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788B1 -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788B1
KR101807788B1 KR1020170080667A KR20170080667A KR101807788B1 KR 101807788 B1 KR101807788 B1 KR 101807788B1 KR 1020170080667 A KR1020170080667 A KR 1020170080667A KR 20170080667 A KR20170080667 A KR 20170080667A KR 101807788 B1 KR101807788 B1 KR 101807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vehicle
display unit
display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6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76644A (en
Inventor
김운영
류승원
조현진
박준식
이강섭
소윤나
윤소운
장성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0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788B1/en
Publication of KR20170076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6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7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60K3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K2350/3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의 실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근접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적용할 어느 한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은, 운전자 모드 및 동승자 모드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ortion disposed in an interior of a vehicle, a sensing portion detecting an object approaching the display portion, Selecting one display mode to be applied to the display unit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display modes based o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and setting a screen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selected display mode Wherein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includes a driver mode and a passenger mode.

Description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체의 근접에 응답하여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hange a screen configuration in response to proximity of an object.

차량이란, 차륜을 구동시켜 사람이나 화물 등을 어느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운송하는 장치를 말한다. 예컨대, 오토바이와 같은 2륜차, 세단과 같은 4륜차는 물론 기차 등이 차량에 속한다. A vehicle is a device that drives a wheel to transport a person or cargo from one place to another. For example, two-wheeled vehicles such as a motorcycle, a four-wheeled vehicle such as a sedan, as well as a train belong to the vehicle.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안전 및 편의를 증대하기 위해, 각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을 차량에 접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해 개발된 다양한 기능(예, smart cruise control, lane keeping assistance)을 제공하는 시스템이 차량에 탑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조작 없이도, 차량이 스스로 외부 환경을 고려하여, 도로를 주행하는 이른바 자율 주행(autonomous driving)이 가능하게 되었다.In order to increase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users who use the vehicl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for connecting various sensors and electronic devices to the vehicle has been accelerated. In particular, a system that provides various functions (eg, smart cruise control, lane keeping assistance) developed for the user's driving convenience is installed in the vehicle. Thereby, so-called autonomous driving in which the vehicle runs on the road in consideration of the external environment itself becomes possible without the driver's operation.

한편, 차량에는 각종 차량 정보 및 편의 정보를 탑승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운전자와 동승자 중 누구인지를 구별하지 않고, 특정 정보를 일률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의 만족도 및 활용도가 높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Meanwhile, the vehicle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various vehicle information and convenience information to a passenger. However,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displays the specific information uniformly without discriminating between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and thus the user's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are not high.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정의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에 근접하는 물체의 위치, 움직임 또는 개수에 따라, 화면 구성을 변경함으로써, 탑승자의 사용 편의성 및 주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usability and the driving stability of the occupant by changing the screen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ment or number of objects close to the display on which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outpu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실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근접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적용할 어느 한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은, 운전자 모드 및 동승자 모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unit disposed in an interior of a vehicle, a sens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an object approaching the display unit, And a processor for selecting a display mode to be applied to the display unit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display modes and changing a screen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ed display mode, The modes include a driver mode and a passenger mode.

또한, 상기 센싱부는, 적외선 센서, 근접 센서 및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frared sensor, a proximity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물체의 위치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상기 운전자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물체의 위치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동승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Further, the processor may select the driver mod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when the position of the object corresponds to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and the position of the object corresponds to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unit A passenger mod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can be selected.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운전자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1 화면으로 전환하고, 상기 동승자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2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switch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the first screen in the driver mode and switch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the second screen in the passenger mode.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운전자 모드에서, 제1 메뉴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동승자 모드에서, 제2 메뉴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display the first menu list i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in the driver mode and the second menu list in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unit in the passenger mode.

또한, 상기 제2 메뉴 리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 제한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 제한 메뉴는, 상기 운전자 모드에서의 실행이 차단되도록 미리 정해진 기능과 관련된 메뉴일 수 있다.Also, the second menu list may include at least one usage restriction menu, and the use restriction menu may be a menu related to a predetermined function such that execution in the driver mode is blocked.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운전자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동승자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the driver mode, the processor may move at least one of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o a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In the passenger mode, at least one of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may be To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은 공용 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동시에 근접하는 두 물체를 검출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두 물체들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두 물체들 중 다른 하나의 위치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상기 공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may further include a common mode, and the sensing unit may detect two objects simultaneously approaching the display unit, and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osition of any one of the two objects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display unit 1, and if the position of the other of the two objects corresponds to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unit, the common mod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may be selected.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공용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제1 가상 키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제2 가상 키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Also, in the common mode, the processor may display a first virtual keyboard associated with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and display a second virtual keyboard associated with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can b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상기 차량의 운전석에 가깝고, 상기 제2 영역과 겹치는 부분이 없는 영역일 수 있다.The first area may be a region that is closer to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than the second area and does not have a portion overlapping the second area.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소정의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에 근접하는 물체의 위치, 움직임 또는 개수에 따라, 화면 구성을 변경함으로써, 탑승자의 사용 편의성 및 주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ability and the driving safety of the occupant by changing the screen configu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motion, or number of objects close to the display on which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output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에 근접하는 물체의 위치, 움직임 또는 개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추가 표시하거나 또는 특정 정보의 표시를 제한하는 새로운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layout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or change the layout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by selecting a display mod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r to provide a new user interface for restricting the display of specific information.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차량의 예시적인 외관을 보여준다.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복수의 카메라들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들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실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플로우 챠트를 보여준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단일 물체의 근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단일 물체의 근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단일 물체의 근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단일 물체의 근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단일 물체의 근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단일 물체의 근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단일 물체의 근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단일 물체의 근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의 물체들의 근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의 물체들의 근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
FIG. 1A show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shows an exemplary appearance of the vehicle shown in Fig. 1A.
FIG. 1C shows an example of images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shown in FIG. 1B.
2 show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and 3B illustrate an appearance of a display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interi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 flow chart of an exemplary process performed by a display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show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screen configuration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proximity of a single object.
6A to 6C show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a screen configuration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proximity of a single object.
7A to 7C show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screen configuration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proximity of a single object.
8A to 8C show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a screen configuration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proximity of a single object.
9A to 9C show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a screen configuration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proximity of a single object.
10A to 10C illustrate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screen configuration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proximity of a single object.
11A to 11C show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a screen configuration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proximity of a single object.
12A and 12B show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a screen configuration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proximity of a single object.
13 shows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screen configuration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proximity of a plurality of objects.
14A to 14C show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240 according to proximity of a plurality of objec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한다는 것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것은 물론, 제3의 구성요소의 중개를 통해 제어하는 것까지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정보 내지 신호를 "제공"한다는 것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제공하는 것은 물론, 제3의 구성요소의 중개를 통해 제공하는 것까지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controlling" one component is meant to encompass not only one component directly controlling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controlling through mediation of a third component something to do.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any element "providing" information or signals to another element is meant to encompass not only providing the element directly to the other element, but also providing it through intermediation of a third element .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The vehicl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a concept including bot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having an engine as a power source, a hybrid vehicle having an engine and an electric motor as a power source, and an electric vehicle having an electric motor as a power source.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FIG. 1A show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20), 메모리(130), 출력부(140), 차량 구동부(150), 센싱부(160), 제어부(170), 인터페이스부(180) 및 전원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1A, a vehicle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memory 130, an output unit 140, a vehicle driving unit 150, a sensing unit 160, a control unit 170, Unit 180, and a power source unit 190. [

통신부(110)는 차량(100)과 외부 기기(예, 휴대 단말, 외부 서버, 타차량)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차량(100)을 하나 이상의 망(network)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100 and an external device (e.g., portable terminal, external server, other vehicl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connect the vehicle 100 to one or more networks.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무선 인터넷 모듈(112), 근거리 통신 모듈(113), 위치 정보 모듈(114) 및 광통신 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2, a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113,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4, and an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115.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은 라디오 방송 또는 TV 방송을 포함한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Here, the broadcast includes a radio broadcast or a TV broadcast.

무선 인터넷 모듈(1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차량(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2)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2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 in or externally mounted on the vehicle 100.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2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2)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면, 무선 인터넷 모듈(112)은 외부 서버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2)은 외부 서버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for example,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 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DLNA, WiBro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and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112 transmit and receive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For example,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2 may exchange data wirelessly with an external server.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2 can receive weather information and road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PEG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from an external server.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3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Bluetooth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y.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10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탑승자의 휴대 단말과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휴대 단말이나 외부 서버로부터 날씨 정보,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차량(100)에 탑승한 경우, 사용자의 휴대 단말과 차량(100)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해, 서로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3 may 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to perform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100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3 can wirelessly exchange data with the occupant's portable terminal.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3 can receive weather information and road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PEG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from a portable terminal or an external server. For example, when the user aboard the vehicle 100, the user's portable terminal and the vehicle 100 can perform pairing with each other automatically or by execution of the user's application.

위치 정보 모듈(114)은 차량(1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이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은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114 is a module for acquir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100,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For example, when the vehicle utilizes a GPS module, it can acquire the position of the vehicle using a signal sent from the GPS satellite.

광통신 모듈(115)은 광발신부 및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115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광수신부는 광(light)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광수신부는 광을 수신하기 위한 포토 다이오드(PD, Photo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포토 다이오드는 빛을 전기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수신부는 전방 차량에 포함된 광원에서 방출되는 광을 통해, 전방 차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light receiving section can convert the light signal into an electric signal and receive the information. The light receiving unit may include a photodiode (PD) for receiving light. Photodiodes can convert light into electrical signals. For example, the light receiving section can receive information of the front vehicle through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ncluded in the front vehicle.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기 위한 발광 소자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발신부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한다. 예를 들면, 광 발신부는 소정 주파수에 대응하는 발광소자의 점멸을 통해, 광신호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복수의 발광 소자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100)에 구비된 램프와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발신부는 전조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 지시등 및 차폭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통신 모듈(115)은 광 통신을 통해 타차량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for converting an electric signal into an optical signal. Here, the light emitting element is preferably an LED (Light Emitting Diode). The optical transmitter converts the electrical signal into an optica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optical transmitter can emit the optical signal to the outside through the blinking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frequen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element array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portion can be integrated with the lamp provided in the vehicle 100. [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portion may be at least one of a headlight, a tail light, a brake light, a turn signal lamp, and a car light. For example, the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115 can exchange data with other vehicles through optical communication.

입력부(120)는 운전 조작 수단(121), 마이크로 폰(123) 및 사용자 입력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driving operation unit 121, a microphone 123, and a user input unit 124.

운전 조작 수단(121)은 차량(100)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운전 조작 수단(121)은 조향 입력 수단(121a), 쉬프트 입력 수단(121b), 가속 입력 수단(121c), 브레이크 입력 수단(121d)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operation means 121 receives a user input for driving the vehicle 100. The driving operation means 121 may include a steering input means 121a, a shift input means 121b, an acceleration input means 121c and a brake input means 121d.

조향 입력 수단(121a)은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한다. 조향 입력 수단(121a)은 스티어링 휠을 포함할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수단(121a)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teering input means 121a receives a forward direction input of the vehicle 100 from the user. The steering input means 121a may include a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teering input means 121a may be formed of a touch screen, a touch pad, or a button.

쉬프트 입력 수단(121b)은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주차(P), 전진(D), 중립(N), 후진(R)의 입력을 수신한다. 쉬프트 입력 수단(121b)은 레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쉬프트 입력 수단(121b)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shift input means 121b receives inputs of parking (P), forward (D), neutral (N), and reverse (R) of the vehicle 100 from the user. The shift input means 121b is preferably formed in a lever sh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hift input means 121b may be formed of a touch screen, a touch pad, or a button.

가속 입력 수단(121c)은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브레이크 입력 수단(121d)은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한다. 가속 입력 수단(121c) 및 브레이크 입력 수단(121d)은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수단(121c) 또는 브레이크 입력 수단(121d)은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acceleration input means 121c receives an input for acceleration of the vehicle 100 from the user. The brake input means 121d receives an input for decelerating the vehicle 100 from the user. The acceleration input means 121c and the brake input means 121d are preferably formed in the form of a ped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cceleration input means 121c or the brake input means 121d may be formed of a touch screen, a touch pad, or a button.

카메라(122)는 차량(100)의 실내 일측에 배치되어, 차량(100)의 실내 영상을 생성한다. 예컨대, 카메라(122)는 대쉬보드 표면, 루프 표면, 리어 뷰 미러 등 차량(100)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어, 차량(100)의 탑승자를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122)는 차량(100)의 운전석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실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2)는 차량(100)의 운전석 및 보조석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실내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122)에 의해 생성되는 실내 영상은 2차원 영상 및/또는 3차원 영상일 수 있다. 3차원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카메라(122)는 스테레오 카메라, 깊이 카메라 및 3차원 레이저 스캐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22)는 자신이 생성한 실내 영상을, 이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제어부(17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camera 122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100 to generate an indoor image of the vehicle 100. [ For example, the camera 122 may be dispos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vehicle 100, such as a dashboard surface, a roof surface, a rear view mirror, etc., to photograph the passenger of the vehicle 100. In this case, the camera 122 may generate an indoor image of an area including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100. [ In addition, the camera 122 may generate an indoor image of an area including an operator's seat and an assistant seat of the vehicle 100. [ The indoor image generated by the camera 122 may be a two-dimensional image and / or a three-dimensional image. To generate a three-dimensional image, the camera 122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tereo camera, a depth camera, and a three-dimensional laser scanner. The camera 122 can provide the indoor image generated by the camera 122 to the control unit 170 functionally combined with the indoor image.

