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749A - Re-adjustment system for bone orthotics - Google Patents

Re-adjustment system for bone orthotic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749A
KR20220117749A KR1020210021465A KR20210021465A KR20220117749A KR 20220117749 A KR20220117749 A KR 20220117749A KR 1020210021465 A KR1020210021465 A KR 1020210021465A KR 20210021465 A KR20210021465 A KR 20210021465A KR 20220117749 A KR20220117749 A KR 20220117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bone
screw head
locking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4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35948B1 (en
Inventor
이의석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1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948B1/en
Priority to PCT/KR2022/001264 priority patent/WO2022177191A2/en
Publication of KR20220117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7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9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6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 A61B17/8071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bones for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04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with means for distracting or compressing the bone or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23Variable length plates adjustable in both dir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863Apparatus for shaping or cutting osteosynthesis equipment by medical personn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03Bones for mandibular re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capable of re-adjusting the gap between bones after orthopedic surgery. The readjustment system for bone ortho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readjustment after orthopedic surgery. The system comprises: A bone shaping device including a screw including a screw body having locking teeth formed on an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crew head having inner circumferential sawtooth and outer circumferential sawtooth on a part of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respectively, wherein the screw head is coupled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teeth are engaged with the locking teeth; an adjustment device having a body part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s of the screw body and the screw head, and a driving part rotating the body par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 control device outputting control signals for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otations to the driving part of the adjustment device.

Description

골정형용 재조정 시스템{RE-ADJUSTMENT SYSTEM FOR BONE ORTHOTICS}RE-ADJUSTMENT SYSTEM FOR BONE ORTHOTICS

본 발명은 골정형의 기술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골정형 수술 후 재조정이 가능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of osteotom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capable of readjustment after osteotomy surgery.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종래 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does not necessarily constitute prior art.

일반적으로,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는 주걱턱을 교정하는 턱얼굴 성형 수술이나 구강암 수술을 할 때, 턱골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절단한 후에 또는 골에 어떤 이상이 발견되어 그 부위를 제거한 다음에, 나머지 부분의 형태를 유지하거나 새로운 골을 이식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보조 의료기구이다.In general, the mandible fixation plate is used after removing or cutting a part of the jawbone or removing the part after removing or cutting a part of the jawbone when performing chin-face plastic surgery or oral cancer surgery to correct the chin. It is an auxiliary medical device used to maintain a bone or to implant and fix new bone.

이하에서,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를 안면의 하악골에 적용하는 종래의 방식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conventional method of applying the mandible fixing plate to the mandible of the fa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도 1은 종래의 하악 수술용 고정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하악 수술용 고정 플레이트가 하악골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고정 플레이트에 변형이 발생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fixing plate for mandibular surgery,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late for mandibular surgery of FIG. 1 is attached to the mandible.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deformation occurs in the fixing plat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악골의 일부가 제거된 상태 또는 절개된 상태에서 하악골의 전면에 하악 수술용 고정 플레이트가 장착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하악 수술용 플레이트 몸체(1)는 일정한 강성 이상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 진다. 플레이트 몸체(1)에는 등간격으로 관통부(3)가 형성된 링 형상의 복수개의 고정부(2)가 형성된다. 스크류(4)는 각각의 관통부(3)를 통해 하악골에 삽입되며, 이를 통해 플레이트 몸체(1)가 하악골에 체결된다. 각각의 고정부(2)는 연결부(5)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고정부(2)의 내주면에는 체결되는 스크류(4)의 헤드부를 안착시키기 위한 테이퍼면(6)이 형성된다.1 and 2, a fixing plate for mandibular surgery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ndible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mandible is removed or incised. made of a material with The plate body (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xing parts (2) in the shape of a ring in which the through parts (3)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The screw 4 is inserted into the mandible through each of the penetrations 3 , through which the plate body 1 is fastened to the mandible. Each fixing part 2 is interconnected by a connection part 5, and a tapered surface 6 for seating the head of the screw 4 to be fastene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art 2 .

시술자는 고정부(2)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3)에 스크류(4)를 삽입한 후 하악골에 체결시켜, 절개된 하악골의 접합 시술을 완료하게 된다.The operator inserts the screws 4 into the through-holes 3 formed in the fixing part 2, respectively, and then fastens them to the mandible to complete the joint operation of the incised mandible.

한편, 일반적으로 하악골의 접합 시술시 환자는 마취 상태이므로 아무런 감각이나 의식 및 근육 활성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기구를 사용하여 머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시술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하악골의 위치를 잡은 상태에서 고정 플레이트를 고정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general, when the mandible is joined, the patient is under anesthesia, so there is no sense, consciousness, or muscle activity. plate is fixed.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는 환자마다 시술한 후 상이한 하악골의 성장 속도 및 성장 방향이나, 치아 구조와 씹는 습관 등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의 위치가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미세하게 변동함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의 미세 위치조정을 해야 할 필요가 있으나, 종래 고정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플레이트 몸체(1)에 형성된 고정부(2)의 체결공(3)에 체결되어 있는 스크류(4)의 체결 상태를 해제한 후, 다시 스크류(4)를 새로운 위치에 고정해야 하므로 실제로 고정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andibular fixation plate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fixation plate is slightly fluctuat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due to different mandibular growth rates and growth directions after treatment for each patient, tooth structure and chewing habits, etc.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fine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fixing plate, but in the cas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onventional fixing plate, the screw ( After releasing the fastening state of 4),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very difficult to actual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fixing plate because the screw 4 had to be fixed to a new position again.

또한, 종래의 하악골 고정 플레이트는 고정된 상태에서 미세 조정이 불가능하여 결국 절개된 하악골이 완전하게 봉합되지 못하며, 도 3과 같이 고정 플레이트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심할 경우 절단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시술자에게 많은 고통과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어 고정 플레이트를 재시술해야 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mandible fixing plate cannot be fine-tuned in a fixed state, the incised mandible cannot be completely sutured. It caused a lot of pain and discomfort to the patient, and there were many problems such as the need to re-operate the fixing plate.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하악 골편들의 수술 후 움직임을 허용하지 않는 하악골 완전 고정 플레이트를 사용하였을 경우, 만약 수술 시 하악골이 잘못 위치된 채 고정이 되었다면 턱관절의 이상, 플레이트의 변형 및 파절로 인한 하악골의 위치 및 골유합 이상 증상을 보여 하악골의 새로운 고정을 위해 재수술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when using the mandibular complete fixation plate that does not allow post-operative movement of the conventional mandibular bone fragments as described above, if the mandible is incorrectly positioned and fixed during surgery,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bnormality, deformation and fracture of the plate may be caused. There was a problem that required reoperation for new fixation of the mandible due to the position of the mandible and abnormal symptoms of osseointegra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고 제10-1210089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10089

본 명세서는 골정형수술 후 골과 골 사이의 간격 재조정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system capable of re-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bone and the bone after orthopedic surgery.

