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571A -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571A
KR20220135571A KR1020210041426A KR20210041426A KR20220135571A KR 20220135571 A KR20220135571 A KR 20220135571A KR 1020210041426 A KR1020210041426 A KR 1020210041426A KR 20210041426 A KR20210041426 A KR 20210041426A KR 20220135571 A KR20220135571 A KR 20220135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ser terminal
user
appl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4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윤석
박태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성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성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성엘텍
Priority to KR1020210041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5571A/en
Publication of KR20220135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5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60K37/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K2370/11
    • B60K2370/143
    • B60K2370/148
    • B60K2370/152
    • B60K2370/16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omprise: a communication unit which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a control unit receiving at least one of screen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for a vehicle-linked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 display unit providing at least one of the screen information and th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o the exterior. Provided are the infotainment system providing various functions of a smart phone,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Description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VEHICLE INFOTAIN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Vehicle infotain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은,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화면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 to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that receives and displays screen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함께 자동차 산업은 ICT 기술을 탑재한 스마트 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오디오, 비디오 및 네비게이션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시스템의 경우에 미러 링크와 같은 기술이 접목될 수 있으므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분야는 운전자의 편의성 및 유용성을 가장 직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분야이다.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automobile industry is actively conducting research on smart cars equipped with ICT technolog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infotainment system that provides functions such as audio, video, and navigation, a technology such as a mirror link can be applied, so the infotainment system field is the field that can provide the driver's convenience and usability most directly. to be.

다만, 종래의 미러링 기술에서는 스마트폰의 기능 중 일부가 제한된 기능만이 인포테인먼트 장치로 전송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화면을 변경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irroring technology, only a limited number of functions of the smartphone can be transmitted to the infotainment devic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creen cannot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5060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85060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provide an infotainment system that provides various functions of a smartphone using a vehicle linkage application installed on a user's smartphon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또한, 스마트폰과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fotainment system that performs two-way communic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a smart phon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또한,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변경된 화면 정보를 제공하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l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fotainment system that provides screen information changed based on a user's frequency of use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개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be inferred from the following embodiments.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신부를 통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제어부, 및 화면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at least one of screen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for a vehicle-linked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It may include a display unit that provides at least one of screen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o the outside.

일 실시 예에서, 화면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실행된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UI(user interface)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cree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an execution user interface (UI) of a vehicle-linked application executed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user terminal.

일 실시 예에서,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UI는 라디오 어플리케이션, 오디오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어플리케이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통화 어플리케이션, 메세지 어플리케이션 및 제어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xecution UI of the vehicle interworking applic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adio application, an audio application, a video application, a navigation application, a call application, a message application, and a control application.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는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에 대하여, 차량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배치 순서에 따라 재배열된 화면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screen information rearranged according to an arrangement order set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vehicl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for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the vehicle interworking application, and display it through the display unit have.

일 실시 예에서, 제어 명령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 및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a user's touch input to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and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a user's voice input to the microphone of the user terminal.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 명령 정보를 차량의 구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구동부에 전송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receiving th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th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o the vehicle driving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 device of the vehicle.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및 화면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에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operation of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an operation of receiving at least one of screen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for a vehicle-linked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and It may include an operation of providing at least one of screen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o the outside.

일 실시 예에서, 화면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실행된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UI(user interface)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cree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an execution user interface (UI) of a vehicle-linked application executed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user terminal.

일 실시 예에서,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UI는 라디오 어플리케이션, 오디오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어플리케이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통화 어플리케이션, 메세지 어플리케이션 및 제어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xecution UI of the vehicle interworking applic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adio application, an audio application, a video application, a navigation application, a call application, a message application, and a control application.

일 실시 예에서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에 대하여 차량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배치 순서에 따라 재배열된 화면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includes receiving screen information rearranged according to an arrangement order set based on a vehicle user's frequency of use from a user terminal for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a vehicle interworking application and displaying the received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It may further include an action.

일 실시 예에서, 제어 명령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 및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a user's touch input to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and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a user's voice input to the microphone of the user terminal.

일 실시 예에서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 명령 정보를 차량의 구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구동부에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may further include, when receiving control command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transmitting th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o a vehicle driving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a component device of the vehicle.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연동되도록 설정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신부를 통해서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 memory for storing a vehicle-linked applic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set to interwork with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nd screen information for the vehicle-linked application and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t least one of th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o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일 실시 예에서, 화면 정보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실행된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UI(user interface)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cree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an execution user interface (UI) of a vehicle-linked application executed based on a user input.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는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에 대하여 차량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배치 순서를 설정하고, 설정한 배치 순서에 따라 재배열된 화면 정보를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sets an arrangement order for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the vehicle interworking application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vehicle user, and transmits screen information rearranged according to the set arrangement order to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can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제어 명령 정보는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 및 마이크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display for receiving a user's touch input, and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user's voice input, wherein th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includes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on the display and the user's response to the microphon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a voice input.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에서의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업데이트된 기능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receive updated functions through a vehicle linkag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s smartphone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software update.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에서의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은, 스마트폰과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은 차량의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즉각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perform two-way communication with a smartphone, the smartphone can transmit vehicle control commands as well as data on the control result. You may receive it immediately.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에서의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은, 스마트폰에 설치된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사용자 커스터마이징이 수행된 화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nd the operat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provide screen information on which user customization is performed through a vehicle interworking application installed in a smartphone.

