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043A - Merchandise sales method of goods in the off-line shop using on-line - Google Patents

Merchandise sales method of goods in the off-line shop using on-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7043A
KR20230067043A KR1020210152697A KR20210152697A KR20230067043A KR 20230067043 A KR20230067043 A KR 20230067043A KR 1020210152697 A KR1020210152697 A KR 1020210152697A KR 20210152697 A KR20210152697 A KR 20210152697A KR 20230067043 A KR20230067043 A KR 20230067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resource server
terminal
code
s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6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철훈
Original Assignee
양철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철훈 filed Critical 양철훈
Priority to KR1020210152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7043A/en
Publication of KR20230067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04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공급자단말이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의 쇼핑몰 사이트에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등록하는 단계(S1); 상기 상품공급자단말이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의 쇼핑몰 사이트에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 내역을 등록하면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는 상품코드를 판매자 단말에 부여하는 단계(S2); 상기 부여된 상품코드를 판매자가 판매홍보를 원하는 동영상에 노출하는 단계(S3); 상기 동영상에 노출된 상품코드를 구매자가 상품구매자단말을 통해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에 입력하는 단계(S4); 상기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는 상기 상품코드와 매칭되는 상품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S5); 상기 상품코드에 해당하는 상품이 존재하면 해당상품의 직접 구매가 가능한 판매창을 상품구매자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노출하는 단계(S6); 구매자는 상품구매자단말을 통해 해당 상품을 구매하는 단계(S7);로 이루어지는 바코드를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판매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인터넷 동영상매체를 이용하여 직접 해당 상품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유튜브나 SNS 같은 인터넷 동영상매체를 이용해서 개인 홈쇼핑방송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product supplier terminal connecting to a product resource server of a product and registering a product to be sold in a shopping mall site of the product resource server (S1); When the product supplier terminal registers details of a product to be sold in the shopping mall site of the product resource server, the product resource server assigns a product code to the seller terminal (S2); exposing the assigned product code to a video for which the seller wants to promote sales (S3); Step (S4) of the purchaser inputting the product code exposed in the video into the product resource server of the product through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The product resource server of the product confirms whether a product matching the product code exists (S5); If there is a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code, exposing a sales window where the product can be directly purchas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S6); The buyer purchases the product through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S7); relates to a method for selling a product in an offline store using a barcode, and as an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 can be quickly and directly sold using an Internet video medium.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help you conveniently purchase and build a personal home shopping broadcast using Internet video media such as YouTube and SNS.

Description

바코드를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판매방법{Merchandise sales method of goods in the off-line shop using on-line} Merchandise sales method of goods in the off-line shop using on-line}

본 발명은 바코드를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판매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규모의 오프라인 매장(off -line shop)에서 상품에 표시된 바코드를 활용하여 매장에 부족한 상품을 구매하여 채워넣거나 또는 고객들을 온라인 쇼핑몰로 유도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off -line shop)에서 안팔리거나 특별히 판매하고 싶은 상품을 온라인 쇼핑몰에서 팔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lling products in an offline store using barcodes, and more specifically, in a small off-line shop, using barcodes displayed on products to purchase and fill in products that are lacking in the store, or to custom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lling a product that is not sold in an off-line shop or that is particularly desired to be sold in an online shopping mall by inducing a product to an online shopping mall.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가 발전하면서 많은 상품들이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In general, with the development of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many products are sold through online shopping malls.

그러나 오프라인에 소재하는 매장, 즉 소규모 마트 등은 별도의 온라인 쇼핑몰을 제작하거나 운영하기 곤란하고, 또 온라인 쇼핑몰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촬영은 물론 제작된 사이트의 html, php등 상품소소를 자주 수정해야하는 번거로운 단점을 갖는 것이어서 유지보수가 쉽지 않다. However, it is difficult to create or operate a separate online shopping mall for stores located offline, such as small marts, and in order to create an online shopping mall, it is cumbersome to frequently edit the product location such as html, php, etc. It has a downside and is not easy to maintain.