본 명세서는 상기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골정형용 재조정 시스템은 골정형수술 후 재조정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상부 외주면에 락킹 톱니가 형성된 나사본체와, 내주면의 일부 영역과 내주면에 각각 내주면 톱니와 외주면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내주면 톱니가 상기 락킹 톱니와 맞물리도록 결합된 나사헤드를, 포함하는 락킹나사를 가진 골정형장치; 상기 나사본체와 나사헤드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가진 조정장치; 및 상기 조정 장치의 구동부에게 회전방향 및 회전횟수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adjustment system for bone shap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a system for readjustment after orthopedic surgery, wherein the system includes a screw body having locking teeth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partial reg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respectively. Bone type device having a locking screw comprising a screw head having teeth and outer peripheral serrations formed thereon and the inner peripheral serrations are coupled to engage the locking serrations; an adjustment device having a body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groove formed in the upper surfaces of the screw body and the screw head, and a driving portion for rotating the body portio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 control device for outputting control signals for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otations to the driving unit of the adjustment devic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나사본체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에 대응하는 팁을 가진 제1 몸체; 또는 상기 나사헤드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에 대응하는 팁을 가진 제2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body portion, the first body having a tip corresponding to the groov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w body; or a second body having a tip corresponding to a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crew head.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몸체는 길이 방향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2 몸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econd body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 space formed there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body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body.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몸체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모터; 및 상기 제2 몸체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driving motor configured to rotate the first body; and a second driving motor configured to rotate the second body.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몸체를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시키는 수직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vertical driving unit for moving the second body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further includ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몸체의 팁이 상기 제2 몸체의 팁보다 길이 방향으로 더 노출되도록 상기 수직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몸체의 팁이 상기 제1 모드에서의 위치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상기 제1 몸체의 팁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되도록 상기 수직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 first mode of controlling the vertical driving unit so that the tip of the first body is more ex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tip of the second body, In the second mode of controlling the vertical driving unit, the tip is mov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tip direction of the first body by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position in the first mod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장치는, 제2 모드일 때 상기 제2 구동모터만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rol device may control only the second driving motor to rotate in the second mod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정장치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부에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unit; and a driving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supply of power to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정장치는 사용자 구동 제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를 통해 구동 제어 입력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제2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djus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switch for receiving a user driving control input signal, and the driving control unit, when the driving control input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switch in the second mode,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driving motor.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정장치는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의 전압 차이를 감지하는 전압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전압센서에서 출력된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이하 일 때, 상기 제2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djus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voltage sensor for detecting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the driving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perform a function in the voltage sensor in the second mode. When the output voltage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voltage,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driving motor.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골정형수술 후 골과 골 사이의 간격 재조정이 가능하다. 간단한 시술 차원의 조치를 통해 재수술없이 환자는 보다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possible to readjust the gap between the bone and the bone after osseous orthopedic surgery. Through simple procedure-level measures, patients can obtain higher satisfaction without reoperation.

본 명세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시술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정확한 미세 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술 및 시술의 성공률이 향상되고 편차가 줄어든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precise fine adjustment is possible regardless of the skill level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success rate of surgery and procedures is improved and deviation is reduced.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하악 수술용 고정 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악 수술용 고정 플레이트가 하악골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따른 골정형용 재조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 조절 가능한 골정형 장치에서 락킹 나사가 플레이트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간격 조절 가능한 골정형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락킹나사에 있어서, 나사본체가 나사헤드와 맞물린 락킹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나사본체가 나사헤드와 맞물린 상태가 해제된 락킹 해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 조절 가능한 골정형 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간격 조절 가능한 골정형 장치에 나사헤드의 상승력을 보조하기 위한 탄성 부재가 추가로 장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의 간격 조절 가능한 골정형 장치에 래칫 방식을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4의 간격 조절 가능한 골정형 장치가 2개의 락킹나사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4의 간격 조절 가능한 골정형 장치에 별도의 나사 고정홀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 따른 조정장치의 구성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14는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대응 구성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에 따른 조정장치의 내부구성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에 따른 제1 모드와 제2 모드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17은 전압센서를 통해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참고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ixing plate for mandibular surgery.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late for mandibular surgery of FIG. 1 is attached to the mandible.
Figure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re-adjustment system for osteotomy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screw is mounted on the plate in the adjustable gap b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view of the adjustable interval osseous device of Figure 4;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cking state in which the screw body is engaged with the screw head in the locking screw of FIG. 4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unlocking state in which the screw body engaged with the screw head in FIG. 6 is released.
Figure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adjustable gap b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elastic member for assisting the lifting force of the screw head is additionally mounted to the bone device for adjustable spacing of FIG. 4 .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ratchet method is applied to the adjustable gap bone device of Figure 4;
Figure 11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adjustable gap bone device of Figure 4 includes two locking screws.
Figure 12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eparate screw fixing hole is formed in the bone device for adjustable spacing of Figure 4;
13 is a reference diagram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14 is a reference diagram for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15 is a reference diagram for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16 is a reference diagram for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17 is a reference diagram for determining whether a contact is made through a voltage sensor.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이하 '당업자')에게 본 명세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specifica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hereinafter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will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specifica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a component and other components. A spatially relative term should be understood as a term that includes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a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 is turned over, a component described as “beneath” or “beneath” of another component may be placed “above” of the other component. can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both directions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명세서에 따른 골정형용 재조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re-adjustment system for osteotomy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골정형용 재조정 시스템(1000)은 골정형장치(10), 조정장치(20) 및 제어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osseous type readjust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include a osseous type device 10 , an adjustment device 20 and a control device 30 .

상기 골정형장치(10)는 나사본체(210)와 나사헤드(220)를 가진다.The bone orthopedic device 10 has a screw body 210 and a screw head 220 .

상기 나사본체(210)는 상부 외주면에 락킹 톱니가 형성된다.The screw body 210 is formed with locking teeth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상기 나사헤드(220)는 내주면의 일부 영역에 내주면 톱니(223)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헤드(220)는 외부면에 외주면 톱니(222)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헤드(220)는 상기 내주면 톱니(223)와 상기 락킹 톱니(212a)가 맞물려 결합된다.The screw head 220 has an inner peripheral surface tooth 223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 screw head 220 has an outer peripheral surface tooth 222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 screw head 220 is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eeth 223 and the locking teeth (212a) are engaged.

상기 조정장치(20)는 몸체부와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djusting device 20 may include a body part and a driving part.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나사본체(210)와 나사헤드(22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body portion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groov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screw body 210 and the screw head 220 .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몸체부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DC 모터, 스탭모터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rotate the bod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driving uni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DC motor, a step motor, or the like.

상기 제어장치(30)는 상기 조정장치(20)의 구동부에게 회전방향 및 회전횟수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3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otations to the driving unit of the adjustment device 20 .

상기 제어장치(30)는 이른바 골정형 수술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30)는 X-ray, CT, MRI, PET-CT 등 환자의 골 정형과 관련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이 필요한 골을 선택하고, 이동량을 산출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 따른 제어장치(30)는 수술 후 재조정이 필요한 환자에게 재조정 대상 골 및 재조정 이동량에 대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30 may correspond to a navigation system for so-called osteotomy surgery. The control device 30 may select a bone that needs to be moved by using image data related to the patient's bone shape, such as X-ray, CT, MRI, and PET-CT, and calculate the amount of movement. In particular, the control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calculate data on the readjustment target bone and readjustment movement amount for the patient in need of readjustment after surgery.

