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586A - Station for cleaner - Google Patents

Station fo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3586A
KR20230133586A KR1020220030758A KR20220030758A KR20230133586A KR 20230133586 A KR20230133586 A KR 20230133586A KR 1020220030758 A KR1020220030758 A KR 1020220030758A KR 20220030758 A KR20220030758 A KR 20220030758A KR 20230133586 A KR20230133586 A KR 20230133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hamber
vacuum cleaner
dust chamber
cha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근
류정완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0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3586A/en
Priority to PCT/KR2023/002667 priority patent/WO2023171956A1/en
Publication of KR20230133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3586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95Suction cleaners or attachments adapted to collect dust or waste from power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63External storing devices; Stands, casings or the like for the storage of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의 먼지통에 저장되는 먼지를 내부로 흡입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먼지통과 연결되고 집진 모터의 흡입 동작에 의해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유동하는 흡입 유로; 상기 흡입 유로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되는 챔버 하우징; 및 상기 청소기로부터 흡입된 먼지를 분리하여 저장하고, 상기 챔버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먼지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챔버는, 상기 챔버 하우징에 제1 방향을 따라 삽입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인출되며, 상기 챔버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먼지 챔버의 외측면에는 서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하는 형태의 결합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station that internally sucks dust stored in the dust bin of a vacuum cleaner. The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dust bin and air containing dust through the suction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a suction flow path through which there flows; a chamber housing disposed below the suction passage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 dust chamber that separates and stores dust sucked from the cleaner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hamber housing, wherein the dust chamber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housing along a first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direction. It is drawn out along a second direction, which is the opposite direction, and coupling members in the form of sliding coupling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housin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hamber.

Description

청소기 스테이션{STATION FOR CLEANER}CLEANER STATION{STATION FOR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저장되는 먼지를 내부로 흡입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먼지의 유동경로에서의 실링(sealing)이 강화된 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station that internally sucks dust stored in a vacuum clean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vacuum cleaner station with enhanced sealing in the dust flow path.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에 의해,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 청소기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home appliance that sucks in small trash or dust and fills the dust bin inside the product by sucking air using electricity, and is commonly called a vacuum cleaner.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및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se vacuum cleaners can be divided into manual vacuum cleaners, in which the user moves the vacuum cleaner while performing cleaning, and automatic vacuum cleaners, in which the vacuum cleaner performs cleaning while traveling on its own. Depending on the type of cleaner, manual cleaners can be classified into canister-type cleaners, upright cleaners, hand-held cleaners, and stick-type cleaners.

가정용 청소기에서는 과거 캐니스터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먼지통과 청소기 본체를 일체로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In the past, canister-type vacuum cleaners were widely used as household cleaners, but recently, hand-held vacuum cleaners and stick vacuum cleaners, which provide improved convenience of use by providing a dust bin and vacuum cleaner body, are increasingly being used.

캐니스티형 청소기는 본체와 흡입구가 고무호스나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흡입구에 솔을 끼어서 사용 가능하다.A canisty-type vacuum cleaner has its main body and suction port connected by a rubber hose or pipe, and in some cases, it can be used by inserting a brush into the suction port.

핸디형 청소기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앉아서 청소 영역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안과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Handheld vacuum cleaners maximize portability and are light in weight, but short in length, so the cleaning area when sitting may be limited. Therefore, it is used to clean localized areas, such as on a desk or sofa, or inside a car.

스틱 청소기는 서서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넓은 영역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데 유리하다. 핸디형 청소기가 좁은 공간의 청소를 한다면, 스틱형은 그보다는 넓은 공간 청소를 할 수 있고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의 청소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틱 청소기를 모듈 타입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대상에 능동적으로 청소기 타입을 변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Stick vacuum cleaners can be used while standing, so you can clean without bending down.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for cleaning a large area while moving. While a handheld vacuum cleaner cleans narrow spaces, a stick vacuum cleaner can clean larger spaces and high places that cannot be reached by hand. Recently, stick vacuum cleaners have been provided in module types, allowing users to actively change the vacuum cleaner type for various purposes.

그러나, 스틱 청소기는 집진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의 용량이 작아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에 의해,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 청소기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However, the capacity of the dust bin for storing collected dust in stick vacuum cleaners is small, so users hav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empty the dust bin every time. 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home appliance that sucks in small trash or dust and fills the dust bin inside the product by sucking air using electricity, and is commonly called a vacuum cleaner.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및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se vacuum cleaners can be divided into manual vacuum cleaners, in which the user moves the vacuum cleaner while performing cleaning, and automatic vacuum cleaners, in which the vacuum cleaner performs cleaning while traveling on its own. Depending on the type of cleaner, manual cleaners can be classified into canister-type cleaners, upright cleaners, hand-held cleaners, and stick-type cleaners.

가정용 청소기에서는 과거 캐니스터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먼지통과 청소기 본체를 일체로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In the past, canister-type vacuum cleaners were widely used as household cleaners, but recently, hand-held vacuum cleaners and stick vacuum cleaners, which provide improved convenience of use by providing a dust bin and vacuum cleaner body, are increasingly being used.

캐니스터형 청소기는 본체와 흡입구가 고무호스나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흡입구에 솔을 끼어서 사용 가능하다.A canister-type vacuum cleaner has its main body and suction port connected by a rubber hose or pipe, and in some cases, it can be used by inserting a brush into the suction port.

핸디형 청소기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앉아서 청소 영역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안과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Handheld vacuum cleaners maximize portability and are light in weight, but short in length, so the cleaning area when sitting may be limited. Therefore, it is used to clean localized areas, such as on a desk or sofa, or inside a car.

스틱 청소기는 서서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넓은 영역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데 유리하다. 핸디형 청소기가 좁은 공간의 청소를 한다면, 스틱형은 그보다는 넓은 공간 청소를 할 수 있고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의 청소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틱 청소기를 모듈 타입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대상에 능동적으로 청소기 타입을 변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Stick vacuum cleaners can be used while standing, so you can clean without bending down.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for cleaning a large area while moving. While a handheld vacuum cleaner cleans narrow spaces, a stick vacuum cleaner can clean larger spaces and high places that cannot be reached by hand. Recently, stick vacuum cleaners have been provided in module types, allowing users to actively change the vacuum cleaner type for various purposes.

그러나, 스틱 청소기는 집진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의 용량이 작아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the capacity of the dust bin for storing collected dust in stick vacuum cleaners is small, so users hav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empty the dust bin every time.

선행문헌 1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074001호에는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가 개시된다.As prior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20-0074001 discloses a cleaning device including a vacuum cleaner and a docking station.

상기 선행문헌 1은,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통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와 상기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집진통과 연결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집진통이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는 도킹된 상기 집진통 내의 이물질과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rior art document 1 includes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dust collection container in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and a docking station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provided to be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The docking sta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ction device that suctions foreign substances and internal air in the docked dust collection container.

또한, 상기 선행문헌 1의 도킹 스테이션은,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집부는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서 포집부에 이물질이 꽉 차는 경우에 사용자가 포집부에 배치된 더스트백을 공기의 유로(제1 연결부)에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cking station of the prior art document 1 further includes 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foreign substances, and the collection unit is detachable from the docking station, so that when the collection unit is full of foreign substances, the user can use the dust bag placed in the collection unit. It can be removed and replaced from the air flow path (first connection).

또한, 상기 선행문헌 1의 도킹 스테이션은, 추가 집진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추가 집진통이 상기 더스트백을 대신하여 포집부에 배치되면서 유로(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cking station of the prior art document 1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the additional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disposed in the collection section instead of the dust bag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flow pat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can be combined.

하지만, 상기 선행문헌 1의 도킹 스테이션은, 더스트백과 추가 집진통 모두 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고 기재될 뿐 더스트백 및 추가 집진통과 유로의 실링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않는다.However, the docking station of the prior art document 1 only describes that both the dust bag and the additional dust collection container can be connected to the flow path, but does not disclose the sealing of the dust bag, the additional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the flow path.

공기의 유동경로인 유로에서 충분히 실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먼지를 저장하는 저장 부품(더스트백, 집진통 등)과 상기 저장 부품을 수용하는 하우징 사이 공간으로 먼지가 새어 나가 비산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사이 공간의 위생을 위한 청소를 수행하게 만들어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한다. 또한, 비산된 먼지가 저장 부품 외 다른 부품(예를 들어, 다양한 기능의 모터류)으로 유입시 상기 다른 부품의 고장을 초래한다.If sufficient sealing is not achieved in the flow path of the air, dust may leak and scatter into the space between the storage parts that store the dust (dust bag, dust collection container, etc.) and the housing that accommodates the storage parts. This causes the user to clean the space between the devices for hygiene, causing inconvenience in use. Additionally, when scattered dust flows into parts other than the storage part (for example, motors with various functions), it causes failure of the other parts.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07400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20-0074001

본 발명은, 공기의 유동경로에 대한 실링이 강화된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station with reinforced sealing of the air flow path.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먼지 저장 구조를 선택할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station from which a user can select various types of dust storage structures.

상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청소기의 먼지통과 연결되어 상기 먼지통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으로서, 상기 먼지통과 연결되고 집진 모터의 흡입 동작에 의해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유동하는 흡입 유로; 상기 흡입 유로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되는 챔버 하우징; 및 상기 청소기로부터 흡입된 먼지를 분리하여 저장하고, 상기 챔버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먼지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s a cleaner sta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dust bin of a vacuum cleaner and sucks dust from the dust bin, where air containing dust flows through the suction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and is connected to the dust bin. suction flow path; a chamber housing disposed below the suction passage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 dust chamber that separates and stores dust sucked from the cleaner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hamber housing.

이때, 상기 먼지 챔버는, 상기 챔버 하우징에 제1 방향을 따라 삽입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인출되며, 상기 챔버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먼지 챔버의 외측면에는 서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하는 형태의 결합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ust chamber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housing along a first direction and pulled out along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housin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hamber slide against each other. A coupl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itting coupling method.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먼지 챔버의 좌우 외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결합 레일; 및 상기 결합 레일과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챔버 하우징의 좌우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결합 레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includes coupling rails disposed on left and right outer surfaces of the dust chamber, respectively; and a guide rail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coupling rail and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inner sides of the chamber housing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rail.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결합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결합에 의해, 상기 챔버 하우징과 상기 먼지 챔버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직교하는 축 방향으로 구속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mber housing and the dust chamber may be constrained in at least two axial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by combining the coupling rail and the guide rail.

