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189B1 -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including same, and residual dust removal method using the cleaner system - Google Patents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including same, and residual dust removal method using the clean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189B1
KR102527189B1 KR1020220094149A KR20220094149A KR102527189B1 KR 102527189 B1 KR102527189 B1 KR 102527189B1 KR 1020220094149 A KR1020220094149 A KR 1020220094149A KR 20220094149 A KR20220094149 A KR 20220094149A KR 102527189 B1 KR102527189 B1 KR 102527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leaner
coupled
station
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1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10709A (en
Inventor
장대호
양인규
이동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4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189B1/en
Publication of KR20220110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07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1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95Suction cleaners or attachments adapted to collect dust or waste from power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Abstract

청소기에 저장되는 먼지를 내부로 흡입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과, 청소기 시스템을 이용한 잔여 먼지 제거 방법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기 스테이션 내부의 푸쉬 돌기 부근에 퇴적되는 잔여 먼지를 제1 유로 외부와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2 유로를 통해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고, 청소기의 먼지통 외부의 결합 레버 안쪽에 퇴적되는 잔여 먼지를 청소기의 결합 레버에 형성된 먼지 배출 홈을 통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Disclosed are a cleaner station that sucks dust stored in a cleaner, a cleaner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removing residual dust using the clean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idual dust accumulated near the push protrusion inside the cleaner station can be effectively sucked through the second passag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first passage, and the dust is deposited on the inside of the coupling lever outside the dust bin of the cleaner. Residual dust can be effectively removed through the dust discharge groove formed in the coupling lever of the vacuum cleaner.

Description

청소기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과, 청소기 시스템을 이용한 잔여 먼지 제거 방법{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including same, and residual dust removal method using the cleaner system}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including same, and residual dust removal method using the cleaner system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including same, and residual dust removal method using the cleaner system}

본 발명은, 청소기에 저장되는 먼지를 내부로 흡입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과, 청소기 시스템을 이용한 잔여 먼지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청소기 스테이션이 청소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모두 흡입하여 먼지통의 배출커버가 닫힌 후에 청소기 스테이션의 내부에 퇴적되는 잔여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청소기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아울러 상기 청소기 시스템을 이용한 잔여 먼지 제거 방법을 개시하는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station that sucks dust stored in a cleaner into the inside, a cleaner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removing residual dust using the cleaner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er station that removes dust inside a dust bin of the clea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station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removing residual dust deposited inside the cleaner station after the discharge cover of a dust bin is closed by sucking in all of the dust, and a cleaner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of removing residual dust using the cleaner system. It is an invention that discloses.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에 의해,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 청소기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BACKGROUND ART 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home appliance that sucks up small garbage or dust and fills a dust bin in a product by a method of sucking air using electricity, and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vacuum cleaner.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및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Such cleaners may be classified into manual cleaners for cleaning while a user directly moves the cleaner, and automatic cleaners for performing cleaning while driving by itself. Manual cleaners may be classified into canister-type cleaners, upright cleaners, handheld cleaners, and stick-type cleaner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leaner.

가정용 청소기에서는 과거 캐니스터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먼지통과 청소기 본체를 일체로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In household cleaners, canister-type vacuum cleaners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past, but recently, handheld vacuum cleaners and stick vacuum cleaners, which provide convenience in use by integrally providing a dust bin and a cleaner body, have been widely used.

캐니스티형 청소기는 본체와 흡입구가 고무호스나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흡입구에 솔을 끼어서 사용 가능하다.The main body of the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is connected to the intake by a rubber hose or pipe, and in some cases, a brush can be inserted into the intake.

핸디형 청소기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앉아서 청소 영역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안과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A handheld vacuum cleaner maximizes portability, and is light in weight, but has a short length, so a sitting area may be limited. Thus, it is used to clean localized areas, such as on a desk or sofa, or in a car.

스틱 청소기는 서서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넓은 영역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데 유리하다. 핸디형 청소기가 좁은 공간의 청소를 한다면, 스틱형은 그보다는 넓은 공간 청소를 할 수 있고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의 청소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틱 청소기를 모듈 타입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대상에 능동적으로 청소기 타입을 변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The stick vacuum cleaner can be used standing up, so you can clean without bending your back.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to clean while moving a large area. If the handheld vacuum cleaner cleans a narrow space, the stick type cleaner can clean a wider space and can clean high places that are out of reach. Recently, a stick cleaner is provided in a module type, and the cleaner type is actively changed and used for various objects.

그러나, 스틱 청소기는 집진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의 용량이 작아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in the stick vacuum cleaner, the capacity of the dust bin for storing the collected dust is small, and the user has to empty the dust bin every time, which is inconvenient.

선행특허문헌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4001호에는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As a prior patent documen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74001 discloses a cleaning device including a vacuum cleaner and a docking station.

상기 선행특허문헌은,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통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와 상기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집진통과 연결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집진통이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는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된 상기 집진통 내의 이물질과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rior patent document includes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dust collection container in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and a docking station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provided to be docked to the docking station, The docking sta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ction device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and internal air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docked at the docking station.

또한, 상기 선행특허문헌은, 도킹 스테이션 내부에서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rior patent docu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docking station.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문헌은, 흡입장치(흡입 팬)의 흡입이 종료된 후, 흡입과정 동안에 집진통 주변에 달라붙을 수 있는 이물질은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above prior patent document has a problem in that, after the suction of the suction device (suction fan) is finished, foreign substances that may stick around the dust collector during the suction process cannot be removed.

따라서, 이물질의 흡입과정이 종료된 후에 사용자가 다시 진공 청소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집진통 주변에 달라붙은 채로 노출되어 있는 이물질(이하, 잔여 먼지)을 사용자가 손으로 만지게 될 수 밖에 없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잔여 먼지를 직접 물티슈 등을 이용하여 제거해야 하는 불편을 겪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uses the vacuum cleaner again after the suctioning of the foreign matter is completed, the user has no choice but to touch the foreign matter (hereinafter, residual dust) exposed around the dust collector with his hand, and the user It is inconvenient to have to remove residual dust directly using a wet tissue or the like.

또한, 이러한 이물질이 도킹 스테이션 내부에 퇴적된 경우에는 도킹 스테이션의 내부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such foreign substances are deposited inside the docking st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ide of the docking station is contaminated.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400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74001

본 발명은, 청소기 스테이션의 먼지 흡입 과정에서, 청소기의 먼지통 외측 또는 청소기 스테이션의 내측에 퇴적되는 잔여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station configured to effectively remove residual dust accumulated on the outside of a dust bin or inside the cleaner station during the dust suction process of the cleaner sta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청소기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잔여 먼지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effectively removing residual dust using a cleaner system including the cleaner and the cleaner station.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청소기와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청소기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배치되고,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의 배출 커버를 개방시키는 커버 개방 유닛;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제1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개방 유닛은, 상기 청소기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배출 커버를 개방하도록 상기 배출 커버의 결합 레버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장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푸쉬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로에는, 상기 푸쉬 돌기가 상기 결합 레버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푸쉬 돌기와 마주보는 위치에 장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로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제2 유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coupled to a cleaner; a coupling part formed in a shape in which on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is rec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cleaner is coupled; a cover opening unit disposed in the coupling part and opening the discharge cover of the dust bin of the vacuum cleaner; a dust collection motor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and generating a suction force to suck dust inside the dust bin of the cleaner; and a first flow path disposed inside the hous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wherein the cover opening unit opens the discharge cover when the vacuum cleaner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and a push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 a long axis direction of the housing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lever of the discharge cover so as to face the push protrus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ush protrusion presses the coupling lever in the first passage.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at the location,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flow path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irst flow path is provided.

또한, 상기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배출 커버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상기 제1 유로와 연통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암을 포함하는 도어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집진 모터는, 상기 도어 유닛에 의해 상기 도어가 폐쇄된 이후 상기 먼지통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의 기 정해진 시간동안 구동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door hinged to the coupling part and ope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cover is opened to communicate the outside of the housing with the first flow path, and a door arm coupled to the door and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The dust collection motor may generate a suction force by driving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bin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after the door is closed by the door unit. there is.

이때, 상기 커버 개방 유닛은, 상기 푸쉬 돌기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푸쉬 돌기와 함께 직선 왕복운동하는 돌기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ver open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support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push protrusion and linearly reciprocating along with the push protrusion.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먼지통의 형상에 대응하며 상기 먼지통의 하부 외주면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되며 상기 돌기 지지대의 하부면이 배치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되는 평탄면을 포함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ust container and provided to support a portion of a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including a flat surface on which a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support is disposed so as to linearly reciprocate.

여기서, 상기 돌기 지지대가 직선 왕복운동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돌기 지지대의 상기 제2 방향의 크기는, 상기 평탄면의 상기 제2 방향의 크기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Here,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supporter rectilinearly reciprocates is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second direction, the size of the protrusion supporter in the second direction is the size of the flat surface It may be provid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direction.

또한, 상기 돌기 지지대의 이동 축은 상기 평탄면의 상기 제2 방향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Also, a moving axis of the protrusion support may be disposed at a center of the flat surface in the second direc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은, 청소기와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청소기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며 상기 청소기가 결합될 때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먼지 통과 홀을 포함하는 결합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어 상기 먼지 통과 홀과 연통되는 제1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로 상에는 상기 제1 유로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장홀 형태로 형성된 제2 유로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먼지 통과 홀의 관통된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coupled to a cleaner; a combination including a dust passage hole formed in a shape in which on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is rec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coupled to at least a part of the cleaner, and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a dust bin of the cleaner when the cleaner is coupled; wealth; a dust collecting motor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and generating a suction force for sucking dust inside the dust bin; and a first flow path disposed vertically inside the housing,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and communicates with the dust passage hole, wherein the first flow path provides an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first flow path. A second flow path formed in the form of a penetrating long hole is provided, and the second flow path is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dust passage hole.

또한, 상기 결합부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의 배출 커버를 개방시키는 커버 개방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개방 유닛은, 상기 청소기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배출 커버를 개방하도록 상기 배출 커버의 결합 레버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장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푸쉬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푸쉬 돌기가 상기 결합 레버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푸쉬 돌기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opening unit disposed in the coupling portion and opening the discharge cover of the dust bin, wherein the cover opening unit opens the discharge cover when the vacuum cleaner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and a push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 a long axis direction of the housing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lever, and the second flow path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push protrus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ush protrusion presses the coupling lever. can

또한, 상기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배출 커버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상기 제1 유로와 연통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암을 포함하는 도어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집진 모터는, 상기 도어 유닛에 의해 상기 도어가 상기 먼지 통과 홀을 폐쇄한 이후, 소정의 기 정해진 시간동안 구동하여 상기 제2 유로에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door hinged to the coupling part and ope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cover is opened to communicate the outside of the housing with the first flow path, and a door arm coupled to the door and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The dust collection motor may generate a suction force in the second passage by driving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door closes the dust passage hole by the door unit. .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은,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통을 포함하는 청소기와, 상기 먼지통에서 배출되는 먼지를 제거하도록 상기 청소기와 결합되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으로서, 상기 먼지통은, 원통 형상이며 일측이 개방된 먼지통 바디; 상기 먼지통 바디의 개방된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먼지통 바디에 후크 결합되는 결합 후크를 포함하는 배출 커버; 및 상기 먼지통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배출 커버와 상기 먼지통 바디의 상기 후크 결합을 해제하도록 상기 먼지통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먼지통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결합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레버는, 상기 먼지통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레버 바디; 및 상기 레버 바디와 연결되며 상기 결합 레버의 이동 방향에 대해 상측으로 소정의 각도가 기울어져 연장 형성되는 레버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경사부에는, 상기 레버 경사부의 일측 단부에 상기 레버 바디를 향해 패인 먼지 배출 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clea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leaner system including a cleaner including a dust bin to collect dust, and a cleaner station coupled to the cleaner to remove dust discharged from the dust bin, wherein the dust bin comprises: , A dust container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having one side open; a discharge cover rotatably coupled to one open side of the dust container body and including an engaging hook hooked to the dust container body; and a coupling lever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body and moving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st container body to release the coupling of the hook between the discharge cover and the dust container body, wherein the coupling lever comprises: a lever body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st box body; and a lever inclined portion connected to the lever body and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coupling lever, wherein the lever inclined portion includes the lever body at one end of the lever inclined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dust discharge groove recessed toward is provided.