일 예로, 본 명세서에 따른 골정형장치(10)를 이용하여 악골정형수술을 받은 환자를 가정해보겠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악골의 양 쪽을 절단후 상기 골정형장치(10)를 이용하여 골과 골이 연결된 상태이다. 한 쪽에는 각각 2개의 골정형장치가 사용되어 총 4개의 골정형장치가 환자의 하악골에 고정된 상태이다. 그리고 수술 후 하악골의 좌우 균형을 위해 절단된 골 사이의 간격 조정이 필요한 상태이다.As an example, let's assume a patient who has undergone orthopedic surgery using the bone orthopedic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ore specifically, after cutting both sides of the mandible, the bone is connected to the bone using the bone orthopedic device 10 . Two bone orthopedic devices are used on one side, and a total of four orthopedic devices are fixed to the patient's mandible. And after surgery,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cut bones for left and right balance of the mandible.

상기 제어장치(30)는 환자의 하악골 상태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어느 절단된 골 부위의 간격을 얼마만큼 이동시켜야 하는지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골 부위에 해당하는 골정형장치를 하나 또는 두 개를 지정할 수 있으며, 얼마만큼의 이동량이 필요한지와 관련하여 나사 헤드를 어느 방향으로 몇 바퀴 회전시켜야 하는지 산출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장치(30)는 조정이 필요한 골정형장치에 대한 정보, 나사 헤드의 회전 방향 및 회전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조정장치(20)에게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30 may receive image data on the condition of the patient's mandible and calculate how much the distance between which cut bone parts should be move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designate one or two bone orthopedic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one region, an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how many times the screw head should be rotated in which direction in relation to how much movement is required. The control device 30 may output information about the bone orthopedic device that requires adjustment,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screw head to the adjustment device 20 .

이하에서는 상기 골정형장치(10)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bone orthopedic device 1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 조절 가능한 골정형장치에서 락킹 나사가 플레이트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screw is mounted to the plate in the adjustable gap b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간격 조절 가능한 골정형장치의 분해도이다.Figure 5 is an exploded view of the adjustable spacing of the bone orthopedic device of Figure 4.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간격 조절 가능한 골정형장치는 플레이트(100) 및 락킹나사(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4 and 5, the adjustable gap b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te (100) and a locking screw (200).

플레이트(100)는 메인바디(110), 메인바디(110)의 중심부에 소정의 길이로 관통 형성된 관통부(120), 및 메인바디(110)의 일측에 형성된 측벽(130)을 포함한다. 측벽(130)에는 관통부(120) 측을 향하여 측벽(13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플레이트 톱니(140)가 연장 형성된다.The plate 100 includes a main body 110 , a penetrating portion 120 formed to pass through a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sidewall 130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 The side wall 130 has a plurality of plate teeth 14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130 toward the through portion 120 side.

플레이트(100)는 인접한 두 골편인 제1 뼈와 제2 뼈에 걸쳐 배치되며, 플레이트(100)의 메인바디(110)의 일측면은 제1 뼈의 상부면에 지지되고 타측면은 제2 뼈의 상부면에 지지된다. 제1 뼈와 제2 뼈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메인바디(110) 중앙부의 소정의 영역은 제1 뼈와 제2 뼈 어디에도 접하지 않은 영역이 된다.The plate 100 is disposed over the first bone and the second bone, which are two adjacent bone pieces, and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of the plate 100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ne and the other side is the second bon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Since the first bone and the second bon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110 becomes a region that does not contact any of the first bone and the second bone.

관통부(120)는 메인바디(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타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관통부(120)는 측벽(130)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측벽(130)과 평행하게 배향된다. 관통부(120)는 일측이 제1 뼈의 상부에 배치되고, 타측이 제2 뼈의 상부에 배치된다. 관통부(120)의 폭은 나사본체(210)의 몸체부(2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한편, 나사본체(210)의 헤드부(21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The penetrating portion 120 has an elliptical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 The through portion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wall 1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oriented parallel to the sidewall 130 . The penetrating portion 120 has one side disposed on the first bone, and the other side disposed on the second bone. The width of the through portion 12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211 of the screw body 210 , while being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212 of the screw body 210 .

측벽(130)은 복수의 플레이트 톱니(140)가 형성된 제1 측벽(131), 및 제1 측벽(131)에 대향하여 플레이트(100)의 타측에 형성된 제2 측벽(132)을 포함한다. 제1 측벽(131)과 제2 측벽(132)은 플레이트의 일단부 및 타단부로부터 각각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측벽(131)과 관통부(120)의 길이방향 축선 사이의 간격보다, 제2 측벽(132)과 관통부(120)의 길이방향 축선 사이의 간격이 더 크게 형성된다. 제1 측벽(131)과 관통부(120)의 길이방향 축선 사이의 거리는 대략 락킹나사(200)의 나사헤드(220)의 반경 정도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측벽(131, 132) 각각의 높이는 나사헤드(220)의 높이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The sidewall 130 includes a first sidewall 131 formed with a plurality of plate teeth 140 , and a second sidewall 13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late 100 opposite to the first sidewall 131 . The first sidewall 131 and the second sidewall 132 are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late, respectively.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idewall 132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hrough portion 12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idewall 131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hrough portion 120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ide wall 131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hrough portion 120 is formed to be approximately the radius of the screw head 220 of the locking screw 200 . The height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idewalls 131 and 132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screw head 220 .

플레이트 톱니(140)는 상기 관통부(120)의 길이보다 더 큰 길이로 제1 측벽(131) 내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플레이트 톱니(140)가 연장된 높이는 나사헤드(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주면 톱니(222)가 연장된 높이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The plate teeth 140 are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wall 131 with a length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through portion 120 . The height at which the plate teeth 140 extend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at which the outer peripheral teeth 222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crew head 220 extend.

락킹나사(200)는 관통부(120)에 삽입된다. 락킹나사(200)는 서로 결합 가능한 나사본체(210) 및 나사헤드(220)를 포함한다. 나사헤드(220)에는 나사본체(210) 헤드부(212)의 직경보다 큰 중공이 형성되어 나사본체(210)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나사헤드(220)가 관통부(120)의 상측에서 플레이트(100)의 메인바디(110)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나사본체(210)가 관통부(120)를 관통하여 제1 또는 제2 뼈에 삽입되면서 나사헤드(220)의 중공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locking screw 20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part 120 . The locking screw 200 includes a screw body 210 and a screw head 220 that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The screw head 220 has a hollow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crew body 210 and the head portion 212, so that the screw body 210 can be inserted therein. In a state in which the screw head 220 is fixed on the main body 110 of the plate 100 from the upper side of the through portion 120 , the screw body 210 passes through the through portion 120 to allow the first or second It may be coupled to the hollow inside of the screw head 22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bone.