특히 대부분 식자재 및 공산품을 판매하는 소형 마트는 마트 운영자가 인터넷 쇼핑몰에 익숙치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오프라인 매장(off -line shop)에서 안팔리거나 유통마감기간이 가까운 상품, 또 특별히 판매하고 싶은 상품을 세일하거나 끼워팔기 등의 이벤트를 통해서라도 온라인 쇼핑몰에서 팔고 싶지만 프로그래머나 인터넷 전문가가 아닌경우 단순히 마켓 관리자들이 이를 수행하기란 결코 쉽지 않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in small marts that sell food materials and industrial products, most of the mart operators are not familiar with Internet shopping malls. Even through events such as tie-in sales, if you want to sell on an online shopping mall, but you are not a programmer or an Internet expert, it is never easy for market managers to simply do this.

[관련기술문헌][Related technical literature]

*1. 등록특허 제10-1455941호*One. Registered Patent No. 10-145594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품에 표시된 바코드를 활용함으로써 인터넷에 익숙하지 않는 마트관리자들이라 할지라도 쉽게 고객들에게 오프라인 매장(off -line shop)에서 안 팔리거나 특별히 판매하고 싶은 상품들을 세일 및 끼워팔기 등 이벤트를 하고 있음을 알려 온라인쇼핑몰로 고객들을 유도해서 이들 상품들을 쉽게 팔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utilizing barcodes displayed on products, even mart manag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Internet can easily provide customers with products that are not sold in an off-line shop or that they want to sell specially. It is to provide a way to easily sell these products by inducing customers to the online shopping mall by notifying them of events such as sales and tie-in sale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판매방법은, 상품공급자단말이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의 쇼핑몰 사이트에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정보와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들의 바코드(큐알코드 포함)를 서로 매칭하는 단계와, 상품구매자단말을 이용해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의 바코드를 읽히면 상기 바코드의 이미지 또는 정보와 매칭된 해당상품의 직접 구매가 가능한 판매창이 상품구매자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노출하는 단계와, 상품구매자단말이 상품리소스서버의 결제모듈에 의해 해당 상품을 구매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selling a product in an offline store using a bar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duct that a product supplier terminal accesses a product resource server of a product to sell a product to a shopping mall site of the product resource server. registering, matching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with barcodes (including QR codes) of products sold in offline stores, and reading barcodes of products sold in offline stores using a product buyer's terminal. If so, the step of exposing a sales window that allows direct purchase of the product matched with the image or information of the barcode on the display of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and the step of purchasing the corresponding product by the payment module of the product resource server at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판매방법의 효과로는 상품에 표시된 바코드를 활용함으로써 인터넷에 익숙하지 않는 마트관리자들이라 할지라도 쉽게 고객들에게 오프라인 매장(off -line shop)에서 안 팔리거나 특별히 판매하고 싶은 상품들을 세일 및 끼워팔기 등 이벤트를 하고 있음을 알려 온라인쇼핑몰로 고객들을 유도해서 이들 상품들을 쉽게 팔 수 있도록 하고, 더 많은 매출을 기대할 수 있으며, 재고를 빨리 처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As an effect of the method of selling products in an offline store using barc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barcodes displayed on products, even mart manag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Internet can easily provide customers with safety in offline stores (off-line shop). By inducing customers to the online shopping mall by notifying them that they are holding events such as sales or tie-in sales for products they want to sell or specially want to sell, so that they can easily sell these products, expect more sales, and process inventory quickly.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판매방법을 보이기 위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판매방법을 보이기 위한 순서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oduct sales method in an offline store using a bar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lling products in an offline store using a bar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one component 'transmits' data or signals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directly transmit the data or signal to the other component, and through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data or signals can be transmitted to othe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판매방법을 보이기 위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판매방법을 보이기 위한 순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ethod of selling products in an offline store using a bar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selling products in an offline store using a bar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 바코드를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판매방법을 위한 시스템은 상품공급자단말(110)과, 상품구매자단말(120),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품공급자단말(110)과, 상품구매자단말(120),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130)는 인터넷(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에 의해 서로 연결된 구조이다.A system for a product sales method in an offline store using a bar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roduct supplier terminal 110, a product buyer terminal 120, and a product resource server 130, and the product supplier terminal 110 and ,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120, and the product resource server 130 of the product have a structu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Interne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wired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상품공급자단말(110)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사용하는 단말을 의미하는데, 상품공급자는 상품공급자단말(110)을 이용하여 상품리소스서버(130)에 팔고자 하는 상품을 등록하게 된다.The product supplier terminal 110 refers to a terminal used by a seller who sells products in an offline store. The product supplier registers a product to be sold in the product resource server 130 using the product supplier terminal 110. do.