이때,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청소기와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청소기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청소기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배출 커버를 개방하도록 상기 결합 레버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장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푸쉬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로에는, 상기 푸쉬 돌기가 상기 결합 레버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푸쉬 돌기와 마주보는 위치에 장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로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제2 유로가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leaner station may include a housing coupled to the cleaner; a coupling part formed in a shape in which on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is rec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cleaner is coupled; a first flow path disposed vertically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and a push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 a long axis direction of the housing at a position facing the coupling lever to open the discharge cover when the cleaner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wherein the push protrusion is formed in the first passage. A second passage may be provided in a long hole shape at a position facing the push protrus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lever is pressed, and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irst passage.

이때, 상기 제1 유로가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일측 단부의 관통된 단면적이 상기 제2 유로의 관통된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In this case, the through sectional area of one end of the first passage connected to the coupler may be greater than the through sectional area of the second passage.

또한,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 및 상기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배출 커버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를 상기 제1 유로와 연통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암을 포함하는 도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 모터는, 상기 도어 유닛에 의해 상기 도어가 폐쇄된 이후 상기 먼지통이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의 기 정해진 시간동안 구동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may include a dust collection motor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and generating a suction force for sucking dust inside the dust bin of the cleaner; And a door hinged to the coupling part and ope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cover is opened to communicate the outside of the housing with the first flow path, and a door arm coupled to the door and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The do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door unit, and the dust collection motor may generate suction force by driving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bin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after the door is closed by the door unit.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을 이용한 잔여 먼지 제거 방법은,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통을 포함하는 청소기와, 상기 먼지통에서 배출되는 먼지를 제거하도록 상기 청소기와 결합되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을 이용한 잔여 먼지 제거 방법으로서,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하도록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마련된 도어가 개방되는 도어 개방 단계; 상기 먼지통을 개폐하는 배출 커버가 개방되는 배출 커버 개방 단계; 상기 먼지통의 내부의 먼지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의 내부에 수용된 집진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의 내부로 흡입되는 집진 단계; 상기 배출 커버와 함께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도어 폐쇄 단계; 및 상기 도어 폐쇄 단계 이후, 상기 먼지통의 주변에 존재하는 잔여 먼지를 제거하는 잔여 먼지 제거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잔여 먼지 제거 단계는,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 모터가 소정의 기 정해진 시간동안 재구동하여, 상기 잔여 먼지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의 내부로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for removing residual dust using a clea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system including a cleaner including a dust bin for collecting dust, and a cleaner station coupled to the cleaner to remove dust discharged from the dust bin. A method for removing residual dust using a door opening step of opening a door provided in the cleaner station so that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cleaner statio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discharge cover opening step of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cover that opens and closes the dust bin; a dust collecting step in which dust inside the dust bin is sucked into the cleaner station by driving a dust collecting motor accommodated inside the cleaner station; a door closing step of closing the door together with the discharge cover; and a residual dust removing step of removing remaining dust existing around the dust bin after the door closing step, wherein the remaining dust removing step is carried out by the dust collecting motor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er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aining dust is sucked into the cleaner station by re-driving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이때,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청소기와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청소기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청소기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배출 커버를 개방하도록 상기 배출 커버의 결합 레버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장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푸쉬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로에는, 상기 푸쉬 돌기가 상기 결합 레버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푸쉬 돌기와 마주보는 위치에 장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로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제2 유로가 마련되고, 상기 잔여 먼지 제거 단계는, 상기 집진 모터가 재구동하는 동안 상기 제2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유로 내부로 상기 잔여 먼지가 흡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leaner station may include a housing coupled to the cleaner; a coupling part formed in a shape in which on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is rec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cleaner is coupled; a first flow path disposed vertically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and a push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 a long axis direction of the housing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lever of the discharge cover to open the discharge cover when the cleaner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wherein the first passage includes the A push protrusion is formed in a long hole shape at a position facing the push protrus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oupling lever is pressed, and a second flow path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irst flow path is provided, and the residual dust removal step comprises the While the dust collecting motor is re-driving, the remaining dust may be sucked into the first passage through the second passage.

또한, 상기 배출 커버는, 상기 먼지통에 포함된 원통형의 먼지통 바디에 후크 결합되고, 상기 결합 레버는, 상기 먼지통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레버 바디; 및 상기 레버 바디와 연결되며 상기 결합 레버의 이동 방향에 대해 상측으로 소정의 각도가 기울어져 연장 형성되는 레버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 경사부에는, 상기 레버 경사부의 일측 단부에 상기 레버 바디를 향해 패인 먼지 배출 홈이 마련되고, 상기 잔여 먼지 제거 단계는, 상기 집진 모터가 재구동하는 동안 상기 먼지 배출 홈과 상기 제2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유로 내부로 상기 잔여 먼지가 흡입될 수 있다.The discharge cover may be hook-coupled to a cylindrical dust container body included in the dust container, and the coupling lever may include a lever body extend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st container body; and a lever inclina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lever body and extending at an angle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upling lever, wherein the lever inclination portion includes the lever body at one end of the lever inclination portion. A dust discharge groove is provided, and in the residual dust removal step, the remaining dust may be sucked into the first passage through the dust discharge groove and the second passage while the dust collecting motor is re-driving. .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기 스테이션 내부의 푸쉬 돌기 부근에 퇴적되는 잔여 먼지를 제1 유로 외부와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2 유로를 통해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idual dust accumulated near the push protrusion inside the cleaner station can be effectively sucked through the second passag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first pass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기의 먼지통 외부의 결합 레버 안쪽에 퇴적되는 잔여 먼지를 청소기의 결합 레버에 형성된 먼지 배출 홈을 통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idual dust accumulated inside the coupling lever outside the dust bin of the cleaner can be effectively removed through the dust discharge groove formed in the coupling lever of the clean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먼지통 내부의 먼지에 대한 흡입이 종료되고 배출 커버가 닫힌 후에 일정 시간동안 집진 모터를 재구동하는 잔여 먼지 제거 단계를 통해, 잔여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상기 제2 유로와 상기 먼지 배출 홈으로 집중시킬 수 있으므로 잔여 먼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residual dust removal step of re-driving the dust collection motor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suction of the dust inside the dust bin is finished and the discharge cover is closed, the suction force for sucking the remaining dust is applied to the second passage and the second flow path. Since it can be concentrated into the dust discharge groove, residual dust can be removed more effective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과 청소기를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청소기가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되는 형상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측면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청소기의 먼지통 개폐구조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청소기 스테이션의 커버 개방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청소기 스테이션의 도어 유닛의 확대도이다.
도 6은 결합부와 제1 유로의 단면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결합부를 상부에서 내려다 본 도면이다.
도 8은 결합부에 청소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청소기의 결합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결합 레버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결합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결합 레버의 레버 경사부가 형성된 방향과 푸쉬 돌기의 이동 방향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결합 레버의 먼지 제거 홈과 제2 유로를 통한 잔여 먼지의 흡입경로의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청소기 시스템을 이용한 잔여 먼지 제거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eaner system including a cleaner station and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llustrating a shape in which a cleaner is coupled to a cleaner station and an inside side of the cleaner sta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a dust box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 vacuum cleaner.
4 is an enlarged view of a cover opening unit of the cleaner sta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door unit of the cleaner station.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ross section of a coupling part and a first flow path.
7 is a view looking down on the coupling part from the top.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leaner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lever of the cleaner.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lever of FIG. 9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 11 is a side view of the engagement lever of Fig. 9;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direction in which a lever inclined portion of a coupling lever is formed and a moving direction of a push protrusion.
1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uction path of remaining dust through a dust removal groove of the coupling lever and a second flow path.
1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removing residual dust using a vacuum clean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 "and/or" may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can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may not be.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and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과 청소기(2)를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100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청소기(2)가 청소기 스테이션(1)에 결합되는 형상 및 청소기 스테이션(1)의 측면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청소기(2)의 먼지통(2600) 개폐구조의 확대도이고, 도 4는 청소기 스테이션(1)의 커버 개방 유닛(500)의 확대도이고, 도 5는 청소기 스테이션(1)의 도어 유닛(600)의 확대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eaner system 1000 including a cleaner station 1 and a cleaner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hape in which the cleaner 2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dust bin 2600 of the cleaner station 1, and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cover opening unit 500 of the cleaner station 1.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door unit 600 of the cleaner station 1.

도 1을 참고하면, 청소기 시스템(1000)은 청소기 스테이션(1)과, 청소기(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cleaner system 1000 may include a cleaner station 1 and a cleaner 2 .

청소기 스테이션(1)은 청소기(2)의 먼지통(2600)에서 배출되는 먼지를 제거하도록 청소기(2)와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청소기(2)는 청소기 스테이션(1)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청소기 스테이션(1)의 전방에는 청소기(2)의 청소기 본체(2000)가 결합될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1 is coupled to the cleaner 2 to remove dust discharged from the dust bin 2600 of the cleaner 2, and the cleaner 2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cleaner station 1. More specifically, the cleaner body 2000 of the cleaner 2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cleaner station 1 .

이때, 청소기 스테이션(1)에서 전방이란, 청소기(2)의 본체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일 측면이 하우징(100)의 내부를 향해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부(110)가 향한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아울러, 결합부(110)를 기준으로 하우징(100)의 반대쪽 면이 향하는 방향은 후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t this time, in the cleaner station 1, the front means the coupling part 110 formed in a shape in which on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100 is depr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so that the main body of the cleaner 2 can be coupled thereto. direction can be defined.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he opposite side of the housing 100 relative to the coupling part 110 may be defined as rear.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100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에 결합되는 청소기(2)의, 청소기 본체(2000) 구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leaner body 2000 of the cleaner 2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2를 참고하면, 청소기 본체(2000)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하는 흡입부(2100), 흡입부(2100)와 연통되며 흡입부(2100)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부(2200),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2300),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핸들(2400) 및 내부에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하우징(25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cleaner body 200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part 2100 provid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can flow, and is suck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suction part 2100. It may include a dust separator 2200 for separating dust, a suction motor 2300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for sucking air, a handle 2400 gripped by a user, and a battery housing 2500 for accommodating a battery therein. can

또한, 청소기 본체(2000)는 먼지통(2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ner body 2000 may further include a dust container 2600 .