나사본체(210)는 나사본체(210)의 하부 외주면에 나사산(210a)이 형성된 몸체부(211), 및 나사본체(210)의 상부 외주면에 락킹 톱니(212a)가 형성된 헤드부(212)를 포함한다. 나사본체(210)의 몸체부(211)가 관통부(120)를 관통하여 제1 또는 제2 뼈에 삽입되면서, 몸체부(211)에 형성된 나사산(210a)은 제1 또는 제2 뼈에는 나사산(210a)에 대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며 나사산(210a)과 맞물린다. 나사본체(210)의 헤드부(212) 상면에는 드라이버 등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212b)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드라이버 등을 삽입홈(212b)에 삽입하고 회전시킴으로써 나사본체(210)를 제1 또는 제2 뼈에 삽입시킬 수 있다.The screw body 210 includes a body portion 211 having a screw thread 210a formed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body 210, and a head portion 212 having a locking tooth 212a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body 210. include As the body portion 211 of the screw body 210 penetrates the penetrating portion 120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or second bone, the screw thread 210a formed in the body portion 211 has a screw thread on the first or second bone. A screw groove corresponding to the (210a) is formed and is engaged with the screw thread (210a). An insertion groove 212b for inserting a driver or the lik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212 of the screw body 210 . The user may insert the screw body 210 into the first or second bone by inserting a screwdriver or the like into the insertion groove 212b and rotating it.

나사헤드(220)는 관통부(120)의 상측에서 플레이트(100)의 메인바디(110) 상면에 지지된다. 나사헤드(220)는 제1 측벽(131)과 제2 측벽(132) 사이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측벽(132)과 같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crew head 220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of the plate 100 on the upper side of the through part 120 . The screw head 22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idewall 131 and the second sidewall 132 , and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and second sidewalls 132 .

나사헤드(220) 내주면의 최하측의 인접한 부분에는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걸림턱(221)이 형성된다. 나사본체(210)가 제1 또는 제2 뼈에 삽입되면서, 나사본체(210)의 헤드부(212) 하측면은 나사헤드(220)의 걸림턱(221)에 걸리게 된다. 걸림턱(221)은 나사본체(210)의 헤드부(212)가 지지되는 한편, 나사본체(210)의 몸체부(211)에 맞닿지 않도록 하는 길이만큼 연장된다. 나사본체(210)의 헤드부(212)는 걸림턱(221)에 걸려 더 이상 하측으로 삽입되지 않는다.A locking jaw 221 protruding inwardly is formed in the lowermost adjacent portion of the screw head 220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the screw body 210 is inserted into the first or second bone,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212 of the screw body 210 is caught by the locking jaws 221 of the screw head 220 . The locking jaw 221 is extended by a length such that the head portion 212 of the screw body 210 is supported, while not in contact with the body portion 211 of the screw body 210 . The head portion 212 of the screw body 210 is caught by the locking jaw 221 and is no longer inserted downward.

나사헤드(220)의 외주면에는 플레이트 톱니(140)의 형상에 대응하는 외주면 톱니(222)가 형성된다. 외주면 톱니(222)는 나사헤드(220)의 원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외주면 톱니(222)는 나사헤드(220)가 플레이트 톱니(140)와 맞물리면서 회전할 때, 관통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된 기어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eeth 222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late teeth 140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crew head 220 . The outer circumferential teeth 222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circumference of the screw head 220 . The outer peripheral tooth 222 is configured to move at a gear ratio se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ough portion 120 when the screw head 220 rotates while meshing with the plate tooth 140 .

도 6는 도 4의 락킹나사에 있어서, 나사본체가 나사헤드와 맞물린 락킹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나사본체가 나사헤드와 맞물린 상태가 해제된 락킹 해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cking state in which the screw body is engaged with the screw head in the locking screw of FIG. 4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unlocking state in which the screw body engaged with the screw head in FIG. 6 is released.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나사헤드(220)의 내주면 일부에는 나사본체(210) 헤드부(212)의 락킹 톱니(212a)의 형상에 대응하는 내주면 톱니(223)가 형성된다. 내주면 톱니(223)는 나사헤드(220) 내주면 일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내주면 톱니(223)은 나사헤드 내주면 하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내주면 톱니(223)가 연장된 높이는 나사본체(210) 헤드부(212)의 락킹 톱니(212a)가 연장된 높이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내주면 톱니(223)는 나사헤드(220)가 나사본체(210)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나사본체(210) 헤드부(212)의 락킹 톱니(212a)와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6 and 7, a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crew head 220 is formed with inner peripheral teeth 223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cking teeth 212a of the screw body 210 head portion 212.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eeth 223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a part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crew head 220 . The inner circumferential teeth 223 may be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screw hea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height at whic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eeth 223 extend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at which the locking teeth 212a of the screw body 210 head part 212 exte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eeth 223 are formed to engage the locking teeth 212a of the screw body 210 head portion 212 while the screw head 220 ascends or descends with respect to the screw body 210 .

나사헤드(220) 내주면은 내주면 톱니(223)가 형성된 영역을 락킹 영역(s1)이라 지칭하고, 및 락킹 영역(s1) 외의 영역을 락킹 해제 영역(s2)이라 지칭한다. 내주면 톱니(223)는 나사헤드(220) 내주면 일부의 락킹 영역(s1)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나사헤드(220)의 중공 내에서 나사본체(210)의 높이가 변경됨에 따라 내주면 톱니(223)와 락킹 톱니(212a)가 맞물리는 락킹 상태 또는 내주면 톱니(223)와 락킹 톱니(212a)가 맞물리지 않는 락킹 해제 상태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나사헤드(220)의 락킹 해제 영역(s2)상의 내주면에는 삽입 기구(미도시)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회전홈(225)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 기구를 회전홈(225)에 삽입하고 누름으로써, 나사헤드(220)를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 기구를 회전홈(225)에 삽입하고 회전시킴으로써, 나사헤드(220)를 회전시킬 수 있다.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head 220 , the area in which the inner circumferential saw teeth 223 are formed is referred to as a locking area s1 , and an area other than the locking area s1 is referred to as a unlocking area s2 .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eeth 223 are formed only in the locking area s1 of a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crew head 220 . Accordingly, as the height of the screw body 210 is changed in the hollow of the screw head 220, a locking state in whic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eeth 223 and the locking teeth 212a are engaged or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eeth 223 and the locking teeth 212a ) in which the unlocking state is not engaged can be selectively formed. On the other han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nlocking region s2 of the screw head 220, a plurality of rotation grooves 225 into which an insertion mechanism (not shown) is inserted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inserting the insertion mechanism into the rotation groove 225 and pressing, the screw head 220 can be lowered. In addition, by inserting the insertion mechanism into the rotation groove 225 and rotating, the screw head 220 can be rotated.