상기 상품구매자단말(120)은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130)와 인터넷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상품구매자단말(120)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표시된 바코드(큐알코드 포함)를 촬영하거나 스캔하고, 또 상기 촬영하거나 스캔된 바코드정보를 상품리소스서버(130)에 전송하게 되며, 상품리소스서버(13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구매자에게 보여주는 기능을 갖는다.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120 is connected to the product resource server 130 of the product through the Internet, and photographs or scans barcodes (including QR codes) displayed on products sold in offline stores with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120, In addition, the photographed or scanned barco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oduct resource server 130 and has a function of showing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roduct resource server 130 to the buyer.

따라서 상품구매자단말(120)은 바코드스캐너 또는 카메라 기능 중 어느 하나는 반드시 구비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120 must have either a barcode scanner or a camera function.

이처럼 상품구매자단말(120)에 의해 촬영되거나 스캔된 바코드 정보가 상품리소스서버(130)에 전송되면 상기 상품리소스서버(130)는 전송된 바코드와 매칭된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구매창을 상품구매자단말(120)로 전송하여 상품구매자단말(120)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barcode information photographed or scanned by the product buyer terminal 120 is transmitted to the product resource server 130, the product resource server 130 displays a purchase window through which the corresponding product matched with the transmitted barcode can be purchased. I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20 and output on the display of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120 .

따라서 구매자는 상품구매자단말(120)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상품리소스서버(130)에 의해 구현된 해당 상품 구매창을 보고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buyer can purchase the corresponding product by viewing the corresponding product purchase window implemented by the product resource server 130 output on the display of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120 .

기 서 제공하는 상품의 광고정보를 수신하는 장치이다. 대개 상기 상품구매자단말(120)은 스마트폰으로 이루어지나, PC, 태블릿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It is a device that receives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products provided by the company. Usually,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120 is made of a smart phone, but a PC, tablet, or the like may also be used.

상기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130)는 링크생성모듈(131), 매칭모듈(132), 데이터베이스(133)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링크생성모듈(131)은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130)의 데이터베이스(133)에 저장된 상품의 광고정보의 링크, 즉 사이트 주소(URL)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이다.The product resource server 130 of the product includes a link creation module 131, a matching module 132, and a database 133. At this time, the link generation module 131 is a means for generating a link, that is, a site address (URL) of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a product stored in the database 133 of the product resource server 130 of the product.

이때 상품의 광고정보는 해당상품의 종류, 성능, 가격 등을 표현하는 문자 또는 이미지, 동영상 등으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advertising information of the product is composed of text, image, video, etc. expressing the type, performance, price, etc.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상기 매칭모듈(132)은 상기 상품의 광고정보의 링크와 상품에 표시된 바코드와 매칭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이때 바코드를 대신해 큐알코드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The matching module 132 is a means for matching the link of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the product with the barcode displayed on the product. At this time, it is natural that a QR code may be used instead of a barcode.