제어부(170)는 카메라(122)로부터 제공되는 실내 영상을 분석하여, 각종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실내 영상 중 운전석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운전자의 시선 및/또는 제스처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실내 영상 중 운전석 영역을 제외한 실내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동승자의 시선 및/또는 제스처를 검출할 수 있다. 물론, 운전자와 동승자의 시선 및/또는 제스처는 동시에 검출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70 analyzes the indoor image provided from the camera 122 and can detect various object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can detect the sight line and / or the gesture of the driver from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er's seat area in the indoor image.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70 can detect the sight line and / or the gesture of the passenger from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door area excluding the driver's seat area in the indoor image. Of course, the sight line and / or the gesture of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may be detected at the same time.

마이크로 폰(123)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데이터는 차량(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3)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전기적인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인 데이터는 제어부(170)에 전달될 수 있다. The microphone 123 can process an external acoustic signal into electrical data. The processed data can be utilized variously according to functions performed in the vehicle 100. The microphone 123 can convert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into electrical data. The converted electrical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70.

한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122) 또는 마이크로폰(123)는 입력부(12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가 아닌, 센싱부(16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The camera 122 or the microphone 123 may be a component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60 and not a component included in the input unit 120. [

사용자 입력부(124)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124)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차량(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4)는 터치식 입력수단 또는 기계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124)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스티어링 휠을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사용자 입력부(124)를 조작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24 i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Whe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24,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0 to correspond to the input information. The user input unit 124 may include a touch input means or a mechanical inpu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input 124 may be located in one area of the steering wheel. In this case, the driver can operate the user input unit 124 with his / her finger while holding the steering wheel.

입력부(120)는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 또는 터치 센서를 통해, 다양한 입력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uttons or a touch sensor.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various input operations through a plurality of buttons or touch sensors.

센싱부(160)는 차량(100)의 주행 등과 관련한 신호를 센싱한다. 이를 위해, 센싱부(160)는 충돌 센서, 스티어링 센서(steering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더, 라이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60 senses a signal related to the running of the vehicle 100 or the like. To this end, the sensing unit 160 may include a sensor, a steering sensor, a speed sensor, a tilt sensor, a weight sensor, a heading sensor, a yaw sensor, a gyro sensor, Position sensor, vehicle forward / backward sensor, battery sensor, fuel sensor, tire sensor, steering sensor by steering wheel rotation, vehicle internal temperature sensor, internal humidity sensor, ultrasonic sensor, infrared sensor, radar, . ≪ / RTI >

이에 의해, 센싱부(160)는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차량(100)에 구비된 카메라,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더 및 라이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획득된 외부 환경 정보를 기초로, 차량(100)의 가속, 감속, 방향 전환 등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환경 정보란, 주행 중인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하는 각종 오브젝트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환경 정보에는, 차량(100)으로부터 100m 내의 거리에 위치하는 장애물의 수, 장애물까지의 거리, 장애물의 크기, 장애물의 유형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nsing unit 160 can sense the vehicle collision information, the vehicle direction information, the vehicle posi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the vehicle angle information,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the vehicle acceleration information, the vehicle tilt information, Fuel information, tire information, vehicle lamp information,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information, vehicle interior humidity information, steering wheel rotation angle,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of the vehicle 100 bas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obtained by at least one of the camera, the ultrasonic sensor, the infrared sensor, the radar, A control signal for changing direction, etc. can be generated. Here,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various object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hicle 100 in motion. For example, the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obstacles located within a distance of 100 m from the vehicle 100, a distance to the obstacle, a size of the obstacle, a type of the obstacle, and the like.

한편, 센싱부(16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60 may further include an accelerator pedal sensor, a pressure sensor, an engine speed sensor, an air flow sensor AFS, an intake air temperature sensor ATS, a water temperature sensor WTS, A sensor (TPS), a TDC sensor, a crank angle sensor (CAS), and the like.

센싱부(160)는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감지하여 획득한다. 생체 인식 정보는 지문 인식(Fingerprint) 정보, 홍채 인식(Iris-scan) 정보, 망막 인식(Retina-scan) 정보, 손모양(Hand geo-metry) 정보, 안면 인식(Facial recognition) 정보,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탑승자의 생체 인식 정보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122) 및 마이크로 폰(123)이 센서로 동작할 수 있다. 생체 인식 정보 감지부는 카메라(122)를 통해, 손모양 정보, 안면 인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160 may include a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senses and acquires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passenger.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include fingerprint information, iris-scan information, retina-scan information, hand geo-metry information, facial recognition information, Voice recognition information.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may include a sensor that senses the passenger's biometric information. Here, the camera 122 and the microphone 123 can operate as sensors.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can acquire hand shape information and facial recogn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camera 122. [

센싱부(160)는 차량(100)의 외부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161)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61)는 외부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60)는 차량 외관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카메라(16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161)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61)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60 may include at least one camera 161 for photographing the outside of the vehicle 100. [ The camera 161 may be referred to as an external camera.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meras 161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vehicle exterior. The camera 161 may include an image sensor and an image processing module. The camera 161 can proces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e.g., CMOS or CCD). The image processing module may process the still image or the moving image obtained through the image sensor, extract necessary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extrac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70.

카메라(161)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61)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61)는 신호등, 교통 표지판, 보행자, 타차량 및 노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 camera 161 may include an image sensor (e.g., CMOS or CCD) and an image processing module. In addition, the camera 161 can proces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The image processing module can process the still image or moving image obtained through the image sensor. In addition, the camera 161 may acquire an imag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traffic light, a traffic sign, a pedestrian, another vehicle, and a road surface.

출력부(14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41), 음향 출력부(142) 및 햅틱 출력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4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41, an acoustic output unit 142, and a haptic output unit 143 for outputting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디스플레이부(141)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41)는 차량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관련 정보는, 차량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위한 차량 제어 정보,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운전 가이드를 위한 차량 운전 보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관련 정보는, 현재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는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의 운행과 관련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41 may display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70. [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41 can display vehicle-related information. Here,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vehicle control information for direct control of the vehicle, or vehicle driving assistance information for a driving guide to the vehicle driver. Further,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vehicle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or vehicle dr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디스플레이부(14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4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 3D display, and an e-ink display.

디스플레이부(14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4)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경우, 디스플레이부(14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4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4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7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The display unit 141 may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sensor or may be integrally formed to realize a touch screen. Such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124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vehicle 100 and a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vehicle 100 and a user.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41 may include a touch sensor that senses a touch with respect to the display unit 141 so as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by a touch method. When a touch is made to the display unit 141, the touch sensor senses the touch, and the control unit 170 generates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touch based on the touch. The content input by the touch method may be a letter or a number, an instruction in various modes, a menu item which can be designated, and the like.

한편, 디스플레이부(141)는 운전자가 운전을 함과 동시에 차량 상태 정보 또는 차량 운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cluster)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는 대시보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이경우, 운전자는 시선을 차량 전방에 유지한채로 클러스터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141 may include a cluster so that the driver can check the vehicle state information or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while driving. Clusters can be located on the dashboard. In this case, the driver can confirm the information displayed in the cluster while keeping the gaze ahead of the vehicle.

한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윈드 쉴드에 구비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4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41 may be implemented as a Head Up Display (HUD). When the display unit 141 is implemented as a HUD, information can be output through a transparent display provided in the windshield. Alternatively, the display unit 141 may include a projection module to output information through an image projected on the windshield.

음향 출력부(142)는 제어부(1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142)는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42)는, 사용자 입력부(124) 동작에 대응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ound output unit 142 converts an electric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0 into an audio signal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For this purpose, the sound output unit 142 may include a speaker or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ound output unit 142 outputs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124. [

햅틱 출력부(14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14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The haptic output unit 143 generates a tactile output. For example, the haptic output section 143 may vibrate the steering wheel, the seat belt, and the seat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to recognize the output.

차량 구동부(150)는 차량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부(150)는 동력원 구동부(151), 조향 구동부(152), 브레이크 구동부(153), 램프 구동부(154), 공조 구동부(155), 윈도우 구동부(156), 에어백 구동부(157), 썬루프 구동부(158) 및 와이퍼 구동부(15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driving unit 15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various devices of the vehicle. The vehicle driving unit 150 includes a power source driving unit 151, a steering driving unit 152, a brake driving unit 153, a lamp driving unit 154, an air conditioning driving unit 155, a window driving unit 156, an airbag driving unit 157, A driving unit 158, and a wiper driving unit 159. [0035]

동력원 구동부(151)는 차량(100) 내의 동력원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151)는 차량(100)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가속 장치 및 차량(100)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감속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ource drive unit 151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the power source in the vehicle 100. [ The power source drive unit 151 may include an accelerator for increasing the speed of the vehicle 100 and a decelerator for decreasing the speed of the vehicle 100. [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미도시)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151)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151)가 엔진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제한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ossil fuel-based engine (not shown) is a power source, the power source drive unit 151 can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the engine. Thus, the output torque of the engine and the like can be controlled. When the power source drive unit 151 is an engine, the speed of the vehicle can be limited by limiting the engine output torqu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70. [

다른 예로, 전기 기반의 모터(미도시)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151)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when the electric motor (not shown) is a power source, the power source drive unit 151 can perform control on the motor. Thus, the rotation speed, torque, etc. of the motor can be controlled.

조향 구동부(152)는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조향 구동부(152)는 차량(10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향 구동부(152)에는 조향토크센서, 조향각센서 및 조향모터가 구비될 수 있고,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에 가하는 조향토크는 조향토크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조향 구동부(152)는 차량(100)의 속도 및 조향토크 등을 기초로, 조향모터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조향력과 조향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향 구동부(152)는 조향각센서에 의해 획득된 조향각 정보를 기초로, 차량(100)의 주행방향이 제대로 조절되고 있는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의 주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조향 구동부(152)는 차량(100)이 저속 주행 시에는 조향모터의 조향력을 증가시켜 스티어링 휠의 무게감을 낮추고, 차량(100)이 고속 주행 시에는 조향모터의 조향력을 감소시켜 스티어링 휠의 무게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차량(100)의 자율 주행 기능이 실행된 경우, 조향 구동부(152)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는 상황(예, 조향토크가 감지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센싱부(160)가 출력하는 센싱 신호 또는 제어부(170)가 제공하는 제어신호 등을 기초로, 조향모터가 적절한 조향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steering driver 152 may include a steering apparatus. Accordingly, the steering driver 152 can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the steering apparatus in the vehicle 100. [ For example, the steering driver 152 may be provided with a steering torque sensor, a steering angle sensor, and a steering motor, and the steering torque applied by the driver to the steering wheel may be sensed by the steering torque sensor. The steering driver 152 can control the steering force and the steering angle by changing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steering motor based on the speed of the vehicle 100 and the steering torque. In addition, the steering driver 152 can determine whether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00 is properly adjusted based on the steering angl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steering angle sensor. Thereby,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vehicle can be changed.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100 is running at a low speed, the steering driver 152 lowers the weight of the steering wheel by increasing the steering force of the steering motor and reduces the steering force of the steering motor when the vehicle 100 is traveling at high speed, The weight can be increased. When the autonomous vehicle running function of the vehicle 100 is executed, the steering driver 152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teering wheel 160 is in a state where the driver operates the steering wheel (e.g., a situation in which the steering torque is not detected)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steering motor to generate appropriate steering force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r the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170. [

브레이크 구동부(153)는 차량(1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에 각각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달리하여,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정할 수 있다. The brake driver 153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a brake apparatus (not shown) in the vehicle 100. [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peed of the vehicle 10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rakes disposed on the wheels. 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00 to the left or right by differently operating the brakes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left wheel and the right wheel.

램프 구동부(154)는 차량 내, 외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의 턴 온/턴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154)는 조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램프 구동부(154)는 조명 장치에 포함된 램프 각각이 출력하는 빛의 세기,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향 지시 램프, 헤드램프, 브레이크 램프 등의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lamp driving unit 154 may control the turn-on / turn-off of at least one or more lamps disposed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The lamp driver 154 may include a lighting device. Further, the lamp driving unit 154 can control intensity, direction, etc. of light output from each of the lamps included in the lighting apparatu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erform control for a direction indicating lamp, a head lamp, a brake lamp, and the like.

공조 구동부(155)는 차량(100)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ing driving unit 155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n an air conditioner (not shown) in the vehicle 100.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is high, the air conditioner can be operated to control the cool air to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윈도우 구동부(156)는 차량(100) 내의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측면의 좌,우 윈도우들에 대한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The window driving unit 156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a window apparatus in the vehicle 100. [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side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windows.

에어백 구동부(157)는 차량(100)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험시, 에어백이 터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airbag drive 157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the airbag apparatus in the vehicle 100. [ For example, in case of danger, the airbag can be controlled to fire.

썬루프 구동부(158)는 차량(100) 내의 썬루프 장치(sunroof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썬루프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The sunroof driving unit 158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a sunroof apparatus (not shown) in the vehicle 100. [ For example,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sunroof can be controlled.

