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6068A - Media providing server, method of switching to other centent through a trigger area and computer program - Google Patents

Media providing server, method of switching to other centent through a trigger area and computer prog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6068A
KR20220136068A KR1020210177023A KR20210177023A KR20220136068A KR 20220136068 A KR20220136068 A KR 20220136068A KR 1020210177023 A KR1020210177023 A KR 1020210177023A KR 20210177023 A KR20210177023 A KR 20210177023A KR 20220136068 A KR20220136068 A KR 20220136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top box
content
input
media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0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2580B1 (en
Inventor
배연진
박승필
구영훈
김보성
권민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7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580B1/en
Publication of KR20220136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60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5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near-video-on-deman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5Electronic sh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iscloses a method of switching to other content through a trigger area that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by a media providing server, an input for a first trigger region from a set-top box; and transmitting, by the media providing server,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igger region to the set-top box and controlling the performance of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igger region in the set-top box.

Description

미디어 제공 서버,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MEDIA PROVIDING SERVER, METHOD OF SWITCHING TO OTHER CENTENT THROUGH A TRIGGER AREA AND COMPUTER PROGRAM}MEDIA PROVIDING SERVER, METHOD OF SWITCHING TO OTHER CENTENT THROUGH A TRIGGER AREA AND COMPUTER PROGRAM

본 개시의 실시예는 미디어 제공 서버,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edia providing server, a method for switching to another content through a trigger area, and a computer program.

최근 TV 기술 및 디지털 기술 발전으로 TV를 통한 다양한 정보가 시청자에게 전달되고 있다. 예를 들면 TV를 통하여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TV 홈쇼핑은 기술 변화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최근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를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TV technology and digital technology, various information is being delivered to viewers through TV. For example, TV home shopping, which provides shopping information through TV,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echnological change. Meanwhile, with the recent commercialization of digital-based digital television technology, it has become possible to provide various contents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connected to each home, and an 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IPTV 서비스에서는, 댁내 등 지정된 공간에 설치되는 셋탑 박스 (Set-top Box)를 통해서 다양한 서비스를 IPTV 서비스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그 중 커머스 채널을 통해서 제공되는 쇼핑방송서비스(또는, 커머스 방송)도 제공될 수 있다.In the IPTV service, various services can be provided to IPTV service subscribers through a set-top box installed in a designated space such as a home, among which shopping broadcasting service (or commerce broadcasting) provided through a commerce channel. may also be provided.

쇼핑방송서비스를 제작하는 커머스 사업자의 경우, 일정한 금액을 지불하고 이에 상응하여 부여/약속되는 채널에 커머스 채널(즉, 쇼핑방송서비스)을 편성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commerce business operator producing a shopping broadcasting service, a commerce channel (ie, a shopping broadcasting service) may be programmed in a correspondingly granted/promised channel by paying a certain amount.

이에, IPTV 서비스 가입자가 셋탑박스에서 약속된 채널을 선택하면, 셋탑 박스가 그 채널에 정규 편성된 커머스 채널을 수신하여 TV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IPTV 서비스 가입자는 커머스 채널을 시청 및 쇼핑방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데, 사용자에 요구에 따른 다양한 쇼핑 정보의 전달 및 쇼핑 정보 확인과 주문 등의 편의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Accordingly, when the IPTV service subscriber selects a channel promised in the set-top box, the set-top box receives the commerce channel regularly scheduled for the channel and outputs it through the TV, so that the IPTV service subscriber can view the commerce channel and use the shopping broadcasting service. 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delivery of various shopp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and the improvement of convenience such as checking shopping information and ordering.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되는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여 다른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content may be switched to and displayed on another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displayed trigger area.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미디어 제공 서버가 셋탑 박스로부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셋탑 박스로 전송하여, 상기 셋탑 박스에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receiving, by a media providing server, an input for a first trigger area from a set-top box; and transmitting, by the media providing server,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igger area to the set-top box, and controlling the set-top box to execute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igger area.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은, 상기 셋탑 박스와 연결된 출력 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일 수 있다. The first trigger area may be content displayed through an output device connected to the set-top box.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은 기 설정된 트리거 생성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한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The first trigger area may be displayed only when a preset trigger generation condition is satisfied.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한 입력은 상기 셋탑 박스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해 발생되어, 사용자 입력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로 전달될 수 있다. The input to the first trigger area may be generated by a program installed in the set-top box,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media providing server when a user input is input.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제1 트리거 영역과 연결된 방송 컨텐츠, 커머스 컨텐츠, 광고 컨텐츠, 이벤트 컨텐츠, 구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t least one of broadcast content, commerce content, advertisement content, event content, and purchase content connected to the first trigger region when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igger region is executed.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데이터 서버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한 입력을 전송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에서, 상기 셋탑 박스와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제1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fter the receiving step, the data server transmits an input for the first trigger region, and the data server sends a first trigger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igger region to the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set-top box.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processing to transmit.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제1 트리거 메시지의 경로 정보를 기초로, 트리거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in the user terminal, outputting trigger content based on the path information of the first trigger message.

상기 방법은 상기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상기 제1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확인 입력이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1 트리거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셋탑 박스로 전송하여, 상기 셋탑 박스에서 상기 제1 트리거 메시지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method, after the transmitting step, when a confirmation input for the first trigger message in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data server,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igger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et-top box, It may further include; controlling the set-top box to run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igger message.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미디어 제공 방법은 미디어 제공 서버는 컨텐츠가 출력되는 셋탑 박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에서, 상기 셋탑 박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로, 제2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는, 상기 데이터 서버를 거쳐, 상기 제2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셋탑 박스로, 상기 제2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트리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method for providing media, the media providing server transmits information on a set-top box through which content is output to a data server, and from the data server to a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set-top box, a second controlling to transmit a trigger message; When the media providing server receives an input for the second trigger message through the data serve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trigger content for the second trigger message to the set-top box ; may be included.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미디어 제공 방법은 상기 셋탑 박스에서 상기 제2 트리거 메시지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providing media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controlling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igger message to be executed in the set-top box.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미디어 제공 서버는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셋탑 박스로부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셋탑 박스로 전송하여, 상기 셋탑 박스에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media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and a processor, wherein the processor receives an input for a first trigger region from a set-top box, and the media providing server contro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igger region By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set-top box,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igger region may be controlled to be executed in the set-top box.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A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in a medium to execute any one of the 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computer.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In addition to this, another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system,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re further provided.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되는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여 다른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witch to another content through the displayed trigger area and display it on another electronic device.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미디어 제공 서버를 통해 방송 컨텐츠를 송출하는 미디어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미디어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셋탑 박스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트리거 영역을 통해 컨텐츠로 전환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된 트리거 메시지를 통해 트리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된 전화 번호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로 트리거 메시지가 전송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시청 중인 셋탑 박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로,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는 제공되는 트리거 영역에 대한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트리거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트리거 컨텐츠에 대한 예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environment of a media providing system that transmits broadcast content through a media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media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witching to content through a trigger area displayed in a set-top box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trigger content through a trigger message displayed in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 trigger message to a user terminal based on an input phone nu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 trigger message to a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a set-top box being view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provided trigger area.
8 is an exemplary diagram of trigger content provided through a trigger area.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본 명세서에서 “학습”, “러닝” 등의 용어는 인간의 교육 활동과 같은 정신적 작용을 지칭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닌 절차에 따른 컴퓨팅(computing)을 통하여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수행함을 일컫는 용어로 해석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learning” and “learning” are not intended to refer to mental actions such as human educational activities, but are terms referring to performing machine learning through computing according to procedures. interpret

이하의 실시 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not in a limiting sense.