나사헤드(220)의 내주면 하부에 내주면 톱니(223)가 형성된 경우, 나사헤드(220)가 상승하면서 나사헤드(220)의 내주면 톱니(223)에 나사본체(210)의 락킹 톱니(212a)가 맞물리는 락킹 상태가 형성된다. 한편, 나사헤드(220)가 하강하면서 나사헤드(220)의 내주면 톱니(223)에 나사본체(210)의 락킹 톱니(212a)가 맞물리는 상태를 벗어나는 락킹 해제 상태가 형성된다.Wh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eeth 223 are formed on the lower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crew head 220, the locking teeth 212a of the screw body 210 are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eeth 223 of the screw head 220 as the screw head 220 rises. An engaging locking state is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as the screw head 220 descends, a locking release state in which the locking tooth 212a of the screw body 210 is engag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tooth 223 of the screw head 220 is form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 조절 가능한 골정형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Figure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adjustable gap b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간격 조절 가능한 골정형장치를 이용한 시술은 준비 단계, 나사본체 삽입 단계, 나사헤드 누름 단계, 나사헤드 회전 단계, 및 나사헤드 상승 단계를 포함한다. 나사헤드(220)에는 상하 운동 및 회전 운동이 선택적으로 인가된다. 이때, 시술자가 공구 등을 통해 직접 나사헤드(220)를 누르거나 회전시킬 수 있으며, 또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에 의해 나사헤드(220)의 상하 운동 및 회전 운동이 제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8, the procedure using the adjustable gap bon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paration step, a screw body insertion step, a screw head pressing step, a screw head rotation step, and a screw head raising step. A vertical motion and a rotational motion are selectively applied to the screw head 220 . In this case, the operator may directly press or rotate the screw head 220 through a tool or the like, or the vertical movement and rotational movement of the screw head 220 may be controlled by a driving unit including a motor.

준비 단계에서는, 시술자는 제1 뼈와 제2 뼈에 걸쳐 플레이트(100)를 배치하되, 제1 뼈의 표면에 플레이트(100)의 일측이 접하고, 제2 뼈의 상부면에 플레이트(100)의 타측이 접하도록 한다. 이때, 플레이트(100)에는 나사헤드(220)가 장착된 상태이다. In the preparation stage, the operator places the plate 100 over the first bone and the second bone, one side of the plate 100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first bone, and the plate 10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ne. Let the other side touch it. At this time, the screw head 220 is mounted on the plate 100 .

나사본체 삽입 단계에서는, 시술자는 나사본체(210)가 나사헤드(220)의 중공 및 플레이트(100)의 관통부(120)를 관통하여 나사본체(210)의 몸체부(211)를 제1 또는 제2 뼈에 삽입 고정한다. 이때, 나사본체의 헤드부(212)는 걸림턱(221)에 걸려 고정된다.In the screw body insertion step, the operator inserts the screw body 210 through the hollow of the screw head 220 and the through portion 120 of the plate 100 to insert the body portion 211 of the screw body 210 into the first or Insertion and fixation into the second bone. At this time, the head portion 212 of the screw body is fixed to the locking projection (221).

나사헤드(220)의 내주면 하부에 내주면 톱니(223)가 형성된 경우, 나사본체(210)가 나사헤드(220) 중공 내부에서 하강하면서 나사본체(210)의 락킹 톱니(212a)가 나사헤드(220)의 내주면 톱니(223)에 맞물리는 락킹 상태가 형성된다(도 6 참조).When the inner circumferential teeth 223 are formed on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crew head 220, the screw body 210 descends from the inside of the screw head 220 hollow while the locking teeth 212a of the screw body 210 are screwed into the screw head 220 ) is formed in a locking state engag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teeth 223 (see FIG. 6).

나사헤드 누름 단계에서는, 나사헤드(220)가 하강하면서 나사본체(210)의 헤드부(212)가 나사헤드(220)의 중공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나사본체(210)의 락킹 톱니(212a)와 나사헤드(220)의 내주면 톱니(223)와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락킹 해제 상태가 형성된다(도 7 참조).In the screw head pressing step, as the screw head 220 descends, the head portion 212 of the screw body 210 is positioned in the hollow upper portion of the screw head 220 . Accordingly, a locking release state in which engagement between the locking teeth 212a of the screw body 210 and the inner peripheral teeth 223 of the screw head 220 is released is formed (see FIG. 7 ).

나사헤드 회전 단계에서는, 나사헤드(220)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관통부(120)의 길이방향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나사헤드(220)의 중공 내에 삽입된 나사본체(210)는 나사헤드(220)와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이지만, 나사헤드(22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한다. 나사헤드(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뼈와 제2 뼈 사이의 거리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식으로 제1 뼈와 제2 뼈 사이의 간격이 조정된다.In the screw head rotation step, the screw head 2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while moving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netrating part 120 . The screw body 210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screw head 220 is in a state in which engagement with the screw head 220 is released, but moves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screw head 220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ne and the second bone is adjusted in such a way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one and the second bone approaches or moves away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crew head 220 .

나사헤드 상승 단계에서는, 나사헤드(220)는 뼈 자체가 갖는 고유한 탄성으로 인해 자연적으로 상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사본체(210)의 락킹 톱니(212a)가 나사헤드(220)의 내주면 톱니(223)에 맞물리게 되면서, 락킹 해제 상태에서 락킹 상태로 복귀한다. 락킹 상태에서는 나사본체(210)가 제1 뼈 또는 제2 뼈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나사본체(210)와 맞물린 나사헤드(220)가 플레이트(100)의 플레이트 톱니(140)를 따라 쉽게 움직이지 않게 된다. 뼈의 고유한 탄성으로 나사헤드(220)는 대략 0.5mm 내지 3mm 정도 상승할 수 있다.In the step of raising the screw head, the screw head 220 may naturally be raised due to the inherent elasticity of the bone itself. Accordingly, while the locking teeth 212a of the screw body 210 are engaged with the teeth 223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crew head 220, the locking state is returned from the unlocked state. In the locking state, since the screw body 210 is fixed to the first bone or the second bone, the screw head 220 engaged with the screw body 210 does not move easily along the plate teeth 140 of the plate 100. won't Due to the inherent elasticity of the bone, the screw head 220 may rise by approximately 0.5 mm to 3 mm.

도 9은 도 4의 간격 조절 가능한 골정형장치에 나사헤드의 상승력을 보조하기 위한 탄성 부재가 추가로 장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elastic member for assisting the lifting force of the screw head is additionally mounted to the bone orthopedic device with adjustable spacing of FIG. 4 .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 가능한 골정형장치는 나사헤드(220)의 하부면과 메인바디(110)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이 나사헤드(220)의 하부면 측으로 기울어진 탄성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300)는 와셔로서,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까지 경사지게 연장되어 일 단부와 타 단부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스프링 와셔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300)는 뼈 자체가 갖는 고유한 탄성에 대해 추가적인 상승력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9, the adjustable gap bo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w head 220 and the main body 110, one side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w head 220. It may include an inclined elastic member 300 . The elastic member 300 is a washer, and may be a spring washer extending obliquely from one end to the other so that the height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elastic member 300 may provide an additional lift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inherent elasticity of the bone itself.

도 10는 도 4의 간격 조절 가능한 골정형장치에 래칫 방식을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ratchet method is applied to the adjustable gap bone device of Figure 4;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 가능한 골정형장치는 나사헤드(220)의 하측면에 형성된 헤드 래칫 톱니(224), 및 메인바디(110)의 상측면에 형성되고 헤드 래칫 톱니(224)의 형상에 대응하는 바디 래칫 톱니(111)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헤드(220)가 회전하면서 나사헤드(220)의 헤드 래칫 톱니(224)가 메인바디(110)의 바디 래칫 톱니(111)에 맞물리게 된다. 이에 따라, 나사헤드(220)가 회전할 때마다 '딸깍' 소리가 발생하게 되며, 나사헤드(220)에 나사헤드(220)의 회전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한 마찰력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정지시 나사헤드(220)가 메인바디(110)상에서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0, the adjustable gap bo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ratchet teeth 224, and the main body 11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crew head 220, the head It may include a body ratchet teeth 111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atchet teeth 224 . As the screw head 220 rotates, the head ratchet teeth 224 of the screw head 220 are engaged with the body ratchet teeth 111 of the main body 110 . Accordingly, whenever the screw head 220 rotates, a 'click' sound is generated, and a fric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screw head 220 to precisely control the rotation of the screw head 220, as well as when the screw head 220 is stopp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crew head 220 from idling on the main body 110 .

