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0053A -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based on analysis of vehicle mod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based on analysis of vehicle m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0053A
KR20220140053A KR1020210045594A KR20210045594A KR20220140053A KR 20220140053 A KR20220140053 A KR 20220140053A KR 1020210045594 A KR1020210045594 A KR 1020210045594A KR 20210045594 A KR20210045594 A KR 20210045594A KR 20220140053 A KR20220140053 A KR 20220140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de
driving
situ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5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7755B1 (en
Inventor
박현성
박현구
김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택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택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택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210045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755B1/en
Publication of KR20220140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0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7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2Selecting between different operative modes, e.g. comfort and performance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098Details of control systems ensuring comfort, safety or stabilit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17Modal analysis, e.g. for determining system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63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60W2050/0064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using a remote, e.g. cordless, transmitter or receiver unit, e.g. remote keypad or mobile ph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2Selecting between different operative modes, e.g. comfort and performance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In accordance with 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ystem for controlling a vehicle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includes: a sensing tool provided in a vehicle, and generating sensing information including motion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and surrounding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a situational response device setting a plurality of modes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of the vehicle, managing an adaptive response by mode set differently for each mode, determining a mode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nsing tool, and performing active response control suitable for the determined mo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since modes for responding to various situations can be set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sensor of the vehicle or the like, the system can have effects of setting modes suitable for various situations, and performing an active response to the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set modes.

Description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BASED ON ANALYSIS OF VEHICLE MODE}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BASED ON ANALYSIS OF VEHICLE MODE}

본 발명은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IT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환경에서 IT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차량 기술은 다양한 IT 기술이 접목되고 지능화되는 대표적인 기술 분야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IT technology is being applied in various environments, and in particular, vehicle technology is a representative technology field in which various IT technologies are grafted and intelligent.

이러한 차량 IT 기술의 대표적인 기술로서, 무선통신 및 위치정보 시스템을 기반으로 차량에 대한 위치 정보, 운전 관리 등을 제공하는 텔레메틱스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As a representative technology of such vehicle IT technology, a telematics technology that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and driving management for a vehicle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location information system is emerging.

한편, 종래의 텔레메틱스 기술의 일 예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7907호가 있다. Meanwhile, a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telematics technology, there is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097907.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7907호는 도난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차량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변화에 대한 감지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고, 차량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여 서버에서 제공하는 질의 문구와 연동하는 사용자 단말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097907 relates to a vehicle detection system for detecting a theft situation,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for a change in the vehicle to a server, and a query provided by the server in response to a change in the state of the vehicle Disclosed is a user terminal that interlocks with a phrase.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특정하게 사전에 설정된 상황, 즉, 상술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7907호의 경우 도난 상황에 대해서만 감지 및 대응이 가능하며, 그 외에 다른 환경에서는 어떠한 처리나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is prior art, it is possible to detect and respond only to a specially set situation, that is, a theft situation in the case of the aforementioned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097907, and in other environments, any processing or There is a limitation in not being able to provide a function.

그에 따라, 사용자의 체감도가 낮으며, 이에 따라, 보다 다양한 환경에서도 상황 분석 및 대응이 가능한 지능형 차량 제어 기술에 대한 니즈가 점점 커지고 있다.Accordingly, the user's sensibility is low, and accordingly, the need for intelligent vehicle control technology capable of analyzing and responding to situations in more diverse environments is growing.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790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97907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차량의 센서 등으로부터 획득되는 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상황에 대응 가능한 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모드에 따라 차량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set modes that can respond to various situations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sensors of the vehicle, etc., and actively control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et mode. It is to provide a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capable of performing a response.

또한,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다양한 상황에 대한 차량의 움직임의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모드를 보다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that can set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hicle for various situations and use it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mode of the vehicle. will be.

또한,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모드를 계층화 하여 구축하고 계층화된 모드 간의 전환을 제한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상황에 적합한 모드 간의 전환을 보다 정확하게 설정 할 수 있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control system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that can more accurately set the transition between modes suitable for the situation by constructing a layered mode and restricting the transition between the layered modes. and to provide a method.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되고, 차량의 움직임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주변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 도구 및 차량의 상황에 대응되는 복수의 모드를 설정하고, 각각의 모드 마다 다르게 설정된 각 모드 별 적응적 대응을 관리하며, 상기 감지 도구에서 제공된 상기 감지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하고, 판별된 모드에 적합한 능동적인 대응 제어를 수행하는 상황적 대응 장치를 포함 할 수 있다.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vehicle control system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The vehicle control system based on the vehicle mode analysis is provided in the vehicle and includes a detection tool for generating detection information including vehicle motion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and surrounding situation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modes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situation. setting, managing the adaptive response for each mode set differently for each mode, determining a mode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etection tool, and controlling an active response suitable for the determined mode It may include a situational response device that performs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차량이 정차되고 시동 및 전원이 꺼진 상황에 대응되는 주차 모드, 상기 차량이 정차되어 있으나, 시동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황에 대응되는 대기 모드 및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이거나 주행 중 정차 상황에 대응되는 주행 모드를 포함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modes include a parking mode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is stopped and starting and power is turned off, and a standby mode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vehicle is stopped but at least one of starting or power is activated. and a driving mode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or is stopped while driv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 도구는, 상기 차량의 움직임을 상하 움직임, 좌우 움직임 및 전후 움직임으로 구분하여 감지하고, 각 움직임의 크기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상기 차량 주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차량 내 또는 상기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이 수행 가능한 무선통신 모듈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etection tool divides and detect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to up-down movement, left-right movement, and front-back movement, and a sensor module for detecting the magnitude of each movement, a camera module for acquiring an image around the vehicle , at least on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in or around the vehicle and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provided in the vehicle to generat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may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황적 대응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고 차량이 운행 중이거나 운행 중 정차 상황으로 확인되면 상기 차량을 상기 주행 모드로 설정하고,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엔진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태로서,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가 발생하지 않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 가능하면 상기 차량을 대기 모드로 설정하고,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불인식이 발생하면 상기 차량을 상기 주차 모드로 설정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ituational response device sets the vehicle to the driving mode and sets the vehicle to the driving mode when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and the vehicle is driven or it is confirmed that the vehicle is stopped while driving, and after the vehicle is stopped, If at least one of the engine or the power source is activated and the door of the vehicle does not open or close or the user terminal can recognize, the vehicle is set to a standby mode, and after the vehicle is stopped,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and closed and when the user terminal is not recognized, the vehicle may be set to the parking mo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차 모드는, 충격 기록모드, 수납 모드, 견인 모드 및 자동 주차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적 대응 장치는,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좌우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충격 기록모드로 설정하고, 해당 상황에 대한 충격 감지 기록을 생성하고,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상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수납모드로 설정하고, 주변 상황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상기 차량의 락 해제 또는 개폐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고 차량의 위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견인 모드로 설정하고, 주변 상황에 대한 감지 기록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주기적으로 리포트하고, 상기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감지 신호가 낮아지거나 불인식이 발생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의 주행이 발생하면, 상기 자동 주차모드로 설정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arking mod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mpact recording mode, a storage mode, a towing mode, and an automatic parking mode, and the situational response device, in a state belonging to the parking mode, When a left/right movement of the level is detected, the shock recording mode is set, a shock detection record for the corresponding situation is generated, and in a situation belonging to the parking mode, when a low level vertical movement of the vehicle is detected, the storage mode is set. Set, control to unlock or open/close the vehicle adaptively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and in the state belonging to the parking mode,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vehicle is det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terminal is not recognized, and the vehicle When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of When the driving of the vehicle occurs in a situation in which the signal is low or unrecognized, the automatic parking mode may be se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기 모드는, 엔터테인 모드, 차박 모드 및 애견보호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적 대응 장치는,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의 오디오 장치가 활성화 된 상태이면 상기 엔터테인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면 상기 차박 모드로 설정하고, 기 설정된 온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상기 차량의 온도 조절을 제어하고,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에 대한 락 기능이 설정되면 상기 애견보호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대기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대기 상황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andby mod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entertainment mode, a car park mode, and a dog protection mode, and the situational response device, in the state belonging to the standby mode, does not change the position of the vehic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If the audio device of the vehicle is activated, it is set to the entertainment mode, and in the state belonging to the standby mode, when there is no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and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vehicle parking mode is set, Controlling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vehicle to satisfy a preset temperature range, and in the state belonging to the standby mode, when there is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and the lock function for the vehicle is set, the dog protection mode is set, and the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generate standby situation information and control to provide the standby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행 모드는, 시내주행 모드, 고속주행 모드 및 주행 중 정차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적 대응 장치는,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 이내에 해당되고, 설정된 제1 시간 범위 이내에서 차량의 주행 및 정차의 전환이 설정된 횟수 이상 발생하면, 상기 시내주행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내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를 초과하는 속도가 감지되고, 상기 제1 시간 범위보다 짧게 설정된 제2 시간 범위 동안 차량이 고속주행 속도범위에 해당하는 속도로 주행하면, 상기 고속주행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의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주행 중 정차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의 엔진을 멈추도록 제어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재시동 동작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riving mode includes at least one of a city driving mode, a high-speed driving mode, and a stop mode while driving, and the situational response device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vehicl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n a situation belonging to the driving mode. If the speed falls within the city driving speed range and the vehicle driving and stopping switching occurs more than a set number of times within the first set time range, the city driving mode is set, and in a situation belonging to the driving mode, within a certain tim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speed of the vehicle exceeds the city driving speed range, and the vehicle travels at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high-speed driving speed range during a second time range set shorter than the first time range, the high-speed driving mode is entered. In a situation belonging to the driving mode, if the forward/backward movement of the vehicle is not detected, the vehicle is set to the stop mode while driving,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to stop, and then restart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hav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황적 대응 장치는,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식 여부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이동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하는 모드 판별부 및 각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 수집 및 리포트, 차량 제어를 포함하는 능동적 대응 제어를 설정하고, 상기 모드 판별부에서 판별된 모드에 따라 상기 차량에 대한 능동적 대응 제어를 수행하는 능동 대응 제어부를 포함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ituational response apparatus includes a mode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mode suitable for a current situation of the vehicle us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and movement of the location of the vehicle, and each mode An active response control unit that sets active response control including information collection and report on the vehicle and vehicle control in response, and performs active response control o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mode determined by the mode determination unit. ca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능동 대응 제어부는, 판별된 모드에 따라 상기 감지 도구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리포트하는 리포트 모듈 및 판별된 모드에 따라 차량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 제어모듈을 포함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active response control unit collects information by using at least some of the detection tool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ode, and report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a report module for report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ode. It may include a vehicle control module that performs an active response control to the.