여기서, 먼지통(2600)은 먼지 분리부(2200)와 연통될 수 있고 먼지 분리부(2200)로부터 분리된 먼지를 포집할 수 있다. 먼지 분리부(2200)는 싸이클론 집진 방식에 의해 먼지를 분리하는 구성일 수 있다.Here, the dust container 2600 may communicate with the dust separation unit 2200 and collect dust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2200 . The dust separator 2200 may be configured to separate dust by a cyclone dust collection method.

도 3을 참고하면, 먼지통(2600)은 먼지통 바디(2610), 배출 커버(2620) 및 결합 레버(26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a dust bin 2600 may include a dust bin body 2610, an exhaust cover 2620, and a coupling lever 2630.

먼지통 바디(2610)는 원통 형상을 이루며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흡입부(210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먼지통 바디(2610)에 수용된 먼지 분리부(2200)를 통과하는데 이때, 먼지는 먼지통 바디(2610)의 내부에 포집되고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흡입 모터(2300)측으로 유동하여 청소기(2) 외부로 배출된다. 먼지통 바디(2610)에는 결합 레버(2630)의 사이에 두고 양쪽에서 먼지통 바디(2610)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바디턱(2650)이 마련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body 261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have one side ope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unit 2100 passes through the dust separation unit 2200 accommodated in the dust box body 2610. At this time, the dust is collected inside the dust box body 2610, and the air from which the dust is separated passes through the suction motor ( 230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2. Body jaws 2650 may be provided on the dust container body 2610 in a form in which the dust container body 261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both sides of the coupling lever 2630 between them.

배출 커버(2620)는, 먼지통 바디(2610)의 개방된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출 커버(2620)는 먼지통 바디(2610)의 개방된 일측에서 먼지통 힌지(2640)를 매개체로 하여 먼지통 바디(26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먼지통 힌지(2640)는 배터리 하우징(2500)과 가까운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 커버(2620)는 먼지통 힌지(2640)를 축으로 하여 먼지통 바디(261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회동할 수 있다. The discharge cover 262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one open side of the dust container body 2610 . More specifically, the discharge cover 2620 may be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body 2610 via the dust container hinge 2640 at one open side of the dust container body 2610. In this case, the dust container hinge 264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close to the battery housing 2500 . The discharge cover 2620 may rotate to open or close the dust container body 2610 with the dust container hinge 2640 as an axis.

또한, 배출 커버(2620)는, 흡입부(2100)와 가까운 일측에 먼지통 바디(2610)와 후크 결합되는 결합 후크(266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후크(2660)와 먼지통 힌지(2640)는 서로 반대쪽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cover 2620 may include a coupling hook 2660 that is hook-coupled with the dust box body 2610 at one side close to the inlet 2100 . The coupling hook 2660 and the dust bin hinge 2640 may b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결합 레버(2630)는, 배출 커버(2620)와 먼지통 바디(2610)의 상기 후크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 먼지통 바디(2610)의 길이 방향으로 먼지통 바디(261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결합 레버(2630)는 청소기(2)가 청소기 스테이션(1)에 결합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방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레버(2630)에 외력이 가해져 결합 레버(2630)가 먼지통 바디(2610)의 길이 방향(후크 결합을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배출 커버(2620)에서 연장된 형태로 구비된 결합 후크(2660)가 탄성 변형되면서 배출 커버(2620)와 먼지통 바디(2610)의 후크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The coupling lever 2630 may be provided to mov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body 26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st container body 2610 to release the hook engagement between the discharge cover 2620 and the dust container body 2610. . The coupling lever 2630 may be disposed downward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cleaner 2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 .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upling lever 2630 and the coupling lever 263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st box body 2610 (the direction of releasing the hook coupling), the coupling hook provided in an extended form from the discharge cover 2620 ( As the 2660 is elastically deformed, the hook connection between the discharge cover 2620 and the dust box body 2610 may be releas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 레버(2630)는 청소기 스테이션(1)의 먼지 흡입 과정 중 결합 레버(2630)의 안쪽에 유입된 잔여 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여기서, 결합 레버(2630)의 안쪽이란 결합 레버(2630)와 먼지통 바디(2610) 사이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lever 2630 may be provided to have a shape to efficiently remove residual dust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lever 2630 during the dust suction process of the cleaner station 1. ,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Here, the inside of the coupling lever 2630 may mean a space between the coupling lever 2630 and the dust box body 2610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leaner station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를 참고하면, 청소기 스테이션(1)은, 하우징(100), 집진 모터(200) 및 먼지 저장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cleaner station 1 may include a housing 100, a dust collecting motor 200, and a dust storage module 300.

하우징(100)은 청소기(2)가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청소기 스테이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벽면을 포함하는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00)은 사각 기둥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00 is a component to which the cleaner 2 is coupled, and may form the appearance of the cleaner station 1 . Specifically,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in a pillar shape including at least one outer wall surface. For example,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square pillar.

하우징(1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술한 집진 모터(200), 먼지 저장 모듈(300) 등을 수용할 수 있다.A space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100 to accommodate the above-described dust collecting motor 200 and the dust storage module 300.

하우징(100)은 지면지지부(100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면지지부(100e)는 지면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지면지지부(100e)의 지면과 맞닿는 저면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 지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된 집진 모터(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청소기(2)가 결합된 경우에도 전체적인 무게의 균형을 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ground support 100e. At this time, the ground support 100e may be disposed toward the ground.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und support 100e contacting the ground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ground or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ground. With this configuration, the dust collecting motor 200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100 can be stably supported, and even when the cleaner 2 is coupled, the overall weight can be balanced.

또한, 지면지지부(100e)는 청소기 스테이션(1)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균형을 유지하며 지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우징(100)의 바닥면에서 연장 형성된 판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ground support 100e may have a plate shape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0 to prevent the cleaner station 1 from falling down, maintain balance, and increase an area in contact with the ground.

한편, 하우징(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외벽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00)은 결합부(110)가 형성되는 제1 외벽면(100a)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외벽면(100a)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2 외벽면(100b), 제3 외벽면(100c) 및 제4 외벽면(100d)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uter wall surface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first outer wall surface 100a on which the coupling part 110 is formed, and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00a is sequentially arrang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ile looking at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00a. 2 outer wall surfaces 100b, a third outer wall surface 100c, and a fourth outer wall surface 100d may be further included.

제1 외벽면(100a)에 형성된 결합부(110)는, 하우징(100)의 일 측면이 하우징(100)의 내부를 향해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부(110)는, 청소기 본체(2000)의 먼지통(2600)이 배치되는 방향의 일 부분 형상에 대응하도록 제1 외벽면(100a)이 함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청소기 본체(2000)의 일 부분이 청소기 스테이션(1)에 결합될 수 있고, 청소기 스테이션(1)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The coupling part 110 formed on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00a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one side of the housing 100 is depr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 More specifically, the coupling part 110 may be provided with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00a recessed to correspond to a partial shape of the cleaner body 200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ust container 2600 is disposed. With this configuration, a portion of the cleaner body 2000 can be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 and supported by the cleaner station 1 .

한편, 하우징(100)은 내부에 수용되는 부품 중 일부(예를 들어, 먼지 저장 모듈(300))가 노출되도록 개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housing 100 may be openable so that some of the parts accommodated therein (eg, the dust storage module 300) are exposed.

집진 모터(2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고 먼지 저장 모듈(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집진 모터(200)는 후술할 제1 유로(700)에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 모터(200)는 청소기(2)의 먼지통 바디(2610) 내부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도 2 참고)The dust collecting motor 20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disposed below the dust storage module 300 . The dust collecting motor 200 may generate a suction force in the first flow path 70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is,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can suck in dust inside the dust box body 2610 of the cleaner 2 (see FIG. 2).

다음으로, 먼지 저장 모듈(3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며, 집진 모터(200)에 의해 청소기(2)의 먼지통(2600) 내부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를 수집하는 구성이다. 먼지 저장 모듈(300)은 하우징(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Next, the dust storage module 3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collects dust sucked from the inside of the dust bin 2600 of the cleaner 2 by the dust collecting motor 200 . The dust storage module 30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100 .

따라서, 하우징(100)이 개방되면, 먼지 저장 모듈(300)은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되어 폐기될 수 있고, 새로운 먼지 저장 모듈(300)이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먼지 저장 모듈(300)은 소모성 부품으로 정의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housing 100 is opened, the dust storage module 300 can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0 and discarded, and a new dust storage module 300 can be coupled to the housing 100 . That is, the dust storage module 300 may be defined as a consumable part.

먼지 저장 모듈(300)은 먼지 봉투(31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 봉투(310)는 집진 모터(200)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면 부피가 늘어나면서 먼지가 내부로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지 봉투(310)는, 공기는 투과되지만 먼지와 같은 이물질은 투과되지 않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 봉투(310)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부피가 늘어났을 때를 기준으로 육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dust storage module 300 may include a dust bag 310 . The dust bag 310 may increase in volume when suct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and accommodate dust therein. To this end, the dust bag 31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transmits air but does not transmi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or example, the dust bag 310 may be made of a non-woven fabric material and may have a hexahedral shape based on when the volume is increased.

집진 모터(200)의 흡입력에 의해 기류가 형성되면, 청소기(2)의 먼지통(2600) 내부에서부터 유동하는,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제1 유로(710)를 통해 먼지 봉투(310)로 이동하며, 먼지 봉투(310)에 이물질만을 남기고 먼지 봉투(310)를 빠져나가게 된다.When an airflow is form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200, the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flowing from the inside of the dust bin 2600 of the cleaner 2 moves to the dust bag 310 through the first flow path 710. and exits the dust bag 310 leaving only foreign substances in the dust bag 310.

또한, 먼지 저장 모듈(3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며, 먼지 봉투(310)가 결합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먼지 저장 하우징(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고)In addition, the dust storage module 300 may further include a dust storage housing 320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having an inner space to which the dust bag 310 is coupled (see FIG. 2 ).

이하에서는 청소기(2)가 결합되는 결합부(110)에 대해서 도 5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upling part 110 to which the cleaner 2 is coupl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도 6은 결합부(110)와 제1 유로(700)의 단면을 확대한 사시도이다.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ross section of the coupling part 110 and the first flow path 700 .

먼저 도 6을 참고하면, 결합부(110)는 제1 결합부(111) 및 제2 결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부(111)는, 먼지통(2600)의 형상에 대응하며 먼지통(2600)의 하부 외주면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결합부(112)는, 상기 제1 결합부(111)와 결합되며 후술할 커버 개방 유닛(500)에 포함된 돌기 지지대(512)의 하부면이 배치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구비되는 평탄면(112a)을 포함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 6 , the coupling part 110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art 111 and a second coupling part 112 . In this case, the first coupling part 111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dust container 2600 and may be provided to support a part of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2600 .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111 and is a flat surface provided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support 512 included in the cover opening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so as to linearly reciprocate. (112a).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부(112)는 제1 결합부(1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형태로 마련되어 푸쉬 돌기(511)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1 외벽면(100a)을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제2 결합부(112)의 좌측과 우측에 제1 결합부(111)가 배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2 may be provided in a form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push protrusion 511 can be accommodated. At this tim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may b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2 based on the state viewed from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00a.

