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7907A - Vehicle detection system based on context-awareness - Google Patents

Vehicle detection system based on context-awaren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7907A
KR20150097907A KR1020140018747A KR20140018747A KR20150097907A KR 20150097907 A KR20150097907 A KR 20150097907A KR 1020140018747 A KR1020140018747 A KR 1020140018747A KR 20140018747 A KR20140018747 A KR 20140018747A KR 20150097907 A KR20150097907 A KR 20150097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bile terminal
identification number
communication uni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7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강환
오영준
안형주
김지만
최선숙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8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7907A/en
Publication of KR20150097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90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xt-awareness based vehicle detection system. The context-awareness based vehicle detection system comprises: a sensor unit which is placed in a vehicle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by detecting a change in the vehicle; a vehicle communications unit which is placed in the vehicle and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outputted from the sensor unit; a server including a server communication unit which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communications unit through a wireless network, a database which stores detection signal information, and a processing unit which generates a query by using the detection sig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nd outputs the same, or outputs a vehicle change state determination result by determining a change state of the vehicle in accordance with a response for a query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a first mobile terminal including a first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which receives the query outputted from the processing unit of the server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and a first application which generates a response by receiving the query outputted from the server and outputs the same, or outputs the vehicle change state determination result outputted from the processing uni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by outputting the query to the first application and receiving the response, when a change in the vehicle is detected.

Description

상황인식 기반 차량 감지 시스템{VEHICLE DETECTION SYSTEM BASED ON CONTEXT-AWARENESS}[0001] VEHICLE DETECTION SYSTEM [0002] BASED ON CONTEXT-AWARENESS [0003]

본 발명은 상황인식 기반 차량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tuation awareness based vehicle sensing system.

차량이 도난 당한 경우, 차량의 소유주(이하 ‘차주’라 함)는 차량의 도난 사실을 경찰서에 신고하고, 경찰로부터 신고된 도난 차량을 찾았다는 연락이 올 때까지 기다려야 했다.When a vehicle was stolen, the owner of the vehi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owner") had to report the stolen vehicle to the police and wait until the police informed him that he had found the reported stolen vehicle.

그러나, 이와 같은 도난 차량의 수색 과정은 경찰 단독으로 작업하게 되므로, 경찰이 아닌 일반인이 도난 차량 주위를 지나치게 되더라도, 일반인의 경우 해당 차량이 도난 차량인지의 여부를 알 수 없어 도난 차량의 수색작업에 도움을 주지 못하게 되며, 이로 인해 수색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search process of such a stolen vehicle is performed by the police alone, even if a general person, not a police person, passes around the stolen vehicle, the public can not know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a stolen vehic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arch operation is delayed.

또한, 주차 지역이 아닌 공간에 차량을 주차한 운전자는 자신의 차량이 다른 운전자에게 피해를 줄만 한 상황에 대비하여 차량의 앞유리 부분에 자신의 연락처를 기재하는데, 예로써, 본인의 휴대폰 번호를 적은 패널을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 상부에 부착하거나, 차량의 앞유리에 부착함으로써 다른 운전자들이 차량 소유주의 번호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driver who parks a vehicle in a non-parking area will write his / her contact number on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in case the vehicle is damaged by another driver, for example, Attach a small panel to the top of the vehicle's dashboard or attach it to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so other drivers can easily obtain the vehicle owner's number.

그러나, 이와 같이 번호만 알리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다른 사람들에게 양해를 구하는 말을 전할 수 없으므로, 메모지를 부착하여 간단한 내용의 말을 전하는 경우도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notifying only the number, it is impossible to convey a statement asking for understanding to other people, so that a simple note may be conveyed by attaching a note.

하지만, 매번 메모를 남길 쪽지를 쓰고 부착하는 수고가 수반되어야 하므로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it wa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be accompanied by the trouble of writing and attaching a note each time to leave a not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난된 차량의 신고와 도난 차량 수색 효율을 높이고, 차량의 소유주가 차량에 남긴 메모를 타인이 읽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earch and stolen vehicle detection of a stolen vehicle and to improve the process of reading the memo left by the owner of the vehicl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변화를 인지하여 상황을 인식하고, 인식한 상황에 대해 차량과 차량 소유주가 메시지를 주고받아 차량의 상태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ognize a situation of a vehicle and recognize a situation, and a vehicle and a vehicle owner exchange a message about the recognized situation to grasp a state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식 기반 차량 감지 시스템은 차량에 위치하여 상기 차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차량에 위치하여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한 상기 감지신호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차량 통신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차량 통신부에서 전송한 상기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서버 통신부, 상기 감지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감지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질의 문구를 생성하여 출력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질의 문구에 대한 답변에 따라 상기 차량의 변화상태를 판단하여 차량 변화상태 판단결과를 출력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서버, 그리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의 상기 처리부에서 출력한 상기 질의 문구를 수신하는 제1 모바일 단말 통신부, 그리고 상기 서버에서 출력한 상기 질의 문구를 전달받아 답변을 생성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처리부에서 출력된 상기 차량 변화상태 판단결과를 출력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1 모바일 단말을 포함한다. The system for detecting a situation based o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change of the vehicle and being positioned in a vehicle and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A server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the sens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a database that stores the sensing signal information, and a query unit that inquires using the sensing sig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 serve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phrase or a processing unit for determining a change stat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answer to the inquiry phrase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outputting a vehicle change state determination result; The query phrase output from the processing unit is received A first mobile terminal including a first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and a first application for receiving the query phrase output from the server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an answer or outputting the vehicle change status determination result output from the processor, .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조도변화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조도변화 감지부, 상기 차량의 바퀴구동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바퀴구동 감지부, 그리고 상기 차량의 시동구동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시동구동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n illuminance chang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a wheel drive sensing unit for sensing a wheel drive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a sensing signal, And a start drive sensing unit for outputting a signal.

상기 차량에 부착되고 상기 차량의 식별번호를 갖고 있는 NFC 태그, 그리고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에 위치하고 상기 차량의 식별번호와 동일한 식별번호를 갖는 제1 NFC 리더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An NFC tag attached to the vehicle and having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and a first NFC reader located in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having an identification number identical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감지신호를 상기 차량의 식별번호에 각각 대응하도록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좋다.And the database stores information so that the detection signal corresponds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respectively.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NFC 리더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번호를 전달받고, 상기 차량의 도난여부, 메모 내용 또는 메모 노출 시간을 입력하며, 상기 차량의 도난여부, 상기 차량의 식별번호, 상기 메모 내용 또는 상기 메모 노출 시간을 상기 제1 모바일 단말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차량의 도난여부, 상기 차량의 식별번호, 상기 메모 내용 또는 상기 메모 노출 시간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것이 좋다. The first application receive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from the first NFC reader, inpu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whether the vehicle is stolen, the memo content or the memo exposure time, and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stolen, Contents or the memo exposure time to the server through the first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rver notifies the server of the stolen state of the vehicl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the memo content, And the memo exposure time is input to the database to update the database.