상기와 같은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 바코드를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판매방법은 다음과 같다.A method of selling products in an offline store using the bar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system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즉 상품공급자단말이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의 쇼핑몰 사이트에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정보와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들의 바코드(큐알코드 포함)를 서로 매칭하는 단계와, 상품구매자단말을 이용해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의 바코드를 읽히면 상기 바코드의 이미지 또는 정보와 매칭된 해당상품의 직접 구매가 가능한 판매창이 상품구매자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노출하는 단계와, 상품구매자단말이 상품리소스서버의 결제모듈에 의해 해당 상품을 구매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product supplier terminal connects to the product resource server of the product and registers the product to be sold in the shopping mall site of the product resource server, and the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barcodes (QR) of the products sold in the offline store code included) with each other, and when the barcode of a product sold in an offline store is read using the product buyer terminal, a sales window that allows direct purchase of the product matched with the image or information of the barcode is displayed on the product buyer terminal. and a step of the product buyer terminal purchasing the corresponding product through the payment module of the product resource server.

따라서 고객단말을 통해 전송된 링크를 고객이 클릭하면 데이터베이스(133)에 저장된 상품의 광고정보를 서버는 고객단말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게 되고, 고객은 이처럼 출력된 상품의 광고정보를 보고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여 해당 상품을 구매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ustomer clicks the link transmitted through the customer terminal, the server outputs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the product stored in the database 133 to the display of the customer terminal, and the customer visits the offline store after seeing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of the product output in this way. to purchase the product.

본 발명에서 상품코드는 동영상에 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판매창과 연결시킬 수 있는 어떠한 수단이라도 가능하고, 그 형태나 구조, 또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는 어떠한 방식이라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 code can be any means that can be linked to the sales window of the product the seller wants to sell in the video, and can be any method that can be implemented as a form or structure, or a program.

또한 이때 레이어에 의한 상품코드는 동영상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동영상 중 어느 이미지에 한정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레이어는 미리 프로그래밍된 좌표값과 매칭된 상태로, 상기 좌표값은 다시 본 발명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의 해당 상품의 주소(URL)과 매칭된 상태이다.Also, at this time, the product code by the layer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video or limited to a certain image in the video. That is, the layer is in a state of being matched with pre-programmed coordinate values, and the coordinate values are in a state of being matched with the address (URL)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of the product resource server of the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구매자가 동영상에 표시된 상품코드를 보고 상품구매자단말에 의해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130)에 접속하여 상품코드를 입력하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입력된 상품코드와 매칭되는 상품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게 될 것이다.Therefore, when the buyer sees the product code displayed in the video, connects to the product resource server 130 of the product through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and inputs the product code, the database is searched to check whether a product matching the input product code exists. It will be.

결국 상기 상품코드에 해당하는 상품이 존재하면 해당상품의 직접 구매가 가능한 판매창을 상품구매자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노출하게 될 것이고, 없다면 다시 상품코드의 입력을 대기하게 될 것이다.Eventually, if a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code exists, a sales window where the product can be directly purchased will be exposed on the display of the product buyer's terminal, and if there is no product code input, the product code will be waited for again.

본 발명에서 상품을 등록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품을 등록한다는 의미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 즉 상품이미지, 상품 설명, 판매가격, 구매방법 등에 대한 인터넷 쇼핑몰에서 상품을 팔기 위해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제반적인 정보들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미 동영상매체를 통해 구매자가 모든 정보를 알고 있는 상태일 수도 있어 단순한 결제창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즉 이는 상품구매자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노출되는 해당상품의 직접 구매가 가능한 판매창이 단순한 결제창만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step of registering a product in the present invention, registering a product means that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to be sold, that is, product image, product description, selling price, purchase method, etc., is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server to sell the product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It may mean all kinds of stored informatio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purchaser may already know all the information through the video medium, so that it may be implemented with a simple payment window. That is, this means that the sales window, which is exposed on the display of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and allows direct purchase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can be composed of only a simple payment window.

