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9651A - Two-belt treadmill and walking traning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wo-belt treadmill and walking traning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9651A
KR20120129651A KR1020110048033A KR20110048033A KR20120129651A KR 20120129651 A KR20120129651 A KR 20120129651A KR 1020110048033 A KR1020110048033 A KR 1020110048033A KR 20110048033 A KR20110048033 A KR 20110048033A KR 20120129651 A KR20120129651 A KR 20120129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readmill
conveyor belt
drive motor
pedestr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0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27178B1 (en
Inventor
권대규
허민
정구영
유미
김경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주)예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주)예기산업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48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178B1/en
Publication of KR20120129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6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1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9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separate for each leg, e.g. dual de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PURPOSE: A two-belt treadmill and a walking training device hav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revent the left and right conveyer belts from deviating from a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 pipe by making both ends of first and second rotation shaft pipe flange-shape. CONSTITUTION: A left conveyer belt(171) and a right conveyer belt(172) are rotatably formed on a treadmill body. The left conveyer belt and the right conveyer belt are respectively rotated by a first driving motor(150) and a second driving motor(160). A belt release preventing portion(180) is installed at the treadmill body. The belt release preventing portion prevents deviation of the left side conveyer belt and right side conveyer belt.

Description

투-벨트 트레드밀 및 이를 구비한 보행재활 훈련장치{TWO-BELT TREADMILL AND WALKING TRANING DEVICE HAVING THE SAME}TWO-BELT TREADMILL AND WALKING TRANING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투-벨트 트레드밀 및 이를 구비한 보행재활 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를 보행하는 보행자에게 보다 높은 효율로 낙상 예방 훈련을 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보행자의 보행운동에 의한 벨트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투-벨트 트레드밀 및 이를 구비한 보행재활 훈련장치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belt treadmill and a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pedestrians walking a belt from falling, with higher efficiency, and a belt by walking movement of a pedestrian. Two-belt treadmill and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having the same to prevent loosening.

일반적으로 인간의 자세조절은 감각정보와 운동의 상호 균형 속에서 이루어지며, 운동과정은 몸통의 근육과 하지 근육들의 자세 협동 반응의 조화이며, 감각과정은 체성감각(Somatosensory, 촉각, 고유수용성 감각), 시각, 전정기관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조직화하는 과정이다. In general, the human postural control is achieved in the balance of sensory information and motion, and the exercise process is a coordination of the postural cooperative reaction between the muscles of the torso and the lower extremity muscles, and the sensory process is somatosensory (tactile, high water soluble sense). It is the process of organizing the information input from visual, visual and vestibular organs.

그러나 이러한 감각들은 나이가 듦에 따라 점차적으로 약화되어, 노약자들은 보행하기 힘들어지고 또한 낙상의 위험을 갖게 된다. 따라서, 노약자나 하지 재활 환자들은 걷기운동을 통해 낙상 예방 및 보행훈련을 하고 있다. 이러한 낙상 예방 및 보행훈련을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특허출원 10-2010-0026511호에서 낙상 예방 및 보행 훈련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However, these sensations gradually weaken with age, making it difficult for older people to walk and risk falling. Therefore, the elderly and patients with rehabilitation of the lower limbs are doing fall prevention and walking training through walking exercise. For the fall prevention and walking training, the applicant has proposed a fall prevention and walking training system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26511.

아울러, 요즘 현대인들은 체력단련 또는 다이어트를 이유로 유산소 운동으로서, 달리기나 걷기(워킹)운동을 많이 하는 추세이며, 이러한 달리기나 걷기 운동을 하기 위한 기구로서 트레드밀(런닝머신)이 있다. In addition, the modern man is aerobic exercise for fitness or diet reasons, the trend of running or walking (walking) exercise a lot, there is a treadmill (treadmill) as a mechanism for such a running or walking exercise.

통상적인 트레드밀은 벨트가 한 개로 구성되어 있으나, 최근에는 10-2010-0026511호에서와 같이 벨트가 두 개로 구성된 투-벨트 트레드밀이 개발되었다. Conventional treadmills consist of one belt, but recently two-belt treadmills with two belts have been developed, as in 10-2010-0026511.

하지만, 이러한 투-벨트 트레드밀은 한 개의 벨트로 구성된 트레드밀과는 달리 각각의 벨트가 바깥쪽으로 벗겨지도록 이동하여 벨트가 풀리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e two-belt treadmill has a problem that the belt is released by moving each belt to be peeled outward unlike the treadmill composed of one belt.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를 보행하고 있는 보행자에게 보다 높은 효율로 낙상 예방훈련을 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좌측 컨베이어 벨트와 우측 컨베이어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투-벨트 트레드밀 및 이를 구비한 보행재활 훈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not only fall prevention training with pedestrians walking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 with higher efficiency, but also loosen the left conveyor belt and the right conveyo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wo-belt treadmill and a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having the same improved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보행자가 보행재활 훈련시 투-벨트 트레드밀에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투-벨트 트레드밀 및 이를 구비한 보행재활 훈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wo-belt treadmill and a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having the same, which can prevent a pedestrian from falling on the two-belt treadmill during the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투-벨트 트레드밀은 트레드밀 본체; 상기 트레드밀 본체에 좌우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제 1 구동 모터 및 제 2 구동 모터; 상기 트레드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구동 모터 및 상기 제 2 구동 모터에 의해 각각 회전하는 좌측 컨베이어 벨트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 상기 트레드밀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좌측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우측 컨베이어 벨트의 벗겨짐을 방지하는 벨트 풀림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wo-belt treadmil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readmill body; A first driving motor and a second driving motor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eadmill body; A left conveyor belt and a right conveyor belt rotatably installed on the treadmill body and respectively rotated by the first drive motor and the second drive motor; And a belt loosening prevention part installed on the treadmill body to prevent peeling of the left conveyor belt and the right conveyor belt.

상기 제 1 구동 모터 및 상기 제 2 구동모터를 순간 회전속도를 달리하여 보행자의 낙상을 유발하여 보행자에게 낙상 예방훈련을 시키는 낙상 유발 제어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first drive motor and the second drive motor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all-inducing control unit for causing the fall of the pedestrian to prevent the fall by training the pedestrian by changing the instantaneous rotational spe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구동 모터 및 상기 제 2 구동 모터를 각각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하여 상기 좌측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우측 컨베이어 벨트를 독립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independently rotate the left conveyor belt and the right conveyor belt by forward or reverse rotation of the first driving motor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respectively.

상기 벨트 풀림방지부는, 상기 좌측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우측 컨베이어의 벨트의 바깥쪽 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트레드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belt loosening preven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a pair of rollers rotatably installed on the treadmill body so as to contact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left conveyor belt and the belt of the right conveyor.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롤러는 상기 좌측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우측 컨베이어 벨트의 전, 후부의 바깥쪽 측면에 두 쌍이 설치될 수 있다. The at least one pair of rollers may be installed in two pairs on the outer side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left conveyor belt and the right conveyor belt.

상기 한 쌍의 롤러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상기 벨트 풀림방지부를 이동시키는 롤러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roller position adjusting unit for moving the belt loosening prevention portion to move the position of the pair of rollers.

상기 좌측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우측 컨베이어 벨트의 전, 후방에 각각 2개 이상의 압력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센서의 신호에 의해 보행주기를 연산하는 보행주기 연산부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wo or more pressure sensors may be provided before and after the left conveyor belt and the right conveyor belt, respectively, and may further include a walk cycle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walk cycle by a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상기 트레드밀 본체의 전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드밀 본체의 양 측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제 1 고정축; 상기 제 1 고정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좌측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우측 컨베이어 벨트의 전단부가 감기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 1 회전축관; 상기 트레드밀 본체 전방부의 폭 중간에 설치되는 제 1 브라켓; 및, 상기 제 1 브라켓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고정축을 관통하는 지지핀;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 first fixed shaft installed at a front portion of the treadmill body and installed to connect both side ends of the treadmill body; A pair of first rotating shaft tub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rst fixed shaft and to which front ends of the left conveyor belt and the right conveyor belt are wound; A first bracket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width of the front of the treadmill body; And a support pin extending from the first bracket and penetrating the first fixed shaft.

상기 트레드밀 본체의 후방부의 폭 중간에 설치되는 지지편; 상기 트레드밀 본체의 일측과 상기 지지편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편과 상기 트레드밀 본체의 타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 2 고정축; 및, 상기 한 쌍의 제 2 고정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좌측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우측 컨베이어 벨트의 후단부가 각각 감기는 한 쌍의 제 2 회전축관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 support piece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width of the rear portion of the treadmill body; A pair of second fixed shafts installed to connect one side of the treadmill body and the support piece, and installed to connect the support piece and the other side of the treadmill body; And a pair of second rotating shaft pipe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pair of second fixed shafts, the rear ends of the left conveyor belt and the right conveyor belt being respectively wound.