본 발명의 다른 일 기술적 측면은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은,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의 움직임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주변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 도구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상황적 대응 장치에서 수행되는 차량 제어 방법으로서, 차량의 상황에 대응되는 복수의 모드를 설정하고, 각각의 모드 마다 다르게 설정된 각 모드 별 적응적 대응을 관리하는 단계, 상기 감지 도구에서 제공된 상기 감지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하는 단계 및 판별된 모드에 적합한 능동적인 대응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Another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vehicle control method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The vehicle control method based on the vehicle mode analysis is performed in a situational response device that is provided in the vehicle and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detection tool that generates detection information including vehicle motion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and surrounding situation information. A vehicle control method comprising: setting a plurality of modes corresponding to a vehicle situation, managing an adaptive response for each mode set differently for each mode; It may include the steps of determining a mode suitable for the operation and performing an active corresponding control suitable for the determined mo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차량이 정차되고 시동 및 전원이 꺼진 상황에 대응되는 주차 모드, 상기 차량이 정차되어 있으나, 시동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황에 대응되는 대기 모드 및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이거나 주행 중 정차 상황에 대응되는 주행 모드를 포함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modes include a parking mode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is stopped and starting and power is turned off, and a standby mode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vehicle is stopped but at least one of starting or power is activated. and a driving mode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or is stopped while driving.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고, 차량이 운행 중이거나 운행 중 정차 상황으로 확인되면 상기 차량을 상기 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엔진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태로서,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가 발생하지 않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 가능하면 상기 차량을 대기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불인식이 발생하면 상기 차량을 상기 주차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etermining of the mode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vehicle may include: when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and the vehicle is driving or it is confirmed that the vehicle is in a stopped state while driving, setting the vehicle to the driving mode; After the vehicle is stopped, if at least one of the engine or the power source of the vehicle is activated and the door of the vehicle does not open or close or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able, setting the vehicle to a standby mode and stopping the vehicle After that,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user terminal is not recognized, setting the vehicle to the parking mode may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차 모드는, 충격 기록모드, 수납 모드, 견인 모드 및 자동 주차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좌우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충격 기록모드로 설정하고, 해당 상황에 대한 충격 감지 기록을 생성 하는 단계,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상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수납모드로 설정하고, 주변 상황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상기 차량의 락 해제 또는 개폐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고 차량의 위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견인 모드로 설정하고, 주변 상황에 대한 감지 기록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주기적으로 리포트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감지 신호가 낮아지거나 불인식이 발생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의 주행이 발생하면, 상기 자동 주차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arking mod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mpact recording mode, a storage mode, a towing mode, and an automatic parking mode, and the setting of the parking mode includes: When a low level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vehicle is detected, setting the impact recording mode and generating an impact detection record for the corresponding situation. In a situation belonging to the parking mode, when a low level vertical movement of the vehicle is detected Setting the storage mode and controlling the unlocking or opening/closing of the vehicle to be adaptively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in a state belonging to the parking mode, forward/backward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vehicle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terminal is not recognized When this is detected and the location movement of the vehicle is detected, the vehicle door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vehicle door is opened and closed after the step of setting the towing mode, generating a detection record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and periodically reporting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vehicle is stopped When the driving of the vehicle occurs in a situation in whic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user terminal is low or unrecognized, the method may include setting the automatic parking mo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기 모드는, 엔터테인 모드, 차박 모드 및 애견보호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의 오디오 장치가 활성화 된 상태이면 상기 엔터테인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면 상기 차박 모드로 설정하고, 기 설정된 온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상기 차량의 온도 조절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에 대한 락 기능이 설정되면 상기 애견보호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대기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대기 상황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tandby mod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entertainment mode, a vehicle park mode, and a dog protection mode, and the setting of the standby mode includes, in a state belonging to the standby mode, a position change of the vehicle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setting to the entertainment mode if there is no vehicle and the audio device of the vehicle is activated Setting, controlling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vehicle to satisfy the preset temperature range, and in the standby mode, when there is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and the lock function for the vehicle is set, the dog protection mode setting,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generating standby situation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o provide the standby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행 모드는, 시내주행 모드, 고속주행 모드 및 주행 중 정차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 이내에 해당되고, 설정된 제1 시간 범위 이내에서 차량의 주행 및 정차의 전환이 설정된 횟수 이상 발생하면, 상기 시내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내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를 초과하는 속도가 감지되고, 상기 제1 시간 범위보다 짧게 설정된 제2 시간 범위 동안 차량이 고속주행 속도범위에 해당하는 속도로 주행하면, 상기 고속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의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주행 중 정차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의 엔진을 멈추도록 제어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재시동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riving mode includes at least one of a city driving mode, a high speed driving mode, and a stop mode while driving, and the setting of the driving mode may include: If the vehicle speed falls within the city driving speed range and the vehicle driving and stopping switching occurs more than a set number of times within the set first time range, setting the city driving mode to the city driving mode, in a situation belonging to the driving mode, If a speed at which the speed of the vehicle exceeds the city driving speed range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vehicle travels at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high speed driving speed range during a second time range set shorter than the first time range, the high speed In the step of setting the driving mode and in a situation belonging to the driving mode, if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vehicle is not detected, the vehicle is set to the stop mode while driving, and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to stop, and then restarted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It may include a step of controlling to do so.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do not enumerate all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차량의 센서 등으로부터 획득되는 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상황에 대응 가능한 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상황에 적합한 모드 설정이 가능하고, 설정된 모드에 따라 차량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t a mode capable of responding to various situations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sensor of a vehicle, etc. It has the effect of performing a respons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차량의 움직임의 방향을 기초로, 다른 감지 데이터를 조합하여 적용함에 따라 차량의 모드를 보다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ode of the vehicle can be more accurately determined by combining and applying other sensing data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s movem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모드를 계층화 하여 구축하고 계층화된 모드 간의 전환을 제한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상황에 적합한 모드의 적용 및 모드 간의 전환을 보다 정확하게 설정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tructing the mode by layering and setting the transition between the layered modes in a limited mann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pplication of a mode suitable for a situation and the transition between the modes can be more accurately se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황적 대응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황적 대응장치에서 관리하는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차량의 상황에 따른 움직임 감지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단계 S82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vehicle control system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system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situational response apparatus shown in FIG. 2 .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ode managed by a situational respons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otion detection situation according to a vehicle situa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method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step S820 shown in FIG. 8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order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즉,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at is, 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some of which components or some steps are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include,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요소 및 그의 하부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 및 그의 하부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 등 다양한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각 요소들은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적 구성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전자적 시스템에서 구동 가능한 소프트웨어 자체이거나 그러한 소프트웨어의 일 기능적인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전자적 구성과 그에 대응되는 구동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components and sub-components thereof are described below in order to describe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se components and sub-components thereof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each element may be implemented as an electronic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a corresponding function, or may be software itself operable in an electronic system or implemented as a functional element of such software. Alternatively, it may be implemented with an electronic configuration and corresponding driving software.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되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The various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where appropriate. As used herein, terms such as "Unit", "Server" and "System" likewise refer to computer-related entities, i.e. hardware,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software or It can be treated as equivalent to software at the time of execution. In addition, each function executed i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units of modules, and may be recorded in one physical memory or may be recorded while being distributed between two or more memories and recording media.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순서도가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각 단계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반드시 순서도의 순서에 따라 각 단계가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즉, 순서도에서의 각 단계는, 서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순서도에 따른 순서대로 수행되거나, 또는 순서도에서의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도 수행될 수 있다. Although various flowcharts are disclo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each step, and each step is not necessari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flowchart. That is, each step in the flowchart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each other, performed in an order according to the flowchart,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e order in the flowch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vehicle control system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ehicle control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ystem.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제어 시스템(10)은 감지 도구 및 상황적 대응장치(100)를 포함한다.1 and 2 ,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includes a detection tool and a situational response device 100 .