와이퍼 구동부(159)는 차량(100)에 구비된 와이퍼(14a, 14b)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퍼 구동부(159)는 사용자 입력부(124)를 통해 와이퍼를 구동할 것을 명령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 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와이퍼(14a, 14b)의 구동 횟수, 구동 속도 등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와이퍼 구동부(159)는 센싱부(160)에 포함된 레인센서(rain sensor)의 센싱 신호를 기초로, 빗물의 양 또는 세기를 판단하여, 사용자 입력없이도 와이퍼(14a, 14b)를 자동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The wiper driving unit 159 may control the wipers 14a and 14b provided on the vehicle 100. [ For example, the wiper drive 159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n electronic control for the number of drives, drive speeds, etc. of the wipers 14a, 14b in response to user input upon receipt of a user input instructing to drive the wiper through the user input 124 Can be performed. The wiper drive unit 159 may determine the amount or intensity of the rainwater based on the sensing signal of the rain sensor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60 so that the wipers 14a and 14b may be used without user input, Can be automatically driven.

한편, 차량 구동부(150)는 서스펜션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는 차량(100)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미도시)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10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vehicle driving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a suspension driving unit (not shown). The suspension driving unit may perform electronic control of a suspension apparatus (not shown) in the vehicle 100. For example, when there is a curvature on the road surfac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uspension device so as to reduce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100. [

메모리(13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7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9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제어부(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70. The memory 170 may store basic data for the unit, control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it, and input / output data. The memory 190 may be, in hardware, various storage devices such as ROM, RAM, EPROM, flash drive, hard drive, and the like. The memory 130 may store various data for operation of the vehicle 100, such as a program for processing or controlling the controller 170. [

인터페이스부(180)는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80)는 휴대 단말과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휴대 단말과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180)는 휴대 단말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80 may serve as a path to various kind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vehicle 100.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180 may include a port connectable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may b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port. In this case, the interface unit 180 can exchange data with the portable terminal.

인터페이스부(180)는 턴 시그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턴 시그널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위한 방향 지시등의 턴 온(turn on) 시그널일 수 있다. 차량의 사용자 입력부(도 6의 724)를 통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지시등 턴 온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18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턴 시그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80 may receive the turn signal information. Here, the turn signal information may be a turn-on signal of the turn signal lamp for the left turn or the turn right turn inputted by the user. When the left or right turn signal turn-on input is received through the user input portion (724 in Fig. 6) of the vehicle, the interface portion 180 can receive left turn signal information or right turn signal information.

인터페이스부(180)는 차량 속도 정보, 스티어링 휠의 회전 각도 정보 또는 기어 쉬프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80)는 차량의 센싱부(160)를 통해 센싱된 차량 속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정보, 또는 기어 쉬프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인터페이스부(180)는 차량의 제어부(170)로부터 차량 속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정보 또는 기어 쉬프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기어 쉬프트 정보는, 차량의 변속 레버가 어느 상태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어 쉬프트 정보는 변속 레버가 주차(P), 후진(R), 중립(N), 주행(D), 1 내지 다단 기어 상태 중 어느 하나 중 어느 상태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80 may receive vehicle speed information, rotation angle information of the steering wheel, or gear shift information. The interface unit 180 may receive the sensed vehicle speed information, the steering wheel rotation angle information, or the gear shift information through the sensing unit 160 of the vehicle. Alternatively, the interface unit 180 may receive the vehicle speed information, the steering wheel rotation angle information, or the gear shift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170 of the vehicle. Here, the gear shif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which state the shift lever of the vehicle is in. For example, the gear shift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on which state the shift lever is in the parking (P), reverse (R), neutral (N), running (D) .

인터페이스부(180)는 차량(100)의 사용자 입력부(124)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80)는 사용자 입력을 차량(100)의 입력부(120)로부터 수신하거나, 제어부(170)를 거쳐 수신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80 may receive user input received via the user input 124 of the vehicle 100. [ The interface unit 180 may receive the user input from the input unit 120 of the vehicle 100 or may receive the user input through the control unit 170. [

인터페이스부(180)는 외부 기기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의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신호등 변경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180)는 상기 신호등 변경 정보를 제어부(17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80 can receive information obtained from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when the traffic light chang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vehicle 100, the interface unit 180 can receive the traffic light change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170. [

제어부(170)는, 차량(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unit in the vehicle 100. [ The control unit 170 may be referred to as an ECU (Electronic Control Unit).

제어부(170)는 하드웨어적으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부(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제어부(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전원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부(17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미도시)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can supply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0. [ In particular, the power supply unit 170 can receive power from a battery (not shown) or the like inside the vehicle.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400)는 제어부(17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AVN 장치 또는 별도의 내비게이션 장치(미도시)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 차량 주행과 관련한, 맵(map) 정보 또는 차량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VN (Audio Video Navigation) device 400 can exchange data with the control unit 170. [ The control unit 170 may receive navigation information from the AVN apparatus or a separate navigation apparatus (not shown). Here, the navig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set destination information, rou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stination, map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driving, or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한편,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차량(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차량(100)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차량(100)은 후술할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A may not be essential for realizing the vehicle 100. FIG. Thus, the vehicle 100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For example, the vehicle 10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device 200 to be described later.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차량(100)의 예시적인 외관을 보여준다.FIG. 1B shows an exemplary appearance of the vehicle 100 shown in FIG. 1A.

도 1b를 참조하면, 차량(100) 외관의 서로 다른 위치에는 4개의 카메라들(161a, 161b, 161c, 161d)이 장착될 수 있다. 4개의 카메라들(161a, 161b, 161c, 161d) 각각은 전술한 카메라(161)와 동일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들(161a, 161b, 161c, 161d)는 각각 차량(100)의 전방, 좌측, 우측 및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들(161a, 161b, 161c, 161d)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161)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B, four cameras 161a, 161b, 161c, and 161d may be mounted at different positions of the vehicle 100 exterior. Each of the four cameras 161a, 161b, 161c, and 161d may be the same as the camera 161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cameras 161a, 161b, 161c, and 161d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left, right, and rear of the vehicle 100, respectively. Each of the plurality of cameras 161a, 161b, 161c, and 161d may be included in the camera 161 shown in FIG.

전방 카메라(161a)는 윈드 쉴드 부근, 앰블럼 부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The front camera 161a may be disposed near the windshield, near the ambulance, or near the radiator grill.

좌측 카메라(161b)는 좌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좌측 카메라(161b)는 좌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좌측 카메라(161b)는 좌측 프런트 도어, 좌측 리어 도어 또는 좌측 휀더(fender)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The left camera 161b may be disposed in a case surrounding the left side mirror. Alternatively, the left camera 161b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ase surrounding the left side mirror. Alternatively, the left camera 161b may be disposed in one area outside the left front door, the left rear door, or the left fender.

우측 카메라(161c)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우측 카메라(161c)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우측 카메라(161c)는 우측 프런트 도어, 우측 리어 도어 또는 우측 펜더(fender) 외측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The right camera 161c may be disposed in a case surrounding the right side mirror. Or the right camera 161c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ase surrounding the right side mirror. Alternatively, the right camera 161c may be disposed in one area outside the right front door, the right rear door, or the right fender.

한편, 후방 카메라(161d)는 후방 번호판 또는 트렁크 스위치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camera 161d may be disposed in the vicinity of a rear license plate or a trunk switch.

복수의 카메라(161a, 161b, 161c, 161d)에서 촬영된 각각의 이미지는 제어부(170)에 전달되고, 제어부(170)는 각각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차량의 방향별 외부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카메라(161a, 161b, 161c, 161d)에서 촬영된 각각의 이미지는 후술할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프로세서(270)에 전달되고, 프로세서(270)는 각각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차량의 방향별 외부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The respective images photograph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161a, 161b, 161c, and 161d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70, and the control unit 170 may synthesize the respective images to generate an external image for each direction of the vehicle . Alternatively, each image photograph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161a, 161b, 161c and 161d is transmitted to a processor 270 of a display device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processor 270 synthesizes the respective images, To generate an external image for each direction.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복수의 카메라들(161a, 161b, 161c, 161d)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들의 일 예를 보여준다. FIG. 1C shows an example of images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cameras 161a, 161b, 161c, and 161d shown in FIG. 1B.

도 1c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합성 영상(400)을 생성할 수 있다. 합성 영상(400)은 전방 카메라(161a)에 의해 촬영된 외부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이미지 영역(401), 좌측 카메라(161b)에 의해 촬영된 외부 영상에 대응하는 제2 이미지 영역(402), 우측 카메라(161c)에 의해 촬영된 외부 영상에 대응하는 제3 이미지 영역(403) 및 후방 카메라(161d)에 의해 촬영된 외부 영상에 대응하는 제4 이미지 영역(404)을 포함할 수 있다. 합성 영상(400)은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AVM, Around View Monitoring) 영상으로 명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C, the vehicle 100 may generate a composite image 400. FIG. The composite image 400 includes a first image area 401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image photographed by the front camera 161a, a second image area 402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image photographed by the left camera 161b, A third image region 403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image photographed by the right camera 161c and a fourth image region 404 corresponding to an external image photographed by the rear camera 161d. The composite image 400 may be named an Around View Monitoring (AVM) image.

합성 영상(400) 생성 시, 합성 영상(400)에 포함된 어느 두 외부 영상 간에는 경계선(411, 412, 413, 414)이 발생한다. 차량(100)은 경계선(411, 412, 413, 414)을 이미지 블렌딩(blending) 처리하여 자연스럽게 표시될 수 있다.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composite image 400, the boundary lines 411, 412, 413, and 414 are generated between any two external images included in the composite image 400. The vehicle 100 can be naturally displayed by image blending processing the boundary lines 411, 412, 413, and 414.

또한, 합성 영상(400)의 중앙에는 차량(100)을 가리키는 것으로 기 설정된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합성 영상(400)은 차량(100)의 실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200) 상에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image may be included in the center of the composite image 400 to indicate the vehicle 100. In addition, the composite image 40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00 mount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100.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2 shows a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차량(100) 실내에 고정형 또는 분리형으로 장착될 수 있다. 고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차량(100)의 데쉬 보드(Dash Board) 내에 할당된 일정 공간(예컨대, 센터페시아)에 결합 고정되는 형태일 수 있다. 분리형의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차량(100)의 데쉬 보드 위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거치되어, 경우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차량(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isplay device 200 may be fixedly or detachably mounted in the vehicle 100. FIG. The fixed display device 200 may be fixedly coupled to a predetermined space (e.g., center fascia) allocated in a dashboard of the vehicle 100. [ The removable display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mountable o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100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vehicle 100 by the user as the case may be.

본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예컨대, 차량(100) 내에서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와 같이 정보 처리 및 표시가 가능한 모든 타입의 장치를 포괄하는 용어일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term including, for example, all types of devices capable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display, such as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a navigation function in the vehicle 100 .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부(110), 입력부(220), 메모리(220), 디스플레이부(240), 인터페이스부(250), 센싱부(260), 프로세서(270) 및 전원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4, the display device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220, a memory 220, a display unit 240, an interface unit 250, a sensing unit 260, a processor 270 And a power supply unit 280. [

통신부(110)는 차량(100)을 비롯한 외부 기기(예, 이동 단말기, 외부 서버, 차량(100))과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차량(100)을 하나 이상의 망(network)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10)는 차량(100) 실내의 이동 단말기(예, 스마트폰)와 블루투스, WiFi 등의 다양한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무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e.g., mobile terminal, external server, vehicle 100) including the vehicle 100. [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connect the vehicle 100 to one or more networks.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form a wireless link with a mobile terminal (e.g., a smart phone) in the vehicle 100 by various data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Bluetooth and WiFi.

또한, 통신부(110)는 TPEG 포맷 등의 교통정보, 지상파,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T, DVB-H) 등 각종 규격에 따른 비디오와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부(110)에 의해 수신되는 교통정보에는 차선 정보, 주행 제한 속도 정보, 턴바이턴 정보, 교통 안전 정보, 교통 안내 정보, 길 찾기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types of video data such as traffic information such as TPEG format, terrestrial wave, 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T, DVB- Audio data can be received. For example, the traffic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lane information, traveling speed limit information, turn-by-turn information, traffic safety information, traffic guidance information, and route information.

또한, 통신부(110)는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기초로, 차량(100)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GPS 신호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서 제안한 무선 LAN 및 일부 적외선 통신 등을 포함하는 무선 LAN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의 표준 규격인 802.11과, 블루투스, UWB, 지그비 등을 포함하는 무선 PAN(Personal Area Network)에 대한 표준 규격인 802.15과, 도시 광대역 네트워크(Fixed Wireless Access : FWA) 등을 포함하는 무선 MAN(Metropolitan Area Network)(Broadband Wireless Access : BWA)에 대한 표준 규격인 802.16과,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등을 포함하는 무선MAN(MBWA : Mobile Broadband Wireless Access)에 대한 모바일 인터넷에 대한 표준 규격인 802.20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수신되는 것일 수 있다.Further, 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generate position data of the vehicle 100 based on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ignal received from the satellite. For example, the GPS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a wireless network including 802.11, which is a standard of a wireless network for a wireless LAN including a wireless LAN and some infrared communication proposed by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and a wireless including a Bluetooth, UWB, 802.16, which is a standard for a wireless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BWA) including 802.15, which is a standard for PAN (Personal Area Network), and a city wideband network (FWA) (802.20), which is a standard for the mobile Internet for a Mobile Broadband Wireless Access (MBWA) including a WiBro, a WiMAX, and the like.