본 개시에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able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한 차량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1 UI 상태를 도시한다.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2 UI 상태를 도시한다.
도 4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3 UI 상태 및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태를 도시한다.
도 4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4 UI 상태 및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태를 도시한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5 UI 상태를 도시한다.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다른 사용자 단말의 제6 UI 상태 및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태를 도시한다.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7 UI 상태를 도시한다.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8 UI 상태를 도시한다.
도 6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9 UI 상태를 도시한다.
도 6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10 UI 상태를 도시한다.
도 6e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11 UI 상태를 도시한다.
도 6f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12 UI 상태 및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태를 도시한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vehic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nd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A illustrates a first UI stat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4B illustrates a second UI stat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4C illustrates a third UI state of a user terminal and a display screen state of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D illustrates a fourth UI state of a user terminal and a display screen state of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A illustrates a fifth UI stat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5B illustrates a sixth UI state of a user terminal and a display screen state of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6A illustrates a seventh UI stat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6B illustrates an eighth UI stat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6C illustrates a ninth UI stat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D illustrates a tenth UI stat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6E illustrates an eleventh UI state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6F illustrates a twelfth UI state of a user terminal and a display screen state of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 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are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functions in the present embodiments, but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precedents 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embodiments.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s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s of the present embodiments,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or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 예들에 대하여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pertain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are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명세서 전체에서 '실시 예'는 본 명세서에서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임의의 구분으로서, 실시 예 각각이 서로 배타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개시된 구성들은 다른 실시 예에 적용 및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변경되어 적용 및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 'embodiment' is an arbitrary division for easily describing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each of the embodiments is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omponents disclosed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and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and may be changed and applied and implemen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실시 예들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Meanwhile, the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embodiments.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한 차량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mponents of a vehic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25) 메모리(130), 출력부(140), 차량 구동부(150), 차량 운전 보조 시스템(ADAS, 160), 제어부(170), 인터페이스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vehicle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 an input unit 120 , a sensing unit 125 , a memory 130 , an output unit 140 , a vehicle driving unit 150 , and a vehicle. It may include a driving assistance system (ADAS) 160 , a control unit 170 , an interface unit 180 , and a power supply unit 190 .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 정보 모듈, 광통신 모듈 및 V2X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an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and a V2X communication module.

입력부(120)는, 운전 조작 수단, 카메라, 마이크로폰 및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driving operation means, a camera, a microphone, and a user input unit.

운전 조작 수단은, 차량(100)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운전 조작 수단은 조향 입력 수단, 쉬프트 입력 수단, 가속 입력 수단, 브레이크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operation means receives a user input for driving the vehicle 100 . The driving operation means may include a steering input means, a shift input means, an acceleration input means, and a brake input means.

가속 입력 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브레이크 입력 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The acceleration input means receives an input for acceleration of the vehicle 100 from a user. The brake input means receives an input for decelerating the vehicle 100 from a user.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The camera may include an image sensor and an image processing module. The camera can proces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eg, CMOS or CCD). The image processing module may proces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through an image sensor, extract necessary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extrac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70 .

한편, 차량(100)은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 차량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어라운드 뷰 카메라 및 차량 후방 영상을 촬영하는 후방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카메라는 렌즈, 이미지 센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촬영되는 영상을 컴퓨터 처리하여, 데이터 또는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카메라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는, 제어부(17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카메라는 집합건물의 주차구역 또는 주차구역 주위, 예를 들면 주차구역의 바닥 또는 기둥에 부착된 QR코드를 촬영한다.Meanwhile, the vehicle 100 may include a front camera for photographing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an around-view camera for photographing an image around the vehicle, and a rear camera for photographing an image of the rear of the vehicle. Each camera may include a lens, an image sensor and a processor. The processor may computer-process the captured image to generate data or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generated data or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70 . The processor included in the camera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70 . In an embodiment, the camera captures a QR code affixed to a parking area or around a parking area of an aggregation building, for example on the floor or a pillar of the parking area.

카메라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의 프로세서는, 스테레오 영상에서 검출된 디스페리티(disparity) 차이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영상에서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복수의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The camera may include a stereo camera. In this case, the processor of the camera may detect the distance to the object, the relative speed to the object detected in the imag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objects by using a disparity difference detected in the stereo image.

카메라는 TOF(Time of Flight)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는, 광원(예를 들면, 적외선 또는 레이저) 및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의 프로세서는, 광원에서 발신되는 적외선 또는 레이저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수신될 때까지의 시간(TOF)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복수의 오브젝트 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The camera may include a Time of Flight (TOF) camera. In this case, the camera may include a light source (eg, infrared or laser) and a receiver. In this case, the processor of the camera detects the distance to the object, the relative speed to the objec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objects based on the time (TOF) until the infrared or laser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reflected by the object and received. can do.

한편, 후방 카메라는, 후방 번호판 또는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스위치 부근에 배치될 수 있으나, 후방 카메라가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Meanwhile, the rear camera may be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rear license plate or the trunk or tailgate switch, but the position where the rear camera is disposed is not limited thereto.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각각의 이미지는, 카메라의 프로세서에 전달되고, 프로세서는 상기 각각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차량 주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주변 영상은 탑뷰 이미지 또는 버드 아이 이미지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Each image captur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may be transmitted to a processor of the camera, and the processor may synthesize the respective images to generate an image around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image around the vehicle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s a top view image or a bird's eye image.

센싱부(125)는, 차량(100)의 각종 상황을 센싱한다. 이를 위해, 센싱부(125)는,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레이더, 라이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25 senses various situations of the vehicle 100 . To this end, the sensing unit 125 includes a collision sensor, a wheel sensor, a speed sensor, an inclination sensor, a weight sensor, a heading sensor, a yaw sensor, and a gyro sensor. , position module, vehicle forward/reverse sensor, battery sensor, fuel sensor, tire sensor, steering sensor by steering wheel rotation,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sensor, vehicle interior humidity sensor, ultrasonic sensor, illuminance sensor, radar, lidar, etc. may include

이에 의해, 센싱부(125)는,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차량 외부 조도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nsing unit 125 may include vehicle collision information, vehicle direction information,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vehicle angle information, vehicle speed information, vehicle acceleration information, vehicle inclination information, vehicle forward/reverse information, and battery information. , fuel information, tire information, vehicle lamp information, vehicle internal temperature information, vehicle internal humidity information, steering wheel rotation angle, and sensing signals for external illumination of the vehicle may be acquired.