감지 도구(200)는 차량에 구비되고, 차량의 움직임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주변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한다. 도시된 예에서, 감지 도구는, 센서 모듈(220), 카메라 모듈(230), 무선통신 모듈(240)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2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ction tool 200 is provided in the vehicle and generates detection information including vehicle motion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and surrounding context information.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detection too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ensor module 220 , a camera module 230 ,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0 , and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250 .

일 실시예에서, 차량 제어 시스템(10)은 감지 도구(200) 및 상황적 대응장치(100)를 포함하는 일체의 장치일 수 있으며,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차량 제어 시스템(10)은 차량과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개별 장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may be an integrated device including the sensing tool 200 and the situational response device 100 , and in this embodiment,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is independent of the vehicle It may be an individual device driven by

다른 일 실시예에서, 차량 제어 시스템(10)은 상황적 대응장치(100)를 포함하고, 감지 도구(200)는 차량에 기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모듈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차량 제어 시스템(10)은 차량과 적어도 일부 기능에서 연동되어 구동되는 장치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includes the situational response device 100 , and the detection tool 200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t least one module already provided in the vehicle. In an example, the vehicle control system 10 may be a device driven by interworking with the vehicle in at least some functions.

센서 모듈(220)은 차량의 움직임을 상하 움직임, 좌우 움직임 및 전후 움직임으로 구분하여 감지하고, 각 움직임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 모듈(220)은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지 및 측정할 수 있다.The sensor module 220 may classify and sense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to up/down motion, left/right motion, and front/rear motion, and detect the magnitude of each motion. For example, the sensor module 220 may detect and measure a motion using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or the like.

도 5 내지 도 7은 센서 모듈(220)에서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5 to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sensor module 22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which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도 5는 사용자가 차 문을 개폐하는 경우를 예시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차 문을 개폐하게 되면 차량은 좌우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센서 모듈(220)은 이와 같이 차문이 개폐될 때 발생하는 차량의 좌우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크기 또한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에 의한 좌우 움직임은 움직임의 크기가 작고 단시간 발생하는 반면, 측방 사고 등의 경우 좌우 움직임은 움직임의 크기가 크고 비교적 긴 시간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센서모듈(220)에서 감지된 움직임 및 그 크기는 상황 분석에 사용된다.5 exemplifies a case in which a user opens and closes a car door, and when the user opens and closes the car door as shown, the vehicle moves left and right. The sensor module 220 may sens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vehicle that occurs when the car door is opened and closed as described above, and may also detect the size. The left-right movement by opening and closing has a small amount of movement and occurs for a short time, whereas in the case of a lateral accident, the left-right movement has a large amount of movement and occurs for a relatively long time. Accordingly, the motion detected by the sensor module 220 and its size are used for situation analysis in this way.

도 6은 트렁크를 개폐하는 경우를 예시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를 개폐하게 되면 차량은 상하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센서 모듈(220)은 이러한 차량의 상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크기 또한 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 및 그 크기는 상황 분석에 사용된다.6 exemplifies the case of opening and closing the trunk, and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trunk is opened, the vehicle moves up and down. The sensor module 220 may sens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hicle and also detect the size thereof, and the movement and the size are used for situation analysis.

도 7은 차량이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경우를 예시하며, 도시된 바와 차량이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면 차량은 전후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센서 모듈(220)은 이러한 차량의 전후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크기 또한 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 및 그 크기는 상황 분석에 사용된다. 7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vehicle moves forward or backward. As shown in FIG. 7, when the vehicle moves forward or backward, the vehicle moves forward or backward. The sensor module 220 may detect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vehicle and also detect the size thereof, and the movement and the size are used for situation analysis.

다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230)은 차량 주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카메라 모듈(230)은 전방 카메라, 후방 카메라, 후진 카메라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 외에도 후측방 감지 카메라, 전측방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도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1 and 2 , the camera module 230 may acquire an image around the vehicl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amera module 230 includes a front camera, a rear camera, and a reverse camera, but may include a rear side detection camera, a front side camera, and the like.