제1 결합부(111)는 곡면부(111a)와 돌출턱(111b)을 포함할 수 있다. 곡면부(111a)는 먼지통 바디(2610)의 원통형 형상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져 먼지통 바디(261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턱(111b)은 곡면부(111a)와 결합되고 곡면부(111a)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형태이며 먼지통 바디(2610)의 바디턱(2650)을 지지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먼지통(2600)이 결합부(110)에 안착되었을 때, 먼지통 바디(2610)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may include a curved portion 111a and a protruding jaw 111b. The curved portion 111a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dust container body 2610 and may support the dust container body 2610. In addition, the protruding jaw 111b is combined with the curved portion 111a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curved portion 111a extends upward and protrudes,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body jaw 2650 of the dust box body 2610, so that the dust container ( When the 2600 is seated on the coupling part 110, it may serve to fix the dust box body 2610 so that it does not shake.

이때, 곡면부(111a)와 돌출턱(111b)은 제1 외벽면(100a)을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제2 결합부(112)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urved portion 111a and the protruding jaw 111b may be provided in a symmetrical form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2, respectively, based on a state viewed from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00a.

제2 결합부(112)는 제1 결합부(11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벽(11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직벽(112b)은 제1 외벽면(100a)을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평탄면(112a)의 좌측과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결합부(112)는 제1 결합부(11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벽(112b)과 평탄면(112a)으로 이루어져, 푸쉬 돌기(511)가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2 결합부(112)의 평탄면(112a) 상에는, 후술할 돌기 목(513)이 배치되기 위한 돌기 목 삽입 홀(112aa)이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2 may further include a vertical wall 112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 The vertical walls 112b may b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at surface 112a based on a state viewed from the first outer wall surface 100a. That i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2 is composed of a vertical wall 112b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1 and a flat surface 112a, so that the push protrusion 511 can rectilinearly reciprocate. space can be created. Meanwhile, on the flat surface 112a of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a protrusion neck insertion hole 112aa for disposing a protrusion neck 513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한편, 결합부(110)는 제3 결합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upling part 11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upling part 113 .

도 5를 참고하면, 제3 결합부(113)는 청소기(2)가 청소기 스테이션(1)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배출 커버(2620)와 마주보게 배치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3 결합부(113)는 청소기(2)의 충전을 위해 배터리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충전부(미도시)와, 충전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먼지통(2600)의 내부와 청소기 스테이션(1)의 제1 유로(710)를 연통하기 위해 마련된 먼지 통과 홀(113a)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 통과 홀(113a)의 상부로는 도어 힌지(605)가 제3 결합부(113)에 결합될 수 있다. 먼지 통과 홀(113a)에는 먼지 통과 홀(113a)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도어 힌지(605)와 결합된 도어(610)가 배치될 수 있다. 먼지 통과 홀(113a)은 청소기(2)가 결합부(110)에 결합될 때 청소기(10)의 먼지통(2600)의 저면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먼지통(2600)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홀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먼지 통과 홀(113a)은 먼지통(2600)의 먼지를 청소기 스테이션(1)의 내부 유로로 흡입하는 메인 홀의 역할을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third coupling part 113 may be defined as an area disposed to face the discharge cover 2620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cleaner 2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 . The third coupling part 113 is disposed below the charging unit (not shown) to which the battery is electrically coupled to charge the cleaner 2 and the inside of the dust bin 2600 and the first part of the vacuum cleaner station 1. A dust passage hole 113a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 710 may be included. A door hinge 605 may be coupled to the third coupling part 113 at an upper portion of the dust passage hole 113a. A door 610 coupled with the door hinge 605 may be disposed in the dust passage hole 113a to open or close the dust passage hole 113a. The dust passage hole 113a is formed with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dust bin 2600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ust bin 2600 of the cleaner 10 when the cleaner 2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10. It can be a hall that becomes. Through this, the dust passage hole 113a may serve as a main hole for sucking dust from the dust bin 2600 into the inner flow path of the cleaner station 1 .

다음으로, 도 2를 다시 참고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과 청소기(2) 결합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2 again, a combination of the cleaner station 1 and the cleaner 2 will be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이 청소기(2)는 하우징(10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청소기(2)의 본체(2100)의 일부 구성이 결합부(110)에 결합되어 청소기(2)의 전체가 청소기 스테이션(1)에 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청소기(2)가 하우징(100)의 결합부(110)에 결합되면 먼지통(2600)의 길이방향 축은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청소기(2)가 하우징(100)의 결합부(110)에 결합되면 먼지통(2600)의 길이방향 축은 하우징(100)의 장축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청소기(2)의 흡입부(2100)의 길이방향 축은 하우징(100)의 장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청소기(2)가 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leaner 2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housing 100 . More specifically, a part of the main body 2100 of the cleaner 2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10 so that the entire cleaner 2 can be mounted on the cleaner station 1 . More specifically, when the cleaner 2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10 of the housing 100,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dust bin 260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ground. Also, when the cleaner 2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10 of the housing 100,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dust bin 2600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long axis of the housing 100. At this time, the cleaner 2 may be mounted so tha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part 2100 of the cleaner 2 is parallel to the long axis of the housing 100 .

한편 후술하겠지만, 청소기 스테이션(1)의 제1 유로(700)는 하우징(100)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집진 모터(200)의 흡입력에 의해 먼지통(2600)에 존재하는 먼지는, 먼지통 바디(2610)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제1 유로(700) 내부로 들어가면서 수직방향으로 유동방향이 바뀌어 하우징(100)의 내부 하측에 수용된 먼지 저장 모듈(300)로 모이게 된다.Meanwhil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flow path 700 of the cleaner station 1 may extend vertically inside the housing 100 . Accordingly, the dust existing in the dust bin 2600 by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dust box body 2610 and then changes its flow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it enters the first flow path 700, thereby chang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housing. It is collected in the dust storage module 300 accommod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side of the 100.

즉, 청소기(2)의 먼지통(2600) 내의 먼지는 집진 모터(200)의 흡입력과 중력의 작용에 의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의 먼지 저장 모듈(300)로 수집될 수 있다. That is, dust in the dust bin 2600 of the cleaner 2 may be collected into the dust storage module 300 of the cleaner station 1 by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200 and the action of gravity.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먼지통 안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먼지통을 비우게 되는 경우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since dust in the dust bin can be removed without a user's separate manipulation, user convenience can be provided. In addition, the user can eliminate the hassle of having to empty the dust bin every time. In addition, when the dust bin is empti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ust from scatter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은 커버 개방 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ver opening unit 500 .

커버 개방 유닛(500)은 청소기(2)의 배출 커버(2620)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4를 참고하면, 커버 개방 유닛(500)은 푸쉬 돌기(511), 커버 개방 기어(520) 및 커버 개방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opening unit 500 is provided to open the discharge cover 2620 of the cleaner 2 . Referring to FIG. 4 , the cover opening unit 500 may include a push protrusion 511, a cover opening gear 520, and a cover opening motor (not shown).

푸쉬 돌기(511)는 청소기(2)가 결합부(110)에 결합되는 경우, 배출 커버(2620)를 가압하여 개방시키도록 결합부(110) 상에서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푸쉬 돌기(511)는 결합부(110) 상에서 결합 레버(2630)를 누를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결합 레버(2630)를 가압하도록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푸쉬 돌기(511)는 청소기(2) 배출 커버(2620)를 개방시키기 위해 마련된 결합 레버(2630)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하우징의 장축 방향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cleaner 2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10, the push protrusion 511 may linearly reciprocate on the coupling portion 110 to press and open the discharge cover 2620. More specifically, the push protrusion 511 may be disposed on the coupling part 110 at a position where the coupling lever 2630 can be pressed, and may linearly reciprocate to press the coupling lever 2630 . More specifically, the push protrusion 511 may protrude upward i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housing at a position facing the coupling lever 2630 provided to open the discharge cover 2620 of the cleaner 2 .

커버 개방 유닛(500)은 돌기 지지대(512), 돌기 목(513) 및 기어 결합 블록(514)을 더 포함할 수있다.The cover opening unit 500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support 512 , a protrusion neck 513 and a gear coupling block 514 .

이때, 돌기 지지대(512)는 푸쉬 돌기(51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푸쉬 돌기(511)와 함께 직선 왕복운동하는 구성으로서, 돌기 지지대(512)의 하부면은 제2 결합부(112)의 평탄면(112a)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돌기 지지대(512)가 평탄면(112a)상에서 직선 왕복운동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 support 512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push protrusion 511 and has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ogether with the push protrusion 51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support 512 is flat of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Arranged to face the surface 112a, the protrusion support 512 can linearly reciprocate on the flat surface 112a.

돌기 목(513)은 돌기 지지대(512)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돌기 목 삽입 홀(112aa)에 배치될 수 있다. 돌기 목(513)은 돌기 지지대(512)와 기어 결합 블록(514)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돌기 목(513)의 상부로는 돌기 지지대(512)가 결합되고 돌기 목(513)의 하부로는 기어 결합 블록(514)이 결합되어 평탄면(112a)의 상부로는 푸쉬 돌기(511)와 돌기 지지대(512)가 노출되고 평탄면(112a)의 하부로는 기어 결합 블록(514)이 배치될 수 있다. 돌기 목(513)은 돌기 지지대(512)와 기어 결합 블록(514)보다 좁은 폭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otrusion neck 513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support 512 and disposed in the protrusion neck insertion hole 112aa. The protrusion neck 513 may be coupled between the protrusion support 512 and the gear coupling block 514 . That is, the protrusion support 512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neck 513, the gear coupling block 514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neck 513, and the push protrusion 511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at surface 112a. ) and the protrusion support 512 are exposed, and a gear coupling block 514 may be disposed below the flat surface 112a. The protrusion neck 513 may have a narrower width than the protrusion support 512 and the gear coupling block 514 .

기어 결합 블록(514)은 평탄면(112a)의 하부에 배치되고 커버 개방 기어(520)의 이동에 의하여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다.The gear coupling block 514 is disposed below the flat surface 112a and can linearly reciprocate by the movement of the cover opening gear 520 .

커버 개방 모터는, 푸쉬 돌기(511)를 직선 왕복운동시키는 동력을 커버 개방 기어(520)에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 개방 기어(520)는 커버 개방 모터와 결합되고, 커버 개방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푸쉬 돌기(511), 돌기 지지대(512), 돌기 목(513) 및 기어 결합 블록(514)을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커버 개방 기어(520)는 커버 개방 모터의 샤프트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는 제1 커버 개방 기어(521) 및 제1 커버 개방 기어(521)와 치합되고 푸쉬 돌기(511)에 직선 왕복운동을 전달하는 제2 커버 개방 기어(5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opening motor may provide power for rectilinearly reciprocating the push protrusion 511 to the cover opening gear 520 . More specifically, the cover opening gear 520 is coupled to the cover opening motor, and the push protrusion 511, the protrusion support 512, the protrusion neck 513 and the gear coupling block 514 are formed by using the power of the cover opening motor. can be moved together. The cover opening gear 520 meshes with the first cover opening gear 521 receiving rotational power from the shaft of the cover opening motor and the first cover opening gear 521, and transmits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o the push protrusion 511. A second cover opening gear 522 may be included.

이때, 제1 커버 개방 기어(521)는 피니언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커버 개방 기어(522)는 랙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ver opening gear 521 may be formed of a pinion gear, and the second cover opening gear 522 may be formed of a rack gear.

