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6842A - Exoskeleton walk assistance apparatus for supporting hip joi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Exoskeleton walk assistance apparatus for supporting hip joi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6842A
KR20230086842A KR1020210174592A KR20210174592A KR20230086842A KR 20230086842 A KR20230086842 A KR 20230086842A KR 1020210174592 A KR1020210174592 A KR 1020210174592A KR 20210174592 A KR20210174592 A KR 20210174592A KR 20230086842 A KR20230086842 A KR 20230086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high
motor
pressure data
exoskele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5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우
임윤호
윤자의
권형섭
최예은
임태균
김진호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74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6842A/en
Publication of KR20230086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84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together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 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7Walking and pulling or pushing a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Pelvis 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4Posi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obo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바닥 아래에 위치하는 다수 개의 압력센서(F1,F2); 사용자의 발목에 부착되고 상기 압력센서가 감지한 압력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저전력 블루투스모듈(B1,B2);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사용자 대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위치센서(G1,G2);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고 사용자의 허벅지를 상승시키는 구동모듈(M) 및 상기 압력센서 및 위치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서 상기 구동모듈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근력 지원용 외골격 보행보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에게 보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과 근력 향상에 기여하며, 적은 비용으로 고령층에서 필요한 고관절 외골격 장비를 제공함으로써 자력으로 보행 이동이 가능하고 삶의 질을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F1, F2) located under the sole of the user; Low power Bluetooth modules (B1, B2) attached to the user's ankle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pressure data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Position sensors (G1, G2) provided to surround the user's thigh and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user's thigh; An exoskeleton walking aid for hip joint muscle strength support comprising a driving module (M) worn on the user's waist and elevating the user's thigh, and a control unit receiving signals from the pressure sensor and the position sensor to drive the driving module. provide th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contributes to psychological stability and improvement in muscle strength by enabling the elderly with reduced mobility to walk, and has the effect of enabling walking by one's own power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by providing the hip joint exoskeleton equipment necessary for the elderly at a low cost. exerted

Description

고관절 근력 지원용 외골격 보행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EXOSKELETON WALK ASSISTANCE APPARATUS FOR SUPPORTING HIP JOI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Exoskeleton walking aid for hip joint muscle strength support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고령자의 보행을 돕기 위해 고관절의 근력을 지원해주는 기기이며, 고관절에 직접적인 근력 지원을 위한 웨어러블 외골격(Wearable powered Exoskeleton) 로봇 보조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upporting muscular strength of a hip joint in order to assist an elderly person walking, and to a wearable powered exoskeleton robot assisting technology for directly supporting muscular strength in the hip joint.

사회가 점점 고령화됨에 따라 인구 중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고령자의 주된 이동 수단인 보행을 보면, 실제 60대의 보행이 40%를, 70대에서는 50%를 차지하고 있다. 고령층에 있어 보행은 매우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보행 횟수가 점점 늘어난다. 하지만 근력 저하와 평형을 유지하는 기능이 저하되어 보행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이에 보행 보조기기의 개방을 통해 자립 보행을 유도하고 지속시킨다면 앞으로 보다 건강한 고령사회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다.As society is gradually aging,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in the popul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Looking at walking, which is the main means of transportation for the elderly, walking in their 60s actually accounts for 40% and 50% in their 70s. Walking is a very important means of transportation for the elderly, and as the age increases, the number of walking increases gradually. However, most people find it difficult to walk due to decreased muscle strength and reduced ability to maintain equilibrium. Therefore, if independent walking is induced and maintained through the opening of walking aids, it is judged that a healthier aging society will be maintained in the future.

그런데, 4차 산업 혁명이 진행되고 있음에도 웨어러블 외골격 산업은 높은 가격대로 일반인이 쉽게 다가가기 어렵다. 기존의 출시된 웨어러블 외골격근 제품의 경우 금액이 매우 고가이어서 사람들이 큰 부담 없이 다가갈 수 있는 외골격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However, even thoug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underway, the wearable exoskeleton industry is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easily approach due to its high price. Existing wearable exoskeleton products are very expensive,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xoskeleton that people can approach without much burden.