또한, 상기 결합 레일은, 상기 먼지 챔버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서 바라볼 때 후방이 개구된 형태의 U-형상이며, 상기 가이드 레일이 끼워지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과 대응하는 형태의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rail is U-shaped with a rear opening when viewed from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dust chamber, and an insertion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may be formed so that the guide rail is inserted.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 기준, 상기 먼지 챔버의 슬라이딩 삽입 방향으로 이어질수록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the guide rail may become larger as it extends in the sliding insertion direction of the dust chamber, based on a state when viewed from the side.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먼지 챔버의 슬라이딩 삽입 방향을 향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guide rail may include at least one inclined surface formed toward the sliding insertion direction of the dust cham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 하우징은, 부압에 의해 상기 챔버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에어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mber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n air hole that introduces air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hamber housing by negative pressur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먼지 챔버가 상기 챔버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 챔버의 내부 공간인 제1 공간 및, 상기 먼지 챔버의 외측면과 상기 챔버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 공간인 제2 공간이 정의되고, 상기 에어홀은, 상기 청소기의 먼지가 흡입될 시, 상기 먼지 챔버를 슬라이딩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압력차를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ust chamber is coupled to the chamber housing, a first space is an inner space of the dust chamber, and a second space is a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ha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housing. A space is defined, and the air hole can create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that moves the dust chamber in the sliding insertion direction when dust from the cleaner is suck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 하우징은, 상기 먼지 챔버의 슬라이딩 삽입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챔버 하우징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집진 모터를 향해 유동하는 연결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mber housing is disposed in the sliding insertion direction of the dust chamber,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assage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chamber housing flows toward the dust collection motor.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먼지 챔버는, 서로 상이한 형태의 먼지 분리 수단을 포함하는 제1 먼지 챔버와 제2 먼지 챔버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hamber may be selected by the user among a first dust chamber and a second dust chamber including different types of dust separation means.

이때, 상기 제1 먼지 챔버는, 상기 먼지 분리 수단으로서 공기는 통과하되 먼지는 통과하지 못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먼지 봉투(dust bag)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a dust bag made of a material that allows air to pass through but does not allow dust to pass through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dust chamber as the dust separation means.

이때, 상기 제2 먼지 챔버는, 상기 먼지 분리 수단으로서 공기의 이동경로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을 이용하여 먼지를 분리하는 메쉬망(mesh net)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dust chamber may include a mesh net that separates dust us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air movement path as the dust separation means.

이때, 상기 제2 먼지 챔버는, 상기 먼지 분리 수단으로서 싸이클론 유동을 이용하여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cyclone)부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dust chamber may include a cyclone unit that separates dust using a cyclonic flow as the dust separation means.

본 발명에 따르면, 먼지 챔버가 챔버 하우징에 슬라이딩 결합될 때에 결합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직교하는 축 방향에 대해 구속된다. 따라서, 먼지 챔버가 챔버 하우징 내부에서 정 위치에 결합되는 것이 보장되는 바, 먼지가 저장 공간 외의 공간으로 비산하지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ust chamber is slidingly coupled to the chamber housing, it moves along the coupling rail and is constrained in at least two mutually orthogonal axial directions. Accordingly, it is guaranteed that the dust chamber is coupled to the correct position inside the chamber housing, and dust can be prevented from flying into spaces other than the storage sp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챔버 하우징에 형성된 에어홀이 먼지 챔버 내부 공간인 제1 공간과, 먼지 챔버와 챔버 하우징 사이 공간인 제2 공간의 압력차를 형성하며, 상기 압력차로 인해 먼지 챔버와 챔버 하우징간 실링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먼지 챔버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먼지가 저장 공간 외의 공간으로 비산하지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hole formed in the chamber housing forms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pace, which is the space inside the dust chamber, and the second space, which is the space between the dust chamber and the chamber housing, and the pressure difference causes the dust chamber and the chamber. The dust chamber moves in a direction that strengthens the seal between the housings. Therefore, dust can be prevented from flying into spaces other than the storage sp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호환 가능한 다양한 먼지 챔버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먼지 포집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various compatible dust chambers are provided in a separable mann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 select his preferred dust collection metho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서 청소기 스테이션과 청소기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청소기가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되는 형상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측면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청소기의 먼지통 개폐구조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커버 개방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도어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서로 다른 먼지 분리 구조를 갖는 먼지 챔버 및, 먼지 챔버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챔버 하우징을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먼지 챔버 하우징의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2 먼지 챔버를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1 먼지 챔버를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먼지 챔버의 결합 부재인 결합 레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챔버 하우징의 결합 부재인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에서 먼지 챔버가 챔버 하우징에 삽입될 시 결합 부재에 의해 위치가 구속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4는 제1 먼지 챔버의 공기 유동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제2 먼지 챔버의 공기 유동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에어홀이 만든 압력차로 인해 먼지 챔버가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st removal system including a cleaner station and a cleane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vacuum cleaner coupled to the vacuum cleaner station and the inside of the side of the vacuum cleaner st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dust bin of the vacuum cleane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ver open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door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st chamber having different dust separation structures and a chamber housing to which the dust chamber is detachably coupl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hamber housing as seen from the rea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dust chamber viewed from the rea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dust chamber viewed from the rea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ail, which is a coupling member of a dust cha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rail, which is a coupling member of the chamber housing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2 and 13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how,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ust chamber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housing, its position is restricted by a coupling member and it slides.
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the air flow path of the first dust chamber.
Figure 15 is a diagram showing the air flow path of the second dust chamber.
Figure 1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ust chamber moving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created by the air ho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서 청소기 스테이션과 청소기를 포함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청소기가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되는 형상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측면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청소기의 먼지통 개폐구조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커버 개방 유닛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도어 유닛의 확대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st removal system including a vacuum cleaner station and a vacuum cleane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the vacuum cleaner coupled to the vacuum cleaner station and the inside of the side of the vacuum cleaner st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vacuum cleaner st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nlarged view of the dust bi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ver open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door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먼지 제거 시스템 (1)은 청소기 스테이션(10)과, 청소기(2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5, the dust removal system 1 may include a cleaner station 10 and a cleaner 20.

청소기 스테이션(10)의 전방에는 청소기(20)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청소기 스테이션(10)의 전방에는 청소기(20)의 청소기 본체(2100)가 결합될 수 있다.A vacuum cleaner 2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vacuum cleaner station 10. More specifically, the cleaner body 2100 of the cleaner 2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cleaner station 10.

이때, 청소기 스테이션(10)에서 전방이란, 후술할 메인 하우징(100)이 청소기(20)의 본체(21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결합부(115)가 향한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결합부(115)를 기준으로 메인 하우징(100)의 반대쪽 면이 향하는 방향은 후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ront of the vacuum cleaner station 10 can be defined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portion 115, which is formed by recessing the main housing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2100 of the vacuum cleaner 20, faces. .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housing 100 faces based on the coupling portion 115 can be defined as rear.

먼저, 본 발명에서 청소기(20)의 청소기 본체(2100) 구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vacuum cleaner body 2100 of the vacuum cleaner 20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2를 참고하면, 청소기 본체(2100)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는 흡입부(2110), 흡입부(2110)와 연통되며 흡입부(2110)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부(2120),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2130),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핸들(2140) 및 내부에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하우징(215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 cleaner main body 2100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art 2110 and the suction part 2110, which provides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can flow, and is sucked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suction part 2110. It may include a dust separation unit 2120 that separates the dust, a suction motor 2130 that generates a suction force to suck air, a handle 2140 held by the user, and a battery housing 2150 that accommodates the battery therein. You can.

또한, 청소기 본체(2100)는 먼지통(2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leaner main body 2100 may further include a dust bin 2160.

여기서, 먼지통(2160)은 먼지 분리부(2120)와 연통될 수 있고 먼지 분리부(212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Here, the dust bin 2160 may communicate with the dust separator 2120 and store the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or 2120.

도 3을 참고하면, 먼지통(2160)은 배출 커버(2161)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커버(2161)는 커버 본체(2161a) 및 힌지부(2161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본체(2161a)는 힌지부(2161b)를 기준으로 먼지통(2160)을 개폐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힌지부(2161b)는 배터리 하우징(215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배출 커버(2161)는 후크 결합을 통해 먼지통(2160)과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ust bin 2160 may include an exhaust cover 2161. The discharge cover 2161 may include a cover body 2161a and a hinge portion 2161b. The cover body 2161a can rotate to open and close the dust bin 2160 based on the hinge portion 2161b. The hinge portion 2161b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battery housing 2150. The discharge cover 2161 may be coupled to the dust bin 2160 through a hook connection.

한편 먼지통(2160)은 결합 레버(216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커버(2161)는 결합 레버(2161c)를 통해 먼지통(2160)에서 분리될 수 있다. 결합 레버(2161c)는 청소기(20)가 청소기 스테이션(10)에 결합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방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레버(2161c)는 외력 인가 시, 커버 본체(2161a)와 먼지통(2160)의 후크 결합을 해제시키도록 커버 본체(2161a)에서 연장 형성된 후크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dust bin 216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lever 2161c. The discharge cover 2161 can be separated from the dust bin 2160 through the coupling lever 2161c. The coupling lever 2161c may be disposed downward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vacuum cleaner 20 is coupled to the vacuum cleaner station 1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coupling lever 2161c can elastically deform the hook extending from the cover main body 2161a so as to release the hook coupling between the cover main body 2161a and the dust bin 2160.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vacuum cleaner statio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를 참고하면, 청소기 스테이션(10)은, 메인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leaner station 10 may include a main housing 100.