도 11은 도 4의 간격 조절 가능한 골정형장치가 2개의 락킹나사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Figure 11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cluding two locking screws in the bone device of Figure 4 adjustable spacing.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 가능한 골정형장치는 제1 락킹나사(200a) 및 제2 락킹나사(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락킹나사(200b)는 관통부(120) 내에 배치되며 제1 락킹나사(200a)와 관통부(12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1 락킹나사(200a)는 제1 뼈 상측에 배치되며, 제2 락킹나사(200b)는 제2 뼈 상측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제2 락킹나사(200b)를 제2 뼈에 대해 위치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 락킹나사(200a)를 작동하여 제1 뼈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1 락킹나사(200a)를 제1 뼈에 대해 위치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2 락킹나사(200b)를 작동하여 제2 뼈의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1, the adjustable gap bon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locking screw (200a) and a second locking screw (200b). The second locking screw 200b is disposed in the through portion 12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cking screw 200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ough portion 120 . The first locking screw 200a is disposed above the first bone, and the second locking screw 200b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bone. Through this,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locking screw 200b is fixed i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ne, the movement of the first bone can be controlled by operating the first locking screw 200a, and the first locking screw 200a is re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first bone, the movement of the second bone may be controlled by operating the second locking screw 200b.

도 12은 도 4의 간격 조절 가능한 골정형장치에 별도의 나사 고정홀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Figure 12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eparate screw fixing hole is formed in the adjustable interval bone device of Figure 4;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 가능한 골정형장치의 플레이트(100)에는 관통부(120)와 이격된 나사 고정홀(150)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 고정홀(150)에 고정 나사(151)를 이용하여 제1 또는 제2 뼈에 플레이트(100)를 고정한 상태에서 락킹나사(2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100)의 고정력이 증대되어 보다 안정성 있는 시술이 가능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2 , the plate 100 of the bone orthopedic device with adjustable spac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through portion 120 and a spaced apart screw fixing hole 150 . The locking screw 200 may be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plate 100 is fixed to the first or second bone by using the fixing screw 151 in the screw fixing hole 150 . Accordingly, the fixing force of the plate 100 is increased, so that a more stable operation is possible.

이하 상기 조정정치(20)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다. 이에 앞서, 상기 제어장치(30)는 환자의 뼈에 고정된 골정형장치에 포함된 나사헤드(220)를 어느 방향으로 몇 바퀴 회전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계산이 완료된 것을 전제로 한다. 환자의 뼈에 2이상의 골정형장치가 고정된 경우라면, 어떤 골정형장치의 어떤 나사헤드(220)인지 역시 선택이 완료된 상황이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adjustment value 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Prior to this, the control device 30 assumes that the calculation of how many revolutions in which direction the screw head 220 included in the bone orthopedic device fixed to the patient's bone needs to be rotated is completed. If two or more bone orthopedic devices are fixed to the patient's bone, the selection of which screw head 220 of which bone orthopedic device is completed is also completed.

도 13은 본 명세서에 따른 조정장치의 구성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14는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대응 구성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에 따른 조정장치의 내부구성에 대한 참고도이다.13 is a reference diagram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14 is a reference diagram for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15 is a reference diagram for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상기 몸체부는 제1 몸체(21) 또는 제2 몸체(2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the body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include a first body 21 or a second body 22 .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몸체(21)는 상기 나사본체(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몸체(21)는 상기 나사본체(21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에 대응하는 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22)는 상기 나사헤드(2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몸체(22)는 상기 나사헤드(220)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에 대응하는 팁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the first body 21 is configured to rotate the screw body 210 . To this end, the first body 21 may have a tip corresponding to a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w body 210 . The second body 22 is configured to rotate the screw head 220 . To this end, the second body 22 may have a tip corresponding to the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w head 220 .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몸체(21) 또는 상기 제2 몸체(22)는 상기 몸체부에 어느 하나만 결합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1 몸체(21)와 제2 몸체(22)는 교체 형식으로 필요에 따라 하나만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는 하나의 모터로 구현이 가능하여 장치의 소형화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body 21 or the second body 22 may be coupled to any one of the body portion. That is, the first body 21 and the second body 22 may be used by combining only one as needed in a replacement form. In this case, since the driving unit can be implemented as a single moto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and cost of the device.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몸체(21) 및 상기 제2 몸체(22)는 상기 몸체부에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몸체(21)와 제2 몸체(22)는 일체 형식으로, 사용자가 직접 제1 몸체(21)와 제2 몸체(22)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몸체(21)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모터(M1) 및 상기 제2 몸체(22)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모터(M2)를 포함할 수 있다(도 15 참조).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body 21 and the second body 22 may be simultaneously coupled to the body portion. That is, the first body 21 and the second body 22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re is no need for the user to directly replace the first body 21 and the second body 22, so that convenience can be improved. In this case,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driving motor M1 for rotating the first body 21 and a second driving motor M2 for rotating the second body 22 (see FIG. 15 ). ).

상기 제1 몸체(21)와 상기 제2 몸체(22)가 일체 형식인 경우 상기 제1 몸체(21)와 제2 몸체(22)가 배치되는 실시예는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몸체(21)와 제2 몸체(22)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 몸체(21)와 제2 몸체(22)는 조정장치(20)의 서로 반대 끝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2 몸체(22)는 길이 방향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몸체(21)는 상기 제2 몸체(2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몸체(21)와 제2 몸체(22)가 동일한 중심 회전축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first body 21 and the second body 22 are integrally formed, embodiments in which the first body 21 and the second body 22 are disposed may vary. For example, the first body 21 and the second body 22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body 21 and the second body 22 may be disposed to face opposite ends of the adjusting device 20 . 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body 22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 space formed there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first body 21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body 22 . That is, the first body 21 and the second body 22 may be disposed to have the same central rotation axis.

한편, 상기 제1 몸체(21)와 제2 몸체(22)가 동일한 중심 회전축을 가지도록 배치된 경우, 제1 몸체(21)를 사용하는 경우와 제2 몸체(22)를 사용하는 경우에 맞춰서 제1 몸체(21) 또는 제2 몸체(22)를 길이 방향으로 더 노출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정장치(20)는 상기 제2 몸체(22)를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시키는 수직 구동부(A)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5 참조).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body 21 and the second body 22 are arranged to have the same central axis of ro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ase of using the first body 21 and the case of using the second body 22 . The first body 21 or the second body 22 should be further ex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is end, the adjusting device 20 may further include a vertical driving unit A for moving the second body 22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ee FIG. 15 ).