본 발명은, 고령자가 허리 및 다리에 착용할 수 있고 인체 근골격계 특히 고관절 부위의 기능을 보조하여 그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것으로 고관절 근력 지원용 외골격 보행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oskeleton walking aid for supporting muscle strength of the hip joint, which can be worn by the elderly on the waist and legs, and which assists and improves the function of the human musculoskeletal system, particularly the hip join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바닥 아래에 위치하는 다수 개의 압력센서(F1,F2); 사용자의 발목에 부착되고 상기 압력센서가 감지한 압력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저전력 블루투스모듈(B1,B2);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사용자 대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위치센서(G1,G2);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고 사용자의 허벅지를 상승시키는 구동모듈(M) 및 상기 압력센서 및 위치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서 상기 구동모듈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근력 지원용 외골격 보행보조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F1, F2) located under the sole of the user; Low power Bluetooth modules (B1, B2) attached to the user's ankle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pressure data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Position sensors (G1, G2) provided to surround the user's thigh and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user's thigh; An exoskeleton walking aid for hip joint muscle strength support comprising a driving module (M) worn on the user's waist and elevating the user's thigh, and a control unit receiving signals from the pressure sensor and the position sensor to drive the driving module. provide the device.

상기 구동모듈(M)은,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밴드(10); 상기 허리밴드에 구비되는 상부프레임(20); 상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모터를 매개로 결합되고, 하단은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서 허벅지에 힘을 가하는 하부프레임(30); 및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한다.The driving module (M), the waist band 10 that surrounds the user's waist; an upper frame 20 provided on the waist band; a lower frame 30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the upper frame via a motor, and a lower end surrounding the user's thigh to apply force to the thigh; and a motor provided on the upper frame and rotating the rotating shaf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골격 보행보조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exoskeleton walking aid,

상기 제어부가 발바닥에 있는 깔창센서의 압력센서가 감지한 압력데이터 및 대퇴부에 있는 위치센서가 감지한 대퇴부의 움직임 데이터를 수신하는 1단계; 상기 수신한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보행 패턴(또는 '보행 보조'라고도 함)을 분석하는 2단계; 상기 대퇴부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보행 주기(또는 '보행 방향')를 분석하는 3단계; 및 상기 2단계와 3단계에서 분석한 보행 패턴과 보행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듈의 모터를 작동시키는 4단계;를 포함한다.Step 1 of receiving, by the control unit, pressure data detected by a pressure sensor of an insole sensor located on the sole and movement data of the thigh detected by a position sensor located on the thigh; Step 2 of analyzing the user's gait pattern (also referred to as 'gait assistance') using the received pressure data; a third step of analyzing a user's gait cycle (or 'gait direction') based on the thigh movement data; and a fourth step of operating a motor of the driving module based on the gait pattern and gait cycle analyzed in the second and third steps.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력센서가 감지한 압력데이터 및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한 대퇴부 움직임 데이터를 수신하는 1단계; 상기 수신한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중 또는 운반하는 화물의 무게를 분석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분석한 체중 또는 화물의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듈의 모터의 토크 크기를 결정하고 모터를 작동시키는 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n, a first step of receiving, by the control unit, the pressure data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and the thigh motion data sensed by the position sensor; a second step of analyzing the user's weight or the weight of cargo to be transported using the received pressure data; A third step of determining the torque of the motor of the driving module based on the body weight or the weight of the cargo analyzed in the second step and operating the motor may be included.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력센서가 감지한 압력데이터 및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한 대퇴부 움직임 데이터를 수신하는 1단계; 상기 수신한 압력 데이터 및 대퇴부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보행 의지를 분석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분석한 보행 의지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듈의 모터를 작동시키는 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단계의 보행 의지 분석은, 상기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직립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다리의 움직임 정도를 이용하여 보행 시작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Then, a first step of receiving, by the control unit, the pressure data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and the thigh motion data sensed by the position sensor; a second step of analyzing the user's walking will based on the received pressure data and thigh motion data; and a third step of operating a motor of the drive module based on the walking will analyzed in the second step; wherein the walking will analysis in the second step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in an upright state using the pressure data,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start walking by using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user's legs.