무선통신 모듈(240)은 차량 내 또는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통신 모듈(240)은 블루투스 모듈일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0 may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existing in or around the vehicle.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0 may be a Bluetooth module.

또한, 무선통신 모듈(240)은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인접한 기지국과 통신하여 차량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0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may communicate with an adjacent base station to generat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GPS 모듈(250)은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리적 위치 정보는 차량이 이동되는지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GPS module 250 may be provided in the vehicle to generat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Such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may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moving.

상황적 대응 장치(100)는 차량의 상황에 대응되는 복수의 모드를 설정하고, 각각의 모드 마다 다르게 설정된 각 모드 별 적응적 대응을 관리할 수 있다. The situational response apparatus 100 may set a plurality of modes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situation, and manage an adaptive response for each mode that is set differently for each mode.

일 예로, 복수의 모드는, 차량이 정차되고 시동 및 전원이 꺼진 상황에 대응되는 주차 모드, 차량이 정차되어 있으나, 시동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황에 대응되는 대기 모드, 및 차량이 주행 중이거나 주행 중 정차 상황에 대응되는 주행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modes may include a parking mode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is stopped and starting and power is turned off, a standby mode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is stopped but at least one of starting or power is activated, and a vehicle running It may include a driving mode corresponding to a stopping situation while driving or driving.

상황적 대응 장치(100)는 감지 도구에서 제공된 감지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하고, 판별된 모드에 적합한 능동적인 대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황적 대응 장치(10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연동을 더 이용하여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할 수 있다.The situational response apparatus 100 may determine a mode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etection tool, and may perform active response control suitable for the determined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ituational response apparatus 100 may determine a mode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by further using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interworking.

일 실시예에서, 상황적 대응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고,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과 연동하여 차량이 운행 중이거나 운행 중 정차 상황으로 확인되면 차량을 주행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ituational response apparatus 100 may set the vehicle to the driving mode when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and the vehicle is in operation or it is confirmed that the vehicle is stopped during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ECU (Electronic Control Unit) of the vehicle. .

일 실시예에서, 상황적 대응 장치(100)는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차량의 엔진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태로서, 차량의 도어 개폐가 발생하지 않거나 사용자 단말이 인식 가능하면 상기 차량을 대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ituational response apparatus 100 is a state in which at least one of an engine or a power source of the vehicle is activated after the vehicle is stopped, and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does not open or close or is recognizable by the user terminal, the vehicle can be set to standby mode.

일 실시예에서, 상황적 대응 장치(100)는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사용자 단말의 불인식이 발생하면 차량을 주차 모드로 설정 설정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ituational response apparatus 100 may set the vehicle to the parking mode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user terminal is not recognized after the vehicle is stopped.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황적 대응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ituational response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황적 대응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situational response apparatus shown in FIG. 2 .

도 3을 참조하면, 상황적 대응 장치(100)는, 모드 판별부(110) 및 능동 대응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리포트 모듈(121) 및 차량 제어 모듈(12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situational response apparatus 100 may include a mode determination unit 110 and an active response control unit 120 . The active response control unit 120 may include a report module 121 and a vehicle control module 122 .

모드 판별부(110)는 차량의 움직임, 사용자 단말의 인식 여부 및 차량의 위치 이동을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할 수 있다.The mode determining unit 110 may determine a mode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vehicle us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and the movement of the vehicle's location.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각 모드에 대응하여 차량에 대한 정보 수집 및 리포트, 차량 제어를 포함하는 능동적 대응 제어를 설정하고, 모드 판별부(110)에서 판별된 모드에 따라 차량에 대한 능동적 대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active response control unit 120 sets active response control including information collection and report on the vehicle and vehicle control in response to each mode, and active response control o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mode determined by the mode determination unit 110 . can be performed.

구체적으로, 리포트 모듈(121)은, 판별된 모드에 따라 감지 도구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리포트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port module 121 may collect information using at least some of the detection tool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ode, and report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차량 제어 모듈(122)은, 판별된 모드에 따라 차량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제어 모듈(122)은, 차량의 ECU와 연동하여 능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vehicle control module 122 may perform an active corresponding control o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ode. For example, the vehicle control module 122 may perform active control in conjunction with the ECU of the vehicl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황적 대응장치에서 관리하는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하, 도 4를 더 참조하여, 상황적 대응 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ode managed by the situational respons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4, the operation of the situational response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

모드 판별부(110)는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고,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과 연동하여 차량이 운행 중이거나 운행 중 정차 상황으로 확인되면 차량을 주행 모드로 판별할 수 있다.The mode determining unit 110 may determine the vehicle as the driving mode when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and the vehicle is in operation or it is confirmed that the vehicle is stopped during operation by interworking with the ECU (Electronic Control Unit) of the vehicle.

한편, 모드 판별부(110)는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차량의 엔진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태로서, 차량의 도어 개폐가 발생하지 않거나 사용자 단말이 인식 가능하면 차량을 대기 모드로 판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de determining unit 110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the standby mode when at least one of an engine or a power source of the vehicle is activated after the vehicle is stopped, and the door of the vehicle does not open or close or the user terminal can recognize it. can do.

한편, 모드 판별부(110)는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사용자 단말의 불인식이 발생하면 차량을 주차 모드로 판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주차 모드로 판별되면,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상황적 대응 장치(100)를 슬립 모드로 설정하여, 배터리 전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vehicle is stopped, the mode determining unit 110 may determine the vehicle in the parking mode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user terminal is not recognized.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arking mode is in the parking mode, the active response control unit 120 may set the situational response device 100 to the sleep mode to efficiently manage battery power.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모드, 대기 모드 및 주행 모드는 하위 모드를 포함하도록 계층화 될 수 있다. 즉, 주차 모드, 대기 모드, 및 주행 모드는 제1 뎁스 모드가 되고, 주차 모드의 하위 모드(충격 기록모드, 수납 모드, 견인 모드 및 자동 주차모드), 대기 모드의 하위 모드(엔터테인 모드, 차박 모드 및 애견보호 모드), 및 주행 모드의 하위 모드(시내주행 모드, 고속주행 모드 및 주행 중 정차모드)는 제2 뎁스 모드가 된다.As shown in Fig. 4, the parking mode, standby mode and driving mode can be layered to include sub-modes. That is, the parking mode, the standby mode, and the driving mode become the first depth mode, and sub-modes of the parking mode (shock recording mode, storage mode, towing mode, and automatic parking mode), and sub-modes of the standby mode (entertainment mode, vehicle parking mode) mode and dog protection mode), and sub-modes of the driving mode (city driving mode, high-speed driving mode, and stopping mode while driving) become the second depth mode.

모드 판별부(110)는 현재의 모드를 판별할 때 이전의 모드를 고려하여, 즉, 이전 모드에서 현재 모드로의 전환을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다. The mode determining unit 110 may determine the current mode by considering the previous mode, that is, considering the transition from the previous mode to the current mode.

일 실시예에서, 모드 판별부(110)는 제1 뎁스의 모드 간에는 전환을 가능하게 설정하나, 제2 뎁스의 모드는 동일한 하위 모드 그룹 내에서만 전환 가능하도록 판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mode determining unit 110 may determine that the modes of the first depth can be switched, but that the modes of the second depth are switchable only within the same sub-mode group.