NFC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의 상기 NFC 태그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번호를 전달받는 제2 NFC 리더,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GPS 수신부, 상기 제2 NFC 리더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번호를 전달받고, 상기 GPS 수신부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 그리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서 출력한 상기 차량의 식별번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제2 모바일 단말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2 모바일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A second NFC reader for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from the NFC tag of the vehicle through NFC communication,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satellite and outputting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NFC tag, A second application for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receiver and outputt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a second application for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econd application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And a second mobile terminal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상기 서버의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의 상기 제2 모바일 단말 통신부에서 출력한 상기 차량 식별번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것이 좋다.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of the server may update the database using the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상기 제1 모바일 단말 통신부, 상기 제2 모바일 단말 통신부 또는 상기 서버통신부는 3G 또는 4G 통신으로 통신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the second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or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e via 3G or 4G communication.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제1 모바일 단말의 제1 어플리케이션은 차량의 도난상태, 남길 메모 또는 메모 노출 시간을 입력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차량의 NFC 태그와 통신하여 차량의 식별번호를 전달받은 제2 모바일 단말의 제2 NFC 리더는 차량의 식별번호를 제2 모바일 단말의 제2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여, 제2 어플리케이션은 차량의 식별번호와 차량의 위치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그리고, 차량의 센서부에서 인지한 차량의 변화를 차량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 전달하여 차량의 상황을 판단하고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한다. According to this aspect, the first application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inputs the stolen state of the vehicle, the note to be left or the note exposing time to the server, communicates with the NFC tag of the vehicle, The second NFC reader of the terminal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to the second application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application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o the server. Then, the change of the vehicle recognized by the sensor unit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through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to determine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the database is updated using such information.

이로 인해, 차량의 도난 신고 및 도난 차량 수색 작업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차량에 메모를 효율적으로 남기고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fficiently perform the report of stolen of the vehicle and search for the stolen vehicle, an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check the memo in the vehicle.

또한, 차량의 변화를 감지한 것을 토대로 하여 차량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어 관리에 상황분석을 통해 차량 소유주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state of the vehicle on the basis of the change of the vehicle, an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ovide the vehicle owner with necessary services through the situation analysis on the management.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식 기반 차량 감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데이터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식 기반 차량 감지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FIG.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ituation recognition-based vehicl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data table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vehicle recognition system based on the context recogn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식 기반 차량 감지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situation recognition based vehicl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식 기반 차량 감지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First,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situation recognition-based vehicl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식 기반 차량 감지 시스템은 NFC 태그(tag)(11), 센서부(12) 및 차량통신부(13)를 구비하는 차량(10), 제1 NFC 리더(110), 제1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120) 및 제1 모바일 단말 통신부(130)를 구비하는 제1 모바일 단말(100), 제2 NFC 리더(210), 제2 어플리케이션(220), GPS 수신부(240) 및 제2 모바일 단말 통신부(230)를 구비하는 제2 모바일 단말(200), 그리고 DB(database)(21), 처리부(22) 및 서버 통신부(23)를 구비하는 서버(20)를 포함한다.1, a situation recognition based vehicle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10 having an NFC tag 11, a sensor unit 12, and a vehicle communication unit 13, A first mobile terminal 100, a second NFC reader 210, a second application 220, and a second mobile terminal 200 having a first NFC reader 110, a first application 120 and a first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A second mobile terminal 200 having a GPS receiving unit 240 and a second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30 and a server 21 having a DB 21, a processing unit 22 and a server communication unit 23, (20).

차량(10)에 부착된 NFC 태그(11)와 제1 및 제2 모바일 단말(100, 200)에 구비된 제1 및 제2 NFC 리더(110, 210)에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기술로써, 무선태그(RFID) 기술 중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다.In the NFC tag 11 attached to the vehicle 10 and the first and second NFC readers 110 and 210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mobile terminals 100 and 200,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uses a frequency band of 13.56 MHz as one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echnologies.

이때, NFC 태그(11)는 하나의 차량(10)에 부착되고, 하나의 차량(10)에 대응되는 하나의 식별번호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NFC tag 11 is attached to one vehicle 10 and has one identification number corresponding to one vehicle 10.

이러한 NFC 태그(11)는, 제1 또는 제2 NFC 리더(110, 210)와 근거리에 위치할 때, NFC 태그(11)가 포함하는 식별번호를 제1 또는 제2 NFC 리더(110, 210)로 전송한다.When the NFC tag 11 is located close to the first or second NFC reader 110 or 210, the identification number included in the NFC tag 11 is transmitted to the first or second NFC reader 110 or 210, Lt; / RTI >

그리고, 센서부(12)는 차량(10) 내부 또는 외부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차량 통신부(13)로 전달한다.The sensor unit 12 senses a change in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vehicle 10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13.

한 예에서, 센서부(12)는 차량의 시동이 켜지거나 꺼지는 상황, 시동은 꺼져있으나 바퀴가 회전하는 상황, 시동은 꺼져있으나 실내등이 켜져 있는 상황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각각 차량 통신부(13)로 전달한다.In one example, the sensor unit 12 senses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is turned on or off,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is turned on but the wheels are rotating,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is turned off but the interior lamp is turned on, .

도 2를 참고로 하여 센서부(12)를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센서부(12)는 조도변화 감지부(121), 바퀴구동 감지부(122), 그리고 시동구동 감지부(123)를 포함한다.2, the sensor unit 12 includes an illuminance change sensing unit 121, a wheel drive sensing unit 122, and a start drive sensing unit 123 .

이때, 조도변화 감지부(121)는 차량(10)의 실내등을 이용하여 차량 내부의 조도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차량통신부(13)로 전달한다.At this time, the illuminance change sensing unit 121 senses a change in illuminance inside the vehicle using the interior lamp of the vehicle 10, and transmits a sensing signal to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13. [

그리고, 바퀴구동 감지부(122)는 바퀴의 회전감지를 위해 바퀴 회전축의 회전을 감지한다. 차량이 이륜차량이거나 사륜차량인 경우 모두 바퀴구동 감지부(122)는 전륜 구동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차량통신부(13)로 전달한다.The wheel drive sensing unit 122 senses the rotation of the wheel rotation axis to detect the rotation of the wheel. When the vehicle is a two-wheeled vehicle or a four-wheeled vehicle, the wheel drive sensing unit 122 senses front wheel drive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13. [

시동구동 감지부(123)는 엔진의 RPM의 감지로부터 시동의 동작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차량통신부(13)로 전달한다.The startup drive sensing unit 123 senses whether or not the start of the engine is running based on the RPM of the engine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13. [

이와 같이 차량(10)의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위치하는 차량통신부(13)는 센서부(12)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신호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20)의 서버 통신부(23)로 전송한다.In this way,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13,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12 that senses the change of the vehicle 10 and outputs a sensing signal, transmits the sensing signal, which is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2, To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3) of the server (20).