메모리(13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3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제어부(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70 . The memory 130 may store basic data for the unit, control data for operation control of the unit, and input/output data. The memory 130 may be a variety of storage devices such as ROM, RAM, EPROM, flash drive, hard drive, etc. in terms of hardware. The memory 130 may store various data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100 , such as a program for processing or controlling the controller 170 .

출력부(14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및 햅틱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40 is for outputting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 and may include a display unit, a sound output unit, and a haptic output unit.

디스플레이부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는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현재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는 현재 차량의 속도(또는 속력), 주변차량의 속도(또는 속력) 및 현재 차량과 주변차량 간의 거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display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vehicle-related information. Here,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vehicle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or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current speed (or speed) of the vehicle, the speed (or speed) of the surrounding vehicle, an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current vehicle and the surrounding vehicle.

한편, 디스플레이부는 운전자가 운전을 함과 동시에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cluster)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대시보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는, 시선을 차량 전방에 유지한 채로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a cluster so that the driver can check vehicle state information or vehicle operation information while driving. The cluster may be located above the dashboard. In this case, the driver may check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cluster while keeping the gaze in front of the vehicle.

음향 출력부는 제어부(1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sound output unit converts the electric signal from the controller 170 into an audio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signal. To this end, the sound output unit may include a speaker or the like.

차량 구동부(150)는, 차량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150)는 동력원 구동부, 조향 구동부, 브레이크 구동부, 램프 구동부, 공조 구동부, 윈도우 구동부, 에어백 구동부, 썬루프 구동부 및 서스펜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driving unit 150 may control operations of various devices of the vehicle. The vehicle driving unit 150 may include a power source driving unit, a steering driving unit, a brake driving unit, a lamp driving unit, an air conditioning driving unit, a window driving unit, an airbag driving unit, a sunroof driving unit, and a suspension driving unit.

동력원 구동부는, 차량(100) 내의 동력원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미도시)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가 엔진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제한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The power source driving unit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the power source in the vehicle 100 . For example, when a fossil fuel-based engine (not shown) is a power source, the power source driving unit may electronically control the engine. Thereby, the output torque of an engine, etc. can be controlled. When the power source driving unit is the engine, the speed of the vehicle may be limited by limiting the engine output torqu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

브레이크 구동부는, 차량(1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에 각각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달리하여,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정할 수 있다.The brake driving unit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a brake apparatus (not shown) in the vehicle 100 . For example, the speed of the vehicle 100 may be reduc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brake disposed on the wheel. As another exampl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00 may be adjusted to the left or right by changing the operation of the brake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left wheel and the right wheel.

램프 구동부는, 차량 내, 외부에 배치되는 램프의 턴 온/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빛의 세기,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 지시 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의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lamp driving unit may control turning on/off of lamps disposed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tensity and direction of the light of the lamp. For example, control of a direction indicator lamp, a brake lamp, and the like may be performed.

제어부(170)는, 차량(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상술한 사고 유무 판단 장치는 제어부(17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unit in the vehicle 100 . The control unit 170 may be referred to as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The above-described accident determination apparatus may be driven by the control unit 170 .

제어부(17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in hardware,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processors (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식별 코드로부터 식별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식별 이미지를 인식가능한 경우, 촬영된 식별 코드에 상응하는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 여기서, 추출된 정보는 차량이 주차된 주차구역에 대한 위치정보, 집합건물에 대한 안내정보, 주차결제정보, 또는 집합건물내에서의 예약 및 결제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70 extracts an identification image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and when the extracted identification image is recognizable, extrac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ed identification code, and transmits the extracted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Here, the extracted information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for a parking area in which the vehicle is parked, guide information for an assembly building, parking payment information, or reservation and payment information within the assembly building.