메인 하우징(100)은 청소기(20)가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청소기 스테이션(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하우징(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벽면을 포함하는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하우징(100)은 사각 기둥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housing 100 is a component to which the vacuum cleaner 20 is coupled and can form the exterior of the vacuum cleaner station 10. Specifically, the main housing 100 may be formed in a pillar shape including at least one outer wall surface. As an example, the main housing 100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square pillar.

메인 하우징(1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다양한 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The main housing 100 has a space formed inside it to accommodate various parts.

메인 하우징(100)는 지면지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면지지부(150)는 지면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지면지지부(150)의 지면과 맞닿는 저면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 지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메인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되는 집진 모터(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청소기(20)가 결합된 경우에도 전체적인 무게의 균형을 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main housing 100 may include a ground support portion 150. At this time, the ground support unit 150 may be disposed toward the ground.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und support unit 150 in contact with the ground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ground, and may also be arrang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ground. With this configuration,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housing 100 can be stably supported and the overall weight can be balanced even when the vacuum cleaner 20 is combined.

또한, 지면지지부(150)는 청소기 스테이션(10)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메인 하우징(100)의 바닥면에서 연장 형성된 판 형태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ground support portion 150 may be in the form of a plate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main housing 100 to prevent the vacuum cleaner station 10 from falling over and increase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maintain balance.

메인 하우징(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외벽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하우징(100)은 결합부(115)가 형성되는 제1 외벽면(110)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외벽면(110)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2 외벽면(120), 제3 외벽면(130) 및 제4 외벽면(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housing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uter wall surface as described above. As an example, the main housing 100 may include a first outer wall surface 110 on which the coupling portion 115 is formed, and is arranged in order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ile facing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0.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outer wall surface 120, a third outer wall surface 130, and a fourth outer wall surface 140.

제1 외벽면(110)에 형성된 결합부(115)는, 청소기(20)의 먼지통(2160)이 배치되는 방향의 일 부분 형상에 대응하도록 제1 외벽면(110)이 함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청소기(20)의 일 부분이 청소기 스테이션(10)에 결합될 수 있고, 청소기 스테이션(1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115 formed on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0 may be provided by recessing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0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a por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ust bin 2160 of the vacuum cleaner 20 is disposed. . By this configuration, a portion of the cleaner 20 can be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0 and supported by the cleaner station 10 .

메인 하우징(100)은 내부에 수용되는 부품 중 일부가 노출되도록 개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정면에서 청소기 스테이션(10)을 바라보았을 때 제1 외벽면(110)의 좌측 일부는 제4 외벽면(140)을 향해서 개방될 수 있고 제1 외벽면(110)의 우측 일부는 제2 외벽면(120)을 향해서 개방될 수 있다.The main housing 100 may be provided to be openable so that some of the components accommodated therein are exposed. For example, when looking at the cleaner station 10 from the front, the left part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0 may be open toward the fourth outer wall surface 140, and the right part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0 may be open toward the fourth outer wall surface 140. 2 It may be open toward the outer wall surface 120.

또는, 다른 예로, 제1 외벽면(110)의 일부와 제2 외벽면(120)의 일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제2 외벽면(120)의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고 제1 외벽면(110)의 일부와 제4 외벽면(140)의 일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제4 외벽면(140)의 방향으로 개방될 수도 있다.Or, as another example, a part of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0 and a part of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20 may be formed integrally and open together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uter wall surface 120, and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10 ) and a part of the fourth outer wall surface 140 may be formed integrally and opened together in the direction of the fourth outer wall surface 140.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은 커버 개방 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ver opening unit 500.

도 4를 참고하면, 커버 개방 유닛(500)은 청소기(20)의 배출 커버(2161)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Referring to FIG. 4, the cover opening unit 500 is provided to open the discharge cover 2161 of the cleaner 20.

커버 개방 유닛(500)은 푸쉬 돌기(510), 커버 개방 기어(520) 및 커버 개방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opening unit 500 may include a push protrusion 510, a cover opening gear 520, and a cover opening motor (not shown).

푸쉬 돌기(510)는 청소기(20)가 결합될 경우, 결합 레버(2161c)를 누를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푸쉬 돌기(510)는 결합 레버(2161c)를 가압하도록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푸쉬 돌기(510)는 커버 개방 기어(520)와 결합되어, 커버 개방 기어(520)의 이동에 의하여 함께 이동될 수 있다.The push protrusion 510 may be placed at a position where the coupling lever 2161c can be pressed when the vacuum cleaner 20 is coupled. The push protrusion 510 may make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o press the coupling lever 2161c. Specifically, the push protrusion 510 is coupled to the cover opening gear 520 and can be moved together by the movement of the cover opening gear 520.

커버 개방 모터는, 푸쉬 돌기(510)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커버 개방 기어(520)에 제공할 수 있다.The cover opening motor may provide power to move the push protrusion 510 to the cover opening gear 520.

커버 개방 기어(520)는, 커버 개방 모터와 결합되고, 커버 개방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푸쉬 돌기(5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 개방 기어(520)는 커버 개방 모터의 샤프트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는 제1 커버 개방 기어(521) 및 제1 커버 개방 기어(521)와 치합되고 푸쉬 돌기(510)에 직선 왕복운동을 전달하는 제2 커버 개방 기어(5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opening gear 520 is coupled to the cover opening motor and can move the push protrusion 510 using the power of the cover opening motor. More specifically, the cover opening gear 520 is engaged with the first cover opening gear 521 and the first cover opening gear 521, which receives rotational power from the shaft of the cover opening motor, and performs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n the push protrusion 510. It may include a second cover opening gear 522 that transmits.

이때, 제1 커버 개방 기어(521)는 피니언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커버 개방 기어(522)는 랙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ver opening gear 521 may be made of a pinion gear, and the second cover opening gear 522 may be made of a rack gear.

다시 말해, 결합부(115)에 청소기(20)의 본체(2100)가 고정된 경우, 커버 개방 모터는 커버 개방 기어(520)를 통해 푸쉬 돌기(510)를 이동시켜 배출 커버(2161)를 먼지통(216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main body 2100 of the vacuum cleaner 20 is fixed to the coupling portion 115, the cover opening motor moves the push protrusion 510 through the cover opening gear 520 to open the discharge cover 2161 into the dust bin. It can be separated from (2160).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은 도어 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statio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oor unit 600.

도 5를 참고하면, 도어 유닛(600)은 도어(610), 도어 암(620) 및 도어 모터(6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door unit 600 may include a door 610, a door arm 620, and a door motor 630.

도어(610)는 결합부(115)에 힌지(605)로 결합되고, 힌지(605)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메인 하우징(100) 내부와 외부를 개폐할 수 있다.The door 61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15 with a hinge 605, and can rotate around the hinge 605 to open and clos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main housing 100.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610)가 메인 하우징(100) 내부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 암(620)이 도어(610)를 당기면, 도어(610)가 청소기 스테이션(10)의 메인 하우징(100)의 내측을 향하여 회전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어 암(620)이 도어를 밀면, 도어(610)가 청소기 스테이션(10)의 외측을 향하여 회전 이동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a state where the door 610 is closing the inside of the main housing 100, when the door arm 620 pulls the door 610, the door 610 is pulled into the main housing 100 of the vacuum cleaner station 10. ) can rotate and move toward the inside. Meanwhile, when the door arm 620 pushes the door, the door 610 may rotate and move toward the outside of the cleaner station 10.

도어 모터(630)는 도어(61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도어 암(62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모터(630)는 도어 암(62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정방향이라 함은, 도어 암(620)이 도어(610)를 메인 하우징(100) 내부를 향해 당기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역방향이라 함은, 도어 암(620)이 도어(610)를 메인 하우징(100) 외부를 향해 미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The door motor 630 may provide power to rotate the door 610 to the door arm 620. Specifically, the door motor 630 may rotate the door arm 620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Here, the forward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arm 620 pulls the door 610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housing 100. Additionally, the reverse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arm 620 pushes the door 610 toward the outside of the main housing 100.

도어 암(620)은 도어(610)와 도어 모터(630)를 연결시키고, 도어 모터(630)에서 발생한 동력을 이용하여 도어(610)를 개폐시킬 수 있다. The door arm 620 connects the door 610 and the door motor 630, and can open and close the door 610 using power generated from the door motor 630.

일 예로, 도어 암(620)은 제1 도어 암(621)과 제2 도어 암(6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 암(621)의 일측 단부는 도어 모터(63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도어 암(621)은 도어 모터(630)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 도어 암(621)의 타측 단부는 제2 도어 암(62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도어 암(621)은 도어 모터(630)로부터 전달된 힘을 제2 도어 암(622)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도어 암(622)의 일측 단부는 제1 도어 암(621)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도어 암(622)의 타측 단부는 도어(6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도어 암(622)은 도어(61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다.As an example, the door arm 620 may include a first door arm 621 and a second door arm 622. One end of the first door arm 621 may be coupled to the door motor 630. The first door arm 621 can rotate by the power of the door motor 630. The other end of the first door arm 62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door arm 622. The first door arm 621 may transmit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door motor 630 to the second door arm 622. One end of the second door arm 62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door arm 621.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oor arm 622 may be coupled to the door 610. The second door arm 622 can push or pull the door 610.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은 흡입 유로(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passage 700.

여기서, 흡입 유로(700)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이다. 따라서, 배출 커버(2161)가 먼지통(2160)으로부터 분리되면, 먼지통(2160) 내의 먼지가 흡입 유로(700)를 통해, 후술할 먼지 챔버(300)로 포집될 수 있다.Here, the suction passage 700 i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can flow. Accordingly, when the discharge cover 2161 is separated from the dust bin 2160, dust in the dust bin 2160 can be collected into the dust chamber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suction passage 700.

한편, 집진 모터(200)는 메인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고 먼지 챔버(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집진 모터(200)는 흡입 유로(700)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 모터(700)는 청소기(20)의 먼지통(2160) 내부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Meanwhile,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housing 100 and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dust chamber 300.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may be driven to generate suction force in the suction passage 700. Through this, the dust collection motor 700 can suck the dust inside the dust bin 2160 of the vacuum cleaner 20.