다시 말해, 결합부(110)에 청소기(2)의 본체가 고정된 경우, 커버 개방 모터는 커버 개방 기어(520)를 통해 푸쉬 돌기(511)를 이동시키고 배출 커버(2620)를 개방시켜 먼지통 바디(26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main body of the cleaner 2 is fixed to the coupling part 110, the cover opening motor moves the push protrusion 511 through the cover opening gear 520 and opens the discharge cover 2620 to open the dust box body. (26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은 도어 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oor unit 600 .

도 5를 참고하면, 도어 유닛(600)은 도어(610), 도어 암(620) 및 도어 모터(6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door unit 600 may include a door 610 , a door arm 620 and a door motor 630 .

도어(610)는 결합부(110)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배출 커버(262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를 상기 제1 유로(700)와 연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610)는 제3 결합부(113)에 배치된 도어 힌지(605)와 결합되어 도어 힌지(605)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door 610 is hinged to the coupling part 110 and is ope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cover 2620 is opened so that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can communicate with the first flow path 700 . More specifically, the door 610 is coupled to the door hinge 605 disposed on the third coupling part 113 and is provided to rotate around the door hinge 605 .

도어(610)가 먼지 통과 홀(113a)을 막아 하우징(100) 내부와 외부간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 암(620)이 도어(610)를 당기면, 도어(610)가 청소기 스테이션(1)의 하우징(100)의 내측을 향하여 회전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어 암(620)이 도어(610)를 밀면, 도어(610)가 청소기 스테이션(1)의 외측을 향하여 회전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door arm 620 pulls the door 610 while the door 610 blocks the dust passage hole 113a and close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using 100, the door 610 moves the vacuum cleaner station 1 ) Can be rotated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Meanwhile, when the door arm 620 pushes the door 610 , the door 610 may rotate toward the outside of the cleaner station 1 .

도어 모터(630)는 도어(61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도어 암(62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모터(630)는 도어 암(62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정방향이라 함은, 도어 암(620)이 도어(610)를 하우징(100) 내부를 향해 당기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역방향이라 함은, 도어 암(620)이 도어(610)를 하우징(100) 외부를 향해 미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The door motor 630 may provide power for rotating the door 610 to the door arm 620 . Specifically, the door motor 630 may rotate the door arm 620 forward or reverse. Here, the forward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arm 620 pulls the door 610 towar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0 . Also, the reverse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 arm 620 pushes the door 610 toward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

도어 암(620)은 도어(610)에 결합되어 도어(610)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며 도어(610)와 도어 모터(630)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어 암(620)은 도어 모터(630)에서 발생한 동력을 이용하여 도어(610)를 개폐시킬 수 있다.The door arm 620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door 610 by being coupled to the door 610 and serves to connect the door 610 and the door motor 630. The door arm 620 may open and close the door 610 using power generated by the door motor 630 .

일 예로, 도어 암(620)은 제1 도어 암(621)과 제2 도어 암(6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어 암(621)의 일측 단부는 도어 모터(63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도어 암(621)은 도어 모터(630)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 도어 암(621)의 타측 단부는 제2 도어 암(622)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도어 암(621)은 도어 모터(630)로부터 전달된 힘을 제2 도어 암(622)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도어 암(622)의 일측 단부는 제1 도어 암(621)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도어 암(622)의 타측 단부는 도어(6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도어 암(622)은 도어(61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다.For example, the door arm 620 may include a first door arm 621 and a second door arm 622 . One end of the first door arm 621 may be coupled to the door motor 630 . The first door arm 621 may rotate by the power of the door motor 630 . The other end of the first door arm 62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door arm 622 . The first door arm 621 may transfer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door motor 630 to the second door arm 622 . One end of the second door arm 62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door arm 621 .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oor arm 622 may be coupled to the door 610 . The second door arm 622 may push or pull the door 610 .

이하부터는, 도 4와 도 6을 참고하여 제1 유로(700)에 형성된 제2 유로(710)의 배치 및 본 발명의 해결과제인 잔여 먼지 제거를 위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flow path 710 formed in the first flow path 700 and a specific structure for removing residual dust, which is a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6 .

청소기 스테이션(1)은 제1 유로(7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er station 1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low path 710 .

먼저, 도 6을 참고하면, 제1 유로(7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청소기(2)의 먼지통(2600)으로부터 빠져나온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S1)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청소기(2)가 청소기 스테이션(1)에 결합되면, 먼지통(2600)이 제1 유로(700)의 개방된 상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유로(700)의 개방된 하측 단부는 먼지 저장 모듈(30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배출 커버(2620)가 먼지통 바디(2610)로부터 분리되면, 먼지통 바디(2610) 내부의 먼지가 제1 유로(710)를 통해, 먼지 저장 모듈(300)로 포집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6 , the first flow path 7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disposed vertically, and air containing dust escaped from the dust bin 2600 of the cleaner 2 flows. It may be provided to provide a space (S1) that can be. That is, when the cleaner 2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 , the dust container 2600 may be disposed at the open upper end of the first passage 700 . At this time, since the open lower end of the first passage 700 is coupled to the dust storage module 300, when the discharge cover 2620 is separated from the dust box body 2610, the dust inside the dust box body 2610 is removed. Dust may be collected by the dust storage module 300 through one flow path 710 .

또한, 제1 유로(700)의 개방된 상측 단부는 먼지 통과 홀(113a)로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먼지 통과 홀(113a)은 먼지통(2600)의 먼지를 하우징(100)의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메인 홀의 역할을 할 수 있다.Also, the open upper end of the first flow path 700 may be defined as a dust passage hole 113a. As described above, the dust passage hole 113a may serve as a main hole for sucking dust from the dust bin 2600 into the housing 100 .

제1 유로(700)에는 잔여 먼지의 제거를 위해 제2 유로(71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도 4를 참고하면, 제2 유로(710)는 제1 유로(700) 상에서 푸쉬 돌기(511)가 먼지통 바디(2610)에 결합된 결합 레버(2630)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푸쉬 돌기(511)와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되며, 제1 유로(70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유로(710)는 예를 들어 수평방향의 장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유로(710)는 돌기 지지대(512)가 직선 왕복운동하는 평탄면(112a)과 동일한 레벨에서 제1 유로(700)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flow path 710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flow path 700 to remove residual dust. 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4 , the second flow path 710 is a push protrusion 511 on the first flow path 70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ush protrusion 511 presses the coupling lever 2630 coupled to the dust box body 2610. ), and may be provided in a form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irst flow path 700. The second passage 7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in a horizontal direction, for example.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passage 710 may be formed by penetrating the first passage 700 at the same level as the flat surface 112a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support 512 rectilinearly reciprocates.

제2 유로(710)는 먼지 통과 홀(113a)보다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유로(710)는 먼지 통과 홀(113a)의 관통된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passage 710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dust passage hole 113a. Also, the second passage 710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through-sectional area of the dust passage hole 113a.

이러한 구성에 의해, 먼지 통과 홀(113a)이 폐쇄된 상태에서 집진 모터(200)가 흡입력을 발생시킬 경우 제2 유로(710)에는 작은 단면적으로 집중되는 강한 흡입력이 작용될 수 있고, 효과적으로 잔여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ust collecting motor 200 generates a suction force in a state in which the dust passing hole 113a is closed, a strong suction force concentrated in a small cross-sectional area can be applied to the second flow path 710, effectively remaining dust. can be removed.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해, 먼지통(2600)의 배출 커버(2620)가 개방될 때 청소기 스테이션(1) 내부의 푸쉬 돌기(511) 부근으로 떨어져 퇴적된 잔여 먼지는, 집진 모터(200)의 흡입력에 의해 제2 유로(710)를 통해서 제1 유로(700)로 흡입될 수 있다. 즉, 먼지통(2600) 및 먼지 통과 홀(113a)을 거쳐 제1 유로(700)로 흡입되는 경로를 메인 흡입 경로라고 한다면, 먼지통(2600)에서 떨어져 나온 잔여 먼지가 푸쉬 돌기(511) 부근(제2 결합부(112) 부근이라고 할 수도 있음)에서 제2 유로(710)를 거쳐 제1 유로(700)로 흡입되는 경로를 바이패스 흡입 경로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은, 청소기 스테이션의 내부에서 푸쉬 돌기 부근의 공간에 퇴적될 위험이 있는 먼지를 상기 바이패스 흡입 경로를 통해 제거할 수 있으므로 청소기 스테이션의 내부가 오염될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청소기 스테이션의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해진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ischarge cover 2620 of the dust bin 2600 is opened, the remaining dust accumulated in the vicinity of the push protrusion 511 inside the cleaner station 1 is affect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It can be sucked into the first flow path 700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710 by the. That is, if the main suction path is a path that is sucked into the first flow path 700 through the dust bin 2600 and the dust passage hole 113a, the remaining dust from the dust bin 2600 is removed from the vicinity of the push protrusion 511 (the first suction path). 2. A path that is sucked into the first flow path 700 via the second flow path 710 from (which may be referred to as the vicinity of the coupling part 112) may be referred to as a bypass intake path. The cleaner station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dust that may be deposited in a space near the push protrusion inside the cleaner station through the bypass suction path, so that the inside of the cleaner station is not contaminated.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risk and enabling hygienic management of the cleaner station.

이하에서는 상기 바이패스 흡입 경로를 통해 잔여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집진 모터(200)의 구동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driving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200 for removing residual dust through the bypass suction path will be described.

청소기(2)가 결합부(110)에 결합되고 도어 유닛(600)이 도어(610)를 개방한 후 커버 개방 유닛(500)이 배출 커버(2620)를 개방하여 먼지통 바디(2610)의 내부와 제1 유로(700)가 연통되면, 집진 모터(200)는 제1 시간(t1)동안 구동할 수 있다. 이때,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상기 메인 흡입 경로 및 상기 바이패스 흡입 경로를 통과하여 제1 유로(700)의 내부 공간(S1)으로 유동하게 되고 제1 유로(700)의 하측 단부와 결합된 먼지 봉투(310)에 먼지가 포집될 수 있다.After the vacuum cleaner 2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10 and the door unit 600 opens the door 610, the cover opening unit 500 opens the discharge cover 2620 so tha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dust box body 2610 When the first flow path 700 is in communication,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may be driven for a first time period t1. At this time, the air containing dust passes through the main intake path and the bypass intake path to flow into the inner space S1 of the first flow path 700 and the dust combined with the lower end of the first flow path 700. Dust may be collected in the bag 310 .

제1 시간(t1)이 경과한 후에 집진 모터(200)가 구동을 멈추면 도어 유닛(600)은 도어(610)를 폐쇄할 수 있다. 도어 암(620)이 도어(61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도어(610)를 밀어내면 배출 커버(2620)도 먼지통(2600)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도어(61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커버(2620)는 먼지통 바디(2610)에 다시 결합되고 도어(610) 또한 먼지 통과 홀(113a)을 폐쇄하게 된다.When the dust collecting motor 200 stops driving after the first time t1 has elapsed, the door unit 600 may close the door 610 . When the door arm 620 pushes the door 610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door 610, the discharge cover 2620 may also move along with the door 610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dust container 2600. Accordingly, the discharge cover 2620 is coupled to the dust box body 2610 again, and the door 610 also closes the dust passage hole 113a.