상기 제어부는, 상기 2단계에서 양쪽 발바닥에 구비된 압력센서의 압력 데이터 값이 소정 값 이상인 경우에만 사용자가 직립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압력 데이터 값이 소정 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 is in an upright state only when the pressure data values of the pressure sensors provided on the soles of both feet in step 2 ar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does not operate the motor if the pressure data values are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value. do.

상기 제어부는, 상기 2단계에서 대퇴부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리의 움직임을 파악하되 다리의 각속도가 소정 각속도 이상인 경우에만 사용자가 보행을 개시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다리의 각도가 소정 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다리의 미세한 떨림에 의한 모터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한다.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movement of the leg based on the thigh movement data in step 2, but determines that the user starts walking only when the angular velocity of the leg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angular velocity, and if the angle of the leg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user starts walking. By not operating the motor, malfunction of the motor due to slight vibration of the user's leg is prevented.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사용자 다리의 각도가 일정 범위 이상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모터는 소정 각도 범위에서만 정역방향 동작을 하도록 하고, 상기 모터는 소정 각도 범위에서 정역방향으로 동작을 하고, 상기 하부프레임(30)은 사용자의 허벅지를 전방으로 힘을 가하거나 후방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In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angle of the user's leg from deviating beyond a certain range, the motor operates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only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the motor operates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and the lower frame (30) applies force to the user's thigh forward or backward.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에게 보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과 근력 향상에 기여하며, 적은 비용으로 고령층에서 필요한 고관절 외골격 장비를 제공함으로써 자력으로 보행 이동이 가능하고 삶의 질을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tributes to psychological stability and improvement in muscle strength by enabling the elderly with reduced mobility to walk, and has the effect of enabling walking by one's own power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by providing the hip joint exoskeleton equipment necessary for the elderly at a low cost. exerted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 근력 지원용 외골격 보행보조장치를 착용한 모습의 전방 및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 근력 지원용 외골격 보행보조장치에서 발바닥 아래에 위치하는 다수 개의 압력센서를 보여주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 근력 지원용 외골격 보행보조장치의 구동계의 모습이다.
1 and 2 are views from the front and rear of a state wearing an exoskeleton walking aid for hip joint muscle strength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located under the sole of the foot in the exoskeleton walking aid for hip joint muscle strength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of the driving system of the exoskeleton walking aid for hip joint muscle strength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he terms used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 근력 지원용 외골격 보행보조장치를 착용한 모습의 전방 및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 근력 지원용 외골격 보행보조장치에서 발바닥 아래에 위치하는 다수 개의 압력센서를 보여주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 근력 지원용 외골격 보행보조장치의 구동계의 모습이다.1 and 2 are front and rear views of a person wearing the exoskeleton walking aid for hip joint muscle strength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are shown, and FIGS. 4 and 5 are views of the driving system of the exoskeleton walking aid for hip joint muscle strength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고관절 근력 지원용 외골격 보행보조장치의 구성을 보면, 사용자의 발바닥 아래에 위치하는 다수 개의 압력센서(F1,F2)와, 사용자의 발목에 부착되고 상기 압력센서가 감지한 압력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저전력 블루투스모듈(B1,B2)과,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사용자 대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위치센서(G1,G2)와,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고 사용자의 허벅지를 상승시키는 구동모듈(M) 및 상기 압력센서 및 위치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서 상기 구동모듈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3에서 도시된 f1~f7은 상기 압력센서(F1,F2) 각각의 분포를 나타낸다. First,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exoskeleton walking aid for hip joint muscle strength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F1, F2) located below the sole of the user's foot, and pressure data attached to the user's ankle and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low-power Bluetooth modules (B1, B2)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sition sensors (G1, G2) provided to surround the user's thighs and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user's thighs, and worn on the user's waist to lift the user's thighs. It includes a driving module (M) and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signals from the pressure sensor and the position sensor to drive the driving module. F1 to f7 shown in FIG. 3 represent the distribution of each of the pressure sensors F1 and F2.