상기 제어장치(30)는 상기 수직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몸체(21)를 사용하는 경우를 '제1 모드'라 명명하고, 제2 몸체(22)를 사용하는 경우를 '제2 모드'라 명명하겠다.The control device 3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ertical driving unit. In this specification, the case of using the first body 21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mode', and the case of using the second body 22 will be referred to as a 'second mode'.

도 16은 본 명세서에 따른 제1 모드와 제2 모드에 대한 참고도이다.16 is a reference diagram for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장치(30)는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몸체(21)의 팁이 상기 제2 몸체(22)의 팁보다 길이 방향으로 더 노출되도록 상기 수직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모드일 때, 상기 제어장치(30)는 상기 제1 몸체(21)와 연결된 상기 제1 구동모터(M1)만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 the control device 30 may control the vertical driving unit so that the tip of the first body 21 is more ex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tip of the second body 22 in the first mode. have. In the first mode, the control device 30 may control only the first driving motor M1 connected to the first body 21 to rotate.

상기 제어장치(30)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몸체(22)의 팁이 상기 제1 모드에서의 위치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상기 제1 몸체(21)의 팁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되도록 상기 수직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모드일 때, 상기 제어장치(30)는 상기 제2 몸체(22)와 연결된 상기 제2 구동모터(M2)만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30 is configured to move the tip of the second body 22 in the direction of the tip of the first body 21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second mode by a predetermined length compared to the position in the first mode. The vertical driving unit may be controlled. In the second mode, the control device 30 may control only the second driving motor M2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22 to rotate.

본 명세서에 따른 조정장치(20)는 구동부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공급받고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해야 한다. 이러한 전력과 제어 신호는 상기 제어장치(30)와 연결된 유선을 통해 직접 공급 및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따른 조정장치(20)는 상기 제어장치(30)로부터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조정장치(20)는 상기 제어장치(3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도면 미도시),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도면 미도시)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부에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일차 전지 또는 충전 가능한 이차전지로서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이차전지의 경우 충전 등을 위하여 조정장치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adjusting devic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receive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receiv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Such power and control signals may be directly supplied and received through a wire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30 . Meanwhile, the control devic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30 using a wireless signal. To this end, the control device 2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that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30,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that supplies power to the driving unit, and the control signal. It may include a driving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driving uni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Bluetooth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 Wideband),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 Wi-Fi Direct, and at least one of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ies may be used to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The power supply unit includes a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as a primary battery or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nd in the case of a secondary battery,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adjusting device body for charging or the like.

한편, 제어 신호는 골정형장치(10)의 나사헤드(220)를 어느 방향으로 몇바퀴 회전시킬 것인지에 대한 신호일 수 있다. 이 때 중요한 전제 사항이 조정장치(20)의 제2 몸체(22)의 팁이 나사헤드(2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접촉하고 있어야 한다. 제2 몸체(22)의 팁과 나사헤드(220)가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는 사용자가 직접 판단할 수고 있고, 센서를 통해 판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signal may be a signal for how many times to rotate the screw head 220 of the bone device 10 in which direction. At this time, an important premise is that the tip of the second body 22 of the adjusting device 20 must be in contact to rotate the screw head 220 . Whether the tip of the second body 22 and the screw head 220 are in contact may be determined directly by the user or may be determined through a sensor.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정장치(20)는 사용자 구동 제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스위치(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몸체(22)의 팁과 나사헤드(220)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23)를 누를 수 있다. 이때, 상기 상기 구동 제어부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를 통해 구동 제어 입력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제2 구동모터(M2)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djustment device 20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23 for receiving a user driving control input signal. The user may press the switch 23 while the tip of the second body 22 and the screw head 220 are in contact. In this case, the driving controller may supply power to the second driving motor M2 when a driving control input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switch in the second mode.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정장치(20)는 상기 제1 몸체(21)와 상기 제2 몸체(22) 사이의 전압 차이를 감지하는 전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djusting device 20 may further include a voltage sensor for detecting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body 21 and the second body 22 .

도 17은 전압센서를 통해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참고도이다.17 is a reference diagram for determining whether a contact is made through a voltage sensor.

도 17을 참조하면, 제1 모드일 때, 제1 몸체(21)의 팁만이 나사본체(210)와 접촉하고 제2 몸체(22)의 팁은 나사헤드(220)와 접촉되지 않는다. 이 상태는 전기적으로 개방 회로에 해당하고, 전압센서는 개방회로에 해당하는 측정값을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제2 모드일 때, 제1 몸체(21)의 팁은 나사본체(210)와 접촉하고 제2 몸체(22)의 팁은 나사헤드(220)와 접촉한다. 나사본체(210)와 나사헤드(220) 물리적으로 접촉하므로 전기적으로 닫힌 회로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전압센서는 닫힌 회로에 해당하는 측정값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전압센서에서 출력된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이하 일 때, 제2 몸체(22)의 팁과 나사헤드(220)가 접촉한 상태이므로 상기 제2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 in the first mode, only the tip of the first body 21 contacts the screw body 210 and the tip of the second body 22 does not contact the screw head 220 . This state electrically corresponds to an open circuit, and the voltage sensor may output a measurement value corresponding to the open circuit.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mode, the tip of the first body 21 is in contact with the screw body 210 and the tip of the second body 22 is in contact with the screw head 220 . Since the screw body 210 and the screw head 220 are in physical contact, it corresponds to an electrically closed circuit. Accordingly, the voltage sensor may output a measured value corresponding to a closed circuit. When the voltage value output from the voltage sensor in the second mod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oltage, the driving control unit is in contact with the tip of the second body 22 and the screw head 220, so that the second driving motor power can be supplied.

상기 제어장치 및 구동 제어부는, 산출 및 다양한 제어 로직을 실행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알려진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통신 모뎀, 데이터 처리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어 로직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기 제어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모듈은 메모리장치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and the driving control unit include a processor,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other chipsets, logic circuits, registers, communication modems, and data processing devices known in the art to perform calculations and various control logics. and the like. In addition, when the above-described control logic is implemented in software, the control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set of program modules. In this case, the program modul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device and executed by the processor.

상기 전술한 컴퓨터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C++, C#, JAVA, Python,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computer program is C/C++, C#, JAVA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CPU) of the computer through a device interface of the computer in order for the computer to read the program and execute the methods implemented as a program , Python, may include code coded in a computer language such as machine language. Such code may include functional code related to a function defining functions necessary for executing the methods, etc. can do. In addition, the code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functions or code related to memory reference for which location (address address) in the internal or external memory of the computer should be referenced. have. In addition, when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needs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located remotely in order to execute the functions, the code uses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mputer to determine how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remotely. 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related code for whether to communicate and what information or media to transmit and receive during communication.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medium is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a cache, a memory, etc., but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Specifically, examples of the storage medium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 That is,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various recording media on various servers accessible by the computer or in various recording media on the computer of the user.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by a network, and computer-readable codes may be stor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specification belong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0 : 골정형용 재조정 시스템
10 : 골정형장치
20 : 조정장치
30 : 제어장치
1000: readjustment system for bone type
10: osseous device
20: adjustment device
30: control device

Claims (10)