예컨대, 모드 판별부(110)는 제1 뎁스의 주차 모드에서 다른 제1 뎁스의 대기 모드로 전환을 가능하게 판별할 수 있으나, 제2 뎁스의 자동주차 모드에서 제2 뎁스의 엔터테인 모드로 전환은 불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제2 뎁스의 자동주차 모드는 제1 뎁스의 주차 모드로 전환한 후에 주차 모드가 아닌 다른 모드로 전환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mode determining unit 110 may determine that it is possible to switch from the parking mode of the first depth to the standby mode of the other first depth, but switching from the automatic parking mode of the second depth to the entertainment mode of the second depth is It can be set to be disabled. That is, the automatic parking mode of the second depth is set to be switched to a mode other than the parking mode after switching to the parking mode of the first depth.

이는, 감지 도구에서 생성되는 감지 정보의 종류가 제한적이므로, 서로 다른 모드라도 유사한 감지 정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 모드에 대하여 계층적인 구조를 설정하여 하위 모드들을 설정함으로써, 모드의 잘못된 인식을 방지하고 모드 간의 전환을 유동적이면서도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This is because, since the types of detec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etection tool are limited, similar detection information data can be used even in different modes. Accordingly, by setting a hierarchical structure for each mode and setting sub-modes, erroneous recognition of modes can be prevented and switching between modes can be set flexibly and flexibly.

모드 판별부(110)는,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좌우 움직임이 감지되면 충격 기록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충격 기록모드가 설정되면,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해당 상황에 대한 충격 감지 기록을 생성할 수 있으며, 설정에 따라 충격 감지 기록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The mode determining unit 110, in a state belonging to the parking mode, may set the impact recording mode when a low level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vehicle is detected. When the shock recording mode is set, the active response control unit 120 may generate a shock detection record for the corresponding situation, and may provide the shock detection record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setting.

모드 판별부(110)는, 주차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상하 움직임이 감지되면 수납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수납모드가 설정되면,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주변 상황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차량의 락 해제 또는 개폐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mode determining unit 110 may set the storage mode when a low level vertical movement of the vehicle is detected in a situation belonging to the parking mode. When the storage mode is set, the active response controller 120 may control to adaptively unlock or open/close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일 예로,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후방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차량의 후방으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고, 사용자가 차량에 인접하면 트렁크를 오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ctive response control unit 120 may detect that the user approaches the rear of the vehicle by using the rear image, and control the trunk to be opened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vehicle.

모드 판별부(110)는,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에 대한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고 차량의 위치 이동이 감지되면 견인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견인 모드가 설정되면,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주변 상황에 대한 감지 기록(예컨대, 주변 영상, 충격 감지 기록 등)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주기적으로 리포트 할 수 있다.The mode determining unit 110, in a state belonging to the parking mode, may be set to a towing mode when a forward/backward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vehicle is det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terminal is not recognized and a positional movement of the vehicle is detected. When the traction mode is set, the active response control unit 120 may generate a detection record (eg, a surrounding image, an impact detection record, etc.) for the surrounding situation and periodically report it to the user terminal.

모드 판별부(110)는,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사용자 단말의 감지 신호가 낮아지거나 불인식이 발생한 상황에서 차량의 주행이 발생하면, 자동 주차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자동 주차모드로 설정되면,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주변 상황에 대한 감지 기록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After the vehicle is stopped, the mode determining unit 110 may set the automatic parking mode when the vehicle door is opened and the vehicle is driven in a situation in whic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user terminal is low or unrecognized occurs. When the automatic parking mode is set, the active response control unit 120 may generate and store a detection record for the surrounding situation.

모드 판별부(110)는,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의 오디오 장치가 활성화 된 상태이면 엔터테인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엔터테인 모드로 설정되면,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차량의 이동을 제한하고, 차량의 온도 및 습도를 사전에 설정된 쾌적 모드로 설정하여 운영하고, 이러한 쾌적 모드는 차량의 오디오에 영향을 제한적으로 미치도록 낮게 설정될 수 있다.The mode determining unit 110 may set the mode to the entertainment mode when there is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and the audio device of the vehicle is activated in the state belonging to the standby mode. When set to the entertainment mode, the active response control unit 120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sets and operat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vehicle in a preset comfort mode, and this comfort mode has a limited effect on the audio of the vehicle. It can be set as low as possible.

모드 판별부(110)는,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소정 범위 내에서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면 차박 모드로 설정하고,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기 설정된 온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차량의 온도 조절을 제어할 수 있다.The mode determining unit 110, in a state belonging to the standby mode, when there is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and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sets the vehicle to the vehicle park mode, and the active response control unit 120 sets the preset temperature rang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vehicle to satisfy

모드 판별부(110)는,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에 대한 락 기능이 설정되면 애견보호 모드로 설정하고,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차량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대기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에 대기 상황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The mode determination unit 110, in the state belonging to the standby mode, when there is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and the lock function for the vehicle is set, it is set to the dog protection mode, and the active response control unit 120 is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generate standby situation information by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 and to provide standby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모드 판별부(110)는,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 이내에 해당되고, 설정된 제1 시간 범위 이내에서 차량의 주행 및 정차의 전환이 설정된 횟수 이상 발생하면, 시내주행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시내주행 모드로 설정되면, GPS 정보 및 주행과 관련된 카메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mode determining unit 110, in a situation belonging to the driving mode,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for a certain time or more falls within the city driving speed range, and when the switching between driving and stopping of the vehicle occurs more than a set number of times within the set first time range , can be set to city driving mode. The active response control unit 120 may store GPS information and driving-related camera information when the city driving mode is set.

모드 판별부(110)는,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내에서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를 초과하는 속도가 감지되고, 제1 시간 범위보다 짧게 설정된 제2 시간 범위 동안 차량이 고속주행 속도범위에 해당하는 속도로 주행하면, 고속주행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고속주행 모드로 설정되면, GPS 정보, 주행 속도 정보 및 주행 관련 카메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mode determining unit 110 detects a speed at which the vehicle speed exceeds the city driving speed rang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 a situation belonging to the driving mode, and the vehicle moves at high speed during a second time range set shorter than the first time range. When driving at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speed range, the high-speed driving mode can be set. When the active response control unit 120 is set to the high-speed driving mode, it may store GPS information, driving speed information, and driving-related camera information.

모드 판별부(110)는,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차량의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주행 중 정차모드로 설정하고, 모드 판별부(110)는 차량의 엔진을 멈추도록 제어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재시동 동작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The mode determining unit 110, in a situation belonging to the driving mode, i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vehicle is not detected, sets the vehicle to a stop mode while driving, and the mode determining unit 110 controls the engine to stop, and then controls the user's operation It can be controlled to restart operation according to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In the above, various embodiments of a vehicle control system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차량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기 설명한 공유재산 관리 시스템을 기초로 수행되므로, 도 1 내지 도 7에서 기 설명한 내용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vehicle control method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ince the vehicle control method to be described below is performed based on the shared property management system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 it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 Accordingly,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contents that can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will be partially omitted below.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method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상황적 대응장치(300)는, 차량의 상황에 대응되는 복수의 모드를 설정하고, 각각의 모드 마다 다르게 설정된 각 모드 별 적응적 대응을 관리할 수 있다(S810).Referring to FIG. 8 , the situational response apparatus 300 may set a plurality of modes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situation and manage an adaptive response for each mode that is set differently for each mode ( S810 ).

상황적 대응장치(300)는, 감지 도구에서 제공된 감지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 할 수 있다(S820).The situational response apparatus 300 may determine a mode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etection tool (S820).