이하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may be added is not excluded in advance.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In cases where certain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differently, a specific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described sequence.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opposite to the order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제공 서버를 통해 방송 컨텐츠를 송출하는, 미디어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environment of a media providing system that transmits broadcast content through a media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미디어 제공 시스템은 미디어 제공 서버(100)와 데이터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미디어 제공 시스템은 이 외에도 컨텐츠 송출 서버(200)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미디어 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셋탑 박스(301), 제2 셋탑 박스(302), 제3 셋탑 박스(303), …, 제n 셋탑 박스(30n)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시스템은 제1 셋탑 박스(301), 제2 셋탑 박스(302), 제3 셋탑 박스(303), …, 제n 셋탑 박스(30n)를 통해 이들에 연결된 출력 장치(401, 402, 403, …, 40n, 이하 4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출력 장치(400)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TV, 스마트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제1 단말기(T1), 제2 단말기(T2), 제3 단말기(T3),…, 제n 단말기(Tn)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제1 단말기(T1), 제2 단말기(T2), 제3 단말기(T3),…, 제n 단말기(Tn)는 예컨대 후술하는 것과 같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PMP 또는 PDA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이거나, PC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media providing system may include a media providing server 100 and a data server 500 . Of course, if necessary, the media provid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200 in addition to this. The media providing system includes a first set-top box 301, a second set-top box 302, a third set-top box 303, . . . , data may be exchanged with the n-th set-top box 30n. The media providing system includes a first set-top box 301 , a second set-top box 302 , a third set-top box 303 , . . . , through the n-th set-top box 30n, it is possible to transmit data to the output devices 401, 402, 403, ..., 40n, hereinafter 400 connected thereto. The output device 400 may include a TV, a smart TV, and the like,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media providing system includes a first terminal (T1), a second terminal (T2), a third terminal (T3), ... through a network. , data can be exchanged with the n-th terminal Tn. The first terminal T1, the second terminal T2, the third terminal T3, ... , the n-th terminal Tn may be, for example, a portab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MP, or a PDA described later, or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devices having a display function, such as a PC.

제1 셋탑 박스(301), 제2 셋탑 박스(302), 제3 셋탑 박스(303),…, 제n 셋탑 박스(30n) 중 적어도 하나는 셋탑 박스(300)로 명명할 수 있다. 제1 단말기(T1), 제2 단말기(T2), 제3 단말기(T3),…, 제n 단말기(Tn) 중 적어도 하나는 단말기(T)로 명명할 수 있다. A first set-top box 301 , a second set-top box 302 , a third set-top box 303 , . . . , at least one of the n-th set-top box 30n may be referred to as a set-top box 300 . The first terminal T1, the second terminal T2, the third terminal T3, ... , at least one of the n-th terminals (Tn) may be referred to as a terminal (T).

미디어 제공 서버(100), 컨텐츠 송출 서버(200), 셋탑 박스(300), 데이터 서버(500) 및/또는 단말기(T)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몇몇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는 단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셋탑 박스(300)와 출력 장치(400)는 네트워크로 또는 전기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셋탑 박스(300)와 출력 장치(400)는 일체(一體)인 하나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제어 장치(예로, 리모콘)를 이용해 셋탑 박스(300) 및/또는 출력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 또는 출력 장치(400)는 리모콘과 근거리 통신망으로 통신할 수 있다.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200 , the set-top box 300 , the data server 500 , and/or the terminal T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network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but the network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may us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f necessary, the set-top box 300 and the output device 400 may be connected by a network or an electric wire. Also, the set-top box 300 and the output device 400 may be implemented as one piece of hardware. A user may control the set-top box 300 and/or the output device 400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eg, a remote controller). The set-top box 300 or the output device 400 may communicate with a remote controller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셋탑 박스(300)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댁내 등 지정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고, 셋탑 박스(300)는 커머스 채널을 통해서 쇼핑방송 서비스와 같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set-top box 300 may be installed in a designated space, such as a home, to provide a broadcasting service, and the set-top box 300 may provide a broadcasting service such as a shopping broadcasting service through a commerce channel.

셋탑 박스(300)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 및 컨텐츠 송출 서버(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 및 컨텐츠 송출 서버(20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기반하여 제어 신호 및/또는 출력 신호를 출력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수신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 장치(400)는 TV, 스마트 TV 등을 포함하며, 스마트 폰, PMP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모든 유형의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t-top box 300 may communicate with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and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200 through a network. The set-top box 30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and/or an output signal to the output device 400 based on data received from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and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200 . The set-top box 300 may include a program for decoding the received data and may generate an output signal by encoding the data. The output device 400 includes a TV, a smart TV,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ny type of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play, such as a smart phone or a PMP.

셋탑 박스(300)는 별도의 입력 장치 또는 출력 장치(40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set-top box 300 may transmit a user input from a separate input device or output device 400 to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

미디어 제공 시스템은 미디어 제공 서버(100)를 통해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미디어 제공 서버(100)에서 셋탑 박스(300)로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방송용 출력 데이터는 인코딩된 형식이거나, 인덱스 정보일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셋탑 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media providing system may generate output data for broadcasting through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 and transmit the output data for broadcasting from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to the set-top box 300 . In this case, the output data for broadcasting may be in an encoded format or index information.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transmit output data for broadcasting to the set-top box 300 using a cloud service.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출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셋탑 박스(300)로 송신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각 사용자의 출력 장치(400)에는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스트리밍하면서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이때, 출력 장치(400)는 셋탑 박스(3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제어될 수 있으며, 셋탑 박스(300)의 제어에 의해 방송 컨텐츠 또는 커머스 컨텐츠 등을 출력시킬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부터의 명령어들을 통해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transmit cont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utput data to the set-top box 300 .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drive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cloud server and display the application while streaming on the output device 400 of each user. In this case, the output device 400 may be controlled through a program installed in the set-top box 300 , and may output broadcast content or commerce content under the control of the set-top box 300 . The set-top box 300 may be implemented to operate through instructions from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데이터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500)는 방송 컨텐츠, 매장 컨텐츠, 팝업 컨텐츠, 주문하기 컨텐츠, 커머스 컨텐츠 등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데이터 서버(5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generate output data for broadcasting based on data received from the data server 500 . The data server 500 may store and manage various data related to broadcast content, store content, pop-up content, ordering content, commerce content, and the like.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generate various user interfaces using data stored in the data server 500 .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데이터 서버(500)로부터 상품 정보, 고객 정보, 주문 정보, 편성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300)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요청 신호의 응답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receive product information, customer information, order information, programming information, and the like from the data server 500 .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receive a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 input from the set-top box 300 , and may generate response output data of each request signal us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data server 500 .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300)로 커머스 컨텐츠를 전송하고, 셋탑 박스(300) 또는 사용자의 단말기(T)에서 커머스 컨텐츠에 대한 주문 전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렇게 발생된 ARS 주문 전화는 ARS 서버(미도시)에서 처리하게 된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커머스 컨텐츠의 ARS 주문 전화에 대한 정보를 ARS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셋탑 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transmit the commerce content to the set-top box 300 and may generate an order call for the commerce content from the set-top box 300 or the user's terminal T. The ARS order call generated in this way is processed by the ARS server (not shown).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an ARS order call of commerce content from the ARS server and transmit it to the set-top box 300 .

한편,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3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셋탑 박스(300)를 제어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300)의 정보를 읽어 들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300)의 플랫폼 코드, STP ID, 접속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300)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셋탑 박스(300)의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300)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재 생성하여 셋탑 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control the set-top box 300 through a program installed in the set-top box 300 .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perform a function of reading information of the set-top box 300 .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receive a platform code, an STP ID, and access information of the set-top box 300 .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generate output data of the set-top box 300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et-top box 300 .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regenerate output data for broadcasting in response to a user input obtained through the set-top box 300 and transmit it to the set-top box 300 .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클라우드 솔루션을 통하여 동작 등의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 자체 대신에 이러한 내용의 캡쳐 정보를 셋탑 박스(300)를 통하여 출력 장치(400)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제1 클라우드 서버 및 제2 클라우드 서버의 변환을 제어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제1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여 선택 채널에 대응한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통하여 출력 장치(400) 내의 화면을 구현하고, 이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다.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display the captured information of these contents on the screen of the output device 400 through the set-top box 300 instead of the information itself including various contents such as operation through the cloud solution.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be implemented using a cloud server, and may control conversion of one or more first and second cloud servers.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implements a screen in the output device 400 by driving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nnel through the first cloud server, and can accommodate a plurality of users through this.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출력 장치(400)에서 구현될 화면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한 데이터를 셋탑 박스(300)로 전송하면서, 출력 장치(400)에서 재생될 방송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예컨대 URL) 역시 셋탑 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방송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예컨대 URL)를 이용해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방송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출력 장치(400)에 구현된 화면 내에서, 방송 영상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transmits data on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creen to be implemented on the output device 400 to the set-top box 300 , and information (eg, URL) on the broadcast image data to be played on the output device 400 . It can also be transmitted to the set-top box (300). The set-top box 300 receives the broadcast image data from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200 using information (eg, URL) on the broadcast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as described below, and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 in the screen implemented in the output device 400 from the data received from the broadcast image may be reproduced.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 내에 트리거 영역이 포함된 상태에서, 트리거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셋탑 박스(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the trigger region from the set-top box 300 in a state that the trigger region is included in the image displayed on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300 . have.