그리고, 상기 구동모듈(M)은 상측부는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고 하측부는 사용자의 허벅지를 지지하여 허벅지를 위로 올리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행 과정에 필요한 고관절의 동작을 보조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보면, 구동모듈(M)은,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밴드(10)와, 상기 허리밴드에 구비되는 상부프레임(20)과, 상부프레임에 연결되는 하부프레임(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프레임(30)의 상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모터(미도시)와 모터의 회전축을 매개로 결합되고, 하부프레임의 하단은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서 허벅지에 힘을 가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배터리에 의해 회전동작하는 모터(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모터에 의해 상기 회전축이 회전된다. 상기 회전축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하부프레임이 회전축과 같이 회전하면서 사용자 보행과정에 필요한 고관절의 회전동작을 돕게 된다.And, the driving module (M) assists the operation of the hip joint necessary for the walking process by carrying out an operation such as an upper part worn on the user's waist and a lower part supporting the user's thigh to raise the thigh. Specifically, the drive module M is composed of a waist band 10 that surrounds the user's waist, an upper frame 20 provided on the waist band, and a lower frame 30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The upper end of the lower frame 30 is coupled to the upper frame via a motor (not shown) and a rotating shaft of the motor,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frame surrounds the user's thigh to apply force to the thigh. And, at this time, the upper frame is provided with a motor (not shown) that rotates by a battery, and the rotation shaft is rotated by the motor. When the rotating shaft is rotated by the motor, the lower frame rotates along with the rotating shaft to assis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hip joint necessary for the user's walking process.

또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외골격 보행보조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어부가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 method of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xoskeleton walking assistance device and controlling the device by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골격 보행보조장치를 제어하여 동작하는 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상기 압력센서가 감지한 압력데이터 및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한 대퇴부 움직임 데이터를 수신하는 1단계와, 상기 수신한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보행 패턴을 분석하는 2단계와, 상기 대퇴부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보행 주기를 분석하는 3단계 및 상기 2단계와 3단계에서 분석한 보행 패턴과 보행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듈의 모터를 작동시키는 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보행 패턴과 보행주기를 미리 분석한 후 이에 기초하여 보행동작의 패턴과 주기에 맞추어 보행보조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Briefly looking at the process in which the control unit controls and operates the exoskeleton walking aid, a first step of receiving pressure data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and thigh motion data detected by the position sensor, and using the received pressure data Step 2 of analyzing the gait pattern of the user, step 3 of analyzing the gait cycle of the user based on the thigh movement data, and step 2 and 3 of the driving module based on the analyzed gait pattern and gait cycle It can include 4 steps to operate the motor. Through this, after analyzing the user's gait pattern and gait cycle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walking assistance motion according to the pattern and period of the gait motion.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행보조장치의 제어방법으로는, 상기 압력센서가 감지한 압력데이터 및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한 대퇴부 움직임 데이터를 수신하는 1단계; 상기 수신한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중 또는 운반하는 화물의 무게를 분석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분석한 체중 또는 화물의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듈의 모터의 토크 크기를 결정하고 모터를 작동시키는 3단계;를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Further, the control method of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receiving pressure data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and thigh motion data detected by the position sensor; a second step of analyzing the user's weight or the weight of cargo to be transported using the received pressure data; A third step of determining the torque of the motor of the driving module and operating the motor based on the body weight or the weight of the cargo analyzed in the second step; may be included.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행보조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사용자의 보행 의지를 판단하고 동작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를 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가 감지한 압력데이터 및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한 대퇴부 움직임 데이터를 수신하는 1단계; 상기 수신한 압력 데이터 및 대퇴부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보행 의지를 분석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분석한 보행 의지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듈의 모터를 작동시키는 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단계의 보행 의지 분석은, 상기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직립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다리의 움직임 정도를 이용하여 보행 시작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control method of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intention to walk may be determined and the operation may be controlled. Step 1 of receiving thigh movement data detected by the position sensor; a second step of analyzing the user's walking will based on the received pressure data and thigh motion data; and a third step of operating a motor of the drive module based on the walking will analyzed in the second step, wherein the walking will analysis in the second step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in an upright state using the pressure data,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start walking by using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user's legs.