골정형수술 후 재조정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상부 외주면에 락킹 톱니가 형성된 나사본체와, 내주면의 일부 영역과 외부면에 각각 내주면 톱니와 외부면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내주면 톱니가 상기 락킹 톱니와 맞물리도록 결합된 나사헤드를, 포함하는 락킹나사를 가진 골정형장치;
상기 나사본체와 나사헤드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가진 조정장치; 및
상기 조정 장치의 구동부에게 회전방향 및 회전횟수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골정형용 재조정 시스템.
A system for readjustment after orthopedic surgery, the system comprising:
A locking screw comprising: a screw body having locking teeth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screw head having inner and outer surface teeth formed on a portion of an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respectively, and where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eeth are engaged with the locking teeth; with bone orthopedic devices;
an adjustment device having a body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groove formed in the upper surfaces of the screw body and the screw head, and a driving portion for rotating the body portio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 control device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otations to the driving unit of the adjustment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나사본체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에 대응하는 팁을 가진 제1 몸체; 또는
상기 나사헤드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에 대응하는 팁을 가진 제2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정형용 재조정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art,
a first body having a tip corresponding to a groove formed in an upper surface of the screw body; or
A second body having a tip corresponding to a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rew hea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몸체를 회전시키는 제1 구동모터; 및 상기 제2 몸체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골정형용 재조정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driving unit,
a first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first body; and a second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second body.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는 길이 방향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2 몸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정형용 재조정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body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space formed there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body is readjustment system for the bone typ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body.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정장치는, 상기 제2 몸체를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시키는 수직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골정형용 재조정 시스템.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adjustment device, the vertical drive unit for moving the second body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ne osteotomy readjust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몸체의 팁이 상기 제2 몸체의 팁보다 길이 방향으로 더 노출되도록 상기 수직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1 모드와,
상기 제2 몸체의 팁이 상기 제1 모드에서의 위치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상기 제1 몸체의 팁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되도록 상기 수직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 모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정형용 재조정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device is
A first mode for controlling the vertical driving unit so that the tip of the first body is more ex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tip of the second body;
Go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mode for controlling the vertical drive unit so that the tip of the second body is mov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tip of the first body by a predetermined length than the position in the first mode Orthopedic readjustment system.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제2 모드일 때 상기 제2 구동모터만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하는 골정형용 재조정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device is
A re-adjustment system for bone type that controls to rotate only the second drive motor when in the second mod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정장치는,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구동부에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골정형용 재조정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adjustment device i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unit; and
Bone type readjust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a driv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power to the driving unit by the control signal.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정장치는
사용자 구동 제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를 통해 구동 제어 입력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제2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하는 골정형용 재조정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djustment device is
A switch for receiving a user drive control input signal; further comprising,
The drive control unit,
In the second mode, when a drive control input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switch, the reconditioning system for bone type to supply power to the second drive moto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정장치는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의 전압 차이를 감지하는 전압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전압센서에서 출력된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이하 일 때, 상기 제2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하는 골정형용 재조정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djustment device is
Further comprising; a voltage sensor for detecting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he drive control unit,
When the voltage value output from the voltage sensor in the second mod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oltage, the osseous type readjustment system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cond driving motor.
KR1020210021465A 2021-02-17 2021-02-17 Re-adjustment system for bone orthotics KR1025359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465A KR102535948B1 (en) 2021-02-17 2021-02-17 Re-adjustment system for bone orthotics
PCT/KR2022/001264 WO2022177191A2 (en) 2021-02-17 2022-01-25 Orthopedic readjust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465A KR102535948B1 (en) 2021-02-17 2021-02-17 Re-adjustment system for bone orthotic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749A true KR20220117749A (en) 2022-08-24
KR102535948B1 KR102535948B1 (en) 2023-05-24

Family

ID=82930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465A KR102535948B1 (en) 2021-02-17 2021-02-17 Re-adjustment system for bone orthotic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5948B1 (en)
WO (1) WO2022177191A2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1674A (en) * 2005-12-01 2007-06-21 Hidetoshi Onoe Bone plate
KR20090115662A (en) * 2008-05-02 2009-11-05 김가브리엘민 Reforming device
KR101210089B1 (en) 2011-02-17 2012-12-07 박성진 Plate for fixation of mandible
KR20180011499A (en) * 2016-07-25 2018-02-02 주식회사 지에이치바이오 Bone anchoring device capable of elongation
JP2019527075A (en) * 2016-06-07 2019-09-26 プロ−デツ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Torque limited screwdriver device, system and method
KR20210016109A (en) * 2019-07-31 2021-02-15 서울대학교병원 Driver for Surgical Operation of Spi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5767A (en) * 2009-10-27 2011-05-04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Apparatus for bone fixa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1674A (en) * 2005-12-01 2007-06-21 Hidetoshi Onoe Bone plate
KR20090115662A (en) * 2008-05-02 2009-11-05 김가브리엘민 Reforming device
KR101210089B1 (en) 2011-02-17 2012-12-07 박성진 Plate for fixation of mandible
JP2019527075A (en) * 2016-06-07 2019-09-26 プロ−デツ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Torque limited screwdriver device, system and method
KR20180011499A (en) * 2016-07-25 2018-02-02 주식회사 지에이치바이오 Bone anchoring device capable of elongation
KR20210016109A (en) * 2019-07-31 2021-02-15 서울대학교병원 Driver for Surgical Operation of Sp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77191A2 (en) 2022-08-25
WO2022177191A3 (en) 2022-10-13
KR102535948B1 (en) 202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75375B (en) Torque limiting screwdriver device, system and method
JP3149000U (en) Dental perforation assembly
US6863528B2 (en) Orthodontic pin
US86966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on of an elongate pin into a surface
EP1836982B1 (en) Bone fracture fixation plate shaping system
KR101005952B1 (en) Boring drill of bone possible adjusting punching depth
AU2007200164A1 (en) Medical system, system parts and method for spatially adjusting an aiming device to a body implant
JP2005506098A (en) Spinal pedicle screw placement retractor and method
US20160081765A1 (en) A precision surical guidance tool system and delivery method for implementing dental implants
KR20160014071A (en) Drilling apparatus for dental implant
JP2011010792A (en) Surgical instrument for osteosynthesis
KR101472570B1 (en) Discriminating the direction and location of fixture healing abutment
KR20220117749A (en) Re-adjustment system for bone orthotics
EP2208471B1 (en) Medical system and system parts for spatially adjusting an aiming device relative to a body implant
CN111388112A (en) Subassembly that supplementary tooth of back tooth district was planted
KR101669577B1 (en) Implant Assembly Devices
KR102292489B1 (en) abutment holder
CN115644980A (en) Medical orthopedics puncher
KR102522326B1 (en) Bone orthotropics apparatus for adjusting distance
KR102509060B1 (en) Bone orthotropics apparatus for adjusting distance
WO2009035359A1 (en) Precision device for dental implant placement
CN218832921U (en) Micro screwdriver guiding device and micro screwdriver tool kit
CN112752553A (en) Surgical guide for zygomatic implant
TWI765841B (en) Set of installation aids for drill aids, screw guides and orthodontic appliances
CN219166713U (en) Micro-screw implant torsion sensing implantation han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