇄하기로 결정하지 않으면, 상기 제1 플랩과 제2 플랩이 아래쪽으로 구부려져 평평한 위치의 아래에 있게 되어, 상기 벤트가 형성되며,
상기 평평한 위치는 상기 벤팅 장치가 배치되는 기부에 평행한, 벤팅 장치.
According to clause 11,
The venting device includes a fixation structu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flap and the second flap,
If the controller does not decide to close the vent, the first and second flaps are bent downward and below a flat position, forming the vent;
The venting device wherein the flat position is parallel to the base on which the venting device is dispos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조물은 상기 기부에 평행한, 벤팅 장치.
According to clause 13,
Wherein the anchoring structure is parallel to the bas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상기 벤트를 폐쇄하기로 결정하지 않으면, 상기 제1 작동 부분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벤팅 장치.
According to clause 11,
If the controller does not decide to close the vent,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actuating por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가 상기 벤트를 형성하기로 결정하면, 상기 제1 플랩이 제1 전압에 의해 작동되어 제1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제2 플랩은 제2 전압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움직이며,
상기 제1 전압과 제2 전압은 상기 제어기에 의해 발생되는, 벤팅 장치.
According to clause 11,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o form the vent, the first flap is actuated by a first voltage to move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flap is actuated by a second voltage to move in a first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moves in 2 directions,
Wherein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are generated by the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
슬릿이 상기 필름 구조물에 형성되어 클램프 구조물을 형성하며,
상기 필름 구조물에 형성된 클램프 구조물은, 상기 제어기가 벤트를 형성하기로 결정하면 상기 필름 구조물의 변형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벤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Slits are formed in the film structure to form a clamp structure,
A clamp structure formed on the film structure is configured to suppress deformation of the film structure when the controller determines to form a ven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구조물은 2개의 클램프 요소를 가지며, 상기 클램프 구조물이 상기 필름 구조물의 변형을 억제할 때 상기 클램프 요소들은 서로 좌굴되는(buckled), 벤팅 장치.
According to clause 17,
The clamp structure has two clamp elements, and the clamp elements buckle against each other when the clamp structure suppresses deformation of the film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구조물에 인접하여 기부에 배치되는 고정 구조물; 및
상기 고정 구조물에 배치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벤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fixing structure disposed at the base adjacent to the film structure; and
A venting device comprising a clamp disposed on the fixing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소리 장치는 상기 제어기 및 음향 변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음향 변환기를 포함하는, 벤팅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venting device, wherein the wearable sound device includes the controller and an acoustic transducer configured to perform acoustic conversion.
KR1020230035138A 2022-03-17 2023-03-17 Venting device KR2023013607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263320703P 2022-03-17 2022-03-17
US63/320,703 2022-03-17
US202263342161P 2022-05-16 2022-05-16
US63/342,161 2022-05-16
US17/842,810 US11884535B2 (en) 2020-07-11 2022-06-17 Device, packag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evice
US17/842,810 2022-06-17
US18/172,346 2023-02-22
US18/172,346 US20230209241A1 (en) 2020-07-11 2023-02-22 Ven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077A true KR20230136077A (en) 2023-09-26

Family

ID=88191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5138A KR20230136077A (en) 2022-03-17 2023-03-17 Venting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138419A (en)
KR (1) KR20230136077A (en)
TW (1) TW202339519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39519A (en) 2023-10-01
JP2023138419A (en) 202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5664B1 (en) Acoustic transducer, wearable sound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coustic transducer
US113877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MEMS device
TWI809439B (en) Acoustic transducer, wearable sound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coustic transducer
CN110351636B (en) Sound generating device, speaker and speaker system
CN109756832B (en) Air pulse generating element and sound generating device
US20230023306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device
KR20230136077A (en) Venting device
US20230209241A1 (en) Venting device
CN116782072A (en) Ventilation device
JP2010212968A (en) Piezoelectric acoustic element
US20240022859A1 (en) Package structure, apparatus and forming methods thereof
US20240092629A1 (en) Integrated mems electrostatic micro-speaker device and method
KR20240054867A (en) Package structure, apparatus and forming methods thereof
WO2019177150A1 (en) Electrostatic sound wave generation device and electrostatic speaker
CN117255298A (en) MEMS device and audio device comprising such a MEMS device
KR20210019708A (en) Car speaker
CN117915240A (en) Packaging structure, device and forming method thereof
CN117246971A (en) MEMS device and apparatus having such a MEM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