도 6은 본 발명에서, 서로 다른 먼지 분리 구조를 갖는 먼지 챔버 및, 먼지 챔버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챔버 하우징을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먼지 챔버 하우징의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2 먼지 챔버를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1 먼지 챔버를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st chamber having different dust separation structures and a chamber housing to which the dust chamber is detachably coupl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view from the rear of the dust chamber housing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ate,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dust cha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dust cha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rear.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0)은 먼지 챔버(300)와 챔버 하우징(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ust chamber 300 and a chamber housing 800.

먼지 챔버(300)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먼지 챔버(300)와 챔버 하우징(800)에 대한 축 방향을 설정하면 다음과 같다.The dust chamber 300 will first be described. Prior to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6, the axial directions for the dust chamber 300 and the chamber housing 800 are set as follows.

먼저, 먼지 챔버(300)가 챔버 하우징(80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삽입 또는 인출)하는 방향을 y축으로 정의한다. 이하부터는, y축에서 슬라이딩 삽입 방향(d1 방향)을 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 방향(d2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First, the direction in which the dust chamber 300 slides (inserts or withdraws) with respect to the chamber housing 800 is defined as the y-axis. Hereinafter, the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the front-back direction, with the sliding insertion direction (d1 direction) in the y-axis being rearward and the sliding withdrawal direction (d2 direction) being forward.

다음으로, y축과 직교하는 두 축 중 하나는 z축으로 정의한다. z축은 일 방향에 흡입 유로(700)가 다른 방향에 집진 모터(200)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정의된다. 이하부터는, z축 방향 중 흡입 유로(700)가 배치된 방향을 상방으로, 집진 모터(200)가 배치된 방향을 하방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Next, one of the two axes perpendicular to the y-axis is defined as the z-axis. The z-axis is defined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flow path 700 is disposed in one direction and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is disposed in the other direction. Hereinafter, the z-axis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an upward direction,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passage 700 is disposed being upwar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is disposed being downward.

마지막으로, y축과 z축에 모두 직교하는 나머지 하나의 축을 x축으로 정의한다. 이하부터는, x축의 일 방향을 좌측으로 다른 방향을 우측으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Finally, the remaining axis orthogonal to both the y-axis and the z-axis is defined as the x-axis. From now on, one direction of the x-axis may be referred to as the left and the other direction as the right.

먼지 챔버(300)는, 집진 모터(200)에 의해 청소기(20)의 먼지통(2160) 내부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먼지 챔버(300)는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해낼 수 있는 먼지 분리 구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The dust chamber 300 is configured to store dust sucked from the inside of the dust bin 2160 of the vacuum cleaner 20 by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The dust chamber 300 includes at least one dust separation structure capable of separating dust from the sucked air.

먼지 챔버(300)는 메인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다. 먼지 챔버(300)는 메인 하우징(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먼지 챔버(300)는 후술할 챔버 하우징(8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하우징(100) 또는 챔버 하우징(800)이 개방되면, 먼지 챔버(300)는 메인 하우징(100) 또는 챔버 하우징(800)으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The dust chamber 3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housing 100. The dust chamber 3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housing 100. The dust chamber 3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hamber housing 8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main housing 100 or the chamber housing 800 is opened, the dust chamber 300 may be detached from the main housing 100 or the chamber housing 800.

먼지 챔버(300)는, 서로 상이한 형태의 먼지 분리 구조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먼지 챔버(300)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로 상이한 먼지 분리 구조를 갖는 제1 먼지 챔버(310)와 제2 먼지 챔버(330)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하나의 먼지 챔버가 메인 하우징(100) 또는 챔버 하우징(800)에 수용될 수 있다.The dust chamber 300 may be one selected by the user among a plurality of dust chambers 300 including different types of dust separation structure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dust chamber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first dust chamber 310 and the second dust chamber 330 having different dust separation structures is the main housing 100 or the chamber housing 800. can be accepted.

가능한 실시예에서 먼지 챔버(300)에는, 먼지 분리 수단으로서 먼지 봉투가 구비될 수 있다. 먼지 봉투는 공기는 통과하되 먼지는 통과하지 못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지 봉투는 먼지 챔버(300)의 내부 공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 possible embodiment, the dust chamber 300 may be equipped with a dust bag as a dust separation means. The dust bag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allows air to pass through but does not allow dust to pass through. The dust bag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inner space of the dust chamber 300.

가능한 실시예에서 먼지 챔버(300)에는, 먼지 분리 수단으로서 메쉬망이 포함될 수 있다. 메쉬망은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구성으로서, 공기의 이동경로에 구비되어 공기가 메쉬망을 통과할 때 먼지가 상기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는 원리로 먼지를 분리해낼 수 있다. 메쉬망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 possible embodiment, the dust chamber 300 may include a mesh net as a dust separation means. The mesh ne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holes, and is provided in the air movement path to separate dust on the principle that dust does not pass through the holes when the air passes through the mesh net. The mesh network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가능한 실시예에서 먼지 챔버(300)에는, 먼지 분리 수단으로서 싸이클론부가 포함될 수 있다. 싸이클론부는 하나 이상의 싸이클론 바디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싸이클론 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발생하는 싸이클론 유동을 이용하여 먼지를 분리해낼 수 있다. 상기 싸이클론 바디는 원통 형태 또는 원추 형태일 수 있다.In a possible embodiment, the dust chamber 300 may include a cyclone unit as a dust separation means. The cyclone unit is comprised of one or more cyclone bodies, and can separate dust using cyclone flow occurring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clone body. The cyclone body may be cylindrical or conical.

먼지 챔버(300)에 구비될 수 있는 먼지 분리 수단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먼지 분리 수단은 정전기 인력을 이용하여 미세 먼지를 흡착하는 필터일 수 있다.Dust separation means that may be provided in the dust chamber 300 are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dust separation means may be a filter that adsorbs fine dust using electrostatic attraction.

상술한 예시의 먼지 분리 수단은 하나의 먼지 챔버(300)에 두 개 이상 포함될 수도 있다.Two or more dust separation means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may be included in one dust chamber 300.

본 발명에서는 먼지 봉투(3130)와 결합되는 제1 먼지 챔버(310)와 메쉬망(3320) 및 싸이클론부(3360)를 포함하는 제2 먼지 챔버(330)를 기준으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먼지 챔버(310)와 제2 먼지 챔버(300)의 자세한 내부 구조 및 먼지 챔버(310, 330) 내부에서의 공기 유동경로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irst dust chamber 310 coupled to the dust bag 3130 and the second dust chamber 330 including the mesh net 3320 and the cyclone unit 3360. The detailed internal structure of the first dust chamber 310 and the second dust chamber 300 and the air flow path inside the dust chambers 310 and 330 will be described later.

결론적으로, 서로 상이한 형태의 먼지 분리 구조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먼지 챔버(300)가 청소기 스테이션(10)에 탈착 가능하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기호에 알맞은 형태의 먼지 저장 구조를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conclusion, a plurality of dust chambers 300 including different types of dust separation structures are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vacuum cleaner station 10 . Thereby, the us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elect a type of dust storage structure that suits his or her preference.

예를 들어, 먼지 분리 구조로서 주기적으로 교체 가능한 백(bag) 형태를 선호하는 사용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제1 먼지 챔버(310)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저장 구조로서 세척 가능한 빈(bin) 형태를 선호하는 사용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제2 먼지 챔버(330)를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who prefers a periodically replaceable bag type as a dust separation structure may select the first dust chamber 31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user who prefers a washable bin type as a dust storage structure may select the second dust chamber 330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양한 타입을 갖는 먼지 챔버(300) 및 챔버 하우징(800)에는 서로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 부재가 마련된다. 결합 부재를 통한 끼움 결합으로 다양한 타입의 먼지 챔버(300)들이 챔버 하우징(800)에 삽입 및 결합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게 된다.The dust chamber 300 and the chamber housing 800 of various types are provided with coupling members that enable them to be coupled to each other. Various types of dust chambers 300 can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hamber housing 800 by fitting through a coupling member, and the user's range of choices is expanded.

먼지 챔버(300)는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식으로 챔버 하우징(800)에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지 챔버(300)는 제1 방향(d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챔버 하우징(8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먼지 챔버(300)는 제1 방향(d1)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챔버 하우징(800)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은 y축과 나란한 방향이다.The dust chamber 300 is coupled to the chamber housing 800 in a sliding manner. More specifically, the dust chamber 3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hamber housing 800 by slid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d1. The dust chamber 300 may be pulled out from the inner space of the chamber housing 800 by sliding along the second direction d2, which is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d1.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are directions parallel to the y-axis.

먼지 챔버(300)에는 유입홀(3140, 3340)이 마련된다. 유입홀(3140, 3340)을 통해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먼지 챔버(300)의 내부로 유입된다. 도 8과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유입홀(3140, 3340)의 형태가 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dust chamber 300 is provided with inlet holes 3140 and 3340. Air containing dust flows into the dust chamber 300 through the inlet holes 3140 and 3340. In the embodiments of FIGS. 8 and 9, the shape of the inlet holes 3140 and 3340 is shown as circula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유입홀(3140, 3340)은, 먼지 챔버(300)의 상면에 마련된다. 먼지 챔버(300)의 상면은, 흡입 유로(700)를 향해 배치되는 면이다.The inlet holes 3140 and 3340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hamber 300.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hamber 300 is a surface disposed toward the suction passage 700.

먼지 챔버(300)에는 배출홀(3150, 3350)이 마련된다. 배출홀(3150, 3350)을 통해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먼지 챔버(3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8과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배출홀(3150, 3350)의 형태가 사각형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ust chamber 300 is provided with discharge holes 3150 and 3350. Air from which dust has been separat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ust chamber 300 through the discharge holes 3150 and 3350. In the embodiments of FIGS. 8 and 9, the shape of the discharge holes 3150 and 3350 is shown as a squa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배출홀(3150, 3350)은, 먼지 챔버(300)의 후면에 마련된다. 먼지 챔버(300)의 후면은, 제1 방향(d1)에 배치되는 면이다.Discharge holes 3150 and 3350 ar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ust chamber 300. The rear of the dust chamber 300 is a surface disposed in the first direction d1.