상기 제어부는, 상기 2단계에서 양쪽 발바닥에 구비된 압력센서의 압력 데이터 값이 소정 값 이상인 경우에만 사용자가 직립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압력 데이터 값이 소정 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립한 상태가 아닌, 예를 들어 앉아 있는 상태에서 보행보조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막게 되는데, 직립 여부 판정을 압력 센서의 감지 데이터를 활용하도록 하였다.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 is in an upright state only when the pressure data values of the pressure sensors provided on the soles of both feet in step 2 ar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does not operate the motor if the pressure data values are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value. do. Through this, the operation of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is prevented when the user is not in an upright state, for example, in a sitting state, and the detection data of the pressure sensor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upright.

그리고, 고령자층의 경우 다리 등 근육의 부자연스러움으로 인해 다리 근육이 의도하지 않게 떨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의도하지 않은 다리의 떨림을 보행 시작 의도로 판단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양쪽 다리의 각속도가 소정 각속도 이상일 경우에만 보행을 개시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하였다. 다리의 각도를 감지하는 것은 다리가 일정각도 이상 다리가 벌어져 부상 입는것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양쪽 다리의 각속도를 감지하는 것은 각속도가 보행자가 보행의지를 갖고 움직임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근육의 미세한 떨림에 움직이지 않기 위해 사용한 기준값도 각속도를 이용하였다. 사용자 다리의 각도는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한 대퇴부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정할 수 있고 각도 판정을 위해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센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And, in the case of the elderly, leg muscles may unintentionally tremble due to unnaturalness of the muscles, such as the legs. It was determined that walking was initiated only when the angular velocity wa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angular velocity. Detecting the angle of the legs is to prevent injury due to the legs being spread apart beyond a certain angle, and detecting the angular velocities of both legs is to determine the angular velocities of the pedestrian with the will to walk. Also, angular velocity was used as the reference value used to avoid movement due to minute muscle tremors. The angle of the user's leg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thigh motion data sensed by the position sensor, and additional sensors may be further provided if necessary to determine the angle.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2단계에서 대퇴부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리의 움직임을 파악하되 다리의 각속도가 소정 각속도 이상인 경우에만 사용자가 보행을 개시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다리의 각속도가 소정 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다리의 미세한 떨림에 의한 모터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movement of the leg based on the thigh movement data in step 2, but determines that the user starts walking only when the angular velocity of the leg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angular velocity, and when the angular velocity of the leg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In this case, the motor is prevented from malfunctioning due to the slight vibration of the user's leg by not operating the motor.