상기 제 1 고정축 및 상기 한 쌍의 제 2 고정축은 양 끝단이 확장된 플랜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fixed shaft and the pair of second fixed shafts may be formed in a flange shape with both ends extended.

상기 제 1 구동 모터 및 상기 제 2 구동 모터는 스텝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motor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may include a step motor.

한편, 본 발명의 투-벨트 트레드밀을 구비한 보행재활 훈련장치는 트레드밀 본체와, 상기 트레드밀 본체에 좌우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제 1 구동 모터 및 제 2 구동 모터와, 상기 트레드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구동 모터 및 상기 제 2 구동 모터에 의해 각각 회전하는 좌측 컨베이어 벨트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트레드밀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좌측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우측 컨베이어 벨트의 벗겨짐을 방지하는 벨트 풀림방지부;를 포함하는 투 벨트 트레드밀; 보행자를 지지하도록 착용되어 하지관절운동에 따른 각도 데이터 및 하지의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며, 각 하지 관절부에 설치되는 관절 구동부를 구비하는 워커부; 상기 투 벨트 트레드밀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보행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구비한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넘어져 부상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인체를 상하 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는 견인유닛;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워커부, 상기 제 1 구동 모터 및 상기 제 2 구동 모터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having a two-belt treadmi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treadmill body, the first drive motor and the second drive motor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eadmill body, and the treadmill body A left conveyor belt and a right conveyor belt rotated by the first drive motor and the second drive motor, respectively, and a belt loosening prevention part installed on the treadmill body to prevent peeling of the left conveyor belt and the right conveyor belt; Two-belt treadmill comprising a; A walker unit which is worn to support a pedestrian and detects angular data and EMG signals of the lower limb according to the lower limb joint movement, and includes a joint driving unit installed at each lower limb joint; A support frame installed to surround the two-belt treadmill and having a handle that can be held by a pedestrian; And a traction unit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to pull the human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to prevent the pedestrian from falling and injuring. The central control unit may include the walker, the first driving motor, and It can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second drive motor.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투 트레드밀의 속도, 회전방향 및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워커부를 동기화하여 구동하는 모드; 및, 상기 워커부의 출력각도에 따라 상기 투 벨트 트레드밀을 구동하는 모드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central control unit, a mode for driving the walker uni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peed, rotation direction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two treadmill; And, it can be configured to have a mode for driving the two belt treadmill according to the output angle of the walker.

상기 중앙제어부는 보행자의 자의에 의해 작동하는 과정으로서 상기 워커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근전도와 같은 보행자의 근육 상태신호에 따라 상기 투 벨트 트레드밀의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 2 모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entral control unit is a process of operating by the pedestrian's own, characterized in that for driving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of the two belt treadmill in accordance with the muscle state signal of the pedestrian, such as the EMG output from the walker. The mode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중앙제어부는 보행자의 상기 근육 상태신호의 시작값에 의해 상기 투 벨트 트레드밀의 상기 제 1 구동 모터 및 상기 제 2 구동 모터를 연속적으로 구동시키는 모드와; 보행자의 상기 근육 상태신호의 시작값과 상기 하지관절운동에 따른 각도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 1 구동 모터 및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entral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ntinuously drive the first drive motor and the second drive motor of the two belt treadmill by a start value of the muscle state signal of a pedestrian; And a mode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first driving motor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according to a start value of the muscle state signal of the pedestrian and angle data according to the lower leg joint motion.

상기 견인 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견인본체; 견인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크기어; 상기 래크기어와 기어결합되도록 상기 견인본체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 상기 래크기어에 고정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로드; 상기 견인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승강 구동 모터; 및, 상기 로드의 하단에 볼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되어 3차원으로 회전가능하며, 보행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와 연결되는 인체견인바;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owing unit includes a towing bod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 rack gear slidably installed in the towing body; A pinion gear mounted to the towing body so as to be geared with the rack gear; A rod fixed to the rack gear and moving up and down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A lift drive motor installed at the traction body to rotate the pinion gear; And a human tow bar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rod in a ball joint manner and rotatable in three dimensions and connected to a seat belt worn by a pedestrian.

본 발명에 따르면, 벨트 풀림방지부에 의해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가 벗겨져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can be prevented from coming off by the belt loosening prevention part.

또한, 제 1 회전축관 및 제 2 회전축관의 양측부가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가 제 1 및 제 2 회전축관으로부터 벗겨져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both side portions of the first rotating shaft tube and the second rotating shaft tube may be formed in a flange shape to prevent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from coming off from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shaft tubes.

또한, 제 1 고정축의 중간부가 지지핀에 의해 트레드밀 본체에 고정지지되므로 제 1 고정축의 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first fixed shaft is fixed to the treadmill body by the support pi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rpage of the first fixed shaft.

또한, 견인유닛에 의해 보행자가 넘어져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edestrian can prevent the pedestrian from falling and causing injury.

또한, 견인유닛의 로드가 상하로 이동가능하므로, 보행자의 낙상 예방 훈련시 재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od of the traction unit is movable up and dow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rehabilitation efficiency during the fall prevention training of pedestrian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투 벨트 트레드밀 및 이를 구비한 보행재활 훈련장치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중앙제어부와 벨트 지지판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측면커버와 모터커버를 제외한 투-벨트 트레드밀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표시된 I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에 표시된 II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낙상유발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중앙제어부의 제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8은 도 2의 제 1 및 제 2 회전축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wo-belt treadmill and a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separated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the belt support plate in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wo-belt treadmill except for the side cover and the motor cover in FIG.
4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I shown in FIG. 2;
5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II shown in FIG. 3;
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trol state of the fall induction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state of the central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first and second rotary shaft tubes of FIG. 2. FIG.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readily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another element, or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Also in the figures,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describing the following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explain and understand the invention in more detail.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of the invention which are commonly known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which are not high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in explaining the invention without caus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 벨트 트레드밀 및 이를 구비한 보행재활 훈련장치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two-belt treadmill and a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보행재활 훈련장치는 투 벨트 트레드밀(100), 지지프레임(200), 워커부(300), 견인 유닛(400),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wo belt treadmill 100, a support frame 200, a walker 300, a traction unit 400, and a controller 500. It include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투 벨트 트레드밀(100)은 트레드밀 본체(110), 제 1 구동 모터(150) 및 제 2 구동 모터(160), 좌측 컨베이어 벨트(171), 우측 컨베이어 벨트(172) 및 벨트 풀림방지부(180)를 포함한다. 1 to 3, the two belt treadmill 100 includes a treadmill body 110, a first drive motor 150 and a second drive motor 160, a left conveyor belt 171, a right conveyor belt 172. ) And the belt loosening prevention unit 180.

트레드밀 본체(110)는 후방이 개방된 "ㄷ"자 형상의 베이스 판넬(111)과, 상기 베이스 판넬(111)의 내부에 형성된 장착공간(112)에 설치되는 벨트 지지판(113)을 포함한다. The treadmill body 110 includes a “c” shaped base panel 111 having an open rear side, and a belt support plate 113 installed in a mounting space 112 formed in the base panel 111.

제 1 구동 모터(150) 및 제 2 구동 모터(160)는 스텝모터로 이루어지며, 제 1 구동 모터(150)는 베이스 판넬(111)의 전방부에 형성된 모터 지지판(114)의 좌측 상면에 고정설치된다. 다음으로, 제 2 구동 모터(160)는 제 1 구동 모터(150)를 감싸도록 모터지지판(114)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 하우징(115)의 우측 상면에 고정설치된다. 모터하우징(115)의 상부에는 제 1 구동 모터(150) 및 제 2 구동모터(160)가 설치된 베이스 판넬(111)의 전방부 전체를 덮도록 모터 커버(116)가 설치된다. The first driving motor 150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160 are formed of a step motor, and the first driving motor 150 is fixed to the upper left surface of the motor support plate 114 formed at the front of the base panel 111. Is installed. Next, the second drive motor 16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motor housing 115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tor support plate 114 to surround the first drive motor 150. The motor cover 116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tor housing 115 to cover the entire front portion of the base panel 111 on which the first driving motor 150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160 are installed.