이때, 차량통신부(13)는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모듈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13 is preferably composed of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그리고, 제1 모바일 단말(100)의 제1 NFC 리더(110)는 제1 모바일 단말(100)에 부착되거나 내장되는 칩일 수 있다. The first NFC reader 110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may be a chip attached to or embedded in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제1 NFC 리더(110)는 제1 모바일 단말(100)이 차량(10)의 NFC 태그(11)와 근거리에 위치할 때, NFC 태그(11)와 통신하여 NFC 태그(11)로부터 차량(10)의 식별번호를 수신하고, NFC 태그(11)로부터 전달받은 차량(10)의 식별번호를 제1 모바일 단말(100)의 제1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전송한다.The first NFC reader 110 communicates with the NFC tag 11 to transmit the vehicle 10 from the NFC tag 11 when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close to the NFC tag 11 of the vehicle 10. [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10 received from the NFC tag 11 to the first application 120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

제1 어플리케이션(120)은 제1 모바일 단말(10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program)일 수 있다.The first application 120 may be an application or a program installed in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1 어플리케이션(120)은 제1 NFC 리더(110)로부터 차량(10)의 식별번호를 전달받을 수 있지만, 제1 어플리케이션(120)은 제1 NFC 리더(110)에 일대일 대응되는 차량(10)의 식별번호를 이미 알고 있을 수 있다.The first application 120 can receiv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10 from the first NFC reader 110 while the first application 120 can receiv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10 from the first NFC reader 110,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10 may already be known.

한 예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120)의 구동을 통한 회원가입과 같은 절차를 통해 제1 어플리케이션(120)은 제1 NFC 리더(110)와 일대일 대응하는 차량(10)의 식별번호를 알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first application 120 can know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NFC reader 110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through a procedure such as membership registration through driving of the first application 120 .

이러한 제1 어플리케이션(120)은 차량 도난 신호, 메모 내용 또는 메모 노출 시간을 입력받아 서버(20)로 전송한다.The first application 120 receives the vehicle stolen signal, the memo content, or the memo exposure time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20.

한 예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120)은 차량 도난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차량 도난 신호와 알고 있는 NFC 태그(11)의 식별번호를 서버(20)로 전송한다.In one example, the first application 120 receives the vehicle stolen signal, and transmits the received vehicle stolen signal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known NFC tag 11 to the server 20.

다른 한 예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120)은 메모 내용과 메모 노출 시간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메모 내용, 메모 노출 시간 및 알고 있는 NFC 태그(11)의 식별번호를 서버(20)로 전송한다.In another example, the first application 120 receives the memo content and the memo exposure time, and transmits the received memo content, the memo exposure time,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known NFC tag 11 to the server 20.

이때, NFC 태그(11)의 식별번호는 차량(10)의 식별번호에 대응되므로, 제1어플리케이션(120)은 차량 도난 신호와 차량(10)의 식별번호를 서버(20)로 전송하는 것과 동일하다.At this time, sinc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NFC tag 11 corresponds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10, the first application 120 is equivalent to transmitting the vehicle stolen signal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10 to the server 20 Do.

그리고 이때, 제1 어플리케이션(120)에서 서버(20)로 전송되는 차량 도난 신호, 메모 내용 또는 메모 노출 시간과 같은 정보들은 제1 모바일 단말 통신부(130)를 통해 서버(20)의 서버 통신부(23)로 전송된다.At this time, information such as a vehicle stolen signal, a memo content, or a note exposure time transmitted from the first application 120 to the server 20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3 of the server 20 through the first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

제1 모바일 단말 통신부(130)는 3G 또는 4G 통신을 이용하는 무선통신 모듈인 것이 좋다.The first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ing 3G or 4G communication.

이와 같이, 제1 NFC 리더(110), 제1 어플리케이션(120) 및 제1 모바일 단말 통신부(130)를 구비하는 제1 모바일 단말(100)은 무선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등일 수 있다.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having the first NFC reader 110, the first application 120 and the first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may b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be a smart phone, a tablet PC , A PDA, and the like.

계속해서 도 1을 참고로 하여 제2 모바일 단말(200)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2 모바일 단말(200)은 제1 모바일 단말(100)과 마찬가지로 무선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이다.Referring to FIG. 1,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is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like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제2 NFC 리더(210)는 NFC 통신을 통해 차량(10)의 NFC 태그(11)로부터 식별번호를 전달받아 제2 어플리케이션(220)으로 전달한다.The second NFC reader 21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number from the NFC tag 11 of the vehicle 10 through the NFC communication and transfers the identification number to the second application 220.

한 예에서, 제2 NFC 리더(210)는 차량(10)의 NFC 태그(11)가 아닌 다른 차량(미도시)에 부착된 NFC 태그(미도시)와 대응되는 식별번호를 갖고 있다. In one example, the second NFC reader 210 has an identification number corresponding to an NFC tag (not shown) attached to a vehicle (not shown) other than the NFC tag 11 of the vehicle 10.

그러나 이때, 제2 NFC 리더(210)는 제2 NFC 리더(210)의 식별번호를 제2 어플리케이션(220)에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10)의 NFC 태그(11)로부터 전달받은 식별번호를 제2 어플리케이션(220)에 전달한다.However, at this time, the second NFC reader 210 does not transmit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second NFC reader 210 to the second application 220, but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number received from the NFC tag 11 of the vehicle 10 To the second application (220).

제2 어플리케이션(220)은 제1 어플리케이션(120)과 마찬가지로 제2 모바일단말(20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이며, 제2 NFC 리더(210)로부터 NFC 태그(11)의 식별번호를 전달받고, GPS 수신부(240)로부터 제2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전달받는다. The second application 220 is a program installed in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like the first application 120. The second application 22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NFC tag 11 from the second NFC reader 210, And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240.

이러한 제2 어플리케이션(220)은 NFC 태그(11)의 식별번호, 제2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2 모바일 단말 통신부(230)로 전달한다.The second application 22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NFC tag 11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30.

그리고, 제2 어플리케이션(220)은 제2 모바일 단말 통신부(230)로부터 차량도난 여부, 메모 내용, 또는 차량의 변화 감지 메시지를 전달받아 출력한다.Then, the second application 220 receives the vehicle stolen, memo contents, or vehicle change detection message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30 and outputs the message.

제2 모바일 단말 통신부(230)는 제2 어플리케이션(220)으로부터 전달받은 NFC 태그(11)의 식별번호를 무선 통신을 통해 서버(20)의 서버 통신부(23)로 전송하고, 이때, 제2 모바일 단말 통신부(230)는 제1 모바일 단말 통신부(130)와 같이, 3G 또는 4G의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 모듈일 수 있다.The second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30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NFC tag 11 received from the second application 220 to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3 of the server 20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30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using a 3G or 4G wireless network, such as the first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

서버(20)의 서버 통신부(23)는 이미 설명한 것과 같이 무선통신을 통해 제1 모바일 단말(100)의 제1 모바일 단말 통신부(130), 제2 모바일 단말(200)의 제2 모바일 단말 통신부(230), 그리고 차량(10)의 차량 통신부(13)와 통신한다.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3 of the server 20 is connected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the second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230, and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13 of the vehicle 10. [

이때, 서버 통신부(23)는 제1 모바일 단말 통신부(130)로부터 차량 도난 신호, 메모 내용 또는 메모 노출 시간을 전달받고, 제2 모바일 단말 통신부(230)로부터 NFC 태그(11)의 식별번호를 전달받으며, 차량 통신부(13)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는다.At this time,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3 receives the vehicle stolen signal, memo content, or memo exposure time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NFC tag 11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30 And receives a detection signal from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13.