다음으로, 챔버 하우징(800)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hamber housing 800 will be described.

챔버 하우징(800)은, 그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수용 공간에 먼지 챔버(300)가 삽입 및 결합된다. 이때, 챔버 하우징(800) 자신은 메인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즉, 메인 하우징(100)의 내부에 챔버 하우징(800)이 수용되고 먼지 챔버(300)는 챔버 하우징(800)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먼지 챔버(300)는 챔버 하우징(800)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chamber housing 800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The dust chamber 300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receiving space. At this time, the chamber housing 800 itself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housing 100. That is, the chamber housing 8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housing 100 and the dust chamber 3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chamber housing 800.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dust chamber 300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chamber housing 800.

챔버 하우징(800)은 메인 하우징(100)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챔버 하우징(800)은 메인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되어 탈부착이 불가능할 수 있다.The chamber housing 800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housing 100. As another example, the chamber housing 80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housing 100 and may not be detachable.

챔버 하우징(800)은 흡입 유로(7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챔버 하우징(800)은, 집진 모터(2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흡입 유로(700)와 챔버 하우징(800)과 집진 모터(200)는 모두 메인 하우징(100)에 수용되는 구성이며, z축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chamber housing 800 may be disposed below the suction passage 700. The chamber housing 800 may be placed on top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That is, the suction passage 700, the chamber housing 800, and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are all accommodated in the main housing 100, and can b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z-axis.

챔버 하우징(800)은 메인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 중 흡입 유로(700)와 집진 모터(200) 사이의 공간을 먼지 저장을 위한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흡입 유로(700)를 유동해 온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챔버 하우징(800)에 수용된 먼지 챔버(300)로 유입되고, 먼지 챔버(300)에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챔버 하우징(800)의 외부로 배출되어 집진 모터(200)를 향해 유동한다.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는 먼지 챔버(300)에 저장된다.The chamber housing 800 may divide the space between the suction passage 700 and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among the internal spaces of the main housing 100 into a space for dust storage. The air containing dust flowing through the suction flow path 700 flows into the dust chamber 300 accommodated in the chamber housing 800, and the air from which the dust has been separated from the dust chamber 300 flows into the outside of the chamber housing 800. It is discharged and flows toward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Dust separated from the air is stored in the dust chamber 300.

챔버 하우징(800)에는 유입홀(8300)이 마련된다.An inlet hole 8300 is provided in the chamber housing 800.

유입홀(8300)은, 챔버 하우징(800)의 상면에 마련된다. 챔버 하우징(800)의 상면은, 흡입 유로(700)를 향해 배치되는 면이다. 도 6과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유입홀(8300)의 형태가 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nlet hole 830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housing 800. The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housing 800 is a surface disposed toward the suction passage 700. In the embodiments of FIGS. 6 and 7, the shape of the inlet hole 8300 is shown as a circ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먼지 챔버(300)가 챔버 하우징(800)에 삽입되면 챔버 하우징(800)의 유입홀(8300)과 먼지 챔버(300)의 유입홀(3140, 3340)이 상하로 연결되어 흡입 유로(700)와 먼지 챔버(300)가 연통된다. 따라서, 집진 모터(200)의 구동 시 흡입 유로(700)에서 먼지 챔버(300)의 내부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dust chamber 300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housing 800, the inlet hole 8300 of the chamber housing 800 and the inlet holes 3140 and 3340 of the dust chamber 300 are connected vertically to form a suction flow path 700 and The dust chamber 300 is in communication. Therefore, when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is driven, air may move from the suction passage 700 to the inside of the dust chamber 300.

챔버 하우징(800)에는 배출홀(8400)이 마련된다.(도 14, 도 15 참조)A discharge hole 8400 is provided in the chamber housing 800 (see FIGS. 14 and 15).

배출홀(8400)은, 챔버 하우징(800)의 후면에 마련된다. 챔버 하우징(800)의 후면은, 먼지 챔버(300)의 슬라이딩 삽입 방향에 배치되는 면이다. 배출홀(8400)은 후술할 연결 유로(8600)의 일단에 마련될 수 있다.The discharge hole 840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hamber housing 800. The rear of the chamber housing 800 is a surface disposed in the sliding insertion direction of the dust chamber 300. The discharge hole 8400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8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먼지 챔버(300)가 챔버 하우징(800)에 삽입되면 챔버 하우징(800)의 배출홀(8400)과 먼지 챔버(300)의 배출홀(3150, 3350)이 전후로 연결되어 먼지 챔버(300)와 연결 유로(8600)가 연통된다. 따라서, 집진 모터(200)의 구동시 먼지 챔버(30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연결 유로(8600)를 통해 집진 모터(200)로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dust chamber 300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housing 800, the discharge hole 8400 of the chamber housing 800 and the discharge holes 3150 and 3350 of the dust chamber 300 are connected back and forth to connect to the dust chamber 300. Euro (8600) is connected. Accordingly, when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is drive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hamber 300 may move to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8600.

챔버 하우징(800)에는 연결 유로(8600)가 마련된다. 연결 유로(8600)는 먼지 챔버(300)에서 빠져나온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이다. 연결 유로(8600)의 일단은 챔버 하우징(800)의 배출홀(8400)에 결합되고 타단은 집진 모터(200)를 향해 개방된다.A connection passage 8600 is provided in the chamber housing 800. The connection passage 8600 i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released from the dust chamber 300 flows. One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8600 is coupled to the discharge hole 8400 of the chamber housing 800, and the other end is open toward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챔버 하우징(800)에는 에어홀(8500)이 마련된다.An air hole 8500 is provided in the chamber housing 800.

에어홀(8500)은, 챔버 하우징(800)의 내부 공간에 부압 발생시 외부 공기를 챔버 하우징(8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구성이다. 에어홀(8500)은, 챔버 하우징(800)을 관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에어홀(8500)이 2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어홀(8500)은 챔버 하우징(800)의 후면 상측 모서리에 마련될 수 있다.The air hole 8500 i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external air to flow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hamber housing 800 when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hamber housing 800. At least one air hole 8500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chamber housing 800. In the embodiment of FIG. 7, two air holes 8500 are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air hole 8500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rear corner of the chamber housing 800.

챔버 하우징(800)에는 전술한 먼지 챔버(30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챔버 하우징(800)의 내측면과 먼지 챔버(300)의 외측면에는 서로 끼움 결합하는 형태의 결합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The dust chamber 300 described above may be coupled to the chamber housing 800 in a sliding manner. To this end, coupling members that fit into each other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housing 8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hamber 300.

도 10은, 본 발명에서 먼지 챔버의 결합 부재인 결합 레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서 챔버 하우징의 결합 부재인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ail, which is a coupling member of the dust chamber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uide rail, which is a coupling member of the chamber housing in the present invention.

결합 부재는 먼지 챔버(300)에 마련되는 결합 레일(3110, 3310)과 챔버 하우징(800)에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8100)을 포함한다.The coupling member includes coupling rails 3110 and 3310 provided in the dust chamber 300 and a guide rail 8100 provided in the chamber housing 800.

결합 레일(3110, 3310)과 가이드 레일(8100)은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각각의 형태가 구성된다. 결합 레일(3110, 3310)과 가이드 레일(8100)의 결합에 의해, 챔버 하우징(800)과 먼지 챔버(3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직교하는 축 방향으로 구속된다.The coupling rails 3110 and 3310 and the guide rail 8100 are each configured to fit into each other. By combining the coupling rails 3110 and 3310 and the guide rail 8100, the chamber housing 800 and the dust chamber 300 are constrained in at least two axes orthogonal to each other.

도 6,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결합 레일(3110, 3310)은, 먼지 챔버(300)의 좌우 외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8, and 9, the coupling rails 3110 and 3310 may b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outer surfaces of the dust chamber 300, respectively.

도 10을 참조하여 제1 챔버(310)의 결합 레일(3110)을 기준으로 그 형태에 대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With reference to FIG. 10 , the shape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coupling rail 3110 of the first chamber 310 as follows.

결합 레일(3110)은, 먼지 챔버(31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서 바라볼 때 후방이 개구된 형태의 U-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 레일(3110)은 먼지 챔버(310)의 외측면이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 리브(3111)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리브(3111)의 돌출 형태는 후술할 가이드 레일(8100)을 외측에서 감쌀 수 있도록 후방이 개구된 U-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rail 3110 may be formed in a U-shape with an open rear end when viewed from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dust chamber 310. More specifically, the coupling rail 3110 may include a coupling rib 3111 formed by protru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hamber 310. The protruding form of the coupling rib 3111 may be formed in a U-shape with an open rear end so as to surround the guide rail 8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rom the outside.

결합 레일(3110)에는, 결합 리브(3111)에 의해 둘러싸인 삽입부(3112)가 형성된다. 삽입부(3112)에 가이드 레일(8100)이 끼워져야 하므로 삽입부(3112)의 형태는 가이드 레일(8100)의 형태와 대응된다.An insertion portion 3112 surrounded by a coupling rib 3111 is formed in the coupling rail 3110. Since the guide rail 8100 must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3112, the shape of the insertion portion 3112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guide rail 8100.

좌우측 결합 리브(3111)의 개방된 후방 단부에 가이드 레일(8100)이 끼워지면, 결합 리브(3111)가 가이드 레일(8100)을 감싸면서 먼지 챔버(300)가 제1 방향(d1)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로써, 먼지 챔버(300)가 챔버 하우징(800)에 삽입될 수 있다.When the guide rail 8100 is inserted into the open rear end of the left and right coupling ribs 3111, the dust chamber 300 slides in the first direction d1 while the coupling rib 3111 surrounds the guide rail 8100. do. Accordingly, the dust chamber 300 can be inserted into the chamber housing 800.