인터페이스부(180)는,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80)는 이동 단말기(미도시)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미도시)와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부(18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80 may serve as a passage with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vehicle 100 .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80 may have a port connectable to a mobile terminal (not shown), and may be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not shown) through the port. In this case, the interface unit 180 may exchange data with the mobile terminal.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미도시)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supply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70 . In particular,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receive power from a battery (not shown) inside the vehicle.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 및 사용자 단말(24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and a user terminal 24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은 통신부(210), 제어부(220) 및 디스플레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은 "인포테인먼트 장치", "AVN 장치" 또는 "헤드 유닛"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10 , a control unit 220 , and a display unit 230 .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may be expressed in terms such as “infotainment device”, “AVN device” or “head unit”.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240)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210)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210)는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과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240)과 통신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240 . In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g,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tc.). The communication unit 210 includ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240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WIFI direct, or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20)는 사용자 단말(240)에 설치된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246)에 대한 화면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화면 정보는 사용자 단말(24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실행된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246)의 실행 UI(user interface)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 명령 정보는 사용자 터치 입력 및 사용자 음성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은 사용자 단말(240)의 디스플레이(250)에 대한 터치 입력에 따른 제어 명령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은 사용자 단말(240)의 마이크(252)에 대한 음성 입력에 따른 제어 명령을 의미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220 may receive at least one of screen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for the vehicle-linked application 246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40 . In an embodiment, the screen information may refer to information on an execution user interface (UI) of the vehicle interworking application 246 executed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user terminal 240 .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about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user touch input and a user voice input. For example, the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may mean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touch input to the display 250 of the user terminal 240 .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user's voice input may mean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voice input to the microphone 252 of the user terminal 240 .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230)는 사용자 단말(240)로부터 수신한 화면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20)는 사용자 단말(240)로부터 수신한 화면 정보를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의 화면 크기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40)로부터 16:9 비율의 화면 정보가 수신되고,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의 화면 크기가 4:3 비율에 최적인 경우에, 제어부(220)는 수신된 16:9 비율의 화면 정보를 4:3 비율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40)로부터 16:9 비율의 화면 정보가 수신되고,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의 화면 크기가 4:3 비율에 최적인 경우에, 제어부(220)는 수신된 16:9 비율의 화면 정보를 유지하여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외부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의 디스플레이부(230)는 16:9 비율의 화면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임의의 색상(예: 검정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isplay 230 may provide at least one of screen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40 to the outside.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20 may adaptively change the scree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40 with respect to the screen size of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and provide it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unit 230 . have. For example, when screen information of a 16:9 ratio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40 and the screen size of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is optimal for a 4:3 ratio, the control unit 220 receives the received 16: The screen information of the 9 ratio may be changed to the 4:3 ratio and provid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unit 230 . As another example, when screen information of a 16:9 ratio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40 and the screen size of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is optimal for a 4:3 ratio, the controller 220 may control the received 16:9 ratio. Screen information of a :9 ratio may be maintained and provid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unit 230 .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230 of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may display an area other than an area in which screen information of a 16:9 ratio is displayed in an arbitrary color (eg, black).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40)은 통신부(242), 메모리(244), 제어부(248), 디스플레이(250) 및 마이크(252)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24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42 , a memory 244 , a control unit 248 , a display 250 , and a microphone 252 .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242)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242)는 사용자 단말(240)과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40)의 통신부(242)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242 may communicate with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 In an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242 may support establishment of a direct (eg, wired) communication channel or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user terminal 240 and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channel. . In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242 of the user terminal 24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g,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eg, LAN)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or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244)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연동되도록 설정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246)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246)은 차량 운행 중에 조작이 적합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고, 제조사의 소프트웨어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memory 244 may store the vehicle interworking application 246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set to interwork with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In an embodiment, the vehicle interworking application 246 may include a plurality of applications suitable for operation while driving a vehicle,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a software setting of a manufacturer.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48)는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246)에 대한 화면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48)는 사용자 단말(240)의 통신부(242) 및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의 통신부(210) 간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고, 통신 상태가 적합한 경우에 화면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248 may transmit at least one of screen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for the vehicle interworking application 246 to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48 checks the communication state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242 of the user terminal 24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10 of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and when the communication state is suitable, screen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s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48)는 디스플레이(250)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248)는 마이크(252)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248 may receive a user's touch input through the display 250 and generat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248 may receive a user's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52 and generat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voice input.

일 실시 예에서,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은 차량의 구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구동부(예: 도 1의 차량 구동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의 제어부(220)는 사용자 단말(240)로부터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한 제어 명령 정보를 차량 구동부(150)에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may further include a vehicle driving unit (eg, the vehicle driving unit 150 of FIG. 1 )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a component of the vehicle. For example, when receiving control command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40 , the controller 220 of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may transmit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o the vehicle driving unit 150 .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300) 및 사용자 단말(340)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300 and a user terminal 34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내부의 전면 중앙부에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30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300)의 주변부에 거치대(350)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340)(예: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이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300) 및 사용자 단말(340)이 근거리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300) 및 사용자 단말(340)은 근거리 통신(예: WIFI, 블루투스 등)을 통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340) 및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300)은 양방향 통신(full duplex communication) 또는 단방향 통신(simplex communication)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방향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340)은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300)으로 정보(예: 화면 정보, 제어 명령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나,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300)으로부터 어떠한 정보도 수신할 수 없다. 다른 예를 들어, 양방향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340)은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300)으로 정보(예: 화면 정보, 제어 명령 정보)를 전송하고,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300)으로부터 정보(예: 화면 비율 변경 정보, 객체의 배치 순서 변경 정보, 차량 제어 결과에 대한 정보 등)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300 may be provided in the front center portion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 addition, as the cradle 350 is provided in the periphery of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300 , the user terminal 340 (eg, a smartphone, a tablet PC, etc.) may be mounted and detached. In an embodiment, as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300 and the user terminal 340 are located in a short distance,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300 and the user terminal 34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short-range communication (eg, WIFI, Bluetooth, etc.)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340 and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300 may be connected through any one of two-way communication (full duplex communication) or one-way communication (simple communication). For example, when connected through one-way communication, the user terminal 340 may transmit information (eg, screen information,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o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300 , but any I cannot receive any information either. For another example, when connected through two-way communication, the user terminal 340 transmits information (eg, screen information,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o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300 , and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300 . (eg, aspect ratio change information, object arrangement order change information, information on vehicle control result, etc.) can be received.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1 UI(400) 상태를 도시한다.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2 UI(410) 상태를 도시한다. 도 4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3 UI(420) 상태 및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화면(430) 상태를 도시한다. 도 4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4 UI(440) 상태 및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화면(450) 상태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d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대응 또는 유사한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4A illustrates a state of a first UI 400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B illustrates a state of the second UI 410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4C illustrates a state of a third UI 420 of a user terminal and a state of a display screen 430 of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D illustrates a state of a fourth UI 440 of a user terminal and a state of a display screen 450 of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the description of FIGS. 4A to 4D , contents identical to, corresponding to,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예: 도 2의 사용자 단말(240))은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50))를 통해서 제1 UI(400)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A , the user terminal (eg, the user terminal 240 of FIG. 2 ) may display the state of the first UI 400 through a display (eg, the display 250 of FIG. 2 ).

일 실시 예에서, 제1 UI(400)는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UI(400)는 시계 어플리케이션, 계산기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어플리케이션, SNS 어플리케이션,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및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402) 각각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예: 아이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할 뿐, 제1 UI(400)는 사용자에 의해 설치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first UI 400 may include visual object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applications. For example, the first UI 400 may include a visual object (eg, an ic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watch application, the calculator application, the video application, the SNS application, the camera application, and the vehicle interworking application 402 .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first UI 400 may include visual objects corresponding to various applications installed by the user.