처리부(22)는 프로세서로써, 서버 통신부(23)가 제1 및 제2 모바일 단말(100, 200) 또는 차량(10)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전달받아 처리하여 DB(21)에 전달하거나, 제1 또는 제2 모바일 단말(100, 20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DB(21)에서 정보를 탐색하여 탐색된 정보를 서버 통신부(23)를 통해 제1 또는 제2 모바일 단말(100, 200)의 제1 또는 제2 모바일 단말 통신부(130, 230)로 전달한다.The processor 22 is a processor that receives and receive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and second mobile terminals 100 and 200 or the vehicle 10 by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3 and transmits the processed information to the DB 21,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or 200 searches for information in the DB 21 according to an informa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100 or 200 and transmits the searched information to the first or second mobile terminal 100 or 200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3. [ To the first or second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230).

처리부(22)가 제1 및 제2 모바일 단말(100, 200) 또는 차량(10)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처리하여 DB(21)에 전달하는 한 예로써, 처리부(22)는 제1 및 제2 모바일 단말(100, 200) 또는 차량(10)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들을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테이블로 저장한다.As an example in which the processing unit 22 processe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and second mobile terminals 100 and 200 or the vehicle 10 and transmits the processed information to the DB 21, the processing unit 22 includes first and seco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100 or 200 or the vehicle 10 is stored in a table as shown in FIG.

도 3을 참고로 하여 DB(21)에 저장된 데이터 테이블(500)을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DB(21)의 데이터 테이블(500)은 식별번호(510), 도난 여부(520), 위치(530), 메모 내용(540), 메모 노출 시간(550), 차량변화(560)의 항목을 각각 구비한다.The data table 500 of the DB 21 includes an identification number 510, a theft condition 520, a location 530, and a data table 500 stored in the DB 21 with reference to FIG. A memo content 540, a memo exposure time 550, and a vehicle change 560, respectively.

이러한 데이터 테이블(500)의 식별번호(510), 메모 내용(540) 및 메모 노출시간(550) 항목은 제1 모바일 단말(100)로부터 전달받은 차량(10)의 식별번호, 메모 내용 또는 메모 노출시간을 각각 저장함으로써 갱신된다.The identification number 510, the memo content 540 and the memo exposure time 550 of the data table 500 correspond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10 received from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Lt; / RTI >

이때, 식별번호(510) 항목은 제1 모바일 단말(100)의 제1 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한 회원가입 절차를 통해 데이터 테이블(500)에 저장될 수 있고, 제1 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입력되어 데이터 테이블(500)의 식별번호(510) 항목에 저장되는 식별번호는 제1 모바일 단말(100)에 일대일 대응되는 차량(10)의 식별번호이다.At this time, the item of the identification number 510 may be stored in the data table 500 through the membership application procedure through the first application 120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and may be input through the first application 120 The identification number stored in the identification number 510 field of the data table 500 is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in one-to-one correspondence.

그리고, 데이터 테이블(500)의 도난여부(520), 위치(530) 항목은 제2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전달받은 차량(10)의 식별번호 및 위치정보를 각각 저장함으로써 갱신된다.The items 520 and 530 of the data table 500 are updated by stor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respectively.

또한, 데이터 테이블(500)의 차량변화(560) 항목은 차량(10)으로부터 전달받은 차량(10)의 식별번호 및 감지신호를 각각 저장함으로써 갱신된다.Further, the vehicle change (560) item of the data table 500 is updated by stor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detection signal of the vehicle 10 received from the vehicle 10, respectively.

이와 같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테이블(500)에서, 식별번호(510) 항목에 6001이 저장된 행은 도난여부(520) 항목에 도난되지 않은 상태를 저장하고 있고, 위치(530) 항목에 ‘○○시 △△구’라는 주소를 저장하고 있다.In the data table 500 storing the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a row in which 6001 is stored in the item of the identification number 510 stores a state that the item is stolen in the item 520, ○ Address △ △ △ "is stored.

이때, 도난여부(520) 항목은 도난되지 않은 상태를 기본 설정값으로 갖고 있다.At this time, the item of theft (520) has a non-stolen state as a default setting value.

그리고 이때, 위치(530) 항목에 저장된 주소는 제2 모바일 단말(200)의 GPS 수신부(240)로부터 전달받은 위치정보로써, 이 위치정보는 제2 NFC 리더(210)가 차량(10)의 NFC 태그(11)와 NFC 통신한 이후 제2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전달받는 것이므로, 제2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가 차량(10)의 위치와 가깝다고 판단하여 제2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를 차량(10)의 위치로 간주한다.At this time, the address stored in the location 530 i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240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econd NFC reader 210 in the NFC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is close to the position of the vehicle 10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is determined Is regarded as the position of the vehicle (10).

그리고, 메모 내용(540) 항목은 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데, 이와 같이 메모 내용(540) 항목에 정보가 저장되지 않은 것은 식별번호 6001을 갖는 차량(10)에 대응하는 제1 모바일 단말(100)의 제1 어플리케이션(120)에서 입력된 메모 내용이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식별번호 6001의 행의 메모 내용(540) 항목은 널(null)값을 갖는다.In the case where the memo content 540 does not store information,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10 hav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6001 does not store the information in the memo content 540, It means that there is no memo content input from the first application 120 of the terminal. Therefore, the memo content 540 of the row of the identification number 6001 has a null value.

그리고 이때, 제1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입력된 메모 내용이 없으므로, 메모 노출 시간 역시 입력되지 않으며, 따라서 식별번호 6001에 해당하는 메모 노출 시간(550) 항목도 널(null) 값을 갖는다.At this time, since there is no memo content input from the first application 120, the memo exposition time is not input, and therefore, the memo exposition time item 550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6001 also has a null value.

그리고, 차량 변화(560) 항목은 차량(10)의 센서부(12)에서 감지하여 차량통신부(13)로부터 전달받은 감지신호를 저장하고, 식별번호 6001의 경우, 조도변화가 감지되었다는 내용을 저장한다.The vehicle change 560 item stores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by the sensor unit 12 of the vehicle 10 from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13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illumination change is detected in the case of the identification number 6001 do.

그리고, 데이터 테이블(500)에서 식별번호(510) 항목에 6002 값을 저장하고 있는 행이 포함하는 정보를 설명하면, 식별번호 6002는 차량이 도난 당했고, 차량의 위치는 ‘○○시 □□구’이며, 차량에 대응되는 제1 모바일 단말(100)에서 입력한 메모 내용은 ‘010-XXXX-XXXX’인 휴대폰 번호를 저장하고 있다.If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row 6002 stores the value of the identification number 510 in the data table 500, the identification number 6002 indicates that the vehicle has been stolen, ', And the memo contents input by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stores' 010-XXXX-XXXX'.

또한, 식별번호 6002에 해당하는 정보 중 메모 노출 시간은 60분이고, 차량변화는 바퀴 구동 감지로 저장되어 있다.Among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6002, the note exposure time is 60 minutes, and the vehicle change is stored as wheel drive detection.

계속해서 도 3을 참고로 하여 데이터 테이블(500)에서 식별번호(510) 항목에 6152 값을 저장하고 있는 행이 포함하는 정보를 설명하면, 식별번호 6152는 차량이 도난되지 않았고, 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았으며, 메모 내용은 ‘급한 용무입니다. 양해 바랍니다. 010-XXX-XXXX’라는 내용을 저장하고 있다.Continuing with reference to FIG. 3, in the data table 500,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ow storing the value 6152 in the identification number field 510 will be described. The identification number 6152 indicates that the vehicle has not been stolen, And the memo is "urgent business". please understand. 010-XXX-XXXX '.