상황적 대응장치(300)는, 판별된 모드에 적합한 능동적인 대응 제어를 수행 할 수 있다(S830).The situational response apparatus 300 may perform an active response control suitable for the determined mode (S830).

여기에서, 복수의 모드는, 차량이 정차되고 시동 및 전원이 꺼진 상황에 대응되는 주차 모드, 차량이 정차되어 있으나, 시동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황에 대응되는 대기 모드 및 차량이 주행 중이거나 주행 중 정차 상황에 대응되는 주행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modes include a parking mode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is stopped and starting and power is turned off, a standby mode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is stopped but at least one of starting or power is activated, and a vehicle running. Alternatively, the driving mode may include a driving mode corresponding to a stopping situation while driving.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단계 S82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step S820 shown in FIG. 8 .

도 9를 참조하면, 상황적 대응장치(300)는,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고,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과 연동하여 차량이 운행 중이거나 운행 중 정차 상황으로 확인되면 차량을 주행 모드로 설정 할 수 있다(S821).Referring to FIG. 9 , the situational response device 300 sets the vehicle to a driving mode when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and the vehicle is in operation or is confirmed to be in a stopped state in connection with the ECU (Electronic Control Unit) of the vehicle. It can be done (S821).

상황적 대응장치(300)는,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차량의 엔진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태로서, 차량의 도어 개폐가 발생하지 않거나 사용자 단말이 인식 가능하면 차량을 대기 모드로 설정 할 수 있다(S822).The situational response device 300 sets the vehicle to a standby mode when at least one of an engine or a power source of the vehicle is activated after the vehicle is stopped and the door of the vehicle does not open or close or the user terminal can recognize it. It can be done (S822).

상황적 대응장치(300)는,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사용자 단말의 불인식이 발생하면 차량을 주차 모드로 설정 할 수 있다(S823).The situational response device 300 may set the vehicle to the parking mode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user terminal is not recognized after the vehicle is stopped (S823).

단계 S821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주행 모드는, 시내주행 모드, 고속주행 모드 및 주행 중 정차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황적 대응장치(300)는,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 이내에 해당되고, 설정된 제1 시간 범위 이내에서 차량의 주행 및 정차의 전환이 설정된 횟수 이상 발생하면, 시내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내에서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를 초과하는 속도가 감지되고, 제1 시간 범위보다 짧게 설정된 제2 시간 범위 동안 차량이 고속주행 속도범위에 해당하는 속도로 주행하면, 고속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차량의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주행 중 정차모드로 설정하고, 차량의 엔진을 멈추도록 제어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재시동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for step S821, the driving mode includes at least one of a city driving mode, a high-speed driving mode, and a stop mode while driving, and the situational response device 300 performs a predetermined time period in a situation belonging to the driving mode. If the vehicle speed is within the city driving speed range and the vehicle driving and stopping switching occurs more than a set number of times within the set first time range, setting the city driving mode, in a situation belonging to the driving mode, a constant If the speed of the vehicle exceeding the city driving speed range is detected within the time, and the vehicle travels at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high speed driving speed range during the second time range set shorter than the first time range, the high speed driving mode is set In a situation belonging to the step and driving mode, i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vehicle is not detected, the step of setting the vehicle to a stop mode while driving, controlling the engine to stop the vehicle, and then controlling the restart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can be performed. have.

단계 S822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대기 모드는, 엔터테인 모드, 차박 모드 및 애견보호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황적 대응장치(300)는,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의 오디오 장치가 활성화 된 상태이면 엔터테인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소정 범위 내에서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면 차박 모드로 설정하고, 기 설정된 온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차량의 온도 조절을 제어하는 단계, 및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에 대한 락 기능이 설정되면 애견보호 모드로 설정하고, 차량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대기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에 대기 상황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for step S822, the standby mod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ntertainment mode, a car park mode and a dog protection mode. Situational response device 300, in the state belonging to the standby mode, when there is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and the audio device of the vehicle is in an active state, setting it to the entertainment mode, in the state belonging to the standby mode, for a certain time If there is no abnormal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and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setting the vehicle to the vehicle parking mode, controlling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vehicle to satisfy the preset temperature range, and in the standby mode, the vehicle for a certain time or longer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and the lock function for the vehicle is set, it sets the dog protection mode, collects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generates waiting status information, and performs a control step to provide waiting status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can do.

단계 S823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주차 모드는, 충격 기록모드, 수납 모드, 견인 모드 및 자동 주차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황적 대응장치(300)는,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좌우 움직임이 감지되면 충격 기록모드로 설정하고, 해당 상황에 대한 충격 감지 기록을 생성 하는 단계, 주차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상하 움직임이 감지되면 수납모드로 설정하고, 주변 상황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차량의 락 해제 또는 개폐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에 대한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고 차량의 위치 이동이 감지되면 견인 모드로 설정하고, 주변 상황에 대한 감지 기록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주기적으로 리포트하는 단계 및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사용자 단말의 감지 신호가 낮아지거나 불인식이 발생한 상황에서 차량의 주행이 발생하면, 자동 주차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for step S823, the parking mod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mpact recording mode, a storage mode, a towing mode, and an automatic parking mode, and the situational response device 300 is configured to operate in a state belonging to the parking mode. , When a low-level left/right movement of the vehicle is detected, set the shock recording mode, and generate a shock detection record for the corresponding situation. mode, controlling the unlocking or opening/closing of the vehicle adaptively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in a state belonging to the parking mode,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terminal is not recognized,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vehicle is detected and When a position movement is detected, the vehicle door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detection signal of the user terminal is low or When the driving of the vehicle occurs in a situation in which the recognition occurs, the step of setting the automatic parking mode may be perform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s limi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recognize that it can be changed and modified.

10 : 차량 제어 시스템
100 : 상황적 대응장치
110 : 모드 판별부 120 : 능동 대응 제어부
121 : 리포트 모듈 122 : 차량 제어모듈
210 : ECU 220 : 센서모듈
230 : 카메라 모듈 240 : 무선 통신모듈
250 : GPS 모듈
10: vehicle control system
100: situational response device
110: mode determination unit 120: active response control unit
121: report module 122: vehicle control module
210: ECU 220: sensor module
230: camera module 24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50: GPS module

Claims (15)