또한,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핸즈프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차량(100) 외부의 상대방과 전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hands-free module that operates based on a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Bluetooth. Further, 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perform telephone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outside the vehicle 100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거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220)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조그셔틀, 버튼, 마이크 등 다양한 유형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220 may selec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functions executable by the display device 200 from a user or input information. The input unit 22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a touch screen, a jog shuttle, a button, and a microphone.

메모리(220)는 지도 데이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디스플레이 장치(2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220 may store map data and data and programs necessary for the display device 200 to operate. In hardware, it may be various storage devices such as ROM, RAM, EPROM, flash drive, hard drive, and the like. The memory 220 may store various data for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such as a program for processing or controlling the processor 270.

메모리(22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는 도분초 단위(DMS 단위 : Degree/Minute/Second)로 위도 및 경도를 표시하는 지리 좌표(Geographic Coordinate 또는, 경위도 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도 데이터는 전술한 지리 좌표 이외에도 UTM(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좌표, UPS(Universal Polar System) 좌표, TM(Transverse Mercator) 좌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map data stored in the memory 220 may include geographic coordinates (geographic coordinates or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indicating latitude and longitude in units of minutes (DMS unit: Degree / Minute / Second). At this time, in addition to the above geographical coordinates, UTM (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coordinates, UPS (Universal Polar System) coordinates, TM (Transverse Mercator) coordinates, and the like may be used as the map data.

또한, 메모리(220)는 각종 메뉴 화면, 관심 지점(POI: Point Of Interest, 이하 'POI' 라 한다), 지도 데이터의 위치별 특징 정보(예, 교차로, 차선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20)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 차량(100) 정보 등과 연관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220)는 입력부(2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저장한다. The memory 220 may store various menu screens, point of interest (POI), and feature information (e.g., intersections, car players) for each location of the map data. The memory 220 also stores user interfaces associated with various user inputs, vehicle 100 information, and the like. Also, the memory 220 stores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220.

디스플레이부(240)는 프로세서(270)에 의해 처리되는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40 can visually output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processor 270. The display unit 24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 3D display, and an e-ink display.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4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240)는 터치 센서와 상하로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40 may include a touch sensor.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240 may be vertically coupled with the touch sensor to implement a touch screen.

디스플레이부(24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화면과 길 안내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지도 데이터나 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메뉴 리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40 may display various contents such as various screens and route guidance information by using the user interface stored in the memory 220. Here,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may include various text or image data (including map data and various information data), an icon, a menu list, and the like.

인터페이스부(250)는 차량(100) 관련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프로세서(270)에 의해 처리 또는 생성되는 신호를 외부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인터페이스부(25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차량(100)의 센싱부(160), 제어부(17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250 may receive the data related to the vehicle 100 or may provide the signal processed or generated by the processor 270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250 can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ensing unit 160, the control unit 170, and the like of the vehicle 100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센싱부(26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근접하는 임의의 물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물체의 위치 또는 움직임(예, 이동 방향, 이동 속도, 이동 거리, 디스플레이부(240)와의 간격)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센싱 정보를 프로세서(270)에 제공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260 detects an object proximate to the display unit 240 and detects th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detected object in response to the position or motion of the detected object (e.g., moving direction, moving speed, moving distance, And provide the generated sensing information to the processor 270. [0050] FIG.

이러한 센싱부(260)는 적외선 센서(261), 근접 센서(262) 및 조도 센서(263) 중 적어도 한가지 타입의 센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센서(261)는 디스플레이부(240)에 근접하는 물체에 대한 적외선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26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sensors of at least one of an infrared sensor 261, a proximity sensor 262, and an illuminance sensor 263. Specifically, the infrared sensor 261 may generate an infrared image of an object in proximity to the display unit 240.

적외선 센서(261)는 스스로 적외선을 복사하여 빛의 차단 여부에 따른 변화를 감지하는 능동식 기반으로 동작하거나, 스스로 적외선을 복사하지 않고 외부의 적외선 변화만을 감지하는 수동식 기반으로 동직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70)는 적외선 센서(261)로부터 제공되는 적외선 영상을 기초로, 적외선 센서(261)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가 운전자인지 동승자인지 판단할 수 있다. The infrared sensor 261 may be operated on an active basis for copying infrared rays by itself to detect a change according to whether the light is intercepted or may be operated on a manual basis for detecting external infrared rays change only without copying the infrared rays themselves.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or 270 can determine whether the user detected by the infrared sensor 261 is a driver or a passenger based on the infrared image provided from the infrared sensor 261.

가령,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차량(100) 실내의 좌측에 장착된 운전석과 우측에 장착된 보조석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220)에는 왼손 형상에 대응하는 템플릿 및 오른손 형상에 대응하는 템플릿이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270)는 적외선 영상에 나타나는 손 모양을 메모리(220)에 저장된 템플릿 등과 비교하여, 적외선 영상에 나타나는 손 모양을 왼손 형상 및 오른속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적외선 영상에 나타나는 손 모양이 왼손 형상에 매칭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적외선 센서(261)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가 동승자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적외선 영상에 나타나는 손 모양이 오른손 형상에 매칭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적외선 센서(261)에 의해 검출된 사용자가 운전자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2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river's seat mounted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100 and the assistant's seat mounted on the right side. A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left hand shape and a template corresponding to the right hand shap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20. The processor 270 compares the hand shape appearing in the infrared image with a template or the like stored in the memory 220, The appearance of the hand appearing can be judged by either the left hand shape or the right hand shape. If the hand shape of the infrared image matches the shape of the left hand, the processor 27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detected by the infrared sensor 261 is a passenger. If the hand shape shown in the infrared image matches the right hand shape, the processor 270 can determine that the user detected by the infrared sensor 261 is the driver.

근접 센서(262)는 비접촉으로 물체가 일정 거리 내로 근접해 온 것을 검출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262)는 교류자계의 변화, 정자계의 변화, 정전용량의 변화 등을 기초로, 근접한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근접센서는 발광 다이오드와 광센서를 이용하여, 물체의 근접을 검출할 수도 있다. The proximity sensor 262 detects that the object is approach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noncontact manner. The proximity sensor 262 can detect a nearby object based on the change of the alternating magnetic field, the change of the static magnetic field, the change of the capacitance, and the like. Alternatively, the proximity sensor may detect the proximity of an object using a light emitting diode and an optical sensor.

조도 센서(263)는 디스플레이부(240) 주변의 조도 변화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부(240)에 근접한 물체의 유무 및 그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240) 근처로 손을 내미는 경우, 조도 센서(263)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감소한 빛의 양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프로세서(270)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조도 센서(263)는 2개 이상 구비되어, 서로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illuminance sensor 263 can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close to the display unit 240 and its position based on a change in illuminance around the display unit 240. [ For example, when the user hands out near the display portion 240, the light intensity sensor 263 can provide the processor 270 with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light reduced by the user's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wo or more illuminance sensors 263 may be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러한 센싱부(26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240)에 근접하는 물체의 검출이 용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40)의 테두리에 인접(예, 약 1cm 이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적외선 센서(261)는 디스플레이부(240)의 상단에 배치되고, 근접 센서(262) 및 조도 센서(263)는 각각 디스플레이부(24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sensor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26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edge of the display unit 240 (e.g., within about 1 cm) to facilitate detection of an object close to the display unit 240 . For example, the infrared sensor 261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display unit 240, and the proximity sensor 262 and the illuminance sensor 263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unit 240, respectively.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박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70)는 차량(100)의 위치 데이터를 메모리(220)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에 매칭하고, 매칭된 지도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70)는 차량(100) 위치 데이터를 기초로, 차량(100) 추정 위치를 획득하고, 메모리(220)로부터 차량(100) 추정 위치 및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읽어들여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70)는 지도 정보를 근거로 길 안내 정보를 발생하고, 발생된 길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40)에 출력할 수 있다.The processor 270 controls the full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200. The processor 270 may match the position data of the vehicle 100 with the map data stored in the memory 220 and output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matched map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240. [ Specifically, the processor 270 obtains the vehicle 100 estimated position based on the vehicle 100 position data, reads the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100 estimated position and the traveling route from the memory 220 And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That is, the processor 270 generates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based on the map information, and outputs the generat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240.

또한, 프로세서(270)는 통신부(110)를 통해 차량(100) 근처의 기지국과 연결되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기지국 간의 정보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The processor 270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near the vehicl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to perform a telephone conversation or transmit / receive information between the display apparatus 200 and the base station.

또한, 프로세서(270)는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차량(100)의 외부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외부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270 may display the external image received from the external camera of the vehicle 100 on the display unit 240 through the interface unit 250.

프로세서(270)는 사용자에 의해 POI 검색 메뉴가 선택되면,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위치한 POI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POI를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할 수 있다. When the POI search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the processor 270 searches for a POI located on the route from the current position to the destination, and displays the POI on the display unit 240.

전원부(280)는 프로세서(27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전원부(28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내장된 배터리에 저장된 전원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는, 전원부(280)는 커넥터를 통해, 차량(100)에 구비된 USB 포트와 연결되어, 차량(100) 내부의 배터리(미도시)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80 may supply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70. [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280 can supply the power stored in the battery built in the display device 200 to the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200. Alternatively, the power supply unit 280 may be connected to a USB port of the vehicle 100 via a connector to supply power supplied from a battery (not shown) or the like inside the vehicle 100 to a power supply unit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components.

한편,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may not be essential for realizing the display device 200. Thus, the display device 200 described herei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의 실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외관을 보여준다.3A and 3B show an appearance of a display device 200 provided in a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핸들이 왼쪽에 구비될 수 있다. 운전석(310)과 보조석(3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왼쪽과 오른쪽에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A, the vehicle 100 may have a handle on the left side. The driver's seat 310 and the assistant seat 320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s shown.

차량(100)의 탑승자(예, 운전자, 동승자)는 윈드 쉴드(101)를 통해 차량(100) 외부(예, 전방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는 윈드 쉴드(101)를 통해, 차량(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타차량, 도로의 상태, 주변 시설물 등을 확인할 수 있다. The occupant (e.g., driver, passenger) of the vehicle 100 can confirm the outside (e.g., forward situation) of the vehicle 100 through the windshield 101. [ For example, the occupant can check the status of the other vehicle, the road condition, surrounding facilities, and the like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100 through the windshield 101.

차량(100)의 디스플레이부(141)는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41)는 계기판 디스플레이(141a), 헤드업디스플레이(141b) 및 투명 디스플레이(141c)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업디스플레이(141b)는 윈드 쉴드(101)의 각종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 화상(virtual image)을 투사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141c)는 윈드 쉴드(101)의 적어도 일영역에 결합되거나 윈드 쉴드(101)를 대체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141c)는 일정 수준 이상의 투과도를 가지므로, 탑승자는 전방 시야에 방해 받지 않을 수 있고, 정면을 주시하면서도 차량(100)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portion 141 of the vehicle 100 may include two or more display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A, the display section 141 may include a dash panel display 141a, a head-up display 141b, and a transparent display 141c. The head-up display 141b can project a virtual image corresponding to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of the windshield 101. [ The transparent display 141c can be coupled to at least one region of the windshield 101 or replace the windshield 101. [ Since the transparent display 141c has a transparency of a certain level or more, the passeng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turbed by the front view, and it is possible to check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100 while looking at the front.

또한, 실내 카메라(122)는 차량(100)의 실내를 촬영하고, 마이크로폰(123)은 차량(100)의 탑승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camera 122 photographs the interior of the vehicle 100, and the microphone 123 can receive the voice of the occupant of the vehicle 100.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쉬 보드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대쉬 보드의 전체 영역 중, 운전석(310)에 대응하는 부분과 보조석(320)에 대응하는 부분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dashboard, as shown in FIG. Specifically, the display device 200 may be provided betwee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driver's seat 310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ssistant seat 320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dashboard.

도 3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본체에는 복수의 입력 버튼들(220a~220h), 디스플레이부(240) 및 복수의 센서들(261, 262a, 262b, 263a, 263b)이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220a to 220h, a display unit 240, and a plurality of sensors 261, 262a, 262b, 263a, and 263b may be provided in the body of the display device 200 have.