좌측 컨베이어 벨트(171)는 모터 하우징(115)의 후방에 위치하고, 벨트 지지판(113)의 좌측부를 감싸도록 베이스 판넬(111)의 길이방향 즉 전후 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설치된다. 또한, 우측 컨베이어 벨트(172)는 모터 하우징(115)의 후방에 위치하고, 벨트 지지판(113)의 우측부를 감싸도록 베이스 판넬(111)의 길이방향 즉, 전후 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설치된다. The left conveyor belt 171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motor housing 115 and is horizontally installed to be rotat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anel 111 so as to surround the left side of the belt support plate 113. In addition, the right conveyor belt 172 is located behind the motor housing 115, and is installed horizontally rotat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anel 111, that is, the front-rear direction so as to surround the right side of the belt support plate 113. .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1,172)가 베이스 판넬(111)에 회전가능하기 위해서, 제 1 고정축(121)이 베이스 판넬(111)의 전방부의 양 측단을 연결하도록 고정 설치되고, 제 1 고정축(121)에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의 제 1 회전축관(123)이 제 1 고정축(121)에 삽입된다. 이 경우, 제 1 고정축(121)과 한 쌍의 회전축관(123)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되어, 한 쌍의 제 1 회전축관(123)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한 쌍의 제 1 회전축관(123)에는 좌측 컨베이어 벨트(171)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2)의 전단부가 감긴다. In order for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171 and 172 to be rotatable to the base panel 111, the first fixed shaft 121 is fixed to connect both side ends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panel 111, and the first fixed shaft ( A pair of first rotating shaft pipes 123 are inserted into the first fixed shaft 121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be rotatable in 121. In this case, a bearing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xed shaft 121 and the pair of rotary shaft tubes 123 to smoothly rotate the pair of first rotary shaft tubes 123. The pair of first rotary shaft tubes 123 is wound around the front ends of the left conveyor belt 171 and the right conveyor belt 172.

또한, 한 쌍의 제 2 고정축(125)이 베이스 판넬(111)에 결합된 "ㄷ"자 형상의 지지편(126) 내에 배치되고 나사부재(S)를 이용해 결합된다. 지지편(126)은 한 쌍의 제 2 고정축(125) 각각의 양끝단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한 쌍의 제 2 고정축(125) 각각에 회전가능하도록 한 쌍의 제 2 회전축관(127)이 한 쌍의 제 2 고정축(125)에 삽입된다. 이 경우, 한 쌍의 제 2 고정축(125)과 한 쌍의 제 2 회전축과(127) 사이에는 각각 베어링(B)이 설치되어, 한 쌍의 제 2 회전축관(127)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한 쌍의 제 2 회전축관(127)에는 좌측 컨베이어 벨트(171)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2)의 후단부가 감긴다. In addition, the pair of second fixed shaft 125 is disposed in the "c" shaped support piece 126 coupled to the base panel 111 and is coupled using the screw member (S). The support pieces 126 are installed to be disposed at both ends of each of the pair of second fixed shafts 125. A pair of second rotary shaft tubes 127 are inserted into the pair of second fixed shafts 125 so as to be rotatable on each of the pair of second fixed shafts 125. In this case, a bearing B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fixed shaft 125 and the pair of second rotary shafts 127, respectively, to smoothly rotate the pair of second rotary shaft tubes 127. do. The rear ends of the left conveyor belt 171 and the right conveyor belt 172 are wound around the pair of second rotating shaft tubes 127.

이 경우, 나사부재(S)를 일 또는 타 방향으로 돌리며 지지편(126) 내의 제 2 고정축(125)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나사부재(S)를 일 방향을 돌려, 제 2 고정축(125)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좌측 또는 우측 컨베이어 벨트(171,172)의 장력이 증가하고, 나사부재(S)를 타 방향을 돌려 제 2 고정축(124)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좌측 또는 우측 컨베이어 벨트(171,172)의 장력이 감소한다. In this case, the second fixing shaft 125 in the support piece 126 is moved while turning the screw member S in one or the other directions. Therefore, when the second fixing shaft 125 is moved backward by turning the screw member S in one direction, the tension of the left or right conveyor belts 171, 172 increases, and the screw member S is turned in the other direction. When the second fixed shaft 124 moves forward, the tension of the left or right conveyor belts 171 and 172 decreases.

좌측 컨베이어 벨트(171)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2)는 제 1 구동모터(150) 및 제 2 구동 모터(160)에 독립적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을 할 수 있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 left conveyor belt 171 and the right conveyor belt 172 may rotate forward and reverse independently of the first driving motor 150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160, and may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or opposite to each other. Can rotate in the direction of

제 1 구동 모터(150) 및 제 2 구동 모터(160)의 회전력은 각각 동력전달부재(155,165)에 의해 좌측 컨베이어 벨트(171)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2)로 전달될 수 있다.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driving motor 150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160 may be transmitted to the left conveyor belt 171 and the right conveyor belt 172 by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s 155 and 165, respectively.

상기 동력전달부재(155,165) 각각은, 구동풀리(156,166), 종동풀리(157,167) 및, 벨트부재(158,168)로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s 155 and 165 may include a driving pulley 156 and 166, a driven pulley 157 and 167, and a belt member 158 and 168.

구동풀리(156,166)는 제 1 구동 모터(150) 및 제 2 구동 모터(160)의 회전축에 축결합될 수 있다. The driving pulleys 156 and 166 may be axial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s of the first driving motor 150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160.

종동풀리(157,167)는 한 쌍의 제 1 회전축관(123)의 외측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The driven pulleys 157 and 167 may be axial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pair of first rotating shaft pipes 123, respectively.

벨트부재(158,168)는 각각 구동풀리(156,166), 종동풀리(157,167)의 외주연에 감겨져 제 1 구동 모터(150) 및 제 2 구동 모터(160)의 회전력을 각각 좌측 컨베이어 벨트(171)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2)로 전달할 수 있다. The belt members 158 and 168 ar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ies of the driving pulleys 156 and 166 and the driven pulleys 157 and 167, respectively,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driving motor 150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160 may be rotated on the left conveyor belt 171 and the right side, respectively. May be transferred to the conveyor belt 172.

본 발명은 베이스 판넬(111)의 전방부의 폭 중간에 제 1 브라켓(129)이 설치되고, 지지핀(130)이 제 1 브라켓(129)을 관통하여 제 1 브라켓(129)으로부터 연장되어 제 1 고정축(121)의 중간을 관통한다. 따라서, 보행자의 하중에 의해 제 1 고정축(121)의 중간부가 하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좌측 컨베이어 벨트(171)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2)의 회전 중심축이 편심되어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1,172)가 이동하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racket 129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width of the front of the base panel 111, the support pin 130 extends from the first bracket 129 through the first bracket 129, the first It penetrates the middle of the fixed shaft 121. Therefore,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first fixed shaft 12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ent downward by the pedestrian load, and the rotational center axes of the left conveyor belt 171 and the right conveyor belt 172 are eccentric to the left and the right conveyor. The belts 171 and 172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한편, 도 8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회전축관(123,127)은 각각의 양단부가 확장된 플랜지형상의 플랜지부(P)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회전축관(123,127)에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1,172)가 감긴 경우, 한 쌍의 플랜지부(P) 사이에 놓이게 되어,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1,172)가 회전하여도 제 1 및 제 2 회전축관(123,127)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는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8, the first and second rotary shaft tubes 123 and 127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flange portion P having a flange shape in which both ends thereof are extended. When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171 and 172 are woun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rotary shaft tubes 123 and 127, they are placed between the pair of flange portions P,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veyor belts 171 and 172 are rotated. And does not exit out of the second rotary shaft tubes 123 and 127.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벨트 풀림방지부(180)는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1,172)가 한 쌍의 제 1 회전축관(123) 및 한 쌍의 제 2 회전축관(127)으로부터 벗겨지는 벨트 풀림을 방지한다. 본 실시 예에서 벨트 풀림방지부(180)는 도 3과 같이, 트레드밀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4개의 롤러(183)를 포함한다. 각각의 롤러(183)는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1,172)의 전,후부의 바깥쪽 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다만, 본 실시 예의 롤러(183)는 4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1,172)의 후부의 바깥쪽 측면에 인접하도록 2개만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2 to 5, the belt loosening prevention unit 180 has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171 and 172 peeled off from the pair of first rotating shaft tubes 123 and the pair of second rotating shaft tubes 127. Prevent belt loosening. In this embodiment, the belt loosening prevention unit 180 includes four rollers 183 rotatably installed on the treadmill body 110 as shown in FIG. 3. Each roller 183 is disposed adjacent to the outer side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171, 172). However, four rollers 183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preferably installed, but only two rollers 183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rear of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171 and 172.

구체적으로, 벨트 풀림방지부(180)는 4개로 구성되며, 롤러케이싱(181) 및 롤러(183)를 포함한다. In detail, the belt loosening prevention unit 180 includes four, and includes a roller casing 181 and a roller 183.