일 실시 예에서,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402)에 대한 사용자 입력(404)을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240)은 디스플레이(250)를 통해서 제2 UI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도 4a에서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40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의 음성 입력(예: "CAR APP 켜줘")을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240)은 디스플레이(250)를 통해서 제2 UI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upon receiving the user input 404 for the vehicle interworking application 402 , the user terminal 240 may display the second UI state through the display 250 . However, although the user input for the vehicle interworking application 402 in FIG. 4A is illustrated as a touch inp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nother embodiment, upon receiving the user's voice input (eg, "Turn on the CAR APP"), the user terminal 240 may display the second UI state through the display 250 .

도 4b를 참조하면, 제2 UI(410)는 사용자 단말(240) 및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예: 도 2의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 간의 통신 연결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남은 잔여 시간을 표시하는 시각적 객체(4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UI(410)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에 대응하는 자동차 아이콘 및 자동차 아이콘을 둘러싸는 시각적 객체(412)(예: 복수의 원 형상)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자동차 아이콘을 둘러싸는 시각적 객체(412)에 대한 음영 표시는 사용자 단말(240) 및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 간의 통신 연결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남은 잔여 시간(예: 10초)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UI(410)는 사용자 단말(240) 및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 간의 통신 연결을 해제하는 시각적 객체(414)를 포함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4B , the second UI 410 is a visual display that displays the remaining time until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240 and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eg,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of FIG. 2 ) is completed. It may include an object 412 . For example, the second UI 410 may include a car icon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and a visual object 412 (eg, a plurality of circle shapes) surrounding the car icon. At this time, the shaded display of the visual object 412 surrounding the car icon means the remaining time (eg, 10 seconds) until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240 and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is completed. can In an embodiment, the second UI 410 may include a visual object 414 for releas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240 and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

도 4c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40) 및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 간의 통신 연결이 완료되는 시점에, 사용자 단말(240)은 디스플레이(250)를 통해서 제3 UI(420)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C , whe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240 and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is completed, the user terminal 240 may display the third UI 420 state through the display 250 . have.

일 실시 예에서, 제3 UI(420)는 사용자 입력(404)을 통해 실행된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402)의 실행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402)은 차량 운행 중에 조작이 적합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UI(420)는 라디오 어플리케이션, 오디오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어플리케이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통화 어플리케이션, 메세지 어플리케이션 및 제어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third UI 420 may include an execution screen of the vehicle-linked application 402 executed through the user input 404 . For example, the vehicle interworking application 402 may include a plurality of applications suitable for operation while driving a vehicle. Accordingly, the third UI 4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objects corresponding to each of a radio application, an audio application, a video application, a navigation application, a call application, a message application, and a control application.

일 실시 예에서, 제3 UI(420)에 표시된 사용자 단말(240)의 화면 정보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의 디스플레이 화면(430)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의 디스플레이 화면(430)은 제3 UI(420)에 포함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배열 정보가 변경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UI(420)는 세로 모드인 사용자 단말(240)에 적합하도록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2열로 배열되어 있으나, 가로 모드인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의 디스플레이 화면(430)에서 제3 UI(420)에 포함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4열로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의 디스플레이 화면(430)은 제3 UI(420)에 표시된 화면 정보와 동일한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240)은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402)이 실행되는 시점에 화면 상태가 자동으로 가로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cree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40 displayed on the third UI 42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430 of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 In an embodiment, the display screen 430 of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may display a screen in which arrangement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third UI 420 is changed. For example, in the third UI 420 ,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arranged in two columns to suit the user terminal 240 in the portrait mode, but the third UI 42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430 of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in the landscape mode. A plurality of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UI 420 may be arranged in four columns. In another embodiment, the display screen 430 of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may display the same screen as scree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hird UI 420 .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240 may automatically change the screen state to the landscape mode when the vehicle interworking application 402 is executed.