입력 버튼(220a)은 라디오 수신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예컨대, 입력 버튼(220a)이 눌려질 때마다, FM 라디오 → AM 라디오 → FM 라디오 순서로 전환될 수 있다. 입력 버튼(220b)은 미디어 재생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예컨대, 입력 버튼(220b)이 눌려질 때마다, CD → USB → 이동 단말기 → CD의 순서로 재생할 미디어 파일이 저장된 매체가 전활될 수 있다. 입력 버튼(220c)은 에어컨/히터 조절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입력 버튼(220d)은 도 1에 도시된 외부 카메라(161)로부터 제공되는 외부 영상의 출력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입력 버튼(220e)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입력 버튼(220f)은 내비세이션의 목적지 검색 및 경로 설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입력 버튼(220g)은 핸즈프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입력 버튼(220h)은 인터넷 접속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만, 도 3b에 도시된 복수의 입력 버튼들(220a~220h)과 이에 대응하는 기능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실시예에 따라, 더 적거나 많은 버튼이 다른 기능과 매핑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The input button 220a may be a button for executing a radio reception function. For example, each time the input button 220a is pressed, it can be switched to the order of FM radio → AM radio → FM radio. The input button 220b may be a button for executing a media playback function. For example, every time the input button 220b is pressed, the medium in which the media file to be played is stored in the order of CD → USB → mobile terminal → CD may be activated. The input button 220c may be a button for executing the air conditioner / heater controlling function. The input button 220d may be a button for executing an output function of an external image provided from the external camera 161 shown in FIG. The input button 220e may be a button for executing 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function. The input button 220f may be a button for executing the destination search and route setting function of the navigation. The input button 220g may be a button for executing a hands-free function. The input button 220h may be a button for executing an internet connection function. It should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however, that the plurality of input buttons 220a-220h shown in FIG. 3B and corresponding functions are exemplary and that fewer or more buttons may be mapped to different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한편, 디스플레이부(240)의 전체 표시 영역은 복수개의 가상 영역들(A1, A2)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A1)은 디스플레이부(240)의 전체 표시 영역의 수직 중앙축을 기준으로 왼쪽에 대응하는 영역이고, 제2 영역(A2)은 디스플레이부(240)의 전체 표시 영역의 수직 중앙축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이 경우,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의 크기 및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 또는 형상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A1)은, 제2 영역(A2)보다 상기 차량의 운전석에 가깝고, 제2 영역(A2)과 겹치는 부분이 없는 영역일 수 있다.Meanwhile,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24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virtual areas A1 and A2. For example, the first area A1 corresponds to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enter axis of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rt 240, and the second area A2 corresponds to the left side of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rt 240 And corresponds to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center axis. In this case, the sizes and shapes of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may be equal to each other as shown in the figure.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ize or shap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may be changed by user input. That is, the first area A1 may be an area that is closer to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than the second area A2 and does not overlap with the second area A2.

적외선 센서(261)는 예컨대, 본체 중 디스플레이부(240)의 상단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 센서(261)는 적어도 디스플레이부(240)를 포함하는 공간으로 적외선을 조사하고, 조사된 적외선의 반사 패턴을 기초로, 디스플레이부(240)로부터 소정 거리 내로 근접한 물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물체의 위치 또는 움직임에 대응하는 센싱 정보(예, 위치 정보, 이동 속력 정보, 이동 방향 정보, 거리 정보)를 연속적으로 프로세서(270)에 제공할 수 있다.The infrared sensor 261 may be disposed, for example, in the upper center of the display unit 240 of the main body. The infrared sensor 261 irradiates infrared rays to a space including at least the display unit 240 and detects an objec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splay unit 240 based on the reflected infrared ray pattern, (E.g., position information, movement speed information, movement direction information, dista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r motion of the object can be continuously provided to the processor 270. [

제1 근접 센서(262a)와 제2 근접 센서(262b)는 예컨대, 본체 중 디스플레이부(240)의 하단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근접 센서(262a)는 디스플레이부(240)의 좌측(즉, 제1 영역(A1))에 근접한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제2 근접 센서(262b)는 디스플레이부(240)의 우측(즉, 제2 영역(A2))에 근접한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제1 근접 센서(262a)에 의해 검출된 물체를 운전자의 신체 일부(예, 손, 손가락)로 판단하고, 제2 근접 센서(262b)에 의해 검출된 물체를 동승자의 신체 일부로 판단할 수 있다. The first proximity sensor 262a and the second proximity sensor 262b may b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unit 240, respectively. The first proximity sensor 262a can detect an object close to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unit 240 (i.e., the first area A1). The second proximity sensor 262b can detect an object close to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unit 240 (i.e., the second area A2). The processor 270 determines that the object detected by the first proximity sensor 262a is a body part (e.g., a hand or a finger) of the driver and the object detected by the second proximity sensor 262b is a body part of the passenger It can be judged.

제1 조도 센서(263a)와 제2 조도 센서(263b)는 예컨대, 근접 센서(262a, 262b)와 유사하게,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본체 중 디스플레이부(240)의 하단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조도 센서(263a)는 디스플레이부(240)의 좌측(즉, 제1 영역(A1)) 근처의 조도 변화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부(240)의 좌측에서 근접하는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제2 조도 센서(263b)는 디스플레이부(240)의 우측(즉, 제2 영역(A2)) 근처의 조도 변화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부(240)의 우측에서 근접하는 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Similarly to the proximity sensors 262a and 262b, the first illuminance sensor 263a and the second illuminance sensor 263b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unit 240, . The first illuminance sensor 263a can detect an object in the vicinity of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unit 240 based on the change in illuminance near the left side of the display unit 240 (i.e., the first area A1). The second illuminance sensor 263b can detect an object close to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unit 240 based on the change in illuminance near the right side of the display unit 240 (i.e., the second area A2).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S400)의 플로우 챠트를 보여준다.FIG. 4 shows a flow chart of an exemplary process (S400) performed by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41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임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일반적인 주행 상황에서, 경로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기 설정된 이벤트의 발생에 응답하여,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하라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70)는 차량(100) 외부의 상대방으로부터 전화 연결 요청을 수신 시, 전화 수신 알림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할 수 있다.In step S410, the display device 200 may display an arbitrary screen on the display unit 240. [ For example, the processor 270 may display a route guidance screen on the display unit 240 in a normal driving situation. In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270 may display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event on the display unit 240 in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the predetermined event. For example, when the processor 270 receives a telephone connection request from the other party outside the vehicle 100, the processor 270 may display a telephone reception notification screen on the display unit 240.

단계 S4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근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체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70)는 센싱부(260)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부(240)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근접하는 물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디스플레이부(240)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근접한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 근접한 물체의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S420, the display device 200 can determine whether there is at least one object close to the display unit 240. [ Specifically, the processor 27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objec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splay unit 240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nsing unit 260, and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objec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splay unit 240 If there is an adjacent object, the number of nearby objects can be determined.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제1 근접 센서(262a) 및 제1 조도 센서(263a)에 의해서만 물체가 검출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하나의 물체가 제1 영역(A1)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n object is detected only by the first proximity sensor 262a and the first illuminance sensor 263a shown in FIG. 3B, the processor 270 determines that one object is close to the first area A1 It can be judged.

단계 S43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단계 S420에서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물체에 대한 센싱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은 기본적으로 운전자 모드 및 동승자 모드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공용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430, the display device 200 can select any one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display modes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object detected in step S420.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basically includes a driver mode and a passenger mode, and may further include a comm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센싱부(260)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정보를 기초로, 제1 영역(A1)에 근접한 물체만이 검출된 것으로 판단 시, 운전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70)는 검출된 물체의 위치가 디스플레이부(240)의 제1 영역(A1)에 대응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운전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270 can select the driver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only an object close to the first area A1 is detect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nsing unit 260. [ That is, when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object corresponds to the first area A1 of the display unit 240, the processor 270 can select the driver mod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센싱부(260)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정보를 기초로, 제2 영역(A2)에 근접한 물체만이 검출된 것으로 판단 시, 동승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70)는 검출된 물체의 위치가 디스플레이부(240)의 제2 영역(A2)에 대응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동승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270 can select the passenger mo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only an object close to the second area A2 is detected,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nsing unit 260. [ That is, when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object corresponds to the second area A2 of the display unit 240, the processor 270 can select the passenger mod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센싱부(260)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정보를 기초로, 제1 영역(A1)에 근접한 물체와 제2 영역(A2)에 근접한 물체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검출된 것으로 판단 시, 공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70)는 검출된 복수의 물체들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디스플레이부(240)의 제1 영역(A1)에 대응하고, 다른 하나의 위치가 제2 영역(A2)에 대응하는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공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For example,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sensing unit 260, the processor 270 may detect an object proximate to the first area A1 and an object proximate to the second area A2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he common mode can be selected. That is, when the position of any one of the detected plurality of objects corresponds to the first area A1 of the display unit 240 and the other position corresponds to the second area A2 , A common mode among a plurality of display modes can be selected.

단계 S44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선택된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In step S440, the display apparatus 200 can change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240 according to the selected display mode.

만약, 단계 S430에서 운전자 모드가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소정의 객체를 제1 영역(A1) 내에 표시하거나, 운전자 모드에서 출력되도록 미리 설정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할 수 있다.If the driver mode is selected in step S430, the display device 200 may display a predetermined object in the first area A1 or display a preset screen on the display unit 240 to be outputted in the driver mode .

만약, 단계 S430에서 동승자 모드가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소정의 객체를 제2 영역(A2) 내에 표시하거나, 동승자 모드에서 출력되도록 미리 설정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할 수 있다.If the passenger mode is selected in step S430, the display device 200 may display a predetermined object in the second area A2 or display a preset screen on the display unit 240 so as to be output in the passenger mode .

만약, 단계 S430에서 공용 모드가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동일 객체 또는 상이한 객체를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에 각각 표시할 수 있다.If the common mode is selected in step S430, the display device 200 displays the same object or different objects related to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in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respectively can do.

운전자 모드, 동승자 모드 및 공용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동작에 대하여는, 이하 도 5a 내지 도 14c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Operations for changing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240 according to the driver mode, the passenger mode, and the common mod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14C.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단일 물체의 근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5A to 5C show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display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240 according to proximity of a single object.

먼저, 도 5a는 근접 물체의 검출 전, 디스플레이부(240)에 홈 화면(510)이 표시 중인 상황을 예시한다. 홈 화면(51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의해 실행 가능한 기능들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콘들이 포함될 수 있다.5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home screen 5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before detection of a nearby object. The home screen 510 may include icons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s executable by the display device 200, as shown in FIG.

도 5b는 단일 물체로서 운전자의 손(10)이 검출된 상황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손(10)의 위치가 제1 영역(A1)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진입함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운전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5B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driver's hand 10 is detected as a single object. As shown, as the position of the driver's hand 10 enter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area A1, the processor 270 may select the driver mod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프로세서(270)는 운전자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화면(510)을 제1 화면(521)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운전자 모드에 진입 시, 물체(10)의 검출 전에 표시되는 화면(510)을 소정 비율로 축소한 축소 화면(511)을 제1 영역(A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화면(510) 내에서 서로 분산되어 표시되던 아이콘들을 용이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물체(10)에 의해 축소 화면(511)에 포함된 음악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리스트 화면(521)의 디스플레이부(240)의 전체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운전자 모드 진입 전후로, 홈 화면(510)이 음악 리스트 화면(521)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70)는 축소 화면(511)을 음악 리스트 화면(521) 상에 중첩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or 270 may switch the screen 51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to the first screen 521 in the driver mode. For example, when entering the driver mode, the processor 270 can display a reduced screen 511 in which the screen 510 displayed before the detection of the object 10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ratio in the first area A1 have. 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the driver to easily select the icons that are display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the screen 510. If the music icon included in the reduced screen 511 is selected by the object 10, it may be displayed in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240 of the music list screen 521 as shown in the figure. That is, before or after entering the driver mode, the home screen 510 can be switched to the music list screen 521. In this case, the processor 270 can display the reduced screen 511 on the music list screen 521 in a superimposed manner.

도 5c는 도 5b와는 달리, 도 5a에 도시된 상황에서 동승자의 손(20)이 검출된 상황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승자의 손(20)의 위치가 제2 영역(A2)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진입함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동승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5C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hand 20 of the passenger is detected in the situation shown in Fig. 5A, unlike Fig. 5B. As shown, as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s hand 20 enter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econd area A2, the processor 270 may select the passenger mod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프로세서(270)는 동승자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화면(510)을 제2 화면(522)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동승자 모드에 진입 시, 물체(20)의 검출 전에 표시되는 화면(510)을 소정 비율로 축소한 축소 화면(512)을 제2 영역(A2)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축소 화면(512)은 도 5b에 도시된 축소 화면(511)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승자는 화면(510) 내에서 서로 분산되어 표시되던 아이콘들을 용이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물체(20)에 의해 축소 화면(512)에 포함된 이미지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리스트 화면(522)의 디스플레이부(240)의 전체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즉, 동승자 모드 진입 전후로, 홈 화면(510)이 사진 리스트 화면(522)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70)는 축소 화면(512)을 사진 리스트 화면(522) 상에 중첩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or 270 may switch the screen 51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to the second screen 522 in the passenger mode. For example, when entering the passenger mode, the processor 270 may display a reduced screen 512 in which the screen 510 displayed before the detection of the object 20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ratio in the second area A2 have. For example, the reduced screen 512 may be the same as the reduced screen 511 shown in FIG. 5B. 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the passenger to easily select the icons displayed in the screen 510 in a distributed manner. If an image icon included in the reduced screen 512 is selected by the object 20, it may be displayed in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240 of the photo list screen 522, as shown in the figure. That is, before or after entering the passenger mode, the home screen 510 may be switched to the photo list screen 522. [ In this case, the processor 270 may display the reduced screen 512 on the photo list screen 522 in a superimposed manner.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단일 물체의 근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6A to 6C show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display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240 according to proximity of a single object.