또한, 메모 노출 시간은 10분이고 차량변화 감지내용은 널(null) 값을 갖는다. 이때, 차량변화(560) 항목에 널(null) 값이 저장되어있는 것은 차량(10)의 센서부(12)에서 감지된 차량변화가 없음을 의미한다.Also, the note exposure time is 10 minutes and the content of the vehicle change detection has a null value. At this time, the null value is stored in the vehicle change 560 field means that there is no vehicle chang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2 of the vehicle 10.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데이터 테이블(500)은 제1 및 제2 모바일 단말(100, 200) 또는 차량(10)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테이블로 저장하고 있고, 이러한 데이터 테이블(500)은 정보를 전달받을 때마다 갱신된다.3, the data table 500 store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and second mobile terminals 100 and 200 or the vehicle 10 as a table, Is updated every time information is received.

도 4를 참고로 하여 서버(20)의 구조를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처리부(22)는 메모 추천부(221), 메모 입력부(222), 메모 조회부(223)를 포함한다.4, the structure of the server 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processing unit 22 includes a memo recommendation unit 221, a memo input unit 222, and a memo inquiry unit 223.

메모 입력부(222)는 서버 통신부(23)를 통해 전달받은 식별번호, 메모 내용, 메모 노출 시간을 DB(21)의 데이터 테이블(500)에 저장한다.The memo input unit 222 stores the identification number, the memo content, and the memo exposure time transmitted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3 in the data table 500 of the DB 21.

메모 조회부(223)는 제2 어플리케이션(220)으로부터 전달받은 식별번호를 DB(21)의 데이터 테이블(500)에서 탐색하여, 탐색된 식별번호와 같은 행에 위치하는 메모 내용, 메모 노출 시간 및 차량변화 여부를 추출하여 서버 통신부(23)로 전달한다.The note inquiry unit 223 searches the data table 500 of the DB 21 for the identification number received from the second application 220 and determines whether the note content located on the same row as the found identification number, And transmits the extracted information to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3.

이때, 메모 조회부(223)가 데이터 테이블(500)에서 탐색한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메모 내용, 메모 노출 시간 또는 차량변화 여부 항목이 내용을 갖지 않는 널(null) 값이거나, 메모 내용은 존재하되 메모 노출 시간이 초과한 경우, 메모 조회부(223)는 출력할 메모가 없다는 신호를 서버 통신부(23)로 전달한다.At this time, the memo inquiry unit 223 determines whether the memo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searched in the data table 500, the memo exposure time or the vehicle change item is a null value having no content, If the note expiration time has been exceeded, the note inquiry unit 223 transmits a signal to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3 that there is no note to output.

그리고 이때, 메모 노출 시간(550) 항목은 데이터 테이블(500)에 저장됨과 동시에 표준 시간에 맞추어 역으로 카운트된다. At this time, the memo exposure time 550 item is stored in the data table 500 and is counter-clocked according to the standard time.

한 예에서, 도 3의 데이터 테이블(500)에서 식별번호 6002는 메모 노출 시간이 60분으로 설정되어 있고, 메모 노출 시간이 저장되자마자 60분, 59분 59초, 59분 58초, … , 1초와 같이 거꾸로 시간이 카운트된다.In one example, in the data table 500 of FIG. 3, the identification number 6002 indicates that the note exposure time is set to 60 minutes, and immediately after the note exposure time is stored, 60 minutes, 59 minutes, 59 seconds, 59 minutes, 58 seconds, , The time is counted upside down like 1 second.

다른 한 예에서, 식별번호 6152를 갖는 경우, 메모 노출 시간이 저장됨과 동시에 10분에서 거꾸로 카운트된다. In another example, with the identification number 6152, the note exposure time is counted backwards from 10 minutes at the same time as the memo exposure time is stored.

따라서, 처리부(22)의 메모 조회부(223)는 DB(21)의 데이터 테이블(500)에서 추출한 메모 노출 시간(550)이 0이 아닌 경우 메모 노출 시간이 남아 있다고 판단하여 메모 내용을 서버 통신부(23)로 전달하고, 메모 노출 시간이 0인 경우 메모 노출 시간이 초과했다고 판단하여 메모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신호를 서버 통신부(23)로 전달한다.The memo inquiry unit 223 of the processing unit 22 determines that the memo exposure time 550 is not 0 when the memo exposure time 550 extracted from the data table 500 of the DB 21 is not 0, When the note exposing time is 0, it is determined that the note exposing time has been exceeded, and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note does not exis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3.

그리고, 처리부(22)의 메모 추천부(221)는 제1 모바일 단말(100)의 제1 어플리케이션(120)에 메모를 추천한다. The memo recommendation unit 221 of the processing unit 22 recommends a memo to the first application 120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

한 예에서, 서버 통신부(23)가 제1 모바일 단말(100)의 제1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메모 추천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메모 추천부(221)는 제1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 또는 현재 시간과 같은 변수를 이용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120)에 추천할 메모 내용을 DB(21)에서 탐색하여 출력하고, 출력된 추천 메모 내용을 서버 통신부(23)를 통해 제1 모바일 단말(100)의 제1 어플리케이션(120)에 전달한다.When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3 receives the memo recommend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first application 120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the memo recommendation unit 221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Or the current time, searches the DB 21 for a memo to be recommended in the first application 120 and outputs the memo content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for example, 100 to the first application 120 of the mobile terminal.

이때, 메모 추천부(221)는 DB(21)의 데이터 테이블(500)에 메모를 저장할 때의 제1 모바일 단말(100)의 위치, 메모가 저장된 시간의 변수들에 대한 통계를 저장한다.At this time, the memo recommendation unit 221 stores statistics on the positions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and the variables of the memorized time when memos are stored in the data table 500 of the DB 21.

한 예에서, 메모 추천부(221)는 특정 위치에서 자주 저장된 메모 또는 특정 시간대에 자주 저장된 메모를 통계로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메모 추천부(221)는 메모 추천 요청 신호가 발생된 모바일 단말(예로써, 제1 모바일 단말)의 위치 및 메모 추천 요청 신호 발생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통계로 저장된 메모 중 위치 및 시간이 유사한 메모를 탐색 및 추출하여 추천 메모로 간주하여 서버 통신부(23)로 전달한다.In one example, the memo recommendation section 221 stores memos frequently stored at specific locations or memos frequently stored at specific time periods as statistics. Then, the memo recommendation unit 221 memorizes the notes stored in the statistical memory on the basis of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the first mobile terminal) where the memo recommendation request signal is generated and the memo recommendation request signal occurrence time Retrieves and extracts the memo, regards it as a recommendation memo, and transfers it to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23.