본 발명에 있어서 판매자는 쇼핑몰 운영자와 동일한 사람 또는 업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판매자와 동영상매체에 상품코드를 올리는 대상이 서로 다를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ler may be the same person or company as the shopping mall operator, and the seller and the target of uploading the product code on the video medium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130)는 판매자가 판매를 원하는 상품을 등록하고 판매하기 위한 쇼핑몰 사이트(121)와, 판매자 및 구매자,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122)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130)는 주문 입력 및 회원 등록, 회원 인증, 주문 결재 및 정보를 입력 및 출력, 관리하는 주체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duct resource server 130 of the product includes a shopping mall site 121 for registering and selling a product that the seller wants to sell, and a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seller, the buyer, and the product to be sold ( 122). Of course, the product resource server 130 of the product is a subject that inputs, outputs, and manages order input, member registration, member authentication, order payment, and information.

상기 상품정보로는 상품의 재료, 품질, 옵션은 물론, 가격정보, 구매를 위해 필요한 결제정보(카드, 무이자, 현금결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not only material, quality, and options of the product, but also price information and payment information (card, interest-free, cash payment, etc.) required for purchase.

본 발명에 있어서 동영상 사이트(140)라 함은 판매자가 판매를 원하는 상품의 상품코드를 노출시키기 위한 동영상 출력이 가능한 모든 매개체와 사이트, 어플리케이션 등을 의미하며, 보다 쉽게 유튜브 및 페이스북 등과 같이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품코드가 동영상을 통해 노출될 수 있는 모든 매체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site 140 refers to all media, sites, applications, etc. capable of outputting video to expose the product code of the product that the seller wants to sell, and more easily, such as YouTube and Faceb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edia that can be exposed through the video of the product code to enable the implementation.

이때 본 발명은 상품코드와 함께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130)에 의해 운영되는 쇼핑몰 사이트의 명칭 또는 인터넷 주소를 노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에는 복수개의 상품코드가 노출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may expose the name or Internet address of the shopping mall site operated by the product resource server 130 of the product together with the product code. In addition, a plurality of product codes may be exposed in the video.

상기 상품코드는 동영상 중 해당 상품의 이미지에 그래픽에 의해 표현되어 노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스티커를 상품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 사이트 명칭과 상품코드를 직접 기재한 판넬을 상품 앞에 배치하는 방식등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상품코드의 노출방법 및 위치, 시간 등은 본 발명에서 한정되지 않는다.The product code is exposed by being graphically expressed in the image of the product in the video, or by attaching a sticker directly to the product or placing a panel with the site name and product code directly written in front of the product.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 Of course, the exposure method, location, and time of the product code are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처럼 구매자는 상기 동영상 사이트(140)에 노출되는 동영상을 보고 상품구매자단말에 의해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130)에 접속한 다음, 상기 쇼핑몰 사이트에 자신이 구매를 원하는 상품의 상품코드를 직접 입력함으로써 해당 상품을 찾을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buyer watches the video displayed on the video site 140, accesses the product resource server 130 of the product through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and then directly inputs the product code of the product he/she wants to purchase into the shopping mall site. You can find the product.

상기 상품구매자단말(120)을 통해 입력된 상품코드가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되어 있다면 매칭된 상품에 대한 정보가 구매가능한 상태, 즉 쇼핑몰 사이트(121)의 판매창이 상품구매자단말(1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것이고, 구매자가 상품구매자단말(1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해당 상품을 보고 구매를 요청하면 해당상품의 구매가 완료된다.If the product code input through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120 is stored in the database 122, the information on the matched product is available for purchase, that is, the sales window of the shopping mall site 121 is displayed on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120. , and when the purchaser requests purchase by viewing the corresponding product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120, the purchase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is completed.

또한 본 발명은 아래 기재한 다른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other methods described below.