먼저, 도 6a는 근접 물체의 검출 전, 디스플레이부(240)에 경로 안내 화면(610)이 표시 중인 상황을 예시한다. 경로 안내 화면(61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의 현재 속도, 탐색된 경로, 턴바이턴 인디케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6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route guidance screen 6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before detection of a nearby object. As shown, the route guidance screen 610 may include a current speed of the vehicle 100, a detected route, a turn-by-turn indicator, and the like.

도 6b는 단일 물체로서 운전자의 손(10)이 검출된 상황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손(10)의 위치가 제1 영역(A1)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진입함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운전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6B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driver's hand 10 is detected as a single object. As shown, as the position of the driver's hand 10 enter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area A1, the processor 270 may select the driver mod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프로세서(270)는 운전자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경로 안내 화면(610)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제1 영역(A1)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운전자 모드에 진입 시, 물체(10)의 검출 전에 표시되던 화면(610)을 조작할 수 있는 기능들과 관련된 메뉴 리스트(621)를 제1 영역(A1)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메뉴 리스트(6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아래로의 순서로, 홈 화면 이동 아이콘, 지도뷰 시점 변경 아이콘, 내비게이션 안내 음량 조절 아이콘, 지도 확대 아이콘, 축척 자동 변경 아이콘, 지도 축소 아이콘 등의 각종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뉴 리스트(621)의 크기만큼 경로 안내 화면(610)이 우측으로 이동 및 축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단순히 손가락(10)을 제1 영역(A1) 내로 이동시키는 행동만으로, 메뉴 리스트(621)를 통해 경로 안내 화면(610)을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을 간단하게 선택 및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processor 270 may display at least one object related to the route guidance screen 610 displayed in the display unit 240 in the first area A1 in the driver mode. For example, when the processor 270 enters the driver mode, the processor 270 displays a menu list 621 related to functions that can be operated on the screen 610 displayed before the detection of the object 10 in the first area A1 Can be displayed. For example, the menu list 621 includes a home screen moving icon, a map view point changing icon, a navigation guide volume adjusting icon, a map enlarging icon, a scale automatic changing icon, a map reducing icon, etc.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route guide screen 610 can be moved to the right and reduced by the size of the menu list 621. Accordingly, the driver simply selects and executes a function of operating the route guidance screen 610 through the menu list 621 by merely moving the finger 10 into the first area A1 It is possible.

도 6c는 도 6b와는 달리, 도 6a에 도시된 상황에서, 단일 물체로서 동승자의 손(20)이 검출된 상황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승자의 손(20)의 위치가 제2 영역(A2)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진입함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동승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6C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hand 20 of a passenger is detected as a single object in the situation shown in Fig. 6A, unlike Fig. 6B. As shown, as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s hand 20 enter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econd area A2, the processor 270 may select the passenger mod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프로세서(270)는 동승자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경로 안내 화면(610)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제2 영역(A2)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동승자 모드에 진입 시, 물체(20)의 검출 전에 표시되던 경로 안내 화면(610)을 조작할 수 있는 기능들과 관련된 메뉴 리스트(622)를 제2 영역(A2)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메뉴 리스트(622)의 크기만큼 경로 안내 화면(611)이 좌측으로 이동 및 축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승자는 단순히 손가락(20)을 제2 영역(A2) 내로 이동시키는 행동만으로, 메뉴 리스트(622)를 통해 경로 안내 화면(610)을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을 간단하게 선택 및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ocessor 270 may display at least one object associated with the route guidance screen 610 displayed in the display unit 240 in the second area A2 in the passenger mode. For example, when entering the passenger mode, the processor 270 may display a menu list 622 related to functions that can manipulate the route guidance screen 610 that was displayed before the detection of the object 20 in the second area A2 ). ≪ / RTI > At this time, the route guidance screen 611 can be moved and reduced to the left by the size of the menu list 622. [ Accordingly, the passenger simply selects and executes a function of operating the route guidance screen 610 via the menu list 622 by simply moving the finger 20 into the second area A2 It is possible.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단일 물체의 근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7A to 7C show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240 according to proximity of a single object.

먼저, 도 7a는 근접 물체의 검출 전, 디스플레이부(240)에 도 6a와 같은 경로 안내 화면(610)이 표시 중인 상황을 예시한다. 한편, 차량(100) 외부의 상대방으로부터 전화 연결 요청이 수신된 경우, 경로 안내 화면(610)의 일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수신 알림 화면(720)이 중첩 표시될 수 있다. 전화 수신 알림 화면(720)에는 전화 연결 요청자의 성명 및 전화 번호 등의 연락처 정보와 함께, 전화 연결을 위한 아이콘 및 전화 거절을 위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메뉴(721)가 포함될 수 있다.7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route guidance screen 610 as shown in FIG. 6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before detection of a nearby object. On the other hand, when a telephone connec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outside the vehicle 100, the telephone reception notification screen 720 may be overlaid as shown in one area of the route guidance screen 610. [ The phone reception notification screen 720 may include a menu 721 including an icon for telephone connection and an icon for telephone rejection, together with contact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and telephone number of the telephone connection requestor.

도 7b는 단일 물체로서 운전자의 손(10)이 검출된 상황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손(10)의 위치가 제1 영역(A1)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진입함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운전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Fig. 7B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driver's hand 10 is detected as a single object. As shown, as the position of the driver's hand 10 enter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area A1, the processor 270 may select the driver mod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프로세서(270)는 운전자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부(240)의 제1 영역(A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운전자 모드에 진입 시, 물체(10)의 검출 전에 표시되던 전화 수신 알림 화면(720)에 포함된 메뉴(721)를 물체(10)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영역(A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단순히 손가락(10)을 제1 영역(A1) 내로 이동시키는 행동만으로, 전화 연결 요청을 간단히 승인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The processor 270 may move at least one of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to the first area A1 of the display unit 240 in the driver mode. For example, when entering the driver mode, the processor 270 displays the menu 721 included in the telephone reception notification screen 720, which was displayed before the detection of the object 10, And can be displayed in the area A1. Accordingly, the driver can simply approve or reject the telephone connection request by simply moving the finger 10 into the first area A1.

도 7c는 도 7b와는 달리, 도 7a에 도시된 상황에서, 단일 물체로서 동승자의 손(10)이 검출된 상황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승자의 손(10)의 위치가 제1 영역(A1)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진입함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동승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7C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passenger's hand 10 is detected as a single object in the situation shown in Fig. 7A, unlike Fig. 7B. As shown, as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s hand 10 enter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area A1, the processor 270 may select the passenger mod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프로세서(270)는 동승자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부(240)의 제2 영역(A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동승자 모드에 진입 시, 물체(20)의 검출 전에 표시되던 전화 수신 알림 화면(720)에 포함된 메뉴(721)를 물체(20)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영역(A2)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승자는 단순히 손가락(20)을 제2 영역(A2) 내로 이동시키는 행동만으로, 전화 연결 요청을 간단히 승인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The processor 270 may move at least one of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to the second area A2 of the display unit 240 in the passenger mode. For example, when entering the passenger mode, the processor 270 displays the menu 721 included in the telephone reception notification screen 720, which was displayed before the detection of the object 20, Can be displayed in the area A2. Accordingly, the passenger can simply approve or reject the telephone connection request by merely moving the finger 20 into the second area A2.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단일 물체의 근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8A to 8C show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display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240 according to proximity of a single object.

먼저, 도 8a는 근접 물체의 검출 전, 디스플레이부(240)에 음악 재생 화면(810)이 표시 중인 상황을 예시한다. 음악 재생 화면(81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가능한 음악 파일들의 썸네일 리스트(811), 조작창(812) 및 가사 정보(813) 등과 같은 복수의 객체들이 포함되는 것으로 가정한다.8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music playback screen 8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before detection of a nearby object. As shown in the figure, the music reproduction screen 810 includes a plurality of objects such as a thumbnail list 811, an operation window 812, and lyrics information 813 of playable music files.

도 8b는 도 8a의 상황에서, 운전자의 손(10)이 검출된 상황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손(10)의 위치가 제1 영역(A1)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진입함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운전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Fig. 8B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driver's hand 10 is detected in the situation of Fig. 8A. As shown, as the position of the driver's hand 10 enter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area A1, the processor 270 may select the driver mod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프로세서(270)는 운전자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부(240)의 제1 영역(A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운전자 모드에 진입 시, 물체(10)의 검출 전에 표시되던 음악 재생 화면(810)에 포함된 객체들 중 하나인 조작창(812)을 물체(10)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영역(A1)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70)는 조작창(812)의 이동에 맞춰, 썸네일 리스트(811) 및 가사 정보(813)의 배열 순서 및 배열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단순히 손가락(10)을 제1 영역(A1) 내로 이동시키는 행동만으로, 프로세서(270)에 의해 조작창(812)이 제1 영역(A1) 내로 이동되어 표시됨으로써, 운전자가 조작창(812)을 통해 현재 재생 중인 음악 파일의 재생 상태나 재생할 음악 파일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The processor 270 may move at least one of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to the first area A1 of the display unit 240 in the driver mode. For example, when the player enters the driver mode, the processor 270 moves the operation window 812, which is one of the objects included in the music reproduction screen 810 displayed before the detection of the object 10, In the first area A1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A1. In this case, the processor 270 can change the arrangement order a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thumbnail list 811 and the lyrics information 813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window 812. [ Accordingly, the driver can move the operation window 812 into the first area A1 by the processor 270 merely by moving the finger 10 into the first area A1,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music file currently being reproduced through the window 812 and the music file to be reproduced.

도 8c는 도 8b와는 달리, 도 8a에 도시된 상황에서, 동승자의 손(20)이 검출된 상황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승자의 손(20)의 위치가 제2 영역(A2)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진입함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동승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8C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hand 20 of the passenger is detected in the situation shown in Fig. 8A, unlike Fig. 8B. As shown, as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s hand 20 enter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econd area A2, the processor 270 may select the passenger mod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프로세서(270)는 동승자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부(240)의 제2 영역(A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동승자 모드에 진입 시, 물체(20)의 검출 전에 표시되던 음악 재생 화면(810)에 포함된 객체들 중 하나인 조작창(812)을 물체(20)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영역(A2)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70)는 조작창(812)의 이동에 맞춰, 썸네일 리스트(811) 및 가사 정보(813)의 배열 순서 및 배열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승자는 단순히 손가락(20)을 제2 영역(A2) 내로 이동시키는 행동만으로, 프로세서(270)에 의해 조작창(812)이 제2 영역(A2) 내로 이동되어 표시됨으로써, 동승자가 조작창(812)을 통해 현재 재생 중인 음악 파일의 재생 상태나 재생할 음악 파일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The processor 270 may move at least one of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to the second area A2 of the display unit 240 in the passenger mode. For example, when entering the passenger mode, the processor 270 displays an operation window 812, which is one of the objects included in the music reproduction screen 810 displayed before the detection of the object 20, In the second area A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A2. In this case, the processor 270 can change the arrangement order an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thumbnail list 811 and the lyrics information 813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operation window 812. [ Thus, the passenger is moved and displayed by the processor 270 in the second area A2 only by the action of simply moving the finger 20 into the second area A2,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music file currently being reproduced through the window 812 and the music file to be reproduced.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단일 물체의 근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9A to 9C show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display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240 according to proximity of a single object.

먼저, 도 9a는 근접 물체의 검출 전, 디스플레이부(240)에 도 6a와 같은 경로 안내 화면(610)이 표시 중인 상황을 예시한다. 경로 안내 화면(61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의 현재 속도, 탐색된 경로, 턴바이턴 인디케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는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을 지정하는 음성 명령(920)(예, "전화 키패드 표시해줘.")을 발생시키는 경우, 마이크로폰(123)에 의해 음성 명령(920)이 인식되고, 인식된 음성 명령(920)에 대한 정보가 인터페이스부(250)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음성 명령(920)이 지시하는 기능의 실행 대기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First, FIG. 9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route guidance screen 610 as shown in FIG. 6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before detection of a nearby object. As shown, the route guidance screen 610 may include a current speed of the vehicle 100, a detected route, a turn-by-turn indicator,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as shown, when the passenger generates a voice command 920 (e.g., "phone keypad display") designating a function to be executed, the voice command 920 is recognized And information on the recognized voice command 920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2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250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display apparatus 200 can enter the execution waiting state of the function indicated by the voice command 920. [

도 9b는 단일 물체로서 운전자의 손(10)이 검출된 상황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손(10)의 위치가 제1 영역(A1)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진입함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운전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FIG. 9B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a driver's hand 10 is detected as a single object. As shown, as the position of the driver's hand 10 enter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area A1, the processor 270 may select the driver mod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프로세서(270)는 운전자 모드에서, 음성 명령(920)이 지시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실행된 기능과 관련된 객체(930)를 제1 영역(A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930)는 음성 명령(920)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 입력용 키패드일 수 있고, 경로 안내 화면(610) 상에 중첩 표시될 수 있다.The processor 270 may execute the function indicated by the voice command 920 in the operator mode and display the object 930 associated with the executed function in the first area A1. For example, as shown, the object 930 may be a keypad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voice command 920, and may be overlaid on the route guidance screen 610.