차량에 구비되고, 차량의 움직임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주변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 도구; 및
차량의 상황에 대응되는 복수의 모드를 설정하고, 각각의 모드 마다 다르게 설정된 각 모드 별 적응적 대응을 관리하며, 상기 감지 도구에서 제공된 상기 감지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하고, 판별된 모드에 적합한 능동적인 대응 제어를 수행하는 상황적 대응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a sensing tool provided in the vehicle and configured to generate sensing information including vehicle motion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and surrounding context information; and
Sets a plurality of modes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manages an adaptive response for each mode set differently for each mode, and determines a mode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etection tool, , a situational response device for performing an active response control suitable for the determined mode;
A vehicle control system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차량이 정차되고 시동 및 전원이 꺼진 상황에 대응되는 주차 모드;
상기 차량이 정차되어 있으나, 시동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황에 대응되는 대기 모드; 및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이거나 주행 중 정차 상황에 대응되는 주행 모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modes,
a parking mode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is stopped and the engine is started and the power is turned off;
a standby mode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is stopped, but at least one of starting or power is activated; and
a driving mode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or is stopped while driving;
A vehicle control system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도구는,
상기 차량의 움직임을 상하 움직임, 좌우 움직임 및 전후 움직임으로 구분하여 감지하고, 각 움직임의 크기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상기 차량 주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차량 내 또는 상기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이 수행 가능한 무선통신 모듈;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nsing tool comprises:
a sensor module for classifying and sens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to up-down movement, left-right movement, and front-back movement, and detects the magnitude of each movement;
a camera module for acquiring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existing in or around the vehicle; and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provided in the vehicle to generate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Vehicle control system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적 대응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고, 차량이 운행 중이거나 운행 중 정차 상황으로 확인되면 상기 차량을 상기 주행 모드로 설정하고,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엔진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태로서,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가 발생하지 않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 가능하면 상기 차량을 대기 모드로 설정하고,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불인식이 발생하면 상기 차량을 상기 주차 모드로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ituation response device,
When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and the vehicle is running or it is confirmed that the vehicle is stopped while driving, the vehicle is set to the driving mode,
After the vehicle is stopped, if at least one of the engine or the power source of the vehicle is activated and the door opening or closing of the vehicle does not occur or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able, the vehicle is set to a standby mode,
After the vehicle is stopped,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and closed and unrecognized of the user terminal occurs, setting the vehicle to the parking mode
A vehicle control system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모드는,
충격 기록모드, 수납 모드, 견인 모드 및 자동 주차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적 대응 장치는,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좌우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충격 기록모드로 설정하고, 해당 상황에 대한 충격 감지 기록을 생성하고,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상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수납모드로 설정하고, 주변 상황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상기 차량의 락 해제 또는 개폐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고 차량의 위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견인 모드로 설정하고, 주변 상황에 대한 감지 기록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주기적으로 리포트하고,
상기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감지 신호가 낮아지거나 불인식이 발생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의 주행이 발생하면, 상기 자동 주차모드로 설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arking mode,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mpact recording mode, a storage mode, a towing mode, and an automatic parking mode,
The situational response device is
In the state belonging to the parking mode, when a low level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vehicle is detected, it is set to the impact recording mode, and a shock detection record for the corresponding situation is generated,
In a situation belonging to the parking mode, when a low-level vertical movement of the vehicle is detected, the storage mode is set, and the vehicle is adaptively unlocked or opened/closed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In a state belonging to the parking mode, when a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vehicle is det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terminal is not recognized, and a position movement of the vehicle is detected, it is set to the towing mode, and a detection record for the surrounding situation is generated and the user Report periodically to the terminal,
After the vehicle is stopped, if the vehicle's door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driving of the vehicle occurs in a situation where the detection signal of the user terminal is low or unrecognized, setting the automatic parking mode
A vehicle control system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는,
엔터테인 모드, 차박 모드 및 애견보호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적 대응 장치는,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의 오디오 장치가 활성화 된 상태이면 상기 엔터테인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면 상기 차박 모드로 설정하고, 기 설정된 온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상기 차량의 온도 조절을 제어하고,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에 대한 락 기능이 설정되면 상기 애견보호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대기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대기 상황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tandby mode,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n entertainment mode, a car park mode, and a dog protection mode,
The situational response device is
In the state belonging to the standby mode,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and the audio device of the vehicle is activated, the entertainment mode is set,
In the state belonging to the standby mode, when there is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and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vehicle is set to the vehicle parking mode, and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to satisfy a preset temperature range,
In the state belonging to the standby mode,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and the lock function for the vehicle is set, the dog protection mode is set, and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is collected to generate standby situation information, Controlling to provide the waiting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 vehicle control system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모드는,
시내주행 모드, 고속주행 모드 및 주행 중 정차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적 대응 장치는,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 이내에 해당되고, 설정된 제1 시간 범위 이내에서 차량의 주행 및 정차의 전환이 설정된 횟수 이상 발생하면, 상기 시내주행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내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를 초과하는 속도가 감지되고, 상기 제1 시간 범위보다 짧게 설정된 제2 시간 범위 동안 차량이 고속주행 속도범위에 해당하는 속도로 주행하면, 상기 고속주행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의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주행 중 정차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의 엔진을 멈추도록 제어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재시동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riving mod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ity driving mode, a high-speed driving mode, and a stopping mode while driving;
The situational response device is
In a situation belonging to the driving mode, if the speed of the vehicle falls within the city driving speed rang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and the switching between driving and stopping of the vehicle occurs more than a set number of times within the first set time range, the city driving mode is entered. set up,
In a situation belonging to the driving mode, a speed at which the speed of the vehicle exceeds the city driving speed range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vehicle falls within the high speed driving speed range during a second time range set shorter than the first time range When driving at a speed of
In a situation belonging to the driving mode, if the forward/backward movement of the vehicle is not detected, the vehicle is set to a stop mode while driving, the engine of the vehicle is controlled to stop, and then restart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A vehicle control system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적 대응 장치는,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식 여부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이동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하는 모드 판별부; 및
각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 수집 및 리포트, 차량 제어를 포함하는 능동적 대응 제어를 설정하고, 상기 모드 판별부에서 판별된 모드에 따라 상기 차량에 대한 능동적 대응 제어를 수행하는 능동 대응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ituational response device,
a mode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mode suitable for a current situation of the vehicle by using the movement of the vehicle,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and the movement of the location of the vehicle; and
an active response control unit that sets active response control including information collection and report on the vehicle and vehicle control in response to each mode, and performs active response control o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mode determined by the mode determination unit;
A vehicle control system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대응 제어부는,
판별된 모드에 따라 상기 감지 도구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리포트하는 리포트 모듈; 및
판별된 모드에 따라 상기 차량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ctive response control unit,
a report module that collects information by using at least a part of the detection tool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ode, and reports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a vehicle control module configured to actively control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mode;
A vehicle control system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의 움직임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주변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 도구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상황적 대응 장치에서 수행되는 차량 제어 방법으로서,
차량의 상황에 대응되는 복수의 모드를 설정하고, 각각의 모드 마다 다르게 설정된 각 모드 별 적응적 대응을 관리하는 단계;
상기 감지 도구에서 제공된 상기 감지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하는 단계; 및
판별된 모드에 적합한 능동적인 대응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A vehicle control method that is provided in a vehicle and is performed in a situational response device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detection tool for generating detection information including vehicle movement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and surrounding situation information,
setting a plurality of modes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situation, and managing an adaptive response for each mode set differently for each mode;
determining a mode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etection tool; and
performing an active corresponding control suitable for the determined mode;
A vehicle control method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compris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차량이 정차되고 시동 및 전원이 꺼진 상황에 대응되는 주차 모드;
상기 차량이 정차되어 있으나, 시동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황에 대응되는 대기 모드; 및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이거나 주행 중 정차 상황에 대응되는 주행 모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plurality of modes,
a parking mode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is stopped and the engine is started and the power is turned off;
a standby mode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is stopped, but at least one of starting or power is activated; and
a driving mode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is driving or is stopped while driving;
A vehicle control method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comprisin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고, 상기 차량이 운행 중이거나 운행 중 정차 상황으로 확인되면 상기 차량을 상기 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엔진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태로서,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가 발생하지 않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 가능하면 상기 차량을 대기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불인식이 발생하면 상기 차량을 상기 주차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etermining of a mode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vehicle comprises:
setting the vehicle to the driving mode when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and the vehicle is being driven or it is confirmed that the vehicle is stopped while driving;
setting the vehicle to a standby mode when at least one of an engine or a power source of the vehicle is activated after the vehicle is stopped, and the door opening or closing of the vehicle does not occur or the user terminal can recognize the vehicle; and
after the vehicle is stopped, setting the vehicle to the parking mode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user terminal is not recognized;
A vehicle control method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comprising: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모드는,
충격 기록모드, 수납 모드, 견인 모드 및 자동 주차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좌우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충격 기록모드로 설정하고, 해당 상황에 대한 충격 감지 기록을 생성 하는 단계;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상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수납모드로 설정하고, 주변 상황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상기 차량의 락 해제 또는 개폐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고 차량의 위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견인 모드로 설정하고, 주변 상황에 대한 감지 기록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주기적으로 리포트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감지 신호가 낮아지거나 불인식이 발생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의 주행이 발생하면, 상기 자동 주차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arking mode,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mpact recording mode, a storage mode, a towing mode, and an automatic parking mode,
The step of setting the parking mode is,
In the state belonging to the parking mode, when a low level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vehicle is detected, setting the impact recording mode to the impact recording mode, and generating an impact detection record for the corresponding situation;
In a situation belonging to the parking mode, when a low level of vertical movement of the vehicle is detected, setting the storage mode to the storage mode, and controlling the unlocking 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adaptively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In a state belonging to the parking mode, when a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vehicle is det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terminal is not recognized, and a position movement of the vehicle is detected, it is set to the towing mode, and a detection record for the surrounding situation is generated and the user periodically reporting to the terminal; and
After the vehicle is stopped,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and the driving of the vehicle occurs in a situation where the detection signal of the user terminal is lowered or unrecognized occurs, setting the automatic parking mode;
A vehicle control method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comprising: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는,
엔터테인 모드, 차박 모드 및 애견보호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의 오디오 장치가 활성화 된 상태이면 상기 엔터테인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면 상기 차박 모드로 설정하고, 기 설정된 온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상기 차량의 온도 조절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에 대한 락 기능이 설정되면 상기 애견보호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대기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대기 상황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tandby mode,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n entertainment mode, a car park mode, and a dog protection mode,
The step of setting the standby mode is,
setting the entertainment mode in the state belonging to the standby mode when there is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and the audio device of the vehicle is activated;
In the state belonging to the standby mode, when there is no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and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setting the vehicle to the vehicle park mode and controlling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vehicle to satisfy a preset temperature range ; and
In the state belonging to the standby mode,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vehicl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and the lock function for the vehicle is set, the dog protection mode is set, and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is collected to generate standby situation information, controlling to provide the waiting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 vehicle control method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comprising: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모드는,
시내주행 모드, 고속주행 모드 및 주행 중 정차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 이내에 해당되고, 설정된 제1 시간 범위 이내에서 차량의 주행 및 정차의 전환이 설정된 횟수 이상 발생하면, 상기 시내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내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를 초과하는 속도가 감지되고, 상기 제1 시간 범위보다 짧게 설정된 제2 시간 범위 동안 차량이 고속주행 속도범위에 해당하는 속도로 주행하면, 상기 고속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의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주행 중 정차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의 엔진을 멈추도록 제어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재시동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riving mode is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ity driving mode, a high-speed driving mode, and a stopping mode while driving;
The step of setting the driving mode is,
In a situation belonging to the driving mode, if the speed of the vehicle falls within the city driving speed rang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more, and the switching between driving and stopping of the vehicle occurs more than a set number of times within the first set time range, the city driving mode is entered. setting up;
In a situation belonging to the driving mode, a speed at which the speed of the vehicle exceeds the city driving speed range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vehicle falls within the high speed driving speed range during a second time range set shorter than the first time range setting the high-speed driving mode when driving at a speed; and
In a situation belonging to the driving mode, if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vehicle is not detected, setting the vehicle to a stop mode while driving, controlling the engine of the vehicle to stop, and then controlling the vehicle to restart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A vehicle control method based on vehicle mode analysis, comprising:
KR1020210045594A 2021-04-08 2021-04-08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based on analysis of vehicle mode KR1025977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594A KR102597755B1 (en) 2021-04-08 2021-04-08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based on analysis of vehicle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594A KR102597755B1 (en) 2021-04-08 2021-04-08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based on analysis of vehicle m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053A true KR20220140053A (en) 2022-10-18
KR102597755B1 KR102597755B1 (en) 2023-11-06