결합 부재는, 결합 레일(3110)의 하부에 마련되는 보조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레일은, 먼지 챔버의 외측면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결합 리브(3111)와 연결되는 보조 리브(3113)를 포함한다. 보조 레일에는, 결합 리브(3111)의 하측 일부와 보조 리브(3113)에 둘러싸인 보조 삽입부(3114)가 마련될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rail provided below the coupling rail 3110. The auxiliary rail is formed by protru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hamber and includes an auxiliary rib 3113 connected to the coupling rib 3111. The auxiliary rail may be provided with an auxiliary insertion portion 3114 surrounded by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rib 3111 and the auxiliary rib 3113.

여기서는, 제1 먼지 챔버(310)에 마련된 결합 레일(3110)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제2 먼지 챔버(330)의 결합 레일(3310) 또한 가이드 레일(800)과의 결합 호환성을 위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마련됨이 당연하다.Here, the description has been made based on the coupling rail 3110 provided in the first dust chamber 310, but the coupling rail 3310 of the second dust chamber 330 is also substantially the same for coupling compatibility with the guide rail 800. It is natural that it is prepared in this form.

도 6 및 도 11을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8100)은, 결합 레일(3110, 3310)과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레일(8100)은, 챔버 하우징(800)의 좌우 내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11 , the guide rail 810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coupling rails 3110 and 3310, respectively. That is, the guide rail 8100 may b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s of the chamber housing 800, respectively.

도 11을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8100)은, 챔버 하우징(800)의 좌우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레일(8100)은, 챔버 하우징(800)을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내부가 채워진 U-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장자리만 돌출된 U-형상인 결합 레일(3110, 3310)과 서로 끼움 결합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1 , the guide rail 8100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protrudes from 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s of the chamber housing 800. More specifically, the guide rail 8100 may be formed in a U-shape with a filled interior, based on the chamber housing 800 viewed from the left or right sid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it and couple the U-shaped coupling rails 3110 and 3310 with only the edges protruding.

가이드 레일(8100)은, 먼지 챔버(300)의 슬라이딩 삽입 방향으로 이어질수록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면적은 챔버 하우징(800)을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면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챔버 하우징(800)을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가이드 레일(8100)은 제1 방향(d1)측의 면적이 제2 방향(d2)측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rail 8100 may have a larger area as it extends in the sliding insertion direction of the dust chamber 300. The area is the area when the chamber housing 800 is viewed from the side. More specifically, when the chamber housing 800 is viewed from the side, the guide rail 8100 may have an area in the first direction d1 that is larger than an area in the second direction d2.

이로써, 먼지 챔버(300)가 삽입되는 초기에는 가이드 레일(800)의 면적보다 삽입부(3112)의 면적이 더 크게 되는 바, 사용자가 정확한 위치에 먼지 챔버(300)를 삽입하지 않더라도 결합 레일(3110)이 가이드 레일(80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As a result, at the beginning when the dust chamber 300 is inserted, the area of the insertion portion 3112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guide rail 800, so even if the user does not insert the dust chamber 300 in the correct position, the coupling rail ( 3110)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guide rail 800.

가이드 레일(8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면(8111)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8111)은, 먼지 챔버(300)의 삽입시 결합 레일(3110. 3310)과 접촉되는 면일 수 있다. 경사면(8111)은, 먼지 챔버(300)의 슬라이딩 방향(d1)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The guide rail 8100 may include at least one inclined surface 8111. The inclined surface 8111 may be a surface that contacts the coupling rails 3110 and 3310 when the dust chamber 300 is inserted. The inclined surface 8111 may be formed toward the sliding direction d1 of the dust chamber 300.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이 경사면(8111)은, 가이드 레일(8100)의 상면일 수 있다. 가이드 레일의 상면(8100)이 경사면(8111)을 이루는 경우 경사 방향은 후방-상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먼지 챔버(300)의 삽입시 결합 레일(3110, 3310)의 슬라이딩 이동은 사용자의 적은 힘으로도 쉽게 안내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the inclined surface 8111 may be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rail 8100. When the upper surface 8100 of the guide rail forms an inclined surface 8111, the inclined direction is preferably backward-upward. Accordingly, when the dust chamber 300 is inserted,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oupling rails 3110 and 3310 can be easily guided with little force from the user.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로서 예를 들어, 경사면은, 가이드 레일(8100)의 하면일 수 있다. 가이드 레일(8100)의 하면이 경사면을 이루는 경우 경사 방향은 후방-하향인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in an embodiment not shown, the inclined surface may be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rail 8100.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rail 8100 forms an inclined surface, the inclined direction is preferably backward-downward.

결합 부재는, 가이드 레일(8100)의 하부에 마련되며 챔버 하우징(800)의 내측면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보조 가이드 레일(8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가이드 레일(8200)은 보조 삽입부(3114)에 끼워질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guide rail 8200 provided below the guide rail 8100 and formed by protrud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housing 800. The auxiliary guide rail 8200 may be fitted into the auxiliary insertion portion 3114.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에서 먼지 챔버가 챔버 하우징에 삽입될 시 결합 부재에 의해 위치가 구속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Figures 12 and 13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how,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ust chamber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housing, its position is restricted by a coupling member and it slides.

도 12와 도 13은 제1 먼지 챔버(310)를 기준으로 도시되었으며, 제2 먼지 챔버(330) 또한 동일하게 동작한다.12 and 13 are shown based on the first dust chamber 310, and the second dust chamber 330 also operates in the same manner.

먼지 챔버(310)의 삽입시 결합 레일(3110)이 가이드 레일(8100)에 끼워지면서 먼지 챔버(310)의 z축 방향 위치가 정렬되어 구속된다. 먼지 챔버(310)의 z축 방향 위치가 정렬 또는 구속된다는 것은, 먼지 챔버(310)의 유입홀(3140) 및 배출홀(3150)이 챔버 하우징(800)의 유입홀(8300) 및 배출홀(8400)과 서로 z축 기준 정 위치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When the dust chamber 310 is inserted, the coupling rail 31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8100 and the z-axis position of the dust chamber 310 is aligned and constrained. That the z-axis direction position of the dust chamber 310 is aligned or restricted means that the inlet hole 3140 and the outlet hole 3150 of the dust chamber 310 are the inlet hole 8300 and the outlet hole (8300) of the chamber housing 800. 8400), which means that they are placed at the exact position based on the z-axis.

먼지 챔버(310)의 삽입시 좌우측 각각에 마련되는 가이드 레일(810))과 결합 레일(3110)이 끼움 결합함으로써 먼지 챔버(310)의 x축 방향 위치가 정렬되어 구속된다. 먼지 챔버(310)의 x축 방향 위치가 정렬 또는 구속된다는 것은, 먼지 챔버(310)의 유입홀(3140) 및 배출홀(3150)이 챔버 하우징(800)의 유입홀(8300) 및 배출홀(8400)과 서로 x축 기준 정 위치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When the dust chamber 310 is inserted, the guide rail 810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coupling rail 3110 are fitted, so that the x-axis direction position of the dust chamber 310 is aligned and constrained. That the x-axis direction position of the dust chamber 310 is aligned or constrained means that the inlet hole 3140 and the outlet hole 3150 of the dust chamber 310 are the inlet hole 8300 and the outlet hole (8300) of the chamber housing 800 ( 8400), which means that they are placed at the exact position based on the x-axis.

즉, 결합 부재(8100, 3110)에 의해 챔버 하우징(800)의 유입홀(8300)과 먼지 챔버(310)의 유입홀(3140) 및, 챔버 하우징(800)의 배출홀(8300)과 먼지 챔버(310)의 배출홀(3150)이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축 방향으로 각각 위치가 구속된다. 따라서, 공기 유동경로를 벗어나 먼지가 비산하는 것이 방지되어 실링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inlet hole 8300 of the chamber housing 800, the inlet hole 3140 of the dust chamber 310, and the outlet hole 8300 of the chamber housing 800 and the dust chamber are connected by the coupling members 8100 and 3110. The positions of the discharge holes 3150 of 310 are restricted in two axes orthogonal to each other. Therefore, dust is prevented from scattering beyond the air flow path, which has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seal.

도 14는 제1 먼지 챔버의 공기 유동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the air flow path of the first dust chamber.

도 14를 참조하여 제1 먼지 챔버(310)의 내부 구조 및 챔버 하우징(800)에 제1 먼지 챔버(310)가 결합되었을 때의 먼지 흡입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4 ,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irst dust chamber 310 and the dust suction operation when the first dust chamber 310 is coupled to the chamber housing 80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먼지 챔버(310)에는 먼지 봉투(313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도 6 참조)As described above, the dust bag 31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dust chamber 310 (see FIG. 6).

먼지 봉투(3130)는, 청소기(20)로부터 흡입된 먼지를 수용하여 내부에 저장하는 구성이다. 먼지 봉투(3130)는 제1 먼지 챔버(310)에 마련된 고정 홀더(3120)에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The dust bag 3130 is configured to receive dust sucked from the vacuum cleaner 20 and store it therein. The dust bag 3130 may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xed holder 3120 provided in the first dust chamber 310.

먼지 봉투(3130)는 집진 모터(200)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면 부피가 늘어나면서 먼지가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지 봉투(3130)는 공기는 투과되지만 먼지와 같은 이물질은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 봉투(3130)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부피가 늘어났을 때를 기준으로 육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dust bag 3130 may be provided so that when suct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its volume increases and dust is accommodated therein. To this end, the dust bag 313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allows air to pass through but does not allow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to pass through. As an example, the dust bag 3130 may be made of a non-woven material and may have a hexahedral shape when its volume is increased.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먼지 봉투(3130)에도 먼지와 공기가 함께 유입되도록 유입홀이 마련되며, 챔버 하우징(800)의 유입홀(8300) 및 먼지 챔버(310)의 유입홀(3140)과 연결된다. 따라서, 집진 모터(200)의 흡입력에 의해 기류가 형성되면,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흡입 유로(700)를 통해 흡입되어 먼지 봉투(3130)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먼지 봉투(3130)에서 공기만 외부로 빠져나가고 먼지는 먼지 봉투 내부에 남아 저장된다.Although not shown, an inlet hole is provided in the dust bag 3130 to allow dust and air to flow together, and is connected to the inlet hole 8300 of the chamber housing 800 and the inlet hole 3140 of the dust chamber 310. Accordingly, when an air current is form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air containing dust may be sucked in through the suction passage 700 and move into the inside of the dust bag 3130. Afterwards, only the air escapes from the dust bag 3130, and the dust remains inside the dust bag and is stored.