트리거 영역이라 함은, 예컨대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 특정 상품에 대한 광고 방송 영상이 재생될 시, 해당 광고 방송 영상 내에 그 특정 상품에 대한 간략한 안내 메시지가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예컨대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특정 화장품에 대한 광고 방송 영상이 재생될 시, 해당 영상 내에 "빨간버튼을 누르세요” 또는 “리모콘의 빨간버튼을 클릭하여 SK스토아에서 이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와 같은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으며, 트리거 영역은 그러한 메시지가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도 7에서는 그러한 트리거 영역(TA)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또는,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영화가 재생되는 과정에서 특정 상품이 포함된 장면이 출력 장치(400)에서 재생될 시, 트리거 영역은 해당 장면 내에 그 특정 상품에 대한 간략한 안내 메시지가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예컨대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영화가 재생되는 과정에서 특정 화장품이 포함된 장면이 재생될 시, 해당 장면 내에 "빨간버튼을 누르세요” 또는 “리모콘의 빨간버튼을 클릭하여 SK스토아에서 이 테이블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와 같은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으며, 트리거 영역은 그러한 메시지가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The trigger area is, for example, an area in which when a commercial image for a specific product is played on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300, a brief guide message for the specific product is displayed in the commercial video. can For example, when an advertisement broadcast video for a specific cosmetic is played on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300, “Press the red button” or “Click the red button on the remote control to select this cosmetic product from SK Store.” Please check information about" may be displayed, and the trigger area may be the area where such a message is displayed. 7 shows an example of such a trigger area TA. Alternatively, when a scene including a specific product is reproduced on the output device 400 in the process of playing a movie in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300, the trigger area is a brief description of the specific product in the scene. It may be an area in which a guide message is displayed. For example, when a scene containing specific cosmetics is played in the process of playing a movie on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300, "Press the red button" or "Click the red button on the remote control" Please check the information about this table in SK Store" may be displayed, and the trigger area may be the area where such a message is displayed.

이와 같이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 내에 트리거 영역이 포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의 빨간버튼을 클릭하는 등의 행위를 통해) 트리거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실행하면,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300)를 통해 그러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셋탑 박스(300)로 전송하여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셋탑 박스(300)에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trigger region is included in the image displayed by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300, the user receives the user's input to the trigger region (through an action such as clicking the red button of the remote control). When executed,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receive such a user's input through the set-top box 300 . In addition,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rigger area to the set-top box 300 so that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trigger area is executed in the set-top box 300 .

셋탑 박스(300)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와 통신하여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출력 데이터를 해석, 판독(인코딩 등)하여 TV 등의 출력 장치(4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방송 출력 데이터를 출력 장치(4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구비된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요청 신호를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셋탑 박스(300)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방송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관련 데이터를 출력 장치(400)로 전송하여, 출력 장치(400)에서 방송 영상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t-top box 300 may communicate with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to receive output data, interpret and read (encode, etc.) the received output data and output it through an output device 400 such as a TV. The set-top box 300 may output broadcast output data received from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through the output device 400 . The set-top box 300 may obtain a user input through a provided input device and transmit a reques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to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 That is, the set-top box 300 may receive broadcast image data from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200 , and transmit related data to the output device 400 , so that the output device 400 implements the broadcast image.

이러한 셋탑 박스(300)는 고유의 셋탑 ID를 가질 수 있다. 즉, 사용자들의 집들에 비치된 셋탑 박스(300)들 각각은 고유의 셋탑박스 ID를 가질 수 있다. 셋탑박스 ID는 예컨대 숫자, 알파벳과 같은 문자, 특수문자 및/또는 기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입출력 장치(예를 들어, 리모콘)으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is set-top box 300 may have a unique set-top ID. That is, each of the set-top boxes 300 provided in the user's houses may have a unique set-top box ID. The set-top box ID may include, for example, numbers, characters such as alphabets, special characters and/or symbols, and the like. The set-top box 300 may receive a user input signal from an external input/output device (eg, a remote control)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컨텐츠 송출 서버(200)는 셋탑 박스(300)들로 하나 이상의 방송사, 또는 방송 채널의 방송 컨텐츠를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컨텐츠 송출 서버(200)는 각 셋탑 박스(300)에서 요청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송출 서버(200)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방송 송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200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broadcast content of one or more broadcasters or broadcast channels to the set-top boxes 300 .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200 may transmit the content requested by each set-top box 300 .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200 may be implemented to broadcast and transmit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데이터 서버(500)는 방송 출력용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500)는 아파치 톰캣, 오라클 등의 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팅 장치로서, 서버 기능을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서버(500)는 전술한 것과 같이 컨텐츠의 상품정보, 제작정보 및/또는 심의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500)는 영상식별정보, 팝업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관련 정보를 미디어 제공 서버(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data server 500 may store and manage information for generating data for broadcast output. The data server 500 is a computing device in which server programs such as Apache Tomcat and Oracle are installed, and may be implemented to process server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the data server 500 may store product information, production information, and/or review information of content. In addition, the data server 500 may store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op-up data, and the like, and provide related information to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T)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를 말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T)은 셋탑 박스(300) 및 출력 장치(4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로 지정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T)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기기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C, 태블릿 PC, PMP, PDA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fer to a terminal possessed by the user. The user terminal T may be an electronic device designated by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of the set-top box 300 and the output device 400 . The user terminal T may be implemented as a portab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as various types of devices having a display function, such as a PC, a tablet PC, a PMP, or a PD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제공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는 제공할 커머스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를 등록(예: 입수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서버는 데이터 서버(500)로부터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의 메타정보를 수신하여 컨텐츠 별로 메타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텐츠 제공 서버는 데이터 서버(500)와 연결될 수 있고, 다양한 정보를 서로 통신으로 주고 받을 수 있다.The media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providing server (not shown).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register (eg, obtain and store) content such as a commerce video to be provided. Als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receive meta information of content such as a video from the data server 500 and match meta information for each content. To this e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be connected to the data server 500 and may exchange various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rough communication.

컨텐츠 제공 서버는 등록된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를 각 방송사의 플랫폼 또는 형식에 따라 변환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 송출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이를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 송출하며, 컨텐츠 송출 서버(200)가 해당 컨텐츠를 방송사의 플랫폼 또는 형식에 따라 변환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들 및 그 변형예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The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convert content such as a registered video according to the platform or format of each broadcaster and transmit the converted content to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200 .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stores the content and transmits it to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200, and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200 may convert and store the correspon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platform or format of the broadcaster. . This is the same in th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thereof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컨텐츠 제공 서버는 데이터 서버(500)로부터 컨텐츠의 메타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메타정보는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정보, 제작정보 및/또는 심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메타 정보를 직접 수신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obtain meta information of the content from the data server 500 . The meta information may include product information, production information, and/or review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Of course, in some cases,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directly receive and store meta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provider.

컨텐츠 제공 서버는, 동영상과 같은 컨텐츠의 데이터 또는 변환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분산 네트워크(CDN)를 통해 컨텐츠 송출 서버(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서버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각 동영상의 영상식별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영상식별정보는 예를 들면 컨텐츠 송출 서버(200)에 저장된 재생 URL 정보일 수 있다.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transmit data of content such as a moving picture or data of converted content to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200 through a distributed network (CDN). Also, the content providing server may receive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moving picture from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200 . The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playback URL information stored in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200 .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media providing server 1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프로세서(110)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저장 매체(1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롬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가 저장되는 구성이고, CPU는 롬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저장된 운영체제를 램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램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가 하나의 CPU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110 is a configuration for overall controlling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 Specifically, the processor 1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by using various programs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130 of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 For example, the processor 110 may include a CPU, a RAM, a ROM, and a system bus. Here, the ROM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n instruction set for system booting is stored, and the CPU copies the stored operating system of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to the RAM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ROM, and executes O/S to boot the system. When booting is complete, the CPU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by copying various stored applications to RAM and executing them.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bove that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includes only one CPU, it may be implemented with a plurality of CPUs (or DSPs, SoCs, etc.).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ocessor 110 may be implemented as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 microprocessor, or a time controller (TCON) for processing a digital sign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icro controller unit (MCU), a micro processing unit (MPU), a controller, an application processor (AP), or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communication processor (CP) and an ARM processor, or may be defined by a corresponding term. In addition, the processor 110 may be implemented as a system on chip (SoC), large scale integration (LSI), o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type having a built-in processing algorithm.