도 9c는 도 9b와는 달리, 도 9a에 도시된 상황에서, 동승자의 손(10)이 검출된 상황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승자의 손(20)의 위치가 제2 영역(A2)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진입함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동승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9C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hand 10 of the passenger is detected in the situation shown in Fig. 9A, unlike Fig. 9B. As shown, as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s hand 20 enter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econd area A2, the processor 270 may select the passenger mod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프로세서(270)는 동승자 모드에서, 음성 명령(920)이 지시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실행된 기능과 관련된 객체(930)를 제2 영역(A2)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930)는 음성 명령(920)에 대응하는 전화 번호 입력용 키패드일 수 있고, 경로 안내 화면(610) 상에 중첩 표시될 수 있다.The processor 270 may execute the function indicated by the voice command 920 in the passenger mode and display the object 930 associated with the executed function in the second area A2. For example, as shown, the object 930 may be a keypad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voice command 920, and may be overlaid on the route guidance screen 610.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단일 물체의 근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10A to 10C show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display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240 according to proximity of a single object.

먼저, 도 10a는 근접 물체의 검출 전, 디스플레이부(240)에 도 6a와 같은 경로 안내 화면(610)이 표시 중인 상황을 예시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구비된 입력 버튼(220c)이 사용자에 의해 클릭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40)의 상단의 일 영역에는 차량(100)의 공조 상태를 항목별로 안내하는 메뉴 리스트(1020)가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메뉴 리스트(1020)에는 좌측에서 우측의 순서대로 운전석 온도 설정 아이콘, 냉/난방 자동 조절 아이콘, 냉방 실행 아이콘, 풍량 조절 아이콘, 풍향 조절 아이콘, 운전석/보조석 온도 개별 설정 아이콘 및 보조석 온도 설정 아이콘 등의 각종 아이콘들이 포함될 수 있다.10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route guidance screen 610 as shown in FIG. 6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before detection of a nearby object. When the input button 220c of the display device 200 is clicked by the user, the air conditioning state of the vehicle 100 is classified into one area at the top of the display unit 240 A menu list 1020 can be displayed. For example, in the menu list 1020, there are displayed a driver's seat temperature setting icon, a cooling / heating automatic adjustment icon, a cooling execution icon, a wind amount adjustment icon, a wind direction adjustment icon, And various icons may be included.

도 10b는 단일 물체로서 운전자의 손(10)이 검출된 상황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손(10)의 위치가 제1 영역(A1)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진입함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운전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Fig. 10B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driver's hand 10 is detected as a single object. As shown, as the position of the driver's hand 10 enter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area A1, the processor 270 may select the driver mod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프로세서(270)는 운전자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부(240)의 제1 영역(A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운전자 모드에 진입 시, 메뉴 리스트(1020)가 소정 비율만큼 축소된 메뉴 리스트(1021)를 물체(10)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1 영역(A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단순히 손가락(10)을 제1 영역(A1) 내로 이동시키는 행동만으로, 메뉴 리스트(1021)에 포함된 아이콘을 통해 간편하게 차량(100)의 공조 상태를 항목별로 조절할 수 있다. The processor 270 may move at least one of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to the first area A1 of the display unit 240 in the driver mode. For example, when entering the driver mode, the processor 270 displays a menu list 1021 in which the menu list 1020 is reduced by a predetermined ratio in the first area A1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object 10 . Accordingly, the driver can easily adjust the air conditioning state of the vehicle 100 on the basis of the icon included in the menu list 1021 by merely moving the finger 10 into the first area A1.

도 10c는 도 10b와는 달리, 도 10a에 도시된 상황에서, 단일 물체로서 동승자의 손(20)이 검출된 상황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승자의 손(20)의 위치가 제2 영역(A2)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진입함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동승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10C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passenger's hand 20 is detected as a single object in the situation shown in Fig. 10A, unlike Fig. 10B. As shown, as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s hand 20 enter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econd area A2, the processor 270 may select the passenger mod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프로세서(270)는 동승자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부(240)의 제2 영역(A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동승자 모드에 진입 시, 메뉴 리스트(1020)가 소정 비율만큼 축소된 메뉴 리스트(1022)를 물체(20)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영역(A2)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승자는 단순히 손가락(20)을 제2 영역(A2) 내로 이동시키는 행동만으로, 메뉴 리스트(1022)에 포함된 아이콘을 통해 간편하게 차량(100)의 공조 상태를 항목별로 조절할 수 있다.The processor 270 may move at least one of the objec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to the second area A2 of the display unit 240 in the passenger mode. For example, when entering the passenger mode, the processor 270 displays a menu list 1022 in which the menu list 1020 is reduced by a predetermined ratio in a second area A2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object 20 . Accordingly, the passenger can easily adjust the air conditioning state of the vehicle 100 on the basis of the icon included in the menu list 1022 simply by moving the finger 20 into the second area A2.

한편, 도 10a에 도시된 메뉴 리스트(1021)와 도 10b에 도시된 메뉴 리스트(1022)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메뉴 리스트(1021)에는 보조석 온도 설정 아이콘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메뉴 리스트(1022)에는 풍향 조절 아이콘 및 보조석 온도 설정 아이콘만이 포함될 수 있다. 메뉴 리스트(1021, 1022)에 포함되는 아이콘의 개수와 종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nu list 1021 shown in FIG. 10A is the same as the menu list 1022 shown in FIG. 10B,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menu list 1021 may not include an assistant seat temperature setting icon. As another example, the menu list 1022 may include only a wind direction adjustment icon and an assistant stone temperature setting icon. The number and types of icons included in the menu lists 1021 and 1022 can be changed according to user input.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단일 물체의 근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11A to 11C show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display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240 according to proximity of a single object.

먼저, 도 11a는 근접 물체의 검출 전, 인터넷 접속 화면(1110)이 표시 중인 상황을 예시한다. 예컨대, 인터넷 접속 화면(111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 버튼(220h)이 클릭되는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한편, 인터넷 접속 화면(1110) 내의 검색창(1111)은 디스플레이부(240) 내의 상단 부분에 위치하여, 운전자나 동승자가 이를 선택하고 검색어를 입력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11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Internet connection screen 1110 is displayed before the detection of a nearby object. For example, the Internet connection screen 1110 may be a screen displayed when the input button 220h is clicked by the user. On the other hand, the search window 1111 in the internet connection screen 1110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display unit 240, and the driver or the passenger may have difficulty in selecting the search word and inputting the search word.

도 11b는 단일 물체로서 운전자의 손(10)이 검출된 상황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손(10)의 위치가 제1 영역(A1)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진입함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운전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FIG. 11B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driver's hand 10 is detected as a single object. As shown, as the position of the driver's hand 10 enter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area A1, the processor 270 may select the driver mod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화면의 유형에 따라, 운전자 모드 진입 시에 디스플레이부(240)에 적용할 화면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 모드 진입 직전에 디스플레이부(240)에 제1 유형의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운전자 모드 진입 시, 제1 유형의 화면에 대응하는 제1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운전자 모드 진입 직전에 디스플레이부(240)에 제2 유형의 화면이 표시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운전자 모드 진입 시, 제2 유형의 화면에 대응하는 제2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or 270 may determine a screen configuration to be applied to the display unit 240 upon entering the driver mode according to the type of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 For example, when the first type of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immediately before entering the driver mode, the processor 270 can display the first object corresponding to the first type of screen when entering the driver mode have.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econd type of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immediately before entering the driver mode, the processor 270 may display the second objec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ype of screen upon entering the driver mode .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모드에 진입 전에 표시되는 화면이 인터넷 접속 화면(1110)인 경우, 프로세서(270)는 인터넷 접속 화면(1110)에 대응하는 객체로서 가상 키보드(1121)를 제1 영역(A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검색창(1111)을 직접 터치하여 검색어를 입력하는 대신, 운전석(310)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1 영역(A1) 내에 위치하는 가상 키보드(1121)를 통해 더욱 신속하고 편리한 검색어 입력이 가능하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screen displayed before entering the driver mode is the internet connection screen 1110, the processor 270 connects the virtual keyboard 1121 as a corresponding object to the internet connection screen 1110 in the first area A1 ). ≪ / RTI > Accordingly, instead of directly inputting a search word by touching the search window 1111, the driver can input a quick and convenient search word through the virtual keyboard 1121 located in the first area A1 relatively close to the driver's seat 310 This is possible.

도 11c는 도 11b와는 달리, 도 11a에 도시된 상황에서, 단일 물체로서 동승자의 손(20)이 검출된 상황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승자의 손(20)의 위치가 제2 영역(A2)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진입함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동승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11C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passenger's hand 20 is detected as a single object in the situation shown in FIG. 11A, unlike FIG. 11B. As shown, as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s hand 20 enter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econd area A2, the processor 270 may select the passenger mod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도시된 바와 같이, 동승자 모드에 진입 전에 표시되는 화면이 인터넷 접속 화면(1110)인 경우, 프로세서(270)는 인터넷 접속 화면(1110)에 대응하는 객체로서 가상 키보드(1121)를 제2 영역(A2)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승자는 검색창(1111)을 직접 터치하여 검색어를 입력하는 대신, 보조석(320)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제2 영역(A2) 내에 위치하는 가상 키보드(1121)를 통해 더욱 신속하고 편리한 검색어 입력이 가능하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screen displayed before entering the passenger mode is the internet connection screen 1110, the processor 270 connects the virtual keyboard 1121 as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internet connection screen 1110 to the second area A2 ). ≪ / RTI > Accordingly, instead of directly inputting the search word by touching the search window 1111, the passenger can input a quick and convenient search word through the virtual keyboard 1121 located in the second area A2 relatively close to the assistant seat 320 This is possible.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단일 물체의 근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12A and 12B show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display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240 according to proximity of a single object.

도 12a는 도 6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40)에 경로 안내 화면(610)이 표시되던 중, 운전자의 손(10)이 검출된 상황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운전자의 손(10)의 위치가 제1 영역(A1)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진입함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운전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12A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a driver's hand 10 is detected while a route guidance screen 6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as shown in FIG. 6A. Specifically, as the position of the driver's hand 10 enter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area A1, the processor 270 can select the driver mod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프로세서(270)는 운전자 모드에서, 운전자 모드에서 표시되도록 기 설정된 제1 메뉴 리스트(1210)를 디스플레이부(240)의 제1 영역(A1)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메뉴 리스트(121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음량 조절 아이콘, 날씨 안내 아이콘 및 스케쥴 안내 아이콘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메모리(220)에는 사용 제한 메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 제한 메뉴는 운전자 모드에서의 실행이 차단되도록 미리 정해진 기능과 관련된 메뉴일 수 있다. 사용 제한 메뉴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운전자 모드 진입 시, 메모리(220)에 접근하여 사용 제한 메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 제한 메뉴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1 메뉴 리스트(1210)에 포함시킬 아이콘들을 선택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70)는 제1 메뉴 리스트(1210)에서 사용 제한 메뉴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제외할 수 있다.The processor 270 may display the first menu list 1210, which is predetermined to be displayed in the driver mode, in the first area A1 of the display unit 240 in the driver mode. For example, the menu list 1210 may include a navigation volume control icon, a weather guide icon, and a schedule guidance icon,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the memory 220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use restriction menu. Here, the use restriction menu may be a menu related to a predetermined function so that execution in the driver mode is blocked. The use restriction menu may be set or changed according to user input. Upon entering the driver mode, the processor 270 accesses the memory 220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use restriction menu, and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on the use restriction menu, Can be selected. That is, the processor 270 may exclude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use restriction menu from the first menu list 1210.

도 12b는 도 6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40)에 경로 안내 화면(610)이 표시되던 중, 도 12a와 달리, 동승자의 손(20)이 검출된 상황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동승자의 손(20)의 위치가 제2 영역(A2)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진입함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동승자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12B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hand 20 of the passenger is detected while the route guidance screen 6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as shown in FIG. 6A, unlike FIG. 12A. Specifically, as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s hand 20 enter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econd area A2, the processor 270 can select the passenger mode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modes.

프로세서(270)는 동승자 모드에서, 동승자 모드에서 표시되도록 기 설정된 제2 메뉴 리스트(1220)를 디스플레이부(240)의 제2 영역(A2)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메뉴 리스트(122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음량 조절 아이콘, 날씨 안내 아이콘, 스케쥴 안내 아이콘, 메시지 아이콘 및 SNS 아이콘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 아이콘 및 SNS 아이콘은 전술한 사용 제한 메뉴에 대응하는 아이콘일 수 있다. 즉, 제2 메뉴 리스트(1220)는 제1 메뉴 리스트(1210)에 포함된 아이콘들은 물론 사용 제한 메뉴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270 may display the second menu list 1220, which is predetermined to be displayed in the passenger mode, in the second area A2 of the display unit 240 in the passenger mode. For example, the menu list 1220 may include a navigation volume control icon, a weather guide icon, a schedule guidance icon, a message icon, and an SNS icon, as shown in FIG. Here, the message icon and the SNS icon may be icons corresponding to the use restriction menu described above. That is, the second menu list 1220 may further include icons corresponding to the use restriction menu as well as the icons included in the first menu list 1210.