먼지 봉투(3130)에서 빠져나가는 공기는 연결 유로(8600)를 통해 집진 모터(200)로 흡입된다.The air escaping from the dust bag 3130 is sucked into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8600.

도 15는 제2 먼지 챔버의 공기 유동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5 is a diagram showing the air flow path of the second dust chamber.

도 15를 참조하여 제2 먼지 챔버(330)의 내부 구조 및 챔버 하우징(800)에 제2 먼지 챔버(330)가 결합되었을 때의 먼지 흡입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15 ,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cond dust chamber 330 and the dust suction operation when the second dust chamber 330 is coupled to the chamber housing 800 are described as follows.

제2 먼지 챔버(330)의 내부 공간은 제1 유동부(3370), 제2 유동부(3380) 및 제3 유동부(3390)로 구분될 수 있다. The internal space of the second dust chamber 33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flow part 3370, a second flow part 3380, and a third flow part 3390.

제1 유동부(3370)에는 메시망(3320)과 먼지 청소부(3330)가 배치되며 큰 입자의 먼지가 1차로 분리된다.A mesh net 3320 and a dust cleaner 3330 are disposed in the first moving part 3370, and large particles of dust are primarily separated.

제2 유동부(3380)에는 싸이클론부(3360)가 배치되며 미세 크기의 먼지가 2차로 분리된다.A cyclone unit 3360 is disposed in the second flow unit 3380, and fine-sized dust is separated secondarily.

제3 유동부(3390)는 미세 크기의 먼지까지 분리된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으로서 제3 유동부(3390)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는 제2 먼지 챔버(330)를 빠져나가 연결 유로(8600)를 통해 집진 모터(200)로 흡입된다.The third flow part 3390 is a space where air separated from fine-sized dust flows. The air flowing through the third flow part 3390 exits the second dust chamber 330 and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flow path 8600. It is sucked into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제2 먼지 챔버(330)는, 메쉬망(mesh net)(33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dust chamber 330 may include a mesh net 3320.

메쉬망(3320)은 제1 유동부(3370)의 일면에 배치된다. 메쉬망(3320)은,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부재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메쉬망(3320)은 입자가 큰 먼지를 1차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메쉬망(3320)을 통과하지 못한 큰 먼지는 제1 유동부(3370)의 하측에 모여 저장된다.The mesh network 332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moving part 3370. The mesh network 3320 is a member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and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esh net 3320 serves to primarily remove dust with large particles. Large dust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mesh net 3320 is collected and stor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flow unit 3370.

제2 먼지 챔버(330)는, 먼지 청소부(3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ust chamber 330 may include a dust cleaner 3330.

먼지 청소부(3330)는 제1 유동부(3370)에 배치된다. 먼지 청소부(333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3331) 및, 회전축(3331)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메쉬망(3320)을 청소하는 청소판(3333)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판(3333)은 회전하면서 메쉬망(3320)을 스크래핑할 수 있다. 이로써, 메쉬망(3320)에 달라붙은 먼지가 제거될 수 있고 먼지 여과 효율이 유지될 수 있다.The dust cleaner 3330 is disposed in the first moving part 3370. The dust cleaner 3330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3331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cleaning plate 3333 that is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3331 and rotates to clean the mesh net 3320. The cleaning plate 3333 can scrape the mesh net 3320 while rotating. Accordingly, dust adhering to the mesh net 3320 can be removed and dust filtration efficiency can be maintained.

제2 먼지 챔버(330)는, 싸이클론부(33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dust chamber 330 may include a cyclone unit 3360.

싸이클론부(3360)는 제2 유동부(3380)에 배치된다. 제2 유동부(3380)는 메쉬망(3320)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을 통해 제1 유동부(3370)와 연통된다. 메쉬망(3320)을 통해 제1 유동부(3370)에서 빠져나온 공기가 싸이클론부(3360)에 유입되면 싸이클론 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하며, 미세 크기의 먼지가 2차로 제거된다. 제거된 미세 크기의 먼지는 제2 유동부(3380)의 하측에 모여 저장된다.The cyclone unit 3360 is disposed in the second flow unit 3380. The second flowing part 338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flowing part 3370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mesh network 3320. When the air released from the first flow part 3370 through the mesh net 3320 flows into the cyclone part 3360, cyclone flow occur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clone body, and fine-sized dust is removed secondarily. do. The removed fine-sized dust is collected and stor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moving part 3380.

싸이클론 바디는 복수개 구비되어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싸이클론 바디는 단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싸이클론 유동의 발생 원리와 본 발명에서 도시되는 싸이클론부(3360)의 형태는 잘 알려진 공지의 기술일 뿐 아니라 본 발명의 핵심 사상과는 무관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 plurality of cyclone bodies may be provided and arranged in parallel. Alternatively, the cyclone body may be provided as a single body. Meanwhile, the principle of generating cyclone flow and the shape of the cyclone unit 3360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only well-known technologies, but are also unrelated to the cor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here.

도 16은 에어홀이 만든 압력차로 인해 먼지 챔버가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Figure 1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dust chamber moving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created by the air hole.

먼지 챔버(310)와 챔버 하우징(800)이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먼지 챔버(310)의 내부 공간을 제1 공간(s1), 먼지 챔버(310)의 외측면과 챔버 하우징(800)의 내측면 사이 공간을 제2 공간(s2)이라고 정의하자.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dust chamber 310 and the chamber housing 800 are combined, the inner space of the dust chamber 310 is divided into the first space s1,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hamber 310, and the chamber housing 800. Let's define the space between the medial surfaces as the second space (s2).

집진 모터(200)의 구동에 의한 흡입력, 에어홀(8500)의 존재로 인해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에는 압력차가 발생한다. A pressure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first space s1 and the second space s2 due to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and the presence of the air hole 8500.

보다 구체적으로, 집진 모터(200)에 의한 흡입력으로 제1 공간(s1)은 압력이 낮아진다. 이와 대조적으로, 제2 공간(s2)에는 부압 발생시에도 에어홀(8500)에 의해 외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므로 대기압이 유지된다. 따라서, 집진 모터(200)의 구동시 제2 공간(s2)은 제1 공간(s1)보다 항상 높은 압력 상태가 되고,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에는 압력차가 발생한다.More specifically, the pressure of the first space s1 is lowered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In contrast, atmospheric pressure is maintained in the second space s2 because external air continues to flow into the second space s2 through the air hole 8500 even when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Therefore, when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is driven, the second space s2 is always in a state of higher pressure than the first space s1, and a pressure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first space s1 and the second space s2.

상기 압력차로 인해, 청소기(20)의 먼지가 먼지 챔버(300)로 흡입될 시, 먼지 챔버(310)에는 흡입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힘(F)이 가해진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배출홀(3150)과 연결 유로(700)가 슬라이딩 삽입 방향(d1)에 배치되므로 상기 힘(F) 또한 먼지 챔버(310)의 슬라이딩 삽입 방향(d1)을 향해 작용한다.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when dust from the vacuum cleaner 20 is sucked into the dust chamber 300, force F is applied to the dust chamber 31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force act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charge hole 3150 and the connection passage 700 are disposed in the sliding insertion direction d1, the force F also acts toward the sliding insertion direction d1 of the dust chamber 310.

즉, 먼지 챔버(310)는 상기 힘(F)이 작용하는 방향, 다시 말해, 슬라이딩 삽입 방향(d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That is, the dust chamber 310 moves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ce F acts, that is, the sliding insertion direction d1.

먼지 챔버(310)의 상기 이동과 공기 유동경로의 실링 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 of the dust chamber 310 and the sealing of the air flow path is explained as follows.

집진 모터(200)의 구동은 먼지 챔버(310)에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y축 방향으로 구속되지 않은 상태인 먼지 챔버(310)가 슬라이딩 인출 방향(d2)으로 이동하여 공기의 유동경로상에 실링 갭(sealing gap)이 생길 수 있다. 상기 실링 갭을 통해 먼지가 새어 나가 비산하는 경우 위생상의 문제와 부품 고장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Driving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may generate vibration in the dust chamber 310. In this case, the dust chamber 310, which is not constrained in the y-axis direction, may move in the sliding direction d2, thereby creating a sealing gap in the air flow path. If dust leaks and scatters through the sealing gap, it can cause hygiene problems and component failure.

하지만, 본 발명 실시예와 같이 챔버 하우징(800)에 에어홀(8500)이 형성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의 압력차가 먼지 챔버(310)를 슬라이딩 삽입 방향(d1)으로 이동시키면서 실링 갭이 제거된다. 이때, 배출홀(3150)을 둘러싸는 실링면(sealing face)에는 실링면의 면적에 비례하는 압력이 가해지는 바, 먼지 챔버(310)와 챔버 하우징(800)간의 실링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실링 갭이 제거되면 먼지가 유동경로를 벗어나 비산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청소기 스테이션(10)이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고 부품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air hole 8500 is formed in the chamber housing 800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pace s1 and the second space s2 causes the dust chamber 310 to slide as described above. The sealing gap is removed while moving in the insertion direction d1. At this time, pressure proportional to the area of the sealing face is applied to the sealing face surrounding the discharge hole 3150, which has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sealing between the dust chamber 310 and the chamber housing 800. . When the sealing gap is removed, dust is prevented from flying out of the flow path, so the cleaner station 10 can be managed hygienically and component failure can be prevented.