롤러케이싱(181)은 사각 블록형상으로 형성되며, 벨트지지판(113)의 모서리에 형성된 장착홈(131)에 설치된다. 롤러케이싱(181)은 중앙에 롤러 삽입홈(181a)이 형성된다. The roller casing 181 is formed in a rectangular block shape and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groove 131 formed at the edge of the belt support plate 113. The roller casing 181 has a roller insertion groove 181a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롤러(183)는 외주방향을 따라 홈(183a)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롤러케이싱(181)의 상부로 홈(183a)이 노출되도록 삽입홈(181a)에 장착되어, 롤러케이싱(18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The roller 183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med with a groove 183a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s mounted to the insertion groove 181a so that the groove 183a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oller casing 181, and is mounted on the roller casing 181. I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이를 위해, 홈(183a)에 원통(184a)이 삽입되고, 롤러케이싱(181)의 상면에는 홈(183a)의 양측에 보조 원통(184b)이 배치된다. 롤러(183)는 상하 양쪽에 베어링(B2)를 설치하고, 원통(184a)의 상부에 배치한 후, 롤러케이싱(181)과 롤러(183)의 상하 방향 외측에 한 쌍의 지지편(185)을 설치하고, 3개의 볼트(186)를 원통(184a)과 보조 원통(184b)을 관통하도록 한 쌍의 지지편(185)을 서로 연결한다. To this end, the cylinder 184a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83a, and the auxiliary cylinder 184b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groove 183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ller casing 181. The roller 183 is provided with the bearings B2 on both sides of the top and bottom, and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er 184a, and then a pair of support pieces 185 on the outer side of the roller casing 181 and the roller 183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air of support pieces 18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three bolts 186 pass through the cylinder 184a and the auxiliary cylinder 184b.

본 실시 예에서의 벨트 풀림방지부(180)는 롤러케이싱(181)에 롤러(183)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서, 원통(184a), 보조 원통(184b), 지지편(185) 등의 구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좌측 컨베이어 벨트(171)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2)의 바깥쪽 측면에 인접할 수 있도록 롤러(183)가 롤러 케이싱(181)에 대해 회전가능하면 어떤 구조이든 무방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elt loosening prevention unit 180 is a structure for rotating the roller 183 in the roller casing 181 and includes a cylinder 184a, an auxiliary cylinder 184b, a support piece 185, and the like. Although made by, the roller 183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roller casing 181 to be adjacent to the outer side of the left conveyor belt 171 and the right conveyor belt 172 may be any structure.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벨트 풀림방지부(180)는 롤러(183)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롤러케이싱(181)을 장착홈(131)에서 이동시키는 롤러위치 조절부(190)를 구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elt loosening prevention unit 18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nstitute a roller position adjusting unit 190 for moving the roller casing 181 in the mounting groove 131 so that the position of the roller 183 is moved. .

롤러위치 조절부(190)는 롤러케이싱(181)이 장착홈(131) 내에서 좌/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롤러케이싱(181)을 관통하고 양측단이 장착홈(131) 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바(191)와, 롤러케이싱(181)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롤러케이싱(181)을 이동시키는 조절 바(193)를 포함한다. 이 경우, 베이스 판넬(111)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111a)에 6각 렌치 공구를 삽입하여 조절 바(193)에 형성된 6각 홈(193a)에 끼워, 조절 바(193)를 회전시킴으로써, 롤러케이싱(18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롤러(183)의 위치가 이동된다. The roller position adjusting unit 190 is a pair in which the roller casing 181 penetrates the roller casing 181 so that the roller casing 181 slides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in the mounting groove 131 and both ends thereof are fixed in the mounting groove 131. The sliding bar 191 and the roller casing 181 is screwed, and includes a control bar 193 for moving the roller casing 181 by rotation. In this case, the hexagonal wrench tool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1a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anel 111 and inserted into the hexagonal groove 193a formed in the adjustment bar 193, thereby rotating the adjustment bar 193. The roller casing 181 moves to the left or to the right, and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roller 183 is moved.

한편, 트레드밀 본체(1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베이스 판넬(111)의 좌우측면과, 벨트 풀림방지부(180)가 설치된 벨트 지지판(113)의 양측단 일부를 감싸도록 한 쌍의 측면커버(118)이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treadmill body 110, as shown in Figures 1 and 2, a pai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panel 111, and a pair of both ends of the belt support plate 113, the belt loosening prevention portion 180 is installed Side cover 118 is install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지프레임(200)은 내측 지지프레임(210)과 외측 지지프레임(250)을 포함한다. 1 and 2, the support frame 200 includes an inner support frame 210 and an outer support frame 250.

내측 지지프레임(210)은 내측 베이스 지지부(211), 내측 상향지지부(213), 상부판(215)을 포함한다. 내측 베이스 지지부(211)는 베이스 판넬(111)의 전방부를 감싸며, 지면에 수평으로 안착된다. 내측 상향지지부(213)는 베이스 지지부(210)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본 실시 예에서는 일정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부판(215)은 내측 상향지지부(213)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내측 상향지지부(213)의 양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14)가 구성될 수 있다. The inner support frame 210 includes an inner base support 211, an inner upward support 213, and an upper plate 215. The inner base support 211 surrounds the front portion of the base panel 111 and is horizontally seated on the ground. The inner upward support part 213 extends upward from the base support part 210, but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plate 215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upward support 213. Both sides of the inner upward support 213 may be a handle 214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by hand.

외측 지지프레임(250)은 투 벨트 트레드밀(100)을 감싸는 형상으로서, 외측 베이스 지지부(251), 외측 상향지지부(253), 손잡이부(255) 및, 보강지지부(257)를 포함한ㄷ. The outer support frame 250 has a shape surrounding the two belt treadmill 100, and includes an outer base support 251, an outer upward support 253, a handle 255, and a reinforcement support 257.

외측 베이스 지지부(251)는 내측 베이스 지지부(211)를 감싸도록 지면에 수평으로 안착된다. The outer base support part 251 is horizontally seated on the ground to surround the inner base support part 211.

외측 상향지지부(253)는 외측 베이스 지지부(251)로부터 상향연장되며,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outer upward support 253 extends upward from the outer base support 251 and is inclined backward.

손잡이부(255)는 외측 상향지지부(253)의 일정 높이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그 후단이 상기 외측 베이스 지지부(251)의 후단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The handle portion 255 extends rearward from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outer upward supporting portion 253, and a rea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outer base supporting portion 251.

보강지지부(257)는 외측 베이스 지지부(251)의 전단부 중앙부근과 외측 상향 지지부(253)의 상단부 중앙부근을 서로 연결하도록 일부가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reinforcement support part 257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art is bent so that the center part of the front end part of the outer base support part 251 and the center part of the upper end part of the outer upward support part 253 may mutually connect.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워커부(300)는 보행자를 지지하도록 착용되어 하지관절운동에 따른 각도 데이터 및 하지의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며, 각 하지 관절부에 설치되는 관절용 모터를 구비하는 동력 구동식 보행 보조기이다. 2 and 7, the walker 300 is worn to support the pedestrian, detects angle data and EMG signals of the lower limb joints, and includes a power motor having a joint motor installed at each lower limb joint. It is a driven walking aid.

구체적으로 워커부(300)는 보행자의 하지 즉, 족부,경골부, 대퇴부를 고정하기 위한 각각의 인체 지지부(311a,311b,311c,311d)와, 인체 지지부(311a,311b,311c,311d)들이 연결하여 상대적으로 상호 회전가능한 족관절부(313a), 슬관절부(313b) 및, 고관절부(313c)와, 각 관절부(312a,313b,313c)상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하지관절운동에 따른 각도 데이터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각도센서(321), 보행자의 하지근육으로부터 생성되는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근전도 센서(322), 보행자의 하지관절을 강제적으로 움직이도록 인체 지지부(311a,311b,311c,311d)를 회전시키는 관절 구동부(323)로 구성된다. 이때, 관절구동부(323)는 모터 또는 공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walker 300 includes the human body support parts 311a, 311b, 311c and 311d and the human body support parts 311a, 311b, 311c and 311d for fixing the lower part of the pedestrian, that is, the foot, the tibia and the thigh. It is installed on the joints 313a, knee joints 313b, and hip joints 313c, and the joints 312a, 313b, and 313c, which are relatively rotatabl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angle data according to the lower leg joint movement of the pedestrian is Angle sensor 321 to detect and output, EMG sensor 322 to detect and output the EMG signal generated from the muscles of the lower limbs of the pedestrian, human body support 311a, 311b, 311c, 311d to forcibly move the lower joints It consists of a joint drive unit 323 for rotating. At this time, the joint driving unit 323 may be composed of a motor or a pneumatic cylinder.

본 실시 예에서의 각도센서(312), 근전도 센서(322) 및, 관절 구동부(323)는 제어부(500)와 유무선 방식에 의해 연결되어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angle sensor 312, the EMG sensor 322, and the joint driver 323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0 by a wired or wireless method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500.

견인유닛(400)은 외측 상향 지지부(253)의 상단부 중앙에 후측으로 설치되어 보행자가 넘어져 부상입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견인 유닛(400)은 보행자를 상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raction unit 400 is installed to the rear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outer upward support (253) to prevent the pedestrian falls and injuries. The towing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tow the pedestrian upwards.