이로 인해, 차량에 남기고자 하는 메모의 입력 및 메모를 읽는 일련의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a series of processes of inputting a memo to be left on the vehicle and reading the memo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그리고, 이와 같이 메모 추천부(221), 메모 입력부(222) 및 메모 조회부(223)를 구비하는 처리부(22)는 제2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전달받은 식별번호가 데이터 테이블(500)에서 도난 차량으로 분류된 차량인 경우, 제2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전달받은 위치정보를 제1 모바일 단말(100)로 전송한다.The processing unit 22 having the memo recommendation unit 221, the memo input unit 222 and the memo inquiry unit 223 can recognize that the identification number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is the same as the identification number If the vehicle is classified as a stolen vehicle,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이때, 제2 모바일 단말(200)에서 얻은 식별번호가 데이터 테이블(500)에서 도난 차량으로 분류되어 있는 것은, 해당 식별번호를 갖는 차량(10)이 도난 되어 차량(10)에 상응하는 제1 모바일 단말(100)에서 차량 도난신호를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처리부(22)가 제2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제1 모바일 단말(100)에 전달함으로 인해, 제1 모바일 단말(100)에서는 차량(10)의 대략적인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fact that the identification number obtained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is classified as the stolen vehicle in the data table 500 means that the vehicle 10 hav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is stolen and the first mobile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10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and the processing unit 22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approximat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한 예에서, 처리부(22)는 제2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알리는 팝업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 모바일 단말(100)의 제1 어플리케이션(120)에 출력한다.In one example, the processing unit 22 generates a pop-up message inform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and outputs the pop-up message to the first application 120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이로 인해, 도난 차량의 위치정보를 도난 차량 소유주가 제1 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빠르게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차량 탐색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the owner of the stolen vehicle to quickly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tolen vehicle through the first application 120, thereby effectively performing the vehicle search operation.

그리고, 처리부(22)는 차량(10)의 변화 감지신호를 센서부(12)로부터 전달받는 즉시 데이터 테이블(500)의 차량변화(560) 항목에 저장하여 데이터 테이블(500)을 갱신하고, 서버 통신부(23)를 통해 제1 모바일 단말(100)의 제1 모바일 단말 통신부(130)에 전달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120)에 감지된 차량의 변화 상황을 출력한다.Upon reception of the change detection signal of the vehicle 10 from the sensor unit 12, the processing unit 22 stores the change detection signal in the vehicle change 560 item of the data table 500 to update the data table 500,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30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3 to output the change status of the detected vehicle to the first application 120. [

그리고 이때, 처리부(22)는 제1 어플리케이션(120)에 감지된 차량의 변화 상황을 출력함과 동시에, 감지된 차량 변화 상황에 따른 질의 문구를 제1 어플리케이션(120)에 전달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ing unit 22 may output the change status of the detected vehicle to the first application 120, and may transmit the query phrase according to the detected vehicle change status to the first application 120. [

한 예에서, 데이터 테이블(500)의 차량 변화(560) 항목에 바퀴 구동 감지가 입력된 경우, 처리부(22)는 제1 어플리케이션(120)에 차량 구동여부를 묻는 질의 문구를 팝업 메시지로 출력한다.In one example, when wheel drive detection is input to the vehicle change 560 item of the data table 500, the processing unit 22 outputs a query message asking whether the vehicle is driven to the first application 120 as a pop-up message .

그리고 처리부(22)는 제1 어플리케이션(120)에 전달한 팝업 메시지에 대한답변을 통해 차량(10)의 상황을 판단한다. 예로써, 처리부(22)가 제1 어플리케이션(120)에 출력한 차량 구동여부 질의 문구에 대한 답변으로써 차량이 구동 중이라는 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처리부(22)는 바퀴 구동 감지 상황이 정상적인 상황이라고 판단한다.The processing unit 22 determines the state of the vehicle 10 through a response to the pop-up message transmitted to the first application 120. For example, when the processing unit 22 receiv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s running as an answer to the query of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driven, output to the first application 120, the processing unit 22 determines that the wheel driving detection situation is normal .

그러나, 다른 한 예로써, 처리부(22)가 제1 어플리케이션(120)에 출력한 차량 구동여부 질의 문구에 대한 답변으로써, 차량이 구동 중이 아니라는 신호를 전달받는 경우, 처리부(22)는 바퀴 구동 상황이 비정상적인 상황이라고 판단하여(예로써, 견인되고 있는 상황) 판단결과를 제1 어플리케이션(120)에 팝업 메시지로 출력한다.However, as another example, when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vehicle is not being driven is received as an answer to the query of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driven, which is output to the first application 120 by the processing unit 22, (For example, a situation in which it is being towed) and outputs a determination result to the first application 120 as a pop-up message.

그리고, 데이터 테이블(500)의 차량 변화(560) 항목에 조도변화 감지 또는 시동 구동 감지가 입력된 경우, 처리부(22)는 차량(10)의 시동 구동여부를 묻는 질의 문구를 제1 어플리케이션(120)에 출력한다. 이때, 제1 어플리케이션(120)에서 시동 구동여부 질의 문구에 대한 답변으로써 시동이 구동 중이라는 신호를 발생한 경우, 처리부(22)는 시동이 정상적으로 구동중인 상황이라고 판단한다.When the illumination change detection or the start drive detection is input to the vehicle change 560 item of the data table 500, the processing unit 22 transmits a query message ask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10 is started up to the first application 120 . At this time, when the first application 120 generat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startup is in operation as an answer to the inquiry about whether or not to start the engine, the processing unit 22 determines that the startup is normally operating.

그러나 이때, 제1 어플리케이션(120)이 시동 구동여부 질의 문구에 대한 답변으로 시동이 구동 중이 아니라는 신호를 발생하는 경우, 처리부(22)는 시동이 꺼진 상황에서 조도 변화 또는 시동 구동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하여(차량의 배터리 방전 위험이 있을 수 있음) 판단결과를 제1 어플리케이션(120)에 팝업 메시지로 출력한다.However, if the first application 120 generate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starting operation is not being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inquiry about whether the starting operation is not being performed, the processing unit 22 determines that the illumination change or the starting operation is detected in the state where the starting is turned off (Which may be a battery discharge risk of the vehicle) to the first application 120 as a pop-up message.

이와 같이, 처리부(22)는 데이터 테이블(500)에 입력된 차량 변화(560) 항목을 토대로 차량(10)의 변화여부를 제1 어플리케이션(120)에 질의하고 이에 따른 차량(10)의 상황을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제1 어플리케이션(120)에 전달한다. 이로 인해, 차량(10)의 변화를 제1 어플리케이션(120)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차량(10)에 발생한 비상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ing unit 22 queries the first application 120 whether the vehicle 10 has changed based on the vehicle change 560 item input to the data table 500, and determines the state of the vehicle 10 accordingly And transmits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first application 120. Thereby, the change of the vehicle 10 can be confirmed in real time in the first application 120, so tha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ing in the vehicle 10 can be promptly dealt with.