도어 유닛(600)에 의해 도어(610)가 폐쇄된 이후 먼지통(2600)이 아직 결합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집진 모터(200)는 제2 시간(t2) 동안 재구동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상기 메인 흡입 경로가 폐쇄된 상태이므로, 상기 바이패스 흡입 경로만을 통과하여 제1 유로(700)의 내부 공간(S1)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집진 모터(200)가 동일한 흡입력을 발생시킨다면, 앞서 도어(6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집진 모터(200)가 구동했을 때보다 집진 모터(200)의 흡입력은 더 크게 바이패스 흡입 경로를 향해 집중될 수 있다. After the door 610 is closed by the door unit 600, in a state where the dust bin 2600 is still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10,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is re-driven for a second time period t2 to increase the suction force. can cause Here, since the main intake path is closed, the air containing dust passes only through the bypass intake path and flows into the inner space S1 of the first flow path 700 . At this time, if the dust collecting motor 200 generates the same suction power,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200 is greater toward the bypass suction path than when the dust collecting motor 200 was driven while the door 610 was previously opened. can be focused

집진 모터(200)의 흡입력이 바이패스 흡입 경로에 집중된다는 것은 잔여 먼지에 작용하는 흡입력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배출 커버(2620)와 도어(6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집진 모터(200)가 재구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잔여 먼지의 제거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The fact that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200 is concentrated on the bypass suction path means that the suction force acting on the remaining dust increases. That is, since the dust collecting motor 200 is configured to be re-driven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cover 2620 and the door 610 are closed,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residual dust.

뿐만 아니라, 배출 커버(2620)와 도어(6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집진 모터(200)에 의해 먼지가 흡입될 때 도어(610)의 내측(배출 커버(2620)와 마주보는 면의 반대측)으로도 먼지가 날아가 달라붙을 수 있는데, 이렇게 달라붙어 있는 먼지도 도어(6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집진 모터(200)가 재구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dust is sucked by the dust collecting motor 200 in the state where the discharge cover 2620 and the door 610 are open, it is directed to the inside of the door 610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facing the discharge cover 2620). Also, dust may fly away and stick to it, bu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tuck dust can also be removed by configuring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to be re-driven while the door 610 is closed.

한편, 상기 제1 시간(t1)과 상기 제2 시간(t2)은 청소기 스테이션(1)의 제어부(미도시)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더 많은 먼지를 흡입해야 하는 제1 시간(t1)이 잔여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제2 시간(t2)보다 더 길거나 같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는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집진 모터(200)의 구동, 정지 및 흡입력 등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time period t1 and the second time period t2 may be preset in a controller (not shown) of the cleaner station 1 . In this case, the first time t1 for inhaling more dust may be set to b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second time t2 for inhaling the remaining dust. The control unit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may be provided to control driving, stopping, and suction power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200 .

도 7은 결합부(110)를 상부에서 내려다 본 도면이고, 도 8은 결합부(110)에 청소기(2)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FIG. 7 is a view looking down at the coupling part 110 from above,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leaner 2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10 .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돌기 지지대(512)가 직선 왕복운동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할 때, 돌기 지지대(512)의 상기 제2 방향의 크기(D1)는, 평탄면(112a)의 제2 방향의 크기(D2)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돌기 지지대(512)의 제2 방향으로 배치된 각각의 단부에서부터 제2 결합부(112)의 수직벽(112b)까지는 소정의 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 when a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support 512 rectilinearly reciprocates is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second direction, The size D1 i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D2 of the flat surface 112a in the second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vertical wall 112b of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end of the protrusion support 512 in the second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청소기 스테이션(1)의 제2 결합부(112)까지 흘러들어간 이물질들은 랜덤한 형태의 퇴적 양상을 보이며 대부분은 제1 유로(700)에 형성된 제2 유로(710) 구성에 의해서 제거가 가능하다. 다만, 돌기 지지대(512)의 제2 방향의 크기(D1)와 제2 결합부(112)의 평탄면(112a)의 제2 방향의 크기(D2)가 거의 같은 경우 즉, 돌기 지지대(512)의 제2 방향으로 배치된 각각의 단부가 제2 결합부(112)의 수직벽(112b)과 맞닿아 있거나 너무 가깝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퇴적된 이물질이 제2 유로(710)로 빠져나가지 못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Foreign substances that have flowed into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of the cleaner station 1 show a random accumulation pattern, and most of them can be remov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passage 710 formed in the first passage 700 . However, when the size D1 of the protrusion support 512 in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size D2 of the flat surface 112a of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in the second direction are almost the same, that is, the protrusion support 512 Possibility that deposited foreign matter may not escape into the second flow path 710 when each end disposed in the second direction is in contact with or disposed too close to the vertical wall 112b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2 this gets bigger

이때, 특히 모래 알갱이와 같이 단단하면서 작은 이물질들이 돌기 지지대(512)의 상기 단부와 수직벽(112b)간의 작은 틈새에 퇴적될 경우 직선 왕복운동에 대한 저항이 발생할 수 있고 돌기 지지대(512)가 이물질들과 마찰하면서 서걱거리는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은, 돌기 지지대(512)의 상기 단부와 수직벽(112b)간에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격되는 소정의 거리는 배출 커버(2620)가 개방될 때, 중력에 의해 낙하하여 먼지통 바디(2610)와 결합부(110) 사이의 틈새로 빠져나가 제2 결합부(112)까지 흘러들어갈 가능성이 있는 이물질의 크기를 고려하여 선정될 수 있다.(도 8 참조) At this time, in particular, when hard and small foreign substances such as grains of sand are deposited in the small gap between the end of the protrusion support 512 and the vertical wall 112b, resistance to linear reciprocating motion may occur, and the protrusion support 512 may cause foreign matter. It can make a creaking noise as it rubs against the grass. To solve this problem, the cleaner station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redetermined distance is separated between the end of the protrusion support 512 and the vertical wall 112b. Here, when the discharge cover 2620 is opened, the distance from which the discharge cover 2620 is opened falls due to gravity and flows in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2 through the gap between the dust box body 2610 and the coupling portion 110. It can be selected considering the size of possible foreign matter (see Fig. 8).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이물질 퇴적, 직선 왕복운동에 대한 저항 발생, 소음 발생 등)의 해결이 가능하게 된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ccumulation of foreign matter, generation of resistance to linear reciprocating motion, generation of noise, etc.).

한편, 도 7을 다시 참고하면, 돌기 지지대(512)의 직선 왕복운동하는 이동방향의 이동 축(L1)은 상기 평탄면(112a)의 제2 방향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돌기 지지대(512)의 좌측 단부에서 가까운 수직벽(112b)까지의 거리와 돌기 지지대(512)의 우측 단부에서 가까운 수직벽(112b)까지의 거리는 같을 수 있다. 즉, 돌기 지지대(512)의 이동 축(L1)을 중심으로 제2 결합부(112)와 돌기 지지대(512)는 대칭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돌기 지지대(512)의 이동 축(L1)을 중심으로 돌기 지지대(512)와 수직벽(112b)간의 좌,우측 이격 거리를 동일하게 최소 거리로 설정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청소기 스테이션(1)의 내부 공간 설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7 again, the moving axis L1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rotruding support 512 performing linear reciprocating motion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lat surface 112a in the second direction. In other words, a distance from the left end of the protrusion support 512 to the near vertical wall 112b may be equal to a distance from the right end of the protrusion support 512 to the near vertical wall 112b. That is,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and the protrusion support 512 may have a symmetrical structure around the moving axis L1 of the protrusion support 512 . 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equally set the left and right separation distances between the protrusion support 512 and the vertical wall 112b as the minimum distance around the moving axis L1 of the protrusion support 512, and efficiently clean the station. (1)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esign the interior space.

이하부터는 청소기(2)의 결합 레버(2630)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coupling lever 2630 of the cleaner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9는 청소기(2)의 결합 레버(2630)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 레버(2630)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결합 레버(2630)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결합 레버(2630)의 레버 경사부(2632)가 형성된 방향과 푸쉬 돌기(511)의 이동 방향(A)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lever 2630 of the cleaner 2,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lever 2630 of FIG. 9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and FIG. 11 is a side view of the coupling lever 2630 of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ever inclined portion 2632 of the coupling lever 2630 is formed and the moving direction A of the push protrusion 511.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결합 레버(2630)는 레버 바디(2631), 레버 경사부(2632), 레버 측벽(2633), 레버 가압부(2634) 및 후크 가압부(2635)를 포함할 수 있다.9 to 12, the coupling lever 2630 may include a lever body 2631, a lever inclined portion 2632, a lever sidewall 2633, a lever pressing portion 2634, and a hook pressing portion 2635. can

레버 바디(2631)는 결합 레버(2630)의 외형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레버 바디(2631)는 먼지통 바디(2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레버 바디(2631)는 연장 형성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양 끝단에서 먼지통 바디(2610)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가 절곡되어 결합 레버(2630)의 안쪽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레버 바디(2631)가 연장 형성되는 방향의 일측 단부에는 레버 경사부(2632)가 연결될 수 있다.The lever body 2631 may constitute a part of the exterior of the coupling lever 2630. The lever body 2631 may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st container body 2610 . At this time, the lever body 2631 may be bent to a predetermined length from both 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it extends toward the center of the dust box body 2610 to form an inner space inside the coupling lever 2630. In addition, a lever inclination portion 2632 may be connected to one e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ever body 2631 extends.

레버 경사부(2632)는 레버 바디(2631)가 연장 형성되는 일측 단부에서 레버 바디(2631)와 연결되며 레버 바디(263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lever inclined portion 2632 is connected to the lever body 2631 at one end where the lever body 2631 extends and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lever body 2631 .

이때, 레버 경사부(2632)에는 상기 레버 경사부(2632)가 패여 마련되는 먼지 배출 홈(2632a)이 마련될 수 있다. 먼지 배출 홈(2632a)이 결합 레버(2630)에 마련됨으로써, 결합 레버(2630) 안쪽으로 흘러 들어간 잔여 먼지는 집진 모터(200)의 흡입 동작에 의해 먼지 배출 홈(2632a)을 통과할 수 있고 제1 유로(700)로 유입되어 제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ver inclined portion 2632 may be provided with a dust discharge groove 2632a in which the lever inclined portion 2632 is recessed. Since the dust discharge groove 2632a is provided in the coupling lever 2630, the remaining dust flowing into the coupling lever 2630 can pass through the dust discharge groove 2632a by the suction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and is removed. It can be introduced into 1 flow path 700 and removed.