도 4d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40)의 제어부(예: 도 2의 제어부(248))는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에 대하여 차량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배치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8)는 차량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설정한 배치 순서에 따라 재배열된 화면 정보를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D , the controller of the user terminal 240 (eg, the controller 248 of FIG. 2 ) may set the arrangement order for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the vehicle interworking application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vehicle user. have. Also, the controller 248 may transmit the rearranged screen information to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rder set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vehicle user.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48)는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빈도를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244))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8)는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중에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빈도가 가장 높고, 통화 어플리케이션, 제어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어플리케이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라디오 어플리케이션 순으로 사용자의 사용 빈도가 낮아지고, 오디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빈도가 가장 낮음을 메모리(244)에 저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248 may store the user's frequency of use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vehicle-linked application in a memory (eg, the memory 244 of FIG. 2 ). For example, the controller 248 has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by the user for the navigation application among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the user's frequency of use decreases in the order of a call application, a control application, a video application, a message application, and a radio application. , that the user has the lowest frequency of use for the audio application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44 .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48)는 메모리(244)에 저장된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배치 순서를 설정하고, 설정한 배치 순서에 따라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재배열된 제4 UI(440)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48)는 사용자의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객체(예: "네비게이션" 아이콘)의 크기를 나머지 어플리케이션들에 대응하는 객체의 크기보다 크게 설정하여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5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248 sets the arrangement order for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user stored in the memory 244 , and the fourth UI in which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set arrangement order (440) screen may be displayed.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48 sets the size of the object (eg, a “navigation” ic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most frequently used by the user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applications to display (eg, FIG. 2 ). I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250 of the.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48)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이 재배열된 제4 UI(440)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단말(240)의 화면 정보를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의 디스플레이 화면(450)은 제4 UI(440)에 포함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배열 정보가 변경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는, 도 4c에서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의 디스플레이 화면(430)이 제3 UI(420)에 포함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의 배열 정보가 변경된 화면을 표시하는 방식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248 may transmit scree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40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fourth UI 440 in which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re rearranged to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 In an embodiment, the display screen 450 of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may display a screen in which arrangement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fourth UI 440 is changed. This is the same as the method in which the display screen 430 of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displays a screen in which arrangement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included in the third UI 420 is changed in FIG. 4C , so a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have.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5 UI(500) 상태를 도시한다.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다른 사용자 단말의 제6 UI(510) 상태 및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태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대응 또는 유사한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5A illustrates a state of a fifth UI 500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B illustrates a state of a sixth UI 510 of a user terminal and a state of a display screen of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description of FIGS. 5A and 5B , contents identical to, corresponding to,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예: 도 2의 사용자 단말(240))은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50))를 통해서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예: 도 4a의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402))이 실행된 제5 UI(500)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예: 도 2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은 제5 UI(500)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화면(미도시)을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 the user terminal (eg, the user terminal 240 of FIG. 2 ) may display a vehicle-linked application (eg, the vehicle-linked application 402 of FIG. 4A ) through a display (eg, the display 250 of FIG. 2 ). ) may display the executed fifth UI 500 state. In this case,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eg, the infotainment system 200 of FIG. 2 ) may display a display screen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fifth UI 500 .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40)은 디스플레이(250)를 통해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402)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일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40)은 디스플레이(250)를 통해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502)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40)은 마이크(예: 도 2의 마이크(252))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40)은 마이크(252)를 통해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음성 입력(예: "네비게이션 켜줘")을 수신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24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one object among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the vehicle interworking application 402 through the display 250 .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40 may receive the user input 502 for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navigation application through the display 250 . In another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240 may receive a user input through a microphone (eg, the microphone 252 of FIG. 2 ).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40 may receive a user voice input (eg, "turn on navigation") for executing a navigation application through the microphone 252 .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40)은 사용자 입력(예: 사용자 입력(502), 음성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6 UI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240 may display a sixth UI state upon receiving a user input (eg, a user input 502 or a voice input).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40)은 사용자 입력(예: 사용자 입력(502), 음성 입력)에 따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인 제6 UI(510)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UI(510)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 the user terminal 240 may display the state of the sixth UI 510 , which is an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execu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eg, a user input 502 or a voice input). For example, the sixth UI 510 may include an execution screen of a navigation application.

일 실시 예에서, 제6 UI(510)에 표시된 사용자 단말(240)의 화면 정보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의 디스플레이 화면(520)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의 디스플레이 화면(520)은 제6 UI(510)에 표시된 화면 정보의 방향이 변경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UI(510)는 세로 모드인 사용자 단말(240)에 적합하도록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지도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의 제어부(예: 도 2의 제어부(220))는 사용자 단말(240)로부터 수신된 세로 모드인 제6 UI(510)의 화면 정보를 가로 모드의 화면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의 디스플레이 화면(520)은 제6 UI(510)에 표시된 화면 정보의 방향이 가로 모드로 변경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scree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40 displayed on the sixth UI 51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520 of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 In an embodiment, the display screen 520 of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may display a screen in which the direction of scree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ixth UI 510 is changed. For example, the sixth UI 510 may display map data of a navigation application to be suitable for the user terminal 240 in the portrait mod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eg, the control unit 220 of FIG. 2 ) of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converts the screen information of the sixth UI 510 in the vertical mod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40 to the screen information in the horizontal mode. can be changed Accordingly, the display screen 520 of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may display a screen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scree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ixth UI 510 is changed to the landscape mode.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7 UI(600) 상태를 도시한다. 도 6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8 UI(610) 상태를 도시한다. 도 6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9 UI(620) 상태를 도시한다. 도 6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10 UI(630) 상태를 도시한다. 도 6e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11 UI(640) 상태를 도시한다. 도 6f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제12 UI(650) 상태 및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화면(660) 상태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f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대응 또는 유사한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6A illustrates a state of a seventh UI 600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B illustrates a state of the eighth UI 610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6C illustrates a state of the ninth UI 620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6D illustrates a state of a tenth UI 630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6E illustrates a state of an eleventh UI 640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F illustrates a state of a twelfth UI 650 of a user terminal and a state of a display screen 660 of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the description of FIGS. 6A to 6F , contents identical to, corresponding to, or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예: 도 2의 사용자 단말(240))은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50))를 통해서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예: 도 4a의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402))이 실행된 제7 UI(600)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예: 도 2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은 제7 UI(600)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화면(미도시)을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 the user terminal (eg, the user terminal 240 of FIG. 2 ) may display a vehicle-linked application (eg, the vehicle-linked application 402 of FIG. 4A ) through a display (eg, the display 250 of FIG. 2 ). ) may display the executed seventh UI 600 state. In this case,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eg, the infotainment system 200 of FIG. 2 ) may display a display screen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seventh UI 600 .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40)은 디스플레이(250)를 통해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402)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일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40)은 디스플레이(250)를 통해 제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602)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40)은 사용자 입력(602)을 수신함에 따라, 제8 UI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24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one object among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the vehicle interworking application 402 through the display 250 .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40 may receive the user input 602 for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application through the display 250 . In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240 may display the eighth UI state upon receiving the user input 602 .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40)은 사용자 입력(602)에 따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인 제8 UI(610)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8 UI(610)는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B , the user terminal 240 may display the state of the eighth UI 610 , which is an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execu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602 . For example, the eighth UI 610 may include an execution screen of a control application.