한편, 유입홀(3140) 및 배출홀(3150)을 둘러싸는 실링면에는 별도의 실링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실링면에 가스켓, 오링 등과 같은 실링 부재가 구비되는 것은 잘 알려진 공지의 기술일 뿐 아니라 본 발명의 핵심 기술 사상과도 무관하므로 여기서는 별도로 도시하거나 설명하지 않는다.Meanwhile, a separate sealing member may be disposed on the sealing surface surrounding the inlet hole 3140 and the outlet hole 3150. However, the provision of sealing members such as gaskets and O-rings on the sealing surface is not only a well-known technology but also has nothing to do with the co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it is not separately shown or explained here.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먼지 챔버가 챔버 하우징에 슬라이딩 결합될 때에 결합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직교하는 축 방향에 대해 구속된다. 따라서, 먼지 챔버가 챔버 하우징 내부에서 정 위치에 결합되는 것이 보장되는 바, 먼지가 저장 공간 외의 공간으로 비산하지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ust chamber is slidingly coupled to the chamber housing, it moves along the coupling rail and is restrained in at least two axial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Accordingly, it is guaranteed that the dust chamber is coupled to the correct position inside the chamber housing, and dust can be prevented from flying into spaces other than the storage sp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챔버 하우징에 형성된 에어홀이 먼지 챔버 내부 공간인 제1 공간과, 먼지 챔버와 챔버 하우징 사이 공간인 제2 공간의 압력차를 형성하며, 상기 압력차로 인해 먼지 챔버와 챔버 하우징간 실링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먼지 챔버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먼지가 저장 공간 외의 공간으로 비산하지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hole formed in the chamber housing forms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pace, which is the space inside the dust chamber, and the second space, which is the space between the dust chamber and the chamber housing, and the pressure difference causes the dust chamber and the chamber. The dust chamber moves in a direction that strengthens the seal between the housings. Therefore, dust can be prevented from flying into spaces other than the storage sp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호환 가능한 다양한 먼지 챔버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먼지 포집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various compatible dust chambers are provided in a separable mann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can select his preferred dust collection method.

앞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shown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y it to other specific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modified and transformed.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term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rather by the technical idea stated in the claims.

10: 청소기 스테이션
100: 메인 하우징
200: 집진 모터
300: 먼지 챔버
310: 제1 먼지 챔버
3110: 결합 레일
3111: 결합 리브
3112: 삽입부
3120: 고정 홀더
3130: 먼지 봉투
3140: 유입홀
3150: 배출홀
330: 제2 먼지 챔버
3310: 결합 레일
3311: 결합 리브
3312: 삽입부
3340: 유입홀
3350: 배출홀
3320: 메쉬망
3330: 먼지 청소부
3360: 싸이클론부
700: 흡입 유로
800: 챔버 하우징
8100: 가이드 레일
8111: 경사면
8200: 보조 가이드 레일
8300: 유입홀
8400: 배출홀
8500: 에어홀
8600: 연결 유로
10: Vacuum cleaner station
100: main housing
200: Dust collection motor
300: dust chamber
310: first dust chamber
3110: Combined rail
3111: Combined ribs
3112: insertion part
3120: Fixed holder
3130: dust bag
3140: Inlet hole
3150: discharge hole
330: second dust chamber
3310: Combined rail
3311: Combined ribs
3312: insertion part
3340: Inlet hole
3350: discharge hole
3320: mesh net
3330: Dust Sweeper
3360: Cyclone Department
700: suction flow path
800: Chamber housing
8100: Guide rail
8111: slope
8200: Auxiliary guide rail
8300: Inlet hole
8400: discharge hole
8500: Air hole
8600: Connection Euro

Claims (13)

청소기의 먼지통과 연결되어 상기 먼지통으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과 연결되고 집진 모터의 흡입 동작에 의해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유동하는 흡입 유로;
상기 흡입 유로의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이 마련되는 챔버 하우징; 및
상기 청소기로부터 흡입된 먼지를 분리하여 저장하고, 상기 챔버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먼지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챔버는, 상기 챔버 하우징에 제1 방향을 따라 삽입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인출되며,
상기 챔버 하우징의 내측면과 상기 먼지 챔버의 외측면에는 서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하는 형태의 결합 부재가 마련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the vacuum cleaner station connected to the dust bin of the vacuum cleaner and sucking dust from the dust bin,
a suction passage connected to the dust bin and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flows by the suction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a chamber housing disposed below the suction passage and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It includes a dust chamber that separates and stores dust sucked from the cleaner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hamber housing,
The dust chamber is inserted into the chamber housing along a first direction and pulled out along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coupling member in the form of a sliding fit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housin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hamber,
Vacuum cleaner s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먼지 챔버의 좌우 외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결합 레일; 및
상기 결합 레일과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챔버 하우징의 좌우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결합 레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upling member is,
Coupling rails disposed on left and right outer surfaces of the dust chamber, respectively; and
A guide rail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coupling rail and protruding from the left and right inner sides of the chamber housing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rail; including,
Vacuum cleaner st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결합에 의해, 상기 챔버 하우징과 상기 먼지 챔버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로 직교하는 축 방향으로 구속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paragraph 2,
By combining the coupling rail and the guide rail, the chamber housing and the dust chamber are constrained in at least two axial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Vacuum cleaner st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레일은,
상기 먼지 챔버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서 바라볼 때 후방이 개구된 형태의 U-형상이며,
상기 가이드 레일이 끼워지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과 대응하는 형태의 삽입부가 형성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ombined rail is,
When viewed from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dust chamber, the dust chamber is U-shaped with an open rear end,
An insertion part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uide rail is formed so that the guide rail is inserted,
Vacuum cleaner st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 기준, 상기 먼지 챔버의 슬라이딩 삽입 방향으로 이어질수록 면적이 넓어지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guide rail is,
Based on the state viewed from the side, the area becomes wider as it moves in the direction of sliding insertion of the dust chamber,
Vacuum cleaner st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먼지 챔버의 슬라이딩 삽입 방향을 향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guide rail is,
Comprising at least one inclined surface formed toward the sliding insertion direction of the dust chamber,
Vacuum cleaner s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하우징은,
부압에 의해 상기 챔버 하우징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에어홀;을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hamber housing is,
It further includes an air hole that introduces air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hamber housing by negative pressure.
Vacuum cleaner st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챔버가 상기 챔버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 챔버의 내부 공간인 제1 공간 및, 상기 먼지 챔버의 외측면과 상기 챔버 하우징의 내측면 사이 공간인 제2 공간이 정의되고,
상기 에어홀은,
상기 청소기의 먼지가 흡입될 시, 상기 먼지 챔버를 슬라이딩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압력차를 상기 제1 공간과 상기 제2 공간 사이에 형성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In clause 7,
With the dust chamber coupled to the chamber housing,
A first space, which is an internal space of the dust chamber, and a second space,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hamb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housing, are defined,
The air hole is,
When dust from the cleaner is sucked, a pressure differen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to move the dust chamber in the sliding insertion direction,
Vacuum cleaner s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하우징은,
상기 먼지 챔버의 슬라이딩 삽입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챔버 하우징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집진 모터를 향해 유동하는 연결 유로;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hamber housing is,
It is disposed in the sliding insertion direction of the dust chamber, and a connection passage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chamber housing flows toward the dust collection motor.
Vacuum cleaner s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챔버는,
서로 상이한 형태의 먼지 분리 수단을 포함하는 제1 먼지 챔버와 제2 먼지 챔버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것인,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ust chamber is,
Selected by the user among a first dust chamber and a second dust chamber including dust separation means of different types,
Vacuum cleaner sta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먼지 챔버는,
상기 먼지 분리 수단으로서 공기는 통과하되 먼지는 통과하지 못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먼지 봉투(dust bag)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use 10,
The first dust chamber is,
As the dust separation means, a dust bag made of a material that allows air to pass through but does not allow dust to pass through is detachably coupled,
Vacuum cleaner sta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먼지 챔버는,
상기 먼지 분리 수단으로서 공기의 이동경로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을 이용하여 먼지를 분리하는 메쉬망(mesh net)을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use 10,
The second dust chamber is,
The dust separation means includes a mesh net that separates dust using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air movement path,
Vacuum cleaner sta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먼지 챔버는,
상기 먼지 분리 수단으로서 싸이클론 유동을 이용하여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cyclone)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use 10,
The second dust chamber is,
As the dust separation means, it includes a cyclone unit that separates dust using a cyclonic flow,
Vacuum cleaner station.
KR1020220030758A 2022-03-11 2022-03-11 Station for cleaner KR20230133586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758A KR20230133586A (en) 2022-03-11 2022-03-11 Station for cleaner
PCT/KR2023/002667 WO2023171956A1 (en) 2022-03-11 2023-02-24 Vacuum cleaner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758A KR20230133586A (en) 2022-03-11 2022-03-11 Station for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3586A true KR20230133586A (en) 2023-09-19

Family

ID=87935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758A KR20230133586A (en) 2022-03-11 2022-03-11 Station for clean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3586A (en)
WO (1) WO2023171956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001A (en) 2018-12-14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584B1 (en) * 2011-09-01 2019-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system and maintenance station thereof
US11497363B2 (en) * 2018-07-20 2022-11-15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debris removal docking station
KR102161708B1 (en) * 2020-01-09 202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Station
KR20210130655A (en) * 2020-04-22 2021-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Station for Clea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001A (en) 2018-12-14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71956A1 (en)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2931B1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1248722B1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20230121703A (en)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US20160367094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101250154B1 (en) Vacuum Cleaner
US20080104793A1 (en) Hand-held vacuum cleaner
AU2014223326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20230148812A1 (en) Station and dust removal system including the same
AU2021257363B2 (en) Station and dust removal system including same
KR20230133586A (en) Station for cleaner
TWI809524B (en) Station for cleaner
TW202222240A (en) Cleaner system
KR102406189B1 (en) Cleaner system
KR102527189B1 (en)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including same, and residual dust removal method using the cleaner system
KR20230165439A (en) Cleaner station
KR20230149140A (en) Cleaner station
KR101250103B1 (en) Cleaner
CN117794431A (en) Dust collecting device, dust collector and dust collector base station
KR20240044962A (en) Cleaner station
KR20230119785A (en) Cleaner station
KR20240006957A (en) Cleaner st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U2022321358A1 (en) Dust collecting device, cleaner, and cleaner station
KR20230022556A (en) Cleaner Station
KR20230133658A (en) Cleaner station
KR20230133656A (en) Cleaner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