Family

ID=83803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594A KR102597755B1 (en) 2021-04-08 2021-04-08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based on analysis of vehicle m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755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836A (en) * 2009-11-25 2011-06-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 for performing highway and urban district mode of front lighting
KR20150097907A (en) 2014-02-18 2015-08-2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Vehicle detection system based on context-awareness
KR20150121775A (en) * 2014-04-21 2015-10-30 주식회사 알리온 Method for Service Real-Time Security of Vehicle using Vehicle Black Box and System thereof
KR20160038415A (en) * 2014-09-30 2016-04-07 현대위아 주식회사 Control system for 4wd vehicle using infrared sensor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141082A (en) * 2016-06-14 2017-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Parking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JP2019144784A (en) * 2018-02-20 2019-08-29 株式会社ユピテル System and program
KR20200102145A (en) * 2019-02-21 2020-08-3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ark current of a vehicle
KR20210033594A (en) * 2019-09-18 2021-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836A (en) * 2009-11-25 2011-06-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 for performing highway and urban district mode of front lighting
KR20150097907A (en) 2014-02-18 2015-08-2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Vehicle detection system based on context-awareness
KR20150121775A (en) * 2014-04-21 2015-10-30 주식회사 알리온 Method for Service Real-Time Security of Vehicle using Vehicle Black Box and System thereof
KR20160038415A (en) * 2014-09-30 2016-04-07 현대위아 주식회사 Control system for 4wd vehicle using infrared sensor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141082A (en) * 2016-06-14 2017-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Parking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JP2019144784A (en) * 2018-02-20 2019-08-29 株式会社ユピテル System and program
KR20200102145A (en) * 2019-02-21 2020-08-3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ark current of a vehicle
KR20210033594A (en) * 2019-09-18 2021-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755B1 (en) 202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0190B2 (en) On-board device for event monitoring
JP4665882B2 (en) Vehicle door lock control device
US84367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ather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US8321086B2 (en) Gateway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s and travel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thereof
US10914112B2 (en) Vehicle liftgate control for cargo management
US10424204B1 (en) Collision warnings provided by stationary vehicles
US20180102001A1 (en) Unexpected impulse change collision detector
CN105100503B (en) The safe and convenient application method and device of mobile terminal during a kind of driving
US11702001B2 (en) Detect and alert of forgotten items left in a vehicle
JP6710714B2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vehicl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US117603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type of vehicle occupant based on locations of a portable device
US20210309181A1 (en) Intelligent Preparation of Vehicles for Operations based on User Recognition from a Distance
CN102890834B (en) Motor-vehicle accident register system and method
CN108932762A (en) Bicycle recording apparatus
US11024139B1 (en) Capacitive sensor system for cargo bed cap tampering detection
KR1018019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management of vehicle
US20190259044A1 (en) System for determining vehicle use statistics and method thereof
US20210230921A1 (en) Vehicle protection system, vehicle component and method
KR102597755B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based on analysis of vehicle mode
US11062582B1 (en) Pick-up cargo bed capacitive sensor systems and methods
CN112272630A (en) Detecting a collision event
EP3904166A1 (en) Compute system with theft alert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2010085234A (en)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for vehicle
US11951937B2 (en) Vehicle power management
US20230211753A1 (en) Vehicle sensor control for optimized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