일 실시 예에서,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포함하는 제8 UI(610)는 차량의 시동 온/오프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영역(612) 및 차량의 창문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영역(61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8 UI(610)의 제1 영역(612)은 차량의 시동을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는 제1 시각적 객체(616)(예: "START") 및 차량의 시동을 오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는 제2 시각적 객체(618)(예: "STOP")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8 UI(610)의 배치 및 객체의 형상은 일 예시에 불과할 뿐, 제1 영역(612) 및 제2 영역(614)의 배치 구조, 제1 시각적 객체(616) 및 제2 시각적 객체(618)의 형상 등은 제조사의 소프트웨어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an embodiment, the eighth UI 610 including the execution screen of the control application includes a first area 612 for controlling the vehicle ignition on/off function and a second area for controlling a window state of the vehicle ( 614) may be included. For example, the first area 612 of the eighth UI 610 includes a first visual object 616 (eg, "START") capable of controlling the starting of the vehicle in the on state and the starting of the vehicle in the off state. It may include a second visual object 618 (eg, "STOP") that can be controlled by . At this time, the arrangement of the eighth UI 610 and the shape of the object are only examples, and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area 612 and the second area 614 , the first visual object 616 and the second visual object 616 are only examples. It is obvious that the shape of the object 618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software design of the manufacturer.

도 6c를 참조하면, 제9 UI(620)는 사용자(622)의 터치 입력에 따라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시각적 객체(6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시각적 객체(616)가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240)로부터 시동의 상태를 온 상태로 제어하는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은 차량 구동부(예: 도 1의 차량 구동부(150))에 상기 수신한 제어 명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C , the ninth UI 620 may include a first visual object 616 that moves in a right direction according to a touch input of the user 622 . In this case, as the first visual object 616 moves in the right direction,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may receiv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starting state to the on state from the user terminal 240 . Also,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may transmit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o a vehicle driving unit (eg, the vehicle driving unit 150 of FIG. 1 ).

도 6d를 참조하면, 제10 UI(630)는 음성 입력을 실행하기 위한 제3 시각적 객체(6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40)은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250))를 통해 제3 시각적 객체(63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40)은 제3 시각적 객체(63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240)의 마이크(예: 도 2의 마이크(252))는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D , the tenth UI 630 may include a third visual object 632 for executing a voice input.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4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the third visual object 632 through a display (eg, the display 250 ). In an embodiment, as the user terminal 240 receives a user input for the third visual object 632 , the microphone of the user terminal 240 (eg, the microphone 252 of FIG. 2 ) is switched to an active state. can be

도 6e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40)은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마이크(252)를 통해 사용자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40)은 마이크(252)를 통해 "앞 좌석 오른쪽 창문 전부 열어줘"와 같은 사용자 음성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1 UI(640)는 사용자 단말(240)의 마이크(252)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음성 입력을 텍스트로 전환하여 표시한 화면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240)로부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 명령 정보를 차량 구동부(15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이 사용자 단말(240)로부터 "앞 좌석 오른쪽 창문 전부 열어줘"의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면,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은 차량 구동부(150)에 상기 수신한 제어 명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E , the user terminal 240 may receive a user's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252 switched to the active state.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40 may receive a user voice input such as “open all the right windows of the front seat” through the microphone 252 . In an embodiment, the eleventh UI 640 may correspond to a screen displayed by converting a user's voice input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252 of the user terminal 240 into text. In an embodiment,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may receiv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user's voice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240 , and transmit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o the vehicle driving unit 150 .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receives control comm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voice input of "Open all the right windows of the front seat" from the user terminal 240,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is the vehicle driving unit ( 150), the receive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도 6f를 참조하면, 제12 UI(650)는 차량 구동부(150)에 의해 수행된 제어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240)은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으로부터 차량 구동부(150)의 제어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250)를 통해 상기 제어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2 UI(65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UI(650)는 제어 결과에 대한 메시지(예: "앞 좌석의 오른쪽 창문을 열었습니다.")를 포함하는 팝업 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2 UI(650)는 제어 결과를 나타내는 시각적 객체(65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시각적 객체(652)는 제어가 수행된 차량의 구성 장치를 나타내는 객체일 수 있고, 제어 명령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가 완료된 경우에 시각적 객체(652)는 음영 또는 색깔 등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F , the twelfth UI 650 may include data on a control result performed by the vehicle driving unit 150 . In an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240 receives data on the control result of the vehicle driving unit 150 from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 and includes the data on the control result through the display 250 . A UI 650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the twelfth UI 650 may include a pop-up window including a message about the control result (eg, "The right window of the front seat has been opened."). Also, the twelfth UI 650 may include a visual object 652 representing a control result. At this time, the visual object 652 may be an object representing a component of the vehicle on which the control is performed, and when the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is completed, the visual object 652 may be displayed as a shade or a color. .

일 실시 예에서, 제12 UI(650)에 표시된 사용자 단말(240)의 화면 정보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의 디스플레이 화면(660)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의 디스플레이 화면(660)은 제12 UI(650)에 표시된 화면 정보의 방향이 변경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UI(650)는 세로 모드인 사용자 단말(240)에 적합하도록 제어 결과를 나타내는 시각적 객체(652) 및 제어 결과에 대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팝업 창이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의 제어부(220)는 사용자 단말(240)로부터 수신된 세로 모드인 제12 UI(650)의 화면 정보를 가로 모드의 화면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200)의 디스플레이 화면(660)은 제12 UI(650)에 표시된 화면 정보의 방향이 가로 모드로 변경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제어 결과를 나타내는 시각적 객체(652) 및 제어 결과에 대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팝업 창이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scree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40 displayed on the twelfth UI 65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660 of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 In an embodiment, the display screen 660 of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may display a screen in which the direction of scree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welfth UI 650 is changed. For example, the twelfth UI 650 may be arranged so that a pop-up window including a visual object 652 indicating a control result and a message about the control result is not overlapped so as to be suitable for the user terminal 240 in the portrait mod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20 of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may change the screen information of the twelfth UI 650 in the vertical mod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40 to the screen information in the landscape mode. Accordingly, the display screen 660 of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200 may display a screen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scree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welfth UI 650 is changed to the landscape mode, and a visual object 652 and A pop-up window including a message about the control result may be partially overlapped.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 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 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Various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lso,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Communication media typically include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other data in modulated data signals, such as program modules, or other transport mechanisms, and includes any information delivery media.