그리고,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사용자 다리의 각도가 일정 범위 이상 벗어나서 오작동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모터는 소정 각도 범위에서만 정역방향 동작을 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모터는 소정 각도 범위에서 정역방향으로 동작을 하면서 상기 하부프레임(30)은 사용자의 허벅지를 전방으로 힘을 가하거나 후방으로 힘을 가하게 함으로써, 상기 하부프레임이 사용자의 허벅지를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힘을 가하게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motor to operate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only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in order to prevent malfunction due to the angle of the user's leg deviating from a predetermined range or more. That is, while the motor operate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the lower frame 30 applies force to the user's thigh forward or backward, so that the lower frame moves the user's thigh forward or backward. It limits the range to apply force backwards.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m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Claims (9)

사용자의 발바닥 아래에 위치하는 다수 개의 압력센서(F1,F2);
사용자의 발목에 부착되고 상기 압력센서가 감지한 압력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저전력 블루투스모듈(B1,B2);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사용자 대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위치센서(G1,G2);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고 사용자의 허벅지를 상승시키는 구동모듈(M) 및
상기 압력센서 및 위치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아서 상기 구동모듈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근력 지원용 외골격 보행보조장치.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F1, F2) located under the user's sole;
Low power Bluetooth modules (B1, B2) attached to the user's ankle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pressure data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Position sensors (G1, G2) provided to surround the user's thigh and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user's thigh;
A driving module (M) worn on the user's waist and raising the user's thigh; and
An exoskeleton walking aid for supporting muscle strength of the hip joint,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signals from the pressure sensor and the position sensor and drives the driving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M)은,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밴드(10);
상기 허리밴드에 구비되는 상부프레임(20);
상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은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서 허벅지에 힘을 가하는 하부프레임(30); 및
상기 상부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근력 지원용 외골격 보행보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iving module (M),
A waist band 10 that wraps around a user's waist;
an upper frame 20 provided on the waist band;
a lower frame 30 having an upp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frame and a lower end surrounding a user's thigh to apply force to the thigh; and
An exoskeleton walking aid for hip joint muscle strength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otor provided on the upper frame and rotating the rotation shaft.
제2항에 기재된 외골격 보행보조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력센서가 감지한 압력데이터 및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한 대퇴부 움직임 데이터를 수신하는 1단계;
상기 수신한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보행 패턴을 분석하는 2단계;
상기 대퇴부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보행 주기를 분석하는 3단계; 및
상기 2단계와 3단계에서 분석한 보행 패턴과 보행 주기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듈의 모터를 작동시키는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골격 보행보조장치 제어방법.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exoskeleton walking aid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a first step of receiving pressure data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and thigh motion data detected by the position sensor;
a second step of analyzing a user's gait pattern using the received pressure data;
a third step of analyzing a user's gait cycle based on the thigh movement data; and
and a fourth step of operating a motor of the driving module based on the gait pattern and gait cycle analyzed in the second and third steps.
제2항에 기재된 외골격 보행보조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력센서가 감지한 압력데이터 및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한 대퇴부 움직임 데이터를 수신하는 1단계;
상기 수신한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중 또는 운반하는 화물의 무게를 분석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분석한 체중 또는 화물의 무게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듈의 모터의 토크 크기를 결정하고 모터를 작동시키는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골격 보행보조장치 제어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exoskeleton walking aid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a first step of receiving pressure data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and thigh motion data detected by the position sensor;
a second step of analyzing the user's weight or the weight of cargo to be transported using the received pressure data;
and a third step of determining the torque of the motor of the driving module based on the body weight or the weight of the cargo analyzed in the second step and operating the motor.
제2항에 기재된 외골격 보행보조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력센서가 감지한 압력데이터 및 상기 위치센서가 감지한 대퇴부 움직임 데이터를 수신하는 1단계;
상기 수신한 압력 데이터 및 대퇴부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보행 의지를 분석하는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분석한 보행 의지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모듈의 모터를 작동시키는 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단계의 보행 의지 분석은,
상기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직립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다리의 움직임 정도를 이용하여 보행 시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골격 보행보조장치 제어방법.
I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exoskeleton walking aid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a first step of receiving pressure data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and thigh motion data detected by the position sensor;
a second step of analyzing the user's walking will based on the received pressure data and thigh motion data;
A third step of operating a motor of the driving module based on the walking will analyzed in step 2;
The analysis of the gait will in the second step,
Using the pressure data,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s in an upright state,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xoskeleton walking ai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whether to start walking by using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user's leg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단계에서 양쪽 발바닥에 구비된 압력센서의 압력 데이터 값이 소정 값 이상인 경우에만 사용자가 직립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압력 데이터 값이 소정 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골격 보행보조장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In step 2,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an upright state only when the pressure data values of the pressure sensors provided on both soles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Wherein the motor is not operated when the pressure data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단계에서 대퇴부 움직임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리의 움직임을 파악하되 다리의 각속도가 소정 각속도 이상인 경우에만 사용자가 보행을 개시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다리의 각속도가 소정 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다리의 미세한 떨림에 의한 모터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골격 보행보조장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In step 2, the movement of the leg is grasped based on the thigh movement data, but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starts walking only when the angular velocity of the leg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ngular velocity;
By not operating the motor when the angular velocity of the leg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A control method for an exoskeleton walking aid, characterized in that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a motor caused by a slight tremor of a user's leg.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 다리의 각도가 일정 범위 이상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모터는 소정 각도 범위에서만 정역방향 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골격 보행보조장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5,
In order to prevent the angle of the user's leg from deviating beyond a certain range, the motor operates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only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소정 각도 범위에서 정역방향으로 동작을 하고, 상기 하부프레임(30)은 사용자의 허벅지를 전방으로 힘을 가하거나 후방으로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골격 보행보조장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8,
The motor operates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angular range, and the lower frame 30 applies force to the user's thigh forward or backward.