레버 경사부(2632)는 결합 레버(2630)가 먼지통 바디(2610)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먼지통 바디(2610)의 중심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레버 경사부(2632)는 레버 바디(2631)에서 연장 형성되며 결합 레버(2630)의 이동 방향(A)에 대해 상측으로 소정의 각도(θ)가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레버 경사부(2632)는 청소기(2)가 결합부(110)에 결합되는 경우 도어(610)에 대해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레버 경사부(2632)는 청소기(2)가 결합부(110)에 결합되는 경우 제2 유로(710)를 향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잔여 먼지가 빠져나가야 할 먼지 배출 홈(2632a)이 도어(610)에 의해 가로막히지 않고, 먼지 배출 홈(2632a)을 거쳐 제2 유로(710)로 잔여 먼지의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도 11 및 도 12 참고)The lever inclined portion 2632 may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dust container body 2610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lever 2630 is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body 2610. In other words, the lever inclined portion 2632 extends from the lever body 2631 and may be formed by tilting a predetermined angle θ upward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A of the coupling lever 2630 . The lever inclined portion 2632 may be dispos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door 610 when the cleaner 2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10 . In other words, the lever inclined portion 2632 may be disposed toward the second flow path 710 when the cleaner 2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10 . With this configuration, the dust discharge groove 2632a through which residual dust should escape is not blocked by the door 610, and the remaining dust can be smoothly removed through the dust discharge groove 2632a to the second flow path 710. Yes. (See FIGS. 11 and 12)

레버 측벽(2633)은 레버 바디(2631) 및 레버 가압부(2632)와 결합된다. 레버 측벽(2633)의 각각에는 결합 레버(2630)의 내부를 향해 배치된 측벽 지지 리브(2637)가 하나 이상 결합될 수 있다.The lever sidewall 2633 is coupled to the lever body 2631 and the lever pressing portion 2632. One or more side wall support ribs 2637 disposed toward the inside of the coupling lever 2630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lever side walls 2633 .

레버 가압부(2634)는 레버 바디(2631)의 타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레버 바디(2631)의 타측 단부는 상기 레버 경사부(2632)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레버 가압부(2634)는 레버 바디(2631)가 연장 형성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레버 바디(2631)의 타측 단부에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레버 가압부(2634)는 사용자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는 구성으로서, 레버 가압부(2634)에 외력이 가해지면 결합 레버(2630)가 먼지통(26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 커버(2620)를 개방하게 된다.The lever pressing unit 2634 may be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ever body 2631. In this case, the other end of the lever body 2631 may refer to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ever inclined portion 2632 is disposed. The lever pressing portion 2634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other end of the lever body 263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ever body 2631 is extended. The lever pressing part 2634 is a component to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a user,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ever pressing part 2634, the coupling lever 263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st bin 2600 to close the discharge cover 2620. will open up

레버 가압부(2634)에는 레버 가압부(2634)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레버 홀(2634a)이 마련될 수 있다. 레버 홀(2634a)은 레버 측벽(2633)이 배치된 방향으로 길게 관통되는 장홀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레버 홀(2634a)과 먼지 배출 홈(2632a)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A lever hole 2634a formed to pass through the lever pressing portion 2634 may be provided in the lever pressing portion 2634 . The lever hole 2634a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penetrat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ever sidewall 2633 is disposed. Also, the lever hole 2634a and the dust discharge groove 2632a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이렇게 마주보도록 배치된 레버 홀(2634a)과 먼지 배출 홈(2632a)에 의해 집진 모터(200)가 흡입력을 발생시켰을 때, 결합 레버(2630)의 외부에서 레버 홀(2634a)을 거쳐 먼지 배출 홈(2632a)을 통해 제2 유로(710)까지 연통되는 기류가 형성될 수 있고, 집진 모터(200)의 흡입 동작시 레버 가압부(2634)에서 기류가 가로막히지 않으므로 잔여 먼지의 흡입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generates a suction force by the lever hole 2634a and the dust discharge groove 2632a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dust discharge groove ( 2632a), an airflow communicating to the second flow path 710 can be formed, and the airflow is not blocked by the lever pressing part 2634 during the suction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so the suction effect of remaining dust can be further improved. You will be able to.

후크 가압부(2635)는 레버 가압부(2634)에 결합될 수 있다. 레버 가압부(2634)의 일측은 레버 바디(2631)에 결합되고 레버 가압부(2634)의 타측은 후크 가압부(263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후크 가압부(2635)는 레버 바디(2631)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크 가압부(2635)는 배출 커버(2620)의 결합 후크(2660)를 가압하여 결합 후크(2660)에 탄성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에 의해 레버 가압부(2634)에 외력이 가해지면 후크 가압부(2635)가 결합 후크(2660)를 가압하게 되고 배출 커버(2620)가 개방될 수 있다.(도 12 참고)The hook pressing part 2635 may be coupled to the lever pressing part 2634. One side of the lever pressing portion 2634 may be coupled to the lever body 2631 and the other side of the lever pressing portion 2634 may be coupled to the hook pressing portion 2635 . At this time, the hook pressing portion 2635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ever body 2631 . The hook pressing unit 2635 may cause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upling hook 2660 by pressing the coupling hook 2660 of the discharge cover 2620 . In other word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ever pressing portion 2634 by the user, the hook pressing portion 2635 presses the coupling hook 2660 and the discharge cover 2620 may be opened (see FIG. 12).

도 13은 결합 레버(2630)의 먼지 배출 홈(2632a)과 제2 유로(710)를 통한 잔여 먼지의 흡입경로의 모식도이다.FIG. 1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uction path of remaining dust through the dust discharge groove 2632a of the coupling lever 2630 and the second flow path 710. Referring to FIG.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배출 커버(2620)가 열리는 과정 또는 먼지가 청소기 스테이션(1) 내부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제2 결합부(112)로 흘러 들어간 잔여 먼지는, 제2 결합부(112)로부터 제2 유로(710)를 통해 제1 유로(700)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배출 커버(2620)가 열리는 과정 또는 먼지가 청소기 스테이션(1) 내부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결합 레버(2630)의 안쪽(결합 레버(2630)과 먼지통 바디(2610)의 사이 공간)으로 흘러 들어간 잔여 먼지는, 먼지 배출 홈(2632a)으로부터 제2 유로(710)를 통해 제1 유로(700)로 흡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2 and 13 , residual dust that flows into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discharge cover 2620 or in the process of dust being sucked into the cleaner station 1 is removed from the second coupling part ( 112 may be sucked into the first flow path 700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710 .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discharge cover 2620 or in the process of sucking dust into the vacuum cleaner station 1, the flow in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lever 2630 (the space between the coupling lever 2630 and the dust box body 2610) Residual dust may be sucked into the first flow path 700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710 from the dust discharge groove 2632a.

다음으로,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1000)을 이용한 잔여 먼지 제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method for removing residual dust using the cleaner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청소기 시스템(1000)을 이용한 잔여 먼지 제거 방법의 순서도이다.1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removing residual dust using the cleaner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청소기(2)가 결합부(110)에 결합되었는지 확인되면(S100) 도어 개방 단계에서, 청소기 스테이션(1)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하도록 청소기 스테이션(1)에 마련된 도어(610)가 개방된다.(S200) 이때, 도어(610)의 개방은 상술한 청소기 스테이션(1)의 도어 유닛(6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First, when it is confirmed whether the cleaner 2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10 (S100), in the door opening step, the door 610 provided in the cleaner station 1 is opened so that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cleaner station 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200) At this time, the door 610 may be opened by the door unit 600 of the cleaner station 1 described above.

한편, 청소기(2)가 결합부(110)에 결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결합부(110)에는 결합 센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결합 센서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와 같은 접촉식 센서일 수도 있고, 적외선 센서와 같은 비접촉 센서일 수도 있다. Meanwhile, a coupling sensor (not shown) may be disposed at the coupling portion 110 to determine whether the cleaner 2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10 . The combined sensor may be a contact sensor such as a micro switch or a non-contact sensor such as an infrared sensor.

다음으로, 배출 커버(2620) 개방 단계에서, 먼지통(2600)을 개폐하는 배출 커버(2620)가 개방된다.(S300) 이때, 배출 커버(2620)의 개방은 상술한 청소기 스테이션(1)의 커버 개방 유닛(5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Next, in the step of opening the discharge cover 2620, the discharge cover 26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bin 2600 is opened (S300). At this time, the opening of the discharge cover 2620 is the cover of the cleaner station 1 described above. It may be performed by the opening unit 500.

도어(610)와 배출 커버(2620)가 모두 개방되어 먼지통 바디(2610)의 내부와 제1 유로(700)가 연통되면, 집진 단계로 가서 집진 모터(200)가 구동되어 청소기 스테이션(1)의 내부로 먼지가 흡입된다.(S400) 집진 모터(200)는 기 정해진 제1 시간(t1) 동안 구동할 수 있다. 이때,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상기 메인 흡입 경로 및 상기 바이패스 흡입 경로를 통과하여 제1 유로(700)로 유동하게 되고 먼지 봉투(310)에 먼지가 포집될 수 있다.When both the door 610 and the discharge cover 2620 are opened and the inside of the dust box body 261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flow path 700, the dust collection step is performed and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is driven to clean the vacuum cleaner station 1. Dust is sucked into the inside. (S400) The dust collecting motor 200 may be driven for a first predetermined time period t1. At this time, air containing dust passes through the main intake path and the bypass intake path to flow into the first flow path 700 , and dust may be collected in the dust bag 310 .

제1 시간(t1)이 경과한 후에 집진 모터(200)가 구동을 멈추고 정지하면(S500) 도어 유닛(600)은 도어 폐쇄 단계에서 배출 커버(2620)와 함께 도어(610)를 폐쇄할 수 있다.(S600) 도어 유닛(600)의 도어 암(620)이 도어(61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도어(610)를 밀어내면 배출 커버(2620)도 먼지통(2600)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여 배출 커버(2620)가 먼지통 바디(2610)에 다시 결합되고 도어(610) 또한 먼지 통과 홀(113a)을 폐쇄하게 된다.When the dust collecting motor 200 stops driving and stops after the first time t1 has elapsed (S500), the door unit 600 may close the door 610 together with the discharge cover 2620 in the door closing step. (S600) When the door arm 620 of the door unit 600 pushes the door 610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door 610, the discharge cover 2620 also moves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dust bin 2600, The discharge cover 2620 is coupled to the dust box body 2610 again, and the door 610 also closes the dust passage hole 113a.

한편, 상기 도어 폐쇄 단계 이후, 먼지통(2600)의 주변에 존재하는 잔여 먼지를 제거하는 잔여 먼지 제거 단계가 진행된다.(S700)Meanwhile, after the door closing step, a residual dust removing step of removing remaining dust existing around the dust bin 2600 is performed (S700).

이때, 잔여 먼지 제거 단계는, 청소기(2)가 청소기 스테이션(1)에 결합된 상태에서 집진 모터(200)가 소정의 기 정해진 시간 동안 재구동하여, 잔여 먼지가 청소기 스테이션(1)의 내부로 흡입되는 과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 유닛(600)에 의해 도어(610)가 폐쇄된 이후 먼지통(2600)이 결합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집진 모터(200)는 제2 시간(t2) 동안 재구동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는 상기 메인 흡입 경로가 폐쇄된 상태이므로, 집진 모터(200)가 재구동하는 동안 상기 바이패스 흡입 경로만을 통과하여 제1 유로(700)로 유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집진 모터(200)가 동일한 흡입력을 발생시킬 때 바이패스 흡입 경로에 흡입력이 더 크게 집중될 수 있다. 즉, 배출 커버(2620)와 도어(6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집진 모터(200)가 재구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잔여 먼지에 제공되는 흡입력이 커지므로 잔여 먼지의 제거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in the step of removing remaining dust,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is re-driven for a predetermined time while the cleaner 2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1, and the remaining dust is returned to the inside of the cleaner station 1. It is a process of inhalation. More specifically, after the door 610 is closed by the door unit 600, in a state where the dust bin 26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10, the dust collecting motor 200 is re-driven for a second time period t2. This can generate suction power. At this time, since the main intake path is closed, the air containing dust passes only through the bypass intake path and flows into the first flow path 700 while the dust collecting motor 200 is re-driving. Accordingly, when the dust collecting motor 200 generates the same suction force, the suction force may be more concentrated in the bypass suction path. That is, since the dust collection motor 200 is configured to be re-driven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cover 2620 and the door 610 are closed, the suction force provided to the remaining dust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remaining dust.