도 1, 도 2를 참조하면, 견인유닛(400)은 견인본체(401), 래크 기어(403), 피니언 기어(406), 승강 구동 모터(408), 로드(410), 인체견인바(412)를 포함한다. 1 and 2, the traction unit 400 is a traction body 401, rack gear 403, pinion gear 406, elevating drive motor 408, rod 410, human tow bar 412 ).

견인본체(401)는 외측 상향지지부(253)의 상단 중앙에 후측으로 설치된다. Traction body 401 is installed rearward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outer upward support (253).

래크 기어(403)는 견인 본체(400)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피니언 기어(406)는 래크 기어(403)에 기어 결합되도록 견인 본체(4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rack gear 403 is installed to the traction body 400 so as to be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inion gear 406 is rotatably mounted to the traction body 401 to be geared to the rack gear 403.

승강 구동 모터(408)는 견인 본체(401)의 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 구동 모터(408)의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406)에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The lift drive motor 408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traction body 401,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ift drive motor 408 is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to the pinion gear 406.

로드(410)는 래크기어(403)의 후측으로 결합되어, 레크기어(403)의 상하운동에 따라 연동한다. 로드(410)는 견인본체(401)의 하측으로 관통하여, 상하 운동에 따라, 견인 본체(401)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길이가 변한다. The rod 410 is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rack gear 403, and interlocks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ack gear 403. The rod 410 penetrates to the lower side of the towing main body 401, and the length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towing main body 401 varies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인체견인바(412)는 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중앙이 로드(410)의 하단과 볼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인체견인바(412)는 로드(410)에 대해 3차원적으로 회전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인체견인바(412)는 양 끝단에 한 쌍의 와이어(413)를 구비할 수 있다. 와이어(413)의 하단부는 원형 형상 등으로 봉제고정되어 수용부(413a)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413a)의 내부에는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혁대 등을 포함한 안전벨트의 일측이 수용된다. 따라서, 와이어(413)를 이용해 인체견인바(412)와 보행자가 착용한 안전벨트가 연결된다. 따라서, 인체견인바(412)가 상기 안전벨트를 지지함으로써 안전벨트를 착용한 보행자는 넘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훈련을 할 수 있다. Human tow bar 412 is formed in an arc shape, the center of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rod 410 in a ball joint manner. Therefore, the human tow bar 412 is able to rotate in three dimensions with respect to the rod 410. Human tow bar 412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wires 413 at both ends. The lower end of the wire 413 may be sewn and fixed in a circular shape or the like so that the accommodation portion 413a may be formed. One side of the seat belt including a belt that can be worn by the user is accommodated inside the accommodation portion 413a. Therefore, the human tow bar 412 and the seat belt worn by the pedestrian are connected using the wire 413. Therefore, the human tow bar 412 supports the seat belt so that the pedestrian wearing the seat belt can safely train without falling.

도 1,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낙상유발 제어부(510) 및 중앙 제어부(570)를 구비한다. 1, 2, 6, and 7, the controller 500 includes a fall induction controller 510 and a central controller 570.

도 1, 도 2, 도 6을 참조하면, 낙상 유발 제어부(510)는 상부판(215)의 상부면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1, 2, and 6, the fall-inducing control unit 510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215.

낙상 유발 제어부(510)는 전원공급부(5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 1 구동 모터(150) 및 제 2 구동 모터(160)의 순간 정역회전 속도를 달리하여 좌측 컨베이어 벨트(171)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2)를 보행 중인 보행자의 낙상을 유발시켜 보행자가 이에 대응하여 보행을 함으로써 보행자에게 낙상 예방 훈련을 시키게 된다. The fall-inducing control unit 510 receives th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511 to vary the instantaneous forward and reverse rotational speeds of the first driving motor 150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160 so that the left conveyor belt 171 and the right conveyor belt are different. It causes the fall of the pedestrian walking 172, and the pedestrian walks in response to the fall training.

낙상 유발 제어부(510)는 제 1 구동모터(150) 및 제 2 구동 모터(160)의 순간 회전 속도의 차를 조절하는 낙상유발강도 조작부(513)을 구비할 수 있다. The fall-inducing control unit 510 may include a fall-inducing strength control unit 513 that adjusts a difference between instantaneous rotational speeds of the first driving motor 150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160.

낙상유발강도 조작부(170)는 낙상유발제어부(510)상에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식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fall induction strength operation unit 170 may be provided on the fall induction control unit 510 in various ways such as a push button or a dial button.

사용자가 낙상유발강도 조작부(513)를 '강'으로 설정한 경우 제 1 구동 모터(150)와 제 2 구동 모터(160)의 수간 회전 속의 차이값은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좌측 컨베이어 벨트(171)와 우측 컨베이어 벨트(172)를 보행중인 보행자에게 급격한 낙상이 유발되어 보행자가 고강도의 낙상예방훈련을 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user sets the fall-induced strength control unit 513 to 'strong',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rotations of the first driving motor 150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160 increases, and thus the left conveyor belt 171 ) And a rapid fall is caused to the pedestrian walking the right conveyor belt 172, so that the pedestrian can perform a high strength fall prevention training.

사용자가 낙상유발강도 조작부(513)를 '약'으로 설정한 경우 제 1 구동 모터(150) 및 제 2 구동 모터(160)의 순간 회전속도의 차이값은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좌측 컨베이어 벨트(171)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2)를 보행 중인 보행자에게 완만한 낙상이 유발되어 보행자가 저강도의 낙상예방훈련을 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user sets the fall-induced strength control unit 513 to 'weak',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stantaneous rotational speeds of the first driving motor 150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160 becomes small, and thus, the left conveyor belt A gentle fall is caused to the pedestrian walking 171 and the right conveyor belt 172, so that the pedestrian can perform the fall prevention training of low intensity.

아울러, 낙상유발강도 조작부(513)의 조작에 따라, 낙상유발제어부(510)는 제 1 구동 모터(150) 및 제 2 구동모터(160)를 서로 반대되게 회전시켜 좌측 컨베이어 벨트(171)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2)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하여 낙상이 유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행자가 낙상예방훈련을 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all induction strength operation unit 513, the fall induction control unit 510 rotates the first drive motor 150 and the second drive motor 160 to be opposite to each other to the left conveyor belt 171 and the right. Falling may be caused by causing the conveyor belt 172 to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hereby allowing pedestrians to perform fall prevention training.

제 1 구동 모터(150) 및 제 2 구동 모터(160)의 순간 회전 속도의 차를 조절하는 낙상 유발강도 조작부(513)의 강도에 따라 낙상 유발 제어부(510)가 제 1 구동 모터(150) 및 제 2 구동 모터(160)를 제어하므로,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1,172)를 보행하는 보행자에게 높은 효율로 낙상예방훈련을 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fall-induced strength manipulation unit 513 for adjus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stantaneous rotational speeds of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150 and 160, the fall-induced control unit 51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150 and 150. Since the second drive motor 160 is controlled, the fall prevention training can be performed with high efficiency to the pedestrian walking on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171 and 172.

좌측 컨베이어 벨트(171)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2)에는 보행자가 좌측 컨베이어 벨트(171) 및 우측 컨베이어(172) 벨트를 보행하면서 좌측 컨베이어 벨트(171)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2)에 가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540)가 구비될 수 있다. 낙상유발제어부(510)는 압력센서(540)로부터 출력되는 압력을 통해 보행자의 하중을 산출할 수 있다. The left conveyor belt 171 and the right conveyor belt 172 measur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left conveyor belt 171 and the right conveyor belt 172 while the pedestrian walks the left conveyor belt 171 and the right conveyor 172 belt. A pressure sensor 540 may be provided. The fall trigger controller 510 may calculate the load of the pedestrian through the pressure output from the pressure sensor 540.

아울러, 낙상유발제어부(510)는 보행주기 연산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ll trigger controller 510 may include a walking cycle calculator 550.

압력센서(540)가 측정한 보행자가 좌측 컨베이어 벨트(171)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2)에 가하는 압력 측정값은 낙상유발제어부(510)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essure measurement value applied by the pedestrian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540 to the left conveyor belt 171 and the right conveyor belt 172 may be output to the fall trigger controller 510.

보행주기 연산부(550)는 압력센서(190)가 측정한 보행자가 좌측 컨베이어 벨트(171)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2)에 가하는 압력 측정값을 근거로 보행자의 보행주기를 연산하여 수치화할 수 있다. The walking cycle calculator 550 may calculate and quantify the walking cycle of the pedestrian based on the pressure measurement values applied by the pedestrian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190 to the left conveyor belt 171 and the right conveyor belt 172.

낙상유발제어부(510)는 보행주기 연산부(550)의 연산값을 보강 지지부(257)에 설치된 제 1 디스플레이부(560)에 출력하게 된다. The fall trigger controller 510 outputs the calculated value of the walking period calculator 550 to the first display unit 560 installed in the reinforcement supporter 257.