또한, 본 개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Also, in the present disclosure, “unit” may be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 processor or circuit, and/or a software component executed by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 processor.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실시 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it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Claims (16)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면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In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t least one of screen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for a vehicle-linked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and a display unit providing at least one of the screen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실행된 상기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UI(user interface)에 대한 정보인,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creen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an execution UI (user interface) of the vehicle-linked application executed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user terminal,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UI는 라디오 어플리케이션, 오디오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어플리케이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통화 어플리케이션, 메세지 어플리케이션 및 제어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xecution UI of the vehicle-linked applic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radio application, an audio application, a video application, a navigation application, a call application, a message application, and a control appl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에 대하여, 차량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배치 순서에 따라 재배열된 화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For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the vehicle-linked application, screen information rearranged according to an arrangement order set based on a frequency of use of a vehicle user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a user's touch input to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and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a user's voice input to the microphone of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 명령 정보를 상기 차량의 구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구동부에 전송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Upon receiving th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o a vehicle driving unit that controls an operation of a component device of the vehicle.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화면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에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동작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receiving, from the user terminal, at least one of screen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for a vehicle-linked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and
and providing at least one of the screen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o the outsid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실행된 상기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UI(user interface)에 대한 정보인,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동작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infotainment system, wherein the screen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an execution UI (user interface) of the vehicle-linked application executed based on a user input to the user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UI는 라디오 어플리케이션, 오디오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어플리케이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통화 어플리케이션, 메세지 어플리케이션 및 제어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동작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ethod of operating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wherein the execution UI of the vehicle-linked applic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radio application, an audio application, a video application, a navigation application, a call application, a message application, and a control applic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에 대하여, 차량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설정된 배치 순서에 따라 재배열된 화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동작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from the user terminal screen information rearranged according to an arrangement order set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vehicle user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the vehicle interworking appli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ing the plurality of objects how it work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마이크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동작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a user's touch input to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and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a user's voice input to the microphone of the user terminal. Wa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어 명령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 명령 정보를 상기 차량의 구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 구동부에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동작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n receiving th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the operation method of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the operation of transmitting th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to a vehicle driving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 device of the vehicle.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연동되도록 설정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정보 및 제어 명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In the user terminal,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 memory for storing a vehicle interworking applic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set to interwork with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nd
A user terminal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screen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 information for the vehicle interworking application to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정보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실행된 상기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UI(user interface)에 대한 정보인, 사용자 단말.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creen information is information about an execution UI (user interface) of the vehicle-linked application executed based on a user input, a user termina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연동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들에 대하여, 차량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기초하여 배치 순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배치 순서에 따라 재배열된 화면 정보를 상기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 unit is
For a plurality of objects included in the vehicle-linked application, a user sets an arrangement order based on the frequency of use of a vehicle user, and transmits screen information rearranged according to the set arrangement order to the vehicle infotainment system terminal.
제13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 및 상기 마이크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4. The method of claim 13,
a display for receiving a user's touch input; and
Further comprising a microphone for receiving the user's voice input,
The control command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a user's touch input to the display and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a user's voice input to the microphone, the user terminal.
KR1020210041426A 2021-03-30 2021-03-30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201355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426A KR20220135571A (en) 2021-03-30 2021-03-30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426A KR20220135571A (en) 2021-03-30 2021-03-30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571A true KR20220135571A (en) 2022-10-07

Family

ID=8359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426A KR20220135571A (en) 2021-03-30 2021-03-30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557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429A1 (en) * 2022-10-14 2024-04-18 (주)펫펄스랩 Method for providing vehicle pet mod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060B1 (en) 2015-02-17 2016-12-14 (주)텔레컨스 Audio video navigation devide in a vehicle, and avn auxilia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060B1 (en) 2015-02-17 2016-12-14 (주)텔레컨스 Audio video navigation devide in a vehicle, and avn auxilia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429A1 (en) * 2022-10-14 2024-04-18 (주)펫펄스랩 Method for providing vehicle pet mo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983B1 (en) Rear combinatio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109933063B (en) Vehicle control device provided in vehicle and vehicle control method
CN109910749B (en) Vehicle control device provided in vehicle and vehicle control method
CN109204325B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CN108216032B (en) Vehicle around-the-eye monitoring device, vehicle operation control device, and vehicle
US10431069B2 (en) Apparatus,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object loss prevention service in vehicle
US10144397B2 (en) Method of providing stopped-vehicle movement mode, driver assistance apparatus providing the same, and vehicle including driver assistance apparatus
CN109849906B (en) Autonomous traveling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534440B2 (en) Vehicle display device and vehicle
US11420552B2 (en) Vehicle light with dual projection film
KR101927170B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ular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nnectivity
US10203766B2 (en)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CN109703363B (en) Display devic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KR20160147557A (en) Automatic park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KR20170054849A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CN110696614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functions via driver HUD and passenger HUD
KR101841501B1 (en) Mobile device for car sharing and method for car sharing system
WO2015115064A1 (en) Vehicle control system, portable terminal, and vehicle-side device
KR20220135571A (en) Vehicle infotain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70041418A (en)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70053880A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CN111295876B (en) Panoramic all-around view image control device and panoramic all-around view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1807788B1 (en)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70028128A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8321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data or signals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