한편, 바이패스 흡입 경로는, 제2 결합부(112)에 흘러 들어간 잔여 먼지가 제2 유로(710)를 통해 제1 유로(700) 내부로 흡입되는 경로일 수도 있고, 결합 레버(2630)의 안쪽으로 흘러 들어간 잔여 먼지가 먼지 배출 홈(2632a)과 제2 유로(710)를 통해 제1 유로(700) 내부로 흡입되는 경로일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ypass suction path may be a path through which residual dust flowing into the second coupling part 112 is sucked into the first channel 700 through the second channel 710, or the coupling lever 2630 Residual dust flowing inward may be a path through which dust discharge grooves 2632a and the second passage 710 are sucked into the first passage 700 .

아울러, 상기 제1 시간(t1)과 상기 제2 시간(t2)은 청소기 스테이션(1)의 제어부(미도시)에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일 수 있고, 더 많은 먼지를 흡입해야 하는 제1 시간(t1)이 잔여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제2 시간(t2)보다 더 길거나 같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는 하우징(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집진 모터(200)의 구동, 정지 및 흡입력 등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ime period t1 and the second time period t2 may be predetermined times preset in a controller (not shown) of the cleaner station 1, and the first time period during which more dust should be sucked ( t1) may be set to be long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ime period t2 for inhaling the remaining dust. The control unit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may control driving, stopping, and suction power of the dust collecting motor 200 .

마지막으로, 제2 시간(t2)이 경과하면 집진 모터(200)는 정지되고(S800) 청소기 스테이션(1)의 모든 동작이 종료된다.Finally, when the second time period t2 elapses, the dust collecting motor 200 is stopped (S800) and all operations of the cleaner station 1 are terminated.

이상에서 살펴본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기 스테이션 내부의 푸쉬 돌기 부근에 퇴적되는 잔여 먼지를 제1 유로 외부와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2 유로를 통해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idual dust accumulated near the push protrusion inside the cleaner station can be effectively sucked through the second passag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first pass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기의 먼지통 외부의 결합 레버 안쪽에 퇴적되는 잔여 먼지를 청소기의 결합 레버에 형성된 먼지 배출 홈을 통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idual dust accumulated inside the coupling lever outside the dust bin of the cleaner can be effectively removed through the dust discharge groove formed in the coupling lever of the clean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먼지통 내부의 먼지에 대한 흡입이 종료되고 배출 커버가 닫힌 후에 일정 시간동안 집진 모터를 재구동하는 잔여 먼지 제거 단계를 통해, 잔여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상기 제2 유로와 상기 먼지 배출 홈으로 집중시킬 수 있으므로 잔여 먼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residual dust removal step of re-driving the dust collection motor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suction of the dust inside the dust bin is finished and the discharge cover is closed, the suction force for sucking the remaining dust is applied to the second passage and the second flow path. Since it can be concentrated into the dust discharge groove, residual dust can be removed more effectively.

앞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shown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change to other specific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term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s described in the claims.

1000: 청소기 시스템
1: 청소기 스테이션
100: 하우징 100a: 제1 외벽면
110: 결합부 111: 제1 결합부
111a: 곡면부 111b: 돌출턱
112: 제2 결합부 112a: 평탄면
122aa: 돌기 삽입 홀 112b: 수직벽
113: 제3 결합부 113a: 먼지 통과 홀
110b: 제2 외벽면 110c: 제3 외벽면
110d: 제4 외벽면 110e: 지면지지부
200: 집진 모터 300: 먼지 저장 모듈
310: 먼지 봉투 320: 먼지 저장 모듈 하우징
500: 커버 개방 유닛 510: 푸쉬부
511: 푸쉬 돌기 512: 돌기 지지대
513: 돌기 목 514: 기어 결합 블록
520: 커버 개방 기어 521: 제1 커버 개방 기어
522: 제2 커버 개방 기어 600: 도어 유닛
605: 도어 힌지 610: 도어
620: 도어 암 621: 제1 도어 암
622: 제2 도어 암 630: 도어 모터
700: 제1 유로 710: 제2 유로
2: 청소기
2000: 청소기 본체 2100: 흡입부
2200: 먼지 분리부 2300: 흡입 모터
2400: 핸들 2500: 배터리 하우징
2600: 먼지통 2610: 먼지통 바디
2620: 배출 커버 2630: 결합 레버
2631: 레버 바디 2632: 레버 경사부
2632a: 먼지 배출 홈 2633: 레버 측벽
2634: 레버 가압부 2634a: 레버 홀
2635: 후크 가압부 2636: 측벽 지지 리브
2640: 먼지통 힌지 2650: 바디턱
1000: cleaner system
1: cleaner station
100: housing 100a: first outer wall surface
110: coupling part 111: first coupling part
111a: curved portion 111b: protruding jaw
112: second coupling part 112a: flat surface
122aa: projection insertion hole 112b: vertical wall
113: third coupling part 113a: dust passage hole
110b: second outer wall surface 110c: third outer wall surface
110d: fourth outer wall surface 110e: ground support
200: dust collecting motor 300: dust storage module
310: dust bag 320: dust storage module housing
500: cover opening unit 510: push unit
511: push protrusion 512: protrusion support
513: protrusion neck 514: gear coupling block
520: cover opening gear 521: first cover opening gear
522: second cover opening gear 600: door unit
605: door hinge 610: door
620: door arm 621: first door arm
622: second door arm 630: door motor
700: first euro 710: second euro
2: Cleaner
2000: cleaner body 2100: suction part
2200: dust separation unit 2300: suction motor
2400: handle 2500: battery housing
2600: dust bin 2610: dust bin body
2620: discharge cover 2630: engagement lever
2631: lever body 2632: lever inclination
2632a Dust discharge groove 2633 Lever side wall
2634: lever pressing part 2634a: lever hole
2635: hook pressing part 2636: side wall support rib
2640: dust bin hinge 2650: body tuck

Claims (6)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흡입 유로가 형성된 흡입부와,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부를 구비하는 먼지 분리부와, 상기 흡입부를 따라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먼지 분리부를 통해 분리되는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을 포함하는 청소기; 및
상기 먼지통의 외주면의 일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가 포집되는 먼지 저장 모듈과, 상기 먼지 저장 모듈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상기 먼지 저장 모듈로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 및 상기 먼지 저장 모듈과 상기 집진 모터를 내부에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먼지 저장 모듈과 연결되는 제1 유로; 및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제2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의 외주면을 향하는 타측 단부가 개방되고,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유로의 타측 단부는 상기 먼지통의 길이 방향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part having a suction passage through which air can flow, a dust separator having a cyclone part separating dust, and a suction mot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for sucking air along the suction part, and the dust separation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dust bin for storing dust separated through the unit; and
A coupling part coupled to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bin, a dust storage module for collecting dust inside the dust bin, and a suction power disposed below the dust storage module and sucking dust inside the dust bin into the dust storage module A cleaner station including a dust collecting motor generating dust and a housing having the dust storage module and the dust collecting motor therein,
The vacuum station,
a first passag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long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ust storage module; and
A second flow path having one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flow path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The second flow path,
The other end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bin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er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The cleaner system of claim 1 ,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assage is opened in a direction crossing a longitudinal axis of the dust bin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er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흡입 유로가 형성된 흡입부와,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부를 구비하는 먼지 분리부와, 상기 흡입부를 따라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먼지 분리부를 통해 분리되는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을 포함하는 청소기; 및
상기 먼지통과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가 포집되는 먼지 저장 모듈과, 상기 먼지 저장 모듈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상기 먼지 저장 모듈로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 및 상기 먼지 저장 모듈과 상기 집진 모터를 내부에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먼지통의 외주면을 향해 개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먼지 저장 모듈과 연통되고,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공간은 상기 먼지통의 길이 방향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part having a suction passage through which air can flow, a dust separator having a cyclone part separating dust, and a suction mot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for sucking air along the suction part, and the dust separation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dust bin for storing dust separated through the unit; and
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dust bin, a dust storage module collecting dust inside the dust bin, and a dust collecting motor disposed below the dust storage module and generating a suction force for sucking dust inside the dust bin into the dust storage module. and a cleaner station including a housing having the dust storage module and the dust collecting motor therein,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er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A space that opens towar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bin is formed in the coupling part,
The space communicates with the dust storage module inside the housing,
The cleaner system of claim 1 , wherein the space is opened in a direction crossing a longitudinal axis of the dust bin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er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의 길이 방향 축의 연장선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축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leaner system of claim 1 , wherein an extended line of a longitudinal axis of the dust bin intersects a longitudinal axis of the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er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leaner system of claim 1 , wherein a longitudinal axis of the inlet is parallel to a longitudinal axis of the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er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가 상기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의 길이 방향 축은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leaner system of claim 1 , wherein a longitudinal axis of the dust bin is disposed parallel to the ground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er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삭제delete
KR1020220094149A 2020-10-07 2022-07-28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including same, and residual dust removal method using the cleaner system KR1025271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149A KR102527189B1 (en) 2020-10-07 2022-07-28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including same, and residual dust removal method using the clean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579A KR20220046312A (en) 2020-10-07 2020-10-07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including same, and residual dust removal method using the cleaner system
KR1020220094149A KR102527189B1 (en) 2020-10-07 2022-07-28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including same, and residual dust removal method using the cleaner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579A Division KR20220046312A (en) 2020-10-07 2020-10-07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including same, and residual dust removal method using the cleane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709A KR20220110709A (en) 2022-08-09
KR102527189B1 true KR102527189B1 (en) 2023-05-02

Family

ID=812113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579A KR20220046312A (en) 2020-10-07 2020-10-07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including same, and residual dust removal method using the cleaner system
KR1020220094149A KR102527189B1 (en) 2020-10-07 2022-07-28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including same, and residual dust removal method using the cleaner system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579A KR20220046312A (en) 2020-10-07 2020-10-07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including same, and residual dust removal method using the clean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46312A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584B1 (en) * 2016-05-09 2023-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Stand for Cleaner
KR20200073966A (en) * 2018-12-14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KR102566393B1 (en) * 2020-07-03 2023-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312A (en) 2022-04-14
KR20220110709A (en) 202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0035B1 (en)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US7600293B2 (en) Vacuum cleaner
CN108065862B (en) Vacuum cleaner
TWI793573B (en) Station and dust removal system including the same
TWI792270B (en) Station and dust removal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11904323B (en) Dust deposition base and cleaning equipment assembly with same
KR102527189B1 (en)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including same, and residual dust removal method using the cleaner system
KR102406189B1 (en) Cleaner system
TWI809524B (en) Station for cleaner
TW202222240A (en) Cleaner system
KR102440910B1 (en)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2201586A1 (en) Vacuuming system
KR20230082593A (en)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20046863A (en) Station for cleaner
KR20230152995A (en) Cleaner
KR20230133655A (en) Cleaner station
KR100833360B1 (en) Dust and dir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KR20230040176A (en) Cleaner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