제 1 디스플레이부(560)는 낙상유발제어부(510)의 제어에 의해 보행주기 연산부(550)의 연산값을 문자, 숫자 등으로 화면 출력하게 된다. The first display unit 560 outputs the calculation value of the walking period operation unit 550 as letters, numbers, or the like under the control of the fall trigger controller 510.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1,172)를 보행중인 보행자는 제 1 디스플레이부(560)를 통해 보행자 본인의 보행주기를 육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A pedestrian walking on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171 and 172 can easily check the walking cycle of the pedestrian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560 with the naked eye.

도 1, 도 2, 도 7을 참조하면, 중앙 제어부(570)는 워커부(300)의 각도 센서(321), 근전도 센서(322)로부터 출력되는 근전도 신호 및 각도 데이터를 입력받고, 투 벨트 트레드밀(100)의 제 1 구동 모터(150) 및 제 2 구동 모터(160)와 워커부(300)의 관절 구동부(323)를 구동시키도록 제어한다. 1, 2, and 7, the central controller 570 receives an EMG signal and angle data output from the angle sensor 321 and the EMG sensor 322 of the worker unit 300, and the two belt treadmill. The first driving motor 150, the second driving motor 160, and the joint driving unit 323 of the walker 300 are controlled to be driven.

중앙제어부(570)는 도 1과 같이, 투벨트 트레드밀(100)의 우측방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central control unit 570 may be installed to be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two-belt treadmill 100, as shown in FIG.

중앙 제어부(570)는 보행재활 훈련과 관련된 다양한 운전모드를 설정하는 보행 재활훈련모드 조작부(572)를 구비할 수 있다. The central control unit 570 may include a walking rehabilitation mode operation unit 572 for setting various driving modes related to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보행재활 훈련모드 조작부(572)는 중앙 제어부(570) 상에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식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mode operation unit 572 may be provided on the central control unit 570 in various ways such as a push button or a dial button.

사용자가 보행재활 훈련모드 조작부(572)를 '제 1 모드'로 설정한 경우, 중앙 제어부(570)는 투-벨트 트레드밀(100)의 속도, 회전방향 및 운전모드에 따라 워커부(300)를 동기화하여 구동한다. 즉, 좌측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171,172)의 속도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워커부(300)의 관절 구동부(323)를 제어한다. When the user sets the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mode operation unit 572 to the 'first mode', the central control unit 570 may operate the worker unit 300 according to the speed, rotation direction, and driving mode of the two-belt treadmill 100. Drive in synchronization. That is, the joint driving unit 323 of the walker 300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peed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conveyor belts 171 and 172.

사용자가 보행재활 훈련모드 조작부(572)를 '제 2 모드'로 설정한 경우, 워커부(300)의 각도센서(321)에서 출력된 각도값에 따라 투-벨트 트레드밀(100)의 제 1 구동 모터(150) 및 제 2 구동모터(160)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user sets the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mode operation unit 572 to the 'second mode', the first driving of the two-belt treadmill 100 according to the angle value output from the angle sensor 321 of the worker unit 300. The motor 150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160 are controlled to be driven.

이 경우, 중앙제어부(570)가 워커부(300)의 관절구동부(323)를 구동시켜 강제적으로 워커부(300)에 의한 강제보행훈련을 실시할 경우, 워커부(300)의 각도센서(321)에서 출력된 각도값에 따라 투-벨트 트레드밀(100)의 제 1 구동 모터(150) 및 제 2 구동모터(160)를 제어한다. In this case, when the central control unit 570 drives the joint driving unit 323 of the worker unit 300 to perform forced walking training by the worker unit 300, the angle sensor 321 of the worker unit 300 is used. The first drive motor 150 and the second drive motor 160 of the two-belt treadmill 100 ar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angle value output from

사용자가 보행재활 훈련모드 조작부(572)를 '제 3 모드'로 설정한 경우, 워커부(300)의 근전도센서(322)로부터 출력되는 근전도 신호값에 따라 투-벨트 트레드밀(100)의 제 1 구동 모터(150) 및 제 2 구동모터(160)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user sets the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mode operation unit 572 to the 'third mode', the first of the two-belt treadmill 100 according to the EMG signal value output from the EMG sensor 322 of the worker unit 300. The driving motor 150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160 are controlled to be driven.

보행자가 본인의 의지 즉, 자의적인 움직임으로 통한 보행재활 훈련을 실시할 경우, 중앙 제어부(570)가 워커부(300)의 근전도 센서(322)로부터의 근전도 신호 즉 근육 상태 신호에 따라, 투-벨트 트레드밀(100)의 제 1 구동 모터(150) 및 제 2 구동모터(160)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pedestrian performs the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through his / her will, that is, arbitrary movement, the central control unit 570, according to the EMG signal from the EMG sensor 322 of the worker unit 300, that is, the muscle state signal, The first driving motor 150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160 of the belt treadmill 100 are controlled to be driven.

이 경우, 중앙 제어부(570)는 근전도 센서(322)로부터 출력되는 근전도 신호의 스타트 신호(초기신호)를 감지하여 투-벨트 트레드밀(100)의 제 1 구동 모터(150) 및 제 2 구동모터(160)를 연속적으로 구동시키거나, 근전도 센서(322)로부터 출력되는 근전도 신호의 스타트 신호(초기신호)와 각도센서(321)의 각도값에 따라 투-벨트 트레드밀(100)의 제 1 구동 모터(150) 및 제 2 구동모터(160)를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entral control unit 570 detects the start signal (initial signal) of the EMG signal output from the EMG sensor 322 and detects the first drive motor 150 and the second drive motor of the two-belt treadmill 100. The first driving motor of the two-belt treadmill 100 may be driven continuously or according to the start signal (initial signal) of the EMG signal output from the EMG sensor 322 and the angle value of the angle sensor 321. 150 may be controlled to drive the second driving motor 160.

한편, 중앙 제어부(570)는 투-벨트 트레드밀(100)을 통한 낙상예방훈련시, 워커부(300)의 각도센서(321)로부터 출력되는 각도값을 입력받아 낙상이라고 판단되는 신호값을 받을 시, 보행자의 넘어짐을 방지하도록 견인유닛(400)의 로드(410)가 상승하도록 승강구동모터(408)를 제어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control unit 570 when the fall prevention training through the two-belt treadmill 100, when receiving the signal value that is determined to fall by receiving the angle value output from the angle sensor 321 of the worker unit 300 Controls the lifting driving motor 408 to raise the rod 410 of the towing unit 400 to prevent the pedestrian from falling.

한편, 상기 각각의 보행재활 훈련모드에서 생성되는 수치들은 중앙제어부(570)의 상측에 형성된 제 2 디스플레이부(574)를 통해서 육안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보행자의 보행재활훈련을 참관하는 의사,간호사 및 재활치료사와 같은 트레이너들은 제 2 디스플레이부(574)를 확인하여 훈련에 따른 객관적인 훈련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numerical values generated in each of the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mode can be checked with the naked eye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574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control unit 570. In this case, trainers such as doctors, nurses and rehabilitation therapists who observe pedestrian rehabilitation training may check the second display unit 574 to recognize objective train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raining.

100...투-벨트 트레드밀
110...트레드밀 본체
111...베이스 판넬
111a...관통공
112...장착공간
113...벨트지지판
114...모터지지판
115...모터 하우징
116...모터커버
121...제 1 고정축
123...제 1 회전축관
125...제 2 고정축
127...제 2 회전축관
129...제 1 브라켓
130...지지핀
131...장착홈
150,160...제1구동모터, 제2구동모터
155,165...구동 풀리
157,167...종동 풀리
158,168...벨트 부재
171...좌측 컨베이어 벨트
172...우측 컨베이어 벨트
180...벨트 풀림방지부
181...롤러케이싱
181a...롤러 삽입홈
183...롤러
184a...원통
184b...보조원통
185...지지편
186...볼트
190...롤러 위치조절부
191...슬라이딩 바
193...조절 바
193a...6각 홈
200...지지 프레임
210...내측 지지프레임
211...내측 베이스 지지부
213...내측 상향 지지부
214...손잡이
215...상부판
250...외측 지지프레임
251...외측 베이스 지지부
253...외측 상향 지지부
255...손잡이 부
257...보강 지지부
300...워커부
311a~311d...인체지지부들
313a...족관절부
313b...슬관절부
313c...고관절부
321...각도 센서
322...근전도 센서
323...관절 구동부
400...견인유닛
401...견인본체
403...래크기어
406...피니언기어
408...승강구동모터
410...로드
412...인체 견인바
500...제어부
510...낙상유발제어부
511...전원공급부
513...낙상유발 강도조작부
540...압력센서
550...보행주기연산부
560...제1디스플레이부
570...중앙제어부
572...보행재활훈련모드 조작부
100 ... two-belt treadmill
110.Treadmill body
111.Base panel
111a ... through-through
112 ... mounting space
113 Belt Support Plate
114.Motor support plate
115 ... motor housing
116 ... motor cover
121 ... the first fixed shaft
123 ... the first rotary tube
125 ... 2nd fixed shaft
127 ... 2nd rotating shaft pipe
129 ... Bracket 1
130 ... support pin
131.Mounting groove
150,160 ... 1st drive motor, 2nd drive motor
155,165 ... drive pulley
157,167 ... Following pulley
158,168 belt part
171 left conveyor belt
172.Right Conveyor Belt
180 ... belt loosening
181 ... roller casing
181a ... Roller Insertion Groove
183 ... roller
184a ... cylinder
184b ... Secondary cylinder
185.
186 ... bolt
190 ... Roller Position Adjuster
191 Sliding Bar
193.Adjustment bar
193a ... hexagonal groove
200 ... support frame
210 ... inner support frame
211 ... Inner Base Support
213.Inner upward support
214 ... handle
215 ... top plate
250 ... outer support frame
251.Outer base support
253.Outer upward support
255.Handle
257 Reinforcement Support
300 ... Walker
311a ~ 311d ... Human Supports
313a ... ankle joint
313b ... Knee joint
313c ... hip joint
321 ... angle sensor
322 ... EMG sensor
323 ... Joint drive
400 ... towing unit
401 Towing
403 ... Gear Gear
406 Pinion Gear
408 ... lift drive motor
410 ... load
412.Human Traction Bar
500 ... control unit
510.Fall induction control unit
511 Power supply
513.Fall induction strength control unit
540 ... pressure sensor
550 ... Walking cycle calculator
560 ... First display unit
570 Central control unit
572 ... Walking Rehabilitation Mode Control Panel