즉 상품공급자단말이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의 쇼핑몰 사이트에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상품공급자단말이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의 쇼핑몰 사이트에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 내역을 등록하고 쇼핑몰 사이트에 생성된 해당 상품의 판매창 주소(URL)을 얻는 단계와, 상기 상품공급자단말이 중개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중개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매칭 및 검색사이트에 상기 해당 상품의 판매창 주소(URL)를 입력하고 상기 해당 상품의 판매창 주소(URL)와 매칭되는 상품코드를 얻는 단계와, 상기 중개서버에 의해 부여된 상품코드를 판매자가 판매홍보를 원하는 동영상에 노출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에 노출된 상품코드를 구매자가 상품구매자단말을 통해 중개서버에 접속하여 매칭 및 검색사이트에 상품코드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상품코드와 매칭되는 해당 상품의 판매창 주소(URL)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상품코드에 해당하는 해당 상품의 판매창 주소(URL)가 존재하면 해당상품의 판매창을 상품구매자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노출하는 단계와, 구매자는 상품구매자단말을 통해 해당 상품을 구매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product supplier terminal connects to the product resource server of the product and registers the product to be sold in the shopping mall site of the product resource server, and the product supplier terminal connects to the product resource server of the product to sell the product to the shopping mall site. Registering the details and obtaining the sales window address (URL)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created on the shopping mall site, and selling the corresponding product to the matching and search site operated by the intermediate server by the product supplier terminal accessing the mediation server inputting a window address (URL) and obtaining a product code matching the sales window address (URL)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exposing the product code given by the mediation server to a video the seller wants to promote sales; , The step of the buyer connecting the product code exposed in the video to the mediation server through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and entering the product code into a matching and search site, and the sales window address (URL) of the product matching the product code The step of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roduct, and the step of exposing the sales window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on the display of the product buyer terminal if the URL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code exists, and the buyer through the product buyer terminal It consists of the step of purchasing the product.

이를 보다 이해하기 쉽게 이미지를 이용해 순서대로 도 3에 도시하였다.It is shown in Figure 3 in order using images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또 본 발명은 아래 기재한 또 다른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another method described below.

즉 상품공급자단말이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의 쇼핑몰 사이트에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상품공급자단말이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의 쇼핑몰 사이트에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 내역을 등록하고 쇼핑몰 사이트에 생성된 해당 상품의 판매창 주소(URL)을 얻는 단계와, 상기 해당 상품의 판매창 주소(URL)를 판매자가 판매홍보를 원하는 동영상의 일측에 링크가능토록 노출하는 단계와, 구매자가 상품구매자단말을 통해 동영상의 일측에 노출된 해당 상품의 판매창 주소(URL)를 클릭하면 해당 상품의 판매창을 상품구매자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노출하는 단계와, 구매자는 상품구매자단말을 통해 해당 상품을 구매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product supplier terminal connects to the product resource server of the product and registers the product to be sold in the shopping mall site of the product resource server, and the product supplier terminal connects to the product resource server of the product to sell the product to the shopping mall site. Step of registering details and obtaining a sales window address (URL) of the product created on the shopping mall site, and exposing the URL of the sales window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to one side of a video that the seller wants to promote sales in such a way that it can be linked And, if the buyer clicks the sales window address (URL) of the product exposed on one side of the video through the product buyer terminal, the step of exposing the sales window of the product on the display of the product buyer terminal, and the buyer clicks the product buyer terminal It consists of the step of purchasing the product through

이때 판매창 주소(URL) 대신에 컴퓨터 그랙픽으로 구현되어 동영상에 덧씌운 레이어로 대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동영상 하단에 표시된 판매창 주소(URL)를 클릭하거나, 동영상(이미지), 즉 레이어을 클릭하면 상품코드의 입력과 동일한 상태가 되고, 해당 상품의 판매창을 상품구매자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노출하여 해당상품의 구매를 유도하게 된다At this time, instead of the sales window address (URL), it can be replaced with a layer implemented with computer graphics and overlaid on the video. Therefore, if you click the sales window address (URL)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video or click the video (image), that is, the layer, the status is the same as inputting the product code, and the sales window of the product is exposed on the display of the product buyer's terminal, and the corresponding product will induce the purchase of