KR1020210174592A 2021-12-08 2021-12-08 Exoskeleton walk assistance apparatus for supporting hip joi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23008684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592A KR20230086842A (en) 2021-12-08 2021-12-08 Exoskeleton walk assistance apparatus for supporting hip joi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592A KR20230086842A (en) 2021-12-08 2021-12-08 Exoskeleton walk assistance apparatus for supporting hip joi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842A true KR20230086842A (en) 2023-06-16

Family

ID=8694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592A KR20230086842A (en) 2021-12-08 2021-12-08 Exoskeleton walk assistance apparatus for supporting hip joi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684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8187B2 (en) Wearable motion assist device and control program
EP2671559B1 (en) Ambulation training device and ambulation training system
CN106137489B (en) Interactive ectoskeleton knee joint machine system
EP3466394B1 (en) Walking motion assist device
US10123932B2 (en) Motion assist device and motion assist method
JP4178185B2 (en) Wearable motion assist device, drive sour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in wearable motion assist device
US8202234B2 (en) Control device for walking assistance device
KR102146363B1 (en) Wearable robo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TW201639534A (en) Exoskeleton ankle robot
KR100907425B1 (en) Leg rehabilitation apparatus
JP2011115323A (en) Walking assist robot
KR20070004825A (en) Wearing type behavior help device, wearing type behavior help device calibration device, and calibration program
WO2008082172A1 (en) Early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KR20120129651A (en) Two-belt treadmill and walking traning device having the same
Xia et al. Design of a multi-functional soft ankle exoskeleton for foot-drop prevention, propulsion assistance, and inversion/eversion stabilization
CN113230094A (en) Single-leg exoskeleton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559157B (en) Ankle joint motion auxiliary device
KR100391830B1 (en) Welfare Robotic System for the Rehabilitation Training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for bipedal walking
KR20190142709A (en) Controlling method of lower body assisting robot
KR20230086842A (en) Exoskeleton walk assistance apparatus for supporting hip joi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282205B1 (en)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CN112807194A (en) Wearable lower limb rehabilitation exercise trainer
CN114903750A (en) Lower limb exoskeleton control system and lower limb exoskeleton control method for paraplegic patient
JP2011143002A (en) Walking assist device
CN215994720U (en) Wearable lower limb rehabilitation exercise tr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