Claims (17)

트레드밀 본체;
상기 트레드밀 본체에 좌우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제 1 구동 모터 및 제 2 구동 모터;
상기 트레드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구동 모터 및 상기 제 2 구동 모터에 의해 각각 회전하는 좌측 컨베이어 벨트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
상기 트레드밀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좌측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우측 컨베이어 벨트의 벗겨짐을 방지하는 벨트 풀림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벨트 트레드밀.
Treadmill body;
A first driving motor and a second driving motor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eadmill body;
A left conveyor belt and a right conveyor belt rotatably installed on the treadmill body and respectively rotated by the first drive motor and the second drive motor;
And a belt loosening prevention part installed on the treadmill body to prevent peeling of the left conveyor belt and the right conveyor bel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모터 및 상기 제 2 구동모터를 순간 회전속도를 달리하여 보행자의 낙상을 유발하여 보행자에게 낙상예방훈련을 시키는 낙상유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벨트 트레드밀.
The method of claim 1,
And a fall-inducing control unit for causing the pedestrian to fall by causing the fall of the pedestrian by changing the instantaneous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drive motor and the second drive mot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구동 모터 및 상기 제 2 구동 모터를 각각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하여 상기 좌측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우측 컨베이어 벨트를 독립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벨트 트레드 밀.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s a two-belt tread mill, characterized in that for driving the first drive motor and the second drive motor forward or reverse rotation respectively independently the forward or reverse rotation of the left conveyor belt and the right conveyor bel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풀림방지부는, 상기 좌측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우측 컨베이어의 벨트의 바깥쪽 측면과 접하도록 상기 트레드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벨트 트레드밀.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belt loosening prevention part includes at least one pair of rollers rotatably installed on the treadmill body so as to contact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belts of the left conveyor belt and the right conveyo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롤러는 상기 좌측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우측 컨베이어 벨트의 전, 후부의 바깥쪽 측면에 두 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벨트 트레드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t least one pair of rollers is a two-belt treadmill, characterized in that two pairs are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front and rear of the left conveyor belt and the right conveyor bel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상기 벨트 풀림방지부를 이동시키는 롤러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벨트 트레드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wo-belt treadmill further comprises a roller position adjusting unit for moving the belt release preventing portion to move the position of the pair of roll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우측 컨베이어 벨트에 설치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벨트 트레드밀.
The method of claim 1,
And a pressure sensor mounted on the left conveyor belt and the right conveyor bel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좌측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우측 컨베이어 벨트의 전, 후방에 각각 2개 이상이 설치되고,
상기 압력센서의 신호에 의해 보행주기를 연산하는 보행주기 연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벨트 트레드밀.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t least two pressure sensors are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left conveyor belt and the right conveyor belt, respectively.
A two-belt treadmil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alking cycl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walking cycle by the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밀 본체의 전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드밀 본체의 양 측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제 1 고정축,
상기 제 1 고정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좌측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우측 컨베이어 벨트의 전단부가 감기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 1 회전축관;
상기 트레드밀 본체 전방부의 폭 중간에 설치되는 제 1 브라켓; 및,
상기 제 1 브라켓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고정축을 관통하는 지지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벨트 트레드밀.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fixed shaft installed at a front portion of the treadmill body and installed to connect both side ends of the treadmill body,
A pair of first rotating shaft tub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be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rst fixed shaft and to which front ends of the left conveyor belt and the right conveyor belt are wound;
A first bracket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width of the front of the treadmill body; And,
And a support pin extending from the first bracket and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fixed shaf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밀 본체의 후방부의 폭 중간에 설치되는 지지편;
상기 트레드밀 본체의 일측과 상기 지지편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지지편과 상기 트레드밀 본체의 타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 2 고정축; 및,
상기 한 쌍의 제 2 고정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좌측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우측 컨베이어 벨트의 후단부가 각각 감기는 한 쌍의 제 2 회전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벨트 트레드밀.
The method of claim 9,
A support piece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width of the rear portion of the treadmill body;
A pair of second fixed shafts installed to connect one side of the treadmill body and the support piece, and installed to connect the support piece and the other side of the treadmill body; And,
And a pair of second rotating shaft pipe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pair of second fixed shafts, the rear ends of the left conveyor belt and the right conveyor belt respectively being wound around the pair of second fixed shafts.
제 9 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축 및 상기 한 쌍의 제 2 고정축은
양 끝단이 확장된 플랜지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벨트 트레드밀.
The method of claim 9 or 10,
The first fixed shaft and the pair of second fixed shaft
A two-belt treadmill,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are formed in an extended flange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모터 및 상기 제 2 구동 모터는 스텝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 벨트 트레드밀.
The two-belt treadmill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drive motors comprise a step motor.
트레드밀 본체와, 상기 트레드밀 본체에 좌우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제 1 구동 모터 및 제 2 구동 모터와, 상기 트레드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구동 모터 및 상기 제 2 구동 모터에 의해 각각 회전하는 좌측 컨베이어 벨트 및 우측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트레드밀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좌측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우측 컨베이어 벨트의 벗겨짐을 방지하는 벨트 풀림방지부;를 포함하는 투 벨트 트레드밀;
보행자를 지지하도록 착용되어 하지관절운동에 따른 각도 데이터 및 하지의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며, 각 하지 관절부에 설치되는 관절 구동부를 구비하는 워커부;
상기 투 벨트 트레드밀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행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구비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넘어져 부상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보행자의 인체를 상하 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는 견인유닛; 및,
상기 워커부, 상기 제 1 구동 모터 및 상기 제 2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보행재활 훈련장치.
A treadmill body, a first drive motor and a second drive motor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readmill body, respectively, and a left side rotatably installed on the treadmill body to rotate by the first drive motor and the second drive motor, respectively. A two-belt treadmill including a conveyor belt and a right conveyor belt, and a belt unwinding part installed on the treadmill body to prevent peeling of the left conveyor belt and the right conveyor belt;
A walker unit which is worn to support a pedestrian and detects angular data and EMG signals of the lower limb according to the lower limb joint movement, and includes a joint driving unit installed at each lower limb joint;
A support frame installed to surround the two-belt treadmill and having a handle to be gripped by the pedestrian;
A traction unit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to pull the pedestrian in a vertical direction to prevent the pedestrian from falling and injuring himself; And,
And a centr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alker, the first driving motor,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투 트레드밀의 속도, 회전방향 및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워커부를 동기화 하여 구동하는 모드; 및,
상기 워커부의 출력각도에 따라 상기 투 벨트 트레드밀을 구동하는 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재활 훈련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entral control unit,
A mode for driving the walker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peed, rotation direction, and operation mode of the two treadmill; And,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de for driving the two belt treadmill according to the output angle of the walker.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보행자의 자의에 의해 작동하는 과정으로서 상기 워커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근전도와 같은 상기 보행자의 근육 상태신호에 따라 상기 투 벨트 트레드밀의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 2 모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재활 훈련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central control unit
The first step and the second motor of the two-belt treadmill according to the muscle state signal of the pedestrian, such as the EMG output from the walker, the process of operating by the pedestrian's own mode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보행자의 근육 상태신호의 시작값에 의해 상기 투 벨트 트레드밀의 상기 제 1 구동 모터 및 상기 제 2 구동 모터를 연속적으로 구동시키는 모드;와
상기 보행자의 근육 상태신호의 시작값과 상기 하지관절운동에 따른 각도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 1 구동 모터 및 상기 제 2 구동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재활 훈련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central control unit
A mode for continuously driving the first drive motor and the second drive motor of the two belt treadmill by a start value of the muscle state signal of the pedestrian; and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mod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first drive motor and the second drive motor in accordance with the start value of the muscle state signal of the pedestrian and the lower leg joint motion;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견인본체;
상기 견인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크기어;
상기 래크기어와 기어결합되도록 상기 견인본체에 설치된 피니언 기어;
상기 래크기어에 고정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로드;
상기 견인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승강 구동 모터; 및,
상기 로드의 하단에 볼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되어 3차원으로 회전가능하며, 보행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와 연결되는 인체견인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재활 훈련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towing unit
Towing bod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 rack gear slidably mounted to the traction body;
A pinion gear mounted to the towing body so as to be geared with the rack gear;
A rod fixed to the rack gear and moving up and down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A lift drive motor installed at the traction body to rotate the pinion gear; And,
Walking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comprising a; a human towing ba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rod is rotatable in three dimensions and connected to the seat belt worn by pedestrians.
KR1020110048033A 2011-05-20 2011-05-20 Two-belt treadmill and walking tran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13271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033A KR101327178B1 (en) 2011-05-20 2011-05-20 Two-belt treadmill and walking traning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033A KR101327178B1 (en) 2011-05-20 2011-05-20 Two-belt treadmill and walking traning devic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651A true KR20120129651A (en) 2012-11-28
KR101327178B1 KR101327178B1 (en) 2013-11-06