이와같은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also be implement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Also includes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are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ed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10: 판매자 단말
120: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
121: 쇼핑몰 사이트
122: 데이터베이스
130: 상품구매자단말
140: 동영상 사이트
150: 중개서버
110: seller terminal
120: product resource server for products
121: shopping mall site
122: database
130: product buyer terminal
140: video site
150: mediation server

Claims (1)

상품공급자단말이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에 접속하여 상품의 상품리소스서버의 쇼핑몰 사이트에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등록하는 단계(S1);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품 정보와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들의 바코드를 서로 매칭하는 단계(S2)와,
상품구매자단말을 이용해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상품의 바코드를 읽히면 상기 바코드의 이미지 또는 정보와 매칭된 해당상품의 직접 구매가 가능한 판매창이 상품구매자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노출하는 단계(S3);
상품구매자단말이 상품리소스서버의 결제모듈에 의해 해당 상품을 구매하는 단계(S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 판매방법.
A product supplier terminal connects to a product resource server and registers a product to be sold in a shopping mall site of the product resource server (S1);
Matching product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with barcodes of products sold in offline stores (S2);
If the barcode of a product sold in an offline store is read using the product buyer terminal, a sales window matching the image or information of the barcode and allowing direct purchase of the corresponding product is exposed on the display of the product buyer terminal (S3);
A method of selling a product in an offline store using a barco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step (S4) for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to purchase the corresponding product by the payment module of the product resource server.
KR1020210152697A 2021-11-09 2021-11-09 Merchandise sales method of goods in the off-line shop using on-line KR2023006704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697A KR20230067043A (en) 2021-11-09 2021-11-09 Merchandise sales method of goods in the off-line shop using on-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697A KR20230067043A (en) 2021-11-09 2021-11-09 Merchandise sales method of goods in the off-line shop using on-l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043A true KR20230067043A (en) 2023-05-16

Family

ID=8654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697A KR20230067043A (en) 2021-11-09 2021-11-09 Merchandise sales method of goods in the off-line shop using on-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704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2856B2 (en) Electronic commerce support method
WO2014045145A1 (en) Facilitating mobile device payments using product code scanning to enable self checkout
JP2008538463A (en) Integrated mobile application server and communication gateway
JP2007257282A (en) Commodity information posting method and transaction management method
KR20030004379A (en) Net order system
EP2955685A1 (en) Interactive vending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goods in both actual exhibit spot and online shop
JP2020021419A (en) Immediate purchase system, user terminal,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immediate purchase method, and program
KR102306078B1 (en) Method for making online shopping mall
JP2007200258A (en) Commodity sale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ombining joint purchase and point system on internet shopping site
JP2020086813A (en) Food allerg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od allerge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food allergen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KR20230067043A (en) Merchandise sales method of goods in the off-line shop using on-line
JP2016148913A (en) Settlement system, settlement method, and program
JP691243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s
JP4083095B2 (en) Catalog product ordering method, catalog product ordering method, and ordering system
KR101161341B1 (en) Goods advertisement system using cumstomized bar code and method thereof
JP2018005626A (en) Sales support system, sales support device and sales support method
KR100845311B1 (en) Service system for payment on delivery
KR100361936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a gem
KR20180122972A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use-by-date of products
JP2019091502A (en) Electronic receipt management server, program, electronic receipt system, and household account data receiving method
JP2005078421A (en) Merchandise transaction managing device and program to be used for the same
US20230214871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nd verifying purchase offers
JP2010211687A (en) Customer management system
KR20200132196A (en) Method for Selling Goods using YouTube
KR20230067045A (en) Advertising method of off-line shop using on-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