다음으로, 도 5를 참고로 하여 상황인식 기반 차량 감지 시스템의 동작을 자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situation recognition based vehicle detec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한 한 실시예에서, 제1 모바일 단말(100)은 차량(10)의 식별번호를 갖고 있는 단말로써 차량(10)의 도난 상황을 신고하거나 차량(10)에 남기고자 하는 메모를 입력하는 단말이고, 제2 모바일 단말(200)은 차량(10)의 NFC 태그(11)에 접근하여 차량(10)의 도난 여부, 메모 확인 및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말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reports the theft condition of the vehicle 10 to the terminal 10 hav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10,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accesses the NFC tag 11 of the vehicle 10 and confirms whether the vehicle 10 is stolen, memo confi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도 5를 참고로 하면, 먼저, 차량(10)은 센서부(12)의 구동 여부를 판단하여(Q10), 센서부(12)가 구동된 경우 차량의 센서부(13)는 차량(10)의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서버(20)로 전달한다(S11).5, the vehicle 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ensor unit 12 is driven (Q10). When the sensor unit 12 is driven, the sensor unit 13 of the vehicle senses the vehicle 10,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server 20 (S11).

이와 같이, 센서부(13)의 감지신호가 서버(20)에 전달된 경우, 감지신호는 DB(21)에 저장되어 데이터 테이블(500)이 갱신되고, 처리부(22)는 제1 모바일 단말(100)의 제1 어플리케이션(120)에 차량의 변화에 대한 질의 문구를 출력하며, 이에 대한 답변을 제1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수신한다(S12). When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unit 13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0, the sensing signal is stored in the DB 21 to update the data table 500, and the processing unit 22 transmits the sensing signal to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to the first application 120 and receives a response from the first application 120 (S12).

그리고, 차량(10)의 센서부(12) 구동 여부 판단 단계(Q10)에서 센서부(12)가 구동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모바일 단말(100)의 제1 어플리케이션(120)은 메모 또는 차량 도난신호를 입력한다(S21).If it is determined in step Q10 that the sensor unit 12 of the vehicle 10 is not driven, the first application 120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determines that the sensor unit 12 is not driven, A vehicle theft signal is inputted (S21).

이 단계(S21)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120)이 메모를 입력할 때, 메모 노출 시간도 함께 입력한다.In this step S21, when the first application 120 inputs a memo, the memo exposure time is also input.

제1 어플리케이션(120)에서 입력된 메모, 메모 노출 시간 또는 차량 도난신호는 DB(21)에 저장되어 데이터 테이블(500)이 갱신된다.The memo exposure time or the vehicle stolen signal input from the first application 120 is stored in the DB 21 and the data table 500 is updated.

그리고, 제1 어플리케이션(120)의 입력단계(S21)로부터 메모가 입력되었는지, 도난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Q20), 입력된 정보가 메모인 경우, 처리부(22)의 메모 입력부(222)가 DB(21)의 메모 내용(540) 항목 및 메모 노출 시간(550) 항목을 갱신한다(S31).If the inputted information is a memo, it is judged whether or not a memorandum or a theft signal is inputted from the input step S21 of the first application 120. If the memorized information is a memo, 222 updates the memo contents 540 and memo exposure time 550 items of the DB 21 (S31).

그런 다음, 제2 모바일 단말(200)의 제2 NFC 리더(210)가 차량(10)의 NFC 태그(11)로부터 차량(10)의 식별번호를 수신하고, 처리부(22)의 메모 조회부(223)가 수신한 차량(10)의 식별번호를 서버(20)의 DB(21)에서 탐색한다(S32).Then the second NFC reader 210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10 from the NFC tag 11 of the vehicle 10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10 223 searches the DB 21 of the server 20 for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10 (S32).

메모 조회부(223)가 제2 모바일 단말(200)에서 읽은 차량(10)의 식별번호를 DB(21)의 데이터 테이블(500)로부터 탐색할 때(S32), 데이터 테이블(500)의 식별번호(510) 항목에 해당하는 행에 메모 내용(540)이 존재하고, 메모 노출 시간(550) 항목의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메모 조회부(223)는 메모 내용을 추출하여 제2 모바일 단말(200)의 제2 어플리케이션(220)에 출력한다(S33).When the note inquiry unit 223 searches the data table 500 of the DB 21 for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10 read by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S32),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data table 500 The memo inquiry unit 223 extracts the memo contents and then transmits the memo content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step 510). If the memo content 540 exists in the line corresponding to the item 510, 200 to the second application 220 (S33).

이때, 메모 조회부(223)가 차량(10)의 식별번호에 대해 데이터 테이블(500)에서 탐색한 결과, 메모 내용이 존재하지 않는 널(null)값을 갖거나, 메모 내용은 존재하되 메모 노출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메모 내용을 제2 모바일 단말(200)에 출력하지 않는다.At this time, when the note inquiry unit 223 searches the data table 500 for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10, it has a null value in which the note contents do not exist, And does not output the memo contents to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when the time has elapsed.

그리고, 입력 정보의 판단 단계(Q20)로부터, 제1 어플리케이션(110)이 입력한 정보가 도난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DB(21)의 데이터 테이블(500)의 도난 여부(520) 항목이 갱신된다(S41).If it is determined from the input information determination step Q20 that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first application 110 is a theft signal, the item 520 indicating that theft of the data table 500 of the DB 21 is updated (S41).

그런 다음, 제2 모바일 단말(200)의 제2 NFC 리더(210)가 차량(10)의 NFC 태그(11)로부터 차량(10)의 식별번호를 수신하고, 제2 모바일 단말(200)은 수신한 차량(10)의 식별번호와 제2 모바일 단말(200)의 GPS 수신부(240)로부터 수신한 제2 모바일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서버(20)에 전달하여 DB(21)의 데이터 테이블(500)의 위치(530) 항목을 갱신하며, 서버(20)의 처리부(22)는 제2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전달받은 차량(10)의 식별번호를 처리부(22)의 DB(21)에서 탐색한다(S42).The second NFC reader 210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then receive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10 from the NFC tag 11 of the vehicle 10 and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10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240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are transmitted to the server 20, The processing unit 22 of the server 20 updates the item of the location 530 of the vehicle 500 to the DB 21 of the processing unit 22 by updat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10 received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S42).

처리부(22)가 제2 모바일 단말(200)로부터 입력된 차량(10)의 식별번호를 DB(21)의 데이터 테이블(500)에서 탐색할 때(S42), 데이터 테이블(500)에서 차량(10)의 식별번호(510) 항목에 해당하는 도난 여부(520) 항목이 차량(10)이 도난 되었다는 정보를 포함할 때, 처리부(22)는 차량(10)이 도난 되었다는 알림 팝업 메시지와 차량(10)의 위치정보를 제1 모바일 단말(100)의 제1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출력한다(S43).When the processing section 22 searches the data table 500 of the DB 21 for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10 inputted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200 in step S42, The processing unit 22 notifies the vehicle 10 that the vehicle 10 has been stolen and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vehicle 10 has been stolen and the stolen state 520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510 of the vehicle 10 To the first application 120 of the first mobile terminal 100 (S43).