통신부(120)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 셋탑 박스(300), 데이터 서버(500) 사용자 단말(T)기(T) 등의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12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의 근거리 통신부, 이동통신 망, 또는 유선 이더넷 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20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devices such as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200 , the set-top box 300 , the data server 500 , the user terminal T, and the like. The communication unit 120 includes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a BL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unit, a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a WLAN (Wi-Fi) communication unit, a Zigbee communication unit, an infrared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communication unit, a WFD ( It may include a Wi-Fi Direct) communication unit, an ultra wideband (UWB) communication unit,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unit such as an Ant+ communication unit,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d Ethernet network.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프로세서(11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 저장 매체(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130)는 구체적으로 미디어 제공 서버(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미디어 제공 서버(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medium 130 storing various data for overall operations, such as a program for processing or controlling the processor 110 . The storage medium 130 may specificall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in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 data for the operation of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 and instruction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lso,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may exist on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a basic function of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and driven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by the processor 110 .

저장 매체(130)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1), 트리거 생성부(132), 트리거 처리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medium 130 may include an application control unit 131 , a trigger generation unit 132 , and a trigger processing unit 133 .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1)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출력 장치(400)의 디스플레이되는 채널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생성하고 컨텐츠를 셋탑 박스(30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TV 시청 중 리모콘을 통하여 채널 선택 입력을 하게 되면, 이러한 선택 입력을 인식할 수 있고, 이러한 선택 입력에 대응한 채널에 관련된 컨텐츠 영상이 출력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해당 채널 안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하게 되면, 해당 채널 안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컨텐츠 영상이 출력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controller 131 may generate content corresponding to a channel displayed on the output device 400 according to a user's control and transmit the content to the set-top box 300 to control the display. For example, when a user inputs a channel selection input through a remote controller while watching TV, the selection input can be recognized, and a content image related to a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put can be displayed on the output device. Alternatively, when a user input is made in the corresponding channel, the content image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in the corresponding channel can be displayed on the output device.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1)는 방송 채널에 설정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때에 컨텐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 시킬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1)는 채널을 변경하기 전까지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동영상 등의 정보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1)는 셋탑 박스(300)와의 신호 연결을 통하여 방송 컨텐츠, 커머스 컨텐츠 등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통해 출력 장치(400)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controller 131 may drive an application related to the content when the content set in the broadcast channel is displayed. The application controller 131 may control information such as images and videos displayed until the channel is changed. The application controller 131 may control the screen of the output device 400 through the control of applications including broadcast content and commerce content through signal connection with the set-top box 300 .

셋탑 박스(3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인터페이스 정보, 출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커머스 컨텐츠들로 이동 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메뉴,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검색된 커머스 컨텐츠들의 리스트 화면, 커머스 컨텐츠에 대한 주문 절차 컨텐츠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An application driven in the set-top box 300 may include various interface information, output information, and the like. For example, a navigation menu capable of moving to other commerce contents, a list screen of commerce contents searche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order procedure contents for commerce contents,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1)를 통하여 셋탑 박스(3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구현 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1)는 화면 전체 영역 중 컨텐츠가 구현될 위치를 제어할 수 있고, 화면 상의 어플리케이션으로 표시되는 프레임 영역 중 어느 곳에 위치하여 구현될지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application running in the set-top box 300 through the application controller 131 may control to display one or more pieces of content information. When implementing such content, the application controller 131 may control a location where the content is to be implemented among the entire screen area, and may control where the content is to be implemented in a frame area displayed as an application on the screen.

셋탑 박스(300)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1)로부터 컨텐츠 출력 및 구현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획득하여 출력 장치(400)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영상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획득한 컨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The set-top box 300 receives a signal for content output and implementation from the application control unit 131, obtain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ignal from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200, and controls i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output device 400 can In this case, the content obtained from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200 may be output using the image identification information.

트리거 생성부(132)는 트리거 영역이 디스플레이되는 셋탑 박스(300)로부터 (통신부(120) 및/또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트리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이미지나 동영상 내에 트리거 영역이 포함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콘의 빨간버튼을 클릭하는 등의 행위를 통해) 트리거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실행하면,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300)를 통해 그러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트리거 생성부(132)는 셋탑 박스(300)로부터 (통신부(120) 및/또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그러한 사용자의 입력(즉, 트리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trigger generator 132 may receive a trigger input (via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or the processor 110 ) from the set-top box 300 in which the trigger area is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trigger region is included in the image or video displayed on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300, the user (through an action such as clicking the red button of the remote control) enters the trigger region. When the user's input is executed,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receive the user's input through the set-top box 300 . The trigger generator 132 may receive such a user's input (ie, trigger input) from the set-top box 300 (via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or the processor 110 ).

트리거 입력에 대한 신호는 트리거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 영역은 정해진 규칙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트리거 영역의 규칙에 기초하여 트리거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트리거 영역에 대한 규칙은 표시되는 컨텐츠, 시청 시간, 사용자의 활동 이력(구매 이력, 시청 이력 등)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정해진 규칙에 해당하는 경우에, 출력 장치(400)를 통해 트리거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셋탑 박스(300)는 트리거 영역이 출력되는 동안에, 트리거 출력 신호를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signal for the trigger inpu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trigger region. The trigger area may be display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ule. The set-top box 300 displays the trigger area based on the rule of the trigger area. A rule for the trigger area may be set based on at least one of displayed content, viewing time, and a user's activity history (purchase history, viewing history, etc.). The set-top box 300 may display a trigger area through the output device 400 when it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rule. Optionally, the set-top box 300 may transmit a trigger output signal to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while the trigger area is output.

트리거 생성부(132)는 트리거 입력에 따른 트리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120) 및/또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셋탑 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로 트리거 컨텐츠의 제공과 관련된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셋탑 박스(300)에서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트리거 컨텐츠가 실행되도록 처리될 수 있다. 셋탑 박스(300)에는 제어 신호의 판독을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The trigger generating unit 132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rigger content according to a trigger input (via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or the processor 110 ) and transmit it to the set-top box 300 . When a control signal related to the provision of trigger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set-top box 300 , the set-top box 300 may process the trigger content to be executed by using the control signal. A program for reading a control signal may be installed in the set-top box 300 .

트리거 컨텐츠는, 예컨대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셋탑 박스(1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재생중인 광고 방송에서의 특정 제품(예컨대 화장품)과 관련된 인터넷 쇼핑 웹화면일 수 있다. 또는 트리거 컨텐츠는 특정 홈쇼핑 방송사의 화면으로서,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셋탑 박스(1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재생중인 광고 방송에서의 특정 제품(예컨대 화장품)과 관련된 화면일 수 있다. 즉,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특정 화장품에 대한 광고 방송 영상이 재생될 시, 해당 영상 내에 "빨간버튼을 누르세요” 또는 “리모콘의 빨간버튼을 클릭하여 SK스토아에서 이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와 같은 트리거 영역이 표시될 수 있으며, 그러한 상태에서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트리거 컨텐츠는 SK스토아라는 홈쇼핑 방송사의 해당 화장품에 대한 화면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The trigger content may be, for example, an Internet shopping web screen related to a specific product (eg, cosmetics) in a commercial being played on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100 when a trigger input occurs. Alternatively, the trigger content may be a screen of a specific home shopping broadcaster, and may be a screen related to a specific product (eg, cosmetics) in an advertisement broadcast being played on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100 when a trigger input occurs. That is, when an advertisement broadcast video for a specific cosmetic is played on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300, “press the red button” or “click the red button on the remote control to A trigger area such as "Please check information on cosmetics" may be displayed, and when a trigger input occurs in such a state, the trigger content may be related to the cosmetics screen of a home shopping broadcaster called SK Store.

또는, 트리거 컨텐츠는, 예컨대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셋탑 박스(1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재생중인 영화의 장면에 포함된 특정 제품(예컨대 화장품)과 관련된 인터넷 쇼핑 웹화면일 수 있다. 또는 트리거 컨텐츠는 특정 홈쇼핑 방송사의 화면으로서,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셋탑 박스(1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재생중인 영화의 장면에 포함된 특정 제품(예컨대 화장품)과 관련된 화면일 수 있다. 즉,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특정 화장품을 포함하는 영화의 장면이 재생될 시, 해당 영상 내에 "빨간버튼을 누르세요” 또는 “리모콘의 빨간버튼을 클릭하여 SK스토아에서 이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와 같은 트리거 영역이 표시될 수 있으며, 그러한 상태에서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트리거 컨텐츠는 SK스토아라는 홈쇼핑 방송사의 해당 화장품에 대한 화면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Alternatively, the trigger content may be, for example, an Internet shopping web screen related to a specific product (eg, cosmetics) included in a scene of a movie being played on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100 when a trigger input occurs. Alternatively, the trigger content may be a screen of a specific home shopping broadcaster, and may be a screen related to a specific product (eg, cosmetics) included in a scene of a movie being played on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100 when a trigger input occurs. That is, when a scene of a movie containing a specific cosmetic is played on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300, "Press the red button" or "Click the red button on the remote control to Please check the information on this cosmetic" may be displayed, and when a trigger input occurs in such a state, the trigger content may be related to the screen for the corresponding cosmetic of a home shopping broadcaster called SK Store.