Family

ID=4751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033A KR101327178B1 (en) 2011-05-20 2011-05-20 Two-belt treadmill and walking traning devi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178B1 (en)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018B1 (en) * 2013-04-17 2014-06-18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Pelvis harness for reducing weigh load
KR20160102625A (en) 2015-02-23 2016-08-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Training walk apparatus of providing virtual reality with haptics
KR20160104934A (en) 2015-02-27 2016-09-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Training walk apparatus of providing urgent stop function based on recognizing user information
US9555276B2 (en) 2013-03-13 2017-01-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having lateral entry mechanism and lateral entry method using the same
WO2018014558A1 (en) * 2016-07-18 2018-01-25 广东铭凯医疗机器人有限公司 Physical therapy support robot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20180045575A (en) * 2016-10-26 2018-05-04 에이치엠에이치 주식회사 Gait training apparatus
CN108525201A (en) * 2018-03-13 2018-09-14 上海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External safety system device based on lower limb rehabilitation robot
KR20220008976A (en) * 2020-07-14 2022-01-2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training gait correction of real time interaction and training gait corre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11412709B2 (en) 2019-11-21 2022-08-16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deodorizer
US11503807B2 (en) 2019-11-21 2022-11-22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fragrance assembly
US11503808B2 (en) 2019-11-22 2022-11-22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for treadmill based on sensors
US11510394B2 (en) 2019-11-22 2022-11-29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nd storable treadmill having handle
US11510395B2 (en) 2019-11-22 2022-11-29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for treadmill
US11559041B2 (en) 2019-11-22 2023-01-2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sensors
US11565146B2 (en) 2019-11-21 2023-01-31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adjustable inclination
US11576351B2 (en) 2019-11-21 2023-02-1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US11576352B2 (en) 2019-11-21 2023-02-1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sterilizer
US11691046B2 (en) 2019-11-21 2023-07-0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two bel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558B1 (en) * 2015-03-12 2015-12-22 허민 Treadmill for fall induction and fall induction method
CN105999622B (en) * 2016-06-27 2017-12-15 许昌学院 A kind of Rehabilitation walking trainer and its training method
KR101887878B1 (en) 2016-09-19 2018-08-13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 disability
KR101912320B1 (en) 2016-10-17 2018-10-26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 disability including virtual reality platform
KR101912343B1 (en) 2016-10-17 2018-10-26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severe disability including a wearable sensor
KR101965050B1 (en) 2017-03-23 2019-04-0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measuring function of pedestrian based on vertual reality
KR102249163B1 (en) 2018-11-29 2021-05-07 한국로봇융합연구원 Multi-belt treadmill for fall representation
KR102263988B1 (en) 2019-10-08 2021-06-10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walking rehabilitation apparatus
KR102282205B1 (en) 2019-10-25 2021-07-29 (주)에스앤에스연구소 walking rehabilitation device with improved cognitive ability
KR102588891B1 (en) 2021-06-29 2023-10-13 (재)예수병원유지재단 Apparatus for therapeutic exercise based on treadmill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8489A (en) * 1993-12-17 1996-07-23 Magid; Sidney H. Walker apparatus with left and right foot belts
KR100343630B1 (en) * 1999-09-21 2002-07-19 임정수 A treadmill which can be driven in both directions
KR20080026235A (en) * 2006-09-20 2008-03-25 마기형 A dual treadmill with separated adjacent dual belts and its control process
KR100976180B1 (en) * 2008-03-31 2010-08-17 주식회사 피앤에스미캐닉스 robot for walking training and working method thereof
KR20110107420A (en) * 2010-03-25 2011-10-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all prevention and walking training system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55276B2 (en) 2013-03-13 2017-01-3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Gait rehabilitation apparatus having lateral entry mechanism and lateral entry method using the same
KR101409018B1 (en) * 2013-04-17 2014-06-18 주식회사 싸이버메딕 Pelvis harness for reducing weigh load
KR20160102625A (en) 2015-02-23 2016-08-3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Training walk apparatus of providing virtual reality with haptics
KR20160104934A (en) 2015-02-27 2016-09-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Training walk apparatus of providing urgent stop function based on recognizing user information
US11160715B2 (en) 2016-07-18 2021-11-02 Chunbao WANG Support rehabilitation training robo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18014558A1 (en) * 2016-07-18 2018-01-25 广东铭凯医疗机器人有限公司 Physical therapy support robot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20180045575A (en) * 2016-10-26 2018-05-04 에이치엠에이치 주식회사 Gait training apparatus
CN108525201A (en) * 2018-03-13 2018-09-14 上海电气集团股份有限公司 External safety system device based on lower limb rehabilitation robot
US11691046B2 (en) 2019-11-21 2023-07-0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two belts
US11412709B2 (en) 2019-11-21 2022-08-16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deodorizer
US11503807B2 (en) 2019-11-21 2022-11-22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fragrance assembly
US11576352B2 (en) 2019-11-21 2023-02-1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sterilizer
US11565146B2 (en) 2019-11-21 2023-01-31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adjustable inclination
US11576351B2 (en) 2019-11-21 2023-02-1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US11510394B2 (en) 2019-11-22 2022-11-29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nd storable treadmill having handle
US11559041B2 (en) 2019-11-22 2023-01-2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sensors
US11510395B2 (en) 2019-11-22 2022-11-29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for treadmill
US11503808B2 (en) 2019-11-22 2022-11-22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for treadmill based on sensors
KR20220008976A (en) * 2020-07-14 2022-01-2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training gait correction of real time interaction and training gait correction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7178B1 (en)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178B1 (en) Two-belt treadmill and walking traning device having the same
CN106137489B (en) Interactive ectoskeleton knee joint machine system
KR101453482B1 (en) Harness system using of pressure feedback function and training system for gait rehabilitation
KR100795195B1 (en) A rehabilitation machine
KR101384988B1 (en) System and method of robotic gait training
KR102014162B1 (en) Monitoring system of walking balance for lower limb rehabilitation
US7322904B2 (en) Lower limb function training device
JP5075777B2 (en) Rehabilitation equipment
US7927257B2 (en) Assisted stair training machine and methods of using
CA2828420C (en) Gait training device and gait training system
KR100907425B1 (en) Leg rehabilitation apparatus
KR100612031B1 (en) Tendon-driven power assisting orthosis and control method its
US7641591B2 (en) Lower limb function training device
KR101064891B1 (en) Gait Training System of Hemiplegic Patients
KR20160024110A (en) Legs rehabilitation robot capable of movable gait training and stationary gait training
KR20180010838A (en) Training system for leg rehabilitation having saparated treadmil with ambulant staircase function
KR20190056592A (en) Ankle Assist Apparatus
KR101234139B1 (en) Weight adjustable treadmill
KR20170111849A (en)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for Lower Limb
JP2004337275A (en) Walk training apparatus
CN106974797A (en) A kind of gait rehabilitation trainer
CN211273391U (en) Utilize recovered fitness equipment of upper limbs pulling force supplementary low limbs exercise
KR100391830B1 (en) Welfare Robotic System for the Rehabilitation Training of the people with disability for bipedal walking
WO2009150854A1 (en) Device for training range of joint motion
JP4802336B2 (en) Gravity load exerci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