이때, 도난 여부(520) 항목이 차량(10)이 도난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포함할 때, 처리부(22)는 제1 어플리케이션(120)으로 팝업 메시지 및 차량(10)의 위치정보를 출력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processing unit 22 does not output the pop-up messag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0 to the first application 120 when the item 520 indicates that the vehicle 10 is not stolen.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서버(20)의 처리부(22)는 제1 및 제2 모바일 단말(100, 20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DB(21)의 데이터 테이블(500)을 갱신하기도 하고, 차량(10)의 식별번호를 통해 차량의 위치정보, 도난정보 및 메모 내용을 제1 또는 제2 모바일 단말(100, 200)에 출력하기도 한다.Through this process, the processing unit 22 of the server 20 updates the data table 500 of the DB 21 by u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and second mobile terminals 100 and 200, Theft information, and memo contents to the first or second mobile terminal 100, 200 through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mobile terminal 1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 : 차량 11 : NFC 태그
20 : 서버 100 : 제1 모바일 단말
110 : NFC 리더 200 : 제2 모바일 단말
210 : NFC 리더
10: vehicle 11: NFC tag
20: server 100: first mobile terminal
110: NFC reader 200: second mobile terminal
210: NFC reader

Claims (8)

차량에 위치하여 상기 차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차량에 위치하여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한 상기 감지신호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차량 통신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차량 통신부에서 전송한 상기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서버 통신부, 상기 감지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감지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질의 문구를 생성하여 출력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질의 문구에 대한 답변에 따라 상기 차량의 변화상태를 판단하여 차량 변화상태 판단결과를 출력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서버, 그리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의 상기 처리부에서 출력한 상기 질의 문구를 수신하는 제1 모바일 단말 통신부, 그리고 상기 서버에서 출력한 상기 질의 문구를 전달받아 답변을 생성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처리부에서 출력된 상기 차량 변화상태 판단결과를 출력하는 제1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제1 모바일 단말을 포함하는 상황인식 기반 차량 감지 시스템.
A sensor unit which is located in the vehicle, detects a change of the vehicle and outputs a detection signal,
A vehicle communication unit that is located in the vehicle and transmits the sensing signal output from the sensor unit through a wireless network,
A server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a database for storing sensing signal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query phrase using the sensing sig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 server for determining a change stat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an answer to the received query phrase and outputting a vehicle change state determination result;
A first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query phrase output from the processing unit of the server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and a second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query phrase output from the server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an answer, And a first application that outputs a change status determination result.
제1항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량의 조도변화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조도변화 감지부,
상기 차량의 바퀴구동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바퀴구동 감지부, 그리고
상기 차량의 시동구동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시동구동 감지부를 포함하는 상황인식 기반 차량 감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unit includes:
An illuminance change sensing unit for sensing a change in illuminance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a sensing signal,
A wheel drive sensing unit sensing a wheel drive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a sensing signal,
And a start-up drive sensing unit for sensing a start-up drive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a detection signal.
제1항에서,
상기 차량에 부착되고 상기 차량의 식별번호를 갖고 있는 NFC 태그, 그리고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에 위치하고 상기 차량의 식별번호와 동일한 식별번호를 갖는 제1 NFC 리더
를 더 포함하는 상황인식 기반 차량 감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 NFC tag attached to the vehicle and having an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and
A first NFC reader located in the first mobile terminal and having an identification number identical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Based vehicle detection system.
제3항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감지신호를 상기 차량의 식별번호에 각각 대응하도록 정보를 저장하는 상황인식 기반 차량 감지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database stores information so that the detection signal corresponds to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respectively.
제4항에서,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NFC 리더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번호를 전달받고, 상기 차량의 도난여부, 메모 내용 또는 메모 노출 시간을 입력하며, 상기 차량의 도난여부, 상기 차량의 식별번호, 상기 메모 내용 또는 상기 메모 노출 시간을 상기 제1 모바일 단말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차량의 도난여부, 상기 차량의 식별번호, 상기 메모 내용 또는 상기 메모 노출 시간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상황인식 기반 차량 감지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application receive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from the first NFC reader, inpu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whether the vehicle is stolen, the memo content or the memo exposure time, and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stolen, Contents or the memo exposure time to the server through the first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The server receives the state of theft of the vehicl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the memo content or the memo exposure time received through the first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into the database to update the database, .
제5항에서,
NFC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의 상기 NFC 태그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번호를 전달받는 제2 NFC 리더,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GPS 수신부,
상기 제2 NFC 리더로부터 상기 차량의 식별번호를 전달받고, 상기 GPS 수신부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전달받아 출력하는 제2 어플리케이션, 그리고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에서 출력한 상기 차량의 식별번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제2 모바일 단말 통신부를 포함하는 제2 모바일 단말
을 더 포함하는 상황인식 기반 차량 감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A second NFC reader that receives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from the NFC tag of the vehicle through NFC communication,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position information from a GPS satellite and outputting position information,
A second application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from the second NFC reader, receiving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GPS receiver and outputting the received position information, and
And a second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vehicl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econd application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Based vehicle detection system.
제6항에서,
상기 서버의 상기 서버 통신부는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의 상기 제2 모바일 단말 통신부에서 출력한 상기 차량 식별번호 및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상황인식 기반 차량 감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of the server updates the database using the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econd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of the second mobile terminal.
제1항 또는 제6항에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 통신부, 상기 제2 모바일 단말 통신부 또는 상기 서버통신부는 3G 또는 4G 통신으로 통신하는 상황인식 기반 차량 감지 시스템.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Wherein the first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the second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or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e via 3G or 4G communication.
KR1020140018747A 2014-02-18 2014-02-18 Vehicle detection system based on context-awareness KR2015009790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747A KR20150097907A (en) 2014-02-18 2014-02-18 Vehicle detection system based on context-awaren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747A KR20150097907A (en) 2014-02-18 2014-02-18 Vehicle detection system based on context-awarene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907A true KR20150097907A (en) 2015-08-27

Family

ID=5405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747A KR20150097907A (en) 2014-02-18 2014-02-18 Vehicle detection system based on context-awarene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790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053A (en) 2021-04-08 2022-10-18 주식회사 선택인터내셔날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based on analysis of vehicle mo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053A (en) 2021-04-08 2022-10-18 주식회사 선택인터내셔날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based on analysis of vehicle mo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4762B2 (en) Monitoring for radio frequency enabled items based on activity profiles
US85947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 misplaced mobile device
US20120295575A1 (en) Intelligent emergency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ing mobile phone and method thereof
US20090117848A1 (en) Mobile device system and mobile device
CN103258407A (en) Method for reminding objects being away and communication device
CA257295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ng inventory and dispatch procedures at a staging area
CN104205181A (en) Service of an emergency event based on proximity
US20140136012A1 (en) Vehicle association with driver using mobile technologies
WO2011146770A1 (en) Mobile asset security and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20190208356A1 (en) Tracking Device Functionality Restriction in a Lost Context
JP2004153306A (en) Portable terminal and security system
JP5441154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erver device, and program
KR20150003430A (en) Secondary terminals located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s via communication methods
TWI345737B (en)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ti-thief and rescue with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and method for the same
CN102184191A (en) Method and system for inquiring peripheral environment information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Internet of things platform
KR20160030431A (en) Attendance recognition system and attendance recognition method
US10015839B1 (en) Tracking device distress mode configuration
KR101554182B1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50097907A (en) Vehicle detection system based on context-awareness
US20210099837A1 (en) Intelligent control system for monitoring computing devices and physical assets within a premises and for facilitating related transactions
CN109246600B (en) Security identity recogni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2008022138A (en) Automatic alarm setting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automatic alarm setting function
KR20150000603A (en) NFC Tag Location Contact emergency notification through the method of service
JP2003281651A (en) Vehicle monitoring system
CN108665209A (en) Logistic management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