도 12a 및 도 12b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현재 조작하고 있는 탑승자가 운전자인지 아니면 동승자인지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할 메뉴 리스트(1210, 1220)에 사용 제한 메뉴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포함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부(240)를 현재 조작하고 있는 탑승자가 운전자인 경우에는, 사용 제한 메뉴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표시를 제한함으로써, 운전자의 주의력을 상대적으로 크게 저하시킬 수 있는 메시지 작성 행위나 SNS 확인 행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12A and 12B, the display device 200 displays menu lists 1210 and 1220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according to whether the occupant currently operating the display unit 240 is a driver or a passenger, May include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use restriction menu. If the occupant who is currently operating the display unit 240 is the driver, restriction of the display of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use restriction menu is made so that the message creation action or the SNS confirmation acti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복수의 물체들의 근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FIG. 13 shows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240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a plurality of objects.

도 13은 도 11a와 같이 인터넷 접속 화면(1110)이 표시 중인 상황에서, 운전자의 손(10) 및 동승자의 손(20)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검출된 상황을 예시한다.13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hand 10 of the driver and the hand 20 of the passenger are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detected while the Internet connection screen 1110 is being displayed as shown in FIG. 11A.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시점에 운전자의 손(10)의 위치가 제1 영역(A1)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진입하고, 동승자의 손(20)의 위치가 제2 영역(A2)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로 진입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공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the drawing, at the same time, the position of the driver's hand 10 enter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area A1, and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s hand 20 moves from the second area A2 When entering into a distance, the processor 270 may select a public mode among a plurality of display modes.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화면의 유형에 따라, 공용 모드 진입 시에 디스플레이부(240)에 적용할 화면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부(240)의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The processor 270 may determine a screen configuration to be applied to the display unit 240 when entering the common mode according to the type of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 For example, the processor 270 may display a virtual keyboard associated with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of the display unit 240 .

도시된 것처럼, 공용 진입 직전에 디스플레이부(240)에 인터넷 접속 화면(1110)이 표시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공용 모드 진입 시, 제1 영역(A1)에 제1 가상 키보드(1310)를 표시하고, 제2 영역(A2)에 제2 가상 키보드(1320)를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Internet access screen 11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immediately before entering the common mode, the processor 270 sets the first virtual keyboard 1310 in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virtual keyboard 1320 can b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A2.

이때, 프로세서(270)는 탑승자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할 제1 가상 키보드(1310) 또는 제2 가상 키보드(1320)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에는 차량(100)의 사용자별 얼굴 이미지 및 신상 정보(예, 나이, 성별, 국적)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카메라(122)로부터 제공되는 실내 영상으로부터 운전자 및 동승자의 얼굴을 추출하고, 추출된 운전자 얼굴 및 동승자 얼굴을 메모리(220)에 기 저장된 사용자별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신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획득된 운전자 및 동승자 각각의 신상 정보를 고려하여, 제1 가상 키보드(1310)과 제2 가상 키보드(1320)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270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first virtual keyboard 1310 or the second virtual keyboard 1320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based on the occupan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face image and personal image information (e.g., age, sex, nationality) of each vehicle 10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20 in advance. The processor 270 extracts the driver's face and the passenger's face from the indoor image provided from the camera 122, compares the extracted driver's face and the passenger's face with the user-specific face image stored in the memory 220, Each individual information can be obtained. The processor 270 may determine the type of the first virtual keyboard 1310 and the second virtual keyboard 1320 in consideration of the acquired personal information of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예를 들어, 운전자와 동승자의 국적이 각각 한국과 미국인 경우, 프로세서(270)는 제1 가상 키보드(1310)로서 국문 입력용 키보드를 결정하고, 제2 가상 키보드(1320)로서 영문 입력용 키보드를 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nationality of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are respectively Korean and American, the processor 270 determines a keyboard for inputting Korean as a first virtual keyboard 1310 and a keyboard for inputting English as a second virtual keyboard 1320 You can decide.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복수의 물체들의 근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 구성을 변경하는 동작의 일 예를 보여준다.14A to 14C show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display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screen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240 according to proximity of a plurality of objects.

도 14a는 도 12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40)에 임의의 화면이 표시되던 중, 운전자의 손(10) 및 동승자의 손(20)이 검출된 상황을 예시한다. 일 예로, 운전자의 손(10) 및 동승자의 손(20)의 검출 직전, 디스플레이부(240)에는 경로 안내 화면(610)이 표시 중일 수 있다.FIG. 14A illustrates a situation where a driver's hand 10 and a passenger's hand 20 are detected while an arbitrary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as shown in FIG. 12A. For example, the route guide screen 610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immediately before the driver's hand 10 and the passenger's hand 20 are detected.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는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을 지정하는 음성 명령(1420)(예, "외부 영상 목록 보여줘.")을 발생시키는 경우, 마이크로폰(123)에 의해 음성 명령(1420)이 인식되고, 인식된 음성 명령(1420)에 대한 정보가 인터페이스부(250)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음성 명령(1420)이 지시하는 기능의 실행 대기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when a passenger generates a voice command 1420 (e.g., "show an external video list") that designates a function to perform, the voice command 1420 is recognized And information on the recognized voice command 1420 may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2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250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display device 200 can enter the execution waiting state of the function indicated by the voice command 1420. [

도 14b는 도 14a와 같은 음성 명령(1420)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의해 인식된 상태에서, 운전자의 손(10) 및 동승자의 손(20)이 검출된 상황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손(10)의 위치가 제1 영역(A1)에 대응하고, 동승자의 손(20)의 위치가 제2 영역(A2)에 대응하는 경우, 프로세서(27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드들 중 공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14B illustrates a situation in which a driver's hand 10 and a passenger's hand 20 are detected in a state in which a voice command 1420 as shown in Fig. 14A is recognized by the display device 200. Fig. As shown, when the position of the driver's hand 10 corresponds to the first area A1 and the position of the passenger's hand 20 corresponds to the second area A2, The user can select the common mode among the display modes of FIG.

프로세서(270)는 공용 모드에서, 음성 명령(1420)에 대응하는 객체(1421, 1422)를 각각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객체(1421)와 제2 객체(1422)는 차량(100)의 방향별 외부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객체(1421)와 제2 객체(1422)는 각각 AVM 영상 보기 아이콘, 좌측 영상 보기 아이콘, 우측 영상 보기 아이콘 및 후방 영상 보기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270 may display the objects 1421 and 1422 corresponding to the voice command 1420 in the first area A1 and the second area A2 respectively in the public mode. In one embodiment, the first object 1421 and the second object 1422 may include menus for selecting an orientation-dependent external image of the vehicle 100. For example, the first object 1421 and the second object 1422 may include an AVM image view icon, a left image view icon, a right image view icon, and a rear image view icon, respectively.

도 14c는 도 14b에 도시된 제1 객체(1421) 및 제2 객체(1422)에 대한 운전자와 동승자의 조작에 따라 변화된 화면 구성을 예시한다. 도 14c를 참조하면, 도 14b에서 운전자가 제1 객체(1421)의 AVM 영상 보기 아이콘을 선택함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240)의 제1 영역(A1)에 AVM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동승자가 제2 객체(1422)의 우측 영상 보기 아이콘을 선택함에 따라,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부(240)의 제2 영역(A2)에 우측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FIG. 14C illustrates a screen configuration changed according to operations of the driver and the passenger for the first object 1421 and the second object 1422 shown in FIG. 14B. 14C, when the driver selects the AVM image view icon of the first object 1421, the processor 270 displays the AVM image in the first area A1 of the display unit 240 . In addition, as the passenger selects the right image view icon of the second object 1422, the processor 270 can display the right image in the second area A2 of the display unit 240.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only implemented by the apparatus and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The embodiments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bu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0: 차량
200: 디스플레이 장치
100: vehicle
200: display device

Claims (10)

차량의 실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근접하는 물체를 검출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물체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제1 메뉴 리스트 또는 제2 메뉴 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음성 명령이 획득되는 경우,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의 실행 대기 상태에 진입하고,
상기 기능의 실행 대기 상태에서, 상기 센싱부에 의해 검출된 물체의 위치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실행되는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객체를, 상기 제1 메뉴 리스트로써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기능의 실행 대기 상태에서, 상기 센싱부에 의해 검출된 물체의 위치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실행되는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객체를, 상기 제2 메뉴 리스트로써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상기 차량의 운전석에 가깝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보다 상기 차량의 조수석에 가까운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unit disposed in a vehicle interior;
A sensing unit for sensing an object in proximity to the display unit; And
A processor for displaying a first menu list or a second menu list on the display unit based o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Lt; / RTI >
The processor comprising:
When a voice command is acquired, enters a standby state for execut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command,
In the standby state of the func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objec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corresponds to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command is executed, and one or more Displaying the object in the first area as the first menu list,
When the position of the objec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corresponds to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unit in the execution waiting state of the function,
Displaying one or more objects for operating the function to be executed in the second area as the second menu list,
Wherein the first area is closer to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than the second area and the second area is closer to the passenger seat of the vehicle than the first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부에 의해 검출된 물체의 위치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경우,
전체 화면이 소정 비율로 축소된 축소 화면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센싱부에 의해 검출된 물체의 위치가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축소 화면을,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When the position of the objec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corresponds to the first area,
A reduced screen in which the entire screen is reduced in a predetermined ratio i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When the position of the objec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corresponds to the second area,
And displays the reduced screen in the second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부에 의해 검출된 물체의 위치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객체를, 상기 제1 메뉴 리스트로써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센싱부에 의해 검출된 물체의 위치가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객체를, 상기 제2 메뉴 리스트로써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When the position of the objec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corresponds to the first area,
Displaying one or more objects for operat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first area as the first menu list,
When the position of the objec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corresponds to the second area,
And displays at least one object for operat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second area as the second menu lis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뉴 리스트는,
상기 제1 메뉴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사용 제한 메뉴를 포함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menu list comprises:
And a use restriction menu not included in the first menu lis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화면을 조작하기 위한 메뉴 리스트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센싱부에 의해 검출된 물체의 위치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메뉴 리스트에 포함되는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센싱부에 의해 검출된 물체의 위치가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메뉴 리스트에 포함되는 객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In a state in which a menu list for operating a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position of the objec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corresponds to the first area,
Moving at least one of the objects included in the menu list to the first area,
When the position of the objec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corresponds to the second area,
And moves at least one of the objects included in the menu list to the second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부에 의해 검출되는 두 물체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두 물체 중 다른 하나의 위치가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1 메뉴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제2 메뉴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제1 메뉴 리스트 및 제2 메뉴 리스트를 제외한 객체를, 상기 제1 메뉴 리스트 및 제2 메뉴 리스트가 표시되는 영역을 제외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표시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When the position of one of the two object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corresponds to the first area and the position of the other one of the two objects corresponds to the second area,
Displaying the first menu list in the first area,
Displaying the second menu list in the second area,
And displays an object other than the first menu list and the second menu list in one area of the display unit except an area where the first menu list and the second menu list are display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메뉴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객체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선택된 객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화면을,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2 메뉴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객체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선택된 객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화면을,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rocessor comprising:
When an input of a user selecting one of one or more objects included in the first menu list is received,
Display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bject in the first area,
When an input of a user selecting one of one or more objects included in the second menu list is received,
And displays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bject in the second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부에 의해 검출된 물체의 위치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제1 가상 키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센싱부에 의해 검출된 물체의 위치가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제2 가상 키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or comprising:
When the position of the objec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corresponds to the first area,
A first virtual keyboard associated with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in a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When the position of the object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corresponds to the second area,
And displays a second virtual keyboard associated with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a second area of the display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획득되는 탑승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상 키보드, 또는 상기 제2 가상 키보드의 종류를 결정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or comprising:
And determines the type of the first virtual keyboard or the second virtual keyboard based on the acquired occupant information.
KR1020170080667A 2017-06-26 2017-06-26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8077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667A KR101807788B1 (en) 2017-06-26 2017-06-26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667A KR101807788B1 (en) 2017-06-26 2017-06-26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818A Division KR20170041418A (en) 2015-10-07 2015-10-07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644A KR20170076644A (en) 2017-07-04
KR101807788B1 true KR101807788B1 (en) 2017-12-11

Family

ID=59357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667A KR101807788B1 (en) 2017-06-26 2017-06-26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7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5851B2 (en) * 2018-04-06 2022-08-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ehicle display
CN114579003A (en) * 2022-03-03 2022-06-03 阿维塔科技(重庆)有限公司 Operation method of vehicle screen and related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191A (en) * 2005-10-07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ata processor
JP2007292813A (en) * 2006-04-20 2007-1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video controller, controller, and video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191A (en) * 2005-10-07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ata processor
JP2007292813A (en) * 2006-04-20 2007-1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video controller, controller, and video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644A (en)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04325B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CN109910749B (en) Vehicle control device provided in vehicle and vehicle control method
KR101708657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853396B1 (en) App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device within a vehicle
KR101732983B1 (en) Rear combination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1969805B1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101855940B1 (en) Augmented reality provid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916728B1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at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20190088133A (en) Input output device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KR101977092B1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102578679B1 (en) Head-up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691800B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20180051977A (en) User Interface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KR101994439B1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20160147557A (en) Automatic park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KR20170054849A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101732263B1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KR20170041418A (en)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841501B1 (en) Mobile device for car sharing and method for car sharing system
KR101767507B1 (en) Display apparatus for a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220125148A (en) Video output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KR20190072239A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KR101807788B1 (en)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005443B1 (en) Apparatus for user-interface
KR101859043B1 (en) Mobile terminal, vehicle and mobile terminal link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