선택적 실시 예에서, 트리거 생성부(132)는 (통신부(120) 및/또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데이터 서버(500)로 트리거 입력에 대한 신호를 전송하여 데이터 서버(500)에서 셋탑 박스(300)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T)로 트리거 영역과 대응되는 트리거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500)는 트리거 입력에 대한 신호에 포함된 셋탑 박스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T)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T)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500)는 트리거 영역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트리거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결정한 후, 사용자 단말(T)로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500)는 사용자 단말(T)로부터 트리거 영역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며, 이를 트리거 생성부(132)로 전송할 수 있다. In an optional embodiment, the trigger generating unit 132 transmits a signal for a trigger input to the data server 500 (via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or the processor 110) to the set-top box ( 300) may be processed to transmit a trigger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trigger region to the user terminal T connected thereto. The data server 500 may obt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et-top box included in the signal for the trigger input, and specify the user terminal T to transmit the trigger message. Also, the data server 500 may transmit the trigger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T after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the trigger messag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trigger region. The data server 500 may receive an input for the trigger region from the user terminal T, and transmit it to the trigger generator 132 .

트리거 메시지라 함은, 트리거 입력과 연결되는 트리거 컨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 또는 경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트리거 메시지는 인터넷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T)에서 트리거 메시지를 받아 그 메시지에 포함된 해당 링크를 클릭하면, 트리거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T)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The trigger message may include access information or path information on the trigger content connected to the trigger input. For example, the trigger message may include an Internet link. Accordingly, when the user receives the trigger message from the user terminal T, such as a smartphone, and clicks the corresponding link included in the message, the trigger content can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T.

예컨대 트리거 메시지는,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셋탑 박스(1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재생중인 광고 방송에서의 특정 제품(예컨대 화장품)과 관련된 인터넷 쇼핑 웹화면에 대한 인터넷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트리거 메시지는,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셋탑 박스(1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재생중인 광고 방송에서의 특정 제품(예컨대 화장품)과 관련된, 특정 홈쇼핑 방송사의 화면에 대한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특정 화장품에 대한 광고 방송 영상이 재생될 시, 해당 영상 내에 "빨간버튼을 누르세요” 또는 “리모콘의 빨간버튼을 클릭하여 SK스토아에서 이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와 같은 트리거 영역이 표시될 수 있으며, 그러한 상태에서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트리거 메시지는 SK스토아라는 홈쇼핑 방송사의 해당 화장품에 대한 화면에 대한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rigger message may include an Internet link to an Internet shopping web screen related to a specific product (eg, cosmetics) in a commercial being played on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100 when a trigger input occurs. . Alternatively, the trigger message may include a link to a screen of a specific home shopping broadcaster related to a specific product (eg, cosmetics) in a commercial being played on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100 when a trigger input occurs. have. That is, when an advertisement broadcast video for a specific cosmetic is played on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300, “press the red button” or “click the red button on the remote control to A trigger area such as "Check information about cosmetics" may be displayed, and when a trigger input occurs in such a state, the trigger message may include a link to the screen for the corresponding cosmetics of a home shopping broadcaster called SK Store.

또는, 트리거 메시지는,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셋탑 박스(1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재생중인 영화의 장면에 포함된 특정 제품(예컨대 화장품)과 관련된 인터넷 쇼핑 웹화면에 대한 인터넷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트리거 메시지는,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셋탑 박스(1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재생중인 영화의 장면에 포함된 특정 제품(예컨대 화장품)과 관련된 화면에 대한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특정 화장품을 포함하는 영화의 장면이 재생될 시, 해당 영상 내에 "빨간버튼을 누르세요” 또는 “리모콘의 빨간버튼을 클릭하여 SK스토아에서 이 화장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와 같은 트리거 영역이 표시될 수 있으며, 그러한 상태에서 트리거 입력이 발생할 시, 트리거 메시지는 SK스토아라는 홈쇼핑 방송사의 해당 화장품에 대한 화면에 대한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trigger message includes an Internet link to an Internet shopping web screen related to a specific product (eg, cosmetics) included in a scene of a movie being played on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100 when a trigger input occurs. can do. Alternatively, the trigger message may include a link to a screen related to a specific product (eg, cosmetics) included in a scene of a movie being played on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100 when a trigger input occurs. That is, when a scene of a movie containing a specific cosmetic is played on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300, "Press the red button" or "Click the red button on the remote control to A trigger area such as “Please check information about this cosmetic” may be displayed, and when a trigger input occurs in such a state, the trigger message may include a link to the screen for the corresponding cosmetic product of a home shopping broadcaster called SK Store. .

이처럼 트리거 생성부(132)는 셋탑 박스(300)로부터 트리거 입력이 수신된 경우에, (통신부(120) 및/또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데이터 서버(500)로 트리거 입력에 대한 신호를 전송하여 데이터 서버(500)에서 셋탑 박스(300)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T)로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트리거 메시지는 데이터 서버(500)에서 전송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트리거 생성부(132)를 포함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에서 셋탑 박스(300)와 연결된 사용자 단말(T)로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에서 트리거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트리거 생성부(132)는 셋탑 박스(300)와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T)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120) 및/또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데이터 서버(500)로부터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T)로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As such, when a trigger input is received from the set-top box 300 , the trigger generating unit 132 transmits a signal for the trigger input to the data server 500 (via the communication unit 120 and/or the processor 110 ). Thus,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trigger message from the data server 500 to the user terminal T connected to the set-top box 300 . The trigger message may be transmitted from the data server 5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trigger message may be transmitted from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including the trigger generator 132 to the user terminal T connected to the set-top box 300 . When a trigger message is transmitted from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the trigger generating unit 132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set-top box 300 and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T (communication unit 120 and/or processor 110). Through) obtained from the data server 500,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trigger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T).

트리거 메시지는 트리거 입력으로 사용자 단말(T)로 전송되거나, 셋탑 박스(300)에서 트리거 영역의 출력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T)로 전송되거나, 셋탑 박스(300)를 통해서 출력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T)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트리거 메시지는 트리거 입력과 연결되는 트리거 컨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 경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rigger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 as a trigger input, or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trigger area from the set-top box 300, or when outputted through the set-top box 300, the user terminal ( T) may be set to be transmitted. The trigger message may include access information, path information, etc. on trigger content connected to the trigger input.

트리거 생성부(132)는 트리거 입력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트리거 컨텐츠에 대한 접근 정보, 경로 정보 등을 결정할 수 있다. 트리거 입력 마다 다른 트리거 컨텐츠와 연결될 수 있다.The trigger generation unit 132 may determine access information, path information, etc. for the trigger content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rigger input. Each trigger input can be connected to different trigger contents.

선택적으로, 트리거 생성부(132)는 트리거 생성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트리거 영역을 생성하여 셋탑 박스(3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트리거 생성부(132)는 셋탑 박스(300)가 트리거 생성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트리거 생성 조건은 셋탑 박스(300)와 관련된 것으로, 셋탑 박스(30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컨텐츠, 디스플레이 되었던 컨텐츠, 현재 시간값, 셋탑 박스(300)에서 실행된 구매 이력, 시청 이력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트리거 생성 조건은 트리거 컨텐츠 별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된 트리거 컨텐츠가 복수인 경우에는, 트리거 생성 조건들도 대응시켜 복수로 설정될 수 있다. 트리거 생성부(132)는 시간값을 기준으로 설정된 트리거 생성 조건에 대하여는 소정의 시간 간격 마다 판단할 수 있다. 트리거 생성 조건은 트리거 등록자에 의해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자는 제1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에, A 트리거 영역을 제공하며, A 트리거 영역에 대해서는 A 트리거 컨텐츠로 이동하도록 등록할 수 있다. 등록자는 제1 시점에 B 트리거 영역을 제공하며, B 트리거 영역에 대해서는 B 트리거 컨텐츠가 실행되도록 등록할 수 있다. 등록자는 이전에 제1 상품을 구매한 이력이 있는 셋탑 박스(300)에 대해서, C 트리거 영역을 제공하며, C 트리거 영역에 대해서는 C 트리거 컨텐츠가 실행되도록 등록할 수 있다. 트리거 생성 조건은, 등록된 이후에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트리거 생성 조건은 제공된 트리거 영역에 대한 입력(반응도)에 따라서 트리거 영역의 제공 이후에, 변경될 수 있다. 등록자에 의해 D 트리거 생성 조건으로 등록된 D 트리거 컨텐츠에 대해서, D 트리거 컨텐츠에 대한 유입 데이터를 기초로 D 트리거 생성 조건은 변경 될 수 있다. Optionall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igger generation condition is satisfied, the trigger generation unit 132 may generate a trigger area and process it to be displayed by the set-top box 300 . The trigger generation unit 132 determines whether the set-top box 300 satisfies a trigger generation condition. The trigger generation condition is related to the set-top box 300, and may be set to the content being displayed in the set-top box 300, the displayed content, the current time value, the purchase history executed in the set-top box 300, the viewing history, etc. have. The trigger generation condition may be generated for each trigger content. For exampl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registered trigger contents, a plurality of trigger generation conditions may also be set to correspond. The trigger generation unit 132 may determine the trigger generation condition set based on the time value at every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e trigger generation condition may be set by a trigger registrant. For example, the registrant may provide an A trigger area while the first content is displayed, and register to move to the A trigger content for the A trigger area. The registrant provides the B trigger area at the first time point, and can register the B trigger content to be executed for the B trigger area. The registrant may provide a C trigger area for the set-top box 300 having a history of purchasing the first product before, and register the C trigger content to be executed for the C trigger area. The trigger generation condition can be changed after registration. For example, the trigger generation condition may be changed after provision of the trigger area according to an input (reactivity) to the provided trigger area. For D trigger content registered as a D trigger generation condition by a registrant, the D trigger generation condition may be changed based on incoming data for the D trigger content.

이때, 사용자 단말(T)은 셋탑 박스(300)와 관련되어 저장된 식별 번호를 통해서 결정되며, 하나의 셋탑 박스(300)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T)이 관련되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T)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 서버(500)로부터 획득되며, 기 저장된 사용자 단말(T)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셋탑 박스(300)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T)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T is determined through an identification number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set-top box 300 , and one set-top box 300 and one or more user terminals T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T is obtained from the data server 500 , and when there is no pre-stored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T,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T is input through the set-top box 300 . you can ask to do

트리거 처리부(133)는 트리거 영역과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이하, 트리거 입력)이 수신되면, 셋탑 박스(300)와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트리거 입력에 대응하는 트리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될 수 있다. When a user input (hereinafter, trigger input) corresponding to the trigger region is received, the trigger processing unit 133 may be processed to display trigg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rigger input in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300 . .

트리거 입력은 셋탑 박스(300) 또는 셋탑 박스(300)와 연결된 입력 장치를 통해서 획득될 수 있다. 트리거 입력에 대응하는 트리거 컨텐츠는 셋탑 박스(300)에 의해서 실행되며 셋탑 박스(300)와 연결된 출력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트리거 입력이 획득되면, 트리거 입력을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 전송하고, 미디어 제공 서버로부터 트리거 컨텐츠의 출력과 관련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트리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제어 신호에는 트리거 컨텐츠에 대한 경로 정보, 링크 정보 등이 포함되며, 셋탑 박스(300)는 트리거 컨텐츠에 대한 경로 정보, 링크 정보 등을 기초로 컨텐츠 송출 서버(200)에서 트리거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trigger input may be obtained through the set-top box 300 or an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set-top box 300 . The trigg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rigger input is executed by the set-top box 300 and may be displayed through an output device connected to the set-top box 300 . When a trigger input is obtained, the set-top box 300 transmits a trigger input to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receives a control signal related to the output of the trigger content from the media providing server, and based on the control signal, triggers the content It can be processed to display. The control signal includes path information and link information for the trigger content, and the set-top box 300 receives and displays the trigger content from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200 based on the path information and link information for the trigger content. can

트리거 메시지에 대응하는 트리거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T)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T)에서, 트리거 메시지에 대해서 입력한 경우, 트리거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T)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T)는 외부의 서버로 접속하여 트리거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The trigger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rigger message may be displayed in the user terminal (T). In the user terminal (T), when input for a trigger message, the trigger content may be displayed in the user terminal (T). The user terminal T may receive and display the trigger content by accessing an external server.

도 3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른 셋탑 박스(3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트리거 영역을 통해 컨텐츠로 전환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witching to content through a trigger area displayed in the set-top box 300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셋탑 박스(300)에서 트리거 영역이 출력될 수 있다(S110). A trigger area may be output from the set-top box 300 (S110).

셋탑 박스(300)가 트리거 입력을 획득되면, 셋탑 박스(300)는 트리거 입력을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트리거 입력은 셋탑 박스(300) 또는 셋탑 박스(300)와 연결된 입력 장치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When the set-top box 300 obtains a trigger input, the set-top box 300 may transmit the trigger input to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 The trigger input may be obtained through the set-top box 300 or an input device connected to the set-top box 300 .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트리거 입력이 수신되면(S115), 트리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셋탑 박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S120). When a trigger input is received (S115),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trigger content to the set-top box 300 (S120).

셋탑 박스(300)는 제어 신호를 판독하여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셋탑 박스(300)와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서 트리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The set-top box 300 may read the control signal and process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trigger region to be executed, and as a result of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the trigger content may be displayed on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300 . .

셋탑 박스(300)는 트리거 컨텐츠의 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 접속하고(S130),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트리거 컨텐츠를 수신 받아 출력 장치(400)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S135). The set-top box 300 accesses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200 using the path information of the trigger content (S130), receives the trigger content from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200, and displays it on the output device 400. Can be processed There is (S135).

도 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T)에서 디스플레이된 트리거 메시지를 통해 트리거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of a process of displaying trigger content through a trigger message displayed in the user terminal (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210에서는 셋탑 박스(300)에서, 트리거 영역이 출력되는 동안에, 트리거 영역에 대한 제1 트리거 입력이 획득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획득된 제1 트리거 입력을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S215). In S210 , the first trigger input for the trigger region may be obtained while the trigger region is output from the set-top box 300 . The set-top box 300 may transmit the obtained first trigger input to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S215).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제1 트리거 입력에 대한 신호를 데이터 서버(500)로 전송하여(S220), 제1 트리거 입력에 대응하는 제1 트리거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T)로 전송되도록 처리 할 수 있다.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transmits a signal for the first trigger input to the data server 500 (S220), so that the first trigger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igger input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 have.

S225에서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제1 트리거 입력에 대응하여, 셋탑 박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고, 제1 트리거 입력의 제1 트리거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구현된 트리거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셋탑 박스(300)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T)에 대한 정보가 기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T)에 대한 정보를 미디어 제공 서버(100)를 거쳐 요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트리거 메시지의 생성을 처리하지 않을 수 있다. In S225 ,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determine a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set-top box in response to the first trigger input, and generate a trigger message implemented so that the first trigger content of the first trigger input is output. . When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T corresponding to the set-top box 300 does not already exist,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T may be requested through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trigger It may not handle the creation of messages.

데이터 서버(500)는 제1 트리거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T)로 전송할 수 있다(S230).The data server 500 may transmit the first trigger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T (S230).

사용자 단말(T)은 제1 트리거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확인 입력이 발생되면, 사용자 단말(T)은 외부의 서버(미도시)로 접속하여, 제1 트리거 컨텐츠를 요청하고, 제1 트리거 컨텐츠를 수신 받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235, S240). 사용자 단말(T)는 제1 트리거 메시지에 포함된 제1 트리거 컨텐츠에 대한 접속 정보, 경로 정보,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서버로부터 제1 트리거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trigger message is received, the user terminal T may display it through the output unit. When a confirmation input for the first trigger message is generated, the user terminal T may access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request the first trigger content, and receive and display the first trigger content (S235) , S240). The user terminal T may acquire the first trigger content from the server based on at least one of access information, path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trigger content included in the first trigger message.

도 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입력된 전화 번호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로 트리거 메시지가 전송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 trigger message to a user terminal based on an input phone nu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310에서는 셋탑 박스(300)에서, 트리거 영역이 출력되는 동안에, 트리거 영역에 대한 제2 트리거 입력이 획득될 수 있다. 셋탑 박스(300)는 획득된 제2 트리거 입력에 대응하는, 단말 식별 정보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여, 사용자 단말(T)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320). 여기서, 단말 식별 정보는 사용자 단말(T)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전화 번호, IP 주소 등 일 수 있다. In S310 , a second trigger input for the trigger region may be obtained while the trigger region is output from the set-top box 300 . The set-top box 300 may request information about the user terminal T by outputting an interface for inputting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second trigger input (S320). Here,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user terminal T, and may be a phone number, an IP address, or the like.

셋탑 박스(300)는 입력된 단말 식별 정보를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S325).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단말 식별 정보 및 제2 트리거 입력을 데이터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330). The set-top box 300 may transmit the inputt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S325).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transmit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trigger input to the data server 500 (S330).

데이터 서버(500)는 단말 식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T)를 결정하고, 제2 트리거 입력을 기초로, 제2 트리거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S335, S340). The data server 500 may determine the user terminal T based on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generate and transmit a second trigger message based on the second trigger input (S335 and S340).

사용자 단말(T)은 제1 트리거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확인 입력이 발생되면, 사용자 단말(T)은 외부의 서버(미도시)로 접속하여, 제1 트리거 컨텐츠를 요청하고, 제1 트리거 컨텐츠를 수신 받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S345, S350). 사용자 단말(T)는 제1 트리거 메시지에 포함된 제1 트리거 컨텐츠에 대한 접속 정보, 경로 정보,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서버로부터 제1 트리거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trigger message is received, the user terminal T may display it through the output unit. When a confirmation input for the first trigger message is generated, the user terminal T may access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request the first trigger content, and receive and display the first trigger content (S345) , S350). The user terminal T may acquire the first trigger content from the server based on at least one of access information, path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trigger content included in the first trigger message.

도 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시청 중인 셋탑 박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로,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 trigger message to a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a set-top box being view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셋탑 박스(300)에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에, 시청 여부에 대한 시청 신호를 미디어 제공 서버(100)가 획득할 수 있다(S410, S415).While the content is displayed in the set-top box 300,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obtain a viewing signal indicating whether to watch (S410, S415).

미디어 제공 서버(100)가 컨텐츠 시청 중인 셋탑 박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S420).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set-top box in which the content is being viewed to the data server 500 (S420).

데이터 서버(500)는 시청 셋탑 박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T)에 대한 제3 트리거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S425). The data server 500 may generate a third trigger message for the user terminal T corresponding to the viewing set-top box (S425).

데이터 서버(500)는 제3 트리거 메시지를 시청 셋탑 박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T)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T)로부터 트리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트리거 입력은 제3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입력으로 획득될 수 있다(S435). The data server 500 may transmit the third trigger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T corresponding to the viewing set-top box, and receive a trigger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T. The trigger input may be obtained as an input for the third trigger message (S435).

데이터 서버(500)는 제3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트리거 입력이 수신되면, 트리거 입력에 대응하는 셋탑 박스의 ID를 검색하고(S440), 셋탑 박스의 ID를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S445).When a trigger input for the third trigger message is received, the data server 500 may search the ID of the set-top box corresponding to the trigger input (S440), and transmit the ID of the set-top box to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 S445).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 ID를 기초로 셋탑 박스로 전송할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셋탑 박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450, S455). The media providing server 10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set-top box based on the set-top box ID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set-top box (S450, S455).

셋탑 박스(300)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S460). The set-top box 300 may process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to be executed using the control signal (S460).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셋탑 박스(300)는 제어 신호에서 획득한 제3 트리거 컨텐츠의 경로 정보 등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200)에 접속하고(S465),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제3 트리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S470). 셋탑 박스(300)는 제3 트리거 컨텐츠를 셋탑 박스(300)의 출력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the set-top box 300 accesses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200 using access information such as path information of the third trigger content obtained from the control signal (S465), and from the content transmission server 200 A third trigger content may be received (S470). The set-top box 300 may display the third trigger content on the output device of the set-top box 300 .

도 7는 제공되는 트리거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S1)에 대한 예시 도면이다. 7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user interface S1 including a provided trigger area.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 영역(TA)은 컨텐츠의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의 일부 영역에 트리거 영역(TA)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트리거 입력이 있을 경우,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와 관련된 커머스 컨텐츠(예컨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홈쇼핑 채널의 컨텐츠)가 셋탑 박스(300)에 연결된 출력 장치(4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the trigger area TA may be displayed on a partial area of the content, and may be implemented to provide content related to the content being displayed. As such, the trigger area TA may be displayed on a partial area of the content being displayed on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300 . Through this, when there is a trigger input from the user, commerce content related to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set-top box 300 (eg, the content of the home shopping channel as shown in FIG. 9 ) is displayed in the set-top box 300 . ) may be displayed on the output device 400 connected to the .

트리거 영역(T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되는 컨텐츠(광고, 프로그램 등)와 오버랩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트리거 영역(TA)에는 색상값이 변환되는 처리, 예를 들어, 디밍(dimming) 처리 등이 실행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 the trigger area TA may be displayed overlapping with the displayed content (advertisement, program, etc.), and the trigger area TA includes a process in which a color value is converted, for example, dimming ( dimming) processing or the like may be executed.

도 8은 트리거 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트리거 컨텐츠에 대한 예시 도면이다. 8 is an exemplary diagram of trigger content provided through a trigger area.

트리거 영역에 대한 입력이 획득되면, 트리거 컨텐츠(TC)가 출력되는데, 트리거 컨텐츠(TC)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SK스토아와 같은 홈쇼핑 방송사의 특정 상품(예컨대 화장품)을 포함하는 화면일 수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트리거 컨텐츠(TC)는 표시되는 컨텐츠(예컨대 특정 상품)와 관련되거나,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해서 등록된 이벤트 영역, 이벤트 응모 영역, 홈쇼핑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트리거 컨텐츠(TC)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즉, 트리거 컨텐츠(TC)는 특정 제품(예컨대 화장품)과 관련된 인터넷 쇼핑 웹화면일 수 있다.When an input to the trigger area is obtained, the trigger content TC is output, and the trigger content TC may be a screen including a specific product (eg, cosmetics) of a home shopping broadcaster such as SK Store, as shown in FIG. 8 . hav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8 , the trigger content TC may include an event area, an event application area, a home shopping area, etc. related to the displayed content (eg, a specific product) or registered for the displayed content.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bove description may be applied to the trigger content (TC). That is, the trigger content TC may be an Internet shopping web screen related to a specific product (eg, cosmetics).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the hardware component and the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The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on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compris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kind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미디어 제공 서버
110: 프로세서 120: 통신부
130: 저장 매체 131: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132: 트리거 생성부 133: 트리거 처리부
200: 컨텐츠 송출 서버
300, 301, 302, 303, 30n: 셋탑 박스
400, 401, 402, 403, …, 40n:출력 장치
500: 데이터 서버
100: media providing server
110: processor 120: communication unit
130: storage medium 131: application control unit
132: trigger generation unit 133: trigger processing unit
200: content transmission server
300, 301, 302, 303, 30n: set-top box
400, 401, 402, 403, … , 40n: output device
500: data server

Claims (18)

미디어 제공 서버가 셋탑 박스에서 실행된 구매 이력, 또는 시청 이력을 고려하여 트리거 생성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셋탑 박스가 상기 트리거 생성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셋탑 박스에 의해 제1 트리거 영역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며, 상기 셋탑 박스로부터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셋탑 박스로 전송하여, 상기 셋탑 박스에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미디어 제공 방법.
The media providing server determines whether a trigger generation condition is satisfied in consideration of a purchase history or a viewing history executed in the set-top box, and when the set-top box satisfies the trigger generation condition, a first trigger by the set-top box processing a region to be displayed and receiving an input for the first trigger region from the set-top box; and
The media providing server transmi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igger area to the set-top box, and controlling the set-top box to execute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igger area; including a trigger area Media delivery method that transitions to other content throug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은,
상기 셋탑 박스와 연결된 출력 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인,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미디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trigger area is
A method of providing media for switching to another content through a trigger area, which is content displayed through an output device connected to the set-top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한 입력은
상기 셋탑 박스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해 발생되어, 사용자 입력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로 전달되는,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미디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input to the first trigger reg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media that is generated by a program installed in the set-top box and is transmitted to the media providing server when a user input is input, to switch to another content through a trigger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제1 트리거 영역과 연결된 방송 컨텐츠, 커머스 컨텐츠, 광고 컨텐츠, 이벤트 컨텐츠, 구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미디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n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igger area is executed,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at least one of broadcast content, commerce content, advertisement content, event content, and purchase content connected to the first trigger area through the trigger area. A media delivery method that transitions to other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데이터 서버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한 입력을 전송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에서, 상기 셋탑 박스와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제1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미디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receiving step,
Sending the input for the first trigger region to the data server, the data serv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cessing to transmit a first trigger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igger region to the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set-top box A method of providing media for switching to other content through a trigger area, includ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제1 트리거 메시지의 경로 정보를 기초로, 트리거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미디어 제공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path information of the first trigger message,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a trigger content, media providing method for switching to another content through the trigger are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상기 제1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확인 입력이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1 트리거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셋탑 박스로 전송하여, 상기 셋탑 박스에서 상기 제1 트리거 메시지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미디어 제공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fter the step of sending,
When a confirmation input for the first trigger message from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data server,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igger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et-top box, and the set-top box responds to the first trigger message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to be executed; Media providing method for switching to another content through the trigger area further comprising.
미디어 제공 서버가 셋탑 박스에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에, 상기 컨텐츠에 대한 시청 신호를 상기 셋탑 박스로부터 획득하고, 컨텐츠 시청 중인 셋탑 박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에서, 상기 셋탑 박스에 대응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로 지정되고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전자 장치인 사용자 단말로, 제2 트리거 메시지를 바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데이터 서버를 거쳐, 상기 제2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셋탑 박스로, 상기 제2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트리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미디어 제공 방법.
While the content is displayed in the set-top box, the media providing server acquires a viewing signal for the content from the set-top box, and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set-top box in which the content is being viewed to the data server, in the data server, the set-top box controlling to transmit a second trigger message directly to a user terminal, which is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play function and designated as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When the media providing server receives an input for the second trigger message through the data serve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trigger content for the second trigger message to the set-top box Media providing method for switching to other content through a trigger area, includ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에서 상기 제2 트리거 메시지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미디어 제공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Controlling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igger message to be executed in the set-top box; Media providing method for switching to another content through a trigger area further comprising a.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셋탑 박스에서 실행된 구매 이력, 또는 시청 이력을 고려하여 트리거 생성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셋탑 박스가 상기 트리거 생성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셋탑 박스에 의해 제1 트리거 영역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며,
상기 셋탑 박스로부터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셋탑 박스로 전송하여, 상기 셋탑 박스에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and a processor;
the processor
It is determined whether a trigger generation condition is satisfied in consideration of the purchase history or the viewing history executed in the set-top box, and when the set-top box satisfies the trigger generation condition, the first trigger area is displayed by the set-top box process,
receiving an input for the first trigger region from the set-top box;
A media providing server that transmit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igger area to the set-top box, and controls the set-top box to execute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igger are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은,
상기 셋탑 박스와 연결된 출력 장치를 통해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인, 미디어 제공 서버.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trigger area is
A media providing server, which is content displayed through an output device connected to the set-top box.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한 입력은
상기 셋탑 박스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해 발생되어, 사용자 입력이 입력된 경우에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로 전달되는, 미디어 제공 서버.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input to the first trigger region is
A media providing server that is generated by a program installed in the set-top box and transmitted to the media providing server when a user input is inpu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셋탑 박스에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과 연결된 방송 컨텐츠, 커머스 컨텐츠, 광고 컨텐츠, 이벤트 컨텐츠, 구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는, 미디어 제공 서버.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igger area is executed, at least one of broadcast content, commerce content, advertisement content, event content, and purchase content connected to the first trigger area is displayed in the set-top box.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데이터 서버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한 입력을 전송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에서, 상기 셋탑 박스와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1 트리거 영역에 대응하는 제1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cessor is
By transmitting the input for the first trigger area to the data server, the data server processes to transmit the first trigger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igger area to the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set-top box, providing media serv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제1 트리거 메시지의 경로 정보를 기초로, 트리거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15. The method of claim 14,
In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path information of the first trigger message, controlling to output the trigger content, a media providing serv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상기 제1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확인 입력이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1 트리거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셋탑 박스로 전송하여, 상기 셋탑 박스에서 상기 제1 트리거 메시지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processor is
When a confirmation input for the first trigger message from the user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data server,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igger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et-top box, and the set-top box responds to the first trigger message A media providing server that control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to be executed.
프로세서 및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셋탑 박스에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에, 상기 컨텐츠에 대한 시청 신호를 상기 셋탑 박스로부터 획득하고, 컨텐츠 시청 중인 셋탑 박스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데이터 서버에서, 상기 셋탑 박스에 대응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로 지정되고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전자 장치인 사용자 단말로, 제2 트리거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서버를 거쳐, 상기 제2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셋탑 박스로, 상기 제2 트리거 메시지에 대한 트리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a processor and a communication unit;
the processor
While the content is displayed in the set-top box, obtain a viewing signal for the content from the set-top box, and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set-top box in which the content is being viewed to a data server, in the data server, corresponding to the set-top box, Control to transmit a second trigger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which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designated as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has a display function,
When an input for the second trigger message is received through the data server,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trigger content for the second trigger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et-top box.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9 using a computer.
KR1020210177023A 2021-03-31 2021-12-10 Media providing server, method of switching to other centent through a trigger area and computer program KR1026125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023A KR102612580B1 (en) 2021-03-31 2021-12-10 Media providing server, method of switching to other centent through a trigger area and computer progr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235 2021-03-31
KR1020210177023A KR102612580B1 (en) 2021-03-31 2021-12-10 Media providing server, method of switching to other centent through a trigger area and computer progra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235 Division 2021-03-31 2021-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6068A true KR20220136068A (en) 2022-10-07
KR102612580B1 KR102612580B1 (en) 2023-12-11

Family

ID=83595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023A KR102612580B1 (en) 2021-03-31 2021-12-10 Media providing server, method of switching to other centent through a trigger area and computer progr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58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646B1 (en) * 2023-07-31 2023-10-24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Control Signal Learning Type Shortened Ser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4154A (en) * 2009-02-18 2010-08-26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advertisement of iptv and method thereof
KR20130004671A (en) * 2011-07-04 2013-01-14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isement contents to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KR20200061570A (en) * 2018-11-26 2020-06-03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T-commerce experience providing method of calling a tv application matched with a tv commercial video with realtime analysi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4154A (en) * 2009-02-18 2010-08-26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advertisement of iptv and method thereof
KR20130004671A (en) * 2011-07-04 2013-01-14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isement contents to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KR20200061570A (en) * 2018-11-26 2020-06-03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T-commerce experience providing method of calling a tv application matched with a tv commercial video with realtime analysi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2646B1 (en) * 2023-07-31 2023-10-24 주식회사 이노피아테크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Control Signal Learning Type Shortened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580B1 (en) 202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85576B (en) For the method and apparatus switched between native applications and the second application
CN109922377B (en) Play control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0264762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irecting an IPTV device
EP2961172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formation acquisition
JP2018198066A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configuring user equipment device with content consumption material
WO2018000685A1 (en) Advertisement transferring method and device
CN110856005B (en) Live stream display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276814B1 (en) Link system between internet broadcast and online shopping and link method thereof
KR20130116618A (en) Product advertising method using smart connecting and interactive e-commerce method using the same
CN114051160B (en) Video display method and device
CN113556568B (en) Cloud application running method, system,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612580B1 (en) Media providing server, method of switching to other centent through a trigger area and computer program
US9098369B1 (en) Application installation using in-video programming
US20160165315A1 (e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displaying channel list performed by the same, server, and control method performed by the server
CN106412703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US20170134780A1 (en) Movie data display method and device
KR102326580B1 (en) Media providing server, method of storing a contents list based on viewing time of set-top box and computer program
CN113316014A (en) Display device, server and third-party data display control method
KR102497838B1 (en) Media streaming server, method of providing live video and live caht video as straming video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method
KR102399543B1 (en) Media providing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pop-up screen with broadcast interface
KR1023187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video banner
KR102371659B1 (en) Media provid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cessing on-demand request signal for shopping broadcast content
KR102637148B1 (en) Media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irectly processing an order signal as a pre-registered order means
KR102344495B1 (en) Media providing server, media providing server outpu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at provide tutorials on functional areas of broadcast video data in a predetermined output method
KR102326579B1 (en) TV broadcasting